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447B1 -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 Google Patents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447B1
KR102005447B1 KR1020110114124A KR20110114124A KR102005447B1 KR 102005447 B1 KR102005447 B1 KR 102005447B1 KR 1020110114124 A KR1020110114124 A KR 1020110114124A KR 20110114124 A KR20110114124 A KR 20110114124A KR 102005447 B1 KR102005447 B1 KR 10200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layer
material layers
core portion
contact
nano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9078A (en
Inventor
조경상
국양
차승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447B1/en
Publication of KR2013004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나노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소자를 제공한다. 본 나노 구조체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코어부 및 코어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껍질부를 포함하고,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한다. A nanostructure and a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are provided. The present nanostructure includes a core portion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and the shell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Description

나노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소자{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nostructure and a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본 개시는 나노 구조체,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소자 및 나노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nanostructures, devices comprising nano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nanostructures.

벌크 상태의 실리콘 재료는 그 발광효율이 낮아서, 반도체 소자 분야에 이용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비실리콘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가 반도체 소자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합물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는 발광 효율은 높지만 실리콘 재료에 비해 많은 비용이 들며, 기판 상에 양질의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기가 어렵고, 실리콘 칩 상에 집적화하기 어렵다.Silicon materials in a bulk state have a low luminous efficiency and thus have limitations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 devices. For this reason, non-silicon compound semiconductors or oxide semiconductors are used as semiconductor devices. However, such compound semiconductors or oxide semiconductors have a high luminous efficiency, but are more expensive than silicon materials,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high-quality semiconductor thin film on a substrate and to integrate them on a silicon chip.

양자 우물(quantum well), 양자점(quantum dot), 나노와이어 등과 같은 나노구조를 갖는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는 박막형 구조의 반도체 소자에 비해 효율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나노 구조를 적용한 반도체 소자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A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ed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having a nanostructure such as a quantum well, a quantum dot, or a nanowire is more efficient than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thin film structure. Therefore, studies on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uch nanostructur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너지 장벽이 존재하는 나노 구조체 및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소자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devices comprising nanostructures and nanostructures in which energy barriers exist.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르는 나노 구조체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껍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한다.A nanostructure according to one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portion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wherein the shell por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그리고, 상기 코어부는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및 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core portion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a nanowire, a nanorod, and a nanotube.

또한, 상기 코어부는 Ⅳ족 반도체,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산화물 반도체 및 질화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Ⅳ족과 Ⅴ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와 Ⅵ족 원소가 혼합된 물질일 수 있다.The core portion may be any one of a group IV semiconductor,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a group II-VI compound semiconductor, an oxide semiconductor and a nitride semiconductor, or may be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Group IV and Group V elements with a Group VI element Lt; / RTI >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은 다이폴 형성이 가능한 물질일 수있다.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may be dipole-forming material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 각각은 무기 리간드이거나 유기 리간드일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may be an inorganic ligand or an organic ligand.

그리고, 상기 무기 리간드는, Sn2S6, Sn2Se6, In2Se4, In2Te3, Ga2Se3, CuInSe2, Cu7S4, Hg3Se4, Sb2Te3 또는 ZnTe의 하이드라진 수화물을 포함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 화합물일 수 있다.The inorganic ligan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n 2 S 6 , Sn 2 Se 6 , In 2 Se 4 , In 2 Te 3 , Ga 2 Se 3 , CuInSe 2 , Cu 7 S 4 , Hg 3 Se 4 , Sb 2 Te 3 Or a metal chalcogenide compound comprising a hydrazine hydrate of ZnTe.

또한, 상기 유기 리간드는, TOP(trioctylphosphine), TOPO(trioctylphosphine oxide), 올레산(oleic acid), 올레일아민(oleylamine), 옥틸아민(octylamine), 트리옥틸아민(trioctyl amine),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옥탄티올(octanethiol), 도데칸티올(dodecanethiol), 헥실포스폰산(HPA), 테트라데실포스폰산(TDPA) 및 옥틸포스핀산(OP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octylphosphine (TOP), trioctylphosphine oxide (TOPO), oleic acid, oleylamine, octylamine, trioctylamine, hexadecylamine ), Octanethiol, dodecanethiol, hexylphosphonic acid (HPA), tetradecylphosphonic acid (TDPA), and octylphosphinic acid (OPA).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is plural, and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상기 껍질부는, 상기 제2 물질층과 접하며, 상기 제2 물질층과 다른 종류의 제3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ell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aterial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erial layer, the third material layer being different from the second material layer.

