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116B1 -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 Google Patents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16B1
KR102054116B1 KR1020190102442A KR20190102442A KR102054116B1 KR 102054116 B1 KR102054116 B1 KR 102054116B1 KR 1020190102442 A KR1020190102442 A KR 1020190102442A KR 20190102442 A KR20190102442 A KR 20190102442A KR 102054116 B1 KR102054116 B1 KR 10205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editing
modu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원 filed Critical 정재원
Priority to KR102019010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1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comprises: an image management interface having a camer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n a stage and an image output module storing and outputting images captured by each of the cameras; and a user terminal having a camera selection module allowing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camera in the camera group and an image playing module receivi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selected in the camera selection module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and playing the images through a screen.

Description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서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무대를 촬영한 무대 영상을 유저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에 따라 무대를 관람할 수 있으며, 공연을 더욱 입체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to the user terminal by providing a stage image of the stage taken from a variety of angles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to the user's terminal, can show the performance more three-dimensional and effecti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일반적으로, 콘서트, 뮤지컬 등의 무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카메라가 동원하게 되며, 이러한 카메라들은 상하좌우로 움직이고 공연자를 근접하게 촬영하는 등 수시로 움직이며 다양한 모션으로 무대위의 공연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무대 위의 공연을 더욱 생동감있고 흥미롭게 촬영하기 위해서는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한 카메라 무빙, 지미집 등의 특수 카메라 설치, 특수 렌즈 착용 등의 기법이 필요하다.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cameras are mobilized to photograph a stage such as a concert or a musical, and these cameras move from time to time, such as moving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a performer in close proximity, and photographing a performance on a stage with various motions. At this time, in order to capture the performance on the stage more lively and interesting, techniques such as moving cameras by manned or unmanned, installation of special cameras such as Jimmy's house, and wearing special lenses are required.

이때, 무대의 영상을 제작하는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617238호(발명의 명칭 :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가 등록되어 있다.At this time, Korean Patent No. 10-1617238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producing an image for an opera or a musical performance) is registered as a prior art for producing an image of a stage.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을 획득하는 인물 영상 획득단계; 상기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획득하는 배경 영상 획득단계; 상기 3D 인물 영상을 상기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의 스크린에 투사 시 상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상기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하도록 상기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상기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상기 공연장에서 상기 3D 인물 영상을 투사 시의 영사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인물 영상 조절단계; 상기 스크린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배경 영상 조절단계; 및 상기 인물 영상 조절과정에서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상기 배경 영상 조절과정에서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물을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a person image acquiring step of acquiring a 3D person image obtained by using a 3D stereoscopic camera to perform a performance of an actor appearing in the opera or musical; A background image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background image produced corresponding to the opera or music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3D stereoscopic camera when capturing the 3D person image when the 3D person image is projected on a screen of a performance hall where the image is actually displayed so that the size of the pers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the same as the actual size of the actor; A person image adjusting step of compar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projector when projecting the 3D person image in the performance hall, and scaling the 3D person image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A background image adjusting step of scaling the background image based on the screen size; And generating a video object by synthesizing the scaled 3D person image in the person image adjusting process and the background image scaled in the background image adjusting process. Suggesting.

