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941B1 -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41B1
KR102003941B1 KR1020170050649A KR20170050649A KR102003941B1 KR 102003941 B1 KR102003941 B1 KR 102003941B1 KR 1020170050649 A KR1020170050649 A KR 1020170050649A KR 20170050649 A KR20170050649 A KR 20170050649A KR 102003941 B1 KR102003941 B1 KR 10200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core
artifact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486A (ko
Inventor
박재현
이상일
송세헌
이경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5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4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서비스를 저장 및 제공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아티팩트(artifact), 핵심 자산(core asset)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수집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서로 다른 저장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소들에 각각 저장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 간의 관계 정보를 나타내는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SERVICE}
본 발명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서비스를 저장 및 제공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생활과 소프트웨어 간에 밀접한 관계가 성립되었으며, 이에 따라 품질 좋은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생산해 내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개발하지 않고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들을 함께 고려하여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Software Product Line, SPL)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SPL 기술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한 여러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과 품질을 고려하여 공통점 및 차이점 분석을 통해 충분한 핵심 자산(core asset)을 확보하고, 이러한 핵심 자산들을 조합하여 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133902호(발명의 명칭: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 시스템 및 방법)는,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Software Product Line)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 시, 시퀀스를 갖는 서비스의 모델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서비스의 모델에 대해 기등록된 핵심 자산의 재사용을 통한 작성 및 신규 작성 중 어느 하나의 작성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작성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모델을 작성하고 서비스 명세를 생성하고, 작성한 서비스의 모델에서 외부 웹 서비스 호출을 요구하는 액티비티에 대해 복합 서비스 및 단일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등록된 핵심 자산의 재사용을 통한 작성 및 신규 작성 중 어느 하나의 작성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작성 유형에 따라 복합 서비스 또는 단일 서비스의 모델을 작성하고, 작성한 복합 서비스의 모델 또는 단일 서비스의 모델을 기설정된 형태로 패키징하여 핵심 자산으로서 등록한 후 출력하는 서비스 개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은, 서비스를 개발/관리/실행하기 위한 공통 실행 환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핵심 자산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단기간에 개발하고, 이를 관리(즉, 저장 및 제공)하며, 저장된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핵심 자산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서비스 개발 도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개발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저장 및 제공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고품질의 서비스의 개발, 관리 및 배포가 가능한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아티팩트(artifact), 핵심 자산(core asset)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수집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서로 다른 저장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소들에 각각 저장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 간의 관계 정보를 나타내는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정보는, 개체-관계 모델 구조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를 기 설정된 처리 가능 형태로 변환하는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과 상기 핵심 자산을 기 설정된 처리 가능 형태로 변환하는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과 상기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정보 및 기 설정된 추가 정보를 수집 및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과 상기 변환된 서비스 아티팩트 및 핵심 자산, 상기 생성된 서비스 정보 및 추가 정보 간의 관계를 정의한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 및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 검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들에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배포되어 운영중인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레지스트리와 서비스 아티팩트 정보를 버전 및 카테고리 별로 저장하는 서비스 레파지토리 및 서비스의 능력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온톨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레지스트리, 서비스 레파지토리 및 서비스 온톨로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사 및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키워드 검색, 카테고리 검색 및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 제공될 다양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사용자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들에 대응되는 서비스 아티팩트와 및 서비스 아티팩트의 재생산을 위한 핵심 자산을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개발 도구로부터 개발된 바이너리 파일(즉, 서비스 아티팩트 및 핵심 자산)을 등록하고, 핵심 자산을 서비스 개발 도구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 할당된 능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또는 결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서비스 관리부(110)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정보의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카테고리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 기반 서비스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핵심 자산을 등록 및 검색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분산 서비스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서비스 개발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서비스 개발 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아티팩트(artiface) 및 서비스 핵심 자산(core asset)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개발 