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699B1 -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699B1
KR102017699B1 KR1020130022837A KR20130022837A KR102017699B1 KR 102017699 B1 KR102017699 B1 KR 102017699B1 KR 1020130022837 A KR1020130022837 A KR 1020130022837A KR 20130022837 A KR20130022837 A KR 20130022837A KR 102017699 B1 KR102017699 B1 KR 10201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evice
digital display
channe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928A (ko
Inventor
강성숙
강배근
조용호
김현중
조성준
윤명환
고태훈
박은정
권일근
정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99B1/ko
Priority to EP14157127.3A priority patent/EP2775727B1/en
Priority to CN201410076987.5A priority patent/CN104038795B/zh
Priority to US14/196,661 priority patent/US9386342B2/en
Publication of KR2014010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단계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젼(예 : IPTV, 스마트 TV, DTV 등등) 또는 STB(Set Top Box)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외부 메모리와 연결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등장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예로 스마트 TV 가 있으며, 인터넷 TV 또는 커넥티드 TV 라고도 불린다.
스마트 TV는 콘텐츠를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볼 수 있고, 뉴스/날씨/이메일 등을 언제든지 출력 가능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대용량의 메모리를 내부에 구축할 수도 있고 또는 외부 메모리/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이 자유롭게 이루어 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현재 기술에 의하면 다양한 컨텐트(예 :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오히려 유저가 이를 이용하는 비율은 더 낮아지고 있다. 예컨대, 녹화된 컨텐트에 액세스 하는 방법이 상당히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현재 기술에 의하면, 녹화된 수십개 내지는 수백개의 컨텐트 중 유저가 원하는 컨텐트만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루어 지지 못하는 중대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저장된 컨텐트(예를 들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 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하고, 관련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유저의 편의성을 최대화 하기 위한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저장된 컨텐트(예를 들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상태(status)에 따라 유저가 선호하는 컨텐트의 저장 리스트를 최적화(optimize)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과, 제1채널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수신된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크린과, 상기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액세스된 메모리에 저장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 및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세서,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채널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단계와,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외부 메모리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모듈과, 내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는 계산 모듈과,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메인 컨트롤러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와,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크린과, 그리고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단계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기저장된 컨텐트(예를 들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 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하고, 관련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유저의 편의성을 최대화 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기저장된 컨텐트(예를 들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상태(status)에 따라 유저가 선호하는 컨텐트의 저장 리스트를 최적화(optimize)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채널 전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특정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채널 관련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특정 컨텐트를 녹화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출력한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출력한 화면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의 재생(playing)을 편집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의 재생(playing)을 편집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합 데이터 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부가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컨텐트 관련 부가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컨텐트를 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컨텐트의 최종 선정 기준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메모리와 연결된 경우 출력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메모리 연결 상태 및 타입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최종 선정 기준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 변경 프로세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 변경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전자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공간 리모컨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인터넷 TV, IPTV,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및 오픈하이브리드TV(OH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PC 및 가전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당해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oller)와 리모컨(remocon)을 혼용하여 사용하지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의미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당해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일실시예를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하 도 18 내지 도 26에서 후술할 다른 일실시예에도 도 1을 적용하여 보충 해석 가능하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특허권이 해석되어야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서버(110), 외부 메모리(120), STB(130) 및 리모트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특히,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도 3, 도 6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40)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텐트(예 :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를 녹화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 컨텐트는 서버(110) 또는 STB(130)로부터 수신된다.
