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88B1 -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88B1
KR102027488B1 KR1020180032824A KR20180032824A KR102027488B1 KR 102027488 B1 KR102027488 B1 KR 102027488B1 KR 1020180032824 A KR1020180032824 A KR 1020180032824A KR 20180032824 A KR20180032824 A KR 20180032824A KR 102027488 B1 KR102027488 B1 KR 10202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rogram
learning program
activity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더에이치알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에이치알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에이치알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4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program operating metho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are to train employees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mpanies and schools, and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achievement by providing various forms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offline learning activity functions, a lear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func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ucational program design tool which can achieve the purpose. The method comprises: a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of getting registration of a plurality of learners and learning evaluators in a group unit through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nd getting registration of a main learning program, a pre-learning program and a post-learning program for executing learning; an execution field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n execution field for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through a learning terminal of the learner; a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of executing a selected learning program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when an execution field for at least one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is selected through a learning terminal; and a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of executing social learning between the learners for each subject with respect to each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Description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How to Operate Learning Program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본 발명은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업, 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학습자를 교육하는데 있어 학습을 촉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learning progr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learning program that promotes learning and designs an education program in educating learners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a company and a school.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부의 원천이 토지·노동·자본에서 지식, 정보, 문화로 바뀜에 따라 지식자본의 생산자이자 소유자인 인적자원이야말로 국가와 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으며, 국가와 기업의 인적자원의 자기개발 정도는 그 기업의 미래발전 가능성을 가름하는 중요한 척도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human resources, producers and owners of knowledge capital,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corporations as the source of wealth changes from land, labor and capital to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e. And the level of self-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a company.

이와 같은 의미에서 기업, 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들은 그 구성원들의 역량 향상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자기개발 계획 지원의 예로는 이러닝과 같은 통신교육지원, 외부 연수 파견, 연구회 정보제공, 학회 참가지원, 해외견학 파견, 추천도서 리스트의 배포, 자기개발 교재 등의 배포, 자격취득의 지원 등이 있다.In this sense,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mpanies and schools, spare no support to improve their capacities. Examples of such self-development plan support include communication education support such as e-learning, external training dispatch, information on research meetings, and participation in conferences. Support, dispatch of overseas tours, distribution of recommended books, distribution of self-developed textbooks, and support for qualific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획일적이고 평면적인 교육·훈련제도는 학습자 개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지원 효과가 한계에 봉착되었으며, 그 관리에 있어서는 수작업 의존성이 매우 높았고, 학습자 개개인의 지식습득 및 현업에서의 적용과 실천에 이르는 전반적인 학습 경험을 적절하게 촉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본래 교육의 목표로 삼았던 성과를 완전하게 달성하지 못하여 인적/물적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existing uniform and flat education / train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limited in its support effects due to the inability to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learners, and the dependence on manual management is very high. In many cases, the overall learning experience leading to application and practice in the field is not adequately promo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incurring human and material waste due to incomplete achievement of the original educational goal.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전 과정에서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은 각 기업들의 절실한 연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학습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를 활용한 자기개발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promote learning in the whole process of learners' learning is emerging as an urgent research task of each company.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elf-developm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possessed by learners is urgently need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2438호(2013.11.07.)Publication No. 10-2013-0122438 (2013.11.07.)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049호(2013.12.10.)Publication No. 10-2013-0134049 (2013.12.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1592호(2014.01.29.)Publication No. 10-2014-0011592 (2014.01.29.) 등록특허공보 제10-0636406호(2006.10.18.)Patent Registration No. 10-0636406 (2006.10.18.)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7858호(2001.12.07.)Publication No. 10-2001-0107858 (2001.12.0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업, 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직원들을 교육시킬 수 있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학습 형태 제공, 오프라인 학습 액티비티 기능, 학습 운영, 평가와 피드백 기능 등 통해 학습 성과 달성을 촉진하고, 더불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 툴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ined in a varie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mpanies, schools, and promotes the achievement of learning through providing a variety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forms, offlin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management, evaluation and feedback functions, etc. In addition, it provides educational program design tools that can accomplish this go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를 통해 다수의 학습자와 학습 평가자를 하나의 그룹 단위로 등록 받고, 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본 학습 프로그램,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사후 학습 프로그램을 각각 등록 받는 학습 프로그램 구성 단계; 상기 학습자의 학습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필드를 선택하는 실행 필드 선택 단계; 상기 학습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필드를 선택 받는 경우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를 통해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 및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주제 별로 상기 학습자 간에 소셜 러닝을 실행하는 소셜 러닝 실행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learning program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arners and learn evaluators are registered in a group unit through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nd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for executing learning.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of receiving each registration; An execution field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n execution field for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 learning program and the post learning program through the learner's learning terminal; A learning program executing step of executing a selected learning program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when an execution field for at least one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 learning program and the post learning program is selected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nd a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of executing social learning between the learners on a subject basis for each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또한, 상기 소셜 러닝 실행 단계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SNS 기반의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학습자 간에 학습 주제에 관한 채팅을 실시하는 채팅 단계;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통한 대화내용에서 상기 학습 주제를 제외한 주제 관련 키워드 중 가장 많이 포함된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단계; 상기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웹 크롤링을 실시하여 해당 주제 관련 키워드와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는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 상기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해시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해시태그와 상기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해당 키워드 정보 간을 링크하는 키워드 정보 링크 단계; 및 상기 학습 주제를 큐레이션 하기 위하여 상기 해시태그 및 상기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the chat step of performing a chat on the learning topic between the learners through the SNS-based chat program provided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A keyword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keyword most included in the topic related keywords excluding the learning topic from the conversation contents through the chat program; A keywor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opic related keyword by performing a web crawl on the topic related keyword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ng step; A keyword information link step of generating a hash tag for a subject related keyword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ng step, and linking the generated hash tag with the corresponding keywor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keywor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And the hash tag and the keyword information to curate the learning topic.

또한, 상기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 액티비티의 기능을 실행하고, 학습 액티비티에 대한 산출물을 등록하는 학습 액티비티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액티비티는 메모 액티비티, 카메라 액티비티, 키워드 액티비티, 드로잉 액티비티, 설문 액티비티 및 캐릭터 액티비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is performed, a learning activity that executes a function of at least one learning activity for each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and registers the output for the learning activit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execution step, wherein the learning activ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mo activity, a camera activity, a keyword activity, a drawing activity, a survey activity, and a character activity.

