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293B1 -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293B1
KR102034293B1 KR1020120142556A KR20120142556A KR102034293B1 KR 102034293 B1 KR102034293 B1 KR 102034293B1 KR 1020120142556 A KR1020120142556 A KR 1020120142556A KR 20120142556 A KR20120142556 A KR 20120142556A KR 102034293 B1 KR102034293 B1 KR 10203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oupling device
coupling
gu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4520A (en
Inventor
김명환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7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제 1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저장실에 위치하고 도어와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1 바스켓, 제 1 결합장치와 결합되는 제 2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제 1 바스켓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 2 바스켓, 및 제 1 결합장치 및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해제부를 포함하며, 제 1 바스켓과 제 2 바스켓이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중에, 제 2 바스켓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결합해제부에 의해서 제 1 결합장치 및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냉장고의 하단에 위치하는 냉동실의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 냉동실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 중단, 및 상단 바스켓 모두의 내용물을 일견하여 확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sliding to the front and rea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first coupling device, the first basket being loc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slidable back and forth with the door, the second coupling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a second basket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sket and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a disengag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wherein the first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are together. When the second baske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sliding forw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are released by the disengagement uni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pen the sliding d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to check the contents of all of the bottom, middle and top baskets locat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Refrigerat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냉장고의 하단에 위치하는 냉동실의 슬라이딩 도어를 여는 경우 냉동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 중단, 및 상단 바스켓 모두의 내용물이 보일 수 있도록 하단, 중단, 및 상단 바스켓 각각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정도가 적절히 조절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sliding d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so that the contents of both the bottom, middle, and top baskets locat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can be seen.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 baskets slides forward is directed to a refrigerator with appropriate adjustment.

냉장고는 냉매 시스템을 통해 냉장고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여 실온 보다 낮은 온도로 식품 등을 보관하는 장치이다.The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room temperature by providing cold air to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inside the refrigerator through a refrigerant system.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영상의 온도로 음식을 보관하는 냉장실 및 영하의 온도로 음식을 보관하는 냉동실이 구분되어 위치한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divided into a refrigerator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at an image temperature and a freezer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at a sub-zero temperature.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가 출시되면서, 냉장실이 상부에 위치하고 냉동실이 하부에 위치하는 모델이 개시된바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have been released, and a model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an upper side and a freez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the bottom.

그런데, 이와 같이 냉동실이 하부에 위치하는 냉장고에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힌지 도어를 사용한 경우, 냉장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납량으로 제조되는 냉동실의 특성상 냉동실의 높이가 낮아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의 손잡이를 파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hinge door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refrigerator is mainly used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freezing compartment located at the lower part, the heigh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s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mall storage capacity compar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nevitably bend the wais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동실 도어의 손잡이를 최대한 냉동실 도어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냉동실 도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오픈되는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andl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has been disclosed a sliding door of the form that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sliding forward.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는 냉동실 내부에 여러 개의 바스켓이 위치하는 경우 바스켓을 다시 열어야 바스켓 내부에 수납된 음식을 확인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such a sliding door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food stored in the basket when the basket is opened again when several baskets are loc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즉, 사용자가 특정 저장물을 수납한 바스켓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저장물을 찾기 위해 다수의 바스켓을 모두 열어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85380호 (2011.04.28.)
That is, when a user does not remember a basket in which a specific storage is stored, the user may have to open all the baskets in order to find a desired storage.
<Previous Document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85380 (2011.04.28.)

본 발명은 냉장고의 하단에 위치하는 냉동실의 슬라이딩 도어를 여는 경우 냉동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바스켓 내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asily check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baskets locat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when opening the sliding d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저장실;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제 1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와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1 바스켓; 상기 제 1 결합장치와 결합되는 제 2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스켓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 2 바스켓; 및 상기 제 1 결합장치 및 상기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스켓과 상기 제 2 바스켓이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중에, 상기 제 2 바스켓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합해제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장치 및 상기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torage room; A door sliding in front and rea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first basket comprising a first coupling device, said first basket being located in said storage compartment and slidable back and forth with said door; A second basket including a second coupling devic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the second basket being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sket and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a disengag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baske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the first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slide together forward.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is released by the coupling release unit.

또한, 상기 제 2 바스켓은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결합장치는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장치는, 상기 제 2 바스켓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 바스켓의 하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 2 경사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sket is located above the first basket, the first coupling device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ket, the second coupling device, the second It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portion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asket and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asket.

또한, 상기 제 1 결합장치는,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결합장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hing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baske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또한, 상기 제 1 결합장치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말단에 구비된 제 1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장치는, 상기 제 2 경사부의 말단에 구비된 제 2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맞닿을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abut at least in part.

또한,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호 간 접촉의 해제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2 결합장치는 상기 제 2 경사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upwar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또한, 상기 제 1 바스켓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바스켓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해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first basket; And a second guide part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second basket, wherein the disengagement par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또한, 상기 결합해제부는 상기 제 2 가이드부 보다 상기 저장실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engagement portion may protrude further toward the storage compartment than the second guide portion.

또한, 상기 제 2 바스켓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은, 저장실;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하단 바스켓; 상기 하단 바스켓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 바스켓과 함께 인출될 수 있는 중단 바스켓; 및 상기 중단 바스켓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단 바스켓과 함께 인출될 수 있는 상단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하단 바스켓은 상기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하단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중단 바스켓은 상기 하단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상단 바스켓은 상기 중단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후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torage room; A door sliding in front and rea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bottom basket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door;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sket, the basket can be pulled out with the lower basket; And an upper basket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pping basket, the upper basket being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stopping basket, and when the door is slid forward, the lower basket is slid forward with the door. The stopping basket is slid forward with the lower basket when the predetermined basket is reached, and the upper basket is slid forward with the stopping basket, and the refrigerator is stopped w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reached.

