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324B1 -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 Google Patents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324B1
KR102027324B1 KR1020180016344A KR20180016344A KR102027324B1 KR 102027324 B1 KR102027324 B1 KR 102027324B1 KR 1020180016344 A KR1020180016344 A KR 1020180016344A KR 20180016344 A KR20180016344 A KR 20180016344A KR 102027324 B1 KR102027324 B1 KR 10202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sh code
vending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7338A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줌
Priority to KR102018001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3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9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05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은,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인증 서버,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1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하는 자동판매장치, 및 자동판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해시코드 및 제2 해시코드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POS 장치를 포함하고, 인증 서버는,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고,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며, 자동판매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한다.Disclosed are a vend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hash code. In the automatic sales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device which requests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 purchase intention, generates a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an authentication request, and uses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as a user. Authentic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device, generating a second hash code, if the first hash cod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automatic sale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hash code and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And a POS devi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vending devic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wherein the authentication server comprises: a first hash generated by generating the first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Perform a first authentic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de, and if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ransmit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to the vending machin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Copper sale device, as compared to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the second group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pparatus performs a second verification.

Description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본 발명은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의 구매 의사에 따라 판매자측 인력의 개입없이 진행되는 물품의 구매 과정에서 취약한 보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ales system and method using a hash c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sh code for solving a weak security problem in the purchase process of goods proceed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seller personnel according to the purchaser's purchase intention It relates to an automated sales system and method used.

인력 보충의 어려움과 더불어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하여, 자동 판매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자동 판매 장치는,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 이점이 있어 다양한 업종에 활용될 수 있다.Due to the difficulty in replenishing manpower and rising labor costs, the spread of vending machines is expanding. Vending device does not require a manpower, bu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does not occupy a lot of places can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es.

자동 판매 장치의 보급 초기에는 커피나 음료수와 같은 단순한 물품을 판매하는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발전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매우 많은 종류의 물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완제품을 판매하는데에 그치지 않고 조리식품을 제공하는 형태로까지 발전하였다.In the early days of automatic vending machines, the simple form of selling simple items such as coffee and beverages was mainly used, but it was gradually developed so that a large number of items could be sold in a single device. It has evolved into a food supply.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 장치를 통해 판매되는 물품을 구매하는 방법으로는, 구매자가 자동 판매 장치에 동전 혹은 지폐를 투입한 후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면, 선택된 물품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형태이다. 또한, 동전 혹은 지폐를 소지하지 않고 있는 구매자를 위해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에 대한 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형태의 자동 판매 장치도 보급되어 있다.In general, as a method of purchasing an item sold through a vending machine, when a buyer inputs a coin or a bill into the vending machine and selects a desired item, the selected item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ddition, a vending machine is available in which payments for goods can be made using a credit card for buyers who do not carry coins or bills.

더욱이, 스마트폰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자동 판매 장치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Moreover, as the use of smartphones is becoming more common and the number of users of payment systems using smartphones is increasing, payment systems using smartphones have been introduced in vending devices.

스마트폰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의 일 예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그 운영 프로세스가 간단한 이점이 있지만, 온라인을 통해서만 물품을 선택할 수 있어 여러 고객들 간에 혼선이 있을 수 있고,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개인 정보인 관계로 구매자가 꺼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n example of a payment system using a smartphone is a mobile payment system. Mobile payment systems have a simple advantage in their operating process, but they can only select items online, which can lead to confusion among customers, and reluctant buyers because us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on smartphones is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스마트폰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의 다른 예로, 오프라인 인증모듈을 통한 결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첫번째로, OR 광학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저렴하고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외부 노출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있고, 사용이 불편하고, 경우에 따라서 어느 구매자가 해당 자동 판매 장치를 계속 점유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두번째로,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외부 노출, 사용 불편, 고가, 옵션 변경시마다 태깅(Tagging) 필요 등의 단점이 있다. 세번째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이 편리하고, 구매자가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멀어지면 서비스가 자동 종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보안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As another example of a payment system using a smartphone, a payment method through an offline authentication module may be applied. Firstly, the use of OR optical cords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and simple to configure, while causing the risk of damage due to external exposure, being inconvenient to use, and in some cases a buyer will continue to occupy the vending machine. There are disadvantages. Second, while using the NFC communic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strong security, while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external exposure, inconvenience, expensive, the need for tagging (tagging) every time the option changes. Third, in the case of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 service is convenient and the service is automatically terminated when the purchaser moves away from the vending device, while the security is weak.

