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531B1 -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531B1
KR102026531B1 KR1020170133630A KR20170133630A KR102026531B1 KR 102026531 B1 KR102026531 B1 KR 102026531B1 KR 1020170133630 A KR1020170133630 A KR 1020170133630A KR 20170133630 A KR20170133630 A KR 20170133630A KR 102026531 B1 KR102026531 B1 KR 10202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
mobile terminal
job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1867A (en
Inventor
김성원
조헌일
김재현
김승기
이재훈
허종원
이충호
박정환
전성원
김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7013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53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 및 작업자, 관리자, 작업내용 및 작업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상기 복수 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현재위치정보가 상기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장소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작업시작버튼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작업개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 the field; A mobile terminal provided to a worker; And a control server for storing work information including worker, manager, work contents and work pla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work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mobile terminal, in which cas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work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DB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 controller for activating a job start button that is a user input interface only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job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job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job star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job start button is selected.

Description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IOT based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본 발명은 작업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인가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작업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이 센서 네트워크와 IOT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모니터링되도록 하고, 해당 작업의 개시 및 종료 과정은 물론, 해당 작업의 후속 점검 과정이 실제 해당 작업 장소 내지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더욱 실질적인 안전 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ork safety, more specifically, to effectively prevent unauthorized work is carried out, as well as to automatically monitor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work based on the sensor network and I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integrate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implement more practical safety work by effectively inducing the start and end of work and the subsequent check process of the work at the actual work place or location.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작업의 대상을 불문하고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원인과 이유로 안전사고 등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ut safety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regardless of the object of work.

특히 발전소와 같은 작업 환경에서는 작은 실수에 의해서도 지역 전력 공급 중단, 발전소 전체 시스템 다운(down), 인명 피해 등의 엄청난 문제가 파급될 수 있어 더욱 극도의 안전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Especially in a working environment such as a power plant, even a small mistake can cause huge problems such as local power supply interruption, the entire system down of the power plant, and human injury, which requires extreme safety.

석탄 등을 이용한 화력발전소의 경우 석탄 야적,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이송, 낙하, 분쇄, 증기 생성, 터빈을 이용한 에너지 생성 등 상당히 넓은 영역에서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화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작업(용접 작업 등)이 빈번히 진행되므로 화재 발생 등 안전사고 예방과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al-fired power plants, various works are carried out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coal stacking, conveying by conveyor belts, dropping, grinding, steam generation, and energy generation using turbines. As welding works are frequently conducted, it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and manage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s.

안전사고 예방, 작업 모니터링 및 관제 등을 위하여 화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작업들은 그 계획 단계는 물론, 작업 실행 및 작업 완료 과정이 복잡한 단계를 거치게 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방법은 대부분 작업자, 감독자 등의 사람이 직접 수기로 작성하거나 또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등과 같이 본질적으로 인적(人的) 의존적 방법이므로 언제든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The various tasks that use firearms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task monitoring and control are not only the planning stages, but also the execution and completion of tasks. Since it is inherently human-dependent, such as written by hand or visually confirm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can occur at any time.