나아가 상기 서버(110) 또는 상기 STB(13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는,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버(110)는 다양한 컨텐트들의 부가 정보를 관리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며, 통합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에 대해서는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40)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4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거나, 터치 센서를 장착하고 있거나 또는 모션 인식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설명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보충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도 2를 참조하여, 도 6 및 도 19를 변경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방송 수신 모듈(201), 복조부(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04), 메모리(205), 제어부(206), 비디오 출력부(207), 오디오 출력부(208), 전원 공급부(209)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202)는, 방송 수신 모듈(2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2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경우, 복조부(2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2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는 외부 장치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2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05)는, 제어부(2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2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6)는, 방송 수신 모듈(201), 복조부(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6)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207)는, 제어부(2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2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08)는, 제어부(2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09)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2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306)는, 역다중화부(310), 영상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그리고 포맷터(3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4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좌우(도 4의 (b)), 상하(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4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전송된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4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401)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무선통신부(514), 사용자 입력부(515), 센서부(517), 출력부(516), 전원공급부(511), 저장부(512), 그리고 제어부(513)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5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514a)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하고, IR 모듈(514b)은 외부 전자 장치(5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5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514a)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5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514b)을 통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517)는 자이로 센서(517a) 또는 가속도 센서(5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517a)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517a)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517b)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516)는 사용자 입력부(5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516)는 사용자 입력부(515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514)를 통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516a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5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5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16d)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5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512)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3)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3)는, 사용자 입력부(5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5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514)를 통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또는 STB(5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multimedia device)로 명명할 수도 있고, 도 5의 리모트 컨트롤러(510)내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특정 채널 선택시 기저장된 컨텐트를 자동으로 디텍트 및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는 메인 컨트롤러(610), 스크린(620), 메모리(630), 메모리 컨트롤러(640), 스피커(650), 프로세서(6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670) 및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6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680)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670)은, 제1채널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한다. 상기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은, 예컨대 방송국이나 CP(Content Provider)로부터 수신되며, 다른 컨텐트로 대체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660)는, 상기 수신된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스크린(620)은 상기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스피커(650)는 상기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메모리(6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은 자동으로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수동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640)는 상기 메모리(630)에 액세스 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상기 제2채널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새롭게 정의되는 채널을 의미한다. 즉 통상적으로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채널 넘버와 구별되며, 상기 제2채널 선택시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즉시 출력하거나, 기저장된 컨텐트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유저는 기저장된 컨텐트에 액세스 하기 위한 복잡한 절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채널은 예를 들어 넘버 00(방송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채널 넘버)에 대응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유저가 임의의 번호로 편집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채널을 보다 세분화 하여, 카테고리별 기저장된 컨텐트에 대응하는 채널 그룹으로 생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기저장된 컨텐트들 중 스포츠 장르에 속하는 컨텐트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채널 넘버 00-1, 기저장된 컨텐트들 중 드라마 장르에 속하는 컨텐트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채널 넘버 00-2, 기저장된 컨텐트들 중 엔터테인먼트 장르에 속하는 컨텐트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채널 넘버 00-3가 존재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610)는, 상기 액세스된 메모리(630)에 저장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 및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세서(660), 상기 스크린(620) 및 상기 스피커(650)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610)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640) 및 상기 스크린(620)을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630)에 저장된 복수개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식별하는 리스트를 출력시키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은 상기 제2채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특정 제2채널(예를 들어, 채널 넘버 00)이 선택시,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 중 특정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도 있고, 또는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2채널은 방송국과는 무관한 가상의 채널(Virtual Channel)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유저는 채널 서핑 중, 인식하지 못했던 기저장된 컨텐트에 보다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610)는 상기 스크린(62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 및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방송 예정 시각 정보,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610)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670)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도록 설계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채널 선택시 외부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므로 불필요한 네트워킹 기능을 일시 정지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도 개선할 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당업자는 이전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한다(S710).
제1채널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고(S720), 상기 수신된 제1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730).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S740). S740 단계에서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은, 가상의 특정 제2채널이 아닌 일반 제1채널을 통해 수신된 컨텐트에 해당한다.
한편, 도 7에서는 S740 단계를 S730 단계와 S750 단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게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S710 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도록 변형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고(S750),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고(S760),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770).
또한,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식별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은, 예를 들어 상기 제2채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가 정보는, 예컨대 상기 제2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방송 예정 시각 정보,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채널이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채널 전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채널 전환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채널 업/다운 커맨드에 따라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채널 넘버로만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방송국에서 제공하지 않는 가상의 특정 채널(예를 들어, 채널 넘버 00)로 진입하는 기술을 정의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는 채널 7번의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데이터(820)를 출력하고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810)를 이용하여 채널 00을 선택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대응하는 채널이 없다는 정보가 표시될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1)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장된 컨텐트(예를 들어, 녹화된 A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821)가 디스플레이 된다.
