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961B1 -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 Google Patents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961B1
KR102047961B1 KR1020130118041A KR20130118041A KR102047961B1 KR 102047961 B1 KR102047961 B1 KR 102047961B1 KR 1020130118041 A KR1020130118041 A KR 1020130118041A KR 20130118041 A KR20130118041 A KR 20130118041A KR 102047961 B1 KR102047961 B1 KR 10204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iscovery signal
discovery
terminal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1069A (en
Inventor
정수정
김성경
조승권
윤찬호
김형진
장성철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058,894 priority Critical patent/US9408137B2/en
Publication of KR2014005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 단말이 무선 채널로 방송하는 디스커버리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overy signal is broadcasted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on a wireless channel. The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a first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field including any one of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service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field.

Description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디스커버리 신호, 그리고 디스커버리 신호 송/수신 방법{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본 발명은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디스커버리(discovery) 신호, 그리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a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discovery signal.

이동 단말간 직접 통신(Direct To Direct communication)은 크게, 단말간의 직접 통신을 위해 주기적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인접 단말을 식별(검출)하는 동작 수행(discovery) 단계와, 이후에 식별(검출)된 인접 단말간의 통신 경로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된 경로를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Direct to direct communication is largely performed by a discovery step of periodically identifying (detecting) adjacent terminals existing nearby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subsequently identifying (detected) neighbors. It may be divided into a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path setting between terminals and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path.

그리고, 인접 단말의 식별(검출) 단계는, 단말 식별자 정보 획득 단계와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 획득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간 직접통신(D2D communication)에 참여하는 단말들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단말 식별자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방송한다. 단말의 식별자 정보 방송을 위해 필요한 무선 자원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무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방송에 따른 오버헤드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하지만, 단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제공되는경우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것은 오버헤드가 높고, 높은 오버헤드에 비해 낮은 무선 자원의 효용성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인접 단말의 서비스 정보는 무선 채널을 통해 방송되지 않고, 주로 무선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단말 식별자 정보가 획득되고 인접 단말간의 통신 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제공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실제 단말간의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유무와 관계없이 통신 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서비스의 협상이 가능한 방식이므로, 인접 단말간의 불필요한 직접 통신 경로 설정이 발생할 수 있다.
The identifying (detecting) step of the neighboring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obtain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obtaining service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rminal. To this end, terminals participating in D2D communication periodically broadcast their own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r service information. Since the radio resource required for broadcast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latively small, the overhead of periodic broadcasting through the radio channel is relatively large. However, when one or more services are provided by the terminal, periodically broadcasting all information on one or more services provided has a high overhead, and has a low radio resource efficiency compared to a high overhead. Therefore,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existing neighboring terminal is not broadcast through the wireless channel, but is mainly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after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broadcast through the wireless channel is obtained and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neighboring terminals is established. Since this method enables a service to be negotiated after the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actual terminals, unnecessary direct communication path setting between adjacent terminals may occu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직접통신 경로가 설정되기 이전에 효율적인 서비스 검출(service discovery)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efficient service discovery before a direct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on a wireless channe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 단말이 무선 채널로 방송하는 디스커버리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overy signal is broadcasted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on a wireless channel. The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a first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field including any one of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service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field.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 정보; 상기 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상태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와 관련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The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servic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he service; Servic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provision of the service; A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ervice status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타입 정보는 유니캐스트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 및 브로드캐스트 전송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The service type information represents any one of unicast transmission, multicast transmission, and broadcast transmission.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시작 상태, 상기 서비스의 계속 상태, 및 상기 서비스의 종료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가 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가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종료 시간을 나타낸다.Th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es any one of a start state of the service, a continuation state of the service, and an end state of the service, and the time information indicates a start time of the service when th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es a start state. And the end time of the service when th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es the end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검출용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검출용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와 동일한 포맷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is provided.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a first discovery signal for detecting a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econd discovery signal for service detection. Here, the first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a first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first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field including any one of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service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field. The second discovery signal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at as the first discovery signal.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 resource for discovery f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discovery signals before 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discovery signal.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 내에서 일정하다.The location of 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is constant within a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repeated periodically.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N(단, N은 자연수)번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가 N번 방송된 후에,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M(단, M은 자연수)번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 first discovery signal N tim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using 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In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after the first discovery signal is broadcast N times, the second discovery signal is periodically broadcasted M times (where M is a natural number) using 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Steps.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호핑(hopping) 패턴에 따라 정해진 위치의 자원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is a resource of a loc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hopping pattern. 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broadcasting the first discovery signal by using 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broadcasting the second discovery signal by using 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가 주기적으로 N(단, N은 자연수)번 방송된 후에,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M(단, M은 자연수)번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과 상기 M은 가변한다.In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after the first discovery signal is broadcast N tim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using the selected discovery resource. , M is a natural number). Here, N and M are variable.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정보를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2 필드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masking the service information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Inserting the masked service information into the second field; And broadcasting the second discovery signal.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broadcas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broadcasting the second discovery signal through a wireless channel by using discovery resources f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discovery signals.

상기 제1 단말은 다수의 슈퍼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울트라 프레임 구조에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상기 울트라 프레임 내에서 F(단, F는 자연수)개의 프레임을 통해서 제공된다.The first terminal operates in an ultra frame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erframes. The discovery resource is provided through F frames (where F is a natural number) in the ultra frame.

상기 F개의 프레임 각각은 다수의 상기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포함한다.Each of the F frames includes a plurality of the resources for discovery.

상기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 각각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는 K(단, K는 자연수)개의 자원 클래스 중에서 어느 한 자원 클래스에 해당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corresponds to any one resource class among K resource classes having different periods (where K is a natural number).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 중에서 어느 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electing includes selecting a resource for discovery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sources for discovery.

