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424B1 -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424B1
KR102023424B1 KR1020170147110A KR20170147110A KR102023424B1 KR 102023424 B1 KR102023424 B1 KR 102023424B1 KR 1020170147110 A KR1020170147110 A KR 1020170147110A KR 20170147110 A KR20170147110 A KR 20170147110A KR 102023424 B1 KR102023424 B1 KR 10202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application
environment
config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436A (en
Inventor
박용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4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96Methods or tools to render software tes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이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상기 앱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와 상기 앱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환경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thod of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a main application executed in association with a service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the main application execution input; Executing a setting application for setting a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e setting application providing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tting up a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Connecting the main appl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set setup environment to receive a web configuration; And setting a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 and the app config, and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in the set use environment.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방법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Appl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and test method using the same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임의로 설정하고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nd a test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rbitrarily configuring and testing an application environment at a remote location.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휴대단말) 등의 스마트기기(smart device)는 특정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응용프로그램, 이하,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칭함)을 기기에 인스톨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general,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he like, have application programs having specific purposes and functions. A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on a device.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처음 등장한 이후 초장기에는 앱 개발의 핵심은 참신한 아이디어였으나, 기술이 성숙해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최근의 어플리케이션의 개발핵심은 사용상의 편이와 품질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자세히, 1세대와 2 세대의 어플리케이션은 주로 스마트폰 단독 기계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신선한 아이디어가 성공의 핵심 요소였었다. 그러나 최근 3세대에서는 다수의 동종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간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직관적이면서도 에러없이 완벽하게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출시하는 것이 필수화가 되었다. In the early years since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the core of app development was a novel idea. However, as the technology matures and the competition becomes fierce, the core of recent application development is shifting to ease of use and quality. In detail, the 1st and 2nd generation applications are mainly operated on a smartphone-only machine, and fresh ideas were the key to success. In recent years, however, as competition among applications of many homogeneous functions is fierce, it has become essential to create and release applications that are intuitive and error-free.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철저하게 실제 사용할 사용자를 대상으로 충분한 시험을 거쳐 보완한 후에 어플리케이션 시장에 출시해야 하고 출시한 이후에도 꾸준한 에러 관리와 새로운 이벤트 도입이 필수적이여서, 어플리케이션 개발 못지않게 품질 검사가 중요해지고 이를 담당하는 품질테스터(QA)의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application to the application market after thoroughly testing and supplementing the application thoroughly for actual users, and since it is essential to maintain error management and introduce new events even after launching, quality inspection is as important as application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 quality tester (QA) is being highlighted.

이러한 품질테스터는, 일반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사용중 에러가 발생할 경우 에러 발생 원인을 확인한 후 제빠른 보완조치를 취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면, 품질테스터는, 특정 지역에 몬스터들이 과다하게 강해지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역에 몬스터들의 리젠 (regeneration) 설정을 오프(off)하고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 원인이 어플리케이션 내부 빌드 문제인지 서버의 문제인지 판단한 후 해당 문제에 원인을 제거하고 다시 몬스터 리젠 설정은 온(on)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quality tester needs to check the cause of the error and take quick corrective action when an error occurs while the general user uses the application, the quality tester should be able to arbitrarily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example, in a game application, the quality tester turns off the monster's regeneration setting in the region when an error occurs that causes the monsters to become excessively strong, and whether the error is caused by an internal build problem.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problem is a server, remove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turn on Monster Reg. Again.

이와같은 사용환경에 대한 설정을 어플리케이션 빌드 변경을 통해 수행할 경우, 빌드를 변경하고 빌드를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버전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유저 또한 매번 새로운 설정마다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When setting up such an environment through application build change, it is cumbersome to change the build and register a new version in the application store every time the build is changed, and the user also needs to update the application every new setting. There is inconvenience.

한편, 품질테스터는, 어플리케이션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거나 이벤트를 제공하려 할 때, 이러한 기능과 이벤트가 에러없이 제대로 수행될지 실제 유저들에게 제공되는 리얼 서비스 환경과 유사한 서비스 환경에서 여러 사용환경 설정을 변경해가며 테스트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 유지보수 및 새로운 버전 개발을 위해 리얼 서비스 환경과 유사한 환경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테스터 보다 좀 더 높은 권한에서 사용환경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quality tester introduces a new function to an application or provides an event, the quality tester can change various configuration settings in a service environment similar to a real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to real users to ensure that these functions and events perform without error. You need to test it. In addition, the developer needs to run the application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real service environment and to change the configuration settings at a higher level than the tester for application maintenance and new version development.

따라서,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업체들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용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서비스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복수의 빌드로 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세히,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기 용이하도록 개발자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개발자용 서비스 환경(예컨대, 알파 서비스 환경)으로 동작하는 개발빌드의 어플리케이션과, 품질테스터가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용이하도록 테스터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예컨대, 베타 서비스 환경)으로 동작하는 테스트빌드의 어플리케이션과, 일반 유저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리얼 유저용 서비스 환경(예컨대,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 동작하는 리얼빌드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Therefore, current application service companies need to design a plurality of builds for one application to operate in different service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In detail, the application of a development build that operates as a developer service environment (e.g., an alpha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configured for the developer to make it easier for the developer to design the appl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for the tester so that the quality tester can test the application. A test build application running as a tester service environment (e.g., a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a real build application running as a real user service environment (e.g., a real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configured for general users are required. .

이러한 복수의 서비스 환경을 구축해놓으면 품질테스터는, 특정 일자에 아이템을 할인하는 상점 이벤트를 진행하려 하는 경우, 미리 베타 서비스 환경에서 상기 상점 이벤트를 설정하고 제대로 동작하는지 실행해 본 후 제대로 동작한다면 해당 설정으로 리얼 서비스 환경의 설정을 세팅하여, 오류 없이 일반 유저들에게 새로운 이벤트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If multiple service environments are established, the quality tester sets up the store event in a beta service environment in advance and executes it if it is going to work properly. By set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new events can be seamlessly provided to the general users without error.

