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988B1 -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 Google Patents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988B1
KR102018988B1 KR1020180081923A KR20180081923A KR102018988B1 KR 102018988 B1 KR102018988 B1 KR 102018988B1 KR 1020180081923 A KR1020180081923 A KR 1020180081923A KR 20180081923 A KR20180081923 A KR 20180081923A KR 102018988 B1 KR102018988 B1 KR 10201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housing
storage box
extinguish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환
Original Assignee
(주)샤픈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픈고트 filed Critical (주)샤픈고트
Priority to KR102018008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988B1/ko
Priority to KR1020190106543A priority patent/KR102513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방재 시스템이 탑재된 방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제어시스템이 탑재된 소화기보관함이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은 분리가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시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이 분실된 경우 알림 제공 및 일부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며, 화재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화재 발생 시 주변 사람들 또는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소화기보관함{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 소화기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소화기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주변의 재난 상황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기능 외에도 보관함 자체의 분실 또는 분리 여부를 감지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소화기보관함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과거 초기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기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커서 보관이 어렵고 주기적인 교체 등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최근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부피가 작고 휴대가 용이한 소화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식 소화기, 투척용 소화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프레이식 소화기는 버튼을 눌러 소화 물질을 분사하는 형태로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액체형으로 분말 소화기와 다르게 가루로 인한 2차 오염이 없으며 다양한 유형의 화재에 사용 가능하여 초기 진화에 유용한 점 등 장점이 많다.
투척용 소화기는 소화기가 투척된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공기를 일정 시간 차단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기존 소화기가 크고 무거워 노약자나 영유아가 사용하기 어려운 점과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가 어려운 점을 보완하였다.
한편, 이러한 소화기를 보관하는 보관함 또는 거치대 역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화기를 관리하는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보관함 또는 거치대는 분실 도난 위험이 있음에도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 또는 대처하기 위한 기능 등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재난 방재 기능뿐만 아니라 방재기구, 화재 방재 시설 등을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재난 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분리 시 분리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분리지속시간에 따라 스테이터스를 판단하며 상기 스테이터스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확인 기능이 있고, 확인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며 분실된 경우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주변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재기구; 및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등의 제어시스템이 탑재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간이 소방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재기구;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개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 및 상기 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방재기구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방재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소화기를 보관하는 소화기보관함의 이상 여부나 분실 여부를 빠르게 알 수 있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분실,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를 통해 복수의 소화기 관리가 용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과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인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에 소화기가 수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이 분실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소화기보관함이 분실상태를 회복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 주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소방시설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방재기구 내에 탑재될 수 있는 제어시스템(10) 및 상기 제어시스템(10)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방재기구 관리 또는 알림 기능을 하는 서버(20)를 나타낸다.
상기 방재기구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또는 사람의 실수, 부주의나 고의로 일어나는 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사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구, 설비, 장비, 시설 또는 장치 등(이하 방재기구)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재기구는 방화문, 방화벽, 경보기, 감지기, 유도등, 소화기, 소화전, 소화기보관함, 스프링클러, 배연설비, 파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 내에 탑재되어, 상기 방재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가 재난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해, 사고 등(이하 재난)을 감지하고 이를 직접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해 인지시켜주거나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관련 기관에 알려주어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감지한 정보를 서버(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버(20)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고나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관련 기관에 알려주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재난 대응 메뉴얼 및 방재기구 사용방법을 제공하고, 재난 관련 주의사항을 인지시키며, 주변 사람들이 대피 경로를 확보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 등이 그 자체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분실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일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비활성화시킨 기능들을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재난 관리 기능 외에도, 상기 방재기구를 관리하는 기능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2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하 서버 정보) 및 상기 제어시스템(10)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된 방재기구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정보는 재난 관련 정보, 사용자 등록 정보, 그 밖에 날씨, 광고, 뉴스, 미리 설정된 관심 분야에 관련된 정보, 또는 일상생활에 유용한 정보 등 불특정인이 알 수 있는 상태에 놓여져 있거나 불특정 다수인에게 열람 가능한 상태에 놓여져 있는 정보 및 일반적인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이 이용 가능한 정보(이하 서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획득한 정보들을 상기 제어시스템(10),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방재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 관리실, 관할 소방서나 경찰서 등의 관제실에 공유할 수 있으며, 역으로 공유 받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시스템(10)은 제어부(11), 센서부(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는 연기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미세먼지 감지 센서, 그 밖에 인체 유해물질 감지 센서 또는 방재기구 이상 유무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기 감지 센서는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연기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