상기 선행기술은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무대를 입체적으로 촬영하였지만 카메라가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만을 제공받아 유저가 원하는 각도 및 위치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관람할 수 없으며, 이러한 영상을 유저의 단말로 제공한다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유저의 개인적인 관심과 취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따른다.Although the prior art has taken a stage three-dimensionally using a 3D stereoscopic camera, only the image provided by the camera is provided and the user cannot select the desired angle and position to intensively view the image, and provide such an image to the user's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does not exist so that the user's personal interests and tastes are not consider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무대를 촬영한 무대 영상을 유저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에 따라 무대를 관람할 수 있으며, 공연을 더욱 입체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by providing a stage image photographed on a stage from a variety of angles to the user's terminal, you can watch the stag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show the performance more three-dimensional and effectiv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무대를 촬영한 무대 영상을 유저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에 따라 무대를 관람할 수 있으며, 공연을 더욱 생동감있고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by providing a stage image photographing the stage from a variety of angles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to the terminal of the user can watch the stag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and the performance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ore lively and stereoscopic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cture in picture (PIP) function to divide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simultaneously provide images captured from various angl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대의 공연자가 복수 명일 때 각각의 공연자를 집중 촬영하는 카메라를 배정하여 촬영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을 반영한 선택에 따라 더욱 영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ign a camera for intensively photographing each perform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rformers on the stage so that the user can concentrate more on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ion reflecting the user's taste.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영상에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편집함으로써 유저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lp induce interests and interests of users by adding and editing various visual effects on an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은, 무대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카메라 그룹과,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하는 영상 출력모듈을 구비한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 유저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하는 카메라 선택모듈과, 상기 카메라 선택 모듈에서 선택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영상 재생모듈을 구비한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stage, and an image output module for storing and outputting the image taken by each of the cameras; An image management interface; A camera selection module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camera of the camera group,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camera selection module is received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and reproduced through a display having a screen And a user terminal having an image reproducing modul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카메라 선택모듈은, 유저로 하여금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선택받는 멀티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재생모듈은, 상기 멀티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의 상기 영역을 통해 각각 재생하는 PIP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ay include a picture in picture (PIP) function to divide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the camera selection module may include a multi-selec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t least two cameras. The playback module may include a PIP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multi selector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and to play the images through the area of the screen.

더하여, 상기 카메라 선택모듈은,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화면의 복수 개의 상기 영역에서 동시 재생시키는 동시 재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재생모듈은, 상기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저로 인해 선택되었을 시, 상기 영역을 확대하여 상기 화면에 재생시키는 영역 확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selection module includes a simultaneous reproducing unit for simultaneously reproducing images captured by each of the cameras in a plurality of the regions of the screen, wherein the image reproducing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regions due to a user. When sel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ea enlargement unit to enlarge the area to play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다양한 각도에서 무대를 촬영한 무대 영상을 유저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에 따라 무대를 관람할 수 있으며, 공연을 더욱 생동감있고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1) You can watch the stag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y providing the stage image of the stage photographed from various angles to the user's terminal, can show the performance more lively and three-dimensional,

2)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2) PIP (picture in picture) function can provide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simultaneously.

3) 각각의 공연자를 집중 촬영하는 카메라를 배정하여 촬영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을 반영한 선택에 따라 더욱 영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By assigning and shooting a camera that focuses on each performer, it is possible not only to focus more on the video depending on the user's preference.

4) 영상에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편집함으로써 유저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4) By adding and editing various visual effects on the video, it is possible to give effects that can help induce interest and interest of users.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PIP 기능을 보여주는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연자 선택 및 집중 출력을 보여주는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showing a PIP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showing the performer selection and the concentrated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1)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무대 영상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영상의 촬영 및 저장과 출력을 담당하는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 촬영한 영상을 재생하는 유저 단말(20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The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ge image photographed from various angles to a user, an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responsible for capturing, storing, and outputting an image, and a user reproducing the captured image. It is based on including the terminal 200.

여기서,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란 메인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촬영한 영상 및 이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refers to a main server, and may include a CPU and a storage means in a state where a commun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and its information are provided.

또한, 유저 단말(200)이라 함은 유저가 소지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로서, 본 발명의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제공받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면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is a PC possessed by the user. As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n environment in which an application is installed or an access to a web page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receive an image from the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

즉, 기존의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발전하여 무대 영상을 다각도에서 촬영한 후 이를 유저 단말(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existing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to perform the function of photographing the stage image from various angles and then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200.

본 발명에서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유저 단말(200)과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ased on hardware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storage means such as memory and hard disk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software, that is, the software is installed and can execute this software. A series of specific configurations for such software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unit of the module and the unit.

이때,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read-only memory (ROM) for temporarily and / or permanently storing signals (or data) processed therein. Not shown), and a processor.

