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13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139B1
KR102038139B1 KR1020170183756A KR20170183756A KR102038139B1 KR 102038139 B1 KR102038139 B1 KR 102038139B1 KR 1020170183756 A KR1020170183756 A KR 1020170183756A KR 20170183756 A KR20170183756 A KR 20170183756A KR 102038139 B1 KR102038139 B1 KR 10203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sil
grade
success rate
visibility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1321A (en
Inventor
최지호
이영준
하태경
Original Assignee
(주)허니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니냅스 filed Critical (주)허니냅스
Priority to KR102017018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1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3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수술 시행 전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는 편도 크기, 인두(pharynx)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palatine uvul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tonsil)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 구개(palate), 상기 편도(tonsil),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a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surgical success rates prior to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is a tonsil size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onsil size, the area of the pharynx,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ine uvula.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to determine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ing section, palate, palatal tonsil, palatine uvula and tonsil column A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surgical success rate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onsil size grade,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and a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calculated surgical success rate. It may include.

Description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수술 시행 전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APAP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본 발명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수술 시행 전에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술 시행 전에 환자의 편도 크기 및 구개 혀 위치를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 및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설정하고, 설정된 편도 크기 등급 및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idea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befor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pecifically, to set the tonsil size grad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tonsil siz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before surge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alculating a surgical success rate using a set tonsil size grade and a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predicting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calculated surgical success rate.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ena Syndrome, OSAS)은 해부학적으로 비강, 구강, 인두, 후두 등을 포함하는 상기도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장애를 지칭한다.Obstructive Sleep Apena Syndrome (OSAS) refers to a sleep disorder characterized by narrowing or obstruction of any one or several parts of the upper airway anatomically including nasal, oral cavity, pharynx, larynx and the like.

아래의 조건들 중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동시에 만족하거나 제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될 수 있다.Obstructive sleep apnea can be diagnosed when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mong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or satisfy the third condition.

제1 조건은 다음 증상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The first condition may be interpreted as being one of the following symptoms.

첫 번째 경우는, 제1 조건에 해당하는 증상들은 환자가 졸림, 원기회복이 되지 않는 수면, 피로 또는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case, symptom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patient complains of drowsiness, restless sleep, fatigue or insomnia.

두 번째 경우는, 환자가 숨이 멈추고, 숨을 헐떡거리거나, 숨이 막히면서 잠을 깨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patient stops breathing, gasping for breath, or wakes up with a choking.

세 번째 경우는, 수면 파트너 또는 다른 관찰자가 환자가 수면 동안에 습관성 코골이, 호흡 멈충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가 있다고 말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ase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sleeping partner or other observer says that the patient has a habitual snoring, one or both of breathing stops during sleep.

또한, 네 번째 경우는, 환자가 고혈압, 감정장애, 인지장애, 관상동맥질환, 뇌졸증, 심부전, 심방세동 또는 제2형 당뇨병이 진행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case may also include a case where the patient has advanced hypertension, emotional disorders, cognitive impairment, coronary artery disease, stroke, heart failure, atrial fibrillation or type 2 diabetes.

제2 조건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또는 휴대용 수면검사기기(OSCT)의 소견으로서, 수면 중 호흡사건(폐쇄성 또는 혼합성 무호흡, 저호흡,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이 시간당 5회 이상인 경우이다.The second condition is the finding of polysomnography (PSG) or portable sleep test device (OSCT), where breathing events (closed or mixed apnea, low breathing, arousal related to breathing effort) are five or more times during sleep. to be.

제3 조건은 수면다원검사 또는 휴대용 수면검사기기의 소견으로서, 수면 중 호흡사건(폐쇄성 또는 혼합성 무호흡, 저호흡,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이 시간당 15회 이상인 경우이다.The third condition is the finding of a sleep polysomnography or a portable sleep test device in which a respiratory event (closed or mixed apnea, low breathing, arousal associated with breathing effort) is 15 or more times during sleep.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로는 체중조절, 자세치료, 양압호흡기 (positive airway pressure, PAP) 치료, 구강내 장치(oral appliance), 수술적 치료 등이 적용될 수 있다.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may include weight control, posture therapy, positive airway pressure (PAP) therapy, oral appliance, surgical treatment, and the like.

예를 들어, 수술적 치료는 구개수 구개인두 성형술(Uvulo Palato Pharyngoplasty, UPPP)을 해당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rgical treatment may correspond to Uvulo Palato Pharyngoplasty (UPPP).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 중 수술적 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이지 않아, 수술로 교정 가능한 구조적인 원인이 있는 일부 환자에게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general, surgical treatment during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is not effective for all patients and can be effectively applied only to some patients with surgically correctable structural causes.

또한, 수술적 치료는 수술과 관련된 위험, 합병증 등을 감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urgical treatment has the disadvantage of taking risks, complications and the like associated with surgery.

따라서, 수술 시행 전 수술 결과를 예측하여 수술과 관련된 위험, 합병증을 예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isk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surgery by predicting the surgical results before the surgery.

한국등록특허 제10-1596662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효과 진단 장치 및 그 진단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96662, "A device for diagnos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its diagnostic meth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3938호, "의학적 결정을 지원하는 의학적 제안의 스코어 계산방법"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3938, "Method for calculating the score of a medical proposal supporting a medical decision" 한국등록특허 제10-1693808호, "3D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3808, "3D-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한국등록특허 제10-1611838호, "환자안전 관련 고위험군 예측 방법 및 시스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11838,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high risk group for patient safety"

본 발명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수술 시행 전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efor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본 발명은 수술 시행 전에 수술 결과를 예측하여 수술과 관련된 위험 합병증을 회피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및 개인적인 관점에서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help to patients from an economic, social and personal perspective by predicting surgical outcomes prior to surgery and avoiding risk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surgery.

본 발명은 수술 예측 대상의 편도 크기 및 구개 혀 위치를 등급화하고, 연령, 등급화된 편도 크기 및 구개 혀 위치에 기초하여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grade the tonsil siz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of a surgical predictor, and to predict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ased on age, graded tonsil siz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본 발명은 예측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시행 전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dict the surgical results before the operation based on the predicted surgical success rate.

