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628B1 - Presentation outputing toy - Google Patents

Presentation outputing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628B1
KR102048628B1 KR1020180026356A KR20180026356A KR102048628B1 KR 102048628 B1 KR102048628 B1 KR 102048628B1 KR 1020180026356 A KR1020180026356 A KR 1020180026356A KR 20180026356 A KR20180026356 A KR 20180026356A KR 102048628 B1 KR102048628 B1 KR 10204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lay
toy
main body
pla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9683A (en
Inventor
세이지 기쿠치
다카시 나카무라
미츠히로 이구치
구미코 다사키
마사토 나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8010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6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22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simulating liquid flow, e.g. nursing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94Doctors'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다양한 인형 등을 유희 대상으로 하여 유희에 대응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는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한다.
연출 출력 완구는, 완구 본체(10)와, 유희 대상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유희 용구(40-1 및 40-2)를 구비한다. 완구 본체(10)는, 유희 용구(40-1 및 40-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12a)와, 장착부(12a)에 장착된 유희 용구(40-1 또는 40-2)에 따른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20)를 갖는다.
We will provide a production output toy that can output a variety of dolls.
The directed output toy is provided with the toy main body 10 and the play tools 40-1 and 40-2 which can be used with respect to a play object. The toy main body 10 has the attachment part 12a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ay equipment 40-1 and 40-2, and the play tool 40-1 or 40-2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2a. It has the direction output part 20 which can output direction.

Description

연출 출력 완구{PRESENTATION OUTPUTING TOY}Directing output toy {PRESENTATION OUTPUTING TOY}

본 발명은, 유희에 대응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는 연출 출력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output toy capable of outputting a play corresponding to play.

하기 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2에는, 인형 완구에 복식 완구를 입힌 때 복식 완구로부터의 정보를 인형 완구가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형 완구로부터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조합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1 and 2 of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 a combination toy configured to read information from a double toy when a double toy is put on a double toy, and output a voice from the doll toy based on the read information. It is.

그러나 상술한 조합 완구는, 정보 전달 가능한 인형 완구와 복식 완구의 조합에 의하여 성립되는 완구이기 때문에, 복식 완구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다른 인형 등을 유희 대상으로 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combination toy mentioned above is a toy establish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oll which can transmit information, and the double toy, it cannot target other dolls etc. which cannot read the information from the double toy.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9366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09366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인형 등을 유희 대상으로 하여 유희에 대응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는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output toy capable of outputting a produc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 for various dolls and the lik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는, 인형 및 봉제 완구를 제외한 완구 본체와, 유희 대상이 되는 인형 또는 봉제 완구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유희 용구를 구비하고,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유희 용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에 따른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를 갖고, 상기 완구 본체,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유희 용구는, 일체가 되어 상기 유희 대상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하나의 물품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하나의 물품을 구성한 상태에서 파지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는, 상기 파지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희 대상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duction output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y body excluding a doll and a stuffed toy, and at least one playable tool that can be used for a doll or a stuffed toy that is a subject of play. And a production unit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the play equipment and a production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lay equipment attached to the mounting unit, wherein the toy body and the play equipment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are integrally formed. The toy main body constitutes a gripp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oy main body constitutes the one article, and the play equipment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grips the gripping portion. It can be used for the play object in the state.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의하면, 다양한 인형 등을 유희 대상으로 하여 유희에 대응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rection output to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can output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play with various dolls etc. as a play object.