나아가, 도 8에서는 유저가 특정의 가상 채널 넘버를 직접 입력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업/다운 커맨드를 수신하다가 상기 특정의 가상 채널로 진입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의하면, 가장 낮은 채널 넘버인 1로 튜닝된 상태에서, 채널 다운 명령이 수신되면, 가장 높은 채널 넘버로 전환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장 낮은 채널 넘버인 1로 튜닝된 상태에서, 채널 다운 명령이 수신되면, 가상의 특정 채널 넘버로 전환되고, 이는 방송국과는 무관하며 기저장된 컨텐트 자체 또는 리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과거 저장된 컨텐트를 유저가 확인하지도 못한 채 자동 삭제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채널 전환 중에 기저장된 컨텐트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유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특정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특정 채널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기저장된 컨텐트 중 특정 컨텐트가 자공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기저장된 복수의 컨텐트들을 식별하는 리스트가 출력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9에서는 녹화된 컨텐트들 6개만을 예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더 많은 리스트 또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할 경우, 기저장된 복수의 컨텐트들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특정 컨텐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메뉴 상에서 여러 뎁스(depth)를 거치지 않고, 채널 선택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유저의 접근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채널 관련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채널 관련 데이터를 설명하겠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방송국과 독립적인 특정 채널을 하나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특정 채널 그룹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과 독립적인 채널 넘버(00-1)는 스포츠 장르에 속하는 기저장된 컨텐트를 제공한다. 한편, 방송국과 독립적인 채널 넘버(00-2)는 드라마 장르에 속하는 기저장된 컨텐트를 제공하고, 그리고 방송국과 독립적인 채널 넘버(00-3)는 예능 장르에 속하는 기저장된 컨텐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기저장된 B 프로그램, D 프로그램, E 프로그램은 스포츠 장르에 속하며, 기저장된 C 프로그램 및 F 프로그램은 드라마 장르에 속하고, 그리고 기저장된 A 프로그램은 예능 장르에 속한다.
또한, 복수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들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녹화된 날짜를 기준으로 최신순 또는 가장 오래된 순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고, 또는 유저가 우선 순위를 직접 변경하거나 우선 순위 관련 기준을 셋팅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10에서는 동일한 장르내에서만 우선순위를 계산하였으나, 방송국과 독립하는 특정 채널을 싱글(single)로 구성하는 경우, 장르 구별없이 우선순위를 계산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이전 도 8의 (b) 및 도 9에서도 간략히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특정 채널 선택시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예는 2가지가 존재한다.
채널 서핑을 하던 유저가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1)을 선택한 경우,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D 프로그램이 출력된다(이전 도 8의 (b) 참조). 다른 실시예로서, 채널 서핑을 하던 유저가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1)을 선택한 경우, 기저장된 B 프로그램, D 프로그램, E 프로그램 관련 리스트를 출력한다(이전 도 9 참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특정 컨텐트를 녹화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특정 컨텐트를 녹화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특정 채널 진입시,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를 제공하는 솔루션을 설명하였다. 한편, 기저장된 컨텐트는 유저에 의해 예약 녹화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녹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동 녹화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 도 18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는 자동 또는 수동 방식을 통해 현재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110)에 대한 녹화를 실행한다. 그러나, 메모리 용량 또는 유저의 선호도 변화에 따라 현재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110)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고 있음을 유저에게 고지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110)이 녹화되고 있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1120)를 화면 하단 우측에 설계함으로써, 현재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110)에 대한 시청의 방해를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1120)를 확인한 유저는, 현재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110)에 대한 계속 녹화 여부를 다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는 는 특정 채널(예를 들어, 채널 넘버 00)에서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210)를 출력한다.
상기 컨텐트(1210)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장된 컨텐트 리스트로 복귀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1)는 재생을 완료한 기저장된 컨텐트를 계속 저장할지 문의하는 메시지(1211)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술한 메시지(1211)를 통해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고 메모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출력한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출력한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는 방송국과 독립한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에 진입한 경우,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310)를 디스플레이 한다.
나아가, 상기 기저장된 컨텐트의 시간 단위별 썸네일 이미지(1320)들을 스크린의 하단에 함께 출력한다.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부분에 신속히 액세스 하여, 해당 부분부터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면의 가장 하단에 프로그레스바를 추가 설계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출력한 화면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출력한 화면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방송국과 독립한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에 진입한 경우,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 관련 부가 정보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제1부가 정보(1410)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대표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해당한다. 또한, 제2부가 정보(1420)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옵션에 해당한다.
제3부가 정보(1430)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삭제할 수 있는 옵션에 해당하고, 그리고 제4부가 정보(1440)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제5부가 정보(1450)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옵션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1부가 정보 내지 제5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유저는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기저장된 컨텐트를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의 재생(playing)을 편집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의 재생(playing)을 편집하는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는 방송국과 독립한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에 진입한 경우,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510)를 디스플레이 한다.