상기 F개의 프레임 중에서 제1 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자원 클래스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F개의 프레임 중에서 제2 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제2 주기를 가지는 제2 자원 클래스에 해당한다.Among the F frames, the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included in the first frame correspond to a first resource class having a first period. The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included in the second frame among the F frames correspond to a second resource class having a second perio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스커버리 신호의 제1 필드에 저장된 값에 기초해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의 제2 필드에 저장된 단말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서비스 검출용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의 제2 필드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상기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 단말의 상기 단말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기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필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eiving a discovery signal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is provided. The method for receiving a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based on a value stored in the first field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Acquir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stored in a second field of the discovery signal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terminal detection signal; And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signal for detecting a service, acquiring service information stored in a second field of the discovery signal. The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the first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field including any one of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discovery signal and the service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discovery sig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field. do.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획득한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상기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언마스킹(unmask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receiving a discovery signal may further include unmasking the obtained service information by using the obtain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채널 상으로 직접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 간의 통신 경로 설정 전에 하나의 무선 자원 형식을 이용해, 단말 검출(device discovery) 뿐만 아니라 서비스 검출(service discovery)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자원 사용의 오버헤드 증가 없이 서비스 검출이 가능해져 불필요한 통신 경로 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overy signal for not only device discovery but also service discovery using one radio resource format before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erminals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on a wireless channel. Send it. Through this, service detection is possible without increasing overhead of radio resource usag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ommunication path se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신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위치의 자원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패턴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을 이용해 단말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연관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용 자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용 자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cover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using a resource at a fixed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using a resource alloca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ociat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with service information using mas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source for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source for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ast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 또는 device)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erminal (terminal or device)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 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 -MS), subscriber station (SS),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ccess terminal (AT), user equipment (UE), etc. It may include all or part of the functionality of the MT, AMS, HR-MS, SS, PSS, AT, UE, and the like.

본 발명은 광대역 기반의 이동 단말간 직접통신 시스템에서 인접한 단말들이 서로 인접해 있음을 인식하여 인접 단말을 식별(검출)하는 디스커버리(discovery) 절차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대역 이동 무선 접속 기반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간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단말들이 자신의 정보를 방송하고, 인접한 단말들이 이를 수신하여 서로 인접함 및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식별(검출)하는 디스커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단말간 직접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이 인접 단말을 식별(검출)하기 위해 무선 채널로 방송하는 디스커버리 신호의 구성 및 전송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overy procedur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tecting) adjacent terminals by recognizing that adjacent termina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that support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broadband mobile wireless access-based system, the terminals broadcast their information, the adjacent terminals can receive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ov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overy method for identifying (detecting) information about a service.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figuration and transmission scheme of the discovery signal broadcasted on a wireless channel to the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to identify (detect) the adjacent terminal.

1. 디스커버리 신호 구성 방법1. How to configure discovery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신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간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이 무선 채널로 방송하는 식별(검출)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는 도 1과 같은 포맷을 가질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scover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overy signal for identification (detection) broadcast by a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on a wireless channel may have a format as shown in FIG. 1.

디스커버리 신호는 디스커버리 유형 정보(discovery type) 필드(FD1) 및 정보 필드(FD2)를 포함한다. The discovery signal includes a discovery type information field FD1 and an information field FD2.

유형 정보 필드(FD1)는 1비트(bit) 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형 정보 필드(FD1)는,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0의 값을 가지고, 디스커버리 신호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1의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may be 1 bit in size. In detail,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may be designed to have a value of 0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a signal for detecting a terminal and a value of 1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a signal for detecting a service.

정보 필드(FD2)는, 유형 정보 필드(FD1)의 값에 따라 단말 식별자 정보(Device ID) 및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식별자 정보(Device ID)는 직접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써, 기존의 광대역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단말 식별자(예, MAC address(48 bits), MAC address hash(24 bits) 등)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정보,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 정보, 서비스 제공 상태(status) 정보,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time) 정보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필드(FD2)는, 유형 정보 필드(FD1)의 값이 0인 경우에(즉,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단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유형 정보 필드(FD1)의 값이 1인 경우에(즉, 디스커버리 신호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결국, 단말 검출용 메시지인 단말 광고(device advertisement) 메시지와 서비스 검출용 메시지인 서비스 광고(service advertisement) 메시지는 동일한 크기이다. 단말 광고 메시지 또는 서비스 광고 메시지는 무선 신호인 디스커버리 신호로 만들어져 무선 채널을 통해 방송된다. The information field FD2 includes any one of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Device ID and service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Here, the device identifier information (Device ID) i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erminals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from each other, and is a terminal identifier (eg, MAC address (48 bits), MAC address hash (24 bits) used in a conventional broadband based system. ), Etc.). In addition,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service type information, service ID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status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field FD2 includes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when the value of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is 0 (that is,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a signal for detecting a terminal) and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When the value of 1 is 1 (ie,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a signal for detecting a servic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As a result, a device advertisement message which is a terminal detection message and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which is a service detection message are the same size. The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or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s made of a discovery signal which is a radio signal and broadcasted through a radio channel.

개별 단말들(예, D1)은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다른 단말들(예, D2)의 단말 검출을 위해서, 자신의 단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의 유형 정보필드(FD1)는 단말 광고 메시지를 나타내고(예, 0 값을 가지고),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의 정보 필드(FD2)는 해당 단말(예, D1)의 단말 식별자 정보(Device ID)를 포함한다. 개별 단말(예, D1)은 단말 광고 메시지를 디스커버리 신호로 생성하여 무선채널 상으로 방송한다. A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a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including its own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for detecting terminals of other terminals (eg, D2)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eg, D1). Broadcasts. Specifically,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of the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indicates a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eg, has a value of 0), and the information field FD2 of the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indicates the terminal (eg, D1)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erminal ID information (Device ID) is included. The individual terminal (eg, D1) generates a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as a discovery signal and broadcasts it on a wireless channel.

한편,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단말들은 제공 가능한 서비스 검출이 서로간에 가능하도록, 개별 단말들(예, D1)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의 유형 정보 필드(FD1)는 서비스 광고 메시지를 나타내고(예, 1 값을 가지고),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의 정보 필드(FD2)는 해당 단말(예, D1)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정보,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 정보, 서비스 제공 상태(status) 정보,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tim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 정보는 해당 단말(예, D1)이 제공하는 서비스 전송 방식(예,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을 나타낸다. 서비스 타입 정보는 2 비트 또는 1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타입 정보가 2 비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타입 정보는 아래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l the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to provide a service detection that can be provided to each other, the individual terminals (eg, D1) is a discovery signal consisting of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containing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Specifically, the type information field FD1 of the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indicates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eg, has a value of 1), and the information field FD2 of the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eg, D1) Contains servic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service type information, service ID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status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indicates a service transmission method (eg, unicast, multicast, or broadcast)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terminal (eg, D1).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may consist of 2 bits or 1 bit. When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is composed of 2 bits,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may be used in the manner as shown in Table 1 below.

