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852B1 -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852B1
KR101998852B1 KR1020180112441A KR20180112441A KR101998852B1 KR 101998852 B1 KR101998852 B1 KR 101998852B1 KR 1020180112441 A KR1020180112441 A KR 1020180112441A KR 20180112441 A KR20180112441 A KR 20180112441A KR 101998852 B1 KR101998852 B1 KR 10199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gmented reality
displaye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779A (ko
Inventor
최평호
Original Assignee
(주)비욘드리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욘드리밋 filed Critical (주)비욘드리밋
Publication of KR2019005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퍼즐조각을 촬영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로 인식하고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증강현실 표현을 위한 3D 영상을 구현하여, 교육효과, 흥미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퍼즐조각을 촬영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로 인식하고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증강현실 표현을 위한 3D 영상을 구현하여, 교육효과, 흥미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사물을 시각화 하거나 이미지화 된 다양한 표시물을 활용하여 사용자를 교육시키는 다양한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 등이 등장하였다. 또한, 상기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 들 중에는 퍼즐 방식으로 되어 있어, 유아 및 아동들이 자신의 상상력과 추리력 및 논리력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방식도 등장하였다.
이로써, 유아 및 아동들은 다양한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를 통해 흥미를 느끼면서 자연스럽게 학습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서 오락성, 창의성, 유익성, 관찰력 등을 동시에 체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사물들은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상기 사물의 정확한 3D 형태, 음향을 인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에 표시된 사물들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상기 사물을 실제로 접해보지 못한 사용자들은 상기 사물의 특징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들이 상기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보호자나 교육자의 지도가 필요하므로 일방적, 주입식 학습이 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근자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등장하였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다시 말하면, 가상현실은 현실세계를 대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지만,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서 현실세계를 보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는 차별성을 가지며 가상현실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유아/ 아동의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를 연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나 아이디어는 소개된 바 없었다.
본 발명은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퍼즐조각을 촬영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로 인식하고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증강현실 표현을 위한 3D 영상을 구현하여, 교육효과, 흥미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촬영부,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통한 증강현실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단계와,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식별 영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단하는 식별 영상 비교단계와,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에서 식별 영상과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 경우 상기 식별 영상에 매칭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증강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증강현실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3D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음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의 촬영 대상은 이미지판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부에는 복수 개의 식별 영상과 각각의 식별영상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카드에 표시된 이미지를 복수 개의 식별 영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되는 물체의 명칭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에 포함된 음향은 상기 물체의 명칭의 발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표시된 후 디스플레이부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의 이동 방향은 증강현실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입력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는 증강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상부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에서 비교되는 상기 식별 영상은 정지 영상(정지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특정 순간의 정지 영상이 상기 식별 영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는 복수의 단계로 세분화되고, 복수의 단계 중 최초 단계를 제외한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입력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증강현실 구현방법하기 위한 앱(app)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가 표시된 교육 또는 게임을 위한 카드 또는 퍼즐 카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의하면,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퍼즐조각을 촬영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로 인식하고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증강현실 표현을 위한 3D 영상을 구현하여, 교육효과, 흥미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의하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사물의 정보와 특성을 학습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에 기재되어 있는 학습 내용을 증강현실 기술로 확장하여 사용자에게 정지된 이미지 이외에도 음향, 영상 정보를 다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에 표시된 사물의 명칭과 기본적인 형상을 정확히 학습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사물의 3D 형태, 질감, 운동 특성을 인지시킬 수 있는 교육적 목적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제3자의 