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455B1 -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455B1
KR102052455B1 KR1020180029239A KR20180029239A KR102052455B1 KR 102052455 B1 KR102052455 B1 KR 102052455B1 KR 1020180029239 A KR1020180029239 A KR 1020180029239A KR 20180029239 A KR20180029239 A KR 20180029239A KR 102052455 B1 KR102052455 B1 KR 10205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op box
terminal
viewing request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7913A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455B1/en
Publication of KR2019010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ubscriber to use the content purchase by supporting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i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the IPTV service-based terminal and the set-top box can be viewed in other set-top box other than the registered set-top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Description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view content purchased by a subscriber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an IPTV service-based terminal and a set-top box in another set-top box other than the registered set-top box.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는 초고속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수백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하는 양방향 정보 서비스로서, 셋탑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 또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is a two-way information service that provides hundreds of channels using high-speed internet network. It is a broadcast program provider (PP: Program Provider) from an IPTV headend system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hrough a set-top box. Or, it provides subscribers with various contents transmitted from terrestrial, cable, and satellite.

다시 말해, IPTV 서비스는 주로 TV 포탈을 VOD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되며, PC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기능이 통합된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PTV service is mainly provided with a TV portal centered on the VOD service. The IPTV service integrates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to a PC and a broadcast function for providing a multi-channel TV broadcasting service. It can provide.

이러한 IPTV 서비스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가입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가입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예: 스마트폰, PC)과 셋탑박스 간의 연동을 통해서, 단말에서 구매한 컨텐츠(예: VOD)를 셋탑박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Such IPTV services generally provide contents to subscribers through a set-top box installed in a designated space such as a home, and recently, subscribers (eg, smartphones, PCs) and set-tops possessed by the subscribers. Through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boxes, it has reached the stage of supporting the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eg, VOD) to watch through the set-top box.

헌데, 여기서의 단말과 셋탑박스 간의 연동이란 단말과 셋탑박스 간 페어링(Pairing)을 의미하는데, 가입자는 이러한 페어링에서 요구되는 다소 복잡한 절차(예: 메뉴 설정)로 인해 단말과 셋탑박스 간의 연동, 또는 연동 시 컨텐츠 이중 구매에 대해서 심리적 부담감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연동하고자 하는 셋탑박스에 이미 타 단말이 페어링된 경우라면, 해당 셋탑박스와의 신규 페어링 절차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한 있다.However,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herein refers to pair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and the subscriber may interwor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due to a rather complicated procedure (eg, menu setting) required for such pairing, or There may be a psychological burden on the dual purchase of content during interworking. In particular, when another terminal is already paired to the set-top box to be interworked, there is also a case where the new pairing procedure with the set-top box itself is impossible.

또한, 기존 IPTV 서비스에서는 컨텐츠 구매자의 개념이 셋탑박스에 귀속됨에 따라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등록된 특정 장소(가입자가 개통한 셋탑박스)이외의 다른 장소에서는 시청이 불가한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in the existing IPTV service, as the concept of the content buyer belongs to the set-top box, the reality is that the viewing of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is not possible at a place other than the specific place (the set-top box opened by the subscriber).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 시청에 있어서 단말과 셋탑박스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으며,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타 셋탑박스에서도 컨텐츠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플랫폼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airing procedur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n viewing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and proposes a new platform environment that enables the viewing of content in other set-top boxes other than the set-top box registered with the subscriber (buyer). I would like to.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PTV service-based terminal and a set-top box other than a set-top box in which subscribers purchase content purchased in a linked environment. Other set-top boxes can be view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는, 단말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t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receiving a viewing request for a specific content from the terminal, the terminal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Confirmation unit to confirm; A verification unit which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n the basis of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nd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o the set top box so that the specific content can be received and played in the set top box whe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erified. .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유기로부터 상기 셋탑박스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t-top box is identified from the router according to a connection to the router to which the set-top box is connected, the terminal may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for requesting viewing of the specific content to the set-top box.

구체적으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t-top box, upon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hecks a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and if the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is not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rification unit, if it is confirm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that the playback valid time specified for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by the terminal has not elapsed, it may verify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In detail, the verification unit may verify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when the history of playing the specific content is not confirmed from another set-top box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루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rification unit,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routing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history of starting to play the specific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the pre-played in the other set-top box When the playback section of the specific content is less than the threshold sectio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may be verified as vali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when a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a set-top box that receives a viewing request for a specific content from a terminal. Confirming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based on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o the set top box so that the set top box receives and plays the specific content whe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erified. do.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유기로부터 상기 셋탑박스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t-top box is identified from the router according to a connection to the router to which the set-top box is connected, the terminal may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for requesting viewing of the specific content to the set-top box.

