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418B1 -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 Google Patents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418B1
KR102053418B1 KR1020180112907A KR20180112907A KR102053418B1 KR 102053418 B1 KR102053418 B1 KR 102053418B1 KR 1020180112907 A KR1020180112907 A KR 1020180112907A KR 20180112907 A KR20180112907 A KR 20180112907A KR 102053418 B1 KR102053418 B1 KR 10205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sensor
light receiv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현수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3Single detectors using dual technolog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comprises: a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for emitting light; a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at a position for receiving a part scattered by smoke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at a position for receiving a part scattered by smoke of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control module providing a pair of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as a main sensor, and a pair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as a sub-sensor, and activating any one of the main sensor or the sub-sensor to detect smoke and outputting a fire alarm.

Description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Photoelectric fire detector with dual sensors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본 발명은 광전식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for detecting smoke photoelectrical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광전식 화재 감지기는 화재 발생에 따라 유입되는 연기로 인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한다. 즉, 평상시 빛이 들어올 수 없도록 차광한 암상자를 감지기에 내장하고, 암상자내부에는 일정한 각도를 두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정상상태에서는 수광소자에서 빛을 감지할 수가 없지만, 화재 등으로 인하여 일정량의 연기가 감지기의 암상자내부로 유입되면 암상자 내부에서 발생되는 산란광에 의하여 수광소자에서 빛을 검출한다. 일정 값 이상으로 광량이 상승하면 암상자내부에 있는 수광소자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화재수신기에 신호를 보내고 현장에 경보를 발하게 되는 방식이다.  Photoelectric fire detectors detect fires using scattering of light from the incoming smoke as a fire occurs. That is, a dark box that is shielded from light is built in the detector,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are fixed at an angle inside the dark box. Accordingly, in the normal state, the light cannot be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ut when a certain amount of smoke flows into the dark box of the detector due to a fire, the light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y scattered light generated inside the dark box. When the amount of light rises above a certain value,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side the dark box amplifies the signal, sends a signal to the fire receiver and alerts the scene.

광전식감지기는 화재 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암상자 내부에 장착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상시 외부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평상시 먼지나 유증기 등이 습기와 결합하여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감지기를 설치한 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수광 또는 발광소자가 점점 오염이 되어 궁극적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Since the photoelectric sensor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smoke to flow in a fire,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mounted inside the dark box have a structure that can always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refore, dust or oil vapor is usually combined with moisture and sticks to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light receiving device. As a result, after a long time after installation of the detector, the light receiving device or light emitting device becomes increasingly polluted and ultimately detects smoke. The original function will be lost.

이에 따라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의 표면을 오염시키고 있는 물질을 제거해야 하지만, 높은 천정이나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는 공동주택의 세대내부에 설치된 수많은 감지기를 정기적으로 수거하여 청소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조기에 화재를 검출하는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아예 먹통이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연기감지기는 열감지기에 비하여 높은 천정이나 계단, 피트 등 취약지역에 설치하도록 소방법에서 정하고 있기 때문에 감지기의 수리나 점검작업 등에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As a result,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needs to set a regular cycle to remove substances contaminating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the light receiving device, but regularly collects a large number of detectors installed in the households of apartment houses that may cause high ceilings or privacy violations It is almost impossible to clean it, which result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unction of detecting a fire prematurely deteriorates or it becomes a result. In addition, smoke detectors are difficult to repair or inspect because they are set by fire methods to be installed in vulnerable areas such as high ceilings, stairs, and feet, compared to heat detecto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3276 (등록일자 2014년02월06일) 광전식 화재 감지기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63276 (Registration date February 06, 2014) Photoelectric fire detect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동 수명을 연장시키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that can extend the operating life and increase the accura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발광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 중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수광소자; 상기 제2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 중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수광소자; 및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제1 수광소자 한쌍을 메인센서로, 상기 제2 발광소자와 제2 수광소자 한쌍을 서브센서로 설정하고, 상기 메인센서 또는 서브센서 중 어느 한쌍을 구동시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 센서를 구비한 화재감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at a position for receiving a part scattered by smoke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at a position for receiving a part scattered by smoke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pair of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as a main sensor, and a pair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as a sub sensor, and driving any one of the main sensor and the sub sensor to detect smoke. A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alarm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메인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기능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 발광소자의 발광량 및 상기 제1 수광소자의 수신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최저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서브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ere, while performing a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main sensor, whe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received light amount of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threshold value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sub-sensor.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2 수광소자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을 감지시키고, 제2 수광소자가 감지한 광량에 따라 상기 제1 수광소자가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는 수신광량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periodically drives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to sen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is recognized as a fir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The threshold value for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can be set.