본 발명은 수술 시행 후 결과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을 통하여 수술 성공률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the success rate of surgery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results after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는 편도 크기, 인두(pharynx)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palatine uvul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tonsil)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 구개(palate), 상기 편도(tonsil),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 및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a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is a tonsil size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onsil size, the area of the pharynx,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ine uvula.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to determine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ing section, palate, palatal tonsil, palatine uvula and tonsil column A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urgical success rate using at least one of a determined tonsil size grade an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and a predictor for predicting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calculated surgical success rat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임의의 상수에서 상기 연령(age)에 상응하는 제1 수치를 감하여 제1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값에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수치를 합하여 제2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값에서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제3 수치를 감하여 제3 값을 상기 수술 성공률로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 first value by subtracting a first value corresponding to the age from an arbitrary constant, and corresponds to the determined one-way size grade to the calculated first value. The second value may be calculated by adding the second value, and the third value may be calculated as the surgical success rate by subtrac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from the second valu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편도 기둥에 의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편도 기둥의 주변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하며, 상기 편도 기둥 및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편도 기둥으로부터 절반의 위치에 상응하는 기준선 이하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선 이상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by the tonsil pillar is not secured, and surrounds the tonsil pillar.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ensured,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grade, and corresponds to half the position from the tonsil pillar 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nsil pillar and the palatine uvula.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below a baseline,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and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bove the baseline, the tonsil size grade is 4th. Can be determined by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1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2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2 등급으로 결정하며,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3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4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4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first level. Determine the first grade, and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second level,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second grade, and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third level,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and the tonsil size and the pharynx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area of corresponds to the fourth level, the tonsil size grade may be determined as the four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따라 상기 제2 수치에 차등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2 값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unit may apply a weight differential to the second valu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ne-way size class, and reflect the second value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second valu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이 상기 제3 등급 및 상기 제4 등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2 값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or may reflect the second value to the second value only when the determined one-way size grade is one of the third grade and the four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는, 상기 편도(tonsil)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when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the tonsil (tonsil) and the tonsil pole and the palatine uvula is secured, removing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may be determined as the fifth grade when the palatine uvula is visible but the tonsil visibility is not obtai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는, 상기 구개(palate) 중 연구개(soft palate)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7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개(palate) 중 경구개(hard palate)의 가시성만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8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soft palate) of the palate (palate) when the visibility of the palatine (uvlatin) is not secured, the palate The tongue position grade may be determined as the seventh grade, an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may be determined as the eighth grade when only visibility of the hard palate of the palate is secu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따라 상기 제3 수치에 차등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제3 수치를 상기 제3 값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or may apply a weight differential to the third valu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nd reflect the third value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third value.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이 상기 제7 등급 및 상기 제8 등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만, 상기 제3 수치를 상기 제3 값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or may reflect the third value to the third value only when the determined one-way size grade is any one of the seventh grade and the eigh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수치 내지 상기 제3 수치 각각에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적용하여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y applying a first constant and a second constant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valu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는 상기 수술 예측 대상의 수술 시행 후 수술 결과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업데이트하는 기계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unit which collects the surgical result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and updates the first and second consta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에서, 편도 크기, 인두(pharynx)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palatine uvul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tonsil)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에서, 구개(palate), 상기 편도(tonsil),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산출부에서,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 및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a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예측부에서, 상기 산출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the tonsils in the tonsil size grading unit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onsil size, the area of the pharynx,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ine uvula.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i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ing unit, considering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the palate, the tonsil, the palatine uvula and the tonsil column Determining a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in the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surgical success rate us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etermined tonsil size grade and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and in the prediction unit, calculating Predicting a surgical outcome based on the surgical success r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편도 기둥에 의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편도 기둥의 주변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편도 기둥 및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편도 기둥으로부터 절반의 위치에 상응하는 기준선 이하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선 이상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of the tonsil size grad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y the tonsil pole is not secured. If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round the tonsil pillar,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a second grade, half from the tonsil pillar 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nsil pillar and the palatine uvula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a third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below a baselin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and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bove the baseline, And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편도(tonsil)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개(palate) 중 연구개(soft palate)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7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개(palate) 중 경구개(hard palate)의 가시성만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8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ing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may include palatal tongue position when visibility of one of the tonsil and the tonsil pillar and the palatine uvula is secured. Determining a grade as the fifth grade, determining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a sixth grade when palatine uvula visibility is secured but visibility of the tonsil is not secured, the palate determining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seventh grade and during palatation if visibility of the soft palate is secured but palatine uvula is not secured. If only the visibility of the hard palate is secured may include determining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to the eigh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임의의 상수에서 상기 연령(age)에 상응하는 제1 수치를 감하여 제1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값에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수치를 합하여 제2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값에서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제3 수치를 감하여 제3 값을 상기 수술 성공률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ng of the success rate of operation may include calculating a first value by subtracting a first value corresponding to the age from an arbitrary constant, and calculating the first value. Calculating a second value by summing a seco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mygdala size grade and subtrac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from the second value to calculate a third value as the surgical success rate It may include.

본 발명은 수술 시행 전에 수술 결과를 예측하여 수술과 관련된 위험 합병증을 회피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및 개인적인 관점에서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elp to patients from an economic, social and personal perspective by predicting surgical outcomes prior to surgery and avoiding risk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surgery.

본 발명은 수술 대상자의 편도 크기 및 구개 혀 위치를 등급화하고, 연령, 등급화된 편도 크기 및 구개 혀 위치에 기초하여 수술 성공률을 예측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grade the tonsil siz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of a surgical subject, and predict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ased on age, graded tonsil siz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본 발명은 예측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시행 전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surgical results before surgery based on predicted surgical success rates.

본 발명은 수술 시행 후 결과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을 통하여 수술 성공률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for the success rate of the surgery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results after th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예측 대상으로부터 변수 데이터를 수집하는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결과에 대한 기계 학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시행 후의 스테이지 별 성공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for collecting variable data from an operation predi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machine learning about the results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ccess rate for each stage after the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xamples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to the examples.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and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 / or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etc. may modify the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Used only and do not limit the components.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When any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the other component is said other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third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nfigured to" is modified to have the ability to "suitable," "to," "to," depending on the context, for example, hardware or softwar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ade to", "doing", or "designed to".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can” together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be implemented by executing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its operation, or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It may mean a general purpose processor (eg,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 'or' means inclusive or 'inclusive or' rather than 'exclusive or'.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In other words, unless stated otherwise or unclear from the context, the expression 'x uses a or b' means any one of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s '.. unit' and '.. group' used below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예측 대상으로부터 변수 데이터를 수집하는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for collecting variable data from an operation predi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은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60)가 수술 예측 대상(100)으로부터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변수 데이터를 수집하는 환경을 예시한다. 여기서, 수술 예측 대상(100)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수술을 시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를 포함한다. 또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수술은 구개수 구개인두 성형술(Uvulo Palato Pharyngoplasty, UPPP)을 포함한다.Specifically, FIG. 1 illustrat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160 collects variable data used to predict the surgery success rate from the surgery predicting target 100. Here,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100 includes a patient who is expected to perform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dition, surgery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includes Uvulo Palato Pharyngoplasty (UPPP).

도 1을 참고하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60)가 수술 예측 대상(100)의 수술 시행 전 수술 예측 대상(100)으로부터 편도(101), 편도 기둥(102), 구개수(103), 인두(104) 및 구개(105)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160 may include the tonsil 101, the tonsil pillar 102, the palate 103, and the pharynx from the surgical predictor 100 before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predictor 100. 104) and data about palate 105.

또한, 수술 예측 대상(100)에 흉곽운동 측정장치(110), 산소포화도 측정장치(120), 비강기류 측정장치(130), 뇌운동 측정장치(140)가 부착되고, 흉곽운동 측정장치(110), 산소포화도 측정장치(120), 비강기류 측정장치(130), 뇌운동 측정장치(140)가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장치(150)에 저장하고,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 예측 장치(160)가 저장된 데이터를 수집한다.In addition, the thoracic motion measuring device 110, oxygen saturation measuring device 120, nasal air flow measuring device 130, brain motion measuring device 140 is attached to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100, thoracic motion measuring device 110 ), The oxygen saturation measuring device 120, the nasal airflow measuring device 130, the brain motion measuring device 140 collects the first data to the fourth data and stores the collected data in the data recording device 150, The apnea low respiratory rate decrease rate prediction device 160 collects the stored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흉곽운동 측정장치(110)는 수술 예측 대상(100)의 흉곽운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흉곽운동에 기초하여 무호흡 횟수 및 저호흡 횟수를 산출한 후, 무호흡 횟수 및 저호흡 횟수를 합하여 무호흡 저호흡 지수를 산출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oracic motion measuring apparatus 110 measures the thoracic motion of the operation predicted object 100 and calculates the apnea count and the low apnea count based on the measured thoracic motion, The apnea low respiratory index is calculated by adding the number of low breaths.