또한, 상기 중단 바스켓은 제 1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바스켓은 상기 제 1 결합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 2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는 상기 상단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 1 결합장치 및 상기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해제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ing basket includes a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upper basket includes a second coupling device for selectively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has the upper baske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ase, a coupling releasing unit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중단 바스켓은 하측에 구비된 중단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바스켓은 상기 중단 롤러를 가이드하는 하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단 레일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중단 롤러가 상기 하단 레일 걸림턱과 접하여 상기 하단 바스켓과 함께 상기 중단 바스켓이 함께 인출될 수 있다.
The stopping basket may include a stopping roller provid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the lower basket may include a lower rail for guiding the stopping roller and a lower rail engaging jaw positioned at a rear of the lower rail, and the lower basket may be predetermined. When reaching the position, the stopping roll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rail catching jaw and the stopping basket may b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lower basket.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냉장고의 하단에 위치하는 냉동실의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 냉동실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 중단, 및 상단 바스켓 모두의 내용물을 일견하여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pen the sliding d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to check the contents of all of the bottom, middle and top baskets locat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즉, 냉동실의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당기는 동작만으로 사용자는 각각의 바스켓에 수납된 저장물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check the storage stored in each basket by only grasping and pulling the handle of the sliding doo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저장물을 찾기 위해 다수의 바스켓을 직접 열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This saves the user from having to manually open multiple baskets to find the desired reposit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에 수납되는 다수의 바스켓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저장실 및 저장실의 측벽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단 바스켓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중단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상단 바스켓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 1 결합장치 및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바스켓이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basket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located on sidewalls of th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baske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spension baske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baske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withdrawing the basket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에 수납되는 다수의 바스켓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저장실 및 저장실의 측벽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basket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located on sidewalls of th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1)는, 케이스(10), 냉장실(미도시), 냉동실(100), 복수의 냉장실 도어(50), 냉동실 도어(200), 하단 바스켓(300), 중단 바스켓(400), 상단 바스켓(500), 제 1 결합장치(도 5의 600 참조), 제 2 결합장치(도 6의 700 참조), 및 결합해제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 refrigerator compartment (not shown), a freezer compartment 100, a plurality of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s 50,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 Lower basket 300, suspended basket 400, upper basket 500, first coupling device (see 600 in FIG. 5), second coupling device (see 700 in FIG. 6), and disengagement portion 800 It may include.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The case 10 form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1 as shown in FIG. 1.

케이스(10)는, 일례로서 직육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ase 10 may be, for exampl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으로서 냉장실 및 냉동실, 및 상기 저장 공간에 냉기를 저장하기 위한 냉각 장치가 위치한다. Inside the case 10,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s storage spaces for storing food, and a cooling device for storing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s.

냉장실에는 영상의 온도로 보관되는 저장물이 저장되며, 복수의 냉장실 도어(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stored at the temperature of the image is stored,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50).

냉동실(100)에는 영하의 온도로 보관되는 저장물이 저장되며, 후술할 냉동실 도어(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냉장실이 상부, 냉동실(100)이 하부에 위치하는 냉장고가 도시되고 있으나, 냉장실이 하부, 냉동실(100)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냉장실 및 냉동실이 좌우로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는 냉장실 및 냉동실(100)을 통칭하기 위해 저장실로 칭한다.The freezer compartment 100 stores a stored product at a sub-zero temperature, and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1,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an upper portion and a freezing compartment 100 in a lower portion is shown, but a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located in a lower portion and a freezing compartment 100 in an upper portion,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may be positioned left and right.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10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torage chamber.

냉동실(100) 내부에는, 후술할 다수의 바스켓(300,400,500)이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바스켓(300,400,500)은 상기 냉동실(100)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거나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다.In the freezing chamber 100, a plurality of baskets 300, 400, and 500 to be described later are located. The plurality of baskets 300, 400, and 500 may be slid out or slid out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냉동실(100)의 측벽(10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바스켓(300,400,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다수의 가이드부(111,112,11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idewall 105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may include a sliding guide 110 that guides sliding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baskets 300, 400, and 500. The sliding guid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arts 111, 112, and 113.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111,112,113)는 제 1 가이드부(111), 제 2 가이드부(112), 및 제 3 가이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111,112,11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이드부(111,112,113)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uide parts 111, 112, and 113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111, a second guide part 112, and a third guide part 113. The plurality of guide parts 111, 112, and 113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guide parts 111, 112, and 113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 1 가이드부(111)는, 후술할 중단 바스켓(400)의 중단 가이드부(도 6의 460 참조)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해 중단 바스켓(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first guide portion 111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spension guide portion (see 460 in FIG. 6)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제 2 가이드부(112)는, 후술할 상단 바스켓(500)의 제 1 상단 가이드부(도 6의 561 참조)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해 상단 바스켓(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 2 가이드부(112)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부(112) 보다 냉동실(100)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해제부(8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guide portion 112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portion (see 561 in FIG. 6) of the upper basket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asket 500.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12, as shown in Figure 3, the coupling release portion 800 protruding in the freezing chamber 100 inward direction than the second guide portion 112 may be locat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 3 가이드부(113)는, 후술할 상단 바스켓(500)의 제 2 상단 가이드부(도 6의 562 참조)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해 상단 바스켓(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third guide portion 113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upper guide portion (see 562 of FIG. 6) of the upper basket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asket 500.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측벽 가이드 롤러(11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guide 110 may include a side wall guide roller 114.

측벽 가이드 롤러(114)는, 제 3 가이드부(113)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3 가이드부(113)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하는 상단 바스켓(500)의 제 2 상단 가이드부(도 6의 562 참조)와 맞닿으며, 상단 바스켓(500)의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즉, 측벽 가이드 롤러(114)는 상단 바스켓(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한다.The side wall guide roller 114 is located in front of the third guide portion 113, and the second upper guide portion of the upper basket 500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guide portion 113 (see 562 of FIG. 6). A)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asket 500. That is, the side wall guide roller 114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asket 500.

냉동실 도어(20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냉동실(10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냉동실 도어(200)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냉동실 도어(200)의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냉동실 도어(200)의 상단이 회전 이동하여 냉동실 도어(200)가 개폐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00.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may be, for example, a structure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may be hinged, and the upper end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may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냉동실 도어(2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may include a handle 210 that a user can grip.

손잡이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2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부(210)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사용자가 손잡이부(210)를 파지하기 위해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The handle part 210 may be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s shown in FIG. 1. As the handle portion 210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the user does not need to bend the waist to grip the handle portion 210, which is more convenient.

또한, 냉동실 도어(200)는, 냉동실 도어(20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may include a door guide part 220 that guides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도어 가이드부(220)는, 일례로서 냉동실 도어(200)와 냉동실(100)의 측벽(105)에 고정되어 냉동실 도어(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부(220)는 다수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oor guide part 220 may be fixed to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00 and the sidewall 105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00. The door guide par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ils.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하단 바스켓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중단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상단 바스켓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baske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spension baske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aske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하단 바스켓(300)은 냉동실(100) 내부에 위치하며 저장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단 바스켓(300)은, 후술할 중단 바스켓(400) 및 상단 바스켓(500) 보다 넓은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lower basket 300 is located inside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and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the storage. The lower basket 300 may provide a wider storage space than the middle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to be described later.

하단 바스켓(300)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전면부(310), 하단 후면부(320), 하단 측면부(330), 하단 저면부(340), 하단 저장부(350), 하단 가이드부(360), 하단 롤러(370), 및 하단 레일(38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basket 3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lower front part 310, the lower rear part 320, the lower side part 330, the lower bottom part 340, the lower storage part 350, and the lower part. The guide unit 360 may include a lower roller 370 and a lower rail 380.

하단 전면부(310), 하단 후면부(320), 하단 측면부(330), 및 하단 저면부(34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저장물의 수납 공간인 하단 저장부(350)를 제공한다. The lower front part 310, the lower rear part 320, the lower side part 330, and the lower bottom part 340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upper part to open the lower storage part 350,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to provide.

