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018B1 -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018B1
KR102016018B1 KR1020170175425A KR20170175425A KR102016018B1 KR 102016018 B1 KR102016018 B1 KR 102016018B1 KR 1020170175425 A KR1020170175425 A KR 1020170175425A KR 20170175425 A KR20170175425 A KR 20170175425A KR 102016018 B1 KR102016018 B1 KR 10201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margin line
line
us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062A (en
Inventor
유근찬
최건
이유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7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0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06F17/5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은,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기 위한 파라미터 중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치료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영역 내의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모드에서 제 1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수정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인터페이스를 따라서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보정하여 최종 마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thod of setting a margin line among parameters for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including a treatment area; Determining a mode for setting a margin line in the treatment area; Setting a first margin line in the determined mode; Providing a modification interface to modify the first margin lin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correcting the first margin line along the correction interface to generate a final margin line.

Description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Margin line setting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본 발명은 마진라인 설정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드로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구강에 적합한 마진라인을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하는 방법에 과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gin line setting method and a virtual prosthesis design method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for setting margin lines in various modes to set a margin line suitable for a patient's oral cavity, and designs a virtual prosthesis based on the margin line.

치과 보철제작 과정에서의 인상채득은 구강 내 치아 및 조직의 상태를 인상재로 본 떠 파악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진단 및 향후 치료계획을 수립하거나,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있어 기반이 되는 중요한 임상과정이다. Impression acquisition in dental prosthetic manufacturing process is based on the impression material's condition of teeth and tissues, and is an important clinical process that is the basis for the diagnosis of patients, the establishment of future treatment plans, and the production of accurate prostheses.

일반적인 인상채득 방법은 술식에 따라 적절한 인상재를 선택하고 정확한 인상채득을 위한 술자의 숙련된 임상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인상채득 과정은 인상재의 잘못된 선택 또는 사용방법에 따른 인상체 변형과 술자의 숙련도와 상관없는 환자의 구토반응, 개구장애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반복 채득이 불가피 할 수도 있다. 또한, 인상채득 후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도 재료가 갖는 미세부 재현의 한계 및 마모 등에 의하여 치과 보철물 제작에 있어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 The general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requires the skilled clinical skills of the operator to select the appropriate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ocedure and to accurately capture the impression.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may be inevitably repeat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impression body deformation due to the wrong selection or use of impression material, vomiting reaction of patient, opening disorder, etc. In addition, even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plaster model after the impression acquisition, errors in the produc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may be caused by the limitation and wear of the fine parts reproduced by the material.

따라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치과 보철물의 설계나 가공을 위한 컴퓨터의 활용과 설계 및 생산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automate the use and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computers for the design or processing of dental prostheses by hand.

자세히,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로 구강을 스캔하고, 스캔된 구강 데이터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표시한 후, 상기 3차원 구강 모델을 기초로 치과 보철물을 컴퓨터 설계하고 설계된 보철물을 생산하는 보철물 생산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In detail, a prosthesis production system for digitally scanning the oral cavity using an oral scanner, modeling and displaying the scanned oral data in 3D, and then computerly designing the dental prosthesis based on the 3D oral model and producing the designed prosthesis. Development is actively being done.

특히, 보철물 생산 시스템에서 모델링된 구강 이미지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게 표시하고, 표시된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밀하고 심미감 높은 보철물을 손쉽게 설계(design)하는 보철물 설계 기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n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prosthesis design technology that displays the oral image modeled in the prosthesis production system to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easily designs a precise and esthetic prosthesis using the displayed oral image.

보철물 설계 시스템은,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데, 대부분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작업자의 능력에 의존한 드로잉(drawing)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도록 하여, 가상 보철물의 퀄리티가 작업자의 능력에 의존하게 되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The prosthetic design system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most of which allows the design of the virtual prosthesis via a drawing interface that depends on the operator's ability, thereby providing a high quality of the virtual prosthesis. Is dependent on the ability of the work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work time is required.

특히, 가상 보철물 디자인에 주요 포인트 중 하나인 마진라인 설정이 중요한다. 대부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마진라인을 설정하고 있어,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보철물의 품질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the margin line setting, which is one of the main points in the design of virtual prostheses, is important. Most of the workers manually set the margin line, it takes a lot of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prosthesis is uneven according to the ability of the worker.

JP 4295076 B2JP 4295076 B2 US 2014-0278279 A1US 2014-0278279 A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구강 모델의 마진라인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마진라인 기반으로 가상 보철물 디자인하는 마진라인 설정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gin line setting method for accurately setting a margin line of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based on the set margin line, and a virtual prosthesis design method including the same. It is done.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은,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기 위한 파라미터 중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치료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영역 내의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모드에서 제 1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수정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인터페이스를 따라서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보정하여 최종 마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thod of setting a margin line among parameters for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including a treatment area; Determining a mode for setting a margin line in the treatment area; Setting a first margin line in the determined mode; Providing a modification interface to modify the first margin lin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correcting the first margin line along the correction interface to generate a final margin line.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은, 사용자의 개입에 따라 능동/수동적으로 마진라인을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각 모드는 손쉽고 빠르게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electively provides various modes in which margin lines can be set actively or passively according to the user's intervention, and each mode can provide functions for easily and quickly setting margin lines.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 중 자동모드는, 사용자의 일 지점 입력에 따라서 3차원 구강 모델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마진라인 전체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detail, the automatic mode of the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entire margin line by automatically analyzing the 3D oral model according to the user's one point inpu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 중 반자동모드는, 사용자의 엣지를 따라 정확하게 마진라인을 그리치 않더라도 포인터의 이동방향에 근거하여 엣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엣지를 기반으로 마진라인을 생성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마진라인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mi-automatic mode of the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extracting the edg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even if you do not draw the margin line accurately along the user's edge, by generating a margin line based on the extracted edge, This has the advantage of generating margin lines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 중 수동모드는, 사용자의 포인팅 입력과 주변에 3차원 구강 모델을 분석하여 추출된 엣지를 기반으로 마진라인을 생성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마진라인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nual mode of the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generating a margin line based on the user's pointing input and the edge extracted by analyzing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round th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margin lin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손쉽게 마진라인을 일차적으로 그린 이후에도 구강에 적합하게 마진라인을 수정할 수 있는 쉽고 빠른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와 보철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gin lin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vides an easy and quick correction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modify the margin line to suit the oral cavity even after the user first drew the margin line easily in a desired mode. Can impro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의 디자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강 모델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강 모델을 분석하여 획득한 사이드 아치라인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위치 및 타입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복영역의 마진라인 설정화면의 일례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진라인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라인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9c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수정라인을 통해 마진라인을 수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의 삽입축 방향 설정화면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 설정화면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된 가상 보철물의 스케일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설정된 스케일에 따라서 설계된 가상 보철물을 3차원 모델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을 수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sign process of a virtu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ide arch line obtained by analyzing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 virtual prosthesis position and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margin line setting screen of a repai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rgin line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screens illustrating a correction line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C and 9D illustrate screens for correcting a margin line through a set correc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n insertion axis direction setting screen of a virtu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 prosthesis internal parameter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 scale of a virtual prosthesis desig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virtual prosthes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cale set in FIG. 12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a 3D model.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odifying a virtu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ing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 개요 Overview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은, 구강 스캐너를 통해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여 전송하면,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가 수신한 스캔 데이터로 구강을 3차원 모델링한 후 모델링된 3차원 구강 모델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토대로하여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기 위한 보철물 디자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CAD)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providing a virtual prosthesis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a patient's oral cavity is scanned and transmitted through an oral scanner, the model is modeled after 3D modeling the oral cavity with scan data received by the prosthetic design computing device. A dimensional oral model can be displayed and a prosthetic design graphical user interface (CAD) can be provided for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나아가,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은, 디자인된 가상 보철물의 데이터를 기초로 보철물 제조장치에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보철물 제조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철물 제조데이터 설계 인터페이스(CAM)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may provide a prosthesis manufacturing data design interface (CAM) for generating prosthesis manufacturing data for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in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apparatus based on the data of the designed virtual prosthesis.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은, 가상 보철물의 파라미터들을 단계별로 설정하여 보철물을 디자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은, 각 단계별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분석된 구강 정보에 기반한 틀 안에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비숙련자도 손쉽게 정밀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역량에 의존하지 않고 균일한 품질의 보철물을 디자인할 수 있다.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designing a prosthesis by setting parameters of the virtual prosthesis step by step. At this time,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provides an interface for setting parameters for each step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within the framework based on the analyzed oral information, so that an unskilled person can easily design a precise and accurate prosthesis, and the user's capability It is possible to design a prosthesis of uniform quality without depending on.

