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219B1 -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 Google Patents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219B1
KR102004219B1 KR1020180054390A KR20180054390A KR102004219B1 KR 102004219 B1 KR102004219 B1 KR 102004219B1 KR 1020180054390 A KR1020180054390 A KR 1020180054390A KR 20180054390 A KR20180054390 A KR 20180054390A KR 102004219 B1 KR102004219 B1 KR 10200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respiration
breath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영제
정은지
송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Priority to KR102018005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of detecting a sleep disorder based on a micro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which measures micro vibration by a micro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a pillow, and measures a sound by a sound sensor to detect sleep apnea or snoring symptoms and record detected symptoms or automatically generate a report. The system of detecting a sleep disorder based on a micro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comprises: a respiration signal detection unit to detect a respiration signal from the micro vibration sensor, and detect a cycle, a phase, and a peak of the respiration signal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n apnea section estimation unit to estimate a section of a predetermined size around the peak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s an apnea section (hereafter, first apnea section); a respiration sound extraction unit to receive a sound signal, detect a noise signal, remove the nois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to extract a respiration sound, detect a sound signal in the first apnea section as the noise signal, and extract a cycle and a phase of the extracted respiration sound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nd a snoring detection unit to compare the cycle and the phase of the respiration sound with the cycle and the phase of the respiration signal to detect a snoring symptom if a level of the respiration soun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A camera is operated if a biosignal such as a heart rate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to photograph and store an image only in a required situation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a battery.

Description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based sleep disturbance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베개에 설치된 미세진동 센서에 의해 미세진동을 측정하고, 스마트폰 등 스마트 단말에서 소리를 측정하여, 수면무호흡 또는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증상을 기록하거나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vibration is measured by a micro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a pillow, sound is measured at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sleep apnea or snoring is detected, the detected symptoms are recorded, , A micro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based sleep disorder detection system.

일반적으로, 수면장애를 갖는 사람들은 보통 불면증, 수면 중 호흡장애,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 갖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과 더불어 내과적, 신경과적, 정신과적 질환이 악화되거나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심각한 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In general, people with sleep disorders usually have two or more disorders such as insomnia, sleeping breathing difficulties, narcolepsy, restless legs syndrome, which can lead to aggravation of medical,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Infarction, stroke, and the like.

특히 수면 중 호흡장애는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끊어지는 현상으로, 살이 쪄서 기도의 공간이 좁아져 있거나 기도 근육의 탄력성이 떨어져서 누웠을 때 밑으로 쳐질 수 있고 무턱처럼 얼굴 뼈의 구조상 기도부분이 좁아져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좁아진 기도를 통해 공기가 억지로 통과하면서 인두와 후두가 진동하여 코골이가 발생하게 되고 코골이가 심하게 되면 자다가 갑자기 숨을 멈추게 되는 수면무 호흡증을 유발하여 깊은 수면에 이르지 못해 수면주기가 깨지게 된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 10초 이상 무호흡 상태가 시간당 5번 이상 발현되거나 7시간 기준으로 30번 이상 발현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respiratory disturbance during sleep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spiration is temporarily reduced or cut off due to narrowed or obstructed airway, which may result in narrowing of the airway space due to fattening, or the elasticity of airway muscles may fall and cause it to fall down. It may occur when the airway is narrowed. At this time, the narrow airway causes air to pass through, causing the pharynx and larynx to vibrate, causing snoring. When the snoring becomes severe, sleep apnea, which suddenly stops breathing, is triggered and the sleep cycle is broken because it does not reach deep sleep . Sleep apnea is characterized by at least 10 seconds of sleep apnea or more than 5 times per hour or more than 30 times of 7 hours.

수면은 렘수면(Rapid Eye Movement; REM)과 비렘수면(Non-Rapid Eye Movement; Non-REM)으로 약 90~120분 주기로 반복하여 보통 4~6회의 주기를 하룻밤에 가지는데 밤새 코를 골면서 자는 사람들은 뇌에 산소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아침에 일어나면 두통을 호소하고 깨진 수면주기로 밤사이 피로회복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낮에 졸음이 많이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Sleep is repeated with a Rapid Eye Movement (REM) and a Non-Rapid Eye Movement (Non-REM) cycle of about 90 to 120 minutes, usually 4 to 6 cycles a night, People say that when they wake up in the morning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oxygen in their brains, they complain of headaches and because of the broken sleep cycle they have not recovered from fatigue during the night, so they often get drowsy during the day.

이를 위해, 코골이를 감지하여 방지하기 위하여 음향센서를 이용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2]. 상기 선행기술은 음향센서를 통해 코골이를 감지하게 되면 내부에 장착된 모터를 구동시켜 인체의 인후부를 가압하므로 확장시키는 기술이다. 특히, 코골이의 음향신호를 측정하여 코골이를 검출하는 기술들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4].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음향신호를 수집하여, 수집된 음향신호에서 코골이 신호가 집중된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분석하거나, 스마트폰 등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코골이 음향을 측정하여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들이다.To prevent this, there is proposed a technique of a snoring prevention pillow using an acoustic sensor to detect and prevent snoring [Patent Literatures 1 and 2]. When the snoring is sensed through the acoustic sensor, the prior art drives a motor installed therein and presses the throat of the human body to expand the snoring.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various techniques for detecting snoring by measuring acoustic signals of snoring [Patent Documents 3 and 4]. That is, the prior art collects sound signals, extracts frequency bands in which the snoring signals are concentrated in the collected sound signals, analyzes the snoring sounds using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echnologies.