도 1의 (A)는 연출 출력 완구를 구성하는 완구 본체의 전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도시한 완구 본체의 상면도, 도 1의 (C)는 도 1의 (A)에 도시한 완구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한 완구 본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도시한 완구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완구 본체에 내장된 연출 출력부의 블록도이다.
도 4의 (A)는 연출 출력 완구를 구성하는 유희 용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의 (B)는 동 유희 용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한 완구 본체에 도 4의 (A)에 도시한 유희 용구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의 (B)는 도 1에 도시한 완구 본체에 도 4의 (A)에 도시한 유희 용구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동작 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A is a front view of the toy main body constituting the production output toy, Fig. 1B is a top view of the toy main body shown in Fig. 1A, and Fig. 1C is Fig. 1. It is a side view of the toy main body shown to (A).
2: (A)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open state of the toy main body shown in FIG. 1, and FIG. 2 (B) is a top view of the toy main body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production output unit built in the toy main body shown in FIG.
4: (A) is a side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play equipment which comprises a production output toy, and FIG. 4 (B) is a side view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play equipment.
FIG. 5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lay tool shown in FIG. 4A is attached to the toy body shown in FIG. 1, and FIG. 5B is a toy body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after attaching the play equipment shown i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출 출력 완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연출 출력 완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완구 본체(10)와, 도 4에 도시한 유희 용구(40-1 및 40-2)를 구비하고 있다.Hereinafter, the rendering output toy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 This directed output toy is provided with the toy main body 10 shown in FIGS. 1-3, and the play equipment 40-1 and 40-2 shown in FIG.

<완구 본체의 형태><Shape of the toy body>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완구 본체(10)는, 제1 본체부(11)와, 제1 본체부(11)의 상부에 연결부(13)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제2 본체부(12)를 갖고 있다. 제1 본체부(11)의 상면 중앙에는 장착 검출부(22)(도 3을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장착 검출부(22)의 주위에는, 환형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납 공간(1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수납 공간(11a)은 제2 본체부(12)에 의한 폐색 및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액세서리 등의 소품(도시 생략)을 수납할 수 있다.The toy main body 10 shown in FIG. 1 and FIG. 2 has the 1st main body part 11 and the 2nd main body part 12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1st main body part 11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Has 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refer FIG. 3)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1st main-body part 11, and the storage space 11a which consists of an annular recess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torage space 11a enables the closing and opening by the second main body 12, and can accommodate accessories (not shown) such as accessories.

또한 제2 본체부(12)의 상면 중앙에는, 유희 용구(40-1 및 40-2)용의 장착부(12a)로 되는, 횡단면이 원 형상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본체부(12)의 내면에는, 이 구멍과 연속된 내측 구멍을 갖는 원통형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본체부(1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구멍 및 내측 구멍의 바닥 부분에 장착 검출부(22)가 위치하기 때문에, 장착부(12a)는 횡단면이 원 형상인 오목부의 형태를 이룬다.In addition, a h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part 12 as the mounting part 12a for the play equipment 40-1 and 40-2, and the second main body part 12 The cylindrical surface 12b which has an inner hole continuous with this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 That is, since 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is located in the bottom part of a hole and an inner hole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2nd main-body part 12, the mounting part 12a forms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which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제1 본체부(11)의 상면을 제외한 면(도면 중에서는 전방면에 상당하는 측면)에는, 스위치(23)(도 3을 참조)의 조작 부분으로 되는 조작부(14)가 마련되고, 제1 본체부(11)의 내부에는 연출 출력부(20)와 그 전원부(30)가 마련되어 있다.Moreover, the operation part 14 used as an operation part of the switch 23 (refer FIG. 3) is provided in the surfac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a front surface in drawing) except the upper surface of the 1st main-body part 11, Inside the main body 11, a production output section 20 and its power supply section 30 are provided.

연출 출력부(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1)와, 장착 검출부(22)와, 조작부(14)에 대응한 스위치(23)와, 전원 스위치(24)와, 발음부(25)와, 기억부(26)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oduction output unit 20 includes a control unit 21, a mounting detection unit 22, a switch 2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14, a power switch 24, and a sounding unit. And a storage unit 26.

제어부(21)는 마이크로컴퓨터, 각종 드라이버 및 각종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며, 동작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ROM에 저장하고 있다.The control unit 21 has a microcomputer, various drivers, and various interfaces, and stores a program for operation control in a ROM.

