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76B1 -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76B1
KR102047076B1 KR1020180046323A KR20180046323A KR102047076B1 KR 102047076 B1 KR102047076 B1 KR 102047076B1 KR 1020180046323 A KR1020180046323 A KR 1020180046323A KR 20180046323 A KR20180046323 A KR 20180046323A KR 102047076 B1 KR102047076 B1 KR 10204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ignal
power amplifier
emergency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8472A (en
Inventor
이병욱
이근종
Original Assignee
이병욱
이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욱, 이근종 filed Critical 이병욱
Priority to KR102018004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76B1/en
Publication of KR2018004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2Loudspeake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mplifi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단일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되, 유휴 중인 파워증폭기로 자동 절체되도록 이루어져, 적은 수의 파워 앰프 등으로도 다수의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며, 다수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이 발생가능한 스피커를 제어하여 하울링을 억제시키고, 장비고장시 자동으로 사용가능한 장비로 절체되며, 화재 등 비상상황시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가는, 고장여부 판단단계; 고장여부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고장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중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가는, 사용여부 판단단계; 다른 파워증폭기로 교체하기 위해 영역ID 카운터를 1 증가하는,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후, 영역ID 카운터의 값이 총 영역개수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같지 않다면, 고장여부 판단단계로 되돌아가는,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크다면, 상태표시부로 현재 사용가능한 유휴 파워증폭기가 없음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상태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controlled sound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area,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d an automatic path selector, and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multiple areas with a single multi-controlled sound system.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idle power amplifier, so it can be used in many areas even with a small number of power amplifiers.When using multiple microphones, it can control howling can be suppressed to suppress howling and can be used automatically in case of equipment fail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led sound system that is switched to equipmen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broadcast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region,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d an automatic path selector. Determining whether it is a failure, and if it is a failure, going to a second increasing step of the area ID counter; In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if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not a failu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in use. Going to step, the use determination step; A second incrementing step of the counter, incrementing the area ID counter by one to replace it with another power amplifier; After the second increasing step of the area ID coun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the area ID counter is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areas, and if not,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areas, and returning to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 In the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count, if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count, the status display indicates that there is no idle power amplifier currently available, and resets the setting data. Step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escription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Control method of multi-control sound system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본 발명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단일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되, 유휴 중인 파워증폭기로 자동 절체되도록 이루어져, 적은 수의 파워 앰프 등으로도 다수의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며, 다수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이 발생가능한 스피커를 제어하여 하울링을 억제시키고, 장비고장시 자동으로 사용가능한 장비로 절체되며, 화재 등 비상상황시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controlled sound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area,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d an automatic path selector, and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multiple areas with a single multi-controlled sound system.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idle power amplifier, so it can be used in many areas even with a small number of power amplifiers.When using multiple microphones, it can control howling can be suppressed to suppress howling and can be used automatically in case of equipment fail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 sound system that is switched to equipmen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broadcast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회사 등에서는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 다수 영역 각각에 음향시스템이 필요로 하나, 모든 다수영역이 항상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수 영역 모드에 고가의 음향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은 상당히 비용이 많이 들고 비 경제적이다.In a company, etc., a sound system is required in each of the multiple areas such as a lecture room, seminar room, meeting room, etc., but since all the multiple areas are not always used simultaneously, it is quite expensive to have an expensive sound system in the multi-zone mode. It is non economical.

일반적으로 회의실 등에서는 다수의 마이크와 다수의 스피커를 구비하여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다채널 음향장비가 필요하다.In general, in a conference room or the like,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plurality of speakers are required to control the multi-channel sound equipment.

다수 영역, 즉,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과 같이 음향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영역에 개별적인 방송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한 장소에 통합으로 단일시스템을 갖추고,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중제어 방송시스템이 필요하다. Multiple areas, that is, multiple systems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multiple areas without having to install individual broadcasting equipment in multiple areas that require sound systems such as lecture rooms, seminar rooms, conference rooms, etc. A control broadcast system is needed.

이를 위해서는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단일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되, 유휴 중인 파워증폭기로 자동 절체되도록 이루어져, 적은 수의 파워 앰프 등으로도 다수의 영역에서 사용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이 요망된다.For this purpose, it is a multi-control sound system including terminal by region, multi-channel preamplifier, main controller, multiple power amplifiers, and automatic path selector, and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multiple areas with a single multi-control sound system, but idle There is a need for a multi-controlled sound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a power amplifier in use, which can be used in multiple areas with a small number of power amplifiers.

또한, 이러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은 상당히 큰 건물에 장착될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건물에 화재 등 비상상황시 자동으로 모든 자체 음향신호를 차단, 절체되며, 비상방송 송출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필요하다. In addition, such a multi-control sound system is likely to be mounted in a fairly large building, it is necessary that such a building automatically cuts off all its own sound signals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nd is made to transmit emergency broadcasts.

따라서, 본 발명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단일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되, 유휴 중인 파워증폭기로 자동 절체되도록 이루어져, 적은 수의 파워 앰프 등으로도 다수의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며,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이 발생가능한 스피커를 제어하여 하울링을 억제시키고, 장비고장시 자동으로 사용가능한 장비로 절체되며, 화재 등 비상상황시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제안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region,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d an automatic path selector, and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multiple areas with a single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However, since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idle power amplifier, it can be used in a large number of areas with a small number of power amplifiers, and when using a microphone, the howling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peaker that can produce howling, and automatically used when equipment failure occurs. We propose a multi-control sound system that can be switched to the available equipment and can transmit emergency broadcasting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구비하게 되면, 즉,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과 같이 음향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영역에 개별적인 방송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한 장소에, 통합적인,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구비하게 되면, 각 영역에는 신호송신과 수신을 위한 간단한 단말만을 구비하게 되어, 운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다수의 마이크 사용시 스피커 제어기술을 이용하여 발생가능한 하울링을 억제시킴으로써 더 큰 음향출력레벨을 유지할수 있는 기능이 있고,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시 또는 장비고장시 자동으로 모든 자체 음향신호를 차단, 절체 및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하게 된다.With the multiple control sou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e., the integrated mult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place, without having to install individual broadcast equipment in multiple areas requiring sound systems, such as lecture rooms, seminar rooms, conference rooms, etc. When the control acoustic system is provided, each area includes only a simple terminal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s easy to operate and maintain. In addition, by using speaker control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louder sound output level by suppressing howling that can be generated when using multiple microphones, and automatically cut off all internal sound signals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or equipment failure. And emergency broadcast transmission is possible.

선행특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786314호는 음원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임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시스템으로서, 복수 (M) 의 앰프, 복수 (N) 의 스피커, 및 상기 앰프들과 스피커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M×N 매트릭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에 사용될 최적의 앰프 또는 앰프들의 조합은 경로 자동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는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As a prior patent, Korean Patent No. 10-0786314 is a sound system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a sound source generator through an arbitrary speaker, a plurality of (M) amplifier, a plurality of (N) speakers, and the amplifier Sound system and control thereof, comprising an M × N matrix circuit configured to connect the speakers and the speakers to each other, wherein the optimum amplifier or combination of amplifiers to be used for the broadcast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control software which performs a path automation algorithm. It is about a method.