특히,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은, 보철물 파라미터 설정시 주요 포인트 중 하나인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손쉽고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easily and intuitively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margin line, which is one of the main points when setting the prosthesis parameter.

또한, 설계된 가상 보철물을 3차원 구강 모델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환자의 구강에 가상 보철물을 적합한지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igned virtual prosthesis may be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to provide a user to check whether the virtual prosthesis is suitable for the patient's mouth.

여기서, 전술한 가상 보철물이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또는 관련된 조직의 인공적인 대체물의 외형을 설계한 3차원 모델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철물이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해주는 재료인 임플란트(Implant)라고 할 때, 보철물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몸체(Fixture), 임플란트 몸체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지대치(Abutment), 임플란트 지대치 상부 측을 씌우며 인공치아 외측 상부를 형성하는 임플란트 보철물(Crown)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보철물의 유형으로는,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크라운(Crown), 라미네이트(Laminate), 브릿지(Bridge), 코핑(Coping), 임플란트(Implant) 또는 덴쳐(Dentur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철물에는, 넓은 개념에 있어서, 서지컬가이드(Surgical guide)나 교정장치와 같은 치아 관련 보조기구도 포함될 수 있다.Herein, the above-described virtual prosthesis may mean a three-dimensional model in which an external shape of an artificial substitute of one or more teeth or related tissues is designed. For example, when the prosthesis is an implant, which is the material that serves as the root of the tooth, the prosthesis is the implant bod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 implant abutment connected to the implant body, and the upper side of the implant abutment. It can mean any one or all of the implant prosthesis (Crown) to cover and form the upper portion of the artificial tooth. Prostheses may also include inlays, onlays, crowns, laminates, bridges, copings, implants, or dentures. Can be. In addition, the prosthesis may, in a broad concept, also include tooth-related assistive devices, such as surgical guides or orthodontic devices.

이하 이러한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해 먼저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은, 구강 스캐너(100)와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ral scanner 100 and a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 구강 스캐너 -Oral Scanner

먼저, 구강 스캐너(100)는, 환자의 구강을 스캔(예컨대, 디지털 인상)하여, 환자의 구강을 3차원 모델링하는 스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First, the oral cavity scanner 100 may scan (eg, digitally)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and acquire scan data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100)는, 삼각법, 레이저, 이미지 또는 다양한 여러 스캔 기술들을 통해 구강 전체 또는 일부를 스캔한 스캔 데이터를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oral cavity scan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erves to transmit the scan data scanned in whole or in part to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through trigonometry, laser, image, or various other scanning techniques.

이후, 스캔 데이터는,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로 전송되어 이후 보철물을 디자인하기까지의 잔여과정이 컴퓨팅 장치(200)에서 수행된다. 보철물 디자인 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먼저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를 이루는 각 구성을 먼저 상세히 설명한다. Thereafter, the scan data is transmitted to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so that the rest of the process until the design of the prosthesis is performed in the computing device 200. Before describing the prosthesis design method, each component of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의 물리적 구성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prosthetic design computing device;

다시 도 1을 보면,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는, 입력부(210),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230), 디스플레이(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an interface unit 220, a memory 230, a display 240, and a processor 250.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컴퓨팅 장치(200)를 온(on)/오프(off)시키는 실행 입력이나, 각종 보철물 디자인 관련 기능에 대한 설정, 실행 입력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에 배치된 각종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40)와 함께 결합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연결된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input unit 210 may detect an execution input for turning on / off the computing device 200, a setting, execution input, etc. for various prosthetic design related functions. For example, the input unit 210 may include various buttons disposed on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upled with the display 240, and the interface unit 220. It may include input devices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connected through.

또한,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는, 유무선으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22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via wired or wireless.

자세히, 인터페이스부(220)는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20)는, 구강 스캐너(100)와 연결되어 구강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스캔관련 각종 설정입력을 송신할 수 있고, 보철물 제조장치와 연결되어 보철물 제조 데이터를 송신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입력부(210)의 각종장치들(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수도 있다. In detail, the interface unit 220 may serve as a data path with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oral scanner 100 to receive oral scanning data or transmit various scan-related setting inputs, and may be connected to a prosthetic manufacturing device to transmit prosthetic manufacturing data to provide a prosthesis. I can make it.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eg, a mouse, a keyboard, etc.) of the input unit 210 to receive a user input.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2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230)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220 includes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230 card card,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port) for connecting,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Wi-Fi.

또한,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30.

이러한 메모리(230)는,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23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in the prosthetic design computing device 200, data for operating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and instructions. .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보철물 디자인을 위한 보철물 디자인 프로그램(CAD)을 포함할 수 있고, 디자인된 보철물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철물 제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철물 제조관리 프로그램(CAM)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30)는, 디자인된 가상 보철물을 3차원 구강 모델에 합성하여 제공하면서, 가상 보철물을 수정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mory 230 may include a prosthesis design program (CAD) for prosthetic design, and may include a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program (CAM) for receiving the designed prosthetic data and generating prosthesis manufacturing data. have. In particular, the memory 230 may include a program having a function of modifying the virtual prosthesis while providing the designed virtual prosthesis to the 3D oral model.

이러한 메모리(2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mory 23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230 on the Internet. web storag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는, 보철물 디자인 관련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display 240 that displays a prosthesis design related graphic image.

이러한 디스플레이(240)는, 컴퓨팅 장치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거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lay 240 may be integrally mounted to the computing device or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20 as a separate display device.