또한, 코골이의 음향(또는 소리) 외에도 진동을 이용하여 코골이를 감지하고 이를 방지하는 코골이 개선용 베개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5]. 상기 선행기술은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면자의 머리가 베개에 닿는 것을 감지하고, 소리센서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코골이 소리와, 코골이 시의 진동을 측정하여 코골이를 감지한다.In addition to the sound (or sound) of the snoring, techniques for detecting the snoring using the vibration and preventing the snoring are proposed (Patent Document 5). The prior art senses that the head of a sleeping person touches the pillow using a capacitive sensor, and senses snoring by measuring a snoring sound and a snoring sound using a sound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또한, 스마트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되, 뇌파, 두부의 가압, 체온, 코골이 소리 등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수면패턴을 측정하고, 수면장애를 분석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6].In addition, a smart functional pillow is provided, and a technique of measuring a sleep pattern by measuring a variety of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brain waves, pressure of the head, body temperature, snoring sound, and analyzing the sleeping disorder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6].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수면장애(코골이 포함)에 대한 인지를 소리를 통해서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 경우, 2명 이상의 사람이 같은 공간에서 잘 경우 옆사람에 의한 코골이 인지 구분이 어려우며, TV 또는 음향기기를 ON 상태에서 잠이 들 경우 소리에 의한 코골이의 오인지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음향센서 외에도 진동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음향신호와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코골이 등 수면장애를 검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many cases, the recognition of sleep disorder (including snoring) is often performed through sound. 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snoring due to the side person when two or more people sleep in the same space, and in the case of sleeping in the ON state of a TV or an audio apparatus, it is often a mistake of snoring due to sound. Further, even when a vibration sensor is used in addition to the acoustic sensor, a specific method of detecting a sleeping disorder such as a snoring by using an acoustic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is not propo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9679호(2013.08.27.공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99679 (published on March 27, 201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1006호(2015.01.14.공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81006 (published on January 14, 201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905호(2016.08월17.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96905 (published on August 17, 201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8661호(2014.04.24.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88661 (issued April 24, 201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2116호(2017.08.01.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62116 (issued on August 1, 20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3302호(2017.07.31.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63302 (published on July 31,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에 설치된 미세진동 센서에 의해 미세진동을 측정하고, 스마트폰 등 스마트 단말에서 소리를 측정하여, 수면무호흡 또는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증상을 기록하거나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pressure sensor which measures minute vibrations by means of a micro vibration sensor provided on a pillow, measures sound in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detects sleep apnea or snoring And to provide a micro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based sleep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that records detected symptoms or automatically generates a repo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세진동 센서로부터 미세진동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단말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세진동 신호로부터 호흡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신호의 주기와 위상, 그리고 피크를 검출하는 호흡신호 검출부; 상기 호흡신호로부터 상기 피크를 중심으로 사전에 정해진 크기의 구간을 무호흡 구간(이하 제1 무호흡 구간)으로 추정하는 무호흡구간 추정부; 소리신호를 입력받고 잡음신호를 검출하고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제거하여 호흡소리를 추출하되, 상기 제1 무호흡 구간에서의 소리신호를 상기 잡음신호로 검출하고, 추출된 호흡소리로부터 상기 호흡소리의 주기와 위상을 추출하는 호흡소리 추출부; 및, 상기 호흡소리의 크기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크기를 벗어나면, 상기 호흡소리의 주기와 위상을 상기 호흡신호의 주기와 위상과 대비하여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based sleep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for receiving a fine vibration signal from a fine vibration sensor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smart terminal, A respiration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 signal, a period, a phase, and a peak of a respiration signal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n apnea interval estimator for estimating an apnea inter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pnea interval)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round the peak; A sound signal is received and a noise signal is detected and a noise signal is removed from a sound signal to extract a breathing sound. The sound signal in the first apnea interval is detected as the noise signal, and the breathing sound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breathing sound. A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period and a phase; And a snorin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noring symptom by comparing a period and a phase of the breathing sound with a period and a phase of the respiration signal when the size of the breathing sound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size, do.

또, 본 발명은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흡신호 검출부는 상기 미세진동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저역통과필터로 필터링하여 호흡신호를 검출하고, 호흡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최고점을 나타내는 양의 피크(positive peak)와 최하점을 나타내는 음의 피크(negative peak)를 추출하고, 양의 피크에서 인접한 양의 피크 간의 시간을 호흡신호의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based sleep disturbance detection system, wherein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ion unit amplifies the micro-vibration signal to generate a digital signal, filters the generated digital signal with a low- And extracts a positive peak representing the peak from the waveform of the respiration signal and a negative peak representing the lowest point and sets the time between the adjacent positive peaks at the positive peak to the period of the respiratory signal .

또, 본 발명은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호흡구간 추정부는 호흡신호의 주기의 적어도 1/2 보다 긴 시간 동안 신호 변화가 소정의 기준 편차 보다 낮은 구간을 제2 무호흡 구간으로 추정하고, 상기 호흡소리 추출부는 상기 제2 무호흡 구간에서의 소리신호를 잡음신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eep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based on a micro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wherein the apnea interval estimator estimates an interval in which a signal ch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eviation for a time longer than at least 1/2 of a period of a respiration signal, And the breath sound extracting unit detects a sound signal in the second apnea interval as a noise signal.

또, 본 발명은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흡소리 추출부는 상기 잡음신호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으로 노이즈 필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노이즈 필터를 이용하여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호흡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based sleep detection system, wherein the breath sound extraction unit detects a frequency or a frequency band of the noise signal, generates a noise filter using the detected frequency or frequency band, And extracting a respiration signal by filtering the nois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using the noise filter.

또, 본 발명은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검출부는, 상기 호흡소리의 주기는 상기 호흡신호의 주기의 1/2인 것으로 추정하고, 호흡소리의 0°, 360°, 720°의 위상은 각각 호흡신호의 -90°, 180°, 270°의 위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양 신호의 서로 대응되는 주기와 위상이 사전에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서 있으면, 측정된 호흡소리가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cro-vibration sensor and the sound sensor-based sleep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the snoring detection unit estimates that the period of the breathing sound is 1/2 of the period of the breathing signal, , 360 °, and 720 ° are estimated to correspond to phases of -90 °, 180 °, and 270 °, respectively, of the respiration signal. If the phases and phases of the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the measured respiration sound is determined as a snoring signal of the snoring of the user.

또, 본 발명은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소리신호 및 진동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징들, 및, 추출된 특징에 대한 통계치를 포함하는 분석결과를 수면 상태에 대한 보고서로 작성하는 수면질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based sleeping-disorder detection system,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n analysis result including a feature extracted from the sound signal and the vibration signal, And a sleep quality creating unit for creating a report on the state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의하면, 미세진동 센서로 수면 무호흡을 감지하고 소리센서로 코골이를 감지한 후 이들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수면무호흡과 코골이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icro-vibration sensor and the sound sensor-based sleep disturbanc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leep apnea is detected by a micro-vibration sensor, snoring is detected by a sound sensor, Thus, an effect of more accurately detecting sleep apnea and snoring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진동 센서의 예시 형태로서, (a) 베개에 삽입되는 센서와 (b) 패드에 삽입되는 센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검출부에 의해 호흡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를 나타낸 예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의 단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면중 소리신호와 호흡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호흡 시 소리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micro-vib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xample of a sensor inserted into a pillow and (b) a sensor inserted into a pad.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based sleep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detecting a breathing signal by a breathing signal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emplary graph illustrating a breath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graph showing a unit of a breath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a sound signal and a breathing pattern during sle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illustrating a sound pattern during apn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베개에 삽입되거나 패드에 삽입된 미세진동 센서(90),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스마트 단말(10),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수면장애를 검출하는 클라이언트(20), 미세진동 신호나 음향신호를 분석하거나 수면장애를 관리하는 검출관리 서버(30)로 구성된다. 스마트 단말(10) 및 검출관리 서버(30)는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수면장애 신호 또는 검출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 센서(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vibration sensor 90 inserted into a pad or inserted in a pad, a smart terminal 10 such as a user's smart phone, A client 20 for detecting a sleeping disorder, and a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for analyzing a micro vibration signal or an acoustic signal or managing a sleeping disorder. The smart terminal 10 and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80 such as the Interne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a database 40 for storing sleep disturb signals or detection results can be additionally configured. And a sound detection sensor 11 for sensing a sound.