하단 후면부(320)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전면부(31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 후면부(320)는 높이가 낮게 제공되어 하단 후면부(320)의 위로 냉장고에서 제공되는 냉기가 유입되어야 하고, 하단 전면부(310)는 높게 제공되어 유입된 냉기를 최대한 하단 바스켓(300) 내부에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단, 하단 후면부(320)의 높이는 저장물의 수납량을 고려해 적당한 높이로 산정되어야 한다.The lower rear part 320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front part 310 as illustrated in FIG. 4. The lower rear part 320 is provided with a lower height so that the cold air provided from the refrigerator is introduced above the lower rear part 320, and the lower front part 310 is provided with a high degree so that the introduced cold air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basket 300 as much as possible. This is because it should not be leaked. However, the height of the lower rear part 320 should be calculated to a suitable h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amount of the storage.

하단 측면부(330)의 상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단 가이드부(360)가 구비된다.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portion 330 is provided with a lower guide portion 360 which is bent outward as shown in FIG.

하단 가이드부(360)는, 상기 도어 가이드부(220)와 결합되거나 상기 냉동실 도어(200)에 구비된 지지부(미도시)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단 바스켓(300)의 하측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단 바스켓(300)은 냉동실 도어(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The lower guide part 360 may be coupled to the door guide part 220 or supported by a support part (not shown)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lternatively,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sket 300 may be supported by a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door. Thus, the lower basket 300 may move together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하단 가이드부(360)의 상부에는 하단 레일(380)이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rail 38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guide part 360.

하단 레일(380)은, 후술할 중단 바스켓(400)의 중단 롤러(470)가 회전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하단 레일(380)은, 중단 바스켓(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lower rail 380 is provided so that the stopping roller 470 of the stopping bas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rotates. That is, the lower rail 380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interruption basket 400.

하단 레일(380)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레일 걸림턱(381)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rail 380 may include, for example, a lower rail latching jaw 381 as illustrated in FIG. 4.

하단 레일 걸림턱(381)은, 상기 하단 바스켓(300)의 인출 시 상기 중단 롤러(470)와 접촉하여 상기 중단 롤러(470)를 인출 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중단 바스켓(400)이 상기 하단 바스켓(300)과 함께 인출될 수 있다.The lower rail catching jaw 381 serves to push the stopping roller 470 in the drawing direction by contacting the stopping roller 470 when the lower basket 300 is pulled out. Therefore, the stopping basket 400 may be drawn out together with the lower basket 300.

즉, 하단 바스켓(300)이 전진하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중단 롤러(470)만이 회전할 뿐 중단 바스켓(40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일단 중단 롤러(470)가 하단 레일 걸림턱(381)에 걸리면 중단 바스켓(400) 역시 하단 바스켓(300)과 함께 전진하게 된다(슬라이딩 인출됨). 여기서, 중단 바스켓(400)의 중단 롤러(470)는 중단 바스켓(400)의 측면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when the lower basket 300 moves forward, only the stopping roller 470 rotat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stopping basket 400 remains stopped, and once the stopping roller 470 stops the lower rail engaging jaw 381. When caught, the stopping basket 400 is also advanced with the lower basket 300 (sliding out). Here, the stop roller 470 of the stop basket 40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stop basket 4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면, 중단 바스켓(400)은 일례로서 중단 전면부(410), 중단 후면부(420), 중단 측면부(430), 중단 저면부(440), 중단 저장부(450), 중단 가이드부(460), 중단 롤러(470), 및 중단 레일(48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topping basket 400 is, for example, the stopping front part 410, the stopping back part 420, the stopping side part 430, the stopping bottom part 440, the stopping storage part 450, and the stopping guide part. 460, stop roller 470, and stop rail 480.

중단 전면부(410), 중단 후면부(420), 중단 측면부(430), 및 중단 저면부(44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저장물의 수납 공간인 중단 저장부(450)를 제공한다. The interruption front part 410, the interruption back part 420, the interruption side part 430, and the interruption bottom part 440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upper part to open the interruption storage part 450,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to provide.

중단 전면부(410)는, 사용자가 중단 바스켓(400)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파지부로서 역할할 수 있다.The stop front part 410 may serve as a grip when the user wants to take out the stop basket 400.

중단 후면부(42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전면부(41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유는, 하단 후면부(42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interruption back part 42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interruption front part 410 as shown in FIG. 5. The reas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lower rear part 420, and thus will be omitted.

중단 측면부(430)의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중단 가이드부(460)가 구비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interruption side part 430, a stop guide part 460 is formed to be bent outward as shown in FIG. 5.

중단 가이드부(460)는, 제 1 가이드부(111)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하여 중단 바스켓(4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p guide part 460 serves to guide sliding of the stop basket 4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part 111.

중단 가이드부(460)의 하부에는 중단 롤러(470)가 위치하고, 상부에는 중단 레일(480)이 위치할 수 있다.The stop roller 47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top guide 460, and the stop rail 48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top guide 460.

중단 롤러(470)는, 하단 레일(380) 위를 회전하며 이동한다. 중단 롤러(470)에 의해 사용자가 중단 바스켓(400)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감소한다. 또한, 중단 롤러(470)에 의해 중단 바스켓(400)이 보다 부드럽게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e stopping roller 470 moves on the lower rail 380 in rotation. The stopping roller 470 reduces the force required for the user to slide the stopping basket 400 back and forth. In addition, the stopping basket 40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more smoothly by the stopping roller 470.

중단 롤러(470)는, 일례로서 중단 바스켓(400)의 측면의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topping roller 47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side of the stopping basket 400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중단 레일(480)은, 후술할 상단 바스켓(500)의 상단 롤러(570)가 회전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중단 레일(480)은, 상단 바스켓(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stop rail 480 is provided so that the top roller 570 of the top basket 500 mentioned later may rotate. That is, the stopping rail 480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asket 500.

중단 레일(480)은,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중단 레일 걸림턱(48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재가 중단 레일 걸림턱(481)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suspension rail 480 may include, for example, a suspension rail latching jaw 481 positioned forward as shown in FIG. 5. However, this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position of the stopping rail catching jaw 481.

중단 레일 걸림턱(481)은, 후술할 상단 바스켓(500)의 상단 롤러(570)와 접한다. 이와 같이, 상단 롤러(570)가 중단 레일 걸림턱(481)에 접한 상태에서 상단 바스켓(500)이 인출되면 중단 바스켓(400)도 함께 인출된다. 즉, 중단 레일 걸림턱(481)은 상단 롤러(570)로부터 인출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stopping rail locking step 48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 570 of the upper basket 500 to be described later. As such, when the upper basket 500 is pulled out while the upper roller 570 is in contact with the stopping rail catching jaw 481, the stopping basket 400 is also taken out. That is, the stopping rail catching jaw 481 may receive a force drawn from the upper roller 570.