장착 검출부(22)는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를 갖고 있으며, 각 스위치(22a 내지 22d)의 조작 부분은 장착 검출부(22)의 상면에 2×2의 배열로 마련되어 있다{도 1의 (B) 및 도 2의 (B)를 참조}. 이들 스위치(22a 내지 22d)와 조작부(14)에 대응한 스위치(23)는 누름 버튼 스위치나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has four switches 22a-22d, and the operation part of each switch 22a-22d is provided in 2x2 arrange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FIG. B) and FIG. 2B). These switches 22a to 22d and the switch 2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14 are composed of a push button switch, a micro switch, or the like.

전원 스위치(24)는 전원부(30)로부터 제어부(21)에의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완구 본체(10)의 하면 등에 마련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전원부(30)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완구 본체(10)의 하면 등에 빼내기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발음부(25)는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며, 기억부(26)는 발음부(2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및 효과음을 기억하고 있다.The power switch 24 is for supplying and interrup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to the control unit 21,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y body 10. Incidentally, the power supply unit 30 is made of a battery, a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and is provided to be pulled ou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y body 10 or the like. The sounding unit 25 is composed of a speaker or the like, and the memory 26 stores the sound and the sound effect output from the sounding unit 25.

<유희 용구의 형태><Shape of play equipment>

도 4의 (A)에 도시한 유희 용구(40-1)는 빗을 본뜬 부분을 갖고, 도 4의 (B)에 도시한 유희 용구(40-2)는 칫솔을 본뜬 부분을 갖는다. 이들 2개의 유희 용구(40-1 및 40-2)는 어디까지나 예이며, 유희 용구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하는 돌기(41a)를 구비한 삽입부(41) 및 환형 플랜지(42)를 갖고 있으면, 스푼을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나, 포크를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나, 젖병을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나, 브러시를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나, 청진기를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나, 체온계를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 등, 즉, 유희 대상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일용품 등을 본뜬 부분을 갖는 다양한 유희 용구를 채용할 수 있다.The play tool 40-1 shown in FIG. 4A has a part which imitated the comb, and the play tool 40-2 shown in FIG. 4B has a part which imitates a toothbrush. These two play tools 40-1 and 40-2 are examples only,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play equipment. That is, if it has the insertion part 41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41a mentioned later, and the annular flange 42, the play goods which have the part which imitated the spoon, the play goods which have the part which imitated the fork, and the part which imitated the bottle, A play device having a part that mimics a stethoscope, a play equipment having a part that mimics a stethoscope, a play tool having a part that resembles a thermometer, that is, a part resembling a daily necessity that can be used for a play object Various amusement tools having can be employed.

각 유희 용구(40-1 및 40-2)는,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횡단면이 원 형상인 오목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원기둥형의 삽입부(41)를 하단부에 갖고 있으며, 그 위에는 삽입량을 규제하는 환형 플랜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부(41)의 하면에는, 삽입부(41)를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 삽입한 때 장착 검출부(22)의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의 조작 부분 중 적어도 1개를 누름 가능한 돌기(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유희 용구에 있어서, 적어도 삽입부(41) 및 환형 플랜지(42)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점에서, 장착부(12a)의 형상을 삽입부(41) 및 환형 플랜지(42)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하면 되며, 어느 유희 용구를 장착했다고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구 본체의 저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완구 본체(10)는 유희 용구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유희 용구를 직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Each of the amusement tools 40-1 and 40-2 has a cylindrical insertion portion 41 that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2a (recessed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 cross section) of the toy body 10. It has the annular flange 42 which regulates the insertion amount on it. In addition, in the lower surface of each insertion part 41, when the insertion part 4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12a of the toy main body 10, the operation part of the four switches 22a-22d of 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is carried out. The protrusion 41a which can push at least 1 is formed. Moreover, in each play tool, since at least the insertion part 41 and the annular flange 42 form the same shape, the shap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41 and the annular flange 42 is equivalent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part 12a. Even if any play equipment is attached, it can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Moreover, since the bottom face of a toy main body is formed in the plane, the toy main body 10 can hold a play tool in an upright state in the installation state of a play tool.