그러나 상기 베타 서비스 환경과 리얼 서비스 환경의 빌드가 다르다면, 베타 서비스 환경에서는 제대로 동작하나 리얼 서비스 환경에서는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However, if the build of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is different,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may operate correctly, but an error may occur in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또한, 빌드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개발자는, 위 세가지 서비스 환경의 빌드를 각각 모두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현재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운영체제(예컨대, 안드로이드, IOS) 별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별로 각각 다른 빌드로 설계되어야 하는데, 위 사용용도에 따라 3가지 빌드를 생성할 경우, 서로 다른 빌드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관리의 어려움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uild needs to be modified, the developer has to modify all the builds of the above three service environments. In particular, the current application should be designed in a different build for each application store that supplies different applications for different operating systems (eg, Android, IOS). If you create three builds according to the above usag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exponentially increases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또한, 품질테스터 입장에서도, 베타 서비스 환경의 어플리케이션과 리얼 서비스 환경의 어플리케이션을 둘다 설치하여 양 어플리케이션을 번갈아 실행하며 테스트 해야 하며, 새롭게 업데이트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설치해야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the quality tester should install both the application in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in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to run and test both applications alternately, and in order to test the newly updated version of the application, the new version of the application must be reinstalled. There is a difficulty.

KR 10-2016-0099778 AKR 10-2016-0099778 A KR 10-1637371 B1KR 10-1637371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에 대한 설정을 손쉽게 변경하고 올바르게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that can easily change the setting for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the application even from a remote location and confirm whether it has been changed correctly.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빌드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복수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의 업무 복잡도를 최소화하고 빌드 오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스터들이 손쉽게 새로운 기능이나 이벤트들을 일반 유저들에게 제공하기 전에 미리 테스트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테스트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service environments even in an application composed of a single build, thereby minimizing developer's work complexity and preventing build errors, and allowing testers to easily provide new functions or events to general users. We want to provide an application environment test method that can be tested beforehand.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웹 컨피그를 설정하는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팅된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에 따라 설정된 상기 사용환경으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interworking with a service server and executing a main application sets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wherein the processor sets a web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Providing a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Receiving, by the processor, a web config set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tting, by the processor,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uration; And executing, by the processor, the main application in the usage environment set according to the web config.

이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웹 브라우저 메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세팅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상기 웹 컨피그 설정 권한 인증을 받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웹 컨피그 설정을 변경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viding of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by the processor may include connecting the processor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main application or a setting main application, and setting the web config to the service server by the processor. Receiving a permission certification, and the processor may include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hanging the web configuration settings, if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또한, 상기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변경되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은, 이벤트, 실행기능 또는 결제 환경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기능실행과 관련된 실행환경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which is changed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may be an execution environment related to execution of the function after execution of the main application including an event, an execution function, or a payment environment setting.

이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provides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main application, the processor sets the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and the processor sets the setup environment. And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to receive the web config.

또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앱 컨피그를 받아 셋업 데이터를 변경하여 상기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셋업 업데이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hrough a setting applica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the main application may include a setup updater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n app config set in the setting application and change setup data to set the setup environmen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앱 컨피그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웹 컨피그를 통해 설정된 사용환경으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execution of the main application by the processor may include the step of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by the processor in an application configuration set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and a usage environment set through the web configur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have.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이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상기 앱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와 상기 앱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환경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interworking with a service server and executing a main application and a setting application sets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main application. Receiving an input; Executing, by the processor, the setting application for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e processor, the setting application providing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tting, by the processor, a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The processor receiving the web configuration by connecting the main appl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set setup environment; And setting, by the processor, a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 and the app config, and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in the set use environment.

이때,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개발자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개발자용 서비스 환경, 테스터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 일반 유저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리얼 유저용 서비스 환경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is an app for selecting one of a developer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set for developers, a service environment for testers that can be set for testers, and a service environment for real users that can be set for general users. Config settings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개발 서버, 테스트 서버 및 리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개발 서버, 상기 테스트 서버 및 상기 리얼 서비스 서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may include a development server, a test server, and a real service server, and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provides an app config setting for selecting one of the development server, the test server, and the real service server. can do.

또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일반 유저들에게 서비스되는 현재 버전과, 상기 현재 버전으로 업데이트 전 구버전 또는 앞으로 업데이트할 미래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may provide an app config setting for selecting one of a current version serviced to general users of the main application, an old version before updating to the current version, or a future version to be updated in the future. .

또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비스 환경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환경에서 접속 가능한 상기 서비스 서버를 검색한 후 검색된 서비스 서버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환경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 환경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버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실행 버전만을 선택하도록 제공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is selected,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arches for the service server accessible from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n selects only the searched service server, and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and the service server are selected,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 execution version executable in the service server may be searched and provided to select only the found execution version.

또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테스트방법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 컨피그에 새로운 이벤트 발생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이 설정된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환경으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test method for testing the main application by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by a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interoperating with a service server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the processor Providing a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service server; Setting, by the processor, a new event occurrence in the web config via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Receiving, by the processor, a web config in which the occurrence of the new event is set from the service server; And setting, by the processor,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 and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in the set usage environment to confirm occurrence of the new event.

이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ceiving of the web config by the processor may include: providing, by the processor,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main application,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et up the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And setting, by the processor,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set setup environment and receiving the web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테스터가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을 테스트할 테스트 서버이며, 상기 웹 컨피그 설정은,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이 특정 버전으로 접속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앱 컨피그를 통한 셋업 환경은,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에서 상기 테스트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특정 버전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환경일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is a test server for a tester to test the new event occurrence, and the web config setting is set to transmit to the main application to which the new event occurrence is connected in a specific version. The setup environment may be an environment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test server in a test environment for testers and to operate in the specific version.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원격지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에 대한 설정을 손쉽게 변경하고 올바르게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easily change the setting fo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application even in a remote location and check whether it is correctly changed.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웹 컨피그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개발자나 테스터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발생 요인을 파악하기 용이하고 사용환경 설정을 통한 제 빠른 보완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detail, the application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vides a web config setting interface so that a developer or a tester can easily grasp an error occurrence factor when an error occurs while using the application, and can quickly compensate through the environment setting.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하나의 빌드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복수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의 업무 복잡도를 최소화하고 빌드 오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스터들이 손쉽게 새로운 기능이나 이벤트들을 일반 유저들에게 제공하기 전에 미리 테스트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vides a plurality of service environments even in an application composed of one build, thereby minimizing the complexity of the developer's work and preventing build errors. You can test the events before they are made available to the general public.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단말기에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여도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발자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유저가 사용하는 리얼 모드로도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이나 테스트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수의 서비스 환경이 제공 가능하여, 알파/베타 서비스 환경에서 테스트한 사용환경 설정을 리얼 서비스 환경에 그대로 적용하여도 에러 발생율이 줄어들 것이며, 빌드 수정시에도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빌드만 수정하면 되므로 개발자의 업무 부담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In detail,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executed in the developer mode or the test mode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even if only one main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and the main application in real mode used by the general user. Because it can be run, it is easy to develop and test an application. In addition, a single main application can provide a plurality of service environments, and even if the application environment settings tested in the alpha / beta service environment are applied to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the error occurrence rate will be reduced. Since only the build needs to be modified, the developer's workload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앱 컨피그와 웹 컨피그 두 가지로 이원화하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사용환경을 개발, 테스트할 수 있으며,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에 주체를 찾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develop and test various usage environments by dividing and setting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into two types, the app config and the web config, and find the subject of the error occurrence when an error occurs. There is an easy advantag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테스트방법은, 앱 컨피그 설정과 웹 컨피그 설정를 통한 이원화된 사용환경 설정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error occurred in the main application and cope quickly through the dual use environment settings through the app configuration settings and the web configuration sett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세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컨피그 세팅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컨피그 세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앱 컨피그를 세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환경 변경설정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오류 원인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operation concept of a main application and a set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app config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n application use environment through app config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app config with a set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esting a usage environment chang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rror caus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etc.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 시스템은,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terminal 100,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a service server 300.