장치(200)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등록 및 수정하는 장치로서,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Software Product Line)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개발 장치(200)는 사전에 생성된 서비스 및 서비스의 아티팩트(artifact)가 핵심 자산(core asset)으로 등록 및 저장된 서비스 레지스트리/리포지토리와 등록된 핵심 자산을 재사용하거나 또는 신규로 임의의 시퀀스를 갖는 서비스의 모델을 정의하여 서비스 명세(service description)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부와 등록된 핵심 자산 중 서비스 및 서비스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여 검색된 서비스 및 서비스 모델을 재사용할 핵심 자산으로서 서비스 생성부에 제공하는 핵심 자산 탐색부 및 서비스 생성부가 생성한 서비스와 서비스 모델을 기설정된 형태로 패키징하여 서비스 레지스트리/리포지토리에 등록하는 서비스 패키징/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언급하는 서비스 개발 장치(200)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133902호에 개시된,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개발 장치(200)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일 구성으로서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서비스 관리부(110),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DB)(120),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를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서비스 정보들을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정보들을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DB)(120),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의 아티팩트는 서비스 모델, 서비스 명세, 바이너리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핵심 자산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서비스 개발 도구(즉, 서비스 개발 장치(200))에서 서비스 개발 시, 서비스 재사용을 위한 기설정된 형태를 가지는 서비스 모델이다.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분류, 서비스명, 서비스 개발자, 서비스 등록일자, 서비스 설명, 운용 중인 서비스 배포처와 서비스 URL 등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자원 제약 환경에서 운영되는 서비스들을 저장/제공하는 분산 형태의 복수의 서비스 저장소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관리부(110)는 복수의 서비스 저장소에 저장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정보는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 하에서, 서로 다른 저장소(즉,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DB)(120),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에 저장된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통합 관리 정보는,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관리하게 위하여, 각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상기 통합 관리 정보는,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서비스 핵심 자신 및 서비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 정보이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판단하고, 각각의 저장소로부터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 정보들을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구체적인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복수의 서비스 저장소에는,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DB)(120),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통합 관리 DB(120)는 서비스 관리부(110)에서 생성된 통합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 통합 관리 DB(120)는 통합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연관성이 없는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에 각각 저장된 정보들과 서비스 통합 관리 DB(120)에 저장된 정보들 사이에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레지스트리(130)는 개발된 서비스의 공개 및 탐색을 처리하기 위한 일종의 저장소로서, 서비스 등록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레지스트리(130)는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UDDI는 인터넷에서 전 세계 비즈니스 목록에 자신의 서비스를 등재하기 위한 확장성 생성 언어(XML) 기반의 레지스트리이다. 이러한 UDDI는 웹에서 상호 온라인 거래의 원활성을 보장하고 e-커머스의 상호 운용을 위한 것으로, 비즈니스 이름, 제품, 위치 혹은 웹 서비스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DDI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프로토콜과 같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과 인터넷 엔지니어링 테스크 포스(IETF) 표준을 사용하며, 서로 다른 플랫폼 간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메시지 관련 지침인 단순 객체 접근 통신 규약(SOAP) 초기 버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DDI 레지스트리 서버에 임의의 정보가 등재되면, 이는 UDDI 서버에 접속 가능한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등재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서비스 레지스트리(130)는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배포되어 운영중인 서비스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의 정보에는 서비스의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WSD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및 서비스 설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레파지토리(140)는 데이터 집합체(즉, 파일) 저장소로서, 데이터 집합체의 아티팩트 정보를 활용하여 저장, 공유,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레파지토리(140)는 메이븐(Maven) 기반의 레파지토리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Maven은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툴)로서, 라이브러리 뿐만 아니라 컴파일, 테스트, 패키지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레파지토리(140)는 서비스 아티팩트를 버전(version) 또는 카테고리 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온톨로지(150)는 서비스의 능력 관계를 정의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서비스 온톨로지(150)를 시맨틱 기반 서비스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온톨로지는 컴퓨터가 사람처럼 어떤 객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객체와의 관계 및 객체만의 의미를 표현한 자료 또는 저장소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 배포된 서비스를 저장하고, 서비스들 간의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서비스의 통합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11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b는 서비스 관리부(110)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서비스 개발 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아티팩트 및 서비스 핵심 자산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서비스 아티팩트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아티팩트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하여, 서비스 ID, 서비스 개발자, 서비스 명, 서비스 설명이 포함된 메타 파일을 아티팩트에 추가하여,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서비스 