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434B1 -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434B1
KR102047434B1 KR1020170113018A KR20170113018A KR102047434B1 KR 102047434 B1 KR102047434 B1 KR 102047434B1 KR 1020170113018 A KR1020170113018 A KR 1020170113018A KR 20170113018 A KR20170113018 A KR 20170113018A KR 102047434 B1 KR102047434 B1 KR 10204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information
server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6310A (en
Inventor
고현승
Original Assignee
고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승 filed Critical 고현승
Priority to KR102017011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34B1/en
Priority to PCT/KR2018/010355 priority patent/WO2019050268A1/en
Publication of KR2019002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5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관리 장치 등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컨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서버; 상기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에게는 고객의 유인, 제3 사용자에게는 편리한 컨텐츠 향유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the like, comprising: a server receiving content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 managing the content, and providing the content to a user; A first user server providing content and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the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receiving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t least one third user device provided with the content or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so that the user can be attracted to the second user and enjoy the convenient content for the third user.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 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와 같은 영상 재생 장치를 구비한 대중 음식점에서 특정 방송을 재생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들에게 원하는 영상이나 채널을 검색하거나 영상 제공자를 알려줄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in which a user can search for a desired video or channel or inform a video provider when a user wants to play a specific broadcast in a restaurant equipped with a video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 TV. .

TV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방송 편성표에 따라 광고를 정하면 시청자들은 남은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재화를 소비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컨텐츠의 소비 형태 또한 변화되고 있다. 기존 방속국에서 임의로 컨텐츠를 편성하여 스트리밍한 것과 대비하여 비디오 테이프나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해놨다가 원하는 시간 대에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고 더욱이 네트워크를 통해 자유롭게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커졌다. The TV play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and determines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broadcast schedule, and viewers consume the goods by pla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maining schedule. As technology advances, the form of consumption of content is also changing. Compared to the existing broadcasting station randomly organized and streamed content, it is stored in the form of video tape or data, and the content can be consumed at the desired time, and more convenient streaming service is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한 때는 컨텐츠 소비 형태가 새로워짐에 따라 방송국이 이것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TV를 토대로 한 컨텐츠 시장은 건재하고 더군다나 TV 이외의 수단으로서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스트리밍도 활발해지고 있다.At one time, there was a concern that broadcasting stations would be replaced by newer forms of content consumption. Nevertheless, the TV-based content market is still strong, and content streaming over the Internet as a means other than TV is also active.

결국 기존 기술의 발전은 방송국만이 컨텐츠 제공 주체라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방송국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의 수단에 불과한 것이라는 인식 전환을 가져왔다. 이러한 현상에서 변하지 않는 인간의 컨텐츠 소비 욕구는 여전하고 특히 기 정해진 스케줄에 따른 컨텐츠 소비 형태가 아주 달라졌다고 볼 수는 없다.Eventually,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echnology has changed the perception that broadcasting stations are the only content providing subjects, and that the broadcasting stations are only one means of providing contents. In this phenomenon, the desire for content consumption remains unchanged, and in particular, the form of content consump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cannot be considered very different.

또다른 특징으로서 방송국에서 정한 편성표는 시청자가 바꿀 수 없고, 방송국 조차도 바꾸지 못하는 것은 중계방송에서 편성한 컨텐츠들이다. 특정 방송국이 월드컵, 메이저리그 등의 스포츠 경기 스케줄을 바꾸지 못한 것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실들로 우리는 미디어 소비 시장의 상관관계를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nother feature, the schedule set by the broadcasting station cannot be changed by the viewer, and even the broadcasting station can not change the contents organized in the broadcast. For example, certain stations have failed to change their sporting schedules, such as the World Cup and the Major Leagues. These facts will give us a rough idea of the correlation of the media consumption market.