또한, 상기 메모 액티비티의 기능은, 학습 주제 별 카테고리로 분류된 다수의 전자 메모장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 메모 툴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며, 유사 카테고리의 메모장을 소팅하여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액티비티의 기능은, 상기 학습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고, 상기 키워드 액티비티의 기능은, 학습 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학습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 받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고,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키워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키워드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키워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키워들에 대한 일치율을 연산하여 표시하고, 상기 드로잉 액티비티의 기능은, 드로잉 툴을 통해 입력된 드로잉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설문 액티비티의 기능은, 학습 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학습 주제 별로 진위형,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의 답변 입력 툴을 제공하여 학습 주제 별 답변을 순차적으로 입력 받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며,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답변 중에 서로 일치하는 답변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답변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답변들에 대한 일치율을 연산하여 표시하고, 상기 캐릭터 액티비티의 기능은, 상기 학습자 별로 그래픽 캐릭터를 선택 받고, 선택된 그래픽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습 단말기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memo activity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electronic notepads classified into categories for each learning subject, register the tex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memo tool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nd sort the similar category notepads. And the function of the camera activity registers the image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function of the learning terminal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nd the function of the keyword activity provides a learning subject and provides the learning subject. Receiving related keywords and registering them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extracting keyword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keywords registered by the learner, and calculating a matching rate with respect to keyword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keywords registered by the learner Display, the function of the drawing activity, drawing Register the draw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unction, the function of the survey activity, provides a learning topic, by providing the answer input tool of authenticity, selective, short answer, narrative type by the learning subject provided sequentially input the answers for each learning subject Receive and register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extract answer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the answers registered by the learner, calculate and display a match rate for the answer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the answers registered by the learner, and character The function of the activity may be to select a graphic character for each learner, and register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graphic character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long with the learner's information using the gyro sensor of the learning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 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직원들을 교육시킬 수 있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학습 형태 제공, 오프라인 학습 액티비티 기능, 학습 운영, 평가와 피드백 기능 등 통해 학습 성과 달성을 촉진하고, 더불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 툴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ducate employees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enterprises, schools, to promote the achievement of learning through the provision of various learning forms online and offline, offline learning activity function, learning oper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function,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 design tools can be provided to achieve these go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 운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의 구성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학습 프로그램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존 개설된 학습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 프로그램 설계 과정 중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 프로그램 설계 과정 중 학습 대상자, 평가자, 및 강사를 등록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 프로그램 설계 과정 중 사전학습 프로그램의 사전학습 자료 및 사전평가 문항을 등록받는 예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학습 프로그램의 각 모듈별 학습 액티비티와 액션플랜 작성 기능 및 평가 기능 등록받는 예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후학습 프로그램의 자료 및 사후평가 문항 등록받는 예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60도 평가항목을 등록받는 예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 본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 및 사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를 표시하는 선택필드 표시 예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전학습 및 사후학습 자료의 실행 예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학습 실행 예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학습 실행에서 학습 액티비티의 수행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기의 화면 예시의 도면이다.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평가자 단말기의 화면 예시의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액티비티 기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티비티 기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액티비티 기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액티비티 기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 내지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문 액티비티 기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 내지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캐릭터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학습자 정보 등록 방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based learning progra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based learning program opera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process of a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exemplary diagrams for managing a previously established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exemplary diagrams of establishing a program during a learning program design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7 are exemplary diagrams for registering the learner, evaluator, and instructor during the learning program desig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0 are exemplary diagrams for registering the pre-learning data and pre-evaluation items of the pre-learning program during the learning program desig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5 are exemplary diagrams of registering learning activities, action plan creation functions, and evaluation functions for each module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to FIG. 28 are exemplary diagrams for receiving data of a post-learning program and post-evaluation item regis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n exemplary view for registering a 360-degree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lection field display that displays a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 main-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nd a post-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cution of pre-learning and post-learn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cution of main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3 is a diagram showing the execution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present learning exec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to 39 are diagrams of screen examples of an instructo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and 41 are diagrams of screen examples of a 360-degree evaluato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and 43 are views illustrating one example of a memo activ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and 45 illustrate an example of a camera activ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to 49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keyword activ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to 52 illustrate an example of a drawing activ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3 to 61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urvey activ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2 to 64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er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using a graphic character and a gyro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herei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y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to "include" any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면대면 오프라인 교육인 본학습과 온라인 형태의 사전학습과 사후학습으로 단계를 나누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업이나 학교 등의 다양한 교유기관에서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사전 및 사후학습자료, 오프라인 학습 액티비티, 평가와 피드백 과정 등을 통하여 학습을 촉진하고, 교육 후 현업에서의 적용도까지 평가하여 학습 성과를 높인다.In this embodiment, the learning is basically divided into main learning, face-to-face offline education, online learning, and post-learning.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offline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companies and schools, the study is promoted through pre and post learning materials, offline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and feedback processes, and even after application Evaluate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based learning progra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학습 단말기(200), 학습 평가자 단말기(500), 강사 단말기(400), 및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mart-based learning progra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a learning terminal 200, a learning evaluator terminal 500, an instructor terminal 400, and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included.

상기 유무선 통신망(100)은, 학습 단말기(200)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 학습 평가자 단말기(500)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 강사 단말기(400)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간에 각각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은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includes a learning terminal 200,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a learning evaluator terminal 500,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an instructor terminal 400, and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s, respectively.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is provided.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For reference,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ase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It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ing node). In addition,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implemented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implemented as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상기 학습 단말기(200)는, 교육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학습자들이 각각 사용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단말기(200)는 스마트폰이외에도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learning terminal 200 is a terminal used by an education target, and may correspond to a smartphone or the like used by each learner. The learning terminal 200 may correspond to a desktop PC, a tablet PC, a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in addition to a smartphone. Of course,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and of course, may include all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상기 학습 단말기(200)는, 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 본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 및 사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를 표시한다. 또한 학습 단말기(200)는, 교육 대상자로부터 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필드의 선택을 받는 경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사전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학습 단말기(200)는, 교육 대상자로부터 본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의 선택을 받는 경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본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학습 단말기(200)는, 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필드의 선택을 받는 경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사후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한다.The learning terminal 200 displays a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 main 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nd a post-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from the subject, the learning terminal 200 accesses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o execute the pre-learning program.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from the subject, the learning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o execute the main learning program.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the learning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o execute the post-learning progra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단말기(200)는, 단말기 RF통신부(210), 표시부(220), 입력부(230), 및 학습 어플리케이션(240)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learning terminal 200 may include a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n input unit 230, and a learning application 240.

상기 단말기 RF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가격 정보 제공 서버(2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210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pri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performing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4G, RF transmitters (not shown)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frequencies, and RF receivers (not shown) for low-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received radio signals.

상기 표시부(220)는, 사전학습, 본학습, 사후학습을 위한 정보, 학습자료, 평가문항 등이 표시되는 표시창이다. 이러한 정보, 학습자료, 평가문항 등의 표시 형태는, 텍스트 형태, 동영상 형태, 사진, 전자지도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20 is a display window that displays information for pre-learning, main learning, post-learning, learning materials, evaluation questions, and the like. The display form of such information, learning materials, evaluation items,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ext form, a video form, a photo, and an electronic map form.