또한,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 processor, a RAM, and a ROM.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connection passages (eg, b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graphics processors (not shown) and / or other components.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execution and control of a module to a part to be described later.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well known in the art.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nd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and likewise, embodiments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in combinations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such as C, C ++. It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such as Java, an assembler, or the like. Th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with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10)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or 'part' or 'interface' refers to a configuration of software such as FPGA or ASIC or software that is executed through CPU and memory while being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main server 10. do.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unit', or 'interface'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As an example, a 'module' or 'part' or 'interface'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and the like. Field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se 'modules' or 'parts' or 'interfac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or by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더불어,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interface 100 refers to all kinds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be understood as a meaning encompassing a software configuration operating in the hardw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server may be understood a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martphones, tablet PCs, desktops, notebooks, and user clients and applications running on each device.

구체적으로,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무대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카메라 그룹과 영상 출력모듈(1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유저 단말(200)은 카메라 선택모듈(210)과 영상 재생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may include a camera group and an image output module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on a stage,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amera selection module 210 and an image. It may include a play module 220.

이때, 카메라 그룹은 무대를 중심으로 앞 뒤 옆 상방 하방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퍼포먼스를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한 위치에 고정되어 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지만, 정해진 범위 또는 전방을 이동하며 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더하여, 촬영은 카메라를 사람이 작동하여 수동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지만, 미리 카메라의 시스템을 설정해놓아 사람의 도움 없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그룹은 수 개 또는 수십 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카메라마다 번호가 부여되어 "1번 카메라", "3번 카메라" 등으로 불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mera group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up, down, up, down, up and down around the stage, and can record performances occurring on the stage. You can also proceed. In addition, the shooting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a person operating the camera, but the camera may be automatically set without the help of a person by setting the system of the camera in advance. In addition, the camera group may be composed of several or dozens of groups, and each camera is assigned a numb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amera", a "three camera", or the like.

영상 출력모듈(110)은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각각의 촬영된 영상은 한 무대를 360ㅀ방향 또는 상방 및 하방에서 촬영한 것일 수 있으며, 적게는 4개부터 많게는 수십 개의 카메라가 무대의 다각도 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영상은 TV, 인터넷, 공연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출력될 수 있다.The image output module 110 stores and outputs an image photographed by each camera. At this time, each photographed image may be one of the stage taken in the 360 ㅀ direction or up and down, less than four to dozens of cameras can be used for multi-angle shooting of the stage. Also, the captured image may be output through various paths through a TV, the Internet, a display installed in a performance hall, and the like.

카메라 선택모듈(210)은 유저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복수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다각도의 무대 영상이 유저 단말(200)에 제공되며, 유저는 이들 중 원하는 각도에서 촬영하는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조로 이루어진 아이돌 그룹이 무대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고 할 때, 유저가 좋아하는 멤버가 무대의 우측에서 공연을 하고 있을 경우, 유저는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를 집중하여 볼 수 있도록 무대의 우측에 존재하는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The camera selection module 210 provides a function for the user to select at least one camera of the camera group. That is, a multi-angle stage image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a user may select a camera photographing at a desired angle among them. For example, if a idol group consisting of a multi-member is performing on stage, if the user's favorite member is performing on the right side of the stage, the user can focus on the favorite member's stage. You can select the camera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영상 재생모듈(220)은 카메라 선택 모듈(210)에서 선택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유저가 선택한 카메라의 수에 대응하여 무대 영상이 유저 단말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이 분할되어 여러 개의 무대 영상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The image reproducing module 220 receiv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camera selection module 210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110 and reproduces the image on the display having the screen. In this case, the stage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cameras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screen may be divided and multiple stage images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도 3은 본 발명의 PIP 기능을 보여주는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showing a PIP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디스플레이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카메라 선택모듈(210)은 멀티 선택부(2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영상 재생모듈(220)은 PIP 출력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may include a picture in picture (PIP) function to divide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the camera selection module 210 may include a multi-selection unit 211. PIP output unit 221 may be provided.

이때, PIP 기능이란 메인이 되는 주 영상과 부 영상의 구분 없이 유저가 선택한 카메라의 수에 대응하여 화면이 분할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카메라를 두 개 선택하였다면, 상측 영상과 하측 영상으로 화면을 두 개로 분할하여 두 개의 영상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IP function divides and output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selected by the user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in and sub imag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selects two cameras, two images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by dividing the screen into two images, an upper image and a lower image.

