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423B1 -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423B1
KR102029423B1 KR1020180030561A KR20180030561A KR102029423B1 KR 102029423 B1 KR102029423 B1 KR 102029423B1 KR 1020180030561 A KR1020180030561 A KR 1020180030561A KR 20180030561 A KR20180030561 A KR 20180030561A KR 102029423 B1 KR102029423 B1 KR 10202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camera
angle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8903A (en
Inventor
김선호
임선택
김창룡
이준성
정인영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18003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2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A61B3/085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for testing strabis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시나 약시 등과 같은 시각장애를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를 좌안과 대응되는 좌측공간부 및 우안과 대응되는 우측공간부로 분리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좌측공간부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각각 영상을 형성하여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주거나 서로 다른 시감의 영상을 보여주는 가변영상수단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impair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impairment, which may improve or treat a visual impairment such as strabismus or amblyopia.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cover housing, a b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and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into a lef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a righ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And variable image means for forming images on the left and right spaces, respectively, to show images at different angl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r to show images of different visual perception.

Description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본 발명은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시나 약시 등과 같은 시각장애를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impair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impairment, which may improve or treat a visual impairment such as strabismus or amblyopia.

시각장애(visual disturbance)는 생리학 또는 신경학적인 원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시각장애의 원인과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Visual disturbance is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an abnormality in vision due to physiological or neurological causes. There are many causes and types of visual impairment.

시각장애 중 사시(strabismus)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질환이다. 사시인 경우, 한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 다른 쪽 눈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위 또는 아래로 돌아가 편위된다. Strabismus is a disorder in which the eyes look at different points without being aligned. In strabismus, when one eye faces the front, the other eye turns inward or outward, or turns up or down and is biased.

종래의 사시 치료방법은 수술을 하거나 비수술적 방법으로 안경이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onventional strabismus treatment methods generally use glasses or prisms in a surgical or non-surgical manner.

프리즘을 이용한 종래의 사시 치료방법은 프리즘을 치료자가 한 손으로 들은 상태에서 사시환자의 눈 앞에서 위, 아랫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며 사시를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치료가 장시간 진행되는 동안 치료자가 프리즘을 계속 들고 있어야 하므로 치료과정이 힘들 뿐만 아니라 장시간 얼굴을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치료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Conventional strabismus treatment using prisms corrects strabismus by moving the prism up and down in front of the strabismus' eye in the state in which the therapist is lifted with one hand.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because the therapist has to hold the prism during the treatment for a long time, but also the treatment process is difficult, because the face does not move freely for a long time, it bring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treatment.

또한, 사시의 편위정도는 환자의 집중정도와 피로도에 따라 변화가 많다. 따라서 사시각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지만 종래의 사시치료는 역동적이지 못해 변하는 사시각에 대응하기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사시치료에 이용되는 장치들은 대부분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환자는 치료 중에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strabismus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fatigue of the patient. Therefore, the perspective angl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but conventional strabismus treatment is not dynamic, so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changing perspective angle. In addition, the devices used in conventional strabismus treatment are not only bulky, but also have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limited during treatment.

한편, 약시(amblyopia)는 한쪽 또는 양쪽 눈의 시력이 낮게 나타나는 증상을 보이는 시각장애의 일종이다. 약시는 두 눈에 교정시력 저하(안경교정 후에도 연령에 따른 정상시력보다 낮은 경우)가 있거나 양안의 교정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 나는 경우로 진단하고 다른 안구 내 질환이 없고 신경학적으로도 정상인 경우에 국한해서 진단한다. 약시는 주로 사시, 부등시, 심한 굴절 이상, 혹은 안검 하수 등에 의하여 시력 발달에 필수적인 적절한 시각적 자극이 어린 시기에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blyopia, on the other hand, is a type of visual impairment with low vision in one or both eyes. Amblyopia is diagnosed as having poor visual acuity (lower than normal according to age even after correction) or binocular corrected visual acuity more than two lines.Amblyopia is normal and neurologically normal. Diagnose only. Amblyopia is known to occur mainly when strabismus, inequality, severe refractive errors, or bleeding seizures block the appropriate visual stimuli essential for visual development.

약시의 치료는 시력을 회복시켜 정상 시력을 갖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약시의 치료방법으로 가림치료나 약물치료가 있다. 이 중 가림치료는 정상안을 안대나 반투명렌즈로 가려 약시안만 강제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가림치료는 약시 치료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고 아직까지도 약시 치료의 근간을 이루는 방법이다. The treatment of amblyopia aims to restore vision and to have normal vision. Amblyopia treatment includes occlusion treatment or medication. Among these, occlusion therapy is a method of forcing only amblyopia by covering the normal eye with an eye patch or a translucent lens. Occlusion therapy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amblyopia treatment and still forms the basis of amblyopia treatment.

하지만, 종래의 약시치료는 강제로 약시안만 사용하므로 치료기간이 길어지면 정상안도 약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치료기간 동안 정상안은 가려져 있으므로 정상안에는 빛의 자극이 전혀 없고 약시안에만 빛의 자극이 가해지므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가림 시간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약시를 치료하기 때문에 치료가 정교하지 못하고, 가림을 중단하면 다시 약시로 돌아가는 재발가능성이 높다. However, conventional amblyopia treatment is forced to use only amblyopia, so if the treatment period is prolonged, normal amblyopia may occur. Since the normal eye is cover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re is no light stimulus in the normal eye, and light stimulation is applied only to the weak eye. In addition, since amblyopia is treated only by adjusting the occlusion time, the treatment is not sophisticated, and if the obstruction is stopped,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is returned to amblyopia.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3197호: 사시교정기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3197: Isometric Calibrator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922호: 캐릭터 가림안대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0-0007922: Character Garim Ey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주거나 서로 다른 시감으로 영상을 보여줄 수 있어서 하나의 장치로 여러 종류의 시각장애를 함께 치료할 수 있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can show an image at different angles or with different visual acuity can visually treat several types of visual impairment with one device toget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를 좌안과 대응되는 좌측공간부 및 우안과 대응되는 우측공간부로 분리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좌측공간부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각각 영상을 형성하여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주거나 서로 다른 시감의 영상을 보여주는 가변영상수단;을 구비한다.A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the cover housing to separate the interior of the cover housing into the lef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A main body including a blocking member; And variable image means for forming images on the left and right spaces, respectively, to show images at different angl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r to show images of different visibility.

상기 가변영상수단은 상기 좌측공간부에 좌안이 바라볼 수 있는 좌측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우측공간부에 우안이 바라볼 수 있는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상기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의 위치 또는 시감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variable image means outputs a left image that can be viewed by the left eye in the left space, and an image output unit that outputs a right image that can be viewed by the right eye in the right space, and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Or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isibility.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과 상기 우측영상을 좌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비된다.The image output unit is provided as one display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left and right.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을 출력하는 좌안 디스플레이와, 상기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우안 디스플레이로 구비된다.The image output unit includes a lef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a righ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right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display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상기 시감은 색상, 명도, 채도, 농도, 선예도, 해상도, 광도, 조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The luminous sens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hue, lightness, saturation, density, sharpness, resolution, lightness, and illuminance.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좌안의 편위정도와 우안의 편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위측정수단을 더 구비한다.It is provided on the cover housing further comprises a deflection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flection of the left eye and the degree of deflection of the right eye.

편위측정수단은 상기 좌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좌안을 촬영하는 좌안카메라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우안을 촬영하는 우안카메라와, 상기 좌안카메라 및 우안카메라를 독립적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수단을 구비한다.The deviation measuring means includes a lef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left space to photograph the left eye, a righ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to photograph the right eye, and camera movement means for independently moving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respectively. It is provided.

상기 편위측정수단은 좌안 및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더 구비한다.The deviation measuring means further include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상기 시각장애는 사시 또는 약시이다.The visual impairment is strabismus or amblyopia.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외부카메라와,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2외부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좌측영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우측영상으로 출력된다. A first external camera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to acquire a first external image image by capturing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and a second external image image obtained by capturing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to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A second external camera is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first external video image is output as the left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image is output as the right imag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주거나 서로 다른 시감의 영상을 보여줄 수 있어서 하나의 장치로 여러종류의 사시장애를 함께 치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w images at different angl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r can show images of different visual acuity so that various types of strabismus disorder can be treated together with on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시 환자에게 사시각에 맞는 위치에서 상을 보여줌으로써 입체시를 향상시켜 더 이상의 사시 진행을 억제하고, 사시가 있으나 정상으로 돌아오는 능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시각보다 작은 각도로 상을 위치시켜 정상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tereopsis by showing the image at a posi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strabismus to the strabismus patient to suppress further strabismus progression, and in patients with strabismus, but have the ability to return to normal, the image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strabismus. Can be placed into the normal eye.