상기 입력부(230)는, 사전학습, 본학습, 사후학습을 통해 학습 대상자로부터 내용을 입력받으며, 학습 대상자로부터 만족도 평가를 입력받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The input unit 230 receives content from a learner through pre-learning, main learning, and post-learning, receives a satisfaction evaluation from the learner,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상기 입력부(230)와 표시부(220)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공간 정보 요청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The input unit 230 and the display unit 2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type of touch screen panel. The touch screen panel is a display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to display a work screen by providing a touch screen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and displaying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for communicating with a spatial information requestor. ) Is displayed.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240)은, 단말기 RF통신부(210), 표시부(220), 및 입력부(230)를 제어하여, 학습 대상자의 로그인을 수행하며,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표시한다. 또한 학습 대상자로부터 입력되는 문항의 답안과, 학습 액티비티의 수행 산출물을 입력받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learning application 240 controls 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210, the display unit 220, and the input unit 230 to log in the learner, and execute the program of pre-learning / main learning / post-learning Display. In addition, the answer of the question input from the learner and the output of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activity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가격 정보 제공 단말기(4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학습 어플리케이션(240)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ric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400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or the like may install and add or delete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as desired by the user. You can also make your own, and you can implement the interface that suits you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Therefore, the learning application 240 can be downloaded from the Google market, Apple store, etc. and installed on the smartphone.

상기 학습 평가자 단말기(500)는, 사전학습, 본학습, 사후학습을 마친 학습 대상자를 평가하는 평가자의 단말기로서, 평가자의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대상자인 사원의 사내 선배(예컨대, 과장, 부장 등)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을 마치거나 학습 전의 학습 대상자를 다양한 항목으로 평가한 평가자의 평가 내용이 입력되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평가 내용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어 등록된다.The learning evaluator terminal 500 is a terminal of an evaluator evaluating a subject who has completed the pre-learning, the main learning, and the post-learning. The evaluator's smartphone may be used. For example, as a terminal used by an in-house senior (eg, manager, manager, etc.) of an employee who is a subject of learning, an evaluator evaluating the subject of learning or before learning as various items as shown in FIGS. 40 and 41. The evaluation content of the terminal is input. The evaluation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and registered.

상기 강사 단말기(400)는, 사전학습, 본학습, 사후학습을 수행하는 학습 대상자를 교육시키는 강사의 단말기이다. 강사 단말기(400)에는, 도 35 내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대상자의 학습 현황, 학습 대상자 전체 인원의 출결 현황 등이 그래픽 형태로서 일목 요연하게 다양한 형태로 표시된다. 이러한 강사 단말기(400) 역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structor terminal 400 is a terminal of an instructor for educating a learner who performs pre-learning, main learning, and post-learning. As shown in FIGS. 35 to 39, the instructor terminal 400 displays the learning status of the learner, the attendance status of all the learner, and the like in various forms. The instructor terminal 400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tablet PC slate PC as well as a smartphone.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는, 학습자들의 교육에 사용되는 학습 프로그램이 관리되어 운영되는 서버이다. 이러한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is a server in which a learning program used for education of learners is managed and operated.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in hardware, and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languages such as C, C ++, Jaba, Visual Basic, Visual C, and the like in software. Contains program modules that function in several ways.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 web server program that is variously provided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Macintosh, etc. in general server hardware. For example, the websites used in the Windows environment, the Internet Information Server (IIS), and the CERN, NCSA, and APPACH used in the Unix environment may be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는 학습자 등록부(310), 학습 평가자 등록부(320), 강사 등록부(330), 사전학습 프로그램 등록부(340),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부(350),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부(360), 소셜 러닝 실행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learner registration unit 310, a learning evaluator registration unit 320, an instructor registration unit 330, a pre-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unit 340, a main 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unit 350, and a post-mortem. The learning program register 360 and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be included.

상기 학습 대상자 등록부(310)는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받을 대상자인 학습자를 등록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earner registration unit 310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a learner who is an education target through a learning program.

상기 평가자 등록부(320)는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을 완료한 학습자가 현업에서의 태도를 평가하는 평가자를 등록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valuator registration unit 32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learner who completes pre-learning / main-learning / post-learning to register an evaluator who evaluates an attitude in the field of business.

상기 강사 등록부(330)는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을 진행시킬 강사를 등록받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structor registration unit 330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an instructor to proceed with the pre-learning / main learning / post-learning.

상기 사전학습 프로그램 등록부(340)는 신설한 학습 프로그램의 사전학습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 프로그램의 신설은, 학습 프로그램의 명칭, 학습 프로그램의 일정,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소 및 약도를 하나 이상 등록함으로써 학습 프로그램이 신설될 수 있다. 사전 학습 프로그램은, 본학습에 앞서 수행되는 학습 프로그램으로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 하나 이상의 사전학습 자료를 등록 받을 수 있으며, 객관식 문항, O/X 문항, 단답형 문항 중 하나 이상의 문항을 등록 받을 수 있다.The pre-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unit 340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a pre-learning program of the new learning program. In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program, a learning program may be newly established by registering one or more names of a learning program, a schedule of the learning program, a place and a map of learning. The pre-learning program is a learning program that is performed prior to the main learning. The pre-learning program can register one or more pre-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s, images, and texts, and can register one or more of multiple-choice questions, O / X questions, and short-answer questions. have.

상기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부(350)는, 신설한 학습 프로그램의 본학습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학습은, 오프라인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및 강사가 수행해야 할 학습 액티비티(activity)가 제시되어 이를 활용하여 학습 대상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은, 안내문을 등록 받는 안내문 등록 과정과, 학습 대상자가 수행해야 할 학습 액티비티의 유형을 등록 받는 액티비티 액션 등록 과정과, 학습 종료 후 현업에서 학습 내용을 실천할 실행 계획표를 등록 받는 액션 플랜 등록 과정과, 본학습 종료 후에 학습 대상자로부터 만족도를 등록 받는 만족도 평가 문항을 등록 받은 만족도 평가문항 등록 과정과, 본학습 완료 후에 학습 대상자를 평가할 학습 평가 문항을 등록 받는 학습 평가 문항 등록 과정을 거쳐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The main learning program register 350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the main learning program of the newly established learning progra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learning activities to be performed by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in the offline education site are presented and the learner proceeds to the learning using the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program enrollment includes an action plan that registers guides, registers an activity action to register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to be performed by the learner, and an action plan to register the action plan after the end of the course. Registration is made through the registration proces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that receive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items registered by the learner after the completion of this study, and the learning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that receives the learning evaluation items to be evalua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This can be done.

