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944B1 -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44B1
KR102048944B1 KR1020190029302A KR20190029302A KR102048944B1 KR 102048944 B1 KR102048944 B1 KR 102048944B1 KR 1020190029302 A KR1020190029302 A KR 1020190029302A KR 20190029302 A KR20190029302 A KR 20190029302A KR 102048944 B1 KR102048944 B1 KR 10204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data
project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언
Original Assignee
김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언 filed Critical 김보언
Priority to KR102019002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44B1/ko
Priority to PCT/KR2020/001555 priority patent/WO20201848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Abstract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방법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생성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 중, 저작물로 등록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보를 블록체인 상의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저작권 등록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COPYR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COPYRIGHTED WORK ACQUIRED DURING PROJECT EXECUTION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하는 탈 중앙화적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최근에는 비트코인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코인들이 개발 및 제공되고 있으며, 플랫폼적 기능을 갖는 코인의 등장으로 다양한 토큰들이 가상화폐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가상화폐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어, 블록체인의 활용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저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고 있어, 종래의 저작권자를 알 수 없는 저작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감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통해 저작권에 대한 가치를 지불하고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이라 하더라도 저작권의 항목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유통 경로로 저작물을 구입했을지라도 저작권자가 소비자에게 허여한 범위와 소비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범위가 달라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저작권을 복수의 저작권자가 공유하고 있는 경우 역시 빈번하게 존재하나, 복수의 저작권자 중 일부는 자신이 저작권자인지도 모르거나, 자신의 저작권이 어느 범위까지 효력을 미치는지 여부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저작권은 사업 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도 하는데, 특정 사업 또는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하여 결과물이 획득된 경우, 해당 결과물에 대한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어야 하는지도 문제가 되고 있다.
프로젝트의 일 예로 MICE 관련 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는데, MICE는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rip), 컨벤션(Convention), 전시박람회와 이벤트(Exhibition&Event) 등의 영문 앞 글자를 딴 용어로, 좁은 의미에서는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주축으로 한 유망 산업을 뜻하며, 광의적 개념으로는 참여자 중심의 보상관광과 메가 이벤트 등을 포함하는 융복합산업을 뜻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복수의 참여자가 공동으로 수행하는 경우, 저작권이 발생하는지, 저작권의 귀속 주체가 누구인지를 판단하는 방법 및 나아가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0898호, 2019.01.08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생성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 중, 저작물로 등록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보를 블록체인 상의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저작권 등록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각각에 대한 수행 주체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수행 주체가 단일 수행 주체인 경우, 상기 단일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를 상기 단일 수행 주체의 저작물로 판단하는 단계(S170); 및 상기 수행 주체가 복수의 수행 주체인 경우,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8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80)는, 상기 저작물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프로젝트의 업무내용을 획득하는 단계(S210);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 상기 획득된 복수의 카테고리 간의 연관도를 획득하는 단계(S230); 상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작물 데이터를 공동저작물로 판단하는 단계(S240); 및 상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저작물 데이터를 결합저작물로 판단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업무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단위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업무항목은 적어도 하나의 세부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관도를 획득하는 단계(S230)는,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복수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10);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물 데이터를 클러스터링 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획득하는 단계(S320);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에 라벨링하는 단계(S330); 상기 복수의 결과 데이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스터 중 어느 클러스터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340); 및 상기 복수의 결과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연관도를 획득하는 단계(S35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 경우,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가 상기 저작물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기여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 및 상기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동저작물에 대한 지분 비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분 비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42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는,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에 대한 리소스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각각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10);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가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획득한 리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20);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상기 프로젝트 수행에 투입한 시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의 시간당 비용(Time Charge)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30); 및 상기 획득된 리소스 정보, 결과 데이터, 리워드 정보, 시간 정보 및 시간당 비용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4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결합저작물인 경우, 상기 결합저작물을 복수의 서브 저작물로 분할하는 단계(S610); 상기 각각의 서브 저작물 중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를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중에서 매칭하는 단계(S620); 및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및 나머지 수행 주체가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30)는, 상기 제1 서브 저작물과 나머지 서브 저작물간의 연관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 및 상기 연관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나머지 수행 주체의 기여도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S720);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수익을 상기 기여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게 분배하는 단계(S73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저작권으로 