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13B1 -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13B1
KR102015313B1 KR1020170112163A KR20170112163A KR102015313B1 KR 102015313 B1 KR102015313 B1 KR 102015313B1 KR 1020170112163 A KR1020170112163 A KR 1020170112163A KR 20170112163 A KR20170112163 A KR 20170112163A KR 102015313 B1 KR102015313 B1 KR 10201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mode
butt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5471A (en
Inventor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주)이노프레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프레소 filed Critical (주)이노프레소
Priority to KR102017011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scription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등 텍스트 혹은 포인팅 위치관련 정보를 수신 가능한 디지탈 기기에 텍스트 정보 혹은 포인팅 위치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an interface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or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on a digit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ext or point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computer, a laptop, a tablet PC, a mobile phon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digital device.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용 디지탈 기기에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보드와 같은 텍스트 입력장치가 공개되었다. 또한 상기 디지탈 기기의 제어를 위한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 제어 및 기능 수행을 위한 마우스 기기와 같은 포인팅 기기가 공개되었다.Text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s for text input, have been disclosed in personal computers and portable digital devices. In addition, pointing devices such as a mouse device for controlling a pointing position of a pointer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evice and performing a function have been disclosed.

종래의 텍스트 입력 장치와 포인팅 기기는 별도의 기기로 구비되어 있거나 텍스트 입력 장치의 텍스트 입력 영역과 구별된 별도의 위치에 포인팅 입력 영역이 구성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텍스트 입력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과 포인터 실행 명령 입력이 빈번히 전환되는 작업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손의 이동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text input device and the pointing device are provided as separate devices or have a pointing input area configured at a separate location separate from the text input area of the text input device. As a result, the user's hand is moved more than necessary in a work environment in which text input,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nd pointer execution command input are frequently switched,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키보드 입력을 받는 키보드 모드, 마우스 모드 및 디지타이저 모드를 수행하며, 이들 모드 간의 전환이 자유로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perform a keyboard mode, a mouse mode, and a digitizer mode for receiving keyboard input and are free to switch between these modes.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오디오 볼륨 등과 같이 속성값이 조정 가능한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이 손쉬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erein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whose attribute value is adjustable, such as audio volume, is easy to adjust.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과제는, 터치 입력과 호버링 입력의 처리가 가능하고,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touch input and hovering input, and selecting a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a hovering input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에 있어서, 텍스트 입력 장치의 텍스트 입력 영역 위에 포인팅 기기의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여 텍스트 입력 중 간단히 입력 모드 전환을 통해 사용자의 손의 이동을 최소화 한 채 포인팅 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of a pointing device is provided on a text input area of a text input device, and a switching unit is provided to switch between a text input mode and a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enabling pointing input with minimal hand movement.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마우스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디지타이저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using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A mouse mode for outputting a mouse input indicating a moving distance and a moving direction of a pointer, and a digitizer input for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pointer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ile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an output digitizer mod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반영하는 포인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터치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대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모드가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절대 좌표값을 획득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pointer control signal for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reflect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Perform a touch mode for outputting the touch mode, and when operating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calculates a touch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based on the scan signal, and when the touch mode is a mouse mode, the touch coordinate Obtain a relative coordinate value from the value, and the touch mode is the digitizer mode It may be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the absolute coordinates from the touch coordinates.

상기 키보드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단계; 마우스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while ignoring the touch input when operating in the keyboard mode; Entering a mouse mode;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when operating in the mouse mode and outputting a mouse input indicating a moving distance and a moving direction of a pointer using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Entering a digitizer mode; And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ting a digitizer input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pointer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반영하는 포인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 진입 시 상기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대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가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절대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좌표값 또는 상기 절대 좌표값 중 어느 하나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an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touch for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ting a pointer control signal reflect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Entering any one of modes; Calculating touch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based on the scan signal when entering the touch mode; Obtaining a relative coordinate value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a mouse mode; Acquiring an absolute coordinate value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a digitizer mode; And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based on one of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or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obta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one of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touch mode for outputting a first touch signal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 electronic device that executes a mode and outputs a second touch signal instructing adjustment of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when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is obtain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이 획득되면 키보드 모드인지 터치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키보드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문자값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속성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 key input is obta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board mode or the touch mode, and in the case of the keyboard mode, outputs a text value according to the key input, and in the touch mode, adjusts the touch input to a specific attribute value.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an attribute adjusting mode to be us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키보드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단계; 터치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Entering;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while ignoring the touch input when operating in the keyboard mode; Entering a touch mode; Outputting a first touch signal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operated in the touch mode; Receiving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a property to be adjusted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And outputting a second touch signal instructing adjustment of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이 획득되면 키보드 모드인지 터치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문자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속성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Determining whether the keyboard is in the keyboard mode or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is obtained; Outputting a text value according to the key input in the keyboard mode; And performing an attribute adjustment mode in which the touch input is used to adjust a specific attribute value in the touch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복수의 출력 장치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또는 호버링을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좌표값을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어 대상의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상기 터치 문턱값보다는 작고 호버링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호버링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호버링 좌표값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실제 공간 또는 증강 공간 상에서 가상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and used as an input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a push input of a vertical direction is received from a user. Keycaps;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gesture input including touch or hovering from a user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each comprising: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group of blocks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gesture input of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obtain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that obtained the key input, and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as a touch input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is greater than a touch threshold value, and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 touch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a change of?, And outputs a first signal instructing movement of a pointer on a screen to be controlled, which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change amount is smaller than the touch threshold and larger than the hovering threshold, the gesture input is determined as a hovering input, and a hovering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hovering input, and is based on the calculated hovering coordinate value. Second signal indicating movement of the virtual pointer in the virtual space, real space, or augmented space An output controller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복수의 출력 장치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어 대상의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상기 터치 문턱값보다는 작고 호버링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호버링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버링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호버링 좌표값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실제 공간 또는 증강 공간 상에서 가상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and is used as an input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A key 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direction;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nd a drive lin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between buttons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by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or rod therebetween;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that has obtained the key input and outputting a keyboard input reflecting the key value;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as a touch inpu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greater than a touch threshold value;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value from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utputting a first signal instructing movement of a pointer on a screen of a control object,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touch coordinate values;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as a hovering inpu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smaller than the touch threshold and larger than a hovering threshold; Calculating a hovering coordinate value from the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hovering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signal indicative of movement of the virtual pointer in the virtual space, the real space, or the augmented space based on the calculated hovering coordinate value.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and the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Could be.

별도로 구비된 텍스트 입력 장치와 포인팅 장치를 하나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의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integrating the text input device and the pointing device provided separately in one human interface device, the cost and size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unnecessary operations of the user's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장치를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마우스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음에 더해 디지타이저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device can be used as a keyboard interface and a mouse interface, and can be utilized as a digitizer inte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장치를 이용하면 오디오 볼륨 등과 같은 속성값을 조절 시 포인터를 이용하여 해당 속성을 선택하고, 다시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속성에서 속성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움 없이 단순한 푸쉬 입력과 터치 입력만으로도 원하는 속성의 값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device, when a property value such as an audio volume is adjusted, a corresponding property is selected by using a pointer, and again, the position of an indicator indicating the property value in the selected property is adjusted by using a pointer. You can easily adjust the value of the desired property with simple push input and touch input without the hassle.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하나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장치를 다수의 기기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device can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devices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포인팅 장치와 텍스트 장치의 모드 전환에 따른 동작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 은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팅 장치의 구성에 대한 실시례들이다.
도 4 는 포인터 실행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의 실시례들이다.
도 5 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실시례이다.
도 6 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7 은 하단 위치형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를 적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덮개를 활용한 실시례이다.
도 8 은 휴대용 노트북에 적용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실시례이다.
도 9 는 하단 위치형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와 하단 위치형 포인터실행 명령부를 적용한 실시례이다.
도 10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구성도이다.
도 11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의 한 실시례이다.
도 12 는 복합기능 입력버튼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도 13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이한 패턴의 일렉트로드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도 14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의 실시례이다.
도 15 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문자입력을 위한 스위치의 한 실시례이다.
도 16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구비한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의 한 실시례이다.
도 17 은 일렉트로드 키캡의 한 실시례이다.
도 18 내지 도 22 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 패턴의 한 실시례이다.
도 23 은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의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4 는 영구 터치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5는 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판형으로 구비된 복합기능 입력버튼 모듈이다.
도 26은 일렉트로드부의 세부 구조의 일례이다.
도 27은 전도성 접착제의 접착부위의 일례이다.
도 28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한 실시례이다.
도 29는 무선 방식의 전기적 연결부재의 실시례이다.
도 3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31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텍스트 입력의 신호 처리에 관한 일 예이다.
도 32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마우스 입력의 신호 처리에 관한 일 예이다.
도 33 및 도 34는 도 32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동작에 관한 일 예이다.
도 35 및 도 36은 도 32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동작에 관한 다른 예이다.
도 37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디지타이저 입력의 신호 처리에 관한 일 예이다.
도 38은 도 37에 따른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동작에 관한 일 예이다.
도 39는 도 37에 따른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동작에 관한 다른 예이다.
도 40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모드 전환에 관한 일 예이다.
도 41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의 설정에 관한 일 예이다.
도 42 및 도 43은 도 41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과 마우스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 간의 관계에 관한 일 예이다.
도 44 및 도 45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의 설정에 관한 다른 예이다.
도 46은 도 44 및 도 45에 따른 터치 영역 설정 시 터치가 가능한 영역의 외부로 터치 영역이 설정된 예시이다.
도 47은 도 46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의 재설정에 관한 일 예이다.
도 48은 도 46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의 재설정에 관한 다른 예이다.
도 49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모드 전환 방법의 일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0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마우스 모드 및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1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 설정 방법의 일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2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 설정 방법의 다른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3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 재설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이다.
도 54는 조정 대상 속성의 몇몇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5는 조정 대상 속성과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버튼의 매칭 관계에 관한 도면이다.
도 56 및 도 57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8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9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1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1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2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2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3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3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4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4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5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5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6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6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7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7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도 68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69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또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7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다시 또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71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또 다시 또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72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호버링 입력에 관한 일 예이다.
도 73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의 일 예이다.
도 74는 도 73의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이용한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선택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5는 도 73의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이용한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선택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6은 도 73의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이용한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선택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7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멀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일 예의 순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mode switching between a pointing device and a text devic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text input device and a pointing device.
4 illustrates exemplary embodiments of a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5 is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6 is an embodiment of a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using a cover of a human interface device to which a lower position pointer type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is applied.
8 is an embodiment of a human interface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notebook.
9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position typ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he lower position typ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are applied.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Fig. 11 is an embodiment of the electroloading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 is an embodiment of a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 arrangement.
Fig. 13 i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oads of the different patterns of the multi-function input buttons.
14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5 is an embodiment of a switch for character input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Figure 16 is an embodiment of a human interface device with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7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oload keycap.
18 to 22 show one embodiment of an electroload pattern of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a text input mode and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 permanent touch mode.
25 is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n a plate shape.
26 is an example of a detailed structure of an electrorod part.
Fig. 27 is an example of an adhesive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28 is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29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wireless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0 is an example of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FIG. 31 is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of a text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32 is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of a mouse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33 and 34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a mouse input of FIG. 32.
35 and 36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a mouse input of FIG. 32.
FIG. 37 is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of a digitizer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38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of FIG. 37.
FIG. 39 is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of FIG. 37. FIG.
FIG. 40 is an example of mode switching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41 is an example of setting a touch area according to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42 and 43 are examples of a relationship between a touch area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and a touch area according to a mouse mode of FIG. 41.
44 and 45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setting the touch area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4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ouch area is set outside the touchable area when the touch area is set according to FIGS. 44 and 45.
FIG. 47 is an example of resetting a touch area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FIG. 46.
FIG. 48 is another example of resetting a touch area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FIG. 46.
FIG. 4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5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input processing method in a mouse mode and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5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area in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5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area in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5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setting a touch area in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54 is a diagram related to some examples of adjustment target attributes.
5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n adjustment object attribute and a button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56 and 5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58 is a diagram related to another example of adjustment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Fig. 5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djustment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FIG. 60 is a diagram related to a first example of processing of a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FIG.
FIG. 61 is a diagram related to a second example of processing of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FIG. 62 is a diagram related to a third example of processing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FIG.
FIG. 63 is a diagram related to a fourth example of the processing of a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FIG.
64 is a diagram related to a fifth example of processing of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65 is a view of a sixth example of processing of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FIG. 66 is a view of a seventh example relating to processing of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67 is a flowchart of an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68 is a flowchart of another example of an adjustment method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69 is a flowchart of still another example of an adjustment method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70 is a flowchart of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71 is a flowchart of yet another example of an adjustment method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72 is an example of a hovering input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FIG. 73 is an example of a multi-device environmen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f FIG. 30.
FIG. 7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on of a control target device using a hovering input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of FIG. 73.
FIG. 7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selecting a device to be controlled using a hovering input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of FIG. 73.
FIG. 76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selecting a device to be controlled using a hovering input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of FIG. 73.
7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device controlling method of 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general term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far as possible in view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ustom or the emergence of a new technology. Can be. In contrast, when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rather than simple names of the term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ovi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마우스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디지타이저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using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A mouse mode for outputting a mouse input indicating a moving distance and a moving direction of a pointer, and a digitizer input for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pointer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ile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an output digitizer mode may be provid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마우스 모드에서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에서는 상기 포인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영역과 상기 터치 좌표값들의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기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in the mouse mode, and output the pointer in the digitizer mode. The digitizer input may be output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screen area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s.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린 영역 상에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상기 매칭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enters the digitizer mode, the controller may set the matching relationship such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correspond to the screen area.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마우스 모드에서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에서는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현재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alculates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in the mouse mode, and performs the first operation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in the digitizer mode. The digitizer input may be obtained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input and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마우스 모드 진입 시 왼손 모드인지 오른손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왼손 모드인 경우에는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왼측에 위치하는 버튼들의 일렉트로드만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오른손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오른측에 위치하는 버튼들의 일렉트로드만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상기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전체에 위치하는 버튼들의 일렉트로드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mouse is in the left hand mode or the right hand mode when entering the mouse mode, and in the left hand mode, activates only the electroload of button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Only the electroloads of the button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may be activated, and when the digitizer mode enters, all of the electroloads of the buttons located throughout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may be activat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되는 터치 좌표값이 상기 포인터의 스크린 영역에서의 위치와 매칭되도록 상기 포인터가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에 매칭되는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a touch area that matches the screen area on which the pointer is displayed so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first performed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matches a position on the screen area of the pointer.

상기 콘트롤러는,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상기 터치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벗어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set the touch area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out of area when a touch input to the area out of the touch area of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occurs.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스크린 영역에 매칭되는 터치 영역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fferently set a touch area matched to a screen area display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 first touch input performed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반영하는 포인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터치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대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모드가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절대 좌표값을 획득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pointer control signal for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reflect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Perform a touch mode for outputting the touch mode, and when operating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calculates a touch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based on the scan signal, and when the touch mode is a mouse mode, the touch coordinate Obtain a relative coordinate value from the value, and the touch mode is the digitizer mode It may be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the absolute coordinates from the touch coordinates.

상기 상대 좌표값은,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으로부터 산출되고, 상기 절대 좌표값은, 포인터를 표시하는 스크린 영역과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and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screen area displaying a pointer and a touch area.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한 뒤 최초로 입력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 관계를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the match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first touch coordinate value input after entering the digitizer mode.

상기 상대 좌표값은,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으로부터 산출되고, 상기 절대 좌표값은,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한 뒤 최초로 입력된 터치 좌표값 간의 차연산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a difference operation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scan period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previous scan period, and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is first entered after enter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scan period and the digitizer mo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touch coordinate values may be calcul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키보드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Entering;

상기 키보드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단계; 마우스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while ignoring the touch input when operating in the keyboard mode; Entering a mouse mode;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when operating in the mouse mode and outputting a mouse input indicating a moving distance and a moving direction of a pointer using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Entering a digitizer mode; And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ting a digitizer input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pointer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

상기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영역과 상기 터치 좌표값들의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기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mouse input may include calculating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and outputting the digitizer input.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the digitizer input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outputting the pointer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s.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린 영역 상에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상기 매칭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matching relationship such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performed on the digitizer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correspond to the screen area.

상기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터치 좌표값의 변동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현재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mouse input may include calculating a change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and outputting the digitizer inpu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the digitizer input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performed at the time of entering the digitizer mode and a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상기 마우스 모드 진입 시 왼손 모드인지 오른손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왼손 모드인 경우에는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왼측에 위치하는 버튼들의 일렉트로드만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오른손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오른측에 위치하는 버튼들의 일렉트로드만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상기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전체에 위치하는 버튼들의 일렉트로드를 모두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mouse is in a left hand mode or a right hand mode when entering the mouse mode; In the left hand mode, activating only the electroload of button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In the right hand mode, activating only the electroload of button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And activating all the electroloads of buttons located in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되는 터치 좌표값이 상기 포인터의 스크린 영역에서의 위치와 매칭되도록 상기 포인터가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에 매칭되는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touch area matching the screen area where the pointer is displayed so that a touch coordinate value first performed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matches a position on the screen area of the pointer.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로 동작 중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상기 터치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벗어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a touch input for an area outside the touch area among all the touch sensing areas while operating in the digitizer mode; And resetting the touch area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out of area.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로 수행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스크린 영역에 매칭되는 터치 영역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fferently setting a touch area matched to a screen area display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 first touch input performed when the digitizer mode is ent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푸쉬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을 반영하는 포인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 진입 시 상기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대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가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절대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좌표값 또는 상기 절대 좌표값 중 어느 하나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an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touch for ignoring the push input f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ting a pointer control signal reflect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Entering any one of modes; Calculating touch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based on the scan signal when entering the touch mode; Obtaining a relative coordinate value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a mouse mode; Acquiring an absolute coordinate value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a digitizer mode; And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based on one of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or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obtained.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으로부터 상기 상대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스크린 영역과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상기 절대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alculating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from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And calculating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area displaying the pointer and the touch area.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한 뒤 최초로 입력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match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first touch coordinate value after entering the digitizer mode.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으로부터 상기 상대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한 뒤 최초로 입력된 터치 좌표값 간의 차연산으로부터 상기 절대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alculating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from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And calculating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from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scan period and the first touch coordinate value after entering the digitizer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one of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touch mode for outputting a first touch signal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 electronic device that executes a mode and outputs a second touch signal instructing adjustment of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when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is obtained. May be provid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output a signal instructing 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when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is obtained.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y include display of a graphic object f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어느 하나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only one of a vertical value and a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has a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 상의 인디케이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value correspon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n indicator on a graphic objec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mong the vertical value and the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상기 콘트롤러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고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s of the current scan period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s of the previous scan perio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에 관한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a touch area related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최대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상단 또는 최우측이 매칭되고, 상기 속성값의 최소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하단 또는 최좌단이 매칭되도록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the touch area such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and the uppermost or rightmost side of the touch area match,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and the lowermost or leftmost end of the touch area match. hav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이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such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current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간의 매칭 관계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매칭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generates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generated,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the matching relationship.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좌표값 간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first performed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f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The second touch signal may be generat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과 함께 감지된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획득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obtained while the touch input sensed together with the key input for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s maintain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detected by an electroload of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다른 하나를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one of an increase or a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touch input detect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s a clockwise direction, a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another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property value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이 획득되면 키보드 모드인지 터치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키보드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문자값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속성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 key input is obta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board mode or the touch mode, and in the case of the keyboard mode, outputs a text value according to the key input, and in the touch mode, adjusts the touch input to a specific attribute value.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an attribute adjusting mode to be used may be provid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속성 조절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nter the property control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touch mode and return to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property control mod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속성 조절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property control mode while the key input is maintained in the touch mod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뒤 1회의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use one touch input to adjust the specific attribute value after the key input occurs in the touch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력트로이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키보드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단계; 터치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Entering;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while ignoring the touch input when operating in the keyboard mode; Entering a touch mode; Outputting a first touch signal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operated in the touch mode; Receiving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a property to be adjusted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And outputting a second touch signal instructing adjustment of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when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is obtained.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y include display of a graphic object f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어느 하나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only one of a vertical value and a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has a one-dimensional property value. can do.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 상의 인디케이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value correspon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n indicator on a graphic objec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mong the vertical value and the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It may comprise the step of generating.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고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difference oper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에 관한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setting a touch area related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최대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상단 또는 최우측이 매칭되고, 상기 속성값의 최소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하단 또는 최좌단이 매칭되도록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tting may include setting the touch area such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and the uppermost or rightmost side of the touch area match,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and the lowermost or leftmost end of the touch area match. It may comprise the step of setting.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이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such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current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간의 매칭 관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매칭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And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matching relationship.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좌표값 간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first performed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and a touch coordinate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And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values.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과 함께 감지된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획득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acquired while the touch input sensed together with the key input for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s maintained. It may comprise the step of generating.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detected by an electroload of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have.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다른 하나를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indic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Generating a second touch signal and a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another on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a clockwise direc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이 획득되면 키보드 모드인지 터치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문자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속성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Determining whether the keyboard is in the keyboard mode or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is obtained; Outputting a text value according to the key input in the keyboard mode; And performing an attribute adjustment mode in which the touch input is used to adjust a specific attribute value in the touch mode.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 조절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Entering the attribute control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touch mode; And returning to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attribute control mode.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속성 조절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intaining the attribute control mode while the key input is maintained in the touch mode.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뒤 1회의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할 수 있다.In the touch mode, one touch input after the key input is generated may be used to adjust the specific attribute valu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복수의 출력 장치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또는 호버링을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좌표값을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어 대상의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상기 터치 문턱값보다는 작고 호버링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호버링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호버링 좌표값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실제 공간 또는 증강 공간 상에서 가상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and used as an input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a push input of a vertical direction is received from a user. Keycaps;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gesture input including touch or hovering from a user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each comprising: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group of blocks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gesture input of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obtain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that obtained the key input, and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as a touch input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is greater than a touch threshold value, and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 touch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a change of?, And outputs a first signal instructing movement of a pointer on a screen to be controlled, which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change amount is smaller than the touch threshold and larger than the hovering threshold, the gesture input is determined as a hovering input, and a hovering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hovering input, and is based on the calculated hovering coordinate value. Second signal indicating movement of the virtual pointer in the virtual space, real space, or augmented space An output controller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can be provid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2 신호에 따른 가상 포인터가 상기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 장치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the one output device as a control target when the touch input is acquired while the virtual pointer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output devices.

상기 멀티 디바이스 환경은, 가상 또는 증강 오브젝트를 더 포함하고,The multi-device environment further includes a virtual or augmented object,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2 신호에 따른 가상 포인터가 상기 가상 또는 증강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the object as a control target when the touch input is acquired while the virtual pointer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r augmented object.

상기 멀티 디바이스 환경은,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처리하는 HM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HMD가 표시하는 가상 포인터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The multi-devic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n HMD for proces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the second signal may indicate a location of a virtual pointer indicated by the HM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복수의 출력 장치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이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어 대상의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상기 터치 문턱값보다는 작고 호버링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을 호버링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버링 입력에 따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호버링 좌표값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실제 공간 또는 증강 공간 상에서 가상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and is used as an input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A key 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direction;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nd a drive lin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roid, and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between buttons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by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in the electroi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or rod therebetween;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that has obtained the key input and outputting a keyboard input reflecting the key value;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as a touch inpu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greater than a touch threshold value;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value from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utputting a first signal instructing movement of a pointer on a screen of a control object,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touch coordinate values; Determining the gesture input as a hovering inpu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smaller than the touch threshold and larger than a hovering threshold; Calculating a hovering coordinate value from the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hovering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signal indicative of movement of the virtual pointer in the virtual space, the real space, or the augmented space based on the calculated hovering coordinate value.

상기 제2 신호에 따른 가상 포인터가 상기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 장치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the touch input while the virtual pointer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output devices; And setting the one output device as a control target.

상기 멀티 디바이스 환경은, 가상 또는 증강 오브젝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따른 가상 포인터가 상기 가상 또는 증강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우, 상기 오브젝트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device environment further includes a virtual or augmented object, and obtaining the touch input while the virtual pointer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r augmented object; And setting the object as a control target.

상기 멀티 디바이스 환경은,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처리하는 HM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HMD가 표시하는 가상 포인터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The multi-devic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n HMD for proces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the second signal may indicate a location of a virtual pointer indicated by the HMD.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등 텍스트 혹은 포인팅 위치관련 정보를 수신 가능한 디지탈 기기에 텍스트 정보 혹은 포인팅 위치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an interface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or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on a digit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ext or point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computer, a laptop, a tablet PC, a mobile phon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digital device.

기존의 텍스트 정보 입력 기기로는 탄성체와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As a conventional text information input device, a keyboard composed of a plurality of physical buttons connected to an elastic body and a switch is widely used.

또한 터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탈 기기에서는 버추얼(virtual)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버추얼 키보드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터치하게 되면 사용자의 제스쳐 혹은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된 버추얼 키보드 상의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in a digital device having a touch interface,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a display, and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is touched by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display, a user's gesture or electrical signal is detected and the user touches the virtual keyboard. The method of inputting text o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part is also used.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움직임을 인식하거나 특정 접촉면에 접촉하였음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거나 빛 혹은 음파 등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의해 차단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감지하는 등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The touch interface recognizes movement of a part of the user's body,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touched a specific contact surface, detect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user's body, or blocks light or sound waves from being blocked or interfered with by a part of the user's body. The user's touch can be recognized by sensing.

터치 인터페이스의 일례로 감압식 터치스크린, 정전식 터치스크린, 광학식 터치스크린, 초음파방식 터치스크린이 있다. Examples of the touch interface include a pressure sensitive touch screen, a capacitive touch screen, an optical touch screen, and an ultrasonic touch screen.

저항식 터치스크린 또는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압력을 인식하여 동작하는 방식의 터치스크린이다. The resistive touch screen or the pressure sensitive touch screen is a touch screen that operates by sensing pressure.

저항식 터치스크린은 저렴하고, 스타일러스 펜으로 필기나 작은 칸에도 글을 쓸 수 있는 것이 장점이지만, 압력을 이용한 방식이기 때문에 오히려 세게 누르면 인식이 되지 않고, 정전식 터치 방식보다 약간 터치감이 둔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Resistive touch screens are inexpensive and can be written in small spaces with a stylus pen, but because of the pressure method, they are hard to recognize when pressed harder, and the touch is slightly dull than the capacitive touch method. It is known to be a disadvantage.

저항식 터치스크린은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Resistive touchscreens consist of multiple layers.

이러한 여러 개의 층 가운데 전도층이 있는데, 전도층은 2개의 층이 공기층을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있다. Among these several layers is the conductive layer, which has two layers facing the air layer.

바깥 화면을 누르면 두 전도층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해 저항과 전류가 변하게 되어 터치가 된 것을 인식하게 된다.When the outer screen is pressed, the two conductive layer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causes a change in resistance and current to recognize that the touch is made.

*정전용량식 감응(capacitive sensing) 또는 정전식 터치 방식은 정전용량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동작을 감응하는 방식이다.Capacitive sensing or capacitive touch is a method of sensing an action using a capacitive coupling effect.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압력을 이용하는 감압식 터치스크린과 달리 인듐 주석 산화물이라는 전도성이 높은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Capacitive touchscreens are made of highly conductive glass called indium tin oxide, unlike pressure-sensitive touchscreens.

유리의 네 모서리에 센서가 부착됨으로 유리 표면에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된다. Sensors are attach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glass so tha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glass surface.

이것을 통하여 전류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이 정전식의 원리이다. It is the principle of the electrostatic that recognizes the change of current through this.

이때 손가락을 화면에 댄 순간에 유리에 흐르던 전자가 손가락을 통해 몸 안으로 흐르게 되어 이때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센서가 감지하여 동작하는 방식이다.At this poin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creen, the electrons that flowed on the glass flow into the body through the finger, and the sensor detects the position where the change occurred.

정전식 터치 방식은 화면을 힘을 가해 누르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살짝 닿기만 해도 인식이 되기 때문에 감압식 터치스크린에 비해서 조작감과 스크롤이 부드러운 특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 capacitive touch method is known to have a smooth feeling of operation and scrolling as compared to a pressure sensitive touch screen because it is recognized only by touching the screen, not by pressing the screen with force.

또한 정전식 터치 방식은 여러 군데를 터치할 수 있는 멀티터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apacitive touch method is capable of multi-touch to touch several places.

정전식 터치 방식은 전류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류가 통하지 않는 가죽 장갑을 끼고 사용하거나 손톱이나 스타일러스 펜으로는 조작이 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capacitive touch method is operated by using a change amount of current, the capacitive touch method may be worn with a non-current leather glove or a fingernail or a stylus pen.

다만 별도의 정전식 전용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면 화면을 터치할 수 있다. However, if you use a separate capacitive stylus pen, you can touch the screen.

센서가 민감하기 때문에 주변 기기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The sensor is sensitive and may be affected by peripherals.

광학식 터치스크린은 터치스크린의 꼭지점에 장착된 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조명이 화면을 터치하려는 물체의 그림자로 좌표를 측정하여 작동한다.An optical touchscreen works by using an infrared camera mounted at the vertex of the touchscreen and an infrared light that measures coordinates with the shadow of the object you want to touch the screen.

초음파식 터치스크린은 스크린 상에 초음파를 발산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간섭효과를 감지하여 좌표를 측정하여 작동한다. The ultrasonic touch screen operates by measuring the coordinates by emitting an ultrasonic wave on the screen to detect the interference effect of the user's touch.

그 외 사용자의 접촉이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입력 기술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touch input technologie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used to sense location information of a part of the user's body by sensing a user's touch or movement and control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er.

도 1 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는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터 위치정보입력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100)을 가질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have a housing 100 for supporting the text input device 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하우징은 사용자 입력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텍스트 입력 정보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기기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부, 메모리부, 배터리부, 인코딩부, 송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has a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user input, and receives the text input information 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digital device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a memory unit, a battery unit, an encoder, a transmitter, and the like.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는 상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109)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109 for receiving text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상기 복수개의 버튼(109)은 물리적 버튼 혹은 버추얼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uttons 109 may be configured as physical buttons or virtual buttons.

상기 물리적 버튼은 탄성체와 연결되어 있는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버튼 자체가 탄성이 있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면 위치 이동을 하고 사용자의 압력이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하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 The physical button may be composed of a button tha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or the button itself is elastic, it may be characterized by moving to a position when receiving the user's input and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s pressure is removed.

상기 물리적 버튼은 전기적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져서 버튼이 위치이동을 하여 스위치의 위상이 변동되어 해당 버튼의 텍스트 입력 값이 발생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hysical butt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al switch, the user's pressure is appli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utton to change the phase of the switch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generates a text input value of the button.

상기 물리적 버튼은 전기적 스위치가 없는 채로 탄성이 있는 구조로 사용자의 압력을 받아 위치 이동을 하고 사용자의 압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돌아오는 구조로 되어 있고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정보는 상기한 터치 입력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압력 혹은 제스처가 인식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 입력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The physical button has an elastic structure without an electrical switch and moves to a position under pressure of the user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user is removed, and the user's text input information is controlled by the touch input device. The text inpu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user's pressure or gesture is recognized.

상기 버추얼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텍스트 입력 버튼을 표시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virtual button may be configured by displaying a text input button on a display device.

상기 버추얼 버튼은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물체에 빛을 투영하여 임의의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The virtual button may display an arbitrary button by projecting light onto a transparent, translucent, or opaque object.

상기 버추얼 버튼은 사용자의 눈에 인지는 되지 않고 텍스트별 고유한 위치정보를 가지고 사용자의 압력 혹은 제스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텍스트 입력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The virtual button may generate the corresponding text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pressure or gesture information with the uniqu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text without being recognized by the user's eyes.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 영역(107)과 적어도 일부를 공통 영역으로 가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 108b)을 가질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have a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108a or 108b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ext input area 107 as a common area.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 108b)은 상기 텍스트 입력을 위한 버튼의 표면 혹은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위치한 영역으로 도 1 에서와 같이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적어도 일부를 텍스트 입력 영역과 공통으로 가질 수 있다.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s 108a and 108b are areas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or bottom of the button for text input. As shown in FIG. 1,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s may have at least a part of the text input area in common. have.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텍스트 입력 영역을 포함하거나 텍스트 입력 영역이 포인티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 할 수 있다.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may include the text input area or the text input area may include a point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과 텍스트 입력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공통으로 가지고 적어도 일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으로 사용되나 텍스트 입력 영역으로는 사용되지 아니하고 적어도 일부는 텍스트 입력 영역으로는 사용되나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 영역으로는 사용되지 아니할 수 있다.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and the text input area are at least partially in common, and at least some of them are used as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but are not used as the text input area, and at least some are used as the text input area. May not be us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을 위한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을 위한 혹은 텍스트 입력과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을 위한 버추얼 텍스트 입력영역 혹은 버추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가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상에 혹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Pointing device Th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is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05 for text input or for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or for forming a virtual text input area or a virtual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for text input and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105 ) May be configured 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or external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는 적외선 발생기 및 적외선 수신기 혹은 알지비(RGB) 카메라 혹은 초음파 발생기와 초음파 수신기 혹은 적외선 발생기 및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상기 하우징(100) 표면 혹은 하우징(100) 상공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지하여 위치정보 및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05 is a user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or over the housing 100 such as an infrared ray generator and an infrared receiver or an RGB camera or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and an ultrasonic receiver or an infrared ray generator and an infrared camera. A part of the body may be detect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and gesture information.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의 확장 혹은 정확도 및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devices to exp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or to improve accuracy and sensitivity.

