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39B1 -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39B1
KR102051539B1 KR1020130011021A KR20130011021A KR102051539B1 KR 102051539 B1 KR102051539 B1 KR 102051539B1 KR 1020130011021 A KR1020130011021 A KR 1020130011021A KR 20130011021 A KR20130011021 A KR 20130011021A KR 102051539 B1 KR102051539 B1 KR 10205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search
user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8418A (en
Inventor
김영선
강남욱
김신애
류종현
최승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39B1/en
Publication of KR2014009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컨텐츠의 검색 요청 시 사용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컨텐츠의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use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monitoring the use of the user's content and storing the user's usage information on the content; Receiving a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Performing a search on the content based on user usage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And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as the search result.
As a result, when the content is requested to be searched, information of content that is highly relevant to the user can be provided as a search result.

Description

사용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device for performing a search for content and providing a search result to a us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TV, PC 등과 같은 사용자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User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TVs, PCs, and the like allow users to use various types of content. In addition, the user device may perform a search for th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provide the search result.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컨텐츠 검색에서는, 검색 수단(키워드 등)이나, 검색 소스(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곳)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한계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tent retriev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retrieval means (keyword or the like) and the retrieval source (where the content is stored) are predetermined, there is a limit in finding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예컨대, 어떠한 사진을 가지고 검색을 하고자 한다면, 검색의 키워드로 이용될 사진의 메타데이터는, 이를 테면, 사진 속의 인물의 이름, 입고 있는 옷 등과 같이 검색 엔진이 미리 정해 놓은 것에 한정되므로, 사용자는 그 메타데이터를 미리 알지 못한다면, 검색 결과로서 받을 정보가 원하는 것이 되기 어려울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search with a picture, the metadata of the picture to be used as a keyword of the search is limited to that predefined by the search engine such as the name of the person in the picture, the clothes to be worn, and so on. Without knowing the metadata in advance, the information to be received as a search resul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또한, 검색 소스도 사용자장치에서 구동되는 검색 엔진의 경우 사용자장치 내에 저장된 컨텐츠만으로 한정되거나, 혹은 웹 검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웹 검색 서비스에서 액세스 가능한 컨텐츠만으로 한정되므로, 사용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가져오는 데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source is also limited to only the content stored in the user device in the case of a search engine running on the user device, or limited to only the content accessible from the web search service when using a web search, so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 have a hard time bring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의 검색 요청 시 사용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컨텐츠의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provide, as a search result, information of content having a high relevance to a user when a content search request is mad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onitoring the use of the user's content and storing the user'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Receiving a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Performing a search on the content based on user usage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It may be achieved by a control method of a user device comprising providing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as a result of the search.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위하여 복수의 검색 대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검색 대상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arch targets to search for the content, and the performing of the search may include searching for the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earch target. It may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상기 검색 대상은, 상기 사용자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 상기 사용자장치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 및 상기 사용자장치에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search target may be at least one of an SNS service or a cloud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user device, an application or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and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search may include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through a network.

상기 서버는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provides an SNS service or a cloud service, and the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the user uses the content based on the SNS service or the cloud service.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search may include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컨텐츠의 항목과, 검색요청 수신영역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검색요청 수신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경우 상기 검색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a us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n item of the content and a GUI including a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and the receiving of the search request comprises: the user requesting the search item of the content; In case of dragging and dropping to the reception area, determining that the search request has been receiv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저장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명령수신부와;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명령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A command receiv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a user command; Monitoring the use of the user's content to store the user's usag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 the storage unit, and receives the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through the command receiving unit, the user's usage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It can also be achieved by the user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search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as a search resul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위하여 복수의 검색 대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검색 대상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search targets to search for the content and perform a search on the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earch target.

상기 검색 대상은, 상기 사용자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 상기 사용자장치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 및 상기 사용자장치에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search target may be at least one of an SNS service or a cloud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user device, an application or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and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triev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through a network.

