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18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184B1
KR102052184B1 KR1020170114331A KR20170114331A KR102052184B1 KR 102052184 B1 KR102052184 B1 KR 102052184B1 KR 1020170114331 A KR1020170114331 A KR 1020170114331A KR 20170114331 A KR20170114331 A KR 20170114331A KR 102052184 B1 KR102052184 B1 KR 10205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ual knowledge
schema
visu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7498A (en
Inventor
권용진
문진영
오성찬
윤기민
박종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184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1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입력 영상으로부터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기 정의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따라 저장하고, 일부 또는 전체 시각지식 정보를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에서 활용하기 위한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장 및 관리 시스템은,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정보를 담은 영상 구간을 취한 후, 해당 구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인 시각지식을 생성하는 시각 지식 생성부;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미리 정의된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시각지식 저장부;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저장하고, 상기 시각지식 활용부로 제공하는 스키마 제공부; 및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와 연동하여 기 수집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시각지식 분석 또는 시각지식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시각 지식 활용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for stor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from various input images according to a predefin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utilizing part or all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In this regard, the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generates a visual knowledge that generates visual knowledge, which is standardized metadata, by taking an image sec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important information from an input image and then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 section. part; A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fined standard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A schema provider which stores the formal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provides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And a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that provides a part or all of the visual knowledge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to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alysis or visual knowledge.

Description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nd its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입력 영상으로부터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기 정의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따라 저장하고, 일부 또는 전체 시각지식 정보를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에서 활용하기 위한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from various input images according to a predefin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to analyze or analyze some or all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for use in an application service, and a method thereof.

최근, 전세계적으로 영상 데이터의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영상의 내용을 이해하여 실시간으로 감시 또는 이상 상황 감지를 하거나, 영상을 이해한 결과로부터 특정 이벤트, 상황 검색 등에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의 경우, 각 영상 내 상황마다 전문가들이 직접 태그나 메타데이터를 작성하고,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원하는 장면을 찾고자 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production of video data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the contents of video are understood and used for monitoring 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s in real time, or searching for a specific event or situation from the result of understanding the video. For example, in the case of broadcast content, a method in which an expert writes a tag or metadata directly for each situation in a video and tries to find a desired scene using keyword search is being considered.

또한, 최근에는 시각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등하면서 자동으로 영상 내 객체들을 인식하고 상황, 이벤트 등을 이해하는 기술들이 많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CCTV 분야에서는 실내외 공공장소에서 특정 장소에서 오래 머무는 객체를 감지하는 배회 감지 기술, 물건을 일정시간 이상 방치하는 상황을 감지하는 유기 감지 기술, CCTV 내 등장한 객체들을 추적하는 다중 객체 추적 기술, 갑작스러운 군중들의 행동 변화를 감지하는 비정상 이벤트 감지 기술 등 자동화된 시각지능 기술에 대해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실제 영상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Also, recently, as interest in visual intelligence technology soars, technologie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objects in images and understanding situations and event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in the field of intelligent CCTV, roaming detection technology that detects objects that stay long in a specific place in indoor and outdoor public places, organic detection technology that detects situations where objects are left for a certain time, and multi-object tracking that tracks objects in CCTV Many advances have been made in automated visu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technology, abnormal event detection technology that detects sudden changes in the behavior of crowd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apply them to real images.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법들을 통해, 영상에서 중요 정보만을 추출하여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인 “시각지식”을 생성하고, 시각지식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나 특정 이벤트 검색 등 응용 서비스 개발과 같은 다양한 활용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지식 정보를 그대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에 활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인 부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승차하다”, “자전거를 타다”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구간을 검색하고자 할 때 시각지식 정보 중 이벤트 정보와 연관 객체 정보, 영상 구간 등의 정보만 활용하는 것이 검색 응용 시스템 구축에 용이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image data, only important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mage to generate “visual knowledge”, which is standardized metadata, an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development of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analysis of visual knowledge data or specific event search. Consideration can be given to how it is used. However, there are some inefficiencies to us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for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when searching for a video section where a specific event occurs such as “ride on” or “ride on a bicycle,” it is necessary to use only information such as event information, related object information, and video section amo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May be easy.

