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71B1 - Ear phone - Google Patents

E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71B1
KR102049571B1 KR1020180102514A KR20180102514A KR102049571B1 KR 102049571 B1 KR102049571 B1 KR 102049571B1 KR 1020180102514 A KR1020180102514 A KR 1020180102514A KR 20180102514 A KR20180102514 A KR 20180102514A KR 102049571 B1 KR102049571 B1 KR 10204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disposed
cover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주헌
민병일
박정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18010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The ear phone includes a housing; a speaker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ing a nozzle. It includes a first space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speaker unit and a second space part partitioned from the first space part disposed behind the speaker unit. The cover includes a tuning hol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cover. The tuning hole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second space part. A tuning means for disposing a tuning part in the tuning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 from entering the housing of the earphone.

Description

이어폰{Ear phone}Earphones {Ear phone}

본 발명은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이어폰은 하우징 내부에 음파를 생성시키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어폰은 이어팁이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하우징과 결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8527호(2017.08.30.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노즐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에서, 노즐을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은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후방 하우징에 결합한다.
The earphone includes a speaker unit for generating sound waves inside the housing. The earphone includes a cover including a nozzle to which the ear tip is coupled. The cover engages with the housing.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8527 (published Aug. 30,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document) discloses an earphone including a nozzle. In this document, the front housing comprising the nozzle is coupled to the rear housing comprising the speaker unit.

한편, 본 문헌에서 노즐이 포함된 이러한 전방 하우징과 대응하는 커버부에는, 음색을 변경하는 튜닝홈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에서 생성된 음파 중 일부는 튜닝홈으로 배출되어, 노즐을 통해 나오는 음의 음색 또는 음향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튜닝홀은 커버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튜닝홈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이어폰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노이즈가 이어폰의 소리를 손실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cover and the cov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zzle in this document, the tuning groove for changing the tone can be provided. Some of the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speaker unit are discharged to the tuning grooves, so that the tone or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coming out of the nozzle may be changed. This tuning hole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or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of the earphone through the tuning groov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xternal noise loses the sound of the earphon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0098527호, 2017.08.30.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17-0098527, 2017.08.30. open

본 발명은 음색을 변경하면서도, 물이나 이물질이 이어폰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n earphone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that can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housing of the earphone while changing the tone.

또한, 외부 노이즈로부터 음향 간섭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In addition, it is a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fundamentally exclude acoustic interference from external noi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노즐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공간부와 구획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측벽의 내부에 배치된 튜닝홀을 포함하고, 상기 튜닝홀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튜닝홀에는 튜닝부가 배치되는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speaker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he cover including a nozzle,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speaker unit and the rear of the speaker unit. A second space portion partitioned from the first space portion disposed in the cover, and the cover includes a tuning hole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of the cover, and the tuning hole includes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The earphone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unit, and the tuning hole is provided with tuning means in which the tuning unit is dis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닝홀의 입구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튜닝홀의 출구는 상기 제2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튜닝부는 상기 출구에 배치되는 튜닝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let of the tuning hol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art,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part, and the tun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tuning means disposed at the outlet.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상기 커버의 단부는 환형이며, 상기 커버의 단부의 중심을 기준하여 원주방향으로, 상기 튜닝홀과 상기 노즐은 정렬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d of the cover in contact with the housing is annular, and the tuning hole and the nozzle may be alig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co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의 일부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에는 상기 튜닝홀이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ver includes at least one block forming a part of the side wall, the tuning hole may be disposed in the block.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과 연통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장착부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ver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formed conca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he block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에는 튜닝부가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lock may be coupled to the tun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은 수직블록과 상기 수직블록에서 연장되는 수평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튜닝홀은 상기 수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홀의 상기 입구는 상기 수직블록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홀의 상기 출구는 상기 수직블록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부는 상기 수직블록의 타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lock includes a vertical block and a horizontal block extending from the vertical block, the tuning hol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block. The inlet of the tuning hol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block,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the tun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블록의 타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concave in the mounting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may include an induc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닝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제1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홀은 제2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에서 꺾여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uning hole includes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the first ho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the second ho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first hole is The second hole may be connected by fol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상기 커버의 단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이 배치되고. 상기 튜닝부는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싱기 제2 홀은 상기 수용홈과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end of the cover in contact with the housing is formed concave. The tun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the second hole may b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groove.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내벽에 튜닝홀을 형성시켜, 외부로 노출되는 튜닝홀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uning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removing the tuning holes exposed to the outside.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나 이물질이 이어폰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can prevent water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housing of the earphone.