먼저, 미세진동 센서(90)는 미세진동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베개에 삽입되거나 베개 패드 등 패드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수면시 호흡 등에 의한 미세 진동을 센싱한다. 예를 들어, 엠피트(Emfit)사에서 판매하는 피에조 센서 등 압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진동 센서는 미세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어 작은 압력, 소리 등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이다.First,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is a sensor for measuring micro-vibrations.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is inserted into a pillow or a pad such as a pillow pad, and senses a minute vibration caused by respiration or the like. For example, a piezoelectric sensor such as a piezo sensor sold by Emfit can be used. Such a micro vibration sensor can sense minute vibration and is sensitive to small pressure and sound.

도 2에서, (a)는 미세진동 센서(90)가 베개에 삽입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고, (b)는 패드에 삽입되는 일례가 도시되고 있다. 패드는 베개의 표면을 둘러싸거나, 베개의 겉표면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에 두부를 올려놓으면, 미세진동 센서(90)가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거나 가깝게 위치되어 호흡 등에 의한 미세진동을 측정한다.In Fig. 2,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is inserted into the pillow, and (b) shows an exampl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pad. The pad surrounds the surface of the pillow or is insert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Therefore, when the user puts the head on the pillow,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is placed close to or close to the head of the user to measure the micro-vibration due to breathing or the like.

또한, 미세진동 센서(9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적외선 등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측정된 미세진동 신호를 스마트 단말(10) 또는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한다.The fine vibration sensor 90 includ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Bluetooth, and infrared rays, and transmits the measured fine vibration signal to the smart terminal 10 or the client 20.

다음으로,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노트북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스마트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는 스마트 단말(10)은 수면장애 또는 건강관리를 위한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말일 수 있다.Next, the smart terminal 10 is a smart terminal having ordinary computing function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tablet PC, and a notebook, as a mobile terminal used by a user. In particular, the smart terminal 10 is a terminal to which an application or a mobile application (or an app or an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and executed. Or the smart terminal 10 may be a terminal used exclusively for sleep disorder or health car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은 마이크 등 소리감지 센서(11)를 구비하여, 소리(또는 음향)를 입력받는다. 즉, 스마트 단말(10)은 소리 신호(또는 음향신호)를 수신받는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소리감지 센서(11)는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스마트 단말(10)과 유무선 통신(유선,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을 통해 센싱값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mart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sound detection sensor 11 such as a microphone, and receives sound (or sound). That is, the smart terminal 10 receives a sound signal (or an acoustic signal). Alternatively, the sound detection sensor 11 may b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transmit the sensed value to the smart terminal 10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red or Bluetooth).

또한, 스마트 단말(1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적외선 등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부(14)를 구비하여, 미세진동 센서(90)로부터 미세진동 신호를 수신한다.The smart terminal 10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4 inclu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Bluetooth, and infrared rays, and receives a fine vibration signal from the fine vibration sensor 90.

또한, 스마트 단말(10)의 통신부(14)는 와이파이(wifi) 등 근거리 통신망이나, 이동통신망 등 광대역 통신망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네트워크(80)를 통해 검출관리 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 of the smart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fi or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또한, 스마트 단말(10)은 수면호흡 정보나 수면호흡장애 검출 결과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 터치스크린이나 버튼 등의 입력장치(13), 모바일 CPU 등의 중앙처리장치(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10 includes a display 12 for displaying sleeping breath information, sleep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results and the like on the screen, an input device 13 such as a touch screen or a button, a central processing unit 18 such as a mobile CPU, .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other data, and the like.

다음으로, 클라이언트(20)는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검출관리 서버(30)와 연동하거나 독자적으로 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Next, the client 20 is a mobile application (or app,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10 and is a program system that interlocks with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or independently provides a service.

즉, 클라이언트(20)는 미세진동 센서(90)로부터 센싱된 미세진동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단말(10)의 소리감지 센서(11)로부터 센싱된 소리 신호를 수신한다.That is, the client 20 receives the sensed micro-vibration signal from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and receives the sensed sound signal from the sound sensing sensor 11 of the smart terminal 10.

또한, 클라이언트(20)는 미세진동 신호와 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수면무호흡 또는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는 등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미세진동 신호와 소리 신호를 검출관리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로부터 검출 결과를 수신하여, 검출 결과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ient 20 monitors the sleep state by detecting a sleep apnea or snoring symptom using a micro vibration signal and a sound signal. At this time, the micro vibration signal and the sou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the detection result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30, and the detection result may be stored or displayed on the display 12.

또는, 클라이언트(20)는 수면무호흡이나 코골이 증상의 정도가 사전에 정해진 정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12)나 스피커(미도시) 등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사전에 정해진 알람 메시지를 사전에 정해진 연락처(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 의료기관, 응급기관 등)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lient 20 can output via the output device such as the display 12 or the speaker (not shown) or output a predetermined alarm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when the degree of sleep apnea or snoring sympto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a guardian terminal, a medical institution, an emergency institution, etc.).

다음으로, 검출관리 서버(30)는 통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미세진동 신호와 소리 신호를 분석하여 수면무호흡 또는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거나,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기록한다.Next,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as a normal application server, analyzes the microvibration signal and the sound signal to detect sleep apnea or snoring symptoms, or monitors and records the user's sleep state.