먼저,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는, 공급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면 일반 유저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송신하는 서버로서, 단말기(100)의 운영체제, 제조업체 또는 통신사가 운영하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First,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is a server that transmits the registered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general users when a provider registers an applica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pplication store operated by an operating system, a manufacturer, or a communication company of the terminal 100. Can be.

그리고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단말기(100)와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급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n application provid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necessary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with the terminal 100.

이러한 서비스 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개발자가 개발자용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발 서버(310)와,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단계에서 테스터가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서버(320)와, 일반 유저들에게 리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얼 서비스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300, at least one development server 310 for the developer to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for developers in the step of developing an application, and a tester for providing a service environment for the tester in the step of testing the application At least one test server 320 and at least one real service server 330 for providing a real service environment to the general user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개발자의 단말기(101)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테스터의 단말기(10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일반 유저의 단말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terminal 101 of a developer who develops an application, a terminal 100 of a tester that tests the application, and a terminal 102 of a general user who uses the application. have.

위 단말기(100)들의 공통부분을 먼저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100)들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데스크 탑 PC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First, the common parts of the terminals 100 will be described. The terminals 100 may includ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100,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t least one of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PC, a ultrabook, a wearable device, a glass glass, and a desktop PC.

좀더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display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memory 140, and a processor 150.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을 온(on)/오프(off)시키는 실행 입력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기능에 대한 설정, 실행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입력부(1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1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the input unit 110 may detect an execution input for turning on / off an application, a setting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an execution input,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b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user's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120 may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input unit 110 to implement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10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또한, 통신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하기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에 따라 구축된 네트워크망 상에서 기지국,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 서비스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 or the service server 3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detail,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an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may connect to the service server 3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following communication scheme (for exampl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 A wireless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a service server 300 on a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WiBro (Wireless Broadband)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한, 메모리(14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are driven in th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ng the terminal 100, and instructions. The memory 140 may be a variety of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40 on the Internet. web storage).

또한, 프로세서(150)는,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5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50 may include a processor 150 that executes an application by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The processor 15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and micro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controller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개요 Overview

이러한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면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can be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0 to run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may additionall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changing a usage environment setting of the application.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환경 설정, 서비스 서버 설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전 설정 등을 포함하는 셋업(setup) 설정과, 이벤트, 실행기능, 결제 환경과 같이 실행 후 사용과 관련된 실행환경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application environment setting includes setup settings including application service environment settings, service server settings, application execution version settings, and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s related to post-run use such as events, execution functions, and payment environments. It may include.

이하, 이와같이 사용환경 설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정의하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세팅 어플리케이션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pplication which can be set as the usage environment is defined as a main application, and a program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is defined as a setting application.

- 메인 어플리케이션 Main application

자세히,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해주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해당될 수 있으며, 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main application may correspond to any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o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game application, a web browser application, a messenger application, and the like.

이러한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환경 설정이 가능하도록 빌드가 설계되어,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웹 컨피그를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 내부 데이터를 변경하여 사용환경 설정이 가능하고, 세팅 어플리케이션의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사용환경 설정이 가능하다. The main application, the build is designed to enable the use environment sett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data inside the main application through the web configur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rough the app configuration setting of the setting application User environment can be set.

좀더 자세히,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웹 컨피그(web. Config)에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변경하여 실행하도록 빌드되어, 개발자나 테스터는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웹 컨피그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를 설정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main application is built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use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web config (web. Config)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so that the developer or tester provides the web config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The web interface of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set through the setting interface to set a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예를들어, 개발자와 테스터는, 원격으로 단말기(100)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설정 권한을 인증 받으면 웹 컨피그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웹 컨피그를 설정하여, 원격지에서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veloper and the tester may remotely access the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web browser application or the setting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web configuration when the user is authorized to configure the configuration. By setting the web configur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it is possible to change and set the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even in a remote location.

즉, 개발자 단말기(101)와 테스터 단말기(100)는,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원격지에서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developer terminal 101 and the tester terminal 100 may provide a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service server 300 so as to change the use environment setting of the main application even at a remote location.

이때, 웹 컨피그 설정 변경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 설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터 단말기(100)는, 특정 날짜에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웹 컨피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점 기능을 오프하도록 웹 컨피그를 설정하는 등의 실행환경에 대한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setting the application environment by changing the web configuration setting may be an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tester terminal 100 may set a web config so that an event occurs on a specific date, and provide a setting for an execution environment, such as setting a web config to turn off a store function.

이러한 단말기(100)의 웹 컨피그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발자나 테스터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발생 요인을 파악하기 용이하고 사용환경 설정을 통한 제 빠른 보완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interface of the terminal 100, a developer or a tester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identify an error occurrence factor when an error occurs while using an application, and quick complementary measures can be made through the use environment setting.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앱 컨피그(app. config) 설정을 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변경하여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개발자나 테스터는 서비스 서버(300)의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application is designed to change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by setting the app config (app. Config)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so that the developer or the tester can set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of the service server 300. You can set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실행시 셋업환경에 대한 셋업 데이터(520)를 앱 컨피그를 통해 변경 설정하는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include a setup updater module 510 configured to change and set setup data 520 for a setup environment through an app config when the main application 500 is executed.

즉, 단말기(100)에, 메인 어플리케이션(500)과 매칭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설치되어 있으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앱 컨피그에 기초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을 통해 셋업 데이터(520)를 변경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if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tching the main application 500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he setting application 400 provides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and is based on the app config set by the user.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setup data 520 through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of the main application 500.

- 세팅 어플리케이션 -Setting appl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컨피그 세팅 화면을 나타낸다. 4 shows an app config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변경 가능한 사용환경 설정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환경 설정(11), 서비스 서버 설정(12),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전 설정(14)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셋업(setup) 설정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usage environment setting that can be changed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f the terminal 100 includes an application service environment setting 11, a service server setting 12, an application execution version setting 14, and the like. May be an application setup configuration.