또 다른 예로, 경로 클러스터링 등 영상 내 이동객체의 경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자 할 때 시각지식 정보 중 매 프레임별 객체의 위치 정보, 객체의 등장 프레임 등의 정보만 활용하는 것이 분석 시스템에 용이할 수 있다.
[선행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5591호(20160518)
As another example, when performing path data analysis of a moving object in an image such as path clustering, it may be easy for an analysis system to utilize only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for each frame and appearance frames of an object amo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
[Prior literatur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5591 (20160518)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중요 정보만을 추출, 내용을 인식하고 이해하여 만들어낸 시각지식을 정형화하여 저장하고, 시각지식을 분석 또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과 갖춰야 할 시스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도록 한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and store only important information from an input image, to format and store visual knowledge generated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content, and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equipping visual knowledge with analysis 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It is to provide a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각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은,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정보를 담은 영상 구간을 취한 후, 해당 구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인 시각지식을 생성하는 시각 지식 생성부;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미리 정의된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시각지식 저장부;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저장하고,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로 제공하는 스키마 제공부; 및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와 연동하여 기 수집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시각지식 분석 또는 시각지식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시각 지식 활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지식 저장부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ata defini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고 데이터 관리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거나,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기술하고, 시각지식 정보를 XML 스키마 구조에 맞는 XML 형태로 기술,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시각 지식 생성부는, 시각지식 생성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정보 입력부; 상기 영상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인 씬(scene)을 생성하는 씬 생성부; 상기 씬 생성부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씬에서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정보 생성부; 상기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간 관계 생성부; 상기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와 객체간 관계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간 관계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씬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출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씬 생성부에서 생성된 씬 정보, 상기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 시각 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지식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각 지식 저장부는,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에서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된 시각 지식을 제공하는 지식 입력부; 상기 지식정보 생성부의 씬 생성부에서 생성된 씬 정보를 저장하는 씬 정보 저장부; 상기 지식정보 생성부의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 정보 저장부; 상기 지식 정보 생성부의 이벤트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이벤트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들을 저장한 이후, 빠른 질의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색인 구조를 생성하는 색인 구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각 지식 활용부는, 시각지식 활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구성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고, 응용 방법에 맞도록 스키마를 구성하는 스키마 구성부; 상기 스키마 구성부에서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필요한 시각지식 정보를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스키마 구성부에서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아 데이터 가공, 질의문 생성, 데이터 시각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제어부; 사용자와 연동하여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구사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검색요구에 따라 데이터 제어부의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의 결과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은,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정보를 담은 영상 구간을 취한 후, 해당 구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인 시각지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미리 정의된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및 기 수집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시각지식 분석 또는 시각지식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ata defini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고 데이터 관리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거나,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기술하고, 시각지식 정보를 XML 스키마 구조에 맞는 XML 형태로 기술,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시각 지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시각지식 생성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인 씬(sce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씬에서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객체간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정보와 객체간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씬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출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에 따라 시각 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된 시각 지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씬 정보, 객체 정보,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들을 저장한 이후, 빠른 질의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색인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단계는, 시각지식 활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구성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고, 응용 방법에 맞도록 스키마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필요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 가공, 질의문 생성, 데이터 시각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와 연동하여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구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검색요구에 따라 상기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의 결과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aking an image s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important information from an input image, and then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 section. A visual knowled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visual knowledge which is standardized metadata; A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fined standard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A schema provider which stores the formal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provides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And a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that provides a part or all of the visual knowledge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to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alysis or visual knowledge.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may define a database schema using a data definition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using a data manipulation language. In addition, it describes the structure for storing using XML schema and stores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XML, which is suitable for XML schema structure, in the form of file.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n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that is a target of visual knowledge generation; A scene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scene, which is an image section including a specific event occurring in an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An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appearing in at least one or more scenes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An inter-object relationship generation uni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the information; An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n event occurring in a corresponding scene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the relationship generation information between objects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generation unit; And a knowledge generator for generat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and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or.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may include: a knowledge input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visual knowledge structure by us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and to provide the analyzed visual knowledge; A scen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ion unit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 objec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 ev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an index structur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various types of index structures for quick querying and efficient management after storing the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may include: a schema constructing unit configured to analyze a method of storing or constructing data necessary for utilizing visual knowledge, and to configure a schema according to an application method; A dat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necessary based on a schema configured in the schema constructing unit;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based on a schema configured in the schema constructing unit; A dat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data necessary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from the data storage unit and performs operations such as data processing, query generation, and data visualization;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parate requirement from a user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a user; And a resul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of the data controller to the user using a separate interface according to a user search reques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ke a video sec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important information from the input image, and then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orresponding section, Generating visual knowledge; Storing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fined standard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Storing the formal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providing a stored formal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providing part or all of the previously collected visual knowledge to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alysis or visual knowledge.
The storing may include defining a database schema using a data definition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stor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using a data manipulation language. In addition, it describes the structure for storing using XML schema and stores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XML, which is suitable for XML schema structure, in the form of file.
The generating of the visual knowledge may include receiving an image that is a target of visual knowledge generation; Generating a scene, which is an image section including a specific event occurring in the input image;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appearing in each of the at least one generated scene;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using the generated object information to generat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n event occurring in a corresponding scene by using the generated object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And generat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ed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The storing may include analyzing the visual knowledge structure using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n providing the analyzed visual knowledge; Storing the generated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fter storing the stored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generating an index structure of various types for quick query and efficient management.
The providing to the application service may include analyzing a method of storing or configuring data necessary for utilizing visual knowledge, and constructing a schema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method; Receiving necessary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from a storage device based on the configured schema; Storing the receiv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gured schema; Receiving data necessary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d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data processing, query generation, and data visualization; Receiving a separate requirement from a user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a user; And outputting a result of the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to a user using a separate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 search request.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중요 정보를 담은 영상 구간에 대한 정형화된 시각지식을 생성하여 이를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맞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 저장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시각지식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 개발 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 정보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ardized visual knowledge of an image section containing important information from an input image can be generated and stored and managed according to a standard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utilize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in the visual knowledge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development, including a method and components for providing some or all of the previously stored visual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지식 저장 정보 및 관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각 지식 생성부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각 지식 저장부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각 지식 저장부의 자료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각 지식 활용부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시각 지식 활용부 스키마 구조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illustrated in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shown in FIG. 1;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m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different drawings.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hav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r does not mean that they have the same func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Judgment should be made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은, 시각지식 생성부(10), 시각지식 저장부(20), 스키마 제공부(30) 및 시각지식 활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10, a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a schema providing unit 30, and a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 May be included.

