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285B1 -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 Google Patents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285B1
KR102001285B1 KR1020160010521A KR20160010521A KR102001285B1 KR 102001285 B1 KR102001285 B1 KR 102001285B1 KR 1020160010521 A KR1020160010521 A KR 1020160010521A KR 20160010521 A KR20160010521 A KR 20160010521A KR 102001285 B1 KR102001285 B1 KR 10200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erminal
flexible substrate
contac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1663A (en
Inventor
하루히코 무라카미
?타로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압입할 때, 플렉시블 기판의 패드 그리고 배선부를 깎는 경우가 없는 플렉시블 기판과 커넥터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단자는, 접촉부 (21A) 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를 갖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지그재그상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폭은, 제 1 패드 (41) 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은, 제 2 패드 (42) 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제 2 패드 (42)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제 2 패드 (42) 의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의 제 1 후방 배선부 (41B) 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PROBLEMS] To provide an assembly of a flexible substrate and a connector in which a pad of a flexible substrate and a wiring portion are not cut off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ed into the connector.
The terminal has a first terminal (20) and a second terminal (30) in which a contact portion (21A)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 flexible substrate, and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d 41 an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d 41,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is set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ad 42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maximum width directional devia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set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located on the second pad 42 contacts the second pad 42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of the first pad 41 adjacent to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Figure R1020160010521
Figure R1020160010521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플렉시블 기판용의 수용 공간에,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의 접압에 저항하여 플렉시블 기판을 압입하고, 그 플렉시블 기판이 단자에 접속 및 유지되는 Non-ZIF (Non-Zero Insertion Force) 형식의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Zero Insertion Force (Non-Zero Insertion Force) system in which a flexible substrate is pressed into a housing space for a flexible substrate of an electrical connector to resist contact with a contact portion formed on a terminal, 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assembly of a flexible substrate.

이 종류의 전기 커넥터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은, 특허문헌 1 에서 그 제 3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하우징의 후단면으로 개구되고 전방을 향하여 안쪽부에 이르는 슬릿상의 공간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에 플렉시블 기판 (FPC) 이 삽입 (압입) 되게 되어 있다.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상측 내면에는 상 (上) 단자가, 그리고 하측 내면에는 하 (下) 단자가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어, 양면 배선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속에도 적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This type of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flexible board are disclosed in the third embodiment in Patent Document 1. 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has a slit-like space opened i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housing and forward to the inner side,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lexible substrate (FPC) inserted therein. The upper terminal is held on the upper sid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ming the space and the lower terminal is held on the lower side inner surface by the housing so that it is applicable to the connection with the double-sided wiring flexible substrate.

사용시에는, 플렉시블 기판이 상하의 양 단자와의 접촉압을 수반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양 단자간에 삽입 (압입) 되므로, 특허문헌 1 에서는,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도금 리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양 단자 모두 입구를 R 형상으로 형성하여, 플렉시블 기판의 도입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양면 배선 플렉시블 기판에 대해서는 도시 그리고 설명이 없지만, 편면 배선 플렉시블 기판을 특허문헌 1 의 도 4 에 나타내고 있다. 이 플렉시블 기판은 그 일방의 면에 단자와 접촉하는 도금 부분 (패드) 을 형성하고 있고, 그 패드는,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 가장자리에 지근한 위치에 배열된 패드열과, 그 후방에 배열된 패드열을 갖고 있다. 양 패드열의 각 패드는 패드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커넥터는, 이 플렉시블 기판의 일방의 면에서, 각 패드에 접촉하는 단자가 양 패드열에 대응하여 2 열로 배치되는 형식의 것이 된다.In the use, since the flexible substrate is inserted (pressed in) between both terminals from the leading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with the contact pressure with both the upper and lower terminals, the patent literature 1 does not damage the plating lead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inlet is formed in an R shape so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smoothly performed. In Patent Document 1, the double-sided wiring flexible substrate is not shown and described, but the single-sided wiring flexible substrate is shown in Fig. 4 of Patent Document 1. The flexible substrate has a plated portion (pad) which is in contact with a terminal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pad has a pad array arranged near the leading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pad array arranged on the rear side I have. The pads of the two pad row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pad arrangement direction. Therefore, the connector to which the flexible board is connected is of such a type that,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board, the terminals contacting the pads are arranged in two rows corresponding to the two pads.

이와 같은 2 열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특허문헌 1 의 제 3 실시형태의 형식으로 하면, 플렉시블 기판의 일방의 면의 양 패드열에 접촉하기 위한 상단자가 양 패드에 대응하여 2 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서도, 2 열의 상단자가 입구를 R 형상으로 하여 패드로 연결되는 도금 리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그 때에는, 하단자가 플렉시블 기판을 하방으로부터 가압하여 플렉시블 기판과 상단자 사이에 접촉압을 초래하는 가압 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When the connector having the two rows of terminals is of the form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atent document 1, it is necessary that the upper row of the one surface of the flexible board for contacting both row of the pad is formed in two rows corresponding to the pads . In this case as well, it is conceiv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two rows has an R-shaped inlet so as not to damage the plating lead connected to the pad. At that time, the lower end functions as a pressing member that presses the flexible substrate from below to caus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upper en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1030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010308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의 상단자를 2 열로 배치하고 가압 부재로서의 하단자로 플렉시블 기판을 가압하는 구조로 하고, 이것에 특허문헌 1 의 도 4 에 개시되어 있는 플렉시블 기판을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상단자의 입구를 R 형상으로 하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플렉시블 기판이 패드의 배열 방향인 폭 방향에 있어서 상단자에 대해 정규 위치에서 압입되었을 때이고, 상단자에 대해 상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압입될 때에는, 상단자가 상기 폭 방향에서 도금 리드로부터 비어져나와 위치하고, 그 결과,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 상단자는 도금 리드 상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으로 탈락하여 도금 리드의 측부 가장자리부를 깎거나, 혹은 모재면을 깎는 깎임 현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 깎임 현상은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개시부터 완료시까지 계속해서 발생하고,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거리에 걸쳐 리드 측부 가장자리부를, 혹은 모재면을 깎게 되어,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된다.Whe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is arranged in two rows and the flexible substrate as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by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flexible substrate disclosed in Fig. 4 of Patent Document 1 is connected thereto,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ed in the norm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ds, and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As a result, in the press-fitting process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upper end falls off the plating lead surface to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to cut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plating lead,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a cut-away phenomenon of cutting a face. This shrinking phenomenon occurs continuously from the tim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fitted to the time it is completed, and the lead side edge portion or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s shrunk over the press-in distance of the flexible substrate, which causes a contact failur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깎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that does not cause such shrinkage.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는,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가 그 플렉시블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단자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과 탄성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수용 공간에, 플렉시블 기판의 앞부분에 형성된 접속역이 소정 위치까지 전방으로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에 저항하여 압입되어 탄성 접촉 및 유지된다.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al connector to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connected has a housing space for housing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terminal is disposed in the housing space and has a contact portion for resilient contact with the flexible substrate , The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fit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elastically contacted and hel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gainst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이러한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단자는, 접촉부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와, 그 제 1 단자보다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방향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단자를 갖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지그재그상을 이루도록 상기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소정 위치에까지 압입되었을 때,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각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가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는 폭 방향에서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고, 제 1 패드에는 그 제 1 패드보다 폭이 좁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그리고 제 2 패드에는 그 제 2 패드보다 폭이 좁고 전후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2 후방 배선부가 각각 도통 (導通) 되어 있고, 제 1 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2 패드와 인접하는 부분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1 패드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제 1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1 패드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2 패드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에 대한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상기 제 2 패드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그 제 2 패드가 인접하는 제 1 패드의 제 1 후방 배선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n assembly of such an electric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lexible substrate ha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alternately in the width direction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orm a zigzag phase, and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so that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pads are overlapp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pad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pad And a second rear wiring portion that is narrower than the second pad and extends back and forth, and a second rear wiring portion that is narrower than the second pad and extends back and forth, And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has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pa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pad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d an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ad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is set lar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and the maximum width direction displacement of the terminal of the flexibl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s set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is located apart from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of the pad.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기판은, 커넥터로의 압입의 당초부터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을 받고, 이 접압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고, 그 압입 과정에서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lexible substrate receives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beginning of the press-fitting into the connector, and is pressed in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gainst the contact pressure. .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인 경우><Regular position in width direction>

