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848B1 -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848B1
KR102021848B1 KR1020180136962A KR20180136962A KR102021848B1 KR 102021848 B1 KR102021848 B1 KR 102021848B1 KR 1020180136962 A KR1020180136962 A KR 1020180136962A KR 20180136962 A KR20180136962 A KR 20180136962A KR 102021848 B1 KR102021848 B1 KR 10202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virtual reality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진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sentiment and understanding mentality of a user. 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system can provide virtual reality content allowing a user to arrange a room on the basis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helping surgery and treatment of the user by providing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and a counselor/therapist of the user at the en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lated to the room arrangement.

Description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러한 방정돈 가상현실 컨텐츠의 종료 시 사용자의 실행정보를 사용자 및 사용자의 상담자/치료사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진료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emotion and psychological grasp of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allows a user to carry out a change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emotion and psychology of a user, which is helpful for the treatment and treatment of the user by providing the user's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user's counselor / therapist at the end of the actual content.

가상현실 시스템은 가상현실 시스템에 연결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체험하면서, 마치 현실에서 체험하는 것과 같은 높은 몰입도와 체험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현대에는 VR(Virtual Reality)카페 등의 단순히 놀이와 재미의 목적으로 가상현실 시스템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system uses a module connected to the virtual reality system to obtain various immersion and experiences as if the user experiences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By utilizing these featur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system for the purpose of simply playing and having fun, such as VR (Virtual Reality) cafe.

하지만 가상현실 시스템은 정신과 영역에서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치료를 위해 활용할 때, 굉장히 효과적일 수 있다. 정신적 문제로 인한 치료나 상담이 진행될 때, 대부분의 환자는 보통 치료에 필요한 기억이나 상상의 사고를 다른 매체의 도움 없이 혼자 머리 속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환자의 생각이나 상상은 상담자가 원하는 정도의 생각이나 상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 본인이 필요한 상황 속으로 직접 들어가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However, virtual reality systems can be very effective when used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psychiatry. When treatment or counseling is carried out due to mental problems, most patients usually have to do the memory or imaginary thoughts necessary for treatment in their heads alone without the help of other media. At this time, the thought or imagination of the patient may not be able to effectively think or imagine as much as the counselor wants. This problem can be ameliorated by using a virtual reality system to help the patient directly enter the necessary situation.

이러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통해 단순히 재미를 위한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것뿐만이 아닌,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의 치료 목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기억력 및 집중도 향상효과를 기대 할 수 있고, 가상현실 컨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뇌파나 맥박 등의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심리나 정서상태를 분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일반적인 운동 공간 및 시설에서 운동을 하기 어려운 환경이 다수이고, 사용자 본인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자 하는 의지 또한 가지기 어려워한다. 가상현실 시스템은 간단한 장치만으로 공간과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가상현실 컨텐츠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몸을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기능 향상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Through such a virtual reality system, it is possible not only to simply experience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for fun, but also to provide content for treatment purposes of users with mental disorders using the virtual reality. This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memory and concentration of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and can analyze the current psychological or emotional state of the user b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brain waves and pulses of the user experienc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n addition, many users have a difficult environment to exercise in general exercise spaces and facilitie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have a willingness to exercise regularly. Virtual reality system is not limited to space and time with a simple device, and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contents anytime and anywhere, and through this, it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user's exercise function as the body moves.

따라서, 이러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정서 증진을 돕고, 사용자의 심리를 분석 및 파악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치료사 또는 상담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정신적 장애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의 연구가 진행되게 되었다.Therefore, this virtual reality system helps to improve the emotion of the user, analyzes and grasps the user's psychology, provides the user's condition to the therapist or counselor, and conducts research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therapeutic effect on the mental disorder of the user. It bec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러한 방정돈 가상현실 컨텐츠의 종료 시 사용자의 실행정보를 사용자 및 사용자의 상담자/치료사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진료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perform a room change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er and the user's counselor / therapist with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t the end of such a room virtual reality cont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enhancing the emotion and psychological grasp of the user, which is helpful for the treatment and treatment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체험공간에서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VR시스템부; 및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 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grasp of the us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ositio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the coordinates in the experience space from the user,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A sensor unit including an EEG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an EEG of a user, a pulse measuring module attached to a wrist of the user, and a pulse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a user's pulse, and a motio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a user's movement; A VR system unit which executes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which a user performs a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evaluates an execution resul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n HMD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by the VR system unit and provide the same to a user. It provides a virtual reality system comprising a.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VR시스템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상기 움직임을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집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정돈컨텐츠실행부;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정돈결과제공부; 상기 센싱정보수집부가 수집한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사용자상태를 도출하는 사용자상태분석부;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의 실행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센싱정보수집부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방정돈컨텐츠부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정돈결과제공부로부터 도출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스코어산출부;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인지정서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달하는 사용자정보전달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VR system unit may include: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s, the pulse, and the movement from the sensor unit; Room content running unit for executing the content to enable the user to wear the room virtual reality experience HMD module; A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ile the user experiences the trimming virtual reality by the trimming content executing unit; A user state analyzer for deriving a user state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pulses collected b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When the execution of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ends,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nbalanced content unit,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and derived from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A scor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는,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 혹은 기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시점에서 종료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를 수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ake content execution unit may include: executing content for allowing a user to experience a stake virtual reality; Terminating execu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predetermined criteria; Measuring an execution time of content contents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executes the content to the end poin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돈결과제공부는 사용자의 상기 정돈결과제공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또는 사용자의 입력수신에 따라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의 제공을 종료하고, 정돈결과제공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receives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trimming result of the user and provides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the image for the trimming result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received End the provision of, and can measure the number of trimming results provided.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는, 상기 뇌파 정보를 수신하는 뇌파정보수신부; 상기 뇌파 정보를 집중도수치로 산출하는 집중도수치산출부;를 포함하는 집중도분석부; 상기 맥박 정보를 수신하는 맥박정보수신부; 상기 맥박 정보를 안정도수치로 산출하는 안정도수치산출부;를 포함하는 안정도분석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comprises: an EEG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EEG information; A concentration analysis unit including; an intensity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the EEG information as a concentration level; Puls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ulse information; A stability analysis unit comprising; a stability value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pulse rate information as a stability valu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는 상기 뇌파가 SMR파, 미드베타파, 세타파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하고, 집중도수치산출부는 상기 SMR파 및 상기 미드베타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세타파가 감소함에 따라 커지는 집중도산출식을 이용하여 집중도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안정도수치산출부는 상기 맥박의 편차의 차잇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잇값이 작을수록 커지는 안정도산출식; 을 이용하여 안정도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rain wave is included in any one of SMR waves, mid beta waves, and theta waves, and the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increases the SMR waves and the mid beta waves. As such, the concentration value is calculated using a concentration calculation equation that increases as theta wave decreases, and the stability value calculation unit comprises: a stability calculation equation that increases as the difference value becomes smaller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ulse deviation; The stability value can be calculated using.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코어산출부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의 사용자의 이동거리;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시점에서 종료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 상기 정돈결과제공부로부터 도출된,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의 제공횟수에 해당하는 정돈결과제공횟수;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에서,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수치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안정도수치를 기초하여 도출된 사용자상태; 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re calculation unit may include: a user's moving distance during the predetermined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plot content execution time, which is derived from the plot content executing unit, from the execution point of the content to the end point of the content; The number of tidying result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image for the tidying results derived from the tidying results providing unit; And a user state derived from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based on the concentration value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stability value derived based on the pulse rate. The score can be calculated based on.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정보전달부는 사용자의 상기 집중도 및 상기 안정도로부터 도출된 상기 인지정서정보를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상담자 컴퓨팅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information transfer unit may transmit the cognitiv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concentra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user to the user computing device and the counselo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현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체험공간에서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단계;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된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된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단계;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단계를 포함하는 센서단계; 상기 센서단계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VR시스템단계; 및 HMD모듈을 통하여, 상기 VR시스템단계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현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the emotion and psychological grasp of the user, the position sensor step of measuring the coordinates in the experience space from the user; An EEG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n EEG of the user using a device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Puls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pulse of the user using a device attached to the wrist portion of the user; And a sensor step of measuring a motion of the user. A VR system step of execu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n which a user performs a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ensor step, and performing an evaluation o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n HMD module step of receiving an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in the VR system step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through an HMD module. It provides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comprising a.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VR시스템단계는,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상기 움직임을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집단계;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에 의하여 사용자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정돈결과제공단계; 상기 센싱정보수집단계가 수집한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사용자상태를 도출하는 사용자상태분석단계;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의 실행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센싱정보수집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방정돈컨텐츠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정돈결과제공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스코어산출단계;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인지정서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달하는 사용자정보전달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system step may includ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receiving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 the pulse, and the movement from the sensor step; A method of executing content contents to execute contents for allowing a user to wea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o a user wearing the HMD module; A tidying resul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n image of tidying results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ile the user experiences the tidying virtual reality by the tidying contents execution step; A user state analysis step of deriving a user state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pulses collected b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step; When the execution of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step ends,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nbalanced content content step,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step, and the user state analysis step A scor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core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transfer step of transmitting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기억력 및 집중도 증가를 통해 정서 안정 및 증진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perform the unbalance, it is possible to induce emotional stability and enhancement by increasing the memory and concentration of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사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 기존의 방법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directly think through a virtual reality system that performs a lot of money to provide a more effective treatment than a conventional method for a user with a mental disor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상태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system may be stably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in spite of the user's state ch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종료 시 사용자의 집중도 정도 및 안정도 정도로 도출한 인지정서정보를 외부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진료, 치료, 및 상담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rtual reality system performing the waste money is passed, 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stability of the user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and used as the user's treatment, treatment, and counseling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되는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기억하여 방정돈을 수행하기 위해, 두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억력 및 집중도의 향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an arrangement by storing an image of the provided arrangement result, the brain may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memory and concent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하여 정리한 방에 대한 점수 및 평가를 산출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집중도 및 몰입도 향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alculating the score and evaluation of the room arranged by using the virtual reality system to perform the arrangement can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tent concentration and immers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체험함으로써, 물건을 정리하고, 옮기면서 몸을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기능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periencing a virtual reality system to perform the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exercise function as the body moves while organizing and moving th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의 체험공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 체험공간을 구성하는 위치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측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정돈컨텐츠의 실행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중인 방정돈컨텐츠의 실행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 제공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제공받는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상태분석부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산출부의 스코어 산출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종료 하고 난 후 스코어가 제공된 방정돈컨텐츠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상태분석부에서 집중도 정도 및 안정도 정도를 도출하여 사용자상태를 분석한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전달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외부 컴퓨팅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 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1 exemplarily illustrates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grasp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exemplarily illustrates modules constituting a sensor unit worn on a user'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exemplarily illustrates an experience space of a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exemplarily illustrates location measurement of a user by a position sensor constitu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experienc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exemplarily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stake mone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exemplarily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of money being execu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method for tidying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 image of a tidying result provid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state analyz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score calculation method of a score calcul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change screen provided with a score after a user finishes execu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exemplarily illustrates a graph in which a user state analysis unit derives a degree of concentration and a degree of stability and analyzes a user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exemplarily illustrates a process of transferring us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by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that executes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emotional stability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 / 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 (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the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Moreover,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a number of devices, components, and / or modules, and the like. The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devices, components, and / or modules, etc., and / 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components, module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It must be understood and recogniz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n embodiment”, “an example”, “aspect”, “an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The terms '~ part', 'component', 'module', 'system', 'interface', etc. used generally mean a computer-related entity, for example, hardware, hardware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software.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mean that such features and / or components are present, bu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 / 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the same meaning a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 exemplarily illustrates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grasp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enhancing the emotion and psychology of the user,