구체적으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t-top box, upon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hecks a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and if the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is not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verify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that the playback valid time specified for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by the terminal has not elapse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may be verified as valid.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verifying step, when the history of playing the specific content is not confirmed from the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the content viewing request may be verified as valid.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루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verifying step, a history of starting to play the specific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is checked from the content play management information router and the content play management information. When the playback section of the specific content is less than the threshold sectio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may be verified as valid.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in the interlocking environment of the IPTV service-based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s also viewed in other set-top box other than the set-top box registered with the subscriber (buyer) By supporting this,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subscriber's use of content purch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지원 플랫폼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ideo production support platform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flow 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low in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기반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1 illustrates an environment of an IPTV service-based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은, 공유기(2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10)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에 따라 컨텐츠시청요청을 전달하는 셋탑박스(30), 및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content viewing request according to a viewing request for a specific content from the terminal 10 received through the router 20.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t top box 30, and a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40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 top box (3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30)에 대해 단말(10)에서 요청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장치(50), 및 셋탑박스(30)에서 특정 컨텐츠의 수신을 위한 권한(DRM, 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는 권한부여장치(도시안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50 for providing the specific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10 for the set-top box 30, and the set-top box ( 30 may further include an authorization device (not shown) for granting rights (DRM, Digital Right Management) for receiving specific content.

단말(10)은 가입자에게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IPTV 서비스(예: 모바일 VOD)를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30)와는 별도로 IPTV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셋탑박스(30)와의 연동을 통해 IPTV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10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n application-based IPTV service (eg, mobile VOD) to a subscriber, and receives an IPTV service separately from the set-top box 30, or performs an IPTV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set-top box 30. Can be received.

이러한, 단말(10)로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와이브로(Wibro) 단말기, 플렉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Such a terminal 10 include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and telematics. ) Terminals, Navigation Terminals, Personal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Wibros A terminal, a flexible terminal, and the like may be used, and a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may be included.

공유기(20)는 셋탑박스(3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30)와는 유선 접속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게 되는 단말(10)에 대해서도 무선 접속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r 20 refer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net access environment for the set-top box 30, and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 by wire, and also wirelessly based on the terminal 10 located in the coverage. Can provide an Internet connection environment.

셋탑박스(30)는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장소(예: 댁내)에 설치되는 일종의 중계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공유기(20)를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도시안됨)으로부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t-top box 30 refers to a kind of relay device installed at a specific place (eg, a home) to receive an IPTV service. The set-top box 30 is a broadcast signal from an IPTV headend system (not shown) through the router 20, as well as Internet content. It can receive various contents including video on demand service.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단말(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단말(10)로부터 요청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일컫는다.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according to the request from the terminal 10, and sets the specific content reques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set-top box 30. Refers to a device that can be played on a PC.

참고로, 이러한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web server, a database server, a proxy server, or the like, and may allow a network load balancing mechanism or a service device to operate on the Internet or another network. One or more of the various software may be installed, and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ized system. The network may also be an http network, and may be a private line, an intranet, or any other network.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기반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단말(10)과 셋탑박스(30)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30)에서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IPTV service-based content playback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criber (buyer) registered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i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set-top box 3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set-top box, that is, it is possible to watch in the set-top box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종래 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IPTV 서비스에서는 단말(10)에서 구매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10)과 셋탑박스(30) 간의 페어링을 절차를 통해 단말(10)을 셋탑박스(30)에 등록해야만 하는 다소 복잡한 절차가 요구된다.Meanwhile, as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in the existing IPTV service, when a user wants to watch a specific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10 in the set-top box 30, the terminal 10 and the set-top box 30 are paired through the procedure. Somewhat complicated procedure is required to register 10 in the set-top box 30.