플렉시블 기판이 그 폭 방향에서 단자에 대해 정규 위치에서 커넥터에 압입되는 경우, 커넥터의 제 1 단자는 제 1 패드에 대해, 그리고 제 2 단자는 제 2 패드에 대해, 모두 폭 방향 중앙 위치끼리가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이 개시되면,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前端) 가장자리는, 먼저 제 2 단자의 접촉부와 접압을 갖고 압입되고, 제 2 패드로 연결되는 제 2 전방 배선부가 상기 접압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를 통과하여, 플렉시블 기판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제 2 패드가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에 도달한다.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단자에 대해 정규 위치에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개시시부터 소정 위치로의 압입 완료까지,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대응의 제 2 전방 배선부를 거쳐 제 2 패드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 1 패드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When the flexible board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or at the regula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the first terminal of the connector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terminal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d,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started to be pressed, the front end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first press-fitted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ad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pressure, The second pad reaches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ush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ad through the corresponding second front wiring portion until the press-fitt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from the start of the press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completed because the flexible substrate is at the norm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does not contact the first pad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한편,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보다 전방, 즉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방향 안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단자의 접촉부는, 압입 방향에서의 제 2 단자와 제 1 단자의 접촉부끼리간 거리만큼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이 진행된 시점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를 넘어 제 1 패드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 제 1 단자의 접촉부는,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패드에 인접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located forward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press-fit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ed by the intervening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in the press- The flexible substrate is positioned on the first pad beyond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pad in the width direction.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Lt; Case where it is dis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gt;

플렉시블 기판이 그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커넥터에 압입되는 경우, 처음에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와 접압을 갖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이 어긋남이 크면,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개시시에, 제 2 패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이것에 인접하는 제 1 패드의 양방에 걸쳐진다. 즉,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2 전방 배선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와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긋남이 더욱 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허용 최대치)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오고, 제 2 전방 배선부에 인접하는 제 1 패드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그 접촉부의 양 측단부가 상기 압입 과정에서 상기 제 2 전방 배선부 및 제 1 패드, 또는 인접하는 제 1 패드에 의해 지지되므로, 탈락하여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 상에 접하는 경우는 없다.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press-fitted into the connector,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ront end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second terminal having the contact pressure at the beginning becomes larg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 And extends over both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pad and the first pad adjacent thereto. That is, since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under the widthwise shift, And is discharg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front wirings to exten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is positioned on the first pad adjacent to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under the maximum width direction shift (allowable maximum value) do. Therefore, since the contact portions of the second terminals are supported by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or the adjacent first pads in both the end portions of the contact portion during the press-fitting process, the contact portions of the second terminal come off from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Or the like.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이 진행되면,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로부터 제 2 패드로 이행된다. 제 2 패드는 제 2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충분한 폭을 갖고 있으므로, 단자에 대한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상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여도,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제 2 패드로부터 폭 방향에서 다소 비어져나오는 경우가 있더라도, 충분한 폭으로 제 2 패드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제 2 패드 상에 위치한다. 이 때,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1 패드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와는 이간되어 있다.Further,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to the second pad. The second pad has a sufficient width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so that even if the displacement of the flexible boar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deviates in the maximum width direction, Even if it is slightly out of the first pad, i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ad with a sufficient width and is positioned on the second pad in a stable posture.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irst pad.

다음으로, 상기 어긋남이 작은 경우에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상에 있어 그 제 2 전방 배선부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인접하는 제 1 패드 상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에서 안정적인 자세가 되기에 충분한 폭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 상에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패드 상으로 이행된다.Next, when the displacement is small,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o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pad and is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On the adjacent first pad, It is not located. In this stat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o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with a sufficient width to make a stable posture i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as the flexible substrate pushes in, do.

한편, 제 2 단자보다 늦게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가 압입되는 제 1 단자는, 상기 어긋남의 대소에 관계없이, 당초부터 제 1 패드에만 접하도록 하여 제 1 패드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단자 그리고 제 2 단자의 각각의 접촉부는 안정적인 자세로 대응하는 제 1 패드 그리고 제 2 패드로 이행하게 되고, 압입 과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제 1 패드 이후의 좁은 폭으로 노출되어 있는 모재면 상으로는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 깎임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into which the front end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inserted later than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on the first pa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ad from the beginning irrespective of the displacement. In this way,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mov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n a stable posture, and are exposed at a narrow width after the first pad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re is no possibility of dropping out on the base material surface, and there is no case in which a cut-off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패드면과 접촉 가능한 접촉면의 양 가장자리에 파단면을 피하여 형성된 곡면 혹은 사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이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 압입 방향에서 제 1 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곡면 혹은 사면이,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한다. 제 2 단자가 상기 곡면 혹은 사면을 갖는 경우,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에 대해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 제 1 패드 이후의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has a curved surface or a slop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contact surface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d surface so as to avoid the fracture surface, and the flexible substrate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pad in the press-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can be positione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In this case, the curved surface or slope is locate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in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when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In this stat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does not damage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flexible substrate after the first pad in the press-fitting process of the flexible substrate.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패드의 전방에 제 1 전방 배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방 배선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전방 배선부를 거쳐 제 1 패드로 이행된다. 제 1 전방 배선부는, 각 제 1 패드에 대해 단일선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자의 어긋남이 커도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에서, 어느 제 1 전방 배선부와 제 2 전방 배선부에 걸쳐 접촉할 가능성이 극히 커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pad, and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In this cas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ad via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single lin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pads, or a plurality of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first front-side wiring portion and the second front-side wiring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even if the terminal is displaced.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기판을 패드가 형성된 표면측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가압 아암을 갖고, 접촉 아암과 가압 아암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has a contact arm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side where the pad is formed and a pressing arm located on the back surface side, and at least one of the contact arm and the pressure arm It can be formed as an elastic arm.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은, 플렉시블 기판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을 정하는 폭 방향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for defining a maximum width direction shift of the flexible substrate.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패드에 도통하는 제 1 후방 배선부와 제 2 패드에 도통하는 제 2 후방 배선부는, 제 2 패드보다 후방에서 동일한 폭임과 함께, 제 2 패드보다 좁고, 전후 방향에서 제 2 패드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 1 후방 배선부보다 넓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conducting to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rear wiring portion conducting to the second pad are narrower than the second pad and narrower than the second pad, Can be wider than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in the range of 2 pads.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양 단자 모두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단자에 대해 어긋나 위치하고 있어도, 그 소정 위치까지의 압입 과정에 있어서, 패드와 배선부에 걸쳐 있어 안정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혹은 배선부에 대해 충분한 폭으로 접하여 위치하고 있어 안정 자세를 취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압입 과정에 있어서, 패드나 배선부로부터 탈락하거나 혹은 경사지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 깎임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어진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both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s-fitting process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in a stable posture with a sufficient width with respect to the wiring portion so as not to fall off or tilt from the pad or the wiring portion in the press-fitting process and to cause a chipping phenomenon It disappear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도 1 의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이고, 도 1 의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 파단되고 있다.
도 2 는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 의 (A) 는 제 1 단자이고, 도 2 의 (B) 는 제 2 단자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앞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압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 의 (A) 는 압입 개시시이고, 도 4 의 (B) 는 압입 도중이고, 도 4 의 (C) 는 압입 완료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의 패드와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 관계를 평면도로서 간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5 의 (A) 가 압입 개시시이고, 도 5 의 (B), (C) 가 압입 도중이고, 도 5 의 (D) 가 압입 완료시이다.
도 6 은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로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의 패드와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 관계를 평면도로서 간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6 의 (A) 가 압입 개시시이고, 도 6 의 (B), (B'), (C) 가 압입 도중이고, 도 6 의 (D) 가 압입 완료시이다.
도 7 은 제 2 단자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측방 가장자리부의 형상에 대한 변형예로서, 도 7 의 (A) ∼ (B) 는 패드에 대한 상이한 접촉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플렉시블 기판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Fig. 1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section at a position of a first terminal, and Fig. 1 And is broken 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Fig. 2 (A) shows a first terminal, and Fig. 2 (B) shows a second terminal.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flexible substrat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press-fitting the flexible substrate into the connector. Fig. 4 (A) shows the press-in start, Fig. 4 (B) have.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d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in the press-in process of the flexible substrate with the flexible substrate being at the norm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ig. 5 (A) 5 (B) and 5 (C) are in the middle of indentation, and FIG. 5 (D) is indent.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d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in the press-fitting process of the flexible substrate. Fig. 6 (A) 6 (B), 6 (B ') and 6 (C) are in the middle of press-fitting, and FIG.
Fig. 7 shows a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side edge portion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Figs. 7 (A) and 7 (B) show different contact states with respect to the pad.
8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lexible substrate.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의 (A), (B)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10) 와 플렉시블 기판 (40) 을,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이 전기 커넥터 (10) 에 접속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10) 는, 하우징 (11) 에 의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의 2 종의 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도 1 의 (A) 는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 그리고 도 1 의 (B) 는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의 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1 (A) and 1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connector 10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mounted on a flexible substrate 40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connector 10 It is a perspective view. The electrical connector 10 is arranged such that the two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alternately arranged by the housing 11, 1 (B)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 and FIG.