이 발명은 음원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단순히, 선택된 소정 앰프를 통해 소정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영역에서 다수의 마이크와 다수의 스피커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적은 수의 앰프로 많은 영역(지역)을 동시다발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y outputs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or to a predetermined speaker through a selected predetermined amplifier, and when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plurality of speakers are used in a plurality of areas, a small number of amplifiers are used. It is difficult to use many areas simultaneous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단일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되, 유휴 중인 파워증폭기로 자동 절체되도록 이루어져, 적은 수의 파워 앰프 등으로도 다수의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며,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이 발생가능한 스피커를 제어하여 하울링을 억제시키고, 장비고장시 자동으로 사용가능한 장비로 절체되며, 화재 등 비상상황시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area,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 automatic path selector, and simultaneously multiple in a single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It can be used as a power amplifier, but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idle power amplifier, so it can be used in a large number of areas with a small number of power amplifiers.When using a microphone, the howling can be controlled by suppressing howling, It is to provide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which is transferred to the equipment which can be automatically used at the time, and which can transmit emergency broadcasting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영역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파워 앰프가 자동 설정되며, 그 파워 앰프의 고장여부를 체크하고, 고장인 경우, 유휴상태에 있는 다른 파워 앰프로 자동절체되도록 이루어진,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wer amplifier to be used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area, and checks whether the power amplifier has a failure, and in case of failure,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in the idle state,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개의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해당 마이크와 근접해 있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차단하거나 레벨을 감소시켜 하울링 발생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 a limited space, automatically detects the microphone currently in use,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in close proximity to the microphone to reduce the level howling occurs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which is configured to suppress th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한 영역의 운영자 또는 발언자가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다른 다수의 영역에 동시에 방송할 수 있으며, 화재신호 수신단자를 내장하고 있어서 비상상황 발생시, 즉각적으로 전 영역에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n operator or a speaker of one area can simultaneously broadcast to a plurality of other areas without any complicated operation, and has a built-in fire signal receiving terminal so that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all areas.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 sound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 영역별 단말에는 전동스크린, 전동엘리베이션과 같은 다양한 외부장비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터미널을 내장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원하는 외부장비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or each area has a built-in control terminal that can be controlled by connecting a variety of external equipment, such as electric screen, electric elevator, the user can conveniently manipulate the extern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며,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서, 다수의 마이크 사용시의 하울링을 차단 또는 억제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스피커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언자가 마이크 사용을 하면, 마이크로부터 음향신호를 검출하여 데이터처리부로 전송하는, 마이크 신호검출단계; 데이터처리부는 음향신호가 검출된 마이크에 대한 프리셋(preset)을 검색하여, 마이크 신호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음향신호와 그 마이크의 프리셋을 비교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를 결정하는,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 결정단계;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 결정단계에서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가 결정되면, 메모리부로부터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의 타겟 스피커 정보를 읽어들여 타겟 스피커를 결정하는, 타겟 스피커 결정단계;자동 경로 선택기를 제어하여, 타겟 스피커를 차단하거나 또는 볼륨을 낮추는, 타겟 스피커의 차단 또는 억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for each region,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 automatic path selector, and can be used in multiple areas simultaneously in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A speaker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 sound system for blocking or suppressing howling when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the speaker control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sound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to a data processor when the speaker uses the microphone; The data processor determines a microphone currently in use by searching for a preset for a microphone from which an acoustic signal is detected, and comparing the acoustic signal detected in the microphone signal detection step with a preset of the microphone. ; Determining the target speaker by reading the target speaker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currently being used from the memory unit, when the microphone being used is determined in the currently used microphone determining step; controlling the automatic path selector to control the target speaker Blocking or suppressing the target speaker to block or lower the volu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가는, 고장여부 판단단계; 고장여부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고장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중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가는, 사용여부 판단단계; 다른 파워증폭기로 교체하기 위해 영역ID 카운터를 1 증가하는,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후, 영역ID 카운터의 값이 총 영역개수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같지 않다면, 고장여부 판단단계로 되돌아가는,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크다면, 상태표시부로 현재 사용가능한 유휴 파워증폭기가 없음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상태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region,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d an automatic path selector,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egion ID counter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amplifier is out of order, and if it is out of order, going to the second increasing step of the area ID counter; In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if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not a failu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in use. Going to step, the use determination step; A second incrementing step of the counter, incrementing the area ID counter by one to replace it with another power amplifier; After the second increasing step of the area ID coun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the area ID counter is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areas, and if not,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areas, and returning to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 In the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count, if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count, the status display indicates that there is no idle power amplifier currently available, and resets the setting data. Step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여부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사용중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로 절체하는 것으로 경로를 변경하고, 상태표시부로 현재 경로가 성공적으로 절체되었음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경로 변경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not in use in the use determination step, the path is switched to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And changing the path, indicating that the current path has been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and resetting the setting data.

고장여부 판단단계의 앞단에는, 비상신호가 입력(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파워증폭기를 절체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동으로 절체하였다면, 소정 파워증폭기로 절체되었음을 알리는 절체신호를 주제어부로 전송하고, 고장여부 판단단계로 가는, 수동절체여부 판단단계; 수동절체여부 판단단계에서 절체되지 않았다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동일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동일하다면, 기 설정된 시간값 만큼 딜레이시킨 후,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로 되돌아가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동일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In front of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occurred); If the emergency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by the operator whether the power amplifier has been manually switched, and if it has been manually switched, a transfer signal indicating that the power amplifier has been switched to the predetermined power amplifier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A manual transfer decision determination step, which goes to a failure determination step; If it is not transferred in the manual transfer determination step,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signal, and if the same, delay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and then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Returning to,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되었다면, 현재의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을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식별번호로 하는,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 비상상황 발생 영역으로의 입력신호를 모두 차단(mute)하는,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입력차단 단계;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판단하고, 설정되어 있는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없다면, 비상상황 표시단계가는,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다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파워증폭기를 다른 파워증폭기로 절체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전체 방송경로를 절체하는, 방송경로 절체단계; 상태표시부로 현재 비상상황임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비상상황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the current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used a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rea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dentification number determination step; An input blocking step of an emergency occurrence region, which mutes all input signals to the emergency occurrence reg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and if there is no emergency alarm broadcast set, the emergency display step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f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the power amplifier of the area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s transferr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or the entire broadcasting path of the area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 broadcast path switching step; The emergency status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to the status display unit, and reset the setting data;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은,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단일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되, 유휴 중인 파워증폭기로 자동 절체되도록 이루어져, 적은 수의 파워 앰프 등으로도 다수의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가능하며, 다수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이 발생가능한 스피커를 제어하여 하울링을 억제시키고, 장비고장시 자동으로 사용가능한 장비로 절체되며, 화재 등 비상상황시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하다. 즉,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과 같이 음향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영역에 개별적인 방송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한 장소에, 통합적인,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구비하게 되면, 각 영역에는 신호송신과 수신을 위한 간단한 단말만을 구비하게 되어, 운용 및 유지보수이 용이하다.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each region,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 unit,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d an automatic path selector. It can be used automatically, but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idle power amplifier, so it can be used in multiple areas simultaneously with a small number of power amplifiers, and when using multiple microphones, howling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peaker that can produce howling. It can be restrained and transferred to the equipment that can be used automatically in case of equipment failure, and emergency broadcasting can be transmitte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That is, if the integrated multi-control sou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one place without installing individual broadcasting equipment in a plurality of areas requiring a sound system such as a lecture room, seminar room, conference room, etc. Only a simple terminal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rovided, so it is easy to operate and maintain.

본 발명은 영역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파워증폭기가 자동 설정되며, 그 파워증폭기의 고장여부를 체크하고, 고장인 경우, 유휴상태에 있는 다른 파워증폭기로 자동절체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의 예비 파워증폭기를 추가적으로 보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amplifier to be used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an area, and the power amplifier is checked for failure, and in the case of a failure, the power amplifier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in an idle state. Therefore,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reserve a separate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개의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해당 마이크와 근접해 있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차단하거나 레벨을 감소시켜 하울링 발생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used in a limited space, the microphones currently detected are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in proximity to the microphone is cut off or the level is reduced to suppress howling generation.

본 발명은 한 영역의 운영자 또는 발언자가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다른 다수의 영역에 동시에 방송할 수 있으며, 화재신호 수신단자를 내장하고 있어서 비상상황 발생시, 즉각적으로 전 영역에 비상방송 송출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or a speaker of one area can broadcast simultaneously to a plurality of other areas without additional complicated operations, and a built-in fire signal receiving terminal enables emergency broadcast transmission to all areas immediately when an emergency occurs.

즉, 한 지역의 음향소스를 다른 다수의 지역에 동시에 방송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지역의 인원을 대상으로 긴급공지 전달이 필요한 경우 간편한 조작만으로 다중방송이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예를들어,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과 같은 각 방송지역에서 운영자 또는 발언자가 별도의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다수의 영역으로 방송을 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broadcast the sound source of one area to a number of other areas, which is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multi-cast by simple operation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livery to the personnel of all areas is necessary. For example, in each broadcasting area such as lecture room, seminar room, meeting room, etc., the operator or speaker can broadcast to multiple areas without any complicated manipulation.

