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165B1 - 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 Google Patents

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165B1
KR102049165B1 KR1020180008736A KR20180008736A KR102049165B1 KR 102049165 B1 KR102049165 B1 KR 102049165B1 KR 1020180008736 A KR1020180008736 A KR 1020180008736A KR 20180008736 A KR20180008736 A KR 20180008736A KR 102049165 B1 KR102049165 B1 KR 10204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target
piece
light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8294A (en
Inventor
변성현
민완기
Original Assignee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8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1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9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one single type of energy and measuring its conversion into another type of energy
    • A61B5/009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one single type of energy and measuring its conversion into another type of energy by applying light and detecting acoustic waves, i.e. photoacoustic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색소 병변을 확인할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상기 타겟에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to output to the outside; An acoustic detector for detecting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a laser is irradiated onto a target for identifying a pigmented lesion; Wherein the acoustic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such that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sound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

Description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본 발명은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piece for use in the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s.

색소 병변(pigmented lesion)은 피부 질환의 하나로서 양성 병변(benign lesion)과 악성 병변(malignant lesion)으로 분류될 수 있다. 양성 병변은 예를 들면 기미(freckle)나 오타모반(nevus of Ota)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고, 악성 병변은 피부 암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Pigmented lesions can be classified into benign lesions and malignant lesions as one of skin diseases. Benign lesions can be, for example, freckles or nevus of Ota, and malignant lesions can be such as skin cancer.

한편, 양성 병변은 주로 피부 토닝 장치나 피부 필링 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로 제거되는데, 양성 병변의 위치(피부로부터의 깊이)에 따라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이 달라진다. On the other hand, benign lesions are mainly removed by laser using a skin toning device or skin peeling device, and the wavelength of the laser use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depth from the skin) of the benign lesions.

종래, 양성 병변과 악성 병변의 구별은 쉽지 않으므로, 피부 토닝 장치나 피부 필링 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로 색소 병변을 제거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색소 병변에 대한 정확한 구별 없이 색소 병변에 대한 시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설사 양성 병변과 악성 병변을 구별할 수 있는 경우라도, 양성 병변의 경우 그 깊이를 실제 절제하거나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같은 별도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Conventionally,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nign lesions from malignant lesions. Therefore,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removal of pigmented lesions with a laser using a skin toning device or a skin peeling apparatus perform a procedure for pigmented lesions without accurate distinction of pigmented lesions. There are many cases. Even if diarrhea-positive and malignant lesions can be distinguished, there are inconveniences in the case of benign lesions that need to be resected in depth or measured using a separate, expensive instrument such a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특허문헌 001) US5135604 A
(특허문헌 002) US7039446 B2
(Patent Document 001) US5135604 A
(Patent Document 002) US7039446 B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색소 병변의 깊이 및/두께를 판단할 수 있는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that can determin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색소 병변의 깊이 및/두께에 기초하여, 양성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파장의 레이저 종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악성 병변의 진행 상태 및 위중한 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epth and /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laser type of the wavelength to remove the benign lesion to the user, and to tell the user the progress and the critical degree of the malignant lesio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들 및 방법들에 사용될 수 있는 핸드피스와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piece and a handpiece detachable device that can be used in the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of the pigmented les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to output to the outside;

색소 병변을 확인할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 를 포함하며, An acoustic detector for detecting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a laser is irradiated onto a target for identifying a pigmented lesion; Including;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상기 핸드피스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가 제공된다.When the handpiece is in contact with a target and irradiated with a laser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sound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art such that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target.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피스와 제2피스로 구성되는 핸드피스에서의 상기 제2피스 -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라고 함 -에 있어서,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piece in the handpiece consisting of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referred to as a handpiece detachment device,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the laser to the outside;

색소 병변을 확인할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 를 포함하며, An acoustic detector for detecting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a laser is irradiated onto a target for identifying a pigmented lesion; Including;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외부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는 유입단이고,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유입 받은 상기 레이저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단이며, 상기 유입단은 제1피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an inflow end receiving the laser from the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an output end for outputting the incoming laser to the outside, the inflow e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first piece. ,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상기 핸드피스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가 제공된다.When the handpiece is in contact with a target and irradiated with a laser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sound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art such that it can contact the target. An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핸드피스를 이용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using the aforementioned handpiece.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들 및 방법에 따르면, 색소 병변의 깊이 및/두께에 기초하여, 양성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파장을 가진 레이저 종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악성 병변의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색소 병변이 양성 병변 또는 악성 병변인지를 진단하고, 색소 병변의 깊이 및/두께를 측정하여, 양성 병변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그러한 양성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 종류를 추천하고, 악성 병변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악성 병변의 진행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a laser type having a wavelength capable of removing benign lesions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e progress of the malignant lesion.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agnose whether a pigmented lesion is a benign lesion or a malignant lesion and to measur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o remove the benign lesion if it is diagnosed as a benign lesion. The type of laser that is present is recommended and, if diagnosed as malignant lesions, the progress of malignant lesions can be indicated.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는 상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들 및 방법들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Handpieces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fully used in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of pigmented lesions that exhibit the effects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가 색소 병변의 위치를 계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가 핸드피스에 장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pigmented lesion in the diagnostic device of the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agnosis device for the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andpiec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W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원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및/또는 구성요소 B'라고 함은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omponent A and / or component B' is used to mean 'at least one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직접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간접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간접 결합은, 구성 요소 A와 구성요소 B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의 구성요소가 게재되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combined, it is used to mean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directly coupled or indirectly coupled. Here, indirect coupling means that at least one third component is placed and coupled betwee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and the lik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수신', '제공', 또는 '전달'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구성요소 a')에서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c)를 경유하여 구성요소 b로 전달되는 것도 포함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ive', 'providing', or 'delivering' of a signal, data, or information means one component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data, or information from a ') to another component (' component b '), it also passes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 component c ') to component b.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that are 'operably related to each other' are wired and / or wirelessly connected to transmit and / or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구성요소 a')와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가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 되어 있다는 명시적인 표현이 없더라도,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a)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구성요소 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구성요소 b가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b)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면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는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component a outputs from component b,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representation that one component ('component a') and another component ('component b') are 'operationally related' to each other. Receive the signal, data, or information to perform the operation of itself (component a), or the component b receives the signal, data, or information output from component a to perform the operation of itself (component b). If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operatively related'.

본원 명세서에서, '레이저 발생 장치'는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 핸드피스'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이저 발생 장치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타겟으로 유출하도록 구성된 기기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aser generating device' means a device for generating a cosmetic or medical laser, the 'beauty or medical laser handpiece' has a shape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hand and the laser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device Means a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the inflow and outflow to the target.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레이저'는 펄스 레이저 또는 연속광 레이저를 의미한다. 또한 '레이저'의 주파수 대역은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UV(Ultra violet) 대역, 가시광(Visible light) 대역, 또는 IR(Infra-red) 대역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laser' means a pulsed laser or continuous light laser. In addition, the frequency band of the 'laser' may have any frequency band, for example, may have a UV (ultra violet) band, a visible light band, or an IR-infrared band.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발생 광'은 레이저가 타겟(예를 들면,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광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발생 광'은 예를 들면 플라즈마 광, 반사광, 산란광, 및/또는 형광광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generating light' is meant to include all light generated when a laser is irradiated to a target (eg, body tissue). Thus, 'generated light' may mean, for example, plasma light, reflected light, scattered light, and / or fluorescent light.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파장’은 특정 수치 뿐만 아니라 특정 범위의 수치(즉, 파장 대역)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wavelength' may mean a specific numerical value as well as a specific range of numerical values (ie, wavelength bands).

본원 명세서에서, ‘핸드피스’는 원 피스(one piece), 투 피스(two pieces), 또는 그 이상의 피스들(pieces)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핸드피스가 투 피스로 구성될 경우 그 중 하나를 제1피스, 나머지 하나를 제2피스로서 언급하며, 여기서 제2피스는 제1피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피스는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로 언급되기도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handpiece"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two pieces, or more piec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handpiece consists of two pieces, one of them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iece and the other as the second piece, where the second piece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handpiece detachable device'.

본원 명세서에서, ‘광 경로’는 레이저가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하며, ‘광 경로’는 공간(space) 이거나 또는 레이저가 이동하기 용이한 물질로 구성된 선(wire)이나 섬유(fiber)와 같은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ptical path' means a path through which the laser can be moved, and the 'optical path' is a space or a wire or fiber made of a material which is easy to move. It may be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o help understan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 발생 장치(1),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 핸드피스(이하, ‘핸드피스’라고 함)(3), 및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이하, '진단 장치')(10)를 포함하며, 진단 장치(10)는 음향 감지부(5)와 진단부(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diagnosis system for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generating device 1, a cosmetic or medical laser handpie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ndpiece) 3, and a pigmented lesion. The diagnostic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agnostic device') 10, the diagnostic device 10 includes a sound sensing unit 5 and the diagnostic unit (7).

도 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진단장치(10)는 음향 감지부(5)의 음향 감지 결과를 진단부(7)에게 제공하기 위한 회로 수단(미 도시)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수단(미 도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 결과를 진단부(7)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diagnosis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circuit means (not shown) for providing the diagnosis unit 7 with a sound detection result of the sound detection unit 5. Here, the circuit means (not shown)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to the diagnosis unit 7 by wire or wirelessly.

일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5)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를 진단부(7)에 제공하기 위한 유선 케이블(미 도시)이 핸드피스(3)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유선 케이블의 일 단부는 음향 감지부(5)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선 케이블의 타 단부는 진단부(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유선 케이블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ndpiece 3 may be provided with a wired cable (not shown) for providing the diagnosis unit 7 with th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acoustic detector 5, and one of the wired cables may be provided. The e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acoustic sensing unit 5,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d cabl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agnostic unit 7. This wired cable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described later.

본원 명세서에서, '음향 감지 결과' 라고 함은 '음향 감지 시각' 또는 '음향 감지 시각을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acoustic sensing result" is used to mean "a sound sensing time" or "data capable of calculating the sound sensing time".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부(5)는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확인할 타겟(예를 들면, 피부)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5)는 음향 감지를 위해서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미 도시)와 트랜스듀서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amp)(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und detector 5 may detect sound generate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a target (for example, skin) to check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For example, the acoustic sensing unit 5 may include a transducer (not shown) for converting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transducer. Not shown).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핸드피스(3)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음향 감지부(5)는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핸드피스(3)의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핸드피스(3)가 투 피스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2피스의 바디부의 하부에 음향 감지부(5)가 결합된다.When the handpiece 3 is in contact with the target and irradiated with a laser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unit 5 is in the body part of the handpiece 3 so that it can contact the target. Are combin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handpiece 3 is composed of two pieces, the acoustic sensing unit 5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second piece.