또한, 본 발명은 약시 환자의 경우 약시안에는 높은 시감의 상을 보여주고, 정상안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시감의 상을 보여주어 약시안의 시력발달을 촉진시키고 정상안의 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mblyopia patients, amblyopia shows high visual acuity, and a normal eye may show a relatively low visual acuity, thereby facilitating visual acuity development in amblyopia and preventing visual acuity deterioration.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촬영된 주변의 실제영상이나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동영상을 영상출력부를 통해 환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므로 치료과정에서 환자의 보다 적극적인 자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w the patient the real-time video around the real-time images, such as games, movies, etc. to the patien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can cause a more active posture and interest of the patient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방식으로 환자의 안면에 착용시킨 상태로 환자의 시각장애를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or treat the visual impairment of the patient in a state that is worn on the face of the patient in a wearable manner can be used while moving freely regardless of the place can greatly improv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에 적용된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정상인의 양안이 물체를 주시할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 모식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우안의 카파각을 계산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8은 사시환자의 양안이 물체를 주시할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 모식도이고,
도 19는 양안거리에 따른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위치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20은 우안 외사시 환자의 치료시 사시각만큼 우측영상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21은 우안 상사시 환자의 치료시 사시각만큼 우측영상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22는 우안 외사시 환자의 치료시 사시각 이내에서 점진적으로 우측영상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3은 좌안 약시 환자의 치료시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시감을 서로 다르게 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24는 정상인의 각막반사점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25는 우안이 내사시인 환자의 각막반사점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26은 우안이 외사시인 환자의 각막반사점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27은 우안이 내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28은 우안이 외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29는 좌안이 내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30은 좌안이 외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31은 사시안의 편위정도에 따라 각막반사점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32는 주시안의 편위거리와 편위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3은 사시안의 편위거리와 편위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FIG. 1;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FIG. 1,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of FIG. 1,
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isual disorder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8;
FIG.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8;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applied to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illustrated in FIG. 8;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shown in FIG. 8;
FIG.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13;
16 is a schematic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when both eyes of a normal person gaze at an object,
17 is a schematic diagram for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right eye in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how both eyes of an strabismus patient observe an object,
19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ight image is shifted by the angle of deviation during treatment of the right eye exotropia.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ight image is shifted by the angle of deviation during treatment of the right eye superior obese.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ght image is gradually moved within the strabismus angle during treatment of a right eye exotropia.
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left-eye and right-eye im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ring treatment of a left amblyopia patient.
24 is a diagram showing the corneal reflection of a normal person,
25 is a diagram showing the corneal reflection of the right eye esotropia,
26 is a diagram showing the corneal reflection of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with exotropia,
27 is a bilateral corneal reflection image of a patient having an esotropia of the right eye,
28 is a bilateral corneal reflection image of a patient having an right eye exotropia,
29 is a bilateral corneal reflection image of a patient with esotropia of the left eye,
30 is a bilateral corneal reflex image of a patient with an esotropia of the left eye,
31 is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cyanide,
3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viation distance and deviation angle of the main cyanid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deviation distance and deviation angle of a cyan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isturb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시각장애를 예방하거나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함이다.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impai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visual impairment.

본 발명의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구체적인 실시 예로 사시나 약시와 같은 시각장애를 예방하거나 개선 또는 치료하는 용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다른 질환의 시각장애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가령, 녹내장이나 뇌병변으로 인한 시야장애, 시신경질환, 백내장, 황반변성 등에 의한 중심시야의 장애, 저시력 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개선 또는 치료하는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visual impairments such as strabismus or amblyopia,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visual impairments of other diseases. For example, it can be use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visual field disorders due to glaucoma or brain lesions, optic nerve disorders, cataracts, macular degeneration, central vision disorders, and low vision disorder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본체(6)와, 본체(6)의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에 각각 영상을 형성하여 시각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가변영상수단을 구비한다. 1 to 5,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 the main body 6, the left space 3 and the right space 4 of the main body 6,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variable imaging means for treating the visual impairment.

본체(6)는 피검자의 얼굴 전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피검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해 본체(6)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The main body 6 is located in front of the face of the examinee. Therefore, the examinee can look inside the main body 6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본체(6)는 웨어러블(wearable) 방식으로 얼굴에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6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the face in a wearable manner.

이와 달리 본체는 웨어러블 방식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어 실내의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또는 지지프레임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자판기와 같은 사각 형태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의 경우 피검자는 본체의 앞에 앉거나 서 있는 상태로 본체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치료를 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main body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wearable method and installed on the floor or table of the room or on the support frame. 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in a rectangular form such as a vending machine. In the case of such a body, the subject may be treated by looking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while sitting or standing in front of the body.

본체(6)는 외관을 이루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차단부재(5)가 설치되어 커버하우징(1)의 내부공간이 좌측공간부와 우측공간부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The main body 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locking member 5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forming the exterior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housing 1 is divided into a left space part and a right space part.

이하에서는 얼굴에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방식의 본체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웨어러블(wearable) 방식의 본체는 얼굴에 착용한 상태에서 시각장애의 치료가 가능하게 하므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type wearable on the face as an example. Wearable (wearable) main body can be used while treating the visual impairment in the state worn on the face can be used while moving freely regardless of place can greatly improve the user convenience.

도시된 본체(6)는 커버하우징(1)과,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하우징(1)의 내부를 좌측공간부(3) 및 우측공간부(4)로 분리하는 차단부재(5)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6 shown is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and the cover housing 1, and a block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1 into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5) is provided.

커버하우징(1)은 얼굴의 전면에 위치하여 양안을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커버하우징(1)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이 막혀 있다. 이러한 커버하우징(1)은 웨어러블방식으로 얼굴에 착용이 가능하다. Cover housing (1)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face to cover both eyes. The cover housing 1 is formed with an empty space therein, the front is blocked. The cover housing 1 may be worn on the face in a wearable manner.

이를 위해 커버하우징(1)을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본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의 예로 커버하우징(1)에 설치되는 고정벨트(9)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벨트(9)는 환자의 머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벨트(9) 대신에 헬멧, 밴드 등의 다양한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커버하우징(1)을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To this e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ver housing 1 to the fa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s an example of the fixing means there is shown a fixing belt 9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Fixing belt (9) is coupled to detachable to the patient's head. Instead of the fixing belt (9) by applying a variety of fixing means, such as helmet, band can be fixed to the cover housing (1) of course.

안면과 접촉하는 커버하우징(1)의 후면은 안면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곡면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하우징(1)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안면과 접촉되는 쿠션부(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in contact with the face is preferably formed to be bent in a curved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face. In addition, the rear edge of the cover housing 1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portion 2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face.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는 차단부재(5)가 설치된다. 차단부재(5)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차단부재(1)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를 2개의 공간, 즉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좌측공간부(3)는 환자의 좌안과 대응되는 공간이며, 우측공간부(4)는 환자의 우안과 대응되는 공간이다. The blocking member 5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The blocking member 5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blocking member 1 serves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1 into two spaces, that is,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The left space portion 3 i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patient, and the right space portion 4 i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하우징(1)에는 내부의 조명을 위한 조명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램프는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LED를 적용할 수 있다. 조명램프는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조명램프에 의해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를 밝게 유지하거나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housing 1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for internal lighting. Lighting lamps can be applied to the LED to adjust the illumination step by step. One lighting lamp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By the lighting lamp,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can be kept bright or dark.

커버하우징(1)의 후면의 좌우측에는 광학렌즈(7)(8)가 각각 설치된다. 광학렌즈(7)(8)는 좌우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좌측에 위치하는 광학렌즈(7)는 피검자의 좌안과 대응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광학렌즈(8)는 피검자의 우안과 대응된다. 피검자의 좌안은 좌측의 광학렌즈(7)를 통해 좌측공간부(3)를 볼 수 있으며, 우안은 우측의 광학렌즈(8)를 통해 우측공간부(4)를 볼 수 있다. Optical lenses 7 and 8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The optical lenses 7 and 8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side to side. The optical lens 7 located on the left side corresponds to the left eye of the subject, and the optical lens 8 located on the right side corresponds to the right eye of the subject. The left eye of the subject can see the left space 3 through the left optical lens 7, and the right eye can see the right space 4 through the right optical lens 8.

광학렌즈(7)(8)는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을 피검자가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광학렌즈(7)(8)는 좌측영상과 좌안의 거리, 우측영상과 우안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렌즈가 이용될 수 있다. 가령, 광학렌즈로 볼록렌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로 단일 또는 2개 이상의 렌즈가 조합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ptical lenses 7 and 8 allow the examinee to clearly see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As the optical lenses 7 and 8, a lens having an appropriate shape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left ey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image and the right eye. For example, a convex lens may be applied to the optical lens. In addition, of course, the optical lens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singl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lenses.

바람직하게 광학렌즈(7)(8)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광학렌즈(7)(8)의 좌우 이동구조는 다양한 주지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ptical lenses 7 and 8 may be installed to be moved left and right by a user's operatio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tructures of the optical lenses 7 and 8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known techniques.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거리, 즉 양안 거리는 동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양안 거리가 좁고 어른은 양안 거리가 넓다. 또한, 같은 연령대에서도 얼굴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양안 거리가 달라진다. 따라서 광학렌즈(7)(8)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환자의 양안 거리에 맞추어 2개의 광학렌즈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person, ie binocular distance, is not the same. In general, children have a narrow binocular distance, and adults have a wide binocular distance. In addition, even in the same age, the binocular distance varies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face. Therefore, as the optical lenses 7 and 8 can be moved left and r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ptical lens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커버하우징(1)의 후면에는 광학렌즈가 설치되지 않고 그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과 우안은 관통홀을 통해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직접 바라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is not provided with an optical lens,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 In this case,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can directly see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through the through hole.

가변영상수단은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주거나 서로 다른 시감으로 영상을 보여준다. The variable imaging means shows images at different angles i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r shows images at different visibility.

가변영상수단은 좌측공간부(3)에 좌안이 바라볼 수 있는 좌측영상(11)을 출력하고 우측공간부(4)에 우안이 바라볼 수 있는 우측영상(13)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좌측영상(11) 및 우측영상(13)의 위치 또는 시감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구비한다. The variable image means outputs a left image 11 for viewing by the left eye to the left space 3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ight image 13 for viewing by the right eye to the right space 4. The control unit 10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r visual sense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영상출력부(10)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령 영상출력부(10)는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For example,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1).

영상출력부(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11)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13)을 출력한다.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좌측영상(11)은 좌측공간부(3)에 위치하고 우측영상(13)은 우측공간부(4)에 위치한다. 차단부재(5)에 의해 좌안은 좌측영상(11)만 볼 수 있고, 우안은 우측영상(13)만 볼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outputs a left image 11 that the left eye can see and a right image 13 that the right eye can se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spatially separated. The left image 11 is located in the left space portion 3 and the right image 13 is located in the right space portion 4. By the blocking member 5, the left eye can only see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eye can only see the right image 13.

바람직하게 좌측영상(11)의 중심은 좌안의 중심과 대응되게 위치하고, 우측영상(13)의 중심은 우안의 중심과 대응되게 위치한다. 좌안과 우안의 중심은 각 안구의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안구의 중심은 안구의 해부학적 중심 또는 각막의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enter of the left image 11 is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left eye, and the center of the right image 13 is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right eye.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eyes may mean the center of each eye. And the center of the eye may mean the anatomical center of the eye or the center of the cornea.

영상출력부(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제어부(1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영화, 게임 등과 같은 동영상일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output the image selected by the controller 100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s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respectively.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may be a still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moving image such as a movie or a game.

영상출력부(10)는 하나 또는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two displays.