그리고, 상기 제2 물질층의 전도 대역은 상기 제1 물질층의 전도 대역보다 작고 제3 물질층의 전도 대역보다 클 수 있다. The conduction band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conduction band of the first material layer and larger than the conduction band of the third material layer.

한편,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르는 광학 소자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껍질부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elemen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paced apart; And a nano structu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re portion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wherein the shell portions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material layer.

그리고, 상기 제1 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물질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lay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한편,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르는 열전 소자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껍질부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paced apart; And a nano structu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re portion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wherein the shell portions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material layer.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is plural, and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 물질층 중 상기 나노 구조체의 일측부에 배치된 제1 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물질층 중 상기 나노 구조체의 타측부에 배치된 제2 물질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material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ano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first material layers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nano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second material layers 2 material laye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한편,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르는 반도체 회로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3 전극;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 모두에 접하고,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껍질부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껍질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3 개의 제1 물질층과 2개의 제2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물질층과 상기 제2 물질층은 접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circuit comprising first to third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nano structure contacting both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re portion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wherein the shell portion includes three first material layers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and two And a second material layer, wherein the first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3개의 제1 물질층은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에 하나씩 접할 수 있다. The three first material layers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hrough third electrodes one by one.

본 개시의 나노 구조체는 서로 다른 물질이 접하면서 코어부를 감싸기 때문에 에너지 장벽이 존재한다. 상기한 에너지 장벽은 전하를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레벨이 낮은 전하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특정 전하만이 이동하도록 한다. The nanostruc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energy barriers because different materials touch and cover the core. The energy barrier not only induces the charge to move in one direction but also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charge with a low energy level so that only a specific charge moves.

또한, 에너지 장벽이 있는 나노 구조체를 적용한 소자는 동작 효율을 향상된다. In addition, a device using a nanostructure having an energy barrier improves the operation efficiency.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의 제1 및 제2 물질층의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물질층의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1 및 제2 물질층의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의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의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diagram showing the energy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of FIG.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diagram showing energy levels of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shown in FIG. 2A.
3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diagram showing the energy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of FIG. 3A.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element including the nanostructure of FIG. 1A.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of FIG. 3A.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circuit including a nanostru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element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나노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sclosed nanostructure, an element including the nano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체(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b는 도 1의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의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개시된 나노 구조체(100)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코어부(110) 및 서로 접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이 코어부(110)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감싸는 껍질부(120)를 포함한다.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diagram showing energy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of FIG. The disclosed nanostructure 100 includes a core 110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re 110 And includes a wrapping shell portion 120.

코어부(110)는 나노와이어(nanowire), 나노막대(nanorod) 또는 나노튜브(nanotube)일 수 있으며, 도 1에는 코어부(110)가 나노와이어 또는 나노막대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나노와이어와 나노막대는 서로 다른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지며, 나노와이어의 종횡비가 나노막대의 종횡비보다 크다. 코어부(110)의 지름은 수 ㎚에서 수 ㎛ 사이일 수 있다. 코어부(110)는 Ⅳ족 반도체,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산화물 반도체 및 질화물 반도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Ⅳ족과 Ⅴ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와 Ⅵ족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portion 110 may be a nanowire, a nanorod, or a nanotube. In FIG. 1, the core portion 110 is a nanowire or a nanorod. Here, the nanowires and nanorods have different aspect ratios, and the aspect ratio of the nanorods is larger than the aspect ratio of the nanorods. The diameter of the core portion 110 may be between several nanometers and several micrometers. The core portion 110 may include any one of a group IV semiconductor,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a group II-VI compound semiconductor, an oxide semiconductor, and a nitride semiconductor, 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roup IV and Group V elements and a Group VI element. can do.

여기에서, 상기 Ⅳ족 반도체는 예를 들어, Si, Ge, SiGe 또는 Si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Ⅲ-Ⅴ족 반도체는 GaAs, AlGaAs, InP 또는 G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Ⅱ-Ⅵ족 반도체는 예를 들어, CdS, CdSe, ZnS 또는 ZnS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화물 반도체는 Zn 산화물 또는 Ti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코어부(110)는 BiTe, BiSe, PbTe, PbTeSn 등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110)는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도전성 불순물, 예를 들어, B, P, As 등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도핑에 의해서 코어부(110)의 전기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Group IV semiconductor may include, for example, Si, Ge, SiGe, or SiC, and the Group III-V semiconductor may include GaAs, AlGaAs, InP, or GaN. The II-VI semiconductor may include, for example, CdS, CdSe, ZnS, or ZnSe, and the oxide semiconductor may include Zn oxide, Ti oxid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re 110 may include compound semiconductors such as BiTe, BiSe, PbTe, PbTeS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re 110 may be doped with conductive impurities such as B, P, and As used in general semiconductor processes.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core portion 110 can be improved by the impurity doping.