각 삽입부(41a)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41a)는 장착 검출부(22)에 의한 장착 검출 외에, 장착 검출부(22)에 의한 종류 판별에 이용된다. 즉, 장착 검출부(22)의 상면에 마련된 각 스위치(22a 내지 22d)의 조작 부분에 대응하여 돌기(41a)의 수를 1개, 2개, 3개 또는 4개로 하면, 4종류의 유희 용구의 종류 판별을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1 내지 3개의 돌기(41a)의 위치를 바꾸면 5종류 이상의 유희 용구의 종류 판별을 행할 수 있다.The projection 41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insertion portion 41a is used for the type detection by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2 in addition to the mounting detection by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2. That is, if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41a is one, two, three or fou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rtions of the switches 22a to 22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2, the four types of play tools Type discrimination can be carried out, and further,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one to three projections 41a, five or more kinds of play equipment can be discriminated.

<연출 출력 완구의 사용 방법 및 동작><How to use and output play toys>

여기서, 유희 대상이 인형(인간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 도시 생략)이고, 또한 유희 용구가 도 4의 (A)에 도시한 유희 용구(4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연출 출력 완구의 사용 방법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 the case where the play object is a doll (made by imitating a human, not shown) and the play tool is a play tool 40-1 shown in Fig. 4A is taken as an example. The usage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유희는 완구 본체(10)의 전원 스위치(24)을 온으로 함으로써 개시된다. 유희 용구(40-1)가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5의 (A)를 참조}에서 조작부(14)가 눌러지면, 스위치(23)가 온으로 되고, 비장착에 대응한 음성이 효과음과 함께 출력된다(도 6의 스텝 ST1 내지 ST3을 참조). 스텝 ST3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예를 들어 「좋아하는 유희 용구를 장착해 줘」이다.Play is started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24 of the toy body 10. When the operating part 14 is pres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lay tool 40-1 is not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2a of the toy main body 10 (refer FIG. 5 (A)), the switch 23 is turned on. Then,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non-attachment is output together with the effect sound (see steps ST1 to ST3 in FIG. 6). The audio output at step ST3 is, for example, "wear a favorite play equipment."

유희 용구(40-1)가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 장착되면{도 5의 (B)를 참조}, 유희 용구(40-1)의 돌기(41a)에 의하여 장착 검출부(22)의 4개의 조작 부분 중 적어도 1개가 눌리어,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 중 적어도 1개가 온으로 된다. 즉,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 중 적어도 1개가 온으로 됨으로써 장착이 검출됨과 함께,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의 온 패턴에 의하여 유희 용구(40-1)의 종류가 판별되고, 유희 용구(40-1)의 장착에 대응한 음성이 효과음과 함께 출력된다(도 6의 스텝 ST1, ST4 및 ST5를 참조). 유희 용구(40-1)는 빗을 본뜬 부분을 갖는 유희 용구이기 때문에 스텝 ST5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예를 들어 「머리 빗어 줘」이며, 유희 용구(40-1)의 유희 대상에 대한 사용 방법이나 유희 용구에 관련되는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다.When the play tool 40-1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2a of the toy main body 10 (refer FIG. 5 (B)), the mounting detection part 22 is made by the protrusion 41a of the play tool 40-1. At least one of the four operation parts of the () is pressed,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witches 22a to 22d is turned on. That is, the mounting is detected by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witches 22a to 22d, and the type of the play equipment 40-1 is determined by the on pattern of the four switches 22a to 22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of the tool 40-1 is output together with the effect sound (see steps ST1, ST4, and ST5 in Fig. 6). Since the play tool 40-1 is a play tool having a part that mimics a comb, the voice output in step ST5 is, for example, "combing hair", and the use method for the play object of the play tool 40-1, It includes contents related to amusement equipment.