여기서, 상단 롤러(570)는 상단 바스켓(500)의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upper roller 57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basket 500.

도 6을 참고하면, 상단 바스켓(500)은 일례로서 상단 전면부(510), 상단 후면부(520), 상단 측면부(530), 상단 저면부(540), 상단 저장부(미도시), 제 1 상단 가이드부(561), 제 2 상단 가이드부(562), 상단 롤러(570), 및 상단 바스켓 가이드 롤러(5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upper basket 500 is, for example, an upper front part 510, an upper rear part 520, an upper side part 530, an upper bottom part 540, an upper storage part (not shown), and a first one. The upper guide part 561, the second upper guide part 562, the upper roller 570, and the upper basket guide roller 590 may be included.

상단 전면부(510), 상단 후면부(520), 상단 측면부(530), 및 상단 저면부(54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저장물의 수납 공간인 상단 저장부(550)를 제공한다. The upper front part 510, the upper rear part 520, the upper side part 530, and the upper bottom part 540 form an open rectangular parallelepiped to form an upper storage part 550,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to provide.

상단 전면부(510)는, 일례로서 파지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511)는 상단 전면부(510)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가 용이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ont part 510 may include a grip part 511 as an example. The gripping portion 5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front portion 510 to be recessed to facilitate gripping by a user.

상단 전면부(510)는, 일례로서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단 전면부(510)를 통해 상단 바스켓(500) 내부에 수납된 저장물이 무엇인지 보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upper front part 5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ee what is stored in the upper basket 500 through the upper front portion 510.

상단 저면부(52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격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격자를 통해 하부에서 유입되는 냉기가 쉽게 유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upper bottom portion 5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atings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Through such a plurality of grid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ld air flowing from the bottom can be easily introduced.

상단 측면부(530)의 하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단 가이드부(561)가 구비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530, a first upper guide portion 561 is provided as shown in FIG. 6.

제 1 상단 가이드부(561)는, 제 2 가이드부(112)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하여 상단 바스켓(5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upper guide part 561 serves to guide the upper basket 500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part 112 at least in part.

또한, 상단 측면부(530)의 중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단 가이드부(56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portion 530, the second upper guide portion 562 is provided as shown in FIG.

제 2 상단 가이드부(562)는, 제 3 가이드부(113)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하여 상단 바스켓(5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상단 가이드부(562)가, 측벽 가이드 롤러(114)와 접할 수 있음은 이미 살핀 바이다. 이 경우, 상단 바스켓(500)은, 후술할 상단 롤러(570) 및 측벽 가이드 롤러(114), 즉 2개의 롤러(570,114)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보다 부드럽게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upper guide part 562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guide part 113 and serves to guide the upper basket 500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it is already a salping bar that the second top guide portion 562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guide roller 114. In this case, the upper basket 500 is guided by the upper roller 570 and the side wall guide roller 114, that is, two rollers 570 and 1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baskets can be slid forward and rearward more smoothly.

여기서, 제 1 상단 가이드부(561) 및 제 2 상단 가이드부(562)의 위치는 상단 측면부(530)의 하단과 중단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단 바스켓(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어느 위치라도 가능하다.Here, the positions of the first upper guide part 561 and the second upper guide part 562 are not limited to the lower end and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ide part 530, and which can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asket 500. It is possible to position.

또한, 제 1 상단 가이드부(561) 및 제 2 상단 가이드부(56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upper guide portion 561 and the second upper guide portion 562 may be omitted.

제 1 상단 가이드부(561)의 하부에는 상단 롤러(570)가 위치할 수 있다. An upper roller 57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guide part 561.

상단 롤러(570)는, 중단 레일(480) 위를 회전하며 이동한다. 상단 롤러(570)에 의해 사용자가 상단 바스켓(500)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감소한다. 또한, 상단 롤러(570)에 의해 상단 바스켓(500)이 보다 부드럽게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upper roller 570 rotates and moves over the suspension rail 480. The upper roller 570 reduces the force required for the user to slide the upper basket 500 back and forth. In addition, the upper basket 500 may be slidably moved back and forth by the upper roller 570.

상단 롤러(57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바스켓(500)의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상단 롤러(57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단 롤러(570)가 중단 레일 걸림턱(481)에 인출되는 힘을 전달할 수 있음은 이미 살핀 바이다.The upper roller 57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basket 500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but the position of the upper roller 570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t is already the salping bar that the upper roller 570 can transmit the force drawn out to the suspension rail engaging jaw 481.

상단 바스켓 가이드 롤러(5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바스켓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91)의 말단에 구비된다. 상단 바스켓 가이드 롤러(590)는,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단 바스켓(500)을 중단 바스켓(400)으로부터 외부로 완전히 탈거한 후 다시 넣는 과정에서 상단 바스켓(500)이 중단 바스켓(400) 위에 용이하게 놓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즉, 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591) 상에 구비된 상단 바스켓 가이드 롤러(590)를 중단 바스켓(400)의 중단 레일(480)에 놓고 상단 바스켓(500)을 아래로 내리면서 뒤로 미는 동작을 통해, 상단 바스켓(500)을 중단 바스켓(40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The upper basket guide roller 59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591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basket as shown in FIG. 6. The upper basket guide roller 590, through this structure, the upper basket 500 easily removes the upper basket 500 from the stopping basket 400 to the outside, and then reinserts the upper basket 500. It helps to be laid. That is, the upper basket guide roller 590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591 protruding to the rear is placed on the suspension rail 480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and pushes the upper basket 500 downward while pushing backward. Through this, the upper basket 500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suspension basket 400.

제 1 결합장치(600)는, 후술할 제 2 결합장치(700)와 결합되며, 후술할 결합해제부(800)에 의해 제 2 결합장치(70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upling with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may be released by the coupling release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제 1 결합장치(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바스켓(400)에 구비된다. 일례로서, 제 1 결합장치(600)는, 중단 레일(48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2 가이드부(112) 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해제부(800)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is provided in the stopping basket 400 as shown in FIG. 5. As an example,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spension rail 480.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may be influenced by the disengagement portion 800 protruding inward than the second guide portion 112.

제 1 결합장치(600)는, 제 1 베이스(610), 및 제 1 결합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may include a first base 610 and a first coupling member 620.

제 1 베이스(610)는, 제 1 힌지축 수용부(611), 탄성부재 지지부(612), 함몰면(613), 제 1 장착면(614) 및 제 1 결합홀(6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610 may include a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art 611,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part 612, a recessed surface 613, a first mounting surface 614, and a first coupling hole 615. have.

