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672B1 -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 Google Patents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672B1
KR102050672B1 KR1020180096786A KR20180096786A KR102050672B1 KR 102050672 B1 KR102050672 B1 KR 102050672B1 KR 1020180096786 A KR1020180096786 A KR 1020180096786A KR 20180096786 A KR20180096786 A KR 20180096786A KR 102050672 B1 KR102050672 B1 KR 10205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portable
centrifugal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후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18009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6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A portable training device for assisting an eccentric exercise comprises: a portable main body supported by a hand of a user so that one side is oriented toward the user and the other side is oriented towards an external side opposite to the user; a driving member installed on the portable main body; a strength transmission member pulled towards the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power provided by the driving member; an internal pulley installed on the one sid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ength transmission member; an external pulle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ength transmission member; a weight member moveable towards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portable main body; a connection member set including an internal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one end of the weight member with the internal pulley, and an external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weight member with the external pulley; and an angular accelera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rota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main body so as to determine whether an eccentric exercise making an arm of the user rotate outward is performed or a concentric exercise making the arm of the user rotate towards the use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raining device for assisting an eccentric exercise is capable of automatically reducing an exercise load during a concentric exercise or increasing the exercise load during an eccentric exercise.

Description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Portable sports equipment to assist with centrifugal movements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본 발명은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exerci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exercise to reduce the exercise load during centripetal exercise and to increase the exercise load during the centrifugal exercise.

일반적으로 아령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과 원심성 운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대다수의 치료적 운동에서는 구심성 운동보다는 원심성 운동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그러나, 아령과 같은 동일한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과 원심성 운동을 구분하여 운동하기 위해서는 숙련이 필요한바 초보자에게는 이러한 구분 운동에 어려움이 있다.In general, centripetal exercise and centrifugal exercise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during dumbbell exercise, but most therapeutic exercises focus on centrifugal exercise rather than centripetal exercise. However, the use of the same one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during exercise to distinguish the centripetal movement and centrifugal movement to exercise the skill is required for beginners there is a difficulty in this division exercise.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원심성 운동 훈련 장치(한국등록특허 제10-1549078호 참조)는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원심성 수축 운동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자극을 이용한 방법은 사용자에게 불쾌감 및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고, 신체 내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불분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exercise training device (see Korean Patent No. 10-1549078) is to cause the centrifugal contraction movement us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However, such a method us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may create discomfort and anxiety for the us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clear how the effect on the inside of the body is unknown.

또한, 종래의 다른 장치는 관절 부위에 모터를 이용하여 부하를 걸어서 수동과 능동 운동의 각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인데, 이 장치는 부피가 크가 고가이며 디자인된 관절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일상적인 운동에서 사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another conventional device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angular velocity of passive and active motion by applying a load to the joint using a motor, which has a disadvantage that the device is bulky and expensive and can be applied only to the designed joi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se in everyday exercise.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는 외부 자극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누구나 쉽게 원심성 운동에 초점을 맞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구심성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duce the exercise load in the centripetal exercise and increase the exercise load in the centrifugal exercise so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the exercise focused on the centrifugal exercise without applying external stimulus tha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Portable exercise equipment is nee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구나 쉽게 원심성 운동에 초점을 맞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구심성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ortable exercise device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exercise to automatically reduce the exercise load in the centripetal exercise and increase the exercise load in the centrifugal exercise so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the exercise focused on the centrifugal exercise. The need for this is emerging.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구심성 운동 및 원심성 운동에 따라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중량 부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원심성 운동에 초점을 맞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구심성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eight member providing the exercis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centripetal motion and the centrifugal motion, the exercise load during the centripetal motion automatically so that anyone can easily do the exercise focused on the centrifugal motion It is to provide a portable exercise equipment to assist the centrifugal exercise to reduce the, and increase the exercise load during the centrifugal exercis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는, 일측은 사용자쪽을 향하고 타측은 사용자의 반대방향인 외부쪽을 향하도록 사용자의 손에 지지되는 휴대용 본체, 휴대용 본체에 설치된 구동 부재, 구동 부재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일측으로 당겨지거나 타측으로 당겨지는 힘 전달 부재, 일측에 설치되며, 힘 전달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내측 풀리, 타측에 설치되며, 힘 전달 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외측 풀리, 휴대용 본체 상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는 중량 부재, 중량 부재의 일단과 내측 풀리를 연결하는 내측 연결 부재 및 중량 부재의 타단과 외측 풀리를 연결하는 외측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 세트, 및 휴대용 본체의 회전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팔이 외부쪽으로 회전하는 원심성 운동 과정인지, 아니면 사용자의 팔이 사용자쪽으로 회전하는 구심성 운동 과정인지를 판단하는 각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A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in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ortable body is supported on the user's hand so that one side is toward the user and the other side is toward the out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ser The driving member installed in the portable body,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pull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drive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the inner pulle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 power transmission An outer pulle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ember, a weight member moving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n the portable body, an inn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one end and the inner pulley of the weight member, and an out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end and the outer pulley of the weight member; By detec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et of connecting members and the portable body, the arm of the user rotates outward It includes an angular accelera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centrifugal movement process or a centripetal movement process that the user's arm rotates toward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구심성 운동 및 원심성 운동에 따라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중량 부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원심성 운동에 초점을 맞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구심성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eight member providing the exercis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centripetal movement and the centrifugal movement, to automatically reduce the exercise load during the centripetal movement so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the exercise focused on the centrifugal mov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exercise device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exercise that can increase the exercise load during the centrifugal exercise.

