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806B1 -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 Google Patents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806B1
KR102001806B1 KR1020190020364A KR20190020364A KR102001806B1 KR 102001806 B1 KR102001806 B1 KR 102001806B1 KR 1020190020364 A KR1020190020364 A KR 1020190020364A KR 20190020364 A KR20190020364 A KR 20190020364A KR 102001806 B1 KR102001806 B1 KR 10200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oor
payment
modu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승
Original Assignee
이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승 filed Critical 이한승
Priority to KR102019002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8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806B1/en
Priority to PCT/KR2020/002492 priority patent/WO20201716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tim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selecting a product by opening a doo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product storage space for storing products in a plurality of shelves, a reader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payment means among cash, card, and smartphone of a user, and a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part for recognizing a product picked up by a customer;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a locking part performing a locking function and an opening function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nd a controller having a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for opening the locking part when the reader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a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payment of the product recognized to be picked up in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part through the payment means, and a locking module for locking the locking part when payment is completed in the payment module. According to a smart vending machine of a product selection type through opening/closing of a door, since a customer can pay after selecting a product while directly touching and viewing several products by opening the door after authentication of a payment means, fun for selecting a product and reliability for a product can be guaranteed.

Description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selecting a product by opening a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를 통한 상품 선택 타입의 스마트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공지의 자판기가 밀폐된 하우징에서 상품을 기계적 방식으로 인출하는 것과 달리 고객이 직접 도어를 열고 상품을 만지는 등 직접 확인하면서 상품을 선택하도록 한 다음 선택된 상품을 결제하는 신개념 스마트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vending machine of a product selection type by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vending machine of a product selection type by opening and closing a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concept smart vending machine for selecting a product and then paying for a selected product.

자판기(자동 판매기)는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이 자동으로 나오는 기계를 의미한다.A vending machine (a vending machine) means a machine in which a desired item automatically comes out when a coin is inserted or a card is inserted.

이러한 자판기는 커피, 음료, 담배를 비롯하여 티켓, 위생용품, 성인용품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비치하여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대량생산, 대량소비, 소비패턴 변화 등의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헙게 출현된 유통구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These vending machines provide various kinds of products such as coffee, drinks, cigarettes, tickets, sanitary goods, and adult goods, and are used for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change from the labor-intensive industrial structure to the technology- It is a product of newly emerging distribution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marketing environment.

이러한 자판기는 그 용도에 따라 공공시설(학교, 관공서, 병원, 공원), 터미널(기차역, 고속버스, 전철역, 공항)은 물론 건물(사무실, 공장, 기숙사, 휴게실), 오락장(유원지, 극장, 유흥업소), 숙박업소(호텔, 여관 등의 객실이나 로비) 등에 설치되어 무인매점으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These vending machines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ublic facilities (schools, government offices, hospitals, parks), terminals (railway stations, express buses, metro stations, airports) as well as buildings (offices, factories, dormitories, rest rooms) (Hotels, inns, etc.), and plays a large role as an unattended shop.

공지의 자판기는 내부에 상품을 보관한 상태에서 상품진열창을 고객이 보면서 버튼이나 키패드를 매개로 상품진열창에서 소개된 특정 상품을 선택한 다음 현금이나 카드를 투입하여 결제를 수행한 이후 특정 상품을 수령하는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일반적인 자판기는 상품이 자판기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고객이 결제를 수행한 다음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결제를 수행하기 전까지 해당 상품을 직접 만지거나 볼 수 없는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known vending machine is a product that stores a product inside and displays a product window through a button or a keypad, selects a specific product introduced in a product window, and then inserts a cash or a card into the product, Structure and function. That is, a general vending machine is a closed type structure in which a customer holds a product in a vending machine and then draws the goods out of the vending machine and does not directly touch or view the product until the payment is performed.

그런데 이와 같이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진 공지의 자판기는 고객이 해당 상품을 직접 만지거나 외관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그저 상품진열창에 비치된 샘플의 외관을 보면서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이 경우, 상품진열창에 비치된 샘플과 달리 상품의 외관이 손상되거나 아니면 유통기간이 얼마 남지 않거나 지난 상품을 수령할 우려가 따를 뿐 아니라 예를 들어 냉장 음료수 자판기에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고 싶은데 보관한지 얼마 되지 않아 냉장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품을 수령하는 등의 상품 신뢰를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따랐다.However, in the known vending machine having the closed structure, the customer can not directly touch the product or check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but merely selects the product while looking at the appearance of the sample provided in the display window. In this case, unlike the samples on the merchandise display window, the appearance of the merchandise is damaged, or the shelf life is short o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merchandise will be received. Also, if you want to drink a cold drink from a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The problem is that it can not guarantee the trust of the products such as receiving the goods that are not refrigerated properly.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7-0041056호인 ‘도어개폐형 자동판매기의 판매관리시스템’은 숙박업소 등의 객실에 설치되는 도어개폐형 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기술로서, 복수 개의 수납칸이 마련되고 이에 개별 도어가 장착되어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하면 도어가 개방되어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기술로 게시되어 있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41056, " Sales Management System of Door Opening Vending Machine " is a technology for managing a door opening type vending machine installed in a guest room or the like, including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nd a door is opened when a customer selects a specific product, and a vending machine that manages a vending machine that can select a product is posted.

그런데 이 자동판매기는 각 수납칸에 하나의 상품만을 보관하고 있어 도어 개방 후 여러 상품을 직접 만지고 확인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닐 뿐 아니라 도어를 개방하기 전에 미리 결제를 수행해야 비로소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 즉 상품을 고객이 직접 만지고 유통기간을 확인하면서 상품을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따른다.However, since the vending machine stores only one commodity in each drawer, it is not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ed by touching and confirming several commodities directly after the door is opened. In addition,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at is, the problem that the customer can not directly select the product while touching the product directly and checking the distribution period is inherited.

따라서 하나의 공간 내에 여러 상품을 보관하여 결제 전에 여러 상품을 고객이 직접 만지고 손으로 느끼면서 상품 선택을 한 다음 결제를 수행하는 고객 편의적인 신규하고 진보한 스마트 자판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and advanced smart vending machine which stores various items in one space, touches directly with the customer, touches the product, selects goods, and then performs payment.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 밖에서 상품을 눈으로만 확인하는 공지의 자판기와 달리 도어를 개방한 다음 직접 상품을 만지고 유통기간, 냉/온장 상태 등을 확인하면서 상품을 보다 신뢰감 있게 선택한 다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opening device, which unlike a known vending machine, And to provide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settlement after more reliable sel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상품을 보관하면서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상품 광고 내지 상품 선택 과정을 안내할 수 있는 자판기의 독특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que structure of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directly guiding a product advertisement or a product selection process to a customer while keeping various produc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종합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means for more accurately detecting whether or not a customer selects a product.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도어 개방 후 상품을 선택하기 때문에 도난이나 상품 선택의 변심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 보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protection means capable of coping with theft or the remorse of product selection since the product is selected after the door is ope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는, 복수 개의 선반에 상품을 보관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사용자의 현금, 카드,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리더 및, 고객이 픽업(pick-up)한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선택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잠금 기능과 개방 기능을 구비한 잠금부; 상기 리더에서 상기 결제 수단을 인식 시 상기 잠금부를 개방 처리하는 결제 수단 인식 모듈과,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에서 픽업된 것으로 인식된 상기 상품의 결제를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해 수행하는 결제 모듈 및, 상기 결제 모듈에서 결제 완료 시 상기 잠금부를 잠금 처리하는 잠금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opening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lecting a product includes a product storage space for storing products on a plurality of shelves,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t least one of a user's cash, A reader for recognizing the payment means, and a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product picked up by the customer;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locking part having a locking function and an opening function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 payment module recognizing module for opening the lock section when the reader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a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payment of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by the goods selection recognizing section through the payment means; And a controller having a lock module for locking the lock when the settlement of the module is completed.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상품 보관 공간 내의 상기 상품의 수량과 종류, 가격 정보를 포함한 상품 정보를 저장한 상품 데이터베이스 및, 픽업 후 잔류한 상기 상품의 수량과 종류를 체크하여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상품 파악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product database storing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product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and pric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database updated by checking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product remaining after picking up And a product identification module.