마지막으로,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는,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5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Finally,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processor 25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to execut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processor 25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and micro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controller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이러한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200)의 메모리(230)에는,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프로세서(250)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t least one program for designing the prosthesis is installed in the memory 230 of the prosthesis design computing device 200, and the processor 25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designing the prosthesis using the program.

-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의 기능적 구성 Functional Configuration of Prosthetic Design Computing Devic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보철물 디자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prosthesis desig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히, 도 2을 참조하면, 전술한 프로세서(250)에는 보철물 디자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 및 보철물 제조관리 모듈(203)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2, the prosthesis design program is installed in the processor 250, and may include an oral display module 201, a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and a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module 203.

먼저,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구강 스캐너(100)를 통해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스캔 데이터를 통해 3차원 구강 모델을 디스플레이(240)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provide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240 through the oral scanner 100 or through scan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자세히,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모델링 전 스캔 데이터를 처리하여 3차원 구강 모델을 생성한 후 이를 다양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구강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generate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by processing the scan data before modeling and display the oral cavity image with various graphic interfaces.

또한,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3차원 구강 모델 파일을 호환하여 상기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이 작업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 후 다양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구강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convert a 3D oral model file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 format in which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can work, and then display the oral cavity image in which various graphic interfaces are possible.

또한,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구강 모델 또는/및 구강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하여, 다양한 구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구강 이미지를 아크라인에 정렬시키고, 아크라인에 정렬된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구강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acquire various or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oral cavity model and / or the oral cavity image. In this case,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align the oral cavity image to the arcline and analyze the oral cavity image aligned with the arcline to obtain accurate and various oral information.

이후,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구강 이미지와 함께 구강 정보를 표시하여 환자의 구강상태를 의사가 좀더 쉽게 이해하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강 이미지와 구강 정보를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에 제공하여, 상기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이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reafter,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display or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ral image to assist the doctor in understanding the oral state of the patient more easily, and provide the oral image and the oral cavity information to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Thus,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help to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a prosthesis.

이러한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은 상기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이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oral cavity display module 201 may be included in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including the oral display module 201.

상기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보철물 디자인의 기획, 도면 작성, 수정 등을 최적의 상태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으로, 보철물 설계업무의 제반 사항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여 주는 보철물 디자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be referred to as CAD (Computer®Aided Design, CAD), and the construction of a prosthesis by constructing a database for optimally planning, drawing, and modifying a prosthetic design. Prosthesis design capabilities can be provided to quickly and accurately handle all aspects of the job.

또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보철물 디자인에 필요한 자료를 구강 이미지, 구강 정보의 형태로 나타내어 사용자의 이해를 돕게 해주는 구강 디스플레이 모듈(201)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serve as an oral display module 201 that helps the user understand the data required for the prosthetic design in the form of oral images and oral information.

이와 같이 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설계하도록 하여, 설계 작업의 소요시간과 경비절감으로 효율화를 추구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품질, 신뢰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by designing the prosthesis by using a computing system, it is possible to pursue efficiency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design work, an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improve quality and reliability.

즉,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을에서 획득한 구강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240)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강 모델과 구강 정보를 토대로한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isplay 240 the oral cavity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3D oral model together, and provide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the prosthesis based on the oral model and the oral cavity information. Can be.

특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을 직접 분석하여 마진라인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자동 모드와, 분석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 데이터 기반으로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반자동 모드와, 손쉬운 인터페이스로 마진라인을 수동 설정하는 수동 모드 중 적어도 두 모드 이상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includes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margin line by directly analyzing a 3D oral model, a semi-automatic mode for setting a margin line based on analysis data and user input data, and a margin with an easy interface. At least two modes of the manual mode for manually setting the line may be provided as selectable.

그리고 이와 같이 정확하게 설정된 마진라인을 기초로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And it can be provided to design the virtual prosthesis on the basis of the margin line set correctly.

마지막으로, 보철물 제조관리 모듈(203)은, 보철물을 제조하는 분야에 컴퓨터를 도입한 캠(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M)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에서 보철물 디자인이 완료되어 최종 설계안이 확정되면 보철물 제조단계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의 관련된 기술일 수 있다. Lastly,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module 203 may be referred to as a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M) in which a computer is introduced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a prosthesis, and the prosthetic design is completed in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thereby completing the final design proposal. When the determination is made to enter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step, this may be the related technology.

자세히, 보철물 제조관리 모듈(203)은, 공정설계(Process Planning, 생산방법 및 순서결정), 제조기술, 가공, 가공시 필요 서브 디자인 등의 제조 전과정에서 필요한 제조관리 설계를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해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보철물 제조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module 203 allows the user to smoothly manage the manufacturing management design required during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process design (process planning, production method and ordering), manufacturing technology, processing, and sub design required for processing.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function can be provided to make it easy.

예를 들어, 보철물 제조관리 모듈(203)은, 제조장치가 밀링장치인 경우 가상밀링 프로그램을 통해 보철물의 가공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형성된 가공 경로 정보와 보철물 제작 데이터를 밀링장치로 전송하여 보철물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module 203 may form a processing path of the prosthesis through the virtual milling program whe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s a milling apparatus, and transmit the formed processing path information and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data to the milling apparatus to prosthesis. This can be made.

이와 같은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과 보철물 제조관리 모듈(203)을 통해, 사용자는 구강 이미지 확인부터 보철물 디자인, 보철물 제조관리까지의 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and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module 203, a user can perform all operations from confirming the oral cavity image to the prosthetic design and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management.

- 가상 보철물 설계 방법 -Virtual Prosthesis Design Method

이하,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고 설계된 가상 보철물을 3차원 모델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and synthesizing the designed virtual prosthesis into a 3D mod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4.

먼저,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101)First,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S101)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아크라인과 3차원 구강 모델을 함께 표시할 수 있고, 아크라인에 정렬된 3차원 구강 모델을 분석하여 구강 정보를 획득하여 추후 가상 보철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at this time, may display the arc line and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together, and analyze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ligned to the arc line. The oral cavit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used in the future design of the virtual prosthesis.

자세히, 일 실시예에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구강 스캐너(100)로부터 구강을 스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강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으로 구강을 모델링하여 3차원 구강 모델을 생성한 후 이를 표시할 수 있다. In detail, in one embodiment,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receives the oral scan data from the oral scanner 100 and models the oral cavity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received oral scan data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You can then display it.

다른 실시예에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외부 서버에서 수신한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할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이러한 3차원 구강 모델은, 상악, 하악 및 교합면 등을 포함하는 구강 전체를 모두 스캔하여 획득된 스캔 데이터 기반의 전체 구강 모델일 수 있으며, 상악, 하악 및 교합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델링한 구강 모델일 수 있으며, 상악 중 일부 영역, 하악 중 일부영역 또는 교합면 중 일부 영역을 모델링한 부분 구강 모델일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may be a whole oral model based on scan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entire oral cavity including the maxilla, the mandible and the occlusal surface, and the oral model modeling at least one of the maxillary, mandibular and occlusal surfaces. It may be a partial oral model that models a part of the maxilla, a part of the mandible, or a part of the occlusal surface.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과 더불어 아크라인(arch line)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라인은, 3차원 구강 모델에 대응되는 활 모양, U 자형, 말굽형 또는 반원형 등의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further display an arch line in addition to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Here, the arc line may mean a line such as a bow shape, a U shape, a horseshoe shape, or a semi-circ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이러한 아크라인은, 환자의 전체 구강에 대해 3차원 구강 모델이 갖는 위치 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구강 모델의 각 영역들이 전체 구강 대한 위치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200)에서 아크라인에 정렬된 3차원 구강 모델을 분석시 좀더 정확하고 다양한 구강 정보를 획득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arc line may serve to be displayed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with respect to the entir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n addition, each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can present a reference position for the entire oral cavity, which assists the computing device 200 to obtain more accurate and various oral information when analyzing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ligned with the arc line. Can play a role.