자세히, 단말기(100)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개발자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개발자용 서비스 환경(예컨대, 알파 서비스 환경), 테스터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예컨대, 베타 서비스 환경), 일반 유저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리얼 유저용 서비스 환경(예컨대, 리얼 서비스 환경)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서비스 환경은, 사용환경 설정 권한이나, 표시되는 정보 등이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알파 서비스 환경은, 개발자들이 개발자 단말기(101)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개발하고 자체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개발 서버(310)와 접속하여 개발 모드로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되는 환경을 말하며, 개발을 위한 환경이므로 리얼 서비스 환경과 로그인, 결제 시스템 등이 전혀 상이하며 캐릭터 이미지 변경/삭제/추가 등이 가능하는 등 실행환경 설정 권한에 대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베타 서비스 환경은, 테스터가 테스터 단말기(100)로 새로운 이벤트나 서비스 릴리즈 전에 테스트하기 위한 환경으로 테스트 서버(320)와 접속하여 테스트 모드로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되는 환경을 말한다. 테스트를 위한 환경이므로 리얼 서비스 환경과 로그인, 결제 시스템 등이 전혀 상이하며 다양한 테스트를 위해 게임머니 레벨 등을 임의로 설정이 가능한 실행환경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detail,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f the terminal 100 includes a developer service environment (eg, an alpha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set for a developer, a service environment for a tester (eg, a beta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set for a tester, An app config setting interface for selecting one of a real user service environment (eg, a real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set for a general user may be provided. As such, different service environments may have different usage environment setting rights and displayed information. Here, the alpha service environment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ain application 500 is executed as a development mode by connecting to the development server 310 so that developers develop the main application 500 in the developer terminal 101 and proceed with self testing. It is an environment for development, so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login, payment system, etc. are completely different,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 authority such as character image change / delete / add.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ain application 500 is executed as a test mode by connecting to the test server 320 as an environment for the tester to test before a new event or service release to the tester terminal 100. Since it is an environment for testing,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login, payment system, etc. are completely different, and the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 that can arbitrarily set the game money level for various tests will be possible.

이러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하나의 빌드로 설계되어 있으나 앱 컨피그 설정에 따라서 알파 서비스 환경, 베타 서비스 환경 및 리얼 서비스 환경을 선택적으로 모두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application 500 is designed as one build, but may selectively provide both an alpha service environment, a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a real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app configuration.

따라서, 개발자나 테스터는, 단말기(100)에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만 설치하여도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개발자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유저가 사용하는 리얼 모드로도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이나 테스트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refore, even if only one main application 500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he developer or the tester can run the main application 500 in the developer mode or the test mode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and is used by the general user. Since the main application 500 can be executed in the real mo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pplication development or testing is easy.

또한,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으로 복수의 서비스 환경이 제공 가능하여, 알파/베타 서비스 환경에서 테스트한 사용환경 설정을 리얼 서비스 환경에 그대로 적용하여도 에러 발생율이 줄어들 것이며, 빌드 수정시에도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빌드만 수정하면 되므로 개발자의 업무 부담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ervice environments can be provided by one main application 500, the error occurrence rate will be reduced even if the usage environment tested in the alpha / beta service environment is applied to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as it is, and even when the build is modified. Since only the main application 500 of the build needs to be modif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load of the developer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단말기(100)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접속할 서비스 서버(300)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f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service server 300 to be accessed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자세히, 서비스 서버(300)는, 복수의 개발 서버(310), 테스트 서버(320) 및 리얼 서비스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전술한 서버 중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실행시 접속할 서버를 셋업 설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터나 개발자는, 접속 서버를 변경해가며 어플리케이션 에러의 원인을 체크하거나, 테스트 서버(320)나 개발 서버(310)를 이용해 새로운 이벤트나 기능을 테스트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rvice server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elopment servers 310, a test server 320, and a real service server 330, an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f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rver. During the execution of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provide to set up the server to be connected. Therefore, the tester or developer can change the access server to check the cause of the application error, or use the test server 320 or the development server 310 to test new events or functions.

예컨대, 테스터는, 테스트 서버(32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설정해 놓은 후, 해당 테스트 서버(320)에 접속하도록 설정하여, 특정 이벤트가 잘 동작하는지를 임의로 테스트해 볼 수 있다. 이때, 테스터는, 베타 서비스 환경으로 상기 이벤트를 테스트해 본 후,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다시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ster may set the test server 320 to generate a specific event and then connect to the test server 320 to randomly test whether the specific event works well. In this case, the tester may test the event in a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then test the main application 500 by using the app config setting again in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또한, 단말기(100)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실행 버전(version)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f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n execution version of the main application 500.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현재 서비스 버전과, 현재 버전으로 업데이트 전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구버전 또는/및 앞으로 업데이트할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미래 버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전 데이터 설정은 셋업 데이터(52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include the current service version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he old version of the main application 500 before updating to the current version, and / or future version data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o be updated in the future. This version data setting may be included in the setup data 520.

따라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현재 버전, 구버전 또는 미래 버전으로 앱 컨피그를 설정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설정 버전으로 실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pp application can be set to the current version, the old version, or the future version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the setting version.

개발자나 테스터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버전을 변경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여, 새로운 버전의 에러 발생 가능성을 테스트해보거나, 에러 발생 원인을 찾을 수 있고, 새롭게 도입한 이벤트를 테스트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developer or tester can change the version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to test the possibility of error occurrence of a new version, find the cause of the error, or test a newly introduced event.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또한, 단말기(100)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셋업 설정뿐만 아니라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실행환경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실행환경 설정 변경이 가능할 경우, 해킹 우려가 있어 이러한 실행환경 설정은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f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500 as well as the setup setting. However, when the main application 500 can change the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there is a risk of hacking. Therefore, the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 may be preferably made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정리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한 앱 컨피그 설정과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사용환경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서비스 환경과 같은 셋업 설정을 하고,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이벤트 발생 등과 같은 실행 환경 설정을 연동해가며 수행하여, 다양한 테스트, 오류 원인 검출, 사용환경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set the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and the web config setting of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You can set up setup like service environment and execute execution environment setup such as event generation through web config setup to perform various tests, error cause detection, usage environment setup.

이를 위해, 개발자 단말기(101)와 테스터 단말기(100)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과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셋업 환경 설정이 가능하며, 일반 유저 단말기(102)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만 설치되어 리얼 서비스 사용환경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eveloper terminal 101 and the tester terminal 100, the main application 500 an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installed to enable a variety of setup environment settings, the general user terminal 102, the main application ( Only 500 may be installed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a real service environment.