더불어, 상기 본체는, 픽업된 상기 상품의 결제 여부 및 결제 금액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고객에게 안내하는 알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the customer of whether or not to pay for the picked-up merchandise and the amount of settleme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를 통한 상품 선택 타입의 스마트 자판기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merchandise selection type smart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결제 수단 인증 후 도어를 개방하여 여러 상품을 고객이 직접 만지고 보면서 상품을 선택한 다음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선택의 재미와 상품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고,1) After the payment means is authenticated, the door can be opened to allow the customer to select and pay for the various products while watching and touching the various products, thereby ensuring the fun of the product selection and the trust in the product,

2) 도어의 개폐 상태와 결제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고객에게 알려 상품 선택 과정에서의 안전을 보장하며,2) It informs the customer in real time about opening and closing status of the door and payment,

3) 알림부를 통해 고객에게 진행 관련 정보를 안내하되 2 도어 방식의 독특한 구조로 알림부가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3) Through the notification section, the customer is informed of the progress information, but the unique structure of the two-door method allows the notification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customer,

4) 상품의 스캔 기능과 중량 파악 기능을 겸비하여 상품 선택 내지 이동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4) Combining the scanning function and the weight-grasping function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not only to grasp the selection or movement of the product more accurately,

5) 도난이나 고객의 변심에 기민하게 대처하여 자판기 운용의 안정성과 보안을 보장하며,5) We guarantee the stability and security of vending machine operation by responding promptly to theft or customer's remorse,

6) 결제 수단의 한도 파악을 통해 도어 개폐 여부 내지 신원 확보 여부를 결정하여 자판기 운영의 안정성을 한층 보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6)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ability of the vending machine oper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r not by confirming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품 선택 인식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상품 보호 모듈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결제 수단 인식 모듈의 한도 파악 기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a smart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the goods protection module;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mit grasping function of a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a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본체(100)와 도어(10), 상품 판매에 대한 제반 과정을 관리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200)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며 도 2 이하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100, a door 10, and a controller 200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cesses for selling merchandise.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도 2의 기본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외관은 편의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선반 거치형 음료수 냉장고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약국에서 볼 수 있는 음료 냉장고와 같이 선반이 아닌 바닥에서 기립된 상태로 이보다 더 길고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2, the appearance of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imilar to that of a shelf-mounted beverage refrigerator which can be easily seen at a convenience store, or it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a shelf, such as a beverage refrigerato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longer and larger than the standing state.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음료 보관 냉장고와 같이 높이 차이를 두고 복수 개의 선반(111)이 배치된 상태에서 각 선반(111)에 상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상품 보관 공간(110)을 구비하는데 이때 도어(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본체 내에 배열된 상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냉장 기능 또는 온장 기능을 구비하여 상품이 음료수인 경우 음료수를 시원하게 또는 따뜻하게 상품 보관 공간(110)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main body 100 of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has a product storage space (not shown) which can place a product on each shelf 111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helves 111 are arranged with a height difference, The door 10 has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window so that a product arranged in the main body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function or a warming function so that the beverage can be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in a cool or warm manner when the product is a beverage.

더불어, 본체(100) 내에는 상술한 냉장/온장 시설 뿐 아니라 상품의 종류에 따라 탈취, 송풍, 방향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such as deodorizing, blowing, and directional functions can be included in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ommodity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refrigeration / warming facility.

또한,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는 상품은 비단 음료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화장품, 간식, 약국의 의약품 등의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호텔이나 모텔에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가 비치되는 경우 성인용품을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duct that can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is not limited to beverage, but various kinds of products such as cosmetics, snacks, medicines of pharmacies can be stored, and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adult goods.

본 발명의 도어(10)는 본체(10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전면 에 구비되어 회동식 내지 미닫이식으로 본체(100)의 상품 보관 공간(110)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도어(10)의 구조는 공지의 상품 보관용 소형 냉장고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대로 투명 또는 반투명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된 상품을 고객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 구매 의욕을 촉진하도록 하는 것이 기본이라 할 수 있다.The do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preferably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ha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main body 100 . The door 1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known small refrigerator for storing goods. As mentioned above, the door 1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window, It is essential to promote the desire to purchase a product by making it visible to the naked eye.

더불어, 도어(10)는 평상시에 잠겨 있다가 고객의 결제 수단을 인식한 다음 개방 처리를 해야 도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바, 도어(10)가 장착된 본체 일 측에 형성된 홈에 인입 및 인출되면서 락(lock) 또는 언락(unlock)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공지의 락킹(locking) 장치 내지 기타 다양한 공지의 잠금 구조로 이루어진 잠금부(2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10 is normally lock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ft or the like by recognizing the payment means of the customer and then performing an opening process. As a result, A known locking device having a stopper functioning as a lock or an unlock function while being taken out, or a locking part 20 composed of various other known locking structures is provided.

이 잠금부(20)는 후술할 컨트롤러(200)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되어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에 비치된 상품을 도난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ck unit 20 is locked and unlocked by a controller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goods stored in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ft or the like.

이와 같은 외관과 기본 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우선 본체(100)가 도어 잠금 상태로 밀폐된 상태에서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를 수행하면 상품이 인출되는 방식을 추구하는바, 상품을 직접 만지고 보면서 초이스하는 기분을 얻기 힘들거나 디스플레이 창에 배치된 상품과 다른(품질이 떨어지거나 오래된) 상품이 인출되는 등으로 상품의 품질에 신뢰를 얻기 힘들었던 공지의 자판기에 비하여 고객이 마치 냉장고를 열어 그 내부의 상품을 직접 만지고 유통기간 등을 확인하면서 픽업(선택)할 수 있어 상품 선택의 재미와 상품 품질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smart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appearance and a basic structure seeks a method of withdrawing a product when a customer selects a product and performs paym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closed in a door locking state, Compared to a known vending machine which is difficult to obtain a feeling of quality by touching and viewing the product directly, or it is difficult to obtain trust in the quality of the product due to the withdrawal of goods (different in quality or old) Can be picked up (selected) while touching the product inside thereof and confirming the distribution period and the like, thereby providing the property that the fun of the product selec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quality can be assured.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른 변형 실시예는 높이 방향으로 본체(100)가 연장된 상태에서 상하로 구획되고, 각 구획 공간 별로 도어(10)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10 is mounted in each of the compartment spaces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extended in the height direction.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2 도어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한데, 이때 도 3과 같이 높이 방향의 2 도어 구조는 물론 좌우 방향의 2 도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본체(100)의 구획공간이 3개 이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이에 따라 도어 역시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ther words, the smart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configured as a two door system.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have a two door structure in a height direction as well as a two door structur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number of doors may be three or more.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공지의 음료 보관용 냉장고와 같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는데, 도 4의 실시예는 본체(100)의 상면 및 저면이 사다리꼴과 같이 형성된 육면체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상면 및 저면의 4개 변 중에서 1개의 단변이 정면을 향하고 이에 접한 2개의 장변이 후면을 향한 구조를 취한다.4,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are made of a hexahedron having a trapezoidal shape, and the main body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top and bottom faces the front side and the two long sides facing the front side are oriented toward the rear side.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상면에서 단변에 의해 형성되는 정면을 제 1 면(101)이라 하여 이에 후술할 리더(120) 내지 알림부(130)가 장착되고, 본체(100)의 상면에서 단변/장변 사이의 좌우 측변, 즉 제 2,3 면(102,103)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 각각 제 1,2 도어(11,1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각각 제 1,2 상품 보관 공간(110a,110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formed by the shor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referred to as a first surface 101, and a reader 120 to a notification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The first and second doors 11 and 12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that is, the side surfaces formed by the second and third surfaces 102 and 103, respectively, 110b.

이와 같은 입체적 구조에 의하면, 최우선적으로 고객의 눈에 뜨이는 정면인 제 1 면(101)을 통해 결제 수단을 인식시키기 용이할 뿐 아니라 제 1 면(101)에 장착된 알림부(130)에서 상품 안내 내지 광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고객을 유인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특성을 수행한다.According to such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not only is it easy to recognize the settlement means through the first face 101 which is the front face of the customer first, but also, in the notification unit 130 mounted on the first face 101, It is easy to attract customers by outputting a guide or an advertisement message.

다시 도 1 내지 다른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0)에는 결제 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리더(reader)(120)가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and other drawings, it is seen that 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reader 120 for recognizing the payment means.

본 발명에서 결제 수단은 고객의 현금이나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는 물론 예를 들어 애플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지 신용카드사의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지칭하는 개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yment means is a concept that refers to various means such as a mobile payment application such as a customer's cash or a credit card (including a check card) as well as a mobile payment application such as Apple Pay, Samsung Pay, .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리더(120)는 예를 들어 결제 수단이 현금인 경우 지폐/동전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고, 결제 수단이 카드인 경우는 카드 리더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결제 수단이 스마트폰(정확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리더(120)는 스마트폰과 NFC 태그 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NFC 태그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결제 수단 및 리더(120)는 상호 연동되어 현재 모바일 등으로 수행되는 다양한 결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read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 banknote / coin input port when the payment means is cash, and a card reader when the payment means is a car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ayment means is a smart phone (a mobile pay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the reader 120 can be composed of an NFC tag unit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in an NFC tag manner with a smart phone. In other words, The payment means and the reader 120 may include various payment methods tha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re currently performed in a mobile or the like.