도움이 없어도 스스로 사용자가 적극적인 학습 주체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독립성 및 주체성을 키울 수 있는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의 내용을 증강현실 기술에 업데이트 하여 지속적으로 학습 내용을 확장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증강현실 구현방법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이 복수의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이 복수의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이 크기가 가변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에 의하여 증강 현실이 구현과정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성하는 퍼즐 카드 패키지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상기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20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1)은 물체 또는 사물이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판(100)과, 상기 이미지판(100)을 촬영하여 상기 이미지판(100)의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영상을 바탕으로 증강현실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단말기(200)에서 인식 가능한 이미지는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형태로 설명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단말기(200)에서 인식 가능한 이미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일 수도 있고, 입체적인 형상(3D 형상)을 갖는 물체 또는 사물 자체일 수도 있고, 더 나아가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암호화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의 단말기(200)에서 인식 가능한 이미지는 이미지판(100)(예를 들면, 게임용 카드, 교육용 카드 또는 게임 또는 교육 목적의 퍼즐 카드) 등에 표시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특히, 상기 이미지판(100)이 퍼즐 카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어린이 또는 유아인 경우,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증강 현실을 감상하기 위하여 퍼즐을 맞추는 적극적인 노력을 할 수 있으므로, 동기 부여 또는 지능 계발 등의 부수적인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미지판(100)은 2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종이, 합판, 필름 등의 시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오락성을 위하여 퍼즐 조각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판(100)은 특정 사물이 표시된 이미지(이하 이미지, 110)와, 상기 이미지(11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판(100)의 경계를 설정하는 테두리부(120)와, 상기 이미지(110)의 명칭이나 상기 이미지판(100)의 상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명칭표시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판(10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이미지판(100)에는 다른 이미지(11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의 이미지판(100)은 제1이미지판(101), 제2이미지판(102), 제3이미지판(103), 제4이미지판(104), 제5이미지판(105)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이미지판에는 제1이미지(111), 제2이미지(112), 제3이미지(113), 제4이미지(114), 제5이미지(115)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110)의 대상은 본래의 특성상 움직임이 가능한 사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미지(110)는 사물로서 식별될 수 있고 명칭을 구비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미지(111) 내지 제5이미지(115)의 대상물은 각각 경찰차, 호랑이, 고양이, 헬리콥터, 크레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는 후술하는 단말기(200)를 통해 증강현실의 구현 대상이 될 수 있으나, 그 자체로서 사용자, 사용자, 보호자 등을 위한 서적 또는 퍼즐카드 등의 자료로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말기(200)는 본체를 이루는 바디부(210)와, 외부촬영이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판(100)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230)와, 상기 촬영부로 촬영한 영상을 재생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상기 단말기(200)에 필요한 제어입력을 부가할 수 있는 입력부(2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30)는 상기 단말기(200) 전면에 구비되는 전방 촬영부(231)와, 상기 단말기(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 촬영부(2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판(100)는 후방 촬영부(232)로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방 촬영부(231)로 촬영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 이미지와 각각의 식별 이미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강현실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260)와, 상기 메모리부(26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증강현실영상을 업데이트 하거나, 후술하는 식별영상, 식별자료 등을 업데이트 하도록 외부 서버 등에 접속하거나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200)는 증강현실기술이 구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장착된 촬영부(230)로 입력되는 이미지(110) 또는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 이미지 또는 식별 영상을 식별 또는 인식(identification)하는 기술과, 상기 이미지(110) 또는 이미지판(110) 의 3차원 위치를 인식하는 3차원 위치인식(3D registaration) 기술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260)는 증강현실영상 뿐만 아니라 촬영부(230)에서 촬영된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해당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식별 영상 또는 식별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영상은 상기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정지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에 관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촬영부(230)가 상기 이미지판(100')을 촬영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촬영부(230)가 촬영한 영상과 식별 영상 또는 식별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영상은 정지 이미지일 수 있고, 상기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특정 순간의 정지 이미지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다양한 비교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촬영부(230)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복수의 식별 영상 중 일치하거나 대응되는 이미지를 결정하면 상기 식별 영상과 대응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영상과 상기 촬영부(230)가 촬영한 영상과의 일치 또는 대응 여부는 전체 이미지를 비교할 수도 있지만 촬영 영상의 특정 순간의 이미지의 동일성을 판단하거나, 그 특정 순간의 이미지 중의 일부 즉, 요부 또는 특징값의 일치여부를 비교/대조할 수 있다.