하우징 (11) 은,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 본체 (12) 와 개폐 가능한 덮개상의 가동 부재 (13) 를 갖고,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앞부분 (도 1 의 (A) 에서 우측부) 에 형성된 접속역의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압입되기 위한 수용 공간 (14) 이, 상기 하우징 본체 (12) 와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 (13) 사이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11 is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nd has a housing main body 12 and a movable member 13 on a lid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housing 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right side in FIG. An accommodating space 14 in which a portion of the connection station is press-fitted forward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main body 12 and the movable member 13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opened rearward.

하우징 본체 (12) 는, 도 1 의 (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단측에서 제 1 단자 (20) 의 뒷부분을, 그리고 전단측에서 제 2 단자 (30) 의 앞부분을 각각 하우징 본체 (12) 와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 (12) 는, 도 1 의 (A), (B) 에 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사이에는 전후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상하로 관통한 슬릿상의 창부 (窓部) (12A) 가 형성되어 있다.1 (A), the rear end of the first terminal 20 at the rear end side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30 at the front end side are referred to as the housing main body 12 ) By the integral molding.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1 (A) and 1 (B), the housing main body 12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front- (Window portion) 12A formed in a slit through which the light beam passes.

하우징 본체 (12) 에는, 그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의 양단에 측벽 (15)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측벽 (15) 은, 뒷부분에 플렉시블 기판 (40) 에 대한 상방 규제부 (16), 그 바로 전방의 중간부에 가동 부재 (13) 의 회동축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베어링부 (17) 보다 전방이 되는 앞부분에는, 상기 측벽 (15) 의 내측면과 간격을 가진 위치에, 하우징 본체 (12) 의 바닥벽으로부터 수립 (垂立)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폭 방향 규제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housing main body 12, side walls 15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side wall 15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17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of the movable member 13 at an intermediate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for the flexible substrate 40, have.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15 by a distance from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18 for restricting the width direction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18 is formed.

상기 폭 방향 규제부 (18) 는,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에 소정 위치에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부의 측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 위치가 정규 위치에 대해 소정 범위에 들어가도록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을 규제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상방 규제부 (16) 는, 그 하부에 후방 그리고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는 홈부 (16A) 가 형성되어 있고,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하는 상방 피규제부의 상면을 상기 홈부 (16A) 의 하면에서 받아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플렉시블 기판 (40) 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The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18 abuts the side edg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ushed into the connector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regulated such that the posi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norm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has a groove portion 16A opened rearward an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has a groov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16A and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upward. The flexible substrate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베어링부 (17) 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부재 (13) 는, 판상을 이루고, 후단 근방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부 (13A) 를 갖고,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베어링부 (17) 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13) 는, 그 후단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12) 의 상방 규제부 (16) 보다 바로 직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우징 본체 (12) 의 양방의 측벽 (15) 사이에서 또한 상기 상방 규제부 (16) 보다 전방의 범위에서 그 하우징 본체 (12) 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전단은 그 하우징 본체 (12)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The movable member 13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portion 17 of the housing main body 12 has a shaft portion 13A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jecting sideways from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portion 17. The rear end of the movable member 13 is locat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s described above and is located between the opposite side walls 15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nd covers the housing main body 12 from above in a range in front of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body 12 protrudes forward from the housing main body 12. [

상기 가동 부재 (13) 의 후단이 상기 상방 규제부 (16)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 (12) 는 가동 부재 (13) 보다 후방에서 그 가동 부재 (13) 에 의해 덮이지 않는 연장 부분을 갖게 된다. 그 연장 부분은,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앞부분이 커넥터로의 압입 개시에 대비하여 배치되기 위한 면을 제공하게 된다.Since the rear end of the movable member 13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the housing main body 12 is extended from the rear side of the movable member 13 to the extending portion . The extension portion thereof provides a face for positioning the front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against the start of the press-fitting of the connector.

상기 가동 부재 (13) 는, 상기 축부 (13A) 가 위치하는 후단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연장 부분 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 (40) 을, 그 압입에 앞서, 상기 수용 공간 내 (14) 를 향하여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동 부재 (13) 는, 그 전단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전단보다 돌출되어 있고, 그 가동 부재 (13) 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상방으로 회동할 때에, 들어올림을 용이하게 하는 조작부 (13B) 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조작부 (13B) 에 의한 들어올림에 의해 축부 (13A) 를 중심으로 하여 그 가동 부재 (13) 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상방으로 회동한 후에 다시 도 1 에 보여지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하방으로 회동할 때, 하우징 본체 (12) 의 측벽 (15) 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부 (13C) 가 가동 부재 (13) 의 전단측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아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피안내부 (13C) 는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측벽 (15) 과 폭 방향 규제부 (18) 사이에 진입하여 안내된다.The movable member 13 has a rounded shape at the rear end where the shaft portion 13A is located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disposed on the extended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12 is press- So that it can smoothly ente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4).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member 13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nd when the movable member 13 is rotated upward toward the open position, ). When the movable member 13 is pivoted upwardly toward the open position with the shaft portion 13A as the center by lifting by the operating portion 13B, the movable member 13 is further rotated downward toward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1 A top surface 13C guided by the side wall 15 of the housing main body 12 is formed as an arm shape from the front end side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13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guided portion 13C enters between the side wall 15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nd the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18 and is guided.