예를 들어, 오른손의 텍스트 입력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b)을 구성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b)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have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05b for configuring a text input or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108b of the right hand.

혹은 왼손의 텍스트 입력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을 구성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a)를 가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evice may have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05a for configuring a text input or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108a of the left hand.

상기 오른 손을 위한 텍스트 입력 영역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b)은 영문식 표준 자판의 제이(J) 버튼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xt input area or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108b for the right hand may include an area of the J button of the English standard keyboard.

상기 왼 손을 위한 텍스트 입력 영역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은 영문식 표준 자판의 에프(F) 버튼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xt input area or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108a for the left hand may include an area of the F button of the English standard keyboard.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는 영문식 표준 자판의 제이(J)와 에프(F) 버튼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include both the J and F buttons of the English standard keyboard.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복수개의 디지털 기기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포인터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When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having a display unit,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may move the pointer position on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have.

예를 들어,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이 되도록 영역을 분할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지시하는 별도의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부에서 포인터 위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상의 단일 디스플레이부로 인식하여 가상의 단일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포인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포인터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may be divided to match each display unit, or a separate button indicating a display unit may be operated to transmit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or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virtually single. Recognizing the display unit may transmit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so that the pointer can move on the virtual single display unit.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포인팅 입력 영역을 구성하고 사용자로부터 포인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해 이동된 포인터가 위치한 버튼 혹은 이미지 혹은 공간 혹은 아이콘 혹은 텍스트 입력 창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101, 102)를 가질 수 있다. Pointing device Th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includes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that constitutes a pointing input area and receives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includes a button or an image, a space, an icon, or a location where a pointer moved by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is located. It may have a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01, 102) for executing at least one function on the text input window.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한개 혹은 두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 1 기능과 제 2 기능을 담당하며 하우징의 좌편 혹은 우편 혹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buttons, respectively, and may serve as a first function and a second function, and may be located at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or at the post or center.

상기 제 1 기능은 예를 들어 컴퓨터 마우스의 왼쪽 클릭과 같은 기능을 하고 제 2 기능은 예를 들어 컴퓨터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first function may, for example, function as a left click of a computer mouse and the second function may, for example, function as a right click of a computer mouse.

상기 한개 혹은 두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상기 하우징의 좌편과 우편에 모두 구성되어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 모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consisting of one or two buttons may be configured on both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housing so as to be convenient for both left and right handed users.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상술한 터치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신체 일부의 터치 혹은 빛 차단 혹은 초음파의 간섭 혹은 사용자 신체 일부의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touch technology to recognize the touch or light blocking of the user's body part or the interference of ultrasonic waves or the shadow of the user's body part.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탄성이 있는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be configured of an elastic physical button.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외에 텍스트 입력 영역 내 위치한 텍스트 버튼의 적어도 한 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operate by using at least one button of the text button located in the text input area in addition to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상의 물리적 혹은 버추얼 텍스트 버튼을 선택하는 것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operate by selecting a physical or virtual text button on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예를 들어,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로 버추얼 입력 장치를 사용하고 텍스트 입력 장치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경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에서 버추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상에서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위치에 자리한 물리적 텍스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virtual input device is used as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a physical button is used as a text input device, in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is input on the virtual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and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location is located. You can issue a pointer execution command by pressing the text button.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내의 사용자 제 1 제스처에 포인터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같은 위치에서 사용자 제 2 제스처에 의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receiv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first gesture in a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and generate a pointer execution command by a user second gesture at the same position.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사용자 신체의 제 1 제스처 혹은 제 1 음성, 제 1 눈깜박임, 제 1 입모양 등에 의해 제 1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first function by a first gesture or a first voice of the user's body, a first blink, a first mouth shape, or the like.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사용자 신체의 제 2 제스처 혹은 제 2 음성, 제 2 눈깜박임, 제 2 입모양 등에 의해 제 2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second function by a second gesture or a second voice of the user's body, a second blink, a second mouth shape, or the lik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상기 텍스트 입력 장치를 통해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 텍스트 입력 모드와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포인팅 위치 정보를 입력 받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xt input mode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through the text input device and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for receiving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는 모드 전환부(103)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The text input mode and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may be switch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103.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하우징 상에 별도로 위치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be configured as a switch located separately on the housing.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텍스트 입력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입력 버튼 혹은 복수개의 텍스트 입력이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드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perform mode switching by sensing that at least one text input button or a plurality of text inputs included in the text input device are simultaneously received.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switch the mode by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rom a digital device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10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02.

예를 들어, 제 1 터치나 제 1 압력에 1차 반응을 하고 제 2 터치나 제 2 압력에 2차 반응을 하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102) 상에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접촉과 같은 제 1 제스처에 의해 제 1 터치나 제 1 압력을 감지하여 모드를 전환하고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제 2 제스처에 의해 제 2 터치나 제 2 압력에 반응을 하여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gesture such as a contact of a part of the user's body on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02 having a first response to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and a second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pressure. 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ointer execution comm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pressure by a second gesture such as sensing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to switch modes and press a button.

상기 모드 전환부(103)은 임시 모드 전환 모드와 영구 모드 전환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be configured of a temporary mode switching mode and a permanent mode switching mode.

예를 들어, 제 1 터치나 제 1 압력에 반응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고 제 1 터치나 제 1 압력이 제거되면 텍스트 입력모드로 돌아오는 것을 임시 전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switching from the text input mode to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and returning to the text input mode when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is removed may be set as the temporary switching mode. have.

혹은 제 1 터치나 제 1 압력에 반응하여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고 제 1 터치나 제 1 압력이 제거되면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돌아오는 것을 임시 전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witching from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to the text input mode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and returning to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when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is removed may be set as a temporary switching mode. .

제 2 터치나 제 2 압력이나 밀림 스위치에 반응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고 제 2 터치나 제 2 압력이 제거되어도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를 유지되도록 영구 전환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Configure the permanent switching mode to switch from the text input mode to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pressure or the push switch and to maintain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even when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pressure is removed. Can b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 1 제어정보에 의해 임시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The temporary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gital device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and wired or wirelessly.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 2 제어정보에 의해 영구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The permanent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gital device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and wired or wirelessly.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be integrated with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예를 들어,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 상에 제 1 터치 혹은 제 1 압력이 감지되면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임시 모드 전환을 하고 제 2 터치 혹은 제 2 압력이 감지되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고 제 3 터치 혹은 제 3 압력이 가해지면 제 3 터치 혹은 제 3 압력이 제거되어도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영구 전환 모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touch or the first pressure is detected on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the temporary mode is switched from the text input mode to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and when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pressure is detecte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is executed. When the third touch or the third pressure is applied and the third touch or the third pressure is removed, it may be set to the permanent switching mode to operate in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even if the third touch or the third pressure is removed.

이 때 영구 전환 모드 중에도 포인터 실행 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can be input even during the permanent switching mode.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 혹은 우측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106a, 106b)The mode switching unit may be configur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ousing (106a, 106b)

상기 하우징의 좌측 혹은 우측 혹은 좌측과 우측에 구성된 모드 전환부(106a, 106b)는 버추얼 버튼 혹은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나 압력을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s 106a and 106b configur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as virtual buttons or physical buttons to sense and operate a user's touch input or pressure.

상기 하우징의 좌측 혹은 우측 혹은 좌측과 우측에 구성된 모드 전환부(106a, 106b)는 하우징 측면을 따라 3센티미터 이상 15 센티미터 미만의 입력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s 106a and 106b configur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put area of 3 centimeters or more and less than 15 centimeters along the side of the housing.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외부 혹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로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04)를 가질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have a transmitter 104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digital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or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상기 디지털 기기는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거나 포인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igital device may receive a text input or receiv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도 2 는 포인팅 장치와 텍스트 장치의 모드 전환에 따른 동작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mode switching between a pointing device and a text devic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별도의 전원부를 가지거나 유선 혹은 무선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별도로 가질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have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or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have a separate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스위치에 의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현재 텍스트 입력 모드 인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 인지 판단할 수 있다(200).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is supplied by the switch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is currently in the text input mode or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200).

상기 판단결과 텍스트 입력 모드일 경우 텍스트 입력 장치를 활성화 하고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0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text input mode, the text input device may be activated and text input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201).

입력된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202).The text input of the input user may be transmitted to a digital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202).

텍스트 입력 모드 중에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모드 전환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When a mode change occurs to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during the text input mode, the text input mode may be switched to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혹은 텍스트 입력과 동시에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put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simultaneously with text input.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포인팅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204).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the user's input (204).

상기 입력 받은 포인터 위치 정보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205).The input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digital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205).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포인터 제 1 실행 명령을 수신(206)하게 되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탈 기기로 포인터 제 1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207).Whe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receives the pointer first execution command (206),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transmit the pointer first execution command to a digital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207).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포인터 제 2 실행 명령을 수신(208)하게 되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탈 기기로 포인터 제 1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209).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receives the pointer second execution command 208,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transmit the pointer first execution command to a digital device connected via wire or wirelessly (209).

임시 모드 전환이 해제 되거나 영구 모드 전환이 해제되게 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When the temporary mode switch is released or the permanent mode switch is releas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switch to the text input mode.

상기 전원부의 전원 스위치에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연결된 디지탈 기기가 없거나 연결이 끊겼을 경우 혹은 일정 시간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혹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의 제어에 의해 종료할 수 있다When the power switch of th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is disconnected or there is no digital device connected or disconnected, or there is no user input for a certain time or the control of a digital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is completed. Can

도 3 은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팅 장치의 구성에 대한 실시례들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text input device and a pointing devic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전원부 혹은 제어부 혹은 통신부 등이 포함된 제 1 하우싱(301)과 텍스트 입력 영역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제 2 하우싱(30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include a first housing 301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controller, or a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housing 302 for configuring a text input area and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는 텍스트 입력 장치와 텍스트 입력 영역(303)을 가질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may have a text input device and a text input area 303 for receiving text input from a user.

이때 텍스트 입력 영역(303)은 버추얼 버튼 혹은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ext input area 303 may be configured as a virtual button or a physical button.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가 감압식 혹은 정전용량식 터치패드 형식으로 구성되어 텍스트 입력 장치의 물리적 버튼 위에 위치할 수 있다(304).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in a pressure sensitive or capacitive touch pad type and positioned on a physical button of the text input device (304).

이 때 텍스트 입력 장치가 감압식 혹은 정전용량식과 같은 물리적 터치패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터치패드를 텍스트 입력 장치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드 전환부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ext input devic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hysical touch pad such as a pressure sensitive or capacitive touch panel, the touch pad may be used as the text input device and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unit may switch the mode.

이 때 감압식 혹은 정전용량식과 같은 물리적 터치패드를 텍스트 입력부의 복수개의 텍스트 버튼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패드(304)로 구성된 대면적 터치패드 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로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physical touch pad such as a pressure sensitive or capacitive touch panel may be configured as a large-area touch pad typ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 including a touch pad 304 including a plurality of text button areas of the text input unit.

혹은 감압식 혹은 정전용량식과 같은 물리적 터치패드를 텍스트 입력부의 한 개의 텍스트 버튼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터치패드(311)로 구성된 복수 터치패드 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10)로 구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physical touch pad, such as a pressure sensitive or capacitiv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touch pad typ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s 310 including a plurality of touch pads 311 including one text button area of the text input unit.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을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의 상단부에 위치한 적외선 카메라 혹은 알지비(RGB) 카메라(222)에 의해 수신(321)하는 상단 카메라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20)로 구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may be configured as an upper camera typ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20 that is received 321 by an infrared camera or an RGB camera 222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have.

이 때 상단 카메라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20)는 상단 카메라를 사용하여 버추얼 텍스트 입력 버튼(303)을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camer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20 may configure the virtual text input button 303 using the upper camera.

상기 카메라를 제 2 하우징의 하단에 위치하여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을 수신(331)하도록 구성된 하단 카메라(332)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30)로 구성할 수 있다. The camera may be configured as a bottom camera 332-typ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30 configured to receive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by placing the camera at the bottom of the second housing.

이 때 하단 카메라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30)는 하단 카메라를 사용하여 물리적 텍스트 버튼을 대체하는 버추얼 텍스트 입력 버튼(303)을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camera-typ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30 may configure a virtual text input button 303 to replace the physical text button using the lower camera.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을 적외선 송신기 혹은 초음파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적외선 혹은 초음파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의해 차단되거나 간섭된 정보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기 혹은 초음파 수신기의 쌍으로 이루어진 버추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341)을 통하여 수신하는 송수신형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Or a virtual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composed of a pair of infrared receivers or ultrasound receivers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that the infrared or ultrasonic waves transmitted by the infrared transmitter or the ultrasonic transmitter are blocked or interfered with by a part of the user's body. 341 may be configured as a text input device 340 integrated with a transmission / reception type pointing device.

이 때 쌍으로 이루어진 버추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모드 전환부에 의해 물리적 텍스트 버튼을 대신하여 버추얼 텍스트 버튼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air of virtual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s may be used as a virtual text button input means in place of the physical text button by the mode switching unit.

도 4 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의 실시례들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이동을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탄성체(403)와 사용자의 압력을 전달받는 버튼(402)과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 이동을 하여 접합하게 되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도록 하는 스위치(404, 405)가 있는 버튼형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서 버튼의 상단부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텍스트 모드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401)를 위치한 터치 입력을 사용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is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user and the elastic body 403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and the button 402 receiving the pressure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is moved by the user's pressur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In the button typ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having switches 404 and 405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a touch input located at a top of the button detects a user's touch input to switch a text mode and a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Using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400 can be configured.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이동을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탄성체(403)와 사용자의 압력을 전달받는 버튼(402)과 사용자의 제 1 압력에 의해 위치 이동을 하여 접합하게 되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도록 하는 제 1 스위치(404, 405)가 있는 버튼형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서 사용자 제 1 압력보다 작은 사용자 제 2 압력에 의해 접합되어 모드 전환 실행 명령을 발생시키는 제 2 스위치부(411, 412)로 구성된 압력 구별식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by the pressure of the user and the pressure is removed, the elastic body 403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button 402 receives the user's pressure and the position is moved by the user's first pressure. A second switch section 411, which is joined by a user second pressure less than the user first pressure in the button type pointer execution command section with the first switches 404 and 405 for generating an execution command, to generate a mode switch execution command; The pressure-sensitiv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410 configured as 412 may be configured.

압력 구별식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10)에서 상기 버튼부(402)를 위치이동하여 탄성체(403)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다.  In the pressure-sensitiv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410, the button unit 402 may be moved to fix the button unit 402 so as not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body 403.

이 때 버튼이 고정되는 위치를 제 2 스위치(411, 412)가 접합되고 제 1 스위치(404, 405)는 접합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여 버튼이 고정되면 영구 모드 전환 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button is fixed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the permanent mode switching mode when the button is fixed by setting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witches 411 and 412 are bonded and the first switches 404 and 405 not bonded. .

터치 입력을 사용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00)에서는 버튼부를 슬리이딩하는 등의 위치 이동을 통해 영구 모드 전환 스위치(414)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영구 모드 전환 스위치(414)가 동작된 상태에서 추가로 압력이 가해지면 포인터 실행명령 스위치(404, 405)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400 using a touch input, the permanent mode switching switch 414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permanent mode switching switch 414 by moving a position such as sliding the button unit.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switches 404 and 405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hen additional pressure is applied in the operated state.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10)는 터치 패드(421)로 구성되어 터치 패드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의 접촉 면적이 제 1 소정 범위일 경우 모드 전환부로 작동하고 제 2 소정 범위일 경우 포인터 실행 명령부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410 is configured as a touch pad 421 to operate as a mode switching unit when the contact area of a part of the user's body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s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is within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Can act as a pointer execution command.

도 5 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실시례이다.5 is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 시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 표시부(701, 702)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e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igned to further includ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display units 701 and 702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in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본 발명의 모드 전환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버튼과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몸체의 일부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터치된 것을 인식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와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하되 터치시에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로 동작하고 비터치시에는 텍스트 입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eparately from a button of the text input unit and recognizes that a part of the user's body is touched by a part of the human interface body to switch to the text input mode an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t can be designed to operate in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and to operate in text input mode during non-touch.

이 때, 상기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신체의 일부가 오른 손일 경우(106b)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108a)을 하는 손은 왼손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 part of the body used for the mode switching is the right hand (106b), the hand for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108a may be designed to be the left hand.

이 때에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이 상기 모드 전환부가 위치한 모서리의 맞은편 모서리에 더 가깝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왼손과 오른손을 반대로 사용할 경우도 마찬가지 원리로 설계할 수 있다.(106a, 108b)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is designed to be closer to the opposite edge of the corner where the mode switching unit is located, and the same principle can be used when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are used in reverse. (106a, 108b)

반 면, 상기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신체의 일부가 오른 손이며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입력을 하는 손도 오른 손일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body used for the mode switching is the right hand and the hand for inputting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may be designed to be the right hand.

이 때에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이 상기 모드 전환부가 위치한 모서리의 맞은편 모서리보다 상기 모드 전환부가 위치한 모서리에 더 가깝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왼손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설계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is designed to be closer to the corner where the mode switching part is located than the opposite corner of the corner where the mode switching part is located, and the left hand may be designed in the same principle.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가 인식한 사용자 손가락의 개수에 의해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may determine the text input mode 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based on the number of user fingers recognized by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판단할 때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 손가락의 개수는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로 판단할 때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 손가락 개수보다 작다. The number of recognized user finger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recognized user finger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text input mode.

예를 들어, 왼 손으로 모드 전환부를 제어하는 동안 왼 손의 손가락을 텍스트 입력버튼으로부터 비 터치 되어 있고 오른 손의 검지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위해 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개수는 하나가 된다.For example, while controlling the mode switch with the left hand, the finger of the left hand may be non-touched from the text input button and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hand may be touched for inputting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is one.

반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왼손과 오른손의 손가락을 자판위에 터치하게 되면 2개에서 8개 이하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 개수가 인식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ngers of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are touched on the keyboard for text input, the number of fingers of the recognized user of 2 to 8 or less is recognized.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 표시부는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될 때 일시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해제되는 시점까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display unit temporarily displays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when the mode switch is switched to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or when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release point from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Can be displayed visually.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 표시부는 가시광선 발생기에 의해 상기 텍스트 입력버튼으로부터 혹은 텍스트 입력버튼에 의한 반사광으로 혹은 상기 텍스트 입력버튼 간의 간격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display unit may be displayed by the visible light generator from the text input button, reflected light by the text input button, or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text input buttons.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 표시부는 비가시광선 발생기(701a, 701b)와 상기 비가시광선에 광학적으로 반응하여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염료가 도포된 면(702a, 702b)로 구성되고 상기 염료는 상기 텍스트 입력 버튼 혹은 상기 텍스트 입력 버튼 간의 간격에 도포할 수 있다.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display unit includes invisible light generators 701a and 701b and surfaces 702a and 702b coated with dyes that optically react to the invisible light to emit visible light, and the dye is the text. It can be applie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input button or the text input button.

상기 모드 전환부는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왼손으로 하는지 혹은 오른손으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핸드사이드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andsid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uses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with the left hand or the right hand.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에 따라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유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area of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may be flexib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handside determination unit.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에 따라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의 버튼 배치 및 동작을 유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andside determination unit, it is possible to flexibly switch the button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예를 들어, 포인터 실행 명령부가 마우스 오른클릭과 왼쪽클릭을 포함할 경우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마우스 오른클릭과 왼쪽클릭을 수행할 버튼을 전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cludes right-click and left-click, the button for performing right-click and left-click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handside determiner.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 표시부는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이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을 표시(702a, 702b)할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display unit may display different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handside determination unit 702a or 702b.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 시 사용자로부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이 일정시간 입력되지 않는 경우 혹은 텍스트 입력 버튼으로 입력이 수신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may be designed to automatically switch to the text input mode when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is not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an input is received through a text input button in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 표시부는 상기 모드 전환부의 모드과 무관하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텍스트 입력버튼 혹은 상기 텍스트 입력영역의 일부에 염료로 도포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 중에도 포인터 입력영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display unit may apply a dye to the text input button or a portion of the text input area so as to be visually displayed regardless of the mode of the mode switching unit so that the pointer input area may be recognized even during the text input mode. .

도 6 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에 대한 실시례이다. 6 is an embodiment of a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ntegrated mode switching unit.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의 빈번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입력작업을 하다보면 모드 전환 및 포인터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횟수가 많아진다. In the input operation in which the frequent switching between the text input mode an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s performed, the number of mode switching and pointer execution commands is input.

예를 들어, 오른손 잡이의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텍스트 입력일 하던 중 포인터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싶을 때 왼손 혹은 오른손으로 모드 전환을 한 후 포인터 위치정보를 입력한 후 왼손으로 포인터 실명명령부에 입력을 해야 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right-handed operation, if you want to input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while text input in text input mode, you need to switch the mode with the left or right hand, enter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and then enter the pointer real name command with the left hand. do.

일반적으로 빠른 작업을 하던 중에 사용자는 모니터에 시선을 유지한 채 텍스트 및 포인터 위치정보 및 포인터 실행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 모드전환부 및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부가 별도로 구비되었을 경우 손의 움직임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정확한 위치를 찾지 못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키보드를 눈으로 바라보는 등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In general, during quick operation, the user inputs text and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and pointer execution command while keeping an eye on the monitor. When a mode switching unit and a pointer execution command input unit are separately provided, hand movement frequently occurs. It can be cumbersome, for example, because it can't find the exact location and can't perform the function properly or look at the keyboar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오른손 잡이의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후 왼손으로 모드전환부에 손을 올려놓게 되면 모드전환명령이 발생하고 포인터 입력모드로 변경된다. 그리고 모드전환부에 손을 올려놓은 상태로 오른손으로 포인터 위치정보를 입력한 후 모드전환부에 압력을 가하면 포인터 실행 명령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게 된다.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ight-handed hand, if the user puts his hand on the mode switching unit with his left hand after entering text in the text input mode, a mode switching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pointer input mode is change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receives the user's input when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s input with the right hand while the user puts his hand on the mode switching unit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de switching unit.

이로써, 사용자는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부 위치와 포인터 실행명령을 위한 포인터 실행명령부의 위치를 공유할 수 있다. Thus, the user can share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 unit for the mode switch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f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이를 위한 한 실시례로, 모드전환부는 사용자 손의 터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터치 스위치로 구성하고 포인터 실행명령부는 텍트 스위치와 같은 압력에 반응하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모드전환부의 아래에 위치한다. In one embodiment for this purpose, the mode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as a touch switch that can accept a touch input of the user's hand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s configured as a switch that responds to the pressure, such as a text switch is located below the mode switching unit.

이 때 제 1 포인터 실행 명령부(1104)와 제 2 포인터 실행명령부(1105)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전도체 물질로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모드전환부(1201)로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제 1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 터치를 하든 제 2 포인터 실행명령부에 터치를 하든 동일하게 모드전환이 이루어지게 구성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04 and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0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or material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from a user's hand, or commonly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unit 1201. Therefore,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or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s configured to make the mode change in the same manner.

이 때, 모드 전환은 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동작하고 터치가 해제되었을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로 동작한다. At this time, the mode switch operates in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while the touch is being made, and in the text input mode when the touch is released.

터치에 의한 모드 전환은 터치 외에 포인터 실행명령을 위한 압력보다 작은 압력으로 동작하는 다른 스위치 혹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Mode switching by touch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that can sense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or another switch that operates at a pressure less than the pressure f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in addition to the touch.

이 때, 모드 전환 및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텍스트 입력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텍스트 입력영역의 왼쪽 바깥 영역에 위치한다. 텍스트 입력영역 외부에 모드전환 부 및 포인터 실행 명령부를 위치하게 되면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가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과 혼동을 할 가능성이 사라지고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and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s located in an area distinct from the text input area.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right-handed, it is located in the outer left area of the text input area. If the mode switching unit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are located outside the text input region, the possibility of confusion with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eliminated an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region can be expanded.

본 발명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2 의 모드 전환부(120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의 모드 전환부는 토글스위치와 같이 동작하는 스위치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될 때 마다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왼손을 모드전환부에 터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오른손 만으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이 가능하다.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mode switch 1202. The second mode switching unit is a switch which operates like a toggle switch, and switches to a text input mode and a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whenever an input from a user is received. Thu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left hand with the mode switching unit,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using only the right hand.

이 때 제 2 의 모드 전환부에 의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텍스트 모드일 경우 터치에 의한 모드 전환명령이 수신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 2 의 모드전환부에 의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일 경우에 터치에 의한 모드 전환명령이 수신되었을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유지하나 터치에 의한 모드전환명령이 해제되거나 텍스트 입력부로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면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ode change command by touch is received when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is in the text mode by the second mode switching unit,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by the second mode switching unit is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when the mode switch command by touch is receive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s maintained, but the mode switch command by the touch is released. When text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text input unit, the text input mode is switched.

이 때, 텍스트 입력에 의해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적어도 첫 번 째 텍스트 입력은 무시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었을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한다. In this case, when the text input mode is switched by the text input, at least the first text input is ignored, and when at least two text inputs are received, the text input mode is switched.

이 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어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무시한 적어도 첫 번 째 텍스트를 포함한 텍스트 입력을 디지털 기기로 전송 후 새로이 입력되는 텍스트 입력정보를 디지탈 기기로 전송한다.In this case, when at least two text inputs are received and the text input mode is switched,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transmits the text input including the ignored at least first text to the digital device and then newly inputs the text input information to the digital device. To send.

도 7 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덮개를 활용한 실시례이다.7 is an embodiment utilizing the cover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물리적 장치로 구성된 텍스트 입력장치 평면 상단에 적어도 1 밀리미터 내지 2 밀리미터의 공간이 필요하며 광학 신호를 흡수하거나 반사하기 위한 흡수체 혹은 반사체를 위치하기 위한 테두리가 텍스트 입력영역을 둘러싸고 적어도 3 면의 모서리에 필요할 수 있다.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requires at least one millimeter to two millimeters of space on top of a text input device plane composed of physical devices for the pointer position input device to form a pointer position input area, and an absorber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n optical signal. Alternatively, a border for positioning the reflector may be required at least three edges surrounding the text input area.

이 때 적어도 3 면의 모서리의 테두리의 높이와 텍스트 입력 영역 평면의 높이 상이에는 적어도 1 내지 2 밀리미터의 차이가 발생하며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타입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At this time, a difference of at least 1 to 2 millimeters occurs between the height of the edge of the at least three sides of the edge and the height of the text input area plane, thereby form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ype space.

본 발명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실질적 직육면체 타입의 공간에 텍스트 입력영역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용도 덮개(1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1310).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purpose cover 1322 in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ype space for protecting the text input area from external impact.

상기 다용도 덮개(132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분리되며(1320) 자석 혹은 물리적 구조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The multipurpose cover 1322 is separated from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1320, and may be combined and separated by a magnet or a physical structure.

상기 다용도 덮개(1322)는 수 회에 걸쳐 접히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 접히는 구조로 다용도 덮개의 분할되는 영역의 적어도 한 영역의 너비는 다른 영역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1341).The multipurpose cover 1322 may be a structure folded over several times. Preferably, the width of at least one area of the divided area of the utility cover in a double folding structur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area (1341).

이는 다용도 덮개가 접힌 후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하부에 장착되었을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울기를 보다 줄일 수 있다. This can further reduce the inclination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when the multi-purpose cover is folded in the bottom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다용도 덮개가 접힌 후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밑 면에 장착되었을 경우 접힌 면의 일부분 중 지면과 닿는 부분은 지면과 닿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1342)을 구비할 수 있다. When the multi-purpose cover is folded and then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a portion of the folded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342 so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widened.

상기 다용도 덮개(1322)의 접힘 횟 수로 사용자가 원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of the multi-purpose cover 1322 can be adjusted by the user to the desired tilt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상기 다용도 덮개는 덮개의 내부에 충전 배터리(1323)를 내장할 수 있다. The multi-purpose cover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1323 in the cover.

상기 충전 배터리(1323)의 전원은 상기 다용도 덮개의 하단부의 텍스트 입력영역을 덮는 부분의 테두리를 덮는 상기 텍스트 입력 영역을 덮는 부분보다 돌출된 영역의 일부에 전극이 위치할 수 있으며(1331) 상기 다용도 덮개가 텍스트 입력장치를 덮고 있는 경우(1310)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단에 구비된 전극과 연결되게 된다.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23 may be located a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region than the portion covering the text input area covering the edge of the portion covering the text input area of the lower end of the multipurpose cover (1331) When the cover covers the text input device (1310)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또한 다용도 덮개가 접히고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하단부에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밑면에 구비된 전극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ulti-purpose cover is folded and mounted on the lower end to adjust the tilt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the cover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d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다용도 덮개 내부의 충전 배터리(1323)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다용도 덮개를 별도로 충전할 수 있다.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323 inside the multipurpose cover or to separately charge the multipurpose cover.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밑면은 전극(1331)이 위치한 상기 돌출된 테두리 영역과 이와 높이 차이가 있는 텍스트 입력영역을 덮는 영역(1332)과 정확한 위치에서 찰탁이 가능하도록 자석 혹은 물리적 결합장치 혹은 덮개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is a magnet or a physical coupling device or the like so as to be able to check at an accurate position with the area 1332 covering the protruding edge area where the electrode 1331 is located and the text input area having a height difference therebetween. It may have a groove into which the cover is inserted.

상기 다용도 덮개의 테두리는 미세한 먼지나 기름 때,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도포되어 있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착탈될 때 마다 흡수판 혹은 반사판이나 광학 에미터, 카메라 전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edge of the multi-purpose cover is coated with a material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oil, moisture, etc., so that foreign matters on the absorber plate, reflector plate, optical emitter, or the front of the camera can be removed whenever it is attached to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have.

상기 다용도 덮개가 텍스트 입력영역을 덮고 있을 경우 이를 디텍트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When the multi-purpose cover covers the text input area, the multi-purpose cover can detect the power supply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상기 다용도 덮개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밑 면에 장착되었을 경우 복합 휴먼인터페이 장치의 전원을 켤 수 있다. When the multipurpose cover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may be turned on.

또한, 전원이 켜진 후 일정 시간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거나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re is no input by the user for a certain time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the power may be turned off or the standby mode may be changed.

다용도 덮개가 텍스트 입력영역을 덮고 있는 경우(1310)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1321)은 실질적으로 얇은 판 형태의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지면에 놓았을 경우 기울기를 가지지 않도록 설계하여 미적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multipurpose cover covers the text input area (1310),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132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designed to have no tilt when placed on the ground to maximize aesthetic effect. Can increase portability.

한 편, 다용도 덮개를 접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밑 몇에 장착하였을 경우 일반적인 키보드처럼 기울기를 확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ulti-purpose cover is folded and mounted under several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s, it can be tilted like a normal keyboard.

상기 다용도 덮개는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힌지에 의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윗 면에서 밑 면으로 돌아내려가서 접히는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The multi-purpose cover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but may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hinge is retur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by folding.

도 8 는 휴대용 노트북에 적용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실시례이다.8 is an embodiment of a human interface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notebook.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1420)는 휴대용 노트북의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The human interface device 14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notebook.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노트북은 디스플레이 패널(141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410)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힌지(1427)에 의해 결속되어 덮히고 열리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In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having a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composed of a display panel 1411 and a frame 1410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is bound and covered by the human interface device and the hinge 1427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esigned with high open structure.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반사판 혹은 흡수판(1424)에 의해 형성된 벽 안쪽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노트북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into the wall formed by the reflector or absorber plate 1424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notebook using the human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1420)의 폭보다 적어도 반사판 혹은 흡수판(1423, 1424)의 두께의 두 배만큼 폭의 길이를 작게 설계해야 한다.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notebook should be design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142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reflector or absorber plates 1423 and 1424.