이러한 아크라인은, 형상(예컨대, 곡률, 크기 등)이 디폴트로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모델링된 3차원 구강 모델을 일반적으로 표시하는 크기에 맞추어 특정된 기 저장된 일 크기 및 곡률의 아크라인이 도시될 수 있다. Such arclines may be in a shape (eg, curvature, size, etc.) fixed by default. For example, an arcline of a pre-stored size and curvature that is specified to a size that generally displays the modeled three-dimensional oral model can be shown.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보철물 디자인 모듈은(202)은, 부분 3차원 구강 모델과 아크라인을 함께 디스플레이(24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 3차원 구강 모델은, 전체 구강에 대해 위치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아크라인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display 240 a partial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an arc line together. As such, the partial three-dimensional oral model may be provided with an arc line so as to confir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entire oral cavity.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이와 같이 아크라인에 상기 3차원 구강 모델을 정렬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aligning the 3D oral model on the arc line.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 또는/및 아크라인을 이동시켜 아크라인에 3차원 구강 모델을 정렬시키는 정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는, 아크라인에 3차원 구강 모델이 제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정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3차원 구강 모델을 아크라인에 올바르게 정렬시킬 수 있다.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can also provide an alignment interface to move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or / and the arcline to alig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to the arcline. In detail, the user can correctly align the 3D oral model to the arcline through the alignment interface if the 3D oral model is not properly aligned to the arcline.

예를 들어, 사용자는, 3차원 구강 모델을 드래그(drag) 조작하여 아크라인 내의 정렬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렬 위치란, 각 치아들과 아크라인 사이의 간격이 균일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아크라인의 크기나 곡률이 문제된다면, 사용자는, 아크라인의 크기 및 곡률을 변경하여 3차원 구강 모델에 대응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강 이미지를 아크라인의 내부에 개략적인 위치에 위치시킨 후 정렬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아크라인 또는/및 구강 이미지를 변경하여 아크라인에 구강 이미지를 정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drag the 3D oral model to move it to an alignment position in the arc line. Here, the alignment position means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teeth and the arc line is uniform. At this time, if the size or curvature of the arc line is a problem, the user can change the size and curvature of the arc line to modify to correspond to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In another embodiment, placing the oral image in a coarse position inside the arcline and pressing the alignment button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arcline and / or oral image to align the oral image to the arcline.

아크라인에 구강 모델이 정렬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아크라인에 정렬된 3차원 구강 모델에 기초하여 구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S102)Once the oral model is aligned with the arcline,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detect oral information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ligned with the arcline. (S102)

여기서, 구강 정보는, 치아들의 정렬 방향(예컨대, Buccal 방향과 lingual 방향), 치아 번호, 사이드 아크라인, 치열구조, 치아 및 치아들간의 각도, 치아 간격, 치아 사이즈 등과 같이 치열 구조에 관한 치아의 고유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치아의 색상, 우식, 충치, 치아의 손상, 치아의 결손, 손상부의 보철 타입과 같은 치아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3차원 구강 모델 분석시 기준이되는 아크라인이 있는 경우, 3차원 구강 모델 분석이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oral cavity information may be related to the teeth related to the dental structure such as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teeth (for example, Buccal direction and lingual direction), tooth number, side arc line, dental structure, angle between teeth and teeth, tooth spacing, tooth size, etc. Uniqu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nd further, tooth state information such as color of a tooth, caries, tooth decay, tooth damage, tooth defect, and a prosthetic type of a damaged part may be included. In order to accurately obtain such oral information, when there is an arc line that is a reference when analyzing the 3D oral model, the 3D oral model analysis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3차원 구강 모델의 사이드 뷰인 측면 구강 이미지(10S)에는 추가적으로 사이드 아크라인(15S)이 더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아크라인(15S)은 추후 설계될 보철물의 대합면의 형상 설정에 기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철물의 대합면의 기울기는 사이드 아크라인(15S)의 기울기에 대응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a side arc line 15S may further be displayed on the side oral image 10S, which is a side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the side arc line 15S may further be a prosthesis to be designed later. It can be based on the shape setting of the clathrate of. For example, the slope of the antagonistic surface of the prosthesis may correspond to the slope of the side arc line 15S.

특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부분 3차원 구강 모델의 경우, 구강의 일부만 분할된 모델이더라도, 치아의 방향, 치아 번호 등을 아크라인을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구강의 일부 영역만 포함된 구강 모델이여도, 상기 구강 모델에 대한 다양한 구강 정보 획득이 가능하여, 추후 보철물 디자인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artial 3D oral model,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obtain a direction of a tooth, a tooth number, etc. based on an arc line, even if only a part of the oral cavity is divided. That is,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acquire various oral information about the oral model even if the oral model includes only a partial area of the oral cavity, and thus may be effectively used in the future prosthetic design.

그 밖에,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아크라인을 기준으로 치아 번호, 치아 사이즈, 치아 우식, 충치, 결손, 손상 정도, 교합면(사이드 아크라인에 대응) 등을 좀더 쉽게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강 정보들은 디자인될 보철물의 파라미터 자동 설정에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can more easily detect the tooth number, tooth size, tooth caries, tooth decay, defect, degree of damage, occlus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arc line), and the like based on the arc line. Such or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set parameters of the prosthesis to be designed.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아크라인을 기준으로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구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아크라인을 기준으로 3차원 구강 모델을 이미지 분석하여 다양하고 정확한 구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강 정보를 기초로 보철물을 디자인하는데 도움을 주어 좀더 손쉽고 빠르게 보철물을 디자인할 수 있다.As such,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based on the arc line to help the user intuitively determine the oral condi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oral cavity based on the arc line. Various and accurate or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model, and it can help to design the prosthesis more easily and quickly by helping to design the prosthesis based on the oral information.

이후,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을 기초로 가상 보철물의 설계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can then provide a parameter setting interface for designing the virtual prosthesi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아크라인을 기반으로 3차원 구강 모델을 분석하여 얻은 구강 정보를 기반으로 순차적인 단계에 따라서 보철물을 디자인하도록 하는 보철물 설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보철물 설계 인터페이스는, 순차적으로 각 단계마다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각 단계별로 적절한 구강 정보를 제공하면서 손쉽게 결정하도록 하며, 결정된 파라미터와 구강 정보를 통해 3차원 구강 모델에 합성하고 수정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손쉽게 보철물을 디자인할 수 있다.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ovide a prosthesis design interface for designing a prosthesis according to sequential steps based on the oral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a 3D oral model based on an arc line. In detail, the prosthetic design interface makes it easy to determine the parameters for designing the prosthesis in each step sequentially by providing appropriate oral information for each step, and to synthesize and modify the 3D oral model through the determined parameters and oral information. , User can effectively design the prosthesis easily.