상기 열 감지 센서는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열 온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 센서는 상기 방재기구 주위의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
상기 유해물질 감지 센서는 상기 방재기구 주위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유기화합물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유해물질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
상기 방재기구 이상 유무 감지 센서는 상기 방재기구의 분리 여부, 분실 여부 또는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분리, 분실 또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 또는 상기 통신부(13)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 주변의 재난 상황, 방재기구의 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LED 조명,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알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획득한 연기 농도 정보 및 열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화재 발생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획득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 또는 유해물질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상태 또는 주변 환경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대기 상태 또는 상기 주변 환경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된 방재기구의 이상 유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방재기구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재기구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에 의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서버(20) 또는 외부 시설 등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제어부(11) 또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20) 또는 외부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20) 또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와 통신을 하는 상기 외부 시설은 소방서, 경찰서 등의 재난 관리 시설,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된 방재기구와 페어링된 방재기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망, 3G, 4G, LTE망, 5G,로라(LoRa, Long Range)망 등의 이동통신망,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ITS 비콘,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지그비(zigbee),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무선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를 통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재난 발생 시 상기 외부 시설에 자동으로 신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이하 서술하는 인공지능 플랫폼과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IoT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센서부(12) 또는 상기 제어부(11)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를 제외한 전자 기기, 가스 차단기, 또는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위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다양한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측위 기술에는 GPS 기반으로 삼각측량법 등을 이용하는 GPS 또는 A-GPS, 이동통신사 LBS 플랫폼, 와이파이(Wi-Fi)로 들어오는 무선 AP의 정보를 이용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송출하는 reader와 고유 ID를 회신하는 tag를 이용하는 RFID,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하는 Bluetooth, 그 밖에 실내/외 위치 추적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의 내부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방재기구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되, 상기 방재기구 내부에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인공지능 플랫폼(미도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하여 음성인식, 시각 인식, 자연어 처리 또는 추천 기능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획득, 가공, 처리, 송신 또는 수신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때 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 중 소화기보관함(100)에 탑재될 수 있다. 이하 서술하는 내용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의 내용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소화기(4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소화기(400)는 분말용 소화기, 스프레이 소화기, 투척용 소화기, 또는 휴대용 소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상기 소화기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200)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도 3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소화기(400)의 형상에 따라 원뿔대, 각기둥, 각뿔대, 구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300)은 상기 제2 하우징(200)과 물리적,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의 형상에 따라 원뿔대, 각기둥, 각뿔대, 구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300)은 상기 제어부(11), 상기 센서부(12) 및 상기 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의 화재 발생 여부, 대기 상태, 주변 환경 상태,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분리 여부,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2)는 제2 하우징(200)에 포함되거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300)에,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나누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외부에 별도로 배치되어 있는 외부 센서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집 안에서 화재가 발생 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천장 또는 벽 상단 부분 등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제거되고 상기 제1 하우징(300)이 상기 소화기(400)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소화기(400)는 상기 제1 하우징(300) 상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소화기(400)는 상기 제1 하우징(300)에 결합용 홈, 밴드, 자석, 나사, 핀, 키 또는 그 밖에 결합 요소에 의해 고정 또는 반고정되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기계적으로 볼트와 너트, 키와 홈, 핀 방식, 스크류 방식, 반 스크류 방식, 압력 방식, 착탈식 등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조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자성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자기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위에 언급된 결합방법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거나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주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분리 여부확인 단계(510), 분리 지속시간 확인 단계(520), 스테이터스 결정 단계(530), 스테이터스에 따른 알림 제공 단계(540)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여부확인 단계(510)에서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분리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하고, 상기 분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는 마그넷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포토 센서, 조도 센서(Cds), 광전식 센서, 물리적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그넷 센서가 상기 제1 하우징(30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리된 경우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지속시간 확인 단계(5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 여부확인 단계(51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분리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분리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스 결정 단계(53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 지속시간 확인 단계(520)에서 저장한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스테이터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와 초과한 경우로 나누어 상기 스테이터스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시간을 짧은 것부터 제1 참조시간, 제2 참조시간, 제3 참조시간 등이라 할 때,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상기 제1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테이터스를 제1 상태로,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상기 