레이저 발생장치(1)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가 핸드피스(3)를 통해서 타겟에 조사되면, 타겟에 존재하는 색소 병변은 레이저를 흡수하고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포토어코스틱(photoacoustic)이라고 하고, 포토어코스틱 현상에 의해 발생된 음향을 본원 명세서에서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라고 부르기로 한다.When the laser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or 1 is irradiated to the target through the handpiece 3, the pigmented lesion present in the target absorbs the laser and generates sound. Such a phenomenon is called a photoacoustic, and sound generated by the photoacoustic phenomenon is referred to herein as a 'photoacoustic wave'.

본 실시예에서, 진단부(7)는 음향 감지부(5)에 의해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감지된 시각('음향 감지 시각')과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를 계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gnosis unit 7 may calculate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based on the time when the photoacoustic wave is detected by the sound sensing unit 5 ('sound detection time') and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have.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는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laser irradiation visual information'

i)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레이저 발생 장치가 생성한 레이저 생성 시각 i) Laser generation time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device for the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ii) 타겟의 표면에 레이저가 닿는 시각 ii) the time the laser hits the surface of the target

iii) 레이저가 타겟에 조사된 후 타겟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을 감지한 시각 및 iii) the time at which the laser light is emitted to the target and then detects the generated light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target;

iv) 레이저 생성 시각과 발생 광을 감지한 시각 사이의 임의의 시각iv) any time between the laser generation time and the time when the generated light is detect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t is used to mean containing at least one of.

음향 감지부(5)는 타겟으로부터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고, 음향 감지 결과는 진단부(7)에게 제공된다.The sound sensor 5 detects the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from the target, and the sound detection result is provided to the diagnosis unit 7.

음향 감지부(5)는 하나 이상의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고, 진단부(7)는 음향 감지 시각과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한다. The acoustic detector 5 detects one or more photoacoustic waves, and the diagnostic unit 7 calculates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using the acoustic detection time and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본 실시예에서, 진단부(7)는 레이저 발생 장치(1)로부터 레이저 생성 시각을 제공받고, 음향 감지부(5)로부터 음향 감지 결과를 제공받아서,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gnostic unit 7 receives the laser generation time from the laser generating device 1 and receives the sound detection result from the acoustic detection unit 5 to calculat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

음향 감지부(5)는 적어도 2개의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할 수 있다.The sound detector 5 may detect at least two photoacoustic waves.

본원 명세서에서는, 본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시간적으로 먼저 감지된 것을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라고 하고, 다음에 감지된 것을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라고 하고,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와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다음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커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description, a first photoacoustic wave that is first detected in time and a second photoacoustic wave that is detected next are referred to as a first photoacoustic wave and a second photoacoustic wave. When the stick wave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it is called a 'photoacoustic wave couple'.

조건Condition

레이저가 타겟으로 조사된 후,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와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감지되고,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한 시각과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한 시각이 서로 다르며,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는 색소 병변의 상면(타겟의 표면에 가까운 면)에 레이저가 흡수될 때 발생된 것이고,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는 색소 병변의 하면(타겟의 표면과 멀리 있는 면)에 레이저가 흡수될 때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After the laser is irradiated onto the target, the first photoacoustic wave and the second photoacoustic wave are detected, and the time when the first photoacoustic wave is detect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photoacoustic wave is detect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photoacoustic wave is generated when the laser is absorb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igmented lesion (surface close to the surface of the target), and the second photoacoustic wave is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gmented lesion (surface far from the surface of the target). If it is believed that it occurred when the laser was absorbed.

진단부(7)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커플의 감지 결과로부터 색소 병변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The diagnosis unit 7 may calculate the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hotoacoustic wave couple.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이 양성 병변(benign lesion)인 경우, 레이저 종류 DB(미 도시)를 참조하여 색소 병변을 치료할 수 있는 레이저 종류를 1개 이상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레이저 종류’는 레이저를 정의한 데이터로서, 파장, 파워, 펄스 폭, 및 제품 명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레이저를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When the pigmented lesion is a benign lesion, the diagnosis unit 7 performs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or more laser types capable of treating the pigmented lesion with reference to the laser type DB (not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laser type' means data defining the laser, and means data defining the laser by at least one of wavelength, power, pulse width, and product name.

상세하게 설명하면, 진단부(7)는 레이저 종류 DB(미 도시)에서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대응된 레이저 종류를 적어도 1개 이상 선택한다. In detail, the diagnosis unit 7 selects at least one laser type corresponding to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in the laser type DB (not shown).

예를 들면,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의 깊이를 고려하여 레이저 종류를 적어도 1개 이상 선택하거나, 또는 색소 병변의 깊이와 두께를 모두 고려하여 레이저 종류를 적어도 1개 이상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gnosis unit 7 may select at least one laser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or at least one laser type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depth and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이는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따라서, 색소 병변을 제거 또는 경감시킬 수 있는 레이저의 파장, 파워, 및 폭(duration)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이저 종류 DB -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따른 레이저 종류를 정의한 데이터 -가 준비되어 있으며, 진단부(70)는 그러한 레이저 종류 DB를 참조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따른 레이저 종류를 선택한다. This is because, depending on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wavelength, power, and duration of the laser that can remove or alleviate the pigmented lesion vary. Although not shown, the laser type DB-data defining the laser type according to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is prepared, and the diagnostic unit 70 refers to such laser type DB to determin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Select the laser type according to the

진단부(7)는 또한 색소 병변이 악성 병변(malignant lesion)인 경우, 색소 병변 DB(미 도시)를 참조하여, 악성 병변의 진행 상태(development state)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악성 병변(malignant lesion)은 예를 들면 피부암(skin cancer)과 같은 것일 수 있고, 색소 병변 DB(미 도시)는 악성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따라서 진행 상태를 정의한 데이터이다.The diagnosis unit 7 may also determine the development state of the malignant lesion with reference to the pigment lesion DB (not shown) when the pigmented lesion is a malignant lesion. Here, the malignant lesion may be, for example, skin cancer, and the pigmented lesion DB (not shown) is data defining a progression state according to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malignant lesion.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이 악성 병변(malignant lesion)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색소 병변 DB(미 도시)를 참조함으로써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따라서 그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의 두께에 따라서 그 진행 상태를 판단하거나, 또는 색소 병변의 깊이와 두께를 모두 고려하여 그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igmented lesion is a malignant lesion, the diagnosis unit 7 may determine the progress state according to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by referring to the pigmented lesion DB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iagnosis unit 7 may determine the progress sta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or may determine the progress state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depth and the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진행 상태를 정의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암의 병기(development stage)(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와 같은 것일 수 있다. "Data defining progression status" may be, for example, the stage of development (first stage, second stage, third stage, fourth stage) of cancer.

상술한 색소 병변 DB와 레이저 종류 DB는 진단장치(10)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진단부(7)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근 가능한 외부 저장장치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 저장장치에 색소 병변 DB와 레이저 종류 DB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진단장치(10)가 그러한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색소 병변 DB와 레이저 종류 DB에 접근하여 참조할 수 있다. The pigmented lesion DB and the laser type DB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or separately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accessible by the diagnostic unit 7 by wire or wirelessly. When the pigmented lesion DB and the laser type DB are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access and refer to the pigmented lesion DB and the laser type DB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니터와 같은 표시부를 통해서 진단부(7)의 동작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부(7)에 의해 선택된 레이저 종류나 색소 병변의 진행 상태가 표시부(미 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operation result of the diagnosis unit 7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such as a monitor. For example, the laser type selected by the diagnostic unit 7 or the progress state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상술한 실시예에서,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이 양성 병변인 경우에는 레이저 종류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악성 병변인 경우에는 진행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의 종류에 무관하게 2가지 동작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진단부(7)는 색소 병변의 종류에 무관하게,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기초하여 레이저 종류와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agnosis unit 7 has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an operation of selecting a laser type when the pigmented lesion is a positive lesion and determining an advanced state when the pigmented lesion is a malignant lesion. On the other hand,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iagnostic unit 7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both operations regardless of the type of pigmented lesion. That is,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iagnosis unit 7 may determine the laser type and the progress state based on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pigmented lesion.

상술한 실시예에서, 색소 병변의 종류를 판단하는 장치에 대하여 언급이 없었는데, 색소 병변의 종류를 판단하는 장치가 별도로 준비되거나, 또는 진단부(7)가 색소 병변의 종류를 판단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색소 병변의 종류를 판단하는 장치(미 도시)의 일 예를 들면, 레이저가 색소 병변에 조사되었을 때 색소 병변으로부터 생성되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색소 병변이 악성 병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색소 병변의 종류를 판단하는 장치(미 도시)의 다른 예를 들면, 색소 병변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색소 병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소 병변이 악성 병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40202(2016. 7. 11)에는 색소 병변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 및/또는 색소 병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악성 병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40202(2016. 7. 11)에 기재된 기술 내용의 전부는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 결합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is no mention of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type of pigmented lesion, but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type of pigmented lesion is prepared separately, or the diagnostic unit 7 additionally add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type of pigmented lesion.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type of pigmented lesion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pigmented lesion is a malignant lesion by analyzing a spectrum of light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pigmented lesion. Can be. As another example of an apparatus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type of pigmented lesion, the spectrum of the generated light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and the image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pigmented lesion is a malignant lesion.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40202 (July 11, 2016) discloses a techniqu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malignant lesion by analyzing the spectrum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and / or the image of the pigmented lesion. All of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40202 (July 11, 2016) are incorporated as par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가 색소 병변의 깊이(또는 위치)를 계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depth (or position) of the pigmented lesion in the diagnostic device of the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진단부(7)가 색소 병변의 깊이(또는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epth (or position) of a pigmented lesion by the diagnostic unit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본원 명세서에서, 발명의 설명 목적을 위해서, 색소 병변의 깊이(또는 위치)는 타겟의 표면으로부터 색소 병변(예를 들면, 색소병변의 표면(상면, 하면, 또는 측면)이나 색소 병변의 내부 임의의 위치)까지의 거리(h)로 정의된다(도 4의 (a) 참조). 한편, 도 4의 (a)에서는 색소 병변의 깊이(h)가 색소 병변의 중앙까지의 거리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the depth (or position) of the pigmented lesion is determined from the surface of the target to the pigmented lesion (eg, the surface (top, bottom, or side) of the pigmented lesion or the interior of the pigmented lesion. Position), defined as the distance h (see FIG. 4A). On the other hand, in Figure 4 (a), the depth (h) of the pigmented lesion is shown as the distance to the center of the pigmented lesion is exemplary.