멀티 선택부(211)는 유저로 하여금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선택받는 역할을 수행하며, PIP 출력부(221)는 상기 멀티 선택부(211)에서 선택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의 상기 영역을 통해 각각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저는 무대를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1번 카메라"와 정면에서 45ㅀ각도에서 무대를 볼 수 있는 "3번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으며, PIP 기능을 통해 유저 단말은 좌측 화면과 우측 화면으로 나뉘어져 두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The multi-selection unit 211 serves to allow a user to select at least two cameras, and the PIP output unit 221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multi-selection unit 211 in the image output module ( 110 and provide a function of playing through each of the areas of the screen.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Camera No. 1" which can see the stage as a whole from the front and "Camera No. 3" which can see the stage at a 45 degree angle from the front. It is divided into two screens and the right screen can simultaneously output images taken by both cameras.

이에 더하여, 카메라 선택모듈(210)은 동시 재생부(212)를 구비하여, 이에 따라 영상 재생모듈(220)은 영역 확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selection module 210 may include a simultaneous reproducing unit 212, and thus the image reproducing module 220 may include an area enlargement unit 222.

동시 재생부(212)는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화면의 복수 개의 상기 영역에서 동시 재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PIP 기능을 통해 분할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카메라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직접 눈으로 무대를 보거나 일반적인 화면을 통해 무대를 볼 때와는 달리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무대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The simultaneous reproducing unit 212 plays a role of simultaneously reproduci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in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screen. That is, the image of the camera selected by the user can be simultaneously reproduced on the screen divid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IP function. This allows you to watch a stage shot from a different angle at the same time as if you were watching the stage with your own eyes or watching the stage through a normal screen.

영역 확대부(222)는 상기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저로 인해 선택되었을 시, 상기 영역을 확대하여 상기 화면에 재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각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들이 작은 화면으로 유저의 단말에 표시될 수 있으며, 유저가 이러한 작은 화면 중 보고 싶은 영상을 선택하면 영상이 확대되어 유저의 영상에 출력될 수 있다. When at least one of the area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area enlarger 222 enlarges the area and plays the screen on the screen. The images captured by each camera may be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in a small screen, and when the user selects an image to be viewed from the small screen, the image may be enlarged and output to the user's image.

도 4는 본 발명의 공연자 선택 및 집중 출력을 보여주는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showing the performer selection and the concentrated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 그룹은 무대의 공연자가 복수 명일 때 각각의 공연자를 집중 촬영하는 카메라를 배정하고, 카메라 선택모듈(210)은 공연자 선택부(2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영상 재생모듈(220)은 집중 출력부(223)를 구비함으로써, 유저의 취향을 반영한 선택에 따라 더욱 영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group may allocate a camera for intensively photographing each perform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rformers on the stage, and the camera selection module 210 may include a performer selector 213 and an image playback module ( The 220 may include a concentrated output unit 223 to concentrate more on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ion reflecting the user's taste.

공연자 선택부(213)는 특정 공연자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를 유저로 하여금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집중 출력부(223)는 공연자 선택부에서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5인조로 이루어진 아이돌 그룹이 무대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고 할 때, 한 멤버 당 두 대의 카메라가 배정되어 각 멤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전체 멤버를 촬영하는 카메라도 존재하여 전체 공연 영상 또한 촬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저가 아이돌 그룹의 멤버 A 군을 가장 좋아한다고 할 때, 유저는 공연자 선택부(213)를 통해 A 군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으며, 집중 출력부(223)를 통해 A 군을 촬영한 영상이 유저의 단말로 전송되어 유저는 A 군의 공연을 더욱 집중하여 관람할 수 있다.The performer selector 213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user's selection of the camera photographing a specific performer, and the centralized output unit 223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performer selector. It plays a role of receiving from the screen and playing through the screen. For example, when a five-member idol group is performing on stage, two cameras are assigned to each member to shoot each member. The performance video may also be photographed and provid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says that the member A group of the idol group is the most favorite, the user can select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group A through the performer selector 213, and photographs the group A through the concentrated output unit 223. An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performance of group A.

이때, 공연자는 한명만을 선택할 수 있지만 복수 명의 공연자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모든 공연자를 보여주는 전체 카메라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only one performer may be selected, but a plurality of performers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or may be provided with an entire camera showing all performers.

