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710B1 -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710B1
KR102033710B1 KR1020170173080A KR20170173080A KR102033710B1 KR 102033710 B1 KR102033710 B1 KR 102033710B1 KR 1020170173080 A KR1020170173080 A KR 1020170173080A KR 20170173080 A KR20170173080 A KR 20170173080A KR 102033710 B1 KR102033710 B1 KR 10203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main
touch
auxiliary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2045A (en
Inventor
허장완
Original Assignee
허장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장완 filed Critical 허장완
Priority to KR102017017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710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바일 단말기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in which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f a mobile terminal performs GUI control of a touch screen, when a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a main ic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reating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uxiliary icon for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by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separate from the main icon when a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using the main icon as a starting point is detected; And after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stops, when a double touch of the touch medium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touch detection determining that a touch on the point where the auxiliary icon is located occurs. Process; may include.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How to control the touch screen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 등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의 GUI를 손쉽게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method for easily controlling a GUI of a touch screen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a picture and video with a camera, recording a voice, playing a music file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have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video, and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receiving a broadcast, etc.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사양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에 따라 멀티 태스킹 기능의 실행 및 제어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such a mobil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software part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hardware specifications included in mobile terminals are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execution and control of a multitasking function.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은 대표적인 입력장치이다.In particular, a touch screen is a typical input device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그런데 사용자가 손으로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경우 엄지로 화면을 잡을 수 있다면 보다 안정된 파지가 가능할 것이나 터치스크린 상에는 터치만 해도 실행이 될 수 있는 GUI 컨트롤이 산재해 있어서 엄지로 전체의 화면을 용이하게 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user operates the smartphone with his or her hand, if the user can hold the screen with his thumb, more stable holding will be possible, but there are GUI controls that can be executed only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한국공개특허 10-2009-0121992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9-012199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단말기 등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의 GUI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아이콘을 두 개로 제공하여 효율적인 GUI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easily controlling the GUI of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GUI implementation by providing two touch icons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바일 단말기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in which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f a mobile terminal performs GUI control of a touch screen, when a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a main ic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reating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uxiliary icon for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by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separate from the main icon when a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using the main icon as a starting point is detected; And after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stops, when a double touch of the touch medium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touch detection determining that a touch on the point where the auxiliary icon is located occurs. Process; may include.

상기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메인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may include: generating a main icon when a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a touch screen; A main icon movement display step of moving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along a movement trajectory of a touch medium; And fixing a main icon to position and display the main icon on a touch screen of a point where the touch medium is last located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is detected.

상기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의 표시를 취소시킬 수 있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ixed display of the main icon, generating a main icon cancel button that can cancel the display of the main icon to generate a main icon cancel button to display on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상기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상기 보조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and displaying of the auxiliary icon may include: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different from the main icon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based on the main icon is detected; An auxiliary icon movement display step of causing the auxiliary icon to be moved and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fixed display process of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auxiliary icon fixed position as the auxiliary icon fixed position when the stop is stopped. Can be.

상기 확장 비율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pansion ratio may be a ratio set in proportion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상기 확장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될 수 있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pansion ratio may be a ratio that can be set and varied by a user.

상기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 발생 후에 변경되는 고정 위치에 보조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auxiliary icon fixing display process, when an auxiliary icon moving event for changing the auxiliary icon fixing position occurs, the auxiliary icon position changing process for placing and displaying the auxiliary icon in a fixed position changed after the auxiliary icon moving event occurs It can include;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는,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icon movement event may be a case where touch dragging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is generated left and right.

상기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은, 서로 다른 기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in icon and the auxiliary icon may have different symbol shapes.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main icon and the shape of the auxiliary ic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ogra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의 터치 아이콘을 메인 아이콘과 q보조 아이콘의 두 개로 제공하여 효율적인 GUI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icient GUI can be provided by providing two touch icons of a touch screen, a main icon and a q auxiliary ic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한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예시 그림.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screen GUI control is performed to generate and display a main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screen GUI control is performed to generate and display an auxiliary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for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uxiliary ic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implementing the main icon and the auxiliary icon in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shape of the main icon and the shape of the auxiliary icon ar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ogra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related technologies and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며 하며 단말기를 말한다. 참고로,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refers to a terminal that a user carries, such as a smartphone shown in FIG. 1. For reference, a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to a mobile phone, and may install an application desired by a user. Smartphones combine the advantages of mobile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integrating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calendaring, fax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nternet access. Not only can you connect directly to the Internet using the wireless Internet, but you can also access it in various ways using a variety of browsing programs. In addition, unlike existing mobile phones,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n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by the user, so that users can create their own desired applications. Graphic User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not only a smart phone, but also a tablet PC, a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navigation, digital cameras, and MP3P (MPEG layer 3 players) may be applicable. Of course,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and of course, may include all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모바일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메모리(120), 단말기 표시부(130), 단말기 입력부(140), 및 단말기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a terminal memory 120, a terminal display unit 130, a terminal input unit 14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50.