관리하여 보안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상에서 유효한 정보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로 전파하고,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저작물을 저작권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데이터의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도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저작물의 지분 비율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저작물의 지분 비율을 판단하기 위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저작물에 대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저작물의 기여도 정보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업 및 과제 수행 주체는 개인사업자나 법인 등의 사업체뿐 아니라, 일반 개인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정한 대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업 또는 사업 정보라 함은,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협단체, 기업이 발주하는 프로젝트 및 사업관련 업무, 국내 및 국제 조달입찰사업 관련 업무, 그 외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젝트 및 사업 관련 업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 관리서버(20) 및 사용자 단말들(30)이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30) 각각은 기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거래내역을 기록하며, 기록된 거래내역은 각각의 블록에 기록되어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에 전파되고, 각각의 서버에 저장 및 관리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은 거래정보를 인증 및 기록하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서버들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거래(transaction) 정보는 가상화폐에 기반한 거래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거래정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는 전자화폐, 암호화폐 등 블록체인을 통하여 그 거래내역이 관리되는 모든 종류의 비 실물 화폐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는 별도의 메인넷이 구축되고, 이에 따라 관리되는 코인 형태의 가상화폐일 수도 있고, 이더리움 네트워크 등 다른 코인의 인프라를 활용하는 토큰 형태의 가상화폐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30) 각각에 제공되는 가상화폐는 이미 생성 또는 발행된 상태로서 관리서버(20)에 의하여 관리되며, 사용자 단말들(30) 각각의 거래내역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들(30)간에 발생하는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작업증명(Proof Of Work)을 통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관리서버(20)는 그 대가로 생성된 소정의 가상화폐를 제공받고, 이를 사용자 단말들(30)의 거래내역에 따라 사용자 단말들(30)에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30) 각각에 의하여 거래내역이 기록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가상화폐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들(3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가상화폐의 채굴(마이닝)이라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가상화폐의 채굴은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및 중요도증명(POI: Proof Of Importance)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한 방법들은 분산 시스템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산합의 알고리즘의 하나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30)간의 거래와 이에 따른 가상화폐 제공방법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과 관리서버(20) 및 사용자 단말(31)의 동작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31)이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통신사의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31)과 연결된 로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31)이 이용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관리서버(2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1)이 직접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과 통신하여 완전한 탈중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서 활용되는 구성의 일 예에 대한 것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시스템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1)은 관리서버(20)에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서버(20)는 해당 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되어야 할 정보인 경우,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은 해당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블록체인에 기반한 정보의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검증에 성공한 정보만이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1)은 검증이 필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관리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20)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를 검증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관리서버(20)는 블록체인 보유서버들(10)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검증결과를 사용자 단말(31)에 제공하거나,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1)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중앙 집중화된 기존의 서버 기반 시스템과 달리, 탈 중앙화된 분산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며, 특정 주체에 의하여 조작될 수 없는 신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하므로,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서버(100),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 및 5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 및 50)은 상술한 컴퓨터의 일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의 관리 방법 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한 서비스 혹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 및 50)은 프로젝트를 등록하는 등록 주체, 혹은 프로젝트의 적어도 일부 혹은 전부를 수행하는 수행 주체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젝트는 하나 이상의 수행업무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과제, 용역, 조달입찰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의 배포 주체는 정부 외에 공기업이나 사기업, 개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젝트의 종류 또한 현물이나 용역의 제공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한 종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는 특정한 제품을 납품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연구용역이나 전문서비스업 용역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과제가 복합적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젝트는 MICE와 관련된 프로젝트일 수도 있다. MICE는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rip), 컨벤션(Convention), 전시박람회와 이벤트(Exhibition&Event) 등의 영문 앞 글자를 딴 용어로, 좁은 의미에서는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주축으로 한 유망 산업을 뜻하며, 광의적 개념으로는 참여자 중심의 보상관광과 메가 이벤트 등을 포함하는 융복합산업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젝트 데이터란, 프로젝트 과정에서 획득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입찰 과정에서 제출된 복수의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일 수 있다. 따라서, 채택된 제안요청서뿐만 아니라, 채택되지 않은 제안요청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작물 데이터란, 프로젝트 데이터로부터 획득되는 저작물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저작물 데이터는, 프로젝트 데이터 중, 프로젝트 수행 주체로부터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작물 데이터는, 프로젝트 수행 주체로부터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 중 창작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작물 데이터는 저작권을 가지는 저작물과 다른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저작물 데이터는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저작권을 가지는 저작물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브 저작물이란, 저작물 데이터가 결합저작물 형식인 경우, 저작물에 대한 데이터를 분할한 저작물을 의미하며, 저작물 데이터의 분할 방법은 후술한다.
