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080B1 - Table - Google Patents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080B1
KR102021080B1 KR1020190001609A KR20190001609A KR102021080B1 KR 102021080 B1 KR102021080 B1 KR 102021080B1 KR 1020190001609 A KR1020190001609 A KR 1020190001609A KR 20190001609 A KR20190001609 A KR 20190001609A KR 102021080 B1 KR102021080 B1 KR 10202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moving block
cabinet
fixing too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 프렌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프렌시스 filed Critical ㈜ 프렌시스
Priority to KR102019000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0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0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able with a movable storage closet, which can be allowed to be switched to various positions by user preference or arbitrary selection, can be easily assembled, maintained, and repaired by simplification of configuration, and can be actively contributed to accuracy of slide position control to significantly improve efficiency in use. The multi-table with a movable storage closet comprises: a post (10); a cross bar (20) coupled to the post to be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torage closet (70) fixedly positioned based on the cross bar. The storage closet (70) can be allowed to be slid transversely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a length of the cross bar while the storage closet is mounted on the cross bar (20) via a position adjustment hole (30).

Description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TABLE}Cabinet movable multi table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 내지 식탁, 책상 등에 광범위하게 채용될 수 있는 이동형 수납장에 관한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취향 내지 임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의 전환이 허용될 뿐 아니라 제반 구성의 간소화로 인해 조립 및 유지 보수 시 취급이 극히 용이하면서도 슬라이드 위치 제어의 정확성에 적극 기여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concept of a mobile cabinet that can be widely employed in a table or a table, a desk, etc.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be switched to various positions by the user's taste or arbitrary selection, and also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movable multi-table which is extremely easy to handle during assembly and maintenance, and is configured to significantly increase efficiency in use by actively contributing to the accuracy of slide position control.

기존 테이블 내지 책상은 서류나 기타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납장은 통상 사용자 다리가 위치하는 테이블의 아래쪽 측면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Existing tables or desks are provided with a storage box for storing documents or other items, such storage cabinets are usually provided in a fixed form on the lower side of the table where the user's legs are located.

이에 따라 테이블 하부는 공간 활용면에서 극히 제한적이어서 사용자에게 크나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의 편의나 동선에 저해되는 등 사용자 선택에 따라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한 폐단이 존재한다.Accordingly, the lower part of the table is extremely limited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which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furthermore, there is a closure, which cannot be eff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uch as being impeded by the user's convenience or movement.

근래 들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도록 각종 기능성을 보유한 테이블이 제공되고 있는바, 예컨대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8771호 "절첩식 보조테이블을 가진 이동식 서류함"은 다단의 슬라이드 서랍을 구비하고, 바닥면 모서리에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서류보관함 몸체와, 몸체의 상판 좌우측 또는 뒤쪽 모서리에 각각 힌지로 결합되고 힌지가 결합되는 측면에는 그 모서리보다 외측으로 돌출한 지지편이 형성되어 한쪽에서는 몸체 상판에 얹혀서 지지되는 보조테이블과, 보조테이블 저면에 한쪽 선단을 결합하여 보조테이블을 수평상태로 전개하여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Recently, tables with various functionalities have been provided to meet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For example, JP 1998-068771 "Movable Filing Cabinet with Folding Side Table" has a multi-stage slide drawer and a floor. The filing cabinet body where wheels are coupled to the edges of the surface and the top plate of the body and hinged to the left and right or rear edges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the side to which the hinges are coupled are formed with support piece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s. It is composed of an auxiliary table which is mounted on and supported, and a support table which supports the support table from the bottom by unfolding the auxiliary table in a horizontal state by joining one end to the bottom of the auxiliary table.