실시예에 따르면, 튜닝홀의 크기가 상이한 블록을 교체하여, 소리 조절을 세밀하게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locks having different sizes of tuning holes are replaced,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finer sound control.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의 표면에 홀이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re is no hole on the surface of the earphone, there is a strong advantage against external impact.

실시예에 따르면, 청취자의 고막의 피로가 심해지거나, 귀가 멍멍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fatigue of the listener's eardrum or the ear canopy are prevented.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분해도,
도 4는 튜닝홀을 포함하는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블록의 평면도,
도 6은 블록에 배치된 튜닝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블록이 장착된 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커버의 장착부와 노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 공간부에서 제2 공간부로 전달되는 소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의 분해도,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튜닝홀과 튜닝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단면도,
도 14는 튜닝홀의 치수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1에서 도시한 커버의 튜닝홀과 노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제1 공간부에서 제2 공간부로 전달되는 소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including a tuning hole;
5 is a plan view of the block shown in FIG. 4;
6 is a view showing a tuning unit arranged in a block;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8 is a view showing an inside of a cover on which a block is mounted;
9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position of the nozzle,
10 is a view showing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space portion to the second space portion,
FIG. 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earphone provided with the tun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tuning hole and a tuning unit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1;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1;
14 is a view showing the dimensions of the tuning hole,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positions of a tuning hole and a nozzle of the cover illustrated in FIG. 11;
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space part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1 to the second space part.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은, 하우징(100)과, 스피커 유닛(200)과, 커버(300)를 포함한다. 이하,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함은, 스피커 유닛(200)을 기준으로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를 포함하고, 후방이라 함은 스피커 유닛(200)을 기준으로 하우징(1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1 to 3, the earphon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0, a speaker unit 200, and a cover 300. Hereinafter, the front or the front includes a meaning indicating a direction toward the cover 300 based on the speaker unit 200, and the rear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the housing 100 based on the speaker unit 200. Indicates.

하우징(100)은 내부에 스피커 유닛(200)을 수용한다. 하우징(100)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된다, 인입된 케이블은 스피커 유닛(200)에 연결된다. 전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커버(30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accommodates the speaker unit 200 therein. A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d the inserted cable is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200. In general, the housing 1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The cover 3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0.

스피커 유닛(200)은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인 음파로 변환한다.
The speaker unit 200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wave that is a voice signal.

커버(300)는 하우징(100)과 결합한다. 커버(300)는 개방된 하우징(100)을 덮는다. 이러한 커버(300)는 노즐(310)을 포함한다. 노즐(310)은 이어팁이 결합되는 곳이다. The cov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cover 300 covers the open housing 100. The cover 300 includes a nozzle 310. The nozzle 310 is where the ear tip is coupled.

하우징(100)과 커버(300)에 스피커 유닛(2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스피커 유닛(200)에 의해, 하우징(100)과 커버(300)의 내부 공간은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로 구획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unit 2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is formed by the speaker unit 200. It is divided into 2 space parts S2.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공간부(S1)는 스피커 유닛(200)의 전방에 배치된 공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과 커버(300)에 스피커 유닛(2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스피커 유닛(200)과 커버(300)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제1 공간부(S1)는 노즐(310)과 연통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space S1 refers to a space disposed in front of the speaker unit 200. Specific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peaker unit 2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it means a space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peaker unit 200 and the cover 300. The first space S1 communicates with the nozzle 310.

제2 공간부(S2)는 스피커 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된 공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과 커버(300)에 스피커 유닛(2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스피커 유닛(200)과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The second space S2 refers to a space disposed behind the speaker unit 200. Specific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peaker unit 2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it means a space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peaker unit 200 and the housing 100.