본 발명은 각 영역별 단말에는 전동스크린, 전동엘리베이션과 같은 다양한 외부장비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터미널을 내장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원하는 외부장비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control terminal that can be controlled by connecting various external equipment such as electric screen, electric elevator in each area terminal,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desired extern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본 발명은, 첫째, 개별적인 시스템을 보유하지 않고 모든지역이 하나의 음향시스템을 공동으로 사용하므로 공간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며, 둘째, 시스템이 여러지역에 분산되어 있지 않은 단일시스템에 의한 다중제어 방식이어서 최소의 인원으로 운용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셋째, 비용이 많이드는 독립형 시스템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며, 넷째, 독립형 시스템은 타 지역과 상호연동하여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단일시스템은 상호연동에 의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다섯째, 한 지역에서 두 곳 이상의 지역에 방송을 할 수 있는 동시방송이 가능하며, 여섯째, 현재 방송중인 지역에 할당된 장비 고장시 자동으로 유휴상태에 있는 타 지역 장비로 사용경로가 절체되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곱째, 일반적으로 회의실과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하울링현상이 발생하여 음향출력레벨을 높이는데 제한이 생기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중인 마이크에 가장 근접한 스피커에 대해서만 자동으로 음량을 억제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내장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음향출력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여덜째, 각 지역에서 사용자는 여러가지 장비의 조작없이 단말의 전원을 ON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향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미숙 또는 오조작 등에 의한 문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pace because, firstly, all regions share a single acoustic system without having a separate system, and secondly, the system is a multi-control system by a single system that is not distributed in multiple regions. Operation and maintenance is possible with the minimum number of people. Third, it is more economical than the expensive standalone system. Fourth, the standalone system cannot be used by interworking with other regions. Fifth,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broadcast two or more areas in one area, and sixth, to the other area equipment which is in idle state automatically when the equipment assigned to the currently broadcasting area breaks down. The use path is transferred and can be used normally. Seventh, generally limited to meeting rooms In the case of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 the liver, a howling phenomenon occurs and a limitation is raised in raising the sound output level.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suppressing or blocking the volume only for the speaker closest to the microphone in use. High sound output level can be maintained.In addition, in each region, the user can use the sound system by simple operation such as turning on the terminal power without operating various equipments, thereby reducing problems due to immature or incorrect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도 1은 종래의 음향시스템과,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서 주제어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이다.
도 5는 도 3의 자동 경로 선택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수의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 제거하기 위한 스피커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의 자동 경로 선택기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서의 스피커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d comparing a conventional acoustic system with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controller in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FIG. 3.
5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automatic path selector of FIG. 3.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aker control method for removing howling when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driving of the automatic path selector of FIG. 3.
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peaker control method in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종래의 음향시스템과,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comparing and comparing a conventional acoustic system and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는 종래의 음향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의 (a)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다수 영역 각각에 음향시스템을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도 1의 (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은 하나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으로 다수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Figure 1 (a) shows a conventional acoustic system, Figure 1 (b) shows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1, a sound system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but as shown in (b) of FIG. 1,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control sound system.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the area.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은 회의실, 강의실, 세미나실 등의 다수의 영역에서, 다중방송, 자체방송이 가능하며, 화재수신반 등에서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화재)비상방송의 송출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은 사용현황, 고장상황 등을 운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예로, 스마트폰)로 전송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ulticasting, self-broadcasting in a number of areas, such as a conference room, lecture room, seminar room, etc., and when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from a fire receiver, such as (fire) emergency broadcast It is made to send. In addition,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transmits usage status, failure status, etc. to the operator's personal portable terminal (eg, smart phone).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영역별 단말(local panel)(110), 전치 증폭기(Pre-Amp(150), 주제어부(main unit)(200), 파워 앰프(power amp)(310), 자동 경로 선택기(Auto Path Selector)(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local panel 110, a pre-amp 150, a main unit 200, and a power amplifier. power amp 310 and an auto path selector 350.

영역별 단말(local panel)(110)은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의 다수의 영역(지역)에 각각 구비된 단말로, 마이크/라인 레벨 입력부를 다수개 구비한다. 기본적으로 마이크/라인 레벨 입력부, 각 영역별 단말(110), 각 스피커부(390)은 각 영역별로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주제어부(200)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이들의 식별번호, 위치 등이 기억저장되어 있다. 영역별 단말(110)은 전동스크린 등 각 영역별 환경장비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390)는 다수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하나의 그룹을 말하며,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피커 그룹, 즉 다수의 스피커부(390)를 가진다Local terminals 110 are terminals provided in a plurality of areas (regions) such as lecture rooms, seminar rooms, and conference rooms, and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 / line level input units. Basically, the microphone / line level input unit,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and the speaker unit 390 are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region, and their identification numbers are stored in a memory unit (not shown) of the main control unit 200. The location and so on are stored. The terminal 110 for each area may have a function of controlling environmental equipment for each area such as an electric screen. Here, the speaker unit 390 refers to 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peak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peaker groups, that is, a plurality of speaker units 390.

전치 증폭기(Pre-Amp)(150)는 다수의 채널을 구비하며, 영역별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들을 증폭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치 증폭기(150)는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amp 150 includes a plurality of channels and amplifies the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In some cases, the preamplifier 15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removing noise.

주제어부(200)는 경로제어부(245)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치 증폭기(150)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소정 경로를 통해 소정 출력그룹(즉, 파워앰프, 스피커 등)과 연결시킨다. 또한 주제어부(200)는 화재수신반(420) 등에서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화재)비상방송을 출력(다중방송)시킨다. 주제어부(200)는 주제어 컴퓨터(PC)(410)의 설정(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주제어 컴퓨터(410)와 주제어부(200)를 주 제어 장치라 할 수 있다. The main controller 200 includes a path controller 245 and connect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preamplifier 150 to a predetermined output group (ie, a power amplifier, a speaker, etc.)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200 outputs (multi-broadcast) the emergency fire broadcast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when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from the fire receiving panel 420 or the like. The main controller 200 may be driven by the setting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computer (PC) 410. The main controller 410 and the main controller 200 may be referred to as main controllers.

주제어 컴퓨터(410)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하거나 변경하며, 또한, 주제어부(200)를 통해 수신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운용자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 주제어부(200)를 구동하게 한다. 예를들어, 주제어부(200)를 통해 수신된 소정 파워앰프(310)의 고장여부, 화재수신반(420)의 비상신호 입력여부 등을 주제어 컴퓨터(410)의 화면상에 출력하고, 운용자는 이를 보고, 주제어 컴퓨터(410)에서 소정 파워앰프(310)와 소정 스피커를 연결시키도록 설정하며, 이 설정신호는 주제어 컴퓨터(410)로부터 주제어부(200)로 전송되어, 이에 따라 주제어부(200)는 소정 파워앰프(310)와 소정 스피커를 연결시킨다. 주제어부(200)는 주제어 컴퓨터(410)없이 자체적으로 구동가능하여, 경우에 따라서 주제어 컴퓨터(410)는 생략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inputs or changes the user's setting for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and also outputs the state of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received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200 on the screen and is operated manually by the operator. By driving the main control unit 200 by.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power amplifier 310 received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200, the emergency signal input of the fire receiving panel 420, etc. ar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and the operator outputs the result. Report, the main computer 410 is set to connect the predetermined power amplifier 310 and the predetermined speaker, the sett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mputer 410 to the main control unit 20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 unit 200 Connects a predetermined power amplifier 310 with a predetermined speaker. The main control unit 200 may be driven by itself without 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so that 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파워앰프(power amp, 파워증폭기)(310)는 주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수단으로, 다수개의 파워앰프(310)를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강의실, 세미나실, 회의실 등의 영역의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amplifier 310 is a means for amplifying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2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310. In some cases, as many as the number of areas, such as lecture room, seminar room, meeting room, etc. may be provided.

자동 경로 선택기(350)는 파워앰프(310)를 검사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유휴 파워앰프(310)로 절체한다. 예를들어, 현재(기본적)으로 대응되어 있는 파워앰프(310)가 이상이 있을 경우 유휴 파워앰프(310) 중 하나가 선택되어(예를들어 순번에 따라 선택) 대치된다.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inspects the power amplifier 310 and switches to the idle power amplifier 310 when there is an error. For example, if a power amplifier 310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basic) error is found, one of the idle power amplifiers 310 is selected (for example, selected in order) and replaced.