국내공개특허 제2015-0144774호(2015. 12. 28. 공개)Domestic Publication No. 2015-0144774 (Dec. 28, 2015)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안이 취약한 자동판매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입함에 있어, 자동판매장치와 서버 측에서 각각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복잡한 장비를 추가하지 않고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urchase of goods using a vending machine with weak security,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dures on the vending machine and server side, respectively, do not add complex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sales system and a method that can enhance security without any need.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은,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인증 서버,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1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하는 자동판매장치, 및 자동판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해시코드 및 제2 해시코드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POS 장치를 포함하고, 인증 서버는,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고,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며, 자동판매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utomatic sales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intention, the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An authentication server for genera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generating a second hash code and receiving the first hash cod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vend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and a POS devi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vending devic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wherein the authentication server is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A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first hash code with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and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is used. The vending device transmits the data to the vending device, and the vending device performs the second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second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ith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장치는, 구매 의사가 발생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통신을 유효화하며, 자동판매장치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이 유효화된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when a purchase intention arises, the user terminal device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exchange user information to enable communication, and the vending machine includes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One of the devices may be on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is enabled.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동판매장치로 제1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together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to the vending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 자동판매장치는, POS 장치로 제1 해시코드 및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vending device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together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to the POS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 POS 장치는, 자동판매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 제2 해시코드, 및 사용자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POS device may transmit the first hash code, the second hash code, and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nding machin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또한 바람직하게,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결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장치는, 제1 인증이 성공하면, 구매정보를 인증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payment server receives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performs payment proces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the purchase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succeeds.

또한 바람직하게, 자동판매장치는, 제2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구매 의사에 대응하는 물품을 공급하도록 공급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vending device may control the supply module to supply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to purchase only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succeed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 서버에서,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자동판매장치에서,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자동판매장치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1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POS 장치에서, 제1 해시코드 및 제2 해시코드를 수신한 후, 인증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 인증 서버에서,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자동판매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selling method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step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intention, the authentication server, generating a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generating the second hash code in the vending device, and receiving the first hash cod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vend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the POS device, receiv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and then transmitting the second hash code back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the first hash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The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code with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and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is automatically sol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s compared with the stage, and a second hash code from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generating a second group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at transmitted value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구매 의사가 발생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통신을 유효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자동판매장치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이 유효화된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in the user terminal device, if a purchase intention occur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validating the communication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exchange user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be one of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자동판매장치로 제1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to the vending device, the us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또한 바람직하게, 자동판매장치에서, POS 장치로 제1 해시코드 및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the vending device, us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to the POS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 POS 장치에서, 인증 서버로 제1 해시코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the POS device, us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1 인증이 성공하면, 구매정보를 인증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결제 서버에서,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the user terminal device, if the first authentication succeeds, transmitting the purchase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at the payment server, receiving the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proceeding with the payment process.

또한 바람직하게, 자동판매장치에서, 제2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구매 의사에 대응하는 물품을 공급하도록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the vending machi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supply module to supply an item corresponding to a purchase intention only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succeed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은,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서버, 인증 서버로부터 제1 해시코드를 전송받아 전달하는 POS 장치, 및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POS 장치로부터 제1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하는 자동판매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동판매장치로부터 제2 해시코드를 전송받아 인증 서버로 전달하고, 인증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고,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며, 자동판매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sales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intention, an authentication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A POS devic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generating a second hash code, and when the first hash code is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hash code and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And a vending device, where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hash code from the vending device and delivers the second hash cod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generates a first hash code generated by generating the first hash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vending machin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is compared with a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the second group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performs the second authentication.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장치는, 구매 의사가 발생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통신을 유효화하며, 자동판매장치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이 유효화된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when a purchase intention arises, the user terminal device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exchange user information to enable communication, and the vend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be one of the effective.

또한 바람직하게,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결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장치는, 제1 인증이 성공하면, 구매정보를 인증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payment server receives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performs payment proces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the purchase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succeeds.