또한, 상기 제2 수광소자는 상기 제1 발광소자의 정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may be install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서브센서에 의한 화재감지 기능 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센서에 의한 재확인을 수행한 이후 화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output a fire signal after reconfirmation by the main sensor when a fire is detected when the fire detection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sub sensor.

또한, 상기 제2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발광소자에 비해 발광량이 높게 설정되거나 보다 높은 발광량을 갖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have a light emission amount set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or a material having a higher light emission amount may be used.

또한,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메인센서에 비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간의 거리가 멀게 설치되는, 듀얼 센서를 구비한 화재감지기.In addition, the sub-sensor has a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installed far compared to the main sensor, a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센서를 이용함으로 인해 작동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dual sensor can not only extend the operating life, but also increase the fire recognition accuracy.

도 1은 일반적인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암상자 내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제어모듈이 구비된 듀얼 센서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 설정 및 센서 교체 구동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예시한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inside the box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typical photoelectric fire detector.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with a du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dual sensor with a control module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able illustrating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threshold setting and sensor replacement dr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with a d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erms such as a first threshold value, a second threshold value,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e-specified as threshold values that are substantially different or partially the same value, but may be confused when expressed with the same wor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erms "first" and "second" will be written together for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obvious that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reimplemented into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반적인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암상자 내부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operation of a general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일반적인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암상자 내에 하나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만이 구비된다. 암상자는 공기만 통과하고 외부의 빛은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암상자 내의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암상자 내로 유입된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경우에만 수광소자로 그 일부가 유입되어 화재를 인식하는 것이다.First, referring to FIG. 1, currently, a general photoelectric fire detector includes only on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in a dark box. The dark box passes through the air only and cannot pass outside light, and only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dark box is scattered by the smoke introduced into the dark box, a part of the dark box flows in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o recognize the fire. It is.

그러나, 하나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만이 구비됨으로 인해, 각 소자가 노후되거나 암사자 내에 오염물질이 쌓이게 되면, 잘못된 빛의 산란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화재 인식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오염물질로 인해 빛의 산란이 잘 일어나지 않거나 수광소자가 빛이 잘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화재를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못하게 된다.However, since only on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receiving device are provided, when each device is old or contaminants accumulate in the lioness, abnormal fire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due to incorrect light scattering, or even if a fire occurs Because of the material, light scattering is difficult to occur or the light receiving device may not be able to transmit light well, thereby preventing the fire from being recognized normally.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일례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암상자(10) 내부에 두개의 발광소자(제1 발광소자(20-1) 및 제2 발광소자(20-2))와 두개의 수광소자(제1 수광소자(30-1), 제2 수광소자(30-2))가 구비된다. 제1 발광소자(20-1)와 제1 수광소자(30-1)가 한쌍을 이루고 나머지가 다른 한쌍을 이루어 화재를 감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두개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갖는 형태의 듀얼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two light emitting devices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0-1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20-2) and two inside the dark box 10 are provided. Light receiving elements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30-1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are provided.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0-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30-1 form a pair, and the other part of the other pair detects a fire. That is,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ual sensor having two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센서를 구비한 화재 감지기는 제1 발광소자와 제1 수광소자 한쌍을 메인센서로, 제2 발광소자와 제2 수광소자 한쌍을 서브센서로 설정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센서 또는 서브센서 중 어느 한쌍을 구동시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어모듈은 메인센서 및 서브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각 수광소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신호를 화재 수신반으로 구비된 통신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In the fire detector having the du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are set as the main sensor,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are set as the sub-sensors.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alarm by detecting any smoke by driving any one of the main sensor or the sub-sensor.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ain sensor and the sub-sensor, and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ignal using a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provided as a fire receiving panel by using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each light receiving element.