상기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부(360)는 신설한 학습 프로그램의 사후학습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후학습 프로그램은, 본학습이 완료된 후 수행되는 학습 프로그램으로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 하나 이상의 사전학습 자료를 등록 받을 수 있으며, 객관식 문항, O/X 문항, 단답형 문항 중 하나 이상의 문항을 등록 받을 수 있으며, 특히 현업에서의 적용 여부를 평가하는 현업적용도 평가항목을 등록 받을 수 있다.The post-learning program register 360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a post-learning program of the newly established learning program. The post-learning program is a learning program that is perform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in course. The post-learning program can register one or more pre-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 image, and text, and receive one or more of multiple-choice questions, O / X questions, and short-answer question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gister the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items that evaluate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상기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본 학습 프로그램,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주제 별로 상기 학습자 간에 소셜 러닝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본 학습 프로그램,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프로그램 각각의 학습 자료에 대하여 학습자로 이루어진 팀별 또는 구성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습을 실시할 수 있다.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execute social learning between the learners for each subject for each of the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learning program.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perform learning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ms or members of learners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learning program.

좀 더 구체적으로,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각각의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SNS 기반의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 간에 학습 주제에 관한 채팅을 실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conduct a chat about a learning topic between learners through an SNS-based chat program provided through each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또한,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채팅 프로그램을 통한 대화내용에서 각 학습 주제를 제외한 주제 관련 키워드 중 가장 많이 포함된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추출할 수 있다. 특정 학습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 '최고의 리더란' 학습 주제가 있었을 경우 그와 관련하여 해당 학습자들 간의 토론이 이어지고, 토론 중에 '책임감, 추진력, 공감리더' 등의 관련 키워드가 언급된 경우, 해당 키워드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extract at least one keyword most included in the topic related keywords excluding each learning topic from the conversation contents through the chat program. In the course of a specific learning program, if there was a learning topic called 'Best leader', a discussion between the relevant learners followed and related keywords such as 'responsibility, driving force, empathy leader' were mentioned. Can be extracted.

또한,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실시하여 해당 주제 관련 키워드와 연관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한 웹 크롤링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특정 개수의 키워드만 한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perform web crawling on the subject related keywords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on step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related keywords. However, instead of performing a web crawl for all subject-related keywords, only a specific number of keywords mentioned by learners can be limited.

또한,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해시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해시태그와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해당 키워드 정보 간을 링크할 수 있다. 이에, 학습자들은 해당 해시태그를 선택할 경우 관련 웹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generate a hash tag for the subject related keyword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on step, and link the generated hash tag with the corresponding keywor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keyword information collection step. have. Therefore, learners can browse the relevant web information w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hashtag.

또한, 소셜 러닝 실행부(370)는 학습 주제를 큐레이션(curation) 하기 위하여 해시태그 및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쇼셜 러닝 컨텐츠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unit 370 may generate and register the social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hash tag and the keyword information to curate the learning topi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 운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의 구성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학습 프로그램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based learning program opera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process of a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 chart showing the registration process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은, 학습 프로그램 구성 단계(S410), 실행 필드 선택 단계(S420),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S430) 및 소셜 러닝 실행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Learning program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S410), execution field selection step (S420), pre-learning / main learning / post-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S430) and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S440) It may include.

상기 학습 프로그램 구성 단계(S4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학습 프로그램 신설 과정(S411)과,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습 대상자를 등록하는 학습 대상자 등록 과정(S412)과, 강사를 등록받는 강사 등록 과정(S413) 사전학습 프로그램을 등록받는 사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4)과, 본학습 프로그램을 등록받는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5)과, 사후학습 프로그램을 등록받는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6)과,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 이후에,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습 대상자를 학습 대상자의 상사, 동료, 후배 등이 포함된 주변인들이 평가할 360도 평가 항목을 등록받는 평가 항목 등록 과정인 3 평가항목 등록 과정(S417)을 가진다. 특히, 학습 프로그램 설계 과정(S410)은, 사전학습, 본학습, 사후학습, 각 학습자료, 평가, 및 알림을 추가, 삭제, 편집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되어 신설될 수 있다.The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S410), as shown in Figure 5, learning program new process for establishing a learning program (S411), learning subject registration process (S412) for registering the learning subject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gram, Lecturer registration process for registering an instructor (S413) Pre-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for registering a pre-learning program (S414), this 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for registering the main learning program (S415), and post-learning program for registering a post-learning program After the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6)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the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of registering a 360-degree evaluation items to be evaluated by the neighbors including the supervisor, colleagues, juniors, etc. 3 has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evaluation item (S417). In particular, the learning program design process S410 may be newly modularized so that pre-learning, main learning, post-learning, each learning material, evaluation, and notification can be added, deleted, and edited.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 프로그램 구성 단계(S410)는, 도 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을 하게 되면 이미 개설된 프로그램 목록이 제시되고, 목록을 클릭하면 이미 개설되어 있는 프로그램 목록을 정보가 전시된다. 이러한 기능은 프로그램 관리 기능으로 여러 가지 정보 변경이나, 사전/본/사후 학습 내용변경, 학습자 및 강사 등 사용자 변경, 평가 내용 변경 등 운영자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More specifically, in the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S410), as shown in Figures 7 to 9, when the login is already presented a list of program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click on the list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list already opened Is exhibited. This is a program management function that allows the operator to manage the program as a whole, such as changing various information, changing pre / main / post-learning contents, changing users such as learners and instructors, and changing evaluation contents.

상기 학습 프로그램 신설 과정(S411)은, 우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 프로그램으로 운영될지, 공개 프로그램으로 운영될지를 설정 등록 받는다. 지정 프로그램은 학습 프로그램을 개설 시 학습 대상자가 미리 지정되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며, 공개 프로그램은 학습 대상자가 원하는 학습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공개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소 및 약도를 하나 이상 등록 받는다.In the learning program establishment process (S411), first, as shown in FIG. 10, whether or not to operate as a designated program or to operate as an open program is registered. The designated program refers to a program to which a learner is designated in advance when the learning program is opened, and the open program refers to a program that is open to the learner to select a desired learning program.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one or more places and directions of learning are registered.

그리고, 학습 프로그램 신설 과정(S411)이 있은 후,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습 대상자를 등록하는 학습 대상자 등록 과정(S412)을 가진다. 또한 학습 대상자 등록 과정 이후에,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습 대상자를 평가할 평가자를 등록 받는 평가자 등록 과정을 가진다. 나아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습 대상자를 교육시킬 강사를 등록 받는 강사 등록 과정(S413)을 가진다.Then, after the new program learning process (S411), there is a learning subject registration process (S412) for registering the learning subject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gram, as shown in Figs. In addition, after the subject registr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14 and FIG. 15, there is an evaluator registration process for registering an evaluator to evaluate the subject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gram.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6 and FIG. 17, an instructor registration process (S413) for registering an instructor to educate a learner to participate in a learning program is provided.

그 후, 사전학습 프로그램을 등록 받는 사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4)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객관식 문항, O/X 문항, 단답형 문항 중 하나 이상의 문항과,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 학습 자료를 등록 받는 과정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there is a pre-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4) to receive a pre-learning program.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8 to 20, one or more of multiple-choice questions, O / X questions, and short-answer questions may be provided as a process of registering 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s, photos, and texts.