단말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or 4G, an RF transmitter (not shown) which upconverts and amplifies a frequency of a wirelessly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not shown) for low 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and down converting the frequency.

단말기 메모리(120)는, 운영체게, 프로그램,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terminal memory 120 is a storage device in which an operating system, a program, screen graphic interface (GUI)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Such a memory may be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as a module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flash memory, a compact flash card, or a secure digital card,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apparatus. There may be.

단말기 표시부(130)는, 화면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표되는 모듈로서, 본 발명의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이 표시된다.The terminal display unit 130 is a module in whic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the screen is displayed, and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layed.

단말기 입력부(140)는, 메인 아이콘(10)의 터치를 감지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표시부(130)와 단말기 입력부(140)는 터치스크린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선택을 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손가락, 터치펜 등의 다양한 터치 매체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다.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input unit 140 is a module that senses a touch of the main icon 10. The terminal display unit 130 and the terminal in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form of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is a display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to display a work screen by providing a touch screen screen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and h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receiving a user's touch selection. Display. Therefore, the touch screen is not only a screen display means but also an input means for detecting a touch by various touch media such as a finger and a touch pen.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of any one of a resistiv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d an ultrasonic type.

단말기 제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유닛(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된 모듈이다. 단말기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를 제어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즉,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며,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 후,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메인 아이콘(10)을 위치시켜 표시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150 is a module implemented as a main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al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terminal controller 150 generates a main icon 10 and displays the main icon 10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in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GUI that performs GUI control of the touch screen. That is, when the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the main icon 10 is generated, the main icon 10 is moved and displayed along the movement trace of the touch medium, and when the stop of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is detected. The main icon 10 is position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point where the touch medium is finally located.

상기와 같이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가 있은 후에는,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20)을 표시한다. 즉,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며,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 후,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20)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한다.After the main ic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using the main icon 10 as a starting point is detected, an auxiliary icon 20 may be generated by generating the auxiliary icon 20 separate from the main icon 10. 20) is displayed. That is,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having the main icon 10 as a starting point is detected, a separate auxiliary icon 20 different from the main icon 10 is generated, and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generated. After the auxiliary icon 20 is moved and displayed by being synchronized with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the trajectory,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display is synchronized with the expansion ratio when it is stopped.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icon 20 to be determined is displayed as a fixed icon fixed position.

상기와 같이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가 있은 후에는,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After the creation and display of the auxiliary icon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stopped, when the double touch of the touch medium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auxiliary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on the point where the icon 20 is located has occurr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생성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한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예시 그림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touch screen GUI control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main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screen GUI control is performed to generate and display an auxiliary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of an auxiliary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changing a display posi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main icon and an auxiliary icon are implemented in different shapes, and FIG. 8 i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rogram, the shape of the main icon and the auxiliary icon are displayed differently.