서비스 타입 정보 사용의 일 예Example of using service type information 서비스 타입 정보의 값Value of service type information 서비스 전송 방식Service transmission method 0000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Unicast transmission 0101 멀티캐스트 전송(multicast transmission)Multicast transmission 1010 브로드캐스트 전송(broadcast transmission)Broadcast transmission 1111 ReservedReserved

한편, 서비스 타입 정보가 1 비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타입 정보는 아래 표 2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is composed of 1 bit,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may be used in a manner as shown in Table 2 below.

서비스 타입 정보 사용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using service type information 서비스 타입 정보의 값Value of service type information 서비스 전송 방식Service transmission method 00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Unicast transmission 1One 비-유니캐스트 전송(non-unicast transmission)Non-unicast transmission

서비스 식별자 정보는 단말간 직접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구분하는 식별자로써,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 또는 이를 기반으로하여 추출된 서비스 식별자 정보(hashed application ID) 등 일 수 있다.The service identifier information i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services provided by a terminal-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ay be an existing application ID or extracted service identifier information (hashed application ID) based on the same.

서비스 제공 상태 정보는 해당 서비스가 단말(예, D1)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 정보는 서비스 제공 상태와 관련된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서비스 제공 상태는 세 단계(시작, 계속, 종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서비스 제공 상태에 따른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 정보는 아래 표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tate informat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being provided by the terminal (eg, D1), and the service providing related time information indicates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tate. The service provision state may be configured in three steps (start, continue, and end), and service provision relate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service provision stat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3 below.

서비스 제공 상태 및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 정보의 일 예An example of service delivery status and service delivery related time information 서비스 제공 상태Service Delivery Status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 정보Time information related to service delivery 시작(start)Start 시작 시간((expected) start time)(Expected) start time 계속(continue)Continue 종료(end)End 종료 시간((expected) end time)(Expected) end time

한편, 단말(예, D1)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수인 경우에, 서비스 광고 메시지는 전송 시점마다 서로 다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관련 정보(예, 서비스 식별자 정보 등)의 크기가 하나의 서비스 광고 메시지의 정보 필드(F2)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관련 정보는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다수 개의 서비스 광고 메시지로 분할(fragmented service information)되어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the terminal (eg, D1), th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may include different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transmission time. In addition, if the size of service-related information (eg, service identifier information, etc.) of a specific service exceeds the size of the information field F2 of on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service-relat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continuously transmitted. Fragmented service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s and transmitted.

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2. for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s 디스커버리용For discovery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How to allocate resources

광대역 이동 무선접속 기반의 직접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he discovery resource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in a broadband mobile wireless access-based direct communica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다중 접속 방식(예, OFDMA 방식)을 이용하여 전체 무선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직접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은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용으로 주기적으로 할당된 다수의 자원 중 일부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각 단말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이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와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When all radio resource alloc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multiple access scheme (eg, OFDMA scheme), terminals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select some resources among a plurality of resources periodically allocated for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and for selected discovery The discovery signal of each terminal is transmitted using the resource. A method of a terminal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for detecting a terminal and a discovery signal for detecting a service using a discovery resour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위치의 자원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커버리용 자원(DR)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관련 정보를 연관(매핑)시킬 수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using a resource of a fixed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may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covery resource DR.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INT1~DINT5)은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DR)을 포함한다. 직접통신에 참여하는 각 단말은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DR) 중 일부를 선택한다. 단말(예, D1)은 선택한 자원(예, DR_A)을 이용해 단말 검출과 서비스 검출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도 2에서는 단말(예, D1)이 N:1 비율(단, N은 자연수)로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와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즉, 단말(예, D1)은 N번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IN1, DINT2, ..., DINT3, ...)에서 고정된 위치의 자원(예, DR_A)을 이용해, 단말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한다. 그리고 단말(예, D1)은 1번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INT4)에서 고정된 위치의 자원(예, DR_A)을 이용해, 서비스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한다.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INT1 to DINT5 includes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DR. Each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selects some of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DRs). The terminal (eg, D1) transmits a discovery signal for terminal detection and service detection using the selected resource (eg, DR_A).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terminal (eg, D1) transmits a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and a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at an N: 1 ratio (where N is a natural number). That is, the terminal (eg, D1) is a discovery configured as a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by using resources (eg, DR_A) at fixed positions in N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s (DIN1, DINT2, ..., DINT3, ...). Broadcast the signal. In addition, the terminal (eg, D1) broadcasts a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using a resource (eg, DR_A) of a fixed position in on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INT4).

