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261B1 -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261B1
KR102043261B1 KR1020170183968A KR20170183968A KR102043261B1 KR 102043261 B1 KR102043261 B1 KR 102043261B1 KR 1020170183968 A KR1020170183968 A KR 1020170183968A KR 20170183968 A KR20170183968 A KR 20170183968A KR 102043261 B1 KR102043261 B1 KR 10204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layer
layer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1431A (en
Inventor
황규환
이정훈
김종길
이찬희
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7018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6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07Resin-bonded materials, e.g. 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렌즈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패터닝 공정에 의해 기재필름 상에 제1패턴을 형성하여 시드몰드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을 공급하여 상기 시드몰드에 의한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렌즈층 상에 제2레진을 공급하여 평탄화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 상에 제2렌즈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이종의 렌즈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표면에 플랫한 렌즈층이 구현되도록 하여 기본 렌즈층(제1렌즈층)을 보호하면서도 해상도 및 입체감이 개선된 이종 렌즈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ns film and a lens film, the first step of forming a seed pattern by forming a first pattern on a base film by a patterning process, and supplying a first resin on the base film Forming a second lens layer on the first lens layer by a planarization process by supplying a second resin onto the first lens layer and forming a first lens layer by an imprinting process by the seed mold;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ird step to the technical gis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heterogeneous lens layer through a planarization process, and allows a flat lens layer to be implemented on the surface to protect the basic lens layer (first lens layer) while improving the resolution and stereoscopic heterogeneous lens fil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종 렌즈 필름{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Manufacturing method of heterogeneous lens film and heterogeneous lens film produc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hence}

본 발명은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렌즈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탄화 공정을 통해 이종의 렌즈층을 구현하여 기본 렌즈층을 보호하면서도 기능을 향상시킨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종 렌즈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ns film and a lens film, and in particular, to implement a different lens layer through a planarization process to protect the basic lens layer while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heterogeneous lens film and a heterogeneous film produced thereby It relates to a lens film.

최근의 면광원의 개발 추이를 살펴보면, 슬림화, 소형화, 저전력화 추세에 따라 엘이디(LED)를 적용한 직하 및 엣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개발이 활발하다.Looking at the recent development trend of surface light source, the development of direct and edge-type backlight assembly using LED (LED) is active according to the trend of slimmer, smaller and lower power.

엘이디(LED)는 강한 점광원으로써, 안정적인 수명과 저전력화에는 적합하지만, TV나 모니터 등 기타 면광원 소재에서 보면 점광원의 형태를 나타내어, 이를 다시 전체적으로 고른 빛을 나타내야 하는 면광원으로 바꾸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LED is a strong point light source, which is suitable for stable lifespan and low power, but it is difficult to change it into a surface light source that must show the shape of a point light source when viewed from other surface light source materials such as TVs and monitors. have.

일반적으로 엘이디를 디스플레이 전면에 균일한 밝기를 나타낼 수 있는 면광원으로 바꾸어 주기 위해 확산판 및 패턴도광판을 적용하고 있다.In general, a diffuser plate and a patterned light guide plate are applied to convert the LED into a surface light source capable of displaying uniform brightness on the front of the display.

최근에는 렌즈 어레이 특히 마이크로렌즈어레이(Micro Lens Array, MLA)에 대한 기술의 발전으로 마이크로렌즈어레이가 형성된 광학필름이 개발되어, 렌즈 어레이 광학필름과, 도광판 및 확산판이 함께 엘이디 유닛 전면에 사용되어 확산기능, 측면의 휘선차폐 및 정면 집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의 발전으로 2D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3D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for a lens array, in particular a micro lens array (MLA), an optical film in which a microlens array is formed has been developed. It is to perform the function, the shielding of the side blinds and the front condensing function, the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not only 2D display but also 3D display.

한편, Light field 3D 기술은 외부적인 장치 즉 예를 들면 편광안경 등과 같은 외적인 기구물을 이용한 방식과, 외부적인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3D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field 3D technology may be divided in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n external device such as polarized glasses, and a method of generating 3D by itself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후자의 경우 Parallax Barrier와 마이크로 렌즈 등을 이용하여 3D를 구현할 수 있다. 현재의 발전된 포토리소그래피 패턴 기술의 이용으로 무안경의 더욱 실감나는 3D를 가능케 한다.In the latter case, 3D can be implemented using Parallax Barrier and micro lens. The use of current advanced photolithographic pattern technology enables more realistic 3D of auto glasses.

Parallax Barrier 방식은 필터를 투명하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에 2D/3D간 변환이 쉽고 양산성도 좋아 현재 주류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눈의 피로, 휘도 저하, Crosstalk 문제, 좁은 시야각의 이유로 특정한 위치에서만 3D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e Parallax Barrier method can make the filter transparent, so it is easy to convert between 2D / 3D and mass-produced.It is currently used as the mainstream method. The disadvantage is that you can.

이러한 Parallax barrier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마이크로 렌즈는 빛을 특정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왼쪽/오른쪽의 서로 다른 눈으로 다른 이미지를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제된 렌즈를 일정하게 배열하여 보는 사람의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표현되는 방식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Parallax barrier method, a technique using a microlens can be applied. This microlens refracts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to send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ey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ranged in a constant manner, the image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viewer's angle.