일례로, 흉곽운동 측정장치(110)는 산출된 무호흡 저호흡 지수를 데이터 기록 장치(150)로 전달하여 제1 데이터로 저장한다.For example, the thoracic motion measuring device 110 transmits the calculated apnea low respiration index to the data recording device 150 and stores the first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소포화도 측정장치(120)는 수술 예측 대상(100)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산소포화도에 기초하여 수면에 요구되는 최소 산소포화도를 산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xygen saturation measuring apparatus 120 measures the oxygen saturation degree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100 and calculates the minimum oxygen saturation degree required for sleep based on the measured oxygen saturation degree.

일례로, 산소포화도 측정장치(120)는 산출된 무호흡 저호흡 지수를 데이터 기록 장치(150)로 전달하여 제2 데이터로 저장한다.For example, the oxygen saturation measuring apparatus 120 transmits the calculated apnea low breathing index to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50 to store the second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강기류 측정장치(130)는 수술 예측 대상(100)의 수면 시간 동안 비강기류에 기초하여 코골이 비율을 산출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sal airflow measurement apparatus 130 calculates the snoring ratio based on the nasal airflow during the sleep time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100.

일례로, 비강기류 측정장치(130)는 산출된 코골이 비율을 제3 데이터로 저장한다.In one example, the nasal air flow measurement device 130 stores the calculated snoring ratio as the third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뇌운동 측정장치(140)는 수술 예측 대상(100)의 수면 시간 동안 수술 예측 대상의 각성 횟수를 계산하여, 각성 지수를 산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n motion measuring apparatus 140 calculates the arousal index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awakenings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during the sleep time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100.

여기서, 각성 횟수는 수술 예측 대상(100)의 수면 시간 동안 깊은 수면에서 얕은 수면으로 전환되는 횟수를 포함한다.Here, the number of awakenings includes a number of times of switching from deep sleep to shallow sleep during the sleep time of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100.

또한, 각성 지수는 수면 시간에서 특정 시간 동안의 각성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다.In addition, the awakening index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a specific time in the sleep time.

일례로, 뇌운동 측정 장치(140)는 산출된 각성 지수를 데이터 기록 장치(150)로 전달하여 제4 데이터로 저장한다.For example, the brain movement measuring apparatus 140 transmits the calculated wakefulness index to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50 to store the fourth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기록장치(150)는 수술 예측 대상(100)의 편도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50 may collect data on the tonsil size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60)는 편도 크기, 무호흡 저호흡 지수, 최소 산소포화도, 코골이 비율 및 각성 지수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장치(15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160 may collect data on the tonsil size, apnea low breathing index, minimum oxygen saturation, snoring ratio, and arousal index from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60)는 편도(101), 편도 기둥(102), 구개수(103), 인두(104) 및 구개(105)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편도 크기 등급 및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한 후,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기 위한 변수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160 uses the data for the tonsil 101, the tonsil pillar 102, the palate 103, the pharynx 104, and the palate 105. After determining the grad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t can be used as variable data for calculating the surgical success rate.

이하에서는 수술 성공률 예측장치(160) 및 그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160 and its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200)는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 및 데이터 수집부(230), 산출부(240) 및 예측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200 includes a tonsil size rating unit 210, a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unit 220, a data collection unit 230, and a calculation unit. 240 and the predictor 2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 인두(pharynx)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palatine uvul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tonsil)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ing unit 210 considers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onsil size, the area of the pharynx,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ine uvula. To determine the tonsil size rating.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200)는 편도 기둥에 의하여 편도가 가려지는 정도에 따라 편도의 가시성을 레벨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200 may level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tonsil is covered by the tonsil pillar.

또한,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200)는 편도가 편도 기둥과 구개수 사이에서 식별되는 정도에 따라 편도의 가시성을 레벨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200 may level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tonsil is identified between the tonsil pillar and the palate.

또한,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200)는 편도가 인두를 가리는 정도에 따라 편도의 가시성을 레벨화할 수 있다. 즉,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20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을 가리는 정도에 따라 편도의 가시성을 레벨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apparatus 200 may level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tonsil covers the pharynx. 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200 may level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tonsil size covers the area of the pharynx.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기둥에 의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편도 기둥에 의하여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는 편도가 편도 기둥의 안쪽에 묻혀 보이지 않을 경우에 해당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y the tonsil pillar is not secured. Here, the case where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not secured by the tonsil pillar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tonsil is buried inside the tonsil pilla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기둥의 주변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second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round the tonsil pillar.

즉,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가 편도 기둥에 의하여 가려질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편도가 편도 기둥의 주변에서 식별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한다.That is, the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tonsil is covered by the tonsil pillar, an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second grade when the tonsil is identified around the tonsil pillar.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기둥 및 구개수 사이의 거리에서 편도 기둥으로부터 절반의 위치에 상응하는 기준선 이하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tonsil size rating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t a distance between the tonsil pole and the palatal number at a baseline corresponding to half the position of the tonsil pole.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일례로,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기준선 이상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한다.For example,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bove the reference line.

즉,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가 편도 기둥과 구개수의 사이 거리를 절반으로 분할하여 절반을 넘지 않을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절반을 넘을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한다.That is, if the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10 divides the distance between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e into half and does not exceed half, the one-way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The grade is determined as the fourth grade.

예를 들어, 기준선의 위치는 수술 예측 대상의 구 내에서 편도 기둥과 구개수 사이 거리의 절반에 해당한다.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baseline corresponds to half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e in the sphere to be predicted for surger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1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may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tonsil visibility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pharynx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level.

일례로,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2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may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second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second level.

예를 들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에 25% 이하로 차지할 경우, 편도의 가시성을 제1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ygdala size occupies 25% or less of the pharynx area, the amygdala size rating determiner 210 may set the visibility of the amygdala to the first level.

일례로,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에50% 이하로 차지하는 경우에 확보되는 편도의 가시성을 제2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10 may set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secured when the tonsil size occupies 50% or less of the area of the pharynx to the second level.

즉,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25% 이하로 차지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50% 이하로 차지할 경우 제2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tonsil size occupies 25% or less of the area of the pharynx, and when the tonsil size occupies 50% or less of the area of the pharynx. It can be decided by class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3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may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third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third level.

일례로,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4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may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fourth level.

예를 들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에 50% 이상으로 차지하고 75%이하로 차지하는 경우에 확보되는 편도의 가시성을 제3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10 may set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secured when the tonsil size occupies 50% or more and occupies 75% or less of the area of the pharynx to the third level.

예를 들어,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에 75% 이상으로 차지하고 100% 이하로 차지하는 경우에 확보되는 편도의 가시성을 제4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210 may set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secured when the tonsil size occupies 75% or more of the pharynx and 100% or less to a fourth level.

즉,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210)는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50% 이상이고 75% 이하로 차지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75% 이상으로 차지할 경우 제4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onsil size rating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tonsil size is 50% or more of the area of the pharynx and occupies 75% or less, the tonsil size rating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and the tonsil size is 75% or more of the area of the pharynx. If occupied by the fourth grade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수술 예측 대상의 구(mouth) 내에서 구개, 편도, 구개수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palate, tonsil, palate, and tonsil column in the mouth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You can decide.

예를 들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00)는 구개, 편도, 구개수 및 편도 기둥의 식별 정도에 따라 구개, 편도, 구개수 및 편도 기둥의 가시성을 레벨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100 may level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tonsil, palate and tonsil colum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dentification of the palate, tonsil, palate and tonsil pillar.

