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380B1 -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 Google Patents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380B1
KR102026380B1 KR1020190065579A KR20190065579A KR102026380B1 KR 102026380 B1 KR102026380 B1 KR 102026380B1 KR 1020190065579 A KR1020190065579 A KR 1020190065579A KR 20190065579 A KR20190065579 A KR 20190065579A KR 102026380 B1 KR102026380 B1 KR 10202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ng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광모
Original Assignee
황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모 filed Critical 황광모
Priority to KR102019006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3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5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providing data protection in case of earthquakes, floods, storms, nuclear explosions, intrusions, fi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nitoring a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capable of rapidly identifying abnormalities in a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and equipment placed inside by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placed in the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fire inside the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and the opening/closing status of doors provided in the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in real time from the outside and the remote area of the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The device comprises: a sensor (10); a camera (20) for photograph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a signal collector (30) for collecting sensed values sensed by the sensor (10) in real time; a computer (40) for calcul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20) and the signal collector (30); a signal analysis device (50); and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for stor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40)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a display (61) at the same time, and inputting a signal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ignal collector (30) or the computer (40) through an input device.

Description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기기, 서버, 컨트롤러 등과 같은 전자장비가 수납된 전자장비 보호랙에 각종 센서 및 카메라를 배치하여 전자장비 보호랙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되, 상기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중앙관리센터의 모니터링 장치와, 전자장비 보호랙의 외면에 구비된 정보표시단말기와, 통신모듈이 구비된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보호랙 내부의 온도, 습도, 화재 등의 이상상태 발생을 3중으로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 조치를 통한 피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rrange various sensors and cameras in a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communication device, a server, a controller, and the like. While monitoring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arious sensors and cameras to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the manager terminal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t is provided to protect electronic equipment equipped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through quick response by grasping in real time the abnormal condition such a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ctronic equipment, temperature, humidity, fire inside the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rack monitoring device.

기술의 발달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실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생활의 편의와 안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and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real life, help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life.

이러한 기술 중 일 예로 통신기술의 발달은 통신장비의 개발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신장비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랩탑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중계기, 서버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들이 있다.For example,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ccompani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quipmen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a laptop, and the like, and a repeater and a server supporting network conn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tationary devices.

이 중에서 중계기 및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전자장비가 배치하되, 온도 및 습도 등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예민한 전자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자동으로 온도, 습도, 청정도 등을 관리한다. 이러한 격리된 공간을 서버룸이라고도 지칭한다.Among them, the repeater and the server ar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so that a large number of users can be connected at the same time smoothly, automatically forming a separate isolated space to protect the electronic equipment sensitiv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 temperature, humidity and cleanliness. This isolated space is also referred to as a server room.

상기 서버룸은 배치된 전자장비를 내부 및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악성 원인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서버룸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화재, 오염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전자장비의 손상 등이 있고, 외부로부터는 전자기 펄스(ElectroMagnetic Pulse : EMP)로 인한 전자장비의 파손, 신호 교란 등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The server room must maintain stability by protecting the deployed electronic equipment from various malicious causes from inside and outside, such as fire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side the server room, damage to the electronic equipment due to the inflow of polluted air, etc. From the outside, it should be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signal disturbance caused by the electromagnetic pulse (EMP).

이 중에서 전자기 펄스는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파장을 말하는 것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용품에서부터 정보통신 기기 등의 전자기적 모든 제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낙뢰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발생하며, 핵폭발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것이다.Among these, electromagnetic pulse refers to a wavelength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electricity and magnetism, and occurs naturally in all kinds of electromagnetic products such as electrical appliances used in hom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or natural phenomena such as lightning strikes. It is also caused by a nuclear explosion.

이러한 전자기 펄스는 전자장치를 물리적으로 파괴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데, 전자기 펄스에 노출된 전자기기들은 큰 에너지 펄스의 영향에 의해 오동작 내지는 파손에 이르는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는바, 중요한 업무의 기능을 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는 외부의 예상치 못한 전자기 펄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These electromagnetic pulses are powerful enough to physically destroy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exposed to electromagnetic pulses can be seriously damaged by malfunctions or breakdowns due to the effects of large energy pulses. For electronic devices, a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external unexpected electromagnetic pulses is required.

한편, 상기 서버룸 이외에도 군부대, 국가 기관 및 각종 산업체 연구소, 병원 등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전자장비, 통신장비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전자장비 보호용 랙이며,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전자기 펄스를 방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 것이 전자장비 보호용랙이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erver room, a protective means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are also used in military units, national institutions, various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s, hospitals, and the like, was required.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to add the function to protect the electromagnetic pulse to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일반적으로 전자장비 보호용 랙은 내부에 전자장비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가 구비되되, 상기 도어의 전면 또는 일부가 투명한 강화유리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electronic equipment is disposed, and a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and the front or part of the door is made of transparent tempered glass. It is configured to confirm.

따라서, 종래의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전자장비의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장비 보호용 랙으로 이동한 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도어를 개방하여 확인하였고, 여기서 개량된 기술이 전자장비 보호용 랙 또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이 배치된 서버룸에 온도센서, 습도센서, 오염감지센서 등을 배치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disposed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the administrator mov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visually checked or opened the door, where the improved technology is a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lternatively,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like are placed in a server room in which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s dispos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error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그러나, 일반적인 전자장비 보호용 랙은 내부에 다수개의 전자장비가 배치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고, 이상 발생시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 general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with the naked eye because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is disposed therein, difficult to check in real time when an abnormality occurs, so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한편, 군부대에서 사용하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은 전자기 펄스를 방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을 사용하는데, 이는 실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적군의 전자기 펄스의 공격에 의해서도 전자장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used in military units uses a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that adds a function to protect the electromagnetic pulse, which indicates that the electronic equipment is damaged even by the attack of the enemy's electromagnetic pulse that may occur in practice. It is to prevent.