도 4는 도 3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서 주제어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 입력 인터페이스부(205), 신호처리부(230), 출력 인터페이스부(280)를 포함한다.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controller in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FIG. 3, and includes an input interface unit 205, a signal processor 230, and an output interface unit 280.

입력 인터페이스부(205)는 입력포트/UI(220), 오디오 수신부(215), 데이터 수신부(225)를 포함한다. 입력포트/UI(220)는 영역별 단말(110)에서 전치 증폭기(150)를 거쳐 입력되거나, 영역별 단말(110)에서 바로 입력되는 음향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신호는 오디오 수신부(215)를 통해 신호처리부(230)로 전송하고, 수신된 데이터신호(예를 들어 설정신호)는 데이터 수신부(225)를 통해 신호처리부(230)로 전송한다.The input interface unit 205 includes an input port / UI 220, an audio receiver 215, and a data receiver 225. The input port / UI 220 receives a sound signal and a data signal which are input from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via the preamplifier 150 or are directly input from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and the received sound signal is an audio signal.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 230 through the receiver 215, and the received data signal (eg, a sett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 230 through the data receiver 225.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사용중인 마이크에 근접한 스피커를 차단하기 위해서, 영역별 단말(110)에서 생성한, 현재 어떤 마이크가 사용중인지를 나타내는 마이크 사용여부 신호를 포함하며, 이 신호는 데이터 형태로 주제어부(200)의 신호처리부(230)에 전달되며, 주제어부(200)의 신호처리부(230)는 이 신호를 이용하여 타겟 스피커를 차단한다. Here, the data signal includes a microphone use signal indicating which microphone is currently used, which is generated by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in order to block a speaker close to the microphone being used, and the signal is a main keyword in the form of data. The signal processor 230 of the controller 20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or 230, and the signal processor 230 of the main controller 200 blocks the target speaker using the signal.

또한, 데이터 신호는, 설정신호를 포함한다. 다시말해, 영역별 단말(110)에서 외부기기(전동스크린, 전동엘리베이터 등)을 조작할 경우, 이 설정신호(조작신호)를 주제어부(200), 즉 신호처리부(230)로 전송한다.The data signal also includes a setting signal. In other words, when an external device (electric screen, electric elevator, etc.) is operated in each terminal 110, the setting signal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200,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unit 230.

입력포트/UI(220)는 입력포트,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고 있으며, 입력포트는 음향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 단자(커넥터)이고, UI는 강제리셋버튼, 비상사이렌 발생버튼 등과 같은 수동 제어스위치로, 운용자가 수동으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다.The input port / UI 220 includes an input port and a user interface (UI), the input port is an input terminal (connector) for receiving sound signals and data signals, and the UI is a forced reset button and an emergency siren generation button. It is a manual control switch, such as a means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generate a control signal.

오디오 수신부(215)는 입력포트/UI(220)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부(23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 잡음이 음향신호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수신부(225)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다.The audio receiver 215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port / UI 220 to the signal processor 230. In order to prevent data noise from entering the sound signal from the data signal, the data receiver 225 is used. And spaced apart.

데이터 수신부(225)는 입력포트/UI(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처리부(23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The data receiver 225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port / UI 220 to the signal processor 230.

신호처리부(230)는 입력버퍼(235), 신호레벨 검출부(240), 경로제어부(245), 레벨제어부(250), 출력버퍼(255), 신호변환부(260), 통신부(265), 데이터처리부(270), 상태표시부(275)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or 230 includes an input buffer 235, a signal level detector 240, a path controller 245, a level controller 250, an output buffer 255, a signal converter 260, a communication unit 265, and data. A processing unit 270 and a status display unit 275.

입력버퍼(235)는 임피던스 매칭 등을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부(205)의 오디오 수신부(215)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조정한다. 즉, 입력버퍼(235)는 증폭기 등을 내장하고 있으며, 수신된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고 과도한 신호입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The input buffer 235 adjusts the signal level of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receiver 215 of the input interface unit 205 for impedance matching. In other words, the input buffer 235 has a built-in amplifier, etc., and adjusts the signal level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and blocks excessive signal input.

신호레벨 검출부(240)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신호레벨 검출부(240)는 입력버퍼(23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경로제어부(245)로 전달하면서, 입력버퍼(235)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여, 통신부(265)를 통해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한다. The signal level detector 240 is a means for detecting whether a signal level of a sound signal currently being input is normal. That is, the signal level detector 240 detects the signal level of the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buffer 235 while transmit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buffer 235 to the path control unit 245, a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65.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through.

즉, 신호레벨 검출부(240)는 신호레벨이 너무 약한지 또는 너무 높은지를 검출한 신호레벨 신호를 통신부(265)를 통해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하고, 데이터처리부(270)는, 이에 따라, 입력신호레벨 표시 LED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태표시부(275)로 전송하고, 입력신호레벨 표시 LED 제어신호에 따라, 상태표시부(275)의 입력신호레벨 표시 LED(미도시)가 작동된다.That is, the signal level detection unit 240 transmits a signal level signal that detects whether the signal level is too weak or too high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accordingly, An input signal level display LE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275, an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level display LED control signal, an input signal level display LED (not shown) of the status display unit 275 is operated.

신호레벨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신호레벨 신호는 기기상태 점검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270)는 수신된 신호레벨 신호를 이용하여 기기상태(예를들어, 마이크, 앰프, 스피커 등)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영역별 단말(110)에서 마이크를 사용할때 스피커로 소리가 출력되지 않아서 운용자가 주제어 컴퓨터(410)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장비상태를 점검할 경우, 신호레벨검출부(240)에서 측정되는 값이 너무 낮다면, 파워증폭기(310)나 자동경로선택기(350)의 이상이 아닌 영역별 단말(110)이나 전치증폭기(150)의 문제라고 판단한다.The signal level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level detector 240 may also be used when checking the device state. The data processor 270 may check a device state (eg, a microphone, an amplifier, a speaker, etc.) using the received signal level signal. In addition, when using the microphone in the area-specific terminal 110, the sound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when the operator checks the overall equipment state using 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the value measured in the signal level detector 240 is too If it is low,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lem is not a problem of the power amplifier 310 or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but the problem of the terminal 110 or the preamplifier 150 for each region.

경로제어부(245)는 매트릭스 회로를 구비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부(205)의 오디오 수신부(215)의 소정의 채널로 입력되게 하며, 출력 인터페이스부(280)의 소정의 채널로 출력되도록 연결한다. 경로제어부(245)는 데이터처리부(270)로부터 통신부(265)를 통해 수신된 경로 제어신호에 따라 행하여 진다. 즉, 경로제어부(245)는, 영역별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오디오신호)가 유휴상태에 있는 임의의 파워증폭기(310)을 통해서 출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매트릭스 개념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The path controller 245 is provided with a matrix circuit so as to be input to a predetermined channel of the audio receiver 215 of the input interface unit 205 and connected to be output to a predetermined channel of the output interface unit 280. The path controller 245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ath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processor 2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That is, since the path controller 245 has to output the sound signal (audio signal) input from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through an arbitrary power amplifier 310 in the idle state, the function of the matrix concept for this purpose. This is the part to perform.

레벨제어부(250)는 경로제어부(245)를 통해 소정 경로로 수신되는 음향신호의 레벨을, 데이터처리부(270)로부터 통신부(265)를 통해 수신된 음향레벨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한다. 즉, 레벨제어부(250)는 영역별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 레벨을 적정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자가 주제어 컴퓨터(410)을 통해 수동으로 볼륨을 조정할 경우에, 주제어 컴퓨터(410)로부터 볼륨조절신호가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되고, 데이터처리부(270)는 통신부(265)를 통해 레벨제어부(250)로 전송하여 레벨제어부(250)에서 음향신호 레벨을 조절하게 한다.The level controller 250 adjusts the level of the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ath controller 245 in the predetermined path according to the sound level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processor 2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That is, the level control unit 250 adjusts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level input from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to an appropriate level. When the operator manually adjusts the volume through the main computer 410, the volum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mputer 410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is a level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level control unit 250 to adjust the sound signal level.

출력버퍼(255)는 임피던스 매칭 등을 위해 출력 인터페이스부(280)로 출력하기전에 음향신호를 조절한다. 즉, 출력버퍼(255)는 임피던스 매칭 및 신호방식(발란스/언발란스)를 바꾸는 등의 처리를 하는 수단이다.The output buffer 255 adjusts the sound signal before outputting to the output interface unit 280 for impedance matching. In other words, the output buffer 255 is a means for processing such as changing impedance matching and signal method (balanced / unbalanced).