또한 스텝 ST5에서는, 유희 용구(40-1)에 설정된 시간(타임테이블)에 따라 상기 음성 「머리 빗어 줘」와는 다른 음성, 예를 들어 「잘 빗어 줘」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텝 ST5에서는, 유희 용구(40-1)에 설정된 시간(타임테이블)에 따라 상기 음성 「머리 빗어 줘」를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되고, 상기 음성 「머리 빗어 줘」와, 이와는 다른 상기 음성 「잘 빗어 줘」를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유희 용구(40-1)에 설정된 시간(타임테이블) 대신, 장착된 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음성을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step ST5, according to the time (timetable) set in the play equipment 40-1, you may output the audio | voice different from the said voice "combing hair", for example, "combing well". In step ST5, the voice "comb your hair" may be outputted repeatedly according to the time (time table) set in the play tool 40-1. Please comb it well. ” Instead of the time (timetable) set in the play equipment 40-1, the sound may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elapsed time after being mounted.

유희 용구(40-1)가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도 5의 (B)를 참조}에서는, 완구 본체(10)는 유희 용구(40-1)의 파지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유희자는 완구 본체(10)를 주로 파지하여 유희 용구(40-1)에 의하여 인형(유희 대상)의 머리털을 빗는 유희를 행한다. 또한 완구 본체의 측면에 조작부(14)를 마련함으로써, 완구 본체(10)를 파지하고 인형에 대한 유희(동작) 중에 있어서도 조작부(14)에의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유희 용구(40-1)의,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의 장착에 의하여, 유희 용구(40-1) 및 완구 본체(10)가 일체로 되어 하나의 물품을 구성하고, 유희 대상에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즉, 완구 본체(10)는, 유희 용구(40-1)와 일체로 됨으로써 유희 대상에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In the state in which the play equipment 40-1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2a of the toy main body 10 (refer FIG. 5 (B)), the toy main body 10 grasps the play tool 40-1. Since it becomes a part, a play player grasps the toy main body 10 mainly, and performs a play of combing the hair of a doll (playing object) with the play tool 40-1. Moreover, by providing the operation part 14 in the side surface of a toy main body, operation to the operation part 14 is possible also in the pla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toy main body 10 and holding | maintaining the doll. In addition, the play tool 40-1 and the toy main body 1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attachment of the play tool 40-1 to the mounting portion 12a of the toy main body 10 to form a single article. The object can be used. That is, the toy main body 10 becomes integral with the play tool 40-1, and can use it for a play object.

또한 유희 용구(40-1)가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도 5의 (B)를 참조}에서 조작부(14)가 눌러지면, 스위치(23)가 온으로 되고, 상기 장착에 대응한 음성과는 상이한 음성이 효과음과 함께 출력된다(도 6의 스텝 ST6 및 ST7을 참조). 스텝 ST7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예를 들어 「잘 빗는데」이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ng part 14 is pres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lay tool 40-1 is mounted in the mounting part 12a of the toy main body 10 (refer FIG. 5 (B)), the switch 23 is turned on. Then, a sound different from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is output together with the effect sound (see steps ST6 and ST7 in FIG. 6). The audio output in step ST7 is, for example, "good combing".

또한 스텝 ST7에서는, 조작부(14)가 눌릴 때마다 상기 음성 「잘 빗는데」와는 다른 음성, 예를 들어 「그런 식으로」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step ST7, whenever the operation part 14 is pressed, you may make it output the audio | voice different from the said "combing well", for example, "in that way."

유희 용구(40-1)가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로부터 떼어 내어지면, 유희 용구(40-1)의 돌기(41a)에 의하여 온으로 되어 있던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 중 적어도 1개가 오프로 된다. 즉, 4개의 스위치(22a 내지 22d) 중 적어도 1개가 오프가 됨으로써 떼어 내기가 검출되고, 떼어 내기에 대응한 음성이 효과음과 함께 출력된다(도 6의 스텝 ST8 및 ST9를 참조). 스텝 ST9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예를 들어 「또 놀자」이다.When the play tool 40-1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part 12a of the toy main body 10, among the four switches 22a-22d which were turned on by the protrusion 41a of the play tool 40-1. At least one is off. That is, since at least one of the four switches 22a to 22d is turned off, the tear off is detected,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tear off is output together with the effect sound (see steps ST8 and ST9 in FIG. 6). The audio output in step ST9 is, for example, "play again".