여기서, 가상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는, 수복할 치아영역, 보철물 타입, 마진라인, 삽입축,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예컨대, 최소 두께, 마진 두께, 시멘트 갭, 컨택 디스턴스, 폰틱 베이스 갭), 보철물 사이즈, 치아 정렬방향, 사이드 아크라인, 수복할 보철물의 치아번호, 가상 보철물 스케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parameters include the tooth area to be repaired, the prosthesis type, the margin line, the insertion axis, the prosthesis internal parameters (eg, minimum thickness, margin thickness, cement gap, contact distance, pontic base gap), prosthetic size, tooth alignment. And at least one parameter of orientation, side arclines, dental numbers of prostheses to be repaired, and virtual prosthetic scales.

이러한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는, 보철물 설계 인터페이스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동설정될 수 있고, 아크라인을 기반으로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한 구강 정보에 의해 자동설정될 수 있다. These prosthetic design parameters may be manually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sthetic design interface and may be automatically set by oral cavity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oral images based on arclines.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먼저, 3차원 구강 모델에서 수복할 치료영역과, 치료영역의 가상 보철물 타입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3, S104)First, referring to FIG. 6,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first provide an interface for setting a treatment area to be repaired in the 3D oral model and a virtual prosthesis type of the treatment area. (S103, S104)

실시예에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표시된 3차원 구강 모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3차원 구강 모델의 일부영역을 치료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3차원 구강 모델에서 특정지점, 특정영역 또는 특정치아를 지정하는 입력을 하여, 수복할 치료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a partial region of the 3D oral model as a treatment area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3D oral model.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treatment area to be repaired by inputting a specific point,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tooth in the 3D oral model.

실시예에서, 치료영역은, 하나의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자세히, 치료영역은, 하나의 치아에 대한 보철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일 지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선택지점의 손상된 치아에 대한 하나의 보철물이 디자인될 것이다. 따라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해당 손상된 치아의 치아번호(T)를 구강정보에서 추출하여, 해당 치아번호에 매칭된 보철물을 디자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reatment area may be an area for designing one prosthesis. In detail, the treatment area is an area for designing a prosthesis for one tooth, and if one point is selected by the user, one prosthesis for the damaged tooth of the selection point will be designed. Accordingly,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extract the tooth number T of the damaged tooth from the oral cavity information and provide a design of the prosthesis matching the corresponding tooth number.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치료영역 내의 특정지점(c)은, 이후 디자인된 가상 보철물이 배치될 중심지점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cific point (c) in the treatment area selected by the user may be a center point where the designed virtual prosthesis will be placed.

수복할 치료영역이 선택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치료영역에 디자인할 보철물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Once the treatment area to be repaired is selected,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the type of prosthesis to design in the treatment area.

여기서, 보철물 타입에는,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크라운(Crown), 라미네이트(Laminate), 브릿지(Bridge), 코핑(Coping) 또는 임플란트(Implant), 덴쳐(Dentur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철물에는, 넓은 개념에 있어서, 서지컬가이드(Surgical guide)나 교정장치와 같은 치아 관련 보조기구도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prosthesis type may include an inlay, an onlay, a crown, a laminate, a bridge, a coping or an implant, a denture, and the like. have. In addition, the prosthesis may, in a broad concept, also include tooth-related assistive devices, such as surgical guides or orthodontic devices.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치료영역에 디자인할 보철물의 유형(type)을 나열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user with an interface to list the types of prostheses to design in the treatment area and to select one of them.

이때,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복수의 치료영역에 대한 사용자 설정입력을 받아, 한번에 복수의 보철물을 디자인하도록 제공하여, 보철물 디자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receive a user setting input for a plurality of treatment areas, and provide a design of the plurality of prostheses at once, thereby shortening the prosthesis design time.

정리하면, 사용자는, 3차원 구강 모델에서 제 1 지점을 지정하여 수복할 치료영역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치료영역의 치아번호가 표시되며, 치료영역의 보철물 타입을 선택하고, 수복할 치료영역이 더 있는 경우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제 1 단계의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 설정을 완수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user designates a first point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to determine the treatment area to be repaired, displays the determined dental number of the treatment area, selects a prosthesis type of the treatment area, and further repairs the treatment area. If so,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again,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first step of the design of the prosthesis design parameters.

도 7을 참조하면, 보철물 타입이 결정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수복할 치료영역의 마진라인(gingival line)을 결정할 수 있다. (S105)Referring to FIG. 7, when the prosthesis type is determined,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a margin line of the treatment area to be repaired. (S105)

자세히, 치료영역 내의서 보철물과 치아의 경계(또는, 보철물과 잇몸의 경계)인 마진라인은, 가상 보철물의 형상을 설계하는데 기준이되는 주요 파라미터 중 하나이므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환자의 구강에 적합한 마진라인을 빠르고 손쉽게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margin line,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or the boundary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gum) in the treatment area, is one of the main parameters for designing the shape of the virtual prosthesis. It can provide an interface to quickly and easily set the margin line suitable for the oral cavity.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margin li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먼저, 도 7과 같이 수복할 치아영역의 3차원 구강 모델(10)이 표시되고, 마진라인을 설정할 사용자 모드들(61)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S201)First, as shown in FIG. 7, the 3D oral model 10 of the dental region to be repaired is displayed, and the user modes 61 for setting the margin line may be provided as selectable. (S201)

자세히, 이러한 마진라인을 결정하기 위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수동 모드, 반자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S202)In detail, to determine this margin lin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selectably provide at least two of a manual mode, a semi-automatic mode, or an automatic mode for setting the margin line. (S202)

먼저,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자동모드 선택시, 치료영역의 3차원 구강 모델(10)의 치료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엣지(edge)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후,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상기 선택된 엣지를 기준으로 엣지의 연장방향 및 잇몸, 잇몸 영역 별 색 차이, 손상된 치아, 치근, 인접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마진라인을 결정하고 3차원 구강 모델(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자동으로 결정된 마진라인을 수동으로 수정하도록 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mod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n edge by the user in the treatment area of the 3D oral model 10 of the treatment area. Thereafter,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automatically determines a margin lin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edge and color difference for each gum region and gum area, damaged tooth, root, and adjacent tooth, based on the selected edge. And it can be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then provide a modification interface to manually correct the automatically determined margin line.