도 1 은 아령을 통해 원심성 운동과 구심성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통해 원심성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 시보다 더 많은 운동 부하가 걸리는 원리를 지렛대 원리로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간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가 원심성 운동을 수행할 때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가 구심성 운동을 수행할 때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or performing centrifugal exercise and centripetal exercise through a dumbbell.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aking more exercise load in the centrifugal movement than the centripetal movement through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lever principle.
Figure 3 is a simplified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exercise device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orm when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entrifugal motion.
5 is a view showing a form when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entripetal exercis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actions.

도 1 및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의 주된 사용 용도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1 은 아령을 통해 원심성 운동과 구심성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통해 원심성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 시보다 더 많은 운동 부하가 걸리는 원리를 지렛대 원리로 설명한 개념도이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the main use and principle of operation of a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or performing centrifugal exercise and centripetal exercise through a dumbbell.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aking more exercise load in the centrifugal movement than the centripetal movement through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lever principle.

도 1 을 참조하면, 도 1 은 아령 운동을 나타낸 모습으로서, 상부는 아령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팔을 안으로 굽히면서 구심성 운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하부는 사용자가 팔을 외부로 펼치면서 원심성 운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Referring to Figure 1, Figure 1 is a view showing a dumbbell exercise, the upper part is a user holding a dumbbell while bending the arm is a centripetal exercise, the lower part is a centrifugal exercise while the user extends the arm to the outside It looks like.

이렇게, 일반적으로 아령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과 원심성 운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대다수의 치료적 운동에서는 구심성 운동보다는 원심성 운동에 초점이 맞추어진다.Thus, in general, centripetal exercise and centrifugal exercise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during dumbbell exercise, but most therapeutic exercises focus on centrifugal exercise rather than centripetal exercise.

아령과 같은 동일한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과 원심성 운동을 구분하여 운동하기 위해서는 숙련이 필요한바 초보자가 이러한 구분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exercise the centripetal movement and centrifugal movement separately during exercise using the same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it is difficult for a beginner to effectively perform such a division exercise.

따라서, 누구나 쉽게 원심성 운동에 초점을 맞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심성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xercise device that can reduce the exercise load during centripetal exercise and increase the exercise load during centrifugal exercise so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the exercise focused on the centrifugal exercise.

도 2 를 참조하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구심성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줄이고, 원심성 운동 시에 운동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본다.Referring to Figure 2, using the lever principle to look at how to reduce the exercise load in the centripetal exercise, increase the exercise load in the centrifugal exercise.