제1 참조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테이터스를 제2 상태로,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상기 제2 참조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제3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테이터스를 제3 상태로 하는 등 필요한 만큼 상기 스테이터스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참조시간들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단순히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수용하고 있는 상기 소화기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실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스에 따른 알림 제공 단계(54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스테이터스 결정 단계(530)에서 결정된 스테이터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11)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색채와 형태 등으로 인지되는 가시적 신호, 소리나 후각 등으로 인지되는 비가시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문자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LED 조명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방법,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나 경고음을 출력하는 방법,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메시지나 경고음 출력과 동시에 LED 조명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방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상기 스테이터스에 따라 복수의 알림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 내용에 따라 제1 알림, 제2 알림, 제3 알림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상태에는 상기 제1 알림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상태에는 상기 제2 알림이 제공되고, 상기 제3 상태에는 상기 제3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테이터스가 다르더라도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가 유사한 경우 같은 내용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스가 같더라도 시간의 경과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내용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림 내용에는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리되었음을 공지하는 내용,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의 결합을 요청하는 내용,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실되었음을 공지하는 내용, 상기 소화기가 사용되었음을 공지하는 내용, 그 밖에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를 공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예로, 상기 알림 내용이 상기 LED 조명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알림 내용에 따라 한 가지 색의 밝기 변화, 복수의 색,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알림 내용이 상기 스피커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알림 내용에 따라 음(音)을 달리 출력하는 방법, 음의 출력 빈도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들은 실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모든 단계가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 기능 비활성화 단계(630)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에서 판단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를 분실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비활성화 단계(63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에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가 분실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일부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비활성화되는 기능은 화재 발생 사실, 대기 상태, 주변환경 상태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 등을 알려주는 기능, 상기 IoT 모듈에 의한 주변 사물 조작 기능 또는 상기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의사소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되는 기능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20), 상기 외부시설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임의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화기보관함은 긴급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급버튼을 누르면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전술한 단계들이 실행되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20) 또는 상기 외부 시설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들은 실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모든 단계가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에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가 분실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사용자 인증 또는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710), 분실상태 회복 여부확인 단계(720), 일부 기능 활성화 단계(730)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또는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71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실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소유권자임을 인증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며, 일 예로 상기 인증정보에는 비밀번호, 패턴 등의 지식기반 인증정보, 지문, 목소리, 홍채 등과 같은 생체 인증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사용 또는 이용하려는 사람으로부터 상기 지식기반 인증정보 또는 상기 생체 인증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등록 정보에 상기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도 7에 도시된 상기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에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분실상태 회복 여부확인 단계(7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 인증 또는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710)에서 얻어진 상기 인증정보 또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가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인증정보가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가 회복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되기 전 상기 소유권자로부터 제1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된 후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사용 또는 이용하려는 사람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를 입력 받은 때에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분실상태가 회복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는 이하 서술하듯 언제든지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 회복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어부(11)에 분실회복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를 임의로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 일부 기능 활성화 단계(73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가 회복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일부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활성화되는 일부 기능은 도 7의 상기 기능 비활성화 단계(630)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활성화되는 일부 기능은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 화재 발생 사실, 대기 상태, 주변환경 상태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 등을 알려주는 기능, 상기 IoT 모듈에 의한 주변 사물 조작 기능 또는 상기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의사소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들은 실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모든 단계가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여부확인 단계(810) 및 알림 제공 단계(820)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사용자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 사람들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상기 화재발생 사실은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과 페어링된 다른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위치한 지역구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 등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 여부확인 단계(810)에서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의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화재 