KR102058123B1 -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23B1
KR102058123B1 KR1020180008894A KR20180008894A KR102058123B1 KR 102058123 B1 KR102058123 B1 KR 102058123B1 KR 1020180008894 A KR1020180008894 A KR 1020180008894A KR 20180008894 A KR20180008894 A KR 20180008894A KR 102058123 B1 KR102058123 B1 KR 10205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ort
accident
iot terminal
lo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8123B9 (en
KR20190095604A (en
Inventor
정의철
Original Assignee
(주)숨과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숨과쉼 filed Critical (주)숨과쉼
Priority to KR102018000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2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23B1/en
Publication of KR10205812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23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기 위한 신고버튼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과,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과,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신고입력신호를 근거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NB-IoT 단말기 및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report button for receiving a report for each type of accident from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d IoT communication NB-IoT communication module, a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position, and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B-IoT terminal including th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type of accident is stored based on the report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port. An accident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among the server of th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input signal Provides a system including a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Description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NB-IoT terminal for accident report, system including s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목격자가 간편하게 사고 종류별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n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for reporting accidents by type of accident,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전 세계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기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Globally,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connected via networks is growing rapidly.

IoT란,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가리킨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로 분류하며, 여기에는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 또는 사람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IoT refers to the concept of connecting all things that can communicate to the network and performing mutual communication. All objects that can be recognized systemically are classified as Things or Objects, which are equipped with near and far communication functions, sensors, etc. This may include things or people capable of producing and using data.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IoT, technical elements such as sensing technolog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 interface technology, and security technology are required, and recently, a sensor network for connection between things, a machine to machine , 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etc. are being studied.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In an IoT environment, intelligent Internet technology (IT) services that provide new value in human lif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generated from connected objects may be provided. IoT can be applied to the fields of smart home, smart building, smart city, smart car or connected car, smart grid, health care, smart home appliances, advanced medical services through convergence and complex of existing IT technology and various industries. have.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3세대(3G) 이동통신 방식으로 대표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4세대(4G)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As the demand for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reases, the fourth generation (3G) is used to rapidly transmit a larger amount of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which is represented by a third generation (3G) mobile communication method. In 4G),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cheme has been used.

하지만, 최근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정의되면서, 특정 시나리오에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를 들 수 있다.However, as requirements for various service scenarios are recently defined, interest in technologies that satisfy the requirements in a specific scenario is increasing. An example is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이와 관련하여 이렇게 셀룰러(cellular)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에 대한 무선 접속(radio access)을 위해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Narrowband-IoT)이 연구되고 있다.In this regard, a narrowband IoT (NB-IoT) has been studied for radio access to the cellular Internet of things (IoT).

한편, NB-IoT 통신모듈을 포함한 NB-IoT 단말기는 저전력/원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NB-IoT terminal including 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is capable of low-power /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 variety of services using the same, but no specific service has been proposed so far.

종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신고 방식은, 교통사고 목격자가 고속도로 등 차량 운전 중인 경우 전화를 통한 신고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전화 신고의 경우 말로 위치를 설명해야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제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어떤 종류의 사고인지 말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신고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야간인 경우 목격자가 도로 표지판 등을 인지하기 어려워 정확한 위치를 제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목격자가 범행자 근처에서 전화로 신고할 경우 목격자 신변이 범행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존재하여 이로 인해 적극적인 신고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accident repor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when a traffic accident witness is driving a vehicle such as a highway, it is difficult to report through a telephone, and in the case of a telephone repor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port a location because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location in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report because it is necessary to explain what kind of accident, and it is difficult for the witness to recognize the road sign at night, so it is difficult to report the exact location. If you report by phone, there is a risk that you will be exposed to the violent witness.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NB-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olve such problems using the NB-IoT terminal.