사용자로부터의 체험공간에서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2100),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2200),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2300),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2400)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VR시스템부(1000); 및 상기 VR시스템부(1000)로부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3000);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Position sensor module 2100 for measuring coordinates in the experience space from the user, EEG measurement module 2200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to measure the brain waves of the user, attached to the wrist of the user A sensor unit including a pulse measuring module 2300 for measuring a pulse and an operation sensor module 2400 for measuring a user's movement; A VR system unit (1000) for execu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n which a user performs a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performing evaluation o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n HMD module 3000 which receives the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executed by the VR system unit 1000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2000), 상기 VR시스템부(1000) 및 상기 HMD모듈(3000)로 구성되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정서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system is composed of the sensor unit 2000, the VR system unit 1000 and the HMD module 3000,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to experience in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Emotional effect can be obtained.

이에 더하여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공황장애, 경도인지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과 같은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users with mental disorder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panic disorde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experience treatment in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Can be obtained.

상기 정신적 장애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같은 상술한 정신적 장애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경미한 정신적 장애로부터 중증 정신적 장애에 이르기까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신적 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ntal disord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s of mental disorder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reatment effects through experience in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from mild mental disorder to severe mental disorder It can include any kind of mental disorder that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을 체험하기 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상기 가상공간과 구분되는 체험공간을 필요로 한다. 즉, 상기 가상공간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통하여 만들어 진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실제로 체험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제공되는 허구의 공간이고, 상기 체험공간은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기 가상공간을 체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움직이고,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입력되어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동작을 입력할 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perience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the virtual reality system needs an experience space that is distinct from the virtual space. That is, the virtual space is a fictional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created throug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bu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feel as if he or she actually experiences the experience space. In order to experience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 user actually moves, and the user's movement is input to mean a space in which the operation in the virtual space can be input.

상기 센서부(2000)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0 may measure the bioreaction information and the experie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상기 생체반응정보는 뇌파, 맥박, 및 심전도 등과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일부가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의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생체정보를 의미한다.The biorea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ome of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000 such as brain waves, pulses, and electrocardiograms attached to the user's body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so that the user may use the virtual reality system. It means all kinds of biometric information that can be measured from the body.

상기 체험정보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하기 위하여 실제로 동작하는 체험공간에서 이동한 거리, 방향, 및 동작 등과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의미한다.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part of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000 such as a distance, a direction, and an operation that the user has moved in the experience space that is actually operated in order to experience in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It means all kinds of information that can be measured from the movement in the experience space while the user uses the virtual reality system.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고, 상기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컨텐츠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The VR system unit 1000 may execut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the user performs a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or unit 2000,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erforming the chang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서 증진의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거나, 사용자의 정신적 장애의 치료 목적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경험을 통하여 정서적 증진을 얻거나 혹은 정신적 장애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executes the execution of the VR system unit 1000 may b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motion of the user, to grasp the psychology of the user, or to treat the mental disorder of the user. Can be provided for. The user may obtain emotional enhancement or experience the treatment of mental disorder through the experience obtained by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in the VR system unit 1000.

