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176B1 -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76B1
KR102054176B1 KR1020180072851A KR20180072851A KR102054176B1 KR 102054176 B1 KR102054176 B1 KR 102054176B1 KR 1020180072851 A KR1020180072851 A KR 1020180072851A KR 20180072851 A KR20180072851 A KR 20180072851A KR 102054176 B1 KR102054176 B1 KR 10205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ound wave
wifi
iot device
ss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모비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비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비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1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setting a wireless LAN, which is performed in an IoT devic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an access point (AP) mode for receiv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and a prob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ting soundwave signals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the IoT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is passed; making Wi-Fi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changing the AP mode into a client mode where a Wi-Fi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Wi-Fi; and making Wi-Fi connection with the target Wi-Fi by using the SSID and the password of the target Wi-Fi.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an IoT device to a target Wi-Fi.

Description

IoT 장치의 무선랜 설정 방법 및 IoT 장치{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Wireless LAN setting method and IoT device of IoT device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IoT 장치의 무선랜 설정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Disclosed are a method for setting a WLAN of an IoT device and a device thereof.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장치 이외의 IoT 장치는 무선랜 연결 시 Wifi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어려우므로 무선랜이 임의의 Wifi와 연결될 수 있다. IoT 장치를 타겟 Wifi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랜 설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IoT devices other than devices having a display unit,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re difficult to enter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Wifi when the wireless LAN is connected, and thus the wireless LAN may be connected to any Wifi.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nfiguring a WLAN for connecting an IoT device to a target Wifi.

IoT 장치가 타겟 Wifi와 연결되도록 무선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Provides a method of setting a WLAN to connect an IoT device with a target Wifi.

IoT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랜 설정 방법은, 외부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비콘(beac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프로브 리스폰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IoT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 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Wifi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와 Wifi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Wifi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IoT 장치의 SSID에 기초한 것이다.The wireless LAN setting method performed in the IoT device may include setting an access point (AP) mode for receiv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be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Probe Request),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SID of the IoT device (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Service Set Identifier, if a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onnecting to the Wifi with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target Wifi from the user terminal. Switching the AP mode to a client mode and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target Wifi; and And connecting the Wi-Fi to the target Wifi using the SSID and the password of the target Wifi, wherein the Wifi connection request is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based on a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it is based on the SSID of the IoT device extrac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utputting of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connected to the IoT device is Wifi, and if the device is not Wifi, setting the AP mode and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IoT 장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 단말과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외부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비콘(beac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프로브 리스폰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IoT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 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Wifi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와 Wifi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Wifi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IoT 장치의 SSID에 기초한 것이다.The IoT device includes a memory in which a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 process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to and from a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program includes an AP that receives a Wifi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Setting an access point mo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and authenticating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the IoT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connecting a Wifi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a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target Wifi from the device, switching the AP mode to the client mode,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target Wifi, and using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target Wifi with the target Wifi; Performing a Wifi connection, an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is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from the sound wave signal It is based on the SSID of the extracted IoT device.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connected to the IoT device is Wifi, and if the device is not Wifi, setting the AP mode and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무선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AP 모드가 설정된 IoT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로부터 프로브 리스폰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타겟 Wifi에 대한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SSID에 기초하여 IoT 장치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로 타겟 Wifi상기 SSID 및 패스워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 신호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수행된 인증이 성공한 경우 출력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SSID 및 패스워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AP 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와 Wifi 연결한다.In the WLAN setting method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signal output from the IoT device is set AP mode,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o the IoT device Receiving a probe response from the IoT device; Activating a microphone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output from the IoT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unit,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when the sound wave signal is determined to be valid, from the sound wave signal Extract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for a target Wifi,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an IoT device based on the SSID, and transmitting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The sound wave signal is output when the authentication performed on the user terminal is successfu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oT device receives the SS mode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Change and connect the Wifi to the target Wifi using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상기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IoT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a device connected to the IoT device is Wifi, and if the device connected to Wifi does not exist, set the AP mode and output the beacon signal.

