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130B1 -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 Google Patents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130B1
KR102029130B1 KR1020170181164A KR20170181164A KR102029130B1 KR 102029130 B1 KR102029130 B1 KR 102029130B1 KR 1020170181164 A KR1020170181164 A KR 1020170181164A KR 20170181164 A KR20170181164 A KR 20170181164A KR 102029130 B1 KR102029130 B1 KR 10202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eight
fixed
modul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9160A (en
Inventor
남긍현
김태신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7018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30B1/en
Publication of KR2019007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함체와,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복 수개의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을 각각 수용하는 복 수개의 모듈 케이스 및 전지 모듈들의 양과 음의 전원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모듈 어셈블리 및 함체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 수개의 모듈 어셈블리를 수용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부재는 주철, 석재, 납, 콘크리트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중량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hous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charged with electrical energy, a plurality of module cases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s, and a bus bar connected to each of the battery modul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sources, respectively. And a supporting member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module assemblies sequentially stacked in the module assembly and the housing, the supporting member comprising a weight plate made of at least one of cast iron, stone, lead, and concre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sieve.

Description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본 발명은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a weight.

전동 모터를 구동부로 하는 장치에서 배터리와 충전 시스템은 중요한 에너지원이고 전기차와 같이 정밀한 제어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필요로 하지만 전동 지게차, 골프카, 청소차, 모티브 차량, 전동 고소작업차와 같은 산업, 농업용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관리 시스템이 아직까지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이나 농어촌의 환경에서는 대다수의 장비가 납배터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In devices driven by electric motors, batteries and charging systems are important energy sources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s are needed in systems that require precise control, such as electric cars, but electric forklifts, golf cars, sweepers, motive vehicles, electric aerial work vehicles. Such management systems have not yet been applied in industrial and agricultural devices. In general, in the environment of industrial sites or rural areas, the majority of the equipment uses lead batteries.

납배터리는 증류수 보충형과 밀봉형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뉘고 리튬배터리도 리튬-이온형과 리튬-인산철형으로 크게 나뉜다. 배터리의 충전은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충전 방식이 달라진다. Lead batteri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distilled water supplement type and sealed type. Lithium batteries are also largely divided into lithium-ion type and lithium-iron phosphate type. The charging method of the battery depends on the type of battery.

최근에는 위와 같은 지게차 및 고소 작업차등 산업용 장비가 전기에너지에 의해 주행 및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기차로 제조되었다. 아울러 위와 같은 산업용 전기차는 리튬 이차 전지로 이루어진 전지팩을 구성하였다. Recently,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forklift trucks and aerial work trucks has been manufactured as an electric vehicle so that driving and working may be performed by electric energy. In addition, th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 battery pack consisting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산업용 전기차들은 고중량물을 들어올리는등의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웨이트밸런스를 이루어줄 수있는 중량체가 필요하였다. 예를 들면, 종래의 전기 지게차는 물건을 들어올릴 때 포크 리프트로 들어올리는 물건의 중량에 의해 지게차가 앞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웨이트 밸런스를 이룰 수 있도록 중량물을 고정하였다. However, such conventional industrial electric vehicles needed a weight body that can achieve a weight balance as the work such as lifting a heavy weight.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electric forklift truck has fixed weights so as to achieve a weight balance so that the forklift does not fall forward by the weight of the lifting object by the forklift when lifting the object.

여기서, 종래의 산업용 전기차들은 납 배터리(연축전지) 또는 별도의 중량체로 이와 같은 중량물을 구현하였다. 즉, 납 배터리의 경우는 극판과 전해액 및 함체(100)의 무게로 인하여 산업용 전기차의 웨이트 밸런스를 구현할 수 있다. Here, the conventional industrial electric vehicles implemented such a weight in a lead battery (lead-acid battery) or a separate weight. That is, in the case of the lead battery, the weight balance of th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may be realized due to the weight of the pole plate, the electrolyte, and the enclosure 100.

하지만, 리튬 이차 전지의 경우는 납 배터리에 비하여 중량이 낮기 때문에 리튬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팩을 산업용 전기차에 채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중량물을 추가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since the weight is lower than that of the lead batte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weight is required to adopt a battery pack us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7768호(2017.09.06)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77768 (2017.09.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812호(2016.07.28)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45812 (2016.07.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전기차에 전기 에너지의 공급과 웨이트 밸런스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웨이트 밸런싱 가능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a weight balanceabl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that can implement both the supply of electrical energy and the weight balance to th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exampl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함체와,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복 수개의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을 각각 수용하는 복 수개의 모듈 케이스 및 전지 모듈들의 양과 음의 전원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모듈 어셈블리 및 함체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 수개의 모듈 어셈블리를 수용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부재는 주철, 석재, 납, 콘크리트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함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중량판을 포함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hous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charged with electrical energy, a plurality of module cases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s, and a bus bar connected to each of the battery modul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sources, respectively. And a supporting member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module assemblie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module assembly and the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of cast iron, stone, lead, and concrete to fix a weight plate fixed inside the en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a weight body including.