다시말해 도 7에서 다용도 덮개(1322)가 들어가는 자리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In other words, it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placed in place of the multipurpose cover 1322 in FIG.

디스플레이 유닛은 양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 혹은 사선으로 커팅이 되도록 하는 특징(1413)이 있다. The display unit has a feature 1413 that allows both edges to be rounded or diagonally cut.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421, 1422)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접었을 경우 상기 라운드 처리 혹은 사선으로 커팅된 부분의 바깥 모서리 쪽으로 위치하도록 특징이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is folde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s 1421 and 1422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rounded or diagonally cut portion.

이는 휴대용 노트북을 접었을 경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장치(1421, 1422)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얇을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히기 위해서이다. This is to fold the portable notebook so that it can be kept thin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s 1421 and 1422.

이 때 모드 전환부와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측면 바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unit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side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뿐만 아니라, 더 바람직하게는 텍스트 입력영역의 바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1425, 1426)In addition, it may be more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outside of the text input area (1425, 1426).

이 때, 모드 전환부와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도 4 에서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분리하여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unit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are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4, but may be separately located.

이 때,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가 텍스트 입력영역의 바깥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모드 전화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를 제어하기 위해 손가락을 위치하였을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가 사용자가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오동작하지 않도록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영역을 상기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명령부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하고 설정해야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s located outside the text input area, when the user places a finger to control the mode telephone unit 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s 1421 and 1422 are used by the user.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should be set to exclude the area where the mode switch 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is located so that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does not malfunction by in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er.

이를 위해,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로 부터 발생되는 광학 신호가 커버하는 영역을 조절하여 상기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 광학 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opt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be adjusted to prevent the optical signal from reaching the mode switching unit 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혹은 상기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가락과 광학 신호 간의 반사 혹은 간섭 혹은 차단에 의해 발생되는 광학신호를 카메라가 수신하지 못하도록 카메라의 광학신호 수신 각도를 조절하거나 해당 방향에서 수신되는 광학 신호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ptical signal reception angle of the camera may be adjusted or receiv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so that the camera does not receive an optical signal generated by reflection, interference, or blocking between the user's finger and the optical signal locat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or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The optical signal can be ignored.

상기 휴대용 노트북은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장치에서 발생되는 광원을 흡수 혹은 반사하기 위한 흡수판 혹은 반사판을 적어도 세 모서리 부분에 갖도록 설계한다. The portable notebook is designed to have at least three corner portions of an absorbing plate or a reflecting plate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 light source generated by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이 때 두 면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1423, 1424) 또 한 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맞닿은 면에 디스플에이 유닛이 일정한 각도 내에서 열려 있을 경우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에 의해 발생되는 광원이 충분히 반사 혹은 흡수되도록 반사체 혹은 흡수체를 일정한 영역(1412)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two surfaces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1423, 1424) and the other surface is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421) when the display unit is ope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surface where the display unit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interface device. The reflector or absorber is positioned in a constant region 1412 so that the light source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1422 is sufficiently reflected or absorbed.

도 9 는 하단위치형 포인터위치정보입력장치와 하단위치형 포인터실행 명령부를 적용한 실시례이다. 9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position typ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he lower position typ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are applied.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텍스트 입력부(1501),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 포인터가 위치한 곳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1505, 1506)의 신호를 수신하는 포인터 실행 명령 수신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전환 명령 수신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탈 기기로 송신하는 포인터 위치정보 송신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텍스트 입력부의 텍스트 입력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단에 평행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부를 감싸는 제 1 내지 3 면(1502a, 1502b, 1502c)에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 광학신호 반사체 혹은 흡수체(1503a, 1503b, 1503c)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텍트스입력부를감싸는제4면(1502d)은상기제1내지3면의높이보다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면은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1505, 1506)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은 각각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텍스트입력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면은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uman interface device may include a text input unit 1501 including a plurality of physical buttons,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a pointer position from a user, and a pointer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t a location of the pointer. A pointer execution comm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execution command units 1505 and 1506, a mode switching comm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of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a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and a pointer position input to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unit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digital device connected to the human interface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of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at least a portion of a text input area of the text input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physical buttons. Of An optical signal reflector or absorber 1503a, 1503b, or 1503c positioned parallel to an upper end, wherein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ext input unit on first to third surfaces 1502a, 1502b, and 1502c surrounding the text input unit; The fourth surface 1502d surrounding the text input unit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to third surfaces, and the fourth surface may includ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s 1505 and 1506. The first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may be locat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text input unit,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located above the text input unit, and the fourth surface may be positioned below the text input unit.

상기 포인터위치정보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센서 모듈은 각각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좌측하단과 우측하단 모서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sensor modules, and each of the two sensor modules may be located at a lower left corner and a lower right corner of the text input unit, respectively.

상기 모드전환부는 제1버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포인터실행명령수신부는 상기 제1버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2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may be operated by a first input of a user input to a first button,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receiving unit may be operated by a second input of a user input to the first button.

상기 제1버튼은 손가락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입력은 상기 전기적신호를 인식하여 발생할 수 있다. The first button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ens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a finger touch, and the first input may be generated by recogniz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제 1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입력이 해제되면 상기포인터위치정보입력모드를 해제하고 상기제1입력은 물리적 압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may be operated while the first input is maintained, and when the first input is release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may be released and the first input may be generated by physical pressure.

상기 모드전환부는 제2버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2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상기 제2입력이 1회 입력되면 상기포인터위치정보입력모드가 해제되어 있을 경우 활성화하고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해제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may be operated by a second input of a user input to a second button.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 once, the mode switching unit is activated when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is released 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is activated. If it is activated, it can be released.

이 때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에 의해 발생되는 광원 및 이미지 수신장치는 키보드의 중앙부를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and the image receiving device generated by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s 1421 and 1422 are preferably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keyboard.

하지만, 키보드가 소형이거나 더 넓은 영역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흡수판 혹은 반사판 (1423, 1424)을 흡수판이 아닌 반사판을 사용하고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의 광원 및 이미지 수신장치를 상기 반사판(1423, 1424)쪽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However, in order to secure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of a small or wider keyboard, the absorber plate or the reflector plates 1423 and 1424 located on the side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may use the reflector plate instead of the absorber plate an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The light sources and the image receiving devices of the input devices 1421 and 1422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reflecting plates 1423 and 1424.

즉,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은 상기 반사판(1423)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된 포인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421 may receive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1423.

또한, 파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2)는 상기 반사판(1424)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된 포인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1422 may receive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reflected by the reflector plate 1424.

이렇게 되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3, 1424)의 설치 위치를 실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좌, 우측 바깥부분에 위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더욱 넓은 마우스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s 1423 and 1424 are positioned out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tual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thereby obtaining a wider mous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area.

이 때, 반사판의 각도를 1도 내지 15도로 일정각 벌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반사판(1423, 1424)의 상단보다 하단이 더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reflecting plate can be provided so as to open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1 degree to 15 degrees. That is, the lower end may be wider than the upper end of the reflector plates 1423 and 1424.

이렇게 되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3, 1424)의 설치 위치를 실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좌, 우측 바깥부분으로 위치한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키보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장치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일정 거리 상단으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s 1423 and 1424 is obtained to the out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tual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and is not disturbed by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input devi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eyboard. You can get the effect of moving to the top of a certain distance so as not to.

상기 복합 휴먼인터페이스 기기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가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의 좌축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좌측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상기 좌측의 반사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좌측의 반사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원을 수신하고, 상기 우측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상기 우측의 반사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우측의 반사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원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may include a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a light source generated from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at least two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s may be install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respectively, and the reflection unit may be disposed on the human interface device.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unit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interface device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ward the reflector on the left side to receive a light source input through the reflector on the left side, and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unit on the right side It is installed toward the reflector to receive a light source input through the reflector on the right side.

상기 좌측과 우측의 반사부는 평행하지 않아 상기 좌측과 우측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가 위치한 부분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reflection par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to be open toward a portion where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par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located.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부터 입력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신호는 제 1 영역으로부터 수신되고, 왼손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신호는 제 2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at is, for example,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right hand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area, and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left hand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area.

일반적으로, 멀티터치제어는 복수의 터치 입력신호를 수신후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신호의 추후 이동 양상에 따라 제어명령을 판단한다. In general, the multi-touch control determin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later movement pattern of the plurality of touch input signals after receiving the plurality of touch input signals.

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는 터치 입력의 개수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touch inputs.

그리고, 상기 제 2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2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는 터치 입력의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may be used to receive a movement signal of a touch input.

즉, 예를 들어, 왼손으로 두 손가락 터치를 입력 유지한 채 오른손 한 손가락으로 상하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입력하였을 경우, 본 신호를 일반적인 멀티터치 기능의 두 개의 터치 신호로 상하로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로 대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사의 맥북에서 두개의 터치로 상하로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의 상하 스크롤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 수 있다. 이때 오른 손 한 손가락으로 탭을 하였을 경우, 왼 손의 터치 입력이 두 개 이므로, 두개의 손가락으로 탭하였을 경우와 동일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when inputting a sliding touch input up and down with one finger of the right hand while maintaining two finger touch input with the left hand, this signal is a touch input up and down with two touch signals of the general multi-touch function Can be replaced. For example, in case of performing a sliding touch input up and down with two touches on an Apple MacBook, an example of performing up and down scroll input of an Internet browser is an example. In this case, when a tap is performed with one finger of the right hand, since the touch input of the left hand is two,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apping with two fingers can be performed.

또 다른 예로, 왼손으로 세개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오른 손으로 좌 우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입력하였을 경우, 본 신호를 일반적인 멀티터치 기능의 세 개의 터치 신호로 좌우로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로 대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사의 맥북에서 세 개의 터치로 좌우로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 전체화면 앱 쓸어넘기기 혹은 세 손가락으로 드래그 하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 수 있다. 이 때, 오른손 한 손가락으로 탭하였을 경우 왼 손이 세 개의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세 손가락으로 탭하였을 경우와 동일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왼 손과 오른손의 예는 오른손과 왼손의 예로 대치될 수 있으며, 터치의 개수를 결정하는 입력 신호의 개수는 상술한 두 개와 세 개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 혹은 넷, 다섯개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eft and right sliding touch inputs are input with the right hand while maintaining the three touch inputs with the left hand, the signal is replaced by sliding the left and right touch inputs with three touch signals of the general multi-touch function. can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ree touches on the Apple MacBook, sliding the left and right inputs, such as flicking the full-screen app or dragging with three fingers. In this case, when the user taps with one finger of the right hand, since the left hand performs three touch inputs, the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user taps with three fingers. Examples of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may be replaced by examples of the right hand and the left hand, and the number of input signal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touch is not limited to the two and three described above, but may include one, four, and five touches. Can be.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인터 위치과 관련된 정보는 포인터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 2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position received by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unit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pointer position for moving a pointer position and a second pointer for switching the human interface device from a text input mode to a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It may consist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모드 중에 기 설정된 스레스홀드 이상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가 발생될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or more is generated in the text input mode, th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input mode may be switched.

도 10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구성도이다.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키보드와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한개의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부(303)와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거나 화면에 사용자의 터치나 3D 제스쳐 입력을 위한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을 위한 정전용량식과 같은 물리적 터치패드(311)가 함께 구성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10)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버튼일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a capacitive type input unit 303 for inputting at least one character and a mouse pointer on a human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or a capacitive type for inputting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for inputting a user's touch or 3D gesture on a screen. The physical touch pad 311 may be a button for configuring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10 configured together.

본 실시례에서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부로 정전식 터치 방식을 사용하여 설명할 뿐 상기 광학식 방식으로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부를 사용하여 설명한 복합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모드 전환부,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부, 특수기능키, 모드전환부 및 포인터 실행명령부의 위치, 내부 혹은 디스플레이부와의 연결, 커버부를 활용한 배터리 내장 방법 및 휴먼인터페이스 기기 각도 조절 기능, 텍스트 문자 입력영역과 마우스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 영역등의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only the capacitive touch method is used as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but the mode switching unit,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input unit, the special function key, and the mode of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described using th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n the optical method. The loca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the connection with the internal or display unit, the battery built-in method using the cover unit, the angle control function of the human interface device, the text character input area and the mouse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area are the same. Can be.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10)은 복수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커버부(1010),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를 포함한 일렉트로드부(1020), 상기 일렉트로부를 보호하고 탄성부와의 연결성 확보를 위한 베이스부(103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ncludes a cover portion 1010 through which a user's finger is touched, an electrorod portion 1020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forming an electric field, and a base portion for protecting the electro portion and ensuring connectivity with an elastic portion. 1030.

상기 탄성부는 탄성체(1050), 상부지지부(1040), 하부지지부(1060)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1050, an upper support part 1040, and a lower support part 1060.

상기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는 원통형이나 각이 있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는 탄성체를 매개로 위치이동을 하고 하부지지부는 상부지지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part and the lower support part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or angled polygonal shape, the upper support part and the lower support part may be moved by an elastic body, and the lower support part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upper support part.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커버부, 일렉트로드부, 베이스부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part may be fixed to the cover part, the electrode part, and the base part.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가 왕복운동을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 portion may serve as a guide in which the upper support portion reciprocates.

상기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는 팬토그래프 구조로 일렉트로부를 포함한 상부 구조물과 탄성부를 포함한 하부 구조물을 연결하며, 상부 구조물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part and the lower support part may connect the upper structure including the electro part to the lower structure including the elastic part and have a pantograph structur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upper structure.

상기 탄성체는, 복원력이 있는 돔 형상을 지닌 탄성재질이거나, 복원력을 지난 판형상의 탄성재질이거나, 스프링 형상을 지닌 탄성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고 있는 복수개의 자석일 수 있으며, 혹은 이의 조합일 수 있다. The elastic body may be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resilient dome shape, a plate-shaped elastic material having a restoring force, a spring shape elastic material, or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 2 압력을 전달받아 제 3 높이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부의 제 2 압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높이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 3 높이로 이동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위치가 이동한 것이거나, 압력에 의해 물체가 휘거나 소프트웨어 등으로 인해 제 2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elastic part may receive a second pressure from the cover part and move to a third height, and may be restored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second pressure of the cover part is released. Moving to the third height means physically shifting the position, bending the object by pressure, or sensing the second pressure by software or the like.

상기 제 1 압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포인터 실행명령을 발생하고, 제 2 압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추가적인 포인터 실행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pressure is detected, a pointer execution command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second pressure is detected, an additional pointer execution command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제 1 압력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곳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나타내고 제 2 압력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옵션이나 미리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an execu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may be indicated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by the first pressure, and additional options or previews of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the second pressure.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스위치를 통해 발생된 상기 미리 정해진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는 서로 다른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이고,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일렉트로드부를 통해 수신된 신로로부터 판별된 상기 사용자 손가락 접촉위치 혹은 접촉위치의 변화는 하나의 포인터의 위치를 연결성 있게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electrical signal representing the input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generated through the switch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s an electrical signal representing the input of different characters, and the electro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The change of the user's finger contact position or contact position determined from the path received through the device may b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one pointer to be connected.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문자입력모드와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uman interfac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between a text input mode and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 별도의 물리적 스위치부, 터치 스위치부, 혹은 기정의된 터치 패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The mode switching unit may be operated by the complex function input button, a separate physical switch unit, a touch switch unit, or a predefined touch pattern.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하나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된 문자입력기기와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 상에서 하나의 포인팅 입력장치를 연속성 있게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위치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The human interface device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f a single function input button capable of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and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continuously controlling one pointing input device on an electroload of the plurality of multifunction input buttons. May occur.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별개로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모드전환부와 포인터 실행명령부를 구비할 수 있다. Apart from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the human interface device may include a mode switch and a pointer execution command.

상기 모드전환부와 포인터 실행명령부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일렉트로드와 스위치로 구성된 하나의 버튼으로써 터치에 의해 모드 전환을 한 후 손가락을 이동하거나 뗄 필요없이 압력신호로 포인터 실행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and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are one buttons composed of an electroload and a switch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touch, and after the mode is switched by touch, a pointer execution command can be generated by a pressure signal without moving or releasing a finger. Can be.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발광부(107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1070.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문자입력을 표시하는 문자를 밝히거나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 자체의 위치를 밝힐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lluminate a character indicating a character input of the complex function input button or illuminate the position of the complex function input button itself.

상기 발광부는 일렉트로드를 포함한 상부구조물 상에 위치하거나, 탄성체를 포함한 하부 구조물에 위치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located on an upper structure including an electrorod or a lower structure including an elastic body.

상기 상부구조물은 일렉트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부분으로 커버부, 일렉트로부, 베이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structure may include a cover part, an electro part, a base part, and the like, which are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user, including the electro part.

상기 하부구조물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일렉트로드부로부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구조물을 포함한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The undercarriage may be a portion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uperstructure and does not occur when a user's pressure is applied, including a structure that transmits or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to and from the electrode.

도 11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의 한 실시례이다. Fig. 11 is an embodiment of the electroloading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정전식 터치 방식의 일렉트로드부는 복수의 트렌스미터와 리시버로 구성된다. The electrostatic touch part of the capacitive touch system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mitters and receivers.

일반적인 정전식 터치 방식의 경우 일렉트로부는 5내지 30열의 트랜스미터부가 5 내지 30행의 리시버부와 격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일정 크기의 사각면을 구성한다. In the case of the general capacitive touch method, the electro part includes 5 to 30 rows of transmitter parts having 5 to 30 rows of receiver parts and a grid shape to form a rectangular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본 실시례에서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일반적으로 10내지 20 밀리미터의 폭을 가진 하나의 문자입력버튼 크기를 지닌 일렉트로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ulti-function input button may generally be configured as an electroloading unit having a size of one character input button having a width of 10 to 20 millimeters.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독립적으로 작은 터치패드를 구성하여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인접한 복수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함께 더 넓은 영역에서 연결성 있는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The electroload unit may be used as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by independently configuring a small touch pad, and may be used as a point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that is connected in a wider area with a plurality of adjacent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s.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한 개 내지 세 개의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lectroload unit may include one to three transmitters and a receiver.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부는 서로다른 드라이브 신호 주기를 가진 세 줄의 트렌스미터와 서로 다른 스캔주기를 가진 두 줄의 리시버로 구성된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load unit of on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ncluding three rows of transmitters having different drive signal cycles and two rows of receivers having different scan cycles.

여기서 상기 주기라 함은 신호가 발생하는 타이밍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period may mean a timing at which a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은 버튼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트랜스미터와 리시버의 개수와 모양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변형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shape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may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button.

제 1 드라이브 주기를 가진 제 1 트랜스미터(1101, 1102, 1103)와 제 2 드라이브 주기를 가진 제 2 트랜스미터(1104, 1105, 1106), 제 3 드라이브 주기를 가진 제 3 트랜스미터(1107, 1108, 1109)를 가질 수 있다. First transmitters 1101, 1102, 1103 with a first drive cycle and second transmitters 1104, 1105, 1106 with a second drive cycle, third transmitters 1107, 1108, 1109 with a third drive cycle It can have

제 1 스캔주기를 가진 제 1 리시버(1110, 1111), 제 2 스캔주기를 가진 제 2 리시버(1112, 1113)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1110 and 1111 having the first scan period and the second receiver 1112 and 1113 having the second scan period may be provided.

상기 제 1 내지 제 3 트랜스미터는 회로기판에 단락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하나로 이어져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transmitters may be configured to be shorted to the circuit board or connected to one another without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상기 제 1, 2 리시버는 서로 단락이 된 상태로 회로기판에 인쇄되어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거나 독립적으로 동일 스캔주기에 정전용량 등 전기적 신호를 스캔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may be printed on a circuit board in a short-circuit state and connected to separate connection members, or may be configured to scan electrical signals such as capacitance at the same scan period independently.

본 실시례에서의 일렉트로드부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상에 구성된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부가 마치 하나의 큰 면적의 일렉트로드부처럼 인식이 되면서 하나하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일렉트로드 부분에 특별한 설계가 필요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electrified parts configured on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large-area elector parts, and the one or mor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re moved up and down to move up and down. Particular design is required.

예를들어, 상기 제 2 트랜스미터의 넓이는 상기 제 1, 3 트랜스미터의 넓이를 합친 것보다 넓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transmitter may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first and third transmitters.

상기 제 1 내지 3 트랜스미터의 넓이를 합친 넓이는 상기 제 1, 2 리시버의 넓이를 합친 것보다 좁을 수 있다.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first to third transmitters may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일반적인 정전용량식 터치패드의 경우 하나의 스캔주기를 갖는 리시버는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스캔주기를 갖는 제 1 리시버는 적어도 두 개의 리시버 블록(1110, 11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리시버 블록은 서로 단락이 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로 스캔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typical capacitive touch pad, receivers having one scan period are interconnected. 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receiver having one scan period is composed of at least two receiver blocks 1110 and 1111, and the at least two receiver blocks transmit scan signals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y are shorted to each other. can do.

상기 스캔신호는 각각의 리시버 블록으로부터 수신한 정전용량 신호를 합산하여 신호처리할 수 있다.The scan signal may be processed by adding the capacitance signals received from each receiver block.

본 실시례에서 트랜스미터를 가로로, 리시버를 세로로 예를 들었으나 동일한 구조 상에서 리시버를 가로로, 트랜스미터를 세로로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tter is horizontally and the receiver is vertically exemplified, but the receiver may be configured horizontally and the transmitter vertically on the same structure.

상기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는 절연체(1114, 1115)에 이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을 수 있다.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may be electrically shorted to the insulators 1114 and 1115.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밑으로 적층되거나 밑으로 연결되는 외부 드라이브 신호와 스캔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브릿지(112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electroload unit may include a bridge 112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n external drive signal and a scan signal that are stacked below or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브릿지는 상기 일렉트로드부에 드라이스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리시버로부터 정전용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ridge may transmit a dry signal to the electroload unit and receive a capacitive signal from the receiver.

도 12 는 복합기능 입력버튼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12 is an embodiment of a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 arrangement.

본 실시례에서 복수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적어도 다섯 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include at least fiv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12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1220),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1230)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X축 선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X축 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The secon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20 and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30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10, respectively, and the center point of the secon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10. Arranged on a virtual X-axis line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center point of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on the virtual X axis line extending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Can be arranged to.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1240),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1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And a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40 and a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50, wherein a center point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extends upward from a center point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Located to the left from the axis and located to the right from the virtual Y axis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secon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center point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o the lower side. Located on the right from the extended virtual Y-axis and located to the left from the virtual Y-axi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fourth,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t can be located adjacent to the input button.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이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이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o the left from the virtual Y axis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center point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t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to the right from the virtual Y axi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예를 들어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경우 상기 Y 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폭의 길이의 40 내지 60 퍼센트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located by moving 40 to 60 percent of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from the Y axis to the right.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경우 상기 Y 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폭의 길이의 15 내지 35 퍼센트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positioned to move 15 to 35 percent of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from the Y axis to the left side.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3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 주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have the same drive signal period as the thir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period as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서로다른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different scan periods.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가상의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지 않고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 너비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채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동일한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re arranged to the left within the width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without being arranged in a line in the virtual Y axis direction.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period while being moved.

이로인한 포인팅 위치정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보정하는 단계를 더 필요로 할 수 있다. This may cause distortion of the pointing position information signal and may further require correcting by software.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15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The human interface device further includes a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560, wherein a center point of the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located on a virtual Y axi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도 13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이한 패턴의 일렉트로드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Fig. 13 i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oads of different patterns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1 복합버튼 입력버튼과 상기 제 4 복합버튼 입력버튼이 가상의 Y축 상에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제 1 거리만큼 좌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composite button input button and the fourth composite button input button may not be arranged in a line on a virtual Y axis, but may be moved to the left by a first distance.

이로인해 상기 제 1 복합버튼 입력버튼과 상기 제 4 복합버튼 입력버튼의 상기 리시버의 신호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As a result, signal distortion of the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button input button and the fourth composite button input button may occur.

이를 방지하거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 4 복합버튼 입력버튼의 패턴을 변형하여 설계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or minimize distortion, the pattern of the fourth composite button input button may be modified.

예를 들어, 상기 도 11 에서 도시된 일렉트로드(1130)의 좌측으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만큼의 일렉트로드의 패턴이 상기 일렉트로드의 상기 우측으로 이동된 제 2 일렉트로드 형상(13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ttern of the electric rod by the first distance from the left side of the electric rod 1130 shown in FIG. 11 may be configured as the second electric rod shape 1350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electric rod. have.

상기 제 2 일렉트로드 형상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리시버의를 가상의 Y축으로 정렬하는 효과가 있다.  The second elector shape has the effect of aligning the receivers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on a virtual Y axis.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우측으로 상기 제 2 일렉트로드 형상으로 구성된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1360)이 위치할 수 있다. A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360 configured as the second electrified shape may be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이 때,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가장 우측에 위치한 리시버(1351)의 스캔주기는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가장 좌측에 위치한 리시버(1361)의 스캔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1112, 1113) 역시 동일한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can period of the receiver 1351 positioned on the rightmost side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the same as the scan period of the receiver 1361 located on the leftmost side of the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n this case, the second receivers 1112 and 1113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also have the same scan period.

도 14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의 실시례이다.14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제 1, 2 및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트랜스미터는 제 1 전기적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되어있고 상기 제 1, 4 및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리시버는 제 2 전기적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transmitter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receivers of the first, fourth and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have.

상기 연결부재의 제 1 실시례로, 상기 연결부재는 실제로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압력이 가해서 제 1 높이에서 제 2 높이로 이동하는 동안 일렉트로부에 접촉 혹은 접합되어 함께 움직이는 제 1 도전체,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움직이지 않는 파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도전체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 2 도전체, 인근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도전체와 연결하는 베이스 피씨비(PCB)로 구성될 수 있다.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a first conductor, which is moved in contact with or bonded to an electro part while moving from a first height to a second height by actually applying pressure to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conductor which is provided on the non-moving part of the function input button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conductor, and a base PCB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of the adjacen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ve.

상기 베이스 피씨비는 제어부로부터 드라이브 신호나 스캔신호를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트랜스미터나 리시버에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다. The base PCB may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a drive signal or a scan signal to a transmitter or a receiver of a plurality of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s from a control unit.

상기 제 1 도전체와 상기 제 2 도전체는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닿아 연결을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may mov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liding manner to maintain a connection.

상기 제 1 도전체와 상기 제 2 도전체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압력이 주어지지 않거나 기 정해진 스레스홀드 이하로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접촉을 유지하고, 기정해진 스레스홀드 이상으로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접촉을 유지하고 단락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maintain contact when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or when a pressure is applied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the pressure is applied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this case, the contact structure may be shorted.

상기 제 1 도전체와 제 2 도전체는 비접촉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1450). 상기 제 1 도전체와 제 2 도전체는 기 정해진 면적을 갖는 도전판 형식으로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맞닿아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may be configured in a non-contact manner (1450).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ductiv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일정한 간격은 공기나,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사기 등 유전률이 있는 비전도체(1443)로 채울 수 있다. The constant gap may be filled with non-conductor 1443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such as air, plastic, silicon, glass, porcelain, or the like.

이 경우, 전기신호는 주파수를 가진 라디오 신호의 형식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ical signal may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in the form of a radio signal having a frequency.

이렇게 하면, 제 1 도전체와 제 2 도전체의 마찰에 의해 도전체가 마모되거나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방해하는 마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wear of the conductor and the noise generated in the signal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can be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fric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 is simplified.

상기 제 1 내지 2 전기적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랙서블 필름 위에 일렉트로드부와 함께 전도체로 인쇄된 것이거나,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밀착 혹은 접합된 상기 탄성부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 부재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may be printed on the flexible film with a conductor along with an electrorod portion, or may be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provided on the elastic portion closely contacted or bonded to the electrorod portion.

도 15 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문자입력을 위한 스위치의 한 실시례이다.15 is an embodiment of a switch for character input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압력이 가해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경우 미리 정해진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1511, 1512, 1513)를 작동시킬 수 있다.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witches 1511, 1512, and 1513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input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may be operated.

상기 베이스 PCB 혹은 별도로 구비된 멤브레인에 위치한 스위치(1512, 1513)를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이동부 상에 위치한 단자(1511)에 의해 스위치가 연결이 되면 미리 정해진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switch 1512, 1513 located on the base PCB or separately provided membrane by a terminal 1511 located on the moving part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 electrical signal for indicating input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Can be generated and delivered to the controller.

상기 스위치는 별도의 누름 스위치나 자기나 전계의 변화량, 빛의 세기, 소리 등을 감지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witch may be generated by detecting a separate push switch or a magnetic or electric field change amount, light intensity, sound, or the like.

도 16 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구비한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의 한 실시례이다. Figure 16 is an embodiment of a human interface device with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도 17 은 일렉트로드 키캡의 한 실시례이다. 17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oload keycap.

일렉트로드 키캡(1700)은 복수개가 공동의 한 평면상에 위치하여 일렉트로드 키캡 레이어(1620)을 구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load keycaps 1700 may be positioned on one plane of the cavity to constitute the electroload keycap layer 1620.

예를들어 하나의 일렉트로드 키캡은 모드에 따라 하나의 문자입력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일정량의 터치 위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one electroload keycap can accept one character input depending on the mode and can detect a certain amount of change in the touch position.

반면 일렉트로드 키캡 레이어는 복수의 문자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고,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개수에 비례하여 터치위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oad keycap layer may accept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s and detect a change in touch position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e electroload keycaps.

복합가능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제어부,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커버부(1010), 제 1 도전체(1741, 1742, 1713, 1714, 1746, 1748)와 일렉트로드부(1020, 1701)를 포함한 일렉트로드 키캡(1700), 제 2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ybrid human interface device includes an electrostatic keycap including a control unit, a cover unit 1010 in which a user's finger is in contact, a first conductor 1741, 1742, 1713, 1714, 1746, and 1748, and an electrode unit 1020 and 1701. 1700, and a second conductor.

상기 제 2 도전체는 제 1 서킷 레이어(163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o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ircuit layer 1630.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 상단에 밀착된 커버부에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일렉트로드에 구비된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사이에 전기장에 영향을 주어 정전용량이 변하게 된다. When the user's finger makes contact with the cover part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electroload keycap, the electric field is influenced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provided in the electroload, thereby changing the capacitance.

상기 제 1 도전체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일렉트로드부의 트랜스미터와 리시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of the electrode part.

상기 트랜스미터와 연결된 상기 제 1 도전체를 통해 일정 신호주기로 드라이브 신호가 가해지게 되면, 상기 트랜스미터와 상기 리시버 사이의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발생된 정전용량이 상기 리시버에 의해 상기 리시버에 연결된 상기 제 1 도전체를 통해 상기 제 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도전체를 통해 전달되게 되며, 제어부는 전달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When a drive signal is applied at a predetermined signal cycle through the first conductor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capaci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is formed, and the generated capacitance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by the receiver. The first conductor may be transferred through a second condu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the controller may sense a change in the transferred capacitance.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상기 제 1 도전체를 통해 상기 제 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제 1 면(1702)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체는 상기 제 1 면과 수직하여 형성된 기둥에 기 정의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through the first conductor, and the electrode part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1702 of the electroload keycap and the first conductor is the first side. It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column formed perpendicular to the.

상기 제 1 면과 수직하여 형성된 기둥은 적어도 두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도전체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둥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t least two pillar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may be formed, and the first conductor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at least two pillars.

상기 일렉트로드부(1020, 1701)는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둥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체는 각각 상기 트랜스미터와 상기 리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or rods 1020 and 1701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he first conductors respectively formed on the at least two pillar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respectively.

상기 제 1 도전체는 상기 기둥의 표면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pillar.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을 관통하는 구멍(1703)을 가진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은 상기 제 1 면(1702)을 함께 관통하며 상기 구멍의 내벽을 통해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상기 제 1 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illar may have a tubular shape having a hole 1703 penetrating the pillar, and the hole penetrates the first surface 1702 together, and the electrode and the first conductor are formed through an inner wall of the hol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상기 제 1 면에 특정한 모양을 가진 복수의 패턴블록(1701)을 가지며 상기 패턴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제 2 면(1731)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orod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pattern blocks 1701 having a specific shape on the first surface, and at least some of the pattern block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surface 1731 of the electroload keycap.

상기 제 2 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패턴블록(1704)은 한 개의 기둥에 형성된 제 1 도전체(1713)를 통해 상기 제 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attern blocks 1704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surfa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through a first conductor 1713 formed in one pillar.