상기 서버는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provides an SNS service or a cloud service, and the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the user uses the content based on the SNS service or the cloud ser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사용자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항목과, 검색요청 수신영역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검색요청 수신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경우 상기 검색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 GUI including an item of the content and a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on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sends the item of the content to the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When dragging and dropp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arch request has been receiv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검색 요청 시 사용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컨텐츠의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ent search request is made, information of content highly related to a user can be provided as a search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수행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과정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수행하는 컨텐츠의 검색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가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1 shows an example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earch process for content performed by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of searching for content performed by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device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user device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a user device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user device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device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of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사용자장치(1)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TV, PC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는, 예컨대, 비디오컨텐츠, 오디오컨텐츠 및 텍스트컨텐츠는 물론, 사진, 그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 혹은 '앱'이라 함) 등도 포함한다.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용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검색 결과는 이용되고 있는 컨텐츠의 관련정보로서, 사용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정보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shows an example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1 enables a user to use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V, a PC, and the lik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video content, audio content, and text content, as well as photographs, pictures, application progr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tion" or "app"), and the like. The user device 1 performs a search for the content being us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to the user. The search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used,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 user.

사용자장치(1)는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장치(1) 내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네트워크(5)를 통해 연결된 서버(2)에 저장된 정보(서버(2)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정보 포함)를 제공하거나, 네트워크(5)를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3)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장치(1)에 직접 또는 가까이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4)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2)는, 이른바, 소셜네트워킹서비스(이하, 'SNS서비스'라 함)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검색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해당 SNS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로드 혹은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혹은, 서버(2)는, 이른바,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검색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해당 클라우드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로드 혹은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사용자장치(3)는, 네트워크(5)를 통해 사용자장치(1)와 원격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검색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장치(3)로 전송한 것이나, 다른 사용자장치(3)로부터 전송 받은 것일 수 있다. 다른 사용자장치(4)는, 직접 또는 와이파이, LAN 등(도시 안됨)을 통해 사용자장치(1)와 연결된 것으로서, 검색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장치(4)로 전송한 것이나, 다른 사용자장치(4)로부터 전송 받은 것일 수 있다.The user device 1 provid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evice 1 as a search result, o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2 connected via the network 5 (including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by the server 2). Or provide information stored in another user device 3 remotely connected via the network 5 or provide information stored in another user device 4 directly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user device 1. The serv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alled social networking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SNS service'), and the searched content is uploaded or downloaded by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SNS service. It may be. Alternatively, the server 2 is a so-called server that provides a cloud service, and the searched content may be uploaded or downloaded by the user using the cloud service. The other user device 3 is remotely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 via the network 5, and the content to be retrieved is transmitted by the user to the other user device 3 or transmitted from the other user device 3. It may have been received. The other user device 4 is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 directly or via Wi-Fi, LAN, or the like (not shown), and the content to be retrieved is transmitted by the user to the other user device 4 or other user device ( 4) may have been receiv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수행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과정을 도시한다.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부호 21 참조). 검색할 컨텐츠는 제한이 없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진, 음악, 영화, 텍스트 등 다양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은 사용자가 당해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다가, 해당 컨텐츠의 관련정보가 궁금해 지면, 곧바로 컨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장치(1)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검색을 수행한다(부호 22 참조). 사용자장치(1)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였던 이력에 관한 정보(이하, '이용정보'라 함)에 기초할 수 있다. 컨텐츠의 이용정보는, 예컨대, 서버(2)의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업로드하였거나, 다운로드한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1)는 컨텐츠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부호 23 참조). 