도 3에 도시한 기억부(26)에는, 유희 용구(40-1)에 대응한 음성 및 효과음 외에, 유희 용구(40-2)에 대응한 음성 및 효과음과, 앞서 설명한 다른 유희 용구에 대응한 음성 및 효과음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T1로 되돌아가 다른 유희 용구가 완구 본체(10)의 장착부(12a)에 장착된 후에도 동 유희 용구에 대응한 음성 등이 마찬가지의 타이밍에 출력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voice and the 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the play tool 40-1, the memory 26 shown in FIG. 3 corresponds to the voice and the 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the play tool 40-2 and the other play tool described above. Since the sound and the effect sound are stored, after returning to step ST1, other play equipment is output at the same timing even after the other play equipment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12a of the toy main body 10.

<연출 출력 완구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Effect obtained by production output toy>

상기 연출 출력 완구는, 완구 본체(10)에 장착된 유희 용구(40-1 및 40-2 외)에 따른 연출(음성 및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희 대상인 인형(인간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을 다른 인형으로 바꾸더라도 유희 용구에 따른 연출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인형을 유희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희 대상을 인형 이외의 봉제 완구(인간 이외의 동물 등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이나 인간 등으로 하더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연출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rected output toy is configured to output a directed (voice and effect sound) according to the play equipment 40-1 and 40-2 attached to the toy main body 10. In other words, even if the doll (made by imitating human beings) that is the object of play is changed to another doll,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lay tool can be output, and therefore, various dolls can be targeted. In addition, even if the play object is made of plush toys other than dolls (made by imitating animals other than humans), humans, etc., the same produ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output.

또한 상기 연출 출력 완구는, 유희 용구(40-1 및 40-2 외)가 완구 본체(10)에 장착된 때나 완구 본체(10)에 장착된 후에 있어서, 동 유희 용구에 따른 연출(음성 및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유희 도중의 각종 타이밍에 있어서 유희 용구에 따른 연출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출에 의하여 유희의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느끼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output toy, when the play equipment (40-1 and 40-2, etc.) is attached to the toy main body 10 or after being mounted on the toy main body 10,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lay equipment (voice and sound effects) ) Can be printed. That is, since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lay tool can be output at the various timings during the play, the play can make the play person feel the fun and the fun of the play.

또한 상기 연출 출력 완구는, 미리 각 유희 용구에 완구 본체(10)(연출 출력 유닛)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완구 본체(10)를 하나 소지해 두면 각 유희 용구에 적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oy main body 10 (directive output unit) is provided in each play tool beforehand, the said output output toy can be applied to each play tool, if one toy main body 10 is carried. Can be greatly suppressed.

또한 연출 출력 완구는, 유희 용구(40-1 및 40-2 외)가 완구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부(14)를 누름으로써 상기 연출과는 상이한 연출(음성 및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유희 도중에 조작부(14)를 누름으로써 상기 연출과는 상이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출에 의하여 유희의 한층 더한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느끼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ed output toy can output a different direction (sound and effect sound) from the directed by pressing the operation unit 14 while the play equipment 40-1 and 40-2 are attached to the toy main body 10. Can be. That is, since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aid direction can be output by pressing the operation part 14 in the middle of the play, this play can make a player feel more fun and fun.

<연출 출력 완구의 변형예><Modification example of the production output toy>

상기 연출 출력 완구로서, 조작부(14)를 갖는 완구 본체(10)와, 이 조작부(14)에 대응한 스위치(23)를 갖는 연출 출력부(20)를 나타냈지만, 이들 조작부(14) 및 스위치(23)나 조작부(14)의 누름에 기초하는 연출 출력의 기능을 배제 해도 된다.Although the direction output part 20 which showed the toy main body 10 which has the operation part 14, and the switch 23 corresponding to this operation part 14 was shown as said direction output toy, these operation part 14 and a switch are shown. (23) and the function of the directing output based on the press of the operation part 14 may be excluded.