지렛대의 좌측에 F라는 외력을 가하여 지렛대가 하방으로 Rθ만큼 이동할 경우 지렛대의 우측에서는 지렛대가 상방으로 rθ만큼 이동하면서 지렛대의 우측에 P만큼 힘이 작용한다. When the lever moves to the lower side by Rθ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of F to the left side of the lever, the force acts on the right side of the lever as P moves on the right side of the lever.

이러한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일)=(힘)(거리)=Prθ=FRθ의 관계가 성립된다. 즉, P=FRθ/rθ=F(R/r)이라는 관계식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F는 지렛대에 작용하는 힘, P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운동 부하이다.Expressing such a relationship by a formula, the relationship of (work) = (force) (distance) = Prθ = FRθ is established. That is, a relation of P = FRθ / rθ = F (R / r) can be made. In this case, F is a force acting on the lever, P is an exercise load applied to the user.

즉, F를 변화시키지 않고 운동 부하인 P를 조정하고자 한다면, 변화가능한 R을 변경시키야 한다. R은 지렛대에 가해지는 외력의 작용점이다.In other words, if one wants to adjust P, the kinetic load, without changing F, the changeable R must be changed. R is the point of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따라서, 사용자에게 큰 운동 부하를 가하고자 한다면 받침점에서 R만큼 떨어진 위치에 외력 F를 가하고, 사용자에게 작은 운동 부하를 가하고자 한다면 받침점에서 R보다 작은 R’만큼 떨어진 위치에 외력 F를 가하면 된다.Therefore, if you want to apply a large exercise load to the user to apply an external force F to a position away from the support point R, if you want to apply a small exercise load to the use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F to a position separated by R 'less than R from the support point.

이를 아령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구심성 운동과 원심성 운동을 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지렛대는 사용자의 팔이 되며, 받침점은 팔꿈치가 되고, F는 팔에 가해지는 무게, P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운동 부하, R과 R’는 팔에 가해지는 무게의 받침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한다.When applied to aerobic exercise and centrifugal exercise using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the lever becomes the user's arm, the support point becomes the elbow, F is the weight applied to the arm, and P is applied to the user. The kinetic loads, R and R ', represent the distance from the point of support of the weight applied to the arm.

즉, 사용자가 구심성 운동을 할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운동 부하가 걸려야 하므로, 운동기구의 무게가 사용자쪽에 가까운 R’에 걸려야 하며, 사용자가 원심성 운동을 할 경우에는 큰 운동 부하가 걸려야 하므로, 운동기구의 무게가 사용자쪽에서 먼 R에 걸려야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erforms a centripetal exercise, a relatively small exercise load should be applied, and therefore, the weight of the exercise equipment should be applied to R 'which is close to the user side, and when the user performs the centrifugal exercise, a large exercise load should be applied. Should be weighed on the R far from the user.

이상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운동기구 내에서 사용자에게 가하는 무게의 위치를 변하게 하여 원심성 운동 시에 더 큰 운동 부하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면 원심성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centrifugal exercis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f the position of the weight applied to the user in one exercise device can be changed so that a larger exercise load can be applied during the centrifugal exercise.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는 이러한 점을 반영한 운동기구이다.The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an exercise device reflecting this point.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간략 평면도이다.Referring to Figure 3, it will be described a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mplified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exercise device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는, 휴대용 본체(10), 구동 부재(20), 힘 전달 부재(30), 내측 풀리(50), 외측 풀리(40), 중량 부재(60), 연결 부재 세트, 각가속도 센서(80, 85) 및 손잡이부(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assisting the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body 10, a driving member 20, a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and an inner pulley 50. ), An outer pulley 40, a weight member 60, a connection member set,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and a handle 90.

휴대용 본체(10)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각종 구성들이 설치되는 몸통이다. 사용자(110)가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를 손으로 지지하여 파지할 경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은 사용자쪽(즉, 내측)을 향하고 타측(O)은 사용자(110)의 반대방향인 외부쪽(즉, 외측)을 향할 수 있다.The portable body 10 is a body in which various components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tion are installed. When the user 110 supports and grips th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100 supporting the centrifugal movement by hand, one side I of th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100 supporting the centrifugal movement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user side ( That is, the inner side (O) and the other side (O) may face the outer side (that is, the outer side) opposite the user 110.