본 발명은, NB-IoT 단말기의 신고버튼을 누르는 단순한 조작행위를 통해, 사고 신고 내용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어디서, 어떤 종류의 사고가 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the report button of the NB-IoT terminal, NB-IoT for accident reporting that can quickly transmit information on what kind of accident occurred, whe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accident report cont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rminal,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기 위한 신고버튼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과,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과,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신고입력신호를 근거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NB-IoT 단말기 및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report button for receiving a report for each type of accident from the user, NB-Io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oT-based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position, NB-IoT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accident typ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based on the report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port button input. A central location for stor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of a corresponding agenc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among servers of the corresponding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input signal; It provides a system including an NB-IoT terminal for accident reporting that includes a control serv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고버튼은, 상기 NB-IoT 단말기의 일면에 노출형성되되, 사고종류별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port button may be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but may have different shapes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ypes of accident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고버튼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름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신고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port button may generate the report input signal when there is a push input for a preset tim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NB-IoT 단말기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신고버튼이 최초 작동하였을 때 사고종류별로 서로 다른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B-IoT terminal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wherein the vibration module generates vibrations in different vibration patterns for each accident type when the report button is first operated. Can b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신고버튼에 의해 동시에 신고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generated simultaneously by the plurality of report buttons,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is the NB-IoT terminal. Keep track of your loc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치측위모듈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과, GPS 음영지역에서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sitioning module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positioning a location using a GPS signal and a Bluetooth module for positioning at a GPS shadow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와 최근접한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of a responsible agency which is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among the responsible agencies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신고버튼에 의해 신고입력신호가 처음 발생하였을 때의 제1 시점과 상기 신고입력신호가 소멸하였을 때의 제2 시점 간의 이동경로를 관리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entral control server is responsible for managing a movement path between a first time point when a report input signal is first generated by the report button and a second time point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extinguished.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기 위한 신고버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 및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연락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oT communication based on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and the report button for receiving a report input by accident type from the use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report inpu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a central control server, where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r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for each accident type; NB for reporting an accid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of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input signal. -IoT termina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NB-IoT 단말기는,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기 저장된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B-IoT terminal, the step of positioning the position, the NB-IoT terminal, receiving a re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accident from the user, the NB-IoT terminal, the repor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ransmit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uses the pre-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type of accident; According to the accident type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the accident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of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ystem including the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the accident.

본 발명에 따르면, NB-IoT 단말기의 신고버튼을 누름으로써 사고 신고 내용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어디서, 어떤 종류의 사고가 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report button of the NB-IoT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transmit information on what kind of accident occurre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accident report cont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종류를 분류하고 그에 따라 해당 담당기관서버으로 사고 발생 장소를 전송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사고 신고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ccident type is classified and accordingly transmitted to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an accident occurrence can be effectively repor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행신고의 경우 신고자의 신변을 보호하면서 신고 행위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주머니 속에서 사고 종류별로 단말기를 조작하여 사고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정시간 동안의 입력버튼 누름행위에 의해 신고입력신호가 발행하고, 종류별 형상의 다양화 또는 진동패턴의 다양화 등을 통해 오작동에 의한 거짓신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rime report can be reported by operating the terminal by the type of accident in the pocket without exposing the reporting behavior to the outside while protecting the identity of the reporter, in this case the input button for a certain time Report input signal is issued by the pressing a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false reporting by malfunction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shape or vibration pattern by ty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이용자에 사고 또는 범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복수 입력버튼을 이용한 조작의 다양화를 통해 대응을 달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accident or a crime occurs in the terminal user, the response can be changed by diversifying the operation us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버튼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신고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n NB-IoT terminal for accident repor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NB-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report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ccident re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n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사고신고시스템(100)은 NB-IoT 단말기(110)와, 상기 NB-IoT 단말기(110)로부터의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사고종류별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서버에 신고를 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accident reporting system 100 including an NB-IoT terminal for accident repor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B-IoT terminal 110 and an NB-IoT terminal 110. It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server 120 for reporting to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110 by accident type according to the report input signal of the.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고신고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 accident reporting system may be implemented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turn.

NB-NB- IoTIoT 단말기 terminal

본 발명의 NB-IoT 단말기(110)는 이동 가능한 단말기로서, 이동 단말기는 그 형태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목걸이형태나 팔찌형태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것이 바람직하다.NB-IoT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limit the form or type, for example, mobile phones, smart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It may b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necklace or bracelet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NB-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B-IoT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고버튼(1102)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1103)과,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1104, 1105)과, 상기 신고버튼(1102)의 입력에 따라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사고종료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1104, 1105)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하는 제어부(11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NB-IoT terminal 110 is located at least one report button 1102 for receiving a report input by the accident type from the user,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3 capable of cellular communication based on the IoT and positioning the location By generating a report in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position positioning module (1104, 1105) and the report button 1102, the central control server (1) for the accident termin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positioning module (1104, 1105);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1 to transmit to 120.