한편, 클라이언트(20)와 검출관리 서버(30)는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일례로서, 클라이언트(20)가 미세진동 센서(90)나 소리감지 센서(11)로부터 미세진동 신호나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검출관리 서버(30)에 전송하고, 검출관리 서버(30)로부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수면상태, 수면장애 등을 저장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클라이언트(20)가 미세진동 센서(90)나 소리감지 센서(11)로부터 미세진동 신호나 소리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수면무호흡 또는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고, 검출관리 서버(30)는 사용자별로 검출된 결과를 기록하거나 백업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20)가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하고, 검출관리 서버(30)는 사용자가 별도로 가입하고 등록하는 경우에만 서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위의 예들은 구현 가능한 예시일 뿐이고,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ient 20 and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method of configuring a normal client and a server. That is, the functions of the entire system can be shar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lient, the server and the traffic volume. As an example, the client 20 receives a fine vibration signal or a sound signal from the fine vibration sensor 90 or the sound detection sensor 11 and transmits the fine vibration signal or the sound signal to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And can store or display the sleep state, sleep disorder, and the lik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lient 20 receives the microvibration signal or the sound signal from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or the sound detection sensor 11 and analyzes it, detects the sleep apnea or snoring symptom, ) Can only record or backup the results detected for each user. In addition, the client 20 performs most of the functions, and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can perform the server operation only when the user subscribes and registers separately. The above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ring form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server-client.

이하에서, 클라이언트(20)와 검출관리 서버(30)로 구성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검출 및 관리 시스템(300)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검출 및 관리 시스템(300)이 스마트 단말(10)에서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erver-client system including the client 20 and the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will be referred to as a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300.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300 is driven by the smart terminal 10.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미세진동 신호나 소리 신호를 전처리 하기 위한 필터, 잡음신호 필터 등을 저장하는 신호필터DB(41), 및 신호로부터 분석된 수면상태 또는 수면장애 결과 등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수면호흡기록DB(42)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atabase 40 stores a signal filter DB 41 for storing a filter for pre-processing a micro vibration signal or a sound signal, a noise signal filter, and the like, and analysis results such as a sleep state or a sleeping disorder result analyzed from the signal And a sleep breathing record DB 42. [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40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evice, the database 40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ease of access and retrieval, efficiency, and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장애 검출 및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20)와 검출관리 서버(30)로 구성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Next, a micro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based sleep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sleep-disorder detection an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client system comprising a client (20) and a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0).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은 미세진동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신호를 검출하는 호흡신호 검출부(31), 호흡신호로부터 무호흡 구간을 추정하는 무호흡구간 추정부(32), 소리신호를 입력받고 잡음신호를 검출하여 소리신호에서 제거하여 호흡소리를 추출하는 호흡소리 추출부(33), 및,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부(34)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진동신호의 특징을 체크하여 수면무호흡 증상을 검출하는 수면무호흡 검출부(35), 수면질 등 수면호흡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면질 작성부(36)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the sleep disturbanc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piration signal detection unit 31 for detecting a respiration signal using a micro-vibration signal, an apnea interval estimation unit 32 for estimating an apnea interval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33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detecting a noise signal and removing the sound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to extract a breathing sound, and a snoring detecting unit 34 for detecting a snoring symptom.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comprise a sleep apnea detector 35 for detecting a sleep apnea symptom by checking a characteristic of the vibration signal, a sleep quality generator 36 for generating a report on the sleep apnea state such as sleep quality, and the like .

먼저, 호흡신호 검출부(31)는 미세진동 센서(90)로부터 센싱된 미세진동 신호를 수신하고, 미세진동 신호로부터 호흡신호를 검출한다.First,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ing unit 31 receives the fine vibration signal sensed by the fine vibration sensor 90, and detects the respiration signal from the fine vibration sign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세진동 센서(90)는 베개에 삽입되거나 패드에 삽입되어, 수면 중 호흡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 또는 진동을 측정하여 이를 신호로 출력한다. 호흡신호 검출부(31)는 이렇게 측정된 미세진동 신호를 미세진동 센서(90)로부터 수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is inserted into a pillow or inserted into a pad, and measures pressure or vibration generated by respiration during sleep, and outputs it as a signal.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ion unit 31 receives the measured fine vibration signal from the fine vibration sensor 90.

호흡신호 검출부(31)는 미세진동 신호를 증폭하고, 사전에 정해진 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미세진동 신호는 호흡에 의한 진동 외에도 주변 환경의 진동에 의한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에 호흡에 의한 미세진동만 추출하기 위한 신호 필터를 설정해두고, 해당 신호 필터로 필터링을 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호흡에 의한 미세진동신호의 대역을 사전에 설정하고, 해당 대역 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를 노이즈 제거 필터로 이용할 수 있다.The respiration signal detection unit 31 amplifies the fine vibration signal and removes noise using a predetermined filter. The microvibration signal may include noise due to vib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o vibration due to breathing. Therefore, a signal filter for extracting only minute vibrations due to breathing is set in advance, and noise is removed by filtering with the corresponding signal filter. Preferably, a band of a fine vibration signal due to breathing is set in advance, and a band filter for filtering a signal outside the band can be used as a noise removing filter.

일례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흡신호 검출부(31)는 피에조 센서 등 미세진동 센서(90)로부터 수집된 원 신호를 데이터 트랜스미터 등을 통해 신호 증폭 후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저역통과필터(FIR필터)를 거쳐 호흡신호를 검출한다.5,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ing unit 31 generates a digital signal after amplifying the original signal collected from the micro-vibration sensor 90, such as a piezo sensor, through a data transmitter or the like, (FIR filter) to detect the breathing signal.

검출된 호흡신호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고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흡신호는 일정한 주기의 파형으로 나타내고, 파형에는 최고점을 나타내는 양의 피크(positive peak)와 최하점을 나타내는 음의 피크(negative peak)가 일정한 주기로 나타난다. 이때, 양의 피크에서 인접한 양의 피크 사이의 시간을 호흡신호의 주기로 설정한다.An example of the detected respiration signal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the respiration signal is represented by a waveform having a constant period, and a positive peak and a negative peak appearing at a certain period in the waveform. At this time, the time between positive peaks at positive peaks is set as the period of the respiration signal.

또한, 호흡신호 검출부(31)는 호흡신호로부터 주기와 위상, 또는 BR(Breath Rate, 호흡수)을 추출한다. 호흡은 일정한 주기와 위상에 따라 발생하므로, 호흡에 의한 미세진동 또는 호흡신호도 일정한 주기와 위상을 가진다.In addition, the breathing signal detecting unit 31 extracts a period and a phase or a breathing rate (BR) from the breathing signal. Since respiration occurs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nd phase, the minute vibration or respiration signal by respiration also has a certain period and phase.