이때,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영상 편집모듈(12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출력모듈(120)은 시각적 효과가 부여된 상기 영상을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유저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management interfa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editing module 120. Accordingly, the image output module 120 provi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image to which the visual effect is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By giving a variety of effects to the user can help to attract attention and interest.

영상 편집모듈(120)은 영상에 영상 편집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시각적 효과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이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화면의 확대/축소/회전 및 화면의 명도/대비/채도/색상 조절, 구간 반복,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하나의 영상에 하나의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효과를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댄스 그룹의 공연일 경우 동적인 퍼포먼스 위주의 공연이므로 화면 축소 효과를 주어 댄스 퍼포먼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관람할 수 있으며, 댄스 하이라이트 부분에서는 구간 반복 효과를 주어 퍼포먼스를 강조할 수 있다.The image editing module 120 applies a video editing technique to an image to provide a visual effect. In this case, the visual effect is to process the digital signal by digitizing it, and may be a zoom / rotation / rotation of the screen and brightness / contrast / saturation / color adjustment of the screen, section repetition, fade in / fade out, and the like. Although one may apply one effect to one image, several effects may be appli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if the performance of a dance group is a performance based on dynamic performance, the screen reduction effect can be used to view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dance performance. In the dance highlighting section, the performance can be emphasized by the interval repeating effect.

더하여, 영상 편집 모듈(120)은 영상 분석 데이터베이스(121), 편집 기법 순서 설정부(122), 편집 수행부(123)를 포함하여 무대 영상에 3차원 기법을 적용하여 공연을 더욱 생동감 있고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editing module 120 includes a video analysis database 121, an editing technique order setting unit 122, and an editing execution unit 123 to apply a three-dimensional technique to the stage image to make the performance more lively and three-dimensional. I can express it.

영상 분석 데이터베이스(121)는 기존 영상의 편집 기법의 종류 및 순서를 분석한 후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와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존 영상에 적용된 편집 기법이 주밍(Zooming)-틸팅(Tilting)-디졸브(Dissolve)-페이드(Fade)라고 할 때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는 {주밍, 틸팅, 디졸브, 페이드}이며,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는 {주밍-틸팅-디졸브-페이드}가 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database 121 generates and stores the editing technique type data and the editing technique sequence data after analyzing the type and the sequence of the editing technique of the existing image. For example, the editing technique applied to the existing image is zoomed. When called Tilting-Dissolve-Fade, the editing technique type data is {zoom, tilting, dissolve, fade}, and the editing technique sequence data is {zooming-tilting-dissolve-fade}. Can be.

편집 기법 순서 설정부(122)는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상기 영상의 편집 기법 순서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기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영상에 적용된 편집 기법의 순서는 그만큼 다양할 것이므로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 역시 복수 개로 존재할 것이다. 이렇게 복수 개의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영상의 편집 기법 순서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editing technique order setting unit 122 provides a function of selecting any one of the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and setting the editing technique order of the video. In this case, since the order of the editing techniques applied to a plurality of existing images will vary as much, there will also be a plurality of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Thus, a function of arbitraril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and setting the editing technique order of an image is provided.

편집 수행부(123)는 설정된 상기 편집 기법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에 편집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지니는 영상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예시를 이어서 설명하자면, 편집 기법 순서인 {주밍-틸팅-디졸브-페이드}를 따라서 영상에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editing execution unit 123 serves to generate an image having a visual effect by applying an editing technique to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t editing technique order. In the following example, the image may be generated by applying an effect to the image according to the editing technique sequence {zum-tilting-dissolve-fade}.

나아가, 영상 편집 모듈(120)은 카메라 정보 입력부(124), 기법 순서 정의 데이터베이스(125), 강조 키워드 추출부(126), 순서 재설정부(12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집 수행부(123)는 재설정된 상기 편집 기법 순서를 기반으로 영상을 재편집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mage editing module 120 may include a camera information input unit 124, a technique order definition database 125, an emphasis keyword extraction unit 126, and an order resetting unit 127. 123 may re-edit the image based on the reset editing technique sequence.