그러나,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하는 방식 또한 사용자가 일정한 위치 내에서 있어야 최대의 3D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초점과 관찰자의 초점 조절의 불일치는 눈의 피로를 일으킨다. 심도가 클수록 눈의 피로는 더욱 가중되게 된다.However, the method using a micro lens also requires a user within a certain position to obtain the maximum 3D. Furthermore, discrepancies in focus and observer focusing cause eye fatigue. The greater the depth, the more the eye fatigues.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Full parallax(multi-view & Integral imaging)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가장 기대되는 기술로, 수평 시차뿐 아니라 수직 시차도 제공하여, 일정한 시야각 내에서는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시점을 가지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research on full parallax (multi-view & integral imag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and it is the most expected technology i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technology, and it provides constant parallax as well as horizontal parallax. In the viewing angle, a three-dimensional image having a natural and continuous view can be displayed.

마이크로렌즈어레이 광학필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렌즈가 원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공개특허 10-2011-92372호), 광학패턴 사이에 산란패턴을 형성하는 것(출원번호 10-2011-0096921호), 패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비정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출원번호 10-2012-0091641호) 등이 있다.As a related art of a microlens array optical film, the lens is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Patent Publication No. 10-2011-92372), forming a scattering pattern between the optical pattern (Application No. 10-2011-0096921) And forming an irregular pattern in which a pattern is irregularly formed (Application No. 10-2012-0091641).

이러한 마이크로렌즈어레이 광학필름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기재필름 표면에 감광성 수지층을 코팅하고, 상기 감광성 수지층 상부 또는 하부에 포토마스크를 위치시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상기 감광성 수지층을 경화시키고 현상하여 기재필름 상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스터 패턴이 형성된 마스터 필름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마스터 필름 상에 자외선 경화수지를 제공하여 롤투롤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한 후, 마스터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광학패턴(마이크로렌즈어레이)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제조하게 된다.In general, the microlens array optical film is coated with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on a surface of a base film, and a photomask is placed on or under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to cure and develop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 optical pattern (microlens) is formed by first forming a master film having an embossed or intaglio master pattern formed thereon, and performing a roll-to-roll or imprinting process by provid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on the master film, and then removing the master film. Array) is formed to produce an optical film.

이러한 광학패턴이 형성된 광학필름은 기존의 2D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상술한 Full parallax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다.The optical film having the optical pattern formed thereon has been applied to the aforementioned full parallax type 3D display as well as the existing 2D display.

종래의 마이크로렌즈어레이에서의 각 렌즈의 형태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또는 구면 렌즈(Spherical lens)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microlens array, the shape of each lens is generally used in the form of a lenticular lens or a spherical lens.

그러나, 이러한 렌즈의 형태는 외곽에서 렌즈 사이의 골, 돌기 등이 만져지거나 노출되어 사용환경 또는 제품화에 있어서 돌기된 형태 또는 오목한 형태에 의해 렌즈의 형태가 변형되기가 쉽고, 골 사이에 먼지가 끼거나 이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렌즈의 투명도가 변하게 되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lens is easy to deform the shape of the lens due to the protrusion or concave shape in the use environment or commercialization because the bone, protrusions, etc. between the lens is touched or exposed from the outside, the dust between the bones It is not easy to remove or remove it, thereby changing the transparency of the lens to shorten the life of the product.

또한 이는 광산란, 난반사 등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상도, 입체감(깊이감) 및 시인성 저하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is causes light scattering, diffuse reflection, and the like, thereby causing resolution, three-dimensional (depth), decrease in visibility, and the like.

이러한 문제점은 Full parallax 방식의 적용시 더욱 큰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상용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This problem may be a bigger obstacle when applying the full parallax method, and may be an obstacle to commercializa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탄화 공정을 통해 이종의 렌즈층을 구현하여 기본 렌즈층을 보호하면서도 해상도, 입체감 및 시인성을 개선시키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종 렌즈 필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implementing a different lens layer through a planarization process to protect the basic lens layer while improving the resolution, three-dimensional and visibility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fferent lens film It aims at providing the heterogeneous lens film manufactured by the ab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터닝 공정에 의해 기재필름 상에 제1패턴을 형성하여 시드몰드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을 공급하여 상기 시드몰드에 의한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렌즈층 상에 제2레진을 공급하여 평탄화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 상에 제2렌즈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eed mold by forming a first pattern on a base film by a patterning process, and imprinting by the seed mold by supplying a first resin on a base film.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lens layer by a process; and a third step of forming a second lens layer on the first lens layer by a planarization process by supplying a second resin on the first lens lay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 상에 형성되며, 제1레진으로 형성된 제1렌즈층과, 상기 제1렌즈층 상에 형성되며, 제2레진으로 형성되어 표면이 플랫한 제2렌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렌즈층 및 제2렌즈층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ilm, a second lens formed on the base film, the first lens layer formed of a first resin, and the second lens formed on the first lens layer, the second resin is flat surf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ns layer,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has a different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ive index is different from another technical gist.

또한, 상기 제1렌즈층과 제2렌즈층은, 제1레진과 제2레진의 종류에 따라 굴절률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렌즈층과 제2렌즈층 중 굴절률이 높은 렌즈층의 경우에는, 상기 제1레진 또는 제2레진에 고굴절입자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and among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 refractive particles are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resin or the second resin.

여기에서, 상기 고굴절입자는,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지르코니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바륨티타네이트, 알루미나 및 실리카 중 하나 이상 포함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igh refractiv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titanium oxide, tin oxide, zirconia, zinc oxide, magnesium oxide, barium titanate, alumina and silica.