도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NB-IoT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that an NB-IoT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turn.

신고버튼(1102)은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신고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고버튼은 명칭과 무관하게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또는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누름버튼일 수 있다.The report button 1102 is a means for receiving a report command authorized by a user and generating input data according to the report button. The report button is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regardless of a name). Static pressure or 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or the lik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may be a push butt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버튼(1102)은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일면에 노출 형성되되, 사고종류별로 구분하여 신고입력을 받기 위해 바람직하게 둘 이상의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Report button 1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110, but preferably two or more in order to receive a report input classified by the type of accident.

즉, 복수의 신고버튼(1102) 각각은 누름에 따라 서로 다른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신고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중앙관제서버(120)가 그에 따라 서로 다른 담당기관서버(130)에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report buttons 1102 generates a different report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received a different report input signal according to different responsible agency server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130.

상기 신고버튼(1102)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① 강력사건·범죄신고, ② 교통사고신고, ③ 화재신고, ④ 기타응급신고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신고버튼(1102)은 사고종류별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크기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형상(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type of the report button 110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① a violent incident, a crime report, ② a traffic accident report, ③ a fire report, ④ other emergency reports, and the plurality of emergency reports. Report button 1102 of the accident type in different positions, different sizes, more preferably may have a different shape (triangle, square, round, etc.).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고신고시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외면에 노출된 신고버튼(1102)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종류의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generate a desired type of report input signal by operating the terminal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report button 1102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110 at the time of an accident report.

NB-IoT 통신모듈(1103)은 상기 NB-IoT 단말기(110)와 네트워크(N) 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각종 형태의 단말기나 서버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관제서버(120) 등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3 is for connecting the NB-IoT terminal 110 and the network N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3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various types of terminals, servers, and the like through at least one network. Can be. Therefore, the NB-IoT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1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NB-IoT 통신모듈(1103)은 NB-IoT 단말기(110)에 내장 또는 외장 가능한 것으로서,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통신을 가능케 하기 위한 모듈이다.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3 is built in or external to the NB-IoT terminal 110 and is a module for enabling IoT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상기 NB-IoT 통신모듈(1103)을 통해,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클라이언트,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rough 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3, a wireless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 client,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for mobile communication.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or information).

위치측위모듈(1104, 1105)은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모듈로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치측위모듈(1104, 1105)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1104) 및/또는 GPS 음영지역에서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1105)을 포함할 수 있다.Positioning module (1104, 1105) is a module for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NB-IoT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sitioning module (1104, 1105) for positioning the location using the GPS signal GPS module 1104 and / or Bluetooth module 1105 for positioning in a GPS shadow area.

GPS모듈(1104)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복수의 위치확인위성들로부터 수신한 항법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것으로서, GPS모듈(1004) 또는 제어부(1101)에서는 각 위치확인위성에서 전송된 항법데이터를 이용하여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The GPS module 1104 is for positioning a location using navigation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positioning satellites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GPS module 1004 or the controller 1101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110 can be located by using the navigation data transmitted from each positioning satellite.

또한, 블루투스모듈(1105)은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본 발명에 따른 NB-IoT 단말기(110)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105)을 이용하여 지하나 실내와 같이 위치확인위성들로부터 항법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uetooth module 1105 is a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Bluetooth protocol. The NB-IoT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luetooth module 1105 to locate positioning satellites, such as the basement or the interior. In order to locate the NB-IoT terminal 110 in a GPS shadow area that does not receive navigation data from the Bluetooth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이에 따라, 제어부(1101)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근거로 Proximity 방법이나 AOA(Angle of Arrial) 방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내위치측위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1 may position the NB-IoT terminal 110 indoors by using the Proximity method or the Angle of Arrial (AOA) method based on the Bluetooth sig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ecessarily Without being limit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indoor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by various known methods.