또한, 상기 가동 부재 (13) 는, 그 가동 부재 (13) 의 측부의 이면 (도 1 에서 하면) 측에서, 앞부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상의 탄성 걸림부 (13F)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탄성 걸림부 (13F) 는 그 후단에 하방을 향한 돌기상의 걸림부 (13G) 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이 압입되었을 때에 그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에서 상기 걸림부에 맞닿아 탄성 걸림부 (13F) 를 상방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걸림부를 넘어 더욱 전진하고, 탄성 걸림부 (13F) 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면, 플렉시블 기판에 형성된 오목상의 피걸림부에 상기 걸림부가 들어가게 되어, 플렉시블 기판의 후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게 된다.The movable member 13 is formed with an elastic latching portion 13F of an arm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on th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13 (lower surface in Fig. 1). When the movable member 13 is in the closed position, when a flexible substrate to be described later is press-fitted, the elastic member 13F of the flexible substrate 13F When the resilient deformation of the resiliently engaging portion 13F is released when the resiliently resiliently engaging portion 13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silient portion at the front end to elastically deform the resiliently resilient member 13F beyond the resilient portion, The latching portion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the flexible substrate from slipping out toward the rear side.

또한, 상기 가동 부재 (13) 는, 둥그스름한 후단의 가장자리부에, 후술하는 단자 (20, 30) 의 후단이 진입하는 홈부 (13D, 13E) 가 그 단자 (20, 30) 의 후단 형상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13D, 13E) 는, 가동 부재 (13) 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회동할 때에 상기 단자 (20, 30) 의 후단이 회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그 단자 (20, 30) 의 후단을 수용하고 있다. 또, 상기 가동 부재 (13) 는, 그 이면에, 그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자 (20, 30) 의 상 (上) 아암부 (21, 31) 를 덮고 있다.The movable member 13 is formed so that the groove portions 13D and 13E into which the rear ends of the terminals 20 and 30 to be described later enter the edge portion of the rounded rear end are fitted to the rear end shape of the terminals 20 and 30 Respectively. The trenches 13D and 13E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ends of the terminals 20 and 30 do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when the movable member 13 rotates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The rear end is accommodated. The movable member 13 covers the upper and lower arm portions 21 and 31 of the terminals 20 and 30 on the back surface thereof when the movable member 13 is in the closed position.

제 1 단자 (20) 는, 도 2 의 (A) 에 보는 바와 같이, 금속 띠상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지고, 헤어핀상으로 대략 가로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아암부 (21) 와, 그 상아암부 (21) 의 전단 위치에서 굴곡된 굴곡부 (22) 와, 그 굴곡부 (22) 를 거쳐 상기 상아암부 (21) 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 (下) 아암부 (23)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21) 는, 그 전후 방향의 중간에서, 후술하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보다 전방의 위치에, 하방을 향하여 V 자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2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아암부 (21) 는, 상하 방향 즉 판두께 방향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21A) 가 접압을 갖고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 패드에 탄성 접촉하고, 또, 상기 접촉부 (21A) 보다 후방 부분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진 유도부 (21B) 를 갖고 있어, 그 유도부 (21B) 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 하아암부 (23)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상아암부 (21) 보다 크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 (12) 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 위치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 하아암부 (23) 의 후단부는 경사 부분을 거쳐 하방에 위치하는 접속부 (23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속부 (23A) 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 2 단자 (30) 는, 상기 하아암부 (23) 의 뒷부분으로서 상기 경사 부분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일체 성형되는 하우징 본체 (12) 에 의해 유지된다.As shown in Fig. 2A, the first terminal 20 is formed by bending the metal strap member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has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on the hair pin. A bent portion 22 bent at the front end position of the ivory arm portion 21 and a lower arm portion 23 connected to the ivory arm portion 21 via the bent portion 22 and extending rearward have. The ivory arm portion 21 has a contact portion 21A protruding downward in a V-shape toward the front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middle of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e upper arm portion 21 is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war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ontact portion 21A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d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described later with contact pressure, The guiding portion 21B is inclined such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21A is raised upward so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acilitated by the guiding portion 21B. On the other hand, the lower arm portion 23 extends rearward beyond the upper arm portion 2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reaches the position rearward of the rear end edge of the housing main body 12.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ower arm portion 23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3A located downwardly via an inclined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23A is provided for solder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The second terminal 30 is held by the housing main body 12 integrally molded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arm portion 23 as a portion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제 2 단자 (30) 는, 도 2 의 (B) 에 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마찬가지로 금속 띠상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지고,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고, 상아암부 (31) 와, 그 전단 (도면에서 우측단) 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굴곡부 (32) 와, 그 굴곡부 (32) 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33)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31) 는, 그 후단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V 자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31A) 를 갖고 있다. 그 접촉부 (31A) 를 갖고 있는 상아암부 (31) 는, 제 1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즉 판두께 방향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31A) 가 접압을 갖고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 패드에 탄성 접촉한다. 또, 상기 상아암부 (31) 는, 상기 접촉부 (31A) 보다 후방 부분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진 유도부 (31B) 를 갖고 있어, 그 유도부 (31B) 로 플렉시블 기판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 접속부 (33) 는, 하우징 본체 (12) 의 하면측에서 하우징 본체 (12)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 2 단자 (30) 는, 상기 굴곡부 (32) 의 부분에서, 일체 성형되는 하우징 본체 (12) 에 의해 유지된다.As shown in Fig. 2 (B), the second terminal 30 is formed by bending the metal strap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like the first terminal 20 and has a substantially crank-like shape, A bent portion 32 direct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right end in the drawing) and a connecting portion 33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32. As shown in Fig. The ivory arm portion (31) has a contact portion (31A) protruding downward in a V-shape from the rear end side thereof. The upper arm portion 31 having the contact portion 31A is capable of elastic b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like the upper arm portion 21 of the first terminal 20. The contact portion 31A,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d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ivory arm portion 31 has a guiding portion 31B that is inclined so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31 is lifted upwards from the contact portion 31A so that the guiding portion 31B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ortion 33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1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nd provides solder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The second terminal 30 is held by the housing main body 12 which is integrally molded at the bent portion 32.

상기 제 1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는 하아암부 (23) 보다 폭이 좁게,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상아암부 (31) 는 굴곡부 (32) 나 접속부 (33) 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도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도 상기 경사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추가로 측부 가장자리에 곡면 가공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 패드의 폭보다 좁아,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서 플렉시블 기판과 접속되었을 때에는, 상기 접촉부 (21A) 도 접촉부 (31A) 도 폭 방향에서 대응 패드에 충분히 수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 (21A) 그리고 접촉부 (31A) 는, 도 2 의 (A), (B) 에 보는 바와 같이, 양 측부 가장자리에 곡면 혹은 사면 (21A-1, 31A-1)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rm portion 21 of the first terminal 20 is narrower than the lower arm portion 23 and the upper arm portion 31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wider than the bent portion 32 or the connecting portion 33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ar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inclined portion and further curved at the side edges. The contact portions 21A and the contact portions 31A are sufficiently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pad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y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substrate at regular pos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narrower than the widths of the corresponding pads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contact portion 21A and the contact portion 31A are preferably formed with curved surfaces or slopes 21A-1 and 31A-1 at both side edges thereof .

