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747B1 -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 Google Patents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747B1
KR102009747B1 KR1020170114432A KR20170114432A KR102009747B1 KR 102009747 B1 KR102009747 B1 KR 102009747B1 KR 1020170114432 A KR1020170114432 A KR 1020170114432A KR 20170114432 A KR20170114432 A KR 20170114432A KR 102009747 B1 KR102009747 B1 KR 10200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arrangement pattern
beacons
building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7533A (en
Inventor
민홍
조광수
안준혁
정혜은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747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여,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되,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건물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비콘의 배치 패턴을 다양화하여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뿐만 아니라 BLE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로봇과 같은 자율이동체의 공간 인식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passing into a building from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in a building. Separate into multiple zones and place multiple beacons in different placement patterns in each zone, receiving beacon signals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zone, grouping them to similar beacon values based on changes in the received signal By checking the beacon layout pattern of the area, even if there is no prio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the beacon layout pattern is diversified to separate the sp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pace, and not only a user with a smartphone For space recognition of autonomous vehicles such as drones and robots equipped with BLE communication module It relates to the spatial perception of objects through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that can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ways.

Description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본 발명은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여,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되,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건물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비콘의 배치 패턴을 다양화하여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뿐만 아니라 BLE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로봇과 같은 자율이동체의 공간 인식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passing into a building from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in a building. Separate into multiple zones and place multiple beacons in different placement patterns in each zone, receiving beacon signals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zone, grouping them to similar beacon values based on changes in the received signal By checking the beacon layout pattern of the area, even if there is no prio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the beacon layout pattern is diversified to separate the sp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pace, and not only a user with a smartphone For space recognition of autonomous vehicles such as drones and robots equipped with BLE communication module It relates to the spatial perception of objects through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that can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ways.

최근 스마트폰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한 위치 인식 모듈과 LTE (Long Term Evolution) Wi-Fi, 블루투스 (Bluetooth, Bluetooth Lower Energy (BLE) 포함)등 다양한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Recently,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 location recognition module includ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long term evolution (LTE) Wi-Fi, and a Bluetooth (including Bluetooth, Bluetooth Lower Energy (BLE)).

GPS의 경우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통신 모듈의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활용한 실내위치확인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IoT (the Internet of Thing) 기기들이 활용되면서 실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있고 복잡한 건물 구조와 사람의 이동이 많은 병원, 쇼핑몰, 복합 스포츠 센터와 같은 대형 건물에서는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의 활용도가 높다.Since GPS cannot be used indoors,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utiliz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of a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In addition, as IoT (the Internet of Thing) devices are utilized, various types of location-based services are provided indoors. Especially in large buildings such as hospitals, shopping malls, and complex sports centers where a large number of APs (Access Points) are installed and complex building structures and many people are moving,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is highly utilized.

기존의 Wi-Fi 기반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부정확성, 제한된 AP의 개수, 과다한 에너지 소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BLE 기반의 시스템 설계를 통해 설치 비용과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inaccuracy, limited number of APs, and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in the existing Wi-Fi-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reduce installation cost and energy consumption by designing a BLE-based system. .

실제로 BLE 비콘을 병원에 설치하여 환자의 위치 정보를 추적한 결과 97.22%까지 정확도를 높인 연구도 있다. 이와 같이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는 정확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비콘의 배치가 중요하다. In fact, some studies have improved the accuracy of 97.22% by tracking the patient's location by installing BLE beacons in hospitals. As such, accuracy is important in indoor positioning systems, so placement of beacons is important.