시각지식 생성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정보를 담은 영상 구간을 취한 후, 해당 구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인 시각지식을 생성하여 시각 지식 저장부(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영상은 기 저장된 영상 파일, CCTV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계속 저장되는 스트림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and after taking an image sec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important information from the input image, and visualize the metadata as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 section The knowledge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Here, the input image may include a stream image which is continuously stored, such as a pre-stored image file, CCTV, and the like.

한편, 상기 중요 정보를 담는 영상 구간은 적용 분야에 따라, 사람의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또는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전체 영상 중 일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 정보를 담는 영상 구간을 화면 전환이 발생하여 다음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순간까지로 정하거나, 움직이는 객체가 등장하여 사라질 때까지로 정하거나, optical flow 등의 수치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으로 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section containing the important information may determine a part of the entire image according to an application field, a subjective standard of a person, or an automated algorithm. For example, an image section containing important information may be set to the moment when a screen change occurs and the next screen change occurs, or until a moving object appears and disappears, or the magnitude of a numerical value such as an optical flow increases rapidly. It may include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erval.

시각지식은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 내에 담겨있는 정보를 정형화된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다만 여기서의 시각지식은 단순한 객체 정보와 이벤트 정보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세부 속성들도 같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의 경우 대표 색깔, 프레임별 색깔, 추정 크기, 움직임 여부 또는 평균 속도, 특징점 벡터, 객체가 사람인 경우 신체 부위 등을, 이벤트 정보의 경우 이벤트 정보간 인과 관계, 포함 관계, 상하 관계, 시공간 특징점 벡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Visual knowledge is a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contained in an image section including important information in a standardized metadata format. However, the visual knowledge here may include not only simple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but also detailed properties thereof. For example, in case of object information, representative color, color by frame, estimated size, motion or average speed, feature point vector, body part when object is huma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vent information, inclusion relation, upper and lower Relationships, space-time feature point vectors, and the like.

시각지식 저장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각지식 생성부(10)와 연동하여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in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그리고, 시각지식 저장부(20)는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미리 정의를 해놓고, 시각지식 정보를 이에 맞추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지식 저장부(2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ata defini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고 데이터 관리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각지식 저장부(20)는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기술하고, 시각지식 정보를 XML 스키마 구조에 맞는 XML 형태로 기술,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define a formal schema or data structure in advance, and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ly. For example,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defines a database schema using a data definition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uses a data manipulation languag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can be stored. As another example,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describe a structure for storing using an XML schema, and may store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a XML form corresponding to the XML schema structure and in a file format.

시각지식 저장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각지식 생성부(10)에서 제공한 시각지식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include all of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t least on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시각지식 활용부(40)는 시각지식 저장부(20)와 연동하여 기 수집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시각지식 분석 또는 시각지식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지식에 기술되어 있는 객체들의 매 프레임 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클러스터링, 영상 내 의미 영역 분석 등 영상 내 이동 객체의 경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use part or all of the visual knowledge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to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alysis or visual knowledge. For exampl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frame of the objects described in the visual knowledge can be used to analyze the path data of the moving object in the image, such as path clustering, semantic region analysis in the image.

또 다른 예로, 시각 지식 활용부(40)는 시각지식 정보 중 이벤트 정보, 연관 객체 정보, 영상 구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구간을 검색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for searching for an image section in which a specific event occurs using information such as event information, related object information, and image section amo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시각지식 활용부(40)는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 종류에 따라 시각지식 정보 일부만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갖출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have a separate schema or dat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only part of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type.

또한, 시각지식 활용부(40)는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 정보를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와는 다른 방식의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갖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have a schema or dat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schema or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in part or all of the visual knowledge.