상기 HMD(Head Mounted Display)모듈은 상기 VR시스템부(1000)으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head mounted display (HMD) module receives the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executed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the VR system unit 1000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user.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HMD모듈(3000)을 착용하고, 상기 HMD모듈(3000)을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제공되는 상기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제로 체험하는 것과 같은 높은 체험도를 얻을 수 있다.A user wears the HMD module 3000 in a manner of wearing glass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system, and receives the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rough the HMD module 3000.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degree of experience such as actually experienc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performs the above arrange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2 exemplarily illustrates modules constituting a sensor unit worn on a user'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2000)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2200);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2300);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240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ensor unit 2000 may include an EEG measuring module 2200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and measuring the EEG of the user; A pulse measuring module 2300 attached to a wrist of a user and measuring a pulse of the user; And a motion sensor module 2400 for measuring a user's move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뇌파측정모듈(2200)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뇌파측정모듈(22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뇌파측정모듈(22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상담 및 치료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EG measuring module 2200 may be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to measure the EEG of the user. That is, the EEG module 2200 may measure the EEG of the user, which is one of the bioreaction information. The EEG measurement module 2200 may measure the EEG of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which is one of the bioreaction information, and the EEG of the measured user is input to the VR system 1000, and the user's state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user and grasping the psychology of the user to facilitate the consultation and treatment of the us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박측정모듈(2300)은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맥박측정모듈(23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맥박측정모듈(23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맥박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상담 및 치료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ulse measuring module 2300 may be attached to a user's wrist to measure a user's pulse. That is, the pulse measuring module 2300 may measure the pulse of the user, which is one of the bioreaction information. The pulse measuring module 2300 may measure the pulse of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which is one of the bioreaction information, and the pulse of the user measured in this way is input to the VR system 1000, and the user's state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user and grasping the psychology of the user to facilitate the consultation and treatment of the us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은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동작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은 상기 체험정보 중의 하나인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동작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동작정보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체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may obtain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by measuring a user's movement in the experience space. That is, 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may measur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one of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 the experience spa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measured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VR system 1000 to serve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or the user may enter the virtual reality system. It can be used to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은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여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혹은 적외선 센서 혹은 캠코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is a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user's body,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as shown in FIG. 2, by the user to measure the movement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Or a sensor module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movement in the experience space as an image,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a camcorder.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상기 뇌파측정모듈(2200), 및 상기 맥박측정모듈(2300)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뇌파 및 상기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고,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상기 체험정보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될 수 있다.As such, the biorea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of the user measured by the brain wave measuring module 2200 and the pulse measuring module 2300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000 are the VR system unit 1000. ), And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ing movement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measured by 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000 may be input to the VR system unit 1000.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의 체험공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3 exemplarily illustrates an experience space of a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2000)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210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2000 includes a position sensor module 2100 for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user of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It may further inclu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과 함께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이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may be disposed in the experience space to measure a user's movement in the experience space together with 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Such movement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is input to the VR system 1000 to enable the user to experience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또한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은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저전력 블루투스를 통한 Beacon, 및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거리 혹은 위치 측정 센서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may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such a position sensor module 2100 is a Beacon via a low-power Bluetooth for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user, and an infrared sensor Means any type of distance or position sensor, including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체험공간은 복수의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xperience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 2100 is disposed in the experience space in the experience space of the user You can get the coordinates for the loca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을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좌표를 얻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s 2100 are disposed in the experience space,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s 2100 are disposed in the experience space to allow a user from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By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user to obtai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is way can be input to the VR system unit (1000).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 및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정보, 및 동작정보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00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user's experience space measured by 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he VR system unit 1000. Can be enter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 체험공간을 구성하는 위치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측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4 exemplarily illustrates location measurement of a user by a position sensor constitu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experienc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100)은, 각각의 위치센서모듈(2100)이 상기 체험공간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위치센서 모듈로부터 측정된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s 2100, each position sensor module 2100 is disposed in a different position of the experience spac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user measured from each position sensor module Coordinates of a location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can be obtained.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 모듈 각각은 상기 체험공간 내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100)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체험공간 내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 내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s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of the experience space as shown in FIG.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measures a distance from a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and is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measur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 modules 2100. Coordinates of a location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can be obtain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센서모듈(2100)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내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상기 VR시스템이 실행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얻은 다수의 좌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 내의 이동거리 또한 얻을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oving distance in the experience space of the user from the plurality of coordinates obtained over time the VR system is executed by the coordinates for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experience space obtained from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You can also ge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5 exemplarily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시스템부(1000)는 프로세서(100),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OS(310), 사용자정보 (320), 프로그램실행코드(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R system unit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ocessor 100, a bus (corresponding to a bidirectional arrow between a processor, a memory,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a network interface 200, and a memory 300. . The memory 300 may include an OS 310, user information 320, program execution code 330, and the like.

상기 프로세서(100)는 센싱정보수집부(110),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 정돈결과제공부(130), 사용자상태분석부(140), 스코어산출부(150), 및 사용자정보전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도 5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00 includes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 flat content execution unit 120, a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a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a score calculation unit 150,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unit 160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the VR system unit 10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5.

상기 메모리(30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상기 운영체제(310), 상기 사용자정보(320), 및 상기 프로그램 실행코드(330)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30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 를 통해 상기 메모리(300)에 로딩될 수도 있다.The memory 300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and a disk drive. In addition, the operating system 310, the user information 320, and the program execution code 330 may be stored in a memory.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300 using a drive mechanism (not shown). Such a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 / CD-ROM driv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other embodiments,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30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200 rather tha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버스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us may enabl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VR system unit 1000. The bus may be configured using a high-speed serial bus, a parallel bus, a storage area network and / 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technology.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상기 VR시스템부(1000)이 다른 전자장치 등에 무선적 혹은 유선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200 may be a computer hardwar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VR system unit 1000 to a computer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B may connect the VR system unit 1000 to the computer network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The VR system unit 1000 may be wirelessly or wiredly connected to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00.

상기 프로세서(10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압축 패키지 파일에 대한 이미지 최적화 방법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상기 메모리(300)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에 의해, 그리고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0)는 센싱정보수집부(110),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 정돈결과제공부(130), 사용자상태분석부(140), 스코어산출부(150), 및 사용자정보전달부(16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메모리(30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input / output operations of an image optimization method for basic arithmetic, logic, and compression package file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100 by the memory 300 or the network interface 200 and via the bus. The processor 100 includes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 flat content execution unit 120, a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a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a score calculation unit 150,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mission It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program code for the unit 160. Such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300.

상기 프로세서(100)는 센싱정보수집부(110),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 정돈결과제공부(130), 사용자상태분석부(140), 스코어산출부(150), 및 사용자정보전달부(16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100)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의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0 includes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 flat content execution unit 120, a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a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a score calculation unit 150,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VR system unit 1000 to be described below. The processor 100 may omit some components,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or combine two or mo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VR system unit 1000.