하지만, 전술한 선행문헌 및 모든 종래기술에서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서류함 내지 수납장이 바퀴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정도에 지나지 않을 뿐 아니라 기존에 비해 개선되거나 차별화된 기술사상이 반영되지 못하여 보다 근본적인 방안으로는 미흡하므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s and all the prior art, not only the filing cabinet or storage cabinet provided on the table can be moved by the wheels, but also improved or differentiated technical ideas are not reflected a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so they are insufficient as a fundamental solution.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8771호 "절첩식 보조테이블을 가진 이동식 서류함"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68771 "Mobile Filing Cabinet with Folding Side Table"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소비자의 사용 성향이나 동선 등에 적합하도록 보다 다양한 위치로의 전환이 허용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 storage movable multi-table that is allowed to switch to a more various position to be suitable for the consumer's propensity to use or moving lines.

또한, 본 발명은 간소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조립 및 유지 보수 시 취급이 극히 용이할 뿐 아니라 보다 안정감 있게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movable multi-table which is not only extremely easy to handle during assembly and maintenance due to a simplified configuration, but also slides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더욱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 효율성이 현저히 제고될 수 있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inet movable multi-tabl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enables more precise and accurate position control,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us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바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위치 고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납장의 위치 이탈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inet movable multi-table which can preven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storage box by more securely positioning the crossbar.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movable multi-table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위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100)은 포스트(10)와, 포스트와 결부되어 가로 배열되는 크로스바(20)와, 크로스바를 기반으로 위치 고수되는 수납장(70)을 포함하고, 특히 수납장(70)은 위치조절구(30)를 매개로 하여 크로스바(20)에 거치되면서 크로스바 길이에 대응한 범위 내에서 횡단으로의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abinet movable multi-table 100 includes a post 10, a crossbar 20 horizontally arranged in conjunction with the post, and a storage cabinet 70 held based on the crossbar, in particular, the cabinet 70 is position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movement to the transverse with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rossbar length while being mounted on the crossbar 20 via the adjusting device 30.

또한, 위 위치조절구(30)는 하방으로 수납장(70)과 결부되고 상방으로 크로스바(20)에 걸림 고정되는 이동블록(40) 및 이동블록에 끼움 개재되어 크로스바의 이탈을 억제하는 고정툴(50)로 구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abinet 7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upwardly fixed to the crossbar 20, the movable block 40 and the fixing tool interposed in the moving block to suppress the separation of the crossbar (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50).

또한, 위 이동블록(40)은 수납장(70)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바닥부(41)와, 바닥부 중앙에서 상향 입설되고 해당 단부를 절곡시켜 크로스바(20) 상단에 맞물려 거치되게 하는 걸림부(42)와, 걸림부 내부로 인입된 크로스바의 측면을 구속하기 위하여 고정툴(50)의 끼움이 허용되도록 바닥부 상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홀(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block 40 is the bottom portion 41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70, and the engaging portion to be engaged up to the top of the crossbar 20 by standing up in the bottom center and bent the corresponding end ( 42) and a receiving hole 43 recessed on the bottom portion to allow the fitting of the fixing tool 50 to restrain the side of the crossbar drawn into the locking portion.

또한, 위 고정툴(50)은 이동블록(40) 상에 함몰 형성한 수용홀(43)로 끼움되면서 크로스바(20) 측면에 접촉 유지되는 삽지면(51) 및 삽지면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면(52)으로 구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tool 5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3 formed on the moving block 40 while being form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insertion surface 51 and the insertion surface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rossbar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support surface (52).

또한, 위 지지면(52)은 이동블록(40)과 접촉되는 하면으로 돌출돌부(53)를 하향 연장 형성시키되, 위 돌출돌부(53)는 이동블록 상에 함몰 형성한 끼움공(44)으로 억지 끼움되면서 고정툴(50)과 이동블록(40)의 상호 결합력이 증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surface 52 extends downwardly protruding protrusions 53 to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oving block 40, the upper protrusions 53 is a fitting hole 44 formed recessed on the moving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force of the fixing tool 50 and the moving block 40 is increased while being interfitted.

또한, 위 위치조절구(30)는 이동블록(40)의 측방에서 사선 결합되는 스토퍼(60)에 의해 고정툴(50)의 상향 인출이 방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ment devic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ward pull out of the fixing tool 50 by the stopper 60 is diagonally coupled from the side of the moving block 40.