서버(100)는 저작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저작물에 대한 정보 거래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로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및 저장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블록체인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이 서비스의 이용 내역 정보를 암호화 기법과 보안기술을 이용해 협상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하는 원장(ledger)의 분산 P2P (Peer to Peer)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 P2P 시스템은 분산 시스템의 특수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P2P 시스템은 중앙 노드의 조정 없이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에게 자원(처리 능력, 저장 공간,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이용 내역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노드들(121, 122, 123, 124, 125)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에서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노드들(121, 122, 123, 124, 125) 각각은 시스템(예를 들어, 저작권 관리 플랫폼)에 가입되어 참여하는 개개인들의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들(121, 122, 123, 124, 125) 각각은 특수 목적 컴퓨터(Special-purpose Computer), 범용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 슈퍼 컴퓨터(Supercomputer), 대형 컴퓨터(Mainframe Compute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기반하여 저작물에 대한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저작권의 관리방법의 각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정보를 보호하는 개념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정보를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블록체인의 노드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는 저작물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버(100)의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서버(100)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상의 노드(121)로 전송할 수 있다.
노드(121)는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결과에 기초하여 정보가 유효한지를 검증할 수 있다.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노드(121)는 정보를 폐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의 유효성 검증은, 수신된 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획득되는 제1 해시값과 서버(100)의 운영자의 공개키를 사용하여 수신된 암호문을 복호화하여 획득되는 제2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정보가 유효하면, 노드(121)는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상의 노드(12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노드(121)는 후보 블록에 정보를 기록(1212)할 수 있다. 후보 블록에 소정의 정보들이 기록되면, 노드(121)는 후보 블록에 대한 작업 증명을 수행하여 유효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노드(122)에서도 정보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노드(122)는 정보를 후보 블록에 추가하고, 후보 블록에 대한 작업 증명을 수행하여 유효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노드(123) 및 노드(124)에서도 노드(122)에서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노드(121)에서 유효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노드(121)는 소정의 정보들에 대한 머클 트리의 루트를 계산할 수 있다. 노드(121)는 블록체인에 추가될 블록의 입장에서 이전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를 생성할 수 있다. 노드(121)는 블록체인에 추가될 블록의 작업 증명 또는 제약 조건에서 필요한 난이도를 획득할 수 있다. 노드(121)는 머클 트리의 루트, 이전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 난이도, 타임 스태프의 데이터와 난스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생성된 블록해시의 값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노드(121)는 난스를 0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는 난스의 값을 획득하여 후보 블록에 대한 작업 증명을 수행할 수 있다. 노드(121)는 블록체인에 후보 블록을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노드(121)는 유효한 블록을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들(122, 123, 124, 125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122, 123, 124, 125 등)은 노드(121)에서 수신한 유효한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각 노드들(122, 123, 124, 125 등)에서 보유하는 블록체인에 유효한 블록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프로젝트 데이터, 저작물 데이터, 서브 저작물을 획득함에 있어, 컴퓨터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획득된 프로젝트 데이터, 저작물 데이터, 서브 저작물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 주체를 결정함에 있어, 컴퓨터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행 주체에 대한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작물 데이터와 저작물 데이터를 생성한 수행 주체를 매칭하고, 수행 주체가 복수명인 경우, 각각의 수행 주체의 지분율을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상의 노드로 전송된 정보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며, 저장된 정보들은 위변조가 방지될 뿐 아니라 그 무결성을 유지하는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추후 다른 저작물 데이터가 저작권으로 보호될 수 있는지 판단하거나, 저작물로 등록된 데이터를 타인이 사용하는 경우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저작물을 저작권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 서버(100)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 데이터란, 프로젝트 과정에서 획득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입찰 과정에서 제출된 복수의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 일 수 있다. 따라서, 채택된 제안요청서뿐만 아니라, 채택되지 않은 제안요청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데이터일 수 있다. 나아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 주체가 매칭된 경우, 매칭된 수행 주체에 의해 획득된 프로젝트 결과물 또한 본 발명에서의 프로젝트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서버(100)는 획득한 프로젝트 데이터 중 저작물로 등록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프로젝트 데이터 중 저작물의 요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판단하여 요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저작물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이 포함되어 창작성이 인정되는 데이터를 저작물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저작물 데이터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프로젝트 데이터 중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프로젝트 데이터 중 프로젝트의 등록 주체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0)는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창작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서버(100)는 텍스트 데이터 중 감정과 연관된 단어의 비중 및 감정과 관련된 단어의 연결 관계를 바탕으로 창작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감정과 관련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 중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감정과 관련된 단어가 포함된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에 감정과 관련된 단어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 포함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저작물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0)는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문장을 획득하고, 획득된 복수의 문장 각각에 대한 감정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문장에 포함된 감정에 대한 단어 및 감정에 대한 단어의 연결 관계를 기초로 해당 문장의 감정 정보를 수치화 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감정 정보가 수치화된 문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텍스트 데이터를 저작물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0)는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저작물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은 저작물의 요건인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할 경우가 많을 것이다.