상기 요부 또는 특징값은 일부만 판단하더라도 상기 이미지판(100) 등에 표시된 이미지(110)을 식별할 수 있는 윤곽, 선의 굵기, 질감, 패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촬영부(230)가 이미지판(100)의 일부만 촬영하더라도 즉각적으로 이와 대응되는 식별 영상과 대조/비교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식 외에도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이미지(110)을 인식하고, 이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을 매칭시키기 위한 연산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강현실영상(300)과 상기 이미지(110)을 매칭시키기 위해 본 발명 단말기의 제어부(250)는 상기 획득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이미지판(100) 등에 표시된 이미지(110) 영역을 추출하는 이미지영역 추출수단, 상기 추출된 영역의 이미지(110)의 요부에 해당하는 특징값을 추출하는 이미지 특징값 추출수단과, 상기 이미지의 특징값을 포함하는 검색용 식별정보를 산출하는 식별정보 산출수단과, 상기 메모리부(260)로부터 상기 검색용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동영상파일을 검색하는 매칭 동영상 검색수단과, 상기 이미지 영역에 상기 이미지 대신에 상기 검색된 동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처럼, 상기 이미지(110)의 특징값이란 일부만 판단하더라도 상기 이미지판(100) 등에 표시된 이미지(110)을 식별할 수 있는 윤곽, 선의 굵기, 질감, 패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징값은 자동차의 바퀴, 헬리콥터의 프로펠러, 호랑이의 털무늬 등에 해당하거나, 상기 이미지의 윤곽, 상기 이미지의 면적, 상기 이미지을 이루는 선의 전체 길이 등 수식으로 연산될 수 있는 연산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촬영부(230)로 획득된 이미지 영상(110')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영역의 3차원 자세를 연산하는 3차원자세연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증강현실 영상이 3D로 구비될 경우, 상기 3D 영상을 어떠한 각도와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지를 상기 3차원자세연산수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3차원 자세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3차원 자세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상기 결정된 증강현실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테두리부(120)의 패턴 및 상기 이미지판(110)의 QR 코드 및 바코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미지(110)의 종류를 식별하여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을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가 이미지(110)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이미지(110)과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을 검색하여 재생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일 뿐, 이미지(110)을 식별하고 이에 맞는 증강현실 영상(300)을 구현할 수 있다면 상기 제어부(250) 및 연산과정은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 증강현실시스템(1)은 단말기(200)를 이용한 것으로서, 식별 기술과 3차원 위치인식 기술을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200)와 이미지판(100)을 연동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시스템(1)을 설명한다.
본 발명 증강현실시스템(1)의 상기 단말기(200)에는 이미지판(100) 등에 표시된 이미지(110)을 식별 영상와 매칭하여 판단하는 상기 제어부(25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부(260) 에는 그 식별 영상과 상기 이미지(110)과 매칭되는 증강현실영상(300)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은 상기 촬영된 영상(100')과 대응되는 3D 동영상, 명칭 표시, 음향, 발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된 영상(100')이 상기 제1이미지의 영상(111')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은 상기 제1이미지의 3D 형태, 명칭, 기본적인 3D 움직임, 음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60)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110)과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이 복수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200)로 상기 제1이미지판(101)를 촬영한 것을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를 소지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판(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판(100)을 상기 촬영부(230)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111)을 상기 촬영부(230)로 촬영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111')가 그대로 표시된다. 제1이미지(111)인 경찰차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상기 제1이미지판(101)과, 제1이미지(111)이 촬영된 상태(101')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찰차의 이미지가 입력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부(250)는 제1이미지의 영상(111')으로부터 식별영상들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방식 등으로 식별정보를 연산함을 통해 상기 제1이미지(111)을 식별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50) 상기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복수의 증강현실 영상 중 상기 제1이미지(111) 대응되는 증강현실 영상(310)을 선별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제1이미지(111)에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10)을 선별하면, 상기 선별된 증강현실영상(3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재생되거나 표시된다.