또한, 철저히 관리 감독되어야 할 화기작업이 실제로는 계획된 내용에 기초하여 이루어지지 않거나 작업자가 사전 허가 없이 또는 관리자나 감독자 등의 감독 없이 비인가된 형태로 자의적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전 관리의 실효성이 낮으며 또한, 이러한 이유로 실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안전사고의 조속한 인지는 물론, 즉각적인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e work to be thoroughly managed and supervised is not actually performed based on the planned contents, or the worker frequently performs it on an unauthorized basis without prior permission or without supervision by a manager or supervisor. In addition, even i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real fire occurs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mptly follow up as well as prompt follow-up of the safety accident.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13370호(2015.04.13)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13370 (2015.04.13)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87491호(2016.01.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87491 (2016.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IOT와 위치기반 인프라를 이용하여 작업자 등의 작업 행위 등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함은 물론, 실제 작업자 내지 관리자(감독자)의 실제 위치정보와 예정된 작업 장소의 위치 정보를 상호 유기적으로 이용하여 예정되지 않은 작업이나 점검 행위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안전 관리의 통합적 관리를 더욱 실효성 있게 구현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nd effectively monitors work behaviors such as workers using the IOT and location-based infrastructure, as well as the actual location of a real worker or manager (supervisor). It provides IOT-based integrate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ectively imple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afety management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anned work place organically so that unscheduled work or inspection can be blocked at the source. The purpos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 및 작업자, 관리자, 작업내용 및 작업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상기 복수 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현재위치정보가 상기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장소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작업시작버튼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작업개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OT-based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 the field; A mobile terminal provided to a worker; And a control server for storing work information including worker, manager, work contents and work pla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work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mobile terminal, in which cas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work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DB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 controller for activating a job start button that is a user input interface only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job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job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job star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job start button is selected.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DB부에 저장된 작업정보 또는 상기 현재위치정보를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display the job information o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unit on the screen display means.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정보저장부;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정보전송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작업개시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개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작업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job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job information; A job information transmitter to transmit job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mobile terminal; A main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work status information by using work star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job star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t may include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upply power to the work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모바일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 소요 예정 시간이 지난 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작업종료버튼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tivate a job end button that is a user input interface after a scheduled time required for the job included in the job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time point at which the job start button is selected. Do.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제서버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완료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작업완료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of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work status information by further using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when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완료정보가 전송되면, 완료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관제서버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로부터 점검완료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점검완료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work to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when the job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of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work status information by further using the transmitted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when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인 점검완료버튼을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현재위치정보가 작업이 완료된 해당 작업 장소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점검완료버튼을 표출하고, 상기 점검완료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점검완료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check completion button that is a user input interface environment on the screen display mea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beacon signal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lace is completed work If only the check completion button is displayed, and if the check completion button is selecte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은 완료된 작업 현장의 열화상 영상데이터가 첨부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점검완료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sp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only when the thermal image data of the completed work site is attached.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작업 계획, 진행, 완료 등과 같은 작업 전체의 과정이 사람의 인위적인 행위가 최소화된 상태로 센서 네트워크와 IOT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인프라에 의하여 운용되므로 작업 전체 과정에 대한 관제 및 모니터링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system of the infrastructure based on the sensor network and the IOT in a state in which the whole process such as work planning, progress, completion, etc. is minimized, and the human action is minimized.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예정된 작업 장소의 위치정보와 실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유기적으로 활용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실제 해당 작업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 한해 후속 프로세싱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되므로 작업 과정과 그 후속 작업인 점검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의 실효성을 더욱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cheduled work pla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worker organically implemented so that subsequent process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only when the worker or manager is actually located in the work place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monitoring the work process and the subsequent work, the inspection process,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작업자가 자의적으로 진행하는 비인가 작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작업 진행 과정이 더욱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비인가 작업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unauthorized work proceeding by the worker can be induced to make the work progress more transparent, as well as to be generated by the unauthorized work It can create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나아가 본 발명은 해당 작업의 진행 과정에 대한 정보가 IOT 기반의 네트워킹을 통하여 작업 관련 주체들에게 실시간 공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완료 및 작업 완료에 따른 후속 점검 과정이 더욱 긴밀하게 수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절차 시간 지연의 방지는 물론, 작업 및 점검 관리의 효율성을 더욱 제고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hare the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task to the work-related subjects in real time through the IOT-based networking, it can be induced to perform the task is completed and follow-up check process according to the task more closely In addition to avoiding procedural time delays, the efficiency of work and inspection management can be enhanc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구성 중 일 구성인 모바일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구성 중 일 구성인 관제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관제 서버와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관리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관제 서버와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관리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관제 서버에서 작업 과정이 모니터링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자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matter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which is one of the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which is one of the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ork management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worker's mobile terminal;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ork management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etween a control server and a mobile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work process is monitored in a control server;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terface environment of a work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terface environment of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1000)의 구성 중 모바일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서버(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IOT-based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rver 200.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1000)(이하 ‘통합관리시스템’이라 지칭한다)은 비콘(300), 관제 서버(200), 모바일 단말(100) 및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OT-based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con 300, a control server 200, and a mobile terminal 100. ) And a mobile terminal 300 for the administrator.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통합관리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관제 서버(200) 및 모바일 단말(100) 등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such as the control server 2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constitut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and 2 are physically divide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logically divided component rather than an element.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a logical component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i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is within the scope, and that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ir names are consistent.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는 중앙관제소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 장치 내지 서버로서 작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전체에 대한 과정을 관제하고 모니터링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control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process of the entire work performed at the work site as a system device or server installed in a central control station.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 각각에게 배포 내지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1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정보저장부(210), 작업정보전송부(220), 수신부(230), 메인제어부(240), 전원제어부(250), 정보공유부(260) 및 디스플레이 수단(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distributed or provided to each worker as described below, the job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the job as shown in FIG. The information transmitter 220, the receiver 230, the main controller 240, the power controller 250, the information sharer 260, and the display means 270 may be configured.