아티팩트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상기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서비스 아티팩트 및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아티팩트의 정보가 적절한 위치에 저장되도록 상기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서비스 아티팩트 및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아티팩트의 정보를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11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아티팩트 정보 및 서비스 개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핵심 자산을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은 서비스 핵심 자산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은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핵심 자산을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은 서비스 핵심 자산과 관련된 서비스 핵심 자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은 상기 변환된 서비스 핵심 자산, 상기 생성된 서비스 핵심 자산 정보,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아티팩트 정보를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114)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113)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각종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가 운영 중인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의 WSDL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113)은 서비스 정보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거나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정보는, 서비스 레지스트리 등록키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113)은, 상기 수집 및 생성된 서비스 정보 및 추가적인 정보를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114)로 전달한다.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114)은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모듈(111),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 및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을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114)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제공하는 통합 관리를 위하여, 서비스들에 대한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통합 관리 정보를 서비스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120), 서비스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검색 모듈(115)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검색, 시맨틱 서비스 검색, 서비스 핵심 자산 검색 및 서비스 아티팩트 검색 기능 및 서비스 변경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검색 기능은 서비스 아티팩트, 서비스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이하 "서비스 관련 정보"로 통칭한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기능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변경 알림 기능은 서비스 실행 환경에 배포된 서비스가 업데이트 되거나, 실행 상태가 변경됨을 알리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검색 모듈(115)은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서비스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를 검색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에는, 키워드 검색, 카테고리 검색,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들 및 핵심 자산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검색 모듈(115)은 특정 서비스의 제공 시, 특정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 모델을 추천하는 추천 검색 및 기 등록된 핵심 자산 목록을 검색하는 핵심 자산 검색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핵심 자산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 하에 존재하는 서비스 개발 장치(200)에서 서비스 개발 시, 서비스 재사용을 위해 사전에 등록된 서비스 모델이다. 이러한 핵심 자산은, 기 설정된 형태를 가질 수있다.
이상에서는, 서비스 관리부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이하여, 서비스 관리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자신의 역할에 맞게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고, 각 구성 요소들을 통칭하여, 서비스 관리부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정보의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카테고리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 기반 서비스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0).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서비스 개발 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아티팩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111)은 서비스 아티팩트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은 서비스 개발 장치(200)로부터 핵심 자산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112)은 핵심 자산을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113)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 하에 배포된 서비스 정보 및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 및 추가적인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을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 베이스(120), 서비스 레지스트리(130), 서비스 레파지토리(140) 및 서비스 온톨로지(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아티팩트 및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레파지토리(140)에 저장되고, 핵심 자산은 서비스 레지스트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수집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 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들을 연계시켜 처리하기 위하여,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리 정보는 데이터 모델링을 통하여, 구조화된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모델링 기법에는, 개체-관계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ing, ERM), UML(United Modeling languag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체-관계 모델링은 개념적 모델 또는 시멘틱 데이터 모델의 타입으로, 각 개체들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 요소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각 개체들 간의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기법이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다양한 기법을 통하여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들(topic, subscription, request, service description, user 등)과의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생성된 통합 관리 정보를, 서비스 통합 관리 DB(1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10)는 통합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을 연계시켜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S230).