비콘의 배치와 장애물에 따라 수신신호강도의 편차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측정된 위치값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신신호강도 확보를 위해 장애물을 고려한 최적의 설치위치를 찾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라디오 맵(radio map)을 생성하여 측정된 위치값을 보정하는 기법들도 있다.This is because the deviation of the received signal intensity occurs according to the beacon arrangement and obstacles, and this causes an error in the measured position value. Therefore, researches to find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considering obstacles to secure stable signal strength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also techniques for correcting the measured position value by generating a radio map.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법들의 경우, 초기 라디오 맵을 구성하는 과정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설치 환경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apt to a situation in which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initial radio map is high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s dynamically chang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39007 호(2017년05월17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39007 (registered May 17, 20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여,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되,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건물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비콘의 배치 패턴을 다양화하여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passing into a building from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various layout patterns in a building. By dividing the space into multiple zones and placing multiple beacons in different layout patterns for each zone, the beacon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zone, but with similar beacon value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hange values. By grouping and checking the beacon placement pattern of the area, even if there is no prio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the beacon layout pattern is diversified to diversify the beacon layout pattern so that users can easily recognize the space. It relates to a method of space recognition of an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뿐만 아니라 BLE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로봇과 같은 자율이동체의 공간 인식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ecognizing a space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or space recognition of autonomous vehicles such as drones and robots equipped with BLE communication modules as well as users with smartphones. will b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은,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해당 구역의 비콘 신호들로부터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which is a space recognition method for an object passing into a building from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in a building. Separating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placing a plurality of beacons in different placement patterns for each zone; Receiving beacon signals from corresponding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area; Measuring change values of a received signal upon passing of the object from the received beacon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grouping to similar beacon value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hange values and confirming a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area.

여기서, 상기 비콘의 배치 패턴은 사각형, 마름모, 더블유형 또는 그 들의 조합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quare, rhombus, double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상기 비콘의 배치 패턴은 건물의 층마다 다르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s is preferably formed different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비콘 신호는 수신신호강도(RSSI)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acon signal is preferably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또한,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해당 구역의 진입지점,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을 통과할 때의 수신 변환값들을 측정함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change 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when passing the object,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received conversion values when passing through the entry point, 1/3 point, 2/3 point, exit point of the area. Do.

또한, 상기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는 단계에서는, 해당 구역의 진입 지점.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 각각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비콘은 각 지점 마다 다르게 그루핑됨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step of grouping with a similar beacon valu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hange value, the entry point of the area.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 various patterns measured at 1/3 points, 2/3 points, and exit points are grouped differently at each point.

또한, 상기 물체는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또는 자율이동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bject is preferably a user with a smartphone, a dron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r an autonomous mobile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의하면,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여,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되,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건물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비콘의 배치 패턴을 다양화하여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space recognition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ace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various layout patterns in a building into a building, the space in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 number of zones and a plurality of beacons are placed in different zones in each zone to receive beacon signals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zone, grouping to similar beacon value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hange values. And by checking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the area,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pace by separating the space by diversifying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even in the absence of prio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또한,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뿐만 아니라 BLE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로봇과 같은 자율이동체의 공간 인식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of space recognition of autonomous vehicles such as drones and robots equipped with BLE communication module as well as users with smartpho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있어 비콘이 사각형의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있어 비콘이 W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있어 비콘이 마름모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ace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cognizing a space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a beacon according to a rectangular arrangement pattern in a space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beacon recognition of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s according to a W arrangement pattern in a space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beacon recognition of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s according to a rhombus arrangement pattern in a spatial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ny way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ace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100)은,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비콘(10); 및 물체가 건물 내의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space recognition system 100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eacons 10 installed in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in a building; And receiving the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in the building, grouping the similar beacon valu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hange values, and checking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area. It is mad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물체는 공간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뿐만 아니라 BLE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로봇과 같은 자율이동체 등 다양한 공간 내 이동 물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이동 물체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object can be applied to moving objects in various spaces, such as a drone equipped with a BLE communication module, an autonomous vehicle such as a robot, as well as a user having a smartphone that can freely move in the space, and the mov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kind of object.

상기 비콘(10)들은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된 구역 내에서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진다.The beacons 1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arrangement patterns for each zone in a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상기 비콘(10)은 신호 송출 영역에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물체의 건물 내의 해당 구역을 지나는 동안 특정한 패턴으로 수신신호강도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The beacon 10 transmits a beacon signal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ignal transmission area, and changes in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specific pattern while passing through a corresponding area in a building of an object receiving the beacon signal. .