다음으로, 무호흡구간 추정부(32)는 검출된 호흡신호로부터 무호흡 구간을 추정한다.Next, the apnea interval estimator 32 estimates an apnea interval from the detected respiration signal.

무호흡 구간은 호흡을 정지되는 구간으로서, 들숨에서 날숨으로 전환되거나, 날숨에서 들숨으로 전환되는 구간을 말한다. 즉, 들숨에서 날숨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는 순간에는 호흡이 일시 정지된다.The apnea interval is a section in which breathing is stopped, which is a transition from inhalation to exhalation or from exhalation to exhalation. That is, breathing is temporarily stopped at the moment when it is switched from inhalation to exhalation or vice versa.

도 7은 도 6과 같은 호흡신호에서 한 주기 내의 단위 파형을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호흡신호는 최고의 신호값을 나타내는 양의 피크(P-Peak)와 최저의 신호값을 나타내는 음의 피크(N-Peak)를 가진다.FIG. 7 shows the unit waveform in one cycle in more detail in the respiration signal as in FIG. As shown in FIG. 7, the respiration signal has a positive peak (P-Peak) representing the highest signal value and a negative peak (N-Peak) representing the lowest signal value.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면 점차적으로 압력이 높아져서, 미세진동 센서(9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올라가고, 이로부터 검출되는 호흡신호의 신호값이 증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다가 내쉬려고 잠깐 숨을 멈추는 지점 또는 그 직전 지점에서 압력이 최고치로 올라가고 호흡신호도 최고값을 가진다. 따라서 양의 피크 지점은 들숨에서 날숨으로 전환되는 부분에서 형성되고, 그 반대로, 음의 피크는 날숨에서 들숨으로 전환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When the user breathes, the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fine vibration sensor 90 increases, and the signal value of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ed from this increases. At the point where the user breathe briefly to stop breathing to exhale, or just before that, the pressure rises to the maximum and the breathing signal has the highest value. Thus, the positive peak point is formed at the portion that is switched from the inspiration to the expiration, and conversely, the negative peak is formed at the portion that is switched from the expiration to the inspiration.

이와 같이 호흡신호의 피크 점을 중심으로 전후 구간이 무호흡 구간이다. 즉, 호흡신호에서 피크를 중심으로 소정의 크기의 구간을 무호흡 구간으로 설정한다. 구간의 크기는 사전에 정해지는 값으로, 실험이나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사전에 정해지는 설정값이다.Thus, the apnea interval is the apnea interval around the peak point of the respiration signal. That is, a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ound the peak in the respiration signal is set as the apnea interval. The size of the interval is a predetermined value set in advance through experiment or accumulation of data.

상기와 같이, 호흡신호의 피크를 중심으로 전후 구간을 제1 무호흡 구간이라 부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and rear sections around the peak of the respiration signal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apnea interval.

또한, 무호흡구간 추정부(32)는 호흡신호에 대해 BR(호흡수)을 체크하여 수면 무호흡 구간을 검출한다.In addition, the apnea interval estimator 32 detects the sleep apnea interval by checking BR (respira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respiration signal.

호흡수에 의한 수면 무호흡 구간은 수면 장애에 의하여 발생되는 무호흡 구간으로서, 정상적인 호흡수에 비하여 더 적은 호흡수로 나타난다. 즉, 정상적인 호흡 주기에 비하여 더 긴 주기 동안 무호흡이 발생되는 구간을 말한다. 수면 무호흡 구간에는 호흡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이나 압력의 변화가 없는 구간이다. 바람직하게는 호흡신호의 주기의 적어도 1/2 보다 긴 시간 동안 신호 변화가 없는 구간(사전에 정해진 기준 편차 보다 낮은 구간)을 수면 무호흡 구간 또는 제2 무호흡 구간이라 부르기로 한다.The sleep apnea interval by the respiratory rate is an interval of apnea caused by sleep disturbances, which is less than the normal number of breath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e period in which apnea occurs during a longer period compared to the normal respiratory cycle. In the sleep apnea interval, there is no change in vibration or pressure because the respiration does not proceed. Preferably, the interval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eviation) during which the signal is not changed for a time longer than at least 1/2 of the period of the respiration signal is referred to as a sleep apnea interval or a second apnea interval.

즉, 무호흡구간 추정부(32)는 호흡신호의 주기의 적어도 1/2 보다 긴 시간 동안 신호 변화가 소정의 기준 편차 보다 낮은 구간을 제2 무호흡 구간으로 설정한다.That is, the apnea interval estimator 32 sets the interval in which the signal chang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eviation for the time longer than at least 1/2 of the period of the respiration signal as the second apnea interval.

다음으로, 호흡소리 추출부(33)는 소리신호를 입력받고 잡음신호를 검출하여 소리신호에서 제거하여 호흡소리를 추출한다.Next, the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33 receives a sound signal, detects a noise signal, and extracts the breathing sound by removing it from the sound signal.

먼저, 호흡소리 추출부(33)는 소리신호를 입력받아 무호흡 구간의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호흡신호와 호흡신호에 대한 시간을 동기화하여 대응시키고, 무호흡 구간에 대응하는 소리신호를 잡음신호로 검출한다.First, the breath sound extracting unit 33 receives a sound signal and detects a nois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of the apnea interval. At this time, the respiration signal and the respiration signal are synchronized in time, and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pnea interval is detected as a noise signal.

앞서 무호흡 구간은 날숨과 들숨이 서로 전환되는 부분으로서 호흡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무호흡 구간에서 발생되는 소리신호는 잡음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소리 신호는 호흡에 의한 소리 외에도 주변에 잠자는 다른 사람이나 TV 등 외부 소음에 의한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nea interval is a section where the exhalation and the exhalation are reversed, and the respiration is temporarily stopped. Therefore, the sound signal generated in the apnea interval is very likely to be noise. For example, the input sound signal may include noise caused by external noise such as a person sleeping in the vicinity or a TV in addition to the sound caused by breathing.

호흡소리 추출부(33)는 무호흡 구간의 소리신호의 크기가 사전에 정해진 최소 크기(또는 최소 기준크기, 제1 기준크기) 보다 크면, 해당 소리신호를 잡음신호로 판단하여 검출한다. 이때 무호흡 구간은 앞서 제1 무호흡 구간 및 제2 무호흡 구간 모두에 대하여 잡음신호를 검출한다.If the size of the sound signal of the apnea interv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or minimum reference size, first reference size), the breath sound extraction unit 33 determines the sound signal as a noise signal and detects the noise signal. At this time, the apnea interval detects a noise signal for both the first apnea interval and the second apnea interval.