예를들어, 제 1 면(1702)에 최상단 삼각 패턴블록 세 개는 상기 삼각 패턴블록과 인접한 측면(1731)에 구비된 전도체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uppermost triangular pattern blocks on the first surface 17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due to a conductor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1731 adjacent to the triangular pattern block.

같은 방식으로 최하단 삼각 패턴블록 세 개는 상기 최하단 삼각 패턴블록 세 개와 인접한 측면에 구비된 전도체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same manner, the three lowermost triangular pattern block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or provided on an adjacent side of the three lowermost triangular pattern blocks.

이 때, 상기 최상단 혹은 최하단 삼각 패턴블록 새 개는 배면에 구비된 기둥 하나와 사기 기둥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op or bottom triangular pattern block dog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one of the pillars provided on the back and the hole provided in the fraudulent pillar.

또한, 중간에 가로로 있는 삼각형과 마름모와 삼각형 모양의 패턴블록은 상기 제 1 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배면에 있는 하나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제 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에 사용된 기둥은 배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탄성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목적으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horizontally intersecting triangles, rhombuses and triangular pattern block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e first side and likewis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through one pillar on the back side and a hole provided in the pillar. The column used here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ack and may be used simultaneously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pressure to the elastic part.

이때,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 및 중간에 구비된 패턴블록은 트랜스미터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각각 서로다른 신호주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ttern block provided at the top, bottom and middle may transmit a transmitter signal and may have different signal periods.

또한, 상단에 가로로 배치된 마름모 모양의 두개의 패턴블록과 하단에 가로로 배치된 마름모 모양의 두개의 패턴블록은 상기 제 1 면에서 전기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각각 배면에 구비된 기둥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제 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rhombus-shaped pattern block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top and the two rhombus-shaped pattern block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bottom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first surface, and holes provided in the pillar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s, respectively.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through.

상기 제 1 도전체는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배면에 복수개의 기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may be provided on a plurality of pillars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rod keycap.

상기 제 2 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패턴블록은 동일한 신호주기를 가진 트랜스미터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attern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surface may be a transmitter having the same signal period.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상기 제 1 면에 특정한 모양을 가진 적어도 세 개의 패턴블록(1704)을 가지며 상기 세 개의 패턴블록은 각각 한 개의 기둥에 형성된 제 1 도전체를 통해 상기 제 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art has at least three pattern blocks 1704 having a specific shape on the first surface, and each of the three pattern block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through a first conductor formed on one pillar. Can be.

상기 복수의 패턴블록 중 적어도 두 개의 패턴블록은 제 1 신호주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패턴블록은 제 2 신호주기를 갖을 수 있다. At least two pattern blocks of the plurality of pattern blocks may have a first signal period and at least one pattern block may have a second signal period.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패턴블록은 리시버일 수 있다. The at least three pattern blocks may be receivers.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탄성부(10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커버부에 가해진 사용자의 압력을 상기 탄성부로 전달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위치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압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탄성부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버부와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ortion 1050, wherein the pillar transmits a user's pressure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to the elastic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electrode rod keycap is in a second position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user is released and the pressure of the user is released, the pressure may be received from the elastic part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cover part and the electroload keycap are restor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제 1 도전체는 적어도 하나의 평판과 상기 평판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평판과 상기 기둥을 관통하는 구멍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기둥으로 구성된 부도체 형상물에 전도체로 도금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electro-rod portion and the first conductor may be formed by plating a conductor with a non-conductor formed of at least one plate and at least two pillar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plate and having holes through the plate and the pillar.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상기 제 1 면에 특정한 모양을 가진 복수의 패턴블록을 가지며 상기 제 1 면의 배면에 위치한 제 3 면(1710)에는 복수개의 기둥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de part may have a plurality of pattern blocks having a specific shape on the first surface, and a plurality of pillars may be formed on the third surface 171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상기 복수개의 기둥에는 상기 제 1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둥에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체는 제 3 면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illars may have the first conductor formed thereon, and the first conductors formed on the plurality of pillars may be electrically shorted by a third surface.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상기 제 1 면에 특정한 모양을 가진 복수의 패턴블록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패턴블록은 상기 제 1 면의 일측면에 위치한 제 4 면(17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제 4 면에 형성된 전기적 단락(1733)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패턴블록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을 수 있다.The electrode part has a plurality of pattern blocks having a specific shape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pattern block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surface 1732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but the fourth surface. The plurality of pattern blocks may b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by an electrical short 1733.

상기 패턴블록은 비단 도면에 예시를 한 내용에 국한되지 않고, 이외에도 직사각형, 빗살무늬 등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ttern block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in the drawings, but may include various patterns such as a rectangle and a comb-pattern.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복수의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일렉트로트 키캡에 구비된 상기 제 1 도전체는 복수의 상기 제 2 도전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도전체는 하나의 제 1 서킷레이어(1630)에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he electroload keycaps, wherein the first conductor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keycaps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May be configured in one first circuit layer 1630.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상기 일렉트로드 캐캡 하단에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을 관통하는 구멍을 가진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부는 빛이 확산되는 도광판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발광할 수 있다. The human interface device further includes a light source at a lower end of the electrode rod cap, wherein the pillar has a tubular shape having a hole penetrating the pillar, and the cover part is made of a light guide plate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diffused. Light may be emitted by receiv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상기 구멍은 상기 일렉트로드 키캡의 일렉트로드부와 제 1 도전체를 도금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hole may be essentially us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load portion of the electrorod keycap and the first conductor in the manner of plating.

하지만, 도금을 하게 되면 일렉트로드 키캡이 불투명해져서 키보드 자판이 발광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부여하기 어럽다. However, when the plating is performed, the electro keycap becomes opaque, and thus the keyboard keyboard emits light, and thus it is difficult to give a function for convenient work even in a dark place.

하지만, 상기 구멍을 통해 광원을 전달할 수 있어 상기 구멍은 전기적 연결 통로 및 광원의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light source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hole so that the hole can be used as an electrical connection passage and a passage of the light source.

상기 커버부는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면에 텍스트 입력을 안내하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거나 각인되어 있거나 상기 문자의 모양으로 구멍이 뚤린 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may be printed with a character for guiding text input or imprinted on the surface where the user makes contact, or a film having a perforated shape in the shape of the character.

상기 제 1 도전체와 상기 제 2 도전체는 일정한 면적을 비접촉식으로 대면하고 있으며 고주파의 전기적 신호가 비접촉식으로 상기 일정한 면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may face a predetermined area in a non-contact manner, and electrical signals of high frequency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nstant area in a non-contact manner.

한 예로, 상기 기둥이 원통형상일 경우 상기 제 1 도전체와 상기 제 2 도전체와 비접촉식으로 대면하고 있는 면은 일정한 너비를 가진 띠 형상이 될 수 있고, 상기 기둥이 사각기둥일 경우, 일정한 너비를 가진 사각 띠가 될 수 있다. 혹은 상기 기둥의 일부 영역에만 제 1 도전체를 구비하여 원하는 모양과 면적의 대면부를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illar is cylindrical,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in a non-contact manner may have a strip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and when the pillar is a square pillar, a constant width may be obtained. Can be a square band with Alternatively, the first conductor may be provided only in a portion of the pillar to implement a facing portion having a desired shape and area.

도 18 내지 도 22 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 패턴의 한 실시례이다. 18 to 22 show one embodiment of an electroload pattern of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데스크탑 입력기, 태블릿 피씨용 입력기, 노트북용 입력기, 홈씨어터 제어용 입력기, 자동주행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제어용 입력기, 가상현실 혹은 증강현실의 입력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esktop input device, a tablet PC input device, a laptop input device, a home theater control input device, a multimedia control input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and a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input device.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may includ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각각 서로 다른 문자입력을 수신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포인터 위치정보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receive different text inputs, and may also receive a touch input for controlling on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각각 X 축 혹은 Y 축으로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positioned without being aligned in a row on the X axis or the Y axis, respectively.

한 예로,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X 축의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 어 있고, 상기 제 4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X 축으로부터 각각 위쪽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arranged in a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X axis, and the fourth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X axi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1240)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Y 축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지 않고 약 25 퍼센트 좌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40 may be positioned at about 25 percent to the left without being aligned with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with respect to the Y axis.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1250)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Y축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지 않고, 약 50 퍼센트 우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50 is not aligned with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with respect to the Y axis, and may be spaced about 50 percent to the right.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하나의 포인터 위치정보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트랜스미터와 상기 복수의 리시버는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를 갖는 트랜스미터끼리 일렬로 정렬되어야 하며,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는 리시버끼리 일렬로 정렬되어야 한다. In order for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to control one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transmitters and the plurality of receivers should be aligned in line with transmitters having the same drive signal and receivers having the same scan signal period. It must be aligned in line.

반면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X축 혹은 Y 축에 대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2개 내지 4개의 X축 Y 축에 평행한 리시버 혹은 트랜스미터를 구비하여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X축 혹은 Y 축에 대하여 일렬로 정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리시버 혹은 트랜스미터를 정렬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re not aligned in line with the X axis or the Y axis,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ncludes a receiver or a transmitter parallel to two to four X axis Y axes. It is possible to align the receiver or transmitter even though the function input buttons are not aligned in line with the X or Y axis.

상기 각각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트랜스미터부(T1, T2, T3, T4)와 리시버부(R1, R2, R3, R4)로 구성된 일렉트로드부(1020a, 1020b, 1020c, 1020d, 1020e, 1020f, 1020g, 1020h, 1020i, 1020j, 1020k, 1020l)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ncludes an electroload unit 1020a, 1020b, 1020c, 1020d, 1020e, 1020f, 1020g, comprising a transmitter unit (T1, T2, T3, T4) and a receiver unit (R1, R2, R3, R4). 1020h, 1020i, 1020j, 1020k, 1020l).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X 축에 평행하도록 트랜스미터를 구비하고 Y 축에 평행하도록 리비서를 구비할 수 있다. (1020a, 1020c, 1020e, 1020g, 1020i,1020k)The electrode part may include a transmitter parallel to the X axis and a revision unit parallel to the Y axis. (1020a, 1020c, 1020e, 1020g, 1020i, 1020k)

다음에 상술할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X 축에 평행한 트랜스미터와 Y 축에 평행한 리시버의 경우에 대해 기술하지만, 따로 기술하지 않더라도 트랜스미터와 리시버가 바뀐 구성 즉, X 축에 평행한 리시버와 Y 축에 평행한 트랜스미터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basically, the electro-rod portion describes a case of a transmitter parallel to the X axis and a receiver parallel to the Y axis, but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re changed to the X-axis even if not described otherwise. The same configuration is possible for parallel receivers and transmitters parallel to the Y axis.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Y 축에 평행하도록 트랜스미터를 구비하고 X 축에 평행하도록 리비서를 구비할 수 있다. (1020b, 1020d, 1020f, 1020h, 1020j,1020l)The electrode part may include a transmitter parallel to the Y axis and a revision unit parallel to the X axis. (1020b, 1020d, 1020f, 1020h, 1020j, 1020l)

도 18 은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 패턴의 한 실시례로,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네 개의 트랜스미터와 네 개의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8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lectroload pattern of a plurality of multi-function input buttons. The electroload unit may include four transmitters and four receivers.

다음에 기술할 실시례에서는 X 축에 평행한 네 개의 트랜스미터와 Y 축에 평행한 네개의 리시버(1020a)로 구성된 실시례를 바탕으로 설명하지만, X 축에 평행한 네 개의 리시버와 Y 축에 평행한 네개의 트랜스미터(1020b)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가능하다. The following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consisting of four transmitters parallel to the X axis and four receivers 1020a parallel to the Y axis, but four receivers parallel to the X axis and parallel to the Y axis. The same explanation is possible for one of the four transmitters 1020b.

상기 트랜스미터부는 적어도 두 개의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4 트랜스미터를 갖고 상기 리시버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스캔 신호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4 리시버(R1, R2, R3, R4)를 갖을 수 있다. The transmitter unit may have first to fourth transmitters having at least two driver signal periods, and the receiver unit may have first to fourth receivers R1, R2, R3, and R4 having at least two different scan signal periods.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1240)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상기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1220)의 상기 제 4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1240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fourth receiver of the second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1220.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1240)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40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at of the first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3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third receiv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4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3 리시버 및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1250)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ourth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third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50. .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1260)을 갖고, 상기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Y 축으로 정렬되어 인접해 있고 상기 상기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4 리시버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4 리시버와 각각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has a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60, and the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aligned with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on the Y axis and adjacent to the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first to fourth receivers of the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first to fourth receivers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반면,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상기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서로 다른 드라이버 신호주기를 갖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different driver signal cycles.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1270)을 갖을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may have a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1270.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4 리시버 및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receiver and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 및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3 리시버와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first receiver of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third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렌스미터는 제 1 드라이버 주기를 갖고,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렌스미터는 제 2 드라이버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have a first driver period,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have a second driver period.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렌스미터는 제 3 드라이버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렌스미터는 제 4 드라이버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third driver period,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fourth driver period.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렌스미터는 제 5 드라이버 주기를 갖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렌스미터는 제 6 드라이버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fifth driver period,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sixth driver period.

상기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렌스미터는 제 7 드라이버 주기를 갖고, 상기 제 6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렌스미터는 제 8 드라이버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seventh driver period,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six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n eighth driver period.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각각 상기 제 1 내지 상기 제 2 리시버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3 내지 상기 제 4 리시버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At least two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s of the first to fifth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s each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for the first to second receivers and the same scan signal period for the third to fourth receivers. ,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각각 상기 제 2 내지 상기 제 3 리시버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1 리시버와 상기 제 4 리시버는 서로 다른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At least two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each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for the second to third receivers, and different scan signal periods for the first receiver and the fourth receiver. It may have a.

예를 들어,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2 리시버는 제 1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3 내지 4 리시버는 제 2 스캔 신호 주기를 가지며, For example, the first to second receivers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ve a first scan signal period, and the third to fourth receivers have a second scan signal period,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2 리시버는 제 3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3 내지 4 리시버는 제 4 스캔 신호 주기르 가지며,The first to second receivers of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ve a third scan signal period, and the third to fourth receivers have a fourth scan signal period,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제 5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2 내지 3 리시버는 상기 제 1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리시버는 제 2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fifth scan signal period, the second to third receivers may have the first scan signal period, and the fourth receiver may have a second scan signal period. have.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제 2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2 내지 3 리시버는 상기 제 3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리시버는 제 4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The first receiver of the seven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second scan signal period, the second to third receivers may have the third scan signal period, and the fourth receiver may have a fourth scan signal period. have.

도 19 은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 패턴의 한 실시례로,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X 축에 평행한 두 개의 트랜스미터와 Y축에 평행한 네 개의 리시버(1020c)를 포함할 수 있다.19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lectroload pattern of a plurality of multi-function input buttons, wherein the electrorod portion may include two transmitters parallel to the X axis and four receivers 1020c parallel to the Y axis.

다음에 기술할 실시례에서는 X 축에 평행한 두 개의 트랜스미터와 Y축에 평행한 네 개의 리시버로 구성된 예를 기술하지만, X 축에 평행한 두 개의 리시버와 Y축에 평행한 네 개의 트랜스미터(1020d)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가능하다. The following example describes an example consisting of two transmitters parallel to the X axis and four receivers parallel to the Y axis, but two receivers parallel to the X axis and four transmitters parallel to the Y axis (1020d). ), The same explanation is possible.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트랜스미터부와 리시버부로 구성된 일렉트로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includ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each of the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s may include an electroload unit including a transmitter unit and a receiver unit.

상기 트랜스미터부는 서로 다른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2 트랜스미터를 갖고 상기 리시버부는 서로 다른 스캔 신호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2 리시버를 갖을 수 있다. The transmitter unit may have first to second transmitters having different driver signal periods, and the receiver unit may have first to second receivers having different scan signal periods.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t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as the second receiver of the input button.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는 제 1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는 제 2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트랜스미터는 제 3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트랜스미터는 제 4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트랜스미터는 제 5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트랜스미터는 제 6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first driver signal perio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second driver signal period, and the fourth composite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third driver signal perio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a fourth driver signal period, and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a fifth The driver may have a driver signal period,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sixth driver signal period.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가상의 X 축 선상에 있고,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2 트랜스미터는 상기 가상의 X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가상의 X 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s on a virtual X axis line, the first to second transmitters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irtual X axis,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1-5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virtual X axis.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상기 제 5 복합기능의 제 1 리시버, 그리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리시버는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혹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상기 제 5 복합기능의 제 1 리시버, 그리고 상기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리시버는 동일한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seven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scan signal period.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상기 제 5 복합기능의 제 1 리시버는 상기 X 축과 직교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리시버와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리시버 사이에 제 1 거리 (2010) 만큼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are arranged in a line orthogonal to the X axis, and the second receiver and the seventh composite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first receiver 2010 may be spaced apart by a first distance 2010 between the first receivers of the function input button.

이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작 단가를 줄이기 위해 패턴을 단일화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터치 입력의 소프트웨어 적이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 This may be necessary to unify the pattern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t this time, the software enemy of the user's touch input may need correction.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부터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상기 X 축과 직교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연속적으로 입력될 경우, 상기 제 1 거리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터치의 좌표를 X 축 방향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touch is continuously input from the first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 to the fourth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 orthogonal to the X axis,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input touch in the X 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tance are inpu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rrecting.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표면을 포함하는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하나의 포인터 위치를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user's touch continuously generated in an area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continuously control one pointer position. It may include.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각각 사용자의 압력 신호를 감지하여 각각 제 1 내지 제 5 문자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the user and generating first to fifth character input signals, respectively.

즉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각각 키보드의 하나의 키를 담당하여 하나의 문자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인접한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터치 표면 영역 내에서 버튼과 버튼 사이를 가로질러 발생하는 연속적인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하나의 마우스 포인터와 같은 포인터 위치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포인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respectively generate one character by playing one key of the keyboard and at the same time, a continuous occurrence occurring between a button and a button within a touch surface area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s. By generating a user's touch input,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one mouse pointer may be generated and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pointer may be controlled.

상기 인접한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터치 표면 영역 내에서 복수의 터치가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멀티터치 기능, 즉 줌 인, 줌 아웃, 스크롤, 화면 전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touches are simultaneously made within the touch surface area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complex function input buttons, a multi-touch function, that is, a zoom in, a zoom out, a scroll, and a screen change, may be performed.

상기 리시버가 X 축에 평행하고, 상기 트랜스미터가 Y 축에 평행한 일렉트로드(1020h)의 경우를 설명하자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트랜스미터부와 리시버부로 구성된 일렉트로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트랜스미터부는 서로 다른 드라이버 신호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2 트랜스미터를 갖고 상기 리시버부는 서로 다른 스캔 신호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2 리시버를 갖을 수 있다. Referring to the case of the electrode 1020h in which the receiver is parallel to the X axis and the transmitter is parallel to the Y axis,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is configured with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Each of the multi-function input buttons includes an electroload unit including a transmitter unit and a receiver unit, wherein the transmitter unit has first to second transmitters having different driver signal periods, and the receiver unit has a first scan signal period having different scan signal periods. It may have from 2 to 2 receivers.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drive signal period as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third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t may have the same drive signal period as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input button.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제 1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제 2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리시버는 제 3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리시버는 제 4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리시버는 제 5 스캔 신호 주기를 갖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리시버는 제 6 스캔 신호 주기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first scan signal perio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second scan signal period, and the fourth composite The first receiver of th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third scan signal cycle,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fourth scan signal cycle,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fifth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a sixth scan signal period.

상기 제 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가상의 X 축 선상에 있고,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2 리시버는 상기 가상의 X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내지 2 트랜스미터는 상기 가상의 X 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s on a virtual X axis line, and the first to second receivers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irtual X axis, The first to second transmitters of the 1 to 5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y be positione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virtual X axis.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와 상기 제 5 복합기능의 제 1 트랜스미터는 상기 X 축과 직교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트랜스미터와 제 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트랜스미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are arranged in a line orthogonal to the X axis,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venth combined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unction input button.

도 23 은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의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a text input mode and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mode.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오른손 잡이 모드와 왼손 잡이 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in a right handed mode and a left handed mode.

상기 오른손 잡이 모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의 오른손으로부터 입력 받기 용이하도록 터치 영역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right-handed mode, a touch area may be set to easily receive a user's touch input from the user's right hand.

상기 왼 손 잡이 모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의 왼 손으로부터 입력받기 용이하도록 터치 영역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left-handed mode, a touch area may be set to facilitate input of a user's touch input from a user's left hand.

상기 오른 손 잡이 모드와 상기 왼 손잡이 모드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기기 상에 별도의 스위치, 적어도 두 개의 동시 텍스트 입력, 기 정의된 터치 패턴, 텍스트 입력과 터치 입력의 조합, 모드 전환부를 통한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he right-handed mode and the left-handed mode are separate switches, at least two simultaneous text inputs, a predefined touch pattern, a combination of text inputs and touch inputs, and mode switching o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It may be set by input through a negative part or the like.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동작이 되고, 상기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임시 터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is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user,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and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and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when the touch input is received in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and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is a temporary touch mode You can switch to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상기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 혹은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임시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In the temporary touch mode, when the user's touch is released to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or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the temporary touch mode may release the temporary touch mode and switch to a text input mode.

상기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왼 손 엄지와 인접하고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사용자의 오른손 엄지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and may be adjacent to the thumb of the left hand of the user and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thumb of the right hand of the user.

상기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임시 터치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오른손 잡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When switching to the temporary touch mode through the touch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switched to the right handed mode.

상기 오른손 잡이 모드의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수신을 위한 오른 손 터치 영역(108b)을 오른손으로 터치 입력이 용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the right hand grip mode, the right hand touch area 108b for receiving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may be set to facilitate touch input with the right hand.

상기 오른 손 터치 영역(108b)는 사용자의 왼손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손가락을 올려놓는 영역을 제외하고 설정할 수 있다.  The right hand touch area 108b may be set except for an area where a user's left hand puts a finger for text input.

한 예로,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의 경우 텍스트 F 키를 포함한 Y 축의 왼 쪽을 터치 비활성 영역으로 설정하고 텍스트 G 키를 포함한 Y 축의 오른 쪽을 터치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eneral keyboard-type complex human interface, the left side of the Y axis including the text F key may be set as a touch inactive area, and the right side of the Y axis including the text G key may be set as a touch active area.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임시 터치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왼 손 잡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When switching to the temporary touch mode through the touch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may be switched to the left handed mode.

상기 왼 손 잡이 모드의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수신을 위한 왼 손 터치 영역(108a)을 왼 손으로 터치 입력이 용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the left handed mode, the left hand touch area 108a for receiving pointer position information may be set to be easily touched by the left hand.

상기 왼 손 터치 영역(108a)는 사용자의 오른 손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손가락을 올려놓는 영역을 제외하고 설정할 수 있다.  The left hand touch area 108a may be set except for an area where the user's right hand puts a finger for text input.

한 예로,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의 경우 텍스트 J 키를 포함한 Y 축의 오른 쪽을 터치 비활성 영역으로 설정하고 텍스트 H 키를 포함한 Y 축의 왼 쪽을 터치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eneral keyboard-type complex human interface, the right side of the Y axis including the text J key may be set as the touch inactive area, and the left side of the Y axis including the text H key may be set as the touch active area.

또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서 왼 손 혹은 오른 손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hand or the right hand mode may be preset i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문자 Q, W, E, R 의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temporary touch mode is a touch of the right hand when a user's touch input simultaneously occurs from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of letters Q, W, E, and R in a US international keyboard arrangement. When the mode is switched and the at least two user touch inputs are released, the right hand touch mode may be released and the text input mode may be switched.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문자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Z, X, C, V 의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temporary touch mode is a touch of the right hand when a user's touch input simultaneously occurs from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of Z, X, C, and V in a letter US international keyboard arrangement. When the mode is switched and the at least two user touch inputs are released, the right hand touch mode may be released and the text input mode may be switched.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문자 U, I, O, P 의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왼 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왼 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temporary touch mode is a touch of the left hand when a user's touch input simultaneously occurs from at least two of the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s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of the letters U, I, O, and P in a US international keyboard arrangement. When the mode is switched and the at least two user touch inputs are released, the left hand touch mode may be released and the text input mode may be switched.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문자 M, <, >, ?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왼 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왼 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temporary touch mode is a letter M, <,>,? When a user's touch input occurs simultaneously from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the user switches to the left hand touch mode and the left hand touch mode when the at least two user touch inputs are released. You can release and switch to text input mode.

상기 적어도 두개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한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압력신호가 더 수신될 경우 상기 임시 터치모드를 실행 중 제어되는 포인터의 제 1 포인터 실행 명령 입력 혹은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simultaneously generating the at least two touch inputs may input a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or second input of a pointer controlled while executing the temporary touch mode when a pressure signal is further received while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Can function as a pointer execution command input.

상기 임시 터치 모드가 활성화 되었을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When the temporary touch mode is activated, the text input mode may be deactivated.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가 비활성 될 경우, 적어도 한 개의 텍스트 입력은 가능하도록 예외를 가질 수 있다. If the text input mode is deactivated, at least one text input may have an exception.

도 24 는 영구 터치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 permanent touch mode.

상기 제 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 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이 동시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눌려질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영구 터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and the second pointer execution command button are pressed simultaneously for a preset tim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may be set to the permanent touch mode.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별도의 스위치, 적어도 두 개의 동시 텍스트 입력, 기 정의된 터치 패턴, 텍스트 입력과 터치 입력의 조합, 모드 전환부의 동작 등에 의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영구 터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device by a separate switch, at least two simultaneous text inputs, a predefined touch pattern, a combination of a text input and a touch input, an operation of a mode switching unit, etc., i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The device may be set to a permanent touch mode.

상기 영구 터치 모드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위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모드이다, The permanent touch mode is a mode that can receive a user's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without having to maintain a separate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한 예로, 임시 터치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텍스트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임시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임시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temporary touch mod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basically set to the text input mode, and the electronic device is switched to the temporary touch mode while the separate user's input is maintained and the separate user's input is released. If so, the temporary touch mode may be released and the text input mode may be switched.

반면, 영구 터치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영구 터치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텍스트 입력모드가 비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ermanent touch mod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set to the permanent touch mode and the text input mode may be deactivated.

상기 영구 터치 모드는 기 정의된 조건에서 해제될 수 있다. The permanent touch mode may be released under a predefined condition.

예를 들면, 상기 영구 터치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시간만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영구 터치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user's touch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permanent touch mode is set, the permanent touch mode may be released.

상기 영구 터치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터치 패턴, 혹은 기 정의된 버튼의 입력, 혹은 상기 비활성이 예외된 텍스트 입력버튼의 입력, 혹은 반복적인 텍스트 입력, 혹은 복수의 텍스트 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상기 영구 터치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ermanent touch mode is set, when a predefined touch pattern or input of a predefined button, an input of an inactive exception text input button, repetitive text input, or a plurality of text inputs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permanent touch mode may be released.

상기 영구 터치모드는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시의 터치 영역과 상기 왼 손 터치 모드 시의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시의 터치 영역과 상기 왼 손 터치 모드 시의 터치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The permanent touch mode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touch area in the right hand touch mode and the touch area in the left hand touch mode, and the touch area in the right hand touch mode and the touch area in the left hand touch mode. It may be wider than the touch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른 손 터치 모드시의 터치 영역과 상기 왼 손 터치 모드 시의 터치 영역을 합친 영역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touch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touch area in the right hand touch mode is combined with the touch area in the left hand touch mode.

도 25는 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판형으로 구비된 복합기능 입력버튼 모듈이다. 25 is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n a plate shape.

상기 판형으로 제작된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구비된 모듈은 노트북이나 휴대형 키보드, 데스크탑 키보드, 인터넷 티브이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복합 키보드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The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manufactured in the plate shape may be used as a composite keyboard module used in a notebook, a portable keyboard, a desktop keyboard, and an Internet TV input device.

상기 모듈은 복수의 커버부(1010), 복수의 일렉트로드부(1020), 전기적 연결부재(2610), 복수의 베이스부(1030), 커버부가 평행하게 상하이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평형유지부(2620), 복수의 탄성부(1050)로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ver portions 1010, a plurality of electrorod portions 1020,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610, a plurality of base portions 1030, and a balance maintaining portion 2620 to help the cover portions move in parallel. ), A plurality of elastic portion 1050 may be configured in order.

도 26은 일렉트로드부(1020)의 세부 구조의 일례이다. 26 is an example of a detailed structure of the electroload unit 1020.

상기 복수의 일렉트로드부는 커버부의 크기에 맞도록 절단된 필름(1020a)에 전도성 잉크로 트랜스미터부와 리시버부를 인쇄(1020b)하거나 플랙시블 프린티드 써킷 보드(FPCB)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rod parts may be printed (1020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ethod using a conductive ink on the film 1020a cut to fit the size of the cover part.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610)는 FPCB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일렉트로드부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터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와 접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610 may be manufactured by the FPCB method, and may have at least one transmitter and at least one receiver and a contact point of the electrorod part.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610)과 상기 일렉트로드부(1020)은 전도성 접착제(2611)로 접합하여 상기 접점에서 전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610 and the electrode 1010 may be bond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2611 to allow electricity to flow through the contact.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610)은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일체형으로 FPCB로 제작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610 may be manufactured as an FPCB integrally with the electrorod portion.

도 27은 전도성 접착제의 접착부위의 일례이다. Fig. 27 is an example of an adhesive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상기 전도성 접착제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의 일부분과 상기 일렉트로드부의 일부분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adhesive may bond a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and a portion of the electrorod portion to each other.

이 때 접착부위에서 제외된 부분(2712)는 인접한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면서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2711)로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tion 2712 excluded from the adhesive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2711 that is movable with the cover por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adjacen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전기적 연결부재는 알파벳 대문자 L자 형태로 인접한 전기적 연결부재와 함께 알파벳 대문자 U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luidly mova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uppercase letter U with an adjacent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n the form of an uppercase letter L.

이러한 형태는 커버부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전기적 연결부재가 인접한 복합 기능 입력버튼과 상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사용자에게 물리적 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통전상태를 유지하는데 최적의 성능을 보인다. This type shows the optimal performance when the cover part is moved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the energized state while minimizing the physical resistance to the user even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s different from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adjacen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복수의 일렉트로드 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제 1 면과 제 2 면에 위치한 서킷레이어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be connected to a circuit layer loc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ile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electrorod parts.

상기 제 1 면에 위치한 서킷레이어(2613)는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트랜스미터로 드라이브 신호를 전달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 2 면에 위치한 서킷레이어(2612)는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리시버로부터 스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2613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generates a drive signal for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a transmitter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the circuit layer 2612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has the first to 5 You can receive the scan signal from the receiver of the multi-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서킷레이어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고 스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to generate a drive signal and receive a scan signal.

도 28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한 실시례이다. 28 is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개도(2810),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조립도(2820),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단면도(2830), 커버부의 위치가 이동했을 경우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단면도(2840)이다. The expanded view 2810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assembly diagram 2820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sectional view 2830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cross section 2840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when the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is moved.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커버부(2811), 일렉트로드부(2818), 제 1 베이스부(2812), 평형유지부(2813), 탄성부(1050), 제 1 서킷레이어(2816), 제 2 서킷 레이어(2815), 제 3 서킷 레이어(2814), 제 2 베이스부(2803), 전기적 연결부재(2819) 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ncludes a cover 2811, an electro rod 2818, a first base 2812, a balance holding unit 2813, an elastic unit 1050, a first circuit layer 2816, and a second circuit layer. 2815, a third circuit layer 2814, a second base portion 2803,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819.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발광부(281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는 일렉트로드부 혹은 서킷레이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part 2817, and the light emitting part may be located in an electrification part or a circuit layer.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전기적 연결부재, 서킷레이어는 하나의 FPCB로 제작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rod member,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circuit layer may be made of one FPCB.

상기 제 1 서킷레이어(2816)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와 텍스트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The first circuit layer 2816 may receive both a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signal and a text input signal.

상기 탄성부는 상기 서킷레이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불필요한 레이어를 제거하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may be attached to the circuit layer. This eliminates unnecessary layers and makes them thinner.

상기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는 상호 결속될 수 있도록 결속부재(2820, 2821)를 가질 수 있다. The cover part and the base part may have binding members 2820 and 2821 to be coupled to each other.

혹은 커버부에 기둥과 베이스부에 홀(2801)을 구비하여 상호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illars in the cover portion and the holes 2801 may be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to bind to each other.

일렉트로드부는 커버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삽입되고, 전기적 연결부재를 통해 서킷레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ic rod par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base part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layer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상기 서킷레이어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부착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base part.

상기 서킷레이어는 하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어 있고, 별도의 서킷레이어를 통해 제어부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on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separate circuit layer.