나아가, 화면 하단에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재생 상태(status)를 프로그레스바(1520)로 표시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530)를 이용하여, 유저가 오른쪽 화살표에 대응하는 버튼을 일정 시간 누른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따라서, 도 1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1)는 일정 시간 이동된 화면을 출력한다. 도 15의 우측 화면과 좌측 화면을 비교해 보면, 프로그레스바가 1분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즉, 리모컨 입력이 있기 전에는, 프로그레스바(1520)가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재생 상태를 37분에 가리키고, 해당 비디오 데이터(1510)를 출력하지만, 상기 리모컨 입력이 있은 후에는, 프로그레스바(1521)가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재생 상태를 38분에 가리키고, 해당 비디오 데이터(1511)를 출력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의 재생(playing)을 편집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의 재생(playing)을 편집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는 방송국과 독립한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에 진입한 경우, 기저장된 컨텐트(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1610)를 디스플레이 한다.
나아가, 화면 하단에는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재생 상태(status)를 프로그레스바(1620)로 표시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630)를 이용하여, 유저가 오른쪽 화살표에 대응하는 버튼을 2회 터치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도 15에서는 시간에 비례하여 프로그레스바를 조정하는 반면, 도 16에서는 횟수에 비례하여 프로그레스바를 조정한다.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도 1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1)는 일정 시간 이동된 화면을 출력한다. 도 16의 우측 화면과 좌측 화면을 비교해 보면, 프로그레스바가 1분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즉, 리모컨 입력이 있기 전에는, 프로그레스바(1620)가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재생 상태를 37분에 가리키고, 해당 비디오 데이터(1610)를 출력하지만, 상기 리모컨 입력이 있은 후에는, 프로그레스바(1621)가 기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재생 상태를 38분에 가리키고, 해당 비디오 데이터(1611)를 출력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녹화된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0)는 특정 채널 진입시, 기저장된 컨텐트를 출력하고 해당 컨텐트(1710)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1)는 관련 부가 정보(1711)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이 완료된 기저장된 컨텐트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재생이 완료된 A 프로그램이 에피소드 3화에 해당할 경우, 다음 에피소드의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채널 넘버 및 시간대를 고지해 주는 메시지가 생성 및 출력된다. 물론, 이전 에피소드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전 도 1 내지 도 17에서는 방송국과 독립한 가상의 특정 채널 번호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특정 채널 번호는, 기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채널 번호가 제공하는 컨텐트를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자동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6에서는 특정 채널 번호가 제공하는 컨텐트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술에 대해 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히, 유저의 선호도를 추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17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이하 후술한 도 18 내지 도 26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구별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일실시예를 병합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합 데이터 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8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데이터베이스(1850)와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1850)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1850)는 제1서버(1851), 제2서버(1852), 제3서버(1853), 제4서버(18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1서버(1851)는, 방송국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제2서버(1852)는 각 채널별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 및 방송 시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제3서버(1853)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 또는 컨텐트의 다운로드 순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그리고 상기 제4서버(1854)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 또는 컨텐트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평가 정보는, 예를 들어 다양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통해 수집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서버 내지 제4서버가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1850) 또는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800)는 수많은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가 있다.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자동 녹화가 수행되며, 또난 자동 녹화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특정 채널(채널 넘버 00)을 통해 제공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00)는, 메인 컨트롤러(1910), 메모리 컨트롤러(1920), 스크린(1930), 스피커(19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1950), 메모리 인터페이스 모듈(1960), 계산 모듈(1970) 및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19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당업자는 도 19에 도시된 모듈들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다른 모듈을 도 19에 병합하여 설계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19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한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 모듈(1960)은, 외부 메모리(196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계산 모듈(1970)은, 내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1961)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910)는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1961)에 저장시킨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1980)은 리모트 컨트롤러(19810)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920)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1980)을 통해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1961)에 액세스 한다.
상기 스크린(1930)은,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1961)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스피커(1940)는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1961)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195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버로부터 시청률 또는 다운로드 순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제1서버(1851) 및 제3서버(1853)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
나아가, 예컨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할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최대 개수, 저장할 시리즈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최대 허용 개수 또는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저장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상기 계산 모듈(1970)은, 상기 계산된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1961)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를 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나아가,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특정 채널은, 예를 들어 방송국 또는 CP(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채널과 독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전 도 1 내지 도 17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채널 00에 해당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당업자는 도 20에 도시한 단계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다른 단계를 추가하여 변형 설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한다(S2010).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고(S2020),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2030).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고(S2040),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한다(S2050).