스피커 유닛(200)은 요크(210)를 포함한다.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yoke 210.

요크(2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부재이다. 요크(210)는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역할과 함께 마그네트(220A,220B)를 수용한다.
The yoke 210 is a cylindrical member with an open top. The yoke 210 accommodates the magnets 220A and 220B together with the role of configuring the magnetic circuit.

스피커 유닛(200)은 2개의 마그네트(220A,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220A)는 요크(210)의 내측에 수용되고 제2 마그네트(200B)는 요크(210)의 외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220A)는 원통형 일 수 있으며. 제2 마그네트(220B)는 환형일 수 있다. 제2 마그네트(220B)는 제1 마그네트(220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마그네트는 제1 마그네트(220A)와 제2 마그네트(220B)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peaker unit 200 may include two magnets 220A and 220B. The first magnet 220A may be received inside the yoke 210 and the second magnet 200B may be received outside the yoke 210. The first magnet 220A may be cylindrical. The second magnet 220B may be annular. The second magnet 220B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magnet 220A. However, the magnet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of the first magnet 220A and the second magnet 220B.

스피커 유닛(200)은 2개의 플레이트(230A,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30A)는 제1 마그네트(220A)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230B)는 제2 마그네트(220B)의 상면에 배치된다.
The speaker unit 200 may include two plates 230A and 230B. The first plate 230A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agnet 220A. The second plate 230B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magnet 220B.

스피커 유닛(200)은 보이스코일(240)를 포함한다 보이스코일(240)은 진동판(250)에 고정되어 아래쪽 일부가 요크(210)의 내주연과 제1 마그네트(220A) 및 제1 플레이트(230A)의 외주연 사이에 배치된다.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voice coil 240. The voice coil 240 is fixed to the diaphragm 250 such that a lower portion thereof includes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yoke 210, a first magnet 220A, and a first plate 230A. It is arrang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스피커 유닛(200)은 진동판(250)를 포함한다. 진동판(250)은 그 외주부가 요크(2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어 플레이트(230)의 위에 배치된다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diaphragm 250. The diaphragm 250 has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fix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yoke 210 and disposed on the plate 230.

스피커 유닛(200)은 캡(260)을 포함한다. 캡(260)은 요크(210)를 덮는다. 캡(260)은 그 내주연이 요크(210)의 외주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cap 260. Cap 260 covers yoke 210. The cap 260 may have a larger inner circumference tha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yoke 210.

스피커 유닛(200)은 댐퍼(270)를 포함한다. 댐퍼(270)는 프레임(201)의 상면에 배치된다. 댐퍼(270)는 프레임(201)의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커버(300)의 내벽과 접촉한다.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damper 270. The damper 2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01. The damper 270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201 and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cover 300.

스피커 유닛(200)은 기판(280)을 포함한다. 기판(280)은 요크(201)의 하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보이스코일(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substrate 280. The substrate 28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201 and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voice coil 240.