그러나 종래의 전자장비 보호용랙도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다수의 전자장비가 배치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with the naked eye because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is disposed inside the same as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또한, 야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이동성이 요구되는 장비에 설치되는 전자장비 보호용랙의 경우 이동을 위하여 최소한의 부피만을 가지도로 설계되기 때문에 내부가 좁고, 좁은 내부에 다수의 전자장비가 배치된다. 따라서 배치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전자장비 보호용랙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상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in the equipment that requires mobility to be used outdoors, the interior is narrow because it is designed to have only a minimum volume,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is arranged in a narrow interi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ployed electronic equipment, and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internal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can not be confirmed in real time and spread the damag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603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60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다수 개의 전자장비가 배치된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전자장비의 동작상태와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습도, 화재 발생 등과 같은 환경변화를 확인하여 이상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피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al-time monitoring the interior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is arrang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fire generated inside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that can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by check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 quick action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에 배치된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중앙관리센터의 모니터링 장치와, 전자장비 보호랙의 외면에 구비된 정보표시단말기와, 통신모듈이 구비된 관리자 단말기로 각각 제공하여 3중으로 전자장비 보호용 랙과 거리 제한이 없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다중 및 다양한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 및 배치된 전자장비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nitoring device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and cameras dispos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t is provided as an administrator terminal each for triple monitoring without limit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distance, and checks the status of electronic equipment inside and place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through multiple and various monitoring devi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EMP 차폐층이 구비되어 EMP로부터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킨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is provided with an EMP shielding layer can protect the components from the EMP to improve the stabil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비 보호랙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장비의 전압, 전류와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 그리고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화재유무, 그리고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비의 동작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신호수집부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호수집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서 연산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광커넥터를 포함한 신호분석장치;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신호수집부 또는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분석장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방에 배치된 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판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벽체 및 상기 바닥판과 상판 그리고 복수 개의 벽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신호수집부와, 컴퓨터와, 광커넥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중 어느 하나의 벽체에는,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외부출력단자를 노출시키는 관통공과, 상기 바디를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quipment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dispose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humidity and A sensor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an open / closed state of a door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rack, a fir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rack, and an operation state of a cooling fan disposed in the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rack; A camera dispos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to capture an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And a signal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detected values detected by the sensor in real time, a computer for calcul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and the signal collecting unit, and an optical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information from the computer. Signal analysis apparatus; And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in a database and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and in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collecting unit or the computer through an input device. A signal collecting part formed by combining a bottom plate, a top plate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walls coupled to connect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nd a plurality of walls; A computer, a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n optical connector is disposed, and a through hole exposing an external output terminal provided in the computer to one of the walls, and coupling the body to a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t includes a coupling hole for.

상기 신호수집부는, 마이크로제어장치(MCU)가 실장된 메인보드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와 연결된 복수 개의 스위치가 배치된 제어모듈과, 상기 센서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보드에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과정에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에 연기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다.The signal collecting unit includes a main board on which a microcontroller (MCU) is mounted,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sensor and the microcontroller. The main board includes a temperature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moke detector for detecting smoke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during an operation of the equipment arrang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 sensor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controller are provided.

상기 센서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는 전압/전류센서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팬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or is a voltage /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equipment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t includes a door sensor and a fan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ling fan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상기 도어센서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배치되며, 도어센서 설치용 브라켓을 통해 결합되고, 설치된 도어센서 모두가 병렬로 접속되어 어느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면 이를 개방 상태의 신호로 상기 신호수집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sensors are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oors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are coupled through a door sensor mounting bracket, and all installed door sensor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open the door.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ollector as an open state.

상기 카메라는, 상기 신호분석장치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외부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는 라이트가 더 구비된다.The camer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analysis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 light whose brightness is adjusted by a command input from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상기 바디는, EMP를 차단하기 위한 EMP 차폐층이 더 구비되되, 상기 EMP 차폐층은, 비도전성필름과, 상기 비도전성필름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직포층과, 상기 비도전성필름의 타면에 부착되며 3mm ~ 5mm 간격의 매쉬(mesh) 구조를 가지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매쉬망과, 상기 매쉬망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강층 및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보강층에 함침되는 겔(gel)상의 충진재를 포함한다.The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MP shielding layer for blocking the EMP, the EMP shielding layer is a non-conductive film, a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 long fiber or short-fiber nonwoven fabric attached to one side of the non-conductive film, and It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lm and has a mesh structure with a spacing of 3 mm to 5 mm, and a mesh net made of one of polyester or glass fiber, and on one side of the mesh net. And a reinforcing layer made of long o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and a gel-like filler impregnated with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상기 충진재는, 용융지수가 0.5g/10min 이상이며 밀도가 0.910~0.914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용융지수가 0.5g/10min 이상이며 밀도가 0.958~0.960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ler is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aving a melt index of 0.5 g / 10 min or more and a density of 0.910-0.914 g / cm 3 and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having a melt index of 0.5 g / 10 min or more and a density of 0.958-0.960 g / cm 3. ) Is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1: 5 to 1:1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통신장비 및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다수 개의 센서 및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해 확인하여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monitor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arrang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meras install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Checking through the captured image or image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ase of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에 배치된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중앙관리센터의 모니터링 장치와, 전자장비 보호랙의 외면에 구비된 정보표시단말기와, 통신모듈이 구비된 관리자 단말기로 각각 제공하여 3중으로 전자장비 보호용 랙과 거리 제한이 없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다중 및 다양한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 및 배치된 전자장비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nitoring device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and cameras dispos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t is provided as an administrator terminal each for triple monitoring without limit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distance, and checks the status of electronic equipment inside and place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through multiple and various monitoring devices.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신호분석장치가 외부와 연통된 부위가 EMP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EMP 차폐층이 더 구비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MP shielding layer for blocking the portion of the signal analysis devi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s exposed to the EMP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신호수집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신호수집부와 센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신호분석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어센서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신호수집부의 동작 모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EMP 차폐층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gnal collecting uni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collecting unit and a senso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gnal analysis devic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mera mounting bracke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or sensor mounting bracke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real-time monitoring screen provided through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ignal collection unit that constitutes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P shielding lay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through a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1)는, 센서(10)와, 카메라(20)와, 신호수집부(30)와, 컴퓨터(40)와, 신호분석장치(50)와,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rack monitoring apparatus 1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10, a camera 20, a signal collecting unit 30, , A computer 40, a signal analysis device 50, and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상기 센서(10)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장비의 전압, 전류와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화재유무,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이다.The sensor 10 is install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in real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inside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for the electronic equipment. At least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provided in the ra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ling fan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이때, 상기 센서(10)는 감지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배치되는데,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는 전압/전류센서(11)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센서(12)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팬센서(13)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sensor 10 is arranged with a variety of sensor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the voltage / current sensor 11 for detect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equipment arrang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t includes a door sensor 12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fan sensor 13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ling fan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

그리고, 후술하는 신호수집부(30)에 구비된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과정에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습도감지센서(312)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에 연기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313)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humidity sensor 31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in the signal collect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It further includes a smoke sensor 313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moke in the protective rack.

상기 전압/전류센서(11)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으로 인입되는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인입지점의 전압과 인입지점에서 하나의 선만을 전류측정부로 통과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압과 전류를 각각 측정하도록 별도로 구성되며 전압은 병렬로 연결하고 전류는 CT코일을 사용하여 전원선의 1선만 통과하도록 구성한다.The voltage / current sensor 11 is for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drawn into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it is preferable that only one line is passed through the current measuring unit at the point of voltage and the point of entry. Here, it is configured separately to measure voltage and current, and the voltage is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curren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only one line of power line using CT coil.

상기 전압/전류센서(11)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은 후술하는 외부 모니터링 장치(60)에 다음과 같이 표시되는데, 하기의 표시는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 current sensor 11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to be described below, but the following display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 전력측정 범위 0 ~ 22 kW Power measurement range 0 to 22 kW

. 0 ~ 10kW 범위 : 0.000 to 9.999        . 0 to 10kW Range: 0.000 to 9.999

. 10 ~ 22kW 범위 : 10.00 ~ 22.00.        . 10 to 22 kW range: 10.00 to 22.00.