또한 바람직하게, 자동판매장치는, 제2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구매 의사에 대응하는 물품을 공급하도록 공급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vending device may control the supply module to supply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to purchase only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succeed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 서버에서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POS 장치에서 인증 서버로부터 제1 해시코드를 전송받아 전달하는 단계, 자동판매장치에서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자동판매장치에서 POS 장치로부터 제1 해시코드가 수신한 후,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인증 서버에서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 서버에서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자동판매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한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selling method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intention in the user terminal device, by generating a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Transmitting,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first hash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in the POS device, generating a second hash code in the vending device, and after receiving the first hash code from the POS device in the vending device,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hash code and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Performing a first authentication by comparing with the first generated hash code;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a second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POS device; Transmitting to the vending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perform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ith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가지의 다른 해시코드가 각각 인증에 사용되고, 여러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로 연결된 각 구성들이 해시코드를 전달하는 매체로 동작함으로써, 보다 더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different hash codes are used for authentication, and each of the component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network networks operates as a medium for delivering a hash code, thereby automatically selling a system using a hash code that can enhance security. And providing a method.

또한, 기존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online payment system can be applied as it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enhanced security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에서 인증에 사용되는 제1 해시코드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에서 인증에 사용되는 제2 해시코드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low of a first hash code used for authentication in an automatic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second hash code used for authentication in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selling method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to be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W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first element (or component) is operated or executed on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is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 or execution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operation or the execution is performed or the operation or execution is performed through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with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re an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 component made up of a program or software, even if no explicit mention is made, the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may be executed or operated by the program or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hardware necessary to run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s or software (eg, an operating system or drivers needed to run the hardware, etc.).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or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ny form of software and hardwa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implementation of any element (o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은, 판매장소(A)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와 POS 장치(200), 그리고 판매장소(A)와 별도로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사용자 단말장치(300), 인증 서버(400), 및 결제 서버(50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 1, the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 100 and POS device 200, and a sales place ( Apart from A), a user terminal device 300, an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a payment server 500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판매장소(A)는 물품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상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물품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이 차량용 연료라면, 판매장소(A)는 주유소가 될 것이고,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는 셀프주유장치가 될 것이다.The selling place A may correspond to a shop for the purpose of selling the goods, and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for automatically selling the goods are installed. For example, if the item that the seller wants to sell is fuel for a vehicle, the selling place A will be a gas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will be self-lubricating devices.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는 판매자가 판매장소(A)에서 물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로, 하나의 판매장소(A)에는 동일한 품목의 물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장치가 여러대 설치되거나, 다양한 품목의 물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장치가 여러대 설치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that the seller is installed to sell the goods in the sales place (A), a single sales place (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for selling the goods of the same item or In addition, several vending machines for selling goods of various items may be installed.

자동판매장치의 특성상, 구매자의 조작에 의해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판매방법에 해당한다. 자동판매장치를 통해 판매할 수 있는 물품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커피나 캔음료 같은 음료수 자판기, 다양한 기호식품을 제공하는 자판기, 간단한 음식을 조리하여 제공하는 자판기 등이 있을 수 있고, 앞에서도 언급한 셀프주유기도 자동판매장치에 해당한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matic vending device, since the sale is performed by the purchaser's operation, the seller corresponds to a sales method that can reduce labor costs. There is a wide variety of goods that can be sold through vending machines. For example, there may be a beverage vending machine such as coffee or canned beverage, a vending machine for providing various favorite foods, a vending machine for cooking simple foods, and the like.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300)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ne of Bluetooth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ay be used, and oth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L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is used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에서는 두 가지의 해시코드 즉, 제1 해시코드 및 제2 해시코드가 인증에 사용된다. 이 두 가지의 해시코드 중 하나가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중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자동판매장치에서 생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이때의 해시코드는 제2 해시코드에 해당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hash codes, namely, a first hash code and a second hash code, are used for authentication. One of the two hash codes is generated in one vending device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mong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100. In this embodiment, the hash code at this time corresponds to the second hash code. do.

또한,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는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한 후, 메모리(미도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해 둔 상태에서, 이 제2 해시코드를 POS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후, 제2 해시코드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중 해당 자동판매장치로 다시 전송되는데, 이 자동판매장치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제2 해시코드와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는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대한 공급을 제어한다. 사용자에게 물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는 각각의 공급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가 셀프주유장치일 경우, 공급모듈은 주유기가 될 것이다.In addition, after generating the second hash code,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transmits the second hash code to the POS device 200 in a state of being temporarily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hereafter, the second hash code is transmitted back to the corresponding vending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The vending machine compares the second hash code owned by the vending hash code with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perform authentication.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control the supply of goods reques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goods to the user,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may be provided with respective supply modules (not shown). For example, if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are self-lubricating devices, the supply module will be a lubricator.