또한, 휴대용 본체(10)는 사용자(110)가 손으로 들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며 그에 따라 사용자(110)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를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ody 10 is large enough to be lifted by the user 110, and accordingly, the user 110 can carry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with a portable, anytime, anywhere comfortably. have.

구동 부재(20)는 휴대용 본체(10)에 설치되면서 동력을 제공하여 후술하는 중량 부재(60)가 휴대용 본체(10)의 일측(I) 및 타측(O)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원심성 운동 시에 구심성 운동 시보다 사용자(110)에게 더 큰 운동 부하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body 10 to provide power so that the weight member 60 to be described later moves to one side I and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body 10 so that the driving member 20 can be moved during centrifugal movement. A greater exercise load may be applied to the user 110 than during a mental exercise.

이러한 구동 부재(20)의 일 형태로서, 구동 부재(20)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driving member 20, the driving member 2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for providing power and a sprocket rotatably connected in both directions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mo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다만, 구동 부재(20)의 형태는 전술한 사항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동 부재(20)가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driving member 20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matters and various driving members 20 may be used.

힘 전달 부재(30)는 구동 부재(2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으로 당겨지거나 타측(O)으로 당겨지는 부재이다.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a member that is pulled to one side (I) or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drive member 20.

이렇게 힘 전달 부재(30)가 당겨짐으로써 중량 부재(60) 역시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으로 당겨지거나 타측(O)으로 당겨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thus pulled, the weight member 60 can also be moved while being pulled to one side (I) or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이러한 힘 전달 부재(30)의 일 형태로서, 힘 전달 부재(30)는 전술한 구동 부재(20)의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체인일 수 있으며, 구동 모터에 의해 스프로킷이 양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프로킷에 맞물린 체인은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으로 당겨지거나 타측(O)으로 당겨질 수 있다.As one form of this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may be a chain that meshes with the sprocket of the drive member 20 described above, and is engaged with the sprocket as the sprocket rotates in both directions by the drive motor. The chain may be pulled to one side (I) or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다만, 힘 전달 부재(30)로는 체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와이어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However, not only the chain but also various wire members may be used 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내측 풀리(50)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에 설치되며, 힘 전달 부재(30)의 일단에 연결된 부재이다. 내측 풀리(50)가 힘 전달 부재(3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 부재(20)에 의해 힘 전달 부재(30)가 당겨질 경우 내측 풀리(50)는 회전을 할 수 있다. The inner pulley 50 is installed on one side I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and is a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The inner pulley 50 may rotate when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pulled by the driving member 20 by connecting the inner pulley 50 to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또한, 내측 풀리(50)는 후술할 내측 연결 부재(75)에 연결될 수 있는바 내측 풀리(50)가 회전할 경우 내측 연결 부재(75)는 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내측 연결 부재(75)에 연결된 중량 부재(60) 역시 당겨지면서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pulley 50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inner pulley 50 rotates,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is pulled, and as a result,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is pulled. The connected weight member 60 may also be pulled and moved to one side I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즉, 내측 풀리(50)는 힘 전달 부재(3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 부재(20)의 동력을 중량 부재(60)에 전달하여 중량 부재(60)가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즉, 내측)(I)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inner pulley 50 transmits the power of the driving member 20 transmitted through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to the weight member 60 so that the weight member 60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It is possible to move to one side (ie, the inner side) (I) of).

한편, 내측 풀리(50)의 일 형태로서 내측 풀리(50)는 체인에 맞물리는 체인 풀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pulley 50 as one form of the inner pulley 50 may be a chain pulley engaged with the cha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외측 풀리(40)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타측(O)에 설치되며, 힘 전달 부재(30)의 타단에 연결된 부재이다. 외측 풀리(40)가 힘 전달 부재(3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 부재(20)에 의해 힘 전달 부재(30)가 당겨질 경우 외측 풀리(40)는 회전을 할 수 있다. The outer pulley 4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is a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The outer pulley 40 may rotate when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pulled by the driving member 20 by connecting the outer pulley 40 to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또한, 외측 풀리(40)는 후술할 외측 연결 부재(70)에 연결될 수 있는바 외측 풀리(40)가 회전할 경우 외측 연결 부재(70)는 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외측 연결 부재(70)에 연결된 중량 부재(60) 역시 당겨지면서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타측(O)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ulley 4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outer pulley 40 rotates,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is pulled, and as a result,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The connected weight member 60 may also be pulled and moved to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즉, 외측 풀리(40)는 힘 전달 부재(3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 부재(20)의 동력을 중량 부재(60)에 전달하여 중량 부재(60)가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타측(즉, 외측)(O)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outer pulley 40 transmits the power of the driving member 20 transmitted through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to the weight member 60 so that the weight member 60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To the other side (ie, outside) (O).