IoT 장치를 타겟 Wifi와 연결시킬 수 있다.The IoT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arget Wifi.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Wifi 연결되는 IoT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Wifi 정보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를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T device connected to Wifi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llustrates Wifi information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to 4E illustrate each step of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llustrates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at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Wifi 연결되는 IoT 장치(100)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T device 100 connected to Wifi according to an embodiment.

IoT 장치(100)는 부착된 센서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IoT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냉장고, 스탠드, 밥솥, IPTV, 도어락, 멀티탭, 가스 검침기, 커피포트, 식기세척기, 환풍기, 에어컨, 보일러, 청소기 등 다양한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The IoT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nother device in real time through an attached sensor. The IoT device may be one of various devices such as a refrigerator, a stand, a rice cooker, an IPTV, a door lock, a power strip, a gas meter, a coffee pot, a dishwasher, a fan, an air conditioner, a boiler, and a vacuum cleaner, which can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IoT 장치(100)가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 통상적인 IoT 장치(100)의 사용 환경 하에서는 IoT 장치(100) 주변에 둘 이상의 Wifi(즉, Access Point)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IoT 장치(100) 및 그 IoT 장치(100) 주변에 존재하는 3개의 Wifi(Wifi의 SSID가 각각 "A", "B" 및 "C"인 Wifi)를 도시한다.In order to transmit / receive data with another device, the IoT device 100 requires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such as Wifi.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conventional IoT device 100,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wo or more Wifis (ie, Access Points) exist around the IoT device 100. FIG. 1 illustrates an IoT device 100 and three Wifis existing around the IoT device 100 (Wifi having an SSID of “A”, “B”, and “C”, respectively).

이와 같이 IoT 장치(100) 주변에 둘 이상의 Wifi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Wifi 신호의 강도 또는 컨텐츠 비용 등을 이유로 상기 IoT 장치(100)가 둘 이상의 Wifi 중 특정 Wifi 장치(이하, 타겟 Wifi(300)라 함)와 연결하기를 원할 수 있다.As such, when two or more Wifis exist in the vicinity of the IoT device 100,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Wifi device (hereinafter, the target Wifi 300) among the two or more Wifis due to the strength of the Wifi signal or the content cost. You may want to connect to

예를 들어, 사용자는 IoT 장치(100)를 Wifi 신호의 강도가 가장 높은 타겟 Wifi(300)(예를 들면, 도 1의 Wifi "C")와 Wifi 연결하려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try to connect the IoT device 100 to the target Wifi 300 (eg, Wifi “C” in FIG. 1) having the highest Wifi signal strength.

또는, IoT 장치(100)가 특정한 타겟 Wifi(300)와 Wifi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타겟 Wifi(3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 등 필요한 자료를 수신(또는 무료로 수신)할 수 있거나, 상기 필요한 데이터를 무료(또는 저비용)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비용을 고려하여 IoT 장치(100)를 상기 특정한 타겟 Wifi(300)와 Wifi 연결하려고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oT device 100 may receive (or receive free) necessary data such as update data from the target Wifi 300 only when the IoT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specific target Wifi 300, or the necessary data may be free ( Or low cost), the user may try to connect the IoT device 100 to the specific target Wifi 300 in consideration of the cost.