그리고 호흡소리 추출부(33)는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필터링 제거하여 호흡소리를 추출(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잡음신호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 대역으로 노이즈 필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노이즈 필터를 이용하여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호흡신호를 추출한다.Then, the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33 extracts (generates) the breathing sound by filtering out the noise signal from the sounding signal. Preferably, th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of the noise signal is detected, and the noise filter is generated in the detected frequency band. Then, the generated noise filter is used to filter the nois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to extract the respiration signal.

또한, 호흡소리 추출부(33)는 잡음이 제거된 호흡소리로부터 주기와 위상, 소리크기 등을 추출한다.In addition, the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33 extracts the period, phase, and sound size from the noise-removed breathing sound.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잡음이 제거된 소리 신호(또는 호흡소리, 호흡소리 신호)는 수면 중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사운드(또는 소리)이므로, 호흡의 일정한 주기와 위상에 따라 호흡소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면 중 호흡에 의한 소리는 일정한 주기와 위상을 갖는다. 즉, 코골이 등에 의해 호흡 중 발생되는 소리는 호흡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호흡소리는 일정한 주기와 위상을 갖는다.As shown in FIG. 8, since the noise signal (or the breathing sound or the breathing sound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is the sound (or sound) generated by the breathing during sleep, a breathing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nd phase of breathing . Therefore, the sound caused by breathing during sleep has a constant period and phase. That is, since the sound generated during breathing by the snoring is due to breathing, the breathing sound has a certain period and phase.

바람직하게는, 호흡소리 추출부(33)는 호흡소리의 소리크기를 먼저 추출하고, 소리 크기가 소정의 최소 기준크기(이하 제2 기준크기) 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호흡소리의 주기와 위상을 추출한다.Preferably, the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33 first extracts the sound volume of the breathing sound and, if the sound volum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reference siz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reference size) .

사용자가 코골이 등 수면 호흡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호흡에 의한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호흡소리(또는 소리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만 호흡소리(또는 소리신호)의 주기와 위상을 추출한다.If the user does not have a snoring breathing disorder such as snoring, the sound from breathing may be hardly audible. Therefore, the period and phase of the breathing sound (or sound signal) are extracted only when the breathing sound (or the sound signal) is at least a predetermined size.

다음으로, 코골이 검출부(34)는 호흡신호의 주기와 위상, 또한, 호흡소리의 크기, 주기 및 위상을 이용하여, 코골이 증상을 검출한다.Next, the snoring detector 34 detects the snoring symptom using the period and phase of the respiration signal, and the size, period, and phase of the breath sound.

먼저, 코골이 검출부(34)는 호흡소리의 소리 크기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 범위(또는 기준 크기, 정상범위, 이하 제3 기준크기)를 벗어나는 경우, 코골이 증상으로 인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크기(또는 제3 기준크기)는 40dB 이내로 설정하고, 소리크기가 40dB 보다 크면 코골이 증상으로 판단한다.First, the snoring detection unit 34 recognizes the snoring symptom when the sound volume of the breath sounds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or reference size, normal r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reference size). Preferably, the reference size (or the third reference size) is set within 40 dB, and if the sound size is greater than 40 dB, the snoring is determined to be a symptom of snoring.

또한, 코골이 검출부(34)는 호흡소리의 주기와 위상을 호흡신호의 주기와 위상을 대비하여, 호흡소리가 사용자의 것인지를 검사한다. 호흡신호의 음의 피크에서 양의 피크 구간은 들숨을 하는 구간이고 이 구간에서 호흡소리(또는 코골이 소리)가 한 주기 발생된다. 또한, 양의 피크에서 음의 피크 구간에서 날숨을 하고, 이 구간에서 호흡소리(코골이 소리)가 한 주기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noring detector 34 compares the period and phase of the breathing signal with the period and phase of the breathing signal to check whether the breathing sound is the user's. In the negative peak of the respiration signal, the positive peak interval is the period of inhalation, and a breathing sound (or snoring sound) occurs in this period. In addition, it exhales in the negative peak interval from the positive peak, and breathing sound (snoring sound) occurs in this interval for one cycle.

따라서 호흡소리의 주기는 호흡신호의 주기의 1/2이다. 그리고 호흡소리의 0°, 360°, 720°의 위상은 각각 호흡신호의 -90°, 180°, 270°의 위상에 대응된다. 즉, 양 신호의 서로 대응되는 주기와 위상이 사전에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서 있으면, 측정된 호흡소리가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신호로 판단한다.Therefore, the period of the breathing sound is half the period of the breathing signal. The phases of 0, 360, and 720 degrees of respiration sound correspond to phases of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respiration signals, respectively. That is, if the mutually corresponding periods and phases of the two signals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measured respiration sound is determined to be the user's snoring sound signal.

다음으로, 수면무호흡 검출부(35)는 호흡신호의 특징을 체크하여 수면무호흡 증상을 검출한다.Next, the sleep apnea detection unit 35 detects the sleep apnea symptom by chec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iration signal.

무호흡 상태는 호흡신호로부터 검출한다. 무호흡 상태는 호흡이 없는 상태이므로, 신체의 바운싱(진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검출하여 무호흡 상태로 판단한다.The apnea state is detected from the respiration signal. The apnea state is a state without breathing, so bouncing (vibration) of the body does not occur. Therefore, it is detected that no vibration is generated and it is judged as an apnea state.

또한, 수면무호흡 검출부(35)는 호흡신호의 주기의 적어도 1/2 보다 긴 시간 동안 신호 변화가 소정의 기준 편차 보다 낮은 구간을 검출하면, 해당 구간을 수면 무호흡 구간으로 검출한다. 즉, 수면무호홉 검출부(35)는 앞서 구한 제2 무호흡 구간을 수면 무호흡 구간으로 판단한다.When the sleep apnea detection unit 35 detects a period in which the signal chang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eviation for at least a period longer than a period of the respiration signal, the sleep apnea detection unit 35 detects the interval as the sleep apnea interval. That is, the sleep apnea detector 35 determines that the second apnea interval obtained previously is a sleep apnea interval.