예컨대, 사용자장치(1)는 컨텐츠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서버(2)의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로드 혹은 다운로드한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서버(2)를 통해 검색하고, 해당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컨텐츠를 이용한 이력에 근거하여 얻어진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받게 되므로, 자신과의 관련성이 높은 정보에 대하여 보다 만족할 수 있게 된다.2 illustrates a search process for content performed by the us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1 receives a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the user (see 21). The content to be searched is not limited, an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various, such as photographs, music, movies, and text. The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may be made when the user is using the content. As such, when the user uses the content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curious, a user may request a search for the content immediately,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The user device 1 performs a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s search for the content (see reference numeral 22). In performing the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user device 1 may be based on information on a history of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 informatio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history of uploading or downloading the content using an SNS service or a cloud service of the server 2. The user device 1 performs a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to the user (see reference numeral 23). For example, the user device 1 searches for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uploaded or downloaded content through the server 2 using the SNS service or the cloud service of the server 2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 and provided to the user. As a result, since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obtained based on the history of using the content as a search result, the user can be more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that is highly related to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수행하는 컨텐츠의 검색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는, 사용자장치(1)에서 소정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컨텐츠의 검색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는, 예컨대, 웹 브라우징을 위한 웹브라우저(31), 사진 갤러리 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32), 사용자가 사용자장치(1)에서 제공되는 전반적인 기능을 둘러볼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터앱(33),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앱(34) 등을 포함한다.3 shows an example of searching for content performed by the us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etriev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ile a predetermined program is being executed in the user apparatus 1. As a program capable of searching for contents, for example, an application 32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o the user, such as a web browser 31 for web browsing, a photo gallery, and a general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It includes a navigator app 33, a search app 34 for performing a search for the content.

사용자장치(1)는 각 프로그램(31 내지 34)이 실행되는 중에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의해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검색 요청은, 예컨대, 웹브라우저(31)에서 제공되는 GUI 메뉴(35; 컨텍스트메뉴(context menu) 및 옵션메뉴(option menu) 등)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어플리케이션(32) 또는 네비게이터앱(33)에서 제공되는 GUI 항목의 드래그 앤 드롭(36; drag and drop)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검색앱(34)에서 제공되는 텍스트 입력(text input)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 may initiate a search for content by the user's search request while the programs 31 to 34 are running. The search request of the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for example, a GUI menu 35 (eg, a context menu and an option menu) provided by the web browser 31, or may be an application 32 or a navigator app 33. ) May be received through a drag and drop (36) of the GUI item provided by) or through a text input provided by the search app 34.

검색되는 컨텐츠는, 예컨대, 웹브라우저(31)에서 정보의 형태로 보여지고 있는 사진(photo), 음악(music), 비디오(video), 텍스트(text), 혹은 웹페이지(39; web page)이거나, 어플리케이션(32) 또는 네비게이터앱(33)에서 정보의 형태로 보여지고 있는 사진, 음악, 비디오, 텍스트, 혹은 관련 어플리케이션(39)이거나, 검색앱(34)에서 제목 등의 텍스트로 입력된 정보를 가진 컨텐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장치(1)는 다양한 프로그램(31 내지 34)이 실행되는 중에 사용자의 검색 요청(35 내지 37)이 있으면,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검색을 개시한다(부호 391 참조).The retrieved content may be, for example, photo, music, video, text, or web page 39 being viewed in the form of information in the web browser 31. In the application 32 or the navigator app 33, a photo, music, video, text, or related application 39 shown in the form of information, or information input as text such as a title in the search app 34 It may have content.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s search request 35 to 37 is executed while the various programs 31 to 34 are being executed, the user apparatus 1 starts searching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see 391).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장치(1)는 통신부(11), 저장부(12), 디스플레이부(13), 명령수신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사용자장치(1)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부(11)는,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서버(2)와 통신하거나, 다른 사용자장치(3)와 통신할 수 있다. 혹은, 통신부(11)는, USB 등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으로 인접하여 연결되는 다른 사용자장치(4)와 통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의 검색에 관한 정보를 서버(2) 혹은 다른 사용자장치(3, 4)와 주고 받을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us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user device 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 a storage unit 12, a display unit 13, a command receiving unit 14, and a control unit 15. The communication unit 11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 through a network 5 such as the Internet, or with another user device 3.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user device 4 that is directly connected by USB or the like, or is adjacently connected by Wi-Fi, Bluetooth,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exchange information regarding content search with the server 2 or other user devices 3 and 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

저장부(12)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로서, 다양한 프로그램(31 내지 34), 컨텐츠 및/또는 컨텐츠의 검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2)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검색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31 내지 34)과,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보여준다. 명령수신부(14)는 사용자의 명령(요청)을 수신한다. 명령수신부(14)가 수신하는 사용자의 명령은 컨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을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12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programs 31 to 34, contents and / or information related to searching for the conten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earch for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includes user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e display unit 13 shows various programs 31 to 34 and information on cont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 The command receiving unit 14 receives a user's command (request). The user's command received by the command receiver 14 includes a search request for content.