스피커 유닛(200)은 프레임(201)을 포함한다. 프레임(201)은 요크(210)와 캡(260)에 결합한다. 프레임(201)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는 링형 부재일 수 있다.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frame 201. Frame 201 is coupled to yoke 210 and cap 260. The frame 201 may be a ring member includ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플레이트(230A,230B)와 요크(210)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이 이동한다. 이에 보이스코일(240)에 전류가 인가되어 보이스코일(240)이 자성을 띠게 되면, 보이스코일(240)의 자력 극성에 따라 보이스코일(240)이 움직인다. 즉. 보이스코일(240)의 극성이 플레이트(230A,230B)와 요크(210)의 극성과 같으면, 보이스코일(240)이 밀려 이동하고, 보이스코일(240)의 극성이 플레이트(230A,230B)와 요크(210)의 극성과 다르면, 보이스코일(240)이 당겨져 이동한다. 이처럼, 보이스코일(240)이 움직이면 진동판(250)이 전후방으로 움직이면서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킨다.
The magnetic field mov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plates 230A and 230B and the yoke 210. According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240 and the voice coil 240 becomes magnetic, the voice coil 240 moves according to the magnetic polarity of the voice coil 240. In other words. If the polarity of the voice coil 2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plates 230A and 230B and the yoke 210, the voice coil 240 is pushed and moved, and the polarity of the voice coil 240 is between the plates 230A and 230B and the yoke. If it is different from the polarity of 210, the voice coil 240 is pulled to move. As such, when the voice coil 240 moves, the diaphragm 25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 vibrate air to generate sound.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분해도이고, 도 4는 튜닝홀을 포함하는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블록에 배치된 튜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block including a tuning hole, FIG. 5 is a plan view of the block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tuning unit disposed in the block. Figure is show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블록(320)은 커버(300)의 측벽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블록(320)은 수평블록(322)과 수직블록(323)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블록(322)의 내측면(322a)은 곡면일 수 있다. 수직블록(323)은 수평블록(32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수직블록(323)의 외측면도 곡면일 수 있다. 수평블록(322)의 내측에는 튜닝홀(321)이 배치된다. 튜닝홀(321)은 수직블록(323)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튜닝홀(321)의 입구는 수직블록(323)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튜닝홀(321)의 출구는 수직블록(323)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튜닝홀(321)의 입구는 유도홈(도 7의 340)과 마주한다.3 to 6, the block 320 may be part of the sidewall of the cover 300. The block 320 may include a horizontal block 322 and a vertical block 323. The inner side surface 322a of the horizontal block 322 may be curved. The vertical block 323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lock 322.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lock 323 may also be curved. The tuning hole 321 is disposed inside the horizontal block 322. The tuning hole 321 is formed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323. The inlet of the tuning hole 32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block 323. The exit of the tuning hole 321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323. The inlet of the tuning hole 321 faces the guide groove 340 of FIG. 7.

튜닝홀(321)의 단면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튜닝홀(32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튜닝홀(321)의 직경(D1)과 길이(L1)를 변경하여, 음색 또는 음향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ning hole 321 may be rectangular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ircular, elliptical, or the like. The tuning holes 321 may be plural in number. By changing the diameter (D1) and the length (L1) of the tuning hole 32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one or sound characteristics.

튜닝부(F1)는 바디(F1a)와 바디(F1a)에 배치되는 튜닝소재(F1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F1a)는 튜닝홀(321)의 출구가 형성된 수직블록(323)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튜닝소재(F1b)를 통과한 소리는 음색 또는 음향 특색이 변경된다. 튜닝소재(F1b)는 메쉬(mesh)소재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부직포, 멤브레인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튜닝소재(F1b)의 크기(D2)를 조절하여 음색 또는 음향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The tuning unit F1 may include a body F1a and a tuning material F1b disposed on the body F1a. The body F1a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323 in which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321 is formed.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tuning material F1b is changed in tone or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tuning material F1b may be a mesh material and may include polyester, nylon, nonwoven fabric, membrane filter, or the like. The tone or sound characteristics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ize D2 of the tuning material F1b.

도 7은 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도 7을 참조하면, 커버(300)의 내측에는 장착부(330)가 배치된다. 장착부(330)에는 블록(320)이 장착된다. 장착부(330)는 커버(300)의 내측에서 오목하게 배치된다. 장착부(330)는 노즐(310)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장착부(330)는 노즐(310)과 정렬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장착부(330)는 튜닝홀(321)의 출구가 형성된 수직블록(323)의 타측면과 마주보고 배치된다. 장착부(330)에는 유도홈(340)이 배치될 수 있다, 유도홈(340)은 장착부(330)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노즐(310)과 연통된다. 유도홈(340)은 튜닝부(F1)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한다.Referring to FIG. 7, the mounting part 330 is disposed inside the cover 300. The block 320 is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330. The mounting part 330 is disposed concave inside the cover 300. The mounting part 330 may be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nozzle 310. However, the mounting unit 3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not aligned with the nozzle 310. The mounting part 330 is disposed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323 in which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321 is formed. The guide groove 340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portion 330. The guide groove 340 is formed in a recess in the mounting portion 330 to communicate with the nozzle 310. The guide groove 340 secures a space in which the tuning unit F1 is installed.