카메라 정보 입력부(124)는 카메라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영상각의 특성을 강조하는 단어를 포함한 영상 설명 문장을 촬영자에게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대의 중앙을 기준으로 10M 떨어진 거리에서 공연자의 뒷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180ㅀ 각도", "10M" 등의 카메라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The camera information input unit 124 describes an image of the angle of the camera and serves to receive an image description sentence including a word for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gle of the camera. For example, a camera photographing the back of the performer at a distance of 10M from the center of the stage may include camera information such as "180 ° angle" and "10M".

기법 순서 정의 데이터베이스(125)는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의 강조 효과를 정의하여 생성된 기법 순서 정의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서, 이때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의 강조 효과라 함은 편집 기법 순서로 인해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시각적 효과 및 심리적 효과를 의미한다.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database 125 stores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defining the highlighting effect of the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The highlighting effect of the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is a person who views an image due to the editing technique order. It means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effects given to them.

예를 들어, '슬로우 모션'과 '오버랩'의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가 있을 때 이러한 편집 기법 순서의 효과는 무대 위의 공연을 실제보다 느린 속도로 보여주는 '슬로우 모션'과 하나의 화면이 끝나기 전에 다음 화면이 겹치게 함으로써 먼저 화면이 차차 사라지게 하는'오버랩'을 적용할 수 있으며, '슬로우 모션'기법을 통해 '감성적', '오버랩'기법을 통해 '자연스러움'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editing technique sequence data of 'slow motion' and 'overlap', the effect of this editing technique sequence is 'slow motion' which shows the performance on stage at a slower rate than before, and before the end of one screen, By overlapping the screen, you can apply the 'overlap' to make the screen disappear gradually first, and create 'natural' information through the 'emotional' and 'overlap' technique through the 'slow motion' technique.

강조 키워드 추출부(126)는 상기 영상 설명 문장 내 형용사의 등장 빈도수를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등장 빈도수를 가지는 형용사를 강조 키워드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순서 재설정부(127)에서 강조 키워드를 기반으로 편집 기법 순서를 재설정하여 영상을 재편집하기 위해 수행되는 구성이다.The emphasis keyword extracting unit 126 may identify a frequency of adjectives in the image description sentence and extract an adjective having an appearance frequency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value as an emphasis keywor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127, the configuration is performed to re-edit the image by reordering the editing technique based on the highlighted keyword.

예를 들어 '부드러운 가창력이 돋보이는 감성적인 어쿠스틱 발라드, 댄스 그룹의 막내에서 자연스럽게 감성적인 발라더로 이미지 변신 성공, 고음도 자연스럽게 소화하는 부드러운 카리스마의 소유자 A의 무대'라는 영상 설명 문장이 있을 때, 영상 설명 문장 내에 등장하는 형용사는 '감성적', '자연스럽게(러움)'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을 2라고 할 때, '감성적', '자연스럽게'은 영상 설명 문장 내에서 총 2회 씩 등장하였으므로 기준값을 초과하여 강조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video description sentence, 'Emotional acoustic ballad with soft singing power, success in transforming image into naturally emotional ballad in the youngest of dance group, stage of owner A of soft charisma that naturally digests high sound,' The adjectives appearing in the descriptive sentences are 'emotional' and 'naturally'. Here, when the reference value preset by the system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 'emotional' and 'naturally' appear twice each time in the video description sentence, and thus may be extracted as an emphasis keyword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순서 재설정부(127)는 강조 키워드와 상기 기법 순서 정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편집 기법 순서를 재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매칭 결과가 일치한 기법 순서 정의 정보에 해당하는 편집 기법 순서를 영상의 새로운 편집 기법 순서로 재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order resetting unit 127 provides a function of resetting the editing technique order by matching an emphasis keyword and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and newly editing an editing technique order corresponding to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with a matching result. Provides the ability to reset in order of technique.