- 전력량 측정 범위 0 ~ 9999 kWh      Power measurement range 0 ~ 9999 kWh

. 0 ~ 10kWh 범위 : 0.000 to 9.999;        . 0 to 10kWh range: 0.000 to 9.999;

. 10 ~ 100kWh 범위 : 10.00 to 99.99;        . From 10 to 100 kWh: 10.00 to 99.99;

. 100 ~ 1000kWh 범위 : 100.0 to 999.9;        . Range from 100 to 1000 kWh: 100.0 to 999.9;

. 1000 ~ 9999kWh 범위 : 1000 to 9999.        . 1000 to 9999 kWh Range: 1000 to 9999.

- 전압측정 범위 80 ~ 260 VAC     -Voltage measurement range 80 ~ 260 VAC

. 표시 포맷 110.0 ~ 220.0.        . Display Format 110.0 to 220.0.

- 전류측정 범위 0 ~ 100 A     Current measuring range 0 ~ 100 A

. 표시 포맷 00.00 to 99.99.        . Display Format 00.00 to 99.99.

상기 도어센서(12)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설치용 브라켓(121)을 통해 결합되고, 다수 개의 도어센서(12)가 병렬로 접속되어 어느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면 이를 개방 상태의 신호로 상기 신호수집부(30)로 전송한다.The door sensor 12 is disposed in a doo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For example, the door sensor 12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oors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Coupled through 121, a plurality of door sensors 1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ransmit any one door to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as a signal in the open state.

즉,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는 경우 이를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신호로 즉시 신호수집부(30)로 전송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That is, when any one of the doors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s opened, it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as a signal in the open state to take necessary measures.

이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되는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의 보수 또는 교체 등의 작업 이외에 임의로 개방되는 경우 이를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해 노출하여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door is opened arbitrarily in addition to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r the electronic equipment arrang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t may be exposed through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to close the open door. do.

한편, 상기 도어센서(12)는 도어센서 설치용 브라켓(121)을 통해 도어 또는 도어와 인접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센서 설치용 브라켓(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곡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도어 또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sensor 12 is coupled to the door or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djacent to the door through the door sensor installation bracket 121, the door sensor installation bracket 121 is shown, as shown in FIG. This bent plat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coupled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rack for protecting the door or electronic equipment by using a bolt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도어센서(12)가 결합되는 한 쌍의 압입볼트(122)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압입볼트(122)의 위치 및 개수는 도어센서(12)의 형태, 크기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press-fit bolts 122 to which the door sensor 12 is coupled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press-fit bolts 122 are changeabl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door sensor 12 and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drawing.

상기 팬센서(13)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팬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가 배치된다.The fan sensor 13 is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ling fan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oling fans is disposed.

이러한 팬센서는 풍향을 센싱하는 풍향센서, 풍량을 센싱하는 풍량센서, 풍속을 센싱하는 풍속센서, 모두를 포함하며 이중 2가지 이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센서도 포함됨은 물론이다.The fan sensor includes a wind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the wind direction, a wind volume sensor for sensing the air volume, a wind speed sensor for sensing the wind speed, and both of which include a sensor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two or more of them.

그리고, 냉각팬의 작동 유무 및 회전 속도를 감지하도록 팬 회전에 따른 빛 투과량을 측정하는 아날로그 광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이저 조사를 통해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레이저측정센서모듈 등으로도 대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nalog optical sensor may be installed to measure the amount of light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to detect the cooling fan's opera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may also be used as a laser measurement sensor module that measu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oling fan through laser irradiation. Can be replaced.

또한, 냉각팬 및 전자소자의 구동 여부 및 이상 유무 판단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자력세기를 측정하는 자력센서모듈, 자계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계감지모듈, 자외선 발생 유무 및 발생량을 측정하는 자외선센서모듈 등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force sensor module for measuring the magnetic strength as needed, the magnetic field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gnetic field, the ultraviolet rays to measure the presence and generation of ultraviolet rays in order to apply the cooling fan and the electronic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 or not. Sensor modules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상기 온도습도감지센서(312)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온도측정범위는 -40 ~ 123.8℃이며, 습도측정범위는 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humidity sensor 312 is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ange is -40 ~ 123.8 ℃, the humidity measurement range is preferably 0 ~ 100%.

이러한 온도습도감지센서로는 열전대, RTD, 서미스터, 적외선 온도센서, 디지털 출력 온/습도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may be applied to a thermocouple, RTD, thermistor, infrared temperature sensor, digital output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상기 연기감지센서(313)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연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감시하는 것으로, 센서의 변화값을 ADC(Analog-to-Digital Converte)로 측정하며 감지하는 연기의 종류는 담배연기, 연료용가스, 유기용제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 등이다.The smoke sensor 313 monitors the fire by detecting the smoke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n real time. The change value of the sensor is measured by an 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and the type of smoke is a cigarette. Smoke, fuel gases, gases generated by organic solvents, and the like.

상기 카메라(20)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통신장비 및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그리고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 상태를 영상 또는 이미지로 촬영하여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amera 20 is dispos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by photograph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disposed therein, and the internal state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s an image or an image. Is to make it available to administrators.

이러한 카메라(20)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간의 간격이 좁은 특성을 고려하여 화각이 170°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소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거나,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다층으로 적층 배치된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mera 20 preferably supports an angle of view of 170 ° in consideration of a narrow space between devices disposed in a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More preferably, the camera 20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or spaced apart up and down to take a picture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r electronic equipment stacked in a multi-layer.

한편, 상기 카메라(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21)을 통해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결합되는데, 상기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21)은 한 쌍의 카메라(20)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카메라 결합공(211)과, 한 쌍의 카메라 결합공(211) 사이에 형성되어 라이트(22)가 결합되는 라이트 결합공(212)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20 is coupled to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through the camera mounting bracket 21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camera mounting bracket 21 is a pair of camera 20 The light coupling hole 212 formed between the pair of camera coupling holes 211 and the pair of camera coupling holes 211 formed at the mutually spaced positions so as to be coupled to the mutually spaced positions and the light 22 is coupled thereto. It includes.

그리고 상기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21)은 카메라(20) 및 라이트(22)가 실장된 PCB기판을 이물질 및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볼트가 맞물리는 볼트결합공(2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amera mounting bracket 21 is preferably formed in a hollow housing so as to protect the PCB board on which the camera 20 and the light 22 are mounted from foreign matter and moisture, and bolt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s engaged with the bolt coupling hole 213 is form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21)은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의 위치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Camera mounting bracket 21 made as described above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r electronic equipment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또한, 상기 카메라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랙 내부의 전자장비들에 대한 열화 상태를 촬영하여 신호분석장치(50)로 전송되고, 분석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 모니터링 장치(60), 정보표시단말기(62) 및 관리자 단말기(63)으로 전송하여 3중으로 모니터링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ay include a thermal imaging camera, the thermal imaging camera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to record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in the rack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62, and the manager terminal 63 to perform triple monitoring.

그리고, 상기 라이트(22)는 상기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는 것으로, 이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조도가 낮거나 높아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해 라이트(22)의 조도를 제어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ight 22 is a brightness is adjusted by a command input from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which is to check the image or image taken by the camera due to the low or high illumination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n the difficult case,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22 is controlled through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to obtain a clearer image or image.