모바일 단말기(100)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 및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S330)을 가질 수 있다.In the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in which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performs the GUI control of the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a main icon as shown in FIG. S310, an auxiliary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S320, and an auxiliary icon touch detection process S330.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은,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S311),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12), 및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S314)을 더 가질 수 있다.In the main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S310, when a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a main icon 10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this end, the main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S310) may include a main icon generation process (S311), a main icon movement display process (S312), and a main icon fixed display process (S313). In addition, it may further have a main icon cancel button generation process (S314).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S311)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등의 터치 매체가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 등에서 등장하여 최초 터치되면, 터치 매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메인 아이콘(10)의 형상을 원형으로 표시하였지만,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The main icon generation process S311 is a process of generating the main icon 10 when the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That is, as shown in FIG. 4A, when a touch medium such as a finger appears at the edge of the touch screen and is initially touch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medium is detected. Although the shape of the main icon 10 is shown here as a circl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main icon 10 may be embodi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s well as a circle.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12)은,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1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매체가 터치스크린상에서 드래깅되어 이동되면, 이동되는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이 표시된다.The main icon movement display process (S312) is a process of causing the main icon 10 to be moved and displayed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That is, as shown in FIG. 4B, when the touch medium is dragged and moved on the touch screen, the main icon 10 is displayed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13)은,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메인 아이콘(10)을 위치시켜 표시한다. 즉,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따라 드래깅되는 터치 매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이상 정지되는 경우, 정지된 지점에 메인 아이콘(10)이 표시되도록 한다.In the main icon fixed display process (S313),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is detected, the main icon 10 is position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point where the touch medium is finally located. That is, as shown in FIG. 4C, when the touch medium dragged along the touch screen is stopped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1 second), the main icon 10 is displayed at the stopped point.

이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이 고정되어 표시된 후, 생성된 메인 아이콘(10)을 취소시킬 수 있는 버튼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13)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10)의 표시를 취소시킬 수 있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30)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S314)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구석에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30)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30)을 터치시에는, 메인 아이콘(10)이 화면상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제거할 수 있다.As such, after the main icon 10 is fixedly displayed, a button for canceling the generated main icon 10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To this end, after the main icon fixed display process (S313), a main icon cancel button generation process for creating a main icon cancel button 30 that can cancel the display of the main icon 10 and displaying it on the touch screen ( S314). That is, as shown in FIG. 4 (d), the main icon cancel button 30 is displayed in the corner of the touch screen,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main icon cancel button 30, the main icon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can be removed by not displaying it on the screen.

한편,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10)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20)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main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S310),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20 separate from the main icon 10 is generated and assisted. A sub-ic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S320) for displaying the icon 20.

이를 위하여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은,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S321),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22), 및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을 가질 수 있다. 이밖에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미도시)을 추가로 더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auxiliary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S320 may include an auxiliary icon generation process S321, an auxiliary icon movement display process S322, and an auxiliary icon fixed display process S323. In addition, the auxiliary icon position changing process (not shown) may further have.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S321)은, 메인 아이콘(10)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10)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20)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즉,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 위치한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메인 아이콘(10)에 생성되어 표시된다.The auxiliary icon generating process (S321) is a process of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2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in icon 10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using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5A, when the movement of the finger located on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20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main icon 10.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22)은,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S322)은, 보조 아이콘(20)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최초 표시된 후,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상기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한다. 즉,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동기화되는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된다. 여기서 확장 비율은 터치 매체의 움직임 거리와 보조 아이콘(20)의 표시 거리간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드래깅 위치와 보조 아이콘(20)의 표시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도 터치스크린 전체에 걸쳐서 보조 아이콘(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icon movement display process (S322) is synchronized to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so that the auxiliary icon 20 is moved and displayed. To this end, in the auxiliary icon movement display process S322, after the auxiliary icon 20 is first displayed on the main icon 10, the auxiliary icon 20 is moved at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To be displayed. That is, as shown in FIG. 5B, the auxiliary icon 20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moved and displayed. Herein, the expansion ratio refers to a ratio betwe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ouch medium and the display distance of the auxiliary icon 20. Therefore, the dragging position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uxiliary icon 20 do not coincide. Therefore, even if the user moves the finger slightly on the touch screen, the auxiliary icon 20 can be moved over the entire touch screen.

예를 들어, "손가락 움직임 거리:보조 아이콘(20) 움직임 거리" = "1:3" 인 경우, 손가락의 터치 매체가 보조 아이콘(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사분면 방향의 45°각도로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1cm 움직이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은 1사분면 방향의 45°각도로 3cm 이동되어 터치스크린상에서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 finger movement distance: distance of subsidiary icon 20 " = " 1: 3 ", the touch medium of the finger touches at a 45 degree angle in the first quadra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subsidiary icon 20 In the case of moving 1 cm on the screen, the auxiliary icon 20 is moved 3 cm at 45 °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quadrant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이러한 확장 비율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확장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보조 아이콘(20)의 이동 표시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This expansion ratio may be set in proportion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expansion ratio may be set and varied by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movement display distance of the auxiliary icon 20 by the user's setting.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은,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20)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한다. 즉,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 순간의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In the sub-icon fixed display process (S323), when the stop of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sub-icon fixed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ub-icon 20 which is synchronized and displayed at an expansion ratio when the sub stop is stopped. Confirmed and displayed. That is, as shown in FIG. 5C,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icon 20 at the moment of stopping is located is determined as the auxiliary icon fixed position. Display on the screen.