상기 선별된 증강현실영상(310)은 상기 제1이미지(111)의 3D 영상(311)과, 상기 제1이미지(111)의 명칭(312)의 자막, 상기 제1이미지에 해당하는 사물이 발생시키는 음향 중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3D 영상(311)은 상기 제1이미지(111)에 해당하는 사물이 움직이는 영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미지(111)이 경찰차인 경우, 상기 경찰차의 바퀴가 움직이거나, 경고등이 점등/소등을 반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명칭(312)은 경찰차라는 국어가 기재되거나, POLICE CAR와 같은 외국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음향은 상기 경찰차의 사이렌소리, 엔진소리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200)의 소지자는 상기 제1이미지(111)이 실제로 어떠한 형태이며,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떤 소리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111)과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10)은 상기 제1이미지(111)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영상(111')과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증강현실영상(3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 또는 재생 영상(111')이 순간적으로 3D로 변환한 것 같은 느낌을 단말기(200) 소지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 상에서 표시된 상기 제1이미지(11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3D 영상(310)도 상기 제1이미지(111)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2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구현된 증강현실영상(300)의 변경되는 태양을 도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증강현실영상(300)은 사용자의 별다른 입력이 있을 때나, 상기 제1이미지(11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사라질 때 까지 계속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소지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를 터치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지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300)을 터치입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220)의 영역이 터치입력되면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방식 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소지자는 상기 제1이미지(111)에 대응되는 사물이 이동하는 방식을 숙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를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고, 다음 이미지(110)을 촬영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지자가 상기 단말기(200)의 촬영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제1이미지(11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 상에서 사라지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영상(3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의 외부로 이동하는 방식 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이 표시된 영역만을 입력하여야 상기 증강현실영상(300)이 사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활한 재생 및 다음 학습을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20)가 터치입력되기만 하면 바로 상기 증강현실 영상이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증강현실 영상(30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사라질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처럼 이동하여 사라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증강현실시스템(1)은 소지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슬라이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30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사라지는 또는 이동하는 이동 방향은 상기 슬라이드 터치입력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이에서, 상기 단말기(200)가 복수의 이미지판(100)을 촬영한 경우에 증강현실영상을 재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면이나 책상에 다수의 이미지판(100)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촬영부(230)는 촬영영역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판(100)이 촬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증강현실 3D 영상에 포함된 발음의 언어 선택키(360),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3D 영상과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중첩시켜 캡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캡춰버튼(370) 및 복수 개의 카메라(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을 선택하기 위한 카메라 선택버튼(38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1)은 체계적으로 증강현실영상을 재생하여 소지자가 영상과 이미지을 잘못 매칭하여 학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200)기는 상기 제2이미지판(102), 제4이미지판(104), 제5이미지판(105)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촬영각도에 따라 상기 제4이지미판의 영상(104'), 제2이미지판의 영상(102'), 제5이지미판의 영상(105')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상기 제4이미지판의 영상(104')이 제일 크게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2이미지판의 영상(102')과 제5이미지판의 영상(105')은 일부만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상기 이미지판(100')들의 영상이 표시되면, 제어부(250)는 상기 이미지판(100) 등에 표시된 이미지(110)을 식별하고, 이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들을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가장 크게 표시된 이미지(110)을 우선적으로 식별하고, 이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110)을 동시에 식별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판(100) 중 크기가 가장 크게 표시된 이미지판들의 영상(100')과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 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20)에 제4이미지판의 영상(104')이 제일 크게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4이미지(114)에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40)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4이미지에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40)은 상기 제4이미지(114)이 헬리콥터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상기 헬리콥터에 대응되는 3D영상(341)과, 상기 헬리콥터의 명칭(342), 상기 헬리콥터의 음향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D 영상(341)은 상기 제4이미지이 표시된 영상(114')의 영역에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부(220)의 중앙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제5이미지(115)을 차후에 인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5이미지(115)에 대응하는 증강현실영상(35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5이미지(115)에 대응하는 증강현실영상(350)는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351)과, 상기 제5이미지의 명칭(352), 상기 제5이미지의 음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상기 제5이미지 영상(115')은 상기 제4이미지의 영상(114') 보다 작게 표시되므로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351)은 상기 제5이미지판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영역(105') 내부에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이미지 영상(115')이 디스플레이부(220)에 일부만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3D 영상(351)도 상기 영역(105')에 