또한, 상기 제1렌즈층 및 제2렌즈층 간의 접착증진을 위해 상기 제1레진 및 제2레진의 반응속도 또는 경화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adhesion between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reaction rate or degree of curing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또한, 상기 제1렌즈층은,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마이크로(Micro) 렌즈 어레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층은, 표면이 플랫(Flat)하거나, 또는 표면에 안티 글레어(Anti-Glare) 패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ens layer may be formed of a lenticular or micro lens array, and the second lens layer may have a flat surface or an anti-glare pattern on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is is formed.

또한,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이 상기 제2렌즈층의 굴절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또한,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과 제2렌즈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15~0.35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is 0.15 to 0.35.

또한, 상기 제1렌즈층의 두께는 5~100㎛이고, 상기 제2렌즈층의 두께는 상기 제1렌즈층의 최상부에서부터 3~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렌즈층의 골과 베이스필름의 표면 사이의 거리는 2~3㎛로 베이스층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ens layer is 5 ~ 100㎛,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ens layer is preferably 3 ~ 30㎛ from the top of the first lens layer, the valley and the base of the first lens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s of a film forms a base layer at 2-3 micrometers.

또한, 상기 제1단계는, 기재필름 상에 포토레지스트층을 코팅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 상부 또는 하부에 포토마스크를 위치시켜 포토리소그라피 패터닝 공정에 의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기재필름 상에 상기 제1렌즈층의 패턴에 대응하는 제1패턴이 형성된 시드몰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step, the photoresist layer is coated on the base film, the photomask is positioned on or below the photoresist layer, and the photoresist layer is patterned by a photolithography pattern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a seed mold having a first pattern formed there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first lens layer.

또한, 상기 제3단계의 평탄화 공정은, 표면이 매끄러운 평탄화 롤(Roll)에 의해 구현되거나, 표면에 상기 제2렌즈층의 패턴에 대응하는 제2패턴이 구현된 평탄화 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평탄화 공정은, 소프트(Soft) 경화 후 하드(Hard) 경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narization process of the third step may be implemented by a planarization roll having a smooth surface or a planarization roll having a secon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second lens layer on the surface. In the planarization process, hard curing is performed after soft curing.

또한, 상기 평탄화 공정은, 롤투롤(Roll-to-Roll)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narization process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a roll-to-roll proc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이종의 렌즈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표면에 플랫한 렌즈층이 구현되도록 하여 기본 렌즈층(제1렌즈층)을 보호하면서도, 난반사를 제거함으로써 해상도 및 입체감이 개선된 이종 렌즈 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heterogeneous lens layer through a planarization process, and a flat lens layer is implemented on the surface to protect the basic lens layer (first lens layer) while eliminating diffuse reflection, thereby improving resolution and stereoscopic effect.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heterogeneous lens film.

또한, 표면의 플랫한 렌즈층에 의해 기본 렌즈층의 형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렌즈 사이의 골, 돌기 등이 만져지지 않아 사용환경 또는 제품화에 있어서 렌즈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보존시킬 수 있으며, 골 사이에 먼지가 끼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basic lens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lat lens layer on the surface, bones, protrusions, etc. between the lenses are not touched, and thus the shape of the lens can be permanently preserved in the use environment or commercialization. There is no effect between the dust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굴절률의 조절이 용이하여 더욱 높은 해상도, 입체감 있는 3D 영상을 얻을 수 있어, 기본적으로 광학 필름에 적용할 수 있으며, 2D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3D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refractive index to obtain a higher resolution, three-dimensional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applied to the optical film basical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not only 2D display but also 3D display.

아울러 Full parallax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에의 적용이 가능하여 그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3D display of full parallax type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ts commercialization.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이종 렌즈 필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
1-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heterogeneous lens film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이종의 렌즈층을 구현하여 기본 렌즈층을 보호하면서도 해상도, 입체감 및 시인성을 개선시키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종 렌즈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nd a heterogeneous lens film manufactured thereby to implement a heterogeneous lens layer through a planarization process to protect the basic lens layer while improving resolution, stereoscopicity and visibility and improving durability of the product. will b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이종 렌즈 필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Figur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tero-lens film produc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은 패터닝 공정에 의해 기재필름 상에 제1패턴을 형성하여 시드몰드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을 공급하여 상기 시드몰드에 의한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렌즈층 상에 제2레진을 공급하여 평탄화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 상에 제2렌즈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eed mold by forming a first pattern on a base film by a patterning process, and supplying a first resin on a base film. Forming a second lens layer on the first lens layer by a planarization process by supplying a second resin on the first lens layer by an imprinting process using a seed mold and supplying a second resin on the first lens layer; It comprises a third step.

본 발명에서의 이종(異種) 렌즈는 기본적으로 형태 또는 재료가 다르거나, 그 물리적인 성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렌즈층을 이루는 구조를 의미한다.The heterogeneous lens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means a structure that forms two or more kinds of lens layers having different shapes or materials or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은 먼저 패터닝 공정에 의해 기재필름 상에 제1패턴을 형성하여 시드몰드를 제조한다(제1단계).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seed pattern is manufactured by forming a first pattern on a base film by a patterning process (first step).

구체적으로는 기재필름 상에 포토레지스트층을 코팅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 상부 또는 하부에 포토마스크를 위치시켜 포토리소그라피 패터닝 공정에 의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기재필름 상에 상기 제1렌즈층의 패턴에 대응하는 제1패턴이 형성된 시드몰드를 제조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photoresist layer is coated on the base film, the photomask is positioned on or below the photoresist layer, and the photoresist layer is patterned by a photolithography patterning process to form the first lens on the base film. The seed mold having the firs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layer is formed.

상기 기재필름은 포토레지스트의 종류에 따라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즉, negative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투명한 재질을, positive 포토레지스트의 경우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film may be a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 according to the type of photoresist. That is,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negative photoresist, and a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positive photoresist.