한편, 이와 같은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바람직하게는 개인용 컴퓨터 혹은 서버에 해당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과,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에 해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VR system unit 1000 preferably corresponds to a personal computer or server, and in some cases, a smart phone, a tablet,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lectronic An e-book reader, desktop PC, laptop PC, netbook PC,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ll be referred to as "PDA". ),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hereinafter referred to as 'PMP'), MP3 player, mobile medical device, camera, wearable device, electronic It may correspond to clothing, an electronic bracelet, an electronic necklace, an electronic accessory, an electronic tattoo, or a smart watch.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및 상기 움직임을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부(110);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에 의하여 사용자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정돈결과제공부(130);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VR system unit 1000 may include: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receiving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 the pulse, and the movement from the sensor unit 2000; A stake content execution unit 120 for executing contents for allowing a user wearing the HMD module to experience a range reality virtual reality; A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which provides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ile the trimming content execution unit 120 experiences the virtual reality of the trimming by the user;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가 수집한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사용자상태를 도출하는 사용자상태분석부(140);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의 실행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 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로부터 도출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50)를 산출하는 스코어산출부(150);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인지정서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달하는 사용자정보전달부(160); 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for deriving a user state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pulses collected b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When the execution of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120 ends,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120,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A score calculation unit 150 that calculates a score 50 based on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A user information transfer unit 160 for transmitting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It may include.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는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및 상기 움직임을 수신하여, 이와 같이 수신된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및 상기 움직임을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구성하는 모듈 중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혹은 상기 움직임을 기초로 연산을 하거나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receives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 the pulse, and the movement from the sensor unit 2000, and thus receives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 the pulse, and the movement. The module constituting the VR system 1000 may be transmitted to a module that performs calculation or operation based on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s, the pulse, or the mov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2000)의 위치센서모듈(2100)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내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상기 VR시스템이 실행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수의 좌표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 내의 이동거리(10) 또한 상기 이동거리(10)를 기초로 연산을 하거나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ser's experienc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coordinates as the time when the VR system is executed,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position in the experience space obtained from the position sensor module 2100 of the sensor unit 2000 over time The movement distance 10 in the space may also be transmitted to a module that performs calculation or operation based on the movement distance 10.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는 상기 HMD모듈(3000)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한다. 센싱정보수집부(11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한다.The stake content execution unit 120 executes the stake content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wearing the HMD module 3000 to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money.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in the VR system unit 1000 is execu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즉,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컨텐츠가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에서 실행되게 되면, 사용자는 HMD모듈(3000)로부터 방정돈을 하는 영상 및 음향정보를 전달 받아 가상현실의 어지럽혀진 방을 정돈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에 의하여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는 상기 HMD모듈(3000)에 입력되고, 상기 HMD모듈(3000)에 입력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는 상기 HMD모듈(3000)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장치에서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ents of experienc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virtual reality is executed 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20,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HMD module 3000 to receive the video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messed room of the virtual reality messed up You can experience how to prepare.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by the prediction content execution unit 120 are input to the HMD module 3000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nput to the HMD module 3000. And the sound information may be converted into an image and sound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speaker device of the HMD module 300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는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에 의하여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컨텐츠가 실행되면,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을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을 체험한다. 혹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하는 컨텐츠 실행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도 정돈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performs the trimming virtual reality content by the rubbish content executing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trimming virtual reality. Receive an image and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of the money. Alternatively, while executing contents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e tidying result may be provided even when a user's request is received.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가 수집한 상기 뇌파 및 맥박에 기초하여 사용자 상태를 도출한다. 사용자는 상기 센서부(2000)에서 센싱 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뇌파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수행하면서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에 얼마나 집중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집중도를 분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맥박 정보는 사용자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수행하면서 사용자가 불안해 하지 않고 얼마나 안정적으로 방정돈을 수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안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user state analyzing unit 140 derives a user state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pulses collected b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The user is based on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0, the brain wave information concentration degree indicating how the user concentrated on th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pigs while performing th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pigs; In addition, the pulse information may analyze the stability indicating how stably the user has not been anxious while perform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of the room change.

상기 스코어산출부(150)는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VR시스템부(1000)를 구성하는 모듈에서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혹은 상기 움직임을 기초로 연산을 하거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로부터 도출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로 나타낸 스코어(50)를 산출할 수 있다.The score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or operates based on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s, the pulse, or the movement in a module constituting the VR system unit 1000 by the user perform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120,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order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and the user state analyzing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140, a score 50 numerically representing the result of the user perform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of the plot may be calcul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컨텐츠의 실행 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6 exemplarily illustrates an execution step of content having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방정돈컨텐츠 실행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고자 하는 신호를 보내는 경우,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S10); 상기 방정돈컨텐츠가 실행되고 나면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수행하는 단계(S11); 사용자가 방정돈을 모두 완료하고, 방정돈을 종료하는 단계(S12);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3); 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nds a signal that the user wants to execute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ng the unbalanced content (S10); Performing the premature pig content after the premature pig content is executed (S11); Step S12 of the user completing all of the stakes and ending the stakes; Measuring (S13) the execution time of the contents of the piglets; Can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S10 단계에서는,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VR시스템에 접속하여 신호를 보내는 경우, 방정돈을 체험할 수 있는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step S10,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when the user accesses the VR system to send a signal,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content of the contents that can experience the fluctuation.

S11 단계에서는,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게 되면, 사용자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방의 크기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고, 최초의 방정돈을 시작할 수 있고, 혹은 이전에 실행했던 방정돈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방정돈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11, when the contents of the arrangements are executed, for example, the size and time of the room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first arrangement can be started, or previously executed arrangements data can be selected. I can bring it. That is, the user can perform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ference.

S12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방정돈을 완료하게 되면, 사용자는 방정돈컨텐츠를 종료하고자 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상기 방정돈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된다.In step S12, when the user completes the arrangement, the user may send a signal to end the arrangement of the contents, the execution of the contents of the arrangement is terminated.

S13 단계에서는,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한 시점부터 상기 방정돈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은 상기 스코어산출부(150)에서 스코어(50)를 산출하는 경우, 기초가 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step S13, the execution time of the contents of the piglets from the time when the execution of the contents, the end of the execution of the pigs content can be measured. The measured content execution time may be used as the information when the score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score 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중인 방정돈컨텐츠의 실행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FIG. 7 exemplarily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of money being execu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사용자가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방정돈컨텐츠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3000)을 통해 보게 되는 사용자의 시점에서의 상기 방정돈컨텐츠 화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 동작센서모듈(2400)에서 받아들인 상기 움직임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컨트롤러의 이미지로 나타나게 되고, 상기 방정돈컨텐츠에서 측정된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및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에서 측정된 맥박, 등이 상기 방정돈컨텐츠 화면에서 함께 보여질 수 있다.When the user executes the stake content, the stake content screen at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 that the stake content user views through the HMD module 300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tion sensor module 2400 is represented by an image of a hand controller, as shown in FIG. 7, the execution time 20 of the measured contents of the measured contents, and the sensing information. Pulse, etc. measured by the collection unit 110 can be seen together on the plot contents scree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돈결과제공부의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 제공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8 exemplarily illustrates a method of providing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of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의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 제공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정돈결과제공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 사용자 입력 수신 시 상기 정돈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21); 일정시간 경과 후 혹은 사용자 입력 수신 시 정돈결과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S22); 정돈결과 제공횟수를 측정하는 단계(S23); 를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step of the trimming result of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the user receives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request (S20); Providing the trimming result upon receiving a user input (S21); Ending the provision of the trimming result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upon receiving a user input (S22);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trimming result (S23); Can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여, 방정돈 수행을 시작하는 경우, S20 단계에서는,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는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기 전, 상기 정돈결과제공요청을 수신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executes the trimmed content, and starts the trimming, in step S20,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before the user performs the trimming,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request Receive.

S21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함에 있어서 참고하고 기억할 수 있는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사용자는 기억하여 방정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방정돈을 완료할 수 있고, 혹은 사용자가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가 더 이상 기억 나지 않아, 다시 상기 정돈결과제공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는 다시 상기 정돈결과제공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21, the user can provide an image of the result of the arrangement that can be referenced and memorized in performing the arrangemen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rrangement by the user storing the image of the arrangement result, the user can complete the arrangement, or the user no longer remembers the image of the arrangement result, and provides the arrangement result again. When making a request,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may receive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request and provide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S22 단계에서는,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처음 실행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혹은 기설정된 일정시간 전에 사용자가 방정돈을 모두 끝내고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종료하고자 하는 신호를 요청하면,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는 정돈결과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In the step S22,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execution of the content, or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ser finishes all the money and requests the signal to end the money, the trimming The result provider 130 may terminate the provision of the trimming result.