일부만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4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과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3D 영상(351)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질서있게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4이미지에 대응하는 3D 영상(34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351)이 작게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0)의 소지자가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351)이 표시되었는지 인지를 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명칭(352)은 제4이미지에 대응하는 명칭(342)이 표시된 곳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이미지에 대응하는 명칭(342)은 상기 제5이미지에 대응하는 명칭(352)으로 바꾸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가 이동하여 상기 제2이미지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영상(112')이 확대되어 상기 제어부(250)가 이를 상기 제2이미지(112)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제2이미지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2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미지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20)은 상기 제2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321)과, 상기 제2이미지에 대응하는 명칭(322)과, 상기 제2이미지의 대응하는 음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미지에 대응하는 3D영상(321)은 상기 제2이미지판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영역(10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촬영부(230)가 복수의 이미지판(100)을 촬영하여, 제어부(250)가 복수의 이미지(110)을 인식하더라도 서로 중첩되거나 방해되지 않고 질서있게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복수의 증강현실영상(300)이 표시된다고 하더라도, 전술한 것처럼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의 터치입력이 있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증강현실영상(300) 들이 순차적으로 사라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상기 증강현실영상(300) 중 3D영상(301)이 표시된 경우, 크기가 확대되거나 감소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제4이미지에 해당하는 3D영상(341)이 표시되는 경우에 소지자는 상기 단말기(200)을 제4이미지판(104)에 근접하게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소지자는 상기 단말기(200)를 상기 제4이미지판(104)에 L1 만큼 이격되어 배치하다가, 도 7(b)와 같이 L1보다 가까운 L2 만큼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나타난 상기 제4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3D 영상(341)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촬영된 영상이 커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상기 제어부(250)가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상기 3D 영상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강현실의 현실감과 현장성이 극대화되어 소지자가 실제로 상기 3D 영상을 소지하고 있는 것처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증강현실시스템(1)의 구현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증강현실시스템(1)의 구현방법은 상기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하는 영상 촬영단계(S1)와,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식별 영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단하는 식별 영상 비교단계(S2)와,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에서 식별 영상과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 경우 상기 식별 영상에 매칭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증강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증강현실 구현단계(S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영상촬영단계(S1)는 상기 촬영부(230)를 통해 복수의 이미지판(10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영상식별단계(S2)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판(100)들에 기재된 특정 사물이 표시된 이미지(110)이 상기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식별영상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250)가 판단하고, 특정 식별영상 등과 대응되면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증강현실영상들 중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을 매칭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즉, 상기 메모리부(260)에는 상기 촬영된 영상과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00)을 매칭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식별영상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식별단계(S2)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S1)에서 촬영된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110)를 상기 복수 개의 식별 영상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선별한다.
상기 영상 식별단계(S2)에서 비교되는 식별 영상은 정지 영상(정지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지영상과 실제 촬영된 영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이미지(110)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말해,상기 영상 식별단계(S2)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S1)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특정 순간의 정지 영상이 상기 식별 영상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는지 여부로 상기 제어부(250)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증강현실 구현단계(S3)는 상기 이미지(110)에 대응되는 3D 동영상(301), 명칭(302),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영상(30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S3)에서 표시되는 상기 증강현실 영상에 포함된 음향은 상기 물체의 명칭의 국문발음 또는 외국어 발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은 소리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의성어 또는 의태어 문자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S3)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0) 상에 물체의 명칭의 언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증강현실 영상(30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은 슬라이드 터치입력에 해당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300)의 이동 방향은 상기 슬라이드 터치입력의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상기 증강현실 영상(300)은 상기 촬영부가 상기 이미지에 가까워지면 더 확대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영상 촬영단계(S1)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즉, 상기 촬영부(230)가 이동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촬영부(230)가 촬영하는 영상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영상 식별단계(S2)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S1)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영상 촬영단계(S1)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S3)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단계들은 제어부(250)의 성능에 따라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S3)는 상기 증강현실 영상(30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상부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미지판(100)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110)이 