인접한 단말들(예, D2)은 디스커버리용 자원 영역(예, DR_A)에서 단말(예, D1)이 전송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에 포함된 유형 정보 필드(F1)의 값에 따라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아니면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 판단한다. 만약,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인접한 단말들(예, D2)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정보 필드(F2)로부터 단말 식별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인접한 단말들(예, D2)은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 고정된 위치의 자원(예, DR_A)을 통해 그 이후에 전송되는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인접한 단말들(예, D2)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정보 필드(F2)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고정된 위치의 자원에서 획득된 단말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관련 정보를 연관시킴으로써, 인접한 단말들(예, D2)은 해당 서비스를 누가 제공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와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비율(이하 '제1 전송 비율'이라 함)이 일정(N:1)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제1 전송 비율은 가변할 수도 있다. 제1 전송 비율이 가변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Adjacent terminals (eg, D2) receive the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eg, D1) in the discovery resource region (eg, DR_A), and the value of the type information field F1 included in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I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adjacent terminals (eg, D2) obtain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field F2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The adjacent terminals (eg, D2) receive a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thereafter through a fixed location resource (eg, DR_A) that has received the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When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is a service detection signal, adjacent terminals (eg, D2) obtain service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field F2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By associat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btained from a resource of a fixed location with service related information, adjacent terminals (eg, D2) may determine who provides the corresponding service. Meanwhile, 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transmission rate') in which a UE detection discovery signal and a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are transmitted is constant (N: 1), but the first transmission rate is variable. You may. A case in which the first transmission rate is vari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패턴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원 할당 패턴에 따라 정해진 자원의 위치를 이용하여 단말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관련 정보를 연관(매핑)시킬 수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using a resource alloca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may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resourc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urce allocation pattern.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INT1~DINT6)은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포함한다.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INT1 to DINT6 includes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도 3에서는,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단말들에게 자원 할당 패턴 또는 자원 이용 패턴(예, 호핑(hopping) 패턴)에 대한 정보가 미리 알려져 있다고 가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D1)이 사용하는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1~DR_A5)은 해당 자원 이용 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단말(D2)이 사용하는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6~DR_A10)은 해당 자원 이용 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결국,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에게 해당 자원 이용 패턴이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단말들은 수신한 단말 식별자 정보와 수신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연관(매핑)시킬 수 있다.In FIG. 3,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on a resource allocation pattern or a resource usage pattern (eg, a hopping pattern) is known to all terminals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As illustrated in FIG. 3, discovery resources DR_A1 to DR_A5 used by the terminal D1 vary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resource usage pattern. Similarly, the discovery resources DR_A6 to DR_A10 used by the terminal D2 vary according to the resource usage pattern. As a result, since the resource usage pattern is already known to the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the terminals may associate (map)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ervice related information.

한편, 도 3에서는 제1 전송 비율이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D1, D2)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단말(D1)은 단말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1, DR_A2)을 이용해 두 번 전송하고, 그 후에 서비스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3)을 이용해 한번 전송한다. 이 경우에 제1 전송 비율은 2:1 이다. 그리고, 단말(D1)은 단말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4)를 이용해 한번 전송하고, 그 후에 서비스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5)을 이용해 한번 전송한다. 이 경우에 제1 전송 비율은 1:1 이다. 즉, 도 3에서는 단말(D1, D2)의 제1 전송 비율이 2:1에서 1:1로 변경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는 단말(D2)의 제1 전송 비율이 2:1에서 1:1로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단말(D2)은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6, DR_A7)을 이용해 두 번 전송하고, 그 후에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8)을 이용해 한번 전송한다. 이 경우에 제1 전송 비율은 2:1 이다. 그리고, 단말(D2)은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9)를 이용해 한번 전송하고, 그 후에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DR_A10)을 이용해 한번 전송한다. 이 경우에 제1 전송 비율은 1:1 이다.
Meanwhile, FIG.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transmission rate is variably changed by the terminals D1 and D2 transmitting signals. Specifically, the terminal D1 transmits the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the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twi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s DR_A1 and DR_A2, and then uses the discovery resource DR_A3 once to transmit the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th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send. In this case, the first transmission ratio is 2: 1. In addition, the terminal D1 transmits the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the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on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 DR_A4, and then transmits the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th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on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 DR_A5. In this case, the first transmission ratio is 1: 1. That is,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transmission ratio of the terminals D1 and D2 is changed from 2: 1 to 1: 1. Similarly, in FIG. 3, the first transmission ratio of the terminal D2 is changed from 2: 1 to 1: 1. Specifically, the terminal D2 transmits the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twi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s DR_A6 and DR_A7, and then transmits the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on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 DR_A8. In this case, the first transmission ratio is 2: 1. The terminal D2 transmits the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on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 DR_A9, and then transmits the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once using the discovery resource DR_A10. In this case, the first transmission ratio is 1: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masking)을 이용해 단말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연관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예시된 방식은, 도 2에서의 고정된 위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이나 도 3에서의 자원 할당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마스킹을 이용해 단말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연관시키는 방식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ociat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with service information using mas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4 is a method of associat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using masking without using the resource for discovery of the fixed location in FIG. 2 or the resource allocation pattern in FIG. 3.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예, D1)은 단말 광고 메시지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무선 채널을 통해 방송한다. A terminal (eg, D1)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broadcasts a discovery signal composed of a terminal advertisement message through a radio channel using a resource for discovery.

한편, 단말(예, D1)이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보 필드(F2)를 단말(예, D1) 자신의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마스킹한다. 그리고 단말(예, D1)은 마스킹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eg, D1) wants to transmit a discovery signal for service detection, the information field F2 is masked using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g, D1) itself. The terminal (eg, D1) transmits a discovery signal including masked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hannel using a discovery resource.

인접한 단말들(예, D2)은 단말(예, D1)이 전송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S100).Adjacent terminals (eg, D2) receive a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eg, D1) (S100).

단말(D2)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유형 정보 필드(F1)의 값에 따라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아니면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 판단한다(S200). The terminal D2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type information field F1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S200).

만약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단말(D2)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정보 필드(F2)로부터 단말 식별자 정보를 획득한다(S300).I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the terminal D2 obtains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field F2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S300).

만약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 경우에, 단말(D2)은 이미 획득한 주변 단말들의 단말 식별자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400). 만약, 획득한 단말 식별자 정보가 없다면, 단말(D2)은 새로 전송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S100). 만약, 획득한 단말 식별자 정보가 있다면, 단말(D2)은 획득한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마스킹을 제거한다(S500). 만약, 마스킹 제거 과정에서 신호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S600), 단말(D2)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마스킹 제거가 성공한 경우의 단말 식별자 정보와 획득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매핑시킨다(S700). 만약, 마스킹 제거 과정에서 신호 오류가 발생하였다면(S600), 단말(D2)은 획득한 단말 식별자 정보 중에서 다른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마스킹 제거 과정을 수행한다. 결국 도 4에 예시된 방식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마스킹을 제대로 제거할 수 있는 단말 식별자 정보와 수신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연관시키는 방식이다.
I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is a service detection signal, the terminal D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lready obtain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neighboring terminals (S400). If there is no acquir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the terminal D2 receives a newly transmitted discovery signal (S100). If there is the acquir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the terminal D2 removes masking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using the obtain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S500). If no signal error occurs in the masking removal process (S600), the terminal D2 acquires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an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acquired service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masking removal is successful. To map (S700). If a signal error occurs in the masking removal process (S600), the terminal D2 performs the masking removal process using other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mong the obtain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4 is a method of associat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for properly masking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with servic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용 자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covery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중 접속 방식(예, OFDMA)을 이용하여 전체 무선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직접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은 주기적으로 할당된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단말의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When all radio resource alloc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multiple access scheme (eg, OFDMA), terminals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may use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periodically allocated as follows in consideration of mobility of the terminal. .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용도에 따라 P(단, P은 자연수) 개의 자원 클래스(class)로 구분된다. 각 단말은 자신에게 허용된 클래스의 디스커버리용 자원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원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자원 클래스의 개수(P)는 직접통신 시스템에서의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이 3개의 자원 클래스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P resource classes, where P is a natural number, depending on the purpose. Each terminal selects a part of the resources for discovery of the class allowed to it, and transmits a discovery signal using the selected resource. Here, the number P of resource class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requirements in the direct communication system. In FIG. 5,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are divided into three resource classes is illustrated.