도시된 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좌우로 나누어 좌측화면영역과 우측화면영역으로 각각 할당하고, 좌측화면영역 내에서 좌측영상(11)을 출력하고 우측화면영역 내에서 우측영상(13)을 출력한다. 2개의 화면영역은 좌우로 분리되어 좌측화면영역은 좌측공간부(3)에 위치하고, 우측화면영역은 우측공간부(4)에 위치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좌측영상(11)이 출력되는 좌측화면영역과 우측영상(13)이 출력되는 우측화면영역 사이에 차단부재(5)가 위치한다.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the use of one display. The screen of one display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assigned to the left screen area and the right screen area, respectively, and the left image 11 is output in the left screen area and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in the right screen area. The two screen areas are divid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left screen area is located in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creen area is located in the right space part 4. When one display is used, the blocking member 5 is positioned between the left screen region on which the left image 11 is output and the right screen region on which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경우 제어부(100)는 좌측화면영역 내에서 좌측영상(11)의 출력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우측화면영역 내에서 우측영상(13)의 출력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자체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이동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using one display, the controller 100 may adjust the output position and size of the left image 11 in the left screen region, and adjust the output position and size of the right image 13 in the right screen region. .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free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ffect of mov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obtained by moving the display itself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by a mechanical method.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 영상출력부(10)는 평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19)는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휘어져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는 영상의 왜곡도를 줄일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mage output unit 10 shows a state of using a display formed in a flat surface.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6, the image output unit 19 may use a display formed in a curved surface. A curved display cur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reduce distortion of an image.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영상출력부가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경우 좌측공간부에 좌안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우측공간부에 우안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따라서 2개의 디스플레이는 좌우로 분리된다. 차단부재는 2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한다. 좌안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좌측영상이 출력되고, 우안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우측영상이 출력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출력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image output unit is implemented as two displays, a left eye display is installed in the left space and a right eye display is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Thus, the two displays are separated from side to side. The block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two displays. The left image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left eye display, and the right image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right eye display. Since the output position and size of the left image or the right image can be adjusted in each display screen,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free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영상출력부가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곡면 디스플레이로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모두 휘어져 안구의 형상과 비슷한 비구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output unit is implemented by two displays, each display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Preferably, as a curved display, an aspherical display similar to the shape of an eyeball may be used, which is bent in bo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제어부(100)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달리 커버하우징(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버하우징(1)의 외부에 제어부(10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trol unit 10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Unlike this, of course, the control unit 1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housing 1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ver housing 1.

제어부(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스와, 각종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작동을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00)는 영상출력부(10)의 온오프 및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조절,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시감 조절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0 is composed of a micro process and various driving circui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n / off of the image output unit 10 and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nd the luminous adjustment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또한, 제어부(100)는 선택된 영상을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으로 출력하고, 각종 결과값을 메모리부(120)에 저장하고 외부장치로 출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outputs the selected image to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and stores various result values in the memory unit 120 and outputs them to an external device. Can be represented.

제어부(100)는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영상의 위치를 환자의 양안거리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The controller 100 may move the positions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freely move them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reby outputting and displaying different image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patient. The position of the image can be adjusted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또한, 제어부는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가령, 좌측영상(11)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안의 시선과 우안의 시선은 각도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사시 환자에게 사시각에 맞는 위치에서 상을 보여주어 더 이상의 사시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시가 있으나 정상으로 돌아오는 능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시각보다 작은 각도로 상을 위치시켜 정상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범위 내에서 사위(잠복사시)가 있는 환자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해 비정상적인 사시로의 이행을 막아 시각장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ler can freely move the positions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the controller may show images at different angles to the left and right eyes.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11 is fixed and the position of the right image 13 is shifted to the left or the right, the angl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re different. Accordingly, the strabismus can be shown to the strabismus at a position suitable for strabismus, thereby further suppressing strabismus progression. In addition, patients with strabismus who have the ability to return to normal may be placed into the normal eye by positioning the image at an angle less than the angle of devi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inclination (latent radiation) within the normal range, the visual impairment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transition to abnormal strabism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어부(100)는 좌측영상(11)의 우측영상(13)의 시감을 다르게 하여 약시를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improve or treat amblyopia by varying the visibility of the right image 13 of the left image 11.

종래의 약시치료는 안대로 정상안을 강제로 가리고 약시안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안에는 빛의 자극이 전혀 없고 약시안에만 빛의 자극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약시 증상의 경중에 따라 정상안과 약시안에 가해지는 빛의 자극을 세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amblyopia treatment, the normal eye is forcibly covered and only amblyopia is used, so there is no problem of light stimulation in the normal eye and only amblyopia.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amblyopia symptoms, it is necessary to finely control the stimulation of light applied to normal eyes and amblyopia.

본 발명은 제어부(100)가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시감(visual sensitivity)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정상안과 약시안에 가해지는 빛의 자극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differently adjust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to differently stimulate the light applied to the normal eye and the weak eye.

시감은 색상, 명도, 채도, 농도, 선예도, 해상도, 광도, 조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정상안과 약시안에 가해지는 빛의 자극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시감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The visual acuit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hue, lightness, saturation, density, sharpness, resolution, lightness, and illuminance. In addition,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f vision as long as the stimulation of light applied to normal eyes and amblyopia can be different.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시감이 다르다는 것은 좌측영상의 우측영상의 색상이 서로 다르거나, 명도가 서로 다르거나, 채도가 서로 다르거나, 농도가 서로 다르거나, 선예도가 서로 다르거나, 해상도가 서로 다름을 의미한다. 시감이 높은 영상은 시감이 낮은 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눈에 더 잘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눈해 가해지는 빛의 자극이 더 강함을 의미한다. The left and right images have different visibility, different colors, different brightness, different saturation, different densities, different sharpness, or different resolutions. Means. An image with a high visual acuity means that the eye is relatively more visible than an image with a low visual acuity, which means that a stimulus of light applied to the eye is stronger.

가령, 정상안이 바라보는 영상은 시감을 낮게 하고, 약시안이 바라보는 영상은 시감을 높게 하여 정상안에는 빛의 자극을 낮추고, 약시안에는 빛의 자극을 높일 수 있다. 시감의 높고 낮음의 정도를 10단계로 나눌 경우 환자의 눈에 가해지는 빛의 자극 강도를 10단계로 나눌 수 있으므로 환자의 증상에 맞추어 다양한 강도로 눈을 자극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viewed by the normal eye lowers the visual perception, and the image viewed by the amblyopian increases the visual perception to lower the stimulus of light in the normal and the stimulus of the light in the amblyopian. Dividing the degree of high and low visibility into 10 levels, the intensity of light stimulation applied to the patient's eyes can be divided into 10 levels so that the eyes can be stimulated with various intensities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the patient.

종래의 약시치료가 정상안은 눈을 가려 빛을 차단시키고, 약시안은 눈을 가리지 않는 방법으로 매우 단순하고 수동적인 치료방법임에 반해, 본 발명은 시감의 높고 낮음의 정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세분화할 수 있으므로 눈에 가해지는 빛의 자극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시의 증상에 따라 시감의 높고 낮음의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적절한 빛의 자극을 가할 수 있으므로 약시안의 시력발달을 촉진시키고 정상안의 시력저하는 방지할 수 있다. Conventional amblyopia treatment is to block the eyes by blocking the eyes, while amblyopia is a very simple and passive treatment method that does not cover the eyes,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high and low degree of visibility in several steps This allows you to vary the intensity of the light's irritation to your ey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amblyopia, the high and low degree of luminous precision can be precisely controlled, so that appropriate light stimulation can be applied, thereby facilitating visual development of amblyopia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of visual acuity in normal eyes.

한편, 본 발명은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10),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0), 조작을 위한 조작부(130), 외부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140)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10 for providing power, a memory unit 120 for storing data, an operation unit 130 for oper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ve.

본 발명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10)는 커버하우징(1)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0)로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커버하우징(1)과 연결시킬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battery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In addition, a commercial power source may be used as the power supply unit 110.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housing 1 using a power cable.

메모리부(120)는 각종 영상데이터와 수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120)로 커버하우징(1)에 설치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20)는 커버하우징의 외부에 존재하는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디스크 및 유에스비(USB) 등이 이용될수 있다. The memory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various reservoirs for storing various image data and numerical data. It may be a volatile memory, a nonvolatile memory, and a hard disk that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as the memory unit 120 for storage.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20 may use a floppy disk, a compact disk, a USB (USB), and the like, which exist outside the cover housing.

조작부(130)는 커버하우징(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전원버튼을 포함한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키로 구비되거나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ver housing 1.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as a key for setting a supported function including a power button or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nel.

통신부(140)는 제어부(100)에 제어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 to perform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communicat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결과값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부출력부는 커버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출력부는 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외부출력부로 컴퓨터, TV, 소형의 LCD 디스플레이, 프린터, 이동단말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r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sult value to the outside. The external output unit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ver housing. The external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less or wired and outputs a result. As the external output unit, a computer, a TV, a small LCD display, a printer,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음성안내를 위한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피커를 통해 환자에게 치료과정에 적절한 사용법을 안내하고 자세, 시선방향 등을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for voice guidance to the patient. The controller may guide the patient through proper use of the treatment process through the speaker and request a posture and a gaz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FIG. 7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를 더 구비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7 further includes a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a second external camera 55.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커버하우징(1)의 전면에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가 설치된다.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가 좌우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are spaced from side to side and installed side by side.

제 1외부카메라(50)는 좌측공간부(3)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2외부카메라(55)는 우측공간부(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1외부카메라(50)는 커버하우징(1)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고, 제 2외부카메라(55)는 커버하우징(1)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한다.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pace 3,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pace 4.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1 to obtain a first external video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1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image. Acquire.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는 바라보는 거리에 따라 주시각(convergence angle)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가까운 곳을 바라볼 때는 제 1외부카메라(50)의 주시방향과 제 2외부카메라(55)의 주시방향이 이루는 주시각이 커지고, 멀리 바라볼 때는 제 1외부카메라(50)의 주시방향과 제 2외부카메라(55)의 주시방향이 이루는 주시각이 작아진다.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 convergence angl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For example, when looking at a near place, the viewing angle between the gazing direction of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gazing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increased, and when viewing a distance, the gazing direction of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increased. And the viewing angle formed by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reduced.