또한, 위 이동블록(40)은 스토퍼(60)의 사선 인입이 허용되도록 대응한 형상의 관통홀(45)을 더 형성하고, 위 고정툴(50)은 스토퍼 단부에 접촉되는 일면으로 요홈(54)을 더 형성하여 스토퍼 인입에 기인한 위치 구속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block 40 further forms a through hole 45 of a corresponding shape so as to allow diagonal entry of the stopper 60, and the fixing tool 50 has a groove 54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to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urther constrain the position due to the stopper pull in forming a).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 내지 식탁, 책상 등에 광범위하게 채용될 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패턴이나 동선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위치로의 전환이 더욱 쉽게 허용되므로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을 보유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is widely employed in a table or a dining table, a desk, etc., but also has a benefit of maximizing efficiency in use since it is more easily allowed to switch to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a user's usage pattern or copper wire. .

무엇보다 본 발명은 이동블록과 고정툴로 구성되는 위치조절구에 의해 체결력은 증대시키면서도 극히 간소화된 관련 구성으로 인해 조립과 해체, 유지 보수에 극명한 효과가 발휘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 that the obvious effect on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maintenance due to the extremely simplified related configuration while increasing the tightening force by the positioning block composed of the moving block and the fixing tool.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은 크로스바 상에서 이동블록과 고정툴의 상호 조합을 통해 결부되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슬라이드 위치 이동이 가능해질 뿐 아니라 더욱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 효율성이 현저히 제고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cabinet movable multi-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moving block and the fixing tool on the crossbar not only enables a more stable slide position movement but also enables more precise and accurate position control,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e. It can be effective.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블록으로부터 고정툴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를 포함한 관련 구성을 취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because it takes a related configuration including a stopper to preven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fixed tool from the moving block.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위치조절구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툴이 이동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1 to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cabinet movable multi-table construct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FIG. 1;
4 to 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torage movable multi-tabl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evant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tool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ving block.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a batch abo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effec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테이블 내지 식탁, 책상 등에 광범위하게 채용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수납장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ovable cabinet that can be widely employed in a table, a dining table, a desk, and the like.

무엇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취향 내지 임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의 전환이 허용될 뿐 아니라 제반 구성의 간소화로 인해 조립 및 유지 보수 시 취급이 극히 용이하면서도 슬라이드 위치 제어의 정확성에 적극 기여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llowed to switch to various positions by user's preference or arbitrary selection, but also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overall configuration, it is extremely easy to handle during assembly and maintenance, and actively contributes to the accuracy of slide position control. No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movable multi-table 100 configured to be remarkably improved.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100)은 소정의 위치조절구(30)를 수단으로 하여 수납장의 거치 고정은 물론 위치 이동에 기여하는 기술사상이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8, the storage cabinet movable multi-table 100 proposed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idea of contributing to the fixing of the storage cabinet as well as the position movement by means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

이와 관련하여 상세 기재하면, 위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100)은 포스트(10)와, 포스트와 결부되어 가로 배열되는 크로스바(20)와, 크로스바를 기반으로 위치 고수되는 수납장(70)을 포함하고, 특히 수납장(70)은 위치조절구(30)를 매개로 하여 크로스바(20)에 거치되면서 크로스바 길이에 대응한 범위 내에서 횡단으로의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In detail in this regard, the storage cabinet movable multi-table 100 includes a post 10, the crossbar 20 is arranged horizontally in conjunction with the post, and the storage cabinet 70 is adhered to the position based on the crossbar, In particular, while the cabinet 70 is mounted on the crossbar 20 via the position adjustment port 30, the main part is allowed to slide in the transverse with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rossbar length.

여기서 위 위치조절구(30)는 본 발명의 주된 핵심으로, 하방으로 수납장(70)과 결부되고 상방으로 크로스바(20)에 걸림 고정되는 이동블록(40) 및 이동블록에 끼움 개재되어 크로스바의 이탈을 억제하는 고정툴(50)로 구분 구성된다.Wherein the up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is the main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abinet 70 in the lower direction and upwardly interlocked with the moving block 40 and the moving block is fastened to the crossbar 20 is separated from the crossbar It is divided into a fixed tool 50 to suppress the.