상기 서킷레이어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동시에 연결되어 제어부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a plurality of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connected to a control unit.

상기 일렉트로드 부의 너비(2832)는 상기 서킷레이어의 너비(2831)보다 넓을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의 위치가 이동할 경우 전기적 연결부재의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물리적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width 2832 of the electrod portion may be wider than the width 2831 of the circuit layer. This can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when the cover portion is moved and the physical resistance to the user can be minimized.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819)는 커버부의 위치가 이동할 경우 함께 모양이 변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819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shape can be changed when the cover portion moves.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891)는 커버부의 위치가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제 2 베이스부보다 낮은 위치(2843)로 이동하면서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cover portion is moved,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891 may be deformed while moving to a position 2843 lower than the second base portion.

도 29는 무선 방식의 전기적 연결부재의 실시례이다. 29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wireless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탄성부와 평형유지부를 제외한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부분(2930)이다.A portion 2930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excluding the elastic portion and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커버부(2902), 일렉트로드부(2901), 제 1 전기적 연결부재(2903, 2904), 제 2 전기적 연결부재(2933, 2934), 베이스부(2932), 서킷레이어(2931)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ncludes a cover portion 2902, an electric rod portion 2901, first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2904 and 2904,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2933 and 2934, a base portion 2932, and a circuit layer 2931. It can be configured as.

제 1 전기적 연결부재는 트랜스미터와 연결된 전기적 연결부재(2903)과 리시버와 연결된 전기적 연결부재(2904)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904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904 connected to the receiver.

제 2 전기적 연결부재는 트랜스미터와 연결된 전기적 연결부재(2903)와 대응되는 전기적 연결부재(2933)과 리시버와 연결된 전기적 연결부재(2904)와 대응되는 전기적 연결부재(2934)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933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903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934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2904 connected to the receiver.

상기 제 1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제 2 전기적 연결부재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wirelessl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 a state where they are not physically bonded to each other.

상기 제 1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제 2 전기적 연결부재는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wirelessly using a high frequency signal.

상기 제 1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제 2 전기적 연결부재는 정전 유도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may wirelessl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by us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method.

상기 제 1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제 2 전기적 연결부재는 수 회 감긴 코일 방식(2940)이거나, 나선형 방식(2950) 이거나, 부도체 주위를 감은 방식(2960)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may be at least one of a coil method 2940 wound several times, a spiral method 2950, or a method 2960 wound around a non-conductor.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 상기 입력버튼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서킷레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트랜스미터부와 리시버부로 구성된 일렉트로드부, 상기 일렉트로부와 연결된 전기적 연결부재, 사용자의 물리적 압력에 반응하여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트랜스미터부는 서로 다른 드라이버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는 제 1 내지 2 트랜스미터를 갖고 상기 리시버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스캔 타이밍을 갖는 제 1 내지 2 리시버를 갖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물리적 압력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상기 서킷레이어의 상대적 위치가 변함에 변하여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composed of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a circuit layer for transmi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button to the controller, wherein each of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is configured to provide a user's touch input. An electric load unit comprising a receiving unit and a receiver unit,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electro unit, and a switch for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in response to a user's physical pressure, the transmitter unit having different driver signal generation timings.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having one to two transmitters and the receiver unit having at least two different scan timings,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change relative positions of the electrode and the circuit layer by the physical pressure of the user. Electrically connected to You can rock.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상기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타이밍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scan timing as the second receiver of the secon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t may have the same scan timing as the first receiver of the input button.

상기 제 1 내지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는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는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과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은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first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second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The first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and the second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트랜스미터는 제 3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가지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트랜스미터는 제 4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가지고, 상기 제 3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과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과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과 상기 제 4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은 순차적일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a third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a fourth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and the third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and The first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the second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and the fourth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may be sequentially.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타이밍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scan timing as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fth compound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third compound function. It may have the same scan timing as the first receiver of the input button.

상기 서킷레이어는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하나의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드(FPCB)로 이루어져 있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and the electrical rod memb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include a composite human interface including on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

상기 제 1 내지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상기 제 1 내지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서킷레이어는 하나의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드(FPCB)로 이루어져 있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rod member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the circuit layer each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 composite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연결된 제 1 리드와 상기 서킷레이어와 연결된 제 2 리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리드와 상기 제 2 리드는 사용자의 압력 신호가 있을 경우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 rod part and a second lead connected to the circuit layer, and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changed in relative position when a pressure signal of a user is detect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You can stay connected.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연결된 제 1 리드와 상기 서킷레이어와 연결된 제 2 리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리드와 상기 제 2 리드는 사용자의 압력 신호가 있을 경우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제 1 리드와 상기 제 2 리드는 서로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있으며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 rod unit and a second lead connected to the circuit layer, and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changed in relative position when a pressure signal of a user is present.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연결된 제 1 리드와 상기 서킷레이어와 연결된 제 2 리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리드와 상기 제 2 리드는 사용자의 압력 신호가 있을 경우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제 1 리드와 상기 제 2 리드는 서로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있으며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 rod unit and a second lead connected to the circuit layer, and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changed in relative position when a pressure signal of a user is present.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and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using a high frequency signal.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상기 서킷레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압력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드부의 위치가 이동될 때 상기 사용자의 압력 신호와 반대 방향의 힘을 발생하며 상기 사용자의 압력 신호가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일렉트로드부를 상기 이동 전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ic rod part and the circuit layer, and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ure signal of the user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rod part is moved by a pressure signal of the user. When the pressure signal of the user is removed and the electro-rod can be returned to the position before the movement.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 및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 타이밍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scan timing as the first receiv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The first receiver may have the same scan timing as the second receiver of the input button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트미터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버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 및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driver signal generation timing as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rst transmitter. The first transmitter may have the same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as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multi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fth multi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1 내지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리시버는 제 1 스캔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리시버는 제 2 스캔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스캔 타이밍과 상기 제 2 스캔 타이밍은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first scan timing, the second receiver of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s a second scan timing, and the first scan The timing and the second scan timing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2 리시버는 제 3 스캔 타이밍을 가지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제 1 리시버는 제 4 스캔 타이밍을 가지고, 상기 제 3 스캔 타이밍과 상기 제 1 스캔 타이밍과 상기 제 2 스캔 타이밍과 상기 제 4 스캔 타이밍은 순차적일 수 있다. The second receiver of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third scan timing, and the first receiver of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has a fourth scan timing, and the third scan timing and the first scan timing The second scan timing and the fourth scan timing may be sequential.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트미터는 상기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버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has the same driver signal generation timing as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second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and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our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is the first transmitter. 1 may have the same drive signal generation timing as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multiple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1 트랜트미터는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 2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버 신호 발생 타이밍을 갖을 수 있다.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third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may have the same driver signal generation timing as the second transmitter of the fifth combined function input button.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제 1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터치 신호와 상기 텍스트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 2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process and transmit the touch signal and the text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o a second controller.

상기 서킷레이어는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트랜스미터로 드라이브 신호를 전달하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리시버로부터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신호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ircuit layer may include a drive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a transmitter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a scan signal receiving unit to receive a scan signal from a receiver of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ve.

상기 제 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복수의 전기적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2, 3, 4,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1,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4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1, 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 1,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to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have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and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The secon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first and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the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of the first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The four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and the fifth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of the first and third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s. Can be.

도 1 내지 29 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 장치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고 텍스트 입력 장치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의 유형 및 사용되는 기술은 당업자에 의해 기본 목적을 달리하지 않은 채 변경 내지 대치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1 to 29 illustrate an example of a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a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to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ings that can be changed or replaced without changing the basic purpose.

도 3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30 is an example of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버튼(3100), 푸쉬 입력에 따른 버튼(3100)의 하강에 따라 키값을 획득하는 스위치(3200), 버튼(3100)에 포함된 일렉트로드(3130)의 터치 입력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에 획득하는 서킷(3400)을 형성하는 전기 연결 부재(3300) 및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한 터치 좌표값의 산출을 비롯한 각종 정보와 전기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콘트롤러(3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tton 3100 for receiving a push input or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a drop of a button 3100 according to a push input. The switch 3200 for acquiring a key value,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for forming a circuit 3400 for acquiring the capacitance chang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electrorod 3130 included in the button 3100, and the capacitance change.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calculation of a touch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여기서, 푸쉬 입력이란, 버튼(3100)에 물리적 압력을 가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버튼(3100)이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하강을 유도하여 버튼(3100)이 스위치(3200)에 닿거나 스위치(3200)를 눌러 스위치(3200)가 해당 스위치(3200)에 할당된 키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푸쉬 입력은 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키보드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때 텍스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Here, the push input is a user input that applies physical pressure to the button 3100. The button 3100 causes the button 3100 to desce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so that the button 3100 touches the switch 3200 or presses the switch 3200. Means a user input for the switch 3200 to output the key value assigned to the switch 320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ush input may be mainly used as a user input for text input 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is utilized as a keyboard interface.

또 여기서, 터치 입력이란, 버튼(310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버튼(3100)에 내장된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유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정전 용량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터치 문턱값 이상인 경우를 터치 입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입력은 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마우스 인터페이스나 디지타이저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때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refers to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button 3100, and means a user input of inducing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3130 embedded in the button 3100. In this case, the case where the change in capacitance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ouch threshold may be understood as a touch inpu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ouch input may be mainly used as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is used as a mouse interface or a digitizer interfac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전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키보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와 키보드가 결합된 노트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board as shown in FIG. 9 or in the form of a notebook in which a display and a keyboard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8.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는 미리 정해진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31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3100)은 본 명세서에서 도 10, 도 14, 도 25 또는 도 28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3100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board layout. Here, the button 3100 may correspond to the composite function input butt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14, 25, or 28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버튼(3100)은 키캡(3110), 버튼 보디(3120) 및 일렉트로드(3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캡(3110)과 버튼 보디(3120)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고, 일렉트로드(3130)는 키캡(3110)과 버튼 보디(3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버튼(3100)은 키캡(3110), 일렉트로드(3130), 버튼 보디(3120)이 차례로 적층 결합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The button 3100 may include a keycap 3110, a button body 3120, and an electrorod 3130. Here, the keycap 3110 and the button body 312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electrorod 3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3110 and the button body 3120. In other words, the button 3100 may be provided by stacking the keycap 3110, the electrod 3130, and the button body 3120 in this order.

키캡(3110)은 버튼(3100)의 상면, 즉 키보드 레이아웃 상의 노출면 배치된다. 키캡(3110)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키캡(3110)을 눌러 타이핑를 위한 푸쉬 입력을 수행하거나 키캡(3110)을 만져 포인터 조작(예를 들어, 마우스 커서의 이동 등)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키캡(3110)에는 타이핑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keycap 3110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3100, that is, an exposed surface on the keyboard layout. The keycap 311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That is, the user may press the keycap 3110 to perform a push input for typing or touch the keycap 3110 to perform a touch input for pointer manipulation (for example, movement of a mouse cursor). In addition, the keycap 3110 may be printed with a character assigned to the button for the convenience of typing.

버튼 보디(3120)는 키캡(3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버튼 보디(3120)는 키캡(3110)을 통해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이 입력되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즉 승강할 수 있다. 버튼 보디(3120)가 하강하면 스위치(3200)를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스위치(32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동작에 의해 스위치(3200)는 버튼(3100)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할 수 있다. The button body 3120 is disposed below the keycap 3110. The button body 3120 may move up and dow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n a push inpu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input through the keycap 3110. When the button body 3120 is lowered, the switch 3200 may be physically pressed or electrically contacted to the switch 32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of the switch 3200 may acquire a key value assigned to the button 3100.

일렉트로드(3130)는 키캡(3110)과 버튼 보디(3120) 사이에 개재된다. 일렉트로드(3130)는 키캡(3100)에 터치 입력에 입력되면 그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The elector 3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3110 and the button body 3120. When the electric load 3130 is input to the keycap 3100 by a touch input, its capacitance changes, and thus the touch input may be sensed.

일렉트로드(3130)는 복수의 블록(3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블록(3130’) 중 일부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블록 그룹(31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블록(3130’)의 나머지 일부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한 방향인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블록 그룹(313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블록 그룹(3131)과 제2 블록 그룹(31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블록 그룹(3131, 3132)을 형성하는 블록들(3130’)이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이외에도 전선이나 전도체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물리적으로는 간접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electrification 3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cks 3130 '. Some of these blocks 3130 'may form a first block group 3131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n addition, the remaining part of the block 3130 ′ may form a second block group 3132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on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n this case, the first block group 3131 and the second block group 31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locks 3130 'forming the block groups 3131 and 3132 are physical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physically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means such as wires or conductors.

구체적으로 일렉트로드(3130)는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부(1130)와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In detail, the electrification 3130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electrification unit 1130 illustrated in FIG. 11.

여기서, 일렉트로드(3130)는 일렉트로드부(113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블록들(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여기서, 몇몇 블록들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블록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블록 그룹 - 세 개의 블록들(1101, 1102, 1103)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그룹과 다른 세 개의 블록들(1104, 1105, 1106)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그룹과 또 다른 세 개의 블록들(1107, 1108, 1109)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그룹 - 이 제1 블록 그룹(3131) 또는 제2 블록 그룹(313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도 11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블록 그룹 - 두 개의 블록들(1110, 1111)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그룹과 다른 두 개의 블록들(1112, 1113)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그룹 - 이 제1 블록 그룹(3131) 또는 제2 블록 그룹(3132)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Here, the electrification 3130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blocks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and 1113, similarly to the electrification unit 1130. have. Here, some block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block group. For example, in FIG. 11, a block group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a block group formed by three blocks 1101, 1102, and 1103 and a block formed by three other blocks 1104, 1105, and 1106. A group of blocks formed by the group and three other blocks 1107, 1108, and 1109-may be either the first block group 3131 or the second block group 3132. Also, in FIG. 11, a block group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block group formed by two blocks 1110 and 1111 and a block group formed by two other blocks 1112 and 1113, are first block groups. 3131 or the other of the second block group 3132.

한편, 키캡(3110)은 상술한 커버부에, 버튼 보디(3120)는 상술한 베이스부 또는 상부 지지부에, 일렉트로드(3130)는 상술한 일렉트로드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캡(3110)은 도 10, 도 14, 도 25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버부(1010, 2811)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버튼 보디(3120)는 도 10, 도 14, 도 25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부(1030, 2932) 또는 상부 지지부(1040)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일렉트로드(3130)는 도 10, 도 14, 도 25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렉트로드부(1020)일 수 있다. Meanwhile, the keycap 3110 may correspond to the cover portion, the button body 3120 may correspond to the base portion or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electrorod 3130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rod portion. For example, the keycap 3110 may be the cover parts 1010 and 281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4, 25, and 28. For example, the button body 3120 may be the base portions 1030 and 2932 or the upper support portion 10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4, 25, and 28. For example, the electroload 3130 may be the electroload unit 10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4, 25, and 28.

또 버튼(311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0, 도 14, 도 25 및 도 28을 참조하여 이미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버튼(3110)의 구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일렉트로드(3130)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8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이미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일렉트로드(3130)의 형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button 3110 has already been sufficient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4, 25, and 28,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utton 3110 will be omitted. Similarly, since the shape of the electrification 3130 has already been sufficient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and 18 to 2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electrification 3130 will be omitted.

스위치(3200)는 버튼(3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3200)는 버튼(3100)이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버튼 레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 상에 복수 개가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버튼(3100) 각각에 대응하도록 버튼(3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witch 3200 is located below the button 3100. For example, the switch 3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31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3100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on a substrate positioned below the button layer where the buttons 3100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It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스위치(3200)는 사용자의 상하 방향 푸쉬 입력에 따라 버튼(3100)이 하강하면, 버튼(3100)과 접촉하거나 버튼(3100)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3200)는 대응하는 버튼(3100)에 해당하는 키값을 획득 또는 출력할 수 있다. The switch 3200 may contact the button 3100 or may be pressed by the button 3100 when the button 3100 is lowered according to a push input of the us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ly, the switch 3200 may acquire or output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3100.

스위치(3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도 10, 도 28을 참조하여 이미 상세히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witch 3200 has been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10, and 28,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기 연결 부재(3300)는 복수의 버튼(3100) 사이에서 블록 그룹들(3131, 3132)을 연결하여 서킷(34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연결 부재(3300)는 도 10나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지지부(1040)에 부착되는 제1 전도체(1080, 1441)와 하부 지지부(1050, 1060)에 부착되는 제2 전도체(1090, 1442)와 같은 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전기 연결 부재(3300)는 도 10, 도 14,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대표적인 전기 연결 부재(3300)의 양태로는 FPCB 상에 프린팅 되는 패턴을 통해 구현되는 형태나 스위치(3200)가 설치되는 기판과 승강하는 버튼(3100)에 각각 설치되는 도전체 형태를 들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may connect the block groups 3131 and 3132 between the plurality of buttons 3100 to form the circuit 3400. 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may include a first conductor 1080 and 1441 attached to the upper support 1040 and a second conductor attached to the lower support 1050 and 1060 as shown in FIG. 10 or 14. 1090, 144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FIGS. 10, 14, and 27 to 29. In summary, the representativ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may include a form implemented through a pattern printed on the FPCB, or a conductor installed on each of the substrate 3 and the button 3100 on which the switch 3200 is installed. Can be mentioned.

전기 연결 부재(3300)는 단일의 버튼(31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3130)의 블록들(3130’) 중 일렉트로드(3130)의 면 상에서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블록들(313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성립시킬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locks 3130 'that are not physically connec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rod 3130 of the blocks 3130' of the electrorod 3130 belonging to the single button 3100. The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또 전기 연결 부재(3300)는 인접하는 버튼(3100) 간에서 각 버튼(3100)의 일렉트로드(3130)에 형성된 블록 그룹(3131, 3132)을 연결하는 형태로 다수의 버튼(3100)에 대해 연속적으로 블록 그룹(3131, 3132)을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uttons 3100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block groups (3131, 3132) formed on the elector 3130 of each button 3100 between the adjacent button 3100. Block groups 3131 and 313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전기 연결 부재(33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제1 방향 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31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3130)의 제1 블록 그룹(3131)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연결 부재(33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제2 방향 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31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3130)의 제2 블록 그룹(3132)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스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may include a first block group of the electrode rods 3130 belonging to a plurality of buttons 3100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The drive lines may be formed by successively connecting the 3131s.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group of the electric rods 3130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buttons 3100 arranged o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may be provided. The scan lines may be formed by successively connecting the 3132.

여기서, 드라이브 라인 상에 배열되는 제1 블록 그룹(3131)은 상술한 트랜스미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스캔 라인 상에 배열되는 제2 블록 그룹(3132)은 상술한 리시버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block group 3131 arranged on the drive line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transmitter, and the second block group 3132 arranged on the scan line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receiver.

드라이브 라인에는 드라이브 신호가 인가되며, 드라이브 신호는 전기 연결 부재(3300)에 의해 드라이브 라인 상에 위치하는 제1 블록 그룹들(3131)에 인가되어 일렉트로드(3130)에 정전 용량을 유도할 수 있다. 또 스캔 라인에서는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일렉트로드(3130)에 유도된 정전 용량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반영하는 스캔 신호가 처리될 수 있다. 스캔 신호는 전기 연결 부재(3300)에 의해 스캔 라인 상에 위치하는 제2 블록 그룹들(3132)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The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e line, and the drive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first block groups 3131 positioned on the drive line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to induce capacitance in the electroload 3130. . In addition, in the scan line, a scan signal reflect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by the drive signal 3130 by a user's touch input may be processed. The scan signal may be a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in the second block groups 3132 positioned on the scan line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드라이브 라인과 스캔 라인 구성 및 드라이브 신호와 스캔 신호의 처리 등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8 내지 도 22을 참조한 설명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Mo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line and the scan line, the processing of the drive signal and the scan signal, and the like are already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and 18 to 22,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콘트롤러(350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CPU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콘트롤러(3500)는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콘트롤러(3500)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펌웨어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or a similar device according to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ontroller 35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ircuit that hardwarely processes an electrical signal to perform a control func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processed by the hardware controller 3500 in software, an application, firmware, or the like.

콘트롤러(3500)는 전자 신호의 처리나 정보의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35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하거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3500)는 스캔 라인으로부터 스캔 신호를 획득하고,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트롤러(35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0 may perform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information processing, or calcula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r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3500 may acquire a scan signal from the scan line and calculate a touch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scan signal.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3500 may perform a mod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이외에도 콘트롤러(35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각종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기능이나 동작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콘트롤러(35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or operations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unction or ope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be interpreted as being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0 unless otherwise noted.

도 31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텍스트 입력의 신호 처리에 관한 일 예이다.FIG. 31 is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of a text input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of FIG. 30.

도 31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소정의 버튼(3100)이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받으면, 버튼(3100)이 하강하고, 하강된 버튼(3100)은 해당 버튼(3100)과 정합되어 있는 스위치(3200)와 접촉하거나 스위치(3200)를 눌르고, 이로 인해 스위치(3200)에서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한 전기 신호는 해당 스위치(3200)에 대한 식별 정보, 즉 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푸쉬 입력을 받은 버튼(3100)에 해당하는 키값을 키보드 입력으로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31, when a predetermined button 3100 receives a push input from a user,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have a button 3100 lowered, and the lowered button 3100 may have a corresponding button 3100. Contact with the switch 3200 or press the switch 3200, which causes the switch 3200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switch 3200, that is, a key identifier. The controller 3500 receives an electric signal and output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3100 that receives the push input as a keyboard input based on the electric signal.

여기서, 키보드 입력이 반영 또는 포함하는 키값이란 문자값일 수 있다. 다만, 키값과 문자값이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기능키(‘F1’~’F12’ 또는 ‘END’, ‘SHIFT’, ‘Print Screen’, ‘ESC’ 키, 방향키 등)에 해당하는 버튼(3100)은 문자값 대신 기능값을 키값으로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키값과 문자값의 구분의 실익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키값과 문자값이 서로 대응되는 개념인 것으로 취급한다. Here, the key value reflected or included in the keyboard input may be a character value. However, the key and character values are not always the same. For example, a button 3100 corresponding to a function key ('F1' to 'F12' or 'END', 'SHIFT', 'Print Screen', 'ESC' key, arrow key, etc.) may select a function value instead of a character value. It can have a key value.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sinc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re is no benefit of distinguishing a key value and a character value, it is assumed that the key value and the character value correspond to each other as necessary.

한편, 키값과 키 식별자는 서로 상이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버튼(3100)에 둘 이상의 키값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문자 ‘A’가 할당되어 있는 버튼에는 소문자 ‘a’가 함께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3500)는 스위치(3200)로부터 동일한 키 식별자를 수신하더라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대문자 입력 모드인지 소문자 입력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A’와 ‘a’ 중 키값을 선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key value and the key identifier are different concepts. For example, two or more key values may be set in one button 3100. For example, a button to which an uppercase letter 'A' is assigned may be assigned a lowercase letter 'a'. In this case, even if the controller 3500 receives the same key identifier from the switch 3200, the controller 3500 may select a key value among 'A' and 'a' according to whether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in the uppercase input mode or the lowercase input mode. Can be.

도 32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마우스 입력의 신호 처리에 관한 일 예이다. 32 is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of a mouse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32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드라이브 신호와 스캔 신호를 일렉트로이드(3130)에 인가하고 수신할 수 있다. 드라이브 신호와 스캔 신호는 콘트롤러(3500)에서 출력되어 전기 연결 부재(3300)에 의해 형성된 드라이브 라인과 스캔 라인을 통해 각각 제1 블록 그룹(3131)과 제2 블록 그룹(3132)에 대해 송수신될 수 있다.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일렉트로드(3130)에 유도된 정전 용량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변화되며, 콘트롤러(3500)가 그 변화량을 반영하는 스캔 신호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32,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apply and receive a drive signal and a scan signal to the electroid 3130. The drive signal and the scan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controller 3500 and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the first block group 3131 and the second block group 3132 through the drive line and the scan line formed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300, respectively. have. The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to the electro load 3130 is changed by a user's touch input, and the controller 3500 receives a scan signal reflecting the amount of change.

콘트롤러(3500)는 다수의 드라이브 라인과 다수의 스캔 라인에서의 드라이브 신호 주기와 스캔 신호 주기, 스캔 신호 주기 별 스캔 신호가 반영하는 정전 용량 변화값 등을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획득, 출력할 수 있다. 통산적으로 터치 좌표값은 디스플레이 상의 가로 방향에 해당하는 x 좌표값, 디스플레이 상의 세로 방향에 해당하는 y 좌표값을 포함하는 (x,y)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값에 시간 정보를 추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터치 정보는 해당 터치 좌표값을 발생시킨 터치 입력의 터치 입력 시간 t를 더 포함하는 (x,y,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좌표값과 터치 정보 간의 구분의 실익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터치 좌표값과 터치 정보는 혼용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controller 3500 calculates touch coordinate values in consideration of drive signal cycles, scan signal cycles, and capacitance change values reflected by the scan signals for each scan signal cycle in the plurality of drive lines and the plurality of scan lines, and includes the same. The touch information may be acquired and output. In general, the touch coordinate value may have a form (x, y) including an x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display and a y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vertical direction o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0 may obtain touch information in which tim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The touch information may have a form (x, y, t) further including a touch input time t of a touch input that generates a corresponding touch coordinate value.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re are most cases in which there is no benefit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touch informati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touch inform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terchangeable unless otherwise stated.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값(또는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마우스 입력을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 입력은 터치 좌표값과 다소 상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마우스 입력은 (x’,y’) 또는 (x’,y’,t)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마우스 입력과 터치 좌표값 간의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겠다.The controller 3500 may obtain and output a mouse input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r touch information). Here, the mouse input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Typically, mouse input can take the form of (x ', y') or (x ', y', 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use input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will be given later.

여기서, 마우스 입력이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포인터(P)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주로 마우스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포인터(P)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마우스 입력을 이용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값이나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마우스 입력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마우스 입력이 수신되면, 운영 체제나 마우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마우스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P)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Here, the mouse input may refer to an input mainly output from a mouse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displayed on the display.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smartphone, a tablet, or the like may use a mouse inpu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controller 3500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generate a mouse input based on touch coordinate values or touch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mouse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mouse input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mouse input by using an operating system or a mouse driver interface.

물론,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도 8에서처럼 상기 전자 기기에 임베디드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3500)는 직접 생성한 마우스 입력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운영 체제나 마우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별도의 연산 유닛이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별도의 연산 유닛에 마우스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Of course, whe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provided in an embedded form in th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3500 move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use input. Alternatively, a separate computing unit that processes an operating system or a mouse driver interface may transmit a mouse input to the separate computing unit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FIG.

이상에서 언급한 마우스 입력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The mouse input mentioned above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 상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3010)에 터치 입력을 입력하면, 콘트롤러(3500)는 스캔 라인으로부터 일렉트로드(3130)에서 감지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반영하는 스캔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영역(301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1000)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영역(3010)은 복수의 버튼(3100) 중 일렉트로드(3130)가 구비된 버튼들(3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input to the touch area 3010 formed 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he controller 3500 reflect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sensed by the electric load 3130 from the scan line. The scan signal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can signal. Here, the touch area 3010 is an area formed i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1000. The touch area 3010 refers to an area in which a touch coordinate value can be calculated by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In general, the touch area 3010 may be formed on the buttons 3100 having the electrorod 3130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3100.

다음으로,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 변동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좌표값은 앞선 언급한 (x,y) 형태에 해당하고, 터치 좌표 변동값은 (x’,y’)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500)는 현재 터치 좌표값과 이전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터치 좌표 변동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현재 터치 좌표값이란 현재 시점의 스캔 신호 주기에 획득된 스캔 신호로부터 산출된 터치 좌표값이고, 이전 터치 좌표값이란 현재 시점의 스캔 신호 주기 직전의 스캔 신호 주기에 획득된 스캔 신호로부터 산출된 터치 좌표값일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the touch coordinate variation value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Here, the touch coordinate value may correspond to the aforementioned (x, y) form, and the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may correspond to the form (x ', y').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a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and a previous touch coordinate value. In this case,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is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the scan signal acquired in the scan signal period of the current view, and the previous touch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scan signal acquired in the scan signal period immediately before the scan signal period of the current view. It may be a touch coordinate value.

여기서, 터치 좌표 변동값은 이전 터치 좌표값에 대한 현재 터치 좌표값의 차이이므로 ‘상대 좌표값’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Here, the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may be referred to as a "relative coordinate value" because i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previous touch coordinate value.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 변동값을 마우스 입력으로 획득, 출력할 수 있다. 마우스 입력을 획득한 전자 기기나 별도의 내부 연산 유닛 또는 콘트롤러(3500) 자체는 마우스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P)를 이동시키거나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0 may acquire and output the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with a mouse input. The electronic device that acquires the mouse input, the separate internal computing unit, or the controller 3500 itself may move the pointer P on the display or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mouse input.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 변동값을 마우스 입력으로 획득해 출력하는 대신, 콘트롤러(3500)는 터치 정보와 함께 해당 터치 정보가 마우스 입력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전달하여, 전자 기기나 별도의 내부 연산 유닛이 직접 마우스 입력을 생성하여 포인터(P)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instead of acquiring and outputting the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with a mouse input, the controller 35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touch information is a mouse input together with the touch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the electronic device or a separate internal computing unit to directly generate a mouse input to perform the position control of the pointer P.

도 33 및 도 34는 도 32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포인터(P)의 동작에 관한 일 예이다.33 and 34 illustrate examples of an opera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mouse input of FIG. 32.

도 3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영역(3010) 상의 제1 위치(L1)로부터 제2 위치(L2)까지 드래그 형태의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이와 같은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터치 좌표 변동값을 획득하고, 이를 마우스 입력으로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a user may input a drag type touch input from a first position L1 to a second position L2 on the touch area 3010.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touch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n real time, obtain a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the calculated coordinate value, and output the same as a mouse input.

도 34를 참조하면, 이러한 마우스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는 드래그 경로에 대응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터치 영역(3010) 상의 제1 위치(L1)에 대응하는 스크린(10) 상의 제1 지점(D1)으로부터 제2 위치(L2)에 대응하는 제2 지점(D2)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displayed by the mouse input may be processed to move along a path corresponding to the drag path, and finally, the first position on the touch area 3010. It may be moved from the first point D1 on the screen 10 corresponding to L1 to the second point D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L2.

도 35 및 도 36은 도 32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포인터(P)의 동작에 관한 다른 예이다.35 and 36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mouse input of FIG. 32.

도 3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영역(3010) 상의 제1 위치(L1)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입력하고, 다른 터치 입력 없이 제2 위치(L2)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위치(L1)를 터치한 후 공중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뒤 제2 위치(L2)를 터치한 경우이다. 이러한 두 번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콘트롤러(3500)에서는 두 번의 터치 입력이 시간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인 터치 좌표값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터치 좌표 변동값을 생성하지 않는다. 즉, 콘트롤러(3500)는 마우스 입력인 상대 좌표값을 ‘0’으로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 a user may input a touch input of touching the first location L1 on the touch area 3010 and a touch input of touching the second location L2 without another touch input. For example, after the first position L1 is touched and the finger is moved in the air, the second position L2 is touched. When such two touch inputs occur, the controller 3500 does not generate a change in the touch coordinates since the two touch input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ore. That is,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relative coordinate value that is a mouse input as '0'.

따라서 도 36을 참조하면, 마우스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는 제1 위치(L1)를 터치하는 시점에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가 표시되는 제3 지점(D3) 상에서 포인터(P)를 이동되지 않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 36,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displayed by the mouse input is a third point at which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is displayed at the time when the first position L1 is touched. It can be treated that the pointer P is not moved on (D3).

도 37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디지타이저 입력의 신호 처리에 관한 일 예이다. FIG. 37 is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of a digitizer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 정보는 마우스 입력과는 다소 상이한 디지타이저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다. The touch inform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7 may be treated as a digitizer input that is somewhat different from a mouse input.

