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05B1 -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 Google Patents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05B1
KR102018605B1 KR1020170083157A KR20170083157A KR102018605B1 KR 102018605 B1 KR102018605 B1 KR 102018605B1 KR 1020170083157 A KR1020170083157 A KR 1020170083157A KR 20170083157 A KR20170083157 A KR 20170083157A KR 102018605 B1 KR102018605 B1 KR 10201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user
data
user terminal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2890A (en
Inventor
이진
류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7008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0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자 데스크탑이나 랩탑을 구매할 필요없이 원격에서 제로클라이언트, 씬클라이언트, 저사양 PC 등의 단말은 물론, IPTV용 셋톱박스,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접속하여 실제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과 환경을 제공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set-top box for an IPTV as well as a terminal such as a zero client, a thin client, a low-spec PC, and the like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desktop or a laptop for a plurality of us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that remotely accesses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provides the same performance and environment as using a real desktop computer.

Description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구매할 필요없이 사용자단말기의 연결을 통해 원격에서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존의 데스크탑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environment similar to a conventional desktop personal computer by remotely accessing the system through the connection of a user terminal without the need for multiple users to purchase a personal computer.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일반적으로 가상화 환경에서 사용자의 데스크탑을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솔루션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VDI는 대용량 서버에 다수의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가상머신에 원격으로 접속함 으로서 데스크탑 컴퓨터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가상머신을 가반으로 VDI를 제공하는 것을 DaaS((Desktop as a Service) 라고 통칭한다.In general, a variety of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VDI) solutions are available to replace users' desktops in virtualized environments. Such a VDI has the effect of replacing a desktop computer by creating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in a large server and allowing a user to remotely access the virtual machine. As such, providing a VDI based on a virtual machin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esktop as a service (DaaS).

이런 VDI를 기업에 도입함으로서 자료유출 등을 차단하고 최종 사용자는 씬 클라이언트 또는 제로클라이언트 장비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해 원격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가상머신을 사용 할 수 있어 피씨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하드웨어 고장등으로 발생가능한 업무공백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By introducing such VDI into the enterprise, data leakage is prevented and the end user can connect the monitor keyboard and mouse to the thin client or zero client device and use the virtual machine assigned to him remotely, thereby reducing the PC purchasing cost and hardware failure. This can minimize losses due to possible work spaces.

하지만, 가상머신을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높은 하드웨어 리소스가 준비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고급 엔지니어가 투입되어야 하는등 유지비용이 비교적 높고 가상화 솔루션의 라이선스 도입과 유지비용도 비교적 높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 기관에 주로 적용되고, 중소규모의 기업이나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급되기 어렵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가상머신은 실제 데스크탑 컴퓨터에 비해 성능상 손색이 있어 동영상 플레이 등이 원활하지 못하고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화 데스크탑 서비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데 거부감이 있고 서비스 관리자가 언제든지 사용자의 활동내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에 취약하여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변에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companies with more than a certain size may have a relatively high maintenance cost and a relatively high cost of licensing and maintaining virtualization solutions. Applied mainly to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spread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r general users. In addition, the created virtual machine is inferior i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actual desktop computer, so video playback is not smooth, and the public cloud-based virtualized desktop service is reluctant to share hardware resources such as processors and memory among multiple users. User's activity history can be monitored at any time, so it is vulnerable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is not spreading to the bottom despite various advantages.

특히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해 iSCSI 기술 및 VHD/VHDX 기술을 이용하는 바 아래와 같은 기술적 내용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the use of the iSCSI technology and VHD / VHDX technology to configure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following technical contents.

1) Differencing Disk(VHD/VHDX)1) Differencing Disk (VHD / VHDX)

Figure 112017062890928-pat00001
Figure 112017062890928-pat00001

Differencing Disk는 본래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에서 같은 템플릿의 시스템을 간편하게 만들고, 스토리지 공간의 절약을 위하여 개발된 개념으로, VHD/VHDX기반의 Differencing Disk는 원본인 Parent Disk를 두고, Child Disk를 생성할 때 Parent Disk의 디스크상 경로를 헤더에 기록하여 Parent Disk를 가리키게 한다. Child Disk는 Parent Disk에 비교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차분형태로 기록한다.(예를들어 Parent Disk에 있던 파일 A가 변경되면 “파일 A의 오프셋 20부터 4바이트의 데이터를 0x01 0x02 0x03 0x04로 바꾼다.”는 식으로 변경된 부분만 기록하게 된다.)Differencing Disk is a concept originally developed to easily create a system of the same template in a cloud-based system and to save storage space.Differencing Disk based on VHD / VHDX has a parent disk as a source and creates a parent disk when creating a child disk. Record the path on the disk in the header to point to the parent disk. The child disk records the changed data in a differential form compared to the parent disk. (For example, if file A on the parent disk changes, “4 bytes of data from offset 20 of file A are changed to 0x01 0x02 0x03 0x04.” Will only record the changed part.)