자세히, 개발자 단말기(101)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만 기 설치되어 있으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로 언제든지 수신하여 설치한 후 셋업 설정을 통해 알파 서비스 환경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개발 서버(310)의 웹 컨피그 설정과 접속할 개발 서버(310) 설정을 통해 다양한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환경 설정방법, 테스트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eveloper terminal 101 receives and installs the main application 500 at any time as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if only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already installed, and then sets up the main application 500 as an alpha service environment through a setup setting. It can be executed, and can provide a user environment setting method, a test method, etc. for performing various development tasks through the web server configuration of the development server 310 and the development server 310 to be connected.

마찬가지로, 테스터 단말기(100)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만 기 설치되어 있으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로 언제든지 수신하여 설치한후 셋업 설정을 통해 베타 서비스 환경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 서버(320)의 웹 컨피그 설정과 접속할 개발 서버(310) 셋업 설정을 통해 다양한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환경 설정방법, 테스트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다.Similarly, the tester terminal 100, if only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already installed, the main application 500 is installed at any time by receiving and installing the main application 500 to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the main application (500) to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through the setup settings ), And may provide a user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performing various development tasks, a test method, and the like through the web server configuration of the test server 320 and the development server 310 setup setting to be connected.

그리고 일반 유저 단말기(102)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만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200)로부터 설치할 수 있으므로, 리얼 서비스 환경에서만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Since the general user terminal 102 can install only the main application 500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200, the general user terminal 102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only in a real service environment.

- 메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의 일 실시예 One embodiment of the main application environment settings

이하, 테스트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웹 컨피그와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변경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hanging an application using environment through web config and app config setting based on the test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컨피그 세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n application use environment through app config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50)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실행 입력이 있으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S101)Referring to FIG. 5, if there is an execution input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he processor 150 of the terminal 100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S101)

자세히,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실행입력이나, 기타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되는 조건이 만족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50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when the execution input of the user's main application 500 or a condition that the other main application 500 is executed is satisfied.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하면, 프로세서(150)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이 동작하여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검색할 수 있다. (S102)When the main application 500 executes, the processor 150 may search for the setting application 400 by operating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of the main application 500. (S102)

이미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검색 절차 없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세팅된 셋업 설정에 따라서 바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If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be directly executed according to the setup setting set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without a separate searching procedure.

만약,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도록 매칭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없으면,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은, 일반 유저를 위한 리얼 서비스 환경, 가용 가능한 리얼 서비스 서버(330) 및 현재 버전으로 셋업 설정을 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S103)If there is no setting application 400 matched to set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may include a real service environment for the general user, an available real service server 330, and the current version. The main application 500 can be executed by setting up the setup. (S103)

즉,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없는 일반 유저 단말기(102)라면, 리얼 서비스 환경에서만 동작하도록 하여, 일반 유저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받아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main application 500 is a general user terminal 102 without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he main application 500 operates only in a real service environment, and the general user receives the main application 500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only in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It may be designed to.

만약,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사용환경을 설정하도록 매칭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검색되면,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은,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에서 설정된 앱 컨피그 설정에 따라 셋업 데이터(520)를 설정하여, 셋업 설정에 따른 사용환경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If a matching setting application 400 is found to set the main application 500 using environment,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sets the setup data 520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ting set i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n this case,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be executed in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etup setting.

세팅 어플리케이션(400) 자동실행 설정이 되어있다면, 프로세서(150)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검출되면, 자동으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에 앞서 사용환경을 설정하도록 실행할 수 있다. (S104)If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set to execute automatically, the processor 150 may automatically execute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o set the usage environment before the main application 500 whe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detected. . (S104)

즉,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미리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에서 세팅된 앱 컨피그 설정을 불러오도록 실행할 수 있고, 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실행에 앞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앱 컨피그를 세팅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이를 통해 설정된 앱 컨피그에 따라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it can be executed to call up the app config settings set i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or, setting the app config by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etting application 400 before running the main application (500) After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 through this will be possible.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50)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에서 제공하는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5)Whe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executed, the processor 150 may provide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setting application 400. (S105)

예를 들어, 도 4를 보면,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환경 설정(11), 연동할 서비스 서버 설정(12),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전 설정(14)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셋업 설정을 선택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lects an application setup setting including an application service environment setting 11, a service server setting 12 to be linked, an application execution version setting 14, and the like. It may be a graphical user interface.

자세히,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먼저, 알파 서비스 환경, 베타 서비스 환경, 리얼 서비스 환경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first provide to select one of an alpha service environment, a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a real service environment.

그리고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서비스 환경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환경에서 접속 가능한 서비스 서버(300)를 검색한 후 검색된 서비스 서버(300)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베타 서비스 환경이 선택되면, 베타 서비스 환경에서 접속 가능한 테스트 서버(320)들과, 가능한 경우 리얼 서비스 서버(330)들을 검색한 후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따.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is select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provide a service server 300 that can be accessed in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n select only the searched service server 300. For example, when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is select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search for test servers 320 accessible from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if possible, search for real service servers 330 and provide them as selectable. There is.

또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서비스 환경과 접속 서비스 서버(300)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환경과 서비스 서버(300)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버전을 검색하고 검색된 실행 버전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and the access service server 300 are select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provide to search for the execution version executable in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 service server 300 and to select only the found execution version.

이와 같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셋업 설정을 보조하여, 좀더 원활하게 셋업 환경을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assist the user in setting up the setup,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set up the setup environment more smoothly.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한 앱 컨피그 설정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50)는, 설정된 앱 컨피그에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S107)When the app config setting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completed, the processor 150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according to the set app config. (S107)

자세히,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앱 컨피그를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로 전송하고,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은 앱 컨피그 설정에 따라 셋업 데이터(520)를 설정한 후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ransmits the app config set by the user to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and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sets up the setup data 520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ting and then sets the main application 500. ) Can be executed.

예를들어, 테스터에 의해 앱 컨피그가 배타 서비스 환경, 제 1 테스트 서버(320) 및 미래 버전으로 셋업 설정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베타 서비스 환경에서 제 1 테스트 서버(320)에 접속하여 미래 버전으로 실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pp config is set up by the tester to the exclusive service environment, the first test server 320 and the future version, the main application 500 connects to the first test server 320 in the beta service environment. Can be run with future versions.