제어부(controller, 1101)는 NB-IoT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1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NB-IoT terminal 110, and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or process various information.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1)는 저장모듈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일 예로 위치측위를 위한 프로그램,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진동 알림 프로그램 등)을 제어 또는 구동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1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or drives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for example, a program for positioning, a communication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a vibration notification program, and the like). In this regard, various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may be used.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1)는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신고입력신호를 근거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1104, 1105)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1 is based on the report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the type of accide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04, 1105) central control server Transmit to 120.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②번 버튼이 입력된 경우 그에 따라 발생된 교통사고신고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NB-IoT 통신모듈(1103)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101 may include accident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raffic accident report input signal generated when button ② is input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NB-IoT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using 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3.

이에 따라, 교통사고 목격자는 고속도로 등 차량 운전 중인 경우 전화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본 발명에 따른 NB-IoT 단말기(110)를 조작함으로써, 조작한 시점의 위치에 어떠한 종류의 사고가 났는지, 사고 신고 내용의 핵심적인 요소만 신속하게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a traffic accident witness does not use a telephone when driving a vehicle, such as a highway, and simply operates the NB-IoT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orts what kind of accident occurred at the location of the operation time. Only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ontent can be quickly sen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또한, 목격자가 심리적으로 강압적이거나 위협적인 상황에 처해있는 경우 목격자는 보복의 위협 등의 이유로 신고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110)는 주머니 속에서 신고행위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 및/또는 특정 모양의 범행신고 버튼을 조작하여 신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어떤 종류의 사고가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담당기관에 신속히 신고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witness is in a psychologically coercive or threatening situation, the witness is often reluctant to report a threat of retaliation. However, since the NB-IoT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report by manipulating a crime report button of a specific position and / or a specific shape without exposing the report to the outside in a pocket. In any case, you can quickly report to the agency what kind of accident happened where.

한편, 저장모듈(미도시)은 제어부(1101)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일 예로, 동영상 미디어, 사운드 미디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module (not shown) may store at least one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101, and may store data input and output (for example, video media, sound media, etc.) accordingly.

저장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저장모듈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module can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NB-IoT terminal 11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module on the Inter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모듈은, 각종 프로그램과, 상기 제어부(1101)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발생하거나 산출된 각종 임시데이터나 결과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various temporary data or result data generated or calculated while the controller 1101 executes the program.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은 제어부(1101)의 제어에 의해 내부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NB-IoT 단말기(110)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receives power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1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NB-IoT terminal 110.

한편, 사용자가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일 면에 노출 배치된 신고버튼(1102)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조작을 하거나 또는 의도치 않게 신고버튼(1102)이 눌러진 경우, 잘못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신고입력신호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oes not visually check the report button 1102 disposed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110, or if the report button 1102 is pressed unintentionally, wrong or intentional There is a problem that a notification signal input may not occur.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고버튼(1102)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름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신고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report button 1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only when there is a push input for a preset time.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약 3초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기 정해진 설정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임의로 설정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ferably about 3 second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redetermined setting time may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s setting.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모듈(1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B-IoT terminal 11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module 1106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상기 진동모듈(1106)은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진동모듈(1106)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편심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ibration module 1106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the tactile sense and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generates vibra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module 1106 may include a motor and an eccentric weight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motor. Can be done.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1)는 상기 진동모듈(1106)을 이용하여 상기 신고버튼(1102)이 최초 작동하였을 때 상기 신고버튼(1102)별로, 즉 사고종류별로 상기 진동모듈(1106)은 서로 다른 진동패턴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port button 1102 is operated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vibration module 1106, the controller 1101 is configured by the report button 1102, that is, by type of accident. 1106 preferably generates different vibration patterns.

여기서, 서로 다른 진동패턴은 사용자가 상기 진동패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진동의 크기와 진동의 on/off 비율 등의 조합이 서로 다를 수 있다.Here, different vibration patterns may have different combinations of magnitudes of vibrations and on / off ratios of vibrations so that a user can distinguish the vibration patterns.