다음으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반자동모드 선택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의 구강 모델 분석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하여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반자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S203)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semi-automatic mode,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semi-automatic mode for setting a margin line based on the user's input together with the oral model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 (S203)

반자동모드가 제공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치료영역 내의 3차원 구강 모델(10)의 엣지 중 하나의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포인팅 입력에 기초하여 엣지를 검출할 수 있다. (S204)If a semi-automatic mode is provided,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allows the user to select one point of the edges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in the treatment area and detect the edge based on the pointing input selected by the user. have. (S204)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한 점을 지정하는 포인팅 입력(예컨대, 더블 클릭)을 하면, 해당 포인팅 입력 주변에 엣지를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ct an edge around the pointing input when the user makes a pointing input (eg, a double click) specifying a point.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검출된 엣지 주변에 소정의 라인을 형성하고, 포인팅 설정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포인터의 이동 및 그 주변에 엣지를 기준으로 소정의 라인을 연장함으로써, 일차적으로 마진라인을 생성할 수있다. (S205)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form a predetermined line around the detected edge, and primarily move the pointer based on the edge after the setting of the pointing, and extend the predetermined line based on the edge thereof. To generate a line. (S205)

마지막으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포인터가 초기 포인팅 지점에 도달하면, 소정의 라인과 연장된 라인을 이어 마진라인 생성을 완성할 수 있다. (S206)Finally,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omplete the margin line generation following the predetermined line and the extended line when the user's pointer reaches the initial pointing point. (S206)

즉, 반자동모드는, 사용자의 포인터 입력과 3차원 구강 모델(10) 이미지 분석을 통해 추출한 엣지 두가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확하게 엣지를 따라 마진을 그리지 않더라도 이미지 분석을 통해 추출한 엣지 상에 마진라인을 설정하여, 손쉽고 빠르게 마진라인을 설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semi-automatic mode uses two edges extracted through the user's pointer input and the 3D oral model 10 image analysis, so that the margin line is extracted on the edge extracted through the image analysis even if the user does not accurately draw the margin along the edge. By setting, the margin line can be provided easily and quickly.

이후,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반자동으로 결정된 마진라인을 수동으로 수정하도록 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then provide a modification interface to manually modify the semi-automatically determined margin line.

다음으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수동모드 선택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수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S207)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manual mod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manual mode in which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sets a margin line based on the user's input. (S207)

수동모드가 제공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치료영역 내의 3차원 구강 모델(10)의 엣지 중 하나의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포인팅 입력에 기초하여 엣지를 검출할 수 있다. (S208)If a manual mode is provided,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a point of one of the edges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in the treatment area to detect the edge based on the pointing input selected by the user. have. (S208)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한 점을 지정하는 포인팅 입력(예컨대, 더블 클릭)을 하면, 해당 포인팅 입력 주변에 엣지를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ct an edge around the pointing input when the user makes a pointing input (eg, a double click) specifying a point.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다음 사용자의 포인팅 입력과 이전 포인팅 입력을 이어 마진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포인팅 입력을 잇는 기준은 검출된 엣지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form a margin line by connecting the next user's pointing input and the previous pointing input, and the reference connecting the pointing input may be a detected edge.

즉,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포인팅 입력을 해가면, 포인팅 입력 사이의 엣지를 검출하고, 포인팅 입력 사이를 엣지를 따라서 마진라인을 형성하는 수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manual mode that detects edges between the pointing inputs and forms margin lines along the edges between the pointing inputs when the user sequentially makes pointing inputs.

마지막으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포인터가 초기 포인팅 지점에 도달하면, 이전 마진라인과 연장된 라인을 이어 일차적으로 마진라인 생성을 완성할 수 있다. (S209)Finally,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omplete the margin line generation, primarily following the previous margin line and the extended line, once the user's pointer reaches the initial pointing point. (S209)

이와 같이 일차적으로 마진라인 생성이 완료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수동으로 결정된 마진라인을 다시 수정하도록 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once the margin line generation is completed,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modification interface for re-correcting the manually determined margin line.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수정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면 마진라인에서 고칠 수정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S210, S211)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the correction line to fix in the margin line when the correction interface is executed. (S210, S211)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마진라인 중 수정할 영역인 수정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set a correction line which is an area to be modified among the margin lines according to a user input.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포인팅 입력으로 마진라인(ML)에서 수정할 영역의 센터포인트(P)를 결정하고, 상기 센터포인트(P)를 기준으로 양옆의 적어도 일부의 라인을 수정라인(RL)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A,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determines a center point P of an area to be corrected in the margin line ML based on a user's pointing input, based on the center point P. At least some of the lines on both sides may be set as a correction line RL.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센터포인트(P)를 선택한 후 양옆으로 수정라인(RL)을 연장하거나 단축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사용자가 센터포인트(P)을 포인팅 입력한 후 컨트롤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위로 이동시키면, 수정라인(RL)이 마진라인(ML)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컨트롤 키를 해제하면 그 시점의 수정라인(RL)의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receive a user input of selecting a center point P and then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orrection line RL on both sid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B, when the user moves the mouse upward while pressing the control key after inputting the center point P, the correction line RL may extend along the margin line ML. When the control key is released, the setting of the correction line RL at that time may be completed.

반대로, 사용자가 센터포인트(P)을 포인팅 입력한 후 컨트롤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아래로로 이동시키면, 수정라인(RL)이 센터포인트(P)을 향해 단축되며, 컨트롤 키를 해제하면 그 시점의 수정라인(RL)의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user moves the mouse down while pressing the control key after inputting the center point (P), the correction line (RL) is shortened toward the center point (P). The setting of the correction line RL at the viewpoint may be completed.

수정라인(RL) 설정이 완료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포인터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수정라인(RL)을 함께 이동시켜 마진라인(ML)을 수정할 수 있다 (S212, S213)When the correction line RL setting is completed,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modify the margin line ML by moving the correction line RL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pointer (S212, S213).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수정라인(RL)이 설정된 상태에서 포인터가 이동하면,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센터포인트(P)을 기준으로 수정라인(RL)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정라인(RL) 이외의 마진라인(ML)은 고정된 상태이고, 수정라인(RL)과 마진라인(ML)은 지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In detail, when the pointer moves while the correction line RL is set,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move the entire correction line RL based on the center point P toward the mov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margin line ML other than the correction line RL is fixed, and the correction line RL and the margin line ML are continuously connected.

즉, 도 9c와 같이, 포인터가 이동했을 시, 해당 포인트를 향해 센터포인트(P)이 이동하고, 센터포인트(P)과 나머지 수정라인(RL)이 연결되도록 수정라인(RL)이 변경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9C, when the pointer moves, the center point P moves toward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he correction line RL may be changed to connect the center point P and the remaining correction lines RL. have.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변경한 수정라인(RL)이 마음에 들면, 해당 수정라인(RL)으로 마진라인(ML)을 수정할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 수정 결정시의 수정라인(RL)으로 마진라인(ML')을 수정할 수있다. (S214)Finally, if the user likes the modified correction line RL, the user may decide to correct the margin line ML with the correction line RL, and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modify the correction line at the time of determining the user correction. You can modify the margin line (ML ') with (RL). (S214)

정리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손쉽게 마진라인(ML)을 일차적으로 그릴 수 있고, 이후 구강에 적합하게 마진라인(ML)을 수정할 수 있는 쉽고 빠른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와 보철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summary,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provides various mod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raw the margin line ML in a desired mode, and then easily and quickly modify the margin line ML to suit the oral cavity. By providing a correction interface,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quality of the prosthesis can be improved.