그리고,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추출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S2060).
또한, 도 20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버로부터 시청률 또는 다운로드 순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S2020)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할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최대 개수, 저장할 시리즈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최대 허용 개수 또는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저장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S2020)는, 상기 계산된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부가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의 부가 정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 도시된 시청률 순위 및 다운로드 순위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이다. 한편, 시청률 점수 및 다운로드 점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해 보겠다.
이 때, 시청률 점수(Y)는, "Y = 101 - (시청률 순위)"의 공식에 의해 결정되고, 다운로드 점수(Z)는, "Z = 101 - (다운로드 순위)"의 공식에 의해 결정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ex : 시크릿 가든)의 시청률 점수는 100으로 환산되고, 다운로드 점수는 89로 환산된다. 여기서, 순위는 값이 낮을 수록, 그리고 점수는 값이 높을 수록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을 수록 자동 저장할 컨텐트로 선정될 확률은 높아진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컨텐트 관련 부가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컨텐트 관련 부가 정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순위를 점수로 환산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청률 점수 및 다운로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22에서는 각각의 시청률 점수 및 다운로드 점수 모두 최소값(min)과 최대값(max)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최소값 및 최대값의 개념은 오차 범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시청률 순위 및 다운로드 순위를 제공하는 서버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 점수 및 시청률 점수" 를 모두 고려한 최종값은 시청률 점수의 순위 또는 다운로드 점수의 순위와는 명백히 구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운로드 점수 및 시청률 점수를 모두 고려하도록 설계된다.
특정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청률이 높으나 다운로드 횟수가 많지 않다면, 임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싶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며, 반대로 다른 특정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청률은 낮으나 다운로드 횟수가 높은 경우에도 임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싶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2가지의 팩터(시청률, 다운로드 횟수)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유저의 선호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 솔루션 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컨텐트를 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컨텐트를 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 및 도 2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PI(Popularity Index)로서 2가지 팩터(시청률 및 다운로드 횟수)를 이용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유저의 선호도 추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PI(Popularity Index) 뿐만 아니라 시간 단위 및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장르까지 모두 고려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수집한 PI를 일일 단위로 계산하거나 또는 주간 단위로 계산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EPG 정보를 이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복수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장르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는다. 장르 필터링 여부에 대해서는 유저가 설정할 수도 있고 또는 디폴트로 자동 수행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들 중에서 장르(카테고리)별로 복수개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추출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장르(카테고리)와 관계 없이 무조건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들 순으로 자동 녹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컨텐트의 최종 선정 기준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컨텐트의 최종 선정 기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녹화하기 위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선정하기 위한 PI 로 시청률 및 다운로드 순위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론, 다른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 한계가 있으므로, 녹화되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개수는 최대 6개로 제한된다. 나아가, 녹화되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장르로는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으로 제한하였으나(실험적 선호도 순서), 다른 장르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시리즈물의 최대 허용 개수는 1개로 제한하였다. 동일한 시리즈물로만 자동 녹화되는 것은 유저의 선호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동일한 시리즈물은 1개만 최대 허용하였다. 물론, 유저가 수동 녹화하는 경우는 예외로 인정된다.
또한,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자동 녹화되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계속 저장할 수 없으므로, 저장된 각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들은 만 4일까지만 저장된다. 물론, 유저의 편집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PI(Popularity Index)를 고려하는 시간 단위는 일일 정보만을 기준으로 하여, 매일 업데이트 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시청률 및 다운로드 수치의 변화를 보다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 24에 도시된 테이블은 내부 메모리만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외부 메모리의 연결 여부 및 외부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수치를 적합하게 자동 업데이트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메모리와 연결된 경우 출력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메모리와 연결된 경우 출력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TV에 부가되는 내부 메모리 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 메모리 용량을 임의로 늘리는 것은 일반 유저에게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와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외부 메모리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된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메시지가 자동으로 생성 및 출력된다.
따라서, 유저는 자동 녹화되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 용량에 관계 없이 보다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을 자동 녹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동 녹화되는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들을 외부 메모리가 아닌 외부 디바이스로 자동 전송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메모리 연결 상태 및 타입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최종 선정 기준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메모리 연결 상태 및 타입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최종 선정 기준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에서도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녹화량이 최대 6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으로 제한되고, 시리즈물은 최대 1개까지 허용되며 각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최대 저장 일수는 만 4일로 제한되도록 설계한다.