이로 인해, 가입자는 이러한 단말(10)과 셋탑박스(30) 간의 연동과, 연동 시 혹시 모를 컨텐츠 이중 구매에 대해서 심리적 부담감을 가질 수 있으며, 만약 셋탑박스(30)에 이미 타 단말이 페어링된 경우라면, 이러한 페어링 절차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한 있다.As a result, the subscriber may have a psychological burden on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set-top box 30 and the dual purchase of contents which may be unknown at the time of interworking, and if the other terminal is already paired to the set-top box 30. If so, this pairing procedure itself is also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 단말(10)에서 구매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new method for viewing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10 through the set-top box 30 without a separate process for registering the terminal 10 in the set-top box 3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for realiz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단말(10)을 확인하는 확인부(41),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42), 및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른 시청허가응답을 전달하는 전달부(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rmation unit 41 and a content confirming terminal 10 from a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42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viewing request, and a transmission unit 43 for transmitting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according to the valid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단말(10)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컨텐츠와 유사한 컨텐츠를 단말(10)에 대한 추천 컨텐츠로서 선별하는 선별부(도시안됨), 및 추천 컨텐츠 또는 기타 알림을 위한 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하는 전송부(도시안됨)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ection unit (not shown) for selecting the content similar to the specific content requested from the terminal 10 as the recommended content for the terminal 10,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 transmiss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message for the recommended content or other notification to the terminal 10.

이상의 확인부(41), 검증부(42), 및 전달부(43)를 포함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whole or at least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including the confirmation unit 41, the verification unit 42, and the delivery unit 4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a software module, or may be a hardware module. And software module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에서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잇다.Here, the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an instruction executed by a processor controlling an operation i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nd the command may have a form mounted in a memory i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30)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44)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44 in charge of the actual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set-top box 3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이러한 통신부(37)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Such communication unit 37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tuners, one or more oscillators, digital signal processors, codec chipsets, memories, and the like, to perform this function. Any known circuit can be includ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도 단말(10)에서 구매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up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10 without a separate process of registering the terminal 10 in the set-top box 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can be supported to view through 30, below, each component of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40 for realiz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편,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에 앞서, 단말(10)은 셋탑박스(30)에 대해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전달하게 되는데, 여기서의 특정 컨텐츠는 단말(10)에서 해당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 시점 이후 재생 시작이 가능한 허용일자인 재생가능일자, 및 재생 시작 이후 시청이 가능한 허용시간인 재생유효시간 등이 지정되는 일회성 컨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prior to the validation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the terminal 10 requests a viewing request for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set-top box 30. In this case, the specific content here is a playable date that is an allowable date that can be played after the purchase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10 purchases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a play valid time that is an allowable time for viewing after the start of play is specified. It can be understood as a one-time content.

이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이 셋탑박스(30)에 대해 시청을 요청하는 특정 컨텐츠를 일회성 컨텐츠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하기로 한다.Therefor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inal 10 will name specific content requesting viewing of the set-top box 30 as one-time content.

확인부(41)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단말(10)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erification unit 41 checks the terminal 10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구체적으로, 확인부(41)는 셋탑박스(30)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하게 된다.In detail, whe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the checking unit 41 checks the terminal 10 requesting the reproduction of the one-time content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viewing request.

이때, 확인부(41)는 컨텐츠시청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예: 요청자 ID, 기기식별정보, 전화번호)로부터 셋탑박스(30)에 대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ification unit 41 may check the terminal 10 requesting to play the one-time content for the set-top box 30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requester I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have.

이와 관련하여, 단말(10)은 셋탑박스(30)가 연결된 공유기(20)로의 접속에 따라 공유기(20)와 연결된 셋탑박스(30)를 확인하게 되며, 이처럼 셋탑박스(30)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예: 구매이력, 재생요청시간, 요청자 ID 등)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하게 된다.In relation to this, the terminal 10 checks the set-top box 30 connected to the router 2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 the router 20 to which the set-top box 30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t-top box 30 is confirm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eg, purchase history, playback request time, requester ID, etc.) for viewing the one-tim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is delivered to the set-top box (30).

이때, 단말(10)은 컨텐츠정보의 전달에 앞서 일회성 컨텐츠 구매 시 지정된 재생가능일자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가능일자가 유효한 경우에 한해 컨텐츠정보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10 confirms the designated playable date when purchasing the one-time content prior to the delivery of the content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set-top box 30 only when the playable date is valid.

여기서, 단말(10)에서 이루어지는 셋탑박스(30)에 대한 확인은, 예컨대, 공유기(20)가 지원하는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identification of the set-top box 30 in the terminal 10 may be performed through, for example, a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technique supported by the router 20.