진단부(7)는 예를 들면 다음의 <수식 1>에 의해 색소 병변의 깊이를 계산할 수 있다. The diagnostic part 7 can calculate the depth of a pigmented lesion, for example by following Formula (1).

<수식 1><Equation 1>

색소 병변의 깊이(h) =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속도 ⅹ (음향 감지 시각 - 레이저 조사 시각) Depth of pigmented lesion (h) = photoacoustic wave velocity ⅹ (sound detection time-laser irradiation time)

한편, <수식 1>에 포함된 '레이저 조사 시각'은Meanwhile,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cluded in Equation 1

i)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레이저 발생 장치가 생성한 레이저 생성 시각i) Laser generation time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device for the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ii) 타겟의 표면에 레이저가 닿는 시각 ii) the time the laser hits the surface of the target

iii) 레이저가 타겟에 조사된 후 타겟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을 감지한 시각 및 iii) the time at which the laser light is emitted to the target and then detects the generated light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target;

iv) 레이저 생성 시각과 발생 광을 감지한 시각 사이의 임의의 시각iv) any time between the laser generation time and the time when the generated light is detected.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It means any one of.

여기서, 음향 감지 시각은 색소 병변으로부터 발생된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감지된 시각이다. 한편, 펄스 레이저가 색소 병변에 조사된 경우, 도 4의 (b)와 같이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피크를 가진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색소 병변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Here, the acoustic detection time is a time when the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is det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ulse laser is irradiated to the pigmented lesion, a photoacoustic wave having a peak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rroundings may be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as shown in (b) of FIG.

또한, 진단부(7)는 예를 들면 다음의 <수식 2>에 의해 색소 병변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gnostic part 7 can calculate the thickness of a pigment | dye lesion, for example by following formula (2).

<수식 2><Formula 2>

색소 병변의 두께(d) =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속도 ⅹ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감지 시각 -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감지 시각) Thickness of pigmented lesion (d) = photoacoustic wave velocity ⅹ (second photoacoustic wave detection time-first photoacoustic wave detection time)

여기서,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와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커플이다.  Here, the first photoacoustic wave and the second photoacoustic wave are photoacoustic wave couples.

본 실시예에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1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핸드피스(3)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agnosis device 10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andpiece 3.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사람이 손으로 잡기 용이한 통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piece 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ylindrical body portion which has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and is easily held by a person by hand.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3)는 원 피스(one piece), 투 피스(two pieces), 또는 셋 이상의 피스들(pieces)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3 may consist of one piece, two pieces, or three or more pieces.

핸드피스(3)가 원 피스(one piece)로 구성될 경우, 핸드피스(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바디부의 상부는 레이저를 외부에서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단이고, 그러한 바디부의 하부는 입력 받은 레이저를 외부(타겟)으로 출력하는 출력단이다. 핸드피스(3)가 원 피스로 구성될 경우 음향 감지부(5)는 그러한 바디부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5)는 출력단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소 병변을 진단할 때, 음향 감지부(5)는 타겟에 접촉되도록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다. 핸드피스(3)가 원 피스(one piece)로 구성될 경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될 다른 도면들(예를 들면 도 9, 도 10, 도 11, 도 1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When the handpiece 3 is composed of one piece, the handpiece 3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and the body portion The upper part is an inlet end that can receive the laser from the out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is an output end that outputs the input laser to the outside (target). When the handpiece 3 consists of one piece, the acoustic sensing section 5 is located outside or inside such a body section. For example, the sound sens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Specifically, when diagnosing a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unit 5 is coupled to the output end so as to contact the target.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handpiece 3 consists of one piece refers to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gures (e.g. FIGS. 9, 10, 11, 1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 hope.

한편, 핸드피스(3)가 투 피스로 구성될 경우 그 중 하나는 제1피스, 나머지 하나를 제2피스이며, 여기서 제2피스는 제1피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piece 3 is composed of two pieces, one of them is the first piece and the other is the second piece, where the second piec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iece.

제1피스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 제1바디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2피스도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 제2바디부 -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The first pie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body portion-a first body portion-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piece also has an interior capable of outputting the laser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 space-the second body portio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제1바디부의 상부는 레이저를 외부에서 유입 받을 수 있는 유입단이고, 제1바디부의 하부는 유입단을 통해서 유입받은 레이저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단이다. 또한, 제2바디부의 상부는 제1바디부의 하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바디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입력 받는 유입단이고, 제2바디부의 하부는 입력받은 레이저를 외부(타겟)으로 출력하는 출력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is an inflow end that can receive the laser from the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is an output end for outputting the las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end.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an inflow end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to receive a laser outpu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outputs the input laser to the outside (target). Is the output stage.

핸드피스(3)가 투 피스로 구성될 경우, 제2피스(즉,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의 외부 또는 내부에 음향 감지부(5)가 위치된다.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5)는 제2피스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소 병변을 진단할 때, 음향 감지부(5)는 타겟에 접촉되도록 제2피스의 출력단에 결합된다. 핸드피스(3)가 투 피스(two pieces)로 구성될 경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될 다른 도면들(예를 들면 도 5, 도 6, 도 9, 도 10, 도 13, 도 14)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When the handpiece 3 is composed of two pieces, the acoustic sensing unit 5 is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second piece (ie the handpiece detachment device). For example, the sound sens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output end of the second piece. Specifically, when diagnosing a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unit 5 is coupled to the output end of the second piece so as to contact the target.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handpiece 3 consists of two pieces is shown in other figures (for example FIGS. 5, 6, 9, 10, 13, 14). See the description of).

이상 핸드피스(3)에 대한 구성은 이하에 설명될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above configuration for the handpiece 3 applies equally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시스템은 본 레이저 발생 장치(201), 핸드피스(203), 및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210)를 포함하며, 진단 장치(210)는 감지부(206)와 진단부(20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diagnosis system for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ser generating device 201, a handpiece 203, and a diagnosis apparatus 210 for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nostic apparatus 210 includes a detector 206 and a diagnostic unit 207.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도 1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 중, 서로 유사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도 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Amo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FIG. 2 and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FIG.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erefore,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FIG. 2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206)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와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감지부(206)는 음향 감지부(205)와 광 감지부(209)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ing unit 206 may detect a photoacoustic wave and a laser. To this end, the detector 206 includes a sound detector 205 and a light detector 209.

음향 감지부(205)는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확인할 타겟(예를 들면, 피부)으로 레이저가 조사할 경우에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할 수 있다.The sound detector 205 may detect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a target (for example, skin) to check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핸드피스(203)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음향 감지부(205)는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핸드피스(203)의 바디부에 결합되어 있다. 핸드피스(203)가 투 피스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2피스의 바디부의 하부에 음향 감지부(205)가 결합된다.When the handpiece 203 is in contact with the target and irradiated with a laser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unit 205 is plac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handpiece 203 so that it can contact the target. Are combined. When the handpiece 203 is composed of two pieces, the acoustic sensing unit 205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second piece.

광 감지부(209)는 핸드피스(203)를 통해서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또는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된 후 타겟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을 감지할 수 있다. The light detector 209 may detect the generated light generated from the target after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or the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through the handpiece 203.

광 감지부(209)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광 감지부(209)는, 핸드피스(203)의 내부를 통해서 이동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거나, 핸드피스(203)로부터 유출되어 타겟으로 이동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거나, 또는 타겟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ight sensing unit 209 may be implemented by a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photodiode. The light detector 209 detects a laser mov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piece 203, detects a laser flowing out of the handpiece 203, and moves to a target, or detects a generated light generated from the target. It can be configured to.

핸드피스(203)의 내부를 통해서 이동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도록 광 감지부(209)가 구성 된 경우의 일 예를 들면, 광 감지부(209)는 핸드피스(203)의 내부 또는 핸드피스(203)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드피스(203) 내부에 이동되는 레이저의 적어도 일부를 광 감지부(209) 측으로 분기 시키는 광학적 소자(도 2에는 미 도시)가 핸드피스(203) 내부에 위치된다. For example, when the light detector 209 is configured to detect a laser mov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piece 203, the light detector 209 may be formed inside the handpiece 203 or the handpiece 203. ) May be located outside. In this case, an optical element (not shown in FIG. 2) for bran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ser moving inside the handpiece 203 to the light sensing unit 209 is located inside the handpiece 203.

광 감지부(209)가 핸드피스(203)로부터 유출되어 타겟으로 이동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거나 타겟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경우, 광 감지부(209)는 핸드피스(203)의 특정 부분(타겟과 접촉되는 부분)에 인접한 곳에 위치되거나, 또는 핸드피스(203)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도 2에는 미 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When the light detector 209 is configured to detect a laser flowing out of the handpiece 203 and moved to the target, or to detect the generated light generated from the target, the light detector 209 may be a specific portion of the handpiece 203. It may be located adjacent to (part in contact with the target) or in a handpiece detachable device (not shown in FIG. 2)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203.

진단부(207)는 음향 감지부(205)에 의해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감지된 시각과 광 감지부(209)에 의한 레이저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감지 결과'는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The diagnosis unit 207 may calculat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based on the time at which the photoacoustic wave is detected by the sound detector 205 and the laser detection result by the light detector 209. . Here, the 'laser detection result' includes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또한, 진단부(207)는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기초하여 레이저 종류 및/또는 진행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gnosis unit 207 may select the laser type and / or the progress state based on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진단장치(210)는 감지부(209)의 감지 결과를 진단부(207)에게 제공하기 위한 회로 수단(미 도시)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수단(미 도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 결과를 진단부(207)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diagnosis apparatus 210 may further include circuit means (not shown) for providing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209 to the diagnosis unit 207. Here, the circuit means (not shown)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to the diagnosis unit 207 by wire or wirelessly.

예를 들면, 감지부(206)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를 진단부(207)에 제공하기 위한 유선 케이블(미 도시)이 핸드피스(203)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유선 케이블의 일 단부는 감지부(206)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선 케이블의 타 단부는 진단부(20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a wired cabl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handpiece 203 to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detector 206 to the diagnostic unit 207, and one end of the wired cable may be provide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206, the other end of the wired cabl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agnostic unit (207).