상기 관제 서버(200)와 상응하는 주체로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100)은 작업자에게 제공 내지 배포되는 단말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부(110), 위치정보생성부(120), 제어부(130), 전송부(140) 및 화면표시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erver 200,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provided or distributed to the worker as shown in Figure 1, the DB unit 110,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the transmission unit 140 and the screen display means 150 may be configured.

이 모바일 단말(100)은 작업자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의 관리 감독을 수행하는 감독자, 확인자(이하 ‘관리자’라 지칭한다)에게도 제공 내지 배포되는데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단말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에서 관리자에게 배포되는 단말을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로 지칭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or distributed not only to the worker but also to the supervisor and the ver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anager') who perform the management supervision of the work. The manager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distinguish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provided to the worker. The terminal distributed to the administrator is referred to as a mobile terminal 300.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은 배포되는 주체에 따라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단말이므로 이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 또한,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100)의 상세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Since the manager mobile terminal 300 is a terminal that is relatively divided according to the subject to be distributed, the manager mobile terminal 300 may also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Of course.

작업자, 관리자(감독자), 작업 내용, 작업 대상, 작업 소요 예정 시간 정보 및 작업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하 ‘작업정보’라 지칭한다)가 디스플레이 수단(270)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면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의 작업정보저장부(210)에 상기 입력된 작업정보가 저장된다(S300).Information including a worker, a manager (supervisor), work contents, work targets, work time required information, and work plac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 information) is externally input through the interface environment of the display means 270. When the job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job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of the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300).

이와 같이 작업정보가 저장되면, 관제 서버(200)의 작업정보전송부(220)는 해당 작업자 또는 작업 대상마다 구분되는 모바일 단말(100)로 해당 작업자 또는 작업 대상에 대한 작업정보를 전송한다(S305).When the work information is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20 of the control server 200 transmits the work information on the worker or the work target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ich is separated for each worker or work target (S305). ).

해당하는 작업정보가 전송되면(S305) 전송된 작업정보는 모바일 단말(100)의 DB부(110)에 저장되며(S310) 사용자(작업자)의 요청 신호가 입력되거나 작업자의 아이디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입력되면 도 6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하여 해당하는 작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작업 장소, 작업 일정 발행 일자, 담담 감독관 정보 등)가 화면표시수단(150) 등에 표출되도록 제어된다(S315).When the corresponding job information is transmitted (S305), the transmitted job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B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310) and a request signal of a user (worker) is input or ID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worker are input. When inputted, various information (working place, work schedule issuance date, doctor supervisor information, etc.) of the corresponding work are displayed through the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as illustrated in (a) of FIG. 6. It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back (S315).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는 자신이 수행하여야 할 작업 내용은 물론, 작업 장소 내지 위치 정보를 더욱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worker may induce a user to recognize the work place or the location information more accurately, as well as the work contents to be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정보생성부(120)는 작업 현장에 복수 개로 설치된 비콘(300)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S320) 구성에 해당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of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beacons 300 installed at a work site (S320).

비콘(300)은 실내 및 실외 현장에 다수 개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BLE 신호 체계를 이용하여 패어링(pairing) 없이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모바일 단말(100)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전파를 방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라면 그 지칭되는 명칭, 스펙 등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비콘(300)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beacon 300 corresponds to a device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ithout pairing using a BLE signal system, as known as a component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door and outdoor sites. If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tinuously radiating radio waves so as to determine its location is not limited to the name, specification, etc. that are referred to may correspond to the beac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정보생성부(120)는 비콘(300)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며(S320) 생성된 현재위치정보를 작업자 위치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S325). As such,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generates its ow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applying an algorithm using the strength of signals received from the beacons 300 (S320), and generat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In order to efficiently monitor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325).