그러므로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를 산업용 전기차에 적용시에 별도의 중량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산업용 전기차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pplied to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provide a separate weight body,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버스바 및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캡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바와 상부 블럭이 제거된 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지지부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량 보강 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weigh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and the protective cap.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p fixing mean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p.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 member.
7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ing member from which the fixing bar and the upper block are removed.
8 is a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support member.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ight reinforceme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user'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weigh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철함(100)이 포함되지 않은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2 is a view that does not include the iron box 1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철함(100)과, 복 수개의 전지 모듈(410)과 전지 모듈(410)을 수용하는 복 수개의 모듈 케이스(430) 및 버스바(440)로 이루어진 모듈 어셈블리(400, 400')와, 모듈 어셈블리(400, 400')를 수용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200)와, 전장부품(300)을 지지하는 기판(50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box 100,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410, and a plurality of module cases 430 and busbars 440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s 410. It comprises a module assembly (400, 400 '), a support member 200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module assembly (400, 400'), and a substrate 500 for supporting the electrical component 300.

철함(100)은 금속재질로서 양쪽이 이동 치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ron box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sertion holes 11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may be inserted into the movable jig.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복 수개의 전지 모듈(410)을 포함하여 그룹을 이루고, 상호 이격되되 버스바(440)를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제1 모듈 그룹(400)과, 제2 모듈 그룹(400')으로 분할된다.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comprise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410, and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maintain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bus bars 440. That is,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are divided into a first module group 400 and a second module group 400 ′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여기서 제1 모듈 그룹(400)과 제2 모듈 그룹(400')은 버스바(440)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Here, the first module group 400 and the second module group 400 ′ are electrically energized by the bus bar 440.

아울러, 각 그룹(400, 400')에 속한 전지 모듈(410)들은 양(+)과 음(-)의 전원단자(411, 도 4 참조)가 형성되고, 한 쌍의 버스바(440)가 각 전지 모듈(410)들의 양(+) 또는 음(-)의 전원단자(411)에 체결되어 연결됨에 따라 전체 전지 모듈(410)들은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서 연결된다. 또한, 각 전지 모듈(410)들은 모듈 케이스(430)의 내측에 수용된다.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s 410 belonging to each of the groups 400 and 400 ′ are provid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power terminals 411 (see FIG. 4), and a pair of bus bars 440 are provided. As each battery module 410 is fastened and connected to a positive (+) or a negative (-) power terminal 411, the entire battery modules 410 are connected as a series or parallel structure. In addition, each battery module 41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odule case 430.

모듈 케이스(430)는 내측에 전지 모듈(410)을 수용하되, 전지 모듈(410)의 일면 양측에 위치된 양(+)과 음(-)의 전원 단자(411)가 외측으로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서 양측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듈 케이스(430)는 전지 모듈(410)에서 인출되는 전원선 또는 케이블(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module case 430 accommodates the battery module 410 inside, but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terminals 411 locat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410 may be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o open so that both sides can be exposed from the front and rea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ule case 430 forms an outlet (not shown) so that a power line or a cable (not shown) drawn out from the battery module 410 can be drawn out.

버스바(440)는 양(+)과 음(-)의 전원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제1 모듈 그룹(400)과 제2 모듈 그룹(400') 및 기판(500)에 설치된 전장부품(300)(예를 들면, 전원 커넥터)로 연결된다. The bus bar 440 transmits positive (+) and negative (-) power, and the electric component 300 installed in the first module group 400, the second module group 400 ′, and the substrate 500 ( For example, a power connector).

아울러,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버스바(440)와 전지 모듈(410)의 전원 단자(411)간의 결합 부위에 이물질의 접촉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420)과, 캡고정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module assembly (400, 400 ') is a protective cap 420 and the cap fixing means to prevent the contact of foreign matter to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us bar 440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411 of the battery module 410 450 may be further includ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버스바 및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캡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and a protective cap,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fixing means,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p.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버스바(440), 보호캡(420), 캡 고정수단(450)을 더 포함한다. 3 to 5,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further include a bus bar 440, a protective cap 420, and a cap fixing means 450.

버스바(440)는 모듈 어셈블리(400, 400')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지 모듈(410)의 양(+) 또는 음(-)의 전원 단자(411)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버스바(440)는 전원단자(411)가 끼움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단자공(441)을 포함한다. The busbar 440 extends vertically from one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400, 400 ′ and is connected to either the positive or negative power terminal 411 of the battery module 410. . To this end, the bus bar 440 includes a terminal hole 441 formed therethrough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411 can be fitted thereto.

보호캡(42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벽면(423)과 상면(421) 및 하면을 이루며, 전지 모듈(410)측의 일면이 개방된다. 또한, 보호캡(420)은 버스바(440)를 안내하는 절개홈(422) 및 개구(425)가 형성되고, 캡고정수단(450)에 걸림되는 걸림 고리(424)가 형성된다.The protective cap 420 has an empty space therein, forms a wall surface 423, an upper surface 421, and a lower surface thereof, and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410 is opened. In addition, the protective cap 420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422 and the opening 425 for guiding the bus bar 440, the locking ring 424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cap fixing means 450.