상기 비콘(10)의 배치 패턴은 사각형, 마름모, 및 더블유형 등 또는 그 들의 조합 형태일 수 있으며, 건물의 층마다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10 may be a quadrangle, a rhombus, a double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or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상기 물체의 공간 인식부(20)는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수신신호강도: RSSI)를 수신하고, 수신된 해당 구역의 비콘 신호들로부터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pace recognition unit 20 of the object receives a beacon signal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area, and when the object passes from the beacon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area received. It measures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또한, 상기 물체의 공간 인식부(20)는 상기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In addition, the spatial recognition unit 20 of the object performs a grouping of similar beacon values based on the chang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and checks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area.

여기서, 건물의 층마다 배치 패턴을 다르게 형성한 경우에는, 그루핑에 따른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에 따라 건물 내의 몇 층에 이동 물체가 통과하는 지를 인식 할 수 있게 된다.Here, when different arrangement patterns are form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ich floor the building moves through according to recognition of a beacon arrangement pattern according to group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1과 함께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pace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recognizing a space of th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은,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위치를 측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건물 내의 다수의 비콘(10)을 배치하는 단계(S10), 상기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S30), 및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the spatial recognition method of the object through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recognition method of the object passing through the building from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a variety of arrangement patterns in the building. (Method for positioning), placing a plurality of beacons 10 in the building (S10), receiving a beacon signal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area (S20), upon passing of the object Measuring the change 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at (S30), and grouping with a similar beacon value and checking the beacon placement pattern (S40).

상기 건물 내의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는 단계(S10)에서는,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10)을 배치하게 된다.In the step S10 of arranging a plurality of beacons in the building, the space in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a plurality of beacons 10 are arranged in different arrangement patterns for each zone.

즉, 기존의 기법들이 건물 구조물의 통로에 일괄적으로 비콘을 설치하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특정 공간을 서로 간섭이 되지 않도록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마다 서로 다른 패턴으로 비콘(10)을 배치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s are collectively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building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pecific space into several zon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rranges the beacons 10 in different patterns in each zone.

상기 비콘(10)의 배치 패턴은 사각형, 마름모, 및 더블유형 등 또는 그 들의 조합 형태일 수 있으며, 건물의 층마다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10 may be a quadrangle, a rhombus, a double type or the lik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에서는 물체(드론)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인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상기 물체의 공간 인식부(2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Receiving a beacon signal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zone (S20),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is a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s while the object (drone) passes through the zone; It is received through the space recognition unit 20 of the object.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S30)에서는, 수신된 해당 구역의 비콘 신호들로부터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상기 물체의 공간 인식부(20)를 통해 측정하게 된다.In step S30 of measuring change 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object passes, the spatial recognition unit 20 receives change 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object passes from the beacon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area. Measure through

즉, 건물 내에서 비콘을 서로 다른 구역과 서로 다른 형태의 패턴으로 배치하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하는 물체가 해당 구역을 지나는 동안 특정한 패턴으로 수신신호강도의 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물체의 공간 인식부(20)는 이러한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게 된다.That is, if a beacon is arranged in a different pattern from a different area in a building, a change in received signal intensity occurs in a specific pattern while a moving object receiving the beacon signal passes through the area, and the space recognition unit of the object 20 measures change 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상기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S40)에서는, 상기 물체의 공간 인식부(20)에서 상기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유사한 비콘값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여 비콘의 배치 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Grouping with the similar beacon value and confirming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S40), the space recognition unit 20 of the object grouped to a similar beacon value based on the chang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and check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the area It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s.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비콘의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xample of recognizing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s according to various beacon arrangement patterns using a spatial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the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있어 비콘이 사각형의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a beacon according to a rectangular arrangement pattern in a space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이 사각형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하는 물체인 사용자(user)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했을 때 초기 위치에서는 좌측 3개와 우측 2개의 비콘이 수신신호강도의 값이 유사하여 두 개의 그룹으로 각각That is,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beacon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square and the user (moving user) moving from left to right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hree left and two right beacon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The values are similar, so each of the two groups

묶이고, 이동 후에는 좌측 2개와 우측 3개의 비콘이 그룹으로 각각 묶이게 됨을 알 수 있다. After the movement, it can be seen that after moving, two left and three right beacons are grouped, respectively.