신호변환부(260)는 수신된 데이터신호를 기 설정(예로, 공장 출하시 설정)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마이크 또는 마이크 시스템이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포맷을 주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ignal converter 260 is a means for converting the received data signal into a preset data format (for example, factory setting). Since the microphone or the microphone system may have different data formats for each manufacturer,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various types of data formats into a form that the main control unit 200 can recognize is performed.

예를들면 영역별 단말(110)에서 사용중인 마이크에 근접한 스피커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어떤 마이크가 사용중인지를 데이터의 형태로 주제어부(200)에 전달하여야 하고 주제어부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스피커를 차단하는데, 영역별 단말(110)에서 사용하는 마이크가 회의용 마이크 시스템일 경우, 제조사별로 자체데이터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여러종류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주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켜 주는 수단이 신호변환부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block a speaker close to the microphone being used in the terminal 110 for each region, the main controller 200 needs to transmit the microphone to the main control unit 200 in the form of data. If the microphone used in the area-specific terminal 110 is a conference microphone system, the main control unit 200 cannot recognize because the manufacturer has its own data protocol. Therefore, the signal converting unit is a means for converting these various data protocols into a form that the main control unit 200 can recognize.

또한, 신호변환부(260)에서 출력된 신호는 그대로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되거나, 통신부(265)를 통해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ter 26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or 27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or 2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포맷을 주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면 단말(110)에서 사용중인 마이크에 근접한 스피커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어떤 마이크가 사용중인지를 데이터의 형태로 주제어부(200)에 전달하여야 하고 주제어부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스피커를 차단합니다. 그런데 단말에서 사용하는 마이크가 회의용 마이크 시스템일 경우, 제조사별로 자체데이터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여러종류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주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켜 주는 부분이 신호변환부이다.It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various types of data formats into a form that the main control unit 200 can recognize. For example, in order to block the speaker close to the microphone being used in the terminal 110,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o the main control unit 200 in the form of data which microphone is currently used, and the main control unit blocks the target speaker using this information. . However, when the microphone used in the terminal is a conference microphone system, the main control unit 200 cannot recognize because the manufacturer has its own data protocol. Therefore, the signal converting part converts these various data protocols into a form that the main control can recognize.

통신부(265)는 신호레벨 검출부(240), 경로제어부(245), 레벨제어부(250), 상태표시부(275) 등과, 데이터처리부(270)의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을 하게 해주는 통신인터페이스 수단이다.The communication unit 265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signal level detection unit 240, the path control unit 245, the level control unit 250, the status display unit 275,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또한, 통신부(265)는 주제어부(200)(즉, 데이터처리부(270))와 주제어 컴퓨터(410) 간의 통신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그리고, 주제어부(200)(즉, 데이터처리부(270))와 자동경로선택기(350)간의 통신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65 performs a communicatio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200 (ie,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and 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and the main control unit 200 (ie,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데이터처리부(270)는 주제어부(200)의 연산처리부(CPU, MPU)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주제어부(200)의 다른 각 수단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값을 연산하여, 경로제어부(245)와 레벨제어부(25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처리부(270)는 주제어 컴퓨터(410)와 자동경로선택기(35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값을 연산처리한 후, 처리결과 리턴값을 되돌려 보낸다.The data processor 270 is a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rithmetic processing unit (CPU, MPU) of the main control unit 200.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calculates data values input from each other means of the main control unit 200, and the path control unit 245 and the path control unit 245.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evel controller 250.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70 calculates a data value input from the main control computer 410 and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and then returns the processing result return value.

데이터처리부(270)는 신호처리부(23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설정신호에 따라 경로 제어신호, 레벨제어신호 등을 생성하여 통신부(265)를 통해 전송하며, 신호레벨 검출부(24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태표시부(275)로 전송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or 27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signal processor 230, generates a path control signal, a level control signal, etc. according to the set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and outputs the signal level detector 240. The signal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275 for display.

상태표시부(275)는 현재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즉, 마이크, 파워앰프, 스피커 등)의 상태(데이터 통신상태, 음향(오디오)레벨 등)을 표시해 주는 수단으로, 통신상태 표시LED(미도시), 오디오레벨 표시LED(미도시), 에러(Error) 표시LED(미도시), 화재발생 LED (미도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태표시부(275)는 데이터처리부(27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표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태표시를 위하 LED를 구동시킨다.The status display unit 275 is a means for displaying the status (data communication status, sound (audio) level, etc.) of the current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ie, microphone, power amplifier, speaker, etc.), and communication status display LED (not shown). , An audio level indicator LED (not shown), an error indicator LED (not shown), a fire occurrence LED (not shown), and the like. That is, the status display unit 275 receives the status display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270 to drive the LED for status display.

출력 인터페이스부(280)는 오디오 출력부(280), 데이터 출력부(295), 출력포트(290)을 포함한다. 출력포트(29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부(280)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출력포트(290)에 구비된 데이터 출력부(295)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The output interface unit 280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280, a data output unit 295, and an output port 290. The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280 provided at the output port 290, and the data signal is output to the data output unit 295 provided at the output port 290.

오디오 출력부(280)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고, 데이터 출력부(295)는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audio output unit 280 is a mean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nd the data output unit 295 is a means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도 5는 도 3의 자동 경로 선택기의 개략적인 회로도로, 자동 경로 선택기(350)는 파워증폭기 상태검출부(361), 제1선택부(363), 제2선택부(365), 신호 취합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 5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automatic path selector of FIG. 3.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state detector 361, a first selector 363, a second selector 365, and a signal collector. 370).

파워증폭기 상태검출부(361)는 파워 앰프(310) 출력단으로부터 출력 전류신호 또는 출력 전압신호를 상태검출신호로서 검출하여 통신부(265)를 통해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한다. 즉, 전에 연결된 파워 앰프(310)의 상태를 점검한다.The power amplifier state detector 361 detects an output current signal or an output voltage signal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mplifier 310 as a state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processor 2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65. That is, the state of the previously connected power amplifier 310 is checked.

파워 앰프(310)의 이상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입력단에 신호를 입력한 후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신호와 서로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이과정 중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이 상태검출부이다. 검출된 출력신호의 신호패턴은 데이터처리부(270)로 보내어지고 데이터처리부(270)에서는 이 신호패턴과 입력신호의 신호패턴을 비교하여 파워증폭기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게 된다.In order to diagnose an abnormality of the power amplifier 310, after inputting a signal to the input terminal,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abnormality. The state detecting unit detec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stage during this process. The signal pattern of the detected output signal is sent to the data processor 270, and the data processor 270 compares the signal pattern with the signal pattern of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amplifier is abnormal.

데이터처리부(270)는 수신된 출력신호(즉, 상태검출신호)를 입력신호와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체크하여, 만약, 고장이 아닐 경우 현재(초기)설정된 파워증폭기를 통해 출력하게 하고, 만약, 고장일 경우 유휴인 다른 파워증폭기 중 하나로 출력하게 하는, 제1선택부 제어신호와 제2선택부 제어신호를 제1선택부(363)와 제2선택부(365)로 전송한다. 예를들어, 현재(초기)설정된 파워증폭기가 고장일 경우 유휴인 다른 파워증폭기를 순번대로 선택하여 고장여부를 검출하고 고장이 아닐 경우, 이 선택된 파워증폭기로 출력한다. 만약 현재 선택된 파워증폭기도 고장이라면, 다음순번인 유휴인 파워증폭기를 선택하여 고장여부를 검출하여 고장이 아닐 경우 이를 선택하게 된다.The data processor 270 compares the received output signal (ie, the state detection signal) with the input signal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failure, and if it is not a failure, outputs it through the currently set power amplifier. In case of a failure, the first selector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selector control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selector 363 and the second selector 365, which are output to one of the other idle power amplifiers. For example, if the current (initial) set power amplifier fails, another idle power amplifier is selected in sequence to detect if there is a failure, and if not, the selected power amplifier outputs the failure. If the currently selected power amplifier is faulty, the next next idle power amplifier is selected to detect the fault and if it is not a fault, it is selected.