제 1외부카메라(50)로 촬영된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제어부에 의해 좌측영상으로 출력되고, 제 2외부카메라(55)로 촬영된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제어부에 의해 우측영상으로 출력된다. 제어부는 제 1외부영상이미지와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나중에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external video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output as the left image by the controller,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output as the right image by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in real time or store the memory unit in a memory unit and later output the same.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환자는 좌안을 통해 바라보고,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환자는 우안을 통해 바라보므로 환자는 안면에 커버하우징(1)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전방을 입체적인 영상으로 보면서 시각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촬영된 주변의 실제영상을 환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므로 치료과정에서 환자의 보다 적극적인 자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Since the patient looks at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patient looks at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through the right eye, the patient is visually impaired while viewing the anterior image in a three-dimensional image even when the cover housing is mounted on the face. Can cure. In this case, the real image taken around the real time can be shown to the patient, which can induce a more active posture and interest of the patient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를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8 to 12.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편위측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다.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orders illustrated in FIGS. 8 to 12 further includes a deviation measuring means. In addi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편위측정수단은 커버하우징(1)에 설치되어 좌안의 편위정도와 우안의 편위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안과 우안의 편위정도를 측정하여 사시가 있는 눈의 사시각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8 to 12, the deviation measur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serves to measure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deviation. This is to calculate the deviation angle of the strabismus eye by measuring the degree of deviation of left and right eyes.

도시된 편위측정수단의 일 예로, 좌측공간부(3)에 설치되어 좌안을 촬영하는 좌안카메라(20)와, 우측공간부(4)에 설치되어 우안을 촬영하는 우안카메라(25)와, 좌안카메라(20) 및 우안카메라(25)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수단과, 좌측공간부(3)에 설치되어 좌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좌안광원부(40)와, 우측공간부(4)에 설치되어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우안광원부(45)를 구비한다. As an example of the deviation measurement means shown, the left eye camera 20 installed in the left space part 3 to photograph the left eye, the right eye camera 25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part 4 to photograph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Camer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which is installed in the left space part 3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space part 4 And a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ight eye.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는 환자의 좌안과 우안을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2개의 카메라(20)(25)가 설치된다. 좌측공간부(3) 좌안카메라(20)가 설치되고, 우측공간부(4)에 우안카메라(25)가 설치된다. 좌안카메라(20)는 환자의 좌안을 촬영하고, 우안카메라(25)는 환자의 우안을 촬영한다. Inside the cover housing 1, two cameras 20 and 25 ar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patient, respectively. The left eye camera 20 is installed in the left space 3, and the right eye camera 25 is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4. The left eye camera 20 photographs the left eye of the patient, and the right eye camera 25 photographs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로 고행상도 CCD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좌안카메라(20)에서 촬영한 좌안의 영상이미지와 우안카메라(25)에서 촬영한 우안의 영상이미지는 제어부(100)로 보내진다. A high resolution CCD camera can be used as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The video image of the left eye taken by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video image of the right eye taken by the right eye camera 25 are sent to the controller 100.

도시된 예에서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어 영상출력부(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좌안카메라(20)는 좌측영상(11)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우안카메라(25)는 우측영상(13)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install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cover housing 1 and are positioned below the image output unit 10. The left eye camera 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eye camera 2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ight image 13.

본 발명에서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카메라이동수단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카메라(20)(25)의 위치를 환자의 양안거리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20)(25)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밀한 사시각 측정이 가능하다.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by the camera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ameras 20 and 25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In addition, since the camera 20, 25 can be moved freely, precise perspective angle measurement is possible.

도시된 카메라이동수단은 제 1이송부(30)와 제 2이송부(39)로 구비된다.The illustrated camera 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irst transfer unit 30 and a second transfer unit 39.

제 1이송부(30)는 좌안카메라(20)를 이동시키고, 제 2이송부(39)는 우안카메라(25)를 이동시킨다.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는 좌우이동 및 상하 이동이 모두 가능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달리 좌우 이동만 하거나 상하 이동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rst transfer unit 30 moves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39 moves the right eye camera 25.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30 and 39 employ a method capable of both left and right movement and up and down movement. Unlike this, on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r only the vertical movements can be made.

일 예로,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는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된 스테이지(29)와, 스테이지(29)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X축 방향) 및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X-Y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30 and 39 may be provided on a stage 29 provid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and installed on the stage 29.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 It consists of an XY feed unit that can move in the Y-axis direction).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는 설치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도 11에 도시된 제 1이송부(30)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30 and 39 have the same structure only in the installation positions, the structure of the first transfer part 30 shown in FIG. 1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영상출력부의 하부에 사각의 스테이지(31)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지(31)에 X-Y이송유닛이 설치된다. The rectangular stage 31 is installed below the image output unit. The stage 31 is provided with an X-Y transfer unit.

X-Y이송유닛으로 다양한 이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이용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직선으로 전개배치된 고정자에 이동자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원이 공급되면 이동자가 직선운동을 한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는 소형화 및 위치제어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Various transfer devices are available as X-Y transfer unit. For example, a linear motor can be used. The linear mo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ver is coupled to a stator deployed in a straight line, and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mover performs a linear movement. Such a linear motor has an advantage of miniaturization and position control.

도시된 X-Y이송유닛은 한쌍의 X축 리니어 모터(31)(32)와, X축 리니어 모터(31)(32)를 연결하는 세로가이드바(35)와, 한쌍의 Y축 리니어 모터(33)(34)와, Y축 리니어 모터(33)(34)를 연결하는 가로가이드바(36)와, 세로가이드바(35)와 가로가이드바(36)가 관통하며 좌안카메라(20)가 설치되는 이동블록(37)을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XY transfer unit includes a pair of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 vertical guide bar 35 connecting the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nd a pair of Y-axis linear motors 33. A horizontal guide bar 36 connecting the 34 and the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and the vertical guide bar 35 and the horizontal guide bar 36 pass through the left eye camera 20. A moving block 37 is provided.

한쌍의 X축 리니어 모터(31)(32)는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각 X축 리니어 모터(31)(32)의 고정자(31a)는 스테이지(29)에 고정되고, 고정자(31a)에 이동자(31b)가 결합된다. X축 리니어 모터(31)(32)의 작동에 의해 이동자(31b)는 좌우로 이동된다. A pair of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re arranged side by side up and down. The stator 31a of each X-axis linear motor 31, 32 is fixed to the stage 29, and the mover 31b is coupled to the stator 31a. The mover 31b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operation of the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그리고 한쌍의 Y축 리니어 모터(33)(34)는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각 Y축 리니어 모터(33)(34)의 고정자(34a)는 스테이지(29)에 고정되고, 고정자(34a)에 이동자(34b)가 결합된다. Y축 리니어 모터(33)(34)의 작동에 의해 이동자(34b)는 상하로 이동된다. And a pair of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the left and right. The stator 34a of each Y-axis linear motor 33, 34 is fixed to the stage 29, and the mover 34b is coupled to the stator 34a. The mover 34b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세로가이드바(35)는 한쌍의 X축 리니어 모터(31)(32)의 이동자(31b)에 연결되고, 가로가이드바(36)는 한쌍의 Y축 리니어 모터(33)(34)의 이동자(34b)에 연결된다. The vertical guide bar 35 is connected to the mover 31b of the pair of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nd the horizontal guide bar 36 is the mover (of the pair of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34b).

이동블록(37)에는 세로가이드바(35)가 통과하는 세로 슬라이딩홀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가로가이드바(36)가 통과하는 가로 슬라이딩홀이 좌우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블록(37)에는 좌안카메라(20)가 설치된다. 제 2이송부(39)를 구성하는 이동블록(38)에는 우안카메라(25)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이송부(30)의 이동블록(37)에는 후술할 좌안광원부(40)가 설치되고, 제 2이송부(39)의 이동블록에는 후술할 우안광원부(45)가 설치된다. The movable block 37 has a vertical sliding hole through which the vertical guide bar 35 passes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sliding hol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guide bar 36 passes through is formed left and right. The left eye camera 20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7. Of course, the right eye camera 25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8 constituting the second transfer unit 39.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7 of the first transfer unit 3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of the second transfer unit 39.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X축 리니어 모터(31)(32)가 작동하면 이동블록(37)은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Y축 리니어 모터(33)(34)가 작동하면 이동블록(37)은 상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X-Y이송유닛에 의해 좌안카메라 및 우안카메라를 필요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the moving block 37 moves in either direction, and when the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operate, the moving block moves. Reference numeral 37 moves in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move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to the required position by the X-Y transfer unit.

또한, 좌안카메라와 우안카메라는 바라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may be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to adjust the viewing angle.

한편, 본 발명은 좌안 및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부는 1개의 광원 또는 2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질 경우 광원부는 커버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2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질 경우 좌측공간부와 우측공간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The light source unit may consist of one light source or two light sources. In the case of one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un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housing. When the light source is composed of two light sources, the light source is positioned one by one in the left space part and the right space part.

도시된 예에서 광원부는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에 불빛을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2개의 광원으로 구비된다. 즉, 좌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좌안광원부(40)는 좌측공간부(3)에 설치된다. 그리고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우안광원부(45)는 우측공간부(4)에 설치된다.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는 사시각 측정시 좌안과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여 불빛의 반사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is provided with two light sources to irradiate ligh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examinee, respectively. That is,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for irradiating a light in the left eye is provided in the left space 3. In addition,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for irradiating a light in the right eye is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part 4.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ar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ion point of the light by irradiating the ligh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t the measurement of the perspective angle.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는 눈으로 불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면 특별히 설치위치가 제한되지 않으나, 눈의 정면방향에서 불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erms of their installation position if they can irradiate light with their eyes, but are preferably installed at positions where the light can be irradiated from the front direction of the eye.

도시된 예에서는 좌안카메라(20)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안광원부(40)는 제 1이송부(30)의 이동블록(37)에 설치되고, 우안카메라(25)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우안광원부(45)는 제 2이송부(39)의 이동블록(38)에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7 of the first transfer unit 30 to move together with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to move together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45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8 of the second transfer unit 39.