시각지식 활용부(40)는 공개적으로 또는 별도로 제공하는 OAuth 등과 같은 인증을 받은 개발자, 사용자 등에 한정하여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파일 전송, 브라우저 등의 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이용한 파일 전송, API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등의 방법을 통해 시각지식 저장부(20)로부터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is limited to a developer, a user, or the like authorized to provide OAuth or the like publicly or separately, file transfer using a network protocol, file transfer using a file download function such as a browser, data transfer using an API, and the like. Through the method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some or all of the visual knowledge.

스키마 제공부(30)는 시각지식 저장부(20)에서 기 정의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문서, API 공개, 포털(portal) 등의 방법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The schema provider 3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schema or data structure predefined by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20. Such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document, an API disclosure, a portal, or the like.

시각지식 활용부(40)는 공개적으로 또는 스키마 제공부(30)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OAuth 등과 같은 인증 방법을 통해 스키마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 schema or data structure provided by the schema provider through an authentication method such as OAuth, which is publicly provided or separately provided by the schema provider 3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지식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동작 원리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system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지식 생성부(10)는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시각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 시각지식 저장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지식 생성부(10)로부터 시각지식을 제공받아 기 정의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따라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may generate visual knowledge from an input image.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receive visual knowledge from at least on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and store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schema or data structure.

또한, 시각지식 저장부(20)는 스키마 제공부(30)와 연동하여 기 정의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한 정보를 스키마 제공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각지식 활용부(40)는 시각지식 저장부(20)와 연동하여 기 수집된 시각지식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공받아 시각지식 분석 또는 시각지식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에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provide the schema provider 30 with information about a schema or data structure that is defined in cooperation with the schema provider 30. The at least on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be used to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alysis or visual knowledge by receiving some or all of the pre-collected visu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시각지식 활용부(40)는 스키마 제공부(30)를 통해 시각지식 저장부(20)에서 사용하는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각지식 저장부(20)에서 제공하는 시각지식은 시각지식 활용부(40)에서 사용하는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로 변환될 수 있다.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chema or data structure used by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through the schema provider 30, and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The visual knowledge may be converted into a schema or data structure used by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또한, 시각지식 활용부(40)는 별도의 입력부와 출력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연동하여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tilizing visual knowledge by interworking with at least one user through separate input and output units.

스키마 제공부(30)는 시각지식 저장부(20)에서 사용하는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chema provider 30 may store information on a schema or data structure used by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20.

그리고, 스키마 제공부(30)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지식 활용부(40)와 연동하여 기 저장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hema providing unit 30 may provide a pre-stored schema or data structure in association with the at least on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서 시각지식 생성부(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Here,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10 in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서 시각지식 생성부(1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in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지식 생성부(10)는 영상 정보 입력부(11), 씬 생성부(12), 객체 정보 생성부(13), 객체간 관계 생성부(14), 이벤트 정보 생성부(15) 및 지식 생성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10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1, a scene generation unit 12, an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 an inter-object relationship generation unit 14, and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The unit 15 and the knowledge generator 16 may be included.

영상 정보 입력부(11)는 시각지식 생성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입력으로 받어 씬 생성부(12)로 제공한다. 이때, 입력 영상은 기 저장된 영상 파일, CCTV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계속 저장되는 스트림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1 receives an image, which is the object of visual knowledge generation, as an input and provides it to the scene generator 12. In this case, the input image may include a pre-stored image file, a stream image that is continuously stored, such as CCTV.

씬 생성부(12)는 영상 정보 입력부(1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인 씬(scene)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게 촬영된 CCTV 영상의 경우, 평소에는 유사한 배경 화면들만 지속적으로 촬영되지만 간혹 사람이나 자동차 등 객체가 등장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구간을 씬으로 간주하고, 해당 씬에 대해서만 시각지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The scene generator 12 may generate a scene, which is an image section including a specific event occurring in the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1.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ong CCTV video, only similar background screens are constantly photographed, but sometimes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a car may appear to generate an event. Considering this video section as a scene, and generating and storing visual knowledge only for the scene enables an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configuration.

객체 정보 생성부(13)는 씬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씬에서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정보는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태그를 달아 생성하거나, 자동화된 객체 검출 및 인식 알고리듬을 통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13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objects appearing in at least one or more scenes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12. Here,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 human being directly tagged and tagged or automatically generated by an automated object detection and recognition algorithm.

객체간 관계 생성부(14)는 객체 정보 생성부(13)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공간 관계를 분석하여 두 객체가 가까워지거나, 계속하여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객체간 관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The object-to-object relationship generator 14 ma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using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13 and generate the information.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spatial relationship of the objects, it is possible to extract information such that the two objects are closer to each other, o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and to generate the information between the objects.