제 1 힌지축 수용부(611)는 후술할 제 1 결합부재(620)의 제 1 힌지축(621)과 결합되기 위해 함몰면(613)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 힌지축 수용부(611)와 결합된 제 1 힌지축(621)은 제 1 결합부재(620)에 피벗 운동의 중심을 제공한다. 도 5에서는 일례로서 제 1 힌지축 수용부(611)가 홈을 포함하고 제 1 힌지축(621)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힌지축 수용부(611) 및 제 1 힌지축(621)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힌지축 수용부(611) 및 제 1 힌지축(621)이 상호간 결합되어 제 1 결합부재(620)가 제 1 베이스(610)에 대해 상대적인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피벗 중심을 제공할 수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surface 613 to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shaft 621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hinge shaft 621 coupled with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provides a center of pivot movement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In FIG. 5, as an example, although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includes a groove and the first hinge shaft 6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and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are inserted. The structure of the hinge shaft 6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and the first hinge shaft 62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610. Any structure can be provided that can provide a pivot center for relative pivoting.

한 쌍의 탄성부재 지지부(612)는 함몰면(61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부재 가이드바(625)을 둘러싸도록 위치한 탄성부재(630)를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 지지부(612) 사이 공간에는 가이드바 수용홀(612a)이 형성된다. 단, 탄성부재 지지부(612)의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함몰면(613)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630)를 지지하고 탄성부재 가이드바(625)는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The pair of elastic member supporters 612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ed surface 613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630 positioned to surround the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to be described later. Guide bar accommodation holes 612a ar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member support parts 612. However,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 portion 6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ed surface 613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630 and the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may be selectively accommodated. Any structure can be possible.

가이드바 수용홀(612a)은 후술할 탄성부재 가이드바(625)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The guide bar receiving hole 612a selectively receives the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to be described later.

함몰면(613)은 후술할 제 1 장착면(614)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제 1 결합부재(620)를 수용한다. 살핀 바와 같이 제 1 힌지축 수용부(611) 및 탄성부재 지지부(612)가 함몰면(61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recessed surface 613 is recessed from the first mounting surface 614 to be described later, and accommodates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As illustrated,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art 611 and the elastic member support part 612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ed surface 613.

제 1 장착면(614)은, 제 1 결합장치(600)가 중단 바스켓(400)에 장착되기 위한 면을 제공한다.The first mounting surface 614 provides a surface for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to be mounted to the stopping basket 400.

제 1 결합홀(615)은 제 1 결합장치(600)를 중단 바스켓(4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제 1 장착면(614) 상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제 1 결합홀(615)을 통해 제 1 베이스(610)는 중단 바스켓(4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 1 결합장치(600)와 중단 바스켓(400)의 결합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착제에 의한 접착, 일체로 형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hole 615 is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614 to mount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to the stopping basket 400. In more detail, the first base 610 may be screwed to the stopping basket 400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615.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top basket 4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upled in various ways, such as adhesion by an adhesive or integrally formed.

제 1 결합부재(620)는, 후술할 제 2 결합부재(7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제 1 결합부재(620)와 제 2 결합부재(720) 사이의 결합은 후술할 결합해제부(800)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released by

제 1 결합부재(620)는, 제 1 힌지축(621), 제 1 경사부(622), 제 1 절곡부(623), 제 1 동작제한부(624), 및 탄성부재 가이드바(6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includes a first hinge shaft 621, a first inclined portion 622, a first bent portion 623, a first operation limiting portion 624, and an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It may include.

제 1 힌지축(621)은, 제 1 힌지축 수용부(611)와 결합하여 제 1 결합부재(620)에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The first hinge shaft 621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to provide a rotation center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제 1 경사부(622)는, 제 1 베이스(610)의 제 1 장착면(614)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622)는, 제 1 힌지축(621)의 상부에서부터 후술할 탄성부재 가이드바(625)의 상부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imaginary line A connecting the first mounting surface 614 of the first base 610. 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may have an inclined shape so as to gradually increas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621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to be described later.

제 1 경사부(622)는, 상부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의 말단에 제 1 접촉부(62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622a at a distal end of the portion that most protrudes upward.

제 1 접촉부(622a)는, 후술할 제 2 결합장치의 제 2 접촉부(722a)와 접촉되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접촉부(622a)는 제 2 접촉부(722a)와 미끄러지듯이 접촉이 해제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may be coupled in a form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of the second coupl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contact is easily released as if sliding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제 1 절곡부(623)는, 제 1 경사부(622)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제 1 절곡부(623)는 이와 같은 형태로 제 1 결합부재(62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bent portion 623 is bent down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The first bent portion 623 may form the side appearan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in this manner.

제 1 동작제한부(624)는, 제 1 경사부(622) 중 가장 낮게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1 장착면(614)과 접한다. 즉, 제 1 동작제한부(624)는 제 1 힌지축(6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경사부(622)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 1 힌지축 수용부(611) 및 제 1 힌지축(6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결합부재(62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limiting part 624 extends from the lowest formed point among the first inclined parts 622 to contact the first mounting surface 614. That is, the first operation limiting unit 624 extends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positioned above the first hinge shaft 621. Through such a structur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rotating around the first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611 and the first hinge shaft 621 may be limited.

탄성부재 가이드바(625)는 일례로서 원통형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630)가 원통형 탄성부재 가이드바(625)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may be cylindrical as an example, and the elastic member 630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탄성부재(630)는, 탄성부재 가이드바(62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하며, 탄성부재(63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 지지부(612)가 위치하고, 탄성부재(630)의 상부에는 제 1 경사부(622)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 1 경사부(622)가 하부로 피벗 이동하는 경우 탄성부재(630)가 제 1 경사부(6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630)는 하부로 회전 이동한 제 1 경사부(622)를 밀어올리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member 630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guide bar 625,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 part 612 is disposed below the elastic member 630, and a first inclina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630. Part 622 is located. Through such a structure, wh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pivots downward, the elastic member 63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That is, the elastic member 630 serves to push up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2 rotated downward.

제 2 결합장치(700)는, 제 1 결합장치(600)와 결합되며, 후술할 결합해제부(800)에 의해 제 1 결합장치(60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may be released by the coupling release unit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 결합장치(7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바스켓(5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중단 바스켓(400)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결합장치(6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결합장치(600) 및 제 2 결합장치(700)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양자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자는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asket 500. Through this structure, it can b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ing basket (400).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are not limited, but they should b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so that they can be selectively coupled.

제 2 결합장치(700)는, 제 2 베이스(710), 및 제 2 결합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may include a second base 710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720.

제 2 베이스(710)는, 제 2 힌지축(711), 제 2 장착면(712), 제 2 결합부재 수용홀(713), 및 제 2 결합홀(7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710 may include a second hinge shaft 711, a second mounting surface 712, a second coupling member accommodation hole 713, and a second coupling hole 714.

제 2 힌지축(711)은 후술할 제 2 힌지결합부(721)와 결합되어 제 2 결합부재(720)에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힌지축(711)은 제 2 힌지결합부(721)와의 결합을 통해 제 2 결합부재(720)에 회전 중심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The second hinge shaft 711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721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 rotation center 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However,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hinge shaft 711 may have any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a rotation center 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through coupling with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721. .