마우스 입력은 마우스의 이동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지점의 차이값, 즉 상대 좌표값의 형태로 포인터(P)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반면, 디지타이저 입력은 터치 영역(3010)과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10)이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입력이다. 즉, 디지타이저 입력에서는 스크린(10) 상의 특정 지점들에 터치 영역(3010)의 터치 좌표값들이 대응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타이저 입력은 터치 영역(3010) 자체가 스크린(10)에 매칭되어 있어 그림이나 디자인, 설계 도면 작성 등에 장점을 가지므로, 종래의 디지타이저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산업 영역이나 예술, 디자인 영역 등에서 마우스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The mouse input is us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in the form of a difference value of the sensing point, that is, a relative coordinate valu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use or the movement of the touch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On the other hand, the digitizer input is an input in which the touch area 3010 and the displayed screen 10 correspond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digitizer input, touch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 area 3010 correspond to specific points on the screen 10. In general, the digitizer input has advantages such as drawing, design, and design drawing since the touch area 3010 itself is matched to the screen 10, and thus, the conventional digitizer interface is used instead of the mouse in various industrial areas, arts, and design areas. There are many cases.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값이나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을 생성하고,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디지타이저 입력이 수신되면, 운영 체제나 디지타이저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도 8에서처럼 상기 전자 기기에 임베디드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3500)는 직접 생성한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하거나, 또는 운영 체제나 디지타이저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별도의 연산 유닛이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별도의 연산 유닛에 디지타이저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ler 3500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generates a digitizer input based on touch coordinate values or touch information and controls a posi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PC: Personal Computer) or laptops, smartphones, tablet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When the digitizer input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by using an operating system or a digitizer driver interface. Of course, whe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provided in an embedded form in th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350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generated directly, or A separate computing unit that handles the operating system or the digitizer driver interface may pass the digitizer input to the separate computing unit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이상에서 언급한 디지타이저 입력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The digitizer input mentioned above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 상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3010)에 터치 입력을 입력하면, 콘트롤러(3500)는 스캔 라인으로부터 일렉트로드(3130)에서 감지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반영하는 스캔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input to the touch area 3010 formed 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he controller 3500 reflect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sensed by the electric load 3130 from the scan line. The scan signal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can signal.

다음으로, 콘트롤러(3500)는 터치 영역과 스크린(10)의 해상도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에 대응되는 스크린(10)의 지점값을 산출하고 이를 디지타이저 입력으로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10)의 지점값은 스크린(10) 해상도 상의 좌표값일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the point value of the screen 10 correspon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 area and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10, and may obtain and output the point value as a digitizer input. Here, the point value of the screen 10 may be a coordinate value on the screen 10 resolution.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한 전자 기기나 연산 유닛 또는 콘트롤러(3500) 자체는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인터(P)의 위치를 스크린(10)의 지점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The electronic device, the computing unit, or the controller 3500 itself that obtains the digitizer input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is set to the point value of the screen 10.

여기서, 디지타이저 입력은 터치 영역(10) 내의 터치 좌표들이 디스플레이 상의 스크린(10) 내의 지점들과 매칭되어 있으므로 ‘절대 좌표값’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Here, the digitizer input may be referred to as an "absolute coordinate value" because the touch coordinates in the touch area 10 match the points in the screen 10 on the display.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콘트롤러(3500)는 스크린(10)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을 스크린(10) 상의 지점값으로 변환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으로 획득하는 대신, 터치 좌표값 자체를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고, 전자 기기나 연산 유닛이 직접 지점값(해상도값)을 산출하여 포인터(P)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ler 3500 converts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to a point value on the screen 10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10 to obtain the digitizer input, instead of obtain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itself.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the electronic device or arithmetic unit to directly calculate the point value (resolution value) to perform the position control of the pointer P.

도 38은 도 37에 따른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른 포인터(P)의 동작에 관한 일 예이다.FIG. 38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of FIG. 37.

도 3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영역(10) 상의 제1 위치(L1)로부터 제2 위치(L2)까지 드래그 형태의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이와 같은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a user may input a drag type touch input from a first position L1 to a second position L2 on the touch area 10.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touch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n real time, and output a digitizer input based on the calculated coordinate value.

이러한 디지타이저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는 드래그 경로에 대응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터치 영역(3010) 상의 제1 위치(L1)에 대응하는 스크린(10) 상의 제1 지점(D1)으로부터 제2 위치(L2)에 대응하는 제2 지점(D2)로 이동될 수 있다.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displayed by the digitizer input may be processed to move along a path corresponding to the drag path, and finally, corresponds to the first position L1 on the touch area 3010. It may be moved from the first point D1 on the screen 10 to the second point D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L2.

도 39는 도 37에 따른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른 포인터(P)의 동작에 관한 다른 예이다. 39 i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P according to the digitizer input of FIG. 37.

도 3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영역(10) 상의 제1 위치(L1)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입력하고, 드래그 등 없이 바로 제2 위치(L2)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번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콘트롤러(3500)에서는 두 번의 터치 입력이 시간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는 각각 스크린(10) 상의 제1 지점(D1)과 제2 지점(D2)에 매칭되어 있으므로, 제1 위치(L1)에 의한 디지타이저 입력은 제1 지점(D1)를 지시하고, 제2 위치(L2)에 의한 디지타이저 입력은 제2(D2) 지점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타이저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는 제1 위치(L1)를 터치하는 시점에 스크린(10) 상의 제1 지점(D1)에 위치되고, 제2 위치(L2)를 터치하는 시점에는 제1 지점(D1)으로부터 제2 지점(D2)으로 점프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9, a user may input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first location L1 on the touch area 10, and input a touch input for directly touching the second location L2 without dragging. When the two touch inputs occur, the two touch input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ore in the controller 3500. However, since the first position L1 and the second position L2 are matched with the first point D1 and the second point D2 on the screen 10, respectively, the digitizer input by the first position L1 is performed. May indicate the first point D1 and the digitizer input by the second position L2 may indicate the second point D2. Thus,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being displayed by this digitizer input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D1 on the screen 10 at the time when the first position L1 is touched, and the second position ( The touch point L2 may be processed by jumping from the first point D1 to the second point D2.

도 40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모드 전환에 관한 일 예이다. 40 is an example of mode switching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40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키보드 모드, 마우스 모드 및 디지타이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0,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perform a keyboard mode, a mouse mode, and a digitizer mode.

여기서, 키보드 모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사용자가, 키보드 레이아웃으로 배열된 버튼(3100)에 대해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푸쉬 입력에 의해 하강하는 버튼(3100)이 스위치(3200)를 작동시킴에 따라 푸쉬 입력이 인가된 버튼(3100)에 할당된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을 입력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한편, 키보드 모드는 주로 텍스트 입력을 위하여 이용되므로 ‘텍스트 모드’ 또는 ‘텍스트 입력 모드’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in the keyboard mod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performs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utton 3100 arranged in a keyboard layout, so that the button 3100 lowered by the push input is provided. As the switch 3200 is operated, the keyboard input reflects the key value assigned to the button 3100 to which the push input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keyboard mode is mainly used for text input, it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text mode' or 'text input mode'.

또 마우스 모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사용자가, 일렉트로드(3130)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영역(3010)에 대해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상술한 마우스 입력을 이용하여 포인터(P)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모드이다.In addition, in the mouse mode,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on the touch area 3010 formed by the electric load 3130 by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he pointer P may be us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ouse input. This mode controls the movement of).

또 디지타이저 모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사용자가, 일렉트로드(3130)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영역(3010)에 대해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상술한 디지타이저 입력을 이용하여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모드이다.In the digitizer mode, when the user inputs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o touch the touch area 3010 formed by the electric load 3130, the pointer P may be used by using the digitizer input described above. Mode to control the position of).

한편, 마우스 모드와 디지타이저 모드는 주로 포인터(P)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므로 ‘포인팅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마우스 모드와 디지터아저 모드는 둘 모두 터치 입력에 기반하므로 ‘터치 모드’ 또는 ‘터치 입력 모드’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e mouse mode and the digitizer mode are mainly used to control the pointer P, it may be referred to as a “pointing mode”. In addition, since both mouse mode and digitizer mode are based on touch input, the term “touch mode” or “touch input mode” can be expressed.

본 실시예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에서 콘트롤러(3500)는 위의 세 개의 모드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드 전환의 방식은 상술한 모드 전환부나 모드 전환 방법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에서 키보드 모드와 디지타이저 모드 간의 직접 전환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는 텍스트 모드와 디지타이저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은 마우스 모드를 거쳐서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he controller 3500 may switch between the above three modes. Since the mode switching method may b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mode switching unit or mode switching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direct switching between the keyboard mode and the digitizer mode may not be allowed in the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n this case, the mode switching between the text mode and the digitizer mode may be performed only through the mouse mod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모드 전환에 의해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면, 콘트롤러(3500)는 터치 입력을 디지타이저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digitizer mode by changing the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touch input as the digitizer input.

이를 위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스크린(10)에 대응하는 터치 영역(3010)을 설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set the touch area 3010 corresponding to the screen 10.

도 41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3010)의 설정에 관한 일 예이다.FIG. 41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touch area 3010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41를 참조하면, 터치 영역(3010)은 터치 입력 센싱을 위한 일렉트로드(3130)를 구비하는 버튼(3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타이저 입력을 위한 터치 영역(3010)은 키보드 레이아웃 상에 직사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영역(3010)은 스크린(10)과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1, the touch area 3010 may be formed by a button 3100 having an electrorod 3130 for touch input sensing. Typically, the touch area 3010 for digitizer inpu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similar shape on the keyboard layout. The rectangular touch area 3010 may be matched with the screen 10.

한편, 이상에서는 마우스 입력을 위한 터치 영역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왼손 터치 영역(108a, 108b)로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mentioned above that the touch area for mouse input may be implemented as the right / left hand touch areas 108a and 108b as shown in FIG. 1.

도 42 및 도 43은 도 41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3010)과 마우스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 간의 관계에 관한 일 예이다.42 and 43 are examples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 area 3010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and the touch area according to the mouse mode of FIG. 41.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 구비된 전체 터치 가능 영역(3010’)이 디지타이저 모드에서 이용되는 터치 영역(3010)으로 세팅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영역(3010)은 스크린(10)과 매칭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왼손 터치 영역(108a, 108b)을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42 and 43, the entire touchable area 3010 ′ provided i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set as the touch area 3010 used in the digitizer mode. Since the touch area 3010 is matched with the screen 10, the touch area 3010 may be set to include both the right / left hand touch areas 108a and 108b.

예를 들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도 1의 오른손 터치 영역(108b)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오른손 마우스 모드로부터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면, 오른손/왼손 터치 영역(108a, 108b)가 합쳐진 전체 영역을 터치 영역(3010)으로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이 상태에서 다시 마우스 모드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다시 오른손 터치 영역(108b)으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2, whe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digitizer mode from the right-hand mouse mode that receives a touch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right-hand touch area 108b of FIG. 1, the right hand / The entire area where the left hand touch areas 108a and 108b are combined may be changed to the touch area 3010. Of course, when the mode is switched back to the mouse mode in this stat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sense the touch input to the right hand touch area 108b again.

반대로, 예를 들어,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도 1의 왼손 터치 영역(108a)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왼손 마우스 모드로부터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면, 오른손/왼손 터치 영역(108a, 108b)가 합쳐진 전체 영역을 터치 영역(3010)으로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이 상태에서 다시 마우스 모드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다시 왼손 터치 영역(108a)으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contra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3, whe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digitizer mode from the left-hand mouse mode that receives a touch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left-hand touch area 108a of FIG. 1, The entire area in which the right / left hand touch areas 108a and 108b are combined may be changed to the touch area 3010. Of course, when the mode is switched back to the mouse mode in this stat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sense the touch input to the left hand touch area 108a again.

한편, 이상에서는 디지타이저 모드에서 터치 영역(3010)이 스크린(10) 전체에 매칭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의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을 설정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ouch area 3010 is matched with the entire screen 10 in the digitizer mode.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set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도 44 및 도 45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3010)의 설정에 관한 다른 예이다.44 and 45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setting the touch area 3010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디지타이저 모드에 진입할 때, 콘트롤러(3500)는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 후 최초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터치 좌표값과 현재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의 지점값이 서로 매칭되도록 터치 영역(3010)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모드 진입 후 최초의 터치 입력을 상이한 위치에 입력하면, 스크린(10)과 터치 영역의 매칭 관계가 상이할 수 있다. 44 and 45, 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digitizer mode, when the controller 3500 first enters the touch input after entering the digitizer mode,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is input. The touch area 3010 may be set to match the calculated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point value of the pointer P on the current screen 10. Therefore, even when entering the same digitizer mode as shown in FIGS. 44 and 45, if the first touch input is input at a different position after entering the mode,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10 and the touch area may be different.

즉, 도 41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 상의 터치 센싱 가능 영역(3010’) 전체가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으로 설정되고,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디지타이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와 스크린(10) 전체를 서로 매칭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터치 영역(3010)은 스크린(10)에 항상 고정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도 41과 같은 방식의 터치 영역(3010)의 설정에서는, 터치 영역(3010)에서 포인터(P)가 있는 지점에 해당하는 터치 좌표값을 정밀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스크린(10) 상에 위치하는 포인터(P)의 지점에서 바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 모드로 작업을 하다가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포인터(P)가 있는 지점에 대해 전자 서명을 하기 위해 디지타이저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서명을 시작하기 위해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전에 포인터(P)가 있는 지점을, 즉 서명의 시작 지점을 찾아가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한다. That is, in FIG. 41, the entire touch sensing area 3010 ′ 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set as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an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referred to as a digitizer. Since the touch area 3010 and the entire screen 10 are matched with each other in the low mode, the touch area 3010 is always fixed to the screen 10. Accordingly, in the setting of the touch area 3010 as shown in FIG. 41, since the touch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pointer P is located in the touch area 3010 is not precisely known, the user does not know the current screen 10.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a certain task immediately at the point of the pointer P located on the top. For example, when a user works in mouse mode and switches to digitizer mode to digitally sign a point where the current pointer (P) is on the display, the user may enter a pointer (before entering digitizer mode to start signing). You have to go through the troublesome task of finding the point where P) is,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signature.

그러나, 이와 달리 본 예에서는 현재 포인터(P)가 있는 지점과 모드 진입 후 최초인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매칭시키고, 이에 따라 터치 영역(3010)을 설정하므로 최초의 터치 위치가 바로 현재 포인터(P)가 있는 지점이 된다. 따라서, 도 44나 도 45와 같은 방식의 터치 영역(3010)의 설정에서는, 전체 터치 영역(3010)에서 포인터(P)의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 좌표값을 정밀히 알 필요 없이, 사용자가 디지타이저 모드에 진입한 뒤 현재 스크린(10) 상에 포인터(P)가 있는 지점에서 소정의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 모드로 작업을 하다가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포인터(P)가 있는 지점에 대해 서명을 하기 위해 디지타이저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서명을 시작하기 위해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전에 포인터(P)가 있는 지점을 찾아가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곧바로 임의의 터치 위치에서 서명을 시작하는 것만으로 포인터(P)가 있는 지점으로부터 서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However, in this example, since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fter the mode entry is matched with the point where the current pointer P is located, and the touch area 3010 is set accordingly, the first touch position is the current pointer ( It is the point where P) is located. Therefore, in the setting of the touch area 3010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44 and FIG. 45, the user enters the digitizer mode without precisely know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in the entire touch area 3010. After entering, a predetermined task may be immediately per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pointer P is present on the screen 10. For example, when a user works in mouse mode and switches to digitizer mode to sign a point where the current pointer P is on the display, the user may enter the pointer P before entering digitizer mode to start sign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igning operation from the point where the pointer P is located simply by starting the signing at any touch position without the cumbersome work of finding the point where there is).

그러나, 도 44 및 도 45에서처럼,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 시의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가 있는 지점과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후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이 매칭되도록 터치 영역(3010)을 설정하면, 경우에 따라 터치 영역(3010)이 화면의 일부만을 커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S. 44 and 45, the touch area 3010 is set to match the point where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matches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fter entering the digitizer mode. In some cases,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touch area 3010 covers only a part of the screen.

도 46은 도 44 및 도 45에 따른 터치 영역(3010) 설정 시 터치가 가능한 영역(3010’)의 외부로 터치 영역(3010)이 설정된 예시이다.4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ouch area 3010 is set outside the touchable area 3010 'when the touch area 3010 is set up according to FIGS. 44 and 45.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인터(P)가 스크린(10)의 우하단에 위차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한 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실제 터치가 가능한 전체 영역(3010’) 중 좌상단에 첫번째 터치 입력을 수행한 경우에는 디지터이자 모드의 터치 영역(3010)을 실제 스크린(10)에 매칭시키려고 할 때 설정하고자 하는 터치 영역(3010)의 일부가 실제 터치가 가능한 전체 영역(3010’) 밖으로 벗어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6, when the pointer P is positioned at the lower right end of the screen 10, the user touches the digitizer mode and then touches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Part of the touch area 3010 to be set when the touch area 3010 of the digital mode and the mode is to be matched to the actual screen 10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performed at the upper left of the entire area 3010 '. May escape outside the entire area 3010 ′ where the actual touch is possible.

또 이와 같이 터치 영역(3010)이 설정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서 실제 터치가 가능한 영역(3010’) 중 터치 영역(3010)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스크린(10)과 매칭이 되지 못해 디지타이저 모드에서 터치 영역(3010)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ouch area 3010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xcept for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touch area 3010 of the area 3010 ′ that can be actually touched is connected to the screen 10.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due to a mismatch.

따라서,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후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와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의 스크린(10) 상의 좌표를 매칭시켜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을 설정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지타이저 입력을 원하는 위치, 즉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스크린(10) 상에 포인터(P)가 있는 위치로부터 디지타이저 방식의 터치 입력을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체 터치 영역(3010’) 상에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 좌표와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의 위치가 터치 좌표가 크게 벗어나 있는 경우 - 예를 들어, 포인터(P)는 스크린(10) 상 각각 좌측, 우측,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데, 모드 진입 후 최초의 터치 좌표는 전체 터치 영역(3010’) 중 우측, 좌측, 하단, 또는 0상단에 위치한 경우 - 스크린(10)의 일부가 터치 영역(3010)에 매칭되지 못하거나 또는 전체 터치 영역(3010’) 중 많은 부분이 스크린(10)에 매칭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Therefore, after entering the digitizer mode, the touch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coordinates on the screen 10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are matched to set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Digitizer-type touch input can be star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igitizer input is desir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when the digitizer mode is entered, but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on the entire touch area 3010 '. When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coordinates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are largely out of touch coordinates, for example, the pointers P are located on the screen 10 on the left, right, top or bottom, respectively. , The first touch coordinate after entering the mode is located on the right, left, bottom, or top 0 of the entire touch area 3010 ′-A part of the screen 10 does not match the touch area 3010. Or a large part of the whole touch area (3010 '), there can be problems that can not be matched to the screen (10).

도 47은 도 46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3010)의 재설정에 관한 일 예이고, 도 48은 도 46의 디지타이저 모드에 따른 터치 영역(3010)의 재설정에 관한 다른 예이다.FIG. 47 is an example of resetting the touch area 3010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FIG. 46, and FIG. 48 is another example of resetting the touch area 3010 according to the digitizer mode of FIG. 46.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에 스크린(10)에 대응하는 터치 영역(3010a)은 스크린(10)의 우하단 부위에 위치하는 포인터(P)의 스크린(10) 상의 좌표값과 전체 터치 가능한 영역(3010’)의 좌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터치 좌표값을 서로 매칭시켜, 이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앞서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3010a)의 일부가 터치 가능 영역(3010’)에서 벗어나 있다. 따라서, 터치 가능 영역(3010’)에서 벗어난 터치 영역(3010a)에 매칭되는 스크린(10) 상의 영역에 대해서는 터치 입력이 불가능해진다. 반대로 이 상태에서는 앞서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가능 영역(3010’)의 많은 부분이 스크린(10)에 대응되지 못하므로 터치 가능 영역(3010’)의 활용도 역시 낮다.47 and 48,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the touch area 3010a corresponding to the screen 10 has a coordinate value on the screen 10 of the pointer P positioned at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screen 10.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s positioned at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entire touchable area 3010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are set based on this.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6, a part of the touch area 3010a is out of the touchable area 3010 ′. Therefore, touch input is impossible for an area on the screen 10 that matches the touch area 3010a that is out of the touchable area 3010 '.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6, since a large portion of the touchable area 3010 ′ does not correspond to the screen 10, the utilization of the touchable area 3010 ′ is also low.

따라서, 터치 영역(3010a)과 스크린(10)이 서로 적절히 매칭될 수 있도록 터치 영역(3010a)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touch area 3010a so that the touch area 3010a and the screen 10 can be properly matched with each other.

따라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스크린(10)에 매칭되는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을 재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reset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that matches the screen 10.

일 예에 따르면, 도 47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 모드에서 기 설정된 터치 영역(3010a)에 대하여 멀티 핑거 터치 입력(도 47에서는 손가락 두 개를 이용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멀티 핑거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3010b)을 변경함으로써 터치 영역(3010)을 재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referring to FIG. 47, when a multi-finger touch input (touch input using two fingers in FIG. 47) is received with respect to the preset touch area 3010a in the digitizer mode, a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 The touch area 3010 may be reset by changing the touch area 3010b such that 30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ouch coordinates of the multi-finger touch input.

할 수 있다. can do.

다른 예에 따르면, 도 48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 모드에서 터치 가능 영역(3010’) 중 기 설정된 터치 영역(3010a)에 포함되지 않는 외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해당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3010b)을 변경함으로써 터치 영역(3010)을 재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48, when a touch input is received in an external area not included in the preset touch area 3010a of the touchable area 3010 ′ in the digitizer mod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be used. ) May reset the touch area 3010 by changing the touch area 3010b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ouch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또 다른 예에 따르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디지타이저 모드의 터치 영역(3010)이 스크린(10)과 정합된 상태에서 모드 전환부를 통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터치 영역(3010)을 재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터치 입력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3010)을 이동시켜 터치 영역(3010)을 재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touch the touch area 3010 by a predetermined user input through a mode switching unit while the touch area 3010 of the digitizer mode is matched with the screen 10. It may enter a standby state to receive input for resetting. When the touch input is received in the standby state, the touch area 3010 may be reset by moving the touch area 3010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touch input.

이상에서 언급된 예시 이외에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다양한 조건을 터치 영역 재설정 요청으로 판단하고, 터치 영역 재설정 요청이 발생하면 터치 영역 재설정을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하여 대기하고, 이후 발생하는 터치 입력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3010)을 이동시킴으로써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을 옮길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examples mentioned abov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determines various conditions as a touch area reset request, and when a touch area reset request occurs, waits to receive an input for resetting the touch area, and then touches that occur.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may be moved by moving the touch area 3010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input.

이하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디지타이저 모드와 관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몇몇 방법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ome methods for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digitizer mode will be described.

도 49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모드 전환 방법의 일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4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49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입력 모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10),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120), 키보드 모드인 경우 스위치(3200)를 활성화하고 일렉트로드(3130)를 비활성화하는 단계(S3131), 푸쉬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32), 버튼 보디(3120)이 승강하는 단계(S3133), 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S3134),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S3135), 마우스 모드인 경우 스위치(3200)를 비활성화하고 일렉트로드(3130)을 활성화하는 단계(S3121),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22),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단계(S3123),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S3124), 마우스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25),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 스위치(3200)를 비활성화하고 일렉트로드(3130)을 활성화하는 단계(S3131),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32),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단계(S3133),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S3134) 및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9,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n input mode (S3110), determining an input mode (S3120), activating a switch 3200 in a keyboard mode, and deactivating an electroload 3130. Step (S3131), obtaining a push input (S3132), lifting the button body 3120 (S3133), obtaining a key identifier (S3134), obtaining a key value (S3135), mouse mode In the case of deactivating the switch 3200 and activating the electro load 3130 (S3121), obtaining a touch input (S3122), changing the capacitance (S3123),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 S3124), obtaining a mouse input (S3125), in the digitizer mode, deactivating the switch 3200 and activating the elector 3130 (S3131), obtaining a touch input (S3132), and the capacitance is In step S3133, the touch coordinate value is changed. Step may include the step (S3135) to obtain a (S3134), and the digitizer input.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입력 모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S3110), 획득된 정보에 따라 입력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3120). 여기서, 입력 모드는 키보드 모드, 마우스 모드 및 디지타이저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서 이들 모드 간의 전환은 완전히 자유롭게나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the input mode (S3110), and determine the input mode according to the obtained information (S3120). Here, the input mode may include a keyboard mode, a mouse mode, and a digitizer mode, and switching between these modes i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be completely freely or limitedly allow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보드 모드인 경우에는 푸쉬 입력 형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값을 키보드 입력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keyboard mod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output a key value as a keyboard input according to a user input of a push input form.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스위치(3200)를 활성화하고 일렉트로드(313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3131). Firs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activate the switch 3200 and deactivate the electroload 3130 (S3131).

여기서, 스위치(3200)의 활성화란, 푸쉬 입력에 따라 스위치(3200)가 버튼 보디(3120)에 의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경우, 콘트롤러(3500)가 스위치(3200)로부터 키 식별자를 전달받고, 키 식별자에 따라 키값을 획득하고,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기기나 유닛에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activation of the switch 3200 means that when the switch 3200 is touched or pressed by the button body 3120 according to a push input, the controller 3500 receives a key identifier from the switch 3200 and assigns the key identifier to the key identifier. Accordingly,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a key value is acquired and a keyboard input reflecting the key value can be transmitted to a device or a uni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s an input interface.

반대로 스위치(3200)의 비활성화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상술한 스위치(3200)의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의 푸쉬 입력에 따라 최종적으로 키보드 입력을 전송하는 과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푸쉬 입력에 대하여 키보드 입력을 출력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deactivation of the switch 3200 means that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does not perform some or all of the process of finally transmitting the keyboard input according to the push input of the user while the switch 3200 is activated. If not,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no keyboard input is output for the push input.

또 여기서, 일렉트로드(3130)의 활성화란,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일렉트로드(3130)에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해 일렉트로드(3130)에 정전 용량을 발생시키고 터치 입력에 따라 일렉트로드(3130)에 정전 용량의 변화를 스캔 신호로 감지하고, 콘트롤러(3500)가 스캔 신호에 따라 터치 좌표값과 터치 정보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마우스 입력이나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하여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기기나 유닛에 마우스 입력이나 디지타이저 입력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activation of the electro load 3130 means that when a user performs a touch input, a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 load 3130 to generate capacitance on the electro load 3130, an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3130, the change in capacitance is detected as a scan signal, and the controller 3500 calculates touch coordinate values and touc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and acquires a mouse input or a digitizer input based on the scan signal.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a mouse input or a digitizer input can be transmitted to a device or a unit using the 3000 as an input interface.

반대로 일렉트로드(3130)의 비활성화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상술한 일렉트로드(3130)의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최종적으로 마우스나 디지타이저 입력을 전송하는 과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터치 입력에 대하여 마우스나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deactivation of the electric load 3130 is a part of a process in which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finally transmits a mouse or a digitizer input in response to a user's touch input in the activated state of the electric load 3130 described above. By not performing all of them,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a mouse or a digitizer input is not output to the touch input.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캡(3110)을 통해 푸쉬 입력을 획득하고(S3132), 이에 따라 버튼 보디(3120)가 하강하여(S3133), 스위치(3200)가 키 식별자를 획득하고(S3134), 콘트롤러(3500)가 이를 전달받아 키값을 획득해 키값을 포함하는 키보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3135).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btains a push input through the keycap 3110 (S3132), and thus the button body 3120 descends (S3133), and the switch 3200 acquires a key identifier (S3133). In operation S3134, the controller 3500 may receive the received key value to obtain a keyboard input including the key value (S3135).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보드 입력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주체에 전달하여 키보드로 기능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transmit a keyboard input to a subjec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s an input interface to function as a keyboar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마우스 모드인 경우에는 터치 입력 형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마우스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output a mouse input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a touch input form in the mouse mode.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스위치(3200)를 비활성화하고 일렉트로드(3130)를 활성화할 수 있다(S3141). 다만,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스위치(3200)의 일부만을 비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스위치(3200) 전부를 활성화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activate the switch 3200 and activate the electroload 3130 (S3141). However, at this time, if necessary, only a part of the switch 3200 may be deactivated, or all of the switches 3200 may be activat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캡(3110)을 통해 터치 입력이 터치되면(S3142),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S3143). 콘트롤러(3500)는 정전 용량 변화를 반영하는 스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터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S3144). When the touch input is touched through the keycap 3110 (S3142),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3130 generated by the drive signal (S3143). The controller 3500 may receive a scan signal that reflects a change in capacitance, and thereby obtain a touch coordinate value (S3144).

터치 좌표값이 획득되면, 콘트롤러(3500)는 이전 스캔 주기에 획득된 터치 좌표값과 현재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터치 좌표 변동값을 산출하고, 이를 반영하는 마우스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S3145). Wh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s acquired,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the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acquired in the previous scan period and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and generate a mouse input reflecting this. (S3145).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마우스 입력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주체에 전달하여 마우스로 기능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transmit a mouse input to a subjec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as an input interface to function as a mous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에는 터치 입력 형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자타이저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digitizer mod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utput a digitizer input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the form of a touch input.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스위치(3200)를 비활성화하고 일렉트로드(3130)를 활성화할 수 있다(S3151). 다만,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스위치(3200)의 일부만을 비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스위치(3200) 전부를 활성화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activate the switch 3200 and activate the electroload 3130 (S3151). However, at this time, if necessary, only a part of the switch 3200 may be deactivated, or all of the switches 3200 may be activat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캡(3110)을 통해 터치 입력이 터치되면(S3152),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S3153). 콘트롤러(3500)는 정전 용량 변화를 반영하는 스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터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S3154). When the touch input is touched through the keycap 3110 (S3152),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3130 generated by the drive signal (S3153). The controller 3500 may receive a scan signal reflect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and thereby obtain a touch coordinate value (S3154).

터치 좌표값이 획득되면, 콘트롤러(3500)는 스크린(10)과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3010) 간의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스크린(10) 상의 특정 지점을 지시하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S3145). Wh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s obtained, the controller 3500 generates a digitizer input indicating a specific point on the screen 10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10 and the touch area 3010 in the digitizer mode. It may be (S3145).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주체에 전달하여 디지타이저로 기능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function as a digitizer by transferring a digitizer input to a subjec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s an input interface.

도 50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마우스 모드 및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5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input processing method in a mouse mode and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50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210),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220),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230), 마우스 모드인 경우 이전 터치 좌표값 및 현재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대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240), 상대 좌표값에 따라 마우스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S3250),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 터치 영역-스크린 영역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절대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260) 및 절대 좌표값에 따라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S32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0,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touch input (S3210),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value (S3220), determining a mode (S3230), and in case of a mouse mode, a previous touch coordinate value and a current touch. Calculating a relative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 (S3240), outputting a mouse input according to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S3250), and in the case of the digitizer mode, considering the touch area-screen area matching relationship, Computing a coordinate value (S3260) and outputting a digitizer input according to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S327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S3210),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S3220).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cquire a touch input (S3210) and calculate a touch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S3220).

터치 좌표값이 산출되면, 콘트롤러(3500)는 현재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지 디지타이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30).Wh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the controller 3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 mouse mode or a digitizer mode (S3230).

마우스 모드인 경우 콘트롤러(3500)는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 및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대 좌표값을 산출하고(S3240), 상대 좌표값를 반영하는 마우스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S3250).In the mouse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relative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previous scan period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scan period (S3240), and output a mouse input reflecting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S3240). S3250).

반면, 디지타이저 모드인 경우 콘트롤러(3500)는 터치 영역-스크린 영역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절대 좌표값을 산출하고(S3260), 절대 좌표값에 따라 디지타이저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S3270).In contrast, in the digitizer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ouch area-screen area matching relationship (S3260), and output the digitizer input according to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S3270). .

여기서, 콘트롤러(3500)가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Here, the process of the controller 3500 obtaining the digitizer input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may be as follows.

일 예로, 매칭 관계는 터치 영역(3010)의 좌표값 별 스크린(10) 해상도 상의 좌표값 간의 매칭 테이블이나 매칭 함수일 수 있다. 이 경우, 콘트롤러(3500)는 이러한 매칭 테이블이나 매칭 함수를 이용하여 터치 좌표값을 스크린(10) 상의 좌표값으로 변화하고, 스크린(10) 상의 좌표값을 반영하는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tching relationship may be a matching table or a matching function between coordinate values on the screen 10 resolution for each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area 30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0 may change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to a coordinate value on the screen 10 by using the matching table or a matching function, and acquire a digitizer input reflecting the coordinate value on the screen 10.

다른 예로, 매칭 관계는 디지타이저 모드 진입 시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최초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의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의 해상도 상의 좌표값이 대응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트롤러(3500)는 시작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현재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의 차이를 디지타이저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술적으로는 최초의 터치 입력의 좌표값에 따라 스크린(10)과 터치 영역(3010) 간의 매칭 관계를 설정하고, 매칭 관계에 따라 터치 좌표값을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신호/정보 처리/연산 과정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atching relationship may mean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corresponds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solution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at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made.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0 may obtain, as a digitizer input, a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start touch input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touch input. This method is technically equivalent to establishing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10 and the touch area 3010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convert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s into absolute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the matching relationship. However, the signal / information processing / operation process may be slightly different.