발생 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재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과 페어링된 상기 다른 소화기보관함(100)으로부터 화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위치한 지역구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역구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제공 단계(8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재 발생 여부확인 단계(810)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1)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사용자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 사람들에게 상기 화재발생 사실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화재 발생 시 연기 배출이나 대피로 확보 등을 위한 파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내,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하우징(300)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 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에서 상기 제어부(11), 상기 센서부(12) 및 상기 통신부(13)가 반드시 모두 상기 제1 하우징(30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1)의 전부나 일부, 상기 센서부(12)의 전부나 일부, 상기 통신부(13)의 전부나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30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나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상기 제1 하우징(300) 및 상기 제2 하우징(200) 외에 추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되는 하우징은 상기 제어부(11), 상기 센서부(12) 또는 상기 통신부(13)를 포함하거나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과 양방향으로 정보를 송신,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 정보 및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으로 상기 서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으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리, 분실 및 분실회복 여부 관련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되어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된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에 상기 분실회복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를 임의로 회복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는 복수의 상기 방재기구와 양방향으로 정보를 송신,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 정보 및 복수의 상기 방재기구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기 방재기구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 중 간이 소방시설(900)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전술한 소화기 보관함(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간이 소방시설(900)에는 전술한 소화기 보관함(100)에 대하여 설명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서술하는 내용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의 내용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상기 방재기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할 수 있는 소방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복수개의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이하 서술하듯,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화재 발생 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 사람들이 소화, 대피 등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근처 관할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시설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국민안전처장관이 고시한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되어야 하는 장소, 화재위험이 있는 공공장소, 그 밖에 소방시설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복도, 학교, 주차장, 병원 지하철 역사 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스탠드(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9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방재기구가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스탠드(910) 형상은 상기 방재기구를 탑재할 수 있는 입체도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탠드(9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스탠드(910)는 바닥, 벽으로 이루어진 'ㄴ'자 형상이거나 바닥, 벽, 지붕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탠드(910)에는 상기 방재기구가 고정 또는 반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감싸도록 끊어진 고리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리된 경우 스위치가 작동되는 마그넷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에는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서버(20), 근처 관할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시설이나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위치하는 시설의 방재실이나 관제센터 또는 관리실 등과 상기 유선통신 또는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상기 촬상부를 통해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에 기반하여 경고 또는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수용하고 있는 상기 방재기구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촬상부는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을 촬영하고 방재기구 사용 관련 주의사항이나 대피 안내 등의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에서 연기나 열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촬상부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방재기구 도난 경고나 사용 시 촬영사실 알림 등의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 같은 기능은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인체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의 상기 제어시스템(1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버(20), 근처 관할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시설이나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위치하는 시설의 방재실이나 관제센터 또는 관리실은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관제센터는 방범 목적으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의 상기 촬상부를 이용하여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의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유선 케이블, 내장 배터리 또는 태양열 배터리 등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파손되기 쉬우며 일회성이고 핸드헬드(Handheld) 투척을 통해 소화가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소화기를 보관하고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소화기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소화기를 감싸고 상기 소화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소화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소화기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공간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원기둥 형상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소화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원기둥 부분 및 상기 제1 원기둥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갖는 제2 원기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원기둥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부와 기계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고,
    방재 기구 이상 유무 감지 센서 및 상기 방재 기구 이상 유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화기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화기가 분리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알림은 가시적 알림 및 청각적 알림을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
  3. 제1 항에 있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에 의한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소화기보관함.
  4.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 및 소방서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포함된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알림과 다른 화재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소방서에 화재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소화기보관함.