일실시예로, negative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는 겨우,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며, 또한 롤투롤 공정이 가능하도록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using a negative photoresist, it is preferable that a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to transmit light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also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to enable the roll-to-roll process.

이러한 기재필름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글라스,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스타이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The base film is a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 using any one of glass, silicon,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ic,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가격이 저렴하고 투명성, 내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한다.In particula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used which is inexpensive and has excellent transparency, durability and processability.

이러한 기재 필름 상에 포로리소그라피에 의한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층을 코팅하며, 코팅방법은 공지된 방법에 따른다.A photoresist layer is coated on the base film to perform a patterning process by porolithography, and the coating method is in accordance with a known method.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은 작업 환경이나 패턴의 형태 등에 따라 positive 또는 negative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드몰드의 제1패턴의 형태도 마이크로렌즈어레이 패턴에 대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resist layer may use a positive or negative photoresist according to a working environment or a shape of a pattern. Accordingly, the first pattern of the seed mold may be formed in an intaglio or embossed form with respect to the microlens array pattern.

그리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 상부 또는 하부에 포토마스크를 위치시키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는 포토리소그라피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기재필름 상에 마이크로렌즈어레이 패턴에 대응하는 제1패턴이 형성된 시드몰드를 제작한다.A seed mold having a first pattern corresponding to a microlens array pattern is formed on the base film by performing a photolithography patterning process of placing a photomask on or below the photoresist layer and patterning the photoresist layer. To produce.

즉, 본 발명에 따른 시드몰드는 제1패턴 및 기재필름이 모두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어 소프트 몰드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 소프트 몰드는 후술할 공정에서 이형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면서, 롤투롤과 같은 연속 공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at is, the seed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pattern and the base film are all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to provide a soft mold, the soft mold is a continuous, such as roll to roll, while easily releasing in a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cess has the advantage of being possi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기재필름 상에 포토레지스트층을 코팅하고, 포토레지스트층 하부에 포토마스크를 위치시키고, 포토마스크 측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이 조사된 부분은 경화되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은 미경화된 상태로 남게 된다(negative).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hotoresist layer is coated on a base film, a photomask is placed below the photoresist layer, and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from the photomask side, the UV-irradiated portion is cured. And the unirradiated portion is left uncured.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화방식은 기재필름 및 포토레지스트층과 포토마스크 사이에 광원의 경로(각도), 세기, 반응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광경화성 포토레지스트층의 감광성, 현상액의 농도 및 종류, 마스크패턴의 간격, 형상, 크기 등의 조절을 통해 포토레지스트층 내부의 경화되는 부분 또는 경화되지 않는 부분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Here, in the c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layer for controlling the path (angle), intensity, reaction rate, etc. of the light source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photoresist layer and the photomask.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photosensitivity of the photocurable photoresist layer, the concentration and type of the developer, the spacing, shape, size, etc. of the mask patter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rea of the cured or uncured portion inside the photoresist layer.

도 1에 도시된 부분은 포토마스크의 마스크 패턴에 의해 가려진 영역에 의해 반원형(Hemispheric pattern) 영역에만 경화가 발생하지 않고 그 외의 영역에서는 경화가 이루어져 현상과정을 거치게 되면 음각패턴(제1패턴)이 형성된 시드몰드가 형성되게 된다.1, the hardening does not occur only in the hemispheric pattern area by the area covered by the mask pattern of the photomask, but hardening occurs in other areas. The formed seed mold will be formed.

여기에서 상기 시드몰드를 이용하여 한 번 더 상기의 패터닝 공정을 거치게 되면 이와는 역상의 양각패턴(제1패턴)이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시드몰드는 베이스몰드가 된다. 즉, 최종적인 제품의 패턴을 각인시키는 몰드가 시드몰드가 된다.In this case, when the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once more using the seed mold, an inverse embossed pattern (first pattern) is formed. In this case, the seed mold becomes a base mold. That is, the seed mold is a mold that imprints the final product pattern.

베이스몰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재필름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유무기 기판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실리콘 웨이퍼 등 모두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base mold is to be u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base film, and both organic and inorganic substrate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glass, silicon wafers, and the like may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몰드는 마이크로렌즈어레이의 패턴에 따라 그 자체로 시드몰드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역상의 마이크로렌즈어레이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몰드 상의 음각패턴을 완전 경화시킨 후, 기재필름 상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한 번 더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이크로렌즈어레이 패턴에 따라 임프린팅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재필름은 소프트 몰드 제작을 위해 상술한 폴리머 재질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mold may be a seed mold by itself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microlens array, or in the case of forming a reverse microlens array pattern, the base mold is completely cured on the intaglio pattern on the base mold. Thereafter, the photoresist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ase film, and the photoresist layer may be further imprinted according to the microlens array pattern. Here, the base film is preferably the above-described polymer material for soft mold production.

즉, 포토레지스트층의 종류나 마이크로렌즈어레이 패턴에 따라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최종 시드몰드 제작을 위해 임프린팅 공정을 한 번 더 거침으로서 양각 또는 음각패턴의 시드패턴(제1패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That is, the imprinting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photoresist layer or the microlens array pattern, and the seed pattern of the embossed or intaglio pattern is subjected to the imprinting process once more to manufacture the final seed mold (the first pattern). You can also have

이와 같이 상기 시드패턴인 제1패턴은 마이크로렌즈어레이 패턴에 대응하여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게 되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제1패턴이 제1렌즈층의 패턴의 역상인 음각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As such, the seed pattern may be embossed or engraved to correspond to the microlens array pattern,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hotoresist layer as described above, and FIG. 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is formed as an intaglio pattern which is an inverse of the pattern of the first lens lay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의하면, 상기 시드패턴인 제1패턴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다각형, 반구형, 타원형 및 프리즘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또는 이들 패턴의 일부가 병합된 형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variety of forms of the first pattern which is the seed pattern. For example, any one of polygonal, hemispherical, elliptical and prismatic forms,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 portion of these patterns may be merged.