S23 단계에서는, 상기 방정돈컨텐츠가 종료되면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는 사용자의 상기 정돈결과제공요청 횟수를 합산하여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한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는 상기 스코어산출부(150)에서 스코어(50)를 산출하는 경우, 기초가 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In step S23, when the trimming content is finished,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may measure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by summing the number of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requests of the user. The measured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result 30 may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when the score 50 is calculated by the score calculator 15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돈결과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정돈결과 에 대한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9 illustrates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provided by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사용자가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방정돈컨텐츠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3000)을 통해 보게 되는 사용자의 시점에서의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는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기 전, 방정돈 정돈결과제공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함에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executes the trimmed content,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at the user's point of view, which the trimmed content user sees through the HMD module 3000, is shown in FIG. 9.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may receive a trimming result providing request before the user performs the trimming, and may provide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that the user may refer to in performing the trimming. .

제공되는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는 예시된 이미지 하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 크기, 혹은 방 안에 가구나 물건들의 위치 등이 다른 이미지가 랜덤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image of the arrangement result provided is not limited to one illustrated image, and various images of different room sizes or positions of furniture or objects in the room may be randomly provid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상태분석부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0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state analyz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집중도를 분석하는 집중도분석부(141);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정도를 분석하는 안정도분석부(142);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중도분석부(141)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에서 입력된 상기 뇌파 정보를 수신하는 뇌파정보수신부(41); 수신된 상기 뇌파 정보에 기초하여 집중도수치를 도출하는 집중도수치산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도분석부(142)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에서 입력된 상기 맥박 정보를 수신하는 맥박정보수신부(43); 수신된 상기 맥박 정보에 기초하여 안정도수치를 도출하는 안정도수치산출부(44); 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includes a concentration analysis unit 141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executes the predator contents; A stability analysis unit 142 analyzing the stability of the user when executing the stake content; It may include. The concentration analysis unit 141 is an EEG information receiver 41 for receiving the EEG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nd a concentration level calculation unit 42 for deriving a concentration level based on the received brain wave information. The stability analysis unit 142 includes a pulse information receiver 43 for receiving the pul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 stability value calculation unit 44 for deriving a stability value based on the received pulse information;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뇌파정보수신부(41)에서 수신된 상기 뇌파 정보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의 불안 혹은 흥분 상태를 나타내는 감마파, 활동, 스트레스, 혹은 몰입 상태를 나타내는 베타파, 명상, 혹은 문제해결 등의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알파파, 얕은수면 혹은 졸음상태를 나타내는 세타파, 및 깊은 수면상태를 나타내는 델타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뇌파정보수신부(41)에 수신된 상기 베타파 및 상기 세타파는, 집중하지 않는 보통의 경우, 0~20dB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집중할 경우, 0dB 이하로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집중도수치산출부(42)는 상기 베타파 및 상기 세타파를 활용하여 상기 집중도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E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EG information receiver 41 may be a gamma wave representing an anxiety or excitement state of a user, a beta wave representing an activity, stress, or immersion state, meditation, or Alpha waves representing a stable state such as problem solving, theta waves representing a shallow or drowsy state, and delta waves representing a deep sleep state. The beta wave and theta wave received by the EEG information receiver 41 show a value between 0 and 20 dB in a normal case without concentration, and are reduced to 0 dB or less when focused. The concentration level calculation unit 42 may calculate the concentration level using the beta wave and theta wav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뇌파정보수신부(41)에 수신된 상기 뇌파 정보는 상기 집중도수치산출부(42)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각 주파수 별로 구분하여 SMR파, 미드베타파, 세타파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SMR파, 상기 미드베타파, 상기 세타파를 활용하여, 집중도산출식 집중도=계수A*(SMR파+미드베타파)/세타파 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중도는 SMR파 및 미드베타파가 올라갈수록 증가하고, 세타파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도록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중도산출식 등에 기초하여 집중도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E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EG information receiver 41 is divided into SMR waves and mids by each frequency through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in the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42. Beta wave, theta wave can be classified, and using the SMR wave, the mid beta wave, the theta wave, the concentration calculation equation concentration = coefficient A * (SMR wave + mid beta wave) / theta wave can be configured. That is, the concentration can be calculated to increase as the SMR wave and mid-beta wave increases, and decrease as theta wave decreas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valu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oncentration calculation equation or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의 상기 맥박정보는 심리적인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혹은 몸동작에 따라서 증가하거나 혹은 일정하지 못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맥박정보수신부(43)에서 수신한 상기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정도수치산출부(44)는 상기 맥박 정보의 최고 맥박수, 최저 맥박수 및 맥박의 평균값을 도출할 수 있고,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상기 안정도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ulse information of the person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psychological state unstable, stressed, or depending on the body movement or is not constant. Therefore, based on the pul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uls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3, the stability value calculation unit 44 can derive the average value of the highest pulse rate, the lowest pulse rate and the pulse rate of the puls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pulse rate. The stability value can be calculated.

바람직하게는, H1 = (최고맥박수-최저맥박수), H2 = 수신한 맥박의 편차, 두 값을 이용하여 안정도산출식 = 계수A/(H1+H2) 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정도는 H1 및 H2 값이 낮아질수록 증가하도록 산출할 수 있다.Preferably, H1 = (highest pulse rate-lowest pulse rate), H2 = deviation of received pulse rate, and stability calculation equation = coefficient A / (H1 + H2) can be constructed using two values. That is, the stability may be calculated to increase as the H1 and H2 values decrease.

산출된 상기 집중도수치 및 상기 안정도수치는 사용자상태(40) 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상태(40)는 상기 스코어산출부(150)에서 스코어(50)를 산출하는 경우, 기초가 되는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는 상기 집중도분석부(141) 및 상기 안정도분석부(142)로부터 산출된 상기 집중도수치 및 상기 안정도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집중도수치에 기반한 상기 안정도수치 변화를 더 분석할 수 있다.The calculated concentration value and the stability value may be referred to as a user state 40, and the user state 40 is used as information that is used as a basis when the score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a score 50. do. In addition,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further analyzes the change in the stability value based on the concentration value based on th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stability value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 analysis unit 141 and the stability analysis unit 142. can do.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산출부의 스코어 산출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1 exemplarily illustrates a score calculation method of a score calcul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코어산출부(150)는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의 실행이 종료된 후,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로부터 도출된,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의 사용자 이동거리(10);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120)로부터 도출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시점에서 종료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상기 정돈결과제공부(130)로부터 도출된,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의 제공횟수에 해당하는 정돈결과제공횟수(30);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에서,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안정도; 에 기초하여 스코어(50)를 산출할 수 있다.The score calculation unit 150 is the user moving distance dur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which is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fter the execution of the stake content execution unit 120 ( 10); A plot content execution time (20), which is derived from the plot content executing unit (120), from the execution point of the content to the end point of the content; The number of trimming result providing tim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image for the trimming result derived from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130; And in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the degree of concentration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stability derived based on the pulse rate; The score 50 can be calculated based 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산출부(150)는 다음과 같이 스코어(50) 산출 기준을 설정 할 수 있다. 상기 이동거리(10),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및 사용자상태(40)에 기초하여 각각의 결과에서 산출되는 상기 이동거리(10) 스코어,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스코어,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스코어, 및 상기 사용자상태(40) 스코어를 도출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 calculation unit 150 may set the score 50 calculation criteria as follows. The moving distance (10) score calculated from each result based on the moving distance (10), the trimming content execution time (20),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and the user state (40), and A score of execution contents 20, a score of the number of results provided 30, and a score of the user state 40 are derived.