상술한 예에서 강조 키워드인 '감성적', '자연스럽게'를 기법 순서 정의 정보인 '감성적'과 '자연스러움'을 비교할 때 강조 키워드의 '감성적'과 기법 순서 정의 정보의 '감성적'이 매칭되어 '슬로우 모션'을 편집 기법 순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와 기법 순서 정의 정보의 '자연스러움'이 서로 매칭되므로 '자연스러움'에 해당하는 편집 기법 순서인 '오버랩'을 새로운 영상의 편집 기법 순서로 재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when the emotional keywords 'emotional' and 'naturally' are compared to 'emotional' which is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and 'natural', the 'emotional' of the emphasized keyword is matched with the 'emotional' of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SLOW MOTION 'can be set in the order of editing technique, and since' Natural 'and' Naturality 'of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are matched with each other,' Overlap 'which is the editing technique corresponding to' Naturality ' Can be reset.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시스템 100: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
110: 영상 출력모듈 120: 영상 편집모듈
121: 영상 분석 데이터베이스 122: 편집 기법 순서 설정부
123: 편집 수행부 124: 카메라 정보 입력부
125: 기법 순서 정의 데이터베이스 126: 강조 키워드 추출부
127: 순서 재설정부 200: 유저 단말
210: 카메라 선택모듈 211: 멀티 선택부
212: 동시 재생부 213: 공연자 선택부
220: 영상 재생모듈 221: PIP 출력부
222: 영역 확대부 223: 집중 출력부
1: System 100: Video Management Interface
110: video output module 120: video editing module
121: video analysis database 122: editing technique sequence setting unit
123: edit execution unit 124: camera information input unit
125: technique order definition database 126: highlight keyword extraction unit
127: sequence reset unit 200: user terminal
210: camera selection module 211: multi selection unit
212: simultaneous playback unit 213: performer selection unit
220: video playback module 221: PIP output unit
222: region enlargement unit 223: concentrated output unit

Claims (11)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서,
무대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카메라 그룹과,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하는 영상 출력모듈 및, 상기 영상에 영상 편집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영상 편집 모듈을 구비한 영상 관리 인터페이스;
유저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하는 카메라 선택모듈과, 상기 카메라 선택 모듈에서 선택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시각적 효과가 부여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영상 재생모듈을 구비한 유저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편집 모듈은,
기존 영상의 편집 기법의 종류 및 순서를 분석한 후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와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영상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상기 영상의 편집 기법 순서로 설정하는 편집 기법 순서 설정부 및,
설정된 상기 편집 기법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에 편집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지니는 영상을 생성하는 편집 수행부와,
상기 카메라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영상각의 특성을 강조하는 단어를 포함한 영상 설명 문장을 촬영자에게 입력받는 카메라 정보 입력부 및,
상기 편집 기법 순서 데이터의 강조 효과를 정의하여 생성된 기법 순서 정의 정보를 저장한 기법 순서 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영상 설명 문장 내 형용사의 등장 빈도수를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등장 빈도수를 가지는 형용사를 강조 키워드로 추출하는 강조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강조 키워드와 상기 기법 순서 정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편집 기법 순서를 재설정하는 순서 재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수행부는,
재설정된 상기 편집 기법 순서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재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
As a customized stage image providing system,
A camer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n a stage, an image output module for storing and outputting images captured by each of the cameras, and an image editing module for applying a video editing technique to the image to give a visual effect An image management interface having a;
A camera selection module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camera of the camera group, and the image output module to which a visual effect is given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camera selection module,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And a user terminal having an image reproducing module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through a display having a screen.
The video editing module,
An image analysis database which analyzes the type and sequence of existing editing techniques and generates and saves the editing technique type data and editing technique sequence data;
An editing technique order setting unit which selects any one of the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and sets the editing technique order of the video;
An editing execu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having a visual effect by applying an editing technique to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t editing sequence;
A camera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description sentence including a word for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gle to explain the image of the angle of the camera to the photographer;
A technique order definition database storing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defining the highlighting effect of the editing technique order data;
An emphasis keyword extracting unit which grasps the frequency of adjectives in the image description sentence and extracts adjectives having an appearance frequency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s an emphasis keyword;
And an order resetting unit for resetting the editing technique order by matching the emphasis keyword and the technique order definition information.
The editing execution unit,
And re-editing the image based on the reset sequence of the editing techniq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카메라 선택모듈은,
유저로 하여금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선택받는 멀티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재생모듈은,
상기 멀티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의 상기 영역을 통해 각각 재생하는 PIP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IP (picture in picture) function to divide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The camera selection module,
A multi-selec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t least two cameras,
The video playback module,
And a PIP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multi selector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and to reproduce the images through the area of the screen, respective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선택모듈은,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화면의 복수 개의 상기 영역에서 동시 재생시키는 동시 재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재생모듈은,
상기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저로 인해 선택되었을 시, 상기 영역을 확대하여 상기 화면에 재생시키는 영역 확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amera selection module,
And a simultaneous reproducing unit for simultaneously reproduci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in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screen,
The video playback module,
And at least one of the areas selected by the user, the area enlargement unit configured to enlarge the area and play it on the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그룹은,
무대의 공연자가 복수 명일 때 각각의 공연자를 집중 촬영하는 카메라를 배정하고,
상기 카메라 선택 모듈은,
특정 공연자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를 유저로 하여금 선택받는 공연자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영상 재생모듈은,
상기 공연자 선택부에서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집중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무대 영상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group,
Assign a camera that focuses on each performer when there are multiple performers on stage.
The camera selection module,
A performer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pecific performer by a user;
The video playback module,
And a concentrated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lected by the performer selector from the image output module and reproduce the image through the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2442A 2019-08-21 2019-08-21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KR102054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42A KR102054116B1 (en) 2019-08-21 2019-08-21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42A KR102054116B1 (en) 2019-08-21 2019-08-21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116B1 true KR102054116B1 (en) 2019-12-09