그런데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숫자나 문자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와 Wifi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지 않는 IoT 장치(100)의 경우, IoT 장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타겟 Wifi(300)와 Wifi 연결하도록 설정하기 어렵다. 이 경우, IoT 장치(100)를 우선 스마트폰 등 사용자 입력이 용이한 디바이스와 Wifi 연결시킨 후, 상기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IoT 장치(100)를 어떤 타겟 Wifi(300)와 연결시킬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IoT device 100 which does not include an input unit for user input for numbers or letters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Wifi connection, such as a smartphone, a laptop or a tablet PC, the IoT device 100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set a desired Wifi connection with the target Wifi 300. In this case, the IoT device 100 may first be connected to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at is easily inputted by a user, and then may be controlled to which IoT device 100 to connect to the IoT device 100 through the device. have.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00)의 Wifi 정보를 도시한다.2 illustrates Wifi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Wifi 연결 가능한 IoT 장치(100)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 가능한 IoT 장치는 "wrdevent", "amherst05G", "iptime", "KOCCA-10F-1", "KOCCA-5G 10F-11" 및 "KOCCA-5G 11F-11" 이라는 SSID를 가진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과 Wifi 연결 가능한 IoT 장치가 복수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제어하려는 IoT 장치(100)의 SSID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렵다.Referring to FIG. 1 along with FIG. 1, a plurality of IoT devices 100 capable of Wifi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may exist. Referring to FIG. 2, IoT devices connectable to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 "wrdevent", "amherst05G", "iptime", "KOCCA-10F-1", "KOCCA-5G 10F-11", and "KOCCA-5G". 11F-11 "may be one of the devices having an SSID. As such,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oT device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Wifi,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etermine what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is to be controlled.

이 때, IoT 장치(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이 IoT 장치(100)로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를 전송하면,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프로브 리스폰스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수행 결과,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IoT 장치(100)는 IoT 장치(100) 자신(itself)의 SSID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음파 신호가 유효한 경우,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IoT 장치(100)와 대응되는 SSID를 추출하고, 상기 SSID를 이용하여 IoT 장치(100)와 Wifi 연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user terminal 200 receiving the beacon signal from the IoT device 1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be request to the IoT device 100, the IoT device 100 sends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authenticates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IoT device 100 outputs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itself, and the user terminal 200 is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if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extract the SSID corresponding to the IoT device 100 from the sound wave signal, and use the SSID to connect to the IoT device 100 by Wifi. .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가정마다 적어도 1대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IoT 장치(100)의 Wifi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IoT 장치(100)에 Wifi 연결 설정을 위한 추가적인 입력부 또는 Wifi 연결 정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지 않고도 IoT 장치(100)가 사용자가 원하는 타겟 Wifi와 Wifi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IoT 장치(10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Since at least one smartphone or tablet PC is often held in each home, the Wifi connection to the IoT device 10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Wifi connection of the IoT device 100 using the user terminal 200. The IoT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a target Wifi desired by a user without further providing a display for additional input or a Wifi connection information output.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oT device 100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AP(A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비콘(beacon) 신호를 출력한다(S100).Referring to FIG. 3, the IoT device 100 sets an access point (AP) mode for receiv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a beacon signal (S100).

비콘 신호는 통상적인 Wifi 장치에서 사용되는 표준 Wifi 비콘을 이용할 수 있다.Beacon signals may use standard Wifi beacons used in conventional Wifi devices.

도 4a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다.4A illustrates each step of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과 함께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AP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ogether with FIG. 3, whe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the IoT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may perform an AP search.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수신한다(S110).Referring back to FIG. 3, the IoT device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S110).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프로브 리스폰스(probe response)를 전송한다(S120).3, the IoT device 100 transmits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200 (S120).

프로브 리퀘스트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특정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AP 모드로 동작 중인 IoT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여기서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프로브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 IoT 장치(100)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프로브 리스폰스(probe response)를 전송하여 응답할 수 있다.The probe request means a signal for checking whether a specific AP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IoT device 100 operating in the AP mode receives a probe request from an external device (here, the user terminal 200), the IoT device 100 transmits a probe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You can reply by sending.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130).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3, the IoT device 100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30).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번호,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또는 특정 앱(App)에 대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가 참조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참조 정보는 IoT 장치(100)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특정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서만 IoT 장치(100)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uniqu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200,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r a code for a specific app. The IoT device 1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ased on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IoT device 100 or a separate external serv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IoT device 100 may be granted only to a specific user terminal 200.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음파 신호를 출력한다(S140).3, the IoT device 100 outputs a sound wave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140).