제 2 장착면(712)은, 제 2 결합장치(700)가 상단 바스켓(500)에 장착되기 위한 면을 제공한다.The second mounting surface 712 provides a surface for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to be mounted to the upper basket 500.

제 2 장착면(712)에는 후술할 제 2 결합부재 수용홀(713), 및 제 2 결합홀(714)이 구비된다.The second mounting surface 712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member receiving hole 713 and a second coupling hole 714 to be described later.

제 2 결합부재 수용홀(713)은, 후술할 제 2 결합부재(720)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즉, 제 2 결합부재(7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 2 결합부재(720)의 단면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2 결합부재(72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결합부재(720)를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accommodation hole 713 selectively accommodates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to be accommodated.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may be a rectangular hole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shape may be provided as long as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can accommodate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제 2 결합홀(714)은, 제 2 결합장치(700)를 상단 바스켓(5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제 2 장착면(712) 상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제 2 결합홀(714)을 통해 제 2 베이스(710)는 상단 바스켓(500)에 나사 결할될 수 있다. 다만, 제 2 결합장치(700)와 상단 바스켓(500)의 결합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1 결합장치(600) 및 중단 바스켓(400)의 결합 방법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일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hole 714 is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surface 712 to mount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to the upper basket 500. In more detail, the second base 710 may be screwed to the upper basket 500 through the second coupling hole 714.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and the upper basket 5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methods similar to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topping basket 400.

제 2 결합부재(720)는, 제 1 결합부재(6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제 1 결합부재(620)와 제 2 결합부재(720) 사이의 결합은 후술할 결합해제부(800)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is coupled to the release portion 8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eleased by

제 2 결합부재(720)는, 제 2 힌지결합부(721), 제 2 경사부(722), 제 2 절곡부(723), 및 제 2 동작제한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may include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721, a second inclined part 722, a second bent part 723, and a second operation limiting part 724.

제 2 힌지결합부(721)는, 제 2 힌지축(711)과 결합되어 제 2 결합부재(720)에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제 2 힌지결합부(721)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의 제 2 힌지축(711)과 힌지 결합 가능하도록 둥글게 형성된 홀 일 수 있다.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721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shaft 711 to provide a rotation center 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721 may be a hole that is roundly formed to be hinged with the cylindrical second hinge axis 711.

제 2 경사부(722)는, 제 2 베이스(710)의 제 2 장착면(71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부(722)는, 제 2 힌지결합부(721)의 하부에서부터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n imaginary line B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surface 712 of the second base 710. 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may have an inclined shape so as to be gradually lower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721.

제 2 경사부(722)는, 하부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의 말단에 제 2 접촉부(72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722a at the end of the portion that most protrudes downward.

제 2 접촉부(722a)는, 제 1 접촉부(622a)와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제 1 접촉부(622a)와 접촉되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접촉부(722a)는 제 1 접촉부(622a)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접촉부(722a)는 일례로서 제 2 경사부(722)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so as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and contact 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In addi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can be easily released. As an examp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may form a right angle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제 2 절곡부(723)는, 제 2 경사부(722)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제 2 절곡부(723)는, 이와 같은 형태로 제 2 결합부재(72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절곡부(723)는, 상단 바스켓(500)을 냉동실(100)로부터 완전히 탈거한 후 다시 삽입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결합해제부(800)에 제 2 접촉부(722a)가 걸리지 않고 올라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second bent portion 723 is bent up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The second bent portion 723 forms the side appearan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in such a manner. In addition, the second bent portion 723 is not removed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to the disengagement portion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removing the upper basket 500 from the freezing chamber 100 and then inserting the upper basket 500 again. It can also serve as a guide for riding.

제 2 동작제한부(724)는, 제 2 경사부(722)중 가장 높게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2 장착면(712)과 접한다. 즉, 제 2 동작제한부(724)는 제 2 힌지결합부(7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경사부(722)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 2 힌지축(711) 및 제 2 힌지결합부(7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결합부재(72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limiting part 724 extends from the highest formed point of the second inclined part 722 to contact the second mounting surface 712. That is, the second operation limiting part 724 extends from the second inclined part 722 positioned below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721. Through such a structur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720 rotating around the second hinge shaft 71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721 may be limited.

결합해제부(800)는, 제 1 결합장치(600)와 제 2 결합장치(700)의 결합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해제부(800)는, 일례로서 제 2 가이드부(112)로부터 냉동실(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해제부(800)는, 제 2 가이드부(112)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The decoupling part 800 serves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The decoupling part 80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guide part 112 toward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disengagement portion 80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12.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이드부(112) 전체 부분 중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12)의 앞쪽 부분에 상기 결합해제부(800)가 위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disengagement part 80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part of the second guide part 112 among the entire parts of the second guide part 112.

또한, 결합해제부(800)는, 제 2 가이드부(112) 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결합해제부(80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단 바스켓(500)이 적절히 인출될 수 있도록 제작시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결합해제부(800)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engagement portion 800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guide portion 112. However, the position of the disengagement unit 8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ermi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so that the upper basket 500 may be properly withdrawn, and the user may arbitrarily position the disengagement unit 800 as necessary. It can also be made to change.

결합해제부(800)는, 제 1 결합장치(600) 및 제 2 결합장치(7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위치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10)의 양측벽에 구비되거나 어느 한쪽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ecoupling part 800 is positioned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and is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guide part 110 as needed, or on either side. It may be provided 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을 인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drawing out the baske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 1 결합장치 및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바스켓이 냉동실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of withdrawing the basket from the freez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냉동실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하단 바스켓(300), 중단 바스켓(400), 및 상단 바스켓(500)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냉동실(100)에는 냉기가 유입되어 바스켓(300,400,500)에 수용된 수용물이 냉동 또는 냉장 상태가 유지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freezer door 200 is closed, the lower basket 300, the stopping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are accommod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00 as shown in FIG. 8A. Located. At this time, the col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reezer compartment 100 to maintain the freezing or refrigerated state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d in the basket (300, 400, 500).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200)의 손잡이부(210)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당기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20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냉동실 도어(200)와 함께 하단 바스켓(300)이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 때, 상기 하단 바스켓(300)이 일정 거리만큼 인출되기 전까지는 상기 중단 바스켓(400)과 상단 바스켓(50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portion 210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nd pulls it forwar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slides forward as shown in FIG. 8B,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is moved. Together the lower basket 300 is pulled forward. At this time, until the lower basket 300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topping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remain stopped.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200)의 손잡이부(210)를 파지하고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기는 경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바스켓(300)은 냉동실 도어(200)와 함께 추가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며, 중단 바스켓(400) 및 상단 바스켓(500)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portion 210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nd continues to pull forward, the lower basket 300 additionally moves forward together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s shown in FIG. Withdrawal, the interrupting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are also withdrawn forward.