이하에서는 제어모듈이 메인센서 및 서브센서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ain sensor and the sub sensor by the control modul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제어모듈이 구비된 듀얼 센서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dual sensor equipped with a control module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메인센서(즉, 제1 발광소자(20-1) 및 제2 수광소자(30-1))를 구동하여 화재감지 기능을 수행하다가,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24시간 또는 100시간 등)마다 메인 발광소자(즉, 제1 발광소자(20-1))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서브 수광소자(즉 제2 수광소자(30-2))가 센싱하도록 한다. 즉, 서브 수광소자인 제2 수광소자(30-2)는 평소에는 구동되지 않다가 주기적으로 구동하여 빛을 센싱하는 것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일례에 따르면 제2 수광소자(30-2)는 제1 발광소자(20-1)로부터의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정면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광소자(30-2)의 수신광량을 측정함에 따라 제1 발광소자(20-1)의 발광량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수광소자(30-1)도 제2 발광소자(20-2)의 정면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도 5 및 그에 따른 설명 참조).Referring to FIG. 3, first, a main sensor (that is,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0-1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30-1) is driven to perform a fire detection function, and a preset period (for example, The sub light receiving element (ie,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sen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main light emitting element (ie,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20-1) every 24 hours or 100 hours. That is,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which is a sub light receiving element, is not normally driven but is periodically driven to sense light. Referring to FIG. 2,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direction to receive a lot of light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20-1. Therefor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0-1 can be known by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30-2. 2,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30-1 may also be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20-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IG. 5 and accordingly). See description).

제2 수광소자(30-2)의 수신광량을 이용하여 메인센서에 의한 화재 인식을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거나, 서브센서로의 교체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threshold value for fire recognition by the main sensor may be set using the received light amount of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o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replace the sub-sensor with driv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 설정 및 센서 교체 구동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예시한 테이블이다.4 is a table illustrating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threshold setting and sensor replacement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수광소자인 제2 수광소자(30-2)의 수신광량에 따라 메인 수광소자(30-1)의 화재인식을 위한 수신광량의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면, 서브 수광소자(30-2)의 센싱값(즉, 제1 발광소자(20-1)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한 수신광량)이 100이상인 경우, 메인 수광소자(30-1)가 20이상의 수신광량을 센싱하는 경우에만 화재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은 센싱값의 수치는 절대적인 값이 아닌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실제 빛의 적절한 세기 및 측정단위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4, a threshold value of the received light amount for the fire recognition of the main light receiving element 30-1 may be set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amount of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which is the sub light receiving element.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sub light receiving device 30-2 (that is,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0-1) is 100 or more, the main light receiving device 30- The fire signal is output only when 1) senses more than 20 received lights. Of course, the numerical values of the sensing values given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merely examples for explanation, not absolute value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the actual intensity and measurement unit of ligh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서브 수광소자(30-2)에서의 센싱값이 최저임계값(도면에서는 60)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구동센서를 메인센서에서 서브센서로 교체한다. 다시 말해, 메인센서의 기능이 현저히 저감된 것으로 인식하여, 메인센서의 구동을 중지하고, 서브센서인 제2 발광소자(20-2) 및 제2 수광소자(30-2)를 이용한 화재감지을 수행하는 것이다.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sub light receiving element 30-2 is less than the minimum threshold value (60 in the drawing), the driving sensor is replaced with the sub sensor. In other words, recognizing that the function of the main sensor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driving of the main sensor is stopped, and fire detection using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20-2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30-2, which are sub-sensors, is performed. It is.

이를 바탕으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화재감지기의 제어모듈은 서브 수광소자가 센싱한 수신광량값이 최저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20), 판단결과 최저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서브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기능을 수행한다(S340). Referring to FIG. 3 again, the control module of the fire detecto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light quantity value sensed by the sub-light-receiving element is less than the minimum threshold value (S320). Performs a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S340).