좌안광원부(40) 및 우안광원부(45)는 기판상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로 적외선광을 생성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provided on a substrate and a lens for focusing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that generates infrared light may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diode.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의 작동, 제 1 이송부(30) 및 제 2이송부(39)의 이동,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의 온오프는 제어부(100)에 의해서 제어된다. The operation of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the movement of the first transfer unit 3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39, and the on / off of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 Controlled by

또한, 제어부(100)는 좌안카메라(20) 및 우안카메라(25)를 통해 촬영된 각종 영상이미지를 분석 및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이미지로부터 양안의 편위정도를 연산하여 산출함으로써 사시각을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영상이미지와 각종 결과값을 메모리부(120)에 저장하고 외부장치로 출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analyzes and processes various image images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nd calculates and calculates the deviation degree of both eyes from the processed image image to measure the perspective angle.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store the image image and various result values in the memory unit 120 and output them to an external device for display.

상술한 편위측정수단은 양안에 불빛을 각각 비추고, 이때의 모습을 촬영하여 각막에 나타난 빛의 반사점의 위치로부터 양안의 편위각을 산출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deviation measurement means illuminates the light in both eyes, and photographs the state at this time to calculate the deviation angle of both eyes from the position of the reflection point of the light shown on the cornea.

통상적으로 사시환자의 경우 한눈은 정상적으로 물체를 주시하지만, 다른 눈은 물체를 주시하지 못한다. 정상적으로 물체를 주시하는 눈을 주시안이라 하고, 주시안과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 물체를 주시하지 못하는 눈을 사시안이라 한다. Typically in strabismus patients, one eye looks at the object normally, but the other eye does not. Normally, eyes that look at an object are called Ju'sian, and eyes that do not look at an object because they are different from the eyes of the main eye are called Sa'sian.

본 발명은 편위측정수단에 의해 주시안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하고, 이로부터 사시각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사시환자의 치료 후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함으로써 사시의 개선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ation angles of the main cyan and the cyan are calculated by the deviation measuring means, and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deviation ang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strabismus is improved by calculating the deviation angle of the strabismus after treatment of strabismus patient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를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었다.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disturbance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13 to 15.

도시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는 분광기의 일종인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60)(65)를 이용하여 카메라(20)(25)와 영상출력부(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n the illustrated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the position of the cameras 20 and 25 and the image output unit 10 can be freely adjusted using beam splitters 60 and 65, which are a kind of spectroscope. Is showing.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가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고, 영상출력부(10)가 커버하우징(1)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13 to 15,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install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cover housing 1, and the image output unit 10 is dispos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2 in that it is installed.

좌측공간부(3)에 좌측 빔 스플리터(60)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우측공간부(4)에 우측 빔 스플리터(65)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The left beam splitter 60 is inclined in the left space 3, and the right beam splitter 65 is inclined in the right space 4.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은 좌측 빔 스플리터(60)에 의해 반사되어 환자의 좌안으로 보내지고, 우측영상은 우측 빔 스플리터(65)에 의해 반사되어 환자의 우안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환자의 양안 정면에 설치되어 환자의 좌안과 우안을 각각 촬영한다. 따라서 도시된 본 발명은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가 환자의 양안 정면에서 좌안과 우안을 각각 촬영하므로 정확한 편위각의 측정이 가능하다. The lef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is reflected by the left beam splitter 60 and sent to the left eye of the patient, and the right image is reflected by the right beam splitter 65 and sent to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And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installed in front of both eyes of the patient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patient,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photograp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espectively, in front of both eyes of the patient, so that accurate measurement of the deviation angle is possible.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빔스플리터를 이용하여 영상출력부를 커버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설치하거나, 좌안카메라와 우안카메라를 커버하우징의 바닥면 내측 또는 상면 내측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nd unlike that shown, the image output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using a beam splitter, or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r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상술한 웨어러블 타입의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기기나 AR(Augmented Reality)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VR 기기나 AR 기기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wearable typ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reality (VR) device or an augmented reality (AR) device. Therefore, as long as the VR device or the AR device include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의 치료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treating visual impairment using the aforementioned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will be described.

사시(strabismus)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이다. 사시인 경우, 한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 다른 쪽 눈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위 또는 아래로 돌아가 편위된다. 이러한 편위의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사시각(deviation angle)이다. Strabismus is a vision disorder in which the two eyes look at different points without being aligned. In strabismus, when one eye faces the front, the other eye turns inward or outward, or turns up or down and is biased. It is the deviation angle that expresses the degree of this deviation as an objective figure.

도 16에 사시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양안이 물체를 주시할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 16 conceptually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yes of a normal person without strabismus observe the object.

도 16을 참조하면, 안구의 해부학적 중심을 광축(optical axis)이라 하고, 물체를 바라보는 시선의 경로를 시축(visual axis)이라고 하면, 광축과 시축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anatomical center of the eye is referred to as an optical axis, and the path of a gaze for looking at an object is called a visual axis, the optical axis and the visual axis do not necessarily coincide.

광축은 각막의 중심(또는 동공의 중심) A을 지나고 각막의 표면에 수직인 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시축은 바라보는 물체(주시점)와 망막의 중심와(fovea centralis)를 연결하는 선으로 절점에서 광축과 교차된다. 황반의 중앙부분인 중심와의 위치가 망막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광축과 시축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광축과 시축이 이루는 각을 카파각(angel kappa)이라 한다. 따라서 광축과 시축이 일치하면 카파각이 0이다. The optical axis can be represented by a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rnea (or the center of the pupil) A and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ornea. The visual axis is the line connecting the object (viewing point) and the fovea centralis of the retina. Intersect with the optical axis. Since the posi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macula i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retina, the optical axis and the visual axis do not coincide. The angle between the optical axis and the time axis is called an angel kappa. Therefore, if the optical and time axes coincide, the kappa angle is zero.

대부분의 사람들은 광축과 시축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카파각이 있다. 시축과 각막의 교점(B)이 각막의 중심(A)에서 내측(코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면 양성카파각이고, 각막의 중심(A)에서 외측(귀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면 음성카파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시축과 각막의 교점(B)이 각막의 중심(A)에서 내측(코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양성카파각이다. Most people have a kappa angle because their optical and time axes do not coincide. When the intersection (B) of the visual axis and the cornea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A) of the cornea to the inner side (nose direction), it is a positive kappa angle. have. The illustrated example is a positive kappa angle because the intersection B of the visual axis and the cornea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A of the cornea to the inner side (nose direction).

양성카파각이 크면 외사시처럼 보이고 음성카파각이 크면 내사시처럼 보인다. 정상인에게 주로 양성카파각이 많고, 안과학적으로 카파각이 5도 이하인 경우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A large positive kappa angle looks like an exotropy and a large negative kappa angle looks like an esotropia. Normally, the normal number of benign kappa angles and the kappa angle less than 5 degrees in ophthalmology are considered normal.

카파각은 직접적으로 측정이 어려우므로, A(각막의 중심)와 B(시축과 각막의 교점) 사이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환산할 수 있다. Since kappa angle is difficult to measure directly, it can be converted by measuring the linear distance between A (center of cornea) and B (intersection of cornea and cornea).

도 16에 나타난 우안의 카파각을 계산하기 위한 모식도를 도 17에 나타내고 있다. The schematic diagram for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right eye shown in FIG. 16 is shown in FIG.

도 17을 참조하면, A와 B를 잇는 직선(Ln)을 그었을 때 각막의 곡률을 무시하면 직선 Ln은 광축에 대하여 직각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C(절점)와 A(각막의 중심)의 거리(L0)를 알 경우 tanθk=Ln/L0 이므로 θk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θk는 카파각을 의미한다. 카파각은 광축으로부터 시축이 얼마나 편위되었는지를 각도로 나타낸 수치이다. 카파각이 θk일 경우 A와 B 사이의 직선거리가 편위거리이다. 그리고 각막의 중심에서 절점까지의 거리 L0은 사람마다 차이가 다소 있으나 평균적으로 7.14mm로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when a straight line Ln connecting A and B is drawn, if the curvature of the cornea is ignored, the straight line Ln may be assu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f the distance (L 0 ) between C (node) and A (center of the cornea) is known, θ k can be obtained because tanθ k = Ln / L 0 . Where θ k means kappa angle. The kappa angle is an angle indicating how far the visual axis is from the optical axis. If the kappa angle is θ k , the linear distance between A and B is the deviation distanc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to the node L 0 varies slightly from person to person, but on average it is 7.14mm.

편위거리가 1mm인 경우 카파각은 약 8°이고, 이를 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Δ)로 환산하면 약 14Δ이다. 그리고 편위거리가 3mm인 경우 카파각은 약 22.8°이고, 이를 프리즘디옵터로 환산하면 약 42Δ이다. 프리즘디옵터와 카파각의 관계는 Δ=100×tanθk이다. When the deviation distance is 1mm, the kappa angle is about 8 °, which is about 14Δ when converted into a prism diopter (Δ). And when the deviation distance is 3mm, the kappa angle is about 22.8 °, which is about 42Δ when converted into a prism diop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sm diopter and the kappa angle is Δ = 100 × tanθ k .

양안이 모두 정상일 경우 도 16과 같이 좌안과 우안의 시축은 물체를 향하므로 시선이 한곳에서 융합된다. 이와 달리 사시의 경우 폭주(convergence) 능력이 없거나 저하되어 시선이 한곳에서 융합되지 않는다. When both eyes are normal, the visual axis of the left and right eyes is toward the object as shown in FIG. In contrast, strabismus does not have convergence or deteriorates, so the gaze does not converge in one place.

도 18을 참조하면, 좌안이 정상이고 우안이 외사시인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left eye is normal and the right eye is exotropy.

통상적으로 사시환자의 경우 두 눈으로 하나의 물체를 바라볼 때 한눈은 정상적으로 물체를 주시하지만, 다른 눈은 물체를 주시하지 못한다. 정상적으로 물체를 주시하는 눈을 주시안이라 하고, 주시안과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 물체를 주시하지 못하는 눈을 사시안이라 하면, 도 18에서 우안은 사시안이고, 좌안은 주시안이다. 좌안의 시축은 물체를 향하고 있으나 우안의 시축은 물체의 바깥 방향으로 벗어나 있다. Normally, in strabismic patients, when one looks at an object with both eyes, one eye normally looks at the object, but the other eye does not. Normally, an eye that looks at an object is called a main cyan, and when an eye that does not look at an obj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a cyan, a cyan, in FIG. 18, a right eye is a cyan and a left eye is a cyan. The visual axis in the left eye faces the object, but the visual axis in the right eye is outward of the object.