또한 상기 연출 출력 완구로서, 제1 본체부(11)와, 이것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제2 본체부(12)를 갖는 완구 본체(10)를 나타냈지만,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를 일체화한 비개폐 타입의 완구 본체로 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toy main body 10 which has the 1st main body part 11 and the 2nd main body part 12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was shown as the said direction output toy, the 1st main body part 11 and the 2nd It is good also as a non-opening / closing toy main body which integrated the main body part 12.

10: 완구 본체
11: 제1 본체부
12: 제2 본체부
12a: 장착부
14: 조작부
20: 연출 출력부
21: 제어부
22: 장착 검출부
22a 내지 22d: 장착 검출부의 스위치
23: 조작부용의 스위치
24: 전원 스위치
25: 발음부
26: 기억부
30: 전원부
40-1, 40-2: 유희 용구
41: 삽입부
41a : 돌기
10: toy body
11: first main body
12: second main body
12a: mounting
14: control panel
20: rendering output unit
21: control unit
22: mounting detection unit
22a to 22d: switch of mounting detection unit
23: switch for the control panel
24: power switch
25: Pronunciation
26: memory
30: power supply
40-1, 40-2: play equipment
41: insertion part
41a: turning

Claims (15)

연출 출력 완구이며,
인형 및 봉제 완구를 제외한 완구 본체와, 유희 대상이 되는 인형 또는 봉제 완구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유희 용구를 구비하고,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유희 용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에 따른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를 갖고,
상기 완구 본체,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유희 용구는, 일체가 되어 상기 유희 대상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하나의 물품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하나의 물품을 구성한 상태에서 파지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는, 상기 파지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희 대상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연출 출력 완구.
Directed output toys,
A toy body excluding a doll and a stuffed toy, and at least one playable tool that can be used for a doll or a stuffed toy that is to be played,
The toy main body has a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play equipment, and a play output portion capable of outputting a play according to the play equipment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The toy body and the play equipment to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constitute one article that can be used for the play object, and the toy body constitutes the gripping portion in the state of configuring the one article. and,
The play equipment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can be used with respect to the play object in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portion is held.
Directed output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희 용구는 복수 종류 준비되고, 상기 장착부에 개별로 장착 가능한,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ypes of the above-mentioned amusement tools are prepared, and can be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의 사용 방법을 전달하는 음성을 포함하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rection includes a voice for transmitting a method of using the play equipment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장착부에의 상기 유희 용구의 장착을 검출하는 장착 검출부를 갖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recting output section has a mounting detection section that detects the attachment of the play equipment to the mounting section.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연출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rection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time set in the play equipment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유희 용구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연출을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rection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repeatedly output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time set in the play equipment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유희 용구가 상기 장착부에서 떼어 내어진 때 제2 연출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rection output section is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direction when the play equipment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section,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조작부를 더 갖고,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유희 용구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의 조작을 조건으로 하여 제3 연출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oy body further has an operation portion,
The direction output section is configured to output a third direction on condition of operation on the operation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play equipment is not attached to the mounting section.
Directed output toy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유희 용구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의 조작을 조건으로 하여 제4 연출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direction output section is configured to output a fourth direction on condition of an operation on the operation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play equipment is attached to the mounting section.
Directed output toy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완구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의 배치면과는 상이한 면에 배치되어 있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said operation par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rface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surface of the said mounting part in the said toy main body,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제2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toy main body consists of a 1st main body part and a 2nd main body part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of the said 1st main body part is possible,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유희 용구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mounting part consists of a recessed part which can insert the edge part of the said play tool in detachably,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장착부에 상기 유희 용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희 용구를 직립 상태로 유지 가능한,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toy main body can hold the said play equipment in an upright state in the state which mounted the said play equipment on the said mounting part,
Directed output toy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희 용구는 일용품을 본뜬 부분을 갖는,
연출 출력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ay equipment has a part that mimics a daily necessity,
Directed output toys.
삭제delete
KR1020180026356A 2017-03-27 2018-03-06 Presentation outputing toy KR1020486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0746A JP6373435B1 (en) 2017-03-27 2017-03-27 Production output toy
JPJP-P-2017-060746 2017-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683A KR20180109683A (en) 2018-10-08
KR102048628B1 true KR102048628B1 (en) 2019-11-25