또는 메인센서의 구동을 멈추고 서브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과 달리, 다른 일례에 따르면 메인센서와 서브센서간의 역할을 바꾸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메인센서를 서브센서로서 설정하고 서브센서가 메인센서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Alternatively, unlike the method of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ain sensor and performing a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sub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t may be set to change the role between the main sensor and the sub sensor. In other words, the main sensor is set as the sub sensor and the sub sensor is set to function as the main sensor.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례에 따르면, 제어모듈(미도시)은 서브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기능을 수행할 때엔,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메인센서에 의한 재확인을 수행한 이후 화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performing a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a sub-sensor, if a fire is detected, the fire module may output a fire signal after reconfirmation by the main sensor. Can be.

S320에서의 판단 결과, 서브 수광소자가 센싱한 값이 최저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센싱된 값에 상응하는 메인 수광소자의 임계값을 설정한다(S330).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320, when the value sensed by the sub-light-receiving ele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hreshold value, the threshold value of the main light-receiv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nsed value is set (S330).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만일, 메인센서에서 서브센서로 구동되는 센서가 교체된 경우라면, 전반적으로 시간이 지나 화재감지기 자체가 노후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암상자(10) 내부에도 오염물질이 많이 유입된 상태일 가능성도 있다.If the sensor driven from the main sensor to the sub-sensor is replace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fire detector itself is old as time passes, and the possibility that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re also introduced into the dark box 10. have.

따라서, 서브센서인 제2 발광소자(20-1)는 제1 발광소자(20-1)에 비해 보다 높은 발광량을 갖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더 많은 발광량을 갖는 소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수광소자(30-2)도 제1 수광소자에 비해 빛을 센싱하는 감도가 높은 소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20-1, which is a sub-sensor, is set to have a higher light emission amount tha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0-1, or a material having a higher light emission amount is used. Similarly,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30-2 may b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ensitivity for sensing light than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다른 방식으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간의 거리(그에 따른 이격 각도)를 달리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method of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the separation angle thereof) may be us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with a d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브센서(20-2, 30-2)는 메인센서(20-1, 30-1)에 비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간의 거리가 멀게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원형 형태의 암상자(10) 내에 위치하므로, 거리가 멀다는 것은 직진성을 갖는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수광소자로 일부 유입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5, the sub-sensors 20-2 and 30-2 may be installed farther away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n the main sensors 20-1 and 30-1.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ince the location is in the dark box 10 of the circular shape, the long distance is because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the straightness is more likely to flow in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센서는 발광소자(20-1)와 수광소자(30-1)가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여 정상적으로는 발광소자(20-1)부터의 빛이 거의 수광소자(30-1)로 전달되지 못할 것이다. 이에 비해 서브센서는 발광소자(20-2)와 수광소자(30-1)가 90도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여 내부에 오염물질이 다소 존재하더라도 발광소자(20-1)부터의 빛 중 일부가 연기에 의한 산란에 의해 수광소자(30-2)로 전달될 가능성이 더 높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ain sensor is position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 20-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0-1 have an angle of 90 degrees, and normally,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20-1 is almost received. 1) will not be delivered. On the other hand, the sub-sensor is positioned such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20-2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30-1 have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so that some of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20-1 is lost even if some contaminants are present therein. It is more likely to be deliver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0-2 by scattering by smok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10 : 암상자
20-1, 20-2 : 발광소자
30-1, 30-2 : 수광소자
10: cancer box
20-1, 20-2: light emitting element
30-1, 30-2: light receiving element

Claims (7)