사시안이 정상일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의 시축을 가상시축이라고 정의하면, 사시각은 가상시축으로부터 사시안의 시축이 편위된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θs가 사시각이다. When the visual axis is assumed to be normal and the visual axis is defined as the virtual axis, the perspective angle means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visual axis from the virtual axis. Θ s is therefore the perspective angle.

사시각을 계산하기 위해 주시안에 대해서는 카파각을 측정하고, 사시안에 대해서는 편위각을 측정한다.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은 후술할 각막반사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o calculate the strabismus angle, measure the kappa angle for the visual acuity and the deviation angle for the acuity.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may be obtained using the corneal reflection method described later.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각을 구할 수 있다.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the occidental angle with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주시안이 좌안이므로 주시안의 시축이 광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인 카파각은 θk이다. 그리고 사시안의 편위각은 가상시축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θd)로 정의될 수 있다. Since the dominant eye is the left eye, the kappa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dominant eye axi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s θ k . In addition,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may be defined as an angle θ d formed between the virtual visual axis and the optical axis.

그리고 사시각(θs)은 주시안의 카파각(θk)과 사시안의 편위각(θd)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사시안의 시축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 θm은 주시안의 카파각 θk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And the deviation angle (θ s) can be determ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kappa (θ k) and deviation (θ d) of sasian in the eye. The time axis forms an angle with the optical axis of sasian θ m is a deviation angle θ s = θ d can be the same look and kappa angle θ k in the eye - a θ k.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사시의 경우 사시각은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더해 구할 수 있다. 가령, 내사시의 경우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In the case of esotropia, although not shown,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by adding the kappa angle of the occidental angle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For example, the angle of deviation θ s for esotropia. = θ d + θ k to be.

또한, 위에 언급한 것과 달리 사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각을 구할 수 있다. 사시안의 카파각 역시 후술할 각막반사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시안의 카파각은 주시안의 카파각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드물게 사시안의 카파각과 주시안의 카파각은 다를 수 있다. Also, unlike the above,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cyanide and the deviation angle of cyanide. The kappa angle of cyanide can also be obtained using corneal refl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general, the kappa angle of the cyan may be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kappa angle of the cyan, but in rare cases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 cyan may be different.

두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사시안은 물체를 주시하지 못하지만, 주시안을 가린 상태에서 사시안으로만 물체를 바라볼 경우 사시안은 물체를 주시한다. 따라서 사시안으로만 물체를 바라보게 하고 이때의 사시안의 시축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여 카파각을 산출할 수 있다. When looking at an object with both eyes, the cyanide does not look at the object, but when looking at the object with only the cyan with the occlusion obscured, it looks at the object. Therefore, the kappa angle can be calculated by looking at the object only with the cyan, and by calculating the angle between the visual axis and the optical axis of the cyan.

본 발명의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를 이용하는 환자는 안과전문의를 통해 사시 여부와 약시 여부가 미리 진단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시 또는 약시로 진단된 경우 양안 중 어느 쪽 눈이 사시안 또는 약시안인지 판별되어 있고, 사시안의 경우 사시각이 측정된 상태일 수 있다. Patients using the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 visual impai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dition of being diagnosed with strabismus or amblyopia through an ophthalmologist. In the case of diagnosis of strabismus or amblyopia, which of the two eyes is determined to be astigmatism or amblyopia, and in the case of astigmatism, strabismus angle may be measured.

먼저, 환자의 양안 거리에 맞추어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간격을 조절한다. First,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환자의 양안 거리는 좌안의 각막 중심과 우안의 각막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동공간의 거리(PD, pupil-distance)와 동일한 개념이다.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al center of the left eye and the corneal center of the right eye. This is the same concept as pupil-distance (PD).

환자의 양안 거리는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측정하거나, 안경사가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된 환자의 양안 거리를 조작부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가 좌측영상의 중심과 우측영상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양안 거리만큼 조절할 수 있다.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can be measured by a specialist or a optician using a separate measuring tool. In this case, when the measured binocular distance of the patient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left image and the center of the right image by the distance of both eyes.

도 19에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모습을 일 예로 나타내고 있다.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3D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다.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2개의 2D 영상을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으로 각각 출력한다. 19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images captured by a 3D camera. Two 2D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are output as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respectively.

어린이 환자와 같이 양안 거리(PD)가 작은 경우(도 19의 a)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조금 떨어져 있으나, 성인 환자와 같이 양안거리가 큰 경우(도 19의 b)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양안거리에 따라 좌측영상과 우측영상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binocular distance PD is small as in a child patient (FIG. 19 a),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slightly separated, but when the binocular distance is large as in an adult patient (FIG. 19 b) The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relatively far apart. As such,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다음으로, 커버하우징을 환자의 안면에 착용시킨 다음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위치를 조절하여 좌안과 우안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영상을 바라보도록 하여 사시를 치료하거나,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시감을 서로 다르게 하여 약시를 치료한다. Next, the cover housing is worn on the patient's face and then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djusted to treat the strabismus so that the left and right eyes look at the image from different angles, or the visibility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reat amblyopia differently.

사시각 또는 시감의 정도를 전문의가 조작부를 통해 입력을 하면, 제어부는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시감을 조절한다. When the specialist inputs the degree of perspective or visibility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ler moves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or adjusts the visibility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가령, 우안이 외사시인 사시환자의 경우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 strabismic patient whose right eye is an exotropia may move the position of an image as shown in FIG. 20.

도 20의 (a)와 같이 양안 거리(PD)에 맞추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환자의 사시각에 맞추어 도 20의 (b)와 같이 사시안에 대응되는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사시각만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는 환자의 사시각이 입력되면 사시각에 해당하는 우측영상(13)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거리와 방향에 따라 우측영상(13)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환자의 우안은 우측영상(13)을 주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A,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PD to correspond to the visual acuity as shown in FIG. 20B according to the patient's perspective angle. The position of the right image 13 to be moved in the outward direction by a perspective angle. The controller calculates a moving distance and a direction of the right image 13 corresponding to the perspective angle when the patient's perspective angle is input, and moves the right image 13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and direction. Accordingly,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may observe the right image 13.

그리고 우안이 상사시인 사시환자의 경우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strabismic patients whose right eye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21, the position of the image may be shifted.

도 21의 (a)와 같이 양안 거리(PD)에 맞추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환자의 사시각에 맞추어 도 21의 (b)와 같이 사시안에 대응되는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사시각만큼 상부로 이동시킨다. 제어부는 환자의 사시각이 입력되면 사시각에 해당하는 우측영상(13)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거리와 방향에 따라 우측영상(13)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환자의 우안은 우측영상(13)을 주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1 (a),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view of the patient in accordance with the binocular distance PD. The position of the right image 13 to be moved upward by a perspective angle. The controller calculates a moving distance and a direction of the right image 13 corresponding to the perspective angle when the patient's perspective angle is input, and moves the right image 13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and direction. Accordingly,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may observe the right image 1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시 환자에게 사시각에 맞는 위치에서 상을 보여줌으로써 입체시를 향상시켜 더 이상의 사시 진행을 억제시킨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tereoacuity by showing an image at a position suitable for a strabismus to a strabismus patient, thereby suppressing further strabismus progression.

그리고 사시가 있으나 정상으로 돌아올 능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다음과 같이 사시각보다 작은 각도로 상을 위치시켜 정상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And patients who have strabismus but have the ability to return to normal can be guided into the normal eye by positioning the image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of deviation as follows.

도 22를 참조하면, 우안이 외사시인 사시환자의 경우 우측영상(13)을 사시각(θs)만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a)의 위치이다. 그리고 (d)의 위치는 정상일 경우를 가정했을 때 눈이 주시하는 우측영상의 위치이다. Referring to FIG. 22, in the case of a strabismic patient whose right eye is an exotropia, when the right image 13 is moved outward by the angle of deviation θ s , it is the position of (a). And the position of (d) is the position of the right image that the eye looks at assuming a normal case.

사시각보다 더 작은 위치인 (b)에 우측영상을 위치시키면 우안은 영상을 주시하기 위해 시선이 내측방향으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사시각보다 더 작은 위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우측영상을 보여주어 우안이 우측영상을 주시하게 되면, 다시 우측영상을 내측방향으로 조금 더 이동시켜 (c)에 위치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우측영상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점진적으로 우측영상을 이동시키면 정상으로 돌아올 능력이 있는 환자는 사시의 치료가 가능하다. If the right image is positioned at (b), which is smaller than the deviation angle, the right eye returns to the inside to look at the image. When the right image is shown for a certain time at a position smaller than the angle of view, and the right eye observes the right image, the right image is moved further inward and placed in (c). Shows. By gradually moving the right image, patients with the ability to return to normal can be treated with strabismus.

그리고 약시환자의 경우 약시안에 대응되는 측의 영상의 시감을 높게 하고, 정상안에 대응되는 측의 영상의 시감을 낮게 하여 약시를 치료할 수 있다. 시감의 높고 낮은 정도의 값은 전문의가 조작부를 통해 입력을 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시감을 조절한다. In the case of amblyopia patients, the visual acuity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amblyopia may be increased, and the visual acuity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ormal eye may be lowered to treat amblyopia. The high and low values of the luminous sensitivity are input by the specialis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adjusts the luminous sensitivity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일 예로 도 23을 참조하면, 좌안이 약시안일 경우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시감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좌측영상(11)은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고 우측영상(13)은 상대적으로 흐리게 보이도록 한다. 이에 따라 좌안의 시력발달을 촉진시켜 약시의 개선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3, when the left eye is weak, the left image 11 is adjusted differently so that the left image 11 is clearly visible and the right image 13 is relatively Make it look blurr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or treat amblyopia by promoting visual development of the left eye.

단순히 안대로 정상안을 가리는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은 영상의 색상, 명도, 채도, 해상도, 농도, 선예도 등을 조절하여 양안에 들어가는 빛의 자극을 여러가지 단계의 강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 환자의 증상정도에 맞추어 정밀한 약시치료가 가능하다. Compared to a simple method of masking normal eyes,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color, brightness, saturation, resolution, density, sharpness, etc. of the image to adjust the intensity of light entering the binocular to various levels of intensity of each patient. Accurate amblyopia treatment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은 사시각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사시각의 측정은 사시 또는 약시의 치료과정 전에 수행하거나, 치료과정의 중간에 수행하거나, 치료과정 후에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that can automatically measure the perspective angle. Measurement of strabismus can be performed before, during or after treatment of strabismus or amblyopia.