상기 이동거리(10) 스코어는 방정돈을 수행하는 최소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이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방정돈을 수행한 사용자의 상기 이동거리(10)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차잇값이 0에 가까울수록, 상기 이동거리(10) 스코어 최고값에 가까운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차잇값이 0보다 커질수록, 상기 이동거리(10) 스코어 최고값보다 작은 스코어를 산출 할 수 있다.The moving distance (10) score calculates the minimum moving distance to perform the trimming, and sets it as a reference value, and compares the moving distance (10)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user who performed the ranging, the difference value is 0 The closer it is, the score closer to the maximum value of the moving distance 10 score is calculated, and the larger the value of the difference is, the score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moving distance 10 score can be calculated.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스코어는,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의 제한시간을 기준치로 설정하고, 방정돈을 수행한 사용자의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차잇값이 상기 기준치에 가까울수록,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스코어 최고값에 가까운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차잇값이 0에 가까울수록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스코어 최고값보다 작은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The stake content execution time 20 sets the limit time of the stake content execution time 20 as a reference value, and sets the settling content execution time 20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user who performed the arrangement. In comparison, the closer the value is to the reference value, the closer the score is to the highest value of the stake content execution time (20), and the closer the value is to zero, the higher the score valu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stake content execution time (20). Small scores can be calculated.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스코어는,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 후 처음 제공되는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예를 들어, 3회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방정돈을 수행한 사용자의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차잇값이 0에 가까울수록,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스코어 최고값에 가까운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차잇값이 0보다 커질수록, 상기 이동거리(10) 스코어 최고값보다 작은 스코어를 산출 할 수 있다.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sets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which is first provided after executing the trimming content, for example, three times as a reference value, and the user's trimming is performed. Comparing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and the reference value, the closer the difference value is to 0, the closer to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score is calculated, and the larger the value is greater than 0, the movement is performed. A score smaller than the maximum score of the distance 10 can be calculated.

상기 사용자상태(40)스코어는 산출된 상기 집중도 수치와 상기 안정도 수치를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상태(40)스코어 = 계수A*집중도수치 + 계수B*안정도수치, 의 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user state 40 scor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value and the stability value. Preferably, the user state 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core = coefficient A * concentration value + coefficient B * stability value.

따라서, 상기 스코어산출부(150)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상기 이동거리(10) 스코어,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스코어,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스코어, 및 사용자상태(40)스코어를 합산하여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한 최종 스코어(50)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core calculator 150 calculates the moving distance 10 score,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time 20 score,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frequency 30 score, and the user state ( 40) The score may be added to calculate the final score 50 of the above-mentioned piglet content.

바람직하게는, 스코어산출식 = 계수A*이동거리 스코어 + 계수B*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 스코어 + 계수C*정돈결과제공횟수 스코어 + 계수D*사용자상태 스코어, 의 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quation may include a score calculation formula = coefficient A * moving distance score + coefficient B * estimated content execution time score + coefficient C * ordered results provided score + coefficient D * user state score.

또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각각 상기 스코어(50)를 산출하는 기준에 있어 중요도를 판단하고, 상기 중요도를 상기 스코어산출식에 적용시켜 개별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스코어(50)를 도출해 낼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importance level is determined in each of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score 50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and the score 50 suitable for an individual user is applied by applying the importance level to the score calculation equation. ) Can be deriv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종료 하고 난 후 스코어가 제공된 방정돈컨텐츠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change screen provided with a score after a user finishes execu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방정돈 수행을 모두 완료하고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사용자가 종료하는 경우, 상기 방정돈컨텐츠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3000)을 통해 보게 되는 사용자의 시점에서의 상기 방정돈컨텐츠 화면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방정돈 수행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고, 상기 스코어산출부(150)에서 산출된 스코어(50)가 상기 방정돈컨텐츠의 화면에서 함께 보여질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ll of the stakes are performed and the user ends the stake content, the stake content screen at the time of the user's view of the stake content user through the HMD module 3000 is shown in FIG. As show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arry out the plot, and the score 50 calculated by the score calculator 150 may be viewed together on the screen of the plot content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상태분석부에서 집중도 정도 및 안정도 정도를 도출하여, 사용자상태를 분석한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FIG. 13 exemplarily shows a graph in which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derive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and analyzes the user state.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에서는 상기 집중도분석부(141)에서 도출된 집중도 정도를 알 수 있는 값, 예를 들어, SMR파와 미드베타파의 합, 및 상기 안정도분석부(142)에서 도출된 안정도 정도를 알 수 있는 값, 예를 들어, 맥박 수치에 기초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도 정도 및 안정도 정도에 기초하여 인지정서정보를 도출 할 수 있다.In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a value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centration derived from the concentration analysis unit 141, for example, a sum of an SMR wave and a midbeta wave, and the stability analysis unit 142 may be derived. Based on a value for which the degree of stability is known, for example, a pulse value, as shown in FIG. 13,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집중도 정도가 산출되면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상기 집중도 정도를 그래프로 도출한다. 이 때, 사용자의 상기 안정도 정도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상기 맥박의 일관성을 사용자의 안정도 정도로 그래프로 도출한다.While the user executes the unbalanced content, if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s calculated,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derive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s a graph over time. At this time, the degree of stability of the user also over time, the consistency of the pulse over time to a graph of the degree of stability of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중도 정도 및 상기 안정도 정도를 비교하여 집중도 정도가 피크점을 찍었을 때, 상기 안정도 정도가 변동 없이 일정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방정돈컨텐츠를 실행하면서 방정돈 수행에 몰입도가 높고, 사용자의 심리상태가 안정되며, 평온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A) of FIG. 13, when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s peaked by comparing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the degree of stability may show a constant graph without change. Can be. This may result in a high degree of immers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plot while the user executes the plot conten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is stable, and calm.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중도 정도 및 상기 안정도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집중도 정도가 피크점을 찍었을 때, 상기 안정도 정도의 수치가 일정하지 못하고, 변동을 보이는 그래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집중도 정도는 집중하고 있는 듯 하지만, 상기 안정도 정도를 보았을 때, 사용자가 방정돈 수행에 몰입도가 낮고, 사용자의 심리상태가 안정되지 못하며,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거나 불안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B) of FIG. 13, when the concentration degree is a peak point by comparing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the numerical value of the degree of stability is not constant, and the variation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graph is visible. The concentration level seems to be concentrated, but when the stability level is viewed, the user is less immersed in the performance of the plo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is not stabilized, and the user is thinking differently or anxious. can do.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는 상기 집중도 정도 및 안정도 정도를 동시에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기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하여 인지정서정보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by simultaneously analyzing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and may derive 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는, 상기 안정도 정도에 있어서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관심구간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구간에서의 상기 안정도 정도의 편차값를 도출하는 단계, 및 전체 구간의 상기 안정도 정도의 편차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구간에서의 상기 안정도 정도의 편차 및 상기 전체 구간의 상기 안정도 정도의 편차로부터 인지정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deriving a region of interest exceeding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degree of stability, deriving a deviation value of the degree of stability in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entire section Deriving the deviation of the degree of stability, and deriving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from the deviation of the degree of stability in the interval of interest and the deviation of the degree of stability of the entire section.

상기 인지정서정보는 상기 관심구간에서의 상기 안정도 정도의 편차와 상기 전체 구간의 상기 안정도 정도의 편차의 차잇값에 기초하여 수치로 계량화될 수 있고, 상기 차잇값이 클수록 인지정서정보는 수치가 낮아지는 형태로 계량화될 수 있다.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may be quantifi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iation of the degree of stability in the interval of interest and the deviation of the degree of stability of the entire interval, and the larger the value of the cognitive emotion, the lower the value. Loss can be quantified in form.