또한, 이러한 다각형, 반구형, 타원형 및 프리즘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의 패턴이 육각형태로 배열되거나 사각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se polygonal, hemispherical, elliptical, and prismatic patterns,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or in a rectangular shape.

이러한 패턴의 형태 및 배열 형태는 마이크로렌즈어레이의 신뢰성 및 광학 특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배열에 따른다.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attern depends on the efficient arrangement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microlens array.

그리고,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을 공급하여 상기 시드몰드에 의한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을 형성한다(제2단계).Then, the first resin is supplied onto the base film to form a first lens layer by an imprinting process using the seed mold (second step).

상기 베이스필름은 유무기 기판 예컨대, 글라스, 실리콘,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공정 환경이나 용도에 따라 유연한 또는 단단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film may be a flexible or hard material depending on the process environment or application, such as organic or inorganic substrates, such as glass, silicon, acryl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and the like. .

상기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레진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는 소재로, 일반적인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resin is supplied onto the base film. The first resin is a material that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and may use a photoresist used in a general photolithography process.

예컨대 방사선 경화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또는 굴절율을 조절한 치환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SU-6, SU-7 등 또는 fluorine(불소) 계열의 아크릴 수지 또는 불소관능기가 포함된 수지, 방향족 관능기가 있는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radiation-curable epoxy acrylate, urethane acrylate, polyester acrylate, or a refractive index controlled substituent may be used, and include SU-6, SU-7, or a fluorine-based acrylic resin or fluorine functional group. Used resins, acrylic resins with aromatic functional groups and the like can be used.

이러한 제1레진을 베이스필름 상에 공급하여 제1레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레진층 상부로 상기 제1패턴이 형성된 시드몰드를 위치시켜 임프린팅 후 경화하는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resin is supplied onto the base film to form a first resin layer, and an imprinting process of hardening after imprinting by placing a seed mold on which the first pattern is formed is placed on the first resin layer.

상기 임프린팅 공정 후 상기 시드몰드를 필오프시켜,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턴의 역상인 제1렌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렌즈층의 형성은 베이스필름 및 기재필름이 유연한 재질로 사용되었다면 롤투롤(Roll-to-Roll)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After the imprinting process, the seed mold is peeled off to form a first lens layer formed of a first resin on a base film and having a reversed phase of the first pattern. The formation of the first lens layer on the base film is also possible by a roll-to-roll imprinting process if the base film and the base film are used as a flexible material.

여기에서, 상기 임프린팅 공정 시 경화는 제1레진 및 후술할 제2레진의 종류, 렌즈의 형태 등에 따라 소프트(soft)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시드몰드와의 필오프의 용이성 외에, 후술할 제2렌즈층과 제1렌즈층 간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부분 경화에 의해 상기 제1레진의 반응속도 또는 경화정도를 조정하여 미반응 관능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그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curing during the imprin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soft cur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to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of the lens, and the like. This is to enhance the adhesion between the second lens layer and the first lens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ease of peeling off from the seed mold. That is, by adjusting the reaction rate or degree of curing of the first resin by partial curing, the adhesive forc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unreacted functional groups.

상기 제1렌즈층은 상기 시드몰드의 제1패턴의 역상 예컨대,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마이크로(Micro)렌즈어레이로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반구형, 타원형 및 프리즘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또는 이들 패턴의 일부가 병합된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lens layer may be formed of a reverse phase of the first pattern of the seed mold, for example, a lenticular or micro lens arr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one of polygons, hemispherical shapes, ellipses, and prisms,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 part of these patterns may be combined.

또한 상기 제1렌즈층의 두께는 제품 사양이나 용도에 따라 5~100㎛로 형성되며, 이는 초점거리를 고려하여 형성한다. 또한,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상기 제1렌즈층의 골과 베이스필름의 표면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베이스층은 2~3㎛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ens layer is formed to 5 ~ 100㎛ according to product specifications or applications, which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ocal length. In addition, the base laye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alley of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to be generated by the imprinting process is preferably formed in 2 ~ 3㎛.

상기 베이스층은 임프린팅 공정시 압력이나 시드몰드에서의 제1패턴의 형태에 따라 두께가 조절되게 되며, 이의 존재로 렌즈의 형상이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시켜준다.The base layer has a thickness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r the shape of the first pattern in the seed mold during the imprinting process, and the presence of the base layer maintains a stable shape without collapsing the shape of the lens.

그리고, 상기 제1렌즈층 상에 제2레진을 공급하여 평탄화 공정에 의해 제1렌즈층 상에 제2렌즈층을 형성한다(제3단계).Then, a second resin is supplied onto the first lens layer to form a second lens layer on the first lens layer by a planarization process (third step).

상기 제2레진 또한 상기 제1레진과 유사하게 자외선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진의 설명시 열거되었던 레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제1레진과는 다른 종류의 레진을 사용한다.The second resin may also use a material that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similarly to the first resin. Resin lis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resin can be used, but a different type of resin than the first resin is used.