유독 시청률이 집중되는 시간대에는 생방송들이 정기적으로 방송된다. 생방송이기 때문에 시청자가 시간을 맞추어야 하는데 지인들과 같이 있거나 여행 중에도 생방송은 방송된다. 스마트폰을 통해서는 생방송을 시청할 수 있긴 하여도 사용자가 평소 이용하는 통신망 이외의 해외 지역에 있는 경우, 요금 발생이나 저작권 등의 문제로 선호하는 장소에서 모바일로 시청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음식점이나 주점의 경우 소비자들이 방송 프로그램을 편히 볼 수 있도록 대형 TV나 프로젝터 등을 구비하는 비용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TV 유무 정보, 어떤 프로그램을 방영할 예정인 지 혹은 방영 중인 지에 대한 편성 정보가 없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있다. 통상 항상 방문해본 사람들 정도만 TV 유무 정보를 알 수 있거나 전화로 물어봐야 하거나 또는 채널 고정이나 이동에 대한 별도의 요청을 해야하기 때문에 TV 를 미끼 상품으로 하여 소비자들을 유인하는 효과는 없었다.Live broadcasts are regularly broadcast during times of high audience ratings. Because it's live, viewers need to be on time. Live shows are broadcast with acquaintances or while traveling. Although a live broadcast can be viewed through a smart phone, when the user is in an overseas region other than the usual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difficult to watch the mobile at a preferred place due to a problem such as a fee generation or a copyright.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staurants and taverns, although there was a cost of having a large TV or a projector for consumers to watch a broadcast program comfortably, information on TV presence, information on which program is scheduled to be broadcasted or is being broadcasted It may become useless without it. Usually, only the people who visited the TV did not have the effect of attracting consumers by using the TV as a bait product because they could know the information on the TV, ask the phone, or make a separate request for fixing or moving the channel.

또한, 음식점의 위치 및 영업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제2 사용자에게 노출시켜주는 것은 일반적이더라도 TV 유무, TV 편성에 대한 정보까지 알려줄 방법이나 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없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common to expose data such as location and business information of a restaurant to a second user, there is no method of no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V, information about TV programming, or using the information.

본발명은 콘텐츠 제공 정보를 사용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버가 어떤 컨텐츠를 어떤 위치나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지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TV, 빔프로젝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종류, 음식점이나 주점 이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erver to inform the user what content is provided through which location or channel in order for the user to know the content providing information.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type of display, such as TV, beam projector, restaurant or tavern name, it can be useful to the user.

본발명은 서버가 방영 중이거나 예정인 컨텐츠를 식별하여 위치를 알려줄 수 있고 컨텐츠 스트리밍 장치를 검색하여 위치를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location where the server is broadcasting or scheduled content, and can tell the location by searching the content streaming device.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컨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서버; 상기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distributor of the content to manage and provide to the user; A first user server providing content and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the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receiving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t least one third user device receiving content or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서버는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국 서버, VOD를 제공하는 컨텐츠 배포 서버,라디오 방송국 서버,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배포하는 사업자 서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server includes a broadcasting st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real-time broadcasting, a content distribution server for providing a VOD, a radio broadcasting server, and an operator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본발명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 방송 스케줄의 실시간 업데이트 내용, 표준시 편성표,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크기, 컨텐츠 제목, 컨텐츠 분류 정보, 썸네일 정보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data related to the content includes a content broadcast schedule, a real time update content of a broadcast schedule, a standard time schedule, a content playback time, a content size, a content title, conten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umbnail information.

본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요청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requested cont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컨텐츠 재생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요청된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검토하여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대하여 수락 또는 거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ser device searches for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laying content, examines whether the requested content is played, and accepts or rejects the request from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요청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ser device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display on one display device when the requested content is plural.

본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 및 제3 사용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등록을 요청받는 경우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로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nfigures a user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and a third user device, and when the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hird user device, the user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Store in the database.

본발명에서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 컨텐츠의 삭제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atabase is updated when it is requested to delete the content of interest from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에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provides the third user device with real-time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의 제공 위치에 관한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about the providing location of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 컨텐츠의 예약 및 결제를 요청받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reservation and payment of the content of interest from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에서 상기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본발명에서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서버는 검색된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에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arch for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third user device, the server provides the search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hird user device.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컨텐츠 관리 장치는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 및 예약 재생 요청을 받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receives content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 manages content, and receives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providing a user to the user,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a reproduction state of the content to the user, When the user receives the reproduction request and the reservation reprodu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the content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display.

본발명에서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with a wireless network module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to a user.

본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받는 경우 재생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수락 또는 거절을 통보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lay when receiving a reprodu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acceptance or rejection.

본발명에서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기반으로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본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수락 또는 거절 통보 후 사용자 신청 정보를 업데이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after the notification of acceptance or rejection to the user.

본발명에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의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이탈을 감지하며, 제어부는 사용자 이탈이 있는 경우 사용자 신청 정보를 업데이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updates the user information within the wireless network range and detects the user departure, and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when there is a user departure.

본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요청의 수락 또는 거절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management method receives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that receives and manages content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 and controls at least one display, and requests a content search from a user. Receiving step;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a request to play content from a us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t least one display and notifying the user of acceptance or rejection of the request.

