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669B1 -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669B1
KR102030669B1 KR1020120142504A KR20120142504A KR102030669B1 KR 102030669 B1 KR102030669 B1 KR 102030669B1 KR 1020120142504 A KR1020120142504 A KR 1020120142504A KR 20120142504 A KR20120142504 A KR 20120142504A KR 102030669 B1 KR102030669 B1 KR 10203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de
controller
mobile terminal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496A (ko
Inventor
다야마드와르카프라사드
다스쿠마브라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669B1/ko
Priority to US14/087,738 priority patent/US9648497B2/en
Publication of KR2014007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0User authentication by quorum, i.e. whereby two or more security principals are requi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때(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로그인할 때) 휴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은 잠금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 경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잠금 해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잠금 해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두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LOGIN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여 휴대 단말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사용자에게 게임, 인터넷 및 통화 등 다양한 기능과 이메일, 동영상, 사진 및 연락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런데 어떤 사적인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경우 보안상의 이슈나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은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측면에 설치된 전원 온 버튼을 누르면 휴대 단말의 화면에는 잠금 이미지(일명, 로그인 이미지)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잠금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휴대 단말에 로그인한다. 잠금이 해제되면 모든 사람들이 휴대 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단말의 모든 설정들 및 개인 정보들이 표시 가능하고 휴대 단말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 가능하다. 물론, 휴대단말은 제한모드로 운영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패스워드가 휴대 단말에 입력되면 휴대 단말은 모든 콘텐츠들이 표시 가능하고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 가능한 프리(free) 모드로 운영된다. 제 2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은 예컨대 통화 기능만이 실행 가능한 제한모드로 운영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모든 패스워드들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때(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로그인할 때) 휴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은 잠금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 경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잠금 해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잠금 해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두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은 운영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프리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한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운영모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운영모드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운영모드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은 사용 제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한 제한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은 화면 오프 상태에서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화면 온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표시부; 물리량 및 그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이벤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 센서부 및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고, 잠금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때 휴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로그인 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표시부(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30), 무선통신부(140), 오디오처리부(150), 스피커(SPK), 마이크(MIC), 센서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화면(screen on which at least one image is shown)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70)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로 처리(예컨대, 디코딩(decoding))하여 버퍼에 저장하면, 표시부(110)는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10)에 전원이 공급되면 표시부(110)는 잠금 이미지(일명, 로그인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잠금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 해제 정보(즉, 패스워드)가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잠금을 해제한다. 즉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잠금 이미지 대신 다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잠금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키패드 또는 키입력부(120)를 이용해 휴대 단말(100)에 입력한 텍스트(예, 1234)이거나,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의 궤적, 터치의 방향 또는 터치의 종류이거나, 마이크(MIC)를 통해 휴대 단말(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이다. 한편 다른 이미지는 홈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 키패드 또는 메뉴 등이다. 홈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와 이 위에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아이콘들은 각각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예, 사진 파일, 비디오 파일, 녹음 파일, 문서, 메시지 등)를 지시한다. 사용자가 아이콘들 중 하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예, 아이콘을 탭)하면, 제어부(170)는 해당 앱(예, SNS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상기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배경(background)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 예컨대, 키패드를 전경(foreground)으로써 상기 배경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1 이미지를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제 2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에 안착(place on)된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의 화면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된다.
터치패널(111)은 터치패널(111)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터치 좌표(x, y)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될 경우 터치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패널(111)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터치 좌표가 예컨대, (x1, y1)에서 (x2, y2)로 변화된 경우 제어부(170)는 터치가 이동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터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터치의 위치변화량(dx, dy) 및 터치의 이동 속도 등을 산출한다. 제어부(170)는 터치 좌표, 터치의 해제 여부, 터치의 이동 여부, 터치의 위치변화량 및 터치의 이동 속도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를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터치패널(111)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를 접촉하는 제스처이고, 멀티 터치는 여러 지점에 다수의 터치 기구(예, 엄지와 검지)를 접촉하는 제스처이고, 탭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가 터치된 후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해제(touch-off)되는 제스처이고,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제스처이고,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기구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기구를 터치 해제하는 제스처이고, 탭 앤 터치는 화면의 어느 지점을 탭한 후 해당 지점을 소정 시간(예, 0.5초)이내에 다시 터치하는 제스처이고,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기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이고, 플릭은 드래그에 비해 터치 기구를 빠르게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제스처이고, 프레스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제스처이고, 핀치 인은 두 개의 터치 기구로 두 지점을 동시에 멀티 터치한 후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좁히는 제스처이고, 핀치 아웃은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넓히는 제스처이다. 즉 터치는 터치패널(111)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그 밖의 제스처들은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한다.