POS 장치(200)는 통상의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을 적용한 기기로, 판매 거점에 컴퓨터 단말을 설치하여 판매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의 업체들에서는 이미 PO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POS기(200)는 이미 설치된 POS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추가적인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The POS device 200 is a device to which a conventional point of sales (POS) system is applied, and is for managing sales information by installing a computer terminal at a sales base. Since most companies already use the POS system, the POS machin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utilize the already installed POS system as it is, so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dditional device.

POS 장치(200)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를 통해 판매되는 물품의 양과 금액을 집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POS 장치(200)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로부터 판매기 ID, 제1 해시코드, 제2 해시코드,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며, 이 수신한 정보들을 다시 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The POS device 200 may be connected online with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to aggregate the amount and the amount of goods sold through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 device 200 receives the vending machine ID, the first hash code, the second hash code, and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agai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o send).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이 가능한 단말장치로, 근거리 통신망 및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의 접속이 가능한 통상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movable, and may be a conventional smartphone capable of accessing a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and the Internet.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가 판매장소(A)에 들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중 원하는 하나의 자동판매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30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when the user stops at the sales place A and purchases the goods using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 desired one of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판매장소(A)에 해당하는 점포를 선택하는 동작,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구매정보를 입력하는 동작, 결제를 요청하는 동작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be installed a dedicated application for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e user selects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sales place A,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inputs purchase information, requests for payment, and the like. You can perform the operation.

인증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인증 요청이 들어오면,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한다. 인증 서버(400)는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한 후, 메모리(미도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고, 제1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generates a first hash code when an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fter generating the first hash code,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emporarily stores it in a memory (not shown) and transmits the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이후, 인증 서버(400)는 POS 장치(200)로부터 제1 해시코드가 전송되면, 기저장해 둔 자신이 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After that, when the first hash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POS device 200,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compares the first hash code previously generated by the POS server 200 with the first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o perform authentication.

인증 서버(400)는 제1 해시코드에 의한 인증 수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물품 구매와 관련된 다음 동작들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ransmits a result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the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o that the following operations related to the purchase of goods are normally performed.

결제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결제 처리 요청에 대하여 결제 처리를 진행한다. 이때, 결제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정보, 및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구매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품목, 구입 수량, 단가, 결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결제 서버(500)는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인증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결제 처리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The payment server 500 performs payment processing for the payment processing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is case, the payment server 500 may perform payment us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urchas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an item, a purchase quantity, a unit price, and a payment amount of an item to be purchas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reafter, the payment server 500 may notif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the user terminal 300 of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after the payment processing is completed.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에서 인증에 사용되는 제1 해시코드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flow of the first hash code used for authentication in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에서는 인증 서버(400)와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에서 각각 생성되는 두 해시코드가 인증에 사용된다. 두 해시코드의 구분을 위하여, 인증 서버(400)에서 생성되는 해시코드를 제1 해시코드라 하고,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에서 생성되는 해시코드를 제2 해시코드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hash codes respectively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are used for authentic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hash codes, a hash code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is called a first hash code, and hash cod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are called second hash codes.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중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자동판매장치가 자동판매장치 #1(100a)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인증에 사용되는 제1 해시코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판매장치 #1(100a), POS 장치(200),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 인증 서버(400)들 간에 상호 송수신되는 다른 정보들은 모두 제외하고, 제1 해시코드의 흐름만을 도시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vending devi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mong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vending device # 1 100a. In addition, in order to explain the flow of the first hash code used for authentication, the vending machine # 1 (100a), POS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Except for all other information, only the flow of the first hash code is shown.

도 2a를 참조하여 제1 해시코드의 흐름의 일 예를 살펴본다. 제1 해시코드는 인증 서버(400)에서 생성되어 자체적으로 소정 시간 저장된다. 이후, 인증 서버(400)에서 생성된 제1 해시코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자동판매장치 #1(100a)로 전송한다. 또한,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제1 해시코드를 수신한 후, POS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POS 장치(200)는 제1 해시코드를 수신한 후, 다시 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An example of the flow of the first hash c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The first hash code is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itself. Thereafter, the first hash code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same to the vending machine # 1 (100a). In addition, the vending machine # 1 (100a) receives the first hash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POS device (200). In addition, the POS device 200 receives the first hash code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gain.