이러한 제2레진을 제1렌즈층 상에 공급하여 평탄화 공정에 의해 제2레진으로 이루어진 제2렌즈층을 형성한다.The second resin is supplied onto the first lens layer to form a second lens layer made of the second resin by a planarization process.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제1렌즈층에 형성된 제2렌즈층이 평면 즉 플랫(flat)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렌즈층의 아랫부분은 상기 제1렌즈층의 렌즈의 골에 균일하게 유입되고, 표면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planarization process is such that the second lens layer formed on the first lens layer is formed in a flat shape, that is, in a flat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ens layer is uniform in the valley of the lens of the first lens layer. Flowing in, the surface is formed in a flat shape.

이러한 제2렌즈층의 형성을 위해 평탄화 공정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는 레진의 종류 및 제2렌즈층의 두께 등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In order to form the second lens layer,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during the planarization process, whi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n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ens layer.

예컨대 상기 평탄화 공정은, 도 1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평탄화 롤(Roll)에 의해 구현되거나, 표면에 상기 제2렌즈층의 패턴에 대응하는 제2패턴이 구현된 평탄화 롤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For example, the planarization process may be implemented by a planarization roll having a smooth surface as illustrated in FIG. 1, or by a planarization roll having a secon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second lens layer on the surface.

즉, 상기 제2렌즈층은 표면이 플랫(Flat)하거나, 또는 표면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평탄성을 해치지 않을 정도의 패턴으로 예컨대 안티 글레어(Anti-Glare) 기능이 발현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urface of the second lens layer may be flat or a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However, the second lens layer may have a pattern that does not impair the flatness, for example, a pattern in which an anti-glare function is expressed. Can be.

상기 제2레진층의 두께는 상기 제1렌즈층의 최상부에서부터 3~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더 얇은 경우에는 표면의 평탄성이 낮게 되며, 이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초점거리가 달라지게 되어 렌즈의 설계를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즉, 제품의 용도나 사양에 따라 초점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1레진층의 두께 및 제2레진층의 두께를 설정하게 된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 is preferably 3 ~ 30㎛ from the top of the first lens layer. If it is thinner than this, the surface flatness will be low, and if it is higher than this, the focal length will be changed and the design of the lens should be performed again.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use or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층과의 접착력 증진을 위해서 소프트(Soft)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제1렌즈층과 제2렌즈층 간의 미반응 관능기 및 레진의 표면 화학 반응성 조정을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그 후에 하드(Hard) 경화를 수행하여 렌즈의 형태를 완전히 안정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2레진의 반응속도 또는 경화정도를 조정하여 제1렌즈층과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oft curing may be performed to improve adhesion to the first lens layer. This is to improve adhesion by adjusting the surface chemical reactivity of the unreacted functional group and the resin between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and then hard harden to completely stabilize the shape of the lens. That is, by adjusting the reaction rate or degree of curing of the second resin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first lens layer.

상기의 평탄화 공정은 롤투롤 공정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The planarization process may be implemented by a roll-to-roll process, which is illustrated in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층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예컨대 PET 필름)이 공급롤에 감겨져서 연속적으로 풀리면서 공급되고, 최종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렌즈 필름은 수거롤에 의해 다시 감기게 된다. 이러한 공급롤 및 수거롤의 회전속도는 광경화를 위한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회전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base film (for example, PET film) on which the first lens layer is formed is wound on a supply roll and continuously unwound, and the heterogeneous lens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wound by a collection roll. .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eed roll and the collection roll is rot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photocuring.

상기 공급롤로부터 공급되는 제1렌즈층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은 보조롤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 배치된 평탄화 롤에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평탄화 롤 일측에서 제2레진을 공급하여 상기 제1렌즈층 상에 제2레진이 공급된 후 평탄화 롤에 제1렌즈층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base film having the first lens layer supplied from the supply roll is supplied to the flattening roll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by the auxiliary roll. In this case, the second resin is supplied from one side of the flattening roll so that the second resin is supplied onto the first lens layer, and then the base film having the first lens layer formed on the flattening roll is supplied.

상기 평탄화 롤은 표면이 플랫하게 형성되거나, 표면에 안티 글레어 효과를 낼 수 있을 정도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렌즈층의 두께와 제1렌즈층의 렌즈 골 사이에 균일하게 제2렌즈층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경화 공정이 수행되게 된다.The flattening roll may have a flat surface, or may have a pattern that may have an antiglare effect on the surface, and may uniformly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ens layer and the lens valley of the first lens layer. A constant pressure is applied to form the layer and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경화 공정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층 및 제2렌즈층 간의 접착력 증진을 위해서 소프트 경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하드 경화가 수행되어 안정적으로 렌즈의 형태를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소프트 경화 및 하드 경화와 같은 부분 경화 공정은 레진의 종류나 렌즈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uring process, soft curing may be performed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Then hard curing is performed to stably fix the shape of the lens. Here, a partial curing process such as soft curing and hard curing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n or the shape of the lens.

이와 같이 패터닝 공정에 의해 시드몰드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층을 형성하고, 평탄화 공정에 의해 상기 제1레진층 상에 제2레진층을 형성한다.As such, a seed mold is formed by a patterning process, a first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base film by an imprinting process, and a second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resin layer by a planarization process.

상기 제1레진층 및 제2레진층은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그 물리적 특성이 상이하게 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굴절률 제어를 위해 상기 제1렌즈층 및 제2렌즈층의 굴절률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o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refractive index control. It is done.