단계 S130에서, 서버(10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획득된 저작물 데이터는 타 저작물과의 관계에 의하여 모두 저작권으로 등록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서버(100)는 획득된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보를 블록체인 상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보는, 저작물 데이터, 저작물 데이터를 생성한 수행 주체, 저작물 데이터와 관련된 프로젝트 정보, 저작물 데이터와 관련된 프로젝트의 등록 주체, 등록 주체와 수행 주체간의 계약 내용, 저작물 데이터를 생성한 복수의 수행 주체간의 기여도 정보 또는 지분 비율, 저작물 데이터에 대한 수익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저작권 등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데이터의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저작물의 경우, 개인이 혼자 창작한 개별저작물, 복수의 사람이 공동으로 창작하여 분리가 불가능한 공동저작물, 복수의 사람이 공동으로 창작하였으나 분리가 가능한 결합저작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가 어떤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저작물의 유형에 따라 복수의 수행 주체의 지분 비율 또는 기여도를 설정하여 각각의 수행 주체에게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각각에 대한 수행 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나, 복수의 저작물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170에서,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에 대한 수행 주체가 단일 수행 주체인 경우, 저작물 데이터를 단일 수행 주체의 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80에서,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에 대한 수행 주체가 복수의 수행 주체인 경우, 저작물 데이터를 복수의 수행 주체의 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이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동저작물 및 결합저작물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7에서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에 대응되는 프로젝트의 업무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1)는 우선 하나 이상의 업무단위(200, 300 및 400)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1)가 특정 행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일 경우, 업무단위(200, 300 및 400)는 프로그램, 식음료, 공간조성, 운영, 등록, 계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업무단위(200, 300 및 400)는 하나 이상의 업무항목(210 및 220)으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업무단위에 대한 업무항목은 프로그램 구성, 큐시트, 시나리오, 사회자, 출연자, BGM, 통신, 기타 확인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업무항목(210 및 220)은 다시 하나 이상의 세부항목(212 및 2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연자 관련 업무항목은 출연자 컨택 포인트 확보, 의상, 소품 및 인원 확인, 대기공간 확인, 기타 소품 준비, 리허설 관리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하나의 세부항목은 하나의 카테고리가 되도록 구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는 하나의 저작물로 구성되며, 공동저작물 또는 결합저작물로 구성되지 않도록 세부항목이 구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되는 저작물은 하나의 저작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되는 저작물은 공동 저작물 또는 결합 저작물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서, 구분된 각각의 세부항목들은 각각 서로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되며, 상호 연결을 통해 구분된 세부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위변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블록들은 블록체인 상의 서로 다른 노드(블록)에 그 정보가 저장되며, 그중 일부가 위변조되는 경우 전체 블록체인을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바 전체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나아가, 세부 항목들에 대한 프로젝트 수행 결과 또한 서로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100)는 구분된 세부항목들 각각을 수행할 수행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각각의 세부항목들에 대한 수행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단, 실시 예에 따라 서로 연관된 복수의 세부항목들을 하나의 수행 주체가 수행할 수 있다. 수행 주체에 할당되는 업무는 세부항목 단위로 할당될 수도 있으며, 업무항목 단위로 할당될 수도 있으며, 업무단위에 따라 할당될 수도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수행 주체가 하나의 업무항목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업무항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복수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수행업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수행업무 그룹은 분류단위와 무관하게, 복수의 서로 연관된, 혹은 하나의 수행 주체가 수행할 수 있는 세부항목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각 수행업무 그룹을 수행할 수행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하나의 세부항목을 복수의 수행 주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수행업무 그룹 간에 서로 중첩되는 세부항목이 존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행업무 그룹을 복수의 수행 주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수행업무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수행업무 그룹 간에 교집합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하거나 포함관계에 있을 수도 있다.