사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이 있은 후, 본학습 프로그램을 등록 받는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5)을 가진다.After the pre-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the learning-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5) for receiving the main-learning program is registered.

상기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5)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문을 등록 받는 안내문 등록 과정(S4151)과, 오프라인 학습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대상자의 학습 액티비티를 등록 받는 액티비티 등록 과정(S4152)과, 교육 종료 후 현업에서의 실천 계획표를 등록 받는 액션 플랜 등록 과정(S4153)과, 본학습 종료 후에 학습 대상자로부터 만족도를 등록 받는 만족도 평가 문항을 등록 받은 만족도 평가문항 등록 과정(S4154)과, 본학습 종료 후에 학습 대상자를 평가할 학습 평가 문항을 등록 받는 학습 평가 문항 등록 과정(S4155)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ain 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5), as shown in FIG. 6, the guide registration process (S4151) for registering the guide letter, and the activity registration process (S4152) for registering the learning activity of the learner made in the offline learning site (S4152) In addition, the Action Plan Registration Process (S4153), which registers the practice plan in the field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S4154), which receive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items that receive satisfaction from the subjec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After the end of the learning may include a learning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S4155) that receives a learning evaluation item to evaluate the learner.

상기 안내문 등록 과정(S4151)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학습의 개요 및 시간표 등의 안내문을 등록한다.In the guide letter registration process (S4151), as shown in FIG. 21, a guide letter such as an outline and a timetable of the present study is registered.

상기 액티비티 등록 과정(S4152)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학습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대상자의 학습 액티비티 유형을 등록받는다. 즉, 학습 대상자가 오프라인 본학습 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학습 액티비티 산출물을 제출할 것을 요청하거나, 학습대상자가 메모장을 활용하여 작성한 글을 제출하고 다른 학습자와 공유하거나, 실시간 퀴즈 및 설문조사 등과 같은 다양한 학습 액티비티 유형을 등록 받는다.In the activity registration process (S4152), as shown in FIGS. 22 and 23, the learning activity type of the learner who is performed in the offline learning site is registered. In other words, the learner may request to submit a learning activity output taken with a camera during the offline study, or the learner may submit a post written using a notepad and share it with other learners, or may be a real-time quiz or survey. Register the learning activity type.

본 실시예에서 학습 액티비티는, 오프라인 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습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활동 결과물 생성 및 공유, 의견교환 등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유형을 말한다. 따라서 액티비티 액션은, 카메라를 이용한 학습활동 결과물 작성 및 공유, 문장 형식을 통한 작성 및 공유, 기기간 연동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등의 유형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rning activity refers to a type that enables communication such as generating and sharing various learning activity outputs and exchanging opinions by using a smart device to increase the immersion of learning while performing offline learning. Therefore, the activity action may be of a type such as writing and sharing the learning activity output using the camera, writing and sharing through the sentence format, various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devices.

이러한 학습 액티비티는 메모 액티비티, 카메라 액티비티, 키워드 액티비티, 드로잉 액티비티, 설문 액티비티 및 캐릭터 액티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Such learning activities may include memo activities, camera activities, keyword activities, drawing activities, questionnaire activities, and character activities.

상기 메모 액티비티의 기능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주제 별 카테고리로 분류된 다수의 전자 메모장을 제공하고, 전자 메모 툴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등록하며, 유사 카테고리의 메모장을 소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유사한 내용(A는 A끼리, B는 B끼리)들을 묶어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도 42를 참조하면, 각 메모장에서 알파벳을 클릭할 경우 활성활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2 and 43, the memo activity provides a plurality of electronic memo pads classified into categories for each learning subject and learns tex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memo tool. Can be sorted and displayed by sorting notepads of similar categories. That is, similar contents (A between A and B between B) can be viewed in a bundle. Referring to FIG. 42, when the alphabet is clicked on each note pad, it can be activated.

상기 카메라 액티비티의 기능은,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단말기(200)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등록할 수 있다.44 and 45, the function of the camera activity may register the captured image using the camera function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as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상기 키워드 액티비티의 기능은, 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학습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 받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등록하고,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키워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키워드를 각각 추출하고,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키워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키워들에 대한 일치율을 연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46 to 49, the function of the keyword activity is to provide a learning topic, receive a keyword related to the provided learning topic, register it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and learner's registered keywords. Each of the keywords matching each other may be extracted, and the matching rate for the keywords matching each other among all keywords registered by the learner may be calculated and displayed.

상기 드로잉 액티비티의 기능은, 도 50 내지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툴을 통해 입력된 드로잉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50 to 52, the function of the drawing activity may register draw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a drawing tool.

상기 설문 액티비티의 기능은, 도 53 내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학습 주제 별로 진위형,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의 답변 입력 툴을 제공하여 학습 주제 별 답변을 순차적으로 입력 받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등록하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답변 중에 서로 일치하는 답변을 각각 추출하고,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답변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답변들에 대한 일치율을 연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3 to 61, the function of the questionnaire activity provides a learning topic, and provides an answer input tool of authenticity, selection, short answer, and narrative type for each learning topic to sequentially answer the learning topics. It receives the input and registers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extracts the answer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the answers registered by the learner, calculates and displays the matching rate for the answer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the total answers registered by the learner. have.

상기 캐릭터 액티비티의 기능은, 도 62 내지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별로 그래픽 캐릭터를 선택 받고, 선택된 그래픽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습 단말기(200)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정보와 함께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로 등록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62 and 64,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 activity is to select a graphic character for each learner and use the gyro sensor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learner'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graphic character.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registered.

상기 액션 플랜 등록 과정(S4153)은, 본학습 종료 후 학습 내용을 실천할 실행 계획표를 등록받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습내용의 실천 사항을 10월25일부터 10월26일까지 실행해야 하는 실천 계획표를 등록하는 것이다. 또는 시간 단위로 실행 계획을 등록할 수 있다.In the action plan registration process (S4153), the execution plan table for practicing the contents of learn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in learning is registered. For example, to register an action plan that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the lessons to be carried out from October 25 to October 26. Alternatively, you can register the execution plan on an hourly basis.

상기 만족도 평가문항 등록 과정(S4154)은, 본학습 완료 후에 도 24와 같이 학습 대상자로부터 만족도를 등록받는 만족도 평가 문항을 등록받는 과정이다.The satisfaction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S4154) is a process of registering a satisfaction evaluation item registered with satisfaction from the learner as shown in FIG. 24 after completion of the main learning.

상기 학습평가 문항 등록 과정(S4155)은, 본학습 완료 후에 도 25와 같이 학습 대상자를 평가할 학습 평가 문항을 등록받는 과정이다.The learning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S4155) is a process of registering a learning evaluation item to evaluate a learning subject as shown in FIG. 25 after completion of the main learning.