터치패널(1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된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셔터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키입력부(120)의 키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가상의(virtual) 키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프리모드 정보(131)와 하나 이상의 제한모드 정보(132)를 저장한다. 프리모드 정보(131)는 제 1 자세(position) 정보를 포함한다. 잠금 이미지가 표시될 때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position)를 결정한다. 잠금이 해제되면 제어부(170)는 저장부(130)에서 제 1 자세 정보를 읽어 오고(reading), 읽어 온 제 1 자세 정보와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두 정보가 서로 일치한 경우 휴대 단말(100)을 프리 모드로 운영한다. 제한모드 정보(132)는 제 2 자세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30)에서 제 2 자세 정보를 읽어 오고(reading), 읽어 온 제 2 자세 정보와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두 정보가 서로 일치한 경우 휴대 단말(100)을 제한 모드로 운영한다. 제한 모드에서 휴대 단말(10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만(예컨대,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된다. 또한 제한 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 중 특정 기능만(예컨대, 통화 어플리케이션에서 전화를 거는 기능은 제한되고 전화를 받는 기능만 실행 가능함)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한 모드에서는 특정 콘텐츠만(예컨대, 갤러리에서 특정 폴더에 있는 사진들만 표시 가능함) 표시될 수 있다. 즉 제한모드 정보(132)는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100)의 보조메모리(secondary memory unit)로써 예컨대,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저장부(130)는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의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제어하고, 작업(task)들의 순서를 정하고, CPU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하고,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과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이메일(email) 프로그램,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앱 마켓 서버에서 휴대 단말(100)로 수신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70)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7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시킨다.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를 위한 오디오 신호(예,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7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7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휴대 단말(200)은 제 1 스피커와 제 2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스피커는 통화 용도이며 일명, 리시버(receiver)라 한다. 즉 제 1 스피커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200)을 귀에 대고 통화할 때 쓰이는 것이다. 제 2 스피커는 통화뿐 아니라 음악,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의 재생 용도이며 일명,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라 한다.
센서부(160)는 물리량(예, 광량, 속도, 가속도, 고도, 중력 등)이나 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센서부(16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방향 센서(orient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및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들은 하나의 칩에 일체화되거나 각각 별도의 칩들로 구현된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인메모리(main memory unit) 예컨대, 램(RAM)을 포함한다. 메인메모리는 저장부(130)로부터 로딩된 각종 프로그램 예컨대, 부팅 프로그램, 호스트 운영체제, 게스트 운영체제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즉 제어부(170)의 CPU 및 GPU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 액세스하여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메인메모리는 저장부(13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13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임시 저장소로써 캐시메모리가 휴대 단말(10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전달된 감지 정보(예,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산출한다. 산출된 기울기는 롤각(roll angle)(Φ), 피치각(pitch angle)(θ) 및 요각(yaw angle)(ψ)을 포함한다. 롤각(Φ)은 도 4a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피치각(θ)은 도 4a에서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요각(ψ)은 도 4a에서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낸다. 주지된 바와 같이 3축 가속도 센서는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를 감지한다.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이 없다면,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중력 가속도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센서부(16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정보에서 X축 및 Y축 가속도가 0m/sec2이고 Z축 중력 가속도가 +9.8m/sec2이면,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Φ, θ, ψ)를 (0, 0, 0)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산출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오일러 각을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가속도 예측 스위칭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 산출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산출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3차원 좌표(x, y, z)를 산출한다. 제어부(170)는 산출된 기울기 또는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170)에 의한 로그인 관리 방법을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휴대 단말(100)는 GPS 모듈, 진동 모터, 액세서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예, 이어 잭)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100)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위한 펜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은 전력 감소(power saving)를 위해 오프(OFF) 상태이다. 즉 화면에 어떠한 이미지도 표시되고 있지 않는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70)는 화면 온(ON)을 위한 키 신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화면 온 키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화면 온 키 신호가 발생된 경우 단계 230에서 제어부(170)는 잠금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표시부(110)는 도 3 a 내지 c와 같은 잠금 이미지를 표시한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결정한다. 예컨대, 산출된 휴대 단말(100)의 3차원 좌표가 (130, -55, 2)인 경우, 결정된 자세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제1측면(410)이 Y축 방향으로 향함"이다. 산출된 휴대 단말(100)의 3차원 좌표가 (46, -2, 80)인 경우, 결정된 자세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제2측면(420)이 Y축 방향으로 향함"이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70)는 잠금 해제 정보(즉, 로그인 정보)의 검출 여부를 결정한다. 잠금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키패드 또는 키입력부(120)를 이용해 휴대 단말(100)에 입력한 텍스트(예, 1234)이거나,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의 궤적, 터치의 방향 또는 터치의 종류일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정보는 음성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마이크(MIC)는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50)로 전달하고,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60으로 진행된다. 단계 260에서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를 위한 키 신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화면 오프 키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50로 복귀된다. 화면 오프 키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켜 화면을 오프 상태로 만든다. 즉 화면 오프 키 신호가 발생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10으로 복귀된다. 한편 잠금 이미지가 표시된 시점을 시작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어떠한 터치 이벤트도 발생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10으로 복귀된다.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된 경우 단계 270에서 제어부(170)는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검출된 잠금 해제 정보와 저장부(130)에 저장된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한 경우 단계 28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운영 모드를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로 결정한다. 예컨대, 도 4a와 같은 자세인 경우 운영 모드는 프리 모드로 결정된다. 도 4b와 같은 자세인 경우 운영 모드는 제한 모드로 결정된다.