서버(100)는 각각의 수행업무 그룹의 성질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행업무 그룹에 따른 업무를 수행할 수행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수행업무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업무내용, 예산 및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 설정된 업무내용, 예산 및 권한을 상기 하나 이상의 수행업무 그룹 각각을 수행할 하나 이상의 수행 주체 각각에 대하여 할당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행 주체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할당된 업무내용, 예산 및 권한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젝트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과 수행 주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블록체인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서버(100)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프로젝트 블록체인에, 수행 주체에 대한 정보를 수행 주체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서로 매칭된 프로젝트와 수행 주체에 대한 정보는 서로 대응하는 노드에 교환하여 저장한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와 수행 주체의 매칭 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매칭된 수행 주체와 프로젝트의 정보가 서로의 블록체인에 이중으로 저장되므로, 두 블록체인이 상호작용하며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개별 수행 주체 또는 복수의 수행 주체가 수행한 업무 내용에 따른 저작물 데이터가 업무단위에 대한 것인지, 업무항목에 대한 것인지, 세부항목에 대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저작물 데이터는 1)개별 수행 주체가 업무단위 또는 업무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2)개별 수행 주체가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3)복수의 수행 주체가 업무단위 또는 업무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4)복수의 수행 주체가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의 네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1)개별 수행 주체가 업무단위 또는 업무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이 개별 수행 주체의 저작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서버(100)는 후술하는 단계 S220 내지 단계 S240의 방법을 이용하여, 저작물 데이터를 복수의 저작물로 분류할 수 있다.
2)개별 수행 주체가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서버(100)는 세부 항목에 대한 저작물 데이터를 개별 수행 주체의 저작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복수의 수행 주체가 업무단위 또는 업무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서버(100)는 후술하는 단계 S220 내지 단계 S240의 방법을 이용하여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복수의 수행 주체가 세부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가 복수의 수행 주체의 공동저작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단계 S220내지 S240에 의하더라도, 세부 항목에 대한 저작물 데이터는 하나의 카테고리 또는 연관된 카테고리에 대한 저작물이므로,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가 복수의 수행 주체의 공동저작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계 S220 내지 단계 S240을 이용하여, 3)복수의 수행 주체가 업무단위 또는 업무항목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경우,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개별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S22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세부항목은 하나의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서버(100)는 업무단위 또는 업무항목을 수행한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 내용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단위(200)를 복수의 수행 주체가 수행한 경우, 서버(100)는, 업무단위(200)의 세부항목들(212,214?)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서버(100)는 획득된 복수의 카테고리간의 연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서버(100)는, 획득된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저작물 데이터를 공동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서버(100)는, 획득된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저작물 데이터를 결합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카테고리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수록, 저작물 데이터는 공동저작물일 확률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가 분리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저작물 데이터를 공동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가 분리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저작물 데이터를 결합저작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도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복수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결과 데이터는 복수의 수행 주체가 할당된 업무 내용에 따라 수행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수행 주체가 생성한 결과 데이터는 하나의 저작물을 구성하거나, 복수의 저작물을 구성하거나, 하나의 저작물의 일부일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서버(100)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물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기존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작물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유사한 카테고리의 저작물 데이터를 그룹핑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저작물 데이터뿐만 아니라, 저작물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저작물에 대한 서브 저작물을 함께 클러스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33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복수의 클러스터에 라벨링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의 특성을 판단하여 클러스터에 카테고리를 라벨링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는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카테고리와 같이 저작물 데이터의 표현 방식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그림, 음악, 글, 연주, 공연, 전시, 장식, 인테리어, 건축물 카테고리와 같이 저작물의 형태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단계 S34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결과 데이터 각각이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스터 중 어느 클러스터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결과 데이터가 어떤 클러스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결과 데이터가 어떤 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결과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거리를 바탕으로 연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결과 데이터가 제1 클러스터에 포함되고, 제2 결과 데이터가 제2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경우,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에 따라 연관도를 판단할 수 있다. 거리가 멀면 연관도가 낮고, 거리가 가까우면 연관도가 높을 것이다.