한편, 본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5)이 있은 후, 사후학습 프로그램을 등록받는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6)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업적용도 평가 등을 위하여 객관식 문항, O/X 문항, 단답형 문항 중 하나 이상의 문항과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 학습자료를 등록받는 과정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main 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5), and has a post-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6) to receive a post-learning progra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6 to FIG. 28, one or more of multiple-choice questions, O / X questions, and short-answer questions and videos, photos, texts, and other learning materials are register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practical application. Can be.

상기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6) 이후에, 필요 시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습 대상자를 상사, 동료, 후배 등 학습 대상자의 주변인이 평가할 평가 항목을 등록 받는 평가 항목 등록 과정인 360도 평가항목 등록 과정(S417)을 가진다. 예를 들어,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 이후에,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대상자를 평가할 평가 항목을 등록 받는다. 특히 이러한 사후학습 프로그램 등록 과정(S416) 이후에 이루어지는 평가 항목은 필요 시 학습자의 선배, 동료, 후배 등의 주변인이 학습자를 평가하는 360도 평가가 해당될 수 있다.After the post-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6), a 360-degree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which is an evaluation item registration process of registering an evaluation item to be evaluated by a neighbor of the subject, such as a boss, a colleague, or a junior, when necessary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gram (S416) ( S417). For example, after the post-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29, an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a learner is registered.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items made after the post-learning program registration process (S416) may correspond to a 360-degree evaluation in which neighbors such as seniors, peers, juniors, etc. of learners evaluate learners when necessary.

한편, 도 4에 표시된 학습 프로그램 설계 과정(S410)이 있은 후, 학습 대상자가 사용하는 학습 단말기(200)는, 사전학습 프로그램 실행 필드, 본학습 프로그램 실행 필드, 및 사후학습 프로그램 실행 필드를 표시하여 선택 받는 실행필드 선택 단계(S420)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learning program design process (S410) shown in FIG. 4, the learning terminal 200 used by the learner displays the pre-learning program execution field, the main learning program execution field,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execution field. The execution field selection step (S420) of receiving a selection may be performed.

상술하면, 도 30에 도한 바와 같이 학습 단말기(200)가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 본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 및 사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를 표시하는 선택필드 표시 과정을 가진다. 이러한 선택필드 표시는, 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만을 활성화하여 사전학습 프로그램을 선택받아 사전학습 실행 과정을 가진다. 그 후, 사전학습 실행 과정이 종료된 후 본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를 활성화하여 본학습 프로그램을 선택 받아 본학습 실행 과정을 가지며, 마지막으로 본학습 실행 과정이 종료된 후 사후학습 프로그램 선택 필드를 활성화하여 사후학습 프로그램을 선택 받아 사후학습 실행 과정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detail, as illustrated in FIG. 30, the learning terminal 200 has a selection field displaying process for displaying a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 main 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nd a post-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after the login process. The selection field display activates only the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to select a pre-learning program and has a pre-learning execution process. Then, after the pre-learning execu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main 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is activated to receive the main learning program and the main learning execution process is completed. Finally, after the main learning execu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post-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is activated. The post-learning program can be selected and implemented to have a post-learning execution process.

상기 실행 필드를 통해 사전학습이 선택되어 사전학습 실행 과정(S430)은, 교육 대상자로부터 사전학습 프로그램 선택필드의 선택을 받는 경우, 학습 단말기(200)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전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학습 할 콘텐츠의 내용이 재생되며, 아울러 본학습이 이루어질 장소 등이 약도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사전평가 기능도 실행될 수 있다.When the pre-learning is selected through the execution field, and the pre-learning execution process (S430)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pre-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from the subject, the learning terminal 200 accesses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Run the pre-learning program. That is, as shown in FIG. 31, the contents of the content to be pre-learned are reproduced, and the place where the main learning is to be performed may be displayed as a map. In addition, a pre-evaluation function can also be implemented.

상기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S430)는, 교육 대상자로부터 본학습 프로그램 실행 필드의 선택을 받는 경우, 학습 단말기(200)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본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내의 각 모듈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학습 액티비티 기능이 실행되고, 학습 종료시 현업에서 학습내용을 실천할 계획표를 작성하는 기능이 실행되며, 학업 성취도 평가를 위한 학습평가 문항이 표시된다.In the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S430), when the training subject receives a selection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execution field, the learning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o execute the main learning program. As shown in FIG. 32, when each module in the program is selected, a corresponding learning activity function is executed, and at the end of the learning, a function of preparing a plan table to practice the contents of the work is executed, and a learning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academic achievement is displayed. do.

상기 본학습 프로그램의 실행은,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학습 현장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강사간 다양한 형태의 학습 액티비티를 수행하고, 학습 액티비티의 수행 결과물인 학습 액티비티 산출물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고 상호간 공유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In the execution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as shown in FIG. 33A, a smart device is used in an offline learning site to perform various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between a learner and an instructor, and the learning activity management result is a learning activity output that is a result of performing the learning activity. Registration with the server 300 may have a process of sharing with each other.

학습 액티비티 산출물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고 공유하는 과정은, 학습 액티비티 산출물의 등록은, 개인별로 학습 액티비티 산출물을 등록하거나, 또는 팀원이 속한 그룹별로 학습 액티비티 산출물을 등록할 수 있고, 결과물을 다른 학습자 및 강사와 함께 공유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registering and sharing the learning activity output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he registration of the learning activity output may register the learning activity output for each individual, or register the learning activity output for each group to which the team member belongs, You can share your findings with other learners and instructors.

결국, 학습 액티비티 기능은, 오프라인 학습 현장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네이티브 기능 및 기기간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텍스트 기능이나 설문기능 등으로 자기 소개나 의견 공유 등을 할 수도 있고,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결과물을 서로 공유할 수도 있고, 그리기 기능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서로 공유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learning activity function may enabl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y utilizing the native func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network function between devices in order to increase the immersion and participation of the learner in the offline learning field. You can use the text function or the questionnaire function to introduce yourself or share opinions, or use the camera function to share learning results with each other, or use the drawing function to create images and share them with each other. .

한편, 본학습 실행이 완료된 후, 교육 대상자로부터 사후학습 프로그램 선택필드의 선택을 받는 경우, 학습 단말기(200)가,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후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후학습 실행 과정(S450)이 구현될 수 있다. 사후학습 실행은, 사후학습할 콘텐츠의 내용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사후진단 및 현업적용도평가 등 평가 기능도 실행되고, 학습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를 Report로 받아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in learning,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post-learning program selection field from the subject, the learning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he post-learning execution process of executing the post-learning program S450 may be implemented. In the post-learning execution, the content of the content to be post-learned may be reproduced. In addition, evaluation functions such as follow-up diagnosis and practical application evaluation are executed, and the overall results of learning and evaluation can be received as a report.