제어부(15)는 사용자장치(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프로그램(31 내지 34) 및/또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이 때의 이용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로서 저장부(12)에 저장한다. 제어부(15)는 프로그램(31 내지 34)의 실행 또는 컨텐츠의 이용 중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부(12)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다. 제어부(15)는 검색 수행 결과, 컨텐츠의 관련정보가 얻어지면, 얻어진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user device 1 as a whole. In detail,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user to use various programs 31 to 34 and / or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controller 15 monitors whether the user uses the content, and stores the usage history and related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user uses the content in the storage 12 as the user's us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is receiv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31 to 34 or the use of the content, the controller 15 may search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user's usag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12. Perform a search. The controller 15 provides the user with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obtained content whe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earch.

제어부(15)는 이와 같은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임시로 로딩되는 램과 같은 메모리와, 메모리에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 may include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such a control function, a memory such as a RAM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program is temporarily loaded, and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loaded in the memor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작 S51에서,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에 관한 이용정보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은 특정한 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장치(1)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관한 사용자의 이용을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은, 사용자가 사진 컨텐츠를 보거나, 음악 컨텐츠를 듣거나, 비디오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텍스트 컨텐츠를 열람하는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진, 음악, 비디오, 텍스트 등의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를 생성 혹은 수정한 날짜, 시간 및 장소, 컨텐츠를 이용한 날짜, 시간 및 장소,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진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가 사진을 찍는 때, 사진을 찍은 날짜, 시간과 장소에 관한 정보를 사진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로서 해당 사진과 함께 저장부(12)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가 찍은 사진에 대하여 기록을 남기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크리스마스 가족 사진'과 같은 기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그 입력 받은 정보를 해당 사진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로서 저장부(12)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가 찍은 사진을 소정 SNS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업로드 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진과, 사진에 관한 정보, 예컨대, 사진을 찍은 날짜, 시간, 장소, 기록 등의 정보를 그 웹사이트의 서버(2)에 전송하고, 해당 웹사이트의 주소 등의 정보와, 업로드한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해당 사진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로서 저장부(1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서, SNS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경우,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 혹은 다운로드한 경우, 사용자장치(1)에서 제공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실행하여 이용한 경우 등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마다 해당 컨텐츠의 이용에 관련된 정보는 모두 사용자장치(1)에 저장될 수 있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S51, the user device 1 monitors the use of the content of the user and stores the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 of the content of the user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use, and includes all of the user's use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user apparatus 1. For example, the use of the user's content may include a user's viewing of photo content, listening to music content, watching video content, viewing text content, and the like. The user'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may includ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use of the content. For example, the name may include a name of content such as a photo, music, video, and text, a date, time and place of creating or modifying the content, a date, time and place using the content, and a name of another user associated with the content. Specifically, in the case of photographic content, the user device 1 stores information on the date, time, and place where the photograph was taken as the user's use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c content, together with the photograph, when the user takes a photograph. ). In addition, when the user device 1 wants to leave a record on a picture taken by the user, for example, a user receives a record such as a 'Christmas family picture' from the user and uses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user's content regarding the picture content.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s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device 1 wants to upload a picture taken by a user to a website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SNS service, the user device 1 includes a corresponding pic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picture, such as the date, time, place, and record of the picture.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 of the website, and information such as the address of the website, uploaded date, time,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s user's usage information regarding the photo content. Save it. As such, the user's usage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ent is downloaded from a website that provides an SNS service, the user uploads or downloads the content to a website that provides a cloud service. In this case, whenever a user uses content, such as when a user executes and use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user device 1.