이러한 절차에 의해, 인증 서버(400)는 자신이 기생성한 제1 해시코드와 POS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보유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인증 서버(400)는 두 제1 해시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의해 인증을 수행한다.By this procedure,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retains the first hash code generated by itself and the first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POS device 200. As a result,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performs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wo first hash codes with each oth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도 2b를 참조하여 제1 해시코드의 흐름의 다른 예를 살펴본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인증 서버(400)에서 생성된 제1 해시코드가 사용자 단말장치(300), 자동판매장치 #1(100a), POS 장치(200)를 순차적으로 거쳐 다시 인증 서버(400)로 유입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순서에 의해 제1 해시코드가 전달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Another example of the flow of the first hash c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irst hash code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the POS device 20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 example is describ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hash code can be delivered in a different order.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 서버(400)에서 생성된 제1 해시코드는 POS 장치(200)로 전달되고, POS 장치(200)에서는 다시 자동판매장치 #1(100a)로 제1 해시코드를 전달한다. 이후, 자동판매장치 #1(100a)에서는 POS 장치(200)로 제1 해시코드를 전달하고, POS 장치(200)에서는 인증 서버(400)로 제1 해시코드를 전달한다. As shown, the first hash code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is delivered to the POS device 200, and the POS device 200 transmits the first hash code back to the vending machine # 1 100a. . Thereafter,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ransmits the first hash code to the POS device 200, and the POS device 200 delivers the first hash cod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이러한 절차에 의해, 인증 서버(400)에서 생성된 제1 해시코드는 POS 장치(200), 자동판매장치 #1(100a),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다시 인증 서버(400)로 유입된다.By this procedure, the first hash code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OS device 200,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n again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Flows into).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에서 인증에 사용되는 제2 해시코드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second hash code used for authentication in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shown in FIG.

제2 해시코드는 자동판매장치 #1(100a)에서 생성되어 자체적으로 소정 시간 저장된다. 이후,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자신이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POS 장치(200)로 전송한다. POS 장치(200)는 제2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이를 다시 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 인증 서버(400)는 제2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이를 다시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다시 자동판매장치 #1(100a)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한다.The second hash code is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stored by itself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after,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ransmits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o the POS device 200. When the POS device 200 receives the second hash code, the POS device 200 transmits it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gain. When the second hash code is received,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gain,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second hash code to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gain. .

이러한 절차에 의해,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자신이 기생성한 제2 해시코드와 함께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보유하게 된다. 그러면, 자동판매장치 #1(100a)은 두 제2 해시코드들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의해 인증을 수행한다.By this procedure, the vending machine # 1 100a retains the second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ogether with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itself. Then, the vending machine # 1 100a performs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wo second hash codes with each oth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해시코드가 전송되는 경로, 및 제2 해시코드가 전송되는 경로의 형태를 보면, 자동판매장치 #1(100a), POS 장치(200),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 인증 서버(400)를 매개체로 하여 폐곡선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and FIG. 3, in the form of a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hash code is transmitted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hash code is transmitted,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the POS device 200 are described. ), A closed curve is formed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s a medium.

즉, 제1 해시코드는 인증 서버(400), 사용자 단말장치(300), 자동판매장치 #1(100a), 및 POS 장치(200)를 순차적으로 한바퀴 돌아 다시 인증 서버(400)로 돌아온다. 또한, 제2 해시코드는 자동판매장치 #1(100a), POS 장치(200), 인증 서버(400),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순차적으로 한바퀴 돌아 다시 자동판매장치 #1(100a)로 돌아온다.That is, the first hash code sequentially turns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the POS device 200 back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In addition, the second hash code sequentially turns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he POS device 200,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n returns to the vending machine # 1 (100a). .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은, 인증 서버(400) 및 자동판매장치 #1(100a)이 각각 생성한 제1 및 제2 해시코드가 폐곡선 형태로 순환한 이후에도 자신이 기보유하고 있는 제1 및 제2 해시코드와 동일한 것일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vending system using the hash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the first and second hash codes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the vending machine # 1 (100a), respectively, circulate in a closed curve shape. If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are the same, authentication succeeds.