절개홈(422)은 보호캡(420)의 상면(421)에서 절개되어 버스바(440)를 안내한다. 개구(425)는 하면에서 개구 형성된다.The cutting groove 422 is cut off from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protective cap 420 to guide the bus bar 440. The opening 425 is formed at the bottom surface.

걸림돌기(424)는 보호캡(420)의 벽면의 내면에서 돌기형으로 형성되어 캡고정수단(450)에 체결된다. The locking protrusion 424 is formed in a projection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420 is fastened to the cap fixing means 450.

캡고정수단(450)은 전지 모듈(410)의 일면(예를 들면, 전면)에 형성되는 전원 단자(41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캡고정수단(450)은 걸림돌기(424)가 끼움되는 공간을 이루도록 전지 모듈(410)의 일면에서 직립된 제1돌기(451)와, 제1돌기(451)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고 이격된 제2돌기(452)를 구비한다. The cap fixing means 450 is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power terminal 411 formed on one surface (eg,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4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ap fixing means 45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451 upright from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410 and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protrusion 45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4 is fitted. The second protrusion 452 is provided.

제1돌기(451)는 전지모듈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및 돌출되는 단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돌기(451)는 상측에서 삽입되는 걸림돌기(424)를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제1돌기(451)는 제2돌기(452)는 상호 이격되어 걸림돌기(424)가 끼움되는 끼움홈(453)을 형성한다.The first protrusion 451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to form a cross section extending and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rotrusion 451 also serves to guide the locking protrusion 424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451 is the second protrusion 45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fitting groove 453 is fitt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24.

즉, 걸림돌기(424)는 최초 제1돌기를 통해 안내되어 제1돌기(451)의 하측에서 제2돌기와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된 끼움홈(453)에 삽입 된다.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424 is first guided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53 formed as a space spac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451.

전장부품(300)은 온도, 전압 및 전류 센서와, 전원 커넥터, BMS, 콘덴서등 리튬 이차전지로 구성된 전지팩을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들을 총칭한 것이며, 위에 기재된 바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전장부품(300)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electronic component 300 collectively refers to components for driving a battery pack including a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sensor, a power connector, a BMS, a capacito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re not limited thereto. Such electrical component 300 is generally omit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known techniques.

기판(500)은 지지부재(2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장부품(300)을 지지한다.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기판(500)은 제2 모듈 그룹(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장부품(300)을 지지한다. The substrate 50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to support the electric component 300. For example, the substrate 500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group 400 ′ to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300.

지지부재(200)는 철함(100) 내측에서 모듈 어셈블리(400, 400')를 지지한다. 즉, 지지부재(200)는 제1 모듈 그룹(400)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200)와, 제2 모듈 그룹(40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The support member 200 supports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inside the iron box 100. That is, the support member 200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200 supporting the first module group 400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00 'supporting the second module group 400'.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200')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만, 내측에 적층되는 전지 모듈(410)의 숫자에 따 그 높이가 차등될 수 있고, 상측에서 기판(500)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0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 include the same components. However, the height may be differenti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modules 410 stacked inside, and the substrate 50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여기서 지지부재(200)는 전지모듈 및 모듈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모듈 어셈블리(400, 400')를 지지하되, 산업용 전기차의 웨이트 밸런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중량체를 구비한다. The support member 200 supports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in which the battery module and the module case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includes a weight body to implement weight balancing of th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이와 같은 지지부재(200)의 상세 구성은 제1 지지부재(지지부재로 총칭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a supporting member 200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first supporting memb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upporting member) as an example.

도 6은 지지부재(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고정바(220)와 상부 블럭(210)이 제거된 지지부재(200)의 평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 member 200, an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member 200 from which the fixing bar 220 and the upper block 210 are remov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부재(200)는 상부 블럭(210)과, 고정바(220)와, 중량판(230)과, 가이드 바(240)와, 수직바(250)와, 연결바(260)와, 구획바(270)와, 하부 블럭(280)을 포함한다. 6 and 7, the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lock 210, a fixing bar 220, a weight plate 230, a guide bar 240, and a vertical bar 250. ), A connection bar 260, a partition bar 270, and a lower block 280.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에서 직립된 가이드 바(240)와 수직바(250)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260) 및 구획바(270)에 의하여 직립된 벽면을 이루고, 양측 벽면의 상측에서 수평 연장된 상부 블럭(210)에 의해 상면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upport member 2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he front and rear openings, the connecting bar 260 and the partition bar 270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vertical guide bar 240 and the vertical bar 250 on both sides. It forms an upright wall surface by), and forms an upper surface by the upper block 21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of both wall surfaces.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상부 블럭(210)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면으로 이루는 판재로서 중량판(230)과 가이드 바(240) 및 수직바(250)의 상단에 고정되어 지지부재(200)의 상면을 형성한다. The upper block 210 is a plat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horizontal plan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weight plate 230 and the guide bar 240 and the vertical bar 250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고정바(22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면에서 상부 블럭(210)의 양 측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삽입홈(221)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바(220)는 중량판(230)과 수직바(250) 및 가이드 바(240)중 적어도 하나와 나사등이 연통될 수 있는 결합공(2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ar 2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221 into which any one of both sides of the upper block 210 is inserted. In addition, the fixing bar 22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22 through which the weight plate 230, the vertical bar 250 and the guide bar 240 and a screw or the like can communicate.