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52에서, 사용자장치(1)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장치(1)는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31 내지 34)을 이용하는 도중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사용자장치(1)가 제공하는 사진 갤러리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의 GUI(61)를 나타낸다. GUI(61)는 사용자가 찍은 사진들의 섬네일 이미지를 날짜별, 인물별, 앨범별 등으로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GUI(61)를 이용하여 찍었던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검색을 원하는 어떤 사진(62)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1)는 GUI(61)의 소정 위치에, 예컨대 GUI(61)의 하단에 사진의 검색을 위한 영역(63; '검색요청 수신영역'이라고도 함)을 마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1)는 검색요청 수신영역(63)을 GUI(61)에서 항상 표시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가 GUI(61)에 표시된 어떤 사진의 항목(62)을 선택한 경우 비로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사진의 항목(62)을 선택하면, 사용자장치(1)는 해당 사진의 항목(62)이 선택되었음을 하일라이트의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사진의 항목(62)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장치(1)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명령수신부(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사진의 항목(62)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선택한 다음, 이를 드래그하여 검색요청 수신영역(63)에서 해당 사진의 항목(62)을 드롭할 수 있다(부호 64 참조). 사용자장치(1)는 해당 사진의 항목(62)이 드래그되어 검색요청 수신영역(63)에서 드롭되면, 해당 사진의 항목(62)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진과 같은 컨텐츠를 갤러리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곧바로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Next, referring to FIG. 5, in operation S52, the user device 1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The user device 1 may receive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while the user uses various programs 31 to 34 as shown in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device 1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GUI 61 of an application of a photo gallery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apparatus 1. The GUI 61 may show thumbnail images of photos taken by the user by date, person, album, and the like. The user can browse the pictures taken using the GUI 61 and select any picture 62 to be searched. The user device 1 may display and display an area 63 (also referred to as a search request reception are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UI 61, for example, at the bottom of the GUI 61 for searching for a picture. The user device 1 may always display the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63 in the GUI 61, or may be display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an item 62 of any picture displayed on the GUI 61. . When the user selects an item 62 of a picture to be searched, the user device 1 displays in the form of a highlight that the item 62 of the picture is selected, and the item 62 of the pictur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move). For example, the user device 1 may include a command receiving unit 14 of a touch screen type, and the user touches an item 62 of the corresponding picture with his or her finger to select it, and then drags it to the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63. You can drop the item 62 of the picture in (see 64). When the item 62 of the corresponding picture is dragged and dropped from the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63, the user device 1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item 62 of the corresponding picture has been received. As such, the user may request a search for desired content immediately while using an application such as a gallery of content such as a photo, there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용자장치(1)가 제공하는 네비게이터앱의 GUI(71)를 나타낸다. GUI(71)는 여러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를 상단에 보여주고, 하단에는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검색 대상의 섬네일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GUI(71)를 이용하여 컨텐츠들을 열람하다가 검색을 원하는 어떤 컨텐츠(73)가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73)에 대하여 검색 대상(72)을 선택할 수 있다. 검색 대상(72)은, 예컨대,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SNS서비스의 웹사이트, 클라우드서비스의 웹사이트 등일 수 있다. 혹은, 검색 대상(72)은, 해당 컨텐츠(73)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사용자장치(1)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 예컨대, 전화, 메시지, 시계, 메일, 웹브라우저, 계산기, 파일탐색기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대상(72)의 항목을 드래그하여 검색요청 수신영역(63)으로 드롭하면, 사용자장치(1)는 해당 컨텐츠(73)와, 선택된 검색 대상(72)에 대하여 사용자의 검색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7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user apparatus 1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GUI 71 of a navigator app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The GUI 71 may display thumbnail images of various contents at the top and a thumbnail image of a search target that may be utilized in relation to the bottom. When the user browses the contents using the GUI 71 and selects a certain content 73 to be searched, the user may select a search target 72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73. The search target 72 may be, for example, a website of an SNS service, a website of a cloud service, or the like used by the user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lternatively, the search target 72 may b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or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used by the user for the content 73, for example, a telephone, a message, a clock, an email, a web browser, a calculator, a file searcher. And the like. When the user drags an item of the search target 72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63, the user device 1 transmits the user's search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73 and the selected search target 72.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has been receiv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사용자장치(1)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진 웹브라우저의 GUI(81)를 나타낸다. GUI(81)는 소정 웹페이지의 정보를 이미지나, 텍스트의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GUI(81)를 이용하여 찍었던 사진들을 열람하다가 검색을 원하는 어떤 컨텐츠(82)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82)를 선택하면, 사용자장치(1)는 팝업 형태로 메뉴(83)를 표시할 수 있다. 메뉴(83)는 선택된 컨텐츠(82)에 대한 검색에 대응하는 항목(8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터치 등의 방법으로 항목(84)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항목(84)을 선택하면, 사용자장치(1)는 해당 컨텐츠(73)에 대하여 사용자의 검색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user device 1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GUI 81 of a web browser having a web browsing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The GUI 81 may display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web page in the form of an image or text. The user may browse the photographs taken using the GUI 81 and select any content 82 to be searche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82, the user device 1 may display the menu 83 in a popup form. The menu 83 may include an item 84 corresponding to a search for the selected content 82. The user can select item 84 by, for example, a touch or the like. When the user selects the item 84, the user device 1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search request has been received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73.