상기의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S320)이 있은 후에는,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S330)을 가진다. 즉,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 아이콘(10)에 대하여 더블 터치하는 경우,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클릭)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을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메인 아이콘(10)의 더블 터치만으로도 보조 아이콘(20)이 위치한 지점을 터치(클릭)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도 터치스크린 전체 화면을 대상으로 터치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auxiliary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S320) described above, after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is stopped, when a double touch of the touch medium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10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touch detection process (S330) determines that a touch on the point where the auxiliary icon 20 is located has occurred. That is, as shown in FIG. 5D, when the user double touches the main icon 10,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click) with respect to a location where the auxiliary icon 20 is located occurs.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point where the auxiliary icon 20 is located, a double touch of the main icon 10 may result in touching (clicking) the point where the auxiliary icon 20 is located. With a little movement, you can touch the entire touchscreen.

한편,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이 있은 후, 표시된 보조 아이콘(20)의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요청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S323)이 있은 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 발생 후에 변경되는 고정 위치에 보조 아이콘(20)을 위치시켜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auxiliary icon fixed display process (S323), it may be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auxiliary icon 20. In order to respond to the request for changing the auxiliary icon position, after the auxiliary icon fixing display process (S323), when the auxiliary icon 20 moving event for changing the auxiliary icon fixing position occurs, the auxiliary icon 20 moving event The auxiliary icon 20 is positioned and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that is changed after generation.

이러한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는,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면 보조 아이콘(20)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보조 아이콘(20)이 메인 아이콘(10)에 표시되고, 그 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보조 아이콘(20)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uch an auxiliary icon 20 movement event may be a case where touch dragging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10 is generated from side to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when touch dragging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10 occurs from side to side, it is determined that a movement event of the auxiliary icon 20 occurs and the auxiliary icon 20 is displayed as a main icon ( 10), and then, as shown in FIG. 6 (b), the auxiliary icon 20 is moved and displayed by synchronizing at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10. FIG. You can do that.

한편, 상기에서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은, 서로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가짐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의 형상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have the same circ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is not limited.

특히,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은, 서로 다른 기호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의 형상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콘(10)은 원형 형상으로 구현하며, 보조 아이콘(20)은 마우스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may have different symbol shapes. Since the user may confuse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the shapes of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are different.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main icon 10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auxiliary icon 20 may be implemented in a mouse shape.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아이콘(10)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20)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메인 아이콘(10)과 보조 아이콘(20)을 사각형으로 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파워포인트 파일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메인 아이콘(10)은 사각형으로 하며 보조 아이콘(20)을 손가락 아이콘 모양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ain icon 10 and the shape of the auxiliary icon 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ogra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when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8 (a), the main icon 10 and the auxiliary icon 20 may be squared, and as shown in FIG. 8 (b).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Point fil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main icon 10 may have a square shape, and the auxiliary icon 20 may have the shape of a finger ico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embodiments. However,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모바일 단말기
S310: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S320: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S330: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
100: mobile terminal
S310: Creating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S320: Creating and Displaying Secondary Icons
S330: Auxiliary Icon Touch Detection Process

Claims (10)