더불어, 본 발명의 리더(120)는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보관된 상품을 고객이 픽업하기 위한 일종의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바, 다시 말해 고객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기 전에는 도어(1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고객이 임의 또는 무단으로 상품을 도난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품 보호 기능을 겸비한다. In addition, the read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kind of authentication function for the customer to pick up / store the good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that is, before the customer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Is kept locked to prevent the customer from stealing the product arbitrarily or unauthorized.

즉, 리더(120)에 의해 인식된 결제 수단은 하나의 개런티(도어 개방 및 결제 보증) 역할을 하는바 예를 들어 카드는 마치 호텔에서 체크인을 할 때 카드를 오픈(open) 상태로 유지하는 것과 같이 결제 대기 내지 결제 보증 상태를 취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아니면, 셀프 주요소에서 카드를 인식하는 방식과 같이 카드 리더기에 카드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고객으로 하여금 상품 선택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품 선택 및 결제 완료 후 카드 리더기에서 카드를 회수하는 방식을 추구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payment means recognized by the reader 120 serves as one guarantee (door opening and payment guarantee), for example, the card can be kept open when the card is checked in at a hotel As well as provide a basis for taking a payment waiting or payment guarantee status.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customer to perform a product selection while holding a card in a card reader, such as a method of recognizing a card at a self-service station, and to pursue a method of selecting a product and collecting the card in the card reader after the payment is completed .

더불어, 이러한 리더(120)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화면 내지 스피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안내부의 일 측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안내부를 통해 고객에게 결제 방식 및 이용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디스플레이 안내부는 후술할 알림부(130) 자체인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ader 120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a display guide unit having a display screen or speaker with a touch screen, and can guide a customer through a display guide unit of a payment method and a usage method. The notification unit 130 itself.

본 발명의 알림부(130)는 선택적으로 구비 가능한 것으로서, 픽업된 상품의 결제 여부 및 결제된 금액, 도어(10)의 개방/폐쇄 상태를 고객에게 시각 또는 청각적 메시지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알림부(130)는 시각적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131)과 청각적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132)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품 OOO에 대한 OOO원이 결제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도어(10)가 개방된 경우 “도어가 개방되었으니 문을 열어주세요”, 또한 도어가 폐쇄 예정인 경우 “10초 후에 도어가 닫힐 예정이니 상품 선택을 완료해주세요”와 같은 다양한 메시지를 고객에게 안내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provid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picked-up item is paid, the amount of money paid, and the open / closed status of the door 10 to a customer in a visual or audible message . For this purpose, the notif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screen 131 for outputting a visual message and a speaker 132 for outputting an audible message. For example, when payment is completed, This payment has been completed. "If the door (10) is opened, the door will be closed after 10 seconds. If the door is open, the door will be closed. Please complete "message to the customer.

이러한 알림부(130)는 본체(100)의 일 측, 예를 들어 리더(120) 주변이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3의 구조에서 본체(100)의 정면, 즉 제 1 면(101)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notification unit 13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around the reader 120 or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on the first side 101, .

본 발명의 컨트롤러(200)는 본체(100) 내에 직접 장착되거나 통신 기능을 통해 역시 통신 수단을 구비한 본체(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결제 수단이 인식된 이후 고객이 상품 보관 공간(110)의 상품을 픽업(pick-up) 또는 선택(choice)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결제 수단 인식모듈(210), 결제 모듈(220), 잠금 모듈(230)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or communicated with the main body 100 having communication means through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settlement module recognition module 210, the payment module 220, and the lock module 2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e settlement module recognition module ") 210 functions to control a series of processes of picking- ).

결제 수단 인식 모듈(210)은 상술한 리더(120)와 연동되어 리더(120)에서 결제 수단을 인식한 경우 잠금부(20)를 개방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객이 인증을 받은 상태에서 상품 보관 공간(110) 내의 상품 픽업 내지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210 performs a function of opening the lock portion 20 when the reader 120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in cooperation with the reader 120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goods pick-up or selection in the goods storage space 110 can be performed.

결제 모듈(220)은 후술할 상품 선택 인식부(150)에서 픽업이 된 것으로 인식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리더(120)에 인식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픽업된 상품의 가격은 상품 선택 인식부(150)를 통해 전달받거나 후술할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결제 타이밍은 도어(10)에 추가로 장착된 개폐파악수단(14)을 통해 고객이 도어(10)를 닫은 것을 감지한 이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5 내지 10초)이 경과한 후에 수행하거나, 만일 개폐파악수단(14)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품 선택 인식부(150)에서 상품 선택이 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뒤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 내지 20초)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개폐파악수단(14)은 도어(10)의 일 측에 장착되어 적외선 조사 또는 도어 촬영 등으로 기타 도어 개폐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예를 들어 도어 개폐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yment module 220 performs payment processing for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by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payment means recognized by the reader 120. [ At this time, the price of the picked-up produc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or can be confirmed by referring to the product database 240 to be described later. The payment timing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to 10 seconds) elapses after the customer detects that the door 10 is clos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grasp means 14 additionally mounted on the door 10 Or if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is not provided, it can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to 20 seconds) after receiving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product is selected in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may be a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10 and performing other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function by infrared radiation or door shooting, for example,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더 나아가, 도어 개방이 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 이후 고객이 변심하여 선택된 상품을 원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놓고 다른 상품을 선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섣불리 변경 이전 상품에 대해 결제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제 시점은 개폐파악수단(14)을 통해 고객이 도어(10)를 닫은 것을 감지한 이후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after the door is opened, the customer may remand the selected product at the original position or other position after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and may select another product.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payment from being performed on the product before the change,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customer detected that the door (10) is clos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잠금 모듈(230)은 결제 완료 시 잠금부(20)를 잠금 처리하여 다시 상품 보관 공간(110)의 상품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어(10)의 잠금 시점은 결제가 완료된 후는 물론 도어(10)가 닫힌 것을 감지한 직후에 수행되도록 잠금 모듈(230)에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ock module 230 locks the lock part 20 when the settlement is completed, and protects the goods in the goods storage space 110 from theft. At this time, the lock time of the door 10 can be adjusted by the lock module 230 so as to be performed not only after the settlement is completed but also immediately after the door 10 is clo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결제 수단 인식 - 도어 개방 - 상품 선택 - 상품 선택 인식 - 도어 폐쇄(또는 폐쇄 유도) - 결제 - 도어 잠금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고객의 편리한 상품 선택 및 결제 환경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상품 보호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res the convenient selection and settlement environment of the customer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tion of payment means - door opening - product selection -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 door closing (or induction of closing) - payment - Not only to protect the goods but also to protect the goods.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앞서 언급하였지만, 결제 수단을 리더(120)를 통해 인식하면 잠금 상태의 도어(10)가 개방되어 고객이 손으로 도어(10)를 열 수 있고,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된 상품을 직접 만지거나 유통기간을 확인하면서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고객이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한 경우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선택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체(100)는 고객이 도어 개방 후 상품을 선택한 것을 인식하기 위한 상품 선택 인식부(150)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한다. The smart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payment means is recognized through the reader 120, the door 10 in a locked state is opened so that the customer can open the door 10 by hand, You can select a specific product by touching the product directly or checking the distribution period. If the customer selects one or more products,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selected product and performs settlement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this end, the main body 100 determines whether the customer has selected a product after opening the door The goods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must be provided.

도 5는 상품 선택 인식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본 발명의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된 상품(상품의 존재 여부)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다가 일정 시간(도어 개방으로부터 도어 폐쇄까지의 시간)에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되었던 상품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해당 상품을 고객이 픽업한 것으로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detects the goods (existence of good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in real time, and then detects the goods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the time period from the door opening to the door closing) ) Is not detecte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cognizing that the product is picked up by the customer.

이러한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상품과 더불어 다양한 기계/전자적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can be realized by various mechanical / electronic means in addition to commodities.

우선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품의 일 측에는 해당 상품의 가격과 이름, 종류 등의 상품 정보를 기록한 식별 코드가 인쇄 또는 기록된 마커(marker)(2)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각각의 상품 별 해당 식별 코드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스캐너(151)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상품 보관 공간(110)에 적어도 하나 또는 각 선반(111) 별로 구비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5, the one side of the product is provided with a marker 2 printed or recor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that records product information such as the price, name, and type of the product, The recognition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each shelf 111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of the main body 100. The scanner 151 may recognize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product in real time, have.