바람직하게는, 수면무호흡 검출부(35)는 검출된 제2 무호흡 구간이 사전에 설정된 조건(이하 수면 무호흡 조건)를 충족하면, 수면 무호흡으로 판정한다. 무호흡 조건은 수면 무호흡 구간(제2 무호흡 구간)의 발생 횟수나, 총 시간 등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 발생 횟수가 최소 5 회 이상이고, 구간의 총 시간이 5분 이상인 경우 등으로, 무호흡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leep apnea detection unit 35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second apnea interval is sleep apnea if it meets a preset cond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eep apnea condition). The apnea condition is a condition set by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sleep apnea interval (second apnea interval), the total time,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occurrences is at least five times, and the total duration of the interval is five minutes or more, an apnea condition may be set.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수면무호흡 검출부(35)는 측정된 무호흡 시간(Breath Rate)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 또는 범위(또는 정상범위, 기준범위 등)를 체크하여,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수면무호흡으로 인지한다. 즉, 무호흡 시간(BR)이 사전에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0초 등) 이상인 경우 수면무호흡으로 판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leep apnea detection unit 35 may check the reference or the range (or the normal range, the reference range, etc.) of the measured breathing time in advance, and if i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 know. That is, when the apnea time B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it is judged to be sleep apnea.

다음으로, 수면질 작성부(36)는 수면질 등 수면호흡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Next, the sleep quality preparation unit 36 creates a report on the sleep breathing state such as sleep quality.

수면질 작성부(36)는 수면 중 측정된 소리신호 및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수면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즉, 소리신호 및 진동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징들, 이들에 대한 통계치 등을 보고서로 작성한다.The sleep quality generating unit 36 generates a report on the sleep state using the sound signal and the vibration signal measured during sleep.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the sound signal and the vibration signal, and the statistics about them are reported.

보고서에 포함되는 추출된 특징 및 그 통계치는 소리신호 또는 진동신호의 시계열 상의 주기와 위상, 신호의 크기, 수면 무호흡 시간, 코골이 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일, 주, 월 등 일정한 기간 동안의 특징들을 통계치(평균, 편차 등)로 산출하여, 산출된 통계치를 분석자료로서 포함시킨다.The extracted features and their statistics included in the report include the period and phase on the time series of the sound signal or the vibration signal, the size of the signal, the sleep apnea time, the snoring ti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period such as day, week, and month are calculated as statistics (average, deviation, etc.), and the calculated statistics are included as analysis data.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 단말 11 : 소리감지 센서
12 : 디스플레이 13 : 입력장치
14 : 통신부 18 : 중앙처리장치
20 : 클라이언트 30 : 검출관리 서버
31 : 호흡신호 검출부 32 : 무호흡구간 추정부
33 : 호흡소리 추출부 34 : 코골이 검출부
35 : 수면무호흡 검출부 36 : 수면질 작성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신호필터 DB
42 : 수면호흡기록 DB 80 : 네트워크
10: Smart terminal 11: Sound detection sensor
12: display 13: input device
14: communication unit 18: central processing unit
20: client 30: detection management server
31: respiration signal detection unit 32: apnea interval estimation unit
33: breathing sound extraction unit 34: snoring detection unit
35: sleep apnea detection unit 36:
40: Database 41: Signal Filter DB
42: Sleep breathing record DB 80: Network

Claims (6)

미세진동 센서로부터 미세진동 신호를 수신하고, 소리감지 센서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세진동 신호로부터 호흡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신호의 주기와 위상, 그리고 피크를 검출하는 호흡신호 검출부;
상기 호흡신호로부터 상기 피크를 중심으로 사전에 정해진 크기의 구간을 무호흡 구간(이하 제1 무호흡 구간)으로 추정하는 무호흡구간 추정부;
소리신호를 입력받고 잡음신호를 검출하고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제거하여 호흡소리를 추출하되, 상기 제1 무호흡 구간에서의 소리신호를 상기 잡음신호로 검출하고, 추출된 호흡소리로부터 상기 호흡소리의 주기와 위상을 추출하는 호흡소리 추출부; 및,
상기 호흡소리의 크기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크기를 벗어나면, 상기 호흡소리의 주기와 위상을 상기 호흡신호의 주기와 위상과 대비하여 코골이 증상을 검출하는 코골이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A fine 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based sleep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for receiving a fine vibration signal from a fine vibration sensor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sound detection sensor,
A respiration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 respiration signal from the microvibration signal and detecting a period, a phase, and a peak of a respiration signal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n apnea interval estimator for estimating an apnea inter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pnea interval)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respiration signal around the peak;
A sound signal is received and a noise signal is detected and a noise signal is removed from a sound signal to extract a breathing sound. The sound signal in the first apnea interval is detected as the noise signal, and the breathing sound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breathing sound. A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period and a phase; And
And a snorin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noring symptom by comparing a period and a phase of the breathing sound with a period and a phase of the respiration signal when the size of the breathing sound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size, Vibration sensor and sound sensor based sleep disorder dete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신호 검출부는 상기 미세진동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저역통과필터로 필터링하여 호흡신호를 검출하고, 호흡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최고점을 나타내는 양의 피크(positive peak)와 최하점을 나타내는 음의 피크(negative peak)를 추출하고, 양의 피크에서 인접한 양의 피크 간의 시간을 호흡신호의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or detects a respiration signal by filtering the generated digital signal with a low-pass filter, and generates a positive peak indicating a peak from the waveform of the respiration signal. And a negative peak indicating the lowest point is extracted and a time between adjacent positive peaks at a positive peak is set as a period of a breathing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호흡구간 추정부는 호흡신호의 주기의 적어도 1/2 보다 긴 시간 동안 신호 변화가 소정의 기준 편차 보다 낮은 구간을 제2 무호흡 구간으로 추정하고,
상기 호흡소리 추출부는 상기 제2 무호흡 구간에서의 소리신호를 잡음신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nea interval estimation unit estimates a second apnea interval in which a signal ch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eviation for at least a period longer than a period of a respiration signal,
Wherein the breathing sound extractor detects a sound signal in the second apnea interval as a nois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소리 추출부는 상기 잡음신호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으로 노이즈 필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노이즈 필터를 이용하여 소리신호에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호흡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thing sound extracting unit detects a frequency or a frequency band of the noise signal, generates a noise filter using the detected frequency or frequency band, and extracts a breathing signal by filtering the nois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using the generated noise filter And a sound sensor based sleep disturbance dete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검출부는, 상기 호흡소리의 주기는 상기 호흡신호의 주기의 1/2인 것으로 추정하고, 호흡소리의 0°, 360°, 720°의 위상은 각각 호흡신호의 -90°, 180°, 270°의 위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양 신호의 서로 대응되는 주기와 위상이 사전에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서 있으면, 측정된 호흡소리가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noring detection unit estimates that the period of the breathing sound is 1/2 of the period of the breathing signal, and the phases of 0, 360, and 720 degrees of the breathing sound are -90 degrees and 180 degrees , And 270 degrees. When the phases and phases of the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measured respiration sound is determined to be the user's snoring sound signal. Vibration sensor and sound sensor based sleep disorder dete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소리신호 및 진동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징들, 및, 추출된 특징에 대한 통계치를 포함하는 분석결과를 수면 상태에 대한 보고서로 작성하는 수면질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진동 센서와 소리 센서 기반 수면장애 검출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leep qualit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nalysis result including a feature extracted from the sound signal and the vibration signal and a statistic value of the extracted feature in a report on the sleep state, Sensor based sleep disturbance detection system.
KR1020180054390A 2018-05-11 2018-05-11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KR102004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90A KR102004219B1 (en) 2018-05-11 2018-05-11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90A KR102004219B1 (en) 2018-05-11 2018-05-11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219B1 true KR102004219B1 (en) 2019-07-30