빛을 발광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 중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수광소자;
상기 제2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 중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수광소자; 및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제1 수광소자 한쌍을 메인센서로, 상기 제2 발광소자와 제2 수광소자 한쌍을 서브센서로 설정하고,
먼저 상기 메인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기능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 발광소자의 발광량 및 상기 제1 수광소자의 수신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최저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메인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기능을 종료하고 상기 서브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메인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기능 수행시에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2 수광소자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을 감지시키고, 제2 수광소자가 감지한 광량에 따라 상기 제1 수광소자가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는 수신광량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며,
상기 서브센서에 의한 화재감지 기능 시에는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센서에 의한 재확인을 수행한 이후 화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메인센서에 비해 빛의 전달량이 높게 되도록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간의 거리가 멀게 설치되는, 듀얼 센서를 구비한 화재감지기.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at a position for receiving a part scattered by smoke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at a position for receiving a part scattered by smoke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Setting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as a main sensor,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as a subsensor,
First, the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main sensor is performed,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received light amount of the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is less than a preset minimum threshold, the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main sensor End the fir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sub-sensor,
When the fire detection function is performed using the main sensor,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is periodically driven to sens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is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Sets the threshold for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that is recognized as a fire.
The fire detection function by the sub-sensor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signal after reconfirmation by the main sensor when a fire is detected,
The sub-sensor is a fire detector having a dual sensor,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installed so that the amount of light transmission is higher than the main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발광소자에 비해 발광량이 높게 설정되거나 보다 높은 발광량을 갖는 소재가 이용되는, 듀얼 센서를 구비한 화재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is a fire detector with a dual sensor, the light emitting amount is set higher tha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or a material having a higher light emitting amount is used.
삭제delete
KR1020180112907A 2018-09-20 2018-09-20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KR102053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07A KR102053418B1 (en) 2018-09-20 2018-09-20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07A KR102053418B1 (en) 2018-09-20 2018-09-20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418B1 true KR102053418B1 (en) 2019-12-06

Family

ID=6883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907A KR102053418B1 (en) 2018-09-20 2018-09-20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1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76B1 (en) 2012-08-06 2014-02-13 주식회사 하이맥스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JP2014067296A (en) * 2012-09-26 2014-04-17 Nohmi Bosai Ltd Smoke sensor
KR20140005629U (en) * 2013-04-23 2014-1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ual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or system thereof
KR101497539B1 (en) * 2013-12-30 2015-03-02 김상륜 Smoke detector with dual optical chambers
KR20150102425A (en)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Apparatus for detecting smoke
KR101898393B1 (en) * 2017-09-18 2018-09-12 신기문 A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76B1 (en) 2012-08-06 2014-02-13 주식회사 하이맥스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JP2014067296A (en) * 2012-09-26 2014-04-17 Nohmi Bosai Ltd Smoke sensor
KR20140005629U (en) * 2013-04-23 2014-1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ual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or system thereof
KR101497539B1 (en) * 2013-12-30 2015-03-02 김상륜 Smoke detector with dual optical chambers
KR20150102425A (en)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Apparatus for detecting smoke
KR101898393B1 (en) * 2017-09-18 2018-09-12 신기문 A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68B2 (en) Device and apparatus for self-testing smoke detector baffle system
KR1018646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fire cooperating with automatic vantilation system
US8346500B2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US7948628B2 (en) Window cleanliness detection system
CN110892460B (en) Chamber-less smoke detector with indoor air quality detection and monitoring
US11650152B2 (en) Calibration of an optical detector
KR101497539B1 (en) Smoke detector with dual optical chambers
KR102053418B1 (en)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KR101021058B1 (en) Self-Diagnostic Flame Detector
US10012545B2 (en) Flame detector with proximity sensor for self-test
US11062586B2 (en) Method of monitoring health of protective cover of detection device
CN105190718B (en) Fire-alarm
KR100920067B1 (en) Self-test type flame detector
US10580277B2 (en) Chamberless smoke detector
JP6936020B2 (en) Fire detector
JP5204882B2 (en) Smoke detection system
KR100339255B1 (en) infrared sensor and managing method thereof
JP7280406B2 (en) management system
JP4927620B2 (en) Smoke detection system
US20220148403A1 (en) Smoke detector sensitivity for building health monitoring
EP3460428A1 (en) Dual wavelength detector
JP6858613B2 (en) Fire alarm
KR100578454B1 (en) Apparatus for sensing zone verifying of passive infrared sensor
KR20200021593A (en) Check automatic fire detector devices
JP2021128715A (en) Fire detection means, anti-disaster facility, and fire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