한편,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클러스터간의 거리뿐만 아니라, 결과 데이터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복수의 결과 데이터의 연관도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결과 데이터 및 제2 결과 데이터가 동일한 클러스터에 존재하는 경우, 서버(100)는 제1 결과 데이터 및 제2 결과 데이터의 연관도를 판단 가능한 최대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과 데이터 및 제2 결과 데이터에 대한 저작물은 공동저작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저작물의 지분 비율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 경우, 복수의 수행 주체가 저작물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기여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서버(100)는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공동저작물에 대한 지분 비율을 획득하고, 획득된 지분 비율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저작물의 지분 비율을 판단하기 위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에 대한 리소스 정보 및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 내용에 대한 각각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리소스 정보는 수행 주체가 과거 수행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 프로젝트로부터 획득된 저작물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리소스 정보는 수행 주체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행 주체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라 함은, 수행 주체의 특정 분야의 전문성과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연관성을 갖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리소스 정보는 수행 주체의 경력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리소스 정보는 각각의 수행 주체가 근무한 직장, 학력, 발표한 논문, 참여한 프로젝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각각의 수행 주체가 온라인 커뮤니티나 동호회 등에서 활동한 기록, 개인적으로 수행한 프로젝트나 취미로 작성한 자료 등 다양한 정형 및 비정형 정보들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가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획득한 리워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리워드 정보란, 수행 주체가 프로젝트를 수행한 결과물에 대한 리워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는 프로젝트 등록 주체에 의해 지급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수행 주체가 각각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복수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복수의 수행 주체 모두가 리워드를 획득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데이터가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안요청서인 경우, 프로젝트 등록 주체는 복수의 제안요청서 중 일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수행 주체에게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안요청서가 선정된 수행 주체에 대한 리워드 정보 및 선정되지 않은 수행 주체에 대한 리워드 정보를 다른 방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안요청서가 선정된 수행 주체에 대한 리워드 정보는, 프로젝트 등록 주체가 제공한 리워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등록 주체가 제공하는 리워드는 제안요청서만을 위한 리워드가 아니라,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리워드인 경우, 서버(100)는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수행 주체의 리소스 대비 제안요청서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수행 주체의 리소스의 비율을 이용하여 제안요청서에 대한 리워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안요청서가 선정되지 않은 수행 주체에 대한 리워드 정보는, 프로젝트 등록 주체가 선정된 수행 주체에게 제공한 리워드 및 선정된 수행 주체의 제안요청서에 대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정되지 않은 수행 주체에 대한 리워드 정보는 [선정된 수행 주체의 리워드 정보]와 [선정되지 않은 수행 주체의 평가 점수]를 곱한 값을 [선정된 수행 주체의 평가 점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요청서를 제출한 수행 주체가 3개이고, 각각의 수행 주체가 제출한 제안요청서의 점수가 90, 60, 50점인 경우, 프로젝트 등록 주체는 90점을 획득한 수행 주체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급되는 리워드가 900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90점을 획득한 수행 주체의 리워드 정보는 900일 수 있다. 60점을 획득한 수행 주체의 리워드 정보는 600일 수 있으며, 50점을 획득한 수행 주체의 리워드 정보는 500일 수 있다. 즉, 프로젝트 등록 주체는 60점 및 50점을 획득한 수행 주체에게 실제 리워드를 지급하지는 않으나, 수행 주체가 제출한 제안요청서의 리워드의 가치(리워드 정보)를 각각 600,500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수행주체가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리워드를 프로젝트 등록주체로부터 제공 받는 경우, 각각의 수행주체가 실제 획득한 리워드가 리워드 정보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53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프로젝트 수행에 투입한 시간 정보 및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의 시간당 비용 정보(Time Charge)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시간당 비용 정보는 각각의 수행 주체에 대하여 설정된 정보이며, 각각의 수행 주체가 단위 시간당 업무를 수행하였을 때의 결과물을 비용으로 환산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시간당 비용 정보는 프로젝트 등록 주체에 의해 각각의 수행 주체에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시간당 비용 정보는, 수행 주체의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과거 모든 프로젝트를 수행한 누적 시간, 프로젝트 수행에 따라 획득된 결과물,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획득한 리워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서버(100)는 획득한 리소스 정보, 결과 데이터, 리워드 정보, 시간 정보 및 시간당 비용 정보를 바탕으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는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생성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여도 정보는 저작물 데이터 중 결과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저작물 데이터 중 결과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단순 데이터의 크기와 관련된 비중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저작물 데이터 중 결과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저작물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걸린 시간과 관련된 비중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저작물 데이터 중 결과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저작물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발생한 비용과 관련된 비중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저작물 데이터 중 결과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기여도를 결과 데이터의 크기를 바탕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기여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여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중치는 리소스 정보, 리워드 정보, 시간 정보, 시간당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리소스 정보를 가진 수행 주체에 대한 가중치를 그렇지 못한 수행 주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리워드 정보, 시간 정보, 시간당 비용 정보가 높은 수행 주체의 가중치를 그렇지 못한 수행 주체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리워드 정보, 시간 정보, 시간당 비용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리워드 정보를 시간 정보로 나눈 값을 현재 프로젝트에 대한 시간당 비용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현재 프로젝트에 대한 시간당 비용 정보가 설정된 시간당 비용 정보보다 높은 경우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고, 현재 프로젝트에 대한 시간당 비용 정보가 설정된 시간당 비용 정보보다 낮은 경우 낮은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설정된 시간당 비용 정보보다 높은 효율(더 높은 현재의 시간당 비용 정보)로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프로젝트 수행을 집중력 있게 판단한 것으로 보고 높은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지분 비율을 바탕으로 공동저작물 사용에 대한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익의 일부분은 서버(100)를 관리하는 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다. 플랫폼이 받는 수수료는 단순히 서비스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영업비용, 리스크 관리, 행정업무제공 등을 위한 비용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플랫폼은 이러한 행정비용과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산을 관리하며, 수수료를 책정할 수 있다.