일례로,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편도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한다.For example, when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ing unit 220 is secured visibility of any one of the tonsils and tonsil column and palatal number, determines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fifth grade.

즉,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편도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구개수가 식별될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220 may determine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fifth grade when any one of the tonsils and tonsil poles and the palate is identifi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구개수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six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is secured but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is not secured.

예를 들어,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구개수가 식별되나 편도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가 식별되지 않을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220 is identified with palate number but one of the tonsils and tonsil poles is not identifie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may be determined as the six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구개(palate) 중 연구개(soft palate)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7 등급으로 결정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220 is a palatal (soft palate) visibility of the palate (palate) when the visibility is secured but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is not secured, We decide with grade 7.

일례로,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구개 중 경구개보다 입안 쪽에 위치하는 연구개는 식별되나 구개수가 식별되지 않을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7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late tongue position rating unit 220 may determine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seventh grade when the palate located in the mouth side of the palate than the palate, but the palate is not identifi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220)는 구개 중 경구개의 가시성만 확보될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8 등급으로 결정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eighth grade when only the visibility of the palatal palate is secu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부(230)는 수면다원 검사(polysomnography)의 결과값을 수집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230 collects a result value of polysomnography.

일례로, 데이터 수집부(230)는 수술 예측 대상의 무호흡 횟수와 저호흡 횟수를 합하여 산출되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에 대한 제1 데이터를 수집한다.For example, the data collection unit 230 collects first data on the apnea low apnea index calculated by adding up the number of apneas and the number of low apneas to be predicted for surger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부(230)는 수술 예측 대상의 수면에 요구되는 최소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에 대한 제2 데이터를 수집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230 collects the second data about the minimum oxygen saturation required for the sleep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일례로, 데이터 수집부(230)는 수술 예측 대상의 수면 시간동안의 코골이 비율에 대한 제3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코골이 비율은 수술 예측 대상의 전체 수면 시간 대비 코골이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data collection unit 230 collects the third data on the snoring rate during the sleep time of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Here, the snoring ratio may represent the snoring time to the total sleep time of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부(230)는 수면 시간에서 수술 예측 대상의 각성 횟수와 관련된 각성 지수에 대한 제4 데이터를 수집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230 collects fourth data on the arousal index related to the number of awakenings of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in the sleep time.

여기서, 각성 지수는 수술 예측 대상의 수면 다원 검사에서 시간 당 각성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arousal index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awakenings per hour in the sleep polynomial test of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240)는 수술 예측 대상의 연령, 편도 크기 등급 및 구개 혀 위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unit 240 may calculat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using any one of the age, tonsil size grad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of the surgery prediction target.

즉, 본 발명은 수술 대상자의 편도 크기 등급 및 구개 혀 위치 등급을 등급화하고, 등급화된 편도 크기 등급 및 등급화된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에 기초하여 수술 성공률을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grade the tonsil size grade an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of a surgical subject, and predict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ased on the graded tonsil size grade and grad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일례로, 산출부(240)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lculator 240 may calculat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using Equation 1 below.

[수학식1][Equation 1]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1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1

수학식 1에 따르면, Px는 수술 성공률을 나타낼 수 있고, Age는 수술 예측 대상의 연령을 나타낼 수 있으며, TS Gr은 편도 크기 등급을 나타낼 수 있고, PTP Gr은 구개 혀 위치 등급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1, P x may represent a surgical success rate, Age may represent an age of a surgical predictor, TS Gr may indicate a tonsil size grade, and PTP Gr may represent a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

즉, 산출부(24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임의의 수에 해당하는 1.518로부터 연령(age)에 상응하는 제1 수치를 감하여 제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1 값에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수치를 합하여 제2 값을 산출하며, 제2 값에서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제3 수치를 감하여 제3 값을 수술 성공률로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alculator 240 calculates a first value by subtracting a first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an age from 1.518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number using Equation 1, and determines the one-way determined to the calculated first value. A second value may be calculated by summing a seco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ze grade, and the third value may be calculated as a surgical success rate by subtrac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d from the second valu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240)는 편도 크기 등급에 따라 제2 수치에 차등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제2 수치를 제1 값과 제2 수치의 합에 따른 제2 값에 반영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unit 240 applies differential weights to the second value according to the one-way size grade, and applies the weighted second value to the second value based on the sum of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value. Reflect on the value.

또한, 산출부(240)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3 등급 또는 제4 등급일 경우에만 제2 수치를 제2 값에 반영할 뿐, 제1 등급 또는 제2 등급일 경우, 제2 수치를 제2 값에 반영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240 only reflects the second value to the second value only when the one-way size grade is the third grade or the fourth grade, and when the first grade or the second grade is the second value, the second value. It is not reflected in the value.

또한, 산출부(240)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1 등급 또는 제2 등급으로 결정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수치를 "0"으로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amygdala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first grade or the second grade, the calculator 240 calculates a surgical success rate by setting the secon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ygdala size grade as "0".

또한, 산출부(240)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3 등급 또는 제4 등급으로 결정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수치를 "1"으로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or fourth grade, the calculation unit 240 calculates the success rate by setting the secon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nsil size grade as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240)는 구개 혀 위치 등급에 따라 제3 수치에 차등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제3 수치를 제2값과 제3 수치의 합에 따른 제3 값에 반영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unit 240 applies differential weights to the third value according to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nd applies the weighted third value according to the sum of the second value and the third value. Reflect to 3 values.

또한, 산출부(240)는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7 등급 또는 제8 등급일 경우에만 제3 수치를 제3 값에 반영할 뿐, 제5 등급 또는 제6 등급일 경우, 제3 수치를 제3 값에 반영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alculator 240 reflects the third numerical value to the third value only when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is the seventh grade or the eighth grade. 3 value is not reflected.

또한, 산출부(240)는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5 등급 또는 제6 등급으로 결정될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3 수치를 "0"으로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s determined as the fifth or sixth grade, the calculator 240 calculates a surgical success rate by setting the thir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0”.

또한, 산출부(240)는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7 등급 또는 제8 등급으로 결정될 경우, 구개 혀 위치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3 수치를 "1"으로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is determined as the seventh or eighth grade, the calculation unit 240 calculates the success rate by setting the thir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240)는 제1 수치 내지 제3 수치 각각에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적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unit 240 calculates the success rate by applying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values.

예를 들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00)는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수술 성공률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100)는 제1 상수 및 제2 상수에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100 may apply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to Equation 1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100 may reduce the error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by using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일례로, 산출부(240)는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lculator 240 may calculate an apnea low respiratory rate decrease rate using Equation 2 below.

[수학식2][Equation 2]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2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2

수학식 2에 따르면, AHI reduction ratio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을 나타낼 수 있고, TS Gr은 편도 크기 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며, AHI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Arousal index는 각성 지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Minimum SaO2(%)는 최소 산소 포화도를 나타낼 수 있고, Snoring(%)는 코골이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2, the AHI reduction ratio may represent an apnea low respiratory index reduction rate, TS Gr may represent a tonsil magnitude scale, AHI may represent an apnea low respiratory index, and Arousal index may represent an arousal index. In addition, Minimum SaO 2 (%) may represent the minimum oxygen saturation, Snoring (%) may represent the snoring rati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예측부(250)는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ion unit 250 predicts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surgical success rate.

일례로 예측부(250)는 수술 성공률과 성공 판단 기준값을 비교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한다.For example, the prediction unit 250 compares the operation success rate and the success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to predict the operation result.