단계 29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결정된 운영 모드가 프리 모드인 경우 표시부(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이미지(510)를 표시한다. 결정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표시부(11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이미지(520)를 표시한다. 제 1 이미지(51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1), 제 1 게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2), 제 2 게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3), 통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4) 및 웹 브라우저 아이콘(515)을 포함한다. 제 2 이미지(520)에서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4) 및 웹 브라우저 아이콘(515)이 제외된다. 즉 제한 모드인 경우 통화와 인터넷 사용이 제한된다.
제한 모드인 경우 통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4) 및 웹 브라우저 아이콘(515)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만, 표시만 가능할 뿐 사용은 불가능하다. 예컨대, 통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514)이 터치되면 제어부(170)는 "통화가 불가능하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한편 제한 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 중 특정 기능만 실행된다. 예컨대,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전화를 받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고 전화를 걸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는다. 물론 전화를 받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만, 이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170)는 "전화를 걸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한 모드에서는 특정 콘텐츠만 표시된다. 예컨대,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1 그룹의 사진들과 관련된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제 2 그룹의 사진들과 관련된 썸네일들을 표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제어부(170)는 운영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예, 표시부(110)에 표시된 운영모드 설정 버튼에 대한 탭)이거나, 키입력부(130)에서 발생된 키 이벤트이다. 또한 이벤트는 음성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에 예컨대, '로그인' 및 '설정'이 포함된 경우 운영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운영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단계 620에서 제어부(170)는 운영모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운영모드 리스트는 프리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한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운영모드 리스트는 예컨대, 프리모드를 나타내는 "Default(me)", 휴대 단말(100)의 기능들 중 통화만이 가능하도록 휴대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제한하는 제 1 제한 모드를 나타내는 "Call only", 인터넷만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제 2 제한 모드를 나타내는 "Internet only", 어린이용 어플리케이션들(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들)만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제 3 제한 모드를 나타내는 "My Kids", 3G 사용을 금지하는 제 4 제한 모드를 나타내는 "No 3G use"를 포함한다.
단계 630에서 제어부(170)는 운영모드 리스트에서 아이콘의 선택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예, 아이콘을 탭), 단계 64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65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660에서 제어부(170)는 결정된 자세의 정보(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제2측면(420)이 Y축 방향으로 향함")를 상기 선택된 아이콘(예컨대, My kids)에 해당되는 운영모드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저장부(130)를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10에서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제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예,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용제한 설정 버튼에 대한 탭)이거나, 키입력부(130)에서 발생된 키 이벤트이거나, 음성데이터이다.
사용 제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단계 820에서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Internet",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Call", 제 1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Game 1", 제 2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Game 2", 메시지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Message"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Camera"를 포함한다.
단계 830에서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아이콘의 선택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예컨대, Game 1 및 Game 2의 체크박스들을 탭), 단계 84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85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860에서 제어부(170)는 제한모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3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한모드 정보는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제2측면(420)이 Y축 방향으로 향함")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예, 제 1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휴대 단말(100)의 잠금이 해제될 때 휴대 단말(100)의 자세가 도 4b와 같다면, 제 1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게임 어플리케이션들만 실행되고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이 제한된다. 반대로 제 1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게임 어플리케이션들만 사용 제한되고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은 자유롭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사용 제한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 및 콘텐츠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 제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70)는 기능 리스트 또는 콘텐츠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예컨대, 기능 리스트는 전화를 받는 기능, 전화를 거는 기능, 수신 메시지의 확인 기능, 메시지 발송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콘텐츠 리스트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예, 썸네일)들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의 정보와 휴대 단말(10)의 자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한모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정보와 휴대 단말(10)의 자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한모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30)를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0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은 오프(OFF) 상태이다. 단계 102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결정한다. 즉 단계 1020에서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60)는 물리량(예, 가속도) 및 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자세를 결정한다.