위 이동블록(40)은 도 3에 상세 도시한 것처럼 크로스바(20)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며, 볼트 등에 의해 수납장(70)과 일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이동블록(40)은 수납장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함으로써 견고한 지지력 내지 결합력이 유발된다.The moving block 40 is to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rossbar 20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3,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binet 70 by a bolt or the like. In addition, the moving block 40 is fastened by at least one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storage closet, causing a strong support force or coupling force.

위 고정툴(50)은 이동블록(40)과 2개 1조로 작용하는 제반 구성으로, 도면과 같이 이동블록 내부로 끼움 개재되면서 크로스바에 거치된 이동블록의 탈거를 적극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고정툴(50)과 이동블록(40)의 상호 결합은 위치조절구(30)를 수단으로 크로스바와 수납장의 견고한 일체화 및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에 기여하게 된다.The fixing tool 50 is a general configuration that acts as a pair of moving block 40 and two, it is actively inserted into the moving block as shown in the drawing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moving block mounted on the crossbar. As a result, the mutual coupling of the fixing tool 50 and the moving block 40 contributes to the firm integration of the crossbar and the cabinet and the precise and accurate position control by means of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이를 위해 위 이동블록(40)은 도 3과 같이 수납장(70)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바닥부(41)와, 바닥부 중앙에서 상향 입설되고 해당 단부를 절곡시켜 크로스바(20) 상단에 맞물려 거치되게 하는 걸림부(42)와, 걸림부 내부로 인입된 크로스바의 측면을 구속하기 위하여 고정툴(50)의 끼움이 허용되도록 바닥부 상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홀(43)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moving block 40 is a bottom part 41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70 as shown in FIG. 3, and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and bent at the end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top of the crossbar 20. The locking portion 42 and the receiving hole 43 is formed on the bottom recessed to allow the fitting of the fixing tool 50 to restrain the side of the crossbar drawn into the locking portion.

위 바닥부(41)는 수납장(70)과 위치조절구(30)를 서로 일체화되게 하고, 해당 위치는 수납장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그 개수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바닥면 양측으로 소정의 체결공(41-2)을 천공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41-4)이 관통 체결되게 하였으며, 이러한 양측 체결공의 중심에서 이동블록의 걸림부(42)가 상향 전개되는 형상을 구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위 바닥부(41)는 서로 대응하는 체결공(41-2)을 양측에 천공하여 체결수단(41-4)의 개재로 수납장 상면에서 일체화 유도하는 결합면(41-1)과, 양측 결합면에 비해 상향하여 돌출되면서 이동블록(40) 내부로 인입된 크로스바 하단에 맞물림 유지되는 슬라이딩면(41-3)으로 구성된다.
The upper bottom portion 41 is to be integrated with the cabinet 70 and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the position can be set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r shape of the cabinet, the number is also apparent in the use environment It can be specified in various way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fastening hole 41-2 is drill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to maintain a more stable coupling force, such that fastening means 41-4 such as bolts are fasten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s. The locking portion 42 of the moving block is built up upwardly.
Preferably, the upper bottom portion 41 and the coupling surface (41-1) for perforating the fastening holes (41-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by integrating indu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by the interlocking means (41-4) It is composed of a sliding surface (41-3)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rossbar introduced into the moving block (40) while protruding upward compared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surface.

위 걸림부(42)는 상단을 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크로스바(20) 상면에서 지지되게 하였는바, 절곡 범위는 크로스바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와 대응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나은 결합력을 유도하기 위해 크로스바 상면 및 걸림부 저면으로 소정의 요철(미도시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은 크로스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자칫 걸림부가 크로스바 상면으로부터 임의 탈거되지 않게 방지한다.The upper locking portion 42 is formed to be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top of the crossbar 20 to be supported, the bending range needs to be set correspon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crossbar, to induce a better coupling force In order to prevent the irregularities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and the bottom of the locking portion. At this time, the unevenness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to prevent the jammed portion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from the crossbar upper surface.