상기 음파 신호는 IoT 장치(100)의 SSID를 포함한다. 상기 SSID는 IoT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Wifi 연결에 이용된다.The sound wave signal includes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The SSID is used for Wifi connection between the IoT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다.4B illustrates each step of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과 함께 도 4b를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IoT 장치(100) 자신의 SSID(예를 들면, 자신의 SSID인 "refreg#1")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파 신호는 가청 또는 비가청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IoT 장치(100)가 음파 신호를 항상 출력하도록 설정할 경우, IoT 장치(100)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할 수 있고, 음파 신호가 가청 대역의 신호인 경우 사용자가 원치 않는 음파 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소음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IoT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프로브 리퀘스트가 수신된 경우에만 음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IoT 장치(100)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고,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ogether with FIG. 3, the IoT device 100 may output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eg, “refreg # 1”, which is its SSID). The sound wave signal may be an audible or inaudible band signal. If the IoT device 100 is set to always output a sound wave signa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oT device 100 may increase, and if the sound wave signal is a signal of the audible band, the noise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continue to generate a sound wave signal Can work. In contrast, the IoT device 100 outputs a sound wave signal only when a prob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IoT device 100 and preventing occurrence of unnecessary noise.

IoT 장치(100)는 IoT 장치(100)의 SSID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oT device 100 generates source data includ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음파통신에 이용되는 최초 주파수 포스트의 위치(즉,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최초 주파수)는 IoT 장치(100)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first frequency post (ie, the first frequency of the frequency bands used) used for sound wave communica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IoT device 100.

또한, 음파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IoT 장치(100)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quency band used for sound wave communica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IoT device 100.

또한, 음파통신에 이용되는 음파 프로토콜(protocol) 역시 IoT 장치(100)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sound wave protocol used for sound wave communica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IoT device 100.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파 신호를 디코딩하여 가공 전의 비트값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디코딩을 위해 IoT 장치(100)가 보유한 셔플 어레이와 대응되는 셔플 어레이 및 상기 비트의 수만큼의 주파수 포스트와 대응되는 포스트 어레이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obtain a bit value before processing by decoding the sound wave signal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may hold a shuffle array corresponding to the shuffle array held by the IoT device 100 and post arr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pos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its for decoding.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S150).Referring back to FIG. 3, the IoT device 100 receives a Wifi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0 (S150).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파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Wifi 연결 요청을 IoT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IoT 장치(100)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음파 신호가 수신되어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특정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IoT 장치(100)를 타게팅(targeting)하여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ing the sound wave signal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is IoT. May transmit to the device 100.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IoT device 10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ound wave signal is valid.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sound wave signals are received and noise occurs, the IoT device 100 that outputs a specific sound wave signal may be targeted and controlled.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200)과 Wifi를 연결한다(S160).3, the IoT device 100 connects the Wifi to the user terminal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S160).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IoT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Wifi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4C illustrates each step of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C, it can be seen that the Io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via Wifi.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Wifi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겟 Wifi(300)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한다(S170).Referring back to FIG. 3, the IoT device 100 receives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target Wifi 300 from the Wifi connected user terminal 200 (S170).

타겟 Wifi(300)는 사용자가 IoT 장치(100)와 Wifi 연결시키고자 하는 Wifi를 의미한다.The target Wifi 300 refers to Wifi that the user wants to connect to the IoT device 100 via Wifi.

도 3과 함께 도 4c를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겟 Wifi(300)의 SSID "C" 및 패스워드 정보 "doubleY0809"를 Wifi연결된 IoT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together with FIG. 3, the IoT device 100 may transmit the SSID “C”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doubleY0809” of the target Wifi 3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Wifi-connected IoT device 100.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상기 AP 모드를 타겟 Wifi(300)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한다(S180).Referring back to FIG. 3, the IoT device 100 switches the AP mode to a client mode that transmits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target Wifi 300 (S180).