제1선택부(363)와 제2선택부(365)는 릴레이로 구성되며, 예를들어 파워증폭기(310)의 출력신호가 A, B, C, D 중 어떤 지역으로든 나갈 수 있도록, 경로를 연결해 주는 연결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선택해야할 지역이 A, B의 두 지역이라면, 제1선택부(363)만 있으면 되지만, 선택해야할 지역이 4개 지역이기 때문에 제2선택부(365)가 추가된 것이다.The first selector 363 and the second selector 365 are configured as relays, for example, so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310 can go out to any region among A, B, C, and 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onnecting switch. If the region to be selected is two regions of A and B, only the first selection unit 363 is required, but the second selection unit 365 is added because the regions to be selected are four regions.

제1선택부(363)는 초기설정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7)와,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의 2개의 선택단자를 택일하도록 이루어지며, 데이터처리부(270)의 제1선택부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2 단자 중 하나가 선택된다.The first selector 363 is configured to select two selection terminals of the initial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7 and the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and the first selector control signal of the data processor 270 is selected. One of the two terminals is selected by.

제2선택부(365)는 제1선택부(363)에서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을 선택한 경우에, 기타 파워증폭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자로, 기타 파워증폭기의 수 만큼의 선택단자를 가질 수 있다. 도 5의 경우는 제1선택단자, 제2선택단자, 제3선택단자 중 택일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selector 365 is a terminal for selecting one of the other power amplifiers when the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is selected by the first selector 363. It can have In FIG. 5,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re selected.

예를들어, 초기 설정이, 제1파워증폭기(Amp 1)는 제1스피커부(SP A)로, 제2파워증폭기(Amp 2)는 제2스피커부(SP B)로, 제3파워증폭기(Amp 3)은 제3스피커부(SP C)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경우, 고장이 없다면 초기 설정대로 연결된다. 그러나 제1파워증폭기(Amp 1)가 고장이 생긴 경우, 제1파워증폭기(Amp 1) 대신에, 제2파워증폭기(Amp 2) 또는 제3파워증폭기(Amp 3) 또는 제4파워증폭기(Amp 4) 중 하나가 선택된다. 이는 제2파워증폭기(Amp 2), 제3파워증폭기(Amp 3), 제4파워증폭기(Amp 4)에서도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the initial setting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Amp 1) to the first speaker unit (SP A), the second power amplifier (Amp 2) to the second speaker unit (SP B), the third power amplifier (Amp 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speaker (SP C), if there is no failure is connected to the initial setting. However,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Amp 1) has a failure, instead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Amp 1), instead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Amp 1), the second power amplifier (Amp 2) or the third power amplifier (Amp 3) or the fourth power amplifier (Amp) 4) is selected.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power amplifier Amp 2, the third power amplifier Amp 3, and the fourth power amplifier Amp 4.

다른 예로서, 제1파워증폭기(Amp 1)의 출력이 제2스피커부(SP B)로 출력되는 경우는, 제1선택부(363)에서 초기설정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7)와,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 중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를 선택하고,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는 제2선택부(365)와 연결되며, 제2선택부(365)의 3개의 선택단자 중에서 제1선택단자를 선택하고, 제1선택단자는 제2스피커부(SP B)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Amp 1 is output to the second speaker SP B, the first power selector 363 and the initial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7 and other power are output. The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is selected among the amplifier selection terminals 368, and the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lection unit 365, and three selections of the second selection unit 365 are performed.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is selected among the terminals, and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eaker part SP B.

또다른 예로서, 제3파워증폭기(Amp 3)의 출력이 제4스피커부(SP D)로 출력되는 경우는, 제1선택부(363)에서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를 선택하고,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368)는 제2선택부(365)와 연결되며, 제2선택부(365)에서 제3선택단자를 선택하고, 제3선택단자는 제4스피커부(SP D)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utput of the third power amplifier Amp 3 is output to the fourth speaker SP D, the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is selected by the first selector 363. The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lection unit 365,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365 selects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speaker unit SP D. It is made to be connected.

신호 취합부(370)는 입력과 출력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연결해주는 수단이다. 즉, 제1선택부(363)와 제2선택부(365)에서 선택되어 연결된 신호선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스피커부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signal collector 370 is simply a means for physically connecting the input and the output. That is, i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line selected and connected by the first selector 363 and the second selector 365 to the speaker unit.

신호 취합부(370)에 LED(375)를 장착하여, 현재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게 할 수 있습니다. The LED 375 can be mounted on the signal collection unit 370 to display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수의 마이크 사용시 하울링 제거하기 위한 스피커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aker control method for removing howling when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 the present invention.

마이크 신호검출단계로 발언자가 마이크 사용을 하며(S10), 마이크로부터 음향신호를 검출하여 데이터처리부(270)로 전송한다(S20). 상기 음향신호는 신호레벨 검출부(240)에서 검출되어 신호변환부(260)에 변환된 신호이다.In the microphone signal detection step, the speaker uses a microphone (S10), detects an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data processor 270 (S20). The sound signal is a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level detector 240 and converted into a signal converter 260.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 결정단계로, 데이터처리부(270)는 음향신호가 검출된 마이크에 대한 프리셋(preset), 즉, 초기설정을 검색하여(S30), 마이크 신호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음향신호와 그 마이크의 프리셋을 비교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를 결정한다.In the current microphone determination step, the data processor 270 searches for a preset, that is, an initial setting, for the microphone from which the sound signal is detected (S30), and the sound signal detected in the microphone signal detection step and the microphone. Compare presets to determine which microphone is currently in use.

타겟 스피커 결정단계로,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 결정단계에서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가 결정되면,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의 타겟 스피커 정보를 읽어들여 타겟 스피커를 결정한다(S40). 메모리부(미도시)에는 각 마이크 위치와 그 마이크 위치에 대응되는 타겟 스피커가 기저장되어 있다.As the target speaker determination step, when the microphone currently being used is determined in the microphone determination step currently being used, the target speaker is determined by reading target speaker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currently being used (S40). Each microphone position and a target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microphone position ar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타겟 스피커의 차단 또는 억제단계로, 자동 경로 선택기(350)를 제어하여(S50), 현재 연결된 타겟 스피커를 차단(off)하거나 또는 볼륨을 낮춘다(S60).As the blocking or suppressing step of the target speaker,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is controlled (S50), so that the currently connected target speaker is turned off (off) or the volume is lowered (S60).

도 7은 도 3의 자동 경로 선택기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driving of the automatic path selector of FIG. 3.

초기화 단계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개시되면, 영역별 단말(110) 등을 통해 전에 설정하였던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110). In the initializing step,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to start an operation, the setting data previously set through the area-specific terminal 110 is reset (S110).

영역ID 카운터의 제1증가단계로, 영역ID 카운터를 증가한다. 영역ID 카운터는 현재 검색중인 영역의 식별번호(ID)를 나타낸다(S120). In a first incremental step of the area ID counter, the area ID counter is incremented. The area ID counter indicates an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area currently being searched (S120).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로, 비상신호가 입력(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30), 비상신호가 발생되었다면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S310)로 간다.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mergency signal has been input (generated) (S130), and if an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he identification number determination step (S310) of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area goes.

수동절체여부 판단단계로,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파워증폭기(310)를 절체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 수동으로 절체하였다면, 소정 파워증폭기(310)로 절체되었음을 알리는 절체신호를 주제어부(200)로 전송하고, 고장여부 판단단계(S190)으로 간다.In the manual switchover determination step, if the emergency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amplifier 310 has been manually switched by the operator (S140), and if the manual switchover, the predetermined power, The transfer signal indicating the transfer to the amplifier 310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200, and the flow goes to the determination step S190.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동일여부 판단단계로, 수동절체여부 판단단계에서 절체되지 않았다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비교하여(S150),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동일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S160), 동일하다면, 음향신호가 들어오지 않은 것이므로, 시스템, 즉, 데이터처리부(270)에서 설정한 시간값 만큼 딜레이시킨 후,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S130)로 되돌아간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if it is not transferred in the manual transfer decision determination step, by comparing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S1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signal (S160), If it is the same, since no sound signal is inputted, the system, that is, delayed by the time value set by the data processor 270, and then returns to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S130).