위 수용홀(43)은 고정툴(50)의 인입을 허용하기 위한 제반 구성으로, 적정 깊이로 이루어져 고정툴의 삽지면(51)이 연직 하방으로 삽입 개재되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수용홀은 크로스바(20)가 위치되는 지점을 고려하여 바닥부(41) 선단에 임의 크기로 천공됨에 따라 고정툴이 끼워지면서 걸림부 내측으로 위치된 크로스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The upper receiving hole 43 is a general configuration for allowing the inlet of the fixing tool 50, it is made of a suitable depth so that the insertion surface 51 of the fixing tool is inserted vertically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rossbar positioned inside the engag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as the fixing tool is fitted as the hole is drilled in a random size at the tip of the bottom portion 41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where the crossbar 20 is located. .

한편,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위 고정툴(50)은 이동블록(40) 상에 함몰 형성한 수용홀(43)로 끼움되면서 크로스바(20) 측면에 접촉 유지되는 삽지면(51) 및 삽지면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면(52)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tool 50 is proposed as a fe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3 formed on the moving block 40 while the insertion surface 51 and the shovel that is kept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rossbar 20 It may be divided into a support surface 52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ground.

위 삽지면(51)은 수용홀(43) 내부로 맞춤 수용되면서 크로스바(20)의 일면을 구속하는바, 이를 위해 삽지면의 상하 면적은 수용홀로부터 상향 연장될 수 있을 정도로 제공되어야 하며, 가령 수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상향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크로스바의 일면이 이에 맞물리게 되어 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미연에 차단한다.The insertion surface 51 is to be accommodated into the receiving hole 43 to restrain one surface of the crossbar 20, for this purpose,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insertion surface should be provid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eceiving hole, for example As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fitted in the receiving hole, one side of the crossbar is engaged with it, thus preventing the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위 지지면(52)은 삽지면(51)이 수용홀(43)로 끼워진 상태에서 횡단으로의 지지력이 수반되게 하는 구성요소로, 수용홀에 삽지면이 진입되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크로스바(20)의 측 방향으로 유발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surface 52 is a component that is accompanied by a supporting force in the transverse state in the state that the insertion surface 51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hole 43, can measure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into the receiving hole as well as the crossbar It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in response to the stress that may be cau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20).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툴(50)이 이동블록(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제안한 것이다.7 to 8 exemplarily suggest that the fixing tool 5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ving block 40.

도 7은 이탈방지수단으로서 돌출돌부(53)와 끼움공(44)의 부가 형성을 제안하고 있으며, 상세하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7 proposes the additional formation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53 and the fitting hole 44 as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위 지지면(52)은 이동블록(40)과 접촉되는 하면으로 돌출돌부(53)를 하향 연장 형성시키되, 위 돌출돌부(53)는 이동블록 상에 함몰 형성한 끼움공(44)으로 억지 끼움되면서 고정툴(50)과 이동블록(40)의 상호 결합력이 증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pport surface 52 extends downwardly from the protruding protrusion 53 to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block 40,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53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44 recessed on the movable block. While be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force of the fixing tool 50 and the moving block 40 is increased.

위 돌출돌부(53)와 끼움공(44)은 원형을 포함한 기타 다양한 형상의 단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또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rotrusion 53 and the fitting hole 44 may be provided in a cross section of various other shapes, including a circular, the number can also be applied in various ways.

도 8은 또 하나의 이탈방지수단으로서 소정의 스토퍼를 제안하고 있다.8 proposes a predetermined stopper as another release preventing means.