여기서, 고정바(220), 상부 블럭(210), 하부 블럭(280), 가이드 바(240), 연결바(260), 구획바(270), 중량판(230)들은 위 결합공(222)을 복 수개 구비함에 따라 나사와 같은 고정치구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형성된 결합공(222)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 the fixing bar 220, the upper block 210, the lower block 280, the guide bar 240, the connecting bar 260, partition bar 270, the weight plate 230 is the upper coupling hole 222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xing fixtures such as screws can be inserted and fixed. Hereinafter, description of the coupling holes 222 formed in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omitted.

하부 블럭(280)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모듈 어셈블리(400, 4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하부 블럭(280)은 양측변의 거리가 짧고, 전후방측 변이 보다 길게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lower block 280 extends laterally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in which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are sequentially stacked. For example, the lower block 280 may be manufactured in a quadrangular shape having shorter distances on both sides and longer front and rear sides.

중량판(230)은 직립된 판형으로서 형성되며, 주철, 납, 콘크리트, 목재 또는 석재로 제작되어 전지팩의 웨이트 밸련싱을 위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중량판(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양측면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대상 산업용 전기차의 작업 하중에 따른 웨이트 밸런싱 필요 중량을 맞출 수 있도록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게차의 경우는 전체 전지팩의 중량이 2톤을 초과하도록 중량판(230)의 숫자와 무게를 조절될 수 있다. The weight plate 230 is formed as an upright plate shape, is made of cast iron, lead, concrete, wood or stone is installed for weight balancing of the battery pack. Here, the weight plate 230 is shown as being installed on each side of each of the support member 200,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to meet the weight balancing required weight according to the working load of the target industrial electric vehicle Can be add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orklift,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weight plate 2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weight of the entire battery pack exceeds 2 tons.

즉, 중량판(230)은 이격된 한 쌍으로서 지지부재(200)의 직립된 양측면을 형성한다. In other words, the weight plate 230 is a pair of spaced apart to form the upright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00.

또한, 중량판(230)은 내측에 수용된 전지 모듈(410)로부터 발열된 열을 방열 시킬 수 있도록 복 수개의 관통구(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231)는 중량판(230)의 벽면에 관통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weight plate 2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1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410 accommodated therein. The through hole 231 is formed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weight plate 230.

가이드 바(240)는 하부 블럭(280)의 각 변 모서리와 일치된 형상을 갖도록 'ㄴ' 자 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바(240)는 일면이 중량판(230)과 밀착되고, 반대면이 수직바(250)에 체결된다. 또한, 가이드 바(240)는, 예를 들어, 하부 블럭(280)이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변을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었다면, 각 변 모서리마다 직립되도록 고정되므로 총 4개가 설치된다.The guide bar 240 is bent in a 'b' shape to have a shape consistent with each edge of the lower block 280. Here, the guide bar 240 is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ight plate 230, the opposite surface is fastened to the vertical bar (250). In addition, if the lower block 280 is formed as a quadrangle having four sides as shown, for example, four guide bars 240 are fixed to stand up at each side edge.

여기서, 중량판(230) 및 가이드 바는 함체(100)의 바닥면과 측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중량판(230) 및 가이드 바는 함체(100)의 내측에서 고정되며, 이후 수직바와 연결바 및 하부블럭이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 바를 통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된다. Here, the weight plate 230 and the guide bar may be fix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of the enclosure 100. That is, the weight plate 230 and the guide bar are fixed inside the enclosure 100, and then fastened to slide through the guide bar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bar, the connection bar, and the lower block are assembled.

수직바(250)는 가이드 바(240)의 절곡된 내면에 밀착되어 직립 고정된다. 이때 수직바(250)는 하부 블럭(280)의 각 모서리별로 설치됨에 따라 총 4개가 형성된다. The vertical bar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t inner surface of the guide bar 240 is fixed upright. In this case, four vertical bars 250 are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lower block 280.

연결바(260)는 수직바(25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바(250)간을 상호 연결 및 고정시킨다. 즉, 연결바(260)는 복 수개로서 양측 가이드 바(24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때 연결바(260)간의 간격은 모듈 어셈블리(400, 400')의 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bar 260 extends laterally between the vertical bars 250 to interconnect and fix the vertical bars 250. That is, the connecting bar 260 is fix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bars 240 as a plurality.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bar 260 is preferably a distance that can accommodate the height of the module assembly (400, 400 ').