만약, 자동판매장치 #1(100a), POS 장치(200),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 인증 서버(400) 중 어느 하나라도 해킹에 노출이 되었다면, 제1 해시코드 혹은 제2 해시코드는 이전의 제1 해시코드 혹은 제2 해시코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2a, 도 2b, 및 도 3의 경로를 거친 제1 해시코드 혹은 제2 해시코드가 인증 서버(400) 혹은 자동판매장치 #1(100a)에서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전송 경로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If any one of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he POS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is exposed to hacking, the first hash code or the second hash code is It cannot be kept the same as the previous first hashcode or second hashcode. Therefore, if the first hash code or the second hash code passed through the paths of Figs. 2A, 2B, and 3 is successful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or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here is a problem in the transmission path. It can be seen that it did not occur.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과 접목시킬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게 되면, 중앙 서버의 개입이 없이도 각각의 구성들 즉,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POS 장치(200),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 인증 서버(400)들이 손쉽게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For this reason, a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block chain technology.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the respective components, that is,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100, the POS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central server. You can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또한, 제1 해시코드 혹은 제2 해시코드를 해킹하려면,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어느 한 구성을 해킹하여서는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모든 구성을 해킹하여야 한다. 이 또한 블록체인 기술과 접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hack the first hash code or the second hash code, as mentioned above, since any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by hacking any configuration, all configurations must be hacked. This can also be combin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selling method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 중 자동판매장치 #1(100a)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선택되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제1 해시코드가 도 2a에 도시한 경로에 의해 전달되는 상태를 전제로 하였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4, the automatic selling method using a hash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vending machine # 1 (100a) of the plurality of vending machine 100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first hash code is assumed to be delivered by the path shown in FIG. 2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소지한 상태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가 발생하면,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장소(A)를 방문한다(S601).If a user intends to purchase a specific item while having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user visits a sales place A selling the corresponding item (S60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조작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혹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검색기능을 통해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를 검색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자동판매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근거리 무선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통신망이 연결된다. 즉, 자동판매장치 #1(100a)과 사용자 단말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한다(S603).The user manipulates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o execute a dedicated application or searches for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arch function. As a result, when the plurality of vending apparatuses 1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re in a state capable of acces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That is,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performs a Bluetooth pairing (S603).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구매정보를 입력한다(S605). 여기서, 구매정보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동판매장치 #1(100a)이 셀프주유장치일 경우, 구매정보는 사용자의 차종에 따른 연료의 종류, 및 주유하고자 하는 금액 혹은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인증 서버(400)로 인증을 요청한다(S607).The user inputs purchas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605). Here, the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and quantity of goods to be purchased. At this time, when the vending machine # 1 (100a) is a self-lubricating device, the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fuel according to the user's vehicle, and the amount or capacity to be refueled.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300 requests an authentication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S607).

인증 서버(400)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인증 요청이 들어오면,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1 해시코드는 메모리에 저장한다(S609). 메모리에 저장된 제1 해시코드는 이후 인증 서버(400)에서 인증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는 폐기될 수 있다.In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when an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 first hash cod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is stored in a memory (S609). The first hash code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scarded after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한 후, 인증 서버(400)는 자신이 생성한 제1 해시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S611). 인증 서버(400)로부터 제1 해시코드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제1 해시코드와 함께 사용자정보를 자동판매장치 #1(100a)로 전송한다(S613).After generating the first hash code,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611).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receiving the first hash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vending machine # 1 100a together with the first hash code (S613).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제1 해시코드와 사용자정보가 전송되면,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한다(S615). 자동판매장치 #1(100a)에 의해 생성된 제2 해시코드는 기설정된 유지 시간 동안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자동판매장치 #1(100a)의 인증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는 폐기될 수 있다.When the first hash code and the user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vending machine # 1 100a generates a second hash code (S615).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 1 100a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for a preset holding time, and may be discarded after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 1 100a is performed. .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자신의 장치정보에 해당하는 판매기 ID와 자신이 생성한 제2 해시코드 그리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 및 사용자정보를 POS 장치(200)로 전송한다(S617).The vending machine # 1 (100a) is a POS device 200 to the vending machine ID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the second hash code generated by the self, the first hash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user information. (S617).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자신이 선택한 자동판매장치 #1(100a)의 판매기 ID와 사용자가 기입력한 구매정보를 인증 서버(400)로 전송하고(S619), POS 장치(200)는 자동판매장치 #1로부터 전송받은 판매기 ID, 제1 해시코드, 제2 해시코드, 및 사용자정보를 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S621).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vending machine ID of the vending machine # 1 (100a)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purchas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S619), and the POS device 200 automatically sells the product. The vending machine ID, the first hash code, the second hash code, and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vice # 1 ar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S621).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 POS 장치(200)로부터의 정보를 모두 수신한 후, 인증 서버(400)는 자신이 기보유하고 있는 제1 해시코드와 POS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비교하여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S623). 이후 동작들은 S623 단계에서 인증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만약 S623 단계에서 인증이 실패하였을 경우 이후의 동작들은 진행되지 않는다.After receiving all th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POS device 200,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is the first hash code owned by him and the first hash code transmitted from the POS device 200 Compare the to perform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S623). The subsequent operations are performed on the premise that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in step S623. If the authentication fails in step S623, subsequent operations are not performed.