도 4d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다.4D illustrates each step of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c, 도 4d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200)과의 Wifi 연결을 해제하고 AP 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하고, 타겟 Wifi(300)(여기서는 "C"라는 SSID를 가진 Wifi C)로 Wifi 연결 요청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4C and 4D together with FIG. 3, after receiving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IoT device 100 releases the Wifi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sets the client to the AP mode. Switch to the mode, and transmit the Wifi connection request and password information to the target Wifi 300 (WiFi C having an SSID here "C").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타겟 Wifi(30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타겟 Wifi(300)와 Wifi 연결한다(S170).Referring back to FIG. 3, the IoT device 100 connects Wifi to the target Wifi 300 using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target Wifi 300 (S170).

도 4e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다.4E illustrates each step of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e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된 IoT 장치(100)는 타겟 Wifi(300)인 Wifi C와 Wifi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E together with FIG. 3, the IoT device 100 switched to the client mode may be connected to Wifi C, which is the target Wifi 300.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LA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AP 모드가 설정된 IoT 장치(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S200).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the IoT device 100 in which the AP mode is set (S200).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AP 검색을 수행한다.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an AP search.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를 전송한다(S210).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IoT device 100 (S210).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 프로브 리스폰스를 전송한다(S220).5,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 probe response to the IoT device 100 (S220).

AP 모드로 동작 중인 IoT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여기서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프로브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 IoT 장치(100)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프로브 리스폰스를 전송하여 응답할 수 있다.When the IoT device 100 operating in the AP mode receives a probe request from an external device (here, the user terminal 200), the IoT device 100 may transmit a probe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and respond.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브 리스폰스가 수신된 후 구비된 마이크부를 활성화한다.5, the user terminal 200 activates the microphone unit provided after the probe response is received.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IoT 장치(100)로부터 IoT 장치(100)의 SSID가 포함된 음파 신호를 수신한다(S240).5,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from the IoT device 100 through the microphone unit (S240).

상기 음파 신호는 IoT 장치(100)의 SSID를 포함한다. 상기 SSID는 IoT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Wifi 연결에 이용된다.The sound wave signal includes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The SSID is used for Wifi connection between the IoT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일례에 있어서, IoT 장치(100)는 IoT 장치(100) 자신의 SSID(예를 들면, 자신의 SSID인 "stand#2")를 포함하는 가청 또는 비가청 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oT 장치(100)가 프로브 리퀘스트를 수신한 후 음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음파 신호를 항상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IoT 장치(100)의 전력 소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IoT device 100 may output an audible or inaudible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100 (eg, "stand # 2", which is its SSID). As such, the IoT device 100 may output the sound wave signal after receiving the probe request,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oT device 100 as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IoT device 100 is always configured to output the sound wave signal.

또한, IoT 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데, 상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번호,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또는 특정 앱(App)에 대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가 참조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참조 정보는 IoT 장치(100)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특정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서만 IoT 장치(100)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device 100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unique number, a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or a specific app of the user terminal 200. App) code, and the like. The IoT device 1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ased on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IoT device 100 or a separate external serv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IoT device 100 may be granted only to a specific user terminal 200.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250).5,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S250).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Wifi 연결 요청을 IoT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IoT 장치(100)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음파 신호가 수신되어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특정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IoT 장치(100)를 정확히 타게팅(targeting)하여 제어할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determines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IoT device 100.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IoT device 10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ound wave signal is valid.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sound wave signals are received and noise occurs, the IoT device 100 that outputs a specific sound wave signal can be accurately targeted and controlled.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IoT 장치의 SSID를 추출한다(S260).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the user terminal 200 extracts the SSID of the IoT device from the sound wave signal (S260).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 상기 SSID에 기초하여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270).5,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IoT device 100 based on the SSID (S27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인증 요청 및 연결 요청을 포함하는 Wifi 연결 요청을 IoT 장치(1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IoT 장치(100)는 상기 Wifi 연결 요청이 수신된 사용자 단말(200)과 Wifi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user terminal 200 may further transmit a Wifi connection request including an authentication request and a connection request to the IoT device 100. The IoT device 100 may be Wifi-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where the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100)로 타겟 Wifi(300)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전송한다(S280).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target Wifi 300 to the IoT device 100 (S280).