또한, 스캐너(151)는 포토센서를 구비하여 상품의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상품 보관 공간 내에 상품이 빽빽이 비치된 경우 인접 상품에 식별코드가 가려져 스캐너(151) 및 이에 구비된 포토센서가 제대로 식별코드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anner 151 may include a photosensor to photograph and analyze an identification code of a product. In this case, if the product is closely pack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hidden in the adjacent product, so that the scanner 151 and the photo sensor provided therein may not correctl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cod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에 부착된 마커(2)는 식별코드를 포함한 RFID이고,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RFID 스캐너로 이루어져 식별코드 인식은 물론 해당 상품의 상품 보관 공간 내에서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품 선택 인식부(150)가 식별 코드를 판독한 다음 컨트롤러(200)의 결제 모듈(220)에 해당 식별코드에 포함된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marker 2 attached to the product is an RFID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is made of an RFID scanner and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It is desirable to know whether or not In this way, after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the payment module 220 of the controller 200 may have a basis for transmitting the pri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더 나아가, RFID로 이루어진 마커(2)는 상품의 저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선반(111)은 투명 패널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RFID 스캐너로 이루어진 상품 선택 인식부(150)가 각 선반(111)의 저면 전체를 스캐닝하거나 아니면 선반(111) 별로 복수 개로 구비된 상태로 선반(111) 저면의 각 영역 별 스캐닝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상품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RFID 스캐너는 선반(111)의 각 구역 곳곳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스캔 범위 각도를 자동 조절하여 스캔 범위를 확장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FID marker 2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erchandise, and the shelf 111 is made of a transparent panel. In this state, the merchandise selection and recognition unit 150 including the RFID scanner scans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each shelf 111 It is possible to perform scanning for each are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f 111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helves 111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shelves 111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oduct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RFID scanner may be installed to move around the respective sections of the shelf 111, or may have a function of expanding and controlling the scan rang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can range.

이와 같이 상품 선택 인식부(150)가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 정보를 수득하고 이 상품 정보(이 때, 결제를 위한 가격 정보)를 결제 모듈(220)에 전달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운용을 위하여 상품 보관 공간에 비치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컨트롤러(200)에서 미리 인식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manner,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may sca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oduct to obtain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product information (price information for settlement at this time) to the payment module 22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200 recognizes the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in advance.

이를 위해, 컨트롤러(200)는 저장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여 이에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를 기록하고 아울러 상품 파악모듈(25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torage space so as to store the product database 240 and to further include the product identification module 250.

본 발명의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는 상품의 중량 정보 및 상기 선반(111) 별로 상기 선반(111)에 비치된 상품들의 선반중량정보를 저장한 것을 의미하는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에서 판매되기 위해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된 상품의 세부 정보를 미리 파악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The merchandise database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and the shelf weight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stored in the shelf 111 for each shelf 111.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basis for grasp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good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in advance.

이러한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는 관리자가 상품 판매를 위해 상품을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할 때 상품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상술한 상품 선택 인식부(150)의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된 상품 정보를 컨트롤러(200)의 저장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고 아니면 상품 선택 인식부(150)와 별개의 식별코드 인식 수단을 매개로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되는 상품에 대한 식별코드를 하나씩 인식하여 이를 컨트롤러(200)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에 비치된 상품에 대한 초기값 내지 초기 정보와 같은 기초 정보가 된다. The merchandise database 240 stores the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the merchandise when the manager stores the merchandise in the merchandise storage space 110 for selling the merchandise, and stores the scanned merchandise using the scanning function of the merchandise selection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ontroller 200 may be created in a database or may be creat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recognition means separate from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15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codes one by one and store them in a storage space of the controller 200. [ The merchandise database 240 is basic information such as initial values and initial information for merchandise provided to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더불어, 운영 중 상품이 판매되면서 소진되는 상품의 수량과 종류 등을 파악하여 잔류한 상품 또는 판매된 상품에 대한 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quantity and kind of the items that are consumed while the products are being sold during operation, and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remaining products or the changes of the products that are sold in real time.

이를 위해, 상품 파악모듈(250)은 판매된 상품은 물론 이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잔류한 상품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를 기초로 상품 선택 인식부(150)에서 픽업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전달받아 이 판매된 상품 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픽업 후 잔류한 상기 상품의 수량과 종류를 체크하여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상품 파악모듈(250)은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상품 판매 상황을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에서 별도로 구비한 통신 수단을 매개로 운영자 서버는 물론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this purpose, the product identification module 250 checks product information of a product picked up by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150 based on the product database 240, in order to grasp not only the sold product but also the product that remained on the basis of the product And updates the goods database 240 by checking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goods remaining after the picking up by updating the goods information received and sold to the goods database 240. [ In addition, the merchandise identification module 250 can transmit the merchandise sales status changed in real time to the smartphone held by the customer as well as the operat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means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상품 데이터베이스(240) 및 상품 파악모듈(250)을 통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상품 보관 공간 내의 상품 상황 및 재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알림부(130)를 통해 고객에게 재고 상품이나 잔류한 상품 판매 광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다.The product status and the inventory status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that fluctuates in real time can be grasped through the product database 240 and the product identification module 250, And so on.

추가적으로, 이와 같은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와 연동하여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상품 인식 기능을 보완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스캐너로만 상품을 인식할 경우 상품 보관 공간(110) 내의 사각 지역에 위치한 상품의 존재를 제대로 판별하지 못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150 may include a means for supplementing the product recognition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roduct database 240. [ In other words, when the product is recognized only by the scanner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determine the existence of a product located in a rectangular area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a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such a problem more efficiently to be.

구체적으로, 상품 데이터베이스(240)는 각각의 상품의 중량 정보 및 본체 내에 복수 개로 비치되었을 때 각 선반 별로 선반에 비치된 상품들의 선반중량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량 정보는 RFID와 같은 마커(2)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관리자가 전자저울로 각각의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면서 전자저울에서 측정한 중량 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업로딩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merchandise database 240 can further store weight information of each merchandise and rack weight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stored on each shelf for each shelf when the merchandis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Such weigh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storing the weight information in the marker 2 such as RFID or by uploading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lectronic balance to the product database 240 while the manager measures the weight of each product with the electronic balance It is possible.

더불어, 선반중량정보는 각 선반(111) 별로 각 상품의 중량 정보를 합산하여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의 일 정보로 구축되거나, 아니면 선반(111)의 바닥 면 일 측에 장착되어 선반에 놓인 여러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153)를 구비하여 각 선반(111) 별로 해당 선반(111)에 놓인 상품들의 합산 중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선반 중량이라 함은 선반 자체의 중량이 아니라 선반 자체의 중량에 해당 선반에 놓인 상품들의 합산된 중량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shelf may be constructed from information of the product database 240 by summ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each product according to each shelf 111, or may be constructed of various items mounted on the shelf 111 And a weight sensor 153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helf 111.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the sum weight information of the products placed on the shelf 111 for each shelf 111. [ Here, the weight of the shelf means the weight of the shelf itself, not the weight of the shelf itself, but the total weight of the products placed on the shelf.

즉, 상품 각각의 중량을 파악해야 각 선반(111)에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가 되는 선반의 중량 차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의 픽업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선반(111)에 놓인 상품들의 합산 중량을 파악해야 각 선반(111) 별로 장착된 중량센서(153)의 운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픽업을 판단할 수 있는 전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개별적인 상품 중량인 중량 정보와 각 선반 별 상품들의 합산중량인 선반중량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추가로 확보 및 저장한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weight of each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or not a particular product is picked up based on the weight difference of the shelves which are positive or negative in each shelf 111, and to grasp the total weight of the products placed on the shelf 111 It is possible to provide not only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weight sensor 153 mounted for each shelf 111 but also the premise for judging the pick-up.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total weight of the shelf weight, in the product database 240.

이에 대응하여,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중량 인식 파트(154)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량 인식 파트(154)는 중량센서(153)를 통해 측정한 현재(실시간)의 선반 중량과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각 선반(111)의 초기 중량, 즉 선반중량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품이 픽업되었거나 아니면 다른 선반에 위치했던 상품이 옮겨진 것으로 인지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춘다. Correspondingly,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section 150 can be provided with the weight recognizing part 154. The weight recognition part 154 compares the current (real time) weight of the shelf measured through the weight sensor 153 with the initial weight of each shelf 111 stored in the product database 240, that is,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goods have been picked up or that the goods on other shelves have been moved.

즉, 이와 같은 중량이라는 파라미터를 병행하면 상품을 상품 보관 공간(110)에 비치한 초기 상태의 총 상품 중량과 실시간 상품 중량을 비교하여 마이너스 중량이 발생된 선반에서는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서의 상품의 중량 정보를 근거로 마이너스 중량과 일치하는 중량을 가진 상품이 픽업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고객의 변심으로 픽업했다가 도어(10)가 닫히기 전에 원래 위치가 아닌 다른 선반 위치에 해당 상품을 놓았을 경우 그 선반(111)에서는 중량이 추가되는데 이와 같이 어느 선반(111)에서의 마이너스 중량과 다른 선반(111)에서의 플러스 중량을 비교하면 단순히 상품의 위치만 변경되었는지 아니면 해당 상품이 픽업되어 어느 선반(111)에서도 존재하지 않는지(즉, 고객이 도어 밖으로 상품을 빼어 확실하게 픽업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arameters such as weight are concurrently performed, the total weight of the commodity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weight of the commodity in real time which are provided in the commodity storage space 110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commodity in the commodity database 24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goods having the weight matching the negative weight are picked up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n the contrary, if the customer picks up the product on the shelf position other than the original position before the door 10 is closed after the customer's remorse, the weight is added to the shelf 111. In this way, And the other weight of the shelf 111 is compa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roduct is simply changed or the product is picked up and is not present in any shelf 111 (i.e., the customer has picked up the product out of the door and reliably picked up)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the same.