진단부(207)는 음향 감지 결과와 레이저 감지 결과를 감지부(206)로부터 제공받고, 그러한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The diagnosis unit 207 may receive the acoustic detection result and the laser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unit 206, and calculat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진단부(207)는 예를 들면 상술한 <수식 1>을 사용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h)를 계산할 수 있고, 상술한 <수식 2>를 사용하여 색소 병변의 두께(d)를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agnosis unit 207 may calculate the depth h of the pigmented lesion us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 1>, and calculate the thickness d of the pigmented lesion using the above-mentioned <Equation 2>. .

진단부(207)는 예를 들면 색소 병변의 깊이(h) 및/또는 두께에 따른 레이저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단부(207)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모니터(미 도시)와 같은 표시부를 통해서 색소 병변의 깊이(h) 및/또는 두께에 따른 레이저 종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장, 파워, 펄스 폭, 및 제품 명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이다. The diagnosis unit 207 may determine the type of laser according to the depth 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laser type according to the depth (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such as a moni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agnosis unit 207 by wire or wirelessly. On the other hand, the laser type is data defined by at least one of the wavelength, power, pulse width, and product name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도,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21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핸드피스(20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206)는 핸드피스(20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진단부(207)는 감지부(20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향 감지 결과와 레이저 감지 결과를 제공 받는다.In this embodiment,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agnosis device 210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203. For example, the detection unit 206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203, and the diagnosis unit 207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205 by wire or wirelessly to provide an acoustic detection result and a laser detection result. .

본 실시예에서도 핸드피스(20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바디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바디부는 원 피스(one piece), 투 피스(two pieces), 또는 셋 이상의 피스들(pieces)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203 has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and may be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that can be held by hand. It may consist of two pieces, or three or more pieces.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20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20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the laser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203)는 원 피스(one piece), 투 피스(two pieces), 또는 셋 이상의 피스들(pieces)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203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two pieces, or three or more pieces.

핸드피스(203)가 원 피스로 구성될 경우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1개의 통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감지부(206)는 그러한 바디부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된다. 핸드피스(3)가 원 피스(one piece)로 구성될 경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른 도면들(예를 들면 도 9, 도 10, 도 11, 도 1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When the handpiece 203 is composed of one piece, the handpiece 203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ngle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the outside to the outside. Is located in. For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handpiece 3 consists of one piece, see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gures (eg FIGS. 9, 10, 11, 12).

한편, 핸드피스(203)가 투 피스로 구성될 경우, 제2피스(즉,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의 외부 또는 내부에 감지부(206)가 위치된다. 핸드피스(3)가 투 피스(two pieces)로 구성될 경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른 도면들(예를 들면 도 5, 도 6, 도 9, 도 10, 도 13, 도 14)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piece 203 is composed of two pieces, the sensing unit 206 is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second piece (ie, the handpiece detachment device).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handpiece 3 consists of two pieces describes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gures (eg FIGS. 5, 6, 9, 10, 13, 14). Please se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agnosis of the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 발생 장치(301), 레이저 제어부(302), 핸드피스(303),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310)를 포함하며, 진단 장치(310)는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10)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210)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diagnosis system for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ser generator 301, a laser controller 302, a handpiece 303, and a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nosis apparatus 310 may include a diagnosis apparatus 310. The diagnosis apparatus 310 may be the diagnosis apparatus 10 of the pigmented les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the diagnosis apparatus 210 of the pigmented les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310)는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10)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2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도 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 diagnosis apparatus 310 for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s the diagnosis apparatus 10 for the pigmented les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the diagnosis apparatus 210 for the pigmented les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do. Therefore,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FIG. 3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FIG. 2.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발생 장치(301)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가 색소 병변을 확인할 타겟으로 조사되면, 진단 장치(310)는 레이저가 색소 병변으로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고, 감지한 포토어코스틱 웨이브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을 치료할 레이저 종류를 선택하며, 레이저 제어부(302)는 진단 장치(310)에 의해 선택된 레이저 종류에 맞도록 레이저 발생 장치(3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레이저 제어부(301)는 진단 장치(310)에 의해 제공 받은 레이저 종류에 의해 정의된 레이저 파장, 파워, 및/또는 펄스 폭을 가진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레이저 발생 장치(301)를 제어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aser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device 301 is irradiated to the target to identify the pigmented lesion, the diagnostic apparatus 310 detects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onto the pigmented lesion, The laser type for treating the pigmented lesion is selected based on the detected photoacoustic wave, and the laser controller 30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generator 301 to match the laser type selected by the diagnostic apparatus 310. That is, the laser controller 301 controls the laser generating device 301 to generate a laser having a laser wavelength, power, and / or pulse width defined by the laser type provided by the diagnostic device 310.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310)는, 음향 감지 시각과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하고, 그러한 깊이 및/또는 두께를 가진 색소 병변을 치료할 수 있는 레이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The diagnosis device 310 of the pigmented lesion calculates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on the basis of the acoustic detection time and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and selects a laser type capable of treating the pigmented lesion having the depth and / or the thickness. You can choose.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한 레이저 종류를 레이저 제어부(302)에게 알려준다. The diagnosis apparatus 310 for the pigmented lesion informs the laser controller 302 of the selected laser type as described above.

레이저 제어부(302)는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310)로부터 제공받은 레이저 종류에 의해 정의된 파장, 파워, 및/또는 펄스 폭을 가진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레이저 발생 장치(301)의 동작을 조절한다. The laser controller 30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generator 301 to generate a laser having a wavelength, power, and / or pulse width defined by the type of laser provided from the diagnosis apparatus 310 for pigmented lesion.

레이저 발생 장치(301)는 레이저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른 파장, 파워, 및/ 또는 펄스 폭에 따라서 레이저를 생성한다. The laser generator 301 generates a laser according to the wavelength, power, and / or pulse width under the control of the laser controller 302.

본 실시예에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31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핸드피스(30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agnosis device 310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303.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303)는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핸드피스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303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andpie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2.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가 핸드피스에 장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agnosis device for the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andpiece.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는 음향 감지부(405), 광 감지부(409), 및 진단부(40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부(405)와 광 감지부(409)는 핸드피스(403)에 위치된다. 5 and 6,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oustic sensing unit 405, a light sensing unit 409, and a diagnostic unit 407. In this embodiment, the sound sensing unit 405 and the light sensing unit 409 are located in the handpiece 403.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403)는 투 피스, 즉 제1피스(433)와 제2피스(4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2피스(443)는 제1피스(4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403 is configured to include a two piece, ie, a first piece 433 and a second piece 443, and the second piece 44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piece 433. Can be combined.

본 실시예에서 제1피스(43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 제1 바디부 - 로 구성되고, 제2피스(443)은 제1피스(433)로부터 유출되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타겟으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418) - 제2 바디부 - 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피스(433)는 그 자체가 제1바디부(433)이므로, 제1피스(433)과 제1바디부(433)는 구별하지 않고 혼용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iece 433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part-a first body part-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piece 443 is the first piece. A cylindrical body portion 418-a second body portion-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flowing out from the 433 and outputting it to the targe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piece 433 is itself a first body portion 433, the first piece 433 and the first body portion 433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without being distinguished.

본 실시예에서, 제2피스(443), 즉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443)는 제1피스(4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부(405)와 광 감지부(409)는 각각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443)의 바디부(418)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iece 443, that is, the handpiece detachable device 44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iece 433. In this embodiment, the sound sensing unit 405 and the light sensing unit 409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8 of the handpiece detachable device 443.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부(405)와 진단부(407)의 기능은 도 1,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음향 감지부와 진단부의 기능과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고, 광 감지부(409)의 기능은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 감지부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음향 감지부(405), 진단부(407), 또는 광 감지부(40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sound sensing unit 405 and the diagnostic unit 407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diagnostic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2, or 3, respectively. Since the function of the 409 is the same as the function of the light detec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r 3,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und detector 405, the diagnostic unit 407, or the light detector 409 is omitted. Shall be.

도 5와 도 6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향 감지부(405)의 감지 결과를 진단부(407)에게 제공하기 위한 회로 수단(미 도시)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수단(미 도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 결과를 진단부(407)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5 and 6, a circuit means (not shown) for providing the diagnosis unit 407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oustic detector 405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circuit means (not shown)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to the diagnosis unit 407 by wire or wirelessly.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405)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를 진단부(407)에 제공하기 위한 유선 케이블(미 도시)이 탈부착 기기(443)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유선 케이블의 일 단부는 음향 감지부(405)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선 케이블의 타 단부는 진단부(40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a wired cabl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detachable device 443 for providing the detection result sensed by the acoustic detector 405 to the diagnostic unit 407, and one end of the wired cable may be provide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ound sensing unit 405, the other end of the wired cabl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agnostic unit 407.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도 5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FIG. 5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443)는 제1피스(4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Handpiece detachment device 443 is removably coupled to first piece 433.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443)는, 제2바디부(418), 가이드부(422), 광 감지 모듈(414), 및 감지 모듈(416)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detachment device 443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418, a guide portion 422, a light sensing module 414, and a sensing module 416.

본 실시예에서, 광 감지 모듈(414)은 제2바디부(418)에 결합되고, 감지 모듈(416)은 가이드부(422)에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ensing module 414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418, and the sensing module 416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422.

제2바디부(418)는 제1피스(43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2바디부(418)는 사람의 힘에 의해서 제1피스(433)에 결합될 수 있고, 외력이 없는 한 그러한 결합상태는 유지된다. 제2바디부(418)와 제1피스(433)의 결합상태는, 외력이 가해지면 다시 분리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ortion 418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iece 433. That is, the second body portion 418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ece 433 by the force of a person, and the engagement state is maintained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coupled state of the second body portion 418 and the first piece 433 may be separated agai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2바디부(418)는 내부에 레이저가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부(418)는 내부에 레이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통 형상으로서 핸드피스(433)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는 단부(이하, ‘유입단’)와 레이저를 타겟으로 유출하는 단부(이하, ‘출력단’)를 가진다. 여기서, 유입단은 제1피스(43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출력단은 가이드부(422)와 결합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418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laser can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body portion 418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in which the laser can move, and the e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let') and the laser receiving the laser from the handpiece 433 and the laser therein. It has an e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put end') that flows out to the target. Here, the inlet end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iece 433, the output end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422.