도 8의 (b)를 참고하면, 하단 레일 걸림턱(381)에 중단 롤러(470)가 걸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단 바스켓(300)이 인출되면 하단 레일 걸림턱(381)이 중단 롤러(470)에 전방으로 인출되는 힘을 제공하게 되므로 중단 롤러(470)가 구비된 중단 바스켓(400) 역시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8 (b), it can be seen that the stopping roller 470 is hung on the lower rail catching jaw 381, and when the lower basket 300 is drawn out in this state, the lower rail catching jaw 381. Since the stopping roller 470 is provided with a force to be pulled forward, the stopping basket 400 provided with the stopping roller 470 is also drawn out forward.

또한, 중단 바스켓(400)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결합장치(600)와 상단 바스켓(500)의 하부에 구비된 제 2 결합장치(70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촉부(622a) 및 제 2 접촉부(722a)가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중단 바스켓(400)이 전방으로 인출되면 제 1 접촉부(622a)가 제 2 접촉부(722a)를 밀게 되어, 제 1 결합장치(600)가 제 2 결합장치(700)를 구비한 상단 바스켓(500)까지 끌고 나오는 결과가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asket 50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as shown in (a) of FIG. 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stopping basket 400 is pulled forward in this state, the first contact portion 622a pushes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so that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includes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The result is to pull up to one upper basket (500).

나아가,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200)의 손잡이부(210)를 파지하고 계속하여 전방으로당기는 경우,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바스켓(300)은 냉동실 도어(200)와 함께 추가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며, 중단 바스켓(400)도 하단 바스켓(300)과 함께 추가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단 바스켓(500)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Further,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portion 210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nd continues to pull forward, the bottom basket 300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0 as shown in FIG. It is withdrawn to the front, the stopping basket 400 is also withdrawn further forward with the lower basket 300, the upper basket 500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도 8의 (c)를 참고하면, 하단 레일 걸림턱(381)에 중단 롤러(470)가 걸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단 바스켓(300)이 인출되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중단 바스켓(400) 역시 전방으로 인출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8 (c), it can be seen that the stopping roller 470 is caught in the lower rail catching jaw 381. In this state, the lower basket 300 is pulled out and the stopping basket is removed for the reason as described above. 400 is also drawn forward.

또한, 중단 바스켓(400)의 계속적인 인출로 중단 바스켓(400)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결합장치(600)와 상단 바스켓(500)의 하부에 구비된 제 2 결합장치(700)는 결합이 해제되어 상단 바스켓(500)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asket 500 by the continuous withdrawal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are coupled. The upper basket 500 is released so that the top basket 500 is stopped.

제 1 결합장치(600)와 제 2 결합장치(700) 사이의 결합 해제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장치(600)는 결합해제부(80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단 바스켓(500)의 인출에 따라 점점 결합해제부(800)에 가까워지게 되며, 계속적인 상단 바스켓(500)의 인출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장치(700)의 제2 경사부(722)는 결합해제부(800)와 맞닿게 된다. 이렇게 결합해제부(800)와 제2 경사부(722)가 맞닿은 상황에서 중단 바스켓(400), 상단 바스켓(500), 및 제2 결합장치(700)가 계속하여 전진하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부(722)가 결합해제부(800)를 타고 올라가면서 회전된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7 (a),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is the coupling release portion 800 As the upper basket 500 withdraws from the spaced apart), the coupling is gradually closer to the disengaged portion 800, and the second basket as shown in FIG. 7 (b) is continuously drawn out of the upper basket 500. 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of the coupling device 7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engaging portion 800. When the disengagement basket 80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topping basket 400, the upper basket 5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continue to move forward.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inclined portion 722 is rotated while riding up the disengaged portion 80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1 결합장치(600)와 제 2 결합장치(700) 사이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어 중단 바스켓(400)이 더 이상은 상단 바스켓(500)에 어떠한 힘도 전달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바, 상단 바스켓(500)은 제 1 결합장치(600)와 제 2 결합장치(700) 사이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 당시의 위치에 정지 상태로 머물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process,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is completely released, so that the stopping basket 400 no longer transmits any force to the upper basket 500. If the upper basket 500 is to remain in a stationary state at the time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60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is completely released.

제 1 접촉부(622a) 및 제 2 접촉부(722a)의 결합 해제가 용이하도록, 제 1 접촉부(622a) 및 제 2 접촉부(722a)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음은 이미 살핀 바이다.It is already seen that the first contact 622a and the second contact 722a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irst contact 622a and the second contact 722a can be easily disengaged.

사용자는 도 8의 (d)와 같이 인출된 하단 바스켓(300), 중단 바스켓(400), 및 상단 바스켓(500)에 저장된 저장물을 일견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e user can check the storage stored in the lower basket 300, the stopping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as shown in FIG. 8 (d).

사용자가 원하는 저장물이 하단 바스켓(300)에 있는 경우라면 하단 바스켓(300)에서 저장물을 바로 꺼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저장물이 중단 바스켓(400) 또는 상단 바스켓(500)에 있는 경우라면 필요에 따라 중단 바스켓(400) 또는 상단 바스켓(500)을 보다 앞으로 인출시킨 후 원하는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If the user wants the storage in the lower basket 300, the storage can be directly removed from the lower basket 300, if the user wants the storage in the stopping basket 400 or the upper basket 500 If necessary, the pull basket 400 or the upper basket 500 may be pulled forward, and then the desired storage may be taken out.

나아가, 사용자는 중단 바스켓(400) 및 상단 바스켓(500)을 냉동실(100)로부터 완전히 탈거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user may completely remove the suspension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10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을 인출 후 다시 집어넣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withdrawing and reinserting a baske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중단 바스켓(400)을 냉동실(100) 및 하단 바스켓(300)의 상부로부터 완전히 탈거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중단 바스켓(400)의 중단 롤러(470)가 하단 바스켓(300)의 하단 레일(380)에 안착하도록 중단 바스켓(400)을 장착할 수 있다. If the suspension basket 400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100 and the lower basket 300, the user may use the lower rail 380 of the lower basket 300 when the suspension roller 470 of the suspension basket 400 is removed. A suspension basket 400 may be mounted to seat on.

이 후, 사용자는 상단 바스켓(500)을 중단 바스켓(4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단 바스켓(500)의 상단 바스켓 가이드 롤러(590)를 중단 바스켓(400)의 중단 레일(480)에 놓고 상단 바스켓(500)을 아래로 내리면서 뒤로 미는 동작을 통해, 상단 바스켓(500)을 중단 바스켓(40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can mount the upper basket 500 to the stopping basket 400. In this case, the upper basket guide roller 590 of the upper basket 500 is placed on the stopping rail 480 of the stopping basket 400 and pushes the upper basket 500 downward while pushing the upper basket 500 to the upper basket 500.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stopping basket 400.