그리고 이러한 셋업 환경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50)는, 셋업 환경에 맞는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웹 컨피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웹 컨피그에 따라 다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사용환경이 설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S108, S109)When the main application 500 is executed in the setup environment, the processor 150 connects to the service server 300 suitable for the setup environment, receives the web configuration, and then again returns the main application 500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uration. The environment can be set up and run. (S108, S109)

예를들어,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 1 테스트 서버(320)에 미래 버전에 해당하는 웹 컨피그를 수신하여, 미래 버전에 기 설정된 새로운 이벤트 등의 실행환경에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receives a web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future ver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the first test server 320, and according to an execution environment such as a new event preset in the future version,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be executed.

이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앱 컨피그와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하나의 빌드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용환경에서 실행 가능하여, 테스터나 개발자는 다양한 사용환경을 테스트 해보거나 에러 검출 용도, 긴급 원격 사용환경 세팅 등이 가능할 수 있다. As such, the main application 500 can be executed in various environments even though it is a single build through the app config and web config settings, so that testers or developers can test various environments, use for error detection, and emergency remote use. Environmental settings and the like may be possible.

-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 - Use the main application preferences via the Settings appli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으로 앱 컨피그를 세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app config wit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세팅 어플리케이션(400) 자체를 먼저 실행 입력 하면, 프로세서(150)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할 수 있다. (S201)Referring to FIG. 6, when a user first inputs and executes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tself, the processor 150 may execute the setting application 400. (S201)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내에 포함되거나 매칭되어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나, 하나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으로 복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Embodiments in whic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included in one main application 500 or matched and installed are also possible, but an embodiment in which a setting environment of the plurality of main applications 500 is set as one setting application 400 is also possible. .

즉, 하나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다양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에 대한 사용환경 설정도 가능하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the use environment for various main applications 500 through one setting application 400.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50)는,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이 사용환경 설정이 가능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탐색할 수 있다. (S202)Whe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is executed, the processor 150 may search the main application 500 in which the setting application 400 can use the environment. (S202)

자세히,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앱 컨피그 설정을 통해 사용환경 설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으로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detect, as the main application 500, an application designed to enable the use environment setting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만약, 복수개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검출된 경우,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사용환경을 설정할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f a plurality of main applications 500 are detect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provide a main application 500 for setting a use environment so that a user can select the main applications 500.

사용환경을 설정할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결정되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에서 설정 가능한 앱 컨피그를 검출할 수 있다. (S203)When the main application 500 to set the usage environment is determin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detect an app configurable in the main application 500. (S203)

자세히,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앱 컨피그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한 사용환경들(예컨대, 서비스 환경, 서비스 서버(300), 버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detect usage environments (eg, service environment, service server 300, version, etc.) that the main application 500 can change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ting.

그리고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검출된 앱 컨피그를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204)In addition,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detected app config. (S204)

예컨대 도 4와 같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의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환경 설정, 연동 서비스 서버 설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전 설정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셋업 설정을 선택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be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setup setting including an application service environment setting, a coordinated service server setting, an application execution version setting, and the like.

이때,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먼저, 알파 서비스 환경, 베타 서비스 환경, 리얼 서비스 환경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서비스 환경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환경에서 접속 가능한 서비스 서버(300)를 검색한 후 검색된 서비스 서버(300)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서비스 환경과 접속 서비스 서버(300)가 선택되면, 선택쇤 서비스 환경과 서비스 서버(300)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버전을 검색하고 갬색된 실행 버전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first provide to select one of an alpha service environment, a beta service environment, and a real service environment.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is select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provide a service server 300 that can be accessed in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n select only the searched service server 300. Next,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and the access service server 300 is selected,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provide a search service execution version executable in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 service server 300 and select only the dark execution version. have.

이와같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셋업 설정을 보조하여, 좀더 원활하게 셋업 환경을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tting application 400 may assist the user in setting up the setup, and induce a more smooth setup of the setup environment.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앱 컨피그 설정이 완료되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셋업 업데이터 모듈(510)로 상기 설정된 앱 컨피그를 전송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셋업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S205)When the user's app config set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ransmits the set app config to the setup updater module 510 of the main application 500 and then the main application 500. You can set up the setup environment. (S205)

이에 따르면, 개발자나 테스터는, 하나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으로 다양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developer or the test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age various main applications 500 with one setting application 400.

또한,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을, 앱 컨피그와 웹 컨피그 두가지로 이원화하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사용환경을 개발, 테스트할 수 있으며,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에 주체를 찾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dualizing and setting the application usage environment into two types, the app config and the web config,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test various usage environments, and it is easy to find the subject in error occurrence when an error occurs.

이하, 이러한 이원화된 컨피그 설정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에 새롭게 도입하려는 이벤트나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testing an event or a service to be newly introduced into the main application 500 through such du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새로운 이벤트 테스트 방법 -New Event Test Metho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환경 변경설정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esting a usage environment chang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이벤트 발생을 위해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301)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or 15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web config of the service server 300 to generate an event. (S301)

자세히, 프로세서(150)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웹 컨피그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5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web configuration for the service server 300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web browser application or the setting application 400.

예를 들어, 테스터는, 단말기(100)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할 제 1 서비스 서버(300)(예컨대, 테스트 서버(320))에 접속한 후 제 1 서비스 서버(300)에 권한 인증(예컨대, 로그인)을 수행하고, 설정 권한이 인정되면 상기 제 1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웹 컨피그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한 실행환경 설정은, 상점 온/오프, 아이템 가격, 획득 경험치, 획득 게임머니, 몬스터 스펙, 결제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ster connects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eg, the test server 320) to be set up through the web browse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n authenticates authority (eg,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 Log in), and if the setting authority is granted,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may be provided to set the web config. Here, the execution environment setting that can be changed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may include a store on / off, an item price, an acquired experience value, an acquired game money, a monster specification, a payment event, and the like.

따라서, 테스터는, 제 1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다양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실행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ster may set execution environments of various main applications 500 through the web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즉,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제 1 서비스 서버(300)의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실행환경을 변경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테스터는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실행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That is, the main application 500 is designed to change the execution environment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of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so that the tester can set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have.

예를들어, 테스터는,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1.1 버전(예컨대, 현재 리얼 서비스 환경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은 1.0 버전으로 실행)으로 제 1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면 획득 게임머니를 두 배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실행환경으로 웹 컨피그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ster connects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as version 1.1 (eg, the main application 500 of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is currently running as version 1.0), the tester acquires the game money. You can configure the web configuration as an execution environment that generates double events.