이벤트 정보 생성부(15)는 객체 정보 생성부(13)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와 객체간 관계 생성부(14)에서 생성된 객체간 관계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씬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씬에서 객체로 사람과 차가 등장하며, 객체간 관계 정보로 사람과 차가 근접해 있다가 곧 이어 사람이 사라지는 경우 “사람이 차에 타다”라는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 detects an event occurring in a corresponding scene by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 and the relationship generating information between the objects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generating unit 14 and th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in a scene, when a person and a car appear as an object, and the person and the car are near by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and soon after the person disappears, the event may be recognized as “a person gets into the car”.

지식 생성부(16)은 씬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씬 정보, 객체 정보 생성부(13)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생성부(15)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 시각 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The knowledge generator 16 generates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12,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13, and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or 15. To generate.

한편,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서 시각지식 저장부(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Meanwhile,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in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shown in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지식 저장부(20)는, 지식 입력부(21), 씬 정보 저장부(22), 객체 정보 저장부(23), 이벤트 정보 저장부(24) 및 색인 구조 생성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generates a knowledge input unit 21, a scen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an object information storage unit 23, an event information storage unit 24, and an index structure. It may include a portion (25).

지식 입력부(21)는 시각지식 생성부(10)에서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구조를 분석한 후 필요한 부분들을 씬 정보 저장부(22), 객체 정보 저장부(23), 이벤트 정보 저장부(24)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각 지식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각 지식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씬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씬 정보, 객체 정보 생성부(13)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생성부(15)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knowledge input unit 21 analyzes the visual knowledge structure us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and then extracts necessary parts from the scen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the object information storage unit 23, and event information. It may be provided to the storage unit 24. Here,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10 may include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12 illustrated in FIG. 3,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13. It may includ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15.

씬 정보 저장부(22)는 시각지식 중 지식정보 생성부(10)의 씬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cen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may store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12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or 10 of visual knowledge.

객체 정보 저장부(23)는 시각지식 중 지식정보 생성부(10)의 객체 정보 생성부(13)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객체 정보는 씬에서 검출하기 때문에 객체 정보는 씬 정보에 종속적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object information storage unit 23 may stor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of visual knowledg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object information is detected in the scene,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form dependent on the scene information.

이벤트 정보 저장부(24)는 시각지식 중 지식정보 생성부(10)의 이벤트 정보 생성부(14)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는 객체 정보와 객체간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기 때문에 객체 정보에 종속적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event information storage unit 24 may stor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or 14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or 10 of visual knowledg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since event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object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the ev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form dependent on the object information.

색인 구조 생성부(25)는 상기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들을 저장한 이후, 빠른 질의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색인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After storing the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the index structure generator 25 may generate various types of index structures for quick querying and efficient management.

이하, 상기한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자료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Hereinafter, the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자료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자료 구조는 구성적 항목(Syntactics)과 의미적 항목(Semantics)에 상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constituent items (Syntactics) and semantics (Semantics).

구성적 항목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씬 정보(Scenes)가 저장될 수 있다. 씬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Frames)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At least one scene information (Scenes) may be stored in the configuration item. The scen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frame information (Frames).

그리고, 구성적 항목에는 씬 내에서 검출된 객체 정보들(Objects)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정보는 매 프레임마다 검출된 위치 정보(ObjectObserva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위치 정보는 검출된 프레임에 대한 참조, X축 좌표, Y축 좌표, 가로 길이, 세로 길이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의미적 항목에는 씬 내에서 검출된 이벤트 정보들(Events)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와 관계를 갖고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object information detected in the scene may be stored in the constituent item. Here, the object information may store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bjectObservations) every frame. For example, the object posi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reference to the detected frame, an X axis coordinate, a Y axis coordinate,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The semantic item may store event information (Events) detected in the scene. In this case, the ev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relationship with at least one object information.

상기 이벤트 정보는 매 프레임마다 검출된 위치 정보(EventObserva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위치 정보는 객체 위치 정보와 유사한 방법으로 검출된 프레임에 대한 참조, X축 좌표, Y축 좌표, 가로 길이, 세로 길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The event information may store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EventObservations) every frame. For example, the ev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reference to the detected frame, an X axis coordinate, a Y axis coordinate,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in a similar manner to the object location information.

한편, 도 1에 도시된 시각 지식 활용부(40)에 대한 상세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자.Meanwhile,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illustrated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지식 활용부(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지식 활용부(40)는 스키마 구성부(41), 데이터 수신부(41), 데이터 저장부(43), 데이터 제어부(44), 사용자 입력부(45) 및 결과 출력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includes a schema constructing unit 41, a data receiving unit 41, a data storage unit 43, a data control unit 44, a user input unit 45, and a result output. It may include a portion 46.

스키마 구성부(41)는 시각지식 활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구성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응용 방법에 맞게 스키마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각지식 저장부(20)에서 사용한 시각지식 스키마 또는 저장 구조를 스키마 제공부(30)로부터 제공받아 스키마의 구성 시 참조할 수 있다. The schema configuration unit 41 may analyze a method of storing or configuring data necessary for utilizing visual knowledge, and may perform a task of creating a schema according to an appl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visual knowledge schema or storage structure used by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may be provided from the schema provider 30 to be referred to when constructing the schema.