본 실시예에서 광 감지 모듈(414)은 타겟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기 위해서 제2바디부(418)의 외부에 부착되고, 음향 감지 모듈(416)은 색소 병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감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부(422)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 모듈(416)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부(422)의 단부(타겟과 접촉되는 부분)와 타겟에 동일하게 접촉된다. 즉, 음향 감지 모듈(416)의 단부(타겟과 접촉되는 부분)와 가이드부(422)의 단부(타겟과 접촉되는 부분)는 정렬되어 있다. 이는 타겟에서 색소 병변을 진단하기 위해서 가이드부(422)가 타겟에 접촉될 때, 음항 감지 모듈(416)에 포함된 음향 감지부(405)도 타겟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ensing module 414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418 to sense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target, the sound sensing module 416 to sens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It is attached to the guide portion 422. In this embodiment, the acoustic sensing module 416 is equally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422 (part in contact with the target) as shown in FIG. 6. That is, the end (part in contact with the target) of the acoustic sensing module 416 and the end (part in contact with the target) of the guide part 422 are aligned. This is configured to allow the sound sensing unit 405 included in the negative sensing module 416 to directly contact the target when the guide unit 422 is in contact with the target to diagnose the pigmented lesion in the target.

광 감지 모듈(414)은 광 감지부(409)를 포함한다. 광 감지부(409)는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고, 레이저 감지 결과를 진단부(407)에게 제공한다. The light sensing module 414 includes a light sensing unit 409. The light detector 409 detects the laser beam irradiated onto the target, and provides the laser detection result to the diagnosis unit 407.

음향 감지 모듈(416)은 음향 감지부(405)를 포함한다. 음향 감지부(405)는 색소 병변으로부터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고, 음향 감지 결과를 진단부(407)에게 제공한다. The sound sensing module 416 includes a sound sensing unit 405. The sound detector 405 detects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from the pigmented lesion and provides a sound detection result to the diagnosis unit 407.

진단부(407)는 음향 감지 결과와 레이저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진단부(407)는 예를 들면 상술한 <수식 1>을 사용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h)를 계산할 수 있고, 상술한 <수식 2>를 사용하여 색소 병변의 두께(d)를 계산할 수 있다.The diagnosis unit 407 may calculate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based on the acoustic detection result and the laser detection result. The diagnosis unit 407 may calculate the depth h of the pigmented lesion using, for example, Equation 1 described above, and calculate the thickness d of the pigmented lesion using Equation 2 described above. .

진단부(407)는, 또한, 색소 병변의 깊이(h) 및/또는 두께에 따른 레이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종류 DB는 색소 병변의 깊이(h) 및/또는 두께에 따라서 레이저 파장, 레이저 파워, 레이저 폭, 및/또는 레이저 제품 명칭을 정의하고 있으며, 진단부(407)는 이러한 레이저 종류 DB를 참조함으로써 색소 병변의 깊이(h) 및/또는 두께에 따른 레이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The diagnostic unit 407 may also select the laser type according to the depth 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type DB defines the laser wavelength, laser power, laser width, and / or laser product name according to the depth (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and the diagnostic unit 407 determines such a laser. By referring to the type DB, the laser typ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pth 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색소 병변을 치료하는 레이저의 파장은 색소 병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면 Q-switched Ruby 레이저 (694 nm)와 Q-switched Alexandrite 레이저 (755nm)는 표피 윗부분에 존재하는 색소 병변을 치료할 수 있고, Q-switched Nd:YAG 레이저 (532 nm)는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 병변을 치료할 수 있고, Q-switched Nd:YAG 레이저 (1064 nm)는 진피에 존재하는 색소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The wavelength of the laser that treats pigmented lesions depends on the location of the pigmented lesion, for example, Q-switched Ruby lasers (694 nm) and Q-switched Alexandrite lasers (755nm) can treat pigmented lesions on the upper epidermis. And Q-switched Nd: YAG laser (532 nm) can treat pigmented lesions present in the epidermis and Q-switched Nd: YAG laser (1064 nm) can treat pigmented lesions present in the dermis.

본 실시예에서도, 진단부(407)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모니터와 같은 표시부에 의해 색소 병변의 깊이(h) 및/또는 두께(d)에 따른 레이저 종류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색소 병변을 치료할 레이저 종류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laser type according to the depth (h) and / or thickness (d)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displayed by a display unit such as a monitor connected to the diagnosis unit 407 by wire or wirelessly. It's easy to see what kind of laser to treat pigmented lesions.

도 5의 실시예에서 핸드피스(403)가 투 피스로 구성되었지만, 원 피스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피스(433)와 제2피스(443)가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handpiece 403 consists of two pieces in the embodiment of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consist of one piece. For example, the first piece 433 and the second piece 443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도 7은, 소정 거리(s) 이격된 레이저(L1, L2)가 타겟의 색소 병변으로 조사되면,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커플이 생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that photoacoustic wave couples are generated when the lasers L1 and L2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s are irradiated onto the pigment lesion of the target.

색소 병변의 상면(hs)에 레이저가 흡수될 때 제1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생성되고, 색소 병변의 하면(Ls)에 레이저가 흡수될 때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생성되고, 그리고 이들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들이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커플인 관계에 있을 때, 색소 병변의 두께(d)가 계산될 수 있다. A first photoacoustic wave is generated when the laser is absorbed to the top surface hs of the pigmented lesion, a second photoacoustic wave is generated when the laser is absorbed to the bottom surface Ls of the pigmented lesion, and these photoacoustic waves When the stick waves are in a photoacoustic wave couple relationship, the thickness d of the pigmented lesion can be calculated.

색소 병변의 하면(Ls)에 레이저가 흡수될 때 제2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레이저가 색소 병변의 중앙으로 조사되기 보다는, 색소 병변의 주위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소 병변의 주위(바람직하게는 색소 병변을 둘러싸도록)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는 일 방법으로서, 레이저를 도 8 내지 도 11 과 같이 고리 형태로 타겟으로 조사하는 방법이 있다. In order for the second photoacoustic wave to be generated when the laser is absorbed by the lower surface Ls of the pigmented le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ser is irradiated around the pigmented lesion, rather than being irradiated to the center of the pigmented lesion. As one method of irradiating a laser around the pigmented lesion (preferably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there is a method of irradiating the laser to the target in the form of a ring as shown in FIGS. 8 to 11.

본원 명세서에서, '고리 형태'의 레이저는 색소 병변에 직접 조사되기 보다는 색소 병변의 주위를 전부 또는 일부 둘러 싸도록 조사되는 임의의 형태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ing form' laser means having any form irradiated to surround all or part of the pigmented lesion rather than being directly irradiated to the pigmented lesion.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903)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핸드피스(903)는 임의의 형태의 레이저(미 도시)를 입력 받고, 색소 병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8 and 9, the handpiece 9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rradiate an annular laser. That is, the handpiece 903 may receive an arbitrary type of laser (not shown) and irradiate an annular laser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903)는 원 피스(one piece), 투 피스(two pieces), 또는 셋 이상의 피스들(pieces)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드피스(903)가 투 피스(two pieces)로 구성될 경우 제2피스는 제1피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903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two pieces, or three or more pieces. When the handpiece 903 consists of two pieces, the second piece is detachably joined with the first piece.

핸드피스(903)는 음향 감지부(916)를 포함하며, 음향 감지부(916)의 위치와 기능은 도1, 도 2, 도 3, 및 도 5와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The handpiece 903 includes a sound sensing unit 916, 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sound sensing unit 916 may be referred to FIGS. 1, 2, 3, and 5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drawings.

또한, 핸드피스(903)는 광 감지부(9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광 감지부(914)의 위치와 기능은 도 2, 도 3, 및 도 5와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In addition, the handpiece 903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ensing unit 914, 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light sensing unit 914 may be referred to FIGS. 2, 3, and 5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drawings. .

또한, 광 감지부(914)와 음향 감지부(916)는 진단부(미 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진단부의 기능은 도1, 도 2, 도 3, 및 도 5와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In addition, the light detector 914 and the sound detector 916 may be connected to a diagnosis unit (not shown), and the function of the diagnosis unit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and 5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drawings. Please.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903)는 색소 병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들은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piece 903 may output a ring-shaped laser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and exemplary configuration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003)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핸드피스(1003)는 임의의 형태의 레이저(미 도시)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레이저를 색소 병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조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handpiece 10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rradiate an annular laser. That is, the handpiece 1003 may receive an arbitrary type of laser (not shown) and irradiate the received laser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1003)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광학 소자를 포함하며, 이들 적어도 2개 이상의 광학 소자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서로 광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1003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which are op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irradiate an annular laser.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1003)는 원 피스(one piece), 투 피스(two pieces), 또는 셋 이상의 피스들(pieces)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드피스(1003)가 투 피스(two pieces)로 구성될 경우 제2피스는 제1피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1003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two pieces, or three or more pieces. When the handpiece 1003 consists of two pieces, the second piece is detachably joined with the first piece.

도 10을 참조하면, 핸드피스(1003)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광학 소자는 콘 형태의 제1광학 소자(1044)와 제2광학 소자(1064)이다. 제1광학 소자(1044)와 제2광학 소자(1064)는 각각 콘 부분과 평면 부분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at least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included in the handpiece 1003 are a cone-shaped first optical element 1044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1064. The first optical element 1044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064 each include a cone portion and a planar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제1광학소자(1044)와 제2광학소자(1064)는, 핸드피스(1003)의 바디부로 유입되는 레이저가 제1광학소자(1044)와 제2광학소자(106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tical element 1044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064, the las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handpiece 1003 to the first optical element 1044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064. It is arranged so as to pass sequentially.

예를 들면, 핸드피스(1003)의 바디부로 유입된 레이저는 제1광학 소자(1044)의 평면 부분으로 입사되고, 콘 부분으로 출사 된다. 또한, 제1광학 소자(1044)의 콘 부분으로 출사 된 레이저는 제2광학 소자(1064)의 콘 부분으로 입사되고, 제2광학 소자(1064)의 평면 부분으로 출사 된다. 즉,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제1광학 소자(1044)와 제2광학 소자(1064)는 광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laser flowing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handpiece 1003 is incident on the planar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044 and is emitted to the cone portion. In addition, the laser emitted to the cone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044 is incident to the cone portion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1064, and is emitted to the planar portion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1064. That is, the first optical element 1044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064 are optically coupled to irradiate a ring laser.

한편,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도 10에 광 감지부, 음향 감지부, 가이드부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들 구성요소들이 핸드피스(1003)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components such as the light sensing unit, the acoustic sensing unit, and the guide unit are not shown in FIG. 10,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the handpiece 1003.