즉, 픽업 인식 파트(154)는 상술한 스캐너(151)의 스캔 정보와 중량 차이 정보를 통하여 상품 픽업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은 물론, 도어 개방에서 도어 폐쇄 사이 시간동안 고객이 상품을 들었다 놨다 내지 다른 선반(111)으로 변경하는 등의 고객 변심 행동이 일어나도 상품의 픽업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ick-up recognition part 154 not only determines the goods pick-up more accurately through the scan information and the weight difference information of the scanner 151, but also allows the customer to listen to the goods during the time between door opening and door closing. Even if a customer's remorse action such as changing to a shelf 111 occu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more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roduct is picked up.

도 6은 상품 보호 모듈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the goods protection module.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물론 결제 수단을 통해 고객을 인증하기는 하지만 공지의 자판기와 달리 도어(10)를 개방하여 여러 상품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고객의 상품 픽업을 기다려야 하므로 도난은 물론 특히 상품이 냉장/온장 상품인 경우 고객의 부주의로 상품 픽업 후 도어(10)가 개방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상품이 손상될 우려가 따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known vending machine, the door 10 is opened to expose various goods, but the customer must wait for the goods to be picked up, as in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f the product is a cold / warm product, if the door 10 is left in an open state after the product is picked up due to the customer's carelessness, the product may be damaged.

이를 위해, 본체(100)는 우선 도어(10)가 개방된 시간을 파악하는 타이머(140)를 구비한다. 이 타이머(140)는 잠금부(20) 또는 개폐파악수단(14)과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20)가 도어를 개방 처리하였을 때 발생된 개방 신호를 타이머(140)는 잠금부(20) 또는 개폐파악수단(14)으로부터 전달받아 이때로부터 진행되는 개방 시간을 카운팅(counting)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잠금부(20)가 도어를 잠금 처리하였을 때 발생된 잠금 신호를 역시 잠금부(20) 또는 개폐파악수단(14)으로부터 전달받아 카운팅을 종료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ain body 100 firstly includes a timer 140 for grasping the time when the door 10 is opened. The timer 140 is connected to the lock portion 20 or the opening and closing grasping means 14 in response to an open signal generated when the lock portion 20 opens the door, The locking unit 20 can receive the lock signal from the locking unit 20 or count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20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4 and further lock the locking unit 20 when the locking unit 20 locks the door, Or from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and end the counting.

아니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 자체에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파악하는 적외선 센서, 포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개폐파악수단(14)을 구비하고 이 개폐파악수단(14)과 연동하여 타이머(140)에서 도어(10)의 개방 시간(도어의 개방으로부터 닫히는데까지의 경과 시간)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door itself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composed of an infrared sensor, a photo sensor or the like for grasp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The elapsed time from the opening of the door to the closing thereof) of the door 10 can be grasped.

또한, 도어(10)는 도어(10)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도어(10)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수단을 자동 폐쇄 수단(13)이라 한다. The door 10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10 is referred to as the automatic closing means 13.

이러한 자동 폐쇄 수단(13)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본체(100)에 연결된 도어 측 힌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의 회전으로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 이에 따라 힌지가 작동되는 방식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이 외의 여러 기계적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automatic closing means 13 may include a shaft and a motor that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are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door side hing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0. [ That is,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a manner that the hinge is operated by rotating the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various other mechanical means.

즉, 도어 폐쇄 수단(13)은 모터의 정역 방향 회전 제어 기능을 포함하여 리더(120)에서 고객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였을 때 자동으로 도어(10)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That is, the door closing means 13 may be used as a door opening means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10 when the reader 120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of the customer, including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motor.

이와 같은 개폐파악수단(14) 및 타이머(140)와 연동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러(200)는 상품 보호 모듈(26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product protection module 260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14 and the timer 140. [

상품 보호 모듈(260)은 타이머(140) 및 개폐파악수단(14)을 통해 도어(10)가 개방된 이후 일정 시간(제 1 시간)이 지난 후에도 도어(10)가 계속 개방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순차적으로 자동 폐쇄 수단(13)을 작동하여 도어(10)를 닫은 후 잠금부(20)의 잠금 기능을 작동하여 도어(10)를 잠그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duct protection module 260 detects that the door 10 is still open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first time) has elapsed since the door 10 was opened through the timer 14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rasping means 14 The automatic closing means 13 is operated in order to lock the door 10 by operating the locking function of the locking portion 20 after the door 10 is closed.

예를 들어, 냉장/온장 상품 보호를 위해 도어(10)가 열린 후 1분이라는 시간을 상품 픽업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고객이 결제 수단 인식 이후 도어(10)가 개방된 다음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간이 1분이라는 의미인데, 만일 1분 동안 상품을 픽업하지 못하면서 도어(10)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품 보호 모듈(260)은 자동으로 자동 패쇄 수단(13)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10)를 닫은 후 잠금부(20)의 장금 처리로 도어(10)를 잠글 수 있다는 의미이다. 만일 이 과정에서 상품이 픽업된 경우에는 결제 모듈(220)을 통해 결재 수단을 매개로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상품이 픽업되지 않은 경우에는 결제 처리를 하지 않는다. For example, a time of one minute after the door 10 is opened to protect the refrigerated / warmed product can be set as the goods pick-up time. That is, it means that the time for the customer to select the next opened product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payment means is one minute. If the door 10 is kept open while the product can not be picked up for one minute The commodity protection module 260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10 through the automatic closing means 13 and then locks the door 10 by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20. [ If the goods are picked up in this process, the settlement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settlement means through the settlement module 220, and the settlement process is not performed if the goods are not picked up.

더불어, 이 과정에서 알림부(130)는 고객에게 상품 픽업 시간이 이르렀음을 음성이나 화면으로 미리 알려 고객이 픽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본체(10) 일 측에 별도의 버튼, 즉 연장 버튼을 구비하여 고객이 이 연장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상품 픽업 시간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 내지 60초)동안 추가로 연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notification unit 130 informs the customer that the goods pick-up time has been reached by voice or a screen so that the customer can perform the pickup quickly, and further, That is, a function of extending the goods pick-up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to 60 seconds) when the customer has pressed the extension button with the extension button.

만일 자동 폐쇄 수단(13)을 통해 도어(10)가 닫히는 과정에서 고객이 악의적으로 도어(10)를 붙잡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10)가 닫히지 않고 억지로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 보호 모듈(260)은 상술한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 추가 시간, 즉 제 2 시간(예를 들어, 30 내지 60초)을 설정한 다음 타이머를 통해 제 2 시간이 경과된 것은 물론 이 시간에 개폐파악수단(14)을 통해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에는 알림부(130)를 통해 고객에게 음성이나 시각적 화면 표시 메시지로 이루어진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customer maliciously grips the door 10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10 through the automatic closing means 13, the door 10 is not closed but is forcibly open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oduct protection module 260 sets an additional time after the first time period elapses, that is, a second time period (for example, 30 to 60 seconds) When the door 1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at this time, a warning signal including a voice or a visual screen display message is output to the custom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30 . ≪ / RTI >

이로 인해, 고객이 억지로 도어(10)를 붙잡고 있을 때 이러한 행위가 잘못되었음을 고객에게 인지시켜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ustomer forcibly holds the door 10, the customer can be informed that such an action is wrong and demand correction.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모듈(220)은 도어(10)가 닫힌 이후 결제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도어(10)가 계속 개방 상태인 경우 결제 모듈(220)에서 미처 개방 상태 중에서 픽업되거나 심지어 도난 처리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yment module 220 performs settlement after the door 10 is closed, when the door 10 is continuously opened, the payment module 220 picks up the door 10 from the open state, There is a fear that payment for the stolen goods can not be performed.

역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 선택 인식부(150)는, 타이머(140) 및 개폐파악수단(14)과 연동되어 상술한 제 2 시간 이후 제 3 시간(예를 들어, 30 내지 60초)이 추가로 경과 후 상기 도어(10)가 개방 상태임을 감지 시, 제 1 내지 제 3 시간동안에 픽업된 상품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s well,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150 interlocks with the timer 140 and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to perform a third time (for example, 30 to 60 seconds) after the second time, And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goods picked up during the first to third times when the door 10 is detected to be in the open state after the lapse of the additional time.