서비스 관리부(110)는 사용자 요청이 응답하여, 특정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10)는,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 선택을 위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제1 영역(410),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레지스트리 엔티티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2영역(420) 및 선택한 서비스 레지스트리 엔티티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3영역(430)을 포함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됨)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제1영역(410)에 표시된 복수의 서비스 중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예를 들어, 공군적군정보서비스_1)가 선택되면, 제2영역(420)에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레지스트리 엔티티 목록(예를 들어, 공군적군정보서비스_1 및 레지스트리 KEY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 레지스트리 엔티티 목록이 선택되면, 제3영역(430)에 이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다양한 검색 방식을 통하여,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검색 방식에는, 키워드 검색, 카테고리 검색,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검색은 서비스의 이름을 기준으로 서비스를 검색하고 제공하는 방식이다. 상기 카테고리 검색은 서비스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검색하고 제공하는 방식이다. 상기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은 능력 기반 서비스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서비스 능력에 따라 검색하고 제공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부(110)는 복수의 서비스들을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카테고리의 목록(51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10)는 특정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동일 카테고리 범주에 속하는 서비스들의 목록(5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의 (a)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부(1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서비스 능력 항목에 근거하여,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 방식으로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 능력 항목에는, 서비스 능력(610) 및 서비스 레벨(620)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서비스 능력 항목이 입력되면,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설정된 서비스 능력 항목에 대응되는 서비스가 검색된 검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 및 (b)와 같이,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무(mission)에 대응하는 자원(resource) 간의 매칭을 통해 생성된 임무 서비스 모델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임무 서비스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에 대한 검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임무는 워크플로우(workflow) 형태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과업(task)을 포함할 수 있다. 워크플로우는 기업 또는 특정 단체 등에서 내외적으로 정의된 업무들과 그에 관련된 인력, 관련 정보 및 기타 자원의 흐름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프로세스 모델일 수 있다.
임무에 포함된 과업에는, 해당 과업의 요구 능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조합이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과 매칭된다.
상기 서비스에 매칭되는 자원은 매칭 실행 단계에서 가용한 자원 별로 제공할 수 있는 자원 능력을 검색함으로써 처리될 수 있으며, 수준별 매치메이킹을 통해 할당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임무 서비스’에는 요구 능력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과업’이 포함되므로, 서비스 검색 모듈(115)은 어느 하나의 ‘임무 서비스’ 별로 각 ‘임무’에 대응하는 요구 능력을 분석하고, 분석된 요구 능력을 통하여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과업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온톨로지에 기초하여 시맨틱 검색할 수 있다.
참고로, 온톨로지는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종속 관계 및 인과 관계 등을 계층적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하나로 정의된 온톨로지 일 수 있다. 또는, 온톨로지는,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 별로 정의된 복수의 온톨로지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검색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240).
서비스 관리부(110)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 하에, 특정 서비스의 배포 시,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들, 즉,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핵심 자산을 등록 및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핵심 자산을 등록 및 검색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비스 레지스트리(130)에는 사전에 개발된 서비스 및 핵심 자산이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서비스 레지스트리(130)에 저장된 핵심 자산들을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와 같이, 서비스 관리부(110)는 핵심 자산을 등록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핵심 자산을 등록하기 위한 설정 화면에는, 서비스의 분류를 설정하기 위하여, 카테고리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710),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서비스의 엔티티 목록을 표시하는 제2영역(720) 및 상기 서비스의 엔티티 목록 중 특정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제3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핵심 자산으로 등록할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핵심 자산으로 등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b와 같이, 서비스 관리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기 등록된 핵심 자산에 대한 상세 정보(740)를 조회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관리부(110)는 핵심 자산에 대한 상세 정보(740)를 팝업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핵심 자산을 등록 및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분산 서비스 검색 화면을 설명한다. 도 8은 분산 서비스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비스 관리부(1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하나의 서비스 저장소에 위치한 것과 같이 통합 관리 및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의 통합 관리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서비스 관리부(110)는, 서비스 검색을 위한 검색 화면(810), 기 등록된 핵심 자산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 화면(82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10)는 검색 화면(810)을 통하여 특정 서비스를 검색하기 위한 서비스 명이 입력되면, 기 등록된 핵심 자산 목록 중 상기 입력된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핵심 자산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10)는, 상기 검색된 핵심 자산의 상세 정보(830)를 팝업창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 제공될 다양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사용자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들에 대응되는 서비스 아티팩트와 및 서비스 아티팩트의 재생산을 위한 핵심 자산을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개발 도구로부터 개발된 바이너리 파일(즉, 서비스 아티팩트 및 핵심 자산)을 등록하고, 핵심 자산을 서비스 개발 도구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 할당된 능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또는 결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서비스 아티팩트(artifact), 핵심 자산(core asset)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서비스 관리부;