즉, 핸드피스(1003)는 음향 감지부(도1, 도 2, 도 3, 또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음향 감지부)를 포함하며, 음향 감지부의 위치와 기능은 도1, 도 2, 도 3, 및 도 5와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That is, the handpiece 1003 includes a sound sensing unit (the sound sensing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or 5), 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sound sensing unit are illustrated in FIGS. 1, 2, and 3. See 3, and FIG. 5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figures.

또한, 핸드피스(1003)는 광 감지부(도 2, 도 3, 또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광 감지부의 위치와 기능은 도 2, 도 3, 및 도 5와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In addition, the handpiece 1003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ensing unit (the light sensing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or 5), 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light sensing unit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See FIG. 5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figures.

또한, 핸드피스(1003)는 진단부(도1, 도 2, 도 3, 또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음향 감지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진단부의 기능은 도1, 도 2, 도 3, 및 도 5와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In addition, the handpiece 1003 may be connected to a diagnosis unit (a sound sensing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or 5), and the function of the diagnosis unit may include FIGS. 1, 2, 3, and See FIG. 5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figure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503)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핸드피스(503)는 임의의 형태의 레이저를 레이저 발생 장치(501)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레이저를 색소 병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조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1, the handpiece 5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rradiate a ring-shaped laser. That is, the handpiece 503 may receive an arbitrary type of laser from the laser generating device 501 and irradiate the received laser in the form of a ring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503)는 원 피스(one piece)로 구성된다. The handpiece 50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one piece.

핸드피스(503)는 레이저를 외부로부터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바디부로 구성되며, 바디부는 제1 말단부(528), 제2 말단부(534), 및 광 경로(5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handpiece 503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that can be grasped by a hand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end portion 528 and a second end portion 534. , And light path 526.

제2 말단부(534)는 타겟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말단부(534)는 중앙부분이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distal end 534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arge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distal end 53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ral part is drawn out.

제1 말단부(528)의 일 영역에는 레이저 발생 장치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는 유입단(53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말단부(534)의 일 영역에는 광 경로를 통해서 이동되는 레이저를 타겟으로 유출하는 출력단(536)이 형성되어 있다. An inflow end 532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end portion 528 to receive the laser from the laser generating device, and in one region of the second end portion 534, the laser is moved out through the optical path to the target. An output terminal 536 is formed.

광 경로(526)는 통 형상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력단(532)을 통해서 유입된 레이저가 출력단(536)을 통해서 유출되도록 레이저를 안내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optical path 526 is formed inside the tubular shape, and has a configuration of guiding the laser so that the laser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532 flows o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36.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경로(526)는 제1 광 경로(526a), 광 분기부(526b), 및 제2 광 경로(526c)를 포함한다. 제1 광 경로(526a)는 입력단(532)을 통해서 입력된 레이저를 안내하는 경로이고, 광 분기부(526b)는 레이저를 제2 광경로(526c) 방향으로 분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path 526 includes a first light path 526a, a light branch 526b, and a second light path 526c. The first optical path 526a is a path for guiding the laser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532, and the optical branch 526b branches the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tical path 526c.

제2 광경로(526c)는 레이저가 원 고리 형태로 타겟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 고리 형태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광 분기부(526b)는 입력단(532)을 통해서 유입되어 제1 광 경로(526a)를 통해서 이동하던 레이저를 제2 말단부(534)의 외연부(538)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출력단(536)는 제2 말단부의 외연부를 따라서 위치된다. The second optical path 526c is formed so that the laser can be irradiated to the target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In order to irradiate the laser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optical branch 526b is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532 and moves the laser that has traveled through the first optical path 526a to the outer edge 538 of the second distal end 534. Direction), the output end 536 is loca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distal end.

즉, 본 실시예에서, 광 경로(526)는 직선 형태로 입력된 레이저가 원 고리 형태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cal path 52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aser input in a straight form is irradiated in a circular ring form.

도 11에 도시된 광 경로(526)의 그림은 예시적 인 것으로서, 도 11의 것과 다르게 분기부가 2개 이상 되거나 레이저가 고리 형태(예를 들면, 타원 고리 형태 또는 반원 고리 형태)로 조사되도록 광 경로(526)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llustration of the optical path 526 shown in FIG. 11 is exemplary and differs from that of FIG. 11 in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so that there are two or more branches or the laser is irradiated in a ring shape (for example, an elliptic ring shape or a semicircular ring shape). It is also possible for path 526 to be configured.

도 11의 실시예는, 제1 광 경로(526a)와 광 분기부(526b)가 직접 연결되어 있고, 광 분기부(526b)와 제2 광 경로(526c)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first optical path 526a and the light branch 526b are directly connected, and the light branch 526b and the second light path 526c are directly connected. This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by way of example.

다른 구성의 예를 들면, 제1 광 경로(526a)와 광 분기부(526b) 사이에 다른 광 경로가 하나 이상 있을 수 있고, 그러한 하나 이상의 광 경로는 제1 광 경로(526a)로 안내되는 레이저를 광 분기부(526b)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or another example of configuration,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optical paths between the first optical path 526a and the optical branch 526b, wherein the one or more optical paths are laser guided to the first optical path 526a. To guide the light to the light splitter 526b.

핸드피스(503)는, 또한,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할 수 있는 음향 감지부(516)와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는 광 감지부(50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andpiece 503 may also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coustic sensing unit 516 capable of sensing a photoacoustic wave and an optical sensing unit 509 capable of sensing a laser.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핸드피스(503)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음향 감지부(516)가 타겟에 접촉되도록, 제2피스의 바디부의 하부에 음향 감지부(516)가 결합된다.The acoustic sensing unit under the body portion of the second piece such that the acoustic sensing unit 516 contacts the target when the handpiece 503 contacts the target and the laser is irradiated for diagnosis of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516 is combined.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부(51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말단부(534)의 일 영역(출력단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부(516)가 위치된 영역으로는 레이저가 지나가지 않도록 음향 감지부(516)와 출력단(536)의 영역이 정해지되, 출력단(536)이 음향 감지부(516)를 둘러싸는 형태(즉, 고리 형태)로 위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oustic sensing unit 516 is located in one region of the second distal end portion 534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output end), as shown in FIG. 11.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the sound detection unit 516 and the output terminal 536 is determined so that the laser does not pass to the area where the sound detection unit 516 is located, the output terminal 536 is the sound detection unit 516 ) Is enclosed (ie in the form of a ring).

광 감지부(50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말단부(534)의 일 영역(출력단(536)이나 음향 감지부(516)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 감지부(509)가 위치된 영역으로는 레이저가 지나가지 않도록 광 감지부(509)와 출력단(536)의 영역이 정해지되, 출력단(536)이 광 감지부(509)를 둘러싸는 형태(즉, 고리 형태)로 위치된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light detector 509 is positioned at one region of the second end portion 534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output terminal 536 or the sound detector 51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ea of the light detector 509 and the output terminal 536 is determined so that the laser does not pass to the area where the light detector 509 is located, and the output terminal 536 is the light detector 509. ) Is enclosed (ie in the form of a ring).

이와 같이, 레이저가 타겟에 고리 형태로 출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포토어코스틱 웨이브 커플이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laser is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target in a ring form, the photoacoustic wave couple can be effectively genera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는 상술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some component of the above-described diagnosis apparatus for pigmented lesion.

도 12를 참조하면, 핸드피스(603)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핸드피스(603)는 임의의 형태의 레이저를 레이저 발생 장치(601)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레이저를 색소 병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조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handpiece 603 may radiate an annular laser. That is, the handpiece 603 may receive an arbitrary type of laser from the laser generating device 601 and irradiate the received laser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603)는 원 피스(one piece)로 구성된다.The handpiece 60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one piece.

핸드피스(603)는 레이저를 외부로부터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바디부로 구성되며, 바디부는 제1 말단부(628), 제2 말단부(634), 및 광 경로(6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handpiece 603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that can be grasped by a hand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end portion 628 and a second end portion 634. , And light path 626.

도 12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도 11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 중, 서로 유사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도 1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Amo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FIG. 12 and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compon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nction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FIG. 12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1.

도 12를 계속 참조하면, 핸드피스(603)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통 형상의 바디부는 제1 말단부(628), 제2 말단부(634), 및 광 경로(626)를 포함한다.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 12, the handpiece 603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body portion that can be held by hand,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 first end portion 628, a second end portion 634, and a light. Path 626.

제1 말단부(628)과 제 2말단부(634)는 각각 통 형상의 일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말단부(634)는 타겟과 접촉되는 부분이며, 중앙부분이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end portion 628 and the second end portion 634 are each a portion of a cylindrical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nd portion 634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arget,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is derived.

제1 말단부(628)의 일 영역에는 레이저 발생 장치(601)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는 유입단(63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말단부(634)의 일 영역에는 광 경로를 통해서 이동되는 레이저를 타겟으로 유출하는 출력단(636)이 형성되어 있다. An inlet end 632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distal end 628 to receive the laser from the laser generator 601, and a target of the laser that is moved through the optical path in one region of the second distal end 634. An output end 636 which flows out to the air is formed.

광 경로(626)는 통 형상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단(632)을 통해서 유입된 레이저가 출력단(636)을 통해서 유출되도록 레이저를 안내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optical path 626 is formed inside the tubular shape, and has a configuration of guiding the laser so that the las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end 632 flows out through the output end 636.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경로(626)는 제1 광 경로(626a), 광 분기부(626b), 및 제2 광 경로(626c)를 포함한다. 제1 광 경로(626a)는 유입단(632)을 통해서 입력된 레이저를 안내하는 경로이고, 광 분기부(626b)는 레이저를 제2 광경로(626c)로 분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path 626 includes a first light path 626a, a light branch 626b, and a second light path 626c. The first optical path 626a is a path for guiding the laser input through the inlet end 632, and the optical branching part 626b branches the laser to the second optical path 626c.

제2 광경로(626c)는 레이저가 원 고리 형태로 타겟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 고리 형태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광 분기부(626b)는 유입단(632)을 통해서 유입되어 제1 광 경로(626a)를 통해서 이동하던 레이저를 제2 말단부(634)의 외연부(638) 방향으로 분기 시키고, 출력단은 제2 말단부(634)의 외연부(638)를 따라서 위치된다. The second optical path 626c is formed so that the laser can be irradiated to the target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In order to irradiate the laser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optical branching portion 626b enters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distal end portion 634 of the laser tha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end 632 and travels through the first optical path 626a. Branching in the direction of 638, the output end is located along the outer edge 638 of the second distal end 634.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603)는, 또한,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할 수 있는 음향 감지부(616)와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는 광 감지부(609)를 포함한다. The handpiece 60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coustic detector 616 capable of sensing a photoacoustic wave and an optical detector 609 capable of sensing a laser.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핸드피스(603)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음향 감지부(616)는 타겟에 접촉되도록, 바디부의 하부에 음향 감지부(616)가 결합된다.When the handpiece 603 is in contact with the target and the laser is irradiated for the diagnosis of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unit 616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art such that the acoustic sensing unit 616 contacts the target. Combined.