웹 컨피그 설정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50)는,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302)When the web config setting is completed, the processor 150 may provide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302)

자세히, 프로세서(150)는,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동작시켜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50 may operate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o provide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테스터는,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테스트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셋업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The tester may set a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500 to generate the test even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예를 들어, 테스터는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1.1 버전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도록 셋업 설정을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ster may set up a setup to connect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web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and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version 1.1.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50)는 제공한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웹 컨피그 변경 설정이 있는 경우, 상기 웹 컨피그 변경 설정한 실행환경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도록 앱 컨피그를 자동 설정하는 셋업 설정을 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f there is a web configuration change setting through the provided web configuration setting user interface, the processor 150 automatically sets the app configuration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the execution environment set by the web configuration change setting. Setup settings can be made.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 1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1.1 버전으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웹 컨피그 사용자 설정이 있으면,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앱 컨피그가 제 1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하고 1.1 버전으로 실행하도록 자동 설정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자동 설정된 셋업 환경에서 실행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processor 150 has a web config user setting such that a new event occurs in version 1.1 with respect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the app config is set by the setting application 400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 And automatically set to run in version 1.1 to run the main application 500 in an automatically set setup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앱 컨피그 설정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50)는, 설정되 앱 컨피그의 셋업 설정에 따라 제 1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게 되어, 새로운 이벤트가 설정된 웹 컨피그를 수신할 수 있다. (S304)When the app config setting is completed, the processor 150 may connect to the first servic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setup of the app config set, and receive a web config in which a new event is set. (S304)

다음으로, 프로세서(150)는, 수신한 웹 컨피그 설정에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데이터를 변경한 후 실행하며, 테스터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사용환경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할 수 있다. (S305)Next, the processor 150 changes and executes the main application 500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 setting, and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of the new usage environment set by the tester. (S305)

예를들어, 프로세서(150)는, 수신한 웹 컨피그 설정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여 획득 게임머니를 두 배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실행환경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using the received web config setting to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an execution environment in which an event doubling the acquired game money occurs.

그리고 테스터는, 상기 실행환경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며 새롭게 도입한 이벤트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50)가 직접 새롭게 도입한 이벤트가 잘 동작하는지를 자동 테스트할 수도 있다. (S306)In addition, the tester may test whether the newly introduced event operates properly by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500 in the execution environment,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50 may automatically test whether the newly introduced event operates well. It may be. (S306)

또한, 테스터는, 서비스 환경을 변경해가면서 새롭게 도입한 이벤트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테스트 할 수도 있다. Testers can also test that newly introduced events run as they change their service environment.

예를 들어, 테스터는, 베타 서비스 환경에서 상기 이벤트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한 후,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 앱 컨피그를 재설정한 후 상기 이벤트가 제대로 리얼 서비스 환경에서도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하여, 하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서 새롭게 도입될 이벤트를 테스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ster tests the event in a beta service environment, resets the app config to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and then tests whether the event works properly in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500) can be used to test newly introduced events in various service environments.

한편, 개발자나 테스터는, 앱 컨피그 설정과 웹 컨피그 설정를 통한 이원화된 사용환경 설정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에서 발생한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er or the tester can identify the cause of the error occurred in the main application 500 and cope quickly through the dual use environment setting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and the web config setting.

- 메인 어플리케이션 에러 대처방법 -How to deal with main application error

먼저, 테스트 단말기(100)는,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의 일 기능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S401)First, the test terminal 100 may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a real service environment and determine that an error occurs in one function of the main application 500. (S401)

자세히, 일반 유저들에게 에러발생에 대한 컴플레인을 받거나, 서비스 서버(300)의 자동분석을 통한 에러가 검출된 경우, 테스트 단말기(100)는 이에 대한 보고를 받으면 별도의 세팅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 셋업 세팅 후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하여 상기 에러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a general user receives a complaint about an error occurrence or an error is detected through an automatic analysis of the service server 300, the test terminal 100 receives a report about the error, and then, through a separate setting application 400. After setting up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the main application 500 may be executed to check the occurrence of the error.

예를 들어, 상점 사용에 에러가 있다는 컴플레인을 받으면, 테스터는, 리얼 서비스 환경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실행한 후 상점 기능을 실행해보아 에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complaint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use of a store, the tester may execute the store function after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500 in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and check whether an error occurs.

에러가 발생됨을 확인한 경우, 테스트 단말기(100)는, 리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리얼 서비스 서버(330)의 웹 컨피그를 설정하여 빠르게 에러가 발생한 기능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S402)When it is confirmed that an error occurs, the test terminal 100 may set a web config of the real service server 330 that provides a real service environment, and quickly block access to a function in which the error occurs. (S402)

예를 들어, 테스터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리얼 서비스 서버(330)에 대한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단말기(100)는 에러가 발생한 상점 기능을 폐쇄함으로써, 일반 유저들이 상점 기능을 일단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 에러 기능 방치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For example, by using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for the real service server 330 provided by the tester terminal 100, the test terminal 100 closes the error functioning store function, so that the general users may store the store function once. By disabl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 damages caused by the error function.

다음으로, 테스트 단말기(100)는,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셋업 환경을 변경해가며 메인 어플리케이션(500)을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하여, 에러 발생의 원인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S403)Next, the test terminal 100 may change the setup environmen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and execute the main application 500 in various environments to quick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error. (S403)

자세히, 테스트 단말기(100)는,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와 버전, 서비스 환경을 변경해가며 에러의 원인이 서비스 서버(300)인지, 아니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내부 빌드의 문제인지 파악할 수 있다 (S404)In detail, the test terminal 100 changes the service server 300, the version, and the service environmen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and the cause of the error is the service server 300, or a problem of the internal build of the main application 500. Can identify whether (S404)

예를 들어, 테스트 단말기(100)는, 특정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시에만 에러가 발생하면, 특정 서비스 서버(300)에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05)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only when accessing the specific service server 300, the test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specific service server 300. (S405)

또한, 테스트 단말기(100)는, 서비스 서버(300)와 관계없이 에러 발생이 지속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500) 내부 빌드의 문제로 판단할 수 있다. (S406)In addition, if an error persists regardless of the service server 300, the test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at the internal build of the main application 500 is a problem. (S406)