그러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메모리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수치들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10GB)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녹화량이 최대 9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으로 확장되고, 시리즈물은 최대 1개까지 허용되며 각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최대 저장 일수는 만 5일로 확장된다.
또한, 외부 메모리(20GB)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녹화량이 최대 12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으로 확장되고, 시리즈물은 최대 2개까지 허용되며 각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최대 저장 일수는 만 6일로 확장된다.
그리고, 외부 메모리(50GB)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녹화량이 최대 21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으로 확장되고, 시리즈물은 최대 3개까지 허용되며 각각의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최대 저장 일수는 만 7일로 확장된다.
한편, 도 26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 중 저장된 컨텐트(ex : TV 프로그램 등)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GUI 를 출력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 변경 프로세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된 특정 채널 넘버가 유저에 의해 명시적으로 선택시, 기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유저의 액세스 가능성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채널 재핑 과정에서 기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G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1, 2, 4, 5 및 7에 대한 정보를 수신기(TV 또는 STB)는 사전에 인식할 수가 있다. 즉, 채널 3번 및 채널 6번은 어떤 방송국도 사용하지 않고 있는 채널 번호들이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채널 번호들(예를 들어, 채널 3(2801) 및 채널 6(2802))을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타임머신 채널로 이용한다. 상기 타임머신 채널 선택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저장된 컨텐트 목록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반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채널 2번을 시청하던 유저가 채널 업 명령을 선택시, 채널 4번으로만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 변경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신기(TV 또는 STB)를 처음 사용하는 유저에게는 타임머신 채널의 자동 튜닝에 대한 정보를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변경 전 도 29에 도시된 OSD(On Screen Display)를 출력하여 유저에게 옵션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물론, 도 29를 생략하고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특정 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지 않고 있는 유저는 채널 재핑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채널 번호 또는 업/다운 커맨드가 연속하여 수신기에 수신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이 도 30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수신기(TV 또는 STB)는 채널 변경 명령을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시한다(S3010). 연속하는 채널 변경 명령의 횟수 또는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계산한다(S3020).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0). 예를 들어, 3회 이상 채널 변경 명령이 0.5초 이내로 연속하여 이루어 지는 경우, 유저가 특정 채널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치는 일예에 불과하여, 당업자는 변형 설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채널 체인지만 발생하도록 설계한다(S3060).
한편,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타임머신 채널(예를 들어, 00 채널 또는 빈채널)로 이동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OSD 가 디스플레이 된다(S3040). 예를 들어, 도 29와 같이 설계 가능하다. 그리고, 유저의 컨펌이 있는 경우, 해당 타임머신 채널로 이동한다(S3050). 물론, 상기 S3040 단계를 생략하여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전술한 도면과 도면을 결합하여,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 서버
120 : 외부 메모리
130 : STB
140 :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외부 메모리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모듈;
    내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는 계산 모듈;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를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메인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연속적인 채널 변경을 위한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의 횟수 또는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의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특정 채널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버로부터 시청률 또는 다운로드 순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할 컨텐트의 최대 개수, 저장할 시리즈 컨텐트의 최대 허용 개수 또는 저장된 컨텐트의 저장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계산된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를 조정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채널은,
    방송국 또는 CP(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채널과 독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PTV, 스마트 TV 또는 STB(Set Top Box)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트를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연속하는 채널 변경을 위한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의 횟수 또는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의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특정 채널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특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된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선택을 위한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컨텐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버로부터 시청률 또는 다운로드 순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할 컨텐트의 최대 개수, 저장할 시리즈 컨텐트의 최대 허용 개수 또는 저장된 컨텐트의 저장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factor)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팩터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채널은,
    방송국 또는 CP(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채널과 독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22837A 2013-03-04 2013-03-04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837A KR102017699B1 (ko) 2013-03-04 2013-03-04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4157127.3A EP2775727B1 (en) 2013-03-04 2014-02-28 Digi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076987.5A CN104038795B (zh) 2013-03-04 2014-03-04 数字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4/196,661 US9386342B2 (en) 2013-03-04 2014-03-04 Digi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837A KR102017699B1 (ko) 2013-03-04 2013-03-04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28A KR20140108928A (ko) 2014-09-15