장착된 상단 바스켓(500)을 후방으로 미는 경우, 제 2 결합장치(700)의 제 2 접촉부(722a)가 결합해제부(800)와 만나게 되는데, 이때 제 2 절곡부(723)는 제 2 접촉부(722a)가 결합해제부(800)에 걸리지 않고 올라타는 형태로 지나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mounted upper basket 500 is pushed backward,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of the second coupling device 700 meets the disengagement portion 800, where the second bent portion 723 is the second contact portion. 722a serves to guide so as not to get caught in the disengagement portion 800 to get on the way.

이 후,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200)를 닫게 되면 하단 바스켓(300), 중단 바스켓(400), 및 상단 바스켓(500)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 상태로 냉동실(100)에 수납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closes the freezer door 200, the lower basket 300, the stopping basket 400, and the upper basket 500 are aligned as shown in FIG. 8A, and the freezing chamber 100. ) Is stor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중단 바스켓을 제 1 바스켓, 상기 상단 바스켓을 제 2 바스켓이라 칭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ddle baske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ket, and the upper baske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aske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스
50 : 냉장실 도어
100 : 냉동실
200 : 냉동실 도어
300 : 하단 바스켓
400 : 중단 바스켓
500 : 상단 바스켓
600 : 제 1 결합장치
700 : 제 2 결합장치
800 : 결합해제부
10: case
50: refrigerator door
100: freezer
200: freezer door
300: bottom basket
400: suspended basket
500: upper basket
600: first coupling device
700: second coupling device
800: disengagement unit

Claims (12)

저장실;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제 1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와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1 바스켓;
상기 제 1 결합장치와 결합되는 제 2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 2 바스켓; 및
상기 제 1 결합장치 및 상기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해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장치는 제 1 바스켓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1경사부를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장치는, 상기 제 2 바스켓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2 바스켓의 하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 2 경사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스켓과 상기 제 2 바스켓이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중에, 상기 제 2 바스켓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합해제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장치 및 상기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냉장고.
storeroom;
A door sliding in front and rea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first basket comprising a first coupling device, said first basket being located in said storage compartment and slidable back and forth with said door;
A second basket including a second coupling devic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the second basket being positioned above the first basket and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Including a disengagement portion, which releases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The first coupling device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ket,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up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protrudingly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ket,
The second coupling device includes a second inclined portion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asket,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asket,
When the second baske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the first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are sliding forward toge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is prevented by the coupling release unit. Refrigerator relea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장치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말단에 구비된 제 1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장치는, 상기 제 2 경사부의 말단에 구비된 제 2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upl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but at least a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호 간 접촉의 해제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formed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release of mutual contac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장치는 상기 제 2 경사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coupl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upwar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스켓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바스켓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해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sliding of the first baske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second basket,
The disengagement uni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해제부는 상기 제 2 가이드부 보다 상기 저장실 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engagement portion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more protruding toward the storage compartment than the second gu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스켓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스켓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와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하단 바스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하단 바스켓은 상기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하단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바스켓은 상기 하단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2 바스켓은 상기 제1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후,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basket, further comprising a lower basket tha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door,
When the door is slid forward, the lower basket is slid forward together with the door, and when the lower baske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rst basket slid forward with the lower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The refrigerator is slid forward with the first basket, and stops when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해제부는, 상기 제2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 1 결합장치 및 상기 제 2 결합장치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upling release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when the second baske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스켓은 하측에 구비된 중단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바스켓은 상기 중단 롤러를 가이드하는 하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단 레일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중단 롤러가 상기 하단 레일 걸림턱과 접하여 상기 하단 바스켓과 함께 상기 제1바스켓이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basket includes a stop roll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 lower basket includes a lower rail for guiding the stopping roller and a lower rail engaging jaw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wer rail,
And when the lower baske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topping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rail engaging jaw and the first basket is drawn out together with the lower basket.
KR1020120142556A 2012-12-10 2012-12-10 A refrigerator KR102034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56A KR102034293B1 (en) 2012-12-10 2012-12-10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56A KR102034293B1 (en) 2012-12-10 2012-12-10 A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20A KR20140074520A (en) 2014-06-18
KR102034293B1 true KR102034293B1 (en) 2019-11-08

Family

ID=5112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56A KR102034293B1 (en) 2012-12-10 2012-12-10 A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8050A1 (en) * 2020-02-05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263B1 (en) 2014-12-2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717529B1 (en) * 2015-01-21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340235B1 (en) * 2015-11-04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P3889528B1 (en) 2015-11-04 2023-01-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02017124269A1 (en) * 2017-10-18 2019-04-18 Paul Hettich Gmbh & Co. Kg Device for storing object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such a device
JP7164355B2 (en) * 2018-08-21 2022-11-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US10551113B1 (en) * 2019-01-18 2020-02-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520B2 (en) 2001-11-22 2004-11-24 クリナップ株式会社 cabinet
US20070018548A1 (en) 2005-05-27 2007-01-2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storage system
KR100709406B1 (en) 2004-12-03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output structure for drawer of refrigerator
JP2011085380A (en) * 2009-09-16 2011-04-28 Hitachi Appliances Inc Refrigerator
KR200461626Y1 (en) * 2008-01-15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346A (en) * 1994-09-06 1996-03-19 Fujitsu General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520B2 (en) 2001-11-22 2004-11-24 クリナップ株式会社 cabinet
KR100709406B1 (en) 2004-12-03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output structure for drawer of refrigerator
US20070018548A1 (en) 2005-05-27 2007-01-2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storage system
KR200461626Y1 (en) * 2008-01-15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JP2011085380A (en) * 2009-09-16 2011-04-28 Hitachi Appliances Inc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8050A1 (en) * 2020-02-05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4042080A4 (en) * 2020-02-05 2022-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629907B2 (en) 2020-02-05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20A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293B1 (en) A refrigerator
US20180128538A1 (en) Refrigerator
EP2010843B1 (en) Refrigerator
JP4824371B2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KR102186243B1 (en) Refrigerator
US9593880B2 (en) Refrigerator
US20080303401A1 (en) Refrigerator
KR101657118B1 (en) An assembly of a storage shelf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assembly of the storage shelf
KR102373219B1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KR20060081923A (en) Refrigerator
CN105758104A (en) Refrigerator With Tiltable Drawer
KR101508384B1 (en) A shelf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8147016B2 (en) Can receiv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21453B1 (en) A refrigerator
KR20080066452A (en) Open and close structure of inner door for refrigerator
JP5091586B2 (en) refrigerator
JP5491887B2 (en) refrigerator
KR101654933B1 (en) Drawer for refrigerator
KR100624674B1 (en) Refrigerator
KR200333789Y1 (en) Stopper of a sliding rail
KR101055883B1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JP2004298218A (en) Shelf device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shelf device
JP2004077070A (en) Shelf device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helf device
KR100518414B1 (en) Freezing room tray structure of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