구획바(270)는 수직바(250)와 연결바(260)의 일면에 밀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구획바(270)는 역 'ㄱ'자 형으로서 절곡 된다. 즉, 구획바(270)는 직립된 수직면이 수직바(250) 및 연결바(260)에 밀착되고, 수직면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면이 모듈 어셈블리(400, 400')의 하단을 지지한다. The partition bar 27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250 and the connection bar 260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re, the partition bar 270 is bent as an inverted '-' shape. That is, the partition bar 270 is an upright vertic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bar 250 and the connection bar 260, the horizontal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surfac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module assembly (400, 400 '). .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바와 연결바 및 하부블럭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 바(240)의 절곡면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된다. 즉, 본 발명은 중량판(230)의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동 및 조립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호이스트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함체(100) 내부에 고정시킨 뒤에 수직바와 연결바 및 하부블럭이 별도로 조립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bar, the connecting bar and the lower block are fastened while sli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long the bent surface of the guide bar 240 in the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manually move and assemble du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plate 230, the vertical bar, the connecting bar, and the lower block are fixed after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00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hoist. Separately assembled and fastened.

또한, 지지부재(200)는 상술한 구성들중에서 중량판(230)외에 웨이트 밸런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그 재료를 변경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부 블럭(210)과 하부 블럭(280)은 상술한 중량판(230)과 같이 웨이트 밸런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석재, 주철, 납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00 may change the material to implement the weight balancing in addition to the weight plate 23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upper block 210 and the lower block 280 may be selected from any one of concrete, stone, cast iron, and lead so as to implement weight balancing, such as the weight plate 230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중량판(230)외에도 중량을 선택적으로 추가함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중량 보강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electively adding weight in addition to the weight plate 230, for this purpose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0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중량 보강 부재(60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량 보강 부재(600)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임의대로 탈부착 가능하여 중량을 보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자면, 중량 보강 부재(600)는 가이드 바(240)의 측단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복 수개의 수직 보강바(610)와, 양측의 수직 보강바(6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수평 보강바(620)와, 수평 보강바(620)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 보강 블럭(6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9, the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in any configura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reinforce the weight. To describe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end surface of the guide bar 240, both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and the upper reinforcement block 63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아울러, 수직 보강바(610)는 직립된 형상으로 제조되어 가이드 바(24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고정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일예를 설명하자면, 가이드 바(240)와 수직 보강바(610)에 각각 연통 가능한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볼트와 같은 고정치구를 사용하여 고정시킴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is manufactured in an upright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ar 240. The fixed manner generally omits the description as it applies known techniques. However, to explain an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bar 240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respectively, and may be fixed using a fixing jig such as a bolt in the through-hole.

여기서 수직 보강바(610)는, 도시된 바를 예로서 설명하자면, 총 4개의 가이드 바(240)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bar, as a total of four can be installed as each of the four guide bar 240 is fixed.

수평 보강바(620)는 양측 수직 보강바(610)의 상단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수평 보강바(620)는, 예를 들면, 4개의 수직 보강바(610)중 일측에서 이격된 2개의 수직 보강바(610)와 타측에서 이격된 2개의 수직 보강바(61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된다.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is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fixed at the top of both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That is,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may be, for example, two vertical reinforcement bars 610 spaced from one side of the four vertical reinforcement bars 610 and two vertical reinforcement bars 610 spaced from the other side. Are fixed to each.

또한, 수평 보강바(620)는 복 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직 보강바(610)와 연통되는 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직 보강바(6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가이드 바(240)와 별도의 결합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수평 보강바(620)와 체결됨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may be fixed by a fixing jig tha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mmunicate with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In this case,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may be fastened 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without forming a separate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guide bar 240 as described above.

상부 보강 블럭(630)은 판 형상으로서 상부 블럭(210)의 상측에서 설치되어 양측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보강바(620)의 상면에서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부 보강 블럭(630)은 복 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평 보강바(620)로 연통되는 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부 보강 블럭(630)은 복 수개가 적층됨도 가능하다. The upper reinforcement block 6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lock 210 in the form of a plate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each side. At this time, the upper reinforcement block 63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by a fixed jig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Here, the plurality of upper reinforcement blocks 630 may be stacked.

여기서, 상부 블럭(2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바(220)에 의해 고정됨도 가능하고, 고정바(220)가 아닌 수평 보강바(620) 및 상부 보강 블럭(630)을 연통한 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됨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block 210 may be fixed by the fixing bar 220, and the fixing jig communicat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620 and the upper reinforcing block 630 instead of the fixing bar 220. It is also possible to be fixed by.

즉, 상부 블럭(210)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고정바(220)에 형성된 삽입홈에 체결되어 고정됨도 가능하고, 고정바(220) 없이 상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보강바(620)를 연통하는 고정치구, 또는 수평 보강바(620) 및 상부 보강 블럭(630)을 연통하는 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block 210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ar 22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620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side without the fixing bar 220. It may be fixed by a fixing jig communicating with or a fixing jig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620 and the upper reinforcing block 630.

위와 같은 수직 보강바(610), 수평 보강바(620) 및 상부 보강 블럭(630)은 콘크리트, 석재, 주철, 납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목표 중량(예를 들면, 2톤)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and the upper reinforcement block 630 as described above can be made of any one of concrete, stone, cast iron, lead, the operator to the target weight (for example, 2 tons) You can optionally add them.