Family

ID=6747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390A KR102004219B1 (en) 2018-05-11 2018-05-11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21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29A1 (en) * 2019-08-05 2021-02-11 뉴턴1665 주식회사 Body condition measurement tape and method for providing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by using same
KR20210075249A (en) * 2019-12-12 2021-06-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zing breathing characteristics of snoring state and method thereof
KR20220033724A (en) 2020-09-10 2022-03-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leep Quality Improvement Method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and System Therefor
CN114376559A (en) * 2022-01-18 2022-04-22 高昌生医股份有限公司 Respiration baseline tracking acceleration method
KR20220057677A (en) 2020-10-29 2022-05-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sleep stages based on deep-learning
WO2023033384A1 (en) * 2021-08-30 2023-03-09 주식회사 엠프로스 Sleep monitoring system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83A (en)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바이오넷 Sleep monitoring device
KR101299679B1 (en) 2010-08-12 2013-08-27 김라라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KR101388661B1 (en) 2011-08-02 2014-04-24 이규성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JP5593480B2 (en) * 2010-01-29 2014-09-24 株式会社スリープシステム研究所 Apnea / hypopnea determination device
KR101481006B1 (en) 2013-08-29 2015-01-14 김정우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KR20160096905A (en) 2015-02-06 2016-08-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KR20170019934A (en) * 2015-08-13 2017-02-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sleep state
KR101763302B1 (en) 2016-11-28 2017-07-31 주교성 Smart pillow,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diagnosising sleep disturbance using the same
KR101762116B1 (en) 2017-01-23 2017-08-01 (주)웰크론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WO2017141976A1 (en) * 2016-02-15 2017-08-24 ヘルスセンシング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leep state, phase coherence calculation device, body vibration signal measurement device, stress level mesaurement device, sleep state measurement device, and cardiac waveform extra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83A (en)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바이오넷 Sleep monitoring device
JP5593480B2 (en) * 2010-01-29 2014-09-24 株式会社スリープシステム研究所 Apnea / hypopnea determination device
KR101299679B1 (en) 2010-08-12 2013-08-27 김라라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KR101388661B1 (en) 2011-08-02 2014-04-24 이규성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81006B1 (en) 2013-08-29 2015-01-14 김정우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KR20160096905A (en) 2015-02-06 2016-08-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noring
KR20170019934A (en) * 2015-08-13 2017-02-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sleep state
WO2017141976A1 (en) * 2016-02-15 2017-08-24 ヘルスセンシング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leep state, phase coherence calculation device, body vibration signal measurement device, stress level mesaurement device, sleep state measurement device, and cardiac waveform extraction method
KR101763302B1 (en) 2016-11-28 2017-07-31 주교성 Smart pillow,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diagnosising sleep disturbance using the same
KR101762116B1 (en) 2017-01-23 2017-08-01 (주)웰크론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29A1 (en) * 2019-08-05 2021-02-11 뉴턴1665 주식회사 Body condition measurement tape and method for providing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by using same
KR20210075249A (en) * 2019-12-12 2021-06-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zing breathing characteristics of snoring state and method thereof
KR102309547B1 (en) * 2019-12-12 2021-10-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zing breathing characteristics of snoring state and method thereof
KR20220033724A (en) 2020-09-10 2022-03-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leep Quality Improvement Method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and System Therefor
KR20220057677A (en) 2020-10-29 2022-05-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sleep stages based on deep-learning
WO2023033384A1 (en) * 2021-08-30 2023-03-09 주식회사 엠프로스 Sleep monitoring system
CN114376559A (en) * 2022-01-18 2022-04-22 高昌生医股份有限公司 Respiration baseline tracking acceleration method
CN114376559B (en) * 2022-01-18 2023-09-19 高昌生医股份有限公司 Respiratory datum line tracking acceler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19B1 (en) A system of detecting sleep disturbance using a microvibration sensor and a sound sensor
Ren et al. Fine-grained sleep monitoring: Hearing your breathing with smartphones
US849322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to wake up a sleeping subject at an advantageous time instant associated with natural arousal
CN101868176B (en) Automated sleep phenotyping
CN109936999A (en) Sleep evaluation is carried out using domestic sleeping system
AU2011325872B2 (en) Acoustic detection mask systems and/or methods
US201401947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nea and hypopnea detection
WO2008116318A1 (en) Breathing sound analysis for estimation of air flow rate
US11793453B2 (en) Detecting and measuring snoring
WO2010044162A1 (en) Apnea detection program, apnea detector, and apnea detection method
KR102457097B1 (en) Method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leep with a mattress
US20170071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diagnosing sleep disordered breathing
KR20180046354A (en) Method for snoring detection using low power motion sensor
US2018006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Sleep Aberrations
JP2017518834A (en) Noninvasive monitoring of lung disease
Camcı et al. Sleep apnea detection via smart phones
CN108186018B (en) Respira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9350826A (en) A kind of sleeping and anti-apnea device
Ren et al. Poster: Hearing your breathing: fine-grained sleep monitoring using smartphones
CA2585824A1 (en) Breathing sound analysis for detection of sleep apnea/hypopnea events
US2021000038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hypoxic events
JP2019180626A (en) Apnea determination device
Phokela et al. Use of smartphone's headset microphone to estimate the rate of respiration
US20210338152A1 (en) A Sleep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nd Measuring Sleeping Activity
US2017002044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hypoxia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