2) iSCSI2) iSCSI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는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스토리지 시설을 이어주는 IP 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이다. iSCSI는 IP 망을 통해 SCSI 명령을 전달함으로써(SATA는 SCSI명령을 일부 사용하고 있다.) 디스크가 로컬에 있지 않아도 로컬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처럼 IP망을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 is an IP-based storage networking standard that connects data storage facilities in computing environments. iSCSI delivers SCSI commands over the IP network (SATA uses some SCSI commands) so that the disk can be accessed over the IP network as if it were a locally mounted disk.

3) Differencing Disk를 iSCSI 부팅하는 방법에 대한 개요3) Overview of how to iSCSI boot a differencing disk

Figure 112017062890928-pat00002
Figure 112017062890928-pat00002

iSCSI 초기자(initiator) : iSCSI 디스크를 사용하고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iSCSI initiator: Client connecting to use iSCSI disk

iSCSI 타겟서버 : iSCSI의 타겟을 서비스하는 서버iSCSI target server: Server serving iSCSI target

iSCSI 타겟 : iSCSI 초기자가 iSCSI를 서비스 받기위해 접속할 타겟(iSCSI 타겟주소의 URL혹은 IP로 접속하고, IQN주소를 가지고 iSCSI타겟에 접속하면 디스크로서 연결된다.)iSCSI target: Target that iSCSI initiator will connect to receive iSCSI service (by connecting to iSCSI target URL or IP and connecting to iSCSI target with IQN address.)

IQN 주소 : iSCSI타겟서버는 복수의 iSCSI타겟을 운영할 수 있는데, iSCSI 타겟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가지는 주소이다.IQN address: The iSCSI target server can operate multiple iSCSI targets, which are addresses to distinguish the iSCSI targets.

LUN : iSCSI 타겟에 접속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의 디스크로서, 하나의 iSCSI 타겟에는 복수의 LUN이 존재할 수 있다.LUN: A virtual disk that can be accessed by accessing an iSCSI target, and a plurality of LUNs may exist in one iSCSI target.

iSCSI로 부팅하고자 하는 PC는 랜카드에 있는 펌웨어 혹은 iPXE, gPXE같은 네트워크 부팅을 지원하는 부트로더를 통하여 원격의 iSCSI LUN을 로컬디스크로 보고 부팅을 진행한다. PCs that wish to boot with iSCSI can view the remote iSCSI LUN as a local disk through a boot loader that supports network booting such as firmware on the LAN card or iPXE or gPXE.

이 경우에 해당되는 펌웨어나 부트로더는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iSCSI 타겟서버에서 iSCSI 타겟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IP, IQN주소, LUN번호등)를 DHCP에서 가져오거나,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In this case, the firmware or boot loader needs to obtain information (IP, IQN address, LUN number, etc.) from DHCP or manually configure it to connect to the network and access the iSCSI target from the iSCSI target server.

iSCSI로 부팅하고자 하는 OS를 설치할 때는 설치프로그램과 설치 미디어에 랜카드 드라이버가 통합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팅 중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유실되면서 멈추어 버리거나 블루스크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installing an OS that will boot into iSCSI, the LAN card driver must be integrated in the installation program and the installation media. Otherwise, the network connection may be lost in the middle of booting, causing a hang or blue screen.

공개특허 특2003-0070519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070519

https://ko.wikipedia.org/wiki/원격_데스크톱_소프트웨어https://en.wikipedia.org/wiki/Remote_Desktop_Software https://ko.wikipedia.org/wiki/부팅https://en.wikipedia.org/wiki/boo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자 데스크탑이나 랩탑을 구매할 필요없이 원격에서 제로클라이언트, 씬클라이언트, 저사양 PC 등의 단말은 물론, IPTV용 셋톱박스,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접속하여 실제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desktop or a laptop to a large number of users, such as zero-client, thin client, low-spec PC terminal, as well as IPTV set-top box, smart By remotely acces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performance and environment as using a real desktop computer.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자원 및 운영체제 라이선스 등 소프트웨어 자원으로 분리하고 필요시 각 요소를 매치하는 방식으로 자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maximize the resource utilization efficiency by separating the user and software resources, such as hardware resources and operating system license and matching each element as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이용 내역을 사용자의 허가없이 서비스 관리자가 알 수 없도록 분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configuration so that the service administrator can not know the user's usage history without the user's permission.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computers (100) that are used remotely by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400); An operation server 200 for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 storage server (300) for storing operating system data to be used in the computer (100) and user parameters and data which are data generated by the user remotely using the computer (100) through a user terminal (400); And a user terminal 400 for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for the user to remotely use the computer 100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및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mputer 100 may include a license unit 110 for storing licens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to be used for booting in the computer 100;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network so that a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mote unit 130;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supplying power to the comput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server 200.