도 1 의 (A), (B)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로부터 접압을 받으면서, 그 접압에 저항하여 접속역 (P) 이 커넥터의 수용 공간 (14) 내에 압입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은, 도 3 과 같이,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와 접촉 접속되는 접속역 (P) 이 전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 제 1 패드 (41) 의 군과, 그 후방에 배열된 제 2 패드 (42) 의 군을 갖고 있고, 제 1 패드 (41) 와 제 2 패드 (42) 는 각각의 패드의 폭이 전후 방향에서 보아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그재그상 배치를 이루고 있다. 제 1 패드 (41) 는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와, 제 2 패드 (42) 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각각 폭 방향에서 일치한 위치에 있고, 또한 제 1 패드 (41) 와 제 2 패드 (42)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 (21A) 와 접촉부 (31A)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제 1 패드 (41) 의 후단부와 제 2 패드 (42) 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있다. 이러한 제 1 패드 (41) 와 제 2 패드 (42) 가 배치된 영역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역 (P) 을 형성한다.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n FIGS. 1 (A) and 1 (B) The flexible substrate 40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space 14 of this connector is a flexible substrate 40 having a front end edg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The first pad 41 and the second pad 42 have a group of the first pads 41 arranged in a row and a group of the second pads 42 arranged in the rear,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The first pad 41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pad 42 ar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The first pad 41 and the second pad 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1A and the contact portion 31A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two pads 42 are substantially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lexible substrate 40 forms a connecting region P for connection with the connector 10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pad 41 and the second pad 42 are disposed.

제 1 패드 (41) 그리고 제 2 패드 (42) 는,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선부가 각각 도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배선부는 대응하는 패드보다 폭이 좁다. 먼저,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 근처에 배열된 제 1 패드 (41) 에는, 그 제 1 패드 (41) 로부터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까지의 짧은 거리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와, 그 제 1 패드 (41)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가 도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후방 배선부 (41B) 는, 제 1 패드 (41) 의 후방 위치에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제 2 패드 (42)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서 제 2 패드 (42) 의 범위에서는, 제 2 패드 (42) 보다 후방의 부분에 대해 폭이 좁은 협애부 (41B-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패드 (42) 에는, 인접하는 2 개의 제 1 패드 (41) 의 사이를 통과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그 제 2 패드 (42)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 후방 배선부 (42B) 가 도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방 배선부 (42A) 는, 상기 협애부 (41B-1) 와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고, 제 2 후방 배선부 (42B) 는, 상기 협애부 (41B-1)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의 뒷부분에 있어서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다.The first pad 41 and the second pad 42 are formed so that the wiring portion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iring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d. The first pad 41 arrang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ovided with a first pad 41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rst pad 41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to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The front wiring portion 41A and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pad 41 are formed to be conductive.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extends rearwardly between two adjacent second pads 42 at a rear position of the first pad 41 and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a second pad 42 ) Is formed as a narrow width portion 41B-1 having a narrow width with respect to a portion behind the second pad 42. [ The second pad 42 is provided with a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which extends between the adjacent two first pads 41 and extends to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And a second rear wiring portion 42B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pad 42 to the rear side is formed to be conductive.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has the same width as the narrow width portion 41B-1 and the second rear wiring portion 42B has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narrow width portion 41B- And is equal in width to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wiring portion 41B.

상기 제 1 후방 배선부 (41B) 와 제 2 후방 배선부 (42B) 는, 모두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접속역 (P)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대응 배선과 도통되어 있다. 이 대응 배선은 플렉시블 기판 (40) 의 내층에 위치하고 있고,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and the second rear wiring portion 42B are all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wiring located behind the connection region P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 This corresponding wiring is located in the inner layer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and is not shown in the figure.

이러한 플렉시블 기판 (40) 은,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 1 패드 (41) 그리고 제 2 패드 (42) 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역 (P) 과 또한 그 후방에까지 미치는 범위에서,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이면측 (도 1, 도 3 에서 하면측) 에 보강판 (43) 이 첩부 (貼付) 되어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40 is mounted on the flexible substrate 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 connecting region P where the first pad 41 and the second pad 42 are formed, The reinforcing plate 43 is stuck to the back side (the lower side in Figs.

도 3 에 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은, 상기 보강판 (43) 이 첩부되어 있는 범위에서 측부 가장자리부에 오목상의 피걸림부 (44) 와 삼각 날개상의 상방 피규제부 (45) 를 갖고 있다. 상기 피걸림부 (44) 는,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에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이미 서술한 가동 부재 (13) 에 형성된 탄성 걸림부 (13F) 의 후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13G)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그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 (44) 내에 진입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후방으로의 발출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피걸림부 (44) 보다 전방 부분의 측부 가장자리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커넥터 (10) 로의 압입시에 있어서의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 위치가 규제되는 폭 방향 피규제부 (46) 를 형성한다. 한편, 상방 피규제부 (45) 는, 앞측 가장자리를 경사 가장자리 그리고 뒤측 가장자리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각 가장자리로 한 삼각 날개상을 이루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 (40) 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이미 서술한 하우징 본체 (12) 에 형성된 상방 규제부 (16) 의 하방에 형성된 홈부 (16A)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피걸림부 (44) 가 가동 부재 (13) 의 걸림부 (13G) 와 걸림으로써 발출이 저지되고, 또 상방 피규제부 (45) 가 상기 홈부 (16A) 내에 있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밖의 후방 위치에서 들어올려지는 외력을 받아도, 상방 규제부 (16) 의 하면에서 상방으로의 들어올림이 저지된다.3, the flexible substrate 40 has a concave portion 44 and a vertically-restricting portion 45 of a triangular shape on the side edge portion in the rang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43 is attached, I hav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or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movable member 13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engaged portion 4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portion 13G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13F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enters the engagement portion 44 to prevent the flexible substrate 40 from being withdrawn to the rear side do. The side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ed into the connector 10 46 are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upwardly-to-be-controlled portion 45 has a triangular wing shape in which the front edge has the inclined edge and the rear edge is the right angle edg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 And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groove portion 16A formed below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12 described above. Thus, the flexible substrate which has been press-fitt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engagement of the engaged portion 44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3G of the movable member 13, Lift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gulating portion 16 is prevented even i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received in the rear portion 16A and the external force is lifted from the rearward position outside the connector.

이와 같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기판 (40) 에 대해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는 폭 방향에서의 치수끼리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고 있다. 즉,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폭은, 제 1 패드 (41) 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은, 제 2 패드 (42) 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대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압입될 때에 허용되는 최대 폭 방향의 어긋남은, 상기 제 2 패드 (42)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그 제 2 패드 (42) 의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의 제 1 후방 배선부 (41B)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범위이다.The dimensions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exible substrate 40 thus formed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That is,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is set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d 41, an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ad 30 42 and is se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is set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 The displacement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n the maximum width direction allowed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ed in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can be prevented by the second terminal 42,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pad 30 is located apart from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of the adjacent first pad 41 of the second pad 42. [

이와 같은 형태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대해, 플렉시블 기판 (40) 을 전기 커넥터 (10) 에 압입하여 접속할 때의 순서 및 그 상황에 대해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 6 에서는,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대응 패드와의 접촉 위치 및 범위만으로 나타내고 있다.4 and 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ocedure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flexible board 40 is press-fitted into the electric connector 10 and connected to the assembly of the electric connector and the flexibl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 5 and 6,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are shown only by the contact position and the range with the corresponding pad.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접속에 앞서, 전기 커넥터 (10) 는 그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고, 이러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 (10) 로의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도 4 의 (A) ∼ (C) 에 보는 바와 같이 진행된다.Prior to the conn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the electrical connector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vable member 13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press-fitt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10 in this state is A) to (C).