광 감지부(609)는 핸드피스(603) 내부의 광 경로를 통해서 이동하던 레이저의 일부를 유입 받도록 구성 및 위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핸드피스(603)는 핸드피스(603) 내부의 광 경로(626)를 통해서 이동하던 레이저의 일부를 광 감지부(609)에게 분기 시키는 광학적 소자(642)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The light detector 609 is configured and position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laser that has traveled through the optical path inside the handpiece 603. To this end, the handpiece 603 further includes an optical element 642 for branching a portion of the laser traveling through the light path 626 inside the handpiece 603 to the light sensing unit 609.

본 실시예에서 광 감지부(609)는 제1광경로(626a)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의 일부를 감지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경로들 예들 들면, 광 분기부(626b)에 의해 분기되는 레이저의 일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제2광경로(626c)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detector 609 detects a part of the laser guided by the first light path 626a, but this is exemplary and is diverged by other paths, for example, the light branch 626b. It may be arranged to sense a portion of the laser or to detect a laser guided by the second light path 626c.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hand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는 음향 감지 모듈(716), 광 감지 모듈(714), 및 진단부(미 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 모듈(716)과 광 감지 모듈(714)은 각각 핸드피스(703)에 위치된다. 음향 감지 모듈(716)은 음향 감지부를 포함하고, 광 감지 모듈(714)은 광 감지부를 포함하며, 음향 감지부와 광 감지부의 기능은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11과 이들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diagnosis apparatus for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coustic sensing module 716, a light sensing module 714, and a diagnosis unit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acoustic sensing module 716 and the light sensing module 714 are each located in the handpiece 703. The sound sensing module 716 includes a sound sensing unit, the light sensing module 714 includes a light sensing unit, and the functions of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light sensing unit are illustrated in FIGS. 1, 2, 3, 5, and 11. See the description of these figures.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이다. 즉,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가이드부(422)가 없고,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색소 병변에 조사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of FIG. 5. That i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there is no guide portion 422, and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pigmented lesion with a ring-shaped laser.

이하에서는 도 5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5 will be mainly described.

핸드피스(703)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핸드피스(703)는 임의의 형태의 레이저를 레이저 발생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레이저를 색소 병변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조사할 수 있다. The handpiece 703 may irradiate an annular laser. That is, the handpiece 703 may receive an arbitrary type of laser from a laser generator (not shown) and irradiate the received laser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pigmented lesion.

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703)는 투 피스, 즉 제1피스(733)와 제2피스(7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2피스(743)는 제1피스(7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703 is configured to include a two piece, ie a first piece 733 and a second piece 743, the second piece 743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piece 733. Can be combined.

본 실시예에서 제1피스(73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 제1 바디부 - 로 구성되고, 제2피스(743)은 제1피스(733)로부터 유출되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타겟으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718) - 제2 바디부 - 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피스(733) 자체가 제1바디부이므로, 제1피스(733)과 제1바디부는 구별하지 않고 혼용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iece 733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portion-a first body portion-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the laser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piece 743 is the first piece. 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portion 718-the second body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that can receive the laser flowing out from the 733 and output to the targe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piece 733 itself is the first body portion, the first piece 733 and the first body portion will not be distinguished and mixed.

본 실시예에서, 제2피스(743), 즉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743)는 제1피스(7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iece 743, that is, the handpiece detachable device 74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iece 733.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743)는 제2바디부(7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2바디부(718)은 제1 말단부(728), 제2 말단부(734), 및 광 경로(726)를 포함한다. The handpiece detachment device 743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718, the second body portion 718 having a first end portion 728, a second end portion 734, and an optical path 726. It includes.

제1 말단부(728)과 제 2말단부(734)는 각각 통 형상의 일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말단부(734)는 타겟과 접촉되는 부분이며, 중앙부분이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end portion 728 and the second end portion 734 are each a portion of a cylindrical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nd portion 734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arget,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is derived.

제1 말단부(728)의 일 영역에는 레이저 발생 장치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는 유입단(73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말단부(734)의 일 영역에는 광 경로를 통해서 이동되는 레이저를 타겟으로 유출하는 출력단(736)이 형성되어 있다. An inflow end 732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end portion 728 to receive the laser from the laser generator, and in one region of the second end portion 734, the laser is moved out through the optical path to the target. The output end 736 is formed.

광 경로(726)는 통 형상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단(732)을 통해서 유입된 레이저가 출력단(736)을 통해서 유출되도록 레이저를 안내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optical path 726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shape, and has a configuration of guiding the laser so that the las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end 732 flows out through the output end 736.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경로(726)는 제1 광 경로(726a), 광 분기부(726b), 및 제2 광 경로(726c)를 포함한다. 제1 광 경로(726a)는 유입단(732)을 통해서 입력된 레이저를 안내하는 경로이고, 광 분기부(726b)는 레이저를 제2 광경로(726c)로 분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path 726 includes a first light path 726a, a light branch 726b, and a second light path 726c. The first optical path 726a is a path for guiding the laser input through the inflow end 732, and the optical branch 726b branches the laser to the second optical path 726c.

한편, 광 경로(726)에는 레이저의 일부를 광 감지 모듈(714)로 분기 시키기 위한 광학소자(742)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광학소자(742)에 의해 분기된 레이저는 광 경로(744)를 통해서 광 감지 모듈(714)에게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path 726 is further disposed with an optical element 742 for branching a portion of the laser to the light sensing module 714, the laser branched by the optical element 742 is the optical path 744 Is provided to the light sensing module 714 through.

제2 광경로(726c)는 레이저가 원 고리 형태로 타겟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 고리 형태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광 분기부(726b)는 유입단(732)을 통해서 유입되어 제1 광 경로(726a)를 통해서 이동하던 레이저를 제2 말단부(734)의 외연부 방향으로 분기 시키고, 출력단(736)은 제2 말단부(734)의 외연부를 따라서 위치된다. The second optical path 726c is formed so that the laser can be irradiated to the target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In order to irradiate the laser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light splitting part 726b is directed through the inlet end 732 and moves the laser that has traveled through the first optical path 726a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end part 734. Branching, the output end 736 is loca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distal end 734.

즉, 본 실시예에서, 광 경로(726)는 직선 형태로 입력된 레이저가 원 고리 형태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cal path 726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laser input in a linear form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도 14에 도시된 광 경로(726)의 그림은 예시적 인 것으로서, 도 14의 것과 다르게 분기부가 2개 이상 되거나 레이저가 고리 형태(예를 들면, 타원 고리 형태 또는 반원 고리 형태)로 조사되도록 광 경로(726)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llustration of the optical path 726 shown in FIG. 14 is illustrative and, unlike that of FIG. 14, has two or more branching points, or the light is irradiated in a ring form (for example, an elliptic ring or semi-circular ring shape). It is also possible for path 726 to be configured.

본 실시예에서,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핸드피스(703)가 타겟에 접촉되어 레이저가 조사될 때 음향 감지부가 포함된 음향 감지 모듈(716)은 타겟에 접촉되도록, 제2바디부(718)의 하부에 음향 감지부가 포함된 음향 감지 모듈(716)가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handpiece 703 contacts the target and the laser is irradiated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module 716 including the acoustic sensing unit contacts the target. The acoustic sensing module 716 including the acoustic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wo body parts 718.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가 포함된 음향 감지 모듈(716)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말단부(734)의 일 영역(출력단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감지 모듈(716)가 위치된 영역으로는 레이저가 지나가지 않도록, 음향 감지 모듈(716)과 출력단(736)의 영역이 정해지되, 음향 감지 모듈(716)을 출력단(736)이 둘러싸는 형태(즉, 고리 형태)로 구성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4, the acoustic sensing module 716 including the acoustic sensing unit is located at one region of the second distal end 734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output terminal).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the sound detection module 716 and the output terminal 736 is determined so that the laser does not pass to the area where the sound detection module 716 is located, the sound detection module 716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 736 is configured in an enclosed form (ie, in the form of a ring).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감지부가 포함된 광 감지 모듈(714)은, 광 경로(744)를 통해서 이동하는 레이저를 입사 받도록 제2바디부(718)에 외부 표면에 결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4, the light sensing module 714 including the light sensing unit i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718 so as to receive a laser beam moving through the light path 744.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 병변의 진단 방법은, 색소 병변의 깊이를 확인할 타겟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S11), 레이저가 조사된 타겟으로부터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단계(S13), 및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와 음향이 감지된 음향 감지 시각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산출하는 단계(S15), S15 단계에서 산출된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종류를 선택하고,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에 기초하여 병기를 판단하는 단계(S17), 및 S17에서 판단된 레이저의 종류 및/또는 병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S1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in the method for diagnosing a pigmented le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rradiating a laser to a target for checking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S11), a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from the target to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Detecting the depth (S13), and calculat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on the basis of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and the detected sound detection time (S15), and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calculated in the S15 stage. And / or selecting the type of laser based on the thickness, determining the stage based on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S17), and displaying the type and / or stage of the laser determined in S17. It includes a step (S19).

S15 단계는 예를 들면 상술한 <수식 1>을 사용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를 산출하고, <수식 2>를 사용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를 산출할 수 있다. In step S15,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calculated us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 1>, and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2>.

한편,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색소 병변의 진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색소 병변의 진단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may be implemented b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예를 들면,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단계(S13)는 음향 감지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을 감지하는 단계(S13)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타겟으로 유출하는 핸드피스에 결합된 음향 감지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of the photoacoustic wave (S13) may be performed by the sound sensing unit. In detail, the detecting of the sound (S13) may be performed by the sound sensing unit coupled to the handpiece that receives the laser and flows out to the target.

본 실시예는, 또한,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광 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감지단계는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ensing step of detecting a laser emitted to the target. For example, the light sensing step may be performed by a light sensing unit that detects a laser irradiated onto the target.

S15 단계는 예를 들면, 음향 감지부에 의한 음향 감지 시각과 광 감지부에 의한 광 감지 시각에 기초하여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In operation S15,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ound detection time by the sound detection unit and the light detection time by the light detection unit.