본발명에 따르면 언제 어디서나 관심 있는 실시간 방송이나 컨텐츠를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time, anywhere can comfortably watch the real-time broadcast or content of interest.

본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에서도 개인용 모바일 기기만으로 누릴 수 있었던 문화 생활을 향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joy a cultural life that can be enjoyed in a public place only with a personal mobile device.

본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의 큰 디스플레이로도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시청할 수 이써 스마트폰의 과도한 컨텐츠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 large display in a public place can conveniently watch desired content, thereby reducing side effects due to excessive use of the smartphone.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2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장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a, 3b, 3c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user and a third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3B, and 3C illustrat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a content providing system.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creen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have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a component expressed in the singular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nly the singular.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mere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exist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 compon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The use of the term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odule' or 'unit' refers to a functional part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lso,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n't 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의 배포자, 즉, 제1 사용자 서버(13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100), 컨텐츠를 배포 또는 스트리밍하기 위해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서버(100)에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서버(130), 서버(100)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120) 및 서버(100) 및 제2 사용자 장치(120)를 통해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사용자 장치(110, 112, 113, 114)를 포함한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 server 100 that receives and manages content from a content distributor, that is, a first user server 130, and provides a content to a user. The first user server 130 for providing metadata to the server 100, the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120 and the server 100, and the second user who are provided with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100. At least one third user device 110, 112, 113, and 114 that receives content or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device 120.

제1 사용자 서버(130)는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국 서버, VOD를 제공하는 컨텐츠 배포 서버, 라디오 방송국 서버,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배포하는 사업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는 오디오로 구성될 수 있고 팟캐스트, 라디오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ser server 130 may include a broadcasting st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real-time broadcasting, a content distribution server for providing a VOD, a radio broadcasting server, and an operator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That is, the content may be composed of audio and may include podcasts and radio broadcasts.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 편성표, 방송 스케줄의 실시간 업데이트 내용, 표준시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크기, 컨텐츠 제목, 컨텐트 분류 정보, 썸네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adata related to the content may include a content broadcast schedule, a schedule, a real time update content of a broadcast schedule, a standard time content playback time, a content size, a content title, conten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umbnail information.

예컨대 방송 스케줄의 경우 뉴스속보, 예상치 못한 스케줄 변경사항 때문에 시간이 변경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경사항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알려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방송 스케줄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 내용도 필요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roadcast schedule, since the time is changed due to breaking news and unexpected schedule changes, it may be necessary to update the broadcast schedule in real time because it is necessary to notify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그리니치 평균시(GMT, Greenwich Mean Time),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 태평양 표준시, 북미 동부 표준시, 북미 중앙 표준시, 대한민국 표준시 등의 표준시를 스케줄에 반영함으로써 전 세계에 위치한 시청자들에게 보다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GMT, Greenwich Mean Time, Coordinated Universal Time, Pacific Standard Time, North American Eastern Standard Time, North American Central Standard Time, Korean Standard Time, etc. Ensure accurate information is communicated.

즉, 컨텐츠를 여러 장소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서버(100)는 어떠한 컨텐츠가 어떤 장소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지 제2 및 제3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제3 사용자 장치(110, 112, 113, 114)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재생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display the content at various places,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at content is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t which location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user devices, and the third user device 110 may be used. When a request from 112, 113, and 114 is provided, information on content reproduction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컨텐츠는 제1 사용자 서버(130) 등에서 임의로 편성한 컨텐츠이거나 기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고, 컨텐츠의 일부 정보인 썸네일(thumbnail)의 경우는 컨텐츠의 타입과 무관하게 컨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정보이다.The content may be content arbitrarily organized in the first user server 130 or the like, or may be pre-stored content. In the case of a thumbnail that is so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 content may be an image or information that may represent the cont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content. .

제2 사용자 장치(120)는 공공장소나 사업장 등에서 고객들에게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해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해주도록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컨텐츠의 출력이나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고, 도2의 컨텐츠 관리 장치(200)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210, 220, 230, 240)에 다른 제1 사용자 서버(130)로부터, 즉, 각기 다른 채널이나 소스로부터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20)의 소정 범위 또는 제2 사용자 장치(12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미치는 범위에 위치한 제3 사용자들이 제2 사용자 장치(120)의 사업장 범위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 제공이나 디스플레이를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사용자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0, 112, 113, 114)를 통해 요청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device 120 manages the content information to receive the content and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0 to display on the display in order to reproduce the content to customers in public places or workplaces, and control the output or playback of the content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200 of FIG. 2. The second user device 120 may receive and play content from the first user server 130, that is, from different channels or sources,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210, 220, 230, and 240. Third party users located 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second user device 120 or in a range covered by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of the second user device 120 may provide or display content through a display located in the business range of the second user device 120. In this case, the second user device 120 may display the requested content through the at least one display device (110, 112, 113, 114).