Family

ID=6284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356A KR102048628B1 (en) 2017-03-27 2018-03-06 Presentation outputing toy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6373435B1 (en)
KR (1) KR102048628B1 (en)
CN (1) CN108295491B (en)
HK (1) HK1252313A1 (en)
TW (1) TWI65209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6181B1 (en) * 2018-11-13 2019-12-25 株式会社バンダイ Production output toy, production output toy set, and operation tool for production output toy
JP6899472B1 (en) * 2020-06-19 2021-07-07 株式会社バンダイ Weapons toys
JP7225186B2 (en) * 2020-12-02 2023-02-20 株式会社バンダイ directing output to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047A (en) * 2000-02-28 2001-09-07 Takara Co Ltd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JP2013111086A (en) * 2011-11-24 2013-06-10 Bandai Co Ltd Cosmetic toy and cosmetic toy fitting bod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69Y2 (en) * 1989-10-17 1995-07-12 株式会社タカラ Toy switch mechanism
JPH0639096U (en) * 1992-11-04 1994-05-24 株式会社タカラ Combination toys
JP2887566B2 (en) * 1994-08-31 1999-04-26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Lid opening and closing box toy
JP2000093664A (en) * 1998-09-18 2000-04-04 Takara Co Ltd Combination toy
JP2007082621A (en) * 2005-09-20 2007-04-05 Kawaguchi:Kk Cooking tool toy and cooking tool
JP5531149B1 (en) * 2013-08-23 2014-06-25 株式会社バンダイ Production output toy
JP6374831B2 (en) * 2015-06-12 2018-08-15 株式会社バンダイ Production output toy
JP6085055B1 (en) * 2016-06-08 2017-02-22 株式会社バンダイ Production output to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047A (en) * 2000-02-28 2001-09-07 Takara Co Ltd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JP2013111086A (en) * 2011-11-24 2013-06-10 Bandai Co Ltd Cosmetic toy and cosmetic toy fitt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73435B1 (en) 2018-08-15
TW201834727A (en) 2018-10-01
HK1252313A1 (en) 2019-05-24
JP6998842B2 (en) 2022-01-18
CN108295491A (en) 2018-07-20
TWI652098B (en) 2019-03-01
JP2018161336A (en) 2018-10-18
JP2018161527A (en) 2018-10-18
KR20180109683A (en) 2018-10-08
JP2022028001A (en) 2022-02-14
CN108295491B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628B1 (en) Presentation outputing toy
JP4971520B1 (en) Makeup toy and wearing body for makeup toy
US6520828B2 (en) Variable performance toys
JP5785852B2 (en) Toy
US7029361B2 (en) Finger puppets with sounds
WO2008042671A2 (en) Interactive toy system
US5908344A (en) Sporting implement protection and sound-producing device
US639487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sound-generating finger puppet
EP1776990A2 (en) Interactive toy system
US6524156B1 (en) Talking stick horse
US20190176046A1 (en) Toy with user-operable light
US20150070143A1 (en) Novelty Door Knocker with Audio Playback
US20190247760A1 (en) Interactive pet toy with pliable mounting apparatus
US8257132B2 (en) Doll kit
JP3128548U (en) Toothbrush with ornament
JP3110298U (en) Taiko toy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WO2000023161A1 (en) Interchangeable and interactive play figures
JP2009011504A (en) Ornament toy
JP3103342U (en) Pose variable monkey stuffed toy
JP3099686U (en) Animal toys
JP3148698U (en) Resonant ornament toy
JP3173811U (en) toy
KR200423613Y1 (en) Cookie box
JP3126487U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