한편, 외측 풀리(40)의 일 형태로서 외측 풀리(40)는 체인에 맞물리는 체인 풀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as one form of the outer pulley 40, the outer pulley 40 may be a chain pulley engaged with the cha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중량 부재(60)는 일정 무게를 지니면서 사용자(110)에게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부재로서, 구동 부재(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휴대용 본체(10) 상에서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 및 타측(O)으로 이동하는 부재이다.The weight member 60 is a member that provides an exercise load to the user 110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The weight member 60 receives a power of the driving member 20 to support the centrifugal motion on the portable body 10. It is a member moving to one side I and the other side O of ().

이렇게 중량 부재(60)가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I) 및 타측(O)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심성 운동 및 원심성 운동 시에 사용자(110)에게 가해지는 운동 부하가 달라질 수 있다.As the weight member 60 moves to one side I and the oth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the exercise load applied to the user 110 during the centripetal movement and the centrifugal movement is Can vary.

이러한 중량 부재(60)의 일 형태로는 헤비 체인(heavy chain)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맞게 또는 사용자(110)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A heavy chain may be used as one type of the weight member 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members may be used according to a situation or according to the user 110.

또한, 중량 부재(60)는 교체 가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110)가 기존의 중량 부재(60)의 무게보다 더 무겁거나 더 가벼운 중량 부재(60)를 사용하기 원할 경우, 중량 부재(60)는 기존의 것에서 새것으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를 위해, 중량 부재(60)는 양단에 연결된 후술할 연결 부재 세트로부터 분리된 후 새로운 중량 부재(60)가 연결 부재 세트와 연결되어 교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member 60 may be replaceable, and if the user 110 wants to use the weight member 60 that is heavier or lighter than the weight of the existing weight member 60, the weight member 60 may It may be replaceable with an existing one. For this replacement, the weight member 6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t of connecting members to be described later connected at both ends, and then the new weight member 60 may be connected and replaced with the set of connecting members.

연결 부재 세트는 중량 부재(60)와 내측 풀리(50), 외측 풀리(40)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중량 부재(60)의 일단과 내측 풀리(50)를 연결하는 내측 연결 부재(75) 및 중량 부재(60)의 타단과 외측 풀리(40)를 연결하는 외측 연결 부재(7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member set is a member connecting the weight member 60 to the inner pulley 50 and the outer pulley 40, and includes an inner connection member 75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weight member 60 to the inner pulley 50 and And an outer connection member 70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weight member 60 and the outer pulley 40.

이러한 내측 연결 부재(75) 및 외측 연결 부재(70)의 일 형태로는 체인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 chain may be used as one form of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and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내측 연결 부재(75)와 외측 연결 부재(70)가 내측 풀리(50) 및 외측 풀리(40)에 연결되는 일 형태를 보면, 내측 풀리(50)는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돌출부에 내측 연결 부재(75)가 묶이는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외측 풀리(40)도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돌출부에 외측 연결 부재(70)가 묶이는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and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is seen in one form connected to the inner pulley 50 and the outer pulley 40, the inner pulley 50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in a manner of being tied up, and the like, and the outer pulley 40 may also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and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is tied to the protrusion. Or the like.

각가속도 센서(80, 85)는 휴대용 본체(1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110)의 팔이 외부쪽으로 회전하는 원심성 운동 과정인지, 아니면 사용자(110)의 팔이 사용자쪽으로 회전하는 구심성 운동 과정인지를 판단하는 센서이다.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detec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body 10 to determine whether the arm of the user 110 is a centrifugal movement process that rotates outward, or the centripetality of the user 110's arm that rotates toward the user. It is a sens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exercise process.