    상기 수집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서로 다른 저장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하나의 서비스 저장소에 저장된 것과 같이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고,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들 간의 관계 정보를 나타내는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로부터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 상기 핵심 자산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 및 추출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서비스 선택을 위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제1 영역,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레지스트리 엔티티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 및 선택된 서비스 레지스트리 엔티티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3영역을 포함하는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정보는,
    개체-관계 모델 구조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아티팩트를 기 설정된 처리 가능 형태로 변환하는 서비스 아티팩트 관리 모듈;
    상기 핵심 자산을 기 설정된 처리 가능 형태로 변환하는 서비스 핵심 자산 관리 모듈;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정보 및 기 설정된 추가 정보를 수집 및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변환된 서비스 아티팩트 및 핵심 자산, 상기 생성된 서비스 정보 및 추가 정보 간의 관계를 정의한 통합 관리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모듈 및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 검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저장소들에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 배포되어 운영중인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레지스트리;
    서비스 아티팩트 정보를 버전 및 카테고리 별로 저장하는 서비스 레파지토리; 및
    서비스의 능력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온톨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통합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레지스트리, 서비스 레파지토리 및 서비스 온톨로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키워드 검색, 카테고리 검색 및 시맨틱 기반 능력 검색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아티팩트, 핵심 자산 및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70050649A 2017-04-19 2017-04-19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03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49A KR102003941B1 (ko) 2017-04-19 2017-04-19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49A KR102003941B1 (ko) 2017-04-19 2017-04-19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86A KR20180117486A (ko) 2018-10-29
KR102003941B1 true KR102003941B1 (ko) 2019-07-25

Family

ID=6410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49A KR102003941B1 (ko) 2017-04-19 2017-04-19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396A (ko) 2022-08-04 2022-08-23 정삼주 선로콘크리트배수관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126A (ko) * 2007-04-11 2007-05-10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아사달 : 휘처 기반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 환경을제공하는 시스템
KR101596257B1 (ko) * 2014-05-20 2016-02-23 국방과학연구소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kola Ilo et al, "Combining Software Interrelationship Data across Heterogeneous Software Repositori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Maintenance and Evolution, pp. 571-575(2015.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396A (ko) 2022-08-04 2022-08-23 정삼주 선로콘크리트배수관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86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g et al. Web services composition: A decade’s overview
US9578082B2 (en)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n application interface for a modeled entity and devices thereof
US9111004B2 (en) Temporal scope translation of meta-models using semantic web technologies
US20140201331A1 (en) Platform for the delivery of content and services to networked connected computing devices
US20110179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b service architectures
Wu Service Computing: Concept, Method and Technology
US9800644B2 (en) Service oriented query and service query language framework
Mallayya et al. An automatic web service composition framework using QoS-based web service ranking algorithm
JP2011204228A (ja) 学習メカニズムを用いたマッシュアップ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Parhi et al. A multi-agent-based framework for cloud service description and discovery using ontology
US201301735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knowledge society network
US10915378B1 (en) Open discovery service
Parimala et al. Web service with criteria: Extending WSDL
Fahad et al. Dynamic execution of a business process via web service selection and orchestration
Dustdar et al. Adaptive service binding with lightweight semantic web services
KR102003941B1 (ko) 서비스 공통 실행 환경에서의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702865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cloud service compatibility
Kim et al. RFID business aware framework for business process in the EPC network
Perucci et al. Distributed composition of highly-collaborative services and sensors in tactical domains
Oberhauser Microflows: automated planning and enactment of dynamic workflows comprising semantically-annotated microservices
Mohebbi et al. Contemporary semantic web service frameworks: An overview and comparisons
Vigne et al. A structured marketplace for arbitrary services
Aragao et al. Conflict resolution in web service federations
Suria et al. An enhanced web service recommendation system with ranking QoS information
Afsarmanesh et al. A framework for automated service composition in collaborativ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