이러한 라이트(22)는 저전력 고휘도의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 22 preferably uses a low power, high brightness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신호수집부(30)는 상기 센서(10)에서 감지된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감지값을 후술하는 컴퓨터(40)로 전송하며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제어모듈(32)에 구비된 스위치(32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제어장치(MCU)(311)가 실장된 메인보드(31)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와 연결된 복수 개의 스위치(321)가 배치된 제어모듈(32)과, 상기 센서(10)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를 연결하는 커넥터(33)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보드(31)에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과정에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습도감지센서(312)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에 연기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313)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314)가 구비된다.The signal collecting unit 30 collects the detected values detected by the sensor 10 in real time, transmits the collected detection values to the comput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command input from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321 provided in the control module 32,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main board 31, the microcontroller (MCU) 311 is mounted, and And a control module 32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321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311 and a connector 33 connecting the sensor 10 and the microcontroller 311 to each other. In the board 31, a temperature humidity sensor 31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presence of smoke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Smoke detection sensor 313 for detecting the, and the micro control The power supply 314 for supplying power to the value (311) is provided.

상기 메인보드(31)는 상기 센서(10)들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처리하기 위한 회로 및 외부 모니터링 장치(60)에서 입력되어 컴퓨터(40)를 거쳐 변환된 명령을 처리하는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감지값과 명령을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제어장치(311)가 실장된 PCB기판으로 구성된다.The main board 31 is equipped with a circuit for processing the sensed values detected from the sensors 10 and a circuit for processing a command input from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and converted through the computer 40, It consists of a PCB board mounted with a micro-control device 311 for processing the sensed value and the command.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는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을 가공 또는 분석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서, 단위 시간마다 수집되는 로우데이터를 분석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를 결과값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microcontroller is a processor for processing or analyzing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various sensors. The micro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raw data collected every unit time, calculate an average value to remove noise, and transmit the averaged value as a resultant value. have.

또한,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는, 상기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모두 취합하여 이상 상황 감지의 최적화를 위한 머신 러닝 기반의 학습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이상 상황에 대한 결과 발생 전 진행 추이를 통해 이상 상황 발생을 예측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learn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for optimizing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by collecting all of the sensed values detected from the various sensors and cameras, so that the progress before the result of the abnormal situation is progress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bnormal situations.

일 예로 빅데이터 형태의 감지값에 이상 유무 정보를 취합하여 정상 구동 추이분포곡선과 이상발생 추이분포곡선을 생성, 저장하고 현재 각종 센서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을 일정 시간 동안 추이분포를 통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기존 추이분포곡선을 추적하여 향후 추이분포를 예측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t generates and stores the normal driving trend distribution curve and abnormal occurrence trend distribution curve by collecting abnormality information in the detection value of big data type and most recently detects the detected values received from various sensors and cameras through the trend distribu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to predict future trend distribution by tracking existing trend distribution curves that are considered similar.

이에 따라 향후 일정 시점 경과 후에 이상 발생이 이루어질지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예비알람이벤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후술하는 외부 모니터링 장치, 정보표시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등에 제공한다.Accordingly, when an event occurs whether an abnormal occurrence occurs after a certain time in the future, the preliminary alarm even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a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제어모듈(32)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의해 On/Off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321)가 배치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스위치(321)는 상기 신호수집부(3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The control module 32 is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311 is arranged a plurality of switches 321 on / off by a command input through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each switch ( 321 is configured to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signal collector 30.

상기 신호수집부(30)의 동작 모드란, 도 11 및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1부터 모드 13까지 기 설정된 제어명령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321)를 동작시켜 모드 1부터 모드 13까지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변경되면서 상기 센서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다.The operation mode of the signal collecting unit 30 includes preset control commands from mode 1 to mode 13 as shown in FIG. 11 and Table 1 below, and operates the switch 321 to operate mode 1 to mode 13. It is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sensor while being changed in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모드번호Mode number 데이터종류Data type 기준값Reference value 인덱스index 단위unit 비고Remarks Mode 1Mode 1 교류전압AC voltage 220.5220.5 0~50-5 VV Mode 1Mode 1 소모전류Current consumption 0.000.00 7~107-10 AA Mode 2Mode 2 온도Temperature 34.634.6 11~1511-15 CC Mode 2Mode 2 습도Humidity 65.365.3 16~2016-20 %% Mode 3Mode 3 연기센서Smoke sensor 00 21~2221-22 1:연기발생1: smoke generation 0:정상0: normal Mode 4Mode 4 도어센서Door sensor 00 23~2423-24 1:문열림1: door open 0:문닫힘0: Door closed Mode 5Mode 5 팬1센서Fan 1 sensor 00 25~2625-26 1:이상발생1: abnormality 0:정상0: normal Mode 6Mode 6 팬2센서Fan 2 sensor 00 27~2827-28 1:이상발생1: abnormality 0:정상0: normal Mode 7Mode 7 버져동작Buzzer motion 00 29~3029-30 1:이상발생1: abnormality 0:정상0: normal Mode 8Mode 8 SSR1동작SSR1 operation 1One 31~3231-32 1:동작중1: in operation 0:미동작중0: Inactive Mode 9Mode 9 SSR2동작SSR2 operation 1One 33~3433-34 1:동작중1: in operation 0:미동작중0: Inactive Mode 10Mode 10 라이트1Light 1 55 35~3635-36 9:가장밝음9: brightest 0:꺼짐0: Off Mode 11Mode 11 라이트2Light2 55 37~3837-38 9:가장밝음9: brightest 0:꺼짐0: Off Mode 12Mode 12 1~11 전체동작1 ~ 11 overall operation Mode 13Mode 13 장비정상모드Equipment normal mode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모드 1은 데이터종류 즉, 확인대상물이 교류전압 및 소모전류를 감지하는 전압/전류센서이며, 기준값이 교류전압은 220.5이고, 소모전류는 0.00이며, 인덱스는 교류전압은 0~5이고 소모전류의 인덱스는 7~10이며, 단위값은 ‘V’와 'A'이다.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the mode 1 is a data type, that is, a voltage /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the AC voltage and the current consumption, the reference value is 220.5, the current consumption is 0.00 , The index of AC voltage is 0-5, the index of current consumption is 7-10, and the unit values are 'V' and 'A'.

즉,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켜 신호수집부(30)를 모드 1의 제어명령을 실행하도록 변경하면, 상기 신호수집부(30)로 수집되는 감지값중 교류전압 및 소모전류를 감지하는 전압/전류센서(11)로부터 획득한 감지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미만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값을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로 전송한다.That is, when the switch is operated to change the signal collector 30 to execute the control command of Mode 1, a voltage /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n AC voltag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ng the detection values collected by the signal collector 30. Check whether the detected value obtained from (11)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transmits the confirmed value to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이후,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해 다음 모드로 변경되면 해당하는 모드 즉, 모드 2에 해당하는 온도 및 습도와 관련된 감지값을 확인한다.Then, when the change to the next mode through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checks the detection value related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that is, mode 2.

한편 상기 인덱스는 해당 센서 및 SSR, 라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의 저장테이블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dex is a storage table for storing data related to the sensor, SSR, and light.