한편, 공동저작물의 경우, 하나의 저작물에 대한 지분 비율이 존재하므로, 지분 비율에 따라 복수의 수행 주체가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저작물의 경우, 각각의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가 명확하므로, 서브 저작물의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이 사용되면 그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
그러나, 서브 저작물은 하나의 결합저작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서브 저작물의 저작권자 외의 나머지 수행 주체들도 서브 저작물에 대한 수익의 일정 부분을 보상 받을 필요성 또한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결합저작물에 대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도 13을 참조하여 서브 저작물에 대한 수익 배분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저작물은 제1 서브 저작물, 제2 서브 저작물, 제3 서브 저작물을 포함하고,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를 제1 수행 주체, 제2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를 제2 수행 주체, 제3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를 제3 수행 주체라고 가정한다.
단계 S610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결합저작물인 경우, 결합저작물을 복수의 서브 저작물로 분할 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서버(100)는 각각의 서브 저작물 중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를 복수의 수행 주체 중에서 매칭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1 서브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제1 수행 주체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서버(100)는 제2 서브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제2 수행 주체로, 제3 서브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제3 수행 주체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서버(100)는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및 나머지 수행 주체가 제1 서브 저작물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기여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나머지 수행 주체는 제2 수행 주체 및 제3 수행 주체일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제2 서브 저작물에 대한 나머지 수행 주체는 제1 수행 주체 및 제3 수행 주체, 제3 서브 저작물에 대한 나머지 수행 주체는 제1 수행 주체 및 제2 수행 주체일 수 있다. 기여도 정보는 제2 수행 주체 및 제3 수행 주체가 제1 서브 저작물 생성에 관여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서버(100)는 제1 서브 저작물과 나머지 서브 저작물간의 연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연관도 정보는 각각의 서브 저작물이 연관된 정도에 따라 다르게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저작물이 음악이고, 제1 서브 저작물이 가사, 제2 서브 저작물이 곡인 경우, 서버(100)는 음악에 있어서 가사와 곡은 밀접하다고 판단하여 연관도 정보를 높게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결합저작물이 단편을 모아 하나로 제작한 출판저작물이며, 제1 서브 저작물 및 제2 서브 저작물이 각각의 단편인 경우, 서버(100)는 출판저작물에 있어서, 각각의 단편이 덜 밀접하다고 판단하여 연관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연관도는, 상술한 도 8 및 도 9의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1 서브 저작물 내지 제3 서브 저작물을 포함하는 각각의 클러스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클러스터 간의 거리를 바탕으로 각각의 서브 저작물간의 연관도를 판단할 수 있다. 거리가 멀면 연관도가 낮아지고, 거리가 가까우면, 연관도가 높아 질 것이다.
단계 S720에서, 서버(100)는 연관도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나머지 수행 주체의 기여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서버(100)는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면, 발생한 수익을 기여도 정보에 따라 복수의 수행 주체에게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서브 저작물에 대해 발생한 수익 중 기 설정된 비율에 해당되는 수익을 저작권자에게 제공하고, 나머지 수익을 나머지 수행 주체들의 기여도 정보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서브 저작물에서 발생한 수익이 100이고, 기 설정된 비율이 80인 경우, 서버(100)는 제1 수행 주체에게 80의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수행 주체와 제3 수행 주체의 기여도 비율이 8:2인 경우, 서버(100)는 제2 수행 주체에게 16의 수익을 제공하고, 제3 수행 주체에게 4의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블록체인 보유 서버들
20: 관리서버
30: 사용자 단말들
100: 서버

Claims (10)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생성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 중, 저작물로 등록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가 기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보를 블록체인 상의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저작권 등록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 데이터 각각에 대한 수행 주체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수행 주체가 단일 수행 주체인 경우, 상기 단일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를 상기 단일 수행 주체의 저작물로 판단하는 단계(S170); 및
    상기 수행 주체가 복수의 수행 주체인 경우,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80);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지 결합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80)는,
    상기 저작물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프로젝트의 업무내용을 획득하는 단계(S210);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
    상기 획득된 복수의 카테고리간의 연관도를 획득하는 단계(S230);
    상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작물 데이터를 공동저작물로 판단하는 단계(S240); 및
    상기 연관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저작물 데이터를 결합저작물로 판단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업무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단위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업무항목은 적어도 하나의 세부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도를 획득하는 단계(S230)는,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복수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10);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물 데이터를 클러스터링 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획득하는 단계(S320);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에 라벨링하는 단계(S330);
    상기 복수의 결과 데이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스터 중 어느 클러스터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340); 및
    상기 복수의 결과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연관도를 획득하는 단계(S350);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공동저작물인 경우,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가 상기 저작물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기여한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 및
    상기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동저작물에 대한 지분 비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분 비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420);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는,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에 대한 리소스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수행한 업무내용에 대한 각각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10);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가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획득한 리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20);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이 상기 프로젝트 수행에 투입한 시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각각의 시간당 비용(Time Charge)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30); 및