도 51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 설정 방법의 일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5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area in a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51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3310), 오른손 모드/왼손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320), 오른손 모드인지 왼손 모드인지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 설정하는 단계(S3330), 디지타이저 모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340),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3350), 터치 가능 영역 전체를 터치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S3360),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과 스크린 영역을 매칭하는 단계(S3370), 터치 입력을 획득 및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380) 및 스크린 해상도와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을 고려해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1, the method may include entering a mouse mode (S3310), determining a right hand mode / left hand mode (S3320), setting a touch area based on whether a right hand mode or a left hand mode (S3330), Receiving a digitizer mode request (S3340), entering a digitizer mode (S3350), setting the entire touchable area as a touch area (S3360), matching the touch area and the screen area based on the screen resolution In operation S3370,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touch input and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value (S3380), and obtaining a digitizer input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touch area (S339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마우스 모드로 진입한다(S3310). 이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오른손 모드/왼손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320), 오른손 모드인지 왼손 모드인지에 따라 터치 영역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S3330). 오른손 모드인지 왼손 모드인지 여부와 그에 따른 터치 영역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rs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a mouse mode (S3310). In this cas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in right hand mode / left hand mode (S3320), and set the touch area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it is in right hand mode or left hand mode (S3330).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right hand mode or the left hand mode and the touch area i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마우스 모드인 상태에서 모드 전환부 등을 통해 디지타이저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고(S3340), 디지타이저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3350).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receive a request for switching to the digitizer mode through a mode switcher in a mouse mode (S3340) and enter the digitizer mode (S3350).

디지타이저 모드에 진입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가능 영역 전체를 터치 영역으로 설정하고(S3360), 스크린(10)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과 스크린 영역을 매칭시킬 수 있다(S3370). 구체적으로 터치 영역(3010)의 네 모서리가 스크린(10)의 네 모서리와 일치하는 매칭 테이블이나 매칭 함수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When entering the digitizer mod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set the entire touchable area as the touch area (S3360) and match the touch area with the screen area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10 ( S3370). In detail, a matching table or a matching function may be generated in which four corners of the touch area 3010 match four corners of the screen 1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 그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고(S3380), 스크린 해상도와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를 고려해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3319). 이때에는 디디타이저 입력이 스크린(10) 상의 소정의 지점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단순히 터치 좌표값을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기기가 터치 좌표값을 스크린(10)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obtain a touch input, calculate the touch coordinate value (S3380), and obtain a digitizer input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touch area. (S3319). In this case, the digitizer input may indicate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screen 10. However,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simply transmit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received device may convert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to the screen 10 coordinate value.

도 52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 설정 방법의 다른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5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area in the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52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마우스 모드로부터 디지타이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3410), 최초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420), 최초 터치 입력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430), 산출된 좌표값 및 스크린 상 포인터의 위치에 기초해 터치 영역-스크린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S3440) 및 매칭 관계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34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2, in the method of switching from a mouse mode to a digitizer mode (S3410), obtaining an initial touch input (S3420),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of an initial touch input (S3430), and calculated coordinates Obtaining a touch area-screen match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valu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S3440) and setting the touch area based on the matching relationship (S345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step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마우스 모드로부터 디지타이저 모드로 전환하고(S3410), 모드 진입 후 최초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S3420), 그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S3430).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switch from the mouse mode to the digitizer mode (S3410), acquire an initial touch input after entering the mode (S3420), and calculate the touch coordinate value (S343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산출된 좌표값 및 스크린(10) 상 포인터(P)의 위치에 기초해 터치 영역-스크린 매칭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S3440). 즉, 콘트롤러(3500)는 최초 터치의 터치 지점과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매칭 테이블이나 매칭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obtain a touch area-screen match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calculated coordinate valu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S3440). That is, the controller 3500 may generate a matching table or a matching function such that the touch point of the first touch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correspond to each other.

매칭 관계가 형성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매칭 관계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3450). 콘트롤러(3500)는 터치 영역 중 최초 터치의 터치 좌표값과 최초 터치 시의 포인터가 있는 지점이 서로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matching relationship is form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set the touch area based on the matching relationship (S3450). The controller 3500 may set the touch area so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among the touch areas and the point where the pointer when the first touch is located correspond to each other.

이로써, 터치 영역 상의 터치 좌표값들이 스크린(10)의 해상도 값들과 매칭되어 터치 영역이 디지타이저 입력을 수신하는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ouch coordinate values on the touch area may be matched with the resolution values of the screen 10 so that the touch area receives the digitizer input.

한편, 매칭 관계를 형성하는 매칭 테이블이나 매칭 함수를 구현하는 대신, 최초의 터치 입력의 좌표값과 이후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좌표값 간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우스 모드에서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과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통해 터치 좌표 변동값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디지타이저 모드에서는 매칭 관계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최초 터치 입력 시의 포인터가 있는 지점과 터치 영역 상의 최초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정합시키므로, 이후 포인터의 이동을 최초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현재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으로부터 산출된 터치 좌표 변동값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implementing a matching table or matching function that forms a matching relationship,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input subsequently input. In the mouse mode, the movement of the pointer is controlled by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change valu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scan period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previous scan period. In the digitizer mode, even if a matching relationship is not forme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t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on the touch area are match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riation valu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operation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s of.

도 53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의 디지타이저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 재설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이다.FIG. 5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setting a touch area in the digitizer mod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디지타이저 모드의 터치 영역 재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510), 재설정 요청에 따라 터치 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S3520),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530),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540) 및 스크린 해상도와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을 고려해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입력 획득하는 단계(S3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3,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touch area reset request in the digitizer mode (S3510), resetting the touch area according to the reset request (S3520), obtaining a touch input (S3530), and touch coordinates. The method may include calculating a value (S3540) and obtaining a digitizer input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touch area (S355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ep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디지타이저 모드의 터치 영역 재설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510). 구체적인 재설정 요청의 양태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receive a touch area resetting request in the digitizer mode (S3510). Since a specific aspect of the reset request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재설정 요청이 수신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S3520).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500)는 재설정 요청 후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터치 영역을 이동시킴으로써 터치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When the reset request is receiv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reset the touch area (S3520). In detail, the controller 3500 may reset the touch area by moving the touch area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touch input input after the reset request.

구체적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입력을 획득(S3530),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산출한(S3540) 다음, 스크린 해상도와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를 고려해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3550).In more detail,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acquires a touch input (S3530), calculates a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obtained touch input (S3540), and then considers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touch area. A digitizer input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operation (S3550).

한편, 상술한 멀티 터치 입력을 이용한 터치 영역의 재설정, 혹은 터치 영역 밖의 터치 가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이용한 터치 영역의 재설정에서는, 터치 영역 재설정 요청과 이후 터치 영역을 이동시키는 명령이 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resetting of the touch area using the multi-touch input or resetting of the touch area using the touch input to the touchable area outside the touch area, the request for resetting the touch area and the command for moving the touch area afterwards are merged. Can be interpre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키보드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키 입력만을 입력받고 터치 입력을 인식하지 않고, 마우스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터치 입력만을 입력받고 키 입력을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언급하였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basically input only a key input in the keyboard mode and does not recognize the touch input. In the mouse mode, the text input device 3000 is input in the mouse mode. .

실제로, 키보드 모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터치 입력을 센싱하면, 타이핑으로 인해 스크린(10) 상의 포인터(P)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키보드 모드에서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드라이브 신호와 스캔 신호를 주기적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In fact, 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senses the touch input in the keyboard mode, the pointer P on the screen 10 may move inconsistent with the user's intention because of the typing, and thus the touch input in the keyboard mode. It may be advantageous not to recognize this. Furthermore, in order to sense the touch input, sinc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ust process the drive signal and the scan signal periodically, unnecessary waste of power may occur.

그러나, 터치 모드(마우스 모드나 디지타이저 모드 등)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키 입력을 인식하여도 포인터(P)의 위치 제어에는 큰 불편함이 초래되지는 않는다. However, in the touch mode (mouse mode, digitizer mode, etc.), even i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recognizes a key input, it does not cause great inconvenience in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이하에서는 터치 모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키 입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key input by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n the touch mode will be described.

컴퓨팅 환경 등에서는 운영 체제의 구동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조정 가능한 속성을 조정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속성을 조정 대상 속성으로 지칭한다. In a computing environment, there may be a need to adjust the adjustable attributes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or execution of an application. Hereinafter, such an attribute is referred to as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도 54는 조정 대상 속성의 몇몇 예에 관한 도면이다.54 is a diagram related to some examples of adjustment target attributes.

조정 대상 속성의 대표적인 에로는, 도 54에 도시된 오디오의 소리 크기에 관한 볼륨 속성(12a), 동영상 재생의 진행 정도에 관한 프로그레시브 바 속성(12b), 색상값의 조정을 위한 색 공간 속성(12c)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조정 대상 속성이 있다.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s include volume attributes 12a for the loudness of audio shown in FIG. 54, progressive bar attributes 12b for the progression of moving picture playback, and color space attributes 12c for adjustment of color values. ), And various other adjustment target properties.

기존에는 이러한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어 왔다. In the past,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ised to adjust attribute values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일 예로, 사용자는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에 할당된 문자값 또는 키값을 입력하여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키보드의 “+” 키를 입력하면 볼륨 속성의 속성값이 증가하고, “-“ 키를 입력하면 볼륨 속성의 속성값이 감소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adjust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by inputting a text value or a key value assigned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Specifically, the attribute value of the volume attribute may be increased by pressing the “+” key of the keyboard,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volume attribute may be decreased by the “-“ key.

다른 예로는,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반영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를 마우스 입력에 따른 드래그를 통해 이동시켜왔다. As another example, an indicator located in a graphic object reflecting an attribute value of an attribute to be adjusted has been moved by dragging according to a mouse input.

그러나, 키 입력을 통해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많은 수의 키 입력이 반복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으며, 마우스 입력에 따른 드래그를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는 것은, 먼저 사용자가 그래픽 오브젝트의 인디케이터 위치로 포인터(P)를 이동시킨 뒤 드래그 입력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However, when adjusting the attribute value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through key input, a large number of key inputs are often required repeatedly. Moving an indicator located on a graphic object by dragging according to a mouse input is frequently required. First, the user has to move the pointer P to the indicator position of the graphic object and then perform a drag input.

본 명세서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중 키보드 입력을 활용하여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몇몇 구현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adjust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by using a keyboard input while operating in the touch mode.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 55는 조정 대상 속성과 버튼(3100)의 매칭 관계에 관한 도면이다.55 is a diagram related to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nd the button 3100.

도 55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키 입력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몇몇 키는 키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키 입력이 인식 가능한 몇몇 버튼(3100)의 키값에는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5, the key input is basically deactivated whil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perates in the touch mode. However, here some keys are set in a state in which a key input can be recognized. In addition,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y be assigned to key values of some buttons 3100 capable of recognizing key input.

즉, 콘트롤러(3500)는 터치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버튼(3100)에 대응하는 키값 또는 키 식별자에 조정 대상 속성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3500)는 터치 모드에서 특정 버튼(3100)의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해당 키 입력을 조정 대상 속성의 단축키를 지시하는 키보드 입력으로 획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버튼(3100a), ‘P’ 버튼(3100b), ‘C’ 버튼(3100c)는 각각 오디오 볼륨 속성, 미디어 플레이어의 프로그레시브 바 속성, 그림 어플리케이션의 색 공간 속성에 각각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3500 may assign an adjustment target property to a key value or key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pecific button 3100 in the touch mode. Alternatively, when a key input of a specific button 3100 occurs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acquire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key input as a keyboard input indicating a shortcut key of an adjustment target property. For example, the 'A' button 3100a, the 'P' button 3100b, and the 'C' button 3100c respectively correspond to an audio volume property, a progressive bar property of a media player, and a color space property of a picture application, respectively. There may be.

콘트롤러(3500)는 터치 모드에서 키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키의 스위치(3200)의 키 식별자에 소정의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되어 있는지 또는 소정의 조정 대상 속성을 갖는 키 값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a key input occurs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350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adjustment target property or a key value having the predetermined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to the key identifier of the switch 3200 of the corresponding key. can do.

만약, 해당 버튼(3100)에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후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그 터치 좌표값에 따라 마우스나 디지타이저 입력을 획득/전송하여, 이를 전송받은 전자 기기가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터치 입력에 따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button 3100, the touch input that is subsequently input is recognized, the mouse or the digitizer input is acquired /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received electronic device adjusts the touch input. The attribute value of the target attribut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이를 위해 콘트롤러(3500)는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버튼(3100)에 대한 키 입력으로 발생한 키값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호출하거나 그 조정을 활성화할 것을 지시하는 단축키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전자 기기 측에 전달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3500 generates shortcut key information instructing to call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or activate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key value generated by the key input to the button 3100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and then transmit the generated shortcut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I can deliver it.

일 예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가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버튼(3100)에 대한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3500)는 해당 키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il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perates in the touch mode, the user may perform a key input on the button 3100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0 may obtain a corresponding key identifier.

콘트롤러(3500)는 만약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키보드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상기 키값을 문자값이나 기존 키보드에 이용되는 형태의 값(예를 들어, ‘ESC’ 값, ‘Caps Lock’값 등)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으로 획득/출력할 수 있다.I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operating in the keyboard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convert the key value into a character value or a value used in an existing keyboard (for example, an 'ESC' value and a 'Caps Lock'). It can be obtained / output with keyboard input reflecting 'value').

그러나, 콘트롤러(3500)는 만약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터치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먼저 키 식별자를 획득하고, 키 식별자에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할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키 입력은 무시된다. However, i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operates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first obtain a key identifier and determine whether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to the key identifier. If not assigned, keystrokes are ignored.

그러나, 키 식별자에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되어 있다면, 이후의 터치 입력을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되는 마우스/디지타이저 입력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과정 중에 콘트롤러(3500)는 조정 대상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나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호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출력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to the key identifier, the subsequent touch input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mouse / digitizer input used to adjust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 addition, during this process, the controller 3500 may transmit / output information identify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r a signal indicating activation / calling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여기서, 어떤 조정 대상 속성들은 호출이나 활성화 되면,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 범위를 표시하는 바나 평면 및 현재의 속성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Here, when certain adjustment target attributes are called or activated,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display a graphic range including an indicator indicating a range of adjustment or an indicator indicating a plane and a current attribute value.

도 56 및 도 57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56 and 5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56을 참조한 일 예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referring to FIG. 56 is as follows.

터치 모드가 아닌 경우 “A” 키에 대한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문자 “A”에 대한 키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 터치 모드에서 “A” 키에 대한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A” 키 입력으로부터 오디오 볼륨 속성을 지시하는 키값을 획득하고,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주체로 해당 오디오 볼륨 속성이 조정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활성화시키거나 호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key input for the “A” key is not generated in the touch mod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utput a key value for the letter “A”. In addition, in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for the “A” key occurs,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btains a key value indicating the audio volume attribute from the “A” key input, and accordingly,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The subject using the 3000 as an input interface may output a signal for activating or calling the audio volume property to be in an adjustable state.

다음으로, 콘트롤러(3500)는 조정 대상 속성과 연계된 키 입력이 발생한 뒤의 터치 입력을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속성 조정값으로 처리할 수 있다. 조정 대상 속성은 속성 조정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touch input after the key input associated wit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as an attribute adjustment value for adjust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adjustment value.

구체적으로, 키보드 레이아웃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이동하는 터치 입력은 볼륨 속성의 속성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키보드 레이아웃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는 터치 입력은 볼륨 속성의 속성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detail, the touch input moving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keyboard layout may increase the attribute value of the volume attribute. In addition, the touch input mov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keyboard layout may reduce the attribute value of the volume attribute.

이처럼 터치 입력이 포인터(P)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마우스 입력 대신 조정 대상 속성의 값을 조정하는 입력으로 활용되는 경우, 이를 속성 조절 입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As such, when the touch input is utilized as an input for adjusting th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stead of a mouse input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ttribute adjustment input.

속성 조절 입력은 마우스 입력이나 디지타이저 입력과 유사한 형태에 조정 대상 속성을 포함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속성 조절 입력은 터치 좌표값을 속성값에 대응시킨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including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in a form similar to a mouse input or a digitizer input. Alternatively,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touch coordinate value corresponds to the attribute value.

즉, 도 56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1 터치 위치(A1)에서 제2 터치 위치(A2)로의 이동에 따른 마우스 입력이나 디지타이저 입력과 조정 대상 속성인 오디오 볼륨 속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오디오 볼륨 속성을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오디오 볼륨 속성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화면에 출력하고, 이후의 마우스 입력이나 디지타이저 입력에 따라 그 속성값을 제1 속성값(a1)에서 제2 속성값(a2)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는 속성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12a’)를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That is, in FIG. 56,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ndicates a mouse input or digitizer input and an audio volume property that is an adjustment target property according to the movement from the first touch position A1 to the second touch position A2.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outputs a graphic object according to the audio volume property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dio volume property, and converts the property value from the first property value a1 to the second property value according to a subsequent mouse input or digitizer input. Can be adjusted with (a2).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may move the indicator 12a 'indicating the attribute value.

도 57을 참조한 일 예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referring to FIG. 57 is as follows.

터치 모드가 아닌 경우 “P” 키에 대한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문자 “P”에 대한 키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 터치 모드에서 “P” 키에 대한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P” 키 입력으로부터 미디어 플레이어의 플레이백 속성을 지시하는 키값을 획득하고,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주체로 해당 플레이백 속성이 조정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활성화시키거나 호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key input for the “P” key is not generated in the touch mod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utput a key value for the letter “P”. In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for the “P” key is generat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btains a key value indicating the playback attribute of the media player from the “P” key input. A subject using the text input device 3000 as an input interface may output a signal for activating or calling a corresponding playback attribute to an adjustable state.

이후 좌우 방향의 터치 입력이 제3 터치 위치(B1)에서 제4 터치 위치(B2) 간에 입력되면, 플레이백 속성이 제3 속성값(b1)에서 제4 속성값(b2) 간에서 조정될 수 있다.Then, when a touch inpu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input between the third touch position B1 and the fourth touch position B2, the playback attribute may be adjusted between the third attribute value b1 and the fourth attribute value b2. .

여기서, 조정 대상 속성은 일반적으로 1차원 속성값을 가질 수 있다.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은 주로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표현되는 조절 범위에 해당하는 바와 해당 바 상에서 현재 속성값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현될 수 있다. 또 그래픽 오브젝트는 경우에 따라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속성값이 조절되는 다이얼 형태의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현될 수도 있다. Herein,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y generally have a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ving the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may be represented as a graphic object including an adjustment range mainly represented by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and an indicator indicating a current attribute value on the bar. In addition, the graphic object may be represented as a graphic object in the form of a dial whose attribute value is adjusted in a clockwis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다만, 모든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이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ving all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s is no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이상에서 언급한 1차원 속성값을 갖고 바와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현되는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절은 주로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속성값의 조절을 위해 포인터가 이동되는 방향을 속성 조절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볼륨 속성은 세로 방향, 플레이백 속성은 가로 방향의 속성 조절 방향을 갖는다.The adjustment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ncluding the bar and the indicator having the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mentioned above may be mainly performed by moving the poi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u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inter moves to adjust the property value can be defined as the property control direction. For example, the volume attribute described above has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ayback attribute has a horizontal direction attribute adjusting direction.

따라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터치 입력이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에 이용되는 경우, 터치 입력이 2차원적으로 이루어질 때,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 조절 방향과 수직인 좌표값은 무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500)는 속성 조절 방향을 고려하여 터치 좌표값을 보정하고, 보정된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속성 조절 입력을 획득/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ouch input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used to adjust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when the touch input is made in two dimensions, the coordinate value perpendicular to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is Can be ignored. In detail, the controller 3500 may correct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and acquire / output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based on the corrected touch coordinate value.

도 58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58 is a diagram related to another example of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일 예로 도 58을 살펴보면, 도 58에 도시된 볼륨 속성은 스크린(10) 상 세로 방향의 속성 조절 방향을 갖는다. 이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 ‘A’ 버튼(3100a)을 통해 볼륨 속성의 조절에 관한 요청이 수신되면, 콘트롤러(3500)는 이후 터치 입력에 따라 속성 조절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3500)는 ‘A’ 버튼에 볼륨 속성이 할당된 것을 판단하고, 더불어 볼륨 속성의 속성 조절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콘트롤러(3500)는 속성 조절 방향에 따라 터치 좌표값을 보정할 수 있다. 즉, 도 58에서 제5 터치(A1’)과 제6 터치(A2’)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볼륨 속성의 속성 조절 방향은 제1 속성값(a1)과 제2 속성값(a2)가 배열되는 세로 방향이므로, 콘트롤러(3500)는 대각선 방향의 터치 입력 중 가로 방향을 제거한 상하 방향의 터치 좌표값만을 이용하여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속성 조절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8, the volume attribute illustrated in FIG. 58 has a vertical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on the screen 10. In this case, when a request for adjusting the volume property is received through the 'A' button 3100a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he controller 3500 may generate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according to a touch input.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0 may determine that the volume attribute is assigned to the 'A' button, and determine that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volume attribute i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reafter, when a touch input occurs, the controller 3500 may correct the touch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That is, in FIG. 58, the fifth touch A1 ′ and the sixth touch A2 ′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but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volume attribute is the first attribute value a1 and the second attribute value a2. Since the vertical direction is arranged,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property adjustment input for adjusting the property value using only the touch coordinate va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moved among the diagonal touch inputs.

도 59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59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djustment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한편, 이상에서는 조정 대상 속성이 주로 1차원의 속성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색 공간이나 색 좌표와 같이 2차원 이상의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도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inly has a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However, in some cases,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s a two-dimensional or higher attribute value, such as a color space or color coordinates.

도 59는 2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색 평면(12c)를 도시하고 있다. 색 평면이 할당된 ‘C’ 키(3100c)가 눌리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이후의 2차원인 터치 좌표값을 2차원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59 shows a color plane 12c having two-dimensional attribute values. When the 'C' key 3100c assigned to the color plane is pressed,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process a subsequent two-dimensional touch coordinate value as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for adjusting a two-dimensional attribute value. have.

이상에서의 설명은, 터치 모드 중 조정 대상 속성과 연계된 버튼의 키보드 입력이 있는 경우 일반적 터치 모드에서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모드로 진입하고, 해당 터치 모드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절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re is a keyboard input of a button associated wit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 the touch mode, the display enters the touch mode for controll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 the general touch mode, and the touch input in the corresponding touch mode. Accordingly, it can be interpreted as adjust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이처럼 터치 입력을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몇몇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put may be processed as an input for adjust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ereinafter, some examples will be described.

먼저 콘트롤러(3500)는 터치 모드에서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버튼(3100)에 할당된 키 식별자가 수신되면, 속성 조절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controller 3500 receives the key identifier assigned to the button 3100 indica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enter the property control mode.

여기서, 속성 조절 모드에 진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Here, the method of entering the attribute adjustment mode may be as follows.

일 예로, 일반적인 터치 모드에서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버튼(3100)의 키 식별자가 수신되면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속성 조절 모드 상태에서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버튼(3100)의 키 식별자가 다시 수신되면, 속성 조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에는 다시 일반적인 터치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조정 대상 속성에 진입 후 해제까지의 터치 입력에 대해서 속성 조절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 이때 ‘ESC’ 키 등에 범용적으로 속성 조절 모드를 지시하는 키값이 할당되어 있을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key identifier of the button 3100 indica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received in the general touch mode,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may be entered. When the key identifier of the button 3100 indicating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is received again in the attribute adjustment mode, the attribute adjustment mode may be released. In this case, the normal touch mode may be returned.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for the touch input from enter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nd then releasing it. In this case, a key value indicating a property control mode may be assigned to the 'ESC' key.

다른 예로, 일반적인 터치 모드에서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버튼(3100)의 키 식별자가 수신되면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러(3000)는 1회의 터치 입력에 대해서 속성 조절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1회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면, 속성 조절 모드를 해제하고 일반 터치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key identifier of the button 3100 indica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received in the general touch mode,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may be entered.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3000 may process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for one touch input. When the one touch input is completed, the attribute adjustment mode may be canceled and the normal touch mode may be returned.

또 다른 예로, 일반적인 터치 모드에서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버튼(3100)의 키 식별자가 수신되면 해당 버튼(3100)이 눌려 있는 동안 속성 조절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해당 버튼(3100)의 푸쉬가 해제되면 속성 조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조정 대상 속성에 진입 후 해제까지의 터치 입력에 대해서 속성 조절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속성 조절 모드를 해제하고 일반 터치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key identifier of the button 3100 indica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received in the general touch mode,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may be maintained while the corresponding button 3100 is pressed. When the push of the button 3100 is released,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may be released.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for the touch input from enter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nd then releasing it. You can release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and return to normal touch mode.

여기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속성 조절 모드에서의 터치 입력을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속성 조절 모드라는 별도의 모드가 존재하지 않고, 단지 특정 조건 하에서의 터치 입력을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의 특정한 조건은 위의 예와 유사할 수 있다.Her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enter the property control mode, and the touch input in the property control mode is described as the property control input. However, there is no separate mode called the property control mode. It is also possible to treat touch inputs under specific conditions only as attribute control inputs. Specific conditions herein may be similar to the above example.

도 6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1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60 is a diagram related to a first example of processing of a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제1 예에 따르면, 도 60을 참조하면, 속성 조절 모드 상태인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터치 입력은 상술한 마우스 입력과 유사하게 처리된다. 다만, 이때에는 터치 좌표값으로부터 마우스 입력을 산출하는 대신 속성 조절 방향을 고려하여 보정된 터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마우스 입력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우스 입력과 유사하게 처리된 속성 조절 입력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이 증감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referring to FIG. 60, the touch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in the attribute adjustment mode is processed similarly to the mouse input described above. However, at this time, instead of calculating the mouse input from the touch coordinate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mouse input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corr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processed similarly to a mouse input.

구체적으로는 속성 조절 방향이 상하 방향인 오디오 볼륨 속성(12a’)의 경우, 상하 방향의 터치 입력으로 인해 볼륨 속성값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13)의 위치과 속성값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audio volume attribute 12a 'having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up and down, the position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indicator 13 displaying the volume attribute value may be adjusted by the touch inpu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도 61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2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61 is a diagram related to a second example of processing of a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제2 예에 따르면, 도 61을 참조하면, 속성 조절 모드에 진입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속성 조절을 위해 터치 영역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 범위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터치 입력을 디지타이저 입력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속성 조절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referring to FIG. 61, when the attribute adjustment mode is entered,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match the adjustment rang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with the touch region for attribute adjustment. Thereafter, the touch input may be process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digitizer input to obtain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구체적으로 속성 조절 방향이 상하 방향인 오디오 볼륨 속성(12a’)에 대해, 최대 볼륨값과 최소 볼륨값이 터치 가능 영역(3010’)의 최상단 부위와 최하단 부위에 각각 매칭되도록 속성 조절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3500)는 속성값의 범위에 대해 획득하여, 이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속성 조절을 위한 터치 입력은 터치 영역의 최상단 좌표값과 최하단 촤표값에 대한 터치 영역의 터치 좌표값을 속성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에 대한 속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for the audio volume attribute 12a 'having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up and down, a touch for attribute adjustment input so that the maximum volume value and the minimum volume value correspond to the uppermost part and the lowermost part of the touchable area 3010', respectively. You can set the touch area for the input. To this end, the controller 3500 may acquire a range of attribute values and set a touch area based on the range. Thereafter, the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ttribute may determine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region for the uppermost coordinate value and the lowest index value of the touch region as the attribute values for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도 62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3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62 is a diagram related to a third example of processing of a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제3 예에 따르면, 도 62를 참조하면, 속성 조절 모드에 진입 시 최초의 터치 입력(이하에서는 특정 모드에 진입한 후에 최초로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을 ‘시작 터치 입력’으로, 시작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시작 터치 좌표값’으로 지칭함)의 터치 좌표값이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과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콘트롤러(3500)는 시작 좌표 터치값과 현재 속성값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 뒤, 이후 터치 좌표값의 시작 좌표 터치값에 대한 변동치로 속성값을 조절하도록 속성 조절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referring to FIG. 62, when entering an attribute adjustment mode, a first touch input (hereinafter, a first touch input made after entering a specific mode is referred to as a 'start touch input'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start touch input. May be matched with a current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That is, the controller 3500 may generate a property adjustment input so that the start coordinate touch value and the current property value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n adjust the property value with a change value with respect to the start coordinate touch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도 63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4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63 is a diagram related to a fourth example of processing of a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제4 예에 따르면, 도 63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버튼(3100)에 대한 푸쉬 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터치 입력을 속성 조절을 위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ourth example, referring to FIG. 63,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ttribute a touch input that is successively continued from a touch input performed by a push input to a button 3100 to which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t can be handled by touch input for adjustment.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미디어 플레이어의 플레이백 속성(12b)을 지시하는 ‘P’ 버튼(3100b)를 푸쉬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해당 푸쉬 입력과 동시에 ‘P’ 버튼(3100b)으로부터 시작되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이 터치 입력이 해제되기까지 수행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pushes the 'P' button 3100b indicating the playback attribute 12b of the media player,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moved from the 'P' button 3100b simultaneously with the corresponding push input. A touch input that is started can be obtained. The controller 3500 may process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input, which is performed until the touch input is released, as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도 64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5 예에 관한 도면이다.64 is a diagram related to a fifth example of processing of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제5 예에 따르면, 도 64를 참조하면, 한편,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버튼(3100)에 대한 푸쉬 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해당 버튼(310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속성 조절을 위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ifth example, referring to FIG. 64, on the other hand,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corresponds to a button successively continued from a touch input performed by a push input to a button 3100 to which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The touch input on the 3100 may be treated as a touch input for adjusting an attribut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미디어 플레이어의 플레이백 속성(12b)을 지시하는 ‘P’ 버튼(3100b)를 푸쉬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해당 푸쉬 입력과 동시에 ‘P’ 버튼(3100b)으로부터 시작되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이후 ‘P’ 버튼(3100b)에 일렉트로드(3130) 상에서 센싱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pushes the 'P' button 3100b indicating the playback attribute 12b of the media player,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moved from the 'P' button 3100b simultaneously with the corresponding push input. A touch input that is started can be obtained. The controller 3500 may then process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sensed on the electro load 3130 by the 'P' button 3100b.

한편, 이때 단일 버튼이 제공하는 센싱 영역이 충분히 넓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해당 버튼에서의 시계 방향 회전을 그리는 터치 입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그리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속성 조절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 터치 입력은 속성값을 증가시키는 입력으로, 반시계 방향 터치 입력은 속성값을 감소시키는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시계 방향 터치 입력은 프로그레시브 바 상의 인디케이터를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플레이백 속성(12b)의 플레이 시점을 뒤로 이동시키는 입력으로 처리되고, 반시계 방향 터치 입력은 프로그레시브 바 상의 인디케이터를 왼족으로 움직이고, 플레이백 속성(12b)의 플레이 시점을 앞로 이동시키는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area provided by the single button may not be wide enough. In this case,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may be processed based on a touch input for drawing a clockwise rotation or a touch input for a counterclockwise rotation. . For example, the clockwise touch input may be an input for increasing an attribute value, and the counterclockwise touch input may be treated as an input for decreasing an attribute value. For more specific example, the clockwise touch input is treated as an input that moves the indicator on the progressive bar to the right and moves the playback time of the playback attribute 12b back, and the counterclockwise touch input is left as an input on the progressive bar. It can be processed as an input that moves to and moves forward the play time of the playback attribute 12b.

도 65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6 예에 관한 도면이다.65 is a diagram related to a sixth example of the processing of the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제6 예에 따르면, 도 65를 참조하면, 2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의 경우에는 이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영역 역시 2차원 평면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2차원 속성값을 반영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영역에 매칭되는 속성 조절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도 65에서는 색 평면(12c)과 전체 터치 가능 영역(3010’)이 서로 매칭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ixth example, referring to FIG. 65, in the case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ving a two-dimensional attribute value, a touch area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ttribute may also be set in a two-dimensional plane shape. That is, the touch area in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matching the area of the graphic object reflecting the two-dimensional property value may be set. In FIG. 65, the color plane 12c and the entire touchable area 3010 ′ may match each other.