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사용자장치(1)가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가진 검색앱의 GUI(91)를 나타낸다. GUI(91)는 사용자가 검색할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검색 입력창(9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입력창(92)을 이용하여 검색을 원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키워드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입력창(92)을 이용하여 검색을 원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키워드로 입력하면, 사용자장치(1)는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검색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GUI(91)는 사용자가 이미 요청했던 검색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항목(93)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의 이력에 관한 정보는 검색한 날짜, 검색한 컨텐츠 혹은 검색 대상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이미 검색했던 이력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검색이 가능하다.9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user apparatus 1 receives a user's search request fo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GUI 91 of a search app with a search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The GUI 91 may include a search input window 92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 keyword to search.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regarding content to be searched as a keyword using the search input window 92. When a user inputs information about content to be searched using the search input window 92 as a keyword, the user device 1 may determine that a user's search request has been received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GUI 91 may include an item 93 showing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search that the user has already reques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search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searched date, searched content or a search target. In this way, the user can refer to the history he has already searched, it is possible to search more convenient.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소정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동작 S53에서, 사용자장치(1)는 저장된 해당 컨텐츠에 관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 컨텐츠(62)에 대하여 검색을 요청하면, 사용자장치(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해당 사진 컨텐츠(62)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참조한다. 사진 컨텐츠(62)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참조한 결과, 만일, 사용자가 사진 컨텐츠(62)를 어떠한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업로드한 적이 있다면, 사용자장치(1)는 해당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의 주소를 참조하여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의 서버(2)에 사진 컨텐츠(62)에 관한 검색을 요청한다. 서버(2)에서 사진 컨텐츠(62)에 관한 검색이 완료되면, 사용자장치(1)는 서버(2)로부터 사진 컨텐츠(62)에 관한 검색 결과로서 사진 컨텐츠(62)의 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사진 컨텐츠(62)에 '크리스마스 가족 사진'의 기록이 있었던 경우, 사진 컨텐츠(62)의 관련정보는, 해당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사용자가 '크리스마스 가족 사진'이라는 기록으로 업로드한 다른 사진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사진 컨텐츠(62)의 관련정보는, 해당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사용자가 '크리스마스' 또는 '가족'에 관하여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열람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사진 컨텐츠(62)의 관련정보는, '크리스마스' 또는 '가족'에 관하여 해당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에서의 사용자의 지인 혹은 지인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의 검색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당 컨텐츠에 관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SNS서비스의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클라우드서비스의 웹사이트는 물론, 사용자장치(1)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 나아가 사용자장치(1)에 직접 혹은 원격으로 연결된 사용자장치(3, 4)에 저장된 컨텐츠 등의 정보에까지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when a user's search request for predetermined content is received, in operation S53, the user device 1 performs a search on the content based on the stored usag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requests a search for the photo content 62, the user device 1 displays user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hoto content 62 stored in the storage 12. See. As a result of referring to the user's usage information regarding the photo content 62, if the user has uploaded the photo content 62 to a website of a certain SNS service, the user device 1 can determine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By referring to the address, the server 2 of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is requested to search for the photo content 62. When the search for the picture content 62 is completed in the server 2, the user device 1 receives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picture content 62 as a search result for the picture content 62 from the server 2. For example, when there is a record of 'Christmas family picture' in the picture content 62,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picture content 62 is another picture uploaded by the user as a record of 'Christmas family picture' on the website of the corresponding SNS service.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lternatively,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photo content 62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uploaded or downloaded by the user about 'Christmas' or 'family' on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or viewed. Alternatively,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photo content 62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of the acquaintances or acquaintances of the user on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regarding 'Christmas' or 'family'. The search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made by using user's usage information regarding content. That is, not only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us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but also the website of the cloud service, as well as an application or function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 and further, a user directly or remotely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 The search can be performed even on information such as contents stored in the devices 3 and 4.