인증 서버(400)에서 인증 수행 결과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을 경우, 인증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인증 결과를 통보함과 함께 POS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한다(S625).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normally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notifies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200. (S625).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인증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통보받은 후, 결제 서버(500)로 구매정보를 전송함과 함께 결제를 요청한다(S629).After being notified that authentication has been successfully processed,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the purchase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500 and requests a payment (S629).

결제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구매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진행하고(S629), 인증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한다(S631).The payment server 500 proceeds with the payment process u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payment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629), an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S631).

결제 서버(500)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받은 후,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POS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았던 제2 해시코드를 자동판매장치 #1(100a)로 전송한다(S633).After receiving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500,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200 to the vending machine # 1 (100a) (S633).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제2 해시코드를 전송받은 후,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자신이 기보유하고 있는 제2 해시코드와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비교하여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S635).After receiving the second hash cod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vending machine # 1 100a receives the second hash code owned by the user and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comparison,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635).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인증 동작 수행 결과에 따라 물품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자동판매장치 #1(100a)의 인증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전제로 하며, 인증이 완료되면 공급 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물품을 공급하도록 한다(S637).Vending machine # 1 (100a) may determine whether to supply the goo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 1 100a is normally performed,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upply module is controlled to supply the corresponding article (S637).

자동판매장치 #1(100a)은 자신이 수행한 물품 공급 상태를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통보하고(S639),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인증 서버(400) 및 결제 서버(500)로 구매완료정보를 전송한다(S641).Vending machine # 1 (100a) informs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of the supply state of the good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639),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purchas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and the payment server 500 The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S641).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구매완료정보를 전송받은 인증 서버(400)는 POS 장치(200)로 구매완료정보를 전송하고(S643), 자동판매장치 #1(100a)과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해제한다(S645).The authentication server 400 receiving the purchas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purchase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OS device 200 (S643), and the vending machine # 1 (100a)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Releases the Bluetooth pairing (S645).

이러한 절차에 의해,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에서는 온라인 결제 시스템에서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두 차례의 인증 절차에 의해 보다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By this procedure, the automatic sales method using the hash cod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nhanced security by two authentication procedures without additional configuration in the online payment system.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200 : POS 장치
300 : 사용자 단말장치 400 : 인증 서버
500 : 결제 서버
100: a plurality of vending device 200: POS device
300: user terminal 400: authentication server
500: payment server