아울러,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비콘을 배치했을 경우, 해당 구역의 진입지점(Entry),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Exit)을 통과할 때의 수신 변환값들을 측정하였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when the beacons are arranged in a square, the reception conversion value when passing through the entry point (Entry), 1/3 point, 2/3 point, exit point (Exit) of the area Were measured.

표 1)Table 1

Figure 112017086942955-pat00001
Figure 112017086942955-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콘이 사각형으로 배치된 경우, 이동 물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일정한 패턴의 그룹(그루핑)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beacons are arranged in a square, it can be seen that a group (grouping)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different spaces can be recognized. .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있어 비콘이 W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beacon recognition of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s according to a W arrangement pattern in a space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W 형으로 비콘을 배치했을 경우, 이동 물체(각각 A, B, C, D)가 해당 구역의 진입지점(Entry),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Exit)을 통과할 때의 수신 변환값들을 측정하였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4a to 4d, when the beacon is placed in the W-type, the moving objects (A, B, C, D, respectively) is the entry point (Entry) of the area, 1/3 point, 2 Receive conversion values were measured when passing through the / 3 point and the exit point (Exit).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장애물이 없는 자유 공간(예를 들어 운동장)에 측정하고, 단층에 하나의 패턴만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각 A, B, C, D 위치에서 각각 10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여 그루핑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in a free space (for example, an athletic field) free of obstacles, and it is assumed that only one pattern is present in the fault, and the average value is measured 10 times at each A, B, C, and D position. Grouping was used.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A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콘 그룹이 비콘 1∼5로 5개의 그룹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0.7dBm이었다.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A, it is confirmed that the beacon group is grouped into five groups with beacons 1 to 5,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s is approximately 0.7 dBm. It was.

여기서, 비콘 4가 비콘 5보다 멀리 있도록 하여 측정한 결과로 나타내었다.Here, the beacon 4 is shown as a result measured to be farther than the beacon 5.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B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콘 그룹이 4개의 그룹(Group(A)=비콘 2, Group(B)=비콘 1,3, Group(C)=비콘 4, Group(D)=비콘 5)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3.5dBm이고 최대 동일 그룹 내 차이는 3.5dBm 이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B,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B, the beacon group is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 = Beacon 2, Group (B) = Beacon 1,3, Group (C)). = Beacon 4, Group (D) =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ing to beacon 5,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 value is approximately 3.5dBm and the maximum within the same group was 3.5dBm.

계속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C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콘 그룹이 4개의 그룹(Group(A)=비콘 4, Group(B)=비콘 3,5, Group(C)=비콘 2, Group(D)=비콘 1)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3.5dBm이고 최대 동일 그룹 내 차이는 3.8dBm 이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C,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C, the beacon group is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 = Beacon 4, Group (B) = Beacon 3, 5, Group (C). ) = Beacon 2, Group (D) = beacon group 1) was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 value is approximately 3.5dBm and the maximum within the same group was 3.8dBm.

최종적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D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콘 그룹이 비콘 1∼5로 5개의 그룹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4.3dBm이었다.Finally, as shown in FIG. 4D,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D, it was confirmed that the beacon group is grouped into 5 groups with beacons 1 to 5,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s is approximately 4.3. dBm.