즉, 입사된 빛이 특정한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여 원하는 해상도 및 입체감 등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2D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3D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That is, as the incident light is refract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achieve a desired 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effect, it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2D display but also a 3D displa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레진층과 제2레진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15~0.35로 형성되며, 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굴절률 차이가 미미하여 굴절 효과를 기대하기에 미흡하며,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고굴절 레진의 구현이 어려워 공정의 재현성이 떨어지고 복잡화되게 된다.Preferabl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is formed in the range of 0.15 to 0.35. If the difference is lower than this,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insignificant, which is insufficient to expect the refractive effect. This difficulty makes the process less reproducible and complicated.

특히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이 제2렌즈층의 굴절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굴절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제품의 사양이나 용도에 따라 이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레진층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게 된다.In particula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which is to maximize the refractive effect.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and the use of the product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is case, total reflection occurs in the second resin layer.

한편, 제1레진과 제2레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는 소재로, 예컨대 방사선 경화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또는 굴절율을 조절한 치환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SU-6, SU-7 등 또는 fluorine(불소) 계열의 아크릴 수지 또는 불소관능기가 포함된 수지, 방향족 관능기가 있는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1레진과 제2레진은 서로 다른 종류의 레진을 사용하여 굴절률 차이를 둘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material that is cured by ultraviolet light, for example, radiation-curable epoxy acrylate, urethane acrylate, polyester acrylate or a substituent that adjusts the refractive index, etc. And SU-6, SU-7, or a fluorine-based acrylic resin or a resin containing a fluorine functional group, an acrylic resin having an aromatic functional group, and the like, wherein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Different types of resin can be used to vary the refractive indices.

기본적으로 굴절률 차이를 두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고굴절레진이나 저굴절레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굴절레진이 아니더라도 고굴절입자를 포함시켜 고굴절레진을 구현할 수 있다.Basically, high refractive resin or low refractive resin can be used to make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high refractive resin can be realized by including high refractive particles even if it is not high refractive resin.

예컨대 고굴절레진은 방향족 관능기가 있는 아크릴 수지에 고굴절입자를 분산시켜 형성하거나, 저굴절레진은 fluorine(불소) 계열의 아크릴 수지 또는 불소관능기가 포함된 수지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물론 저굴절레진에 고굴절입자를 포함시키면 고굴절레진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igh refractive resin may be formed by dispersing high refractive particles in an acrylic resin having an aromatic functional group, or the low refractive resin may include a fluorine-based acrylic resin or a resin containing a fluorine functional group. Of course, including the high refractive particles in the low refractive resin can be a high refractive resin.

상기 고굴절입자는 무기 나노입자 예컨대,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지르코니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바륨티타네이트, 알루미나 및 실리카 중 하나 이상 포함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The high refractive particles may be formed of inorganic nanoparticles such as titanium oxide, tin oxide, zirconia, zinc oxide, magnesium oxide, barium titanate, alumina and silica.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지름이 1~50nm로, 레진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을 개질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 개질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며, 예컨대 나노입자 표면을 고분자로 코팅하거나 분산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The inorganic nanoparticles may have a diameter of 1 to 50 nm, and may be added by modifying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to improve dispersibility in the resin. Surface modification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is made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s may be coated with a polymer or a dispersant, a surfactant, or the like may be ad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아크릴 올리고머 2~40중량부, 아크릴 모노머 10~70중량부, 무기 나노입자 1~10중량부, 개시제 1~5중량부, 첨가제 1~5중랑부로, 굴절률에 따라 각 성분들을 조절하여 사용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oligomer 2 to 40 parts by weight, the acrylic monomer 10 to 70 parts by weight, inorganic nanoparticles 1 to 10 parts by weight, initiator 1 to 5 parts by weight, additives 1 to 5 middle parts, each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Adjust the ingredi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이종 렌즈 필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heterogeneous lens film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T 필름(베이스필름) 상에 제1렌즈층으로 볼록렌즈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플랫렌즈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렌즈층은 상기 제2렌즈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제1레진으로 방향족 관능기가 있는 아크릴 수지에 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첨가하였다.A convex lens is formed as a first lens layer on a PET film (base film), and a flat lens is formed thereon. The first lens layer has a relatively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lens layer, and zirconia nanoparticles are added to the acrylic resin having an aromatic functional group as the first resin.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은 1.65~1.7이고, 제2렌즈층의 굴절률은 1.4로 관찰되었으며, 굴절률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was 1.65 to 1.7,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was observed as 1.4, it was confirmed that the refractive index control i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이종의 렌즈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표면에 플랫한 렌즈층이 구현되도록 하여 기본 렌즈층(제1렌즈층)을 보호하면서도, 굴절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난반사를 제거함으로써 해상도, 입체감 및 시인성을 개선시키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heterogeneous lens layer through a planarization process, and a flat lens layer can be implemented on the surface to protect the basic lens layer (first lens layer), while easily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and diffuse reflection. By eliminating th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solution, three-dimensional and visibility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laims (25)