상기 커넥터(33)는 상기 메인보드(31)와 센서(10)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커넥터(33)는 상기 센서에 연결된 케이블 또는 단자가 결합되며, 나아가 상기 라이트(22)와 마이크로제어장치(311)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카메라(20)를 이용한 촬영시 필요한 조도를 마이크로제어장치(311)를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or 33 connects the main board 31 and the sensors 10, and the connector 33 is coupled to a cable or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ensor, and furthermore, the light 22 and the microcontroller ( It is configured to connect 311 to adjust the illuminance required when shooting with the camera 20 through the microcontroller (311).

상술한 각 센서들의 인터페이스와 측정 주기는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Interfaces and measurement periods of the above-described sensors are as described in Table 2 below.

구 분division 인터페이스interface 주기Cycle 비고Remarks

RACK
상태정보


RACK
Status Information
전압Voltage I2CI2C 12초(sec)12 seconds (sec)
전류electric current I2CI2C 12초(sec)12 seconds (sec) 온도Temperature I2CI2C 12초(sec)12 seconds (sec) 습도Humidity I2CI2C 12초(sec)12 seconds (sec) 도어상태Door condition GPIOGPIO 2초(sec)2 sec 화재감지Fire detection ADCADC 2초(sec)2 sec 냉각팬1Cooling Fans1 ADCADC 2초(sec)2 sec 냉각팬2Cooling Fans2 ADCADC 2초(sec)2 sec

UPS
운용정보


UPS
Operation Information
입력전압Input voltage RS232CRS232C 2초(sec)2 sec
입력주파수Input frequency RS232CRS232C 2초(sec)2 sec 출력전압Output voltage RS232CRS232C 2초(sec)2 sec 배터리전압Battery voltage RS232CRS232C 2초(sec)2 sec 출력전류Output current RS232CRS232C 2초(sec)2 sec 내부온도Internal temperature RS232CRS232C 2초(sec)2 sec
제어기능

Control function
라이트1Light 1 PWMPWM 필요시If necessary
라이트2Light2 PWMPWM 필요시If necessary 전원제어1Power control 1 GPIOGPIO 필요시If necessary SSRSSR 전원제어2Power control 2 GPIOGPIO 필요시If necessary SSRSSR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전압/전류센서는 I2C 인터페이스로 신호수집부(30)와 연결되고, 전압/전류센세의 동작 주기는 12초(sec)이다.As shown in Table 2, the voltage / current sensor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through the I2C interface, the operation cycle of the voltage / current sensor is 12 seconds (sec).

상기 표 2에 기재된 내용 중 UPS 운영정보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무정전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정전전원장치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UP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s shown in Table 2 is to detect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a communication equipment or electronics arrang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t is optionally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equipment.

따라서 상기 표 2에 기재된 UPS 운영정보도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무정전전원장치가 배치된 상태에서 무정전전원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Therefore, the UPS opera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Table 2 also shows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 a state in whic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또한, 상기 표 2에 기재된 내용 중 제어기능은 후술하는 카메라(20)에 구비되어 촬영 영역의 조도를 조절하는 라이트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전원제어의 경우 무접점릴레이(SSR)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상용전원이나 상기 무정전전원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직접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무접점릴레이는 후술하는 신호수집부(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EMP의 유입에 의해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의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 해당 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func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Table 2 is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provided in the camera 20 to be described later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shooting area, and in the case of power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actless relay (SSR) This is to control the power directly by using the commercial power or the power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is contactless relay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or communicate by the inflow of EMP It can be configure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quipment in case of damage to the equipment or part of the electronic equipment.

상기 컴퓨터(40)는 인가된 전원과 전송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카메라(20)와 상기 신호수집부(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동작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팬리스 타입의 컴퓨터를 사용한다.The computer 40 operates by the applied power and the transmitted signal,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20 and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Preferably, the noise is not generated during operation. Use a light fanless computer.

그리고, 상기 컴퓨터(4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비디오단자, 마우스 및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등이 구비되고, 내부에 배치되는 CPU, 마더보드, 메모리, 파워서플라이 등의 구성은 필요시 변경 가능한 것으로 각 장치에 대한 사양에 제한은 없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팬리스(fanless) 타입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이 방열판 타입으로 이루어진다.The computer 40 is provided with a video terminal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and the like, and a configuration of a CPU, a motherboard, a memory, a power supply, etc. There is no limit to the specifications of each device as it can be changed if necessary.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is configured as a fanless type so that noise does not occur during operation, and preferably, a housing for protecting a component disposed therein is formed as a heat sink type.

상기 신호분석장치(50)는 상기 컴퓨터(40)에서 연산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광컨버터(52)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신호수집부(30)와 상기 컴퓨터(40)가 각각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신호분석장치(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includes an optical converter 52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mputer 40, and the signal collector 30 and the computer 40 are each configured in a module form. And may be disposed in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이를 위해 상기 신호분석장치(50)는, 바닥판(511)과, 상기 바닥판(511)의 상방에 배치된 상판(512)과, 상기 바닥판(511)과 상판(512)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벽체(513) 및 상기 바닥판(511)과 상판(512) 그리고 복수 개의 벽체(5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신호수집부(30)와, 컴퓨터(40)와, 광컨버터(52)가 배치되는 수용공간(514)이 형성된 바디(51)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is coupled to connect the bottom plate 511, the top plate 512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511, and the bottom plate 511 and the top plate 512. A plurality of walls 513 and the bottom plate 511, the upper plate 512, and the plurality of walls 513 to form the signal collecting unit 30, the computer 40, and the optical converter ( It is composed of a body 51 is formed a receiving space 514 is disposed 52.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벽체(513) 중 어느 하나의 벽체(513)에는, 상기 컴퓨터(40)에 구비된 외부출력단자(41)를 노출시키는 관통공(53)과, 상기 바디(51)를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54)이 형성된다.The wall 513 of any of the plurality of walls 513 includes a through hole 53 exposing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41 provided in the computer 40 and the body 51. A coupling hole 54 is formed to couple to the equipment protection rack.

여기서 상기 신호분석장치(50)를 구성하는 바닥판(511)과, 상판(512), 그리고 벽체(513)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 일 옐로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514)에 배치된 신호수집부, 컴퓨터 및 광커넥터가 동작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전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ottom plate 511, the top plate 512, and the wall 513 constituting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ne yellow aluminum,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us accommodates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ignal collector, computer, and optical connector disposed at 514 may be configured to conduct hea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광컨버터(52)는 상기 신호분석장치(50)에 배치된 컴퓨터(40)와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광컨버터(52)는 광통신을 이용하여 컴퓨터(40)와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연결함으로서 기존의 케이블을 통한 연결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배치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각각 배치된 컴퓨터를 하나의 외부 모니터링 장치 또는 다수의 외부 모니터링 장치가 배열된 중앙관제실(미도시됨)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converter 52 is to connect the computer 40 disposed in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and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to enable communication, such optical converter 52 is a computer using optical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and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can be arranged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compared to the connection through the conventional cable, and the computers disposed in the racks for prot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spectively. One external monitoring device or a plurality of external monitoring devices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not shown) arranged.