한편, 제2 사용자 장치(120)는 컨텐츠 재생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요청된 컨텐츠의 재생 여부나 가능성을 검토하여 제3 사용자 장치(110, 112, 113, 114)에게 요청에 대하여 수락 또는 거절의 통보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식당에 들어온 제3 사용자들 중 일부는 식당에 있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본인이 원하는 방송을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식당의 TV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편성표나 컨텐츠 정보는 식당에 있는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식당 고객이 특정한 채널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경우 식당에 있는 제2 사용자 장치(120) 가능 여부를 조사하는데 있어서, 다른 고객이 미리 예약을 하였는 지, TV나 디스플레이의 개수가 부족한 것이 없는지 공공장소에서 방송 불가한 등급의 컨텐츠인 경우 등은 컨텐츠의 재생을 거절할 수 있다. 한편, 식당 TV에 화면 분할 기능이 있고, 요청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2개 이상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user device 120 searches for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laying content, examines whether or not the requested content is played, and accepts or rejects the request to the third user device 110, 112, 113, and 114. Can be notified. For example, some of the third users who enter the restaurant may want to watch the broadcast they want through a display such as a TV in the restaurant. The schedule or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TV of the restaurant may be provid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in the restaurant. When a restaurant customer requests the display of a particular channel's content, in a public place to check whether the second user device 120 in the restaurant is available, whether another customer has made a reservation in advance or whether the number of TVs or displays is insufficient. In the case of content of a grade that cannot be broadcasted,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may be refused. On the other hand, if the restaurant TV has a screen splitting function, and the requested content is plural, two or more contents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display device.

즉, 서버(100)는 컨텐츠를 인식하기 위하여 컨텐츠의 라이센서, 방송국 사업자, 홍보업자, 또는 공연의 경우 공연 컨텐츠를 생성하고 배포하는 사업자들인 즉, 제1 사업자들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받고, 방송스케줄, 편성표 등을 검색하여 컨텐츠의 제목, 분류, 썸네일 정보, 방영 시간 등에 관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server 100 is a licensor of a content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tent, a broadcaster operator, a publicity provider, or a business operator who generates and distributes the performance content in the case of a performance, that is,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operators, broadcast schedules, The content table regarding the title, classification, thumbnail information, airing time, and the like of the content may be managed by searching the list.

또한, 식당 주인과 같은 제2 사용자는 편성표 시간에 맞추어 컨텐츠 방영 채널을 고정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소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고른 후 서버(100)는 제2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받고, 제3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등에 컨텐츠 정보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user, such as a restaurant owner, may fix a content broadcast channel or provide a content playback place in accordance with a schedule schedule, and after selecting content to be provided, the server 100 requests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of the third user.

또한, 제3 사용자들은 제2 사용자들에게 컨텐츠 방영을 요청할 수 있고, 제3 사용자는 이것에 대한 수락이나 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는 관리 가능한 제3 사용자 수를 설정할 수 있고, 제3 사용자가 컨텐츠의 재생에 대하여 요청하고 있고, 그 요청의 개수가 설정된 제3 사용자 수보다 작은 경우 컨텐츠의 재생에 대해 바로 수락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가 보유하는 디스플레이개수 만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ird users can request that the second users broadcast content, and the third user can accept or decline i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ser may set the number of manageable third users, and if the third user is requesting to play the content and the number of requests is smaller than the set number of third users, the second user may immediately accept the play of the content. Can be. That is, because the second user has the ability to play the content as many as the number of displays held by the second user.

한편, 제3 사용자 장치(114)는 본인이 관심 있는 컨텐츠에 대하여 서버(100)에 미리 등록, 저장해둘 수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120) 및 제3 사용자 장치(110, 111, 112, 113, 114)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제3 사용자 장치(110, 111, 112, 113, 114)로부터 컨텐츠 등록을 요청받는 경우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로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또한, 제3 사용자 장치(110, 111, 112, 113, 114)로부터 관심 컨텐츠의 삭제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hird user device 114 may register and store content of interest to the server 100 in advance. The server 100 configures a user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120 and the third user device 110, 111, 112, 113, 114, and the third user device 110. When content registration is requested from 111, 112, 113, and 114,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user database as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Also, the content of interest may be stored from the third user device 110, 111, 112, 113, or 114. If you are asked to delete it, you can update the user database.