상기 4a 내지 도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콘이 W 자형으로 배치된 경우, 이동 물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일정한 패턴의 그룹(그루핑)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4a to 4d, when the beacons are arranged in a W-shape, it can be seen that a group (grouping)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gene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us different spaces can be recognized. It was confirmed.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있어 비콘이 마름모 배치 패턴에 따른 그루핑 및 비콘 배치 패턴의 인식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5A to 5D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beacon recognition of grouping and beacon arrangement patterns according to a rhombus arrangement pattern in a spatial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n arrangement pattern of bea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으로 비콘을 배치했을 경우, 이동 물체(각각 A, B, C, D)가 해당 구역의 진입지점(Entry),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Exit)을 통과할 때의 수신 변환값들을 측정하였다.That is, when the beacons are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s shown in FIGS. 5A to 5D, moving objects (A, B, C, and D, respectively) are entry points (Entry), 1/3 points, and 2 of the corresponding area. Receive conversion values were measured when passing through the / 3 point and the exit point (Exit).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A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비콘 그룹이 4개의 그룹(Group(A)=비콘 1, Group(B)=비콘 2,4, Group(C)=비콘 5, Group(D)=비콘 3)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0.2dBm이고 최대 동일 그룹 내 차이는 1.6dBm 이었다.First, as shown in FIG. 5A,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A, the beacon group has four groups (Group (A) = beacon 1, Group (B) = Beacon 2,4, Group (C)). = Grouping beacon 5, Group (D) = beacon 3),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 value is approximately 0.2dBm and the maximum difference within the same group was 1.6dBm.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B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콘 그룹이 3개의 그룹(Group(A)=비콘 1, 3, Group(B)=비콘 2,4, Group(C)= 비콘 5)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5.8dBm이고 최대 동일 그룹 내 차이는 0.7dBm 이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B,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B, the beacon group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 Beacon 1, 3, Group (B) = Beacon 2, 4, Group ( It was confirmed that grouping with C) = beacon 5),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 was approximately 5.8 dBm and the difference within the maximum same group was 0.7 dBm.

계속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C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비콘 그룹이 3개의 그룹(Group(A)=비콘 3,5, Group(B)=비콘 2,4, Group(C)= 비콘 1)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5.4dBm이고 최대 동일 그룹 내 차이는 0.9dBm 이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C,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C, the beacon group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 beacons 3 and 5, Group (B) = beacons 2 and 4, Group). It was confirmed that (C) = grouped into beacon 1),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 values was approximately 5.4 dBm and the difference within the maximum same group was 0.9 dBm.

최종적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가 D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비콘 그룹이 4개의 그룹(Group(A)=비콘 5, Group(B)=비콘 2,4, Group(C)=비콘 1, Group(D)=비콘 3)으로 그루핑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때, 최소 그룹간 값 차이가 대략 2.5dBm이고 최대 동일 그룹 내 차이는 0.2dBm 이었다.Finally, as shown in FIG. 5D,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D, the beacon group is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 = Beacon 5, Group (B) = Beacon 2,4, Group (C). ) = Beacon 1, Group (D) = beacon 3) grouping was confirmed, 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group value is approximately 2.5dBm and the maximum difference within the same group was 0.2dBm.

상기 5a 내지 도 5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콘이 마름모 형으로 배치된 경우, 이동 물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일정한 패턴의 그룹(그루핑)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5a to 5d, when the beacons are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 group (grouping)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us different spaces can be recognized. It was confirmed.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시스템
10: 다수의 비콘
20: 물체의 공간 인식부
100: spatial recognition system of an object through a beacon's arrangement pattern
10: multiple beacons
20: spatial recognition unit of the object

Claims (8)