이는 기존의 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신거리가 길고 데이터의 이동속도가 빠르며 전자기파에 방해받지 않고 안정성이 확보된 광통신을 이용함으로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is can be achieved by using optical communication, which has a relatively long communication distance, a fast data movement speed, and stability without being disturbed by electromagnetic waves, compared to a conventional cable.

또한, 상기 광컨버터는 상기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지값(데이터)을 전달받되, 전송된 감지값이 아날로그 형태인 경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후술하는 외부 모니터링 장치, 정보표시단말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tical converter receives a sensed value (data) transmitted from the various sensors and cameras, if the transmitted sensed value is an analog form, converts it into digital data to be described later,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manager terminal Is configured to transmit.

이러한 광컨버터는 전술한 컴퓨터와 외부 모니터링 장치, 정보표시단말기, 관리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통신 형태로는 Wi-Fi, BLE 또는 RS485, RS232와 같은 시리얼 통신이 적용될 수 있고, 유무선랜 등의 통신 형태로 이더넷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tical converter is provided so tha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omputer,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a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the like, such a communication type may be applied to serial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E or RS485, RS232,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via an Ethernet network in a communication form such as a wired or wireless LAN.

상기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는, 상기 컴퓨터(40)와 광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며 동시에 디스플레이(61)를 통해 출력하여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 환경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며, 마우스, 키보드, 전자 펜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신호수집부(30) 또는 컴퓨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즉, 명령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40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and store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nd outputs the same through the display 61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it is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ignal collecting unit 30 or the computer 40, that is, a command signal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keyboard, electronic pen.

상기 디스플레이(61)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앙에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상기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감지값 및 무정전전원장치의 상태를 감지한 감지값이 표시되고, 하방에 상기 카메라(20)의 촬영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라이트의 조도를 조절하는 제어버튼과,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통신장비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을 On/Off 시키기 위한 장비전원 제어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61 displays an image or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and is detected from the sensors upward. The detected value and the detected value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re displayed, and a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camera 20 below,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dispose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lternatively, a device power control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도 10은 동일한 위치를 촬영한 카메라에서 라이트의 조도를 변경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9a는 라이트를 Off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촬영된 화면에서 장비의 동작 상태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고, 도 9b와 같이 라이트를 2단계 조도로 조절한 후 촬영함으로써 관리자가 촬영된 화면에서 장비의 동작 상태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shows that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is changed in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same position, Figure 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ght is turned off, the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can not be clearly confirmed on the captured screen By controlling the light to two levels of illumination as shown in FIG. 9B, the manager can clearly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외부 모니터링 장치에는 실시간으로 전송된 데이터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초과하는 경우 알람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상황판단부와, 상기 상황판단부의 알람이벤트정보 생성시 이를 전달받아 경고음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 생성 및 저장, 그리고 경광등 구동신호 생성 등의 형태로 알람수단을 통해 경고 상황을 알리는 알람발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receives a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alarm event information when th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generates the event information when the alarm event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alarm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d store warning sound data or image data, and to generate a warning signal through alarm means in the form of a warning light driving signal.

여기서 상황판단부는 상기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일정 시간단위별로 복수 회로 전달 받은 감지값을 평균하여 평균데이터를 산출한 후 이를 기준으로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감지값의 노이즈 또는 순간 오동작으로 인한 데이터 오류를 필터링하기 위해서이다.Her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average data by averaging the detection values received from the various sensors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s from the various sensors and cameras, and the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detection data, which is noise or instantaneous malfunction of the detection values. This is to filter out data errors caused by.

이때 어느 하나의 감지값이 이를 제외하여 평균한 평균데이터보다 10%이상 또는 10%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감지값은 평균데이터 산출시 제외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산출된 평균데이터를 통해 전술한 기설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상황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if any one of the detected values has a value of 10% or more or 10% or less than the average data except for this, the corresponding detected value is configured to be excluded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data. Preferably, the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eset threshol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물론 어느 하나의 감지값으로 평균데이터 산출 제외가 이루어지도록 할것인지 또는 특정 회수의 감지값으로 평균데이터 산출 제외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는 배치된 전자장비 및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규격 및 센서의 특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Of course, whether one exclusion value should be excluded from the average data calculation or a certain number of detection values from the average data calcula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loyed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It can be set appropriately.

그리고,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고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단말기(62)가 더 구비되고,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63)로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외부에서도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및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62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is provided outside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and display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arious sensors and cameras, and is provided as a manager terminal 63 capable of network connec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s and cameras, administrators can check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in real time from the outside.

상기 정보표시단말기와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감지한 감지값과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를 통해 연산처리된 정보를 제공받고, 전술한 상황판단부 및 알람발생부에서 신호 생성시 이를 전달받도록 구성된다.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are connect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puter, and receive sensing values detected by various sensors and cameras and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controller, and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larm generation. The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is when generating a signal.

상기 정보표시단말기는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외벽에 구비되어 상술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자가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별도로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to display the above-described various information to check the internal situa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separately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input the necessary commands.

물론 정보표시단말기를 터치(touch)로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 있다.Of course,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an be configured as a touch panel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touch.

그리고 정보표시단말기에는 상기 알람발생부에서 신호 발생시 외부로 음성 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음성 메세지 출력과 동시에기설정된 중앙관리센터의 외부 모니터링 장치 및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to the outside when th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alarm generat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output of the voice message to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of the predetermined central management center to notify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더넷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폰, 테블릿PC, 랩탑 또는 관리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can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etc. in a state that the administrator is carrying, such as a wearable form worn on the body of a smartphone, a tablet PC, a laptop or a manager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thernet network. Can be made.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음성 메세지가 출력되는 스피커, 그리고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자판 등이 구비되어 상술한 정보 표시 및 제어 명령 입력 등을 진행하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이 배치된 현장에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더라도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상황 및 배치된 전자장비의 상황을 확인하고 이상 발생시 또는 발생 전에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 및 대처가 가능해지게 된다.Such a manag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play and control command input.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reside in the deployed sit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and the status of the deployed electronic equipment and to receive and respond to informa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or before the occurren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MP 차폐층(70)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 표면 또는 신호분석장치(50)를 구성하는 바디(51)에 구비되어 EMP가 바디(51)의 내측 수용공간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비도전성필름(71)과,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직포층(72)과,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의 타면에 부착되며 3mm ~ 5mm 간격의 매쉬(mesh) 구조를 가지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매쉬망(73)과, 상기 매쉬망(73)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강층(74) 및 상기 부직포층(72)과 상기 보강층(74)에 함침되는 겔(gel)상의 충진재(7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e EMP shielding layer 70 is provided on the body 51 constituting the rack surface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r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so that the EMP has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dy 51. In order not to damage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non-conductive film 71, a non-woven layer 72 made of a long-fiber or short-fiber nonwoven fabric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lm 71, and the non-conductive It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lm 71 and has a mesh structure of 3mm to 5mm intervals, a mesh net 73 made of any one of polyester or glass fiber, and the mesh I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net 73 and includes a reinforcing layer 74 made of a long fiber o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and a gel-like filler 75 impregnated in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and the reinforcing layer (74).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레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소재로하여 형성되되 30 ~ 60㎛ 두께를 갖는 얇은 필름 형태로서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나 원형을 유지하려는 복원력이 있으며, 습기의 투과를 막고 충격과 흠집에 강한 것이다.The non-conductive film 71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olyolefin, polyester, polystyrene, polyamide, and polycarbonate, and has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to 60 μm. As a form, it has a restoring force to easily bend or maintain its original shape by external force, prevents the penetration of moisture, and is resistant to impact and scratches.