기재필름 상에 포토레지스트 층을 공급한 후, 포토리소그라피 패터닝 공정에 의해 상기 기재필름의 반대 편을 향해 개구되도록 복수의 오목한 반구 형상을 갖는 제1패턴을 형성하여 시드몰드를 제조하는 제1단계;
베이스필름 상에 제1레진을 공급하여 상기 시드몰드에 의한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상기 베이스필름을 노출시키도록 복수의 볼록렌즈를 갖는 제1렌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렌즈층 상에 제2레진을 공급하여 평탄화 공정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볼록렌즈 사이의 골을 채우면서 상기 복수의 볼록 렌즈를 덮도록 상기 제1렌즈층 상에 플랫 렌즈의 제2렌즈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층과 상기 제2 렌즈층은, 엘이디 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제1렌즈층과 상기 제2렌즈층을 순차적으로 바라보는 광에 대해 상기 제1렌즈층과 상기 제2렌즈층 중 상기 제1렌즈층을 지나서 사람의 좌우 눈에 다른 이미지를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Supplying a photoresist layer on the base film, and then forming a seed mold by forming a first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hemispherical shapes to be open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film by a photolithography patterning process;
Supplying a first resin onto a base film to form a first lens layer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to expose the base film by an imprinting process by the seed mold; And
The second lens layer of the flat lens on the first lens layer to cover the plurality of convex lenses while supplying a second resin on the first lens layer to fill the valley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x lenses by a planarization process. To include; a third step;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of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with respect to light irradiated from an LED unit to sequentially look at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 passing a different imag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person past the first lens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층은,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마이크로(Micro) 렌즈 어레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layer,
Method of produc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ticular (Lenticular) or Micro (Micro) lens arr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층은,
표면이 플랫(Flat)하거나,
또는 표면에 안티 글레어(Anti-Glare)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lens layer,
The surface is flat,
Or an anti-glare (Anti-Glare)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heterogeneous lens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이 상기 제2렌즈층의 굴절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과 제2렌즈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15~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0.15 ~ 0.3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공정은,
롤투롤(Roll-to-Roll)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narization process,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a roll-to-roll process.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상에 형성되며, 제1레진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볼록 렌즈로 이루어진 제1렌즈층;
상기 베이스필름 상에서 상기 복수의 볼록 렌즈 사이를 채우도록 상기 제1렌즈층 상에 형성되며, 제2레진으로 형성되어 표면이 플랫한 제2렌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층은 상기 제2렌즈층보다 더 큰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2렌즈층은 개별 볼록 렌즈의 첨점에서 보다 개별 볼록 렌즈들 사이의 골에서 더 두껍고,
상기 제1렌즈층과 상기 제2 렌즈층은, 엘이디 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제1렌즈층을 지나는 광에 대해 상기 제1렌즈층과 상기 제2렌즈층 사이의 경계에서 전반사를 일으켜 사람의 좌우 눈에 다른 이미지를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
Base film;
A first lens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and formed of a first resin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And a second lens layer formed on the first lens layer so as to fill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x lenses on the base film, and formed of a second resin to have a flat surface.
The first lens layer has a larg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lens layer,
The second lens layer is thicker in the valleys between the individual convex lenses than at the peaks of the individual convex lenses,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are totally reflec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second lens layer with respect to light emitted from the LED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layer, so that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person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to send another imag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층은,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마이크로(Micro) 렌즈 어레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lens layer,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lenticular (Lenticular) or Micro (Micro) lens array.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층은,
표면에 안티 글레어(Anti-Glare)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lens layer,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glare (Anti-Glare)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층의 굴절률과 제2렌즈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15~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렌즈 필름.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layer,
Heterogeneous lens film, characterized in that 0.15 ~ 0.3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83968A 2017-12-29 2017-12-29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KR102043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68A KR102043261B1 (en) 2017-12-29 2017-12-29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68A KR102043261B1 (en) 2017-12-29 2017-12-29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31A KR20190081431A (en) 2019-07-09
KR102043261B1 true KR102043261B1 (en) 2019-11-11

Family

ID=6726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68A KR102043261B1 (en) 2017-12-29 2017-12-29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2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14B1 (en) * 2021-02-23 2023-04-11 지디에스 주식회사 Decoration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12B1 (en) 2002-03-29 2007-05-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Micro-lens array substr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ing those
KR101117934B1 (en) * 2009-06-05 2012-03-09 이헌 The fabrication method of light scattering layer
WO2016205249A1 (en) * 2015-06-15 2016-12-22 Magic Leap, Inc.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25B1 (en) * 2013-11-29 2015-07-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groove-induced aligned liquid crystalline polymer film being removed diffractive optical noi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12B1 (en) 2002-03-29 2007-05-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Micro-lens array substr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ing those
KR101117934B1 (en) * 2009-06-05 2012-03-09 이헌 The fabrication method of light scattering layer
WO2016205249A1 (en) * 2015-06-15 2016-12-22 Magic Leap, Inc.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31A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8782B2 (en) Light diffus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creen
JP7487242B2 (en) Thermoplastic Optical Devices
JP4052666B2 (en) Micro-relief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17447B2 (en) Microreplicated film for attachment to autostereoscopic display components
KR100618602B1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sheet and optical sheet
US8503083B2 (en) Lens sheet for microlens and lenticular lens
US20150153483A1 (en)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element,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KR101495758B1 (en)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polarization dependent lens
JP5971331B2 (en) Optical system, imaging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TWI744878B (en) Diffractive backlight fabrication method
WO2019070071A1 (en) Optical body,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body,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game device
KR10204326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JP4211474B2 (en) Molded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12553B1 (en) Lenticular sheet and Transmission Type Screen using the same
JP2004258071A (en)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projection screen
JP2003080598A (en) Forming method of microlens sheet, and microlens sheet obtained by this forming method
US10539734B2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083196A (en) Optical film with partially coated structure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12204B2 (en) Lens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4013081A (en) Composite optical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apparatus
JP2012022292A (en) Convex and concave pattern formation sheet, process sheet original plate for manufacturing optical diffu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iffuser
JP2012058479A (en) Light diffusion sheet and light source unit
JP4810839B2 (en) Transmission screen
KR101051879B1 (en) Micro-pattern mold, stereoscopic lens sheet using the same mol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ens sheet
KR102203927B1 (en) Method of fabricating soft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