다시 가상 보철물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 마진라인 설정이 완료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보철물의 삽입방향인 삽입축을 결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6)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virtual prosthesis design, when the margin line setting is completed,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determining an insertion axis that is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prosthesis. (S106)

실시예에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삽입축 설정을 3차원 구강 모델을 바라보는 뷰 포인트와 매칭시켜 설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for setting the insertion axis settings to match the viewpoint of viewing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가 3차원 구강 모델을 바라보는 뷰 포인트를 변경하여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삽입축 방향 결정단계에서 사용자가 뷰 포인트를 변경한 후 변경된 뷰 포인트를 삽입축 방향으로 선택하면, 해당 뷰 포인트를 삽입축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ontrol to display the 3D oral model by changing the view point at which the user views the 3D oral model, and after the user changes the view point at the insertion axis direction determination step. If the changed view point is selected in the insertion axis direction, the corresponding view point can be set in the insertion axis direction.

이때,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뷰 포인트 방향과, 해당 뷰 포인트에서 보철물 삽입시 보철물이 걸리는 영역인 블록아웃(block out) 영역을 3차원 구강 모델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올바르게 뷰 포인트를 삽입축 방향으로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displays the block out area, which is the area of the prosthesis when the prosthesis is inserted when the prosthesis is inserted in the view point, in the 3D oral model, so that the user inserts the view point correctly. It can lead to sel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예를 들어, 도 10를 참조하면, 3차원 구강 모델에는, 3차원 구강 모델을 바라보는 뷰 포인트가 화살표(71)로 표시될 수 있고, 해당 화살표(71) 방향으로 보철물 삽입시 블록아웃 영역(75)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삽입축 방향을 직관적으로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0,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 view point facing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may be indicated by an arrow 71, and the blockout area when the prosthesis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71 may be represented. 75) can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to induce the user to intuitively select the correct insertion axis direction.

도 11을 참조하면, 삽입축 방향이 설정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나머지 보철물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S107)Referring to FIG. 11, when the insertion axis direction is set,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the remaining prosthesis parameters (S107).

자세히, 실시예에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 중 아직 미 결정된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 또는/및 보철물 외형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prosthetic design parameters that are yet to be determined and / or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prosthetic appearance.

여기서,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는, 보철물의 최소 두께(Minimum thickness), 마진 두께(margin thickness), 시멘트 갭(cement gap), 컨택 디스턴스(contact distance) 및 폰틱 베이스 갭(pontic base ga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 the prosthetic internal parame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minimum thickness, a margin thickness, a cement gap, a contact distance, and a pontic base gap. can do.

이러한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는,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통계적으로 사용하는 값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 설정단계는 이러한 기본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 값을 다시한번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Such prosthetic internal parameters may be set to default values generally used statistically at the dentist, and therefore, the prosthetic internal parameter setting ste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gain check and correct these basic or user setting values. Can be.

이와 같이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가 설정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결정된 보철물 파라미터에 따라 가상 보철물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S108)When the prosthesis design parameter is set in this way,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the shape of the virtual prosthesi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sthesis parameter. (S108)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설정된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와 매칭되는 보철물 형상을 라이브러리에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치아번호와 보철물 타입에 매칭되는 보철물 형상을 라이브러리(95)에서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detect a prosthetic shape in the library that matches the set prosthetic design parameter. For exampl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ct the prosthesis shape in the library 95 that matches the tooth number and the prosthesis type.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검출된 보철물 형상을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 또는 구강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hange the detected prosthesis shape according to the prosthesis design parameter or the oral cavity information.

예를 들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검출된 보철물 형상을 마진라인(ML), 보철물 내부 파라미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검출된 보철물 형상의 상면을 사이드 아크라인에 따라 경사지도록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hange the detected prosthesis shape according to the margin line ML and the prosthesis internal parameter.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hange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cted prosthesis shape to be inclined along the side arc line.

가상 보철물의 형상이 결정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은, 가상 보철물의 스케일을 결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Once the shape of the virtual prosthesis is determined,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can provide an interface to determine the scale of the virtual prosthesis. (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가상 보철물을 환자의 구강 사이즈에 맞게 3차원 구강 모델에 합성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3차원 구강 모델에서 가상 보철물의 스케일을 설정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the user to set the scale of the virtual prosthesis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to synthesize the virtual prosthesis into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to fit the patient's oral size.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10) 내의서 길이 설정 입력(P1, P2)을 받아 가상 보철물의 스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는, 3차원 구강 모델(10)에서 제 1 지점(P1)과 제 2 지점(P2)을 선택하여 제 1 지점(P1)과 제 2 지점(P2)을 잇는 선분의 길이(d)를 가상 보철물(90)의 스케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2,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may receive the length setting inputs P1 and P2 in the 3D oral model 10 to determine the scale of the virtual prosthesis. In detail, the user selects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and the length d of the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May be set to the scale of the virtual prosthesis 90.

스케일 설정이 완료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스케일 설정에 대응되도록 가상 보철물(90)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이즈로 가상 보철물(90)을 3차원 구강 모델(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S109)When the scale setting is completed,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determines the size of the virtual prosthesis 90 so as to correspond to the user's scale setting, and sets the virtual prosthesis 90 o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to the determined size. I can display it. (S109)

자세히, 도 13과 같이, 사용자가 치료영역의 장축(S)에 해당하는 길이를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 입력 길이(d)와 동일하게 가상 보철물(90)의 장축(S)이 상기 입력 길(d)이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In detail, as shown in FIG. 13, when the user sets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 axis S of the treatment area as the user input,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user input length d. The long axis S may be determined to be the input length d.

또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가상 보철물(90)이 3차원 구강 모델(10)의 치료영역에 위치하도록 가상 보철물(90)을 3차원 구강 모델(10)에 합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synthesize the virtual prosthesis 90 to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such that the virtual prosthesis 90 is located in the treatment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자세히,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 구강 정보 또는/및 사용자 스케일 입력에 기초하여 설계된 가상 보철물(90)을 3차원 구강 모델(10)의 배치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sthetic design module 202 can determine the placement of the 3D oral model 10 with the designed virtual prosthesis 90 based on the prosthetic design parameters, oral cavity information, and / or user scale input.

예를 들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이전 사용자가 입력한 치료영역의 특정지점(c)(예컨대, 중심점)이 가상 보철물(90)의 중심이 오도록 배치시키며, 이때, 가상 보철물(90)의 배치방향은 삽입축 방향과 치아 정렬방향(B, L)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arrange a specific point (c) (eg, a center point) of the treatment area input by the previous user so that the center of the virtual prosthesis 90 is at this poin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axis direction and the tooth alignment direction (B, L).

또한,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스케일 설정 입력시, 길이 선분의 방향(D)에 따라서 보철물의 배치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determine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direction D of the length line segment when the user inputs the scale setting.