Family

ID=6883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442A KR102054116B1 (en) 2019-08-21 2019-08-21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11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9378A (en) * 2021-03-18 2021-07-20 杭州电子科技大学 Image description method based on visual embedding and condition normalization
WO2023121250A1 (en) * 2021-12-22 2023-06-29 Tv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US12003881B2 (en) 2020-06-10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976A (en) * 2012-01-19 2013-08-13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Motionpicture editing system and method of editing
KR102007432B1 (en) * 2018-05-03 2019-08-06 (주)블루어 System of 3-Dimensional Video Generation and Provi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976A (en) * 2012-01-19 2013-08-13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Motionpicture editing system and method of editing
KR102007432B1 (en) * 2018-05-03 2019-08-06 (주)블루어 System of 3-Dimensional Video Generation and Provis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3881B2 (en) 2020-06-10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13139378A (en) * 2021-03-18 2021-07-20 杭州电子科技大学 Image description method based on visual embedding and condition normalization
CN113139378B (en) * 2021-03-18 2022-02-18 杭州电子科技大学 Image description method based on visual embedding and condition normalization
WO2023121250A1 (en) * 2021-12-22 2023-06-29 Tv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KR20230095297A (en)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티빙 Method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and apparatus for same
KR102614561B1 (en) * 2021-12-22 2023-12-19 주식회사 티빙 Method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and apparatus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1866B (en) Multi-video-director method and equipment for assisting live broadcast
US20170061686A1 (en) Stage view 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TW202123178A (en) Method for realizing lens splitting effect, device and related products thereof
KR102054116B1 (en) Customized Stage Video Delivery System
JP2011234226A (en) Video editing apparatus, and video editing method and program
US118954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tadata-based processing of media content
WO2019227429A1 (en) Method, device, apparatus, terminal, server for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CN113542624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commodity object explanation video
US11721046B2 (en) Customizing soundtracks and hairstyles in modifiable videos of multimedia messaging application
CN114327700A (en) Virtual reality equipment and screenshot picture playing method
US20180053531A1 (en) Real time video performance instrument
JP6471418B2 (en) Image / sound distribution system, image / sound distribution device, and image / sound distribution program
KR100901111B1 (en) Live-Image Providing System Using Contents of 3D Virtual Space
CN106101576A (en) Image pickup method,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augmented reality photo
CN110730340B (en) Virtual audience display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lens transformation
KR20180080642A (en) Video editing method with music source
KR1018430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diting Based on Camera Movement
KR20200035696A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rtual reality image and video
O’Dwyer et al. Samuel Beckett in Virtual Reality: Exploring narrative using free viewpoint video
CN112153472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pecial picture effec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856097B2 (en) Generating personalized end user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V) using panoramic images of ear
JP2009246917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102576977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teractive education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uan et al. Flad: a human-centered video content flaw detection system for meeting recordings
Lombardo et al. Archeology of multi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