사용자는 신고버튼(1102)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조작을 하는 경우, 손끝의 감각이 예민하지 못한 사용자는 위치에 따라 달리 배치되거나 버튼의 형상을 달리하더라도 그 신고버튼(1102)의 종류를 정확히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without confirming the report button 1102 visually, the user who is not sensitive to the fingertips can accurately identify the type of the report button 1102 even if the user is differently positioned or changes the shape of the butt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1)는, 상기 진동모듈(1106)을 이용하여 상기 신고버튼(1102)이 최초 눌러짐에 대응하여 상기 신고버튼(1102)별로 서로 다른 진동패턴을 발생시키도록 하면, 사용자는 서로 다르게 감지되는 진동패턴을 근거로 어떠한 신고버튼(1102)이 눌러졌는지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신고버튼(1102)이 눌러진 직후 발생하는 진동패턴을 감지하여 의도한 사고종류에 대응하는 신고버튼(1102)이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일정시간 동안 누름 행위를 지속하여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어떠한 신고버튼(1102)이 눌러진 직후 감지되는 진동패턴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신고버튼(1102)이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다른 버튼을 찾아 누름으로써 의도한 사고종류에 대응하는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vibration module 1106 to generate different vibration patterns for each report button 1102 in response to the report button 1102 being press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case, the user can identify which report button 1102 is pressed based on the vibration patterns that are differently detected. That is, when the user senses the vibration pattern generated immediately after the report button 1102 is pressed and determines that the report button 1102 corresponding to the intended accident type is pressed, the user continues to push the repor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Alternatively,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nintentional report button 1102 is pressed by the vibration pattern detected immediately after any report button 1102 is pressed, the user types the accident by finding and pressing another butt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epor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한편, 사용자는 사고현장을 목격하고 해당 사고종류별로 서로 다른 사고정보와 신고자의 현재 위치를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신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witnesses the accident scene and transmits different accident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porter by the accident typ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has the effect that can be quickly and simply report.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격한 사고현장에 대한 신고뿐 아니라 사용자 자신에게 사고가 발생하거나 위협을 느낀 경우에도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101)는 복수의 신고버튼(1102)이 눌러져 동시에 복수의 신고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위치측위모듈(1104, 1105)에 의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port buttons 1102 so that not only a report on the incident site that has been witnessed but also responds to the case where an accident occurs or threatens itself. When a plurality of report input signals are generated at the same time by being pressed,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s 1104 and 1105 may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이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실시간으로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관할하는 담당기관서버(130)에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담당기관서버(130)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당기관이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추적하여 사용자를 사고로부터 또는 위험으로부터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B-IoT terminal 110 in real time to continuously track the location, and 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ay control the NB-IoT. By continuously deliv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130 jurisdiction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10,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130 to continuously track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responsible agency is at risk You can track your users so that you can quickly rescue them from accidents or from dang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NB-IoT 단말기(100)의 신고버튼을 누름으로써 사고 신고 내용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어디서, 어떤 종류의 사고가 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전송하되, 범행신고의 경우 신고자의 신변을 보호하면서 신고 행위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주머니 속에서 사고 종류별로 단말기를 조작하여 사고 신고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esses the report button of the NB-IoT terminal 100 to quickly transmit information on where and what kind of accident occurre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contents of the accident report. In this case, you can report an accident by operating the terminal for each type of accident in your pocket without protecting the reporter's identity and exposing the report to the outside.

또한, 사용자가 NB-IoT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사고신고시 일정시간 동안의 입력버튼 누름행위에 의해 신고입력신호가 발행하도록 하거나, 종류별 형상의 다양화 또는 진동패턴의 다양화 등을 통해 오작동에 의한 거짓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perates the NB-IoT terminal 100 to cause a report input signal to be issued by pressing an input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n accident is reported, or malfunctions by diversifying the shape of each type or by varying the vibration pattern. False reporting by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NB-IoT 단말기(100)는 복수 입력버튼을 이용한 조작의 다양화를 통해 사용자 자신에게 사고 또는 범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B-Io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ble to cope with a case in which an accident or a crime occurs to the user by diversifying the operation us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NB-IoT 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중앙관제서버(120)와, 이를 포함한 사고신고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connected to the NB-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ident repor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중앙관제서버Central control server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NB-IoT 단말기(110)에 발생된 사고 입력 신호에 따라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130) 중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NB-IoT terminal 100 in the server 130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ccident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NB-IoT terminal 110.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네트워크(N)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N)에 연결된 타 단말기나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N),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other terminals or servers connected to the network (N).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사고종류별로 담당기관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룩업테이블 등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가 상기 NB-IoT 단말기(100)로부터 사고종류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따라 구분된 담당기관 리스트 중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130)에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type of accident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so that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from the NB-IoT terminal 100 When th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30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ist of responsible agenci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여기서, 담당기관은 사고 종류인 강력사건·범죄 신고, 교통사고신고, 화재신고, 기타 응급신고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일 수 있고, 상기 담당기관은 관할지역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gency in charge is at least one of the types of accidents such as violent incidents, crime reports, traffic accidents, fire reports, and other emergency reports, and may be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 hospital, and the like. Can be subdivided accordingly.