도 4 의 (A) 는 압입 개시시, 도 4 의 (B) 는 압입 도중 그리고 도 4 의 (C) 는 소정 위치까지의 압입 종료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13) 의 개폐에 의해서도 단자 (20, 30) 의 위치 그리고 상태가 변하지 않으며, 플렉시블 기판 (40) 은 커넥터로의 압입 개시시부터 단자 (20, 30) 의 접촉부 (21A, 31A) 로부터 접압을 받고 있고, 이 접압에 저항하여 압입이 진행된다. 이하,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에 대해 그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으며 압입되는 경우와,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압입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Fig. 4 (A) shows the press-fitting start, Fig. 4 (B) shows the press-fitting, and Fig. 4 (C) shows the press fitting end. The position and state of the terminals 20 and 30 do not change even when the movable member 13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s of the terminals 20 and 30 21A, and 31A, and press-fitting proceeds in resistance to the contact pressure.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ed at the regula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and the case where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fitted in the state of being displaced from the regula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ll be described.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인 경우><Regular position in width direction>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양방 모두, 정규의 정밀도로 만들어지고 있는 경우이다. 플렉시블 기판 (40) 은, 커넥터로의 소정 위치까지의 압입 과정에서,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부 측부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폭 방향 피규제부 (46) 가 하우징 본체 (12) 의 폭 방향 규제부 (18) 에 압입 안내될 때에 폭 방향에서의 규제를 받는다.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은,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는, 커넥터에 대한 폭 방향 상대 위치가 정규 위치라고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도 5 는, 이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단자 (20, 30) 의 접촉부 (21A, 31A) 와 플렉시블 기판 (40) 의 패드 (41, 42) 의 위치 관계를 주로 도시하고, 상기 폭 방향 규제부 (18) 와 폭 방향 피규제부 (46) 의 관계는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Both of the connector and the flexible substrate are formed with normal precisio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dthwise restricted portion 46 formed at the edg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urized in the width direction regula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12 And is subjected to restriction in the width direction when it is press-guided in the portion (18). In this way,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fitt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becomes a normal position. 5 shows the press-fitting process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at the regula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s 21A, 31A of the terminals 20, 30 and the pads 41, 4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direction regulating portion 18 and the width direction regulated portion 46 is shown in a simplified manner.

이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에 대해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으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와 접압을 가진 커넥터로의 압입이 개시되기 직전에 있어서는, 도 5 의 (A) 에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의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는 제 1 패드 (41) 에 대해,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패드 (42) 에 대해, 모두 폭 방향 중앙 위치끼리가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다 (도 5 의 (A) 참조).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개시되면,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는, 먼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접압을 갖고 압입되고, 제 2 패드 (42) 로 연결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가 상기 접압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위치를 통과한다 (도 5 의 (B) 및 (C) 참조).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제 2 패드 (42) 가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위치에 도달한다. 플렉시블 기판 (40) 이 폭 방향에서 단자 (즉,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대해 정규 위치에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개시시부터 소정 위치로의 압입 완료까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대응의 제 2 전방 배선부 (42A) 를 거쳐 제 2 패드 (42) 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으며, 모재 상에 탈락하는 경우도 없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at the regula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10,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ed into the connector having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5A,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of the connector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ad 41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all located coincident with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ds 42 (see Fig. 5 (A)). The front end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irst press-fitted into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with the contact pressure, and the front end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ed into the second pad 42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to be connected passes through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against the contact pressure (see FIGS. 5B and 5C). Thus,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us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cond pad 42 reaches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Since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in the norm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s (i.e.,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n the width direction,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ess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move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ad 42 via the corresponding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is moved to the first pad 41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is no case of contact, and no case of being dropped on the base material.

한편,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보다 전방, 즉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방향 안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는, 압입 방향에서의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거리만큼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진행된 시점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를 넘어 제 1 패드 (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5 의 (C), (D) 참조). 그 때,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는,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패드 (41) 에 인접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접촉하는 경우는 없고, 모재 상에 탈락하는 경우도 없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that is, at the side inward of the press-fit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At the time when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advanc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terminal 30 and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41 (see (C), (D) of FIG. 5).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does not com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djacent to the first pad 41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is no case.

다음으로, 정규 위치라고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어긋남이 작은 경우에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패드 (42) 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상에 있어 그 제 2 전방 배선부 (42A) 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상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에서 안정적인 자세로가 되기에 충분한 폭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 (42A) 상에 있고,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패드 (42) 상으로 이행된다.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placed o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extending from the second pad 42. In this case, And are not located on the adjacent first pads 41 even if they are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ont wiring part 42A. In this state,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o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with a sufficient width to be in a stable posture in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lexible substrate 40, the second pad 42 is moved.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Lt; Case where it is dis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gt;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 중 어느 것이 정규 치수로부터 벗어나 있고, 플렉시블 기판이 그 폭 방향 규제부에서 하우징의 폭 방향 규제부에 의해 폭 방향에서 규제되어도, 단자와 패드가 정규 위치로부터 폭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삽입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그 어긋남에도 한도가 있고 본 발명에 의해 대응할 수 있는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Even if either the connector or the flexible board deviates from the regular dimension and the flexible board is restrict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of the housing in the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and the terminal and the pad are relatively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 In some cases, the flexible substrate is inserted while being inclined obliquely in the width direction.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the deviation, and it is premised that it falls within a permissible range which can be coped with by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이 그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커넥터 (10) 에 압입되는 경우 (도 6 의 (A) 참조), 처음에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와 접압을 갖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이 어긋남이 크면, 도 6 의 (B) 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개시시에, 제 2 패드 (42)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이것에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의 양방에 걸쳐진다. 즉,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은,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폭보다 크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 (42A) 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와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긋남이 더욱 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허용 최대치)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 (42A) 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오고, 제 2 전방 배선부 (42A) 에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6 의 (B') 참조). 따라서,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그 접촉부 (31A) 의 양 측단부가 상기 압입 과정에서 상기 제 2 전방 배선부 (42A) 및 제 1 패드 (41), 또는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탈락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 상에 접하는 경우는 없다.6 (A)). In this cas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first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pressed into the connector 10 6 (B),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when the displacement is larg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ad 42 extending forward from the second pad 42 at the start of press- And extends over both the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adjacent thereto. That is,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releas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comes ou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the uppermost wiring portion) (Refer to (B ') in FIG. 6). The contact portions 31A of the second terminals 30 are formed such that the both side ends of the contact portions 31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1 pad 41, it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또한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진행되면,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도 6 의 (C) 와 (D) 에 보는 바와 같이,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에 걸쳐진 상태로부터, 혹은, 제 1 패드로부터 제 2 패드 (42) 로 이행된다. 제 2 패드 (42) 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에 대해 충분한 폭을 갖고 있으므로, 단자 (20, 30) 에 대한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상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여도,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상기 제 2 패드 (42) 로부터 폭 방향에서 다소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어도, 충분한 폭으로 제 2 패드 (42) 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제 2 패드 (42) 상에 위치한다. 이 때,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1 패드 (41)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와는 이간되어 있다.6 (C) and 6 (D),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Or from the first pad to the second pad 42.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pad 42 has a sufficient width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the misalignment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s 20, Even i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displaced slightly from the second pad 42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contacts the second pad 42 with a sufficient width, And is located on the second pad 42.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extending from the first pad 41 rearward.