상기 부직포층(72)은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300g/㎡ ~ 500g/㎡의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소재로 하여 형성된다.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lm 71 and is made of a long fiber o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and is formed of 300 g / m 2 to 500 g / m 2 of long or short fibers as a material.

이때 선택된 소재를 압착하여 두께를 줄이고 동시에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직포층은 상기 충진재(75)와 비도전성필름(71)이 서로 일체화되게 하는 접합 매개체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thickness by pressing the selected material to increase the strength at the same time. This nonwoven fabric layer is a bonding medium that allows the filler 75 and the nonconductive film 71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부직포층(72)은 비도전성필름(71)에 맞댄 후 가압하면서 열로 부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부착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may be attached by heat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non-conductive film 7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매쉬망(73)은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의 타면 즉, 상기 부직포층(72)의 반대 방향에 부착되고, 3mm ~ 5mm 의 간격(크기)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보강층(74)과 비도전성필름(71)을 서로 일체화되게 하는 매개체이다.The mesh net 73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lm 71, that is,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and is formed at intervals (sizes) of 3 mm to 5 mm, and a reinforcing layer 74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 medium which makes the nonelectroconductive film 71 integrate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매쉬망(73)은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속재질의 원사를 한 가닥 이상 혼합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로 매쉬망에 충진재(75)가 함침되면서 경화되는 과정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sh net 73 is a lifting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hardening the filler material 75 is impregnated in the mesh net t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by mixing at least one of the warp and the weft yarn at least one strand of a metallic material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is from occurring.

상기 보강층(74)은 상기 매쉬망(73)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부직포층(7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충진재(75)의 함침 또는 침투가 보다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매쉬망에 의한 비도전성필름(71)과의 일체화 부착 기능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층(74)은 100g/㎡ ~ 200g/㎡의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layer 74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esh net 73 and is made of a long fiber o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and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ow density compared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to impregnate the filler 75 Or it is easier to penetrate, and the integral attachment function with the non-conductive film 71 by the mesh is maintained. This reinforcing layer 74 is composed of a long fiber o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of 100g / ㎡ ~ 200g / ㎡.

상기 충진재(75)는 상기 부직포층(72)과 보강층(74)에 함침되는 것으로, 반고체 형태로 형상화 되어진 겔(gel)상태를 유지하면서 부직포층(72)과 보강층(74)에 도포된 후 각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미세한 틈으로 침투된다.The filler 75 is impregnated in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and the reinforcement layer 74, each layer after being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and the reinforcement layer 74 while maintaining a gel (gel) state is formed in a semi-solid form Penetrates into the fine gaps of the nonwoven fabric.

이러한 충진재(75)는 바디(51)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디(51)와 차폐층(7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 상기 틈새로 침투하면서 틈새를 채움으로써 EMP 차폐층(70)이 바디(5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filler 75 has a gap between the body 51 and the shielding layer 70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ached to the body 51, the EMP shielding layer 70 fills the gap while filling the gap with the body 51. ) To prevent them from escaping.

이러한 충진재(75)는, 용융지수가 0.5g/10min 이상이며 밀도가 0.910~0.914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용융지수가 0.5g/10min 이상이며 밀도가 0.958~0.960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배합한다.The filler 75 is a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aving a melt index of at least 0.5 g / 10 min and a density of 0.910 to 0.914 g / cm 3 and a high density having a melt index of at least 0.5 g / 10 min and a density of 0.958 to 0.960 g / cm 3. Polyethylene (HDPE) is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1: 5 to 1:10.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성이 우수하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으로, 다양한 실험을 거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차폐층을 형성할 때 가공성이 우수하며 제조된 차폐층의 내충격성 및 전자파 차폐 기능도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The low density polyethylene is excellent in workability because of its low density, and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The shielding function was also found to be excellent.

특히,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물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을 배합함으로써 가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particular, in the combination of the low-density polyethylene and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t has been shown that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by blending polyethylene having the above physical properties.

상기 충진재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비율을 달리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압출 과정에서 유동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물성이 저하되며 동시에 전자파 차폐 성능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the filler, when the content of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is different, if the content of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is too small, the fluidity decreases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and the content of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When too much, the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is also lowe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10 : 센서
20 : 카메라
30 : 신호수집부
40 : 컴퓨터
50 : 신호분석장치
60 : 외부 모니터링 장치
70 : EMP 차폐층
1: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10: sensor
20: camera
30: signal collection unit
40: computer
50: signal analysis device
60: external monitoring device
70: EMP shielding layer