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장치(1)는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검색 대상(72)에 대하여 컨텐츠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장치(1)는 검색 대상(72)으로 선택된 SNS서비스의 웹사이트 혹은 클라우드서비스의 웹사이드로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검색 대상(72)에 대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user device 1 may perform a search of content for the search target 72 as described in FIG. 8. For example, the user device 1 may request a search for content from the web site of the SNS service or the cloud service selected as the search target 72. In this way, by performing a search on the search target 72 specified by the user, a search result more relevant to the user can be obtained.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54에서, 사용자장치(1)는 검색 결과로서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사진 컨텐츠(62)의 검색의 경우, 사용자장치(1)는 사진 컨텐츠(62)를 업로드한 적이 있었던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의 서버(2)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인 컨텐츠(62)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크리스마스 가족 사진'의 컨텐츠(62)의 경우, 사용자장치(1)는 '크리스마스 가족 사진'으로 해당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업로드한 다른 사진에 관한 정보 혹은 '크리스마스' 또는 '가족'에 관하여 SNS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열람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 등을 컨텐츠(62)의 관련정보로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in operation S54, the user device 1 provides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as a search resul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arching for the photo content 62 shown in FIG. 6, the user device 1 is a content that is a search result received from the server 2 of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that has uploaded the photo content 62. The relevant information of 62 can be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tent 62 of the 'Christmas family photo', the user device 1 is a 'Christmas family photo' and the information about other photos uploaded to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or 'Christmas' or 'family'. In this regard, the user may upload or download the information on the website of the SNS service or display information on the viewed content as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62.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장치(1)가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GUI(101)는 컨텐츠의 검색 결과로서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리스트(102)의 형태로 나열하여 보여줄 수 있다. 컨텐츠의 관련정보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검색을 요청한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의 정보이거나, 검색을 요청한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검색을 요청한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지인의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apparatus 1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of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 101 may list and display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 the form of a list 102 as a search result of the content.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vary, for example, information of another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requested to be searched,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ntent requested to be searched, information of an acquaintance of the user related to the content requested to be searched, eg, a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es.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3, 4: 사용자장치
2: 서버
11: 통신부
12: 저장부
13: 디스플레이부
14: 명령수신부
15: 제어부
1, 3, 4: User device
2: server
11: communication
12: storage unit
13: display unit
14: Command receiver
15: control unit

Claims (14)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한 제1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제1컨텐츠의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츠와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2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한 제2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한 제2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
Monitoring the use of the user's content throug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storing the user'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Displaying first content used through a first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Receiving a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related content of the displayed first content;
Performing a search on second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and used through a second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user usag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ored content;
And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used through the second application as the search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위하여 복수의 검색 대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검색 대상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earch targets to search for the content;
The performing of the search may include performing a search on the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earch targ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장치 혹은 상기 사용자장치에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pplication is a control method of a user device including an application for the SNS service or cloud servic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ser device or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forming the search,
And retriev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through a networ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forming the search,
And retriev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항목과, 검색요청 수신영역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검색요청 수신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경우 상기 검색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a GUI including an item of the content and a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Receiving the search request,
And determining that the search request has been received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the item of the content to the search request reception area.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저장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명령수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의 이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한 제1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명령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된 제1컨텐츠의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츠와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2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한 제2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한 제2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장치.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A command receiv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a user command;