껍질부(120)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은 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코어부(110)의 일부 표면을 감싼다.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은 코어부(110) 전체를 감쌀 수도 있지만 일부 영역을 감쌀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코어부(110)의 전체를 감싸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질층은 코어부(110)의 일단부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감싸고, 제2 물질층은 코어부(110)의 타측은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감쌀 수 있다. The shell 120 includes different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124.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urround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re 110.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may cover the entire core 110, but may cover some areas. In FIG. 1, a state of covering the entire core 110 is shown. 1, the first material layer surrounds a part of the region including one end of the core part 110,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covers a part of the region including the other side of the core part 110 .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은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 각각은 다이폴 형성이 가능한 물질, 유기 리간드 또는 무기 리간드일 수도 있다. 제1 물질층은 유기 리간드이면, 제2 물질층은 무기 리간드일 수 있다. 여기서 유기 리간드는 TOP(trioctylphosphine), TOPO(trioctylphosphine oxide), 올레산(oleic acid), 올레일아민(oleylamine), 옥틸아민(octylamine), 트리옥틸아민(trioctyl amine),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옥탄티올(octanethiol), 도데칸티올(dodecanethiol), 헥실포스폰산(HPA) 및 테트라데실포스폰산(TDPA), 옥틸포스핀산(OP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리간드는 Sn2S6, Sn2Se6, In2Se4, In2Te3, Ga2Se3, CuInSe2, Cu7S4, Hg3Se4, Sb2Te3 또는 ZnTe의 하이드라진 수화물을 포함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 화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하이드라진 수화물은 모노수화물(monohydrate), 이수화물(dihydrate), 삼수화물(trihydrate), 사수화물(tetrahydrate), 오수화물(pentahydrate) 및 육수화물(hexahyd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can be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124 may be a dipole-forming material, an organic ligand, or an inorganic ligand. If the first material layer is an organic ligand, then 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an inorganic ligand. Wherein the organic liga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octylphosphine (TOP), trioctylphosphine oxide (TOPO), oleic acid, oleylamine, octylamine, trioctylamine, hexadecylamin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ctanethiol, dodecanethiol, hexylphosphonic acid (HPA) and tetradecylphosphonic acid (TDPA), octylphosphinic acid (OPA). The inorganic ligand may be hydrazine hydrate of Sn 2 S 6 , Sn 2 Se 6 , In 2 Se 4 , In 2 Te 3 , Ga 2 Se 3 , CuInSe 2 , Cu 7 S 4 , Hg 3 Se 4 , Sb 2 Te 3 or ZnTe ≪ / RTI > may be a metal chalcogenide compound. The hydrazine hydrate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of monohydrate, dihydrate, trihydrate, tetrahydrate, pentahydrate, and hexahydrate.

한편, 물질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고유의 가전자 대역(valence band: VB)과 고유의 전도 대역(conduction band: CB)을 갖는다. 그리고 고유의 가전자 대역과 고유의 전도 대역의 에너지 차이로 인해 고유의 에너지 갭을 갖는다. 물질의 종류가 다르면 가전자 대역, 전도 대역 및 에너지 갭은 상이하다. 그리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은 에너지 오프셋이 발생하고,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이 접한 경계면(130)에는 에너지 오프셋으로 인해 에너지 장벽(energy barrier)이 형성된다. 상기한 에너지 장벽은 제1 물질층에 있는 전하와 제2 물질층에 있는 전하를 구분시키고, 제1 물질층에 있는 전자와 제2 물질층에 있는 전자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부(110)는 동일 물질의 나노와이어(nanowire), 나노막대(nanorod) 또는 나노튜브(nanotube)이기 때문에 코어부(110)의 경계면(130)에는 에너지 장벽이 없다. 그리하여, 코어부(110)내의 전자는 자유롭게 제1 물질층 또는 제2 물질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has a unique valence band (VB) and a unique conduction band (CB)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has a unique energy gap due to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inherent valence band and the inherent conduction band.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have different valence band, conduction band and energy gap. 1B, an energy offset occurs 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and an energy offset is generated in the interface 130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are in contact, An energy barrier is formed. The energy barrier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charge in the first material layer from the charge in the second material layer and moving electrons in the first material layer and electrons in the second material layer in a certain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core 110 is a nanowire, a nanorod, or a nanotube of the same material, there is no energy barrier at the interface 130 of the core 110. Thus, the electrons in the core portion 110 are freely movable to the first material layer or the second material layer.