Claims (8)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장비의 전압, 전류와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 그리고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화재유무, 그리고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10);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비의 동작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20);
상기 센서(10)에서 감지된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신호수집부(30)와,
상기 카메라(20)와 상기 신호수집부(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컴퓨터(40)와,
상기 컴퓨터(40)에서 연산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광컨버터(52)를 포함한 신호분석장치(50);
상기 컴퓨터(4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동시에 디스플레이(61)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신호수집부(30) 또는 컴퓨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모니터링 장치(60);
상기 광컨버터(52)는 상기 신호분석장치(50)에 배치된 컴퓨터(40)와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고 광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분석장치로부터 획득된 분석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 모니터링 장치(60), 정보표시단말기(62) 및 관리자 단말기(63)으로 전송하여 3중으로 모니터링하며,
상기 정보표시단말기에는 알람발생부에서 신호 발생시 외부로 음성 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구비되어, 음성 메세지 출력과 동시에 기설정된 중앙관리센터의 외부 모니터링 장치 및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바디(51)는, EMP를 차단하기 위한 EMP 차폐층(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EMP 차폐층(70)은,
비도전성필름(71)과,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직포층(72)과,
상기 비도전성필름(71)의 타면에 부착되며 3mm ~ 5mm 간격의 매쉬(mesh) 구조를 가지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매쉬망(73)과,
상기 매쉬망(73)의 일면에 부착되며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강층(74) 및
상기 부직포층(72)과 상기 보강층(74)에 함침되는 겔(gel)상의 충진재(75)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75)는,
용융지수가 0.5g/10min 이상이며 밀도가 0.910~0.914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용융지수가 0.5g/10min 이상이며 밀도가 0.958~0.960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s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in real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nstall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and plac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A sensor (10) for dete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state and an operation state of a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operation state of a cooling fan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 camera 20 disposed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to capture an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A signal collector 30 collecting the sensed values detected by the sensor 10 in real time;
A computer 40 for calculating and proces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20 and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A signal analysis device (50) including an optical converter (52)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mputer (40);
Stor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40 in a database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61, and in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collector 30 or the computer 40 through an input device. Monitoring device 60;
The optical converter 52 connects the computer 40 disposed in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and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uses the optical communication to analyze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ignal analysis device in real time. Triple monitoring by transmitting to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62 and the manager terminal 63,
Th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to the outside when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alarm generat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to output the voice message and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ity to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and administrator terminal of the predetermined central management center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he body 51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MP shielding layer 70 for blocking the EMP,
The EMP shielding layer 70,
Non-conductive film 71,
A nonwoven layer 72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lm 71 and made of a long fiber or a short fiber nonwoven fabric;
It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lm 71 and has a mesh structure of 3mm ~ 5mm interval, mesh net 73 made of any one of polyester (polyester) or glass fiber (glass fiber) and ,
Reinforcing layer 74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esh net 73 and made of a long fiber o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and
A gel-like filler 75 impregnated in the nonwoven fabric layer 72 and the reinforcement layer 74,
The filler 75,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with a melt index of at least 0.5 g / 10 min and a density of 0.910 to 0.914 g / cm 3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with a melt index of at least 0.5 g / 10 min and a density of 0.958 to 0.960 g / cm 3: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5 to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집부(30)는 마이크로제어장치(MCU)(311)가 실장된 메인보드(31)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와 연결된 복수 개의 스위치(321)가 배치된 제어모듈(32)과,
상기 센서(10)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를 연결하는 커넥터(33)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보드(31)에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의 동작과정에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습도감지센서(312)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 내부에 연기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313)와,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31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3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collector 30 includes a main board 31 on which a microcontroller (MCU) 311 is mounted,
A control module 32 i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321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311 are disposed;
It includes a connector 33 for connecting the sensor 10 and the microcontroller 311,
The main board 31,
A temperature humidity sensor 312 for detect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during an operation of the equipment arrang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Smoke detection sensor 313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moke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unit 314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controller (3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10)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는 전압/전류센서(11)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센서(12)와,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배치된 냉각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팬센서(1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10,
A voltage / current sensor 11 for detect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equipment dispos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 door sensor 12 for detecting an open / close state of a doo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of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Rack monitor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fan sensor (13)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ling fan dispose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r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석장치(50)는 바닥판(511)과, 상기 바닥판(511)의 상방에 배치된 상판(512)과, 상기 바닥판(511)과 상판(512)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벽체(513) 및 상기 바닥판(511)과 상판(512) 그리고 복수 개의 벽체(5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신호수집부(30)와, 컴퓨터(40)와, 광컨버터(52)가 배치되는 수용공간(514)이 형성된 바디(51)와,
상기 복수 개의 벽체(513) 중 어느 하나의 벽체(513)에는, 상기 컴퓨터(40)에 구비된 외부출력단자(41)를 노출시키는 관통공(53)과, 상기 바디(51)를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includes a bottom plate 511, a plurality of top plates 512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511, and a plurality of bottom plate 511 and top plates 512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ignal collector 30, the computer 40, and the optical converter 52 are formed by combining the wall 513, the bottom plate 511, the top plate 512, and the plurality of wall 513. A body 51 having a receiving space 514 disposed therein;
The wall 513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alls 513, through-hole 53 for exposing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41 provided in the computer 40 and the body 51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54 for coupling to the rack is 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센서(12)는 상기 전자장비 보호용 랙에 구비된 도어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설치용 브라켓(121)을 통해 결합되고,
설치된 도어센서(12)가 모두 병렬로 접속되어 어느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면 이를 개방 상태의 신호로 상기 신호수집부(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oor sensor 12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oors provided in the rack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is coupled to the door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21,
All of the installed door sensors 12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when any one door is opened, it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ollection unit 30 as a signal in the open state, the rack monitoring for protection of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Device.
청구항 1 또는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신호분석장치(50)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외부 모니터링 장치(60)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는 라이트(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amera 20,
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analysis device 50,
Rack monitoring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a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brightness control by the command input from the external monitoring device (6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65579A 2019-06-03 2019-06-03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KR102026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79A KR102026380B1 (en) 2019-06-03 2019-06-03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79A KR102026380B1 (en) 2019-06-03 2019-06-03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380B1 true KR102026380B1 (en) 2019-09-27

Family

ID=6809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79A KR102026380B1 (en) 2019-06-03 2019-06-03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3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02B1 (en) * 2020-11-27 2021-01-14 김덕원 Video monitoring system of distribution board and automatic controlling panel
KR20210100791A (en) * 2020-02-06 2021-08-18 안상수 Auto Extinguisher device for sever rack and Operation method of Auto Extinguishe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221A (en) * 2006-02-10 2008-11-04 어메리칸 파워 컨버젼 코포레이션 Storage ra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090061366A (en) * 2007-12-11 2009-06-16 두성산업 주식회사 A multi-layer elastic composite cushion with good vertical electric current-applying performanc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20140107119A (en) * 2013-02-27 2014-09-04 제일모직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MI Shielding Property
KR20170066031A (en) 2015-12-04 2017-06-14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Emp protection rack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221A (en) * 2006-02-10 2008-11-04 어메리칸 파워 컨버젼 코포레이션 Storage ra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090061366A (en) * 2007-12-11 2009-06-16 두성산업 주식회사 A multi-layer elastic composite cushion with good vertical electric current-applying performanc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20140107119A (en) * 2013-02-27 2014-09-04 제일모직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MI Shielding Property
KR20170066031A (en) 2015-12-04 2017-06-14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Emp protection rack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791A (en) * 2020-02-06 2021-08-18 안상수 Auto Extinguisher device for sever rack and Operation method of Auto Extinguisher device
KR102331467B1 (en) 2020-02-06 2021-11-29 안상수 Auto Extinguisher device for sever rack and Operation method of Auto Extinguisher device
KR102203902B1 (en) * 2020-11-27 2021-01-14 김덕원 Video monitoring system of distribution board and automatic controlling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380B1 (en) Monitoring of Rack for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on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KR1013555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of distributing board
CN206619958U (en) Security monitoring power distribution cabinet and its system
CN107810368A (en) User control with the shell comprising angled circuit board
CN206649329U (en)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room intelligent environment monitoring equipment
KR102073154B1 (en) Communication cable distribution device of apartment house
CN102496235B (en) Image fire detector possessing optical integrity and method thereof
US20120072147A1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WO2021118101A1 (en) Portable fire detecting apparatus
CN203149369U (en) Warehouse supervisory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359853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remote control panel having integrated anomaly monitoring and defect prediction function using removable infrared sensor module for quick installation
CN202995944U (en) Intelligent region intrusion alarming system
CN103807720B (en) Fire emergency lamp with camera
CN113554843A (en) Pyrolytic particle fire detection method and detector
CN206671841U (en) A kind of contactless explosion-proof control instrument
CN105345782A (en) Intelligent electric safety tool cabinet
CN203500075U (en) Coal mine main fan on-line monitoring system
KR101264591B1 (en) Fire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CN107064585A (en) A kind of anti-electricity-theft metering cabinet
KR101180010B1 (en) insulation diagnosis apparatus of forswitchgear using ultraviolet rays sensor and electromagnetic wave sensor
CN105356330A (en) Outdoor power distribution box with safety monitoring system
CN108877114A (en) A kind of multi-screen mine supervision system
CN206115179U (en) Equipment backstage monitoring device
CN213024708U (en) Electrical fire point type detector
CN207529197U (en) A kind of Multifunction Sensor good with antistatic insulating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