고장여부 판단단계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N)에 설정되어 있는 파워증폭기(310)가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S190)하고, 고장여부 판단단계에서 판단결과가 고장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S210)로 간다. 여기서 고장여부 판단은 데이터처리부(270)가 파워증폭기 상태검출부(361)의 출력신호와 입력신호가 같은지를 비교하여 고정여부를 판단한다.In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wer amplifier 310 set in the current area ID counter N is in a failure state (S190). Go to the increase step (S210). In this case, the failure determination is performed by the data processor 270 to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state detection unit 361 is the same as the input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fixed.

사용여부 판단단계로, 고장여부 판단단계(S190)의 결과로 고장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N)에 설정되어 있는 파워증폭기(310)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00), 사용중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S210)로 간다.In the use determination step, if it is not a failure as a result of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S19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wer amplifier 310 set in the current area ID counter (N) is in use (S200). The second increment step S210 of the area ID counter is reached.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다른 파워증폭기(310)로 교체하기 위해 영역ID 카운터를 1 증가한다(S210).In a second incremental step of the area ID counter, the area ID counter is incremented by one to replace another power amplifier 310 (S210).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로, 모든 영역의 파워증폭기(310) 전부를 고장여부를 검토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후, 영역ID 카운터의 값이 총 영역개수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S220), 같지 않다면, 고장여부 판단단계(S190)로 되돌아간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areas, the value of the area ID counter after the second increase step of the area ID counter to determine whether all the power amplifiers 310 of all areas have been examined for failure or no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s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areas (S220), and if not, the process returns to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S190).

상태표시단계로,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크다면, 모든 영역의 파워증폭기(310) 전부를 고장여부를 검토했는데, 유휴 파워증폭기(310) 중 고장이 아닌 것은 없다는 것으로, 상태표시부(275)로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고장이 없는 유휴 파워증폭기(310)가 없음을 표시하고(S230), 다음 사용을 위해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260).In the status display step, if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total area coun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total area count, all power amplifiers 310 of all the areas are examined for failure, and the idle power None of the amplifiers 310 is not a fault, and the status display unit 275 indicates that there is no idle power amplifier 310 which is not currently available (S230), and resets the setting data for the next use ( S260).

경로 변경단계로, 사용여부 판단단계에서 사용중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의 파워증폭기(310)로 대치(절체)하는 것으로 경로를 변경하고(S240), 상태표시부(275)로 현재 경로가 성공적으로 절체되었음을 표시하고(S250), 다음 사용을 위해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260).In the path changing step, if it is not in use status determination step, the path is changed by replacing (switching) with the power amplifier 310 of the current area ID counter (S240), and the current path is successfully performed by the status display part 275. Indicated that the transfer to (S250), and reset the setting data for the next use (S260).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S310)로,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되었다면, 현재의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을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식별번호로 한다(S310).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the identification number determination step (S310) of the emergency occurrence area is used a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rea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S310).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입력차단 단계로, 비상상황 발생 영역으로의 입력신호(입력되는 음향신호)를 모두 차단(mute)한다(S320).As an input blocking step of the emergency occurrence region, all of the input signals (input acoustic signals) to the emergency occurrence region are muted (S320).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판단하고(S330), 설정되어 있는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없다면, 비상상황 표시단계(S360)으로 간다.As a determination step of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S330), and if there is no emergency alarm broadcast set, it goes to the emergency display step (S360).

방송경로 절체단계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S330)에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다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E 지역)의 파워증폭기를 다른 파워증폭기로 절체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E 지역)의 전체 방송경로를 절체한다(S340).In the step of switching the broadcast path, if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n the step S330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the power amplifier of the region (region E)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is transferr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The entire broadcasting path of the region (region E) where the emergency occurs is switched (S340).

다시말해,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 즉, E 지역에 화재가 발생한 상황이므로,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입력차단 단계(S320)에서, 현재 방송중인 모든 음향신호를 차단한 후, 주제어부(2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이렌을 E 지역에 방송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이렌이 E지역에 연결되어 있는 파워증폭기로 입력될 수 있도록, 경로제어부(245)에서 경로를 절체하여 주어야 한다.In other words, since a fire has occurred in the region where the emergency occurred, that is, the region E, in the input blocking step S320 of the emergency occurrence region, after blocking all sound signals currently being broadcast, the main controller 200 The siren stored in the memory should be broadcasted to the region E. In this case, the route control unit 245 should switch the route so that the siren can be input to the power amplifier connected to the region E.

비상상황 표시단계로, 상태표시부(275)로 현재 비상상황임을 표시하고(S360), 다음 사용을 위해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260).In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step, the status display unit 275 indicates that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S360), and resets the setting data for the next use (S260).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서의 전반적인 스피커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verall speaker control method in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초기화 단계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개시되면, 영역별 단말(110) 등을 통해 전에 설정하였던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110). In the initializing step,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to start an operation, the setting data previously set through the area-specific terminal 110 is reset (S110).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로, 비상신호가 입력(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30), 비상신호가 발생되었다면(즉, 비상신호 발생이 T(True)라면),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S310)로 간다.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mergency signal has been input (generated) (S130), and if an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hat is, if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 (Tru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mergency occurrence area is determined. Go to step S310.

기능 활성 판단단계로,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어떤 기능도 사용되고 있지않는지를 판단하고(S135), 만약,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어떤 기능이 사용되어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즉,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활성화가 T(True)라면), 마이크의 사용여부 판단단계(S15)로 가고, 만약,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어떤 기능도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종료한다.In the function activation determination step, if no emergency signal is input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function of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is not used (S135), and if any function of the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is u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control acoustic system is activated (ie, if the activation of the multi-control acoustic system is T (True)), the process goes to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icrophone is used (S15), and if any function of the multi-control acoustic system is used. If not, exit.

마이크의 사용여부 판단단계로, 기능 활성 판단단계(S135)에서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마이크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S15), 아직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S130)로 되돌아간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 of the microphone, the multi-control sound system is activated in the function activation determination step (S13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microphone is used (S15), the microphone is not yet used,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30.

액티브 마이크 확인단계로, 마이크의 사용여부 판단단계에서 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사용중인 마이크를 확인하고(S25), 상기 마이크로부터 음향신호를 검출한다.In the active microphone check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icrophone is used in the use of the microphone, the microphone is checked (S25), and the soun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타겟 스피커 결정단계로, 데이터처리부(270)는 음향신호가 검출된 마이크에 대한 프리셋(preset), 즉, 초기설정을 검색하여(S30), 액티브 마이크 확인단계에서 검출된 음향신호와 그 마이크의 프리셋을 비교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를 결정하고,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가 결정되면,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의 타겟 스피커 정보를 읽어들여 타겟 스피커를 결정한다(S40).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speaker, the data processor 270 searches for a preset, that is, an initial setting, for the microphone from which the acoustic signal is detected (S30), and the acoustic signal detected in the active microphone checking step and the preset of the microphone. Compare the to determine the microphone currently in use, and if the microphone currently in use is determined, read the target speaker information of the microphone currently in use to determine the target speaker (S40).

타겟 스피커의 차단 또는 억제단계로, 자동 경로 선택기(350)를 제어하여(S50), 현재 연결된 타겟 스피커를 차단(off)하거나 또는 볼륨을 낮춘다(S60).As the blocking or suppressing step of the target speaker, the automatic path selector 350 is controlled (S50), so that the currently connected target speaker is turned off (off) or the volume is lowered (S60).

타겟스피커 차단 표시단계로, 상태표시부(275)로 현재 타겟 스피커의 차단 또는 억제됨을 표시하고(S70), 다음 사용을 위해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260).In the target speaker blocking display step, the status display unit 275 indicates that the current target speaker is blocked or suppressed (S70), and resets the setting data for the next use (S260).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S310)로,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되었다면, 현재의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을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식별번호로 한다(S310).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the identification number determination step (S310) of the emergency occurrence area is used a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rea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S310).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입력차단 단계로, 비상상황 발생 영역으로의 입력신호(입력되는 음향신호)를 모두 차단(mute)한다(S320).As an input blocking step of the emergency occurrence region, all of the input signals (input acoustic signals) to the emergency occurrence region are muted (S320).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판단하고(S330), 설정되어 있는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없다면, 비상상황 표시단계(S360)으로 간다.As a determination step of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S330), and if there is no emergency alarm broadcast set, it goes to the emergency display step (S360).