서버(100)는 제3 사용자 장치(110, 111, 112, 113, 114)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장치(110, 111, 112, 113, 114)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사용자 장치(114)가 본인의 관심 컨텐츠 중 하나인 'JTBC 뉴스룸'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도 3a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사용자 장치(114)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재생 장소(31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a를 살펴보면, 'JTBC 뉴스룸'이 재생되는 장소(310) 뿐만 아니라 그것의 상태(320), 즉,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정보(TV #1, 전광판 #3) 나 재생상태, 위치 정보(330) 및 이용방법(34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제3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가서 바로 컨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태(320)를 선택하여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의 상태나 스펙, 예컨대, 크기나 모델명 등을 알 수 있어 컨텐츠 관람에 참조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110, 111, 112, 113, 114, or the third user device 110, 111, 112, 113, 114). For example, when the third user device 114 requests a search for one of the contents of interest of the user, 'JTBC newsroom', as shown in FIG. 3A, the playback place (in order of being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114) ( Information may be provided. Referring to FIG. 3A, not only the place 310 where the 'JTBC News Room' is played, but also its state 320, that is, the display information (TV # 1, signboard # 3), playback state, and position information 330 to be played back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usage method 340 so that the third user can immediately go to the corresponding place and view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lect the state 320 to know the state of the display and the specific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model name, etc. can be referred to the content viewing.

또한, 서버(100)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의 제공 위치에 관한 지도 정보를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제3 사용자 위치(510)를 기반으로 관심 컨텐츠의 하나인 '뉴스룸'의 재생 장소 및 장소에 대한 리스트(530)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display map information regarding a location of providing content of interest of a third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a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 5, the user may visually grasp the content information by providing a list 530 of a play place and a place of 'newsroom', which is one of the contents of interest, based on the third user location 510.

한편, 제3 사용자는 관심 컨텐츠에 대하여 특정 조건에 알람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시간대, 타이머 설정, 제3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와 같은 조건을 설정하여 알람 등으로 컨텐츠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In the meantime, the third user may receive an alarm on a specific condition regarding the content of interest. For example, the user may receiv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n alarm or the like by setting a condition such as a specific time zone, a timer setting,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cation of the third user.

또한, 서버(100)는 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서버는 검색된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사용자가 본인의 관심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검색하고, 등록된 2 사용자 장치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장치에서 관리되는 디스플레이 중에 관심 컨텐츠가 재생되는지, 또는 재생 예정인 지에 대해 조사하여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관심 컨텐츠의 명칭(350) 각각에 대하여 가장 가깝거나 선호하는 조건에서 시청이 가능한 장소(310)에 있는 제2 사용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선호하는 조건에 대해서는 제3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크기, 개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 등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rver 100 receives a search for content from a 3 user device, the server may provide the search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hird user device. For example, when the third user requests a search for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the server searches for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in the database, accesses the registered two-user device, and displays the content of interest during the display managed by the second user device. Can be checked to see if or is to be reproduced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3B. That is, the second user device in the place 310 that can be viewed in the closest or preferred condition for each name 350 of the content of interest may be searched for. The preferred condition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third user, and the size, number of displays, distance from the user, and the like may be set.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특정 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방영 예정인 프로그램의 컨텐츠 객체 이미지 링크 등을 출력해주고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받으면 지도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user searches for a specific program or outputs a content object image link of a program that is to be aired and receives a specific program, the user may search for and display one or more locations on the map.

또한, 제3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하여 바로 구매 등을 할 수 있고, 서버(100)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 컨텐츠의 예약 및 결제를 요청받는 경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는 제3 사용자가 서버(100)에게 뿐만 아닐, 컨텐츠를 직접 생성, 배포하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에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에 기 등록된 제1,2 사용자도 컨텐츠 저작권, 채널 사용이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를 결재할 수 있고, 서버(100)는 필요한 인터페이스나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사용자가 결재해야 할 대상이 2개 이상인 경우, 예컨대, 제3 사용자가 컨텐츠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권리자가 2인 이상인 경우 복합 결제 프로세스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user may directly purchase the content and the like, and the server 100 may provide an interface required when a request for reservation and payment of the content of interest is requested from the third user device. The payment can be made not only to the server 100 but also to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who directly generate and distribute the content.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users who are registered in the server 100 may also pay for content copyright, channel use, or service use, and the server 100 may provide a necessary interface or network. When the third user has two or more objects to pay for, for example, when the third user has two or more rights holders to purchase the content, the complex pay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또한, 도 3a 의 컨텐츠 정보나 도 3b의 컨텐츠 정보, 즉,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재생 정보나, 관심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스포츠를 관람하면서 식사나 음료를 섭취하고자 하는 친구들과 같이 동일한 컨텐츠를 보면서 만남을 갖고자 하는 경우 제3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 정보 등을 약속한 사람에게 제공하고 장소를 함께 정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 및 제3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타인에게 전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시청과 사회생활을 동시에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of FIG. 3A or the content information of FIG. 3B, that is, the location, the third user may share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be searched with or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interest to another person.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meet while watching the same content, such as friends who want to eat or drink while watching sports, the third user may provide the person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reprodu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determine a place together. In other words, the content play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can be transmitted to others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viewing and social life of the content can be convenient at the same time.