즉, 상기 인지정서정보는 집중도 정도와 안정도 정도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에 해당한다.That is, 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n index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stability can be maintai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전달부에서 사용자정보를 외부 컴퓨팅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4 exemplarily illustrates a process of transferring us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by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용자정보전달부(160)는 사용자의 상기 집중도 정도 및 상기 안정도 정도로부터 도출된 상기 인지정서정보를 사용자 컴퓨팅 장치(61) 및 상담자 컴퓨팅 장치(62)에 네트워트(63)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r 160 may transmit 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of the user to the user computing device 61 and the counselor computing device 62 through the network 63.

상기 스코어산출부(150)에서 상기 스코어(50)를 산출할 때 기초가 된, 상기 이동거리(10),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20), 상기 정돈결과제공횟수(30), 및 상기 사용자상태(40)와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140)에서 도출된 상기 인지정서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상기 네트워트(63)를 통해 사용자 본인 또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61)로 전달 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정보를 사용자의 인지정서 치료를 목적으로 상담 혹은 치료를 진행하는 상담자가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상기 상담자 컴퓨팅 장치(62)로 전달 할 수 있다.When the score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score 50, the moving distance 10, the fixed content execution time 20, the number of results provided 30 and the user state The user information or the guardian of the user may access the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63 and the user information which may include 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140. The counselor computing device capable of deliver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computing device 61 and accessing the user information by consulting a counselor who conducts consultation or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treating the user's cognitive emotion ( 62) can be delivered.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61) 및 상기 상담자 컴퓨팅 장치(62)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의 네트워트(63)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수 있으며, 그 종류나 개수에 제한이 없다.The user computing device 61 and the counselor computing device 62 may connect to a network 63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mart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nd the like. It may be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r number.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 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5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that executes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emotional stability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도 15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100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1의 VR시스템부(1000)는 상기 도 15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providing method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system for emotional stability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ing device 11000 illustrated in FIG. 15. The VR system unit 1000 of FIG. 1 may include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illustrated in FIG. 15.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는 상기 센서부(2000), VR시스템부(1000), 및 HMD모듈(3000)을 포함하거나,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2000), VR시스템부(1000), 및 HMD모듈(3000)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d an input / output subsystem ( I / Osubsystem 11400, power circuit 11500, and communication circuit 11600.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1000 includes the sensor unit 2000, the VR system unit 1000, and the HMD module 3000, or the sensor unit 2000, by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VR system unit 1000, and the HMD module 3000.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ing the memory 11200 from another component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the input and / or output peripherals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to the processor 11100 and the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 / output peripherals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or keyboard, a mouse, a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a sensor, as necessary,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 / 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charging systems,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s, power converters or inverters, power status indicators or power sources. It can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15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5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15 is only one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include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15,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5,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and various communication scheme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integrated circuits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tt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fil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processors, controllers, arithmetic logic units (ALUs), digital signal processors, microcomputer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bu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t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for the purpose of interpreting 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signal wave to be transmitted.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so that they are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embodiments,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10)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체험공간에서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VR시스템부; 및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상기 움직임을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집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정돈컨텐츠실행부;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정돈결과제공부;
상기 센싱정보수집부가 수집한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사용자상태를 도출하는 사용자상태분석부;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의 실행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센싱정보수집부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정돈결과제공부로부터 도출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스코어산출부;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인지정서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달하는 사용자정보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산출부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의 사용자의 이동거리;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시점에서 종료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
상기 정돈결과제공부로부터 도출된,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의 제공횟수에 해당하는 정돈결과제공횟수;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에서,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수치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안정도수치를 기초하여 도출된 사용자상태; 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As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emotion and psychology of user,
Positio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coordinates in the experience space from the user, EEG measurement module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to measure the brain wave of the user, Pulse measurement attached to the wrist of the user to measure the pulse of the user A sensor unit comprising a module and a motio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a user's movement;
A VR system unit which executes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which a user performs a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evaluates an execution resul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n HMD module for receiving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from the VR system unit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Including,
The VR system unit,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 the pulse, the movement from the sensor unit;
Room content running unit for executing the content to enable the user to wear the room virtual reality experience HMD module;
A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ile the user experiences the trimming virtual reality by the trimming content executing unit;
A user state analyzer for deriving a user state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pulses collected b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When the execution of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ends,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ordered result providing unit, and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A scor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derived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Including,
The score calculation unit,
A moving distance of the user dur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which is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plot content execution time, which is derived from the plot content executing unit, from the execution point of the content to the end point of the content;
The number of tidying result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image for the tidying results derived from the tidying results providing unit; And
A user state derived from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based on the concentration value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stability value derived based on the pulse rate; A virtual reality system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부는,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 혹은 기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시점에서 종료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unit,
Executing content for allowing a user to experience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Terminating execu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predetermined criteria; And
Measuring a running content execution time from when the user executes the content to when it ends; Virtual reality system to per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돈결과제공부는 사용자의 정돈결과제공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또는 사용자의 입력수신에 따라 상기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의 제공을 종료하고, 정돈결과제공횟수를 측정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receives an trimming result providing request of the user and provides an image of the trimming result,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reception,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unit ends the provision of the trimming result and provides the trimming result. A virtual reality system that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는,
상기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정보수신부; 상기 뇌파를 집중도수치로 산출하는 집중도수치산출부;를 포함하는 집중도분석부;
상기 맥박을 수신하는 맥박정보수신부; 상기 맥박을 안정도수치로 산출하는 안정도수치산출부;를 포함하는 안정도분석부;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An EEG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EEG; A concentration analysis unit including; a concentration level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the EEG as a concentration level;
Puls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ulse; A stability analysis unit comprising; a stability value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pulse rate as a stability value; Virtual reality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부는 상기 뇌파가 SMR파, 미드베타파, 세타파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하고,
집중도수치산출부는 상기 SMR파 및 상기 미드베타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세타파가 감소함에 따라 커지는 집중도산출식을 이용하여 집중도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안정도수치산출부는 상기 맥박의 편차의 차잇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잇값이 작을수록 커지는 안정도산출식; 을 이용하여 안정도수치를 산출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user state analysis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rain wave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SMR wave, mid beta wave, theta wave,
The concentration level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level value using a concentration calculation equation that increases as the SMR wave and the midbeta wave increase and the theta wave decreases.
The stability calculation unit comprising: a stability calculation equation that increases as the difference value becomes smaller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deviation of the pulse; Virtual reality system for calculating the stability value us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정보전달부는 사용자의 집중도 및 안정도로부터 도출된 상기 인지정서정보를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상담자 컴퓨팅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formation transfer unit delivers the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concentration and stability of the user to the user computing device and the counselo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현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체험공간에서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단계;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된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된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단계;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단계를 포함하는 센서단계;
상기 센서단계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정돈를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VR시스템단계; 및
HMD모듈을 통하여, 상기 VR시스템단계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단계는,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상기 좌표, 상기 뇌파, 상기 맥박, 상기 움직임을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집단계;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에 의하여 사용자가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정돈결과제공단계;
상기 센싱정보수집단계가 수집한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사용자상태를 도출하는 사용자상태분석단계;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의 실행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센싱정보수집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 상기 정돈결과제공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스코어산출단계;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인지정서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달하는 사용자정보전달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산출단계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단계로부터 도출된, 상기 방정돈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의 사용자의 이동거리;
상기 방정돈컨텐츠실행단계로부터 도출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시점에서 종료한 시점까지의 방정돈컨텐츠실행시간;
상기 정돈결과제공단계로부터 도출된, 정돈결과에 대한 이미지의 제공횟수에 해당하는 정돈결과제공횟수; 및
상기 사용자상태분석단계에서,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수치 및 상기 맥박에 기초하여 도출된 안정도수치를 기초하여 도출된 사용자상태; 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현방법.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improving emotion and psychological grasp of a user,
Position sensor step of measuring the coordinates in the experience space from the user;
An EEG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n EEG of the user using a device attached to the head of the user;
Puls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pulse of the user using a device attached to the wrist portion of the user; And
A sensor step including a motion sensor step of measuring a movement of a user;
A VR system step of execu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n which a user performs a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ensor step, and performing an evaluation o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n HMD module step of receiving an image and sound inform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in the VR system step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through an HMD module; Including,
The VR system step,
A sensing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receiving the coordinates, the brain wave, the pulse, and the movement from the sensor step;
A method of executing content contents to execute contents for allowing a user to wea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o a user wearing the HMD module;
A tidying resul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n image of tidying results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ile the user experiences the tidying virtual reality by the tidying contents execution step;
A user state analysis step of deriving a user state based on the brain waves and the pulses collected b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step;
When the execution of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step ends,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nbalanced content execution step,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trimming result providing step, and the user state analysis step A scor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core based 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core;
A user information transfer step of transmitting cognitive emo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brain wave and the pulse to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Including,
The score calculation step,
A moving distance of the user dur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which is der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ing step;
A plotted content execution time, from the point of execution of the content to the end of the content, derived from the settling content executing step;
The number of tidy result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an image for the tidy result derived from the tidy result providing step; And
In the user state analysis step, the user state derived based on the concentration value derived based on the EEG and the stability value derived based on the pulse rate;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calculating a score based on the.
삭제delete
KR1020180136962A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KR102021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62A KR102021848B1 (en)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62A KR102021848B1 (en)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848B1 true KR102021848B1 (en) 2019-09-17