또한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 프로그램이 각각 완료될 때마다, 학습참여현황, 학습완료현황과 교육 대상자 및 필요 시 교육 대상자의 평가자들로부터 만족도, 학업성취도, 현업적용도, 및 역량수준을 포함한 평가 결과값을 입력받아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는 학습결과 및 평가 결과 등록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가 결과 등록 과정은, 부수적인 과정으로서'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의 각 단계마다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만족도 평가, 학습평가(성취도 평가), 현업적용도 평가, 역량진단, 기타 설문 등 다양한 형태로 변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pre-learning / main / post-learning program, includ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field applicability, and competency levels, includes learning participation status, learning completion status, and subjects and, if necessary, assessors. The learning result and the evaluation result registration process may be received by receiving the evaluation result value and registering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300. This evaluation result registration process can be generated and utilized at each stage of `` pre-learning '', `` learning '' and `` learning '' as an additional process. In addition,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satisfaction evaluation, learning evaluation (achievement evaluation),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competency diagnosis, and other questionnaires.

상기 소셜 러닝 실행 단계(S440)는 본 학습 프로그램,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주제 별로 상기 학습자 간에 소셜 러닝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러닝 실행 단계(S440)에서는, 본 학습 프로그램,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프로그램 각각의 학습 자료에 대하여 학습자로 이루어진 팀별 또는 구성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습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소셜 러닝 실행 단계(S440)는, 채팅 단계, 키워드 추출 단계,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 키워드 정보 링크 단계, 및 쇼셜 러닝 컨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S440), the social learning may be executed between the learners for each subject for each of the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learning program. In this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S440), the learning materials for each of the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learning program can be performed by communication between teams or members made up of learners.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S440 may include a chat step, a keyword extraction step, a keyword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 keyword information link step, and a social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tep.

상기 채팅 단계에서는, 각각의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SNS 기반의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 간에 학습 주제에 관한 채팅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chat step, the learner can chat on the learning subjects through the SNS-based chat program provided through each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상기 키워드 추출 단계에서는, 채팅 프로그램을 통한 대화내용에서 각 학습 주제를 제외한 주제 관련 키워드 중 가장 많이 포함된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추출할 수 있다. 특정 학습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 '최고의 리더란' 학습 주제가 있었을 경우 그와 관련하여 해당 학습자들 간의 토론이 이어지고, 토론 중에 '책임감, 추진력, 공감리더' 등의 관련 키워드가 언급된 경우, 해당 키워드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In the keyword extracting step, at least one keyword most included in the topic related keywords excluding each learning topic may be extracted from the conversation contents through the chat program. In the course of a specific learning program, if there was a learning topic called 'Best leader', a discussion between the relevant learners followed and related keywords such as 'responsibility, driving force, empathy leader' were mentioned. Can be extracted.

상기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에서는,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실시하여 해당 주제 관련 키워드와 연관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한 웹 크롤링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특정 개수의 키워드만 한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In the keywor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web crawling may be performed on the subject related keywords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ng step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related keywords. However, instead of performing a web crawl for all subject-related keywords, only a specific number of keywords mentioned by learners can be limited.

상기 키워드 정보 링크 단계에서는,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해시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해시태그와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해당 키워드 정보 간을 링크할 수 있다. 이에, 학습자들은 해당 해시태그를 선택할 경우 관련 웹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In the keyword information linking step, a hash tag may be generated for a subject related keyword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on step, and the corresponding hash tag generated and the keywor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keywor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may be linked. Therefore, learners can browse the relevant web information w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hashtag.

상기 쇼셜 러닝 컨텐츠 생성 단계에서는, 학습 주제를 큐레이션(curation) 하기 위하여 해시태그 및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쇼셜 러닝 컨텐츠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In the social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tep, the social learning content including hashtag and keywor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registered in order to curate a learning topic.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learning program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410: 학습 프로그램 구성 단계
S420: 실행 필드 선택 단계
S430: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
S440: 소셜 러닝 실행 단계
200: 학습 단말기
300: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
400: 강사 단말기
500: 학습 평가자 단말기
S410: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S420: execution field selection step
S430: step of executing the learning program
S440: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200: learning terminal
300: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400: instructor terminal
500: learning evaluator terminal

Claims (4)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를 통해 다수의 학습자와 학습 평가자를 하나의 그룹 단위로 등록 받고, 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본 학습 프로그램,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사후 학습 프로그램을 각각 등록 받는 학습 프로그램 구성 단계;
상기 학습자의 학습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필드를 선택하는 실행 필드 선택 단계;
상기 학습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필드를 선택 받는 경우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를 통해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 및
상기 학습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주제 별로 상기 학습자 간에 소셜 러닝을 실행하는 소셜 러닝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셜 러닝 실행 단계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SNS 기반의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학습자 간에 학습 주제에 관한 채팅을 실시하는 채팅 단계;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통한 대화내용에서 상기 학습 주제 키워드를 제외한 후, 상기 학습 주제 키워드를 제외한 주제 관련 키워드 중에서 가장 많이 포함된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단계;
상기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웹 크롤링을 실시하여 해당 주제 관련 키워드와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는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
상기 키워드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주제 관련 키워드에 대하여 해시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해시태그와 상기 키워드 정보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해당 키워드 정보 간을 링크하는 키워드 정보 링크 단계; 및
상기 학습 주제를 큐레이션 하기 위하여 상기 해시태그 및 상기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쇼셜 러닝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프로그램 실행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본 학습 프로그램, 상기 사전 학습 프로그램 및 상기 사후 학습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 액티비티의 기능을 실행하고, 학습 액티비티에 대한 산출물을 등록하는 학습 액티비티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액티비티는 메모 액티비티, 카메라 액티비티, 키워드 액티비티, 드로잉 액티비티, 설문 액티비티 및 캐릭터 액티비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 액티비티의 기능은,
학습 주제 별 카테고리로 분류된 다수의 전자 메모장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 메모 툴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며, 유사 카테고리의 메모장을 소팅하여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액티비티의 기능은,
상기 학습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고,
상기 키워드 액티비티의 기능은,
학습 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학습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 받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고,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키워드 중에 서로 일치하는 키워드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키워드 중에 서로 일치하는 키워드에 대한 일치율을 연산하여 표시하고,
상기 드로잉 액티비티의 기능은,
드로잉 툴을 통해 입력된 드로잉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설문 액티비티의 기능은,
학습 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학습 주제 별로 진위형,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의 답변 입력 툴을 제공하여 학습 주제 별 답변을 순차적으로 입력 받아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며,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답변 중에 서로 일치하는 답변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학습자가 등록한 전체 답변들 중에 서로 일치하는 답변들에 대한 일치율을 연산하여 표시하고,
상기 캐릭터 액티비티의 기능은,
상기 학습자 별로 그래픽 캐릭터를 선택 받고, 선택된 그래픽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습 단말기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학습 프로그램 관리 서버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
A learning program configuration step of registering a plurality of learners and learn evaluators in a group unit through a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the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respectively, for executing learning;
An execution field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n execution field for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 learning program and the post learning program through the learner's learning terminal;
A learning program executing step of executing a selected learning program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when an execution field for at least one of the main learning program, the pre learning program and the post learning program is selected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nd
And a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of executing social learning between the learners on a subject basis for each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The social learning execution step,
A chat step of performing a chat on a learning topic between the learners through an SNS-based chat program provided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A keyword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the most-related keywords among the topic-related keywords excluding the learning topic keywords after excluding the learning topic keywords from the conversation contents through the chat program;
A keywor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opic related keyword by performing a web crawl on the topic related keyword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ng step;
A keyword information link step of generating a hash tag for a subject related keyword extracted through the keyword extracting step, and linking the generated hash tag with the corresponding keywor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keywor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And
To generate the social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hash tag and the keyword information to curate the learning topic,
In the case of executing the learning program execution step, the learning activity execution step of executing a function of at least one learning activity for each of the present learning program, the pre-learning program and the post-learning program, and registering the output of the learning activity. More,
The learning activity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mo activity, a camera activity, a keyword activity, a drawing activity, a survey activity, and a character activity;
The function of the memo activity is
Provi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notepads classified into categories for each learning subject, registering tex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memo tool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sorting and displaying similar category notepads,
The function of the camera activity,
Register the image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function of the learning terminal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The function of the keyword activity is
Provides a learning topic, receives a keyword related to the provided learning topic, registers it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extracts keyword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keywords registered by the learner, and matches each other among all keywords registered by the learner Calculates and displays the match rate for the keyword,
The function of the drawing activity,
Register draw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drawing tool,
The function of the survey activity is,
Providing learning topics, and providing answer input tools of authenticity, selection, short answer, and narrative type for each learning subject, and receiving the answers for each learning subject sequentially and registering them with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Extracts answers that match each other, calculates and displays a match rate for answers that match each other among all answers registered by the learner,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 activity,
Receiving a graphic character for each learner and register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graphic character with the learner's information using the gyro sensor of the learning terminal to the learning program management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2824A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KR102027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24A KR102027488B1 (en)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24A KR102027488B1 (en)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488B1 true KR102027488B1 (en) 2019-10-01