또한, 작업자 스스로가 작업자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현재위치정보가 화면표시수단(150)에 표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150 so that the worker himself can check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himself.

관제 서버(200)는 작업자가 소지/휴대하는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위치정보 즉, 작업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하고(S330) 소정의 맵 데이터 등에 표시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수단(270)에 이를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200 sto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rried by the worker, that i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when it is transmitted (S330) and displays the predetermined map data on the display means. 270 may be configured to express it.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정보생성부(120)가 작업자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면, 모바일 단말(100)의 제어부(130)는 DB부(110)에 저장된 작업정보를 독출(access and read)하고 이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 장소 내지 작업 위치 정보와 위치정보생성부(120)가 생성된 작업자의 현재위치정보가 상호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335).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control unit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ads the job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unit 110 (access and read) In operation S335, the work place or the work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ork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is match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매칭 프로세싱의 수행 결과 작업자 즉, 작업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위치정보가 예정된 작업 장소의 위치에 대응되는 경우에 한해,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도 6의 "P"와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인 작업시작버튼을 화면표시수단(150)에 표출시키는 방법으로 활성화시킨다(S340).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matching processing, that is,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possessed by the worker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scheduled work place, the controlle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P"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on start button, which is a user input interface environm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150.

화면표시수단(150) 등에 “작업시작버튼”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이 활성화되고 이를 터치하는 방법 등으로 작업자가 작업개시 내지 작업시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S345) 입력된 작업개시정보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로 전송된다(S350).If the user input interface environment, such as the "job start button" is activat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50 and the like, the operator inputs information on the job start or the job start by a method of touching it (S345). The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ransmitted (S35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예정된 작업 장소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작업자가 예정된 작업 장소에 도착하는 경우에 한해 후속 프로세싱이 수행되도록 구성하여 작업 수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실효성 있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orker arrives at the scheduled work place, and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subsequent processing only when the worker arrives at the scheduled work place, so that monitoring of work performance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

상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0)에서 작업개시정보가 전송되면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의 메인제어부(240)는 수신된 작업개시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한다(S355).As described above, when the job star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in controller 240 of the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job status information by using the received job start information (S355).

작업상황정보는 해당 작업의 진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생성되는 정보로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 현장의 모델링 데이터와 해당 작업 장소의 포인트(point), 작업 중인 작업, 전체 대상 작업 등이 GUI 환경을 통하여 표출(S385)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ork status information is generated by updating the progress information of the work. As illustrated in FIG. 5, the modeling data of the work site, the point of the work place, the work being done, the entire target work, etc.,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to be expressed through (S385).

이와 같이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작업개시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의 전원제어부(250)는 전원공급장치(5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작업을 위한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S360).As such, when the work star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worker, the power control unit 250 of the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upply device 50 to the apparatus for the corresponding work. Control to supply power (S360).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 장소에 정확히 작업자가 도착한 것을 사람의 인위적인 행위 없이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작업의 장치의 전원이 on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함은 물론, 작업자가 자의적으로 진행하는 비인가 작업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etect that the worker arrived at the work place exactly as described above without human action 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device based on this, to effectively monitor the work situation of the worke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unauthorized work that the worker proceeds arbitrari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100)(작업자용)의 제어부(130)는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된 후, 즉 작업 개시에 대한 작업자의 의사가 관제 서버(200)로 전송된 후 작업완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 내지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인 ‘작업완료버튼’을 화면표시수단(150)에 표출하도록 하고 작업자가 이 작업완료버튼을 선택 내지 클릭(S365)하는 경우 작업완료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전송(S370)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the wo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operation start button is selected, that is, the worker's intention to start the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for the completion of the work When the user selects or clicks the work completion button (S365) to display the 'job completion button', which is an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can be input or select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150, the control server 200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370).