도 1a에서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물질층이 코어부(110)의 표면에 배치된 나노 구조체(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노 구조체는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물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FIG. 1A, a nanostructure 100 having two different kinds of material layer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110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anostructure may comprise three or more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체(2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의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을 참조하면, 나노 구조체(200)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코어부(210) 및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이 순차적으로 접하게 배치되면서 코어부(210)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감싸는 껍질부(220)를 포함한다.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energy levels of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shown in FIG. 2A. 2A, the nanostructure 200 includes a core 210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first through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sequentially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hell 220 surrounding the surface.

코어부(210)는 나노와이어(nanowire), 나노막대(nanorod) 또는 나노튜브(nanotube)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코어부(1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껍질부(220)는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을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 각각을 형상하는 물질의 종류도 앞서 설명한 물질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제1 물질층(222)과 제3 물질층(226)이 유기 리간드인 경우, 제2 물질층(224)은 무기 리간드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The core 210 may be a nanowire, a nanorod, or a nanotube,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re 110 described above. The shell 220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terial of each of the first through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It can be the same as the material. However,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may be formed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For example, or if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and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are organic ligands,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may be an inorganic ligand, or vice versa.

제1 물질층(222)은 제2 물질층(224)과 접하게 배치되고, 제2 물질층(224)은 제3 물질층(226)과 접하게 배치되면서 코어부(210)의 표면을 감싼다.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은 코어부(210) 전체를 감쌀 수도 있고, 일부 표면을 감쌀 수도 있다. 도 2a에서는 코어부(210)의 전체를 감싸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층(222)은 코어부(210)의 일단부를 포함한 코어부(210)의 일부 표면을 감싸고, 제2 물질층(224)은 제1 물질층(222)과 접하면서 코어부(210)의 가운데 표면을 감싸며, 제3 물질층(226)은 제2 물질층(224)과 접하면서 코어부(210)의 타측은을 포함한 코어부(210)의 나머지 표면을 감싼다.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to cover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210.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may cover the entire core 210, or may cover some surfaces. In FIG. 2A, a state of covering the entire core 210 is shown. For example,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surrounds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210, including the one end of the core portion 210,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contacts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And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surrounds the remaining surface of the core 210 including the other side of the core 2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레벨은 제1 물질층(222)에서 제3 물질층(226)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물질층(222)과 제2 물질층(224)의 경계면(130)에 제1 에너지 장벽이 생기고, 제2 물질층(224)과 제3 물질층(226)의 경계면(130)에 제2 에너지 장벽이 생긴다. 제1 에너지 장벽의 에너지 레벨은 제2 에너지 장벽의 에너지 레벨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에 있는 전자는 쉽게 제3 물질층(226)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나, 제1 물질층(222)으로의 이동은 차단된다. 그리하여 전자의 이동방향을 한쪽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are selected so that the energy level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to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 A first energy barrier is created at the interface 130 between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and a first energy barrier is formed at the interface 130 between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and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 A second energy barrier is created. Because the energy level of the first energy barrier is greater than the energy level of the second energy barrier, the electrons in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can easily move to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Movement to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is blocked. Thu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electrons can be oriented in one direction.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1 물질층(222)에서 제3 물질층(226)으로 갈수록 에너지 레벨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이 선택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물질층(224)의 전도 대역이 가장 낮도록 제1 내지 제3 물질층(222, 224, 226)을 선택할 수도 있다. In FIGS. 2A and 2B,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are selected so that the energy level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material layer 222 to the third material layer 226.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 first to third material layers 222, 224 and 226 may be selected so that the conduction band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224 is the lowest.

한편, 나노 구조체는 교번적으로 복수 회 배치되는 2종류의 물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 구조체(3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b는 도 3a의 제1 및 제2 물질층(322, 224)의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the nanostructure may include two kinds of material layers alternately arranged a plurality of times. 3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nostructur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diagram showing energy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224 of FIG. 3A.