예를 들어, 예측부(250)는 그룹 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성공 판단 기준값에 대비하여 산출된 수술 성공률이 높을 경우,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예측한다.For example, the predictor 250 predicts the operation result as success when the operation success rate calculated in comparison with the success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which is classified and grouped by the group is high.

즉, 본 발명은 예측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시행 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the result before surgery based on the predicted surgical success r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예측부(250)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or 250 predicts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rate of apnea reduction.

일례로, 예측부(250)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과 수면 다원 검사의 무호흡 저호흡 지수를 대비하여 수술 전 수술 결과를 예측한다.For example, the prediction unit 250 predicts a preoperative surgery result by comparing the apnea low respiratory index decrease rate and the apnea low respiratory index of the sleep multiple examin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예측부(250)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이 수술 성공 판단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예측된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ion unit 250 may determine that the predicted surgical result is successful when the apnea low respiratory index decrease rat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the surgical success determination.

예를 들어, 예측부(250)는 수면 다원 검사의 무호흡 저호흡 지수와 예측 결과에서 산출된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간의 대비 결과값을 나타내는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이 수술 성공 판단 기준값인 50%보다 큰 경우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예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dictor 250 may determine that the apnea lower respiratory index decrease rate, which represents a comparison between the apnea lower respiratory index and the apnea low respiratory index calculated from the prediction result, is greater than 50% of a surgical success criterion. Surgical results can be predicted as successful.

즉, 예측부(250)는 수면 다원 검사의 무호흡 저호흡 지수가 수술 예측 결과의 무호흡 저호흡 지수에 대비하여 50%이상 감소한 경우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prediction unit 250 may predict the success of the surgery when the apnea low breathing index of the sleep multiple examination decreases by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apnea low breathing index of the surgical prediction result.

또한, 예측부(250)는 수술 예측 결과에서 산출된 무호흡 저호흡 지수가 20미만일 경우에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iction unit 250 may predict the success of the operation when the apnea low respiration index calculated from the surgery prediction result is less than 20.

즉, 본 발명은 예측된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200)는 기계 학습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dict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predicted apnea low respiratory rate decrease 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unit 260. have.

일례로, 기계 학습부(260)는 수술 예측 대상의 수술 시행 후 수술 결과를 수집하여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업데이트 한다.In one example, the machine learning unit 260 updates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by collecting the surgical result after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예를 들어, 기계 학습부(260)는 수술 시행 후 수술 결과를 수집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제1 수치 및 제3 수치에 상응하는 변수와 함께 수학식 1에서 사용되는 제1 상수 및 제2 상수 업데이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chine learning unit 260 collects the surgical results after performing the surgery to perform the machine learning, so that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used in Equation 1 together with the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third numerical values. You can update it.

예를 들어, 제1 상수 및 제2 상수는 임의의 상수, 연령에 상응하는 변수에 곱해지는 상수,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변수에 곱해지는 상수,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변수에 곱해지는 상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nstants are arbitrary constants, constants multiplied by variables corresponding to age, constants multiplied by variables corresponding to tonsil size grade, constants multiplied by variables corresponding to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the like. It may include.

즉, 본 발명은 수술 시행 후 결과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을 통하여 수술 성공률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results after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수술 결과가 많을수록 보다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으며,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수술 결과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e the surgical result, the more accurate prediction can be made, and the accuracy of the surgical result prediction model can be increased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결과에 대한 기계 학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machine learning about the results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은 수술 결과를 이용한 기계학습을 통하여 수술 결과 예측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기계 학습부의 신호 전달 네트워크를 예시한다.Specifically, Figure 3 illustrates a signal transmission network of the machine learning uni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urgical results prediction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using the surgical results.

도 3을 참고하면, 기계 학습부는 네트워크를 입력층(301), 숨은층(302) 및 출력층(303)으로 구성하고, 입력층에서 다양한 변수(x)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s a network as an input layer 301, a hidden layer 302, and an output layer 303, and collects data related to various variables x in the input layer.

예를 들어, 다양한 변수(x)는 편도 크기 등급,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을 포함한다.For example, various variables (x) include tonsil size grad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일례로, 기계 학습부는 숨은층(302)에서 변수(x)에 제1 상수(w) 및 제2 상수(b)를 적용하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3
)을 산출한다.In one example, the machine learning unit applies the first constant (w) and the second constant (b) to the variable (x) in the hidden layer 302, using the equation (1) surgery success rate (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3
) Is calcul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계 학습부는 출력층(303)에서 수술 성공률(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4
)을 출력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in the output layer (303) surgery success rate (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4
)

또한, 기계 학습부는 수술 진행 후 수술 결과의 데이터에 대하여 후방 전파(baward propag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제1 상수(w) 및 제2 상수(b)를 업데이트하여 수술 성공률(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5
)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updates the first constant (w) and the second constant (b) by applying a backward propagation technique to the data of the surgical result aft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surgical success rate (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5
) Can improve the accurac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4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이 수술 시행 전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절차를 예시한다.In detail, FIG. 4 illustrates a procedure of predicting a surgical outcome by calculating a surgical success rate before the surgery is performed.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01)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한다.Referring to FIG. 4, in operation 401, the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of a surgery determines a tonsil size grade.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인두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may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onsil size, the pharyngeal area,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al number.

단계(402)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한다.In step 402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 편도, 구개수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may determine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palate, tonsil, palate and tonsil column.

단계(403)에서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 예측 방법은 수면 다원 검사의 결과값을 수집한다.In step 403, the method of predicting apnea low respiratory index decrease rate collects the results of the sleep multiple examination.

즉, 무호흡 저호흡 지수 감소율 예측 방법은 수면 다원 검사의 결과값인 무호흡 저호흡 지수, 최소 산소포화도, 코골이 비율 및 각성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집한다.That is, the apnea low respiration index prediction method collects at least one of the apnea low respiratory index, the minimum oxygen saturation, snoring ratio and the wakefulness index that is a result of the sleep multiple test.

단계(404)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수술 대상자의 연령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In step 404,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calculates the surgical success rate using the tonsil size grade,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the age of the surgical subject.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구개, 구개수 및 편도 기둥의 가시성에 따라 각각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수술 예측 대상의 연령에 따른 수치를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calculates the surgical success rate using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tonsil size grade,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the age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 respec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the palate, the palate, and the tonsil column.

단계(405)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한다.In operation 405,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s the surgery result based on the surgery success rate.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시행 후 수술 성공률에 대한 데이터와 산출된 수술 성공률을 대비하여 수술 시행 전에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may predict the outcome of surgery before the surgery by comparing the data on the success rate and the calculated success rate.

또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성공률이 수술 성공 판단 기준값보다 큰 경우 예측된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예측한다.In addition,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s the predicted surgery result as success when the surgery success rate is greater than the surgery success determination criterion valu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이 편도 기둥 및 구개수의 위치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절차를 예시한다.Specifically, FIG. 5 illustrates a procedure in which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nsil column and palate.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에 의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5, in operation 501, the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of a surgery determines whether visibility of tonsils by a tonsil pillar is secured.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에 의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단계(502)로 진행하고, 확보될 경우 단계(503)로 진행한다.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oceeds to step 502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by the tonsil column is not secured, and proceeds to step 503 if it is secured.

단계(502)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In step 502,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and ends the procedure.