데이터 수신부(42)는 스키마 구성부(41)에서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필요한 시각지식 정보를 시각지식 저장부(20)로부터 제공받는다. The data receiver 42 receives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necessary from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based on the schema configured in the schema configuration unit 41.

데이터 저장부(43)는 스키마 구성부(41)에서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데이터 수신부(42)를 통해 수신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43 may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42 based on the schema configured in the schema forming unit 41.

데이터 제어부(44)는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3)로부터 제공받아 데이터 가공, 질의문 생성, 데이터 시각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ata controller 44 may receive data necessary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from the data storage unit 43 and perform operations such as data processing, query generation, and 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제어부(44)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45)로부터 별도의 요구사항을 제공받아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 제공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지식을 이용한 검색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검색 대상을 요구사항으로 받아 데이터 저장부(43)로부터 검색하기 위한 질의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data controller 44 may receive a separate requirement from the user input unit 45 and reflect the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earch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 query may be generated to search from the data storage unit 43 by receiving a search target as a requirement.

사용자 입력부(45)는 사용자와 연동하여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구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지식을 이용한 검색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 싶은 검색 대상, 가령 “사람”, “자동차”, “가방” 등과 같은 객체 타입이나 “승차하다”, “자전거를 타다” 등과 같은 이벤트 타입 등을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45 may receive a separate requirement from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earch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an object type such as "People", "Car", "Bag", etc., such as "People", "Ride", "Ride", " Ride a bicycle ”, etc. You can enter the type of event.

결과 출력부(46)는 사용자 입력부(45)를 통해 사용자 검색요구에 따라 데이터 제어부(44)의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의 결과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해줄 수 있다.
The result output unit 46 may outp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of the data controller 44 to the user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 search reques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4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지식 검색 응용의 예에서 도 6에서의 시각지식 활용부(40) 내 데이터 저장부(43)가 사용하는 스키마 구조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시각지식 검색 응용의 예는 사용자가 검색하고 싶은 이벤트 타입, 예를 들어 “승차하다”, “자전거를 타다” 등이 도 6의 사용자 입력부(45)를 통해 입력되면, 도 6의 데이터 제어부(44)는 도 6의 데이터 저장부(43)에서 해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씬 정보와 연관 객체들, 해당 이벤트가 시작하는 시점 등을 가져오기 위한 질의문을 작성하여 데이터 저장부(43)에서 필요한 시각지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도 6의 결과 출력부(46)에 시각지식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hema structure used by the data storage unit 43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in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s an example of the visual knowledge search application, when the event type that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example, “ride on”, “ride on a bicycle”,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45 of FIG. 6, the data controller of FIG. In the data storage unit 43 of FIG. 6, the data storage unit 43 generates a query for obtaining scen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event, related objects,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corresponding event starts. After receiv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 case in which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result output unit 46 of FIG. 6 and outputted to the user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지식 활용부(40)는 씬(Scenes) 테이블과 이벤트(Events)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may include a scene table and an events table.

씬 테이블은 씬에 대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영상 파일 위치(VideoLocation), 영상 해상도(VideoResolution), 영상 프레임 속도(VideoFps), 씬 시작 지점(FrameStart)과 씬 종료 지점(FrameEn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cene table stores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scene and may include a video file location (VideoLocation), a video resolution (VideoResolution), a video frame rate (VideoFps), a scene start point (FrameStart), and a scene end point (FrameEnd). .

이벤트 테이블은 씬 테이블에 대한 참조(SceneRef)를 통해 이벤트가 씬에 종속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vent table can make the event dependent on the scene through a reference to the scene table (SceneRef).

이벤트 테이블은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 객체 정보(Subject, Object1, Object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그 외에도 이벤트 이름(Activity), 이벤트 시작 지점(FrameStart), 이벤트 종료 지점(FrameEn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vent table may include object information (Subject, Object1, Object2) for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Here, the event may further include an event name (Activity), an event start point (FrameStart), and an event end point (FrameEnd).