예를 들면, 작업자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이후에 목표 중량에 미달될 경우, 수직 보강바(610)를 설치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목표 중량에 도달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수평 보강바(62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부 보강 블럭(630)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or measures the weight by installing a vertical reinforcement bar 610 when the target weight is not reached after th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and when the target weight is not reache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and / or One or more upper reinforcement blocks 630 may be selected and ad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작업자는 지지부재(200)를 조립하여 모듈 어셈블리(400, 400')가 적층한 뒤, 기판(500) 및 전장부품(300)을 설치한 뒤에 버스바(440)를 연결하여 전체 전지 모듈(410)이 직렬 또는 병렬로서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갖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립된 구성들을 철함(100)에 수용하고, 커버를 체결하여 철함(100)을 밀폐시킨다. First, the operator assembles the support members 200 to stack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and then installs the substrate 500 and the electric component 300, and then connects the bus bars 440 to the entire battery module. 410 are assembled to have electrical connections in series or in parallel. And the worker receives the assembled components in the iron box 100, the cover is closed to seal the iron box 100.

여기서, 지지부재(200)는 가이드 바(240)와 중량판(230)이 함체(100)의 내측면 및/또는 바닥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바(240)는 총 4개로서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중량판(230)은 한 쌍으로서 각각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바(240)의 외측과 함체(100)의 내측면 사이에서 고정된다. Here, the support member 200 is a guide bar 240 and the weight plate 23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and / o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guide bars 240 ar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total of four, the weight plate 230 is a pair of the outer and the housing 100 of the pair of guide bars 24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respectively It is fix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이후, 수직바와, 연결바 및 하부 블럭(280)은 함체(100)의 외부에서 조립된 후 호이스트나 기타 중장비에 의해 이송되어 수직바의 일면이 가이드 바(240)의 절곡된 일면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하향 슬라이딩 되어 함체(100)로 수용된다. Thereafter, the vertical bar, the connecting bar and the lower block 280 are assembled outside the housing 100 and then transferred by a hoist or other heavy equipment so that on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t surface of the guide bar 240. Slid downward in the housing 100 is received.

여기서, 연결바(260)는 양측의 수직바(250) 사이에 연결되어 하부 블럭(280)의 한쪽 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바(250) 사이에 연결되어 양 수직바(250)의 강도를 보강 및 지지한다. Here, the connection bar 260 is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bar 250 of both sides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vertical bars 2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block 280 to increase the strength of both vertical bars 250 Reinforce and support.

또한, 구획바(270)는 연결바(260)의 일면과 수직바(250)의 일면에 수직면이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구획바(27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지지부재(200)의 내측 공간을 구획한다.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하나의 모듈 케이스(430)에 하나의 전지 모듈(410)이 수용되어 구획바(270)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층된다. 여기서, 상하측에서 각각 적층된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구획바(270)들간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하 이격될 수 있도록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bar 270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260 and on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25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rtition bar 270 is spaced apart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artitions an inn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are stacked in spac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bar 270 in which one battery module 410 is accommodated in one module case 430. Here, the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 respectively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stacked so as to be spaced up and down according to height adjustment between the partition bars 270.

그리고, 상부 블럭(210)은 가이드 바(240) 및 수직바(250)의 상단에 얹혀지도록 고정되고, 고정바(220)는 삽입홈(221)에 상부 블럭(210)의 양측이 각각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upper block 210 is fixed to be placed on the top of the guide bar 240 and the vertical bar 250, the fixing bar 220 so that both sides of the upper block 210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221, respectively. Installed and fix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부재(200)가 조립된 이후에 중량을 더욱 보강할 필요가 있다면, 작업자는 중량 보강 부재(600)를 추가 조립할 수 있다. If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inforce the weight after the support member 200 is assembled in this manner, the worker may further assemble the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00.

즉, 작업자는 수직 보강바(610)를 각 가이드 바(240)의 절곡된 외측면(중량판(230)에 밀착된 일측면에서 절곡된 일면)에 밀착되도록 각각 고정시키고, 이후 목표 중량에 따라서 수평 보강바(620) 및 상부 보강 블럭(630)을 선택적으로 추가한다. That is, the worker is fixed to each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6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t outer surface (one surface bent from one sid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ight plate 230) of each guide bar 240, and then according to the target weight Optionally add a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20 and an upper reinforcement block 630.

여기서, 상부 보강 블럭(630)은 목표 중량의 도달 여부에 따라서 1개, 또는 그 이상이 선택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리튬 이차전지 전지팩의 중량을 2톤 이상의 중량을 갖게 함이 가능하다. Here, one or more upper reinforcement blocks 630 may be selectively stacked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weight is reach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can be made to have a weight of 2 tons or more.