KR102017699B1 true KR102017699B1 (ko) 2019-09-03

Family

ID=5024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837A KR102017699B1 (ko) 2013-03-04 2013-03-04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6342B2 (ko)
EP (1) EP2775727B1 (ko)
KR (1) KR102017699B1 (ko)
CN (1) CN104038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1151A1 (en) * 2013-12-19 2015-06-2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users changing channels on multiple displays
KR101654724B1 (ko) * 2014-11-18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tv
CN104703010B (zh) * 2015-03-20 2019-03-15 王海忠 带功能分区的触控遥控器及其控制方法
KR102428271B1 (ko) * 2015-05-27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운드 제어방법
US10567694B2 (en) 2015-05-2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CN106303702A (zh) * 2015-06-11 2017-01-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连接状态检测方法、装置和智能电视系统
CN105472462A (zh) * 2015-11-12 2016-04-06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电视功能处理方法和系统
KR102450840B1 (ko) * 2015-11-19 202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0743068B2 (en) * 2018-09-17 2020-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 time digital media capture and presentation
US10897637B1 (en) 2018-09-20 2021-01-19 Amazon Technologies, Inc. Synchronize and present multiple live content streams
US10863230B1 (en) * 2018-09-21 2020-12-08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stream overlay positioning
US10657968B1 (en) * 2018-11-19 2020-05-19 Google Llc Controlling device output according to a determined condition of a user
KR20210051319A (ko) * 2019-10-30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장치
CN111277891B (zh) * 2020-03-05 2022-12-2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目录制提示方法及显示设备
GB2597334A (en) * 2020-07-17 2022-01-26 Playrcart Ltd A media player
US11914555B2 (en) * 2021-09-10 2024-02-27 Arris Enterprises Llc Data processing for networking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358A (ja) * 2000-05-23 2001-11-30 Sony Corp 放送番組の録画・再生システム及び録画・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2705A (en) * 1995-05-22 1998-12-22 Sun Microsy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average case disk transfer bandwidth and seek time for a video server
US20030088872A1 (en) * 1997-07-03 2003-05-08 Nds Limited Advanced television system
IL125141A0 (en) * 1998-06-29 1999-01-26 Nds Ltd Advanced television system
JP2000184320A (ja) * 1998-12-11 2000-06-30 Nec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US20020124255A1 (en) * 1999-12-10 2002-09-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interactive and passive advertisement and merchandising opportunities
WO2002043353A2 (en) * 2000-11-16 2002-05-30 Mydtv, Inc.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esirability of video programming events
US8095951B1 (en) * 2005-05-06 2012-01-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can
US20070199039A1 (en) * 2006-02-23 2007-08-23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video content
JP4850286B2 (ja) * 2007-07-05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映像伝送システム
US20090328104A1 (en) * 2008-06-26 2009-12-31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ducts for personalized channel services
KR20100025695A (ko) * 2008-08-28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녹화물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00138864A1 (en) * 2008-12-02 2010-06-03 Nortel Networks Limited Enhanced channel surfing
US8838564B2 (en) * 2011-05-19 2014-09-16 Yahoo! Inc. Method to increase content relevance using insights obtained from user activity upd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358A (ja) * 2000-05-23 2001-11-30 Sony Corp 放送番組の録画・再生システム及び録画・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5727B1 (en) 2018-07-04
CN104038795A (zh) 2014-09-10
US20140250477A1 (en) 2014-09-04
CN104038795B (zh) 2017-06-16
EP2775727A1 (en) 2014-09-10
US9386342B2 (en) 2016-07-05
KR20140108928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99B1 (ko)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006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izing content based on a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ntent
KR102104355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315608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268133B1 (ko)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2017301B1 (ko)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769801B (zh) 提供增强的电子节目指南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301799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hrough related content based on a profile associated with a user
CN104581413B (zh) Tv及其操作方法
KR20140108927A (ko)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65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the display of preferred media asset sources
EP28913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igital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402453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listings
CA30954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based on changes in status of an object
KR2011007297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A298944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lerting a user consuming media to the progress of others consuming media
US8774595B2 (en) Multimedi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12213A (ko) 사용자 장치 상의 미디어 자산의 프리젠테이션 동안 사용자 장치 부근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보충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90570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12846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353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45479A (ko) 시청률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20140100123A (ko) 서비스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