즉 도 8에서 상세 도시한 것처럼 위 위치조절구(30)는 이동블록(40)의 측방에서 사선 결합되는 스토퍼(60)에 의해 고정툴(50)의 상향 인출이 방지되게 하되, 이때 이동블록(40)은 스토퍼(60)의 사선 인입이 허용되도록 대응한 형상의 관통홀(45)을 더 형성하고, 위 고정툴(50)은 스토퍼 단부에 접촉되는 일면으로 요홈(54)을 더 형성하여 스토퍼 인입에 기인한 위치 구속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detail in FIG. 8, the up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is prevented from upwardly pulling out of the fixing tool 50 by the stopper 60 diagonally coupled from the side of the moving block 40, in which case the moving block ( 40 further forms a through hole 45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to allow diagonal entry of the stopper 60, and the fixing tool 50 further forms a groove 54 on one surface that contacts the end of the stopper.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positional constraints due to the retraction.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 내지 식탁, 책상 등에 광범위하게 채용될 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패턴이나 동선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위치로의 전환이 더욱 쉽게 허용되므로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을 보유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is widely employed in a table or a dining table, a desk, etc., but also has a benefit of maximizing efficiency in use since it is more easily allowed to switch to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a user's usage pattern or copper wire. .

무엇보다 본 발명은 이동블록과 고정툴로 구성되는 위치조절구에 의해 체결력은 증대시키면서도 극히 간소화된 관련 구성으로 인해 조립과 해체, 유지 보수에 극명한 효과가 발휘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 that the obvious effect on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maintenance due to the extremely simplified related configuration while increasing the tightening force by the positioning block composed of the moving block and the fixing tool.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은 크로스바 상에서 이동블록과 고정툴의 상호 조합을 통해 결부되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슬라이드 위치 이동이 가능해질 뿐 아니라 더욱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 효율성이 현저히 제고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cabinet movable multi-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moving block and the fixing tool on the crossbar not only enables a more stable slide position movement but also enables more precise and accurate position control,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e. It can be effective.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블록으로부터 고정툴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를 포함한 관련 구성을 취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because it takes a related configuration including a stopper to preven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fixed tool from the moving block.

10. 포스트
20. 크로스바
30. 위치조절구
40. 이동블록
50. 고정툴
70. 수납장
100. 멀티 테이블
10. Post
20. Crossbar
30. Positioner
40. Moving Block
50. Fixing Tool
70. Cabinet
100. Multi table

Claims (7)

포스트(10)와, 포스트와 결부되어 가로 배열되는 크로스바(20)와, 크로스바를 기반으로 위치 고수되는 수납장(70)을 포함하고, 위 수납장(70)은 위치조절구(30)를 매개로 하여 크로스바(20)에 거치되면서 크로스바 길이에 대응한 범위 내에서 횡단으로의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되, 위 위치조절구(30)는 하방으로 수납장(70)과 결부되고 상방으로 크로스바(20)에 걸림 고정되는 이동블록(40) 및 이동블록에 끼움 개재되어 크로스바의 이탈을 억제하는 고정툴(50)로 구분 구성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에 있어서,
위 이동블록(40)은 수납장(70)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바닥부(41)와, 바닥부 중앙에서 상향 입설되고 해당 단부를 절곡시켜 크로스바(20) 상단에 맞물려 거치되게 하는 걸림부(42)와, 걸림부 내부로 인입된 크로스바의 측면을 구속하기 위하여 고정툴(50)의 끼움이 허용되도록 바닥부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홀(43)로 구성하되,
위 바닥부(41)는 서로 대응하는 체결공(41-2)을 양측에 천공하여 체결수단(41-4)의 개재로 수납장 상면에서 일체화 유도하는 결합면(41-1)과, 양측 결합면에 비해 상향하여 돌출되면서 이동블록(40) 내부로 인입된 크로스바 하단에 맞물림 유지되는 슬라이딩면(41-3)으로 구성되고,
위 고정툴(50)은 이동블록(40) 상에 함몰 형성한 수용홀(43)로 끼움되면서 크로스바(20) 측면에 접촉 유지되는 삽지면(51) 및 삽지면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면(52)으로 구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이동형 멀티 테이블.
The post 10 includes a crossbar 20 horizontally arranged in connection with the post, and a storage cabinet 70 held in position based on the crossbar, and the upper storage cabinet 70 is provided via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While being mounted on the crossbar 20, the slide movement in the transverse is allowed with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rossbar length, the up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abinet 70 downward and fixed to the crossbar 20 upwards In the storage movable movable multi-table, which is divided into a moving block 40 and a fixing tool 50 interposed in the moving block to suppress the separation of the crossbar,
The moving block 40 is the bottom portion 41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70, and the engaging portion 42 to be mounted up in the center of the bottom and bent to the upper end of the crossbar 20 by bending the end portion thereof. And, it is composed of a receiving hole 43 is formed in the bottom recessed to allow the fitting of the fixing tool 50 to restrain the side of the crossbar introduced into the locking portion,
The upper portion 41 is a coupling surface (41-1) and both sides coupling surface for perforating the fastening holes (41-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guide the integra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by the interposition of the fastening means (41-4) It is composed of a sliding surface (41-3) which is engaged with the bottom of the crossbar introduced into the moving block 40 while being projected upward compared to,
The fixing tool 5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3 recessed on the moving block 4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insertion surface 5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surface that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crossbar 20 side surface Cabinet movable type multi-tabl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5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01609A 2019-01-07 2019-01-07 Table KR102021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09A KR102021080B1 (en) 2019-01-07 2019-01-07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09A KR102021080B1 (en) 2019-01-07 2019-01-07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080B1 true KR102021080B1 (en) 2019-11-04