사용자(11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를 파지한 후, 아령 운동과 같이 팔을 안으로 굽혔다 밖으로 펼쳤다 하면서 구심성 운동과 원심성 운동을 할 경우, 각가속도 센서(80, 85)는 휴대용 본체(1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110 grips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in the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erforming the centripetal motion and the centrifugal motion while bending the arm inward and extending out, such as a dumbbell motion,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may det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body 10.

또한, 각가속도 센서(80, 85)는 휴대용 본체(1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110)가 현재 사용자(110)의 팔이 외부쪽으로 회전하는 원심성 운동 과정인지, 아니면 사용자(110)의 팔이 사용자쪽으로 회전하는 구심성 운동 과정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detec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body 10 so that the user 110 is a centrifugal movement process in which the arm of the current user 110 rotates outwar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rm is a centripetal exercise process that rotates toward the user.

이러한 각가속도 센서(80, 85)의 판단 이후, 각가속도 센서(80, 85)는 판단 결과를 직접 또는 제어부를 통해 구동 부재(20)로 전달할 수 있고, 구동 부재(20)는 구심성 운동으로 판단될 경우 운동 부하를 줄이기 위해 중량 부재(6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원심성 운동으로 판단될 경우 운동 부하를 늘리기 위해 중량 부재(6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may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driving member 20 directly or through a control unit, and the driving member 20 may be determined as a centripetal motion. In this case, the weight member 60 may be moved inward to reduce the exercise load, and when the weight member 60 is determined to be centrifugal movement, the weight member 60 may be moved outward to increase the exercise load.

이렇게, 중량 부재위 위치를 변화시켜 원심성 운동 시에 좀 더 큰 운동 부하를 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숙련을 하지 않더라도 쉽게 원심성 운동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changing the position on the weight member to be able to apply a larger exercise load during the centrifugal exercise, the user can easily focus on the centrifugal movement without any skill.

추가적으로, 각가속도 센서(80, 85)는 휴대용 본체(10)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may b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portable body 10 one by one,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may vary.

손잡이부(90)는 휴대용 본체(10)를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사용자(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를 아령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를 손으로 파지할 필요가 있다.The handle portion 90 is a portion that allows the portable body 10 to be gripped. The user 110 may use th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100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umbbell, and needs to hold th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100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vement by hand. There is.

따라서, 휴대용 본체(10)에는 그 중앙에 손잡이부(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110)는 손잡이부(90)를 파지함으로써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ndle body 9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ortable body 10, and the user 110 may use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by holding the handle 90.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의 각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하 도 4 및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의 구심성 운동 및 원심성 운동에 따른 작동 원리를 살펴본다.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the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according to the centripetal motion and the centrifugal motion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to assist the centrifugal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도 4 를 참조하면, 도 4 는 사용자(110)의 원심성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4, FIG. 4 illustrates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tion to enable the centrifugal motion of the user 110.

구체적으로, 사용자(110)가 휴대용 본체(10)를 파지한 후 팔을 외부쪽으로 회전시키는 원심성 운동을 할 경우,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각가속도 센서(80, 85)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가 원심성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를 구동 부재(20)에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110 performs the centrifugal motion of rotating the arm outward after holding the portable body 10,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80 and 85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assisting the centrifugal motion are centrifuga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exercise is a process of performing the centrifugal exercise, and provide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driving member 20.

판단 결과를 제공받은 구동 부재(20)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힘 전달 부재(30)가 일측(즉, 사용자쪽)(I)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30)가 일측(I)으로 당겨짐에 따라 힘 전달 부재(30)의 타단과 연결된 외측 풀리(40)는 회전하게 되고, 외측 풀리(40)가 회전하여 외측 풀리(40)와 연결된 외측 연결 부재(70)는 당겨질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20 provided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pulled to one side (that is, the user side) I. 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pulled to one side I, the outer pulley 4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rotates, and the outer pulley 40 rotates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pulley 40.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can be pulled out.