사용자 단말(200)은 Wifi 연결된 IoT 장치(100)로 타겟 Wifi(300)의 SSID "A" 및 패스워드 정보 "kj850323"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겟 Wifi에 대한 SSID 및 패스워드가 수신된 경우,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Wifi 연결을 해제하고, AP 모드를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Wifi 요청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모드로 설정된 IoT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SSID "A" 및 패스워드 정보 "kj850323"를 SSID가 "A"인 타겟 Wifi(300)로 전송하여 Wifi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SSID “A”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kj850323” of the target Wifi 300 to the Wifi-connected IoT device 100. When the SSID and the password for the target Wifi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IoT device 100 releases the Wifi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a Wifi request to an external device in the AP mode. You can switch to the mode. The IoT device 100 set to the client mode may request the Wifi connection by transmitting the SSID “A”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kj850323”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target Wifi 300 having the SSID “A”.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00)를 도시한다.6 illustrates an Io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 단말(200)과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외부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비콘(beac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200)로 프로브 리스폰스를 전송하는 단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IoT 장치(1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Wifi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겟 Wifi(300)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 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Wifi(300)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Wifi(30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300)와 Wifi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Wifi 연결 요청은,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IoT 장치의 SSID에 기초한 것인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IoT device 100 includes a memory in which a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 process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rol program is set to an access point (AP) mode for receiv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Receiving a Probe Request;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f authentication succeeds, the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f the IoT device 100 is determined.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that includes a signal; when a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200 by Wifi; an SSID of a target Wifi 3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receiving the password information, switching the AP mode to the client mode,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target Wifi 300, and using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target Wifi 300. 300) an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as a result of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valid, it is based on the SSID of the IoT device extrac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IoT 장치(100)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connected to the IoT apparatus 100 is Wifi, and when there is no device connected to Wifi, setting an AP mode and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embodiments,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abov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t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 order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signal wave to be transmitted.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y may be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71]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manner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replac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IoT 장치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130: 통신 인터페이스
200: 사용자 단말
300: 타겟 Wifi
100: IoT device
110: memory
120: processor
130: communication interface
200: user terminal
300: target Wifi

Claims (7)