나아가, 셋탑박스(30)는 단말(10)로부터 컨텐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10)에 대해 생성된 컨텐츠시청요청을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 전송하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e set-top box 30 generates a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e content viewing request generated for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apparatus 40.

한편, 셋탑박스(30)는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 생성에 앞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임을 판단하기 위해, 컨텐츠정보를 전달한 단말(10)이 가입자(구매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단말(10)에 대한 등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 requests the reproduction of the one-time content, the set-top box 30 is a subscriber (buyer) prior to generating the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10.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it is registered as a terminal, and generates a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10 only when the registration for the terminal 10 is not confirmed.

이때, 셋탑박스(30)는 단말(10)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로부터 단말(10)이 가입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 단말(10)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et-top box 30 may check whether the terminal 10 is registered as a subscriber terminal from a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10, and the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10 is not confirmed.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 requests to play the one-time content.

여기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위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 재생 요청을 위한 별도의 식별자를 컨텐츠정보에 삽입하고, 셋탑박스(30)에서 이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terminal 10 requests the reproduction of the one-tim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cheme, and the terminal 10 inserts a separate identifier for the one-time content reproduction request into the content information and sets the box. Of course, i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ethod of recognizing this in (30).

검증부(42)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erification unit 42 performs a function of validating the content viewing request.

구체적으로, 검증부(42)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d for the terminal 10 when the terminal 10 requesting the viewing of the one-time content is confirmed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On the basis,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is verified.

여기서,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는,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와 관련하여 예컨대,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 시작 여부,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된 셋탑박스에 대한 정보, 일회성 컨텐츠가 실제 재생된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이 이력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Here,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one-time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10, information on whether the one-time content starts play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in which the one-time content is played, and information on the section in which the one-time content is actually played. And the like can be managed as history information.

한편, 검증부(42)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 기초한 유효성 검증에 앞서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구매하였으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가능일자 내에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terminal 10 requesting viewing of the one-time content is confirmed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he verification unit 42 purchases the one-time content from the terminal 10 prior to the validation based on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First, it is checked whether a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within a playable date specified in.

즉,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verification unit 42 stores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d for the terminal 10 only when the one-time content purchase on the terminal 10 an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within the playable date are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viewing request can be verified.

여기서, 일회성 컨텐츠의 구매 여부 등에 대한 확인은, 사용자인증 및 구매 확인 등을 처리하는 별도의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o purchase the one-time content or the like may be performed through interworking with a separate system that processes user authentication and purchase confirmation.

이처럼,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실질적인 유효성을 검증하게 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As such, the verification unit 42 verifies the actual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n the basis of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when the one-time content purchase an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within the playable date are confirmed in the terminal 10. The specific process is as follows.

우선,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유효시간의 경과하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First,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whether the playback valid time specified for the one-time content has not elaps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layback valid time has not elapsed, the corresponding content request is requested. You can verify that this is valid.

또한,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셋탑박스(30)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을 확인하게 되며,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the history of the playback of the one-time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30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and starts the playback of the one-time content in the other set-top box. Only when the history is not verifie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can be verified as valid.

다만, 검증부(42)는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재생구간이 전체 재생구간 중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However,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the playback section of the one-time content previously played in the other set-top box when the history of playing the one-time content on the other set-top box is confirmed, and the checked playback section is the entire playback section. If it is less than the critical section, it can be verified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이처럼,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과 재생 시작 시 실제 재생구간을 확인하는 것은, 일회성 컨텐츠 특성 상, 다수의 셋탑박스를 통해 일회성 컨텐츠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취지에서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한 이력이 존재하더라도 그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시청 구간이 짧음)라면 예외적으로 복수의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urpose of checking the history of the playback of the one-time content on the other set-top box and the actual playback period when the playback is started is to prevent the one-time content from being repeatedly 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t-top boxes. Even if there is a history of playing the one-time content in the other set-top box in the case that the playback sec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section (viewing section is short), it is exceptionally allowed to play the one-time content in a plurality of set-top boxes.

참고로, 이러한 검증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과정 간 연계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se verification processes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r through linkage between processes.

전달부(43)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livery unit 43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구체적으로,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셋탑박스(30)로 전달하게 된다.In detail, when the transmission unit 43 validates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f the terminal 10, and it is verified as valid, the delivery unit 43 views the content viewing request so that the set-top box 30 receives and plays the one-time content. The permission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set top box 30.