외측 연결 부재(70)가 당겨짐에 따라 외측 연결 부재(70)와 연결된 중량 부재(60)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타측(즉, 외부쪽)(O)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is pulled, the weight member 60 connected with the outer connecting member 70 may move to the other side (ie, the outer side) O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

이렇게 중량 부재(60)가 타측(O)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량 부재(60)는 받침점에 해당하는 팔꿈치로부터 좀 더 멀어지게 되어 더 큰 운동 부하가 사용자(110)에게 걸리게 될 수 있다.As the weight member 60 moves to the other side O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member 60 may be further moved away from the elbow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int such that a greater exercise load may be applied to the user 110.

도 5 를 참조하면, 도 5 는 사용자(110)의 구심성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 FIG. 5 illustrates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tion to enable the centripetal motion of the user 110.

구체적으로, 사용자(110)가 휴대용 본체(10)를 파지한 후 팔을 사용자쪽으로 회전시키는 구심성 운동을 할 경우,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각가속도 센서(80, 85)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가 구심성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를 구동 부재(20)에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110 performs the centripetal exercise to rotate the arm toward the user after holding the portable body 10,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 (80, 85)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exercise may determine that the centrifugal exercise is a process of performing the centripetal exercise, and provide the driving result to the driving member 20.

판단 결과를 제공받은 구동 부재(20)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힘 전달 부재(30)가 타측(즉, 외부쪽)(O)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30)가 타측(O)으로 당겨짐에 따라 힘 전달 부재(30)의 일단과 연결된 내측 풀리(50)는 회전하게 되고, 내측 풀리(50)가 회전하여 내측 풀리(50)와 연결된 내측 연결 부재(75)는 당겨질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20 provided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pulled to the other side (ie, the outer side) O. 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is pulled to the other side O, the inner pulley 5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30 rotates, and the inner pulley 50 rotates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pulley 50.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can be pulled out.

내측 연결 부재(75)가 당겨짐에 따라 내측 연결 부재(75)와 연결된 중량 부재(60)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100)의 일측(즉, 사용자쪽)(I)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is pulled, the weight member 60 connected with the inner connecting member 75 may move to one side (ie, the user side) I of the portable exercise device 100 that assists the centrifugal movement. .

이렇게 중량 부재(60)가 일측(I)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량 부재(60)는 받침점에 해당하는 팔꿈치로부터 좀 더 가까워지게 되어 더 작은 운동 부하가 사용자(110)에게 걸리게 될 수 있다.As the weight member 60 moves to one side I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member 60 may be closer to the elbow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int so that a smaller exercise load may be applied to the user 11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휴대용 본체 20: 구동 부재
30: 힘 전달 부재 40: 외측 풀리
50: 내측 풀리 60: 중량 부재
70: 외측 연결 부재 75: 내측 연결 부재
80, 85: 각가속도 센서 90: 손잡이부
100: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110: 사용자
10: portable body 20: drive member
30: force transmission member 40: outer pulley
50: inner pulley 60: weight member
70: outer connecting member 75: inner connecting member
80, 85: angular acceleration sensor 90: handle
100: portable exercise equipment to assist the centrifugal movement
110: user

Claims (5)