도 2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 및 제3 사용자 장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가 주점이나 바(bar)를 운영하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210, 220, 230, 24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면서 고객을 유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 220, 230, 240)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의해 제어되면서 컨텐츠 출력 방송 채널이나 VOD 를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본발명의 제2 사용자 장치로서,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다. 2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user device and a third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second user may attract a customer while displaying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displays 210, 220, 230, and 240 while operating a bar or bar. The displays 210, 220, 230, and 240 may control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200 to set a content output broadcast channel or a VOD.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200 is a second us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that receives content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 manages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content.

또한,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컨텐츠 정보를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고(도 3c 참조), 제3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 및 예약 재생 요청을 받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구비하여 제2 사용자의 장소에 위치한 제3 사용자 장치(250, 260)들에게 도 3c의 컨텐츠 정보, 예컨대, 컨텐츠 편성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가 컨텐츠 관리 장치(200)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정보가 팝업(pop-up)될 수 있고, 제3 사용자가 본발명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도 3c의 컨텐츠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컨텐츠 재생 가능 디스플레이를 검색하여 재생 요청에 대해 수락 또는 거절을 통보할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락을 통보하는 경우 제어부는 재생 가능 디스플레이 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240) 번호 또는 위치를 사용자 장치(250, 26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provide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third user (see FIG. 3C), and display the content on at least one display when the third user receives the reproduction request and the reservation reprodu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Can be. 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200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module to provide the third user devices 250 and 260 located at the second user's place to provide the content information of FIG. 3C, for example, the content organization table. have. When the third user accesses the wireless network of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200,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pop up, and the third user preinstalls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executed to provide the content information of FIG. 3C. 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200 may receive a request to play content from a us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module, and may search for a content playable display to notify acceptance or rejection of the play request. ) May be further provided. When notifying the acceptance,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playable displa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240 number or the location, on the user devices 250 and 260.

제어부는 사용자(250, 260)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신청 또는 예약 신청을 수신하여 수락 또는 거절을 결정하면서 사용자 신청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신청 정보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재생 요청이나 예약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별 등록된 채널 정보로서, 사용자들의 신청에 따라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청을 취소하거나, 신청해놓고 해당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신청 정보에 이러한 정보도 반영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store and manage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while receiving the content reproduction request or the reservation request from the users 250 and 260 and determining acceptance or rejection.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is channel information registered for each display according to a content reproduction request or a reservation request of the users, and may be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user's applic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cancels the application or leaves the application after applying,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may be updated to reflect this information.

도 3c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는 채널(360), 시간대별 컨텐츠 스케줄표(370) 및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식별정보, 종류, 모델명 또는 상태(재생중 또는 재생 예정) 등에 대한 재생 상태(390)를 제공하고 있다. 컨텐츠 정보에는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가 '별표(372, 373)'와 같이 표시되어 직감성을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C, the second user plays a playback state of the channel 360, the content schedule table 370 for each time zon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model name, or state (playing or playing back) of the display o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being played. 390 is provided. Contents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may be display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as shown in asterisks 372 and 373 to increase intuition.

즉,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접속되는 제3 사용자 장치(250, 260) 각각에 대한 관심 컨텐츠를 기반으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That is,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of interest for each of the third user apparatuses 250 and 260 to which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200 is connected.