즉, 도어(10)가 계속 개방됨과 아울러 고객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했음에도 도어(10)가 계속 개방 상태에 놓인 경우 상품 선택 인식부(150)에서 이 시간(제 1 내지 제 3시간)동안 없어진(즉, 픽업된) 상품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door 10 is kept open and the door 10 is kept open even though the alarm signal is outputted to the customer, That is, picked-up) goods.

이에 더불어, 결제 모듈(220)은 상품 선택 인식부(150)에서 제 1 내지 제 3 시간동안 픽업된 것으로 인식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결제 수단을 통해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결제 수단이 현금이 아니라 카드 또는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상술한 개런티(결제 보증) 기능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고객이 결제 수단을 수거하여 도망을 갔어도 이미 인증 및 개런티 처리된 카드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고객이 악의적으로 도어(10)를 개방한 다음 도난을 하여도 이미 인증 처리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최소한의 상품 도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결제 수단은 카드와 스마트폰으로 한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ayment module 220 includes a function of performing settlement of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during the first to third times by the goods selection recognition unit 150 through the payment means. In particular, when the payment means is a card or a smart phone rather than cash, the above-mentioned guarantee (payment guarantee) function can be provided. Therefore, even if the customer has collected the payment means and ran away, Which means that you can make payments through In this way, even if the customer maliciously opens the door 10 and then stolen, the settlement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payment means that has already been subjected to the authentication process, so that the minimum damage to the product theft can be prevented, It is possible to limit it to a card and a smart phone.

더 나아가, 리더(120)에서 카드 또는 스마트폰의 한도를 미리 파악하여 컨트롤러(200)가 이 결제 수단의 한도액의 고저에 따라 도어 개방 시간 내지 제 1 내지 제 3시간의 고저를 차등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the reader 120 can grasp the limit of the card or the smartphone in advance, and the controller 200 can differentially adjust the door opening time to the first to third hours in accordance with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payment means Do.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는 이와 같이 결제 수단의 한도를 파악하여 추가적인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dditional control functions by grasping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as described above.

도 7은 결제 수단 인식 모듈의 한도 파악 기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mit grasping function of the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결제 수단이 한도 파악이 가능한 카드 및 스마트폰인 경우에, 결제 수단 인식 모듈(210)은, 리더(120)와 연동되어 결제 수단의 한도를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ayment means is a card or a smartphone capable of detecting the limit, the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210 may include a function of interlocking with the reader 120 and grasping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예를 들어 결제 수단이 카드인 경우 결제 수단 인식 모듈(210)은 결제 모듈(220)과 연동되어 5만원을 결제하여 5만원의 결제 가능 여부를 외부의 카드 서버에 요청하고 카드 서버에서 결제 가능 여부 승인 메시지가 전달되면 해당 카드가 최소한 5만원의 결제 가능 한도를 가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만일 카드 서버에서 결제 불가능 승인 메시지가 전달되면 다시 3만원의 결제 가능 여부를 요청하여 반복적으로 금액을 낮추면서 해당 카드의 한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아니면 이 방식 이외에 공지의 다른 방법으로 결제 수단의 한도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settlement means is a card, the settle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210 interlocks with the settlement module 220 to make a payment of 50,000 won to request an external card serv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payment is possible for 50,000 won, If an approval message is received, the card can be recognized as having a settlement limit of at least 50,000 won. If a credit card acceptanc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rd server, the card is requested again for a payment of 30,000 won, The limit of the card can be grasped.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grasp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by other known methods besides this method.

이때 결제 수단 인식 모듈(210)은 결제 수단 요청부(211)와 잠금 유지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yment unit recognition module 210 may include a payment unit request unit 211 and a lock holding unit 212.

결제 수단 요청부(211)는 결제 수단의 한도가 기설정 금액(예를 들어 3만원)보다 작을 시 고객에게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잠금 유지부(212)는 결제 수단 요청부(211)에서 다른 결제 수단을 고객에게 요청하였는데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 내지 60초)이 경과될 때까지 다른 결제 수단이 인증되지 않았을 경우 도어(10)를 개방하지 않고 잠금부(20)를 잠금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limit of the settlement means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for example, 30,000 won), the settlement unit requesting unit 211 requests the customer for another settlement means, If the other payment means is not authenticated until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30 to 60 seconds) has elapsed after the user has requested another payment means from the payment unit 211, the door unit 10 is not opened and the lock unit 20 is opene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keeping the lock.

즉, 상술한 실시예는 도어(10)를 개방하기 전 미리 고객이 소지한 결제 수단의 한도를 미리 파악하여 기설정된 한도보다 작은 경우 상품 도난이나 미결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0)를 아예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grasps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held by the customer in advance before opening the door 10, and opens the door 10 to prevent theft or open situation when the door 10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limit It does not.

다른 실시예로서, 우선 카드 또는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인 결제 수단이 결제 수단 인식 모듈(210)을 통해 인식되면 도어(10)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고객의 상품 픽업(선택) 후 결제 모듈(220)에서 픽업된 상품을 결제할 때 결제 수단의 한도 초과 시 고객에게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ayment means, which is either a card or a smartphone, is recognized through the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210, the door 10 is open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product, And a function of requesting the customer for another payment means when the payment module 220 has exceeded the payment means when paying the goods picked up.

이때, 본체(100)의 전면에는 고객을 촬영하는 CCTV(16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데, 컨트롤러(200)는 결제 시간 요청 후 일정 시간이 경과 시까지 다른 결제 수단이 인증되지 않을 시 CCTV(160)를 구동하여 고객을 촬영하는 CCTV 촬영모듈(280)을 포함한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CTV 160 for capturing a custom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f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payment means is not authenticat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requesting the settlement time, And a CCTV photographing module 280 for photographing a customer.

즉, 결제 수단이 인증된 경우 우선 도어(10)를 개방하여 고객이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은 부여하되 만일 결제 수단이 한도 초과 상태이고 고객이 다른 결제 수단마저 없는 경우 상품 도난 방지 차원에서 우선 고객의 신원(인상착의 내지 얼굴)을 확보한다. That is, when the payment means is authenticated, the priority door 10 is opened to allow the customer to select a product. If the payment means is over the limit and the customer does not even have another payment means, (Impression or face) of the user.

더불어, 컨트롤러(200)는 고객이 결제를 할 수 없어 상품을 스스로 원위치로 놓은 경우에는 프라이버시 보호 차원에서 해당 CCTV(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삭제하는 영상 삭제모듈(2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deletion module 290 for delet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corresponding CCTV 160 in order to protect privacy when a customer can not settle the product, have.

그런데 선택된 도어(10)가 닫힌 시점에 상품이 없어진 것을 상품 인식부(150)에서 파악한 경우 예를 들어 해당 영상을 주변 지역에 연동된 경찰서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고객을 추적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150 recognizes that the product is missing at the time when the selected door 10 is closed,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police server interlocked with the surrounding area to track the customer.

이와 같은 구성 및 기능에 의해, 결제 이전에 도어(10)를 개방해야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상품 도난이 우려되는 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nd func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door 10 must be opened prior to settlement can effectively prevent theft of the product.

추가적으로, 상술한 알림부(130)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가 배치된 인극 지역 또는 주변에 위치한 기존 고객에게 상품 안내를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품 보관 시간의 고저에 따라 상품 안내 순위를 차등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function of performing a product guide to an existing customer located in or around a dispensing area where the smart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nd may include a differential adjustment function.

구체적으로, 상품 파악모듈(250)은 상품 보관 공간(110) 내에서 상품이 보관된 시간을 파악하는 보관시간 파악부(251)를 구비한다. 즉, 보관시간 파악부(251)는 본체(100)에 설치된 타이머(140)와 상술한 개폐파악수단(14)과 연동되어 상품이 상품 보관 공간(110)에 입고된 시점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경과 시간을 체크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Specifically, the merchandise identification module 250 includes a storage time determination section 251 for determining the time at which the merchandise is stored in the merchandise storage space 110. That is, the storage time determining unit 25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timer 1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14 described above are interlocked and the goods are receiv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0 to the current time And a function of checking the time can be provided.

이때, 알림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131)이나 스피커(132)를 통해 상품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데 보관시간 파악부(251)에서 파악한 상품의 보관시간 고저에 따라 상품 안내 순위를 조절하여 조절된 안내 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시간 차이를 두고 상품 안내를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unit 130 can perform the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through the display screen 131 or the speaker 132.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time of the product, And performing the product guidance with a tim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rank.

예를 들어 제 1 상품이 보관된 시간이 10시간이고, 제 2 상품이 보관된 시간이 5시간인 경우 보다 오래된 상품인 제 1 상품에 대해 우선적으로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상품 안내 순위를 설정하여 제 1 상품, 제 2 상품 순서로서 일정 시간 차이를 두고 상품 광고 안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제 1 상품은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 안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first product is stored for 10 hours and the second product is stored for 5 hours, a product guide rank that can perform advertis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duct is se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roduct advertisement gui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as the first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 order, an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product guide at the discounted price.