일측은 사용자쪽을 향하고 타측은 상기 사용자의 반대방향인 외부쪽을 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에 지지되는 휴대용 본체;
상기 휴대용 본체에 설치된 구동 부재;
상기 구동 부재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일측으로 당겨지거나 상기 타측으로 당겨지는 힘 전달 부재;
상기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힘 전달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내측 풀리;
상기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힘 전달 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외측 풀리;
상기 휴대용 본체 상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는 중량 부재;
상기 중량 부재의 일단과 상기 내측 풀리를 연결하는 내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중량 부재의 타단과 상기 외측 풀리를 연결하는 외측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 세트; 및
상기 휴대용 본체의 회전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팔이 상기 외부쪽으로 회전하는 원심성 운동 과정인지, 아니면 상기 사용자의 팔이 상기 사용자쪽으로 회전하는 구심성 운동 과정인지를 판단하는 각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A portable body supported by the user's hand so that one side faces toward the user and the other side faces outwardly opposite to the user;
A drive member installed on the portable body;
A force transmission member pulled to the one side or pulled to the other side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driving member;
An inner pulley installed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An outer pulley installed at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A weight member moving to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n the portable body;
A connection member set including an inner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one end of the weight member and the inner pulley and an outer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weight member and the outer pulley; And
Centrifugality comprising an angular accelera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arm is a centrifugal exercise process to rotate the outward or the centripetal exercise process to rotate the user's arm by sen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body Portable fitness equipment to assist in exerci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원심성 운동 과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힘 전달 부재는 상기 일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외측 풀리에 연결된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각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구심성 운동 과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힘 전달 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내측 풀리에 연결된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일측으로 이동하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If it is determined by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 as the centrifugal movement process, the weight member connected to the outer pulley is moved to the other side 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pulled to the one side by the drive member,
When the angular acceleration sensor determines that the centripetal move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weight member connected to the inner pulley is moved by the driving member to the other side 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pulled to the other side. Fitness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본체를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Portable exercise equipment for assisting in the centrifugal movement further comprising a handle to enable holding the portabl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는 교체 가능한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member is a portable exercise device to assist in replaceable centrifugal mo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힘 전달 부재는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체인이고,
상기 내측 풀리 및 외측 풀리는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체인 풀리인 원심성 운동을 보조하는 휴대용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member,
Drive motors; And
A sprocket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by a rotation force provided by the drive motor,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a chain that engages the sprocket,
And the inner pulley and the outer pulley are chain pulleys engaged with the chain.
KR1020180096786A 2018-08-20 2018-08-20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KR1020506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86A KR102050672B1 (en) 2018-08-20 2018-08-20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86A KR102050672B1 (en) 2018-08-20 2018-08-20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672B1 true KR102050672B1 (en) 2019-11-29

Family

ID=6872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86A KR102050672B1 (en) 2018-08-20 2018-08-20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6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170A (en) * 2001-04-05 2002-10-15 Katsuya Seo Wrist strengthening utensil
US20100069202A1 (en) * 2005-10-12 2010-03-18 Sensyact Ab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Movable Resistance Element in a Training Device
JP2011244980A (en) *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Physical training device
JP2015019691A (en) * 2013-07-16 2015-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hysical train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170A (en) * 2001-04-05 2002-10-15 Katsuya Seo Wrist strengthening utensil
US20100069202A1 (en) * 2005-10-12 2010-03-18 Sensyact Ab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Movable Resistance Element in a Training Device
JP2011244980A (en) *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Physical training device
JP2015019691A (en) * 2013-07-16 2015-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hysical train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403A (en) Forced repetition assist device
US9005145B2 (en) Muscle and/or joint exercise apparatus
CN106826763B (en) Flexible exoskeleton robot for climbing knee joint power-assisted
EP2969058B1 (en)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flywheel and related methods
US7871355B2 (en) Vibration training device
KR101425769B1 (en) Motorized weight-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326393B1 (en) Continuous rope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20090221402A1 (en) Vibration device for muscle training
CN110225785A (en) For the lower limb of training of human and/or the equipment of upper limb
US20110172058A1 (en) Variable resistance adaptiv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10021955A1 (en) Training Device
WO2013168738A1 (e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KR20080087660A (en) Gyroscopic total exerciser
KR20190061151A (en) Fitness cable machine for motor operating type
RU2019106793A (en) ERGOMETER FOR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INCLUDING AUTOMATIC SPASM CONTROL
US20050159683A1 (en) Arm circulation system stretching, recuperative chest enlargement and respiration assistance apparatus
CN110393894A (en) Preceding shoulder joint training adapter,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and its Training Control method
KR102050672B1 (en) Portable training equipment for assisting efferent exercise
TWI607784B (en) Sports training equipment
US6228002B1 (en) Rotatable weight exercise device
KR102547426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kle muscle training apparatus
US20070142190A1 (en) Apparatus for multi-joint lower limb exercise
JP6893804B2 (en) Power assist device
CN211561025U (e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instrument
NO329697B1 (en) Device for muscle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