방송경로 절체단계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S330)에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다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파워증폭기를 다른 파워증폭기로 절체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전체 방송경로를 절체한다(S340).In the step of switching the broadcast path, if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n the step S330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the power amplifier in the area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s switch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entire broadcast path of the area is switched (S340).

비상상황 표시단계로, 상태표시부(275)로 현재 비상상황임을 표시하고(S360), 다음 사용을 위해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한다(S260).In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step, the status display unit 275 indicates that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S360), and resets the setting data for the next use (S26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done.

110 : 영역별 단말 150 : 전치 증폭기
200 : 주제어부 205 : 입력 인터페이스부
215 : 오디오 수신부 220 : 입력포트/UI
225 : 데이터 수신부 230 : 신호처리부
235 : 입력버퍼 240 : 신호레벨 검출부
245 : 경로제어부 250 : 레벨제어부
255 : 출력버퍼 260 : 신호변환부
265 : 통신부 270 : 데이터처리부
275 : 상태표시부 280 : 출력 인터페이스부
310 : 파워 증폭기, 파워 앰프 350 : 자동 경로 선택기
361 : 파워증폭기 상태검출부 363 : 제1선택부
365 : 제2선택부 367 : 파워증폭기 선택단자
368 : 기타 파워증폭기 선택단자 370 : 신호 취합부
390 : 스피커부 410 : 주제어 컴퓨터
420 : 화재수신반
110: terminal for each region 150: preamplifier
200: main control unit 205: input interface unit
215: Audio receiver 220: Input port / UI
225: data receiving unit 230: signal processing unit
235: input buffer 240: signal level detector
245: path controller 250: level controller
255: output buffer 260: signal conversion unit
265 communication unit 270 data processing unit
275: status display unit 280: output interface unit
310: power amplifier, power amplifier 350: automatic path selector
361: power amplifier state detection unit 363: first selection unit
365: second selector 367: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68: Other power amplifier selection terminal 370: Signal collecting unit
390: speaker unit 410: main computer
420: fire receiver

Claims (5)

삭제delete 영역별 단말, 다채널의 전치 증폭기, 주제어부, 다수개의 파워 앰프, 자동 경로 선택기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가는, 고장여부 판단단계;
고장여부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고장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중이라면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로 가는, 사용여부 판단단계;
다른 파워증폭기로 교체하기 위해 영역ID 카운터를 1 증가하는,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영역ID 카운터의 제2증가단계 후, 영역ID 카운터의 값이 총 영역개수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같지 않다면, 고장여부 판단단계로 되돌아가는,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큰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영역ID 카운터 값이 총 영역개수보다 크다면, 상태표시부로 현재 사용가능한 유휴 파워증폭기가 없음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상태표시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고장여부 판단단계의 앞단에는,
비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파워증폭기를 절체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동으로 절체하였다면, 소정 파워증폭기로 절체되었음을 알리는 절체신호를 주제어부로 전송하고, 고장여부 판단단계로 가는, 수동절체여부 판단단계;
수동절체여부 판단단계에서 절체되지 않았다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동일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동일하다면, 기 설정된 시간값 만큼 딜레이시킨 후,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로 되돌아가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동일여부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multi-controlled acoustic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for each area, a multi-channel preamplifier, a main controller,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an automatic path selector,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a failure, and if it is a failure, going to the second increasing step of the area ID counter;
In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if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not a failu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in use. Going to step, the use determination step;
A second incrementing step of the counter, incrementing the area ID counter by one to replace it with another power amplifier;
After the second increasing step of the area ID coun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the area ID counter is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areas, and if not,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areas, and returning to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
In the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count, if the area ID counter value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count, the status display indicates that there is no idle power amplifier currently available, and resets the setting data. step;
Including, but before the failure determination step,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gnal has been input;
If the emergency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by the operator whether the power amplifier has been manually switched, and if it has been manually switched, a transfer signal indicating that the power amplifier has been switched to the predetermined power amplifier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A manual transfer decision determination step, which goes to a failure determination step;
If it is not transferred in the manual transfer determination step,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signal, and if the same, delay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and then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identical;
The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사용여부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가 사용중이 아니라면,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에 대응되는 파워증폭기로 절체하는 것으로 경로를 변경하고, 상태표시부로 현재 경로가 성공적으로 절체되었음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경로 변경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f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is not in use at the use determination stage, the path is changed by switching to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and the current path is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A path changing step of displaying, and resetting the setting data;
The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비상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되었다면, 현재의 현재의 영역ID 카운터 값을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식별번호로 하는,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식별번호 판정단계 후, 비상상황 발생 영역으로의 입력신호를 모두 차단(mute)하는,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입력차단 단계;
비상상황 발생 영역의 입력차단 단계 후,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판단하고, 설정되어 있는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없다면, 비상상황 표시단계로 가는,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는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기 설정된 비상상황 경보방송이 있다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파워증폭기를 다른 파워증폭기로 절체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전체 방송경로를 절체하는, 방송경로 절체단계;
상태표시부로 현재 비상상황임을 표시하고, 설정 데이터들을 리셋하는, 비상상황 표시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f an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determining the current current area ID counter value a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rea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 input blocking step of the emergency generating region, after the identification number determination step of the emergency generating region, mutes all input signals to the emergency generating reg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and if there is no emergency alarm broadcast set, if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if there is a preset emergency alarm broadcast, the power amplifier of the area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s transferr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or the entire broadcasting path of the area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 broadcast path switching step;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current emergency situation with a status display unit and resetting setting data;
The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control acoustic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KR1020180046323A 2018-04-20 2018-04-20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KR102047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23A KR102047076B1 (en) 2018-04-20 2018-04-20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23A KR102047076B1 (en) 2018-04-20 2018-04-20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852A Division KR101866278B1 (en) 2014-11-26 2015-11-25 Multi-channel audio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472A KR20180048472A (en) 2018-05-10
KR102047076B1 true KR102047076B1 (en) 2019-11-21

Family

ID=6218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323A KR102047076B1 (en) 2018-04-20 2018-04-20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7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966B1 (en) * 2006-03-14 2006-06-08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Centralized public address power amplification apparatus for real-time access and the method therefor
JP2012098631A (en) * 2010-11-05 2012-05-24 Yamaha Corp Sound processing device
KR101247730B1 (en) * 2012-07-30 2013-03-26 최대종 A broadcasti2g system usi2g plural amp with auto-switchi2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103A (en) * 2009-03-13 2010-09-27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The public address preventing howling of a monitoring spe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966B1 (en) * 2006-03-14 2006-06-08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Centralized public address power amplification apparatus for real-time access and the method therefor
JP2012098631A (en) * 2010-11-05 2012-05-24 Yamaha Corp Sound processing device
KR101247730B1 (en) * 2012-07-30 2013-03-26 최대종 A broadcasti2g system usi2g plural amp with auto-switchi2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472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930B2 (en) Wireless microphone communication system
KR101972136B1 (en) The safet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using checking the speaker line
US20100008512A1 (en) Paging System
KR102251782B1 (en) Apparatus for smart processor with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47076B1 (en)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ystem
KR101866278B1 (en) Multi-channel audio system
JP2019215701A (en) Voice notification device
KR102502921B1 (en) Speaker and broadcast line tester device
US20230199415A1 (en) Acoustic monitoring using a sound masking emitter as a sensor
KR102103542B1 (en) Public address system for enabling real time and independent monitoring of speaker lines
KR101017681B1 (en) Digital network broadcasting system
CN108566612B (en) Loudspeaker detection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268600B1 (en)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self diagnosis
KR1020895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Amplifier Connected Type Line Fault Detecting and Blocking
KR101616965B1 (en) Method of providing audio signal and hybrid audio mixer performing the same
KR102245742B1 (en) Uninterrupted audio device using real-time audio amplifier detector technology
JP6628264B1 (en) Voice emergency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KR100698760B1 (en) Method of setting automatically an output and relay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571860B1 (en)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619990B1 (en) System for public address signal distribution with individual speaker path monitoring fuction, and methdo for operating the system
KR2017002859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ault module in public address and method thereof
KR101253710B1 (en) Broadcasting system for public facility
KR102078659B1 (en) Speaker device capable of self emergency broadcasting
KR100888252B1 (en)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speaker individually
KR100923577B1 (en) Broadcasting system using a power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