이때, 시청허가응답에는 셋탑박스(30)에서 시청허가응답 수신 시점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시작할 수 있는 허용시간인 시작유효시간에 대한 제한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ewing permission response may further include restriction information on the start valid time which is an allowable time for receiving and starting the one-time content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viewing permission response in the set-top box 30.

이와 관련하여, 셋탑박스(30)에서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이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권한부여장치(도시안됨)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권한(DRM)을 부여 받게 되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컨텐츠제공장치(50)로부터 단말(10)에서 시청 요청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게 된다.In this regard, in the set-top box 30, when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40, the set top box 30 receives a right (DRM) for receiving one-time content from the authorizing device (not shown). It is granted, and receives the one-time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10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50 in accordance with the authority granted to play.

한편,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불가응답을 전달하여 셋탑박스(30)로 전달하여,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unit 43 is verified that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f the terminal 10 is not valid, and delivers the non-viewable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o deliver to the set-top box 30 Of course, the one-time conten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layed in the set-top box 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구성에 따르면,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도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므로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time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10 without a separate process of registering the terminal 10 in the set-top box 30. To watch through the set-top box 30, the environment is provided that the subscriber can purchase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buyer) other than the set-top box other than the registered set-top box to activate the purchase of the content of the subscriber Can b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확인부(41)는 셋탑박스(30)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한다(S10-S20).First, referring to FIG. 3, whe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the checking unit 41 checks the terminal 10 requesting to play the one-time content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viewing request (S10-S20). ).

이때, 확인부(41)는 컨텐츠시청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예: 요청자 ID, 기기식별정보, 전화번호)로부터 셋탑박스(30)에 대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ification unit 41 may check the terminal 10 requesting to play the one-time content for the set-top box 30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requester I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content viewing request. have.

이와 관련하여, 단말(10)은 셋탑박스(30)가 연결된 공유기(20)로의 접속에 따라 공유기(20)와 연결된 셋탑박스(30)를 확인하게 되며, 이처럼 셋탑박스(30)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예: 구매이력, 재생요청시간, 요청자 ID 등)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하게 된다.In relation to this, the terminal 10 checks the set-top box 30 connected to the router 2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 the router 20 to which the set-top box 30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t-top box 30 is confirm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eg, purchase history, playback request time, requester ID, etc.) for viewing the one-tim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is delivered to the set-top box (30).

이때, 단말(10)은 컨텐츠정보의 전달에 앞서 일회성 컨텐츠 구매 시 지정된 재생가능일자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가능일자가 유효한 경우에 한해 컨텐츠정보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10 confirms the designated playable date when purchasing the one-time content prior to the delivery of the content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set-top box 30 only when the playable date is valid.

여기서, 단말(10)에서 이루어지는 셋탑박스(30)에 대한 확인은, 예컨대, 공유기(20)가 지원하는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identification of the set-top box 30 in the terminal 10 may be performed through, for example, a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technique supported by the router 20.

나아가, 셋탑박스(30)는 단말(10)로부터 컨텐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10)에 대해 생성된 컨텐츠시청요청을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 전송하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e set-top box 30 generates a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e content viewing request generated for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apparatus 40.

한편, 셋탑박스(30)는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 생성에 앞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임을 판단하기 위해, 컨텐츠정보를 전달한 단말(10)이 가입자(구매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단말(10)에 대한 등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 requests the reproduction of the one-time content, the set-top box 30 is a subscriber (buyer) prior to generating the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10.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it is registered as a terminal, and generates a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10 only when the registration for the terminal 10 is not confirmed.

이때, 셋탑박스(30)는 단말(10)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로부터 단말(10)이 가입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 단말(10)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et-top box 30 may check whether the terminal 10 is registered as a subscriber terminal from a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10, and the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10 is not confirmed.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 requests to play the one-time content.

여기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위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 재생 요청을 위한 별도의 식별자를 컨텐츠정보에 삽입하고, 셋탑박스(30)에서 이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terminal 10 requests the reproduction of the one-tim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cheme, and the terminal 10 inserts a separate identifier for the one-time content reproduction request into the content information and sets the box. Of course, i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ethod of recognizing this in (30).

이어서, 검증부(42)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다(S30).Subsequently, when the terminal 10 requesting viewing of the one-time content is confirmed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the verification unit 42 based o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d for the terminal 10.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 is verified (S30).