또한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의 고유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mputer 10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the operating system data without data on the unique system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computer 100.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13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를 포함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remote unit 130 is a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user terminal 400 to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with the naked eye. A screen transmission unit (131) for transmitting a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a network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An input receiver 132 for receiving the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network 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into the user terminal 400; And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network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t includes; the transceiver 133.

또한 이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210);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라이센스 관리부(220);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키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 상기 인증부(210)가 인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통신부(260);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20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400 to check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50 to authenticate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 210); The user parameter and data of the user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210 in the storage server 300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computer 100 selected through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320. Check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storage server 300 to connect the operating system data corresponding to the license to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of the user A license manager 220 for remotely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after the computer 100 is booted for remote use; A hardware resource manager that selects the computer 100 usable among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checks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puter 100, and controls power of the selected computer 100. 230;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combines the operating system data, the user parameters, and the data connected from the storage server 300 through the license manager 220 to be bootable in the computer 100 selected by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230. A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selected in 230 to boot the selected computer 100; A database 250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s for authentication by the authentication unit 210; And an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unit 26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또한 이때, 상기 저장서버(300)는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될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체제부(3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부(320); 및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통신하는 저장서버통신부(3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storage server 300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unit 310 for storing the operating system data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A user data unit 320 for storing a user parameter and data which is data generated by the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d a storage server communication unit 33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또한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 및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s an input unit 410 that receives input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keyboard and a mouse used by the user to input a keyboard and a mouse to the computer 100 that is remotely used by the user. ; The computer 100 outputs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user terminal 400 to view a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by a user who uses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displa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and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remotely using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When printing, the output unit 420 which receives the print data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hrough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a network and outputs the print data to a prin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 The data of the computer 100 used remotely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and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Or connec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ransfer data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he computer 100 that the user uses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a network.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430 for data communication; The computer 100 and the computer via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 Terminal remote unit 4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the remote use of 100; And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communicating with the comput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를 포함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remote unit 440 is a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by the naked eye A screen receiving unit 441 receiving a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a user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When the us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input unit 41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via the input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An input transmitter 442 for transmitting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apparatus; And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computer 100 via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via data input or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A user termi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43 that receives or transmits the data.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 및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5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computers (100) that are used remotely by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400); An operation server 200 for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 storage server (300) for storing operating system data to be used in the computer (100) and user parameters and data which are data generated by the user remotely using the computer (100) through a user terminal (400); A user terminal 400 for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for the user to remotely use the computer 100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a streaming server 500 transmitting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in a streaming manner.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및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에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60); 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mputer 100 may include a license unit 110 for storing licens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to be used for booting in the computer 100;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network so that a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mote unit 130;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ut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a screen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streaming server 500. It includes.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remote unit 130 may include an input receiving unit 132 that receives the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network when the us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into the user terminal 400; And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network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t includes; the transceiver 133.