도 3a에 도시된 코어부(310) 및 껍질부(320)의 물질은 앞서 설명한 코어부(310) 및 껍질부(32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껍질부(320)는 교번적으로 복수 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물질층(322, 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층(322, 324)은 접하게 배치된다. The material of the core 310 and the shell 320 shown in FIG. 3A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ore 310 and the shell 320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3A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324 that are alternately disposed a plurality of times.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324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제1 및 제2 물질층(322, 324)은 교번적으로 복수 회 배치되기 때문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구조체(300)에는 동일한 에너지 레벨을 갖는 에너지 장벽이 복수 개 존재한다. 전자의 유효 매질이 정공(hole)의 유효 매질보다 작고, 또 전자의 이동도가 정공의 이동도보다 크다. 그리하여 전자와 정공의 에너지 장벽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전자가 에너지 장벽을 통과하여 이동할 확률이 크고 정공은 분산되는 분율이 크다. 그리하여, 도 3a의 나노 구조체(300)는 전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전하만의 이동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열전 나노와이어로서 응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324 are alternately arranged a plurality of times, as shown in FIG. 3B, there are a plurality of energy barriers having the same energy level in the nanostructure 300 . The effective medium of the electron is smaller than the effective medium of the hole and the electron mobility is larger than the hole mobility. Thus, if the size of the energy barrier of electrons and holes is the same, the probability of electrons moving through the energy barrier i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holes is large. Thus, the nanostructure 300 of FIG. 3A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electrons and lowering the movement of only electrons. This can be applied as thermoelectric nanowires.

앞서 설명한 껍질부(320)내에 배치된 물질층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층이 접하게 배치되면서 다양한 구성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구조체(300)는 코어부(310)를 감싸는 껍질부(320)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2종 이상의 물질층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물질층들간의 경계면(330)에는 에너지 장벽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에너지 장벽은 전하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거나, 에너지 레벨을 높은 전하만이 이동하도록 하여 다양한 소자에 적용하면 소자의 동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layer disposed in the shell 320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kinds of material layers can b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various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the nanostructure 300 includes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 layers in which the shell portions 320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310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 energy barrier is thus formed at the interface 330 between the layers of material. The energy barrier can increa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device by inducing the charge to move in one direction or by moving only the charge having a high energy level to various devices.

도 4는 도 1a의 나노 구조체(10)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나노 구조체(100)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는 제1전극(500), 제2전극(550) 및 제1 및 제2전극(500, 550)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나노 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광학 소자(10)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제1 및 제2전극(500, 550)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압 또는 전류가 광학 소자(10)에 인가될 수 있다.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element 10 including the nanostructure 10 of FIG. 1A. Referring to FIG. 4, an optical element including the nanostructure 100 of FIG. 1 includes a first electrode 500, a second electrode 550, and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500 and a second electrode 550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500 and 550. The nano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isclosed optical element 10 may be a light emitting element.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500 and 550 so that a voltage or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optical element 10.

적어도 하나의 나노 구조체(100)는 제1 및 제2전극(500, 550)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나노 구조체(100)의 일측은 제1 전극(5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전극(550)과 연결된다. 나노 구조체(100)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나노 구조체(100)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나노 구조체(100)는 코어부(110)와 코어부(110)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부를 포함하며, 껍질부(12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이 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층(122)은 p타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물질층(124)이 n타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나노 구조체(100)는 n타입 및 p 타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물질층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광학 소자는 별도의 반도체층이 필요하지 않는다. At least one nanostructure 1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500 and 550. One side of the nanostructure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5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55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nanostructures 100, the plurality of nanostructures 10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anostructure 100 includes a core portion 110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110. The shell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material layer 122 and a second material layer 124, . For example, the first material layer 1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a p-type function,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12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an n-type function. have. Or vice versa. Since the nanostructure 100 includes different material layers capable of performing n-type and p-type functions, this optical elemen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emiconductor layer.

개시된 광학 소자(10)는 제1 및 제2전극(500, 550)에 전류가 인가되면, 나노 구조체(100)를 통해서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여 나노 구조체(100)내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의 경계면에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개시된 광학 소자(200)는 제1 및 제2 물질층(122, 124)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광학 소자(10)는 도 1a에 도시된 나노 구조체(100) 대신에 도 2a에 도시된 나노 구조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다양한 파장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도 4의 구조는 발전 소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동작면에서 상이하다.When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500 and 550, electrons and holes move through the nanostructure 100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00 and 100 in the nanostructure 100, Light may be emitted at the inte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22 and 124. The disclosed optical element 200 can control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light emit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122 and 124. Meanwhile, the disclosed optical element 10 may include the nanostructure 200 shown in FIG. 2A instead of the nanostructure 100 shown in FIG. 1A. Then,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can be emitted. The structure of Fig. 4 can be equally applied to a power generating element. But it is different in operation.