Family

ID=6857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609A KR102021080B1 (en) 2019-01-07 2019-01-07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0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661B1 (en) * 2023-03-09 2023-06-07 주식회사 이노프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KR102539632B1 (en) * 2023-03-09 2023-06-07 주식회사 이노프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71A (en) 1997-02-24 1998-10-26 이대원 LOS Type Semiconductor Package
JP2000139587A (en) * 1998-11-17 2000-05-23 Meiwa Gravure Co Ltd Frame member for storage case and storage case
JP2016190051A (en) * 2011-05-06 2016-11-10 ベーリンゲ、イノベイション、アクチボラグVaelinge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building panels
KR20160140346A (en) * 2015-05-27 2016-12-07 가부시끼가이샤 세라다 Suspension arrangement imp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71A (en) 1997-02-24 1998-10-26 이대원 LOS Type Semiconductor Package
JP2000139587A (en) * 1998-11-17 2000-05-23 Meiwa Gravure Co Ltd Frame member for storage case and storage case
JP2016190051A (en) * 2011-05-06 2016-11-10 ベーリンゲ、イノベイション、アクチボラグVaelinge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building panels
KR20160140346A (en) * 2015-05-27 2016-12-07 가부시끼가이샤 세라다 Suspension arrangement impl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661B1 (en) * 2023-03-09 2023-06-07 주식회사 이노프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KR102539632B1 (en) * 2023-03-09 2023-06-07 주식회사 이노프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725E1 (en) Laterally stabilizing drawer slide for tall cupboard pull-out
KR102021080B1 (en) Table
EP1886597A2 (en) Furniture
KR101803436B1 (en) Functional extension table
US11814839B2 (en) Mobile wall including an alignment mechanism
TW201600049A (en) Drawer cabinet with adjustable drawer assembly mode
KR20100091905A (en) Cabinet
JP2022515933A (en) Support frame for slide adjustment of refrigerated cabinet shelves
CN111789377A (en) Lifting table control box fast assembly structure and lifting table frame
KR102246019B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furniture
CN212280395U (en) Lifting table control box fast assembly structure and lifting table frame
KR102000417B1 (en) Table
JP4333992B2 (en) Serving table
US20140375197A1 (en) Furniture pull-out
CN106061324A (en) Cupboard drawer
JP2007306957A (en) Sectional furniture
CN210407538U (en) Reception table convenient to move
JP5578741B2 (en) Kitchen cabinet drawer
KR20120006215U (en) . The sliding of the acceptance box the control structure stopping
JP4641905B2 (en) Equipment with mobile workbench
CN203152997U (en) File cabinet capable of being assembled
JP2010154991A (en) Drawer for kitchen cabinet
JP5148193B2 (en) Desk with shelf
KR102539661B1 (en)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US1985550A (en) Draw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