사시각은 주시안 또는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카파각을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편위각과 비교하여 측정할 수 있다.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카파각, 사시안의 편위각은 각막반사법으로 각각 구할 수 있다.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measur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btained from the main cyan or the cyan to the deviation angle obtained from the cyan.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can be obtained by corneal reflection.

각막반사법은 얼굴의 전면에서 불빛을 비추어 불빛이 반사되는 각막의 어느 한 지점(이하, 각막반사점이라 함)이 각막의 중심에서 어느 정도 변위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The corneal reflection method is a method of measuring how much a certain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neal reflection point) of the cornea that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front of the face is displaced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양안에 각막반사점이 나타난 예를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내었다. 도 24는 정상인의 이미지이고, 도 25는 내사시가 있는 환자의 양안 이미지이고, 도 26은 외사시가 있는 환자의 양안 이미지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서 각막에 흰색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각막반사점이다. Examples of corneal reflections in both eyes are shown in FIGS. 24 to 26. 24 is an image of a normal person, FIG. 25 is a binocular image of a patient with esotropia, and FIG. 26 is a binocular image of a patient with exotropia. In FIG. 24 to FIG. 26, a portion indicated by a white circle on the cornea is a corneal reflection point.

도 24를 참조하면, 정상인의 경우 좌안과 양안 모두 각막반사점의 위치가 각막중심 부근에 형성된다. 정상인의 경우 대부분 각막반사점이 각막의 중심에서 코 방향으로 약간 떨어져 형성된다. 안과학적으로 카파각이 5도 이하인 경우는 정상으로 간주하므로 각막반사점이 각막 중심에서 떨어진 거리가 0.62mm 이내이면 정상이다. 정상인에서 각막반사점은 시축의 경로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시축과 각막의 표면이 만나는 교점이 각막반사점이다. 각막반사점은 도 16에서 B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4, in a normal person, corneal reflection points are formed near the corneal center in both the left eye and the both eyes. In normal cases, corneal reflex points are formed slightly away from the cornea's center. In ophthalmology, a kappa angle of less than 5 degrees is considered normal, so it is normal if the corneal reflex point is within 0.62mm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Corneal reflexes are present on the visual axis in normal subjects. Therefore,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time axis and the surface of the cornea is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Corneal reflection point means B in FIG.

그리고 도 25는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내사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좌안의 경우 각막반사점이 각막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반면에 우안은 각막반사점이 각막중심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25 shows a case where the left eye is a main eye and the right eye is esotropia. In the left eye, the corneal reflex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cornea, while in the right eye, the corneal reflex is biased toward the ear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그리고 26은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외사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좌안의 경우 각막반사점이 각막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반면에 우안은 각막반사점이 각막중심으로부터 코 방향으로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nd 26 shows the case where the left eye is the main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exotropia. In the left eye, the corneal reflex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cornea, while in the right eye, the corneal reflex is biased toward the nose from the corneal center.

이와 같이 얼굴의 전면에서 불빛을 비추고 이때 양안의 사진을 촬영한 이미지(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As such,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cyanogen can be measured by illuminating the light from the front of the face and taking a picture of both eyes (corneal reflection image).

구체적으로, 사시각을 측정하는 과정은 a)주시안과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좌안 및 우안카메라로 각각 촬영하여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와 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주시안의 각막반사점과 각막 중심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주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c)사시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반사점과 각막 중심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d)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안의 사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deviation angle is a) acquiring the occlusion corneal reflection image and the astigmatism corneal reflection image by photographing with left and right eye cameras, respectively, in the state of illuminating the eyes of the eyes and eyes, and b) the eyes of the eyes.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al reflex point of the main eye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through the reflection image; Comprising a step of calculating the deviation angle of, and d) to calculate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the cyanide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먼저, 주시안과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다. First, let's shine light on Josiah and Sasyan.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를 동시에 작동시켜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에서 불빛을 발생시킨다. 이때 환자는 불빛을 바라보도록 한다. 환자의 양안에는 불빛이 반사되어 각막반사점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좌안카메라(20)로 좌안을 촬영하여 좌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하고, 우안카메라(25)로 우안을 촬영하여 우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한다. 좌안과 우안의 각막반사이미지 중 주시안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사시안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이다. 8 to 12, the control unit 100 simultaneously operates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to generate light from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The patient is looking at the light. Light is reflected from both sides of the patient, forming corneal reflections. In this state, the left eye is photographed with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corneal reflection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photographed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corneal reflection image of the right eye. Among the left eye and right eye corneal reflex imag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ze is the occidental corneal reflex image,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ogenous eye is the cyanotic corneal reflex image.

다양한 각막반사이미지의 예들을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하고 있다. Examples of various corneal reflection images are shown in FIGS. 27 to 30.

도 27 및 도 28은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사시안인 환자의 양안을 촬영하여 획득한 각막반사이미지의 모습이다. 27 and 28 are views of corneal reflection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both eyes of a patient with a left eye and a right eye and a right eye.

도 27을 참조하면, 주시안인 좌안에 비해 우안은 얼굴 안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우안의 각막 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안이 내사시다. Referring to FIG. 27, the right eye of the right eye is formed inside the face compared to the left eye of the main eye, and thus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right eye is located in the nose direction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refore, let the right eye die.

그리고 도 28에서는 주시안인 좌안에 비해 우안은 얼굴 바깥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우안의 각막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안이 외사시이다. In FIG. 28, the right eye of the right eye is formed outward from the face, and the corneal center of the right eye is biased toward the ear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 right eye is therefore an exotropia.

도 29 및 도 30은 우안이 주시안이고, 좌안이 사시안인 환자의 양안을 촬영하여 획득한 각막반사이미지의 모습이다. 29 and 30 are views of corneal reflection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both eyes of a patient having a right eye and a left eye and a left eye.

도 29를 참조하면, 주시안인 우안에 비해 좌안은 얼굴 안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좌안의 각막 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좌안이 내사시다. Referring to FIG. 29, the left eye of the left eye is formed inside the face compared to the right eye, and thus,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left eye is located away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in the nose direction. So let's have a left eye.

그리고 도 30에서는 주시안인 우안에 비해 좌안은 얼굴 바깥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좌안의 각막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좌안이 외사시이다. In addition, in FIG. 30, the left eye of the left eye is formed outward from the face of the right eye, and thus, the cornea center of the left eye is biased toward the ear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refore, the left eye is exotropia.

사시의 편위정도가 커질수록 각막의 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더 멀어진다. 도 31을 참조하면, 우안이 주시안이고 좌안이 내사시일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a)의 경우 좌안의 각막반사점은 동공연 부근에 형성되고, (b)의 경우 각막반사점은 동공연과 각막윤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c)의 경우 각막반사점은 각막윤부 부근에 형성된다. The greater the deviation of the strabismus, the further the center of the cornea is away from the corneal reflex. Referring to FIG. 31, the state in which the right eye is dominant eye and the left eye is esotropia is shown. In the case of (a), the corneal reflection in the left eye is formed near the pupillary, in (b) the corneal reflection is formed between the pupil and the corneal limbus, and in (c) the corneal reflection is formed near the corneal limbus. .

다음으로,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주시안의 각막반사점과 각막 중심과의 거리인 Ln를 측정하여 주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한다. Next,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is calculated by measuring L n ,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of the occlusion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using the occlusion corneal reflection image.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외사시일 경우, 주시안의 Ln과 카파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f the left eye is the main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exotropia, L n and the kappa angle of the main eye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도 32에 나타낸 주시안의 모습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위치를 검출한 후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거리 Ln을 계산한다. Referring to the state of the main eye shown in FIG. 32,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positions of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and then calculates the distance L n between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FIG. do.

획득된 각막반사이미지에서 각막 중심(A)을 검출하기 위해서 CED(Circular Edge Detection), 캐니 경계 검출(Canny Boundary Detection), 타원 경계 검출 (Ellipse Boundary Detection)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각막반사이미지에서 각막반사점(B)을 검출하기 위해서 2진화(Binarization), 컴포넌트 라벨링(Component Labeling)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검출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하다.Circular edge detection (CED), canny boundary detection, ellipse boundary detection, and the like may be applied to detect the corneal center A in the acquired corneal reflection image. In addition, accurate position detection is possible in software using techniques such as binarization and component labeling to detect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B in the acquired corneal reflection image.

검출된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을 통해 제어부(100)는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과의 거리 Ln을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Ln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100)는 주시안의 카파각(θk)을 계산한다. tanθk=Ln/L0 이므로 편위각(θk)=tan-1(Ln/L0)으로 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distance L n between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through the detected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And the calculated L n Based on the value,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kappa angle θ k of the main cyan. Since tanθ k = Ln / L 0 , the deviation angle (θ k ) = tan -1 (Ln / L 0 )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사시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반사점과 각막 중심과의 거리인 Ls을 측정하여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한다. Next, the deviation angle of the deviation angle is calculated by measuring L s ,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ation angle and the corneal center, using the angle reflection image of the deviation eye.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외사시일 경우, 사시안의 Ls와 편위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f the left eye is the dominant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exotropia, the Ls and deviation angles of the right eye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도 33에 나타낸 사시안의 모습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위치를 검출한 후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거리 Ls을 계산한다. Referring to the state of the acupoint shown in FIG. 33, the control unit 100 calculates the distance Ls between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after detecting the positions of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FIG. .

검출된 각막의 중심과 각막반사점을 통해 제어부는 각막의 중심과 각막반사점과의 거리 Ls을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Ls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는 사시안의 편위각(θd)을 계산한다. 편위각 tanθd=Ls/L0 이므로 편위각(θd)=tan- 1(Ls/L0)으로 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distance Ls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based on the detected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deviation angle θ d of the cyan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Ls value. Since the deviation angle tanθ d = Ls / L 0, it can be obtained as the deviation angle (θ d ) = tan - 1 (Ls / L 0 ).