도 5는 도 3a의 나노 구조체(300)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2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열전 소자(20)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400, 500), 그리고, 제1 및 제2전극(600, 650)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나노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열전 소자(20)는 열전 냉각 소자일 수 있다. 제1 및 제2전극(600, 650)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전압 또는 전류가 열전 소자(20)에 인가될 수 있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hermoelectric element 20 including the nanostructure 300 of FIG. 3A. 5, the disclosed thermoelectric element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00 and 5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nano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600 and 650, (300). 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disclosed herein may be a thermoelectric cooling element. A power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600 and 650 so that a voltage or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적어도 하나의 나노 구조체(300)는 제1 및 제2 전극(600, 6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체(300)를 구비하는 경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나노 구조체(300)는 코어부(310)와 코어부(310)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부(320)를 포함하며, 껍질부(320)는 동일한 에너지 레벨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장벽이 형성되도록 교번적으로 복수 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물질층(322, 324)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구조체(300)에서, 껍질부(320)의 전기 전도도가 코어부(310)의 전기 전도도보다 높은 경우, 전자는 주로 껍질부(320)를 통해서 흐를 수 있다. At least one nanostructure 3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600 and 650. When a plurality of nanostructures 300 are provided, they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nanostructure 300 includes a core portion 310 and a shell portion 320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310. The shell portion 320 includes a plurality of energy barrier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324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324. In the nanostructure 300,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hell 320 is higher tha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re 310, electrons can flow mainly through the shell 320.

개시된 열전 소자(20)에 전류가 인가되면, 동일한 에너지 레벨을 갖는 복수 개의 에너지 장벽이 제1 및 제2 물질층(322, 324)의 경계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에너지 레벨이 높은 전자는 이동하지만, 에너지 레벨이 낮은 전하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열전 소자는 나노 구조체(300)의 일단부 주위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구조체(300)의 일단부 주변(L1)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는 나노 구조체(300)의 타측은 주위에 열을 방출하여, 나노 구조체(300)의 타측은 주변(H1)은 가열될 수 있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disclosed thermoelectric element 20, a plurality of energy barriers having the same energy level form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322 and 324, Low-level charge does not move.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absorb heat around one end of the nanostructure 300 by the Peltier effect. Accordingly, the periphery L1 of one end of the nanostructure 300 can be cooled. Furth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emits heat to the other side of the nanostructure 300 and the periphery H1 of the other side of the nanostructure 300 can be heated.

도 6은 나노 구조체(400)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3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시된 반도체 회로(30)는 소스 전극(S), 게이트 전극(G) 및 드레인 전극(D)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나노 구조체(400)가 소스 전극(S), 게이트 전극(G) 및 드레인 전극(D)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나노 구조체(400)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나노 구조체(400)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miconductor circuit 30 including the nanostructure 400. FIG. Referring to FIG. 6, the disclosed semiconductor circuit 30 is arranged with the source electrode S, the gate electrode G and the drain electrode D spaced apart in a sequential manner. At least one of the nanostructures 400 is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rce electrode S, the gate electrode G and the drain electrode 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nanostructures 400, the plurality of nanostructures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한편, 나노 구조체(400)는 코어부와 코어부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부(420)를 포함하며, 껍질부(120)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물질층(422, 424)이 접하면서 복수 회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구조체(400) 중 코어부의 양단에는 제1 물질층(422)이 두 개 배치되고, 제1 물질층(422)과 접하면서 소스 전극(S), 게이트 전극(G) 및 드레인 전극(D)과 접하는 영역에는 제2 물질층(424)이 3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제2 물질층(424) 사이에는 두 개의 제1 물질층(4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물질층(422)은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물질층(422)은 유기 리간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물질층은 무기 리간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층(422, 424)에 형성된 물질의 종류로 게이팅(gating) 값의 조절이 가능하다. The nanostructure 400 includes a shell 420 surrounding the core and the core and the shell 120 having a plurality of alternating turn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422 and 424,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n the nano structure 400, two first material layers 422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re portion, and the source electrode S, the gate electrode G, and the drain And three second material layers 424 may be disposed in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D. In addition, two first material layers 4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ree second material layers 424. The first material layer 422 may serve as a channel. Thus, the first material layer 422 may be formed of an organic ligand,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ligand. The type of material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422 and 424 allows adjustment of the gating value.