건물 내에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비콘 신호로부터 건물 내로 통과하는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건물 내의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 마다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다수의 비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해당 비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해당 구역의 비콘 신호들로부터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변화값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해당 구역의 비콘 배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콘의 배치 패턴은 사각형, 마름모, 더블유형 또는 그 들의 조합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해당 구역의 진입지점,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을 통과할 때의 수신 변환값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신호 변화값들을 토대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변화값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는 단계에서는, 해당 구역의 진입 지점. 1/3 지점, 2/3 지점, 출구 지점 각각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비콘은 각 지점 마다 다르게 그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
A spatial recognition method of an object passing into a building from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stalled in various layout patterns in the building,
Separating the space in the building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placing a plurality of beacons in different placement patterns for each zone;
Receiving beacon signals from corresponding beacons while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area;
Measuring change values of a received signal upon passing of the object from the received beacon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Grouping the change valu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to a group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hange values and confirming a beacon arrangement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area;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angular, rhombus, double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when passing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received conversion value when passing through the entry point, 1/3 point, 2/3 point, the exit point of the area; ,
Grouping the change valu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to a group based on the change 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 various patterns measured at each of the 1/3 point, the 2/3 point, and the exit point are grouped differently at each poi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의 배치 패턴은 건물의 층마다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is a spatial recognition method of the object through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ifferently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수신신호강도(RS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beacon signal is a spatial recognition method of the object through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통과시의 수신신호의 변화값들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다수의 수신신호 변화값들의 평균값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space of the object through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chang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when passing the object is measured as the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received signal chang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 또는 자율이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의 배치 패턴을 통한 물체의 공간 인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is a user having a smart phone, a dron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r an autonomous mobi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tial recogni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beacon arrangement pattern.
KR1020170114432A 2017-09-07 2017-09-07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KR102009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32A KR102009747B1 (en) 2017-09-07 2017-09-07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32A KR102009747B1 (en) 2017-09-07 2017-09-07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33A KR20190027533A (en) 2019-03-15
KR102009747B1 true KR102009747B1 (en) 2019-08-12

Family

ID=6576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32A KR102009747B1 (en) 2017-09-07 2017-09-07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7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76B1 (en) 2019-07-31 2020-11-17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utonomous 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07B1 (en) * 2014-07-11 2017-05-24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beac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41B1 (en) * 2008-02-04 2010-04-0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mobile node based on snooping node us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US8700054B2 (en) * 2011-06-10 2014-04-15 Google Inc. Prediction of indoor level and location using a three stage process
KR101873760B1 (en) * 2012-04-16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 of mobile terminal
KR101601961B1 (en) * 2014-03-07 2016-03-09 주식회사 에스원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using multi-antenna sensor
KR20160063761A (en) * 2014-11-27 2016-06-07 최종운 Method for configuring space for calculating location of bluetooth low energy device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reof
KR101680151B1 (en) * 2014-12-11 2016-11-28 유기석 Apparatus for provid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beacons and method thereof
KR102386024B1 (en) * 2015-10-15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A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User Location
KR102579650B1 (en) * 2015-12-29 2023-09-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RECODING MEDIUM for MAKING RF FINGERPRINT MAP and ESTIMATING 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07B1 (en) * 2014-07-11 2017-05-24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beac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33A (en)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356B2 (en) Location estimation method for indoor device
Liu et al. Survey of wireless based indoor localization technologies
CN104837142B (en)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reference point in wireless positioning system
EP23752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sition fix indoors
CN103162683B (en) For perform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map match
US95067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position tagging
WO2014149405A3 (en) Position information assisted beamforming
US10652838B2 (en) Wireless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CN107462868A (en) Indoor locat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MESH
KR101988107B1 (en) System for beacon-based indoor wireless positiong and method for interference avoidance using the same
KR201800569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wireless power to a position estimated b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CN110572811B (en) Ultra-wideband dynamic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06796110A (en) Network element and user equipment position indoors in environment determine
US200900857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mobile radio frequency reader based on its location
CN108141699A (en) Device-to-device operation under the no network coverage
CN1979211A (e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ing method
US92886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isit location detection
CN103428629A (en) Hybrid loca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09747B1 (en) Space recognizing method of object through beacon arrangement pattern
US10885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link-type grid fingerprint database
US99492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accuracy in location and proximity determination
CN102291819B (en) Approximate point-in-triangulation test (APIT) positioning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WSN) based on automatic region adjustment
CN106664530B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location and proximity determination
CN102665275A (en) Wireless locating method based on uplink pilot signals and wireless locating device based on uplink pilot signals
JP6480297B2 (en) Terminal device and position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