예를 들면, 산업용 전기차(예를 들어, 지게차)가 포크 리프트를 통하여 물품을 승강시키면, 전방으로 가해지는 하중과 후방의 중량이 균형된 밸런싱을 이루지 못하면 전방으로 넘어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기존의 납축전지에 비하여 중량이 적기에 이와 같은 웨이트 밸런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중량체가 추가 되었다. For example, when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for example, a forklift) lifts and lowers an article through a fork lift, the forward load and the rear weight may fall forward unless a balanced balance is achieved. 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smaller weight than a conventional lead acid battery, a separate weight is added to implement such weight balancing.

하지만,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에 직립된 판형상으로서 중량체 및 중량 보강 부재(600)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어 해당 산업용 전기차의 사용 용도에 따른 목표 중량을 갖게 하기에 산업용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를 이용한 산업용 전기차의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nd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00 may be selectively added as a plate shape upright to the support member 200, so as to have a target weight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of the industrial electric vehicle. A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us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ble to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can be provided.

즉,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중량체를 구비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제조비용의 절감 및 이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weight so as not to provide a separate weight.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 함체 200 : 지지부재
210 : 상부 블럭 220 : 고정바
221 : 삽입홈 222 : 결합공
230 : 중량판 231 : 관통구
240 : 가이드 바 250 : 수직바
260 : 연결바 270 : 구획바
280 : 하부 블럭 300 : 전장부품
400, 400' : 모듈 어셈블리 410 : 전지 모듈
411 : 전원단자 420 : 보호캡
430 : 모듈 케이스 440 : 버스바
441 : 단자공 450 : 캡고정수단
451 : 제1돌기 452 : 제2돌기
453 : 끼움홈 500 : 기판
600 : 중량 보강 부재 610 : 수직 보강바
620 : 수평 보강바 630 : 상부 보강 블럭
100: enclosure 200: support member
210: upper block 220: fixed bar
221: insertion groove 222: coupling hole
230: weight plate 231: through hole
240: guide bar 250: vertical bar
260: connection bar 270: partition bar
280: lower block 300: electrical components
400, 400 ': module assembly 410: battery module
411: power supply terminal 420: protective cap
430: module case 440: busbar
441: terminal hole 450: cap fixing means
451: first projection 452: second projection
453: groove 500: substrate
600: weight reinforcement member 610: vertical reinforcement bar
620: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630: upper reinforcement block

Claims (6)

함체(100);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복 수개의 전지 모듈(410)과, 전지 모듈(410)을 각각 수용하는 복 수개의 모듈 케이스(430) 및 전지 모듈(410)들의 양과 음의 전원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버스바(440)를 구비하는 모듈 어셈블리(400, 400'); 및
함체(100)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 수개의 모듈 어셈블리(400, 400')를 수용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200);를 포함하고,
지지부재(200)는
석재 또는 콘크리트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함체(100)의 내측에 고정되는 중량판(230)을 포함하고,
모듈 어셈블리(400, 400')는
버스바(440)와 전지 모듈(410)의 전원 단자(411)간의 결합 부위에 이물질의 접촉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420)과, 보호캡을 고정시키기 위한 캡 고정수단(450)을 포함하고,
보호캡(420)은
상면(421)과, 상면(421)에서 하향 연장되되 전지 모듈(410)측의 일면이 개방된 벽면(423)과, 상면(421)에서 절개되어 버스바를 안내하는 절개홈(422)과, 벽면(423)에서 돌기형으로 형성되어 캡 고정수단(450)에 걸림되는 걸림돌기(424);를 포함하고,
캡 고정수단(450)은
걸림돌기(424)가 끼움되는 공간을 이루도록 전지 모듈(410)의 일면에서 직립된 제1돌기(451)와, 제1돌기(451)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고 이격된 제2돌기(452) 및 제1돌기(451)와 제2돌기(452) 사이에서 걸림돌기(424)가 끼움되는 끼움홈(453); 를 포함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Enclosure 100;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410 that are charged with electrical energy, a plurality of module cases 430 that accommodate the battery modules 410, and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410 that are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sources. A module assembly having a bus bar 440; And
And a support member 200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module assemblies 400 and 400 'sequentially stacked on the enclosure 100.
Support member 200 is
It comprises a weight plate 230 made of at least one of stone or concret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e module assemblies 400, 400 '
A protective cap 420 and a cap fixing means 450 for fixing the protective cap to prevent the contact of foreign matters i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us bar 440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411 of the battery module 410. and,
Protective cap 420 is
An upper surface 421, a wall surface 4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421, and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410 is opened, a cutaway groove 422 cut away from the upper surface 421 to guide the bus bar, and a wall surface. Included in the projection 423 is a projection 424 is caught in the cap fixing means 450; includes,
Cap fixing means 450 is
A first protrusion 451 upright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410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4 is fitted, a second protrusion 45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451 at a lower height, and A fitting groove 453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4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451 and the second protrusion 452;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a weigh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0)는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블럭(280);
하부 블럭(280)의 각변 모서리에서 직립된 복 수의 가이드 바(240);
가이드 바(240)의 일면에 고정되어 하부 블럭(280)의 각변 모서리에서 직립된 복 수의 수직바(250); 및
양측단이 양측에 위치된 수직바(250)들에 각각 고정되는 복 수의 연결바(260);
수직바(250) 및 연결바(260)의 일면에서 고정되어 지지부재(2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바(270); 및
가이드 바(240) 및 수직바(250)의 상단에 고정되어 지지부재(200)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 블럭(210);을 포함하고,
중량판(230)은 수직바(250)와 가이드 바(24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200
A lower block 280 forming a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guide bars 240 erect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block 280;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250 fixed to one surface of the guide bar 240 and erect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block 28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260 fix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s 250 positioned at both sides thereof;
A partition bar 270 fixed at on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250 and the connection bar 260 to partition an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And
And an upper block 210 fixed to the top of the guide bar 240 and the vertical bar 250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The weight plate 230 is a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having a weigh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bar 250 and the guide bar 240 is fixed close to the outer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량판(2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231)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The weight plate 230 of claim 1 or 2,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a weigh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through-holes (231).
제2항에 있어서, 상부 블럭(210), 하부 블럭(280)중 적어도 하나는
석재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중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block 210 and the lower block 280 is
Medium-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weigh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body made of stone or concrete.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0)는
하면에서 상부 블럭(210)의 양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된 삽입홈(221)을 구비하여 가이드 바(240) 및 수직바(250)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바(220)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 200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ar 2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221 raised to accommodate both sides of the upper block 210 in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guide bar 240 and the vertical bar 250.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weight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철, 석재, 납, 콘크리트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되어 전지팩의 목표 중량에 따라 지지부재의 측면과 상면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중량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중량 보강 부재는
직립된 복 수개의 수직 보강바;
상호 이격된 양측의 수직 보강바의 상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및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보강바; 및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수평 보강바의 상단에서 고정되는 상부 보강 블럭;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t further comprises a weight reinforcement member is made of at least one of cast iron, stone, lead, concrete and selectively added to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top of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target weight of the battery pack,
The weight reinforcement member
Upright plural vertical reinforcement bars;
At least one horizontal reinforcing bar extending and fix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bov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upper reinforcement block is fixed at the top of the pair of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an industrial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a weight having at least one or more.