도 5에 도시한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자료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도 7에 도시한 시각지식 활용부(40)의 스키마 구조는 원 자료 구조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항목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시각지식 활용부(40)의 스키마 구조는 도 5의 시각지식 저장부(20)의 자료 구조에서 사용하는 ObjectObservtions, EventObservations 항목을 포함하지 않는다.
Compared with the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shown in FIG. 5, the schem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shown in FIG. 7 does not use the form of the original data structure as it is. The item may not be used. For example, the schem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0 of FIG. 7 does not include ObjectObservtions and EventObservations items used in the data structure of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0 of FIG. 5.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just one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시각지식 생성부 11 : 영상 정보 입력부
12 : 씬 생성부 13 : 객체 정보 생성부
14 : 객체 간 관계 생성부 15 : 이벤트 정보 생성부
16 : 지식 생성부 20 : 시각지식 저장부
21 : 지식 입력부 22 : 씬 정보 저장부
23 : 객체 정보 저장부 24 : 이벤트 정보 저장부
30 : 스키마 제공부 40 : 시각지식 활용부
41 : 스키마 구성부 42 : 데이터 수신부
43 : 데이터 저장부 44 : 데이터 제어부
45 : 사용자 입력부 46 : 결과 출력부
10: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11: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2: Scene generation unit 13: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generation unit 15: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6: knowledge generation unit 20: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21: Knowledge input unit 22: Scene information storage unit
23: object information storage unit 24: ev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0: schema providing unit 40: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41: schema configuration unit 42: data receiving unit
43: data storage 44: data control
45: user input unit 46: result output unit

Claims (10)

시각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객체들을 포함하는 영상 구간을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객체들에 대한 객체 정보, 상기 객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간 관계 정보, 상기 객체 정보와 상기 객체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정형화된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표현한 시각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지식 생성부;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와 연동하여, 미리 정의된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에 따라 상기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시각지식 저장부;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를 제공하는 스키마 제공부; 및
상기 스키마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를 참조하여,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에 따라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에 따라 저장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지식 활용을 위한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시각 지식 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In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Recognizing an image section including objects from an input image by using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object information on the objects,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object A visual knowledge generating unit generat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expressing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 a standardized metadata format;
A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standardized schema structure in association with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ng unit;
A schema provider for storing the formalized schema structure provided from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and providing the stored formalized schema structure; And
By referring to the formal schema structure provided from the schema provider, construct a schema structure necessary to use the visual knowledge, and store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chema structure necessary to use the visual knowledge And a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 for utilizing the visual knowledge by using the stor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hema structure necessary for utilizing the visual knowl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지식 저장부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ata defini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고 데이터 관리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거나,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기술하고, 시각지식 정보를 XML 스키마 구조에 맞는 XML 형태로 기술,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Define a database schema using a data definition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using a data manipulation language, or use an XML schema. A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for describing a structure for storing and stor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an XML form that conforms to the XML schema structure, in a file form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지식 생성부는,
시각지식 생성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정보 입력부;
상기 영상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인 씬(scene)을 생성하는 씬 생성부;
상기 씬 생성부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씬에서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정보 생성부;
상기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간 관계 생성부;
상기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와 객체간 관계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간 관계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씬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출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씬 생성부에서 생성된 씬 정보, 상기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 시각 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지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An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image to be visually generated;
A scene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scene, which is an image section including a specific event occurring in an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An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appearing in at least one or more scenes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An inter-object relationship generation uni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the information;
An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n event occurring in a corresponding scene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the relationship generation information between objects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generation unit; And
And stor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based on the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or,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or, and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or.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지식 저장부는,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에서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된 시각 지식을 제공하는 지식 입력부;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의 씬 생성부에서 생성된 씬 정보를 저장하는 씬 정보 저장부;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의 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 정보 저장부;
상기 시각지식 생성부의 이벤트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이벤트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들을 저장한 이후, 빠른 질의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색인 구조를 생성하는 색인 구조 생성부를 포함하는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A knowledge input unit for analyzing the visual knowledge structure us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isual knowledge generator and providing the analyzed visual knowledge;
A scen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sce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cene generation unit of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An objec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An ev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on unit; And
And storing the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index structure for quick querying and efficient manage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지식 활용부는,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를 구성하는 스키마 구성부;
상기 스키마 구성부에서 구성된 스키마 구조를 기준으로 필요한 시각지식 정보를 상기 시각지식 저장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스키마 구성부에서 구성된 스키마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시각지식 정보에 대해 데이터 가공, 질의문 생성, 데이터 시각화를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제어부;
사용자와 연동하여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구사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검색요구에 따라 데이터 제어부의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의 결과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A schema constructing unit constituting a schema structure necessary to utilize visual knowledge;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necessary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based on the schema structure configured in the schema constructing unit from the visual knowledge storing unit;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based on a schema configured in the schema constructing unit;
A dat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operations including data processing, query generation, and data visualization on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parate requirement from a user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a user; And
And a result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result of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of a data controller to a user using a separate interface according to a user search reques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시각 지식 생성부가,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객체들을 포함하는 영상 구간을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객체들에 대한 객체 정보, 상기 객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간 관계 정보, 상기 객체 정보와 상기 객체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정형화된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표현한 시각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시각지식 저장부가, 상기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미리 정의된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에 따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스키마 제공부가,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또는 자료 구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시각 지식 활용부가, 상기 스키마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정형화된 스키마 구조를 참조하여,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에 따라 상기 생성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에 따라 저장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지식 활용을 위한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
The visual knowledge generating unit recognizes an image section including objects from an input image by using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and includes object information on the objects, inter-object relationship information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and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expressing event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relation information between objects in a standardized metadata format;
A visual knowledge storage unit, storing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defined standardized schema structure;
A schema provider for storing the formalized schema or data structure and providing a stored formalized schema structure; And
The visual knowledge utilization unit constructs a schema structure necessary for utilizing visual knowledge by referring to the formalized schema structure provided from the schema provider, and stores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hema structure necessary for utilizing the visual knowledge. And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 for utilizing the visual knowledge by using the stor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hema structure necessary for utilizing the visual knowled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ata defini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고 데이터 관리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거나,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기술하고, 시각지식 정보를 XML 스키마 구조에 맞는 XML 형태로 기술,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oring step,
Define a database schema using a data definition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stor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using a data manipulation language, or use an XML schema. A method of storing and manag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by describing a structure for storing and storing th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in an XML form conforming to the XML schema structure and in a file form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지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시각지식 생성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인 씬(sce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씬에서 등장하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객체간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객체 정보와 객체간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씬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출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에 따라 시각 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Generating the visual knowledge,
Receiving an image that is a target of visual knowledge generation;
Generating a scene, which is an image section including a specific event occurring in the input image;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appearing in each of the at least one generated scene;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using the generated object information to generat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n event occurring in a corresponding scene by using the generated object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objects; And
And generating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ed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시각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지식 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된 시각 지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씬 정보, 객체 정보,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씬 정보, 객체 정보 및 이벤트 정보들을 저장한 이후, 빠른 질의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색인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ring step,
Analyzing the visual knowledge structure using the generat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analyzed visual knowledge;
Storing the generated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nd storing the stored scene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nd then creating an index structure for quick querying and efficient manage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단계는,
시각지식 활용에 필요한 스키마 구조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스키마 구조를 기준으로 필요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스키마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시각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시각지식 정보에 대해 데이터 가공, 질의문 생성, 데이터 시각화를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와 연동하여 시각지식을 활용한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구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검색요구에 따라 상기 분석 또는 응용 서비스의 결과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시각 지식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Providing to the application service,
Constructing a schema structure necessary for utilizing visual knowledge;
Receiving necessary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from a storage device based on the configured schema structure;
Storing the receiv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gured schema structure;
Performing operations including data processing, query generation, and data visualization on the stored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Receiving a separate requirement from a user to provide an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using visu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a user; And
And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or application service to a user using a separate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 search request.
KR1020170114331A 2017-09-07 2017-09-07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KR1020521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31A KR102052184B1 (en) 2017-09-07 2017-09-07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31A KR102052184B1 (en) 2017-09-07 2017-09-07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98A KR20190027498A (en) 2019-03-15
KR102052184B1 true KR102052184B1 (en) 2019-12-04