사용자의 실수 또는 고의적인 행위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제어부(130)는 작업개시버튼이 선택된 후, 작업에 소요되는 예정 시간(작업정보에 포함된 정보) 등을 고려하여 소정 시간 이후에 작업완료버튼이 활성화 내지 화면표시수단(150)에 표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a user's mistake or intentional behavior, the controller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siders a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ork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work after the start button is selected. Afterward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work completion butt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through activation.

이 과정에서 소위 패턴이나 제스처 인식을 통하여 작업자의 주머니 등에서 작업개시버튼, 작업완료버튼 등이 잘못 선택되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operation start button, the work completion button, and the like in the pocket of the worker through the so-called pattern or gesture recognition so as to prevent the case from being incorrectly selected.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의 메인제어부(240)는 이와 같이 작업완료정보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면(S370) 작업상황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하고(S375)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이 완료된 작업 현장의 포인트를 작업 중인 경우와 차등적인 방법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S385).The main control unit 240 of the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S370) to update the job status information is generated (S375) as illustrated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point of work site where the work is completed is controlled so as to be expressed in a differential way (S385).

또한, 비인가 작업 등이 후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의 전원제어부(25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작업완료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작업에 사용되었던 장치의 전원이 off되도록 전원공급장치(50)를 제어(S380)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unauthorized operation and the like is subsequently performed, when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device so that the power of the device used for the job is turned off ( And control 50).

이하에서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와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 사이에 이루어지는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the control server 200 and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앞서 작업자용 모바일 단말(10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00)로 작업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면(S400) 입력된 작업정보는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에도 전송되며(S405) 전송된 작업정보는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에 저장된다(S410).As described above in the worker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job information is input and stored in the control server 200 (S400) the input job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300 (S405) The job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S410).

관리자가 자신이 수행하여야 할 점검 내지 확인 작업 등을 더욱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에 저장된 작업정보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팝업되도록(S415)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to be popped up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face environment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a check or a check operation to be performed (S415).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작업완료정보가 전송되면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200)는 이를 저장하여(S420, S375) 활용함은 물론, 관제 서버(200)의 정보공유부(260)는 전송된 작업완료정보에 해당하는 작업의 후속 점검/감독을 담당하는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로 작업완료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425).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worker, the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utilizes it (S420, S375), as well as sharing information of the control server 200. The unit 26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work to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in charge of the subsequent inspection / supervision of the work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work completion information (S425).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은 이와 같이 작업완료된 작업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관리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매체를 통한 알람 정보와 함께 작업완료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표출한다(S435).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work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r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work together with the alarm information through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medium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S435). ).

이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특정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작업완료신호가 관제 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에 수신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이 완료된 대상 작업, 해당 작업자, 작업 시작 시간, 작업 종료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in FIG. 7 (a). When the work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a specific worker to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ntrol server 200, as shown in FIG. Information about the job start time, the job end time, etc. is displayed.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 또한, 앞서 기술된 모바일 단말(100)과 같이 비콘 신호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S435) 구성된다.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is also configured to generate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beacon signal, such as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S435).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정보 즉, 관리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관제 서버(200)로 전송될(S440) 수 있으며 관제 서버(200)로 전송된 관리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관리자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관제 서버(200)에 저장되어(S445) 활용될 수 있다.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r mobile terminal 300, that i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S440)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r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manager. In order to effectively monitor the data stored in the control server 200 (S445) can be util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은 관리자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가 작업 완료된 작업 현장의 위치와 대응되는(S450) 경우에 한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인 ‘점검완료버튼’이 화면표시수단에 표출되도록(S455)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of the user's input interface 'check completion button' is displayed only when the manag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work site where the work is completed (S450). It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 the means (S455).

도 7(b)에 예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와 같이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작업이 완료된 현장 위치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점검완료버튼’은 활성화되지 않으며, 도 7(c)와 같이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가 작업이 완료된 현장 위치에 대응되는 경우에 한해 ‘점검완료버튼“ ”확인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for the manager does not correspond to the site location where the work is completed, as shown in the screen interface illustrated in FIG. 7 (b), the 'check completion button' is not activated, and the manager as shown in FIG. 7 (c). Only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corresponds to a site location where work is completed, the "check completion button" "confirmation button" is configured to be activated.