단계(503)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 주변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 주변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는 경우 단계(504)로 진행하고, 확보되지 않은 경우 단계(505)로 진행한다.In step 503,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whether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round the tonsil pillar.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oceeds to step 504 when visibility of the amygdala is secured around the tonsil pillar, and to step 505 if it is not secured.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 주변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편도 기둥 너머로 편도가 더 확장된 것으로 결정한다.For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at the amygdala is further extended beyond the tonsil pillar when the tonsil visibility is not secured around the tonsil pillar.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단계(504)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한다.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I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step 504,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a tonsil size grade as a second grade.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단계(505)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과 구개수의 위치에 기초한 기준선 이하에서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기둥과 구개수 사이의 거리에서 편도 기둥으로부터 절반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준선 아래에서 편도가 확인될 경우, 단계(506)로 진행하고, 기준선 위에서 편도가 확인될 경우 단계(507)로 진행한다.In the operation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step 505, the operation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whether visibility of the amygdala is secured below a base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al number. If the amygdala is identified below the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half the position of the amygdala at a distance of,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06, and if the amygdala is identified above the baseline, proceeds to step 507.

단계(506)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한다.In step 506,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third grade.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가 편도 기둥 및 구개수 사이에서 편도 기둥에 보다 근접하게 식별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한다.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third grade when the tonsil is identified closer to the tonsil column between the tonsil column and the palate.

단계(507)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한다.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가 편도 기둥 및 구개수 사이에서 구개수에 근접하게 식별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한다.In step 507,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when the tonsil is identified near the palate between the tonsil pillar and the palat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6은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이 편도 크기와 인두의 면적을 비교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절차를 예시한다.Specifically, FIG. 6 illustrates a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by comparing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in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01)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와 인두의 면적을 비교합니다.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의 가시성에 따라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편도 크기와 인두의 면적의 비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601,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compares the size of the amygdala and the area of the pharynx. In other word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may compare the tonsil size with the area of the pharynx to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ccording to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단계(602)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1/4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603)과 단계(604) 중 어느 하나로 진행한다.In step 602,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whether the tonsil size is 1/4 or less of the pharyngeal area, and proceeds to one of steps 603 and 604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단계(603)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1/4 이하로 판단하여 편도 크기를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 In operation 603,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that the tonsil size is 1/4 or less of the pharyngeal area, determines the tonsil size as the first grade, and terminates the procedure.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1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1 레벨은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1/4이하에서 확인되는 경우의 편도의 가시성을 포함한다.In one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ive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tonsil visibility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first level. Here, the first level includes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when the tonsil size is found to be 1/4 or less of the area of the pharynx.

단계(604)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1/2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605)과 단계(606) 중 어느 하나로 진행한다.In step 604,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whether the tonsil size is 1/2 or less of the pharyngeal area, and proceeds to one of steps 605 and 606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단계(605)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1/2 이하로 판단하여 편도 크기를 제2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In operation 605,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that the tonsil size is 1/2 or less of the pharyngeal area, determines the tonsil size as the second grade, and ends the procedure.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2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한다.In one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ive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second grade when the tonsil visibility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second level.

단계(606)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3/4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607)과 단계(608) 중 어느 하나로 진행한다.In operation 606,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whether the tonsil size is 3/4 or less of the pharyngeal area, and proceeds to one of steps 607 and 608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단계(607)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3/4 이하로 판단하여 편도 크기를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 In operation 607,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that the tonsil size is 3/4 or less of the pharyngeal area, determines the tonsil size as the third grade, and ends the procedure.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3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3 레벨은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1/2과 3/4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편도의 가시성을 포함한다.In one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ive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third grade when the tonsil visibility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third level. Here, the third level includes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when the tonsil size is located between 1/2 and 3/4 of the area of the pharynx.

단계(608)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전체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609)로 진행하거나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In operation 608,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whether the tonsil siz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otal pharyngeal area, and proceeds to operation 609 or terminates the proced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단계(609)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가 인두 면적의 전체 이하로 판단하여 편도 크기를 제4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In operation 609, the method for predicting a surgical success rate determines that the tonsil siz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otal pharyngeal area, determines the tonsil size as a fourth grade, and ends the procedure.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예측 방법은 편도 크기 및 인두의 면적에 기초한 편도의 가시성이 제4 레벨에 상응할 경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한다.In one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ive method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when the tonsil visibility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fourth level.

여기서, 제4 레벨은 편도 크기가 인두의 면적의 3/4와 1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편도의 가시성을 포함한다.Here, the fourth level includes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when the tonsil size is located between 3/4 and 1 of the area of the pharynx.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for predicting surgical success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이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Specifically, Figure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단계(701)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 편도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701, the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rate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tonsils and tonsil columns and the number of palates are secured to determine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일례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편도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단계(702)로 진행하여 구개수의 가시성은 확보하나 편도의 가시성이 미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For example,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tonsils and tonsil columns and the number of palates is secured, and proceeds to step 702 to determine whether the palatal number is secured but the visibility of the tonsils is not secured.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방법은 편도 및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for predicting surgical success rate terminates the procedure when visibility of the tonsils and tonsil columns and palatal number is not secu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수의 가시성 및 편도의 가시성이 확보되는 경우 단계(703)로 진행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하고, 구개수의 가시성은 확보하나 편도의 가시성이 미확보되는 경우 단계(704)로 진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determines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fif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and the tonsil are secured, and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is secured. If one-way visibility is not available, step 704 is reached.

단계(705)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수의 가시성이 미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705,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whether visibility of the palate is not secured.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단계(705)로 진행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That is, if the visibility of the number of palates is secured, the method proceeds to step 705 to determine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sixth grade and ends the procedure.

또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구개수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단계(706)로 진행한다.In addi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oceeds to step 706 when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is not secured.

단계(706)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경구개의 가시성만 확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706,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whether only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is secured.

단계(707)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경구개뿐만 아니라 연구개의 가시성도 확보될 경우, 제7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step 707,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is determined as the seven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study dog as well as the palate is completed and the procedure is terminated.

일례로, 단계(708)에서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경구개만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제8 등급으로 결정하고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For example, in step 708,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determines the eigh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is secured and ends the procedur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결과의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절차를 예시한다.Specifically, FIG. 8 illustrates a procedure for improving the prediction accuracy by using the machine learning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단계(801)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제1 수치 내지 제3 수치에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적용하여 성공률을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8, in operation 801, the method for predicting surgical success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success rate by applying a first constant and a second constant to first to third values.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환자의 연령에 상응하는 제1 수치,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수치,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제3 수치,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이용하여 수술 시행 전 수술 성공률을 산출한다.That is, the method for predic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alue corresponding to a patient's age, a second value corresponding to a tonsil size grade,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a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 first constant and The success rate before surgery is calculated using the second constant.

단계(802)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성공률과 성공 판단 기준값을 비교하여 수술 시행 전 수술 결과를 예측한다.In step 802,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success rate with a success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and predicts a surgical result before performing the surgery.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성공률이 성공 판단 기준값보다 클 경우 수술 결과를 성공으로 예측하고, 단계(803)로 진행한다.That is, if the success rate is greater than the success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redicts the operation result as success and proceeds to step 803.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성공률이 성공 판단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ends the procedure if the success rate is less than the success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성공 판단 기준값은 기 시행된 폐쇄성 무호흡 수술 결과에서 스테이지와 연령에 따라 분류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정확한 수치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success criterion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uccess rate classified according to stage and age in the result of the obstructive apnea operation, and the exact value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9.