또한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 및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 및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s an input unit 410 that receives input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keyboard and a mouse used by the user to input a keyboard and a mouse to the computer 100 that is remotely used by the user. ; The computer 100 outputs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user terminal 400 to view a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by a user who uses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displa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streaming server 500 and output to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remotely uses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When printing, the output unit 420 which receives the print data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hrough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a network and outputs the print data to a prin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 The data of the computer 100 used remotely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and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Or connec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ransfer data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he computer 100 that the user uses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a network.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430 for data communication; The computer 100 and the streaming server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so that the user can remotely use the computer 100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erminal remote unit 4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the remote use of the 500 and the computer 100; And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communicating with the computer 100,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treaming server 500.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remote unit 440 is a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by the naked eye A screen receiver 441 receiving a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a user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via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in a streaming manner through the streaming server 500; When the us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input unit 41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via the input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An input transmitter 442 for transmitting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apparatus; And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computer 100 via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via data input or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A user termi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43 that receives or transmits the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존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기반 DaaS(Desktop as a Service)와 유사한 방법을 통해 RDaaS(Real Desktop as a Service)를 이용할 수 있어 타인의 리소스 이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대의 데스크탑을 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운영사에서 그 이용내역을 알 수 없어 개인정보 보호에 유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se a Real Desktop as a Service (RDaaS) through a method similar to the existing Desktop Desktop as a Service (DaaS) based on the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VDI), so that one desktop is not affected by other users' resource usage. It can be used exclusively, and the service operator does not know the usage history, which can be advantageous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운영자 입장에서 구축에 가장 큰 걸림돌인 구축비용과 수익성 측면에서 24시간 피씨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하드웨어에 여러 명의 사용자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수익성 개선에 유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that do not use 24 hours PC in terms of construction cost and profitability, which i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construction from the service operato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proactively accommodate several users on one hardware to improve profitabil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dvantageou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기존의 VDI기반 DaaS는 실제 사용자 1인당 하나의 가상머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운영체제 라이선스가 사용자 별로 필요하고 가상화에 따른 추가 라이센스(예.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VDA(Virtual Desktop Access) 등이 부과되고 가상화 솔루션 라이선스(예. VM웨어, 씨트릭스 젠데스크탑, 마이크로소프트 하이퍼브이) 역시 사용자 단위로 부과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경우 실제 운영체제 라이선스는 해당 하드웨어에 종속되는 특징이 있어 사용자 수보다 적은 데스크탑 피씨 수에 종속되어 비용이 월등히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isting VDI-based DaaS uses one virtual machine per actual user, an operating system license is required for each user and additional licenses (eg, Microsoft's VDA (Virtual Desktop Access), etc.) are required. While virtualization solution licenses (e.g. VMware, Citrix ZenDesktop, Microsoft HyperV) are also charged on a per-user bas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operating system licenses are dependent on the hardware and therefore require fewer desktop PCs. It is dependent on the number, which makes the cost much low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머신이 아닌 실제 데스크탑 데스크탑 피씨에 접속함으로써 추가 라이센스가 필요 없어 월등히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하고 유지 비용 역시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ccessing the actual desktop desktop PC, not the virtual machine, there is no need for an additional license, so it is possible to build at an extremely low cost and significantly lower maintenance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서버(200)의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서버(300)의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자단말기(400)의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1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operation server 2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storage server 3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4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1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Prior to describing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for the invento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and its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해 도 1 내지 5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와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one or more computers 100 are used remotely by a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is remotely acces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n order to use the computer 100, an operating server 200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any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operating system data to be used in the computer 100, and the user may use a user terminal ( The storage server 300 for storing user parameters and data which are data generated by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400 and the computer 100 connected to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remotely It consists of a user terminal 400 for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for use as.

아울러, 상기 컴퓨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기능하고,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computer 100 is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desktop computer, and the user uses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booting)을 위해 운영체제 데이터와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컴퓨터(100)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킨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connects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so as to remotely use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user parameters for booting the computer 100. Data is connected from the storage server 300 to the computer 100 through a network.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가 상기 컴퓨터(100)에 상기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 데이터와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ng server 200 connects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server 300 to the computer 100 by a network, the computer 1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ystem data Can be stored.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기 앞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공급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supplies power to the computer 100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computer 100 before connecting the computer 100 and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Get started.

또한 아울러, 상기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는 고유시스템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운영체제 데이터이다.In addition, the operating system data stored in the storage server 300 is pure operating system data in which no unique system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exist.

또한 아울러, 상기 순수한 운영체제 데이터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에서 공통적이고 같은 내용의 데이터로 구성된 운영체제 데이터이다. 다시 말해, 상기 운영체제를 어떠한 컴퓨터에 설치하더라도 변경되지 않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말한다.In addition, the pure operating system data is operating system data composed of the same content and common to the operating systems of all computer system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operating system data that does not change when the operating system is installed on any computer.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만으로는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킬 수 없고,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함께 있어야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 100 cannot be booted by the operating system data alone, and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must be together to boot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operating server 200.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serves as an interface fo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전용 단말기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모니터 일체형 전용 단말기와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400 is a dedicated terminal for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and another computer and the computer 100 is installed with a program for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is installed. One of the monitor-integrated terminal and smartphone for remote use of the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1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와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computer 100 is a license unit 110 for storing the license inform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to be used for booting in the computer 100 and the user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mote unit 13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via a network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so that the computer 100 can be used. ) And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ut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server 200. .

아울러, 상기 부팅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운영 체제를 시동할 때 운영체제를 시작하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 과정이며, 상기 부트스트래핑 과정을 수행하는 부트스트랩(bootstrap) 프로그램은 전원을 켜거나 재부팅을 할 때 적재되는 프로그램이다. 부트스트랩(bootstrap)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펌웨어라고 알려진 ROM 또는 EEPROM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100)의 시스템을 모든 측면에서 초기화하며 운영 체제 커널을 적재하고 실행시킨다.In addition, the booting is a bootstrapping process of starting an operating system when a user starts an operating system in a general computer, and a bootstrap program that performs the bootstrapping process is performed when a power is turned on or rebooted. It is a program that is loaded. The bootstrap program is stored in a ROM or EEPROM, commonly known as firmware, which initializes the system of the computer 100 in all aspects and loads and executes an operating system kernel.