도 5에서는 직접통신 시스템이 K 주기 단위로 구성되는 울트라프레임(ultraframe) 구조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한편,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K 주기 단위 내에서의 M개의 구간(DSINT1~DSINT4)에서 제공될 수 있다.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DSINT4)은 L 시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DSINT4) 간의 시간 간격은 T이다.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DSINT4)은 S개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포함하고, 각 단말은 S개의 디스커버리용 자원 중에서 하나의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In FIG. 5,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 communication system operates in an ultraframe structure configured in units of K periods. The discovery resource may be provided in M sections DSINT1 to DSINT4 within a K period unit.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SINT1 to DSINT4 consists of L time.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SINT1 ~ DSINT4) is T.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SINT1 to DSINT4 includes S discovery resources, and each terminal may select one resource from the S discovery resources.

도 5에서는 K=1s, M=4, L=5ms, T= 280ms 또는 240ms, S=17 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울트라프레임(UF1)은 다수의 슈퍼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과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2) 간의 간격이 14개의 슈퍼프레임 길이에 대응하고, 나머지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2, DSINT3, DSINT4) 간의 간격이 12개의 슈퍼프레임 길이에 대응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각 슈퍼프레임(SF1, SF2, SF3)은 20ms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슈퍼프레임(SF1, SF2, SF3)은 다수의 프레임(F1~F4)을 포함하는데, 도 5에서는 각 슈퍼프레임(SF1, SF2, SF3)이 4개의 프레임(F1~F4)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슈퍼프레임(SF1)의 각 프레임(F1~F4)은 5ms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DSINT4)이 하나의 프레임(F1)에 대응하는 시간(5ms)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결국, 도 5에서는 프레임(F1)이 17개(=자원 클래스 1에 해당하는 자원 5개 + 자원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자원 5개 +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자원 7개)의 자원(C1, C2, C3)을 포함한다. In FIG. 5, a case in which K = 1s, M = 4, L = 5ms, T = 280ms or 240ms, and S = 17 is illustrated. Ultraframe UF1 includes a plurality of superframes. In FIG. 5,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SINT1 and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SINT2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14 superframe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emaining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s DSINT2, DSINT3, and DSINT4 is 12 superframes in length. The case corresponding to is illustrated. Each superframe SF1, SF2, SF3 may be configured for a 20 ms time. Each superframe SF1, SF2, SF3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F1 to F4. In FIG. 5, each superframe SF1, SF2, SF3 includes four frames F1 to F4. Illustrated. Each frame F1 to F4 of the superframe SF1 may be configured for 5 ms time. In FIG. 5,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sections DSINT1 to DSINT4 have a time (5 ms) corresponding to one frame F1. As a result, in FIG. 5, the frame F1 is composed of 17 resources (= 5 resources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1 + 5 resources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2 + 7 resources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3). , C3).

한편, 도 5에서는 자원 클래스 1에 해당하는 자원은 280ms 또는 240ms 주기로 이용 가능한 자원이고, 자원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자원은 520ms 또는 480ms 주기로 이용 가능한 자원이고,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자원은 1s 주기로 이용 가능한 자원이다. 주기가 짧은 자원 클래스(예, 자원 클래스 1)의 자원은 이동성이 높은 단말들이, 주기가 긴 자원 클래스(예, 자원 클래스 3)의 자원은 이동성이 적은 단말들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5,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1 is a resource available at 280 ms or 240 ms cycle,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2 is a resource available at 520 ms or 480 ms cycle, and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3 is used at 1 s cycle. Is a possible resource. Resources of a short resource class (eg, resource class 1) may be used by terminals with high mobility, and resources of a long resource class (eg, resource class 3) may be used by terminals with low mobility.