KR1020170181164A 2017-12-27 2017-12-27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KR102029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64A KR102029130B1 (en) 2017-12-27 2017-12-27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64A KR102029130B1 (en) 2017-12-27 2017-12-27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60A KR20190079160A (en) 2019-07-05
KR102029130B1 true KR102029130B1 (en) 2019-10-07

Family

ID=6722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164A KR102029130B1 (en) 2017-12-27 2017-12-27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1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823B1 (en) * 2021-03-11 2023-11-16 강성백 Battery pack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353A (en) * 2009-08-31 2011-03-17 Toshiba Corp Secondary batter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device and forklift equipped with secondary battery device
KR101290575B1 (en) 2012-12-26 2013-07-31 주식회사 엑스에프씨 Fuel cell stack including volume change material
JP2014194904A (en) 2013-03-29 2014-10-09 Toyota Industries Corp Battery pack
JP2015170410A (en) * 2014-03-05 2015-09-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un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969U (en) * 2012-06-14 2012-08-23 日本碍子株式会社 Sodium sulfur battery package
KR101645812B1 (en) 2014-10-13 2016-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Electric Forklift
KR101777768B1 (en) 2015-10-07 2017-09-12 (주)파워에스티 Method for detecting battery status of industrial vehicle by using smart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353A (en) * 2009-08-31 2011-03-17 Toshiba Corp Secondary batter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device and forklift equipped with secondary battery device
KR101290575B1 (en) 2012-12-26 2013-07-31 주식회사 엑스에프씨 Fuel cell stack including volume change material
JP2014194904A (en) 2013-03-29 2014-10-09 Toyota Industries Corp Battery pack
JP2015170410A (en) * 2014-03-05 2015-09-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60A (en)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972C1 (en) Battery installation structure
US11264670B2 (en)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EP3624215B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EP2991133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KR20210109025A (en) Power battery packs and electric vehicles
US10950904B2 (en) Battery system and electrically driven vehicle equipped with battery system
US20170170438A1 (en) Battery packaging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N109301125A (en) Electri forklift battery module structure and battery pack
CN111149236A (en) Battery pack
KR20160087077A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JP2014120272A (en) Battery pack
CN106129289A (en) Electrokinetic cell and the automobile with it
KR102029130B1 (en)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car with high weight
CN216872182U (en) Modular battery box, battery box system and electric operation machine
US11228069B2 (en) Battery pack
KR102029131B1 (en) Medium and large size battery pack of industrial electric vehicle capable of weight balancing
US20160263980A1 (en) Hybrid electrical power system for industrial electric vehicle
JP2020155285A (en) Power storage device
US20180241091A1 (en) Support plate for protection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CN110316163B (en) Secondary turnover type charging bin and power exchange station
TWI703757B (en) Battery box with counterweight
KR20170132513A (en) Energy storage system
CN216872174U (en) Battery box and operation machinery
KR20170003300U (en) Battery rack apparatus
US20220173367A1 (en) Structura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