또한 아울러, 상기 라이센스부(110)에 저장된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운영서버(200)가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킬 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에 맞는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선택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license inform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stored in the license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erver 200,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in the storage server 300 to the computer 100 via a network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200 is for selecting the operating system data of the opera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of the computer 100 in the storage server 300.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100)의 상기 라이센스부(110)에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가 윈도우 10 pro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원도우 10 pro에 해당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선택하고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와 함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시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licens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is Windows 10 pro in the license unit 110 of the computer 100, the operation server 200 is an operating system corresponding to the window 10 pro in the storage server 300. The computer 100 is booted by selecting data and connecting to the computer 100 via a network with user parameters and data.

또한 아울러, 상기 원격부(130)에서 주고 받는 정보는 원격에 있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정보를 말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ent and received by the remote unit 130 refers to a serie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user to use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remote.

또한 아울러, 상기 컴퓨터통신부(14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network technology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r a technology derived from the network technology.

또한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의 고유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comput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20 that stores the operating system data without data about the unique system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computer 100.

아울러, 상기 컴퓨터(100)가 상기 저장부(120)에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하는 데 있어서, 운영체제의 공통적이고 필수적인 데이터를 빠르게 로딩하기 위함이다. 이는 만약 상기 컴퓨터(100)에 저장부(120)가 없게 되면,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운영서버(200)를 거쳐 상기 저장서버(300)의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어 상기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시간과 상기 컴퓨터(100)의 실사용 성능이 좌우 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omputer 100 stores the operating system data in the storage unit 120 in order to quickly load common and essential data of the operating system when the computer 100 boots. This is because if there is no storage unit 120 in the computer 100, the computer 100 i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torage server 300 via the operating server 200 to the network via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is is because booting time of the computer 100 and actual performance of the computer 100 may be influenced by the data and the user's parameters and data.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13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remote unit 130 is a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user terminal 400 to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with the naked eye. The screen transmission unit 131 for transmitting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network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input receiver 132 that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network, the user inputs or outputs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3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the output data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over the network.

아울러, 상기 화면전송부(131)가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로 전송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screen transmission unit 131 transmits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ransmits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In order to be able to convert 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net network to be transmitted.

또한 아울러, 디스플레이 화면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전송양을 줄여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차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screen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transmission to save network bandwidth, information about a difference in the display screen of the computer 1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이다.In additio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s information input through a keyboard or a mous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저장장치 등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한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or output by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evice to the user terminal 400 to loa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r the computer 100 data during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It refers to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송수신부(133)가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송수신부(133)가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송신한다.Specifically, the data input by the user refers to data that loads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the data output by the user brings data of the computer 100 during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Refers to data stored in a storage device, the data input by the user is received by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3 of the computer 100 from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over the network, The data output by the user is transmitted by the data transmitter / receiver 133 of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via a network.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프린트 출력을 하는 경우, 프린트 출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출력한 데이터로 상기 컴퓨터(100)의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33)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송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motely prints using the computer 100, the print output data is the data out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mputer 100 The computer 100 transmits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13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서버(200)의 블록도 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operation server 2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210)와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라이센스 관리부(22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와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키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와 상기 인증부(210)가 인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통신부(260)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the operation server 20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400 to check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50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An authentication unit 210 for authenticating a user and the user parameter and data of the user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210 in the storage server 300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320. Check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computer 100 selected through; and connect the operating system data corresponding to the license to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in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fter the computer 100 is booted to remotely use the computer 100 through 400,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can be remotely controlled. Select the computer 100 that can be used from the license management unit 220 and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to connect to, to check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puter 100, the selected computer 100 The operating system connected to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control unit 230 and the computer 100 selected by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30 through the license management unit 220 from the storage server 300 bootable.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authentication unit 210 which combines data,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to connect to the computer 100 selected by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30 to boot the selected computer 100. Database 250 and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and the storage server 300 fo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s for authentication ) And an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unit 260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400.

아울러, 상기 인증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와 단말기 일련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보안을 위해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the user ID and password and the terminal serial number, it may be configured by adding other information for security.

또한 아울러, 상기 인증부(210)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바람직한 실시 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한 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 인증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된 사용자를 구별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hentication unit 210 authenticates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60 and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match. It is to perform authentication. This is to prevent a user from attempting to authenticate with another user and to distinguish user parameters and data for each user by distinguishing an authenticated user.

또한 아울러,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 속도를 위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불러와서 상시 저장 가능하며,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속도가 빠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may always store the operating system data by loading the operating system data from the storage server 300 for the booting speed of the computer 100, and the operating system data may have a high speed (Random Access). Memory) can be saved.