제3 사용자는 현재 시간 라인(371)을 통해 본인의 관심 목록에 있는 컨텐츠 중 하나인 '뉴스룸'을 TV1을 통해 바로 시청하거나 재생 예정인 관심 컨텐츠 'AA다큐먼터리'에 대한 재생 예약을 선택(380)할 수 있다. 또한, 채널 13번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해 신청하는 경우 제2 컨텐츠 관리 장치는 기 예약신청이나 재생 신청이 없는 디스플레이를 검색하여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third user can watch 'Newsroom', which is one of the contents in his / her watchlist through the current time line 371, directly through TV1 or select a playback schedule for the content of interest 'AA documentary' to be played ( 380).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for the content that can be played on the channel 13 is applied, the second content management device may search for a display that does not have a pre-registration request or a reproduction request to view the content.

또한, 사용자 신청 정보에 따라 도 3c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는 점유 상태(374)를 별도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신청에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의 시청을 취소하거나 컨탠츠 재생도중 또는 재생 전에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점유 상태(374)는 원상태로 복귀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in FIG. 3C may separately display the occupancy state 374 to refer to the user's content application. The occupancy state 374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user cancels viewing of the content or leaves the place during or during content reproduction.

한편, 컨텐츠의 재생신청이나 재생 예약 신청을 하였던 제3 사용자 장치(260)가 제2 사용자의 사업장을 떠나는 경우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로부터 제3 사용자 장치(260)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고, 제3 사용자가 신청하였던 정보에 대해 삭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user device 260 that has applied for content reproduction or reproduction reservation request leaves the workplace of the second user,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200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third user device 260 from the wireless network range. Can delet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third user.

즉,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의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이탈을 감지하며, 제어부는 사용자 이탈이 있는 경우 사용자 신청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디스플레이(210, 220, 230, 240)의 효용성을 더욱 높이고 남아 있는 사용자(250)나 새로운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updates the user information within the wireless network range and detects the user departure, and the controller updates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when there is a user departure, further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displays 210, 220, 230, and 240 and remaining users. 250 or new users can be watched efficiently.

도 4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방법은 도 2에서 예시되는 제3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재생이나 예약을 신청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FIG. 4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third user illustrated in FIG. 2 requests reproduction or reservation of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단계(S410)에서, 제3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네트워크 수신 가능 범위, 즉, 제2 사용자 사업장에 입장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제3 사용자는 제2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한다. In step S410, the third user enters the network reception range of the second user, that is, the second user workplace and accesses the network. The third user requests the second user to retrieve the content.

단계(S420)에서,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컨텐츠 관리 장치는 컨텐츠 정보, 즉, 컨텐츠 편성표 등의 정보를 제3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한다. In operation S420, the second user device or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such as a content schedule, through the third user device.

단계(S430)에서, 제3 사용자는 컨텐츠 정보 내에 보고 싶어하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 또는 예약 신청을 한다. In operation S430, the third user requests a reproduction request or a reservation for content to be view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단계(S440)에서, 컨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받는 경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의 상태에 따라 재생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 재생이 가능한 경우 재생 가능 디스플레이의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제3 사용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450).In operation S440, when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a reproduction request for content from the user,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o 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isplay controlled by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third user device and the content may be played through the corresponding display (S450).

한편, 재생 가능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 거절의 통보를 할 수 있다(S451).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playable display can be notified of rejection (S451).

본발명의 범위는 컨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 저장된 경우 해당 기록 매체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또한 본발명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노트북, 랩탑 컴퓨터,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도 본발명의 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lies to the recording medium when the application or program is stored as a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computer, a laptop, a laptop computer, a smartphone, a mobile phone, and a tablet PC that executes a method of managing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발명이 구현되는 환경 또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몇몇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의 배치 순서 및 연결이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shown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r requirements on which the invention is implemented. For example,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several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one.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rder and connection of some components may be changed.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 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 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and its various functional components have been described in particular embodiments,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firmware, middle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system, subsystem, components, or sub-configur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can be utilized. If implemented in software, the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ructions / code segments for performing the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in a machine readable medium, a computer program product, such as a processor readable medium. Machine readable media or processo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ny medium that can store or transmit information in a form readable and executable by a machine (eg, processor, computer, et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서버
120 : 제2 사용자 장치
130 : 사용자 서버
110, 111, 113, 114, 250, 260 : 사용자 장치
100: server
120: second user device
130: user server
110, 111, 113, 114, 250, 260: user device