Family

ID=6807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962A KR102021848B1 (en) 2018-11-09 2018-11-09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848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472A (en) 2019-11-25 2021-06-03 김오현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VR device
KR20210100781A (en) * 2020-02-06 2021-08-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Counsel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rain wave analysi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KR20220068671A (en) 2020-11-19 2022-05-26 김한길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mind states or desired things by diary
KR102425481B1 (en) * 2021-12-16 2022-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communicat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KR102425479B1 (en) * 2022-03-03 2022-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vatar With User Information, Providing It To An External Metaverse Platform, And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DTx(Digital Therapeutics)
KR102429627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ystem that Generates Avatars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Multiple Contents
KR102429630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that creates communication NPC avatars for healthcare
KR102432251B1 (en) * 2021-12-16 2022-08-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ed on social servers
KR102432250B1 (en) * 2021-12-16 2022-08-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ystem that Provides Care Chatbot
KR102543337B1 (en) * 2022-03-21 2023-06-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lor Healing Content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Created An Avatar
KR20230137536A (en) * 2022-03-21 2023-10-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ptimum Temperature For A User-Customized Immersive Content Test Bed Performing Content By Creating An Avatar
KR102605576B1 (en) * 2022-12-20 2023-11-23 주식회사 디바스 Psychological Evaluation System based on Multidimensional Virtual Reality Phenoty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30A (en) * 2002-02-25 2002-05-09 (주)블루미디어텍 Virtual reality system and therapeutic method thereof for curing mental disorder
JP2007304973A (en) * 2006-05-12 2007-11-22 Mhi Environment Engineering Co Ltd Simulation device and simulation method
KR101799013B1 (en) * 2017-05-10 2017-11-22 김은지 Method for diagnosing giftedness of child comprising dynamic index and suggesting a proposed teaching aids using it
KR20180066765A (en)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mental health using virtual reality
KR101901258B1 (en) * 2017-12-04 2018-09-2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ptimizing Images of compressed package fi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30A (en) * 2002-02-25 2002-05-09 (주)블루미디어텍 Virtual reality system and therapeutic method thereof for curing mental disorder
JP2007304973A (en) * 2006-05-12 2007-11-22 Mhi Environment Engineering Co Ltd Simulation device and simulation method
KR20180066765A (en)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mental health using virtual reality
KR101799013B1 (en) * 2017-05-10 2017-11-22 김은지 Method for diagnosing giftedness of child comprising dynamic index and suggesting a proposed teaching aids using it
KR101901258B1 (en) * 2017-12-04 2018-09-2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ptimizing Images of compressed package fil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472A (en) 2019-11-25 2021-06-03 김오현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VR device
KR20210100781A (en) * 2020-02-06 2021-08-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Counsel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rain wave analysi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KR102401311B1 (en) 2020-02-06 2022-05-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Counsel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rain wave analysi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KR20220068671A (en) 2020-11-19 2022-05-26 김한길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mind states or desired things by diary
KR102429627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ystem that Generates Avatars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Multiple Contents
KR102425481B1 (en) * 2021-12-16 2022-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communicat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KR102429630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that creates communication NPC avatars for healthcare
KR102432251B1 (en) * 2021-12-16 2022-08-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ed on social servers
KR102432250B1 (en) * 2021-12-16 2022-08-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ystem that Provides Care Chatbot
KR102425479B1 (en) * 2022-03-03 2022-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vatar With User Information, Providing It To An External Metaverse Platform, And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DTx(Digital Therapeutics)
KR102543337B1 (en) * 2022-03-21 2023-06-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lor Healing Content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Created An Avatar
KR20230137536A (en) * 2022-03-21 2023-10-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ptimum Temperature For A User-Customized Immersive Content Test Bed Performing Content By Creating An Avatar
KR102617431B1 (en) * 2022-03-21 2023-12-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ptimum Temperature For A User-Customized Immersive Content Test Bed Performing Content By Creating An Avatar
KR102605576B1 (en) * 2022-12-20 2023-11-23 주식회사 디바스 Psychological Evaluation System based on Multidimensional Virtual Reality Pheno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848B1 (en) Virtual Reality System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KR102023024B1 (en) Virtual Reality System With Feedback according to User's State Information for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Nahavandi et al.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wearable devi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Baron et al. Feeling validated yet? A scoping review of the use of consumer-targeted wearable and mobile technology to measure and improve sleep
Wu et al. How fitness trackers facilitate health behavior change
Parasuraman Neuroergonomics: Brain, cognition, and performance at work
KR101901261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Virtual-Reality
CN109243605A (en) A kind of phrenoblabia diagnoses and treatment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3672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evaluating physiological aging level
Crucianelli et al. The role of the skin in interoception: A neglected organ?
Kauppi et al. Towards brain-activity-controlled information retrieval: Decoding image relevance from MEG signals
WO2017023540A1 (en) Health maintenance advisory technology
KR102151494B1 (en) Active feedback virtual reality system for brain and physical health through user's activity
Sharma et al. Modeling stress recognition in typical virtual environments
KR101901258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ptimizing Images of compressed package files
US11386818B2 (en) Drone apparatus used in healthcare applications
Zhang et al. A real-time wireless wearable electroencephalography system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for encephalopathy daily monitoring
Wang et al. Design on the control system of a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based on Brain-Computer Interface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Ornitz et al. Effect of vestibular and auditory stimulation on the REMs of REM sleep in autistic children
Darzi et al. Classification of multiple psychological dimensions in computer game players using physiology, performanc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ho et al. BCI sensor based environment changing system for immersion of 3D game
Zhou et al. Event-related driver stress detection with smartphones among young novice drivers
Swanson et al. Optimized Home Rehabilitation Technology Reduces Upper Extremity Impairment Compared to a Conventional Home Exercise Program: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Blind Trial in Subacute Stroke
Szegletes et al. Reusable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daptive games
Torku et al. Wearable sensing and mining of the informativeness of older adults’ physiological, behavioral, and cognitive responses to detect dema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