한편, 동일한 자원 클래스 내의 자원은 다시 자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원 클래스 1에 해당하는 자원은 1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고, 자원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자원은 2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뉘고,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자원은 4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단말은 선택한 자원 클래스 내의 하나의 자원 그룹 중에서 하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만을 선택하고, 선택한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DSINT4)에서의 자원 클래스 1에 해당하는 제1 자원 그룹의 자원(C1) 5개 각각을 5개의 각 단말이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 DSINT3)에서의 자원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제2-1 자원 그룹의 자원(C2) 5개 각각을 다른 5개의 각 단말이 520ms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2, DSINT4)에서의 자원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제2-2자원 그룹의 자원(C2) 5개 각각을 또 다른 5개의 각 단말이 480ms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1)에서의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제3-1 자원 그룹의 자원(C3) 7개 각각을 또 다른 7개의 각 단말이 1s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2)에서의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제3-2 자원 그룹의 자원(C3) 7개 각각을 또 다른 7개의 각 단말이 1s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3)에서의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제3-3 자원 그룹의 자원(C3) 7개 각각을 또 다른 7개의 각 단말이 1s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구간(DSINT4)에서의 자원 클래스 3에 해당하는 제3-4 자원 그룹의 자원(C3) 7개 각각을 또 다른 7개의 각 단말이 1s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디스커버리용 자원이 도 5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 하나의 울트라프레임(UF1) 내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최대 단말의 수는 43개(=5+5*2+7*4)이다.
Meanwhile, resources in the same resource class may be divided into resource groups again. In detail,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1 may be divided into one resource group,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2 may be divided into two resource groups, and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3 may be divided into four resource groups. The terminal selects only one resource for discovery from one resource group in the selected resource class and periodically transmits a discovery signal using the selected resource for discovery. Specifically, each of five resources C1 of the first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1 in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SINT1 to DSINT4 may be used periodically by five terminals. Meanwhile, each of five resources C2 of the 2-1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class 2 in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SINT1 and DSINT3 may be used by each of the other five terminals at 520 ms periods. Each of the five resources C2 of the second-2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class 2 in each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SINT2 and DSINT4 may be used by another five terminals at a 480ms period. Meanwhile, each of the seven resources C3 of the 3-1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class 3 in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SINT1 may be used by another seven terminals in a 1s period. Each of the seven resources C3 of the 3-2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class 3 in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DSINT2 may be used by another seven UEs every 1 s. In addition, each of the seven resources C3 of the third-3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class 3 in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SINT3 may be used by another seven UEs every 1 s period. Each of the seven resources C3 of the 3-4 resour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class 3 in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period DSINT4 may be used by another seven UEs every 1 s. As a result, when the resource for discovery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the maximum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use the resource for discovery in one ultraframe UF1 is 43 (= 5 + 5 * 2 + 7 *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용 자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프레임 구조와 세부 자원 구조가 동일하고, 자원 클래스의 구성만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하나의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DSINT1~DSINT4) 내에 서로 다른 자원 클래스에 해당하는 자원이 포함된 경우이고, 도 6은 하나의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1~INT4) 내에 동일한 자원 클래스에 해당하는 자원이 포함된 경우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source for discov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have the same frame structure and detailed resource structure, and differ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source class. In detail,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resourc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resource classes are included in one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DSINT1 to DSINT4, and FIG. 6 corresponds to the same resource class in one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INT1 to INT4. This is the case when the resource is included.

각 울트라프레임(UF2~UF9)은 4개의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1~INT4)을 포함한다.Each ultraframe UF2 to UF9 includes four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s INT1 to INT4.

도 6에서는 자원 클래스 4에 해당하는 자원은 1s 주기로(1개의 울트라프레임마다) 이용 가능한 자원이고, 자원 클래스 5에 해당하는 자원은 2s 주기로(2개의 울트라프레임마다) 이용 가능한 자원이고, 자원 클래스 6에 해당하는 자원은 8s 주기로(8개의 울트라프레임마다) 이용 가능한 자원이다In FIG. 6,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4 is a resource that can be used every 1 s (every one ultraframe), and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5 is a resource that can be used every two seconds (every two ultraframes). The corresponding resource is the resource available in 8s period (every 8 ultraframes).

각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1~INT4) 내의 디스커버리용 자원들은 동일한 자원 클래스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1) 내의 17개의 디스커버리용 자원들은 자원 클래스 4에 해당하고,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2) 내의 17개의 디스커버리용 자원들은 자원 클래스 5에 해당하고,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3) 내의 17개의 디스커버리용 자원들은 자원 클래스 6에 해당하고, 디스커버리 전송 구간(INT4) 내의 17개의 디스커버리용 자원들은 자원 클래스 6에 해당한다.Discovery resources in each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INT1 to INT4 correspond to the same resource class. Specifically, in FIG. 6, 17 discovery resources in the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INT1 correspond to resource class 4, and 17 discovery resources in the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INT2 correspond to resource class 5, and the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 17 discovery resources in INT3) correspond to resource class 6, and 17 discovery resources in discovery transmission interval INT4 correspond to resource class 6. FIG.

한편, 도 6에서는 자원 클래스 4에 해당하는 자원은 1개의 자원 그룹(G1)으로 나뉘고, 자원 클래스 5에 해당하는 자원은 2개의 자원 그룹(G2_1, G2_2)으로 나뉘고, 자원 클래스 6에 해당하는 자원은 16개의 자원 그룹(G3_1~G3_16)으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원 그룹(G1)의 17개 자원 각각을 17개의 각 단말이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원 그룹(G2_1)의 17개 자원 각각을 다른 17개의 각 단말이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원 그룹(G2_2)의 17개 자원 각각을 또 다른 17개의 각 단말이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원 그룹(G3_1)의 17개 자원 각각을 또 다른 17개의 각 단말이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5개의 자원 그룹(G3_2~G3_16) 각각의 17개 자원 각각을 또 다른 15*17개의 각 단말이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디스커버리용 자원이 도 6과 같이 구성된 경우에, 8개의 울트라프레임(UF2~UF9) 내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최대 단말의 수는 323개(=17+17*2+17*8+17*8)이다.
Meanwhile, in FIG. 6,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4 is divided into one resource group G1,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5 is divided into two resource groups G2_1 and G2_2, and a resource corresponding to resource class 6. May be divided into 16 resource groups G3_1 to G3_16. Specifically, each of the 17 resources of the resource group G1 may be periodically used by each of 17 terminals. Meanwhile, each of the 17 resources of the resource group G2_1 may be periodically used by each of 17 other terminals. Each of 17 resources of the resource group G2_2 may be periodically used by another 17 terminals. Meanwhile, each of 17 resources of the resource group G3_1 may be periodically used by another 17 terminals. Similarly, each of the 17 resources of each of the 15 resource groups G3_2 to G3_16 may be periodically used by another 15 * 17 terminals. After all, if the resource for discovery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6, the maximum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use the resource for discovery in the eight ultra-frames (UF2 ~ UF9) is 323 (= 17 + 17 * 2 + 17 * 8 + 17 * 8).

3.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식3. Multicast Service

상술한 디스커버리 신호 구성과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식을 적용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식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multicas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discovery signal configuration and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간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D1)이 인접한 단말들(D2, D3, D4)에게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ast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terminal D1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provides a multicast service to adjacent terminals D2, D3, and D4.

먼저, 단말(D1)은 단말들(D2, D3)과 단말 식별(검출)을 수행하여 서로 인접해있음을 인식한다(S1100). First, the terminal D1 recognizes that the terminals D2 and D3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performing terminal identification (detection) (S1100).