또한 아울러,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를 통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합쳐지고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된 후 상기 컴퓨터(100)는 연결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격 부팅이 시작한다.In addition, after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are combined through the computer data manager 240 and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the computer 100 starts remote booting using the connected data.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통신부(26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통신부(140)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unit 260 perform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network technology such as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or a technology derived from the network technology.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의 수행은, 먼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200, first, the user inpu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400.

다음으로, 상기 인증부(2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정보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Next, the authentication unit 210 verifi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50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는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한다.Next, the license manager 220 connects the user parameter and data of the user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210 to the computer data manager 240 in the storage server 300.

다음으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한다.Next,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30 selects the computer 100 usable among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다음으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는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한다.Next,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230 checks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puter 100.

다음으로,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한다.Next, the license manager 220 checks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computer 100 selected through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320, and stores the operating system data corresponding to the license in the storage server 300. Connect to the management unit 240.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한다.Next,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operating system data connected through the license management unit 220 from the storage server 300 to be bootable from the computer 100 selected by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30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are combined and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selected by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230.

다음으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는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이 입력이 안된 경우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의 상기 전원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입력한다.Next, when the power of the computer 100 is not input,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3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150 of the computer 100 to input power to the computer 100 to the computer. Input power to (100).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를 통해 합쳐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가 부팅시킨다.Next, the computer data manager 240 boots the computer 100 using data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computer data manager 240.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다.Next, the computer 100 is booted.

다음으로, 부팅된 상기 컴퓨터(100)에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원격으로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 데스크탑으로 사용한다.Next, the user terminal 400 of the user is remotely connected to the booted computer 100 so that the user uses the computer 100 as a remote desktop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서버(300)의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torage server 3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서버(300)는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될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체제부(31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부(32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통신하는 저장서버통신부(33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storage server 300 stores an operating system data 310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and the user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 user data unit 320 for storing user parameters and data, which are data generated using 100, and a storage server communication unit 330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아울러, 상기 저장서버통신부(33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server communication unit 330 perform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local area network or a technology derived from the network technolog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자단말기(400)의 블록도 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4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와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user terminal 400 inputs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keyboard and a mouse used by the user to input a keyboard and a mouse to the computer 100 that the user uses remotely. A user who uses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input unit 410 and the user terminal 400 that receives an input to the user terminal 400 to view a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with the naked eye. The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and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When printing by using the remot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print data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An output unit 420 for receiving the data and outputting the print data to a printing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remotely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s data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and stores the data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or remotely stores the data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430 connec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to the computer 100 to be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the computer 100 to be us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computer 100 can be used by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user terminal 400 remotely. The terminal remote unit 4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and the computer 100 by a work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communicating with the comput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Consists of.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unit 420 outputs the display screen is to convert the display screen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match the image input interface of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output.

또한 아우러, 상기 출력부(42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해상도의 경우 최소 가로 1920픽셀과 세로 1080픽셀, 주사율의 경우 60Hz 이상, 마우스 및 키보드 평균지연 10ms 이하의 품질로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unit 420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resolution of at least 1920 pixels in height and 1080 pixels in resolution, 60 Hz or more in the refresh rate, and 10 ms or less in the average delay of the mouse and keyboard It is.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프린트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unit 420 outputs the print data is to convert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match the input interface of the prin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output.

또한 아울러, 상기 외장장치연결부(43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기 외장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USB메모리, 외장하드 등의 저장장치이고, 상기 외장장치연결부(430)의 데이터 통신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USB, eSATA, SATA, 선더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430 is a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memory, an external hard drive, and the like. May be configured as USB, eSATA, SATA, Thunderbolt, or the like.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통신부(140)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performs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network technology that can access the Internet, such as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or a technology derived from the network technology.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remote unit 440 is a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by the naked eye The screen receiving unit 441 receiving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network via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and the user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When the us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input unit 410 to use the computer 100, an input transmitter 442 for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over a network. ) And data input or out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network comprises a user terminal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43 to receive or transmit to the computer 100 via the UE communication part 450. The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정보는 상기 입력부(410)에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이다.In additio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410 is information input through a keyboard or a mouse connected to the input unit 410.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저장장치 등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한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or output by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evice to the user terminal 400 to loa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r the computer 100 data during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It refers to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가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가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수신한다.Specifically, the data input by the user refers to data that loads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the data output by the user brings data of the computer 100 during remote use of the computer 100. Refers to data stored in a storage device, and the data input by the user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43 of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hrough a network. The data output by the user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data transmitter / receiver 443 of the user terminal 400 from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hrough a network.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프린트 출력을 하는 경우, 프린트 출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출력한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상기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400)가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motely prints the data using the computer 100, the print output data is data out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s from the computer 100 over a network through a termi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43.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해 도 6 내지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lso,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와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5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one or more computers 100 are used remotely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is remotely acces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n order to use the computer 100, an operating server 200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any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operating system data to be used in the computer 100, and the user may use a user terminal ( The storage server 300 for storing user parameters and data which are data generated by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400 and the computer 100 connected to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remotely The user terminal 400 for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for use as an image and the display screen outputted from the computer 100 are imaged in a streaming manner. It consists of a streaming server 500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400.