Family

ID=6820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24A KR102027488B1 (en)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88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58A (en) 2001-11-03 2001-12-07 이종희 Education course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of learn-oriented using multi-agent
KR100636406B1 (en) 2006-08-22 2006-10-18 대한민국 4:4:2 integrated hierarchy evaluation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based on workers and managers' performance and competency
KR20130122438A (en) 2012-04-30 2013-11-07 고명진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 ready studying using a smart phone
KR20130133664A (en)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learning management and educational matters
KR20130134049A (en) 2012-05-30 2013-12-10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The e-learning system of learner-centered learning design
KR20140011592A (en) 2012-07-17 2014-01-29 농협은행(주) Supported apparatus for managing lecture program and method thereof
KR20160053464A (en)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via social learning, and user device and social learning server therefor
KR101692419B1 (en) * 2016-05-30 2017-01-03 더에이치알디지식과학습주식회사 System for learner character in learning program
KR101713982B1 (en) * 2016-05-30 2017-03-09 더에이치알디지식과학습주식회사 System for operating postit
KR20170135181A (en) * 2016-05-30 2017-12-08 더에이치알더 주식회사 System for keyword cloud in learning progra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58A (en) 2001-11-03 2001-12-07 이종희 Education course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of learn-oriented using multi-agent
KR100636406B1 (en) 2006-08-22 2006-10-18 대한민국 4:4:2 integrated hierarchy evaluation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based on workers and managers' performance and competency
KR20130122438A (en) 2012-04-30 2013-11-07 고명진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 ready studying using a smart phone
KR20130133664A (en)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learning management and educational matters
KR20130134049A (en) 2012-05-30 2013-12-10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The e-learning system of learner-centered learning design
KR20140011592A (en) 2012-07-17 2014-01-29 농협은행(주) Supported apparatus for managing lecture program and method thereof
KR20160053464A (en)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via social learning, and user device and social learning server therefor
KR101692419B1 (en) * 2016-05-30 2017-01-03 더에이치알디지식과학습주식회사 System for learner character in learning program
KR101713982B1 (en) * 2016-05-30 2017-03-09 더에이치알디지식과학습주식회사 System for operating postit
KR20170135181A (en) * 2016-05-30 2017-12-08 더에이치알더 주식회사 System for keyword cloud in learning progra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한나.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모형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02.* *
김원중 외 2명. 소셜 플랫폼상에서 MOOC와 플립드러닝을 지원하는 온톨로지 기반 교육 콘텐츠 소셜 큐레이터 구현. 일본어교육연구.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02., 제38권, pp.39-5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reia et al. Evaluating videoconferencing systems for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Karnouskos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as an enabler for competent employees and innovation in industry
Bülow Designing synchronous hybrid learning spac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van der Heiden et al. The rol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absorptive capacity of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in the aerospace sector
Watfa et al. Innovative virtual and collaborative teaching methodologies
Ekanayake et al. Developing teachers’ pedagogical practice in teaching science lessons with mobile phones
Muljo et al. Mobile Learning for Early Detection Cancer.
Scholtz et al. Th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a mobile simulation application for learning of ERP systems
Kryvorot et al. Using network-based educational and methodological complexes in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lecturers
Khatser et al. Online learning through LMSs: Comparative assessment of Canvas and Moodle
Juera Digitalizing skills development using simulation-based mobile (SiM) learning application
Wright et al. Technology use in designing curriculum for archivists: Utilizing andragogical approaches in designing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for archives professional development
JP2018059973A (en) Learning support device, and learning support program
Filatova et al. Digital Learning Tools and Devices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Educational Resource
Laxmaiah et al. Intelligent and adapt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echnology (LMST) using data mi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027488B1 (en) Method for managing education program
Okpokwasili Information systems application skills required of secretaries for job performance in e-world parastatals in Rivers State
Sezer et al. Designing an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for technology-rich environments
Luetkemeyer Are school librarians ready to lead mandated digital integration? A survey of Florida's K-12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Hall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using WordPress to facilitate reflective practic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urke et al. Communicating, collaboration, and citing
Zhukova et al. Development of Educators’ Digital Skill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Covid-19 in Ukraine and the World: A Comparative Aspect
Dewanti et al. Design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Cyber Pedagogy for Higher Education
Vaz et al. A full-stack model proposal to willingly implement e-learning at small universities: the University of Trás-os-Montes and Alto Douro case
Marlina Goal-setting and problem-solving in the tech-enhanced classroom a teaching and learning reboot: by Pete Atherton,(New York, NY: Routledge, 2023), 216 pp.,£ 36.99 (paperback),£ 120.00 (hardback),£ 33.29 (eBook). ISBN 978103211761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