모바일 단말기의 연산 처리 유닛이 터치스크린의 GUI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생성하여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있은 후,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매체의 더블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보조 아이콘 터치 감지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매체가 최초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을 생성하는 메인 아이콘 생성 과정;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을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이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터치 매체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지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메인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메인 아이콘의 표시를 취소시킬 수 있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메인 아이콘 취소 버튼 생성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아이콘 생성 및 표시 과정은,
상기 메인 아이콘을 출발점으로 하는 터치 매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 아이콘과 다른 별개의 보조 아이콘을 메인 아이콘에 생성하여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생성 과정;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상기 보조 아이콘이 메인 아이콘 외부로 이동되며 표시되도록 하는 보조 아이콘 이동 표시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의 정지가 감지되면, 정지될 때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보조 아이콘의 위치를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로 확정하여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In the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in which the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the GUI control of the touch screen,
Generating and displaying a main icon for generating a main icon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when the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uxiliary icon for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by generating an auxiliary icon separate from the main icon when a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using the main icon as a starting point is detected; And
After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stops, if a double touch of the touch medium is detected on the main icon, an auxiliary icon touch detection process that determines that a touch on the point where the auxiliary icon is located has occurred. Including;
The main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Generating a main icon when a touch medium is first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A main icon movement display step of moving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along a movement trajectory of a touch medium;
A main icon fixed display process of placing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on the touch screen of a point where the touch medium is last located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is detected; And
And a main icon cancel button generation process of generating a main icon cancel button for canceling the display of the main icon and displaying the main icon cancel button on the touch screen after the main icon is fixedly displayed.
The auxiliary icon generation and display process,
An auxiliary icon generation process of creating and displaying an auxiliary icon different from the main icon on the main icon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using the main icon as a starting point is detected;
An auxiliary icon movement display step of synchronizing at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to move the auxiliary icon to be displayed outside the main icon; And
If the stop of the movement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is detected, the auxiliary icon fixed display process of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icon synchronized with the expansion ratio when the stop is displayed as the auxiliary icon fixed position;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율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ansion ratio,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is set in proportion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될 수 있는 비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xpansion ratio,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is set by the user can be vari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 고정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보조 아이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 발생 후에 변경되는 고정 위치에 보조 아이콘을 위치시켜 표시하는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the auxiliary icon fixing display process,
An auxiliary icon position changing process of placing and displaying an auxiliary icon at a fixed position which is changed after the auxiliary icon movement event occurs when an auxiliary icon movement event for changing the auxiliary icon fixing position occurs;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는,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는 경우이고,
상기 보조 아이콘 위치 변경 과정에서는,
상기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깅이 좌우로 발생되면 보조 아이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보조 아이콘이 메인 아이콘에 표시된 후,
보조 아이콘이 메인 아이콘에서 출발한 터치 매체의 움직임 궤적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확장 비율로 동기화되어 이동되며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icon movement event,
When the touch dragging on the main icon is generated left and right,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uxiliary icon position,
When touch dragging with respect to the main icon is generated from side to side, it is determined that an auxiliary icon movement event has occurred, and the auxiliary icon is displayed on the main icon.
And an auxiliary icon is moved and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a preset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touch medium starting from the main ic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아이콘과 보조 아이콘은, 서로 다른 기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main icon and the auxiliary icon have different symbol shapes.
청구항 9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메인 아이콘의 형상과 보조 아이콘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GUI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ouch screen GUI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main icon and the shape of the auxiliary ic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ogra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KR1020170173080A 2017-12-15 2017-12-15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KR102033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080A KR102033710B1 (en) 2017-12-15 2017-12-15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080A KR102033710B1 (en) 2017-12-15 2017-12-15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045A KR20190072045A (en) 2019-06-25
KR102033710B1 true KR102033710B1 (en) 2019-10-17

Family

ID=6706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080A KR102033710B1 (en) 2017-12-15 2017-12-15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71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1573A1 (en) * 2014-05-15 2015-11-19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Handhel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s of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565A (en) * 1992-09-02 1994-03-25 Fuji Electric Co Ltd Pattern form display device
KR20090121992A (en) 2008-05-23 2009-11-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Wallpad and the control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that input button in gui that have touch screen function
KR101432483B1 (en) * 2012-12-20 2014-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using control area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44527B1 (en) * 2013-11-29 2015-08-13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using touch interface
KR20160019762A (en) * 2014-08-12 2016-02-22 박병서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with one h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1573A1 (en) * 2014-05-15 2015-11-19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Handhel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s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045A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96B1 (en)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52424B1 (en) Method for display application excution window on a terminal and therminal
KR10201697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20345B1 (e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KR10180276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662761B1 (en) Multiple display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JP62155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9748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40289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object in portable terminal
US10928948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67540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KR102102157B1 (en) Display apparatus for exe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60224198A1 (en) Mobile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50081012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70139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with remote device thereof
AU2013260292A1 (en)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317624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detection function,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detection function
US10346033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ulti-touch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18091B1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ction of pre-a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10646A (en) User termi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the user terminal
KR101231513B1 (en) Contents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having it
US20160124606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142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user in an user terminal
KR10203371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GU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