아울러, 담당기관의 서버(130)는 상기 담당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상기 담당기관과 마찬가지로 관할지역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erver 130 of the agency in charge is a server operated by the agency, and may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jurisdiction as in the agenc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따라서,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13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로부터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사고지역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신호는, 상기 담당기관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로서,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신고버튼(1102)을 통해 입력된 사고종류의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rver 130 of the responsible agency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accident area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Here, the notification signal is a signal for notifying that the accident occurred to the responsible agency, and may include specific contents of the accident type input through the report button 1102 of the NB-IoT terminal 100.

일 예로, 강남대로를 운전하던 사용자가 강남역에서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강력사건·범죄신고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신고를 한 경우, 버튼이 눌러진 위치를 관할하는 강남경찰서의 운영서버에 알림신호를 전송하되, 이와 함께 버튼에 해당하는 사고 종류인 강력사건·범죄신고가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driving Gangnam-daero presses a button corresponding to a violent incident / crime report of the NB-IoT terminal 100 at the Gangnam station, the server operating the Gangnam Police Station jurisdiction o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button was pressed. In addition to this, a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ogether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strong incident or a crime report, which is an accident type corresponding to a button, may be transmitted.

즉, 상기 NB-IoT 단말기(100)가 신고한 위치에 강남경찰서 내 교통사고를 담당하는 부서가 아닌 강력사건·범죄사고를 담당하는 부서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department in charge of a violent incident and a crime accident to be dispatched to the location notified by the NB-IoT terminal 100, rather than the department in charge of a traffic accident in the Gangnam police st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담당기관 중 NB-IoT 단말기(100)의 위치를 관할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신고 위치와 거리상 최근접한 담당기관의 운영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that manages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100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of the nearest authority in close proximity to the reporting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100. have.

즉,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관할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도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신고를 할 수 있으나, 발생 사고의 신속한 처리를 위한 출동을 위해,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신고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상 최근접한 담당기관의 운영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jurisdiction of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but can be reported, in order to dispatch for the rapid processing of the accident, the reporting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100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of the nearest authority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신고버튼(1102)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름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NB-IoT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report input signal only when the report button 1102 has a push input for a preset time.

이때, 상기 NB-IoT 단말기(100)는 상기 신고버튼(1102)이 비교적 길게 눌려졌을 경우, 신고입력신호가 처음 발생하였을 때의 제1 시점과 상기 신고입력신호가 소멸하였을 때의 제2 시점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port button 1102 is pressed for a long time, the NB-IoT terminal 100 has a first time point when a report input signal is first generated and a second time point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extinguished. Location information about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이에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제1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시점의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제2 위치정보를 근거로 이동경로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NB-IoT 단말기(100)로부터의 신고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정보, 제2 위치정보 및/또는 이동경로를 관리 또는 관할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oves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B-IoT terminal 100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B-IoT terminal 100 at the second time point.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rver to a server of a responsible authority that manages or manag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movement path by a report from the NB-IoT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또한, 사용자가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신고버튼(1102)을 조작하여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켰을 때,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를 근거로 한 이동경로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담당기관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출동시 접근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port button 1102 of the NB-IoT terminal 100 to generate a report input signal,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o the control server 120, the responsible agency can be provided with the optimum path to access when dispatched to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와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을 근거로 상기 NB-IoT 단말기(100)의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약 50km/h)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된 이동경로를 최적 경로로 추출하여 해당 담당기관의 운영서버에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may calculate the moving speed of the NB-IoT terminal 100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time points, and the calculated moving speed. Only when the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speed (about 50 km / h), the movement route calc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s an optimal route and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of the corresponding authority.