IoT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랜 설정 방법에 있어서,
AP(Ac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비콘(beac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프로브 리스폰스(Probe Response)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IoT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 모드에서 클라이언트(Client)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Wifi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와 Wifi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리퀘스트는 상기 음파 신호에 기반한 음파 통신의 활성화 시점과 관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스캐닝된 SSID들 중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SSID에 대응되는 상기 IoT 장치에 상기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무선랜 설정 방법.
In the WLAN setting method performed in the IoT device,
Setting to an AP mo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the IoT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f a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with Wifi;
Receiv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a target Wifi from the user terminal;
Switching to the client mode from the AP mode and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target Wifi; And
Connecting Wifi to the target Wifi using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target Wifi
Including,
The probe request is related to an activation time point of sound wa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sound wave signal,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to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SID extrac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among the scanned SSIDs. To sen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How to set up WL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Wifi-connected device and the Wi-Fi-connected device, setting the AP mode and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when there is no Wifi-connected device
Including,
How to set up WLAN.
IoT 장치에 있어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 단말과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AP(Ac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비콘(beac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프로브 리스폰스(Probe Response)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IoT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Wifi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 모드에서 클라이언트(Client)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Wifi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와 Wifi 연결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브 리퀘스트는 상기 음파 신호에 기반한 음파 통신의 활성화 시점과 관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스캐닝된 SSID들 중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SSID에 대응되는 상기 IoT 장치에 상기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IoT 장치.
In the IoT device,
A memory in which a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 process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with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control program,
Setting to an AP mo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f the IoT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f a Wifi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with Wifi;
Receiv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a target Wifi from the user terminal;
Switching to the client mode from the AP mode and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target Wifi; And
Connecting Wifi to the target Wifi using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target Wifi
Then,
The probe request is related to an activation time point of sound wa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sound wave signal,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to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SID extrac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among the scanned SSIDs. To send the Wifi connection request,
IoT devi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Wifi-connected device and the Wi-Fi-connected device, setting the AP mode and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when there is no Wifi-connected device
Including,
IoT devices.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무선랜 설정 방법에 있어서,
AP 모드가 설정된 IoT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프로브 리퀘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로부터 프로브 리스폰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IoT 장치의 SSID가 포함된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의 음파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캐닝된 SSID들 중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SSID에 대응되는 상기 IoT 장치로 Wifi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로 타겟 Wifi의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리퀘스트는 상기 음파 신호에 기반한 음파 통신의 활성화 시점과 관련되고,
상기 음파 신호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수행된 인증이 성공한 경우 출력되며,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SSID 및 패스워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AP 모드를 클라이언트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SS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Wifi와 Wifi 연결되는,
무선랜 설정 방법.
In the WLAN setting method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beacon signal output from an IoT device having an AP mode set;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ob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o the IoT device;
Receiving a probe response from the IoT device;
Activating a microphone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n SSID of the IoT device output from the IoT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unit;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sound wave signal based on the sound wave band of the sound wave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valid, transmitting a Wifi connection request to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SID extrac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among the scanned SSIDs; And
Transmitting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a target Wifi to the IoT device;
Including,
The probe request is related to an activation time point of sound wa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sound wave signal,
The sound wave signal is output when the authentication performed o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uccessful,
When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IoT device changes the client mode to the AP mode and is connected to the target Wifi using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How to set up WLA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와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Wifi 연결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AP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랜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IoT device determines whether a device connected to the IoT device is Wifi, and if the device connected to Wifi does not exist, sets the AP mode and outputs the beacon signal.
Wireless LAN Setting Method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80072851A 2018-06-25 2018-06-25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KR102054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51A KR102054176B1 (en) 2018-06-25 2018-06-25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51A KR102054176B1 (en) 2018-06-25 2018-06-25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176B1 true KR102054176B1 (en) 2019-12-10

Family

ID=6900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851A KR102054176B1 (en) 2018-06-25 2018-06-25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17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69A (en)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in a home network system
KR20160029549A (en) * 2014-09-05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ome appliacne, and method for operaing the same
KR101617579B1 (en) * 2015-01-26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2408B1 (en) * 2016-03-31 2017-09-12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s using wirelee la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69A (en)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in a home network system
KR20160029549A (en) * 2014-09-05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ome appliacne, and method for operaing the same
KR101617579B1 (en) * 2015-01-26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2408B1 (en) * 2016-03-31 2017-09-12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s using wirelee l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40B1 (en) Porting wifi settings
US20200236116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secure management of data center assets from a mobile device
US20110110521A1 (en) Electronic device and network accessing method thereof
US20160242033A1 (en)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5179090A1 (en) Securing a wireless mesh network via a chain of trust
CN107148018B (en)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201965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 by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180091565A1 (en) Challenge-response proximity verification of user devices based on token-to-symbol mapping definitions
CN111726242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438247A (en) Wireless relay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KR20200053949A (en) Method for home networking using AI voice recognition speakers and network devices installed in the household,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054176B1 (en)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OF Io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US201603301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firmware program
US2023035380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items using multiple devices
US108489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client device and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JP2006100957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ess point device, program
US9553941B2 (en) Enabling proximity operations with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s
KR20210015088A (en)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and access point
WO2019096155A1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storage function
KR102131366B1 (e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339507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ffer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7245999B2 (en) Control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contro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US11144627B2 (en) Peer assisted enhanced authentication
KR102393499B1 (en) Wireless network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ng mehtod of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JP6729688B2 (en) Wireless relay device, wireless contro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