본 실시예는, 또한,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생성 장치의 파장, 파워, 및/또는 펄스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하는 단계는 색소 병변의 깊이에 대응되는 파장, 파워, 및/또는 펄스 폭을 가진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레이저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wavelength, power, and / or pulse width of the laser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the laser irradiated onto the target. For example, the controlling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aser generating device to generate a laser having a wavelength, power, and / or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pigmented les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 201, 301 401: 레이저
3, 203, 303: 핸드피스
5 205, 405: 음향 감지부
7, 207, 407: 진단부
206: 감지부
209, 409: 광 감지부
302: 레이저 제어부
433, 733: 제1피스
443, 743: 제2피스 또는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
418: 제2바디부
414: 광 감지 모듈
416: 음향 감지 모듈
422: 가이드부
1, 201, 301 401: laser
3, 203, 303: handpiece
5 205, 405: sound sensor
7, 207, 407: diagnostic unit
206: detection unit
209 and 409: light detector
302: laser control unit
433, 733: first piece
443, 743: Second piece or handpiece detachable device
418: second body part
414: light sensing module
416: sound detection module
422: guide part

Claims (18)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색소 병변을 확인할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및
상기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를 포함하며,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상기 타겟에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이고,
상기 광 감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the laser to the outside;
Acoustic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to identify the pigmented lesion; And
It includes; a ligh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target,
The light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를 진단부에 제공하기 위한 유선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선 케이블의 일 단부는 상기 음향 감지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선 케이블의 타 단부는 상기 진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감지된 시각과 상기 타겟에 조사된 레이저에 대한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색소 병변(pigmented lesion)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하는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wired cable for providing a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ound detection unit to the diagnostic unit,
One end of the wired cabl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d cabl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agnosis unit,
The diagnostic unit calculates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based on the time when the photoacoustic wave is detected and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for the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투 피스(two piece)로 구성되며, 상기 투 피스(two piece)는 제1피스와 제2피스를 포함하며, 제1피스와 제2피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피스는 레이저를 외부로부터 유입 받아서 제2피스로 유출할 수 있는 내부 경로를 가진 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피스는 제1피스로부터 유출되는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타겟으로 유출할 수 있는 내부 경로를 가진 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피스에 상기 음향 감지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is composed of two pieces, the two piece includes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 first piece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having an internal path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from the outside and flowing out to the second piece,
The second piece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ternal path capable of receiving the laser flowing out of the first piece and flowing out to the target,
The sound piece is coupled to the second piece, hand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부는 상기 제2피스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light sens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는 상기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타겟에 접촉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piece includes a gu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arget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he sound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guide unit such that it can contact the targ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고리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rradiate the ring-shaped laser, handpie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광학소자와 제2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제1광학소자는 콘 부분과 평면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광학소자는 콘 부분과 평면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광학소자와 제2광학소자는, 상기 바디부로 유입되는 레이저가 제1광학소자와 제2광학소자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치는
상기 바디부로 유입되는 레이저는, 제1광학소자의 평면 부분으로 입사되어 제1광학소자의 콘 부분으로 출사 되고, 제1광학소자의 콘 부분으로부터 출사 된 레이저는 제2광학소자의 콘 부분으로 입사되어 제2광학소자의 평면 부분으로 출사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optical element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The first optical ele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e portion and a planar portion,
The second optical ele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e portion and a planar portion,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are arranged such that the laser flowing into the body portion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The arrangement is
The laser flowing into the body portion is incident on the planar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exits to the cone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laser emitted from the cone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is incident on the cone portion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Handed to be emitted to the planar portion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는
제1광경로, 광 분기부, 및 제2광경로를 포함하며,
제1광경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레이저를 안내하는 경로이고,
상기 광 분기부는 제1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제2광경로로 안내하며,
제2광경로는 상기 광 분기부로부터 유입 받은 레이저를 고리 형태로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하부 - 타겟과 접촉되는 부분 -에 상기 음향 감지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광경로는 상기 음향 감지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light path, a light branch, and a second light path,
The first optical path is a path for guiding a laser input from the outside.
The optical splitter guides the laser guided by the first optical path to the second optical path,
The second optical path is configured so that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ring received from the optical branching portion,
Wherein the sound sensing uni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a portion in contact with a target, and wherein the second light path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ound sens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부는 제1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 상기 광 분기부에 의해 분기되는 레이저 또는 제2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ligh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And the light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sense a laser guided by a first light path, a laser branched by the light branch, or a laser guided by a second light path.
제4항에 있어서,
제2피스에는
제1광경로, 광 분기부, 및 제2광경로를 포함하며,
제1광경로는 제1피스로부터 입력되는 레이저를 안내하는 경로이고,
상기 광 분기부는 제1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제2광경로로 안내하며,
제2광경로는 상기 광 분기부로부터 유입 받은 레이저를 고리 형태로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하부 - 타겟과 접촉되는 부분 -에 상기 음향 감지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광경로는 상기 음향 감지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second piece
A first light path, a light branch, and a second light path,
The first optical path is a path for guiding a laser input from the first piece,
The optical splitter guides the laser guided by the first optical path to the second optical path,
The second optical path is configured so that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ring received from the optical branching portion,
Wherein the sound sensing uni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a portion in contact with a target, and wherein the second light path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ound sens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부는 제1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 상기 광 분기부에 의해 분기되는 레이저 또는 제2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도록 제2피스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ligh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And the light sens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piece to sense a laser guided by a first light path, a laser branched by the light splitter, or a laser guided by a second light path.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피스와 제2피스로 구성되는 핸드피스에서의 상기 제2피스 -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라고 함 -에 있어서,
레이저를 유입 받아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의 바디부;
색소 병변을 확인할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포토어코스틱 웨이브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및
상기 타겟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부는 외부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는 유입단이고,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유입 받은 상기 레이저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단이며, 상기 유입단은 제1피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색소 병변의 깊이 및/또는 두께의 진단을 위해 상기 타겟에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이고,
상기 광 감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
In the second piece in the handpiece consisting of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referred to as a handpiece detachment device,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aser and outputting the laser to the outside;
Acoustic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hotoacoustic wave generate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to identify the pigmented lesion; And
It includes; a ligh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an inflow end receiving the laser from the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an output end for outputting the incoming laser to the outside, the inflow e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first piece. ,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target for diagnosing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the acoustic sens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target,
And the light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를 진단부에 제공하기 위한 유선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선 케이블의 일 단부는 상기 음향 감지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선 케이블의 타 단부는 상기 진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포토어코스틱 웨이브가 감지된 시각과 상기 타겟에 조사된 레이저에 대한 레이저 조사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색소 병변(pigmented lesion)의 깊이 및/또는 두께를 계산하는 것인,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It further includes a wired cable for providing a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ound detection unit to the diagnostic unit,
One end of the wired cabl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d cabl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agnosis unit,
The diagnostic unit calculates the depth and / or thickness of the pigmented lesion based on the time when the photoacoustic wave is detected and the laser irradiation time information for the laser irradiated to the target. Detachable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으로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타겟에 접촉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가 조사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guide part in contact with the target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onto the target.
The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put end,
An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he sound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guide unit such that the acoustic sensing unit can contact the targe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광경로, 광 분기부, 및 제2광경로를 포함하며,
제1광경로는 제1피스로부터 입력되는 레이저를 안내하는 경로이고,
상기 광 분기부는 제1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제2광경로로 안내하며,
제2광경로는 상기 광 분기부로부터 유입 받은 레이저를 고리 형태로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음향 감지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광경로는 상기 음향 감지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body portion
A first light path, a light branch, and a second light path,
The first optical path is a path for guiding a laser input from the first piece,
The optical splitter guides the laser guided by the first optical path to the second optical path,
The second optical path is configured so that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ring received from the optical branching portion,
The sound sensing unit is located below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optical path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ound sensing unit, handpiece detachable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부는 제1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 광 분기부에 의해 분기되는 레이저 또는 제2광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것인, 핸드피스 탈 부착 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light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sense a laser guided by a first light path, a laser branched by a light branch, or a laser guided by a second light path.
KR1020180008736A 2017-01-26 2018-01-24 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KR1020491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935 2017-01-26
KR20170012935 2017-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94A KR20180088294A (en) 2018-08-03
KR102049165B1 true KR102049165B1 (en) 2019-11-26

Family

ID=6325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36A KR102049165B1 (en) 2017-01-26 2018-01-24 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1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8902A (en) * 2010-04-01 2010-09-15 江西科技师范学院 Photoacoustic sensor for breast or head three-dimensional medical diagnosis
US20140058244A1 (en) * 2012-08-21 2014-02-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hotoacoustic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604A (en) 1990-12-04 1992-08-04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Analysis of radiofrequency discharges in plasma
US6392683B1 (en) * 1997-09-26 2002-05-21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Method for making marks in a transparent material by using a la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8902A (en) * 2010-04-01 2010-09-15 江西科技师范学院 Photoacoustic sensor for breast or head three-dimensional medical diagnosis
US20140058244A1 (en) * 2012-08-21 2014-02-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hotoacoustic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94A (en)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648B2 (en) Subject information calculation apparatus and subject information calculation method
JP5349839B2 (en) Biological information imaging device
US7251518B2 (en) Blood optode
JP4675149B2 (en) Spectroscopic probe for blood vessel diagnosis
JP2012231978A (en) Light irradi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JP2011516865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avascular structure analysis correcting chemical analysis modalities
KR102049144B1 (en) Disease diagnosis system based on laser
JP2014520645A (en) Non-invasive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bilirubin levels
JP2011510312A (en) Method for non-invasively and optically identifying the temperature of a medium
JP20195016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optical measurement of glucose concentration in flowing blood in vivo
US20170311877A1 (en) Blood-vessel recognition device and surgical treatment device
US10646118B2 (en) Laser catheter with use of reflected light to determine material type in vascular system
JPWO2010131713A1 (en) Blood vessel inner wall analysis apparatus and blood vessel inner wall analysis method
JP6000778B2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JPWO2010131697A1 (en) Blood vessel inner wall analysis apparatus and blood vessel inner wall analysis method
WO2016171238A1 (en) Surgical treatment device
JP2007307007A (en) Catheter system using photoacoustic effect
JP2016101369A (en) Photoacoust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hotoacoustic device
KR1020491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KR102049165B1 (en) Handpiece used in apparatus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US20180206780A1 (en) Laser-Based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Pigmented Lesions
KR1018596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US11576717B2 (en) Optical tissue feedback device for an electrosurgical device
JP6120908B2 (e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o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KR201800881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igmented lesion and handpiece and attachable device thereto in the used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