도 66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입력의 처리에 관한 제7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66 is a view related to a seventh example of the processing of the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제7 예에 따르면, 도 66을 참조하면, 2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의 경우에는 이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영역 역시 2차원 평면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2차원 속성값을 반영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영역에 매칭되는 속성 조절 모드에서의 터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도 66에서는 개별 터치마다 그 터치 좌표값과 색 평면(12c) 상의 포인터(P)의 위치가 정합되는 터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eventh example, referring to FIG. 66, in the case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ving a two-dimensional attribute value, a touch area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attribute may also be set in a two-dimensional plane shape. That is, the touch area in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matching the area of the graphic object reflecting the two-dimensional property value may be set. In FIG. 66, a touch area in which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on the color plane 12c are matched with each touch may be set.

이상에서는 터치 입력을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하기 위한 몇몇 예시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터치 입력이 속성 조절 입력으로 처리되는 방식이 위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In the above, some examples for processing the touch input as the attribute control input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touch input is treated as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이하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가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절하는 몇몇 방법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ome methods of adjust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by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will be described.

도 67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FIG. 6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67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터치 입력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S3610),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620), 조정 대상 속성을 활성화하는 단계(S3630),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640)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하는 단계(S36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7, the method may include entering a touch input mode (S3610), obtaining a push input indica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S3620), activa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S3630), and performing a touch input. In operation S3640, the method may include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based on the touch input in operation S365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입력 모드에 진입한다(S3610). 이때 터치 입력 모드에는 상술한 마우스 모드 또는 디지타이저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또 여기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일렉트로드(3130)를 활성화시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스위치(3200)를 완전 비활성화시키지 않고, 적어도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버튼(3100)들에 대해서는 스위치(3200)를 활성화시켜 놓는다.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touch input mode (S3610).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mode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mouse mode or digitizer mode. In additio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ct the touch input by activating the electroload 3130. However,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does not completely deactivate the switch 3200, and activates the switch 3200 at least for the buttons 3100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3620). 활성화된 버튼(3100) 중 조정 대상 속성이 그 키값이나 키 식별자에 할당되어 있는 버튼(3100)에 푸쉬 입력이 수신되면, 콘트롤러(3500)가 해당 키값이나 키 식별자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할당된 조정 대상 속성을 활성화할 수 있다(S3630). 활성화시에는 해당 조정 대상 속성을 호출하거나 해당 조정 대상 속성의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기기 측에 전달할 수도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obtain a push input indica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S3620). When a push input is received at the button 3100 in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to the key value or the key identifier among the activated buttons 3100, the controller 3500 acquires the corresponding key value or the key identifier, and accordingly the assigned adjustment The target property may be activated (S3630). At the time of activation, a signal for call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r requesting display of the graphic objec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이 조정 대상 속성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해당 조정 대상 속성에 대한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하면,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S3640), 그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S365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콘트롤러(3500)는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속성 조절 입력을 생성하여,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주체에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ctivates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or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for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object property, a touch input is acquired (S3640).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touch input (S3650). The controller 3500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generate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ransmit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to a subjec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as an input interface.

도 68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68 is a flowchart of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68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푸쉬 입력에 따라 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S3710),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720), 키 식별자에 해당하는 문자값을 획득하는 단계(S3730), 조정 대상 속성 할당된 키값을 판단하는 단계(S3740),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750)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하는 단계(S37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8,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key identifier according to a push input (S3710), determining a mode (S3720), obtaining a character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identifier (S3730), and an attribute to be adjusted.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n assigned key value (S3740), obtaining a touch input (S3750), and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property based on the touch input (S376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푸쉬 입력에 따라 키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S3710).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러(3500)가 푸쉬 입력을 받은 스위치(3200)로부터 키 식별자를 전달받는 것이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btain a key identifier according to the push input in operation S3710. Specifically, the controller 3500 receives a key identifier from the switch 3200 that receives the push input.

다음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3720).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500)는 현재 모드가 터치 모드인지 키보드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Nex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rmine a mode (S3720). In detail, the controller 3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 touch mode or a keyboard mode.

만약 키보드 모드인 경우에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 식별자에 해당하는 문자값을 키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S3730). 이 키값은 키보드 입력 형태로 전자 기기측에 전달되어 텍스트 입력에 이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keyboard mod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btain a character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identifier as a key value (S3730). This key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keyboard input and used for text input.

만약 터치 모드인 경우에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 식별자에 할당된 조정 대상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S374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이후 획득되는 터치 입력(S3750)에 기초해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S3760). 속성값의 조절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속성 조절 입력을 생성, 전자 기기 측에 전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If the touch mod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btain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ssigned to the key identifier (S3740).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djust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based on the touch input S3750 obtained in operation S3760. The adjustment of the attribute value may be performed by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generating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us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inpu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attribute adjustment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도 69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또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69 is a flowchart of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69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810),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820),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830),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향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을 보정하는 단계(S3840) 및 보정된 터치 좌표값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하는 단계(S38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9,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push input indica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S3810), obtaining a touch input (S3820),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value (S3830), and adjusting the attribute. The method may include correcting the touch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direction (S3840) and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corrected touch coordinate value (S385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고(S3810), 이후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S3820), 콘트롤러(3500)가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S3830).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cquire a push input indica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S3810), then obtain a touch input (S3820), and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touch coordinate value (S3830). ).

다음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향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을 보정할 수 있다(S3840). 일반적으로 터치 입력은 2차원 터치 좌표값으로 표현되는데, 1차원 속성값을 갖는 조정 대상 속성인 경우, 콘트롤러(3500)는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 조절 방향에 따라 터치 좌표값을 1차원 좌표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Nex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orrect the touch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 operation S3840. In general, the touch input is expressed as a two-dimensional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has a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the controller 3500 corrects the touch coordinate value to on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attribut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an do.

터치 좌표값이 보정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보정된 터치 좌표값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S3850).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은, 콘트롤러(3500)가 보정된 터치 좌표값에 따라 속성 조절 입력을 생성, 전자 기기측에 전달하면, 전자 기기측에 속성 조절 입력에 따라 해당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is correct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adjust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corrected touch coordinate value (S3850). In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when the controller 3500 generates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according to the corrected touch coordinate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electronic device side, the attribut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attribu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adjustment input on the electronic device side. This can be done by.

도 70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다시 또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70 is a flowchart of yet another example of an adjustment method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70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910), 시작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S3920),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과 시작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S3930) 및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입력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단계(S39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0,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push input indicating a property to be adjusted (S3910), calculating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starting touch input (S3920), a current property value and a starting touch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s of the input (S3930) and adjusting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matching relationship (S394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고(S3910), 시작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cquire a push input indica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S3910) and may acquire a start touch input.

시작 터치 입력이 획득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시작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S3920). When the start touch input is obtain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alculate a start touch coordinate value (S3920).

다음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과 시작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의 매칭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S3930). 콘트롤러(3500)는 현재 속성값을 획득하여 시작 터치 좌표값과 이를 매칭시키는 매칭 테이블이나 매칭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Nex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generate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start touch input (S3930). The controller 3500 may generate a matching table or a matching function for acquiring a current attribute value and matching the starting touch coordinate value with it.

매칭 관계가 확정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입력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할 수 있다(S3940).When the matching relationship is determin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adjust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matching relationship (S3940).

한편, 여기서, 매칭 관계가 반드시 설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매칭 관계를 형성하는 대신 시작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이후의 터치 좌표값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속성 조절 입력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스캔 신호의 주기별로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을 수행하는 대신, 현재 터치 좌표값과 시작 터치 좌표값의 차이에 따라 터치 좌표 변동값을 산출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매칭 관계를 형성하여 현재 터치 좌표값을 속성값에 매칭시키는 것과 효과가 동일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here, the matching relationship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established. Instead of forming a matching relationship,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generate an attribute adjustment input based on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starting touch input and the subsequent touch coordinate value. This is to calculate the touch coordinate variation val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starting touch coordinate value, instead of performing the difference calculation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for each cycle of the scan signal, thereby substantially forming a matching relationship to form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The effect can be the same as matching a value to an attribute value.

도 71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 방법의 또 다시 또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71 is a flowchart of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i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도 71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4010), 조정 대상 속성의 범위와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S4020) 및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입력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단계(S40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1,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 push input indica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S4010), obtaining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rang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and a touch area (S4020), and considering a matching relationship. The method may include adjusting an attribute value of an attribut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an input (S403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ep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푸쉬 입력을 획득하면(S4010),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set a touch area when a push input indicating an attribute to be adjusted is acquired (S4010).

이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조정 대상 속성의 범위와 터치 영역 간의 매칭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S4020). 예를 들어, 콘트롤러(3500)는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의 경우에는 그 속성값의 최대/최소값을 각각 터치 영역의 상/하단 또는 좌/우단에 매칭되도록 매칭 관계를 생성하여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트롤러(3500)는 2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조정 대상 속성의 경우에는 2개의 속성값 중 어느 하나의 최대/최소값을 각각 터치 영역의 상/하단에 매칭시키고, 다른 하나의 최대/최소값을 터치 영역의 좌/우단에 매칭시킬 수 있다. 물론, 여기서, 터치 영역이 전체 터치 가능 영역으로 설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In this cas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cquire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ang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nd the touch area (S402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ving a one-dimensional attribute value, the controller 3500 generates a matching relationship such that the maximum / min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matches the upper / lower side or the left / right side of the touch region, respectively. Can be set. For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n adjustment target attribute having a two-dimensional attribute value, the controller 3500 matches the maximum / minimum value of any one of the two attribute values to the top / bottom of the touch area, and the other maximum / The minimum value may be match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uch area. Of course, it is noted here that the touch area does not have to be set to the entire touchable area.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터치 입력에 따라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을 조정할 수 있는데(S4030), 이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djust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n consideration of a matching relationship (S4030). Since this is already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키 입력과 터치 입력 이외에도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링 입력이란 직접 버튼(3100)과 터치되는 터치 입력과 달리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신체 부위를 버튼(3100)의 상부 근방에 위치시키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이하에서는 터치 입력과 호버링 입력을 합쳐 제스처 입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ct a hovering input in addition to a key input and a touch input. Here, the hovering input may refer to an input in which a user places a finger or a body part near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3100, unlike a touch input directly touching the button 310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ouch input and the hovering input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gesture input.

도 72는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호버링 입력에 관한 일 예이다. FIG. 72 is an example of a hovering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0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버튼(3100)에 구비된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3100) 상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예, 손가락)가 위치되면 터치 입력의 경우보다는 그 변화량이 작지만 버튼(3100)에 구비된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이 변화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이를 스캔 신호를 통해 획득함으로써, 이를 호버링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ct the touch input through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3130 included in the button 3100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Here, when the body part (eg, a finger) of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button 3100, the change amount of the user's body portion (eg, a fing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ouch input, but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ification 3130 provided in the button 3100 may change. The controller 3500 acquires this through a scan signal, and thus may process this as a hovering input.

도 72를 참조하면, 비록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보다는 작지만, 호버링 입력 시에도 정전 용량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2, although smaller than the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by the touch input,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capacitance occurs significantly even in the hovering input.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의 크기에 따라 호버링 입력의 평면 상의 위치 이외에도 키보드 표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키보드 레이아웃에 수직한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까지도 센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change in capacitance, in addition to the position on the plane of the hovering input, the user may sense a distance away from the keyboard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keyboard layout.

즉, 콘트롤러(3500)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반영하는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에서와 마찬가지로 (x,y) 값을 산출하고, 이에 더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의 크기가 터치 입력 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의 크기보다 미리 정해진 문턱치 이상 작은 경우 이를 호버링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추가적으로 콘트롤러(3500)는 호버링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정전 용량의 변화의 크기에 기초하여 z값(키보드 레이아웃에 수직한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3500 calculates (x, y) values as in the touch input based on the scan signal reflect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and in addition, the capacitance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change in capacitance is generated at the touch input is calculated. If it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an the size of the change of can be determined as the hovering input.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3500 determines that the hovering input is input, the controller 3500 may calculate a z value (hovering coordinate value perpendicular to the keyboard layout)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500)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입력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입력의 문터값 이하인 동시에 호버링 입력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3500 detects a touch inpu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greater than the touch input threshold, and detects a hovering inpu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iter of the touch input and at least a threshold of the hovering input. can do.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과 일렉트로드(3130)가 터치된 경우에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터치 문턱값 이상이므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이를 터치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 손가락과 일렉트로드(3130)가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도 72 상의 2번째 손과 3번째 손의 경우에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호버링 문턱값 이상이므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이를 호버링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2, when the finger and the electrode 3130 are touched, since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uch threshold valu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ct the touch inp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hand and the third hand of FIG. 72 in which the finger and the electrode 313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ince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more than the hovering threshold,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hoveres this. It can be detected as an input.

또 손가락과 일렉트로드(3130)의 거리가 멀어 호버링 문턱값 이하의 정전 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이를 입력 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electrification 3130 is detected so that a capacitance change of less than the hovering threshold value is detect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treat this as no input.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복수의 전자 기기(20)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도 73은 도 30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를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의 일 예이다.FIG. 73 is an example of a multi-device environment using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f FIG. 30.

도 73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1 전자 기기(21), 제2 전자 기기(22) 및 제3 전자 기기(2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전자 기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따라서, 독립 운용되는 포인터(P)를 스크린(10) 상에서 제어하는 전자 기기들이다. 한편, 여기서, 복수의 전자 기기(20)들이 모두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별개의 전자 기기일 수도 있지만, 복수의 전자 기기(20) 중 어느 하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임베디드 되어 있는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자 기기(21) 및 제3 전자 기기(23)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별도의 구성이고, 제2 전자 기기(22)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일체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멀티 디바이스 환경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Referring to FIG. 73,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ontrol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1,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and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3. Here, the first to third electronic devices control the display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u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control the independently operated pointer P on the screen 10. Meanwhile, although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may all be separate electronic devices from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may b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 May be an embedded electronic devi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1 and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3 are separate from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is the pointing device.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tegrated with th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ulti-device environmen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73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복수의 전자 기기(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복수의 전자 기기(20) 중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최초로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전자 기기에 대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제2 전자 기기(22)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임베디드된 노트북이라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기본적으로 제2 전자 기기(22)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73,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perate as an input interfac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For exampl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perate as an input interface with respect to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is first connected with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I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is a notebook in which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embedd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basically operate as an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have.

이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모드나 키보드 모드에서 입력되는 마우스 입력, 디지타이저 입력 또는 키보드 입력을 획득하여 이를 제2 전자 기기(22)로 전송한다. 제2 전자 기기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전자 기기(22)에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스크린(10) 상에서 포인터(P)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2 전자 기기에 대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로 기능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cquires a mouse input, a digitizer input, or a keyboard input input in a touch mode or a keyboard mod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moves the pointer P or inputs characters on the screen 10 provided by the displa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functions as an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이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detect a hovering input.

도 74는 도 70의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이용한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선택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7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on of a control target device using a hovering input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of FIG. 70.

도 74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모드에서 호버링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터치 모드에서 호버링 입력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터치 조작에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그 동작 모드로서 호버링 모드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으며, 호버링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호버링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4,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input a hovering input in the touch mode. However, when the hovering input is recognized in the touch mode, the touch manipulation may be inconvenient. If necessary,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additionally have a hovering mode as its operation mode. When entering the mode, the hovering input can be recognized.

호버링 모드에 진입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입력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일렉트로이드(3130)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호버링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호버링 입력에 따른 (x,y) 호버링 평면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이때 z축 방향의 호버링 높이 좌표값을 더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entering the hovering mode,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receives a hovering input and accordingly detects whether the hovering input is performed based on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by the electroid 3130, and according to the hovering input. It is possible to obtain (x, y) hovering plane coordinate value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obtain the hover height coordinate value in the z-axis direction.

호버링 좌표값이 획득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좌표에 따라 가상의 3D 포인터(P)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커플링되어 있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스크린(10) 내의 포인터(P)의 이동을 지시하는 것인데 반해, 호버링 입력의 호버링 좌표값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20)들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hovering coordinate value is obtain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3D pointer P according to the hovering coordinate. While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 input indicate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P in the screen 10 provided by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coupled with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the hovering coordinate of the hovering input. The value may be used to select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connectable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구체적으로 다시 도 74를 참조하면,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2 전자 기기(22)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작동하고 있다. 이때, 제7 터치 입력(L5)와 제8 터치 입력(L6) 사이의 터치 입력은 제2 전자 기기(22)의 포인터(P)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이용되어 제2 전자 기기(22)의 포인터를 해당 기기의 스크린 상에서 제7 위치(D5)로부터 제8 위치(D6)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74, firs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perates as an input interfac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between the seventh touch input L5 and the eighth touch input L6 is used a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pointer P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and is a pointer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May be moved from the seventh position D5 to the eighth position D6 on the screen of the device.

이 상황에서 제8 터치 입력(L6) 이후에 호버링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호버링 입력은 제8 호버링 입력(L6)로부터 제9 호버링 입력(L7)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이러한 호버링 입력을 센싱하고, 이에 따라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제8 위치(D6)에 해당하는 공간 상의 위치로부터 제9 위치(D7)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situation, a hovering input may be performed after the eighth touch input L6. The hovering input may be made from the eighth hovering input L6 to the ninth hovering input L7.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senses such hovering input, and thus the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ninth position D7 from the position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eighth position D6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an be moved to

여기서, 제8 위치(D6)에 해당하는 공간 상의 위치는 제2 전자 기기(22)를 지시하는 위치이며, 제9 위치(D7)에 대응하는 공간 상의 위치는 제3 전자 기기(23)을 지시하는 위치이다.Here, the position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eighth position D6 is a position indicat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and the position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ninth position D7 indicates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3. This is where.

3D 포인터가 제3 전자 기기(23)를 지시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어 기기를 현재 3D 포인터가 지시하고 있는 전자 기기, 즉 제3 전자 기기(23)로 변경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occurs while the 3D pointer is in a position indicating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3,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the 3D pointer currently points to the control device, that is, the third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23 can be changed.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3 전자 기기(23)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따라서, 이후에 발생하는 터치 입력, 즉 제9 터치 입력(L7)으로부터 제10 터치 입력(L10)까지의 터치 입력은 제3 전자 기기(23)의 포인터의 조작에 이용되어 포인터를 제3 전자 기기(23)의 스크린 상에서 제9 위치(D7)으로부터 제10 위치(D8)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perates as an input interface of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3. Therefore, the touch input generated afterwards, that is, the touch input from the ninth touch input L7 to the tenth touch input L10 is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of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3 so that the pointer is moved to the third electronic device. It can be used to move from the ninth position D7 to the tenth position D8 on the screen of 23.

한편, 호버링 영역(3020)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3500)는 유무선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연결될 수 있는 주변의 전자 기기의 개수를 파악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개수만큼 또는 최대 분할 개수만큼의 서브 영역으로 호버링 영역(3020)을 분할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서브 영역은 복수의 전자 기기(20)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overing region 30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regions.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500 determines the number of peripheral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by wire or wireless, and the hovering area ( 3020 may be divided. Each sub area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도 75는 도 70의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이용한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선택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7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selecting a device to be controlled using a hovering input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of FIG. 70.

도 75를 참조하면, 일 예로, 두 개의 디바이스가 있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호버링 영역은, 호버링 영역은 제1 영역(3010a’)과 제2 영역(301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3010a’)은 제1 전자 기기(21)를 지시하는 영역이고, 제2 영역(3010a’’)은 제2 전자 기기(22)를 지시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5, as an example,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having two devices, the hovering area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the hovering area of the first area 3010a 'and the second area 3010a' '. ) May be included. Here, the first area 3010a 'may be an area indicati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1, and the second area 3010a' ′ may be an area indicat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22.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호버링 모드(또는 제어 전자 기기 선택 모드)로 진입하면, 콘트롤러(3500)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여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호버링 입력이 호버링 영역(3020) 내에서 이동하면 콘트롤러(3500)는 이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호버링 입력 도중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 영역에 접촉하여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면 해당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호버링 영역(3020)에 할당되어 있는 전자 기기(20)와 제어 대상 기기로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enters the hovering mode (or the control electronic device selection mode), the controller 3500 may detect the hovering input and calculate a hovering coordinate value. When the hovering input moves in the hovering region 3020, the controller 3500 may track this in real time. When the user's body contacts the touch area and generates a touch input during the hovering input,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assigned to the hovering area 3020 corresponding to the touch area wher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may be selected.

이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제어 대상 기기로 선택된 전자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즉,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키보드 입력이나 터치 입력이 인식하면, 그에 따른 키값이나 문자값, 또는 마우스 입력이나 터치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operates as an input inte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selected as the controlling device. That is, when the keyboard input or the touch input is recognized by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the corresponding key input or text value or the mouse input or touch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한편,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 기기와 연결되고, 증강 현실이나 가상 현실로 표시되는 3D 공간 상의 포인터(P’)를 제어하기 위한 호버링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connected to an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device, and acquires a hovering input for controlling a pointer P ′ on a 3D spac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can do.

도 76은 도 70의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버링 입력을 이용한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선택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7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selecting a device to be controlled using a hovering input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of FIG. 70.

본 예에서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는 호버링 영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호버링 영역(3020)은 HMD 등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또는 증강 현실의 3D 공간과 매칭되어 있다. In this example, a hovering area is set in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and the hovering area 3020 is matched with a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3D space provided by the HM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입력에 따라 호버링 좌표값을 산출하고, 이를 HMD나 HMD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이러한 호버링 좌표값을 이용하여 3D 공간 상의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calculate a hovering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hovering input and transmit the hovering coordinate value to the HMD or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HMD. The electronic device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P in the 3D space by using the hovering coordinate value.

여기서, 포인터(P)의 위치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와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20) 중 하나를 지시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포인터 실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20)를 제어 대상 기기로 선택하고,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Here, the pointer P-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is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pointer P is disposed at a position indicating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 connectable to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When a touch input or a pointer execution command for the touch area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may be selected as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may operate as an input interface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한편, HMD 등의 VR 또는 AR 제공 기기는 가상 공간이나 증강 공간 상에 버추얼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 VR or AR providing device such as an HMD may provide a virtual graphic object in a virtual space or an augmented space.

도 76에서는 AR 오브젝트(24)가 HMD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호버링 입력을 통해 가상 포인터(P’)을 AR/VR 오브젝트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뒤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가상 포인터(P’)에 의해 지시되는 오브젝트를 제어 대상 오브젝트로 선택할 수 있다. In FIG. 76, the AR object 24 may be displayed by the HMD. In this state, when the virtual pointer P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AR / VR object is located through the hovering input of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and a touch input is receiv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is input. Can select the object indicated by the virtual pointer P 'as the control object.

이후 수행되는 터치 입력이나 키보드 입력은 제어 대상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제어 대상 오브젝트에 키보드 입력을 전달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The touch input or keyboard input performed afterwards may be used for moving a cursor or a pointer included in the control target object or transferring a keyboard input to the control target object.

도 77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멀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일 예의 순서도이다.7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device control method of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도 77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호버링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4110), 호버링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S4120), 호버링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 가상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S4130), 호버링 종료 시 가상 포인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4140),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4150) 및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의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S4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7, the method includes obtaining a hovering input (S4110), calculating a hovering coordinate (S4120), controlling a position of a virtual point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hovering coordinate (S4130), and hovering. Selecting a control target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pointer at the end (S4140), obtaining a touch input (S4150)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S4160). It may include.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4110). 이때 콘트롤러(35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 변화가 발생하면,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호버링 입력인지를 정전 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btain a hovering input in operation S4110. In this case, when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ic load 3130 occurs due to a user input, the controller 3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 is a touch input or a hovering input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호버링 입력이 획득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S4120). 호버링 좌표값 중 (x,y) 좌표값은 터치 좌표값의 산출과 유사하게 산출될 수 있다. 또 호버링 좌표값 중 z 좌표값은 정전 용량의 변화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호버링 좌표값 중 z 좌표값은 반드시 산출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When the hovering input is obtained,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alculate the hovering coordinates (S4120). The (x, y) coordinate value among the hovering coordinate values may be calculated similarly to the calculation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In addition, the z coordinate value among the hovering coordinate values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However, the z coordinate value of the hovering coordinate values does not have to be calculated.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 가상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S4130). 여기서, 가상 공간에는 복수의 기기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virtual pointer in the 3D space according to the hovering coordinates (S4130). Here,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arranged in the virtual space.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호버링 종료 시 가상 포인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4130). 여기서, 호버링 종료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또는 손가락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서 충분히 멀어져 정전 용량의 변화가 호버링 문턱값 이하로 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어 대상 기기의 선택은 터치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부합하는 UI일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select the controlling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pointer at the end of the hovering (S4130). Here, the end of the hovering may mean a case where a touch input occurs or a finger is sufficiently far from the pointing device-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so that the change in capacitance becomes less than the hovering threshold.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may be a UI that is more determined by a touch input than the user's intention.

콘트롤러(3500)는 이와 같이 호버링이 종료되면, 호버링 종료 시의 가상 포인터가 가르키고 있는 기기를 제어 대상 기기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가 선택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해당 제어 대상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When the hovering is terminated in this manner, the controller 3500 may select a device indicated by the virtual pointer at the end of the hovering as the control target device. When the controlling device is selected,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perate as an input interface of the controlling device.

여기서, 만약 가상 포인터가 VR/AR 오브젝트를 지시하는 상태에서 호버링이 종료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f the hovering is terminated while the virtual pointer indicates the VR / AR object,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device 3000 may operate as an input interface to the corresponding object.

이후,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터치 입력이나 키보드 입력을 획득하고(S4140), 이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의 스크린 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거나 스크린에 텍스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S4150).Thereafter, the pointing device integrated text input apparatus 3000 may acquire a touch input or a keyboard input (S4140), and according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controlling device or perform text input on the screen (S4150).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각 방법들이 그 단계들을 전부 포함하는 것은 물론 일부만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단계들이 설명된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방법에서 각 단계들이 반드시 설명된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all essential, the methods may be performed by including all of the steps as well as some of them. In addition, since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eps in the metho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0: 포인팅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3100: 버튼
3110: 키캡
3120: 버튼 보디
3130: 일렉트로드
3200: 스위치
3300: 전기 연결 부재
3400: 서킷
3500: 콘트롤러
3000: pointing all-in-one text input device
3100: button
3110: keycap
3120: button body
3130: Electrode
3200: switch
3300: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3400: circuit
3500: Controller

Claims (36)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 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loa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to the electroloa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keyboard mode for ignoring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and a touch mode for outputting a first touch signal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Outputting a second touch signal for instructing adjustment of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when a key input to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performed while operating in the touch mode;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outputs a signal instructing 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when a key input to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s obtained while operating in the touch mode.
Electronic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2,
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cludes display of a graphic object f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어느 하나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only one of a vertical value and a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has a one-dimensional property value.
Electronic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 상의 인디케이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value correspon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n indicator on a graphic objec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mong the vertical value and the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과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에 관한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t a touch area related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Electronic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최대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상단 또는 최우측이 매칭되고, 상기 속성값의 최소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하단 또는 최좌단이 매칭되도록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t the touch area such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and the uppermost or rightmost side of the touch area match,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and the lowest or leftmost end of the touch area match.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이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such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current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rrespond to each other.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간의 매칭 관계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매칭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generates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generated, and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the matching relationship.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좌표값 간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first performed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f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Generating a second touch signal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과 함께 감지된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획득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acquired while the touch input sensed together with the key input for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s maintained.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sensed by an electroload of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다른 하나를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one of an increase or a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Generating a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another on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clockwise;
Electronics.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이 획득되면 키보드 모드인지 터치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키보드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문자값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속성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mprising:
A key cap receiving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loa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to the electroloa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 key input is obtaine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keyboard is in a keyboard mode or a touch mode, outputs a text value according to the key input in the keyboard mode, and sets the touch input to a specific attribute value in the touch mode. To perform the property control mode
Electronics.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속성 조절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모드로 복귀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ler enters the property control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touch mode, and returns to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property control mode.
Electronics.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속성 조절 모드를 유지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ler maintains the property control mode while the key input is maintained in the touch mode.
Electronics.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뒤 1회의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ler uses one touch input for adjusting the specific attribute value after the key input occurs.
Electronics.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키보드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에 따른 키값을 반영하는 키보드 입력만을 출력하는 단계;
터치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조절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keycap configured to receive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loa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to the electroloa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Entering a keyboard mode;
Outputting only a keyboard input reflecting a key value according to the push input while ignoring the touch input when operating in the keyboard mode;
Entering a touch mode;
Outputting a first touch signal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touch mode is operated in the touch mode;
Receiving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a property to be adjusted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And
Outputting a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adjustment of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드로 동작 중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when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during operation in the touch mode is obtaine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활성화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Activation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ncludes display of a graphic object f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1차원 속성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어느 하나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only one of a vertical value and a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when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has a one-dimensional property value. do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좌표값의 세로값 및 가로값 중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 상의 인디케이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value correspon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n indicator on a graphic object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mong the vertical value and the horizontal value of the touch coordinate value. Generating step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과 이전 스캔 주기의 터치 좌표값의 차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current scan period and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previous scan perio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절에 관한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Setting a touch area related to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corresponding to a range of property values of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의 최대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상단 또는 최우측이 매칭되고, 상기 속성값의 최소값과 상기 터치 영역의 최하단 또는 최좌단이 매칭되도록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The setting may include setting the touch area such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of the attribute to be adjusted and the uppermost or rightmost side of the touch area match,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ttribute value and the lowermost or leftmost end of the touch area match. Which includes setting up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현재 속성값이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such that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current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correspond to each other.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간의 매칭 관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좌표값과 상기 매칭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a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an attribute value of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value and the matching relationship;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된 이후 최초로 수행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과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의 조정을 위한 터치 좌표값 간의 차연산을 통해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first performed after a key input for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and a touch coordinate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between value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에 대한 키 입력과 함께 감지된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획득된 상기 터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coordinate value acquired while the touch input sensed together with the key input for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is maintained. Generating step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touch signal based on a touch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detected by an electroload of a button having a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property is assigne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대상 속성이 할당된 키값을 가지는 버튼의 일렉트로드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이 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속성값의 증가 또는 감소 중 다른 하나를 지시하는 제2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touch signal may include indic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Generating a second touch signal and a second touch signal indicating another on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ttribute value whe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electroload of the button having the key value to which the adjustment target attribute is assigned is a clockwise direction; Generating a step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키보드 레이아웃을 갖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해 승강하는 버튼 보디; 및 상기 키캡 및 상기 버튼 보디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록 그룹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록 그룹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일렉트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복수의 버튼의 하부에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버튼 보디의 하강에 따라 키 입력을 획득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1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일렉트로드에 정전 용량을 유도하는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 간에 상기 제2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상기 일렉트로드에 유도된 정전 용량의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스캔 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버튼들 간의 상기 일렉트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키 입력을 획득한 스위치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키 입력이 획득되면 키보드 모드인지 터치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문자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속성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keycap configured to receive a push inp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user; A butto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eycap and lifted by the push input; And a first block group interposed between the keycap and the button body and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ic loa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second block group formed by block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 plurality of switches arranged below the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and acquiring a key input as the button body descends;
A drive lin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lock group between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a drive signal for inducing capacitance to the electroload, and to arrange the butt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lock group to form a scan line for receiving a sca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ouch input of the capacitance induced by the drive signal to the electroload by the drive signal. A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rod; And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ey value assigned to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for acquiring the key input, and obtaining a touch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loa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keyboard is in the keyboard mode or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is obtained;
Outputting a text value according to the key input in the keyboard mode; And
Performing an attribute adjustment mode in which the touch input is used to adjust a specific attribute value in the touch mod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속성 조절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 조절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Entering the attribute control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touch mode; And
Returning to the touch mode when the key input occurs in the attribute control mod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속성 조절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Maintaining the property adjustment mode while the key input is maintained in the touch mod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드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이 발생한 뒤 1회의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속성값의 조절에 이용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In the touch mode, one touch input is used to adjust the specific attribute value after the key input occur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KR1020170112163A 2017-09-01 2017-09-01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5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63A KR102015313B1 (en) 2017-09-01 2017-09-01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63A KR102015313B1 (en) 2017-09-01 2017-09-01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71A KR20190025471A (en) 2019-03-11
KR102015313B1 true KR102015313B1 (en) 2019-08-28

Family

ID=6575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163A KR102015313B1 (en) 2017-09-01 2017-09-01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31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9100A (en) 2012-01-17 2012-07-25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Touch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651A (en) * 2011-11-15 2014-06-19 조은형 Multi human interface devide having display unit
KR20140089660A (en) * 2013-01-04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pa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pad
KR20150032950A (en) * 2013-09-22 2015-04-01 조은형 Digital device having multi human interface devide
KR20150050546A (en) * 2015-04-20 2015-05-08 조은형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9100A (en) 2012-01-17 2012-07-25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Touch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71A (en)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854B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1158629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KR20230027136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5313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530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71400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