이와 같이, 테스터는 이원화된 컨피그 설정을 이용해 빠르게 에러발생에 대처하고, 에러발생 원인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tester has an advantage of quickly coping with an error occurrence and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error by using the binary configuratio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Particular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by way of example shows a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the actual device replaceabl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may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rt.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4)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웹 컨피그를 설정하는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팅된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에 따라 설정된 상기 사용환경으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A method for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a main application by a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interworking with a service server and executing a main application,
Providing, by the processor, a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web config of the service server;
Receiving, by the processor, a web config set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tting, by the processor,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uration; And
Executing, by the processor, the main application in the usage environment set according to the web configuration;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웹 브라우저 메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세팅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상기 웹 컨피그 설정 권한 인증을 받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웹 컨피그 설정을 변경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the web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main application or a setting main application;
The processor authenticating the web config setting authority to the service server;
The process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hanging the web config setting if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컨피그 설정을 통해 변경되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은,
이벤트, 실행기능 또는 결제 환경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기능실행과 관련된 실행환경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which is changed through the web config setting,
Execution environment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after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including an event, execution function or payment environment setting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Receiving the web config by the processor,
Providing, by the processor,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main application;
Setting, by the processor, a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The processor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in the set setup environment and receiving the web config.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앱 컨피그를 받아 셋업 데이터를 변경하여 상기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셋업 업데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rough a setting applica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main application,
And a setup updater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he app config set in the setting application and change the setup data to set the setup environment.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앱 컨피그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웹 컨피그를 통해 설정된 사용환경으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by the processor,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by the processor in an app config set through the setting application and a usage environment set through a web config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는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세팅 어플리케이션이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상기 앱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와 상기 앱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환경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A method for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a main application by a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interworking with a service server and executing a main application and a setting application,
The processor receiving the main application execution input;
Executing, by the processor, the setting application for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e processor, the setting application providing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Setting, by the processor, a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app config set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The processor receiving the web configuration by connecting the main appl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set setup environment; And
Setting, by the processor, a us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 and the app config, and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in the set use environment;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개발자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개발자용 서비스 환경, 테스터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 일반 유저를 위한 설정이 가능한 리얼 유저용 서비스 환경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It provides an app config setting that selects a service environment for developers that can be configured for developers, a service environment for testers that can be configured for testers, and a service environment for real users that can be configured for general users.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개발 서버, 테스트 서버 및 리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개발 서버, 상기 테스트 서버 및 상기 리얼 서비스 서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ervice server,
Including development server, test server, and real service server,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Providing an app config setting for selecting one of the development server, the test server, and the real service server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일반 유저들에게 서비스되는 현재 버전과, 상기 현재 버전으로 업데이트 전 구버전 또는 앞으로 업데이트할 미래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앱 컨피그 설정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Providing an app config setting for selecting the current version that is serviced to the general users of the main application, and either the old version before the update to the current version or the future version to be updated in the future.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비스 환경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환경에서 접속 가능한 상기 서비스 서버를 검색한 후 검색된 서비스 서버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환경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 환경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버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실행 버전만을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If the service environment is selected, search for the service server accessible in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provide to select only the searched service server,
When the service environment and the service server are selected, the execution service version that is executable in the selected service environment and the service server is searched and provided to select only the searched execution version.
How to set application preferences.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 컨피그에 새로운 이벤트 발생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이 설정된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웹 컨피그에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환경으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테스트방법.
A test method of testing a main application by setting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by a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interworking with a service server and executing a main application,
The processor providing a web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of the service server;
Setting, by the processor, a new event occurrence in the web config via the web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Receiving, by the processor, a web config in which the occurrence of the new event is set from the service server; And
Setting, by the processor, a usage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web configuration, and confirming occurrence of the new event by executing the main application with the set usage environment.
How to test your application environm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컨피그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셋업 환경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컨피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테스트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ing the web config by the processor,
Providing, by the processor, an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of the main application;
Setting, by the processor, a setup environment of the main application through the app config setting user interface;
The processor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in the set setup environment and receiving the web config.
How to test your application environmen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테스터가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을 테스트할 테스트 서버이며,
상기 웹 컨피그 설정은,
상기 새로운 이벤트 발생이 특정 버전으로 접속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앱 컨피그를 통한 셋업 환경은,
테스터용 서비스 환경에서 상기 테스트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특정 버전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환경인
어플리케이션 사용환경 테스트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rvice server,
The tester is a test server to test the occurrence of the new event.
The web config setting,
The new event occurrence is set to be sent for the main application connected with a particular version,
The setup environment through the app config,
An environment configured to access the test server in a service environment for testers and operate with the specific version.
How to test your application environment.
KR1020170147110A 2017-11-07 2017-11-07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2023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10A KR102023424B1 (en) 2017-11-07 2017-11-07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10A KR102023424B1 (en) 2017-11-07 2017-11-07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36A KR20190051436A (en) 2019-05-15
KR102023424B1 true KR102023424B1 (en) 2019-09-23

Family

ID=6657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10A KR102023424B1 (en) 2017-11-07 2017-11-07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4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375B1 (en) * 2023-03-24 2024-04-02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test and electronic apparatus supporting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0909A1 (en) 2014-11-06 2017-06-22 Soasta, Inc. Cloud-Based Custom Metric/Timer Definitions and Real-Time Analytics of Mobile Applications
KR101751515B1 (en) 2016-02-11 2017-06-27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est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2665B2 (en) * 2011-06-28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eploying environments for testing by providing instantaneous availability of prebuilt environments
KR101731293B1 (en) * 2014-08-14 2017-05-02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test system and mobile terminal tes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637371B1 (en) 2014-12-10 2016-07-07 (주)파이온닷컴 System for testing an application use for a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20160099778A (en)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method for smartphon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0909A1 (en) 2014-11-06 2017-06-22 Soasta, Inc. Cloud-Based Custom Metric/Timer Definitions and Real-Time Analytics of Mobile Applications
KR101751515B1 (en) 2016-02-11 2017-06-27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e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36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23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Barrera et al. Secure software installation on smartphones
CN109716331B (en) Application deployment conforming to application data sharing and decision service platform mode
CN111522595B (en) Transient application
US20110060945A1 (en) Smart repair of computer systems
US20100229022A1 (en) Common troubleshooting framework
US9563545B2 (en) Autonomous propagation of system updates
US20140281732A1 (en) Automated update testing and deployment
US20120204160A1 (en) Managing Non-Common Features for Program Code Translation
JP6437078B2 (en) Automatic test method for application program of smart device using authorized starter
US10728136B2 (en) MCellblock for parallel testing of multiple devices
US10908948B2 (en) Multiple application instances in operating systems that utilize a single process for application execution
US10983903B1 (en) Enhanced automated protocol for secure application testing
CN109471647B (en) Data upda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medium
US117480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release orchestration and deployment
EP3338181A1 (en) Application installs using remote applications
CN107704499A (en) A kind of page jump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pplication program
US11636184B2 (en) Method for providing cloud-based service
KR102023424B1 (en)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and testing method using thereof
US10353755B2 (en) Device based automated tool integration for lifecycle management platform
Kuroda A combination of raspberry pi and softether vpn for controlling research devices via the internet
CN108289114B (en) Clou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loud service exception
US2017026229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43312B1 (en) Permission management for contacts with multiple identities
US11245694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