화면표시수단 등에 표출된 점검완료버튼이 선택되면(S460)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은 점검완료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고(S465)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점검완료정보가 관제 서버(200)로 수신되면 관제 서버(200)의 메인제어부(240)는 이 점검완료정보를 더 이용하여 앞서 기술된 작업상황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하고(S470) 현재까지 진행된 작업 상황 정보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270)을 통하여 GUI 환경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된다(S475) When the check comple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is selected (S460),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sp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200 (S465) from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When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ontrol server 200, the main control unit 240 of the control server 200 further generates and updates the above-described job status information by using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S470). The contextual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expressed in the GUI environment through the display means 270 as described above (S47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에 관한 3주체 즉, 관제 서버(200), 작업자용 모바일 단말(100) 및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 사이에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구성하여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프로세싱의 절차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hare information in real time between the three subjects, namely, the control server 200, the worker mobile terminal 100, and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which are related to the work. Maximize procedur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이 완료된 현장에 관리자가 직접 가지 않으면 후속 프로세싱이 진행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관리자로 하여금 작업 완료된 현장을 직접 확인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subsequent processing does not proceed if the manager does not go directly to the site where the work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the manager to directly check the completed site.

실시형태에 따라서, 용접 작업 등과 같이 화기를 사용하는 작업의 경우 통상적으로 관리자는 작업 대상 주변에 불씨 등이 잔존하는지 여부를 열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a job using a firearm, such as a welding job, a manager may be typically configured to check whether a ember or the like remains around a work target through a thermal imaging camera.

이 경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은 장치 자체에 부속된 열화상 카메라 또는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열화상 카메라에 의하여 생성된 열화상 영상데이터가 첨부되는 환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해, 앞서 기술된 점검완료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nager mobile terminal 300 has an environment in which thermal image data generat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attached to the device itself or a thermal imaging camera connected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300 is communicatively attached. Only,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control server 200.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작업 현장에 대한 점검/확인 작업의 실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향후 문제 발생 시 그 책임 소재 등에 대한 정보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spection / confirmation work on the work sit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responsibility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obtained in the future.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100)(작업자용) 및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단말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mobile terminal 100 (for the worker) and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dedicated hardwar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100)(관리자용 모바일 단말(300) 포함)은 데이터 내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데이터 연산 기능, 모바일 통신 또는 bluetooth 통신 등의 기능이 구현되는 하드웨어가 구비된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 내지 단말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즉, 어플리케이션의 탑재와 구동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ing the administrator's mobil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hardware that implements a function such as storing data or information, data calculation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or bluetooth communication, etc. 3 and 4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algorithm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정보 생성은 비콘(300) 신호를 이용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외 현장 환경에서는 GPS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n example using a beacon 300 signal, but of cours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generated using a GPS sensor in an outdoor field environ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thereof may be shown in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forms of modification application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the consideration.

1000 : 본 발명의 시스템
100 : 모바일 단말(작업자용)
110 : DB부 120 : 위치정보생성부
130 : 제어부 140 : 전송부
150 : 화면표시수단
200 : 관제서버
210 : 작업정보저장부 220 : 작업정보전송부
230 : 수신부 240 : 메인제어부
250 : 전원제어부 260 : 정보공유부
270 : 디스플레이 수단
300 : 모바일 단말(관리자용)
1000: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mobile terminal (for workers)
110: DB unit 120: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transmission unit
150: display means
200: control server
210: job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job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30: receiver 240: main controller
250: power control unit 260: information sharing unit
270 display means
300: mobile terminal (for administrators)

Claims (8)