여기서,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는,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와 관련하여 예컨대,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 시작 여부,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된 셋탑박스에 대한 정보, 일회성 컨텐츠가 실제 재생된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이 이력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Here,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one-time content purchased from the terminal 10, information on whether the one-time content starts play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in which the one-time content is played, and information on the section in which the one-time content is actually played. And the like can be managed as history information.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증부(42)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 기초한 유효성 검증에 앞서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구매하였으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가능일자 내에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한다(S31).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terminal 10 requesting viewing of the one-time content is confirmed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the terminal 10 prior to the validation based o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Purchased the one-time content at, and first checks whether the content viewing request has been received within the playable date specified in the one-time content (S31).

즉,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verification unit 42 stores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d for the terminal 10 only when the one-time content purchase on the terminal 10 an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within the playable date are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viewing request can be verified.

여기서, 일회성 컨텐츠의 구매 여부 등에 대한 확인은, 사용자인증 및 구매 확인 등을 처리하는 별도의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o purchase the one-time content or the like may be performed through interworking with a separate system that processes user authentication and purchase confirmation.

이처럼,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실질적인 유효성을 검증하게 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As such, the verification unit 42 verifies the actual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n the basis of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when the one-time content purchase an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within the playable date are confirmed in the terminal 10. The specific process is as follows.

우선,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유효시간의 경과하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32).First,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whether the playback valid time specified for the one-time content has not elaps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layback valid time has not elapsed, the corresponding content request is requested. This can be verified as valid (S32).

또한,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셋탑박스(30)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을 확인하게 되며,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33).In addition,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the history of the playback of the one-time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30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and starts the playback of the one-time content in the other set-top box. Only when the history is not verifie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may be verified as valid (S33).

다만, 검증부(42)는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재생구간이 전체 재생구간 중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34).However, the verification unit 42 checks the playback section of the one-time content previously played in the other set-top box when the history of playing the one-time content on the other set-top box is confirmed, and the confirmed playback section is the entire playback section. If it is less than the critical section it can be verified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S34).

이처럼,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과 재생 시작 시 실제 재생구간을 확인하는 것은, 일회성 컨텐츠 특성 상, 다수의 셋탑박스를 통해 일회성 컨텐츠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취지에서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한 이력이 존재하더라도 그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시청 구간이 짧음)라면 예외적으로 복수의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urpose of checking the history of the playback of the one-time content on the other set-top box and the actual playback period when the playback is started is to prevent the one-time content from being repeatedly 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t-top boxes. Even if there is a history of playing the one-time content in the other set-top box in the case that the playback sec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section (viewing section is short), it is exceptionally allowed to play the one-time content in a plurality of set-top boxes.

참고로, 단계 S31 내지 S34를 통한 검증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과정 간 연계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steps S31 to S34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r through linkage between processes.

나아가,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셋탑박스(30)로 전달한다(S40).In addition, referring again to FIG. 3, when it is verified that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f the terminal 10 is valid, the delivery unit 43 may receive and play the one-time content in the set-top box 30. The viewing permission response for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30 (S40).

이때, 시청허가응답에는 셋탑박스(30)에서 시청허가응답 수신 시점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시작할 수 있는 허용시간인 시작유효시간에 대한 제한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ewing permission response may further include restriction information on the start valid time which is an allowable time for receiving and starting the one-time content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viewing permission response in the set-top box 30.

이와 관련하여, 셋탑박스(30)에서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이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권한부여장치(도시안됨)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권한(DRM)을 부여 받게 되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컨텐츠제공장치(50)로부터 단말(10)에서 시청 요청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게 된다.In this regard, in the set-top box 30, when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40, the set top box 30 provides a right (DRM) for receiving one-time content from the authorizing device (not shown). It is granted, and receives the one-time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10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50 in accordance with the authority granted to play.

한편,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불가응답을 전달하여 셋탑박스(30)로 전달하여,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unit 43 is verified that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f the terminal 10 is not valid, and delivers the non-viewable response to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o deliver to the set-top box 30 Of course, the one-time conten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layed in the set-top box 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도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므로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one-time purchase made by the terminal 10 without a separate process of registering the terminal 10 in the set-top box 30. By enabling the content to be viewed through the set-top box 30,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ubscriber purchases the content can be freely viewed in other set-top boxes other than the set-top box registered by the subscriber (buyer), thereby enabling the subscriber to use the content purchase. can do.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or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subscriber i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of the IPTV service-based terminal and the set-top box can be viewed in other set-top box other than the set-top box registered with the subscriber (buyer)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it is not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s, as well as practically tangible and practically possible inventions. to be.