앞서 설명한 나노 구조체는 코어부(110, 210, 310, 410)를 형성한 다음 코어부(110, 210, 310, 410)의 표면에 물질층들을 패턴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코어부(110, 210, 310, 41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기판상에 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촉매층은 코어부(110, 210, 310, 410)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Au, Ni, Fe, Ag, Al, Ti, Pd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층일 수 있다. 그리고,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VLS(vapor-liquid-solid)법 또는 SLS(solid-liquid-solid)법 등을 이용하여 촉매층으로부터 코어부(110, 210, 310, 410)를 성장시킬 수 있다. 한편, 코어부(110, 210, 310, 410)는 무촉매 성장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코어부(110, 210, 310, 410)는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또는 나노튜브일 수 있다.The nanostructure described above can be fabricated by forming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and then patterning the material layers on the surfaces of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may be manufactured as follows. First, a catalyst layer can be formed on a substrate. The catalyst layer is for promoting the growth of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and includes, for exampl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u, Ni, Fe, Ag, Al, Ti, Pd, Or a metal layer. Then,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are removed from the catalyst layer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vapor-liquid-solid (VLS), or solid- Can grow. Meanwhile,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may be formed by a non-catalytic growth method. Here,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may be nanowires, nanorods, or nanotubes.

그리고 나서 코어부(110, 210, 310, 410)의 표면에 복수 개의 물질층()이 접하도록 패터닝하여 껍질부(120, 220, 320, 420)를 형성한다. 물질층을 패터닝할 때 감광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물질층이 리간드로 형성되는 경우, 코어부의 표면에 유기 리간드를 증착한 후 유기 리간드의 일부를 무기 리간드로 교환함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물질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n, the shells 120, 220, 320, and 420 are formed by patterning a plurality of material layers in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core portions 110, 210, 310, and 410. A photosensitive material may be used when patterning the material layer. Alternatively, when the material layer is formed of a ligand, a plurality of different material layers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n organic ligand on the surface of the core and then replacing a part of the organic ligand with an inorganic ligand.

이러한 본 발명인 나노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광학 소자 20 : 열전 소자
30 : 반도체 회로 100, 200, 300, 400 : 나노 구조체
110 : 코어부 120 : 껍질부
122, 222, 322, 422: 제1 물질층
124, 224, 324, 424 : 제2 물질층
500 : 제1 전극 600 : 제2 전극
10: optical element 20: thermoelectric element
30: semiconductor circuit 100, 200, 300, 400: nano structure
110: core part 120: shell part
122, 222, 322, 422: a first material layer
124, 224, 324, 424: a second material layer
500: first electrode 600: second electrode