  5. 제1 항에 있어서,
    긴급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긴급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 및 소방서에 제공하는
    소화기보관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았으나 상기 소화기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이 상기 소화기를 수용하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알림을 제공하는,
    소화기보관함.
  7. 제1 항에 있어서,
    파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고, 화재 발생 시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소화기보관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81923A 2018-07-13 2018-07-13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201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23A KR102018988B1 (ko) 2018-07-13 2018-07-13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20190106543A KR102513984B1 (ko) 2018-07-13 2019-08-29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23A KR102018988B1 (ko) 2018-07-13 2018-07-13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43A Division KR102513984B1 (ko) 2018-07-13 2019-08-29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988B1 true KR102018988B1 (ko) 2019-09-24

Family

ID=6806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923A KR102018988B1 (ko) 2018-07-13 2018-07-13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9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104B1 (ko) * 2020-01-09 2020-09-04 선인기술단주식회사 전력강화형 기둥타입 전원공급장치
KR102152103B1 (ko) * 2020-01-09 2020-09-04 선인기술단주식회사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KR102187084B1 (ko) * 2020-01-09 2020-12-04 선인기술단주식회사 화재대응형 실외배치 기둥타입 전원공급장치
KR102399268B1 (ko) * 2021-09-29 2022-05-19 (주)샤픈고트 인공 지능 연동 지능형 재난 안전 관리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WO2022148973A1 (en) * 2021-01-08 2022-07-14 Zenova Ltd. An improved fire extinguis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94Y1 (ko) * 2004-12-16 2005-03-14 최진형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20100137848A (ko) * 2009-06-23 2010-12-3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
KR20110138967A (ko) * 2010-06-22 2011-12-28 김민영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94Y1 (ko) * 2004-12-16 2005-03-14 최진형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20100137848A (ko) * 2009-06-23 2010-12-3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
KR20110138967A (ko) * 2010-06-22 2011-12-28 김민영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104B1 (ko) * 2020-01-09 2020-09-04 선인기술단주식회사 전력강화형 기둥타입 전원공급장치
KR102152103B1 (ko) * 2020-01-09 2020-09-04 선인기술단주식회사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KR102187084B1 (ko) * 2020-01-09 2020-12-04 선인기술단주식회사 화재대응형 실외배치 기둥타입 전원공급장치
WO2022148973A1 (en) * 2021-01-08 2022-07-14 Zenova Ltd. An improved fire extinguisher
KR102399268B1 (ko) * 2021-09-29 2022-05-19 (주)샤픈고트 인공 지능 연동 지능형 재난 안전 관리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WO2023054838A1 (ko) * 2021-09-29 2023-04-06 (주)샤픈고트 인공 지능 연동 지능형 재난 안전 관리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25096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ity crisis locations and notifications
KR20170088544A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KR20190072703A (ko)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CN205230242U (zh) 一种智能小区安防系统
CN105516659A (zh) 一种基于脸部情绪识别的智能安防系统及方法
JP2018507500A (ja) Sms通知サービスを利用した事前侵入感知システム、そして救助信号通報システム及び方法
CN204319548U (zh) 空气呼吸器的多功能告警安全设备
KR102513984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562870B1 (ko) CCTV 감시카메라 방범·방재 그룹핑 Wi-Fi Direct 서비스 제공 ARGOS 타워 및 ARGOS 시스템
KR101031732B1 (ko) 위기 관리 시스템
CN104853169B (zh) 个人携带式移动监控及家庭服务平台
KR20180014631A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3328B1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JPH1166477A (ja)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CN204305210U (zh) 一种集防盗与安全为一体的监控系统
KR20160074056A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150116178A (ko) 스마트폰 앱과 경보기를 통한 안전 귀가 시스템
US10565857B1 (en) Alarm system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EP3570259A1 (en) Stand alone surveillance system
JP3230050B2 (ja)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KR102095154B1 (ko) 비상벨과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용 112 비상벨 호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