A display unit;
Monitoring the use of the user's content throug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ing user's usag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first content used through the first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the display unit; Receiving a user's search request for the related content of the displayed first content through the command receiving unit, wherein the second content is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based on the user'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conten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search on the second content used through an application and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used through the second application as a search resul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위하여 복수의 검색 대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검색 대상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sele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search targets to search for the content, and performs a search on the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earch targ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장치 혹은 상기 사용자장치에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SNS서비스 혹은 클라우드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pplication, the user device comprising an application for the SNS service or cloud servic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ser device or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a user device for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through a network.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a user device for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another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제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항목과, 검색요청 수신영역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검색요청 수신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경우 상기 검색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는 사용자장치.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The control unit displays a GUI including an item of the content and a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es the search request when the user drags and drops the item of the content to the search request receiving area. The user device judged to be one.
KR1020130011021A 2013-01-31 2013-01-31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1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21A KR102051539B1 (en) 2013-01-31 2013-01-31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21A KR102051539B1 (en) 2013-01-31 2013-01-31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18A KR20140098418A (en) 2014-08-08
KR102051539B1 true KR102051539B1 (en) 2020-01-08

Family

ID=5174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021A KR102051539B1 (en) 2013-01-31 2013-01-31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5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7086A (en) * 2014-12-31 2015-04-2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sear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281A (en) 2004-07-24 200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50511A1 (en) * 2006-04-21 2007-10-2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search quer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499A (en) * 2006-11-16 2008-05-21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System and its method for analyzing utilization of contents embedding fingerprinting information
KR101541497B1 (en) * 2008-11-03 2015-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ed contents,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for mining user information, Contents providing method, Us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ntents searching method
KR20110051437A (en) * 2009-11-10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television which can perform an integrated search for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r and a method of performing search thereof
KR101811714B1 (en) * 2010-09-17 201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281A (en) 2004-07-24 200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50511A1 (en) * 2006-04-21 2007-10-2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search qu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18A (en)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8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curation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US84791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reable virtual devices
TWI528282B (en) Method for customizing launching of applications
US11496546B2 (en) File download manager
US9473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a control connected media frame
KR20170091142A (en) Web content tagging and filtering
US8386538B2 (en) File exchange system and mobile device
WO20151395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application on the basis of a wi-fi user interface
US116694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orage space on storage device in an electronic apparatus by using context data and user profile data
WO2013173940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data
US201701852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4796477A (en) Document uploa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2200123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orage space 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context data and user profile data
US103605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4970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KR102051539B1 (en) Us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09459A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US11917006B2 (en) Cloud-based index and centralized cloud-based hub interface for cloud-stored media
KR100845355B1 (en) Application, System for measuring image prefer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34253B2 (en) Method of providing a webpage using home device web browser and home device therefor
JP6069261B2 (en) Terminal device, electronic magazine creation device, server device, electronic magazine creation system, electronic magazine cre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5456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ing service
JP6784988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65317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9020938A (en) Shared image display device, image sharing system, and image sha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