즉, 위치정보만을 근거로 담당기관이 해당 위치에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목격자의 이동경로를 상기 담당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담당기관이 해당 위치에 접근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responsible agency may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the location based only 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the path of the accident witness's movement to the responsible agency,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path for the responsible agency to access the relevant lo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사고신고시스템의 동작방법Operation method of accident reporting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신고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ccident re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신고시스템의 동작방법은, NB-IoT 단말기(110)는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S110)와,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는 단계(S120)와,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상기 신고버튼(1102)의 입력에 따라 신고입력신호를 발생(S130)시켜 사고종류정보와 위치측위모듈(1104, 1105)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하는 단계(S140)와,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기 저장된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130)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ccident rep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B-IoT terminal 110 is the step of positioning the position (S110), and the NB-IoT terminal 110 Receiving a report input by the type of accident from the user (S120), and the NB-IoT terminal 110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1102) (S130)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1104, 1105)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S140),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120 using the pre-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accident type the report input signal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30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B-IoT terminal 110 among the servers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S150). can do.

다만, 도 4에 도시된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사고신고시스템의 동작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steps shown in FIG. 4 are not essential, an operation method of an accident reporting system having more steps or fewer steps may be implemented.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is duplicat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replaced with it.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신고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An operation method of an accident rep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사고신고시스템 110: NB-IoT 단말기
1101: 제어부 1102: 신고버튼
1103: NB-IoT 통신모듈 1104: GPS모듈
1105: 블루투스 모듈 1106: 진동모듈
120: 중앙관제서버 130: 담당기관서버
100: accident reporting system 110: NB-IoT terminal
1101: control unit 1102: report button
1103: NB-IoT communication module 1104: GPS module
1105: Bluetooth module 1106: vibration module
120: central control server 130: responsible agency server

Claims (10)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기 위한 신고버튼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과,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과,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신고입력신호를 근거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NB-IoT 단말기; 및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신고버튼은, 상기 NB-IoT 단말기의 일면에 노출형성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름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신고입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신고버튼에 의해 신고입력신호가 처음 발생하였을 때의 제1 시점과 상기 신고입력신호가 소멸하였을 때의 제2 시점 간의 이동경로를 관리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
Report button for receiving report input by accident type from the user, NB-Io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oT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location, Report generated by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An NB-IoT terminal including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a central control server based on an inpu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type of accident is stored, and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rver to the server of the corresponding authorit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B-IoT terminal among the servers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input signal.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report button is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and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when there is a push input for a preset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that manages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time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first generated by the report button and the second time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extinguished. And a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버튼은,
사고종류별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port button,
A system including an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characterized by different shapes at different locations for different types of accident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B-IoT 단말기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듈;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신고버튼이 최초 작동하였을 때 사고종류별로 서로 다른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B-IoT terminal,
V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Include more,
The vibration module,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vibration in a different vibration pattern for each type of accident when the report button is first op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신고버튼에 의해 동시에 신고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a report input signal is simultaneously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report buttons.
The central control server, NB-IoT terminal system for reporting accidents,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inuously track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모듈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과, GPS 음영지역에서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ing module,
A system comprising a GPS module for positioning a location using a GPS signal and a Bluetooth module for positioning a location in a GPS shadow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와 최근접한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system including an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wherein the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a server of a responsible agency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among the responsible agencies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
삭제delete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기 위한 신고버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 및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사고종류정보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서버의 위치정보 또는 연락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신고버튼은, 상기 NB-IoT 단말기의 일면에 노출형성되되,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름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신고입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신고버튼에 의해 신고입력신호가 처음 발생하였을 때의 제1 시점과 상기 신고입력신호가 소멸하였을 때의 제2 시점 간의 이동경로를 관리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
In the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Report button for receiving a report input by accident type from the user;
NB-Io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oT-based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a position;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report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to transmit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a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r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 for each accident type, and is responsible for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among the responsible agency servers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input signal.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engine server,
The report button is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and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when there is a push input for a preset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that manages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time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first generated by the report button and the second time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extinguished. And NB-IoT terminal for accident report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NB-IoT 단말기는,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신고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고종류별 신고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상기 신고버튼의 입력에 따라 신고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사고종류정보와 위치측위모듈에 따른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NB-IoT 단말기는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됨; 및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기 저장된 상기 사고종류별 담당기관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고입력신호에 따라 사고종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담당기관의 서버 중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신고버튼은, 상기 NB-IoT 단말기의 일면에 노출형성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름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신고입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신고버튼에 의해 신고입력신호가 처음 발생하였을 때의 제1 시점과 상기 신고입력신호가 소멸하였을 때의 제2 시점 간의 이동경로를 관리하는 담당기관의 서버에 상기 알림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신고용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동작방법.
NB-IoT terminal, positioning the position;
The NB-IoT terminal, receiving a report for each type of accident from the user through the report button;
The NB-IoT terminal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eport button, and transmits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NB-IoT terminal is based o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using the NB-Io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oT communication;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is responsible for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B-IoT terminal of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gency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typ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port input signal using the pre-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for each accident type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of the;
Including,
The report button is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NB-IoT terminal, and generates a report input signal when there is a push input for a preset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rver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that manages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time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first generated by the report button and the second time when the report input signal is extinguished. And an NB-IoT terminal for reporting an accident,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KR1020180008894A 2018-01-24 2018-01-24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58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94A KR102058123B1 (en) 2018-01-24 2018-01-24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94A KR102058123B1 (en) 2018-01-24 2018-01-24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04A KR20190095604A (en) 2019-08-16
KR102058123B1 true KR102058123B1 (en) 2020-01-22
KR102058123B9 KR102058123B9 (en) 2021-11-19