더 나아가, 결제 수단이 스마트폰일 경우 스마트폰에 상품 광고 컨텐츠를 수록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컨트롤러(200)는 이러한 스마트폰에 대한 광고 수행을 위하여 상품 안내모듈(295)을 구비할 수 있다.Further, if the payment means is a smart phone, the controller 200 may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containing product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smartphone. The controller 200 may provide a product guide module 295, .

상품 안내모듈(295)은 통신 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품의 보관시간의 고저에 따라 상품 안내 순위를 조절한 다음 조절된 안내 순위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시간 차이를 두고 상기 푸시메시지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알림부(130)가 수행하는 기능을 원격의 고객에게 통신 수단을 매개로 상품 안내모듈이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The product guide module 295 adjusts the product guide rank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of the product in the state of having the communication means and then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smartphone with the time difference in the abov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at is, the function of the notification unit 130 can be performed by the product guide module via the communication means to the remote customer.

이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자판기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고객이 푸시 메시지를 통해 잔여 상품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래 보관한 상품인 경우 예를 들어 할인 광고 메시지를 통해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Thus, if the customer located away from the smart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remaining product through the push message and can store the product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example, Can be provid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opening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lecting a product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 상품 2: 마커
10: 도어 11: 제 1 도어
12: 제 2 도어 13: 자동 폐쇄 수단
14: 개폐파악수단 20: 잠금부
100: 본체 101: 제 1 면
102: 제 2 면 103: 제 3 면
110: 상품 보관 공간 110a: 제 1 상품 보관 공간
110b: 제 2 상품 보관 공간 111: 선반
120: 리더 130: 알림부
131: 디스플레이 화면 132: 스피커
140: 타이머 150: 상품 선택 인식부
151: 스캐너 152: 픽업 인식 파트
153: 중량센서 154: 중량 인식 파트
160: CCTV 200: 컨트롤러
210: 결제 수단 인식 모듈 211: 결제 수단 요청부
212: 잠금 유지부 220: 결제 모듈
230: 잠금 모듈 240: 상품 데이터베이스
250: 상품 파악모듈 251: 보관시간 파악부
260: 상품 보호 모듈 270: 결제 변경 처리모듈
271: 초기화 처리부 272: 재인증 요청부
280: CCTV 촬영모듈 290: 영상 삭제모듈
295: 상품 안내모듈
1: Item 2: Marker
10: door 11: first door
12: second door 13: automatic closing means
14: opening / closing grasping means 20:
100: main body 101: first side
102: second side 103: third side
110: Commodity storage space 110a: First commodity storage space
110b: second article storage space 111: shelf
120: Reader 130:
131: Display screen 132: Speaker
140: Timer 150: Commodity selection recognition section
151: Scanner 152: Pickup recognition part
153: Weight sensor 154: Weight recognition part
160: CCTV 200: Controller
210: payment means recognition module 211:
212: Lock holding part 220: Payment module
230: lock module 240: commodity database
250: product identification module 251: storage time determination section
260: Commodity protection module 270: Payment change processing module
271: Initialization processing unit 272:
280: CCTV shooting module 290: Video deletion module
295: Product Information Module

Claims (14)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로서,
복수 개의 선반에 상품을 보관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사용자의 현금, 카드,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리더 및, 고객이 픽업(pick-up)한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선택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잠금 기능과 개방 기능을 구비한 잠금부;
상기 리더에서 상기 결제 수단을 인식 시 상기 잠금부를 개방 처리하는 결제 수단 인식 모듈과,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에서 픽업된 것으로 인식된 상기 상품의 결제를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해 수행하는 결제 모듈 및, 상기 결제 모듈에서 결제 완료 시 상기 잠금부를 잠금 처리하는 잠금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을 타이밍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자동으로 폐쇄되는 자동 폐쇄 수단 및 개폐 여부를 파악하는 개폐파악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의 개방 후 상기 타이머 및 개폐파악수단를 통해 제 1 시간이 경과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상태임을 감지 시 상기 자동 폐쇄 수단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기능을 순차적으로 구동 처리하는 상품 보호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opening a door and selecting a product,
A reader for recognizing a payment means of at least one of a user's cash, a card, and a smart phone; and a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product picked up by the customer A body having a porti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locking part having a locking function and an opening function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 payment module recognizing module for opening the lock section when the reader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a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payment of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by the goods selection recognizing section through the payment means; And a controller having a lock module for locking the lock when the settlement is completed in the module,
Wherein the main body has a timer for timing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includes an automatic closing means that is automatically clos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grasping means that grasps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a commodity protection module that sequentially processes the locking function of the automatic closing means and the locking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after a lapse of a first time period through the tim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rasping unit after opening the door Features a smart vending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상품 보관 공간 내의 상기 상품의 수량과 종류, 가격 정보를 포함한 상품 정보를 저장한 상품 데이터베이스 및,
픽업 후 잔류한 상기 상품의 수량과 종류를 체크하여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상품 파악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A product database storing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goods in the goods storage space and price information,
And a merchandise identification module for updating the merchandise database by checking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merchandise remaining after picking u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픽업된 상기 상품의 결제 여부 및 결제 금액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고객에게 안내하는 알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notifying unit for informing a customer of whether or not to pay for the picked-up merchandise and the amount of payme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리더와 상기 알림부가 설치된 제 1면과, 상기 제 1면의 좌우 측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벌어지도록 연장된 제 2,3 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품 보관 공간은,
상기 제 2 면 내측에 구비된 제 1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제 3면 내측에 구비된 제 2 상품 보관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면을 개폐하는 제 1 도어와, 상기 제 3면을 개폐하는 제 2 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urface so as to extend rearward,
The product storage space
A first product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second surface, and a second product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third surface,
The door
A firs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urface, and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third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식별 코드가 기록된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는,
상기 마커의 식별 코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스캔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캐너와,
상기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시간 동안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스캐너의 상기 스캔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상품을 고객이 픽업한 것으로 인식하는 픽업 인식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duct,
And a marker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recorded,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At least one scanner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marker in real time to generate scan information,
And a pick-up recognizing part for recognizing that the customer has picked up a product not included in the scan information of the scanner based on the goods databas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times of the do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상품의 중량 정보 및 상기 선반 별로 상기 선반에 비치된 상품들의 선반중량정보를 추가로 저장하고,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는,
상기 선반의 일 측에 장착되어 선반에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선반 중량과 상기 선반중량정보를 비교하여 중량의 차이 발생 시 중량 차이 정보를 생성하는 중량 인식 파트를 구비하여,
상기 픽업 인식 파트는,
상기 스캔 정보와 중량 차이 정보를 종합하여 특정 상품의 픽업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duct database includ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goods and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shelves of the products on the shelves,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A weight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shelf for measuring the weight on the shelf,
And a weight recognition part for comparing the weight of the shelf and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shelf so as to generate weight difference information when a weight difference occurs,
The pickup-
Wherein the smart vending machine recognizes whether a specific product is picked up by combining the scan information and the weight differenc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픽업된 상기 상품의 결제 여부 및 결제 금액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고객에게 안내하는 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품 보호 모듈은,
상기 타이머 및 개폐파악수단을 통해 제 1 시간 이후 제 2 시간이 추가로 경과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상태임을 감지 시 상기 알림부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n informing unit for informing the customer of whether or not to pay for the picked-up goods,
The product protection module includes: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after a secon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time through the tim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rasping mean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는,
상기 타이머 및 개폐파악수단을 통해 제 2 시간 이후 제 3 시간이 추가로 경과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상태임을 감지 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시간동안에 픽업된 상품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결제 모듈은,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시간에 픽업된 것으로 인식된 상품의 결제를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해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And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goods picked up during the first to third time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in the open state after a third time elapses after the second time through the tim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rasping means,
The payment module includes:
And a function of performing payment of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at the first to third times by the goods selection recognition unit through the payment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카드 및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결제 수단 인식모듈은,
상기 잠금부가 개방 처리된 이후 상기 리더를 통해 상기 결제 수단의 변경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결제 수단이 변경됨을 인식 시 상기 자동 폐쇄 수단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기능을 순차적으로 구동 처리하는 초기화 처리부와,
고객에게 상기 변경된 결제 수단을 상기 리더를 통해 재인식 요청하는 재인증 요청부를 구비한 결제 변경 처리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ard, or smart phone,
The settlement unit recognizing module includes:
And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payment means has been changed via the reader after the lock portion has been opened,
The controller comprising:
An initialization processing unit for sequentially driving the automatic closing means and the locking function of the locking unit upon recognizing that the payment means is changed;
And a re-authentication requesting module for requesting the customer to re-recognize the changed payment means through the reader.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로서,
복수 개의 선반에 상품을 보관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사용자의 현금, 카드,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리더 및, 고객이 픽업(pick-up)한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선택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잠금 기능과 개방 기능을 구비한 잠금부;
상기 리더에서 상기 결제 수단을 인식 시 상기 잠금부를 개방 처리하는 결제 수단 인식 모듈과,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에서 픽업된 것으로 인식된 상기 상품의 결제를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해 수행하는 결제 모듈 및, 상기 결제 모듈에서 결제 완료 시 상기 잠금부를 잠금 처리하는 잠금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수단은 카드 및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결제 수단 인식 모듈은,
상기 결제 수단의 한도를 파악하여, 상기 결제 수단의 한도가 기설정 금액보다 작을 시 고객에게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는 결제 수단 요청부와, 다른 결제 수단 요청 후 일정 시간이 경과 시까지 다른 결제 수단이 인증되지 않을 시 상기 잠금부를 잠금 유지 처리하는 잠금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opening a door and selecting a product,
A reader for recognizing a payment means of at least one of a user's cash, a card, and a smart phone; and a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product picked up by the customer A body having a porti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locking part having a locking function and an opening function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 payment module recognizing module for opening the lock section when the reader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a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payment of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by the goods selection recognizing section through the payment means; And a controller having a lock module for locking the lock when the settlement is completed in the module,
Wherein the payment means is one of a card and a smart phone,
The settlement unit recognizing module includes:
A payment means requesting unit for checking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and requesting the customer for another payment means when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is smaller than the preset amount; And a lock holding portion for locking and holding the lock portion when not authenticated.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로서,
복수 개의 선반에 상품을 보관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사용자의 현금, 카드,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리더 및, 고객이 픽업(pick-up)한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선택 인식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잠금 기능과 개방 기능을 구비한 잠금부;
상기 리더에서 상기 결제 수단을 인식 시 상기 잠금부를 개방 처리하는 결제 수단 인식 모듈과,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에서 픽업된 것으로 인식된 상기 상품의 결제를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해 수행하는 결제 모듈 및, 상기 결제 모듈에서 결제 완료 시 상기 잠금부를 잠금 처리하는 잠금 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수단은 카드 및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본체는, 고객을 촬영하는 CCTV를 구비하며,
상기 결제 모듈은, 상기 결제 수단의 한도 초과 시 고객에게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결제 시간 요청 후 일정 시간이 경과 시까지 다른 결제 수단이 인증되지 않을 시 상기 CCTV를 구동하여 상기 고객의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촬영모듈과,
상기 상품 선택 인식부에서 상기 고객이 상품 선택을 하지 않은 것을 파악 시 상기 영상을 삭제하는 영상 삭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A smart vending machine capable of opening a door and selecting a product,
A reader for recognizing a payment means of at least one of a user's cash, a card, and a smart phone; and a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product picked up by the customer A body having a porti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locking part having a locking function and an opening function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 payment module recognizing module for opening the lock section when the reader recognizes the payment means; a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payment of the goods recognized as being picked up by the goods selection recognizing section through the payment means; And a controller having a lock module for locking the lock when the settlement is completed in the module,
Wherein the payment means is one of a card and a smart phone,
The main body has a CCTV for photographing a customer,
Wherein the payment module includes a function of requesting a customer for another payment means when the limit of the payment means is exceeded,
The controller comprising:
A CCTV photographing module for driving the CCTV and capturing an image of the customer when another payment means is not authenticat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a request for a payment time,
And an image deletion module for deleting the image when the product selection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at the customer has not selected a produc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파악모듈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개폐파악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보관 공간 내 보관된 시간을 파악하는 보관시간 파악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품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상품의 보관시간의 고저에 따라 상품 안내 순위를 조절하여 조절된 안내 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시간 차이를 두고 상기 상품을 안내하는 알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duct identification module,
And a storage time grasp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timer and the opening / closing grasping unit to grasp a time when the goods are stored in the goods storage space,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notification unit for guiding the product with a tim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ed guide order by adjusting the product guide rank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of the product, Smart vending machin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스마트폰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통신 수단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상품을 안내하는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상품의 보관시간의 고저에 따라 상품 안내 순위를 조절하여 조절된 안내 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시간 차이를 두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상품 안내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ayment means is a smartphone,
The controller comprising:
A push message for guiding the merchandise to the smartphone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the merchandise guide ord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of the merchandise, And a merchandise inform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smartphone.
KR1020190020364A 2019-02-21 2019-02-21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KR102001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64A KR102001806B1 (en) 2019-02-21 2019-02-21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PCT/KR2020/002492 WO2020171635A1 (en) 2019-02-21 2020-02-20 Smart vending machine allowing product to be selected by open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64A KR102001806B1 (en) 2019-02-21 2019-02-21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806B1 true KR102001806B1 (en) 2019-07-18