또한 유동홈(340)의 두께(t), 길이(L2) 및 폭(L3)을 변경하여, 음색 또는 음향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hanging the thickness t, the length (L2) and the width (L3) of the flow groove 34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one or sound characteristics.

도 8은 블록이 장착된 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커버의 장착부와 노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ide of a cover on which a block is mounted,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part of a cover and a position of a nozzl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블록(320)은 커버(300)의 내측에 장착된다. 블록(320)의 표면은 커버(300)의 내측면과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330)는 노즐(310)이 위치한 도 9의 A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홈(340)도 노즐(310)이 위치한 도 9의 A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튜닝홀(321)은, 커버(30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노즐(310)의 중심과 커버(300)의 중심(C1)을 지나는 기준선(L)상에 배치될 수 있다.
8 and 9, the block 320 is mounted inside the cover 300. The surface of the block 320 may be disposed to be continuou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300. The mounting part 330 may be disposed in the area A1 of FIG. 9 where the nozzle 310 is located. The guide groove 340 may also be disposed in the area A1 of FIG. 9 where the nozzle 310 is located. The tuning hole 321 may be disposed on a reference line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nozzle 310 and the center C1 of the cover 300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300.

도 10은 제1 공간부에서 제2 공간부로 전달되는 소리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space portion to the second space portion.

도 10을 참조하면, 진동판(250)이 움직여 발생된 소리는, 제1 공간부(S1)로 전달된다. 제1 공간부(S1)로 전달된 소리의 일부는 유도홈(340)을 지나 튜닝홀(321)을 관통한다. 튜닝홀(321)를 관통한 소리는 튜닝부(F1)를 관통한다. 튜닝부(F1)를 관통한 소리는 튜닝되어 제2 공간부(S2)로 전달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sound generated by moving the diaphragm 25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ace S1. A part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first space S1 passes through the tuning hole 321 through the guide groove 340.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tuning hole 321 passes through the tuning unit F1.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tuning unit F1 is tun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space S2.

커버(300)와 하우징(10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홀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하우징(100)과 커버(300)부가 이루는 공간은 밀폐 상태로, 외부의 노이즈가 차단되어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의 표면에 홀이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밀성이 높아 이물질이나 수분이 이어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300 and the housing 100 have no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refore, the space formed by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is in a sealed state, and external noise is blocked to minimize the loss of sound. And since there is no hole in the surface of the earphone has a strong advantage against external shocks. In addition. High airtightness prevents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from entering the earphones.

하우징(100)과 커버(300)부가 이루는 공간이 밀폐 상태이지만, 제1 공간부(S1)의 공기는 튜닝홀(321)을 통해 제2 공간부(S2)로 전달되어 소통된다. 때문에, 공간이 밀폐되어 발생할 수 있는 청취자의 고막의 피로가 심해지거나, 귀가 멍멍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Although the space formed by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300 is in a sealed state, air in the first space S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tuning hole 321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fatigue of the listener's eardrum, which may occur due to the space being enclosed, is prevented or the ears are blunt.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의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튜닝홀과 튜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earphone provided with the tun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tuning hole and a tuning unit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20)은, 하우징(1100)과, 스피커 유닛(1200)과, 커버(1300)를 포함한다.
11 and 12, the earphon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0, a speaker unit 1200, and a cover 1300.

하우징(1100)은 내부에 스피커 유닛(1200)을 수용한다. 하우징(1100)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된다, 인입된 케이블은 스피커 유닛(1200)에 연결된다. 전체적으로, 하우징(1100)은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100)의 전면에는 커버(130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0 accommodates the speaker unit 1200 therein. A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0, and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1200. In general, the housing 11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The cover 13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0.

커버(1300)의 단부(1301)에는 수용홈(1325)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1300)의 단부(1301)는 환형일 수 있다. 커버(1300)의 단부(1301)는 하우징(1100)과 맞닿을 수 있다.
An accommodation groove 1325 may be disposed at the end 1301 of the cover 1300. End 1301 of cover 1300 may be annular. The end 1301 of the cover 13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100.