단계(803)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을 시행하여 수술 결과를 도출한다.In step 803,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surgical results by performing the surgery.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결과에서 편도 크기 변화 및 구개 혀 위치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수술 결과의 데이터를 생성한다.In other word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erforms surgery based on the surgical prediction result, and generates the data of the surgical result by measuring the tonsil size change and the change of the palatal tongue position in the surgical result.

단계(804)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결과를 이용하여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업데이트한다.In operation 804, the method for predicting success of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by using the surgical result.

즉,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은 수술 결과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업데이트한다.That i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method performs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data of the surgical result, and updates the first and second constant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은 수술 결과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함에 따라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기 위한 수학식 1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Equation 1 for calculating the surgical success rate as the machine learning is performed on the surgical results.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 시행 후의 스테이지 별 성공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ccess rate for each stage after the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그래프의 가로측은 편도 크기 등급 및 구개 혀 위치 등급에 따라 분류되는 제1 스테이지(stage) 내지 제5 스테이지를 나타내고, 그래프의 세로측은 확률(%)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9, the horizontal side of the graph represents the first to fifth stag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nsil size grade and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nd the vertical side of the graph represents the probability (%).

그래프에 따르면, 스테이지 1에 해당하는 수술 예측 대상은 83%의 수술 성공률이 확인되고, 스테이지 2에 해당하는 수술 예측 대상은 52.3%의 수술 성공률이 확인되며, 스테이지 3에 해당하는 수술 예측 대상은 31.8%의 수술 성공률이 확인된다.According to the graph, 83%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s for stage 1 were confirmed to have a successful operation rate, 52.3% of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s for stage 2 were confirmed, and 31.8 for the surgical prediction targets for stage 3 were 31.8. A surgical success rate of% is confirmed.

스테이지 2는 스테이지 4 및 스테이지 5로 세분화되어 측정될 수 있으며, 스테이지 4에 해당하는 수술 예측 대상은 60.9%의 수술 성공률이 확인되며, 스테이지 5에 해당하는 수술 예측 대상은 47.6%의 수술 성공률이 확인된다.Stage 2 may be divided into stages 4 and 5, and the surgical predictor corresponding to stage 4 has a 60.9% surgical success rate, and the surgical predictor corresponding to stage 5 has a 47.6% surgical success rate. do.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지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3 등급 또는 제4 등급이고,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5 등급 또는 제6 등급인 경우 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age may be the case where the tonsil size grade is the third grade or the fourth grade, an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s the fifth grade or the sixth grade.

제2 스테이지는 제4 스테이지 및 제5 스테이지로 세분화 될 수 있으며, 제4 스테이지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3 등급 또는 제4 등급이고,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7 등급 또는 제8 등급인 경우 일 수 있다.The second stage may be subdivided into a fourth stage and a fifth stage, the fourth stage being days when the tonsil size grade is the third grade or the fourth grade, an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s the seventh grade or the eighth grade have.

또한, 제5 스테이지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1 등급 또는 제2 등급이고,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5 등급 또는 제6 등급인 경우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fth stage may be the case that the tonsil size grade is the first grade or the second grade, an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s the fifth grade or the sixth grade.

마지막으로, 제3 스테이지는 편도 크기 등급이 제1 등급 또는 제2 등급이고, 구개 혀 위치 등급이 제7 등급 또는 제8 등급인 경우 일 수 있다.Finally, the third stage may be the case where the tonsil size grade is the first grade or the second grade, an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s the seventh grade or the eighth gr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가 산출하는 수술 성공률은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calculated by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may be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6
Figure 112017131021752-pat00006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와 표 1을 비교할 경우, 수술 시행 전 예측된 수술 성공률과 수술 시행 후 수술 성공률은 유사하게 확인된다.When comparing the graph shown in Figure 9 and Table 1, the predicted success rate before surgery and the success rate after surgery is similarly confirmed.

따라서, 본 발명은 수술 시행 전에 수술 결과를 예측하여 수술과 관련된 위험 합병증을 회피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및 개인적인 관점에서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elp to patients from an economic, social and personal perspective by predicting surgical outcomes prior to surgery and avoiding risk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surgery.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or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자 장치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게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Such software may be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software module), at least one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 the electronic device. Save it.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휘발성(volatile) 또는 (ROM: Read Only Memory)과 같은 불휘발성(non-volatile) 저장장치의 형태로,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칩(memory chips), 장치 또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s)와 같은 메모리의 형태로, 또는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또는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uch software may be in the form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or random access memory (RAM), memory chips, devices or In the form of memory such as integrated circuits, or in compact disc ROM (CD-ROM),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magnetic disks or magnetic tapes tape, or the like, on an optical or magnetic readable medium.

저장 장치 및 저장 미디어는, 실행될 때 일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절한 기계-판독 가능 저장 수단의 실시 예들이다.Storage device and storage media are embodiments of machine-readable storage means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that include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implement embodiments.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singular or plural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s presented.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ingular or plural expressions are selected to suit the circumstances presen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ingular or plural elements, and the singular or plural elements may be composed of the singular or the plural. However, even a component expressed in the singular may be configured in plural.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200: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210: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
220: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 230: 데이터 수집부
240: 산출부 250: 예측부
260: 기계 학습부
200: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210: tonsil size rating determiner
220: palate tongue position rating unit 230: data collection unit
240: calculator 250: predictor
260: machine learning unit

Claims (16)