10: 단말
20: 공유기
30: 셋탑박스
40: 컨텐츠재생관리장치
41: 확인부 42: 검증부
43: 전달부
10: terminal
20: Router
30: set top box
40: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41: verification unit 42: verification unit
43: delivery unit

Claims (12)

단말로부터의 상기 단말이 구매한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에 접속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A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the terminal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when a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a set-top box that receives a viewing request for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by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 verification unit which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n the basis of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nd
Whe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erified, the set-top box includes a delivery unit for transmitting the viewing permission response for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o the set-top box to receive and play the specific content,
The set top box,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for the viewing request of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router connected to the set-top box,
Upon receipt of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onfirms a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and even when the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is not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content viewing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request to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ification unit,
And if the playback valid time specified for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by the terminal has not elaps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verifying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ification unit,
And if the history of playing the specific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is not determin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verifying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ification unit,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a history of starting playback of the specific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is confirmed, and a playback section of the specific content previously played in the other set-top box is critical. If less than a section, content playback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verifying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단말로부터의 상기 단말이 구매한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에 접속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Confirming the terminal from the content viewing request when a content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a set-top box that receives a viewing request for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by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on the basis of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nd
If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erified, the set-top box includes a forwarding step of transmitting a viewing permission response for the content viewing request to the set-top box to receive and play the specific content,
The checking step,
The set top box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for requesting viewing of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router to which the set top box is connected, and pairs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generating the content viewing request for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even if the pairing state with the terminal is not confirm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viewing request to the content re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How it work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rification step,
And if it is determined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that the playback valid time specified for the specific content purchased by the terminal has not elapsed,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erified to be valid.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rification step,
If the history of playing the specific content in the 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verifying that the content viewing request is valid.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rification step,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a history of starting playback of the specific content in another set-top box separate from the set-top box is confirmed, and a playback section of the specific content previously played in the other set-top box is critical. And if less than a section, verifies that the content view request is valid.
KR1020180029239A 2018-03-13 2018-03-13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2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39A KR102052455B1 (en) 2018-03-13 2018-03-13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39A KR102052455B1 (en) 2018-03-13 2018-03-13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13A KR20190107913A (en) 2019-09-23
KR102052455B1 true KR102052455B1 (en) 2020-01-07

Family

ID=6806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39A KR102052455B1 (en) 2018-03-13 2018-03-13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45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13B1 (en) * 2015-04-09 2016-09-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Screen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600A (en)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ontinuous play service between different platform terminal
KR101439329B1 (en) * 2012-10-30 2014-09-11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gateway and method for watching iptv broadca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13B1 (en) * 2015-04-09 2016-09-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Screen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13A (en)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8856B2 (e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ethods for home electronic devices, management servers and Internet video clients
EP2194691B1 (en) Remote access of drm protected internet protocol (ip)-based content over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based network
US9258587B2 (en) Content blackout determinations for playback of video streams on portable devices
US8949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hyperlinks in a television broadcast
US8763154B2 (en) Federated authentication
US9532210B2 (en) File downloads using broadband wireless multicast
US8745655B2 (en) Emergency alerts during playback of video streams on portable devices
US20110289537A1 (en) Temporary authorization for a user device to remotely access a video on-demand service
US9571876B2 (en) Virtual set-top box device methods and systems
CN101536374B (en) Method of enjoying broadcasted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distinct electronic apparatuses
CN102986239B (en) For th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subscriber device to authorize the access to network service
KR2013011468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ccess to media content using placeshifting
US20110191796A1 (en) Media Player-Based Authentication
US201501955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ccess Multimedia Content
US20130160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ownload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a content service
KR20120062550A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 screen service based on terminal authent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US87456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gital rights for content
KR102052455B1 (en) 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17370A (en) Content viewing terminal, its program, and content viewing right transfer method
CN111107397A (en) Integrated encrypted content play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laying control platform
US97942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service providers to communicate with a primary service provider
US88061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request
KR20120072030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authentication
KR20110080490A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i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US95320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requesting recording at a user network device for a user recor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