Claims (20)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컨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서버;
상기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사용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치 및 제3 사용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등록을 요청받는 경우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로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 server receiving and managing contents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s and providing the contents to a user;
A first user server providing content and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the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receiving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t least one third user device that receives content or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and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Including,
The server configures a user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and a third user device,
When the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hird user device,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user database as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And the server provides the third user device with real-time information about content of interest of a third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서버는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국 서버, VOD를 제공하는 컨텐츠 배포 서버,라디오 방송국 서버,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배포하는 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user server includes a broadcasting st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 real time broadcast, a content distribution server for providing a VOD, a radio broadcasting server, and a service provider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 방송 스케줄의 실시간 업데이트 내용, 표준시, 편성표,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크기, 컨텐츠 제목, 컨텐트 분류 정보,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adata related to the content includes a content broadcast schedule, a real time update content of a broadcast schedule, a standard time, a schedule, a content playback time, a content size, a content title, conten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umbnai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요청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one second user device to display the requested cont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ontent user is requested to provide the content from the third user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컨텐츠 재생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요청된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검토하여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대하여 수락 또는 거절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second user device searches for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laying content, examines whether the requested content is played, and accepts or rejects a request from the third user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는 요청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second user device to simultaneously display on one display device when the requested content is plur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 컨텐츠의 삭제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updating the user database when the third user device is requested to delete the content of interes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의 제공 위치에 관한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rver displays map information about a providing location of content of interest of a third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hird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 컨텐츠의 예약 및 결제를 요청받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reservation and payment of content of interest from the third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can transmit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third user through a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서버는 검색된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server is requested to search for content from the third user device, the server provides the search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hird user device.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컨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 및 예약 재생 요청을 받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며,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의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이탈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이탈이 있는 경우 사용자 신청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 관리 장치.
A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receives content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 manages the content, and receives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providing the user to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a playback state of the content to the user, and displaying the content on at least one display when the user receives a play request and a scheduled play request for the content,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wireless network module and configured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to a user;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updates user information within a wireless network range and detects a user departure, 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update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when there is a user departur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받는 경우 재생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수락 또는 거절을 통보하도록 하도록 더 구성되는 컨텐츠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notify the user of acceptance or rejection by determining whether to play the content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playback of the content from the user.
제14항에 있어서,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컨텐츠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Content information device is provided based on the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수락 또는 거절 통보 후 사용자 신청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is a content management device for updating the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after the notification of acceptance or rejection to the user.
삭제delete 컨텐츠의 배포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요청의 수락 또는 거절을 통보하는 단계; 및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의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을 감지하며, 이탈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청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receiving content from a distributor of content and managing the content and receiving the content and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providing the user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display,
Receiving a content search request from a use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a request to play content from a user;
Determining whether to 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t least one display and notifying the user of acceptance or rejection of the request; And
Updating user information within a wireless network range, detecting departure of the user, and updating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re is a departure.
KR1020170113018A 2017-09-05 2017-09-05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047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18A KR102047434B1 (en) 2017-09-05 2017-09-05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PCT/KR2018/010355 WO2019050268A1 (en) 2017-09-05 2018-09-05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18A KR102047434B1 (en) 2017-09-05 2017-09-05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10A KR20190026310A (en) 2019-03-13
KR102047434B1 true KR102047434B1 (en) 2019-12-02

Family

ID=6563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18A KR102047434B1 (en) 2017-09-05 2017-09-05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7434B1 (en)
WO (1) WO2019050268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66B1 (en) * 2004-11-12 2007-02-09 (주)튜브캐스트 Broadcasting system
KR20060105344A (en) * 2005-04-04 2006-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for forming multi-divided display for epg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 2 tuners
KR101448310B1 (en) * 2008-09-22 2014-10-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KR20100066606A (en) *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US9313550B2 (en) * 2011-02-16 2016-04-12 Humax Co., Lt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management lis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KR20120108942A (en) * 2011-03-24 2012-10-05 김덕중 Content aggregator system, content aggregator server, streaming server and user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10A (en) 2019-03-13
WO2019050268A1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295B2 (en) Meta channel media system control and advertisement technology
JP5395813B2 (en) Content and metadata consumption techniques
US7849481B2 (en) Notification for interactive content
US8769580B2 (en) Meta channel based media system control technology
US8601512B2 (en) Meta channel network-based content download technology
US91251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201400826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ogressive advertisement schedules in media assets
US9137565B1 (en) Meta channel caching and instant viewing related technology
WO2010091089A1 (en) Meta channel based media system control technology
US202400227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distribution
KR102047434B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20102717A (en) Receiver unit and reception method
WO2020125722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transceiving system and method executed by same, video playing device and video playing method
JP2020102718A (en) Transmission reception system and method
KR101302252B1 (en)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channel set-up by viwer
JP2020102719A (en) Video reproduction device and video reproduction method
CN112204987A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