Claims (17)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껍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의 내부 표면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표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물질층의 측면은 상기 제2 물질층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은 다이폴 형성이 가능하도록 무기 리간드 또는 유기 리간드인 나노 구조체.
A core portion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he shell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being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material layer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are inorganic ligands or organic ligands to enable dipole 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및 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e portion compris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nowires, nanorods, and nanotub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Ⅳ족 반도체,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산화물 반도체 및 질화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Ⅳ족과 Ⅴ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와 Ⅵ족 원소가 혼합된 물질인 나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portion may be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roup IV semiconductor, a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a Group II-VI compound semiconductor, an oxide semiconductor and a nitride semiconductor, or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Group IV and Group V elements with a Group VI element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리간드는,
Sn2S6, Sn2Se6, In2Se4, In2Te3, Ga2Se3, CuInSe2, Cu7S4, Hg3Se4, Sb2Te3 또는 ZnTe의 하이드라진 수화물을 포함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 화합물인 나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organic ligand may be,
A hydrazine hydrate of Sn 2 S 6 , Sn 2 Se 6 , In 2 Se 4 , In 2 Te 3 , Ga 2 Se 3 , CuInSe 2 , Cu 7 S 4 , Hg 3 Se 4 , Sb 2 Te 3 or ZnTe A nanocomposite that is a metal chalcogenide compou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리간드는,
TOP(trioctylphosphine), TOPO(trioctylphosphine oxide), 올레산(oleic acid), 올레일아민(oleylamine), 옥틸아민(octylamine), 트리옥틸아민(trioctyl amine),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옥탄티올(octanethiol), 도데칸티올(dodecanethiol), 헥실포스폰산(HPA), 테트라데실포스폰산(TDPA) 및 옥틸포스핀산(OP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and may be,
Trioctylphosphine oxide, TOPO (trioctylphosphine oxide), oleic acid, oleylamine, octylamine, trioctylamine, hexadecylamine, octanethiol, , At least one of dodecanethiol, hexylphosphonic acid (HPA), tetradecylphosphonic acid (TDPA), and octylphosphinic acid (OP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나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is plural, and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are alternately arran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부는,
상기 제2 물질층과 접하며, 상기 제2 물질층과 다른 종류의 제3 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ell portion
And a third material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erial layer, the third material layer being of a different kind than the second material lay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층의 전도 대역은 상기 제1 물질층의 전도 대역보다 작고 제3 물질층의 전도 대역보다 큰 나노 구조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duction band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is smaller than the conduction band of the first material layer and greater than the conduction band of the third material layer.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껍질부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의 내부 표면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표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물질층의 측면은 상기 제2 물질층의 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은 다이폴 형성이 가능하도록 무기 리간드 또는 유기 리간드인 광학 소자.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d a nano structu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re portion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The shell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being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core porti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layer being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are inorganic ligands or organic ligands to enable dipole 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물질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된 광학 소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material layer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껍질부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껍질부는 서로 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의 내부 표면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표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물질층의 측면은 상기 제2 물질층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은 다이폴 형성이 가능하도록 무기 리간드 또는 유기 리간드인 열전 소자.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d a nano structu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re portion and a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The shell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being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material layer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are inorganic ligands or organic ligands to enable dipole forma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열전 소자.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is a plurality of, and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are alternately arrang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물질층 중 상기 나노 구조체의 일측부에 배치된 제1 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물질층 중 상기 나노 구조체의 타측부에 배치된 제2 물질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된 열전 소자.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material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anostructur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material layers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nanostructur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material layers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3 전극;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 모두에 접하고,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껍질부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껍질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로 형성된 3 개의 제1 물질층과 2개의 제2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물질층과 상기 제2 물질층은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의 내부 표면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표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물질층의 측면은 상기 제2 물질층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은 다이폴 형성이 가능하도록 무기 리간드 또는 유기 리간드인 반도체 회로.
First to third electrod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d a nano structure contacting both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re part and a shell part surrounding the core part,
Wherein the shell comprises three first material layers and two second material layers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the first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being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material layer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 layers are inorganic ligands or organic ligands to enable dipole formatio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제1 물질층은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에 하나씩 접하는 반도체 회로.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three first material layers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one by one.
KR1020110114124A 2011-11-03 2011-11-03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KR102005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24A KR102005447B1 (en) 2011-11-03 2011-11-03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24A KR102005447B1 (en) 2011-11-03 2011-11-03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78A KR20130049078A (en) 2013-05-13
KR102005447B1 true KR102005447B1 (en) 2019-07-31

Family

ID=4865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124A KR102005447B1 (en) 2011-11-03 2011-11-03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4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15342D0 (en) * 2012-08-29 2012-10-10 Ibm Thermoelectric elementd
KR102529200B1 (en) * 2018-09-27 2023-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48B1 (en) 2007-03-14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Photovoltaic device using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nano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067872A1 (en) 2009-12-01 2011-06-09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2985C (en) * 2001-03-30 2016-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fabricating nanostructures and nanowires and devices fabricated therefrom
KR100904588B1 (en) * 2007-07-05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preparing core/shell type Nanowire, Nanowire prepared therefro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SE533090C2 (en) * 2008-07-09 2010-06-22 Qunano Ab Nanostructured LED
KR20110064702A (en) * 2009-12-08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Core-shell nanowire with uneven structure and thermo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48B1 (en) 2007-03-14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Photovoltaic device using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nano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067872A1 (en) 2009-12-01 2011-06-09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Soc. Rev. 2009, Vol. 38, pp. 16-24 (2008.1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78A (en)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0251B2 (en) Method for producing nanowires using a porous template
US10090292B2 (en) Radial nanowire Esaki diode devices and methods
US743956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ing semiconductor nanowire and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US9096429B2 (en) Nan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KR102212758B1 (en) Multi-heterojunction nanoparticles, methe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KR102212760B1 (en) Multi-heterojunction nanoparticles, methe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KR102212759B1 (en) Multi-heterojunction nanoparticles, methe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KR101361129B1 (en) luminous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19252A1 (en) Nanowire-Based Light-Emitting Diodes and Light-Detection Devices With Nanocrystalline Outer Surface
JP2007184566A (en) Semiconductor element using semiconductor nanowire, and display device and imaging device employing same
KR20100137566A (en) Nanowire wrap gate devices
EP2095426A2 (en) Nan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KR101547969B1 (en) Nano structure and nano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05447B1 (en) Nanostructure and the device including the nanostructure
KR20120140478A (en) Composite structure of nanostructure and nanodot,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