Family

ID=6576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331A KR102052184B1 (en) 2017-09-07 2017-09-07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18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63B1 (en) * 2003-11-26 2011-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ata Structure, System and Method for Event Repor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531B1 (en) * 2014-06-10 2016-03-16 주식회사 유니인포 SYSTEM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 SaaS BASED VIDEO SERVICE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53709B1 (en) * 2014-11-10 201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ation of editable visual obj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63B1 (en) * 2003-11-26 2011-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ata Structure, System and Method for Event Repor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98A (en)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462B2 (en) Real-time human-machine collaboration using big data driven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JP644697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563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lating and viewing disparate data
US20160357762A1 (en) Smart View Selection In A Cloud Video Service
TW201826141A (en) A method for generating alert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2271929B1 (en) Method for generating video synopsis through scene understanding and system therefor
KR1015632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ction in video
CN103004188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70034483A1 (en) Smart shift selection in a cloud video service
US10825310B2 (en) 3D monitoring of sensors physical location in a reduced bandwidth platform
Nawaratne et al. Incremental knowledge acquisition and self-learning for autonomous video surveillance
Blasch et al. Video-based activity analysis using the L1 tracker on VIRAT data
CN106603999A (en) Video monitoring alarming method and system
Marroquin et al. Ontology for a Panoptes building: Exploit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a smart camera network
EP3889943A1 (en) Real-time scene mapping to gps coordinates in traffic sensing o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0719552B2 (en) Focalized summarizations of a video stream
Greco et al. On the use of semantic technologies for video analytics
US10902249B2 (en) Video monitoring
KR1020521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rimitive visual knowledge information
Panta et al. Modeling metadata of CCTV systems and Indoor Location Sensors for automatic filtering of relevant video content
Bouma et al. WPSS: Watching people security services
KR102397839B1 (en) A captioning sensor apparatus based on image analysi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Velipasalar et al. Detection of user-defined, semantically high-level, composite events, and retrieval of event queries
Shah et al. Visionary Eye for Visual Impairment
CN117998039A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