단말(D1)은 새롭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광고 메시지를 디스커버리 신호로 생성하여 전송한다(S1200). 이 때 서비스 광고 메시지의 서비스 타입 정보(service type)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을 나타내고, 서비스 제공 상태 정보(status)는 시작(start)을 나타내고,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 정보(time)는 서비스의 시작 시간(start time)을 나타낸다. The terminal D1 generates and transmits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service to be newly provided as a discovery signal (S1200). In this case,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of th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ndicates a multicast transmission, the service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dicates a start, and the service providing time information indicates the start of the service. Represents a start time.

단말(D2, D3)은 단말(D1)이 전송한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D2, D3)은 단말(D1)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지를 결정하고, 단말(D1)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 단말(D1)에게 서비스 참여(multicast join)를 요청한다(S1300). 단말(D2, D3)은 서비스 참여 요청을 위해 통신 경로 설정 절차(link setup request)를 이용한다.The terminals D2 and D3 receive the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D1. The terminals D2 and D3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the service of the terminal D1, and request a service participation (multicast join) from the terminal D1 when the terminal D1 wants to receive the service of the terminal D1 (S1300). The terminals D2 and D3 use a link setup request for the service participation request.

단말(D2, D3)의 서비스 참여 요청을 수신한 단말(D1)은 수신한 서비스 참여 요청을 허가(link setup response)하면서,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예, multicast group ID)를 단말들(D2, D3)에게 제공한다(S1400). 한편, 도 7에서는 인접 단말(D2, D3)이 서비스 참여 요청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D1)에게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 방송 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D1)이 인접 단말(D2, D3)에게 서비스 참여를 직접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Upon receiving the service participation request of the terminals D2 and D3, the terminal D1 grants the received service participation request (link setup response) and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eg, multicast group ID) necessary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service. To D2 and D3 (S1400). Meanwhile, although 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neighbor terminals D2 and D3 transmit a service participa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1 providing the service, the terminal D1 providing the service after the discovery signal broadcast for service detection is adjacent to the terminal D1.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request the terminals D2 and D3 to participate in the service.

단말(D2, D3)의 서비스 참여가 결정되면, 단말(D1)은 서비스 제공 시작 시점(start time)에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한다(S1500, S1600). 서비스에 참여하는 단말들(D2, D3)은 서비스 참여 허가 시에 제공된 추가 정보(예, multicast group ID) 등을 이용해,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자원 정보(resource info)를 확인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한다. When the service participation of the terminals D2 and D3 is determined, the terminal D1 provides a multicast service at a start time of service provision (S1500 and S1600). The terminals D2 and D3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receive the corresponding service by checking resource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service by using additional information (eg, multicast group ID) provided at the time of service participation permission. .

한편, 단말(D1)은 서비스 제공 중에도 선택한 자원을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한다(S2100). 만약, 단말(D1)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에 단말(D4)이 단말(D1)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단말(D1)과 단말(D4)은 상대방이 방송하는 단말 검출용 디스커리 신호를 서로 수신하여 서로를 식별(검출)한다. Meanwhile, the terminal D1 periodically broadcasts a terminal detection discovery signal through the selected resource even while providing a service in operation S2100. If the terminal D4 moves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terminal D1 while the terminal D1 is providing a multicast service, the terminal D1 and the terminal D4 are for detecting a terminal broadcasted by the other party. The discovery signals are received from each other to identify (detect) each other.

단말(D1)은 서비스 제공 중에도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한다(S2200). 이 때, 서비스 광고 메시지의 서비스 타입 정보(service type)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을 나타내고, 서비스 제공 상태 정보(status)는 계속(continue)을 나타낸다. The terminal D1 broadcasts a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even while providing a service (S2200). In this case, service type information of th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ndicates multicast transmission, and service provision status information indicates continue.

단말(D4)은 단말(D1)이 방송한 서비스 검출용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단말(D2, D3)의 서비스 참여 과정(S1300~S1600)과 동일한 과정(S2300~S2600)을 통해서, 단말(D4)은 단말(D1)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The terminal D4 receives a service detection discovery signal broadcast by the terminal D1. Through the same process (S2300 ~ S2600) and the service participation process (S1300 ~ S1600) of the terminal (D2, D3)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4) is provided with the service of the terminal (D1).