도 13을 참조하면, 가상 보철물(90)의 중심이 치료영역의 특정지점(c)에 오도록 위치시키면서, 가상 보철물(90)의 배치방향(예컨대, 수평, 수직 회전방향)이 삽입축 방향과 치료영역의 치아 정렬방향에 매칭시켜, 올바른 방향과 위치로 3차원 구강 모델(10)에 가상 보철물(90)이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while the center of the virtual prosthesis 90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int c of the treatment area, an arrangement direction (eg, horizontal and vertical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virtual prosthesis 90 is treated with an insertion axis direction. By matching the direction of tooth alignment of the region, it can be seen that the virtual prosthesis 90 is disposed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in the correct direction and position.

3차원 구강 모델(10)에 가상 보철물(90)이 표시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가상 보철물(90)을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는 리터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f the virtual prosthesis 90 is displayed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retouch function that allows for manual modification of the virtual prosthesis 90.

자세히, 도 14를 참조하면,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3차원 구강 모델(10)에 합성되어 표시된 가상 보철물(90)을 보고, 사용자가 3차원 구강모델에 적합하도록 입력한 수정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수정입력에 따라 가상 보철물(90)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수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가상 보철물(90)을 수정할 수 있도록 리터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14,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view a virtual prosthesis 90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3D oral model 10, and may enter a correction input by the user to fit the 3D oral model. have. In addition,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change the virtual prosthesis 90 according to the user's correction input, and provide a retouch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modify the virtual prosthesis 90 while checking the modification in real time.

이와같이 따른 보철물 디자인 모듈(202)은,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보철물 디자인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능숙도에 상관없이 손쉽게 균일한 품질의 보철물을 디자인할 수 있는 보철물 디자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prosthesis design module 202 may provide a prosthesis design interface that can easily design a prosthesis of uniform quality regardless of the user's proficiency by sequentially setting prosthesis design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tep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Particular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by way of example shows a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the actual device replaceabl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may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0)

가상 보철물을 설계하기 위한 파라미터 중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료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 모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영역 내의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모드에서 제 1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수정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인터페이스를 따라서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보정하여 최종 마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진라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수정하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마진라인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라인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라인을 사용자의 포인터 이동에 따라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In the method for setting the margin line of the parameters for designing a virtual prosthesis,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including a treatment area;
Determining a mode for setting a margin line in the treatment area;
Setting a first margin line in the determined mode;
Providing a modification interface to modify the first margin lin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Generating a final margin line by correcting the first margin line along the correction interface;
Providing a correction interface for modifying the first margin line according to a user input,
Setting at least some of the margin lines as correction lines;
Changing the correction line according to a user's pointer movement;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인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a mode for setting the margin line,
Selecting at least one of automatic mode, semi-automatic mode or manual mode.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에서 제 1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엣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엣지를 따라서 마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2,
Setting the first margin line in the automatic mode,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n edge of a user,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margin line according to the selected edge;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모드에서 제 1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포인팅 입력을 기초로 엣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엣지를 따라 소정의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포인터 이동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라인을 엣지를 기준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2,
Setting the first margin line in the semi-automatic mode,
Detecting an edge based on a user's pointing input, forming a predetermined line along the edge, and extending the predetermined line based on an edge as the user moves the pointer;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모드에서 제 1 마진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포인팅 입력을 기초로 엣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다음 사용자의 포인팅 입력과 전 포인팅 입력을 상기 엣지를 따라서 연결하여 마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2,
Setting the first margin line in the manual mode,
Detecting an edge based on a user's pointing input, and generating a margin line by connecting a user's pointing input and a previous pointing input along the edge;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라인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라인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진라인에서 수정할 영역의 센터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센터포인트를 기준으로 양옆의 적어도 일부 라인을 수정라인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tting at least some of the margin lines as correction lines,
Determining a center point of an area to be modified in the margin line;
Setting at least some lines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int according to a user input as a correction line;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라인을 사용자의 포인터 이동에 따라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위치로 상기 센터포인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수정라인을 연장 또는 단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hanging the correction line according to the user's pointer movement,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orrection line to move the center point to a movement position of the pointer.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정 결정 입력이 있으면, 상기 결정 입력시 변경된 수정라인으로 상기 마진라인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f there is a correction decision input by the user, further comprising correcting the margin line with the modified correction line upon the determination input;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최종 마진라인을 기초로 상기 가상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 하기 위한 마진라인 설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the virtual prosthesis based on the determined final margin line;
How to set margin line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KR1020170175425A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KR102016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25A KR102016018B1 (en)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25A KR102016018B1 (en)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62A KR20190074062A (en) 2019-06-27
KR102016018B1 true KR102016018B1 (en) 2019-08-29

Family

ID=6705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25A KR102016018B1 (en)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0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47B1 (en) * 2019-06-25 2020-12-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argin Lines
KR102425717B1 (en) * 2019-12-30 2022-07-27 주식회사 메디트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argin line
KR102425718B1 (en) 2020-01-03 2022-07-27 주식회사 메디트 Integrated library using method
KR102413696B1 (en) * 2020-07-14 2022-06-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abutment model
KR102575920B1 (en) * 2021-05-27 2023-09-13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Dental ca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1976B1 (en) * 2021-06-24 2023-10-23 주식회사 메디트 Method for providing margin line information for oral cavity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method
WO2022270889A1 (en) * 2021-06-25 2022-12-29 주식회사 메디트 Intrao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EP4364692A1 (en) * 2021-06-29 2024-05-08 Medit Corp. Intrao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WO2023038455A1 (en)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메디트 Method for processing intraoral image and data process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0691A1 (en) 2003-05-02 2004-11-04 Andrew Hofmei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crowns, bridges and implants for dental use
JP2007215656A (en) * 2006-02-15 2007-08-30 Gc Corp Production suppo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5076B2 (en) 2003-12-11 2009-07-15 株式会社アドバンス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odel
US8359114B2 (en) * 2006-11-28 2013-01-22 Dentsable, Inc. Haptically enabled dental modeling system
US10157330B2 (en) 2013-03-15 2018-12-18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e analysis, storage and retrieval of 3D models with application to automatic dental restoration desig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0691A1 (en) 2003-05-02 2004-11-04 Andrew Hofmei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crowns, bridges and implants for dental use
JP2007215656A (en) * 2006-02-15 2007-08-30 Gc Corp Production supporting device
JP4683390B2 (en) 2006-02-15 2011-05-18 株式会社ジーシー Production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62A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207B1 (en) Method for analizing 3d oral model and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tics having the same
KR102016018B1 (en)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KR101994396B1 (en) Method for designing dental prosthesis step-by-step
US11653998B2 (en) Dental preparation guide
US11690517B2 (en) Systems for creating and interacting with three dimensional virtual models
KR1019840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 dental prosthesis based on arch lines
US8457772B2 (en) Method for planning a dental component
US8200462B2 (en) Dental appliances
KR102004449B1 (en)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sis
US20090148816A1 (en) Design of dental appliances
KR1019943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oral model
JP2020508734A (en) How to build a restoration
CN110381879B (en) Prosthesis design method and system based on arc line
KR102000242B1 (en) METHOD FOR DESIGN virtual prostheses in edentulous areas
WO2023094866A1 (en) Anatomy driven computer-aided design and manufacture of dental restorations for treatment of dental path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