현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 및
작업자, 관리자, 작업내용 및 작업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상기 복수 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현재위치정보가 상기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장소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작업시작버튼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작업개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정보저장부;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정보전송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작업개시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개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작업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 the field;
A mobile terminal provided to a worker; And
A control server for storing work information including worker, manager, work contents and work pla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work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B unit for storing the job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 controller for activating a job start button that is a user input interface only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job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job information; And
If the job start button is selected and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job star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erver,
A job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job information;
A job information transmitter to transmit job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mobile terminal;
A main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work status information by using work star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work star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OT-based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upply power to the work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DB부에 저장된 작업정보 또는 상기 현재위치정보를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OT-based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job information o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unit on the screen display mean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 소요 예정 시간이 지난 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작업종료버튼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OT based job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ctivating the job end button, the user input interface after the scheduled time required for the job included in the job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time start butt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완료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작업완료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control server,
When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work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O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by further using the work comple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완료정보가 전송되면, 완료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로부터 점검완료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점검완료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erver,
When the job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job to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control server,
IOT-based integrate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the work status information by further using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인 점검완료버튼을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현재위치정보가 작업이 완료된 해당 작업 장소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점검완료버튼을 표출하고, 상기 점검완료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점검완료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Display a check completion button, a user input interface environment, on the screen display means, but only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beacon signal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lace where the work is completed, IOT-based integrate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heck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check completion button is select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모바일 단말은,
완료된 작업 현장의 열화상 영상데이터가 첨부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점검완료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IOT-based integrate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insp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only when the thermal image data of the completed work site is attached.
KR1020170133630A 2017-10-13 2017-10-13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KR102026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30A KR102026531B1 (en) 2017-10-13 2017-10-13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30A KR102026531B1 (en) 2017-10-13 2017-10-13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67A KR20190041867A (en) 2019-04-23
KR102026531B1 true KR102026531B1 (en) 2019-09-27

Family

ID=6628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630A KR102026531B1 (en) 2017-10-13 2017-10-13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53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38B1 (en)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2316815B1 (en)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ordering organization
US20220329639A1 (en) * 2021-04-07 2022-10-13 Hyundai Doosan Infracore Co., Ltd. Call sharing system and call shar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594B1 (en) * 2019-07-26 2021-09-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of closed-space workers
KR102282574B1 (en) * 2019-09-24 2021-07-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reporting using iot devices
KR102286279B1 (en) * 2019-10-24 2021-08-05 (주)오픈웍스 Apparatus for Managing Safety of Brazi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88348B1 (en) * 2021-03-24 2023-01-13 (주)유엔이커뮤니케이션즈 Safety Platform System for Predicting Worker Risk by Construction Site Situation
KR102375484B1 (en) * 2021-05-25 2022-03-17 주식회사 마이즈 System for managing safety of construction si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127A (en) * 2002-11-18 2004-06-17 Hitachi Ltd Field work support method, syste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KR101671209B1 (en)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tunnel under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614A (en) * 2013-12-13 2015-06-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ship block management system
KR101513370B1 (en) 2013-12-23 2015-04-17 대한지적공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inform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KR102118482B1 (en) * 2014-04-25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KR101587491B1 (en) 2014-12-30 2016-01-21 한국중부발전(주) Safety Maintenance System for Power Plant Electr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127A (en) * 2002-11-18 2004-06-17 Hitachi Ltd Field work support method, syste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KR101671209B1 (en)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tunnel under constru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38B1 (en)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2316815B1 (en)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ordering organization
US20220329639A1 (en) * 2021-04-07 2022-10-13 Hyundai Doosan Infracore Co., Ltd. Call sharing system and call shar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US11870823B2 (en) * 2021-04-07 2024-01-09 Hyundai Doosan Infracore Co., Ltd. Call sharing system and call shar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67A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531B1 (en)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US201800628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control of equipment and facility resources
US9843591B2 (en) Beacon-based industrial automation access authorization
US9892559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control device
KR101736158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US9135813B2 (en) Remote lockout/tagout
CN109338325B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coating equipment, coat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70006095A (en) Safety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site and industries
KR102291259B1 (en) Ai system based on edge-computing for reinforcing safe-management in industrial site
CN107133776A (en) A kind of mobile security supervisory systems
JP2016122359A (en) Work support system
KR20160112048A (en)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JP2015219849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220133620A (en) Construction site safty control system using video analysis technology
KR20210115249A (en) 3D modeling based worker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20200374202A1 (en) Industrial field services automation platform
JP629979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KR102367869B1 (en) System for responding disaster situations
EP3522015A1 (en) Workflow generation
JP6832289B2 (en) Real-time remote control management using servers and clients for work related to the containment vessel of a nuclear power plant
WO2020166329A1 (en) Control system
EP2946371B1 (en) A control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equipment devices
JP2016031539A (en) Baggage management system
US11195402B2 (en) Predictive warning system
KR101927985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process of vacuum pum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