Family

ID=6780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94A KR102058123B1 (en) 2018-01-24 2018-01-24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1071A (en) * 2019-08-25 2019-11-22 沃航(武汉)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al-time analysis of built-in sensor of Smoke Det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485B1 (en) * 2015-03-31 2016-04-11 (주)디더블유아이 Emergency management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emergency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241A (en) * 2007-10-31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the type of vibration for the each button and the terminal thereof
KR101689040B1 (en) * 2011-09-09 2017-0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position tracking, server and position tracking system
KR101577690B1 (en) * 2012-09-24 2015-12-15 김덕우 Emergency Rescue Request Apparatus and Method
KR20150085871A (en) * 2014-01-17 2015-07-27 김응주 SOS Mobile Ap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485B1 (en) * 2015-03-31 2016-04-11 (주)디더블유아이 Emergency management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emergency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123B9 (en) 2021-11-19
KR20190095604A (en)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0449B (en) The mobile network system that can survive
US11770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geographic area
CN103353981A (en) RFID/wireless network-based fire escape cloud command system and method
US20170032647A1 (en) Security system tracking of remote items using reduced power
KR101875377B1 (en) System for notifing emergency situation
CN106225792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grouping navigator, air navigation aid and device
CN108216125A (en) Vehicular intelligent anti-theft tracking alarm system based on NB-IoT
KR100756911B1 (en) GPS Terminal and Method for Rescuing Victim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202095094U (en) Server monitoring mobile terminals
CN104574801A (en) Alarm method, alarm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1637378B1 (en)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using wearable Bluetooth device
KR101202252B1 (en) Self-protection system using ear set connecting cellular phone
CN104914456A (en) Health watch having electronic fence function
KR102058123B1 (en) NB-IoT TERMINAL FOR REPORT AN ACCID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20407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geographic area
KR20130007404A (en) Mobile phone having function of position tracking using voice recognition
CN204517903U (en) A kind of old man's smart mobile phone with electronic protection function
CN204349971U (en) The supervisory control system of Minitype digital marker and fast lookup moving target
KR101074727B1 (en) Proximity location tracking system
WO2017173475A1 (en) Object tracking system
US20140038543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for a mobile device
CN107124510B (en)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terminal
KR100660994B1 (en) Mobile terminal system
JP5239608B2 (en) MOBILE BODY MONITORING DEVICE, MOBILE BODY MONITORING METHOD, MOBILE BODY MONITOR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21009018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within a geographic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