단계 1030에서 제어부(170)는 화면 온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이러한 요청 이벤트는 키입력부(130)에서 발생된 키 이벤트(예컨대, 전원 온 키 이벤트)일 수 있다. 또한 요청 이벤트는 음성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제어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에 예컨대, '화면' 및 '온'이 포함된 경우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단계 104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운영 모드를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운영모드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105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이때,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먼저 잠금 이미지를 표시하고,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단말
110: 표시부 111: 터치패널
120: 키입력부 130: 저장부
131: 프리모드 정보 132: 제한모드 정보
140: 무선통신부 150: 오디오처리부
160: 센서부 170: 제어부

Claims (13)

  1. 휴대 단말의 로그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X축, Y축, Z축에 기반한 기울기를 산출하는 단계;
    잠금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잠금 해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검출된 잠금 해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두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가 프리 모드인 경우 상기 프리 모드와 관련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상기 제한 모드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콘텐츠 아이콘에 대응되는 콘텐츠는 사용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의 모든 어플리케이션들 및 모든 콘텐츠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모든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모든 콘텐츠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것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5. 휴대 단말의 로그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운영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를 사용하여 프리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한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운영모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X축, Y축, Z축에 기반한 기울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운영모드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운영모드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6. 휴대 단말의 로그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사용 제한의 설정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X축, Y축, Z축에 기반한 기울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결정된 자세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한 제한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7. 휴대 단말의 로그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X축, Y축, Z축에 기반한 기울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화면 오프 상태에서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화면 온을 요청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 이벤트이거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관리 방법.
  9. 표시부;
    물리량 및 그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이벤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 센서부 및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X축, Y축, Z축에 기반한 기울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를 결정하고, 잠금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 모드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들 중 상기 결정된 자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가 프리 모드인 경우 상기 프리 모드와 관련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상기 제한 모드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표시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콘텐츠 아이콘에 대응되는 콘텐츠는 사용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의 모든 어플리케이션들 및 모든 콘텐츠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모든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모든 콘텐츠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것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널, 키입력부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0142504A 2012-12-10 2012-12-10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3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04A KR102030669B1 (ko) 2012-12-10 2012-12-10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US14/087,738 US9648497B2 (en) 2012-12-10 2013-11-22 Mobile terminal and login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04A KR102030669B1 (ko) 2012-12-10 2012-12-10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496A KR20140074496A (ko) 2014-06-18
KR102030669B1 true KR102030669B1 (ko) 2019-10-10

Family

ID=5088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04A KR102030669B1 (ko) 2012-12-10 2012-12-10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48497B2 (ko)
KR (1) KR102030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832A (ko) * 2013-12-02 201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54886B1 (ko) * 2014-06-30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CN104618585A (zh) * 2015-01-14 2015-05-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多系统终端建立通信连接的方法及装置
CN104615245B (zh) * 2015-01-29 2018-02-2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开启应用的方法
EP3208733B1 (en) * 2016-02-19 2020-07-01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3573A1 (en) * 2010-07-23 2012-01-26 Jianxiong Jason Sh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ccess mode control of a device
WO2012123788A1 (en) * 2011-03-16 2012-09-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504B2 (ja) 2008-07-30 2013-03-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20100060192A (ko) 2008-11-27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센서를 이용한 잠금 기능 제어 장치및 방법
KR101564222B1 (ko) * 2009-05-26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KR101677639B1 (ko) * 2011-05-06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726365B2 (en) * 2011-12-05 2014-05-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 mode operation using user interface lock
US9230076B2 (en) * 2012-08-30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hild sha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3573A1 (en) * 2010-07-23 2012-01-26 Jianxiong Jason Sh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ccess mode control of a device
WO2012123788A1 (en) * 2011-03-16 2012-09-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8497B2 (en) 2017-05-09
KR20140074496A (ko) 2014-06-18
US20140162605A1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9513B2 (ja)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US11797145B2 (en) Split-screen displa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44826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KR101999154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22288B1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2014034491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EP271360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mobile device
KR102030669B1 (ko)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111790A (ko) 가상 키보드에서 난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34100A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98258B1 (ko)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기기
US20140164186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2015349B1 (ko) 통화 전환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50128406A (ko) 음성 인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5888B1 (ko) 전자 게시판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76193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191376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32851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TW201439882A (zh) 觸控事件處理方法和實現該方法的可攜式裝置
KR20140029827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