Family

ID=6746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64A KR102001806B1 (en) 2019-02-21 2019-02-21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1806B1 (en)
WO (1) WO2020171635A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125B1 (en) * 2019-09-17 2020-03-03 김길준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ne based used goods marketplace platform using thereof
KR102121694B1 (en) * 2019-07-26 2020-06-10 김대식 Showcas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KR102126637B1 (en) * 2019-11-18 2020-06-24 권오석 An unmanned storeroom comprising payment function
KR102138560B1 (en) * 2020-03-31 2020-07-28 브이디컴퍼니 주식회사 Smart box management system
WO2020171635A1 (en) * 2019-02-21 2020-08-27 이한승 Smart vending machine allowing product to be selected by opening door
KR102273794B1 (en) * 2021-01-22 2021-07-06 하나시스 주식회사 Warning output system of un-manned selling apparatus
KR20210104427A (en)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라운지랩 Method for managing unmanned store and unmanned store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141234A (en) * 2020-05-15 2021-11-23 하나시스 주식회사 Un-manned sell system
KR20220019745A (en) * 2020-02-03 2022-02-17 주식회사 마카롱모빌리티 Apparatus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and selling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20402B (en) * 2022-11-28 2023-03-31 浙江莲荷科技有限公司 Human-cargo interaction behavior identification method, system and relate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3019A (en) * 2015-11-20 2019-01-31 ジ アンサー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ntegrated automated retail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132B1 (en) * 2014-11-21 2015-08-13 (주) 세컨드북스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rade for used article with smart trade machine
KR101722554B1 (en) * 2015-09-16 2017-04-21 주식회사 아스티엄 Smart vending machine apparatus and man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87685B1 (en) * 2018-01-08 2018-09-10 정진혁 Vending machine for self service including operating system
KR102001806B1 (en) * 2019-02-21 2019-07-18 이한승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3019A (en) * 2015-11-20 2019-01-31 ジ アンサー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ntegrated automated retail system and method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635A1 (en) * 2019-02-21 2020-08-27 이한승 Smart vending machine allowing product to be selected by opening door
KR102121694B1 (en) * 2019-07-26 2020-06-10 김대식 Showcas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KR102084125B1 (en) * 2019-09-17 2020-03-03 김길준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ne based used goods marketplace platform using thereof
KR102126637B1 (en) * 2019-11-18 2020-06-24 권오석 An unmanned storeroom comprising payment function
KR102403227B1 (en) * 2020-02-03 2022-05-31 주식회사 마카롱모빌리티 Apparatus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and selling box
KR20220019745A (en) * 2020-02-03 2022-02-17 주식회사 마카롱모빌리티 Apparatus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and selling box
US11935022B2 (en) 2020-02-17 2024-03-19 Lounge'lab Inc. Unmanned store operation method and unmanned store system using same
KR20210104427A (en)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라운지랩 Method for managing unmanned store and unmanned store system using the same
KR102439875B1 (en) * 2020-02-17 2022-09-02 주식회사 엑스와이지 Method for managing unmanned store and unmanned store system using the same
KR102138560B1 (en) * 2020-03-31 2020-07-28 브이디컴퍼니 주식회사 Smart box management system
KR102377562B1 (en) 2020-05-15 2022-03-22 하나시스 주식회사 Un-manned sell system
KR20210141234A (en) * 2020-05-15 2021-11-23 하나시스 주식회사 Un-manned sell system
KR102273794B1 (en) * 2021-01-22 2021-07-06 하나시스 주식회사 Warning output system of un-manned sel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635A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06B1 (en)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US9864971B2 (en) Secure self-checkout station
US11087298B2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system and related method
RU2671767C2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US1021615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JP6581751B1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pay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payment processing method
US20180268358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KR20170028394A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and related method
JP2017521780A5 (en)
CN109034778A (en) Automatic selling method, vending machin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569057B2 (en) Checkout processing system and store management system
CN110555925A (en) Shelf cabinet for selling commodities and commodity determining method
KR102126637B1 (en) An unmanned storeroom comprising payment function
CN207198912U (en) A kind of smart shopper system
AU201826992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WO2017209627A1 (en) Vending machine system for facilitating consumer interactions
CN113614799A (en) Article storage system, server, article storage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60020301A (en) Loc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7375352B2 (en) key management system
CN114766029A (en) Article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