다음으로,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안의 사시각을 산출한다. Next, the deviation angle between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is calculated.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양성카파각임을 감안할 때, 외사시의 경우 사시안의 편위각에서 주시안의 카파각을 뺀 값이 사시각이다. 즉, 외사시의 경우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그리고 내사시의 경우 사시안의 편위각에 주시안의 카파각을 더한 값이 사시각이다. 즉, 내사시의 경우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Given that almost everyone is a positive kappa angle, the angle of deviation is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ogenus minus the kappa angle of the occidental angle. That is, in the case of exotropia, the perspective angle θ s = θ dk to be. In the case of esotropia, the deviation angle of the astigmatism is the sum of the kappa angle of the principal eye. In other words, the angle of deviation θ s for esotropia = θ d + θ k to be.

한편, 사시각은 사시안의 카파각을 구한 다음 이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viation angle can be calculated by obtaining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n comparing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가령, 사시안에만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사시안을 촬영하여 제 1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한다. 사시안에만 불빛을 비추게 되면 사시안은 불빛을 주시한다. 이를 촬영한 제 1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주시안과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사시안을 촬영하여 제 2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한다. 주시안과 사시안이 동시에 불빛을 바라보는 경우 사시안은 편위된다. 제 2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시안의 편위각을 구한다. 이와 같이 사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구한 다음 카파각과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yanotic corneal reflection image may be acquired by photographing the cyanogen in a state where only the cyan is lit. If a light shines only on it, it will keep an eye on it. The kappa angle of the cyanogen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re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corneal of the cyan using the first cyanographic corneal reflection image. Next, the second cyanotic corneal reflection image i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cyanogen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lit on the main cyan and the cyan. If both the main cyan and the cyan see the light at the same time, the cyan is biase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re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cyanide cornea through the second cyanide corneal reflection image. In this way, the kappa angle of the cyanide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can be obtained, and then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and the deviation ang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안의 촬영이미지와 각막반사법을 이용하여 사시각(θs)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시치료 과정의 중간에 환자의 사시각을 수시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사시각에 의해 제어부는 영상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measure the angle of deviation θ s using the photographed images of both eyes and the corneal reflection method. Therefore, the angle of deviation of the patient can be measured at any time during the strabismus treatment proces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image by the measured perspective angle.

한편, 본 발명은 녹내장이나 뇌병변으로 인한 시야장애, 시신경질환, 백내장, 황반변성 등에 의한 중심시야의 장애, 저시력 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개선 또는 치료하는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visual field disorders due to glaucoma or brain lesions, optic nerve diseases, cataracts, macular degeneration, disorders of the central field of vision, low vision diseases, and the like.

가령, 녹내장이나 뇌병변으로 인한 시야장애가 있을 경우 주변시야의 손상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이 경우 정상시야 방향으로 영상을 이동시켜 보여줌으로써 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visual disturbances caused by glaucoma or brain lesions can cause damage to the surrounding vision. Therefore, in this case, the visual function may be improved by moving the image in the normal view direction.

그리고 시신경 손상에 의한 시신경 질환의 경우 시야 및 색상 차이를 보상하여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optic nerve diseases caused by optic nerve damage, the symptoms may be improved by compensating for visual field and color difference.

그리고 백내장이 발생하면 시력저하가 나타나고, 눈부심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백내장의 경우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여 밝은 빛의 양을 줄여줌으로써 눈부심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고, 양안의 백내장의 차이만큼의 영상의 시감을 변화시켜 입체시 등의 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d when cataracts occur, visual acuity appears, and glare is often accompanied. Therefore, in the case of catarac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glare symptom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and improve the visual function such as stereoscopic vision by changing the visual acuity by the difference of the cataract between the two eyes. .

그리고 황반변성 등과 같이 시야 중심부에서 시력이 저하되는 중심시야 장애의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주변시야를 찾을 수 있으며, 찾은 주변시야에 맞추어 영상을 보여 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entral vision disorder in which vision is deteriorated in the center of the vision, such as macular degeneration, an efficient peripheral vision can be foun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can be shown according to the found peripheral vision.

그리고 저시력 환자의 경우 영상을 통해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효율 좋은 시야 쪽으로 영상을 이동시켜 보여줄 수 있다. In the case of low vision patients, an object may be enlarged through an image and the image may be moved toward an efficient field of view.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 커버하우징 10: 영상출력부
11: 좌측영상 13: 우측영상
20: 좌안카메라 25: 우안카메라
30: 제 1이송부 39: 제 2이송부
40: 좌안광원부 45: 우안광원부
100: 제어부 110: 전원부
120: 메모리부 130: 조작부
140: 통신부
1: cover housing 10: image output unit
11: Left video 13: Right video
20: left eye camera 25: right eye camera
30: first transfer unit 39: second transfer unit
40: left eye light source 45: right eye light source
100: control unit 110: power supply unit
120: memory unit 130: operation unit
140: communication unit

Claims (11)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를 좌안과 대응되는 좌측공간부 및 우안과 대응되는 우측공간부로 분리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좌측공간부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각각 영상을 형성하여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각도로 영상을 보여주는 가변영상수단과;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좌안의 편위정도와 우안의 편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위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변영상수단은 상기 좌측공간부에 좌안이 바라볼 수 있는 좌측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우측공간부에 우안이 바라볼 수 있는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상기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의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편위측정수단은 상기 좌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좌안을 촬영하는 좌안카메라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우안을 촬영하는 우안카메라와, 상기 좌안카메라 및 우안카메라를 독립적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수단과, 좌안 및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이동수단은 상기 좌안카메라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1이송부와, 상기 우안카메라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좌안카메라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이송부에 설치되어 좌안에 불빛을 조사하는 좌안광원부와, 상기 우안카메라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이송부에 설치되어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는 우안광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cover housing and a blocking member installed at the cover housing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into a lef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a righ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Variable image means for forming an image on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to respectively show an image at different angles to the left and right eyes;
It is provided in the cover housing and the deviation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 variable image means outputs a left image that can be viewed by the left eye in the left space, and an image output unit that outputs a right image that can be viewed by the right eye in the right space, and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moving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e deviation measuring means includes a lef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left space to photograph the left eye, a righ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to photograph the right eye, and a camera movement for independently moving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respectively. Means and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The camera moving means includes a first transfer part for moving the left eye camera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nd a second transfer part for moving the right eye camera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light source unit is installed in the first transport unit to be movable with the left eye camera and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a light in the left eye, and the second transport unit is installed in the second transfer unit so as to be movable with the right eye camera to irradiate light in the right eye. A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right eye light sour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과 상기 우측영상을 좌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comprises a display configured to separate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from side to side and output the left and right im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을 출력하는 좌안 디스플레이와, 상기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우안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comprises a lef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a righ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right image.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or 4, wherein the display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영상수단은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시감의 영상을 더 보여주며,
상기 시감은 색상, 명도, 채도, 농도, 선예도, 해상도, 광도, 조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image means further shows the image of the different visibility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 visual percep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hue, brightness, saturation, concentration, sharpness, resolution, light intensity, illuminance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impair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는 사시 또는 약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sual impairment is strabismus or amblyopia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외부카메라와, 상기 커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2외부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좌측영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우측영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external camera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and acquiring a first external image image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and a second installed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xternal camera for acquiring an external video image,
And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is output as the left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is output as the right imag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KR1020180030561A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KR1020294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561A KR102029423B1 (en)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561A KR102029423B1 (en)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03A KR20190108903A (en) 2019-09-25
KR102029423B1 true KR102029423B1 (en) 2019-10-07

Family

ID=6806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561A KR102029423B1 (en)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9903A1 (en) * 2019-12-06 2021-06-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Protective housing and head-mounted device
KR20240063280A (en) 2022-10-31 2024-05-10 ㈜아이씨유코퍼레이션 Strabismus and phoria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8498A1 (en) * 2019-11-20 2021-05-27 精准视光(北京)医疗技术有限公司 Visual function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11327564B2 (en) * 2020-08-19 2022-05-10 Htc Corporatio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eye-tracking apparatus thereof
CN113080836B (en) * 2021-03-31 2024-05-24 上海青研科技有限公司 Visual detection and visual training equipment for non-central fixation
KR102549616B1 (en) * 2021-09-03 2023-06-2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ye movement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1010A1 (en) * 2016-04-15 2017-10-19 Luminopia, Inc. Methods and head-mounted apparatus for visual care and enhanc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922U (en) 2009-01-31 2010-08-10 김효진 Character eye patch
KR20140133197A (en) 2013-05-10 2014-11-19 조호근 synoptophore
JP6549144B2 (en) * 2014-11-04 2019-07-24 株式会社クリュー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 Vision inspection apparatus and head mounted display
KR102571818B1 (en) * 2016-01-06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 mounted type electronic device
KR101812249B1 (en) * 2016-08-10 2017-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measurement machine of strabism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1010A1 (en) * 2016-04-15 2017-10-19 Luminopia, Inc. Methods and head-mounted apparatus for visual care and enhancement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394호(2017.7.14. 공개) 1부.*
국제공개공보 WO2016/072272(2016.5.12.)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812249호(2017.12.27. 공고)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9903A1 (en) * 2019-12-06 2021-06-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Protective housing and head-mounted device
KR20240063280A (en) 2022-10-31 2024-05-10 ㈜아이씨유코퍼레이션 Strabismus and phoria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03A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42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US11747627B2 (e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health conditions based on visual fields
JP4302525B2 (en) Optometry equipment
US7338167B2 (en) Retinal imaging system
JP62121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ive eye refraction and at least one geometrical form parameter of a person
KR20220043113A (en) OPHTHALMOLOGIC TESTING SYSTEMS AND METHODS
US20170296419A1 (en) Methods for visual care and enhancement featuring modification of accommodative demand
KR201901089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US935791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6072272A1 (en) Eyesight examination device, and head mounted-type display device
US11445904B2 (en) Joint determination of accommodation and vergence
KR101930924B1 (en) Ocular photographic apparatus
KR102408763B1 (en) An treatment apparatus for dry eye syndro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at
CN113974957B (en) Lens barrel for fundus massage device and fundus massage device
WO2022123237A1 (en) Vision aid device
CN115280219A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vision
KR101452391B1 (en) Ophthalmology surgery system having a docking unit and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