아울러, 상기 스트리밍서버(500)가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IPTV 서버가 IPTV셋탑박스에 실시간 방송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streaming server 500 transmits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in a streaming manner is a general IPTV server in a streaming method to the IPTV set-top box in a streaming manner. It's the same way as sending.

또한 아울러, 상기 스트리밍서버(500)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IPTV 셋탑박스이고, IPTV 셋탑박스로 구성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한 방식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400, the streaming server 500 transmits the display screen is an IPTV set-top box, the operation terminal 200 to the user terminal 400 consisting of an IPTV set-top box.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the computer 100 via the user is to select a particular channel.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100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와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와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에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6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computer 100 includes a license unit 110 that stores licens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to be used for booting in the computer 100, and a user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mote unit 13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via a network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so that the computer 100 can be used. And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ut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The screen output unit 160 outputs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streaming server 500.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remote unit 130 receives the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the network through the input receiver 132 and the user. When data is input or output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the data input or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the network ( 133).

또한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 및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와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s an input unit 410 that receives input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keyboard and a mouse used by the user to input a keyboard and a mouse to the computer 100 that is remotely used by the user. And the computer 100 is output to the user terminal 400 so that a user who uses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can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computer 100 visually. The displa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streaming server 500 and output to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remotely uses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case of printing by using the computer 100 to receive the print data output to the network via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Oh, the output unit 420 for outputting the print data to the prin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data of the computer 100 that the user uses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d via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the network and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user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using the data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n order to transmit the data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the network,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430 and the computer 100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user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100) and the terminal remote unit 4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streaming server 500 and the computer 100, the comput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treaming server 500 It consists of 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to communicate with.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unit 420 outputs the display screen is converted to the display screen received on the network via the streaming server 500 to match the video input interface of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print.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프린트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unit 420 outputs the print data is to convert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match the input interface of the prin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output.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remote unit 440 is a user using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see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by the naked eye The screen receiving unit 441 and the user receiving the display screen output from the computer 100 to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in a streaming manner through the streaming server 500 When the us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input unit 410 to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450. When the user inputs or outputs data to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input transmitter 442 for transmitting to the computer 100, the user The user made a data input or output through the terminal 400 to the user terminal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43 to receive or transmit to the computer 100 via the UE communication part 450 and the network.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is a deviation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컴퓨터
110: 라이센스부
120: 저장부
130: 원격부
131: 화면전송부
132: 입력수신부
133: 데이터송수신부
140: 컴퓨터통신부
150: 전원부
160: 화면출력부
200: 운영서버
210: 인증부
220: 라이센스 관리부
230: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
240: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운영서버통신부
300: 저장서버
310: 운영체제부
320: 사용자데이터부
330: 저장서버통신부
400: 사용자단말기
410: 입력부
420: 출력부
430: 외장장치연결부
440: 단말원격부
441: 화면수신부
442: 입력송신부
443: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
450: 사용자단말통신부
500: 스트리밍서버
100: computer
110: license
120: storage unit
130: remote
131: screen transmission unit
132: input receiver
133: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40: computer communication department
150: power supply
160: screen output unit
200: operation server
210: authentication unit
220: license management unit
230: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240: computer data management
250: database
260: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storage server
310: operating system
320: user data section
330: storage server communication unit
400: user terminal
410: input unit
420: output unit
430: external device connection
440: terminal remote unit
441: screen receiver
442: input transmitter
443: user termin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450: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500: streaming server