수용홈(1325)에는 튜닝홀(1321)이 배치된다. 튜닝홀(1321)의 출구가 수용홈(1325)에 위치한다. 튜닝부(F2)는 바디(F2a)와 바디(F2a)에 배치되는 튜닝소재(F2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F2a)는 수용홈(1325)에는 수용된다. 튜닝소재(F2b)는 튜닝홀(1321)을 덮는다.
The tuning hole 1321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325.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1321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325. The tuning unit F2 may include a body F2a and a tuning material F2b disposed on the body F2a. The body F2a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325. The tuning material F2b covers the tuning hole 1321.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튜닝홀)의 치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1,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dimensions of a tuning hol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튜닝홀(1321)은 커버(1300)의 측벽의 내부에 배치된다. 튜닝홀(1321)은 상호 연결되는 제1 홀(1321A)과 제2 홀(1321B)을 포함한다. 제1 홀(1321A)은 제1 공간부(S3)와 연통되고, 제2 홀(1321B)은 제2 공간부(S4)와 연통된다. 제2 홀(1321B)은 제1 홀(1321A)에서 꺽여 연결될 수 있다.13 and 14, the tuning hole 1321 is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of the cover 1300. The tuning hole 1321 includes a first hole 1321A and a second hole 1321B which are interconnected. The first hole 1321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S3, and the second hole 1321B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S4. The second hole 1321B may be bent at the first hole 1321A.

제1 홀(1321A)의 직경(D3) 또는 길이(L4)와, 제2 홀(1321B)의 직경(D4) 또는 길이(L5)를 조절하여, 음색 또는 음향 특색을 미세하게 조절하거나 튜닝홀(1321)을 통과하는 공기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e diameter D3 or the length L4 of the first hole 1321A and the diameter D4 or the length L5 of the second hole 1321B are adjusted to finely adjust the tone or sound characteristics or to adjust the tuning hole ( 1321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도 15는 도 11에서 도시한 커버의 튜닝홀과 노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positions of a tuning hole and a nozzle of the cover illustrated in FIG. 11.

도 15를 참조하면, 튜닝홀(1321)은 노즐(310)이 위치한 도 15의 A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튜닝홀(1321)은, 커버(130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노즐(1310)의 중심과 커버(1300)의 중심(C2)을 지나는 기준선(L)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튜닝홀(1321)은 다른 기준선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tuning hole 1321 may be disposed in area A2 of FIG. 15 where the nozzle 310 is located. The tuning hole 1321 may be disposed on a reference line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nozzle 1310 and the center C2 of the cover 1300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1300. However, the tuning hole 1321 may be disposed on another reference line.

도 16은 도 11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제1 공간부(S3)에서 제2 공간부(S4)로 전달되는 소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space S3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11 to the second space S4.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공간부(S3)로 전달된 소리의 일부는 튜닝홀(1321)을 관통한다. 튜닝홀(1321)를 관통한 소리는 튜닝부(F2)를 관통한다. 튜닝부(F2)를 관통한 소리는 튜닝되어 제2 공간부(S4)로 전달된다.
Referring to FIG. 16, a part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first space S3 passes through the tuning hole 1321. Sound passing through the tuning hole 1321 passes through the tuning unit F2.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tuning unit F2 is tun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space S4.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earphone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to be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 is to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s well as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100: 하우징
200,1200: 스피커 유닛
300,1300: 커버
310,1310: 노즐
320: 블록
321,1321: 튜닝홀
330: 장착부
340: 유도홈
100,1100: housing
200,1200: speaker unit
300,1300: cover
310,1310: nozzle
320: block
321,1321: tuning hole
330: mounting portion
340: guide groove