Claims (19)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해시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인증 서버;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상기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하는 자동판매장치; 및
상기 자동판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해시코드 및 상기 제2 해시코드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POS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자동판매장치 및 POS 장치를 거쳐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자동판매장치는, 상기 POS 장치,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장치를 거쳐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A user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 purchase intention;
An authentication server generating a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 automatic vending device generating a second hash cod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hash code and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when the first hash cod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S devi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vending devic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The authentication server performs a first authentication by comparing a first hash code that is generated by holding a first hash code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vending device, and the POS device, and the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case of success,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vending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vending device performs a second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second hash code with the second hash code received through the POS device,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Vending system using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구매 의사가 발생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통신을 유효화하며,
상기 자동판매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이 유효화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urchase intention occurs, the user terminal device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exchange user information to validate communication.
The vending device is a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is enab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자동판매장치로 상기 제1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automatic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to the ven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장치는, 상기 POS 장치로 상기 제1 해시코드 및 상기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ending device is a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to the POS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OS 장치는, 상기 자동판매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1 해시코드, 상기 제2 해시코드,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POS device transmits the first hash code, the second hash code, and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nding devic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결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인증이 성공하면, 구매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ayment server receives the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proceeds with the payment processing; further includes,
The user terminal device, if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utomatic sales system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urchase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장치는, 상기 제2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구매 의사에 대응하는 물품을 공급하도록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matic vending device is a vending system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upply module to supply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intention only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구매 의사에 따라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 서버에서,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해시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자동판매장치에서, 제2 해시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동판매장치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 해시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해시코드와 상기 생성한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POS 장치에서, 상기 제1 해시코드 및 상기 제2 해시코드를 수신한 후, 상기 인증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자동판매장치 및 POS 장치를 거쳐 전송받은 제1 해시코드를 기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제1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POS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자동판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판매장치에서, 상기 POS 장치,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장치를 거쳐 전송받은 제2 해시코드를 기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제2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I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ing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 purchase intention;
Generating, at an authentication server, a first hash code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hash cod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Generating, at the vending machine, a second hash code;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hash code and the generated second hash code when the first hash cod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ing, at the POS device,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hash code back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the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first hash code that is generated by the first hash code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vending device, and the POS device, and the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ransmitting a second hash code received from the POS device to the automatic vending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in case of success; And
And performing a second authentication in the vending device by comparing a second hash code that is generated by holding a second hash code transmitted through the POS device,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Automatic sales method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구매 의사가 발생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통신을 유효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판매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장치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이 유효화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purchase intention occurs,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exchange user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o validate communication;
The automatic vending device is a vending method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vending devices is enabl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자동판매장치로 상기 제1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사용자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ransmitting the first hash code to the vending devic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장치에서, 상기 POS 장치로 상기 제1 해시코드 및 상기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automatic vending device,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user code when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are transmitted to the POS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OS 장치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제1 해시코드, 상기 제2 해시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POS device when the first hash code and the second hash code ar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제1 인증이 성공하면, 구매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서버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ransmitting, at the user terminal device, purchase information to a payment serv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if the firs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In the payment server, receiving the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proceeding with the payment processing; Automatic sales method using a hash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장치에서, 상기 제2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구매 의사에 대응하는 물품을 공급하도록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코드를 이용한 자동 판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nd controlling the supply module to supply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to purchase only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succeeds in the automatic vending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6344A 2018-02-09 2018-02-09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KR102027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344A KR102027324B1 (en) 2018-02-09 2018-02-09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344A KR102027324B1 (en) 2018-02-09 2018-02-09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38A KR20190097338A (en) 2019-08-21
KR102027324B1 true KR102027324B1 (en) 2019-10-02

Family

ID=6780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344A KR102027324B1 (en) 2018-02-09 2018-02-09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32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64B1 (en) * 2016-11-18 2017-08-30 차경진 Vending machine pay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273A (en) * 2012-07-31 2014-02-1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of payment using a mobile terminal
KR20150144774A (en) 2013-06-17 2015-12-28 인텔 코포레이션 Remote user interface for self-service computing device
KR20160085144A (en)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of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64B1 (en) * 2016-11-18 2017-08-30 차경진 Vending machine pay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38A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9550C2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JP6174116B2 (en) Equipment for the supply of goods
US896580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nduc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via a backend server system
RU2672132C2 (en) Systems and methods of mobile payments
CA295519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ximity based communication circuitry
US11521262B2 (en) NFC enhanc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verlays
US20150262244A1 (en) Customizabl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for user devices
US20240078529A1 (en) Automatically processing split payments in pos device
CN109564661B (en) Connected device transaction code system
US11610245B2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facilitating foreign transactions
CN108475371A (en) Trading authorization
CN109075969A (en) Access credentials managing device
KR20090080241A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tock management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87660B1 (en)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OTP
KR102027324B1 (en) Automatic se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hashcode
JP6469886B2 (en) Payment confirmation screen selection device
US115268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payment
TW201415389A (en) Communications system,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ely exchanging data
JP7401105B2 (en) METHODS, APPARATUS AND DEVICES FOR PROCESSING COMMERCE TRANSACTIONS
KR1020077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service using optically readable code
US202301212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obile payment transactions with a plurality of merchants
US20220198541A1 (en) Computing apparatus for providing item sales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220117941A (en) Mobile payment system for collecting product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202000980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ird party purchases
KR20230086412A (en) AI-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