한편, 제 2 단자 (30) 보다 늦게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가 압입되는 제 1 단자 (20) 는, 상기 어긋남의 대소에 관계없이, 당초부터 제 1 패드 (41) 에만 접하도록 하여 제 1 패드 (41)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각각의 접촉부 (21A, 31A) 는 안정적인 자세로 대응하는 제 1 패드 (41) 그리고 제 2 패드 (42) 로 이행되게 되고, 압입 과정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 상에는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 제 1 그리고 제 2 패드 (41, 42), 나아가서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그리고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측부 가장자리 모서리부 등에서 깎임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20, in which the front end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ushed in later than the second terminal 30, is contacted only with the first pad 41 from the beginning irrespective of the displacement, 1 pad 41 as shown in Fig. The contact portions 21A and 31A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mov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pad 41 and the second pad 42 in a stable posture, The sid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pads 41 and 4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wiring portions 41A and 42A do not drop off on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Therefore, There is no case where a chipping phenomenon is generated at the corner portion or the lik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도 7 의 (A) ∼ (B) 에 보는 바와 같이, 제 2 패드면 (도시하지 않음) 과 접촉 가능한 접촉면의 양 가장자리에 곡면 (31A-1) 혹은 그것과 함께 사면 (31A-2) 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 (40) 이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 압입 방향에서 제 1 패드 (41) 의 위치에 있을 때,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곡면 (31A-1) 혹은 사면 (31A-2) 이,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 위치한다. 제 2 단자 (30) 이 상기 곡면 (31A-1) 혹은 사면 (31A-2) 을 갖는 경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에 대해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과정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abutting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formed so that both edges of the contact surface that can contact the second pad surface (not shown)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pad 41 in the press-fit direction under the maximum width direction shift, the flexible substrate 40 has the curved surface 31A-1 or the inclined surface 31A-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can be positione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 In this case, the curved surface 31A-1 or the slant surface 31A-2 is locate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nd the first pad 41. [ When the second terminal 30 has the curved surface 31A-1 or the slant surface 31A-2,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located over the flexible substrate 40. In this state, the abutting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does not damage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during the press-fitting process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패드 (42) 에 대한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그 접촉부 (31A) 의 접촉면의 폭의 3/4 이다.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이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의 3/4 보다 크면,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시, 그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맞닿는 압입 개시시에, 상기 접촉부 (31A) 가 제 2 전방 배선부 (42A) 로부터 벗어나거나, 압입 완료시에 제 2 패드 (42) 로부터 대폭 벗어나 불안정해지거나, 혹은 제 1 후방 배선부 (41B) 와 접촉되어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width direction shift of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d 42 is 3/4 of the width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31A. When the flexible substrate 40 is press-fitted,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abuts against the abutting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when the maximum width direction deviation is larger than 3/4 of the width of the abutting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 At the time of starting, the contact portion 31A deviates from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or becomes unstable greatly deviating from the second pad 42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press fitting, or contacts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41B Because it causes problem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자의 형상을 도시의 예와는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기판 (40) 을 패드가 형성된 표면측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가압 아암을 갖고, 접촉 아암과 가압 아암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may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substrate 40 via a pad (not shown). In this case, A contact arm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side formed and a pressing arm positioned on a back surface side, and at least one of the contact arm and the pressing arm can be formed as an elastic arm.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에 관하여 개선이 가능하다. 도 3 에 도시되는 플렉시블 기판 (40) 에서는,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와 제 2 전방 배선부 (42A) 가 위치하고 있다. 제 1 전방 배선부 (41A) 와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양자 모두 패드에 비하여 폭 방향이 좁기 때문에, 양자의 간격은 넓어진다. 따라서, 도 3 의 경우에는 단자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 어긋남이 크면, 단자가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에 위치했을 때에, 단자는 양자 중 일방으로부터 벗어나,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을 깎을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8 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짧은 제 1 패드 (41) 의 제 1 전방 배선부 (41A) 를 복수, 예를 들어 2 개 형성함으로써 상기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도 8 의 예에서는, 제 1 패드 (41) 의 폭 방향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가 형성되어 있어, 2 개의 제 1 전방 배선부를 갖고 있다. 그 결과,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가,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 (P) 인 경우에는 양방의 제 1 전방 배선부 (41A) 에 걸쳐지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혹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폭 방향에서 최대 어긋남 위치 (Q) 인 경우에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를 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ments can be made with respect to the flexible substrate. In the flexible substrate 40 shown in Fig. 3,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41A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re located at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40. [ Both of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41A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42A are narrower in width direction than the pad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widened. Therefore, in the case of Fig. 3, when the terminal is dis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re is a risk that when the terminal is positioned at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terminal deviates from either one of them and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shaved. 8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first front wiring portions 41A of the first pads 41 having a short distance to the leading edge are formed, The risk can be avoided. In the example of Fig. 8,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41A extending forwar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ad 41 is formed, and has two first front wiring portions. As a result, when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is in the normal position P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0 extends over both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s 41A, 21A) or the contact portion 31A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at the maximum shift position Q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41A.

이렇게 하여, 단자는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의 위치에 있어도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을 깎는 경우가 없다.Thus, even if the terminal is at the posi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not cut off.

10 : 전기 커넥터 41 : 제 1 패드
18 : 폭 방향 규제부 41A : 제 1 전방 배선부
20 : 제 1 단자 41B : 제 1 후방 배선부
21A : 접촉부 42 : 제 2 패드
30 : 제 2 단자 42A : 제 2 전방 배선부
31A : 접촉부 42B : 제 2 후방 배선부
40 : 플렉시블 기판
10: electrical connector 41: first pad
18: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41A: first front wiring portion
20: first terminal 41B: first rear wiring portion
21A: contact portion 42: second pad
30: second terminal 42A: second front wiring portion
31A: contact portion 42B: second rear wiring portion
40: flexible substrate