Claims (13)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
를 포함하되,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booting)을 위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컴퓨터(100)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되,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만으로는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킬 수 없고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함께 있어야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boo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및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210);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라이센스 관리부(220);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키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
상기 인증부(210)가 인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통신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운영서버(200)가 상기 컴퓨터(100)에 상기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 데이터와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기 앞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공급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센스부(110)에 저장된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운영서버(200)가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킬 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에 맞는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선택하기 위함이고,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 속도를 위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불러와서 상시 저장 가능하며,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속도가 빠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 가능하며,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를 통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합쳐지고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된 후 상기 컴퓨터(100)는 연결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격 부팅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In a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One or more computers 100 that are used remotely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 operation server 200 for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 storage server (300) for storing operating system data to be used in the computer (100) and user parameters and data which are data generated by the user remotely using the computer (100) through a user terminal (400); And
A user terminal 400 for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for the user to remotely use the computer 100 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Including,
The operating server 200 connects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from the storage server 300 to the computer 100 through a network for booting the computer 100.
The computer 100 cannot be booted using only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computer 100 boots only when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 and data are together through the operating server 200.
The computer 100
A license unit (110) for storing licens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to be used for booting in the computer (100);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for remote us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network so that a user can use the computer 100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Remote unit 130;
A computer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ut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server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operation server 200 is
An authentication unit 210 which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400 and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50 to authenticate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user;
The user parameter and data of the user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210 in the storage server 300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computer 100 selected through the hardware resource management unit 320. Check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storage server 300 to connect the operating system data corresponding to the license to the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and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of the user A license manager 220 for remotely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omputer 100 after the computer 100 is booted for remote use;
A hardware resource manager that selects the computer 100 usable among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checks operating system licens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puter 100, and controls power of the selected computer 100. 230;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combines the operating system data, the user parameters, and the data connected from the storage server 300 through the license manager 220 to be bootable in the computer 100 selected by the hardware resource manager 230. A computer data management unit 240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selected in 230 to boot the selected computer 100;
A database 250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s for authentication by the authentication unit 210; And
An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unit 260 communicating with the one or more computers 100,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n the operating server 200 connects the operating system data stored in the storage server 300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to the computer 100 via a network, the computer 100 may store the operating system data. ,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start to supply power to the computer 100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computer 100 before connecting the computer 100 and the user terminal 400 to a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
The license inform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stored in the license unit 110 is when the operating server 200 connects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to the computer 100 through the network in the storage server 300, The operation server 200 is to select the operating system data of the operating system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license of the computer 100 in the storage server 300,
The computer data manager 240 may always store the operating system data by loading the operating system data from the storage server 300 for the booting speed of the computer 100, and store the operating system data in a fast random access memory (RAM). Can be stored,
After the operating system data and the user parameters and data are combined through the computer data manager 240 and connected to the computer 100, the computer 100 starts remote booting using the connected data. Desktop computer system for us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83157A 2017-06-30 2017-06-30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KR102018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7A KR102018605B1 (en) 2017-06-30 2017-06-30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7A KR102018605B1 (en) 2017-06-30 2017-06-30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90A KR20190002890A (en) 2019-01-09
KR102018605B1 true KR102018605B1 (en) 2019-09-06

Family

ID=6501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57A KR102018605B1 (en) 2017-06-30 2017-06-30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320B1 (en) * 2019-09-10 2021-07-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for sharing service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301393B1 (en) * 2020-12-04 2021-09-15 엠에스엘엠 주식회사 Mesh Topology Desktop-as-a-Service Platform device Using The Server Blades of Blade Servers and Desktop Service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120A (en) * 2007-02-20 2008-09-04 Hitachi Ltd Computer system
JP2011100270A (en) * 2009-11-05 201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Screen sharing system and screen sharing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71A (en) 2002-01-30 2002-03-29 이효상 The device for computer control and manage through the internet
KR102102169B1 (en) * 2013-06-10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ratus for a virtual desktop ser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120A (en) * 2007-02-20 2008-09-04 Hitachi Ltd Computer system
JP2011100270A (en) * 2009-11-05 201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Screen sharing system and screen sharing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90A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2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transmitting volumes into cloud
KR102102168B1 (en) Appratus for a virtual desktop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77431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emote module on VIOS to manage backups to remote backup servers
US9069438B2 (en) Allocating virtual machines according to user-specific virtual machine metrics
US10958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transmitting volumes into cloud
US8650273B2 (en) Virtual serial concentrator for virtual machine out-of-band management
US9167020B2 (en) Web-browser based desktop and application remoting solution
US9001364B2 (en) Management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system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migration of setting values of an application that operates in the image forimng apparatus
KR101587994B1 (en) Cloud computing service system with virtual hard disk
US8813252B2 (en) Request based license mode selection
CN102843416A (en) Set-up of thin client computer
US10747549B2 (en) Proxy application to transfer application protocol requests over IOCTL commands
US85608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termining whether operating environment can be assigned
KR102102169B1 (en) Appratus for a virtual desktop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2018605B1 (en) 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CN112187718B (en) Remote access cloud terminal and system of IDV cloud desktop
US20120079393A1 (en) Adaptable License Platform for Remote Sessions
US10979289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te computing node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US1121216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te computing node initialization using a configuration template and resource pools
US9549019B2 (en) Managing a logical client for a virtual machine
US10652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orization in a virtual desktop access device using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subsystems of a virtual desktop environment
US10284668B2 (en) Managing a logical client for an application
KR101951913B1 (en)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web virtualization
CN111158857A (en) Data encryp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365756B (en) Access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