편도 크기, 인두(pharynx)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palatine uvul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tonsil)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
구개(palate), 상기 편도(tonsil),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a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A tonsil size grad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tonsil size grade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of tonsil based on at least one of tonsil size, area of pharynx, tonsil column and palatine uvula;
A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that determines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s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of any one of palate, palatal tonsil, palatine uvula, and tonsil poles;
A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urgical success rate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onsil size grade,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And
A prediction unit predicting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calculated surgical success rat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임의의 상수에서 상기 연령(age)에 상응하는 제1 수치를 감하여 제1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값에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수치를 합하여 제2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값에서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제3 수치를 감하여 제3 값을 상기 수술 성공률로 산출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lculator calculates a first value by subtracting a first value corresponding to the age from an arbitrary constant, and adds a seco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one-way size class to a second value by adding the calculated first value to a second value. Calculating a value and subtrac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from the second value to calculate a third value as the surgical success rat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편도 기둥에 의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편도 기둥의 주변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하며, 상기 편도 기둥 및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편도 기둥으로부터 절반의 위치에 상응하는 기준선 이하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기준선 이상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tonsil) by the tonsil column is not secured, determine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tonsil) around the tonsil pole Is determined,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grade, and the tonsil is below the baseline corresponding to half the position from the tonsil pole 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nsil pole and the palatine uvula.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tonsil) is secured above the baseline,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fourth grad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1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1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2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2 등급으로 결정하며,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3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3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편도 크기 및 상기 인두(pharynx)의 면적에 기초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제4 레벨에 상응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상기 제4 등급으로 결정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onsil size grade determiner determines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irst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first level, When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area of the pharynx corresponds to the second level,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grade, and the tonsil size and the pharynx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ased on the area of is corresponding to the third level,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and the tonsil based on the tonsil size and the area of the pharynx ) Corresponds to the fourth level,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the fourth grad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따라 상기 제2 수치에 차등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2 값에 반영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lculator is configured to apply a differential weight to the second valu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ne-way size class, and reflect the second value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second valu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이 상기 제3 등급 및 상기 제4 등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수치를 상기 제2 값에 반영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alculator may reflect the second value to the second value only when the determined one-way size grade is one of the third grade and the fourth grad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는, 상기 편도(tonsil)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er, when the visibility of any one of the tonsil and tonsil poles and the palatine uvula is secured, determines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a fifth grade, If palatine uvula visibility is obtained but the tonsil visibility is not obtaine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is determined as a sixth grad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는, 상기 구개(palate) 중 연구개(soft palate)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7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개(palate) 중 경구개(hard palate)의 가시성만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8 등급으로 결정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ing unit, when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soft palate) of the palate is secured but the visibility of the palatine uvula is not secured, the palatal tongue position rating to the seventh grade Determining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eighth grade when only visibility of the hard palate of the palate is ensured.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따라 상기 제3 수치에 차등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제3 수치를 상기 제3 값에 반영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alculator may apply a differential weight to the third valu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nd reflect the third value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third valu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이 상기 제7 등급 및 상기 제8 등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만, 상기 제3 수치를 상기 제3 값에 반영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alculating unit may reflect the third value to the third value only when the determined one-way size grade is any one of the seventh grade and the eighth grad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수치 내지 상기 제3 수치 각각에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적용하여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culator calculates the success rate of the surgery by applying a first constant and a second constant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values.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수술 예측 대상의 수술 시행 후 수술 결과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상수 및 제2 상수를 업데이트하는 기계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update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by collecting a surgical result after performing surgery on a surgical predictor.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device.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 산출부, 및 예측부를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장치에서 수행되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으로서,
상기 편도 크기 등급 결정부에서, 편도 크기, 인두(pharynx)의 면적, 편도 기둥 및 구개수(palatine uvul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편도(tonsil)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 결정부에서, 구개(palate), 상기 편도(tonsil),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출부에서,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 및 연령(a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부에서, 상기 산출된 수술 성공률에 기초하여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A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method performed in a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ng device including a tonsil size grading unit, a palatal tongue position grading unit, a calculating unit, and a predicting unit,
Determining, in the tonsil size grading unit, considering the visibility of tonsil based on at least one of tonsil size, area of pharynx, tonsil pole and palatine uvula;
Determining, in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r,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s in consideration of the visibility of the palate, the tonsil, the palatine uvula, and the tonsil pillar;
Calculating, by the calculation unit, a surgical success rate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onsil size grade,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nd age; And
In the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surgical result based on the calculated surgical success rate;
How to predict surgical success r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편도 기둥에 의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1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편도 기둥의 주변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2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편도 기둥 및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편도 기둥으로부터 절반의 위치에 상응하는 기준선 이하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3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기준선 이상에서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편도 크기 등급을 제4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by the tonsil is not secured,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a first grade;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a second grade when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round the tonsil pillar;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below a baseline corresponding to half the position from the tonsil 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nsil and the palatine uvula, the tonsil size grade is determined as a third grade Making; And
If the visibility of the tonsil is secured above a baseline, determining the tonsil size grade as a fourth grade
How to predict surgical success r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편도(tonsil) 및 상기 편도 기둥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5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편도(tonsil)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6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개(palate) 중 연구개(soft palate)의 가시성은 확보되나 상기 구개수(palatine uvula)의 가시성이 확보되지않는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7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개(palate) 중 경구개(hard palate)의 가시성만 확보될 경우 상기 구개 혀 위치 등급을 제8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Determining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Determining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the fifth grade when the visibility of one of the tonsil and the tonsil pillar and the palatine uvula is secured;
Determining the palate tongue position grade as a sixth grade when visibility of the palatine uvula is secured but visibility of the tonsils is not secured;
Determining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a seventh grade if visibility of the soft palate of the palate is secured but visibility of the palatine uvula is not secured; And
Determining the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as an eighth grade if only visibility of the hard palate of the palate is ensured.
How to predict surgical success r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임의의 상수에서 상기 연령(age)에 상응하는 제1 수치를 감하여 제1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값에 상기 결정된 편도 크기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수치를 합하여 제2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값에서 상기 결정된 구개 혀 위치 등급에 상응하는 제3 수치를 감하여 제3 값을 상기 수술 성공률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Calculat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Calculating a first value by subtracting a first value corresponding to the age from any constant;
Calculating a second value by adding the calculated first value to a seco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one-way size class; And
Subtrac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alatal tongue position grade from the second value to calculate a third value as the surgical success rate
How to predict surgical success rate.
KR1020170183756A 2017-12-29 2017-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KR102038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56A KR102038139B1 (en) 2017-12-29 2017-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56A KR102038139B1 (en) 2017-12-29 2017-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321A KR20190081321A (en) 2019-07-09
KR102038139B1 true KR102038139B1 (en) 2019-10-29

Family

ID=6726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56A KR102038139B1 (en) 2017-12-29 2017-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1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325A (en) 2020-12-31 2022-07-07 박흥복 Device a Domestic System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3342A (en) * 2021-03-25 2021-07-23 香港中文大学(深圳) Method for determining oral sampling site, sampling robo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9056A1 (en) 2006-03-28 2007-10-11 Kent Moore System and method of predicting efficacy of tongue-base therapies
US20120186589A1 (en) 2011-01-26 2012-07-26 Singh Pankaj P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and sno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17A (en) * 2013-02-27 2014-09-11 김민준 Health diagnosis system using image information
EP2775412A1 (en) 2013-03-07 2014-09-10 Medesso GmbH Method of generating a medical suggestion as a support in medical decision making
KR101611838B1 (en) 2013-05-30 2016-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high risk based on patient safety
KR101596662B1 (en) 2014-02-11 2016-02-25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ssessing treatment response in obstructive sleep apenea
KR101693808B1 (en) 2014-09-02 2017-01-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9056A1 (en) 2006-03-28 2007-10-11 Kent Moore System and method of predicting efficacy of tongue-base therapies
US20120186589A1 (en) 2011-01-26 2012-07-26 Singh Pankaj P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and sno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325A (en) 2020-12-31 2022-07-07 박흥복 Device a Domestic System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321A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3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obstructive sleep apnea
Gutierrez et al. Respiratory rate variability in sleeping adults without obstructive sleep apnea
Muraja‐Murro et al. The severity of individual obstruction events is related to increased mortality rate in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Fiz et al. Continuous analysis and monitoring of sno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apnea‐hypopnea index
JP5878067B2 (en) Respiratory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200337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automated titration for oral appliance therapy
US10506969B2 (en) Acoustic upper airway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and sleep apnea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relying thereon
Jin et al. Acoustic analysis of snoring in the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 call for more rigorous studies
Shin et al. Unconstrained snoring detection using a smartphone during ordinary sleep
Montazeri et al. Assess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its severity during wakefulness
WO2010047218A1 (en) Asthma status scoring method and system with confidence ratings
KR1020381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KR1020148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Lai et al. Clinical predictors of effective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Zdanski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upper airway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subglottic stenosis
Sebastian et al. Association of snoring characteristics with predominant site of collapse of upper airway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Koutsourelakis et al.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determinants of snoring
Nakano et al. Relationship between snoring sound intensity and sleepines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US9848819B2 (en) Airflow and airway factors
Saha et al. Effects of increased pharyngeal tissue mass due to fluid accumulation in the neck on the acoustic features of snoring sounds in men
Wu et al. Vibration signals of snoring as a simple severity predictor for obstructive sleep apnea
Buyse et al. In search of a cut‐off apnea–hypopnea index in type 3 home portable monitors to diagnose and treat obstructive sleep apnea: a mathematical simulation
JP2020013204A (en) Medical server, stay-at-home medical device and system
Sebastian Identifying the site of upper airway collapse in obstructive sleep apnoea patients using snore signals
Kumano‐Go et al. Three components of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