Claims (8)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가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해 개폐 가능한 가동 부재 사이에 그 플렉시블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금속 띠상 부재제 단자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탄성 접촉하기 위해 플렉시블 기판을 향하여 상기 금속 띠상 부재의 판두께 방향에서 V 자상으로 돌출되어 굴곡된 형상의 접촉부와, 그 접촉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플렉시블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후단부가 상기 가동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수용되는 유도부를 갖고, 상기 수용 공간에, 플렉시블 기판의 앞부분에 형성된 접속역이 소정 위치까지 전방으로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에 저항하여 압입되어 탄성 접촉 및 유지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있어서,
커넥터의 단자는, 접촉부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와, 그 제 1 단자보다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방향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단자를 갖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지그재그상을 이루도록 상기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소정 위치에까지 압입되었을 때,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각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가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는 전후 방향에서도 폭 방향에서도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고, 제 1 패드에는 그 제 1 패드보다 폭이 좁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그리고 제 2 패드에는 그 제 2 패드보다 폭이 좁고 전후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2 후방 배선부가 각각 도통되어 있고,
제 1 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2 패드와 인접하는 부분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1 패드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제 1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그 제 1 단자의 유도부의 폭보다 크고 제 1 패드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그 제 2 단자의 유도부의 폭보다 크고 제 2 패드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에 대한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상기 제 2 패드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그 제 2 패드의 인접하는 제 1 패드의 제 1 후방 배선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패드면과 접촉 가능한 접촉면의 양 가장자리에 곡면 혹은 사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이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 압입 방향에서 제 1 패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The electrical connector to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connected has a housing space for housing the flexible substrat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movable memb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 terminal portion of the metal band member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has a contact portion bent in a V shape protruding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band member toward the flexible substrate for elastic contact with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rear end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lexible substrate toward the front end from the contact portion is received in a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movable member, and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forward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which is press-fitted to be resiliently contacted and held against contact with a contact portion,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has a first terminal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ehind the first terminal in the pushing-in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Terminals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form a zigzag phase,
The flexible substrate is formed by arranging a first pad and a second pad which are in contact with respective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fitt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pads The first pad has a first rear wiring portion that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first pad and extends toward the rear, and a second rear wiring portion that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second pad and extends back and forth 2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second rear wiring portion are made conductive,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has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pa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pad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ad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maximum width direction displacement of the flexibl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s is set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located on the second pad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terval of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Lt; / RTI &gt;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has a curved surface or a slope at both edges of the contact surface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d surface, and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pad in the press-fit direction under the maximum width direction shift, 2 front wirings and the first pa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에 대해 비접촉인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flexible substrate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over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and the first pad.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패드의 전방에 제 1 전방 배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방 배선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ont wiring por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pad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second front wir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전방 배선부는 각 제 1 패드에 대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front wiring portions are formed for each of the first pads.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기판을 패드가 형성된 표면측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가압 아암을 갖고, 접촉 아암과 가압 아암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has a contact arm locat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pad is formed and a pressing arm located on the back side, and at least one of the contact arm and the pressing arm is formed as an elastic arm Wherein the flexible connector has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flexibl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플렉시블 기판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을 정하는 폭 방향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has a width direction restricting portion for defining a maximum width direction shift of the flexibl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패드에 도통하는 제 1 후방 배선부와 제 2 패드에 도통하는 제 2 후방 배선부는, 제 2 패드보다 후방에서 동일한 폭임과 함께, 제 2 패드보다 좁고, 전후 방향에서 제 2 패드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 1 후방 배선부보다 넓은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conducting to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rear wiring portion conducting to the second pad are narrower than the second pad with the same width at the rear than the second pad and narrower than the second pad in the range of the second pad in the front- Wherein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is wider than the first rear wiring portion.
KR1020160010521A 2015-02-17 2016-01-28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KR1020012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8725A JP6656808B2 (en) 2015-02-17 2015-02-17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JPJP-P-2015-028725 201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63A KR20160101663A (en) 2016-08-25
KR102001285B1 true KR102001285B1 (en) 2019-07-17

Family

ID=5669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521A KR102001285B1 (en) 2015-02-17 2016-01-28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6808B2 (en)
KR (1) KR102001285B1 (en)
CN (1) CN105896135B (en)
TW (1) TWI67089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8268A (en) * 2020-01-27 2021-08-10 日立Astemo株式会社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connector
WO2021152899A1 (en) * 2020-01-27 2021-08-05 日立Astemo株式会社 Electronic contro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541A (en) * 2005-04-15 2006-11-02 Jst Mfg Co Ltd Connector
JP2010074095A (en) * 2008-09-22 2010-04-02 Toshiba Corp Electric circuit device
JP2013004314A (en) * 2011-06-16 2013-0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Flat cabl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872U (en) * 1990-05-30 1992-02-07
US5211565A (en) * 1990-11-27 1993-05-18 Cray Research, Inc. High density interconnect apparatus
JPH04352488A (en) * 1991-05-30 1992-12-07 Nec Corp Organic hybrid integrated circuit
JPH05121133A (en) * 1991-10-25 1993-05-18 Nec Corp Zero-inserting force connector
JPH08125319A (en) * 1994-10-28 1996-05-17 Seiko Epson Corp Circuit substrate
JP3396807B2 (en) * 1999-06-25 2003-04-1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Board relay connector
JP3096767U (en) * 2003-03-28 2003-10-03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Card connector
TW591830B (en) * 2003-05-20 2004-06-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3816914B2 (en) * 2003-10-29 2006-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ard connector
JP2006245453A (en) * 2005-03-07 2006-09-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Method of conn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 other circuit board
JP4938303B2 (en)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CN200959400Y (en) * 2006-01-24 2007-10-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JP2008010308A (en) 2006-06-29 2008-01-17 Nec Saitama Ltd Connecting connector of flexible wiring board
JP4560026B2 (en) * 2006-10-04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Flexible substrate, electro-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TWM335114U (en) * 2007-11-28 2008-06-21 P Two Ind Inc Positioning structure
TW200924581A (en) * 2007-11-28 2009-06-01 P Two Ind Inc Flexible transmission line positioning device
JP5169308B2 (en) * 2008-02-27 2013-03-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JP5344285B2 (en) * 2008-12-02 2013-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Connector device
JP4995861B2 (en) * 2009-03-31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TWM367456U (en) * 2009-04-22 2009-10-21 P Two Ind Inc The electrical connector
JP2011034864A (en) * 2009-08-04 2011-02-17 Molex Inc Connector
JP5391104B2 (en) * 2010-02-12 2014-01-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connector
JP5909044B2 (en) * 2011-02-25 2016-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structure
CN102683932A (en) * 2011-03-11 2012-09-19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Circuit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method of circuit board
US8827733B2 (en) * 2011-03-15 2014-09-09 Omron Corporation Connecting terminal with a fixed portion and a contact
KR101467655B1 (en) * 2011-06-16 2014-12-01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lat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999541B2 (en) * 2011-08-24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nector
JP5851186B2 (en) * 2011-10-04 2016-02-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ors
CN203434317U (en) * 2013-09-16 2014-02-12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Transmiss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541A (en) * 2005-04-15 2006-11-02 Jst Mfg Co Ltd Connector
JP2010074095A (en) * 2008-09-22 2010-04-02 Toshiba Corp Electric circuit device
JP2013004314A (en) * 2011-06-16 2013-0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Fla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6808B2 (en) 2020-03-04
TW201631842A (en) 2016-09-01
CN105896135A (en) 2016-08-24
TWI670898B (en) 2019-09-01
JP2016152119A (en) 2016-08-22
KR20160101663A (en) 2016-08-25
CN105896135B (en)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855B1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5943774B2 (en) connector
KR101472663B1 (en) Electrical connector
EP1986275A1 (en) Connector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CN101536267B (en) Relay connector for flexible cables
KR101162961B1 (en) Wire-to-board connector with detect capabilities
CN111247701B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80008250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7494375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00442605C (en) Connector
KR101425063B1 (en) Connector
JP2011134582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ock mechanism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KR101434924B1 (en) Connector
KR102001285B1 (en)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US9252516B2 (en) Connector
KR101502477B1 (en) Connector device
TWI513116B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US8123542B2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the contact
US9093790B2 (en) Connector device
US11038301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KR102143973B1 (en) Connector
JP2005347021A (en) Connector
JP7068896B2 (en) Connector device with terminal press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