한편, 단말(D1)이 서비스를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서비스에 참여 중인 단말들(D2, D3, D4)에게 서비스 광고 메시지를 통해 서비스 종료를 알린다. 이 때, 서비스 광고 메시지의 서비스 타입 정보(service type)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을 나타내고, 서비스 제공 상태 정보(status)는 종료(end)를 나타내고, 서비스 제공 관련 시간 정보(time)는 종료 시간(end time)을 나타낸다. 한편, 단말(D1)은 단말(D2, D3, D4) 이외에 서비스 참여를 시도하는 다른 단말들(예, D5)에게도 서비스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광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단말들(예, D5)의 서비스 참여 요청을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D1 intends to stop the service, the terminals D2, D3, and D4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are notified of the service termination through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n this case,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of the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ndicates multicast transmission, the service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dicates an end, and the service providing related time information indicates an ending time. (end time). Meanwhile, the terminal D1 transmits a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including service termination information to other terminals (eg, D5) that attempt to participate in the service in addition to the terminals D2, D3, and D4, thereby allowing other terminals (eg, D5). ) Can control the service participation reque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20)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울트라프레임에 포함된 단말 또는 서비스 검출을 위한 복수의 검출 프레임 - 각각의 검출 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클래스의 동일한 자원 클래스에 속하는 복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포함하며, 복수의 자원 클래스는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주기로 이용가능하며, 각각의 주기는 상기 울트라프레임의 주기보다 작지 않음 - 중의 하나에서 복수의 검출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 검출용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및
서비스 검출용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제1 필드;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필드;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검출 프레임의 각각 사이의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와 동일한 포맷으로 구성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detection frames for detecting a terminal or a service included in the ultraframe, each detection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belonging to the same resource class of a plurality of resource classes, the plurality of resource classes are periodically used in different periods And wherein each period is not less than the period of the ultraframe-transmitting the first discovery signal for terminal detec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resources;
Transmitting a second discovery signal for service detection,
The first discovery signal,
A first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first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A second field including any one of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service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value of the first field; And
A tim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frames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The second discovery signal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at as the first discovery signal.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discovery signal is transmitted via the at least one discovery resourc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의 위치는 일정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discovery resource in each period is constant,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N(단, N은 자연수)번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가 N번 방송된 후에,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M(단, M은 자연수)번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 first discovery signal N tim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using the at least one discovery resource,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After the first discovery signal is broadcast N times,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using the at least one discovery resourc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은 호핑(hopping) 패턴에 따라 정해진 위치의 자원인,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discovery resource is a resource of a loc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hopping pattern,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커버리 신호가 주기적으로 N(단, N은 자연수)번 방송된 후에,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주기적으로 M(단, M은 자연수)번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과 상기 M은 가변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after the first discovery signal is periodically broadcasted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N and M are variabl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정보를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2 필드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discovery signal may include:
Masking the service information using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Inserting the masked service information into the second field; And
Broadcasting the second discovery signal;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검출된 다음에 무선 채널 상에서 직접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stablishing a direct communication path on a wireless channel after the service is detected
Th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클래스의 주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울트라프레임의 주기보다 큰,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eriods of the resource class is greater than the period of the ultrafram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 정보;
상기 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상태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와 관련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information,
Servic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he service;
Servic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provision of the service; And
Including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ervice status information,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타입 정보는 유니캐스트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 및 브로드캐스트 전송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indicates any one of unicast transmission, multicast transmission, and broadcast transmission.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시작 상태, 상기 서비스의 계속 상태, 및 상기 서비스의 종료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가 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가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es any one of a start state of the service, a continuation state of the service, and an end state of the service;
The time information indicates a start time of the service when th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es a start state, and indicates an end time of the service when th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es an end state.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 프레임 중에서 제1 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자원 클래스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검출 프레임 중에서 제2 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디스커버리용 자원은 제2 주기를 가지는 제2 자원 클래스에 해당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mo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frames,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included in a first frame correspond to a first resource class having a first period.
Amo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frames,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included in a second frame correspond to a second resource class having a second period.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method.
삭제delete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울트라프레임에 포함된 단말 또는 서비스 검출을 위한 복수의 검출 프레임 - 각각의 검출 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클래스의 동일한 자원 클래스에 속하는 복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포함하며, 복수의 자원 클래스는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주기로 이용가능하며, 각각의 주기는 상기 울트라프레임의 주기보다 작지 않음 - 중의 하나에서 복수의 검출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송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스커버리 신호의 제1 필드에 저장된 값에 기초해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의 제2 필드에 저장된 단말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서비스 검출용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의 제2 필드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가 단말 검출용 신호인지 서비스 검출용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상기 제1 필드;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따라,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 단말의 상기 단말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기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필드;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검출 프레임의 각각 사이의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방법.
A method for receiving a discovery signal by a first terminal participating in direct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detection frames for detecting a terminal or a service included in the ultraframe, each detection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discovery resources belonging to the same resource class of a plurality of resource classes, the plurality of resource classes are periodically used in different periods And wherein each period is not less than a period of the ultraframe, 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ove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etection resources;
Determining whether the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based on a value stored in the first field of the received discovery signal;
Acquiring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stored in a second field of the discovery signal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terminal detection signal; And
Acquiring service information stored in a second field of the discovery signal when the discovery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service detection signal;
The discovery signal,
The first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discovery signal is a terminal detection signal or a service detection signal;
The second field including any one of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discovery signal and the service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discovery sig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field; And
A tim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frames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How to receive discovery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단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상기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언마스킹(unmask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Unmasking the obtained service information by using the obtained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The discovery signal receiving method further compris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검출된 다음에 무선 채널 상에서 직접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Establishing a direct communication path on a wireless channel after the service is detected
Discovery signal receiv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클래스의 주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울트라프레임의 주기보다 큰,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t least one of the periods of the resource class is greater than the period of the ultra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18041A 2012-10-22 2013-10-02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KR102047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58,894 US9408137B2 (en) 2012-10-22 2013-10-21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7487 2012-10-22
KR1020120117487 2012-10-22
KR1020130009316 2013-01-28
KR20130009316 2013-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69A KR20140051069A (en) 2014-04-30
KR102047961B1 true KR102047961B1 (en) 2019-11-22

Family

ID=5065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041A KR102047961B1 (en) 2012-10-22 2013-10-02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6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5367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KR101186620B1 (en) * 2011-08-11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ulticast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5316B2 (en) *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communications timing structure
KR20090063732A (en) * 2007-12-14 2009-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s for p2p service using the general e-mail
US8606873B2 (en) * 2008-06-27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ly advertising identification and/or discovery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5367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KR101186620B1 (en) * 2011-08-11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ulticast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69A (en)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6631B1 (en) Network-assisted ue detection in direct mode ue-to-ue communication
EP3440883B1 (en) Procedures for grouping wearable devices with lte master ues
ES2716014T3 (en) Systems and procedures for rapid initial network link configuration
KR1023942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managemen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82703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 point scanning in VOIP systems
CN106211025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ES2338883T3 (en) PROCEDURE AND APPLIANCE TO INTERRUPT A TRANSMISSION OF A MULTIDIFUSION SIGNAL.
WO2018028254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3974225B (en) Communication devic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5075386A (en) Network-assisted D2D communication using D2D capability information
US9408137B2 (en)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RU2009132470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WO2016202227A1 (en) Selection and not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layer 2 link identifier
JP2014532342A (en) Method of issuing content and user equipment
WO2011080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ofdma beacon reception measurement
US11716785B2 (en) Terminal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9848398B2 (en) Scheduling method between terminals for search resource allocation in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RU2019112805A (en) METHOD FOR DETERMINING PARAMETERS, BASE STATION AND SUBSCRIBER TERMINAL
KR1020543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canning radio resource of discovery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35369B1 (en) Contention-bas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D2D Broadcast and Apparatus Thereof
CN105530604A (en) Method and system of location information based communication control
KR20180132284A (en) Terminal for providing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2047961B1 (en) Discovery signal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discovery signal
KR20150004256A (en) App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
KR1016096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service terminal 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