    상기 획득된 리소스 정보, 결과 데이터, 리워드 정보, 시간 정보 및 시간당 비용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40);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 데이터가 결합저작물인 경우, 상기 결합저작물을 복수의 서브 저작물로 분할하는 단계(S610);
    상기 각각의 서브 저작물 중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를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 중에서 매칭하는 단계(S620); 및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및 나머지 수행 주체가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30);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여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30)는,
    상기 제1 서브 저작물과 나머지 서브 저작물간의 연관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 및
    상기 연관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나머지 수행 주체의 기여도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S720);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서브 저작물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수익을 상기 기여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행 주체에게 분배하는 단계(S730);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029302A 2019-03-14 2019-03-14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4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302A KR102048944B1 (ko) 2019-03-14 2019-03-14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0/001555 WO2020184838A1 (ko) 2019-03-14 2020-02-03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302A KR102048944B1 (ko) 2019-03-14 2019-03-14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773A Division KR102128875B1 (ko) 2019-11-19 2019-11-19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수익을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90148762A Division KR102128873B1 (ko) 2019-11-19 2019-11-19 복수의 수행주체에 의해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90148775A Division KR102172421B1 (ko) 2019-11-19 2019-11-19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90148767A Division KR102128874B1 (ko) 2019-11-19 2019-11-19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944B1 true KR102048944B1 (ko) 2019-11-26

Family

ID=6873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302A KR102048944B1 (ko) 2019-03-14 2019-03-14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944B1 (ko)
WO (1) WO20201848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38A1 (ko) * 2019-03-14 2020-09-17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9283A (ko) * 2020-12-04 2022-06-13 채진호 창작물 거래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4074B (zh) * 2021-03-29 2022-05-06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一种区块链网络连接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274A (ja) * 2001-03-07 2002-09-20 Sony Corp データベース装置、書類作成支援装置、書類作成支援方法及び書類作成支援システム
KR20090000898A (ko) 2007-06-28 200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작권이 적용된 사용자 손수 저작물의 생성과 운용을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628005B1 (ko) *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5768B (zh) * 2016-03-01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版权管理方法和系统
KR102048944B1 (ko) * 2019-03-14 2019-11-26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274A (ja) * 2001-03-07 2002-09-20 Sony Corp データベース装置、書類作成支援装置、書類作成支援方法及び書類作成支援システム
KR20090000898A (ko) 2007-06-28 200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작권이 적용된 사용자 손수 저작물의 생성과 운용을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628005B1 (ko) *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38A1 (ko) * 2019-03-14 2020-09-17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9283A (ko) * 2020-12-04 2022-06-13 채진호 창작물 거래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 운영 방법
KR102544332B1 (ko) * 2020-12-04 2023-06-15 채진호 창작물 거래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838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410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Bacon et al. Blockchain demystified: a technical and legal introduction to distributed and centralized ledgers
US20220245626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extracting user related data stored on a blockchain
KR102112025B1 (ko) 전문가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1989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과제매칭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10B1 (ko)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48944B1 (ko)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US20210365867A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specialist platform
KR102061625B1 (ko) 전문가 경력 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08B1 (ko) 과제 수행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42796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28875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수익을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34952B1 (ko) 전문가 매칭을 위한 전문가 풀 생성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61448B1 (ko)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40888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블록체인에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57855B1 (ko) 비정형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형정보를 이용한 전문가 경력 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28874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기여도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amath Crypto-governance Blockchain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6 and 17.
KR102319870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여 가상화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72421B1 (ko)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28873B1 (ko) 복수의 수행주체에 의해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rra-Moyano et al. The liberalization of data: A welfare-enhancing information system
Gandhi et al. Decentralized Freelancing System-Trust and Transparency
Steverding et al. Initial coin offerings in Europe–the current legal framework and its consequences for investors and issu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