Claims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노즐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공간부와 구획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측벽의 내부에 배치된 튜닝홀을 포함하고,
상기 튜닝홀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튜닝홀에는 튜닝부가 배치되고,
상기 튜닝홀의 입구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튜닝홀의 출구는 상기 제2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튜닝부는 상기 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의 일부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에는 상기 튜닝홀이 배치되고,
상기 블록은 수직블록과 상기 수직블록에서 연장되는 수평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튜닝홀은 상기 수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홀의 상기 입구는 상기 수직블록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홀의 상기 출구는 상기 수직블록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부는 상기 수직블록의 타측면에 결합하는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
housing;
A speaker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he cover including a nozzle,
A first space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speaker unit;
And a second space portion partitioned from the first space portion disposed behind the speaker unit,
The cover includes a tuning hol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cover,
The tuning hole communicates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tuning hole is disposed in the tuning hole,
The inlet of the tuning hole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tuning portion is disposed at the outlet,
The cover includes at least one block that forms part of the sidewall,
The tuning hole is disposed in the block,
The block includes a vertical block and a horizontal block extending from the vertical block,
The tuning hol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block,
The inlet of the tuning hol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block,
The outlet of the tuning hole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The tuning unit is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for coupling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상기 커버의 단부는 환형이며,
상기 커버의 단부의 중심을 기준하여 원주방향으로, 상기 튜닝홀과 상기 노즐은 정렬되는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
According to claim 1,
An end portion of the cover in contact with the housing is annular;
Earphones provided with tuning mea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cover, the tuning hole and the nozzle are align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과 연통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장착부에 배치되는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 reces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to communicate with the nozzle,
And the block is provided with tuning means disposed in the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블록의 타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유도홈을 포함하는 튜닝 수단이 마련되는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portion,
It is formed concave in the mounting portion,
It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block,
Earphones provided with a tuning means comprising a guide groove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02514A 2018-08-30 2018-08-30 Ear phone KR102049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14A KR102049571B1 (en) 2018-08-30 2018-08-30 E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14A KR102049571B1 (en) 2018-08-30 2018-08-30 E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71B1 true KR102049571B1 (en) 2019-11-27

Family

ID=687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514A KR102049571B1 (en) 2018-08-30 2018-08-30 E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194A (en) * 2020-04-30 2021-11-09 부전전자 주식회사 Canal type Wireless earph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91B1 (en) * 2014-05-23 2015-10-06 부전전자 주식회사 Canal type earphone with pressure equilibrium means
KR20170098527A (en)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In-ear earphone
KR20170125050A (en) * 2015-02-27 2017-11-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n acoustic resistance body, an acoustic resistance member having the acoustic resistance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91B1 (en) * 2014-05-23 2015-10-06 부전전자 주식회사 Canal type earphone with pressure equilibrium means
KR20170125050A (en) * 2015-02-27 2017-11-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n acoustic resistance body, an acoustic resistance member having the acoustic resistance body,
KR20170098527A (en)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In-ear ear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194A (en) * 2020-04-30 2021-11-09 부전전자 주식회사 Canal type Wireless earphone
KR102324729B1 (en) 2020-04-30 2021-11-10 부전전자주식회사 Canal type Wireless ea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836B1 (en) Ear phone provided with inner duct
US10939217B2 (en) Audio device with acoustic valve
KR102049572B1 (en) Ear phone provided with tuning means
EP2187654B1 (en) Earphone
US11026012B1 (en) Earphone including tuning means
AU2015282183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KR101767467B1 (en) Noise shielding ears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arset
KR101952909B1 (en) Earphone having pressure equalization structure
EP3637799B1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with a venting passage
CN112788459B (en)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pipe
US20210266654A1 (en) Earphone including tuning means
WO1999037122A1 (en) Flush mounted uni-directional microphone
CN111052761A (en) Sound output device, earphone, hearing ai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CN113132866B (en) Balanced armature receiver
KR20170080388A (en) Noise shielding earset with acoustic filter
CN108989926B (en) Dynamic receiver with resonance protector for earphone
KR102118425B1 (en) Ear phone provided with tuning means
KR102049571B1 (en) Ear phone
AU2017200327B2 (en) Loudspeaker module for a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KR101634236B1 (en) Acoustic Hybrid Earphone With Acoustic Filter
KR102324727B1 (en) Canal type Wireless earphone
KR102118424B1 (en) Ear phone
KR102053263B1 (en) Earphone having structure for improving quality of sound
US20050123159A1 (en) Portable accoustic apparatus
KR102324729B1 (en) Canal type Wireless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