3D 영상으로 변환된 것과 같은 효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고, 촬영단계(S1)와 구현단계(S3)가 연속적,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식과 달리,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S3)는 상기 이미지와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재생하는 재생단계(S3-1)과, 상기 증강현실영상으로 표시되는 물체의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표시단계(S3-2)와, 상기 증강현실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로 이동하는 이동단계(S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재생단계 이후 상기 명칭표시단계,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순차적인 터치 입력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소지자의 반복적인 터치 입력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의 참여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단계(S3-1)에서 등장한 상기 3D영상(301)의 명칭을 소지자가 오해없이 숙지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의 이동이나, 3D 영상의 소멸 등을 희망하는 소지자의 의사가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에 의하여 증강 현실이 구현과정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미지판(101), 제2이미지판(102), 제3이미지판(103)이 구비되고, 각각의 이미지판에는 제1이미지(111), 제2이미지(112), 제3이미지(113)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통해 구현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미지(111, 112, 113)과 대응되는 증강현실영상(310, 320, 330)은 각각의 이미지(111, 112, 113)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영상과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증강현실영상(310, 320, 33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 영상이 순간적으로 3D로 변환한 것 같은 느낌을 단말기(200) 소지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증강현실영상(310, 320, 330, 340) 등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등의 조건에 반응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재미와 흥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증강현실영상(310, 320, 330, 340)은 해당 이미지의 대상이 갖는 고유의 효과음이 함께 출력되도록 하여 각종 교육자료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미지판으로서의 퍼즐 카드 패키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즐 카드 패키지는 복수의 카드가 박스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이미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퍼즐 카드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 이미지 및 각각의 식별 이미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강현실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은 지금까지 설명한 일련의 본 발명의 증강현실 구현방법의 단계적 기능을 탑재한 앱 형태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고, 퍼즐 카드 등의 이미지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앱은 본 발명 증강현실 구현방법을 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촬영부,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사용자 앱 형태로 설치되어 각각의 하드웨어를 활용하여 전술한 증강현실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이미지판을 복사기 등으로 복사하고, 앱 형태의 프로그램만 무료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 증강현실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므로, 퍼즐 카드를 포장하는 박스에는 고유키(제품 활성화 코드)를 부여하여, 제한된 개수의 기기 또는 활성화 횟수를 제한하여 상품화시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이미지판
100' : 촬영된 영상
200 : 단말기
300 : 증강현실영상

Claims (12)

  1. 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촬영부,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통한 증강현실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단계;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식별 영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단하는 식별 영상 비교단계;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에서 식별 영상과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 경우 상기 식별 영상에 매칭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증강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증강현실 구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표시된 후 디스플레이부 외부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음향을 포함하는 3D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의 촬영 대상은 교육 또는 게임을 위한 카드 또는 퍼즐 카드에 표시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복수 개의 식별 영상과 각각의 식별영상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카드에 표시된 이미지를 복수 개의 식별 영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되는 물체의 명칭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영상에 포함된 음향은 선택이 가능한 상기 물체의 명칭의 적어도 1개국어의 발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증강현실 영상의 이동 방향은 증강현실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입력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와 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며,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는 증강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상부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에서 비교되는 상기 식별 영상은 정지 영상(정지 이미지)이며, 상기 식별 영상 비교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특정 순간의 정지 영상이 상기 식별 영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구현단계는 복수의 단계로 세분화되고, 복수의 단계 중 최초 단계를 제외한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입력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방법.
  12.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증강현실 구현방법하기 위한 앱(app)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가 표시된 교육 또는 게임을 위한 카드 또는 퍼즐 카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KR1020180112441A 2017-11-06 2018-09-19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101998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43 2017-11-06
KR20170146643 201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79A KR20190051779A (ko) 2019-05-15
KR101998852B1 true KR101998852B1 (ko) 2019-10-01

Family

ID=6657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41A KR101998852B1 (ko) 2017-11-06 2018-09-19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64B1 (ko) * 2021-06-24 2022-11-07 박지혜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KR102482626B1 (ko) * 2021-06-23 2022-12-29 박지혜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교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911B2 (en) 2018-09-07 2024-01-23 Apple Inc. Transitioning between imagery and sounds of a virtual environment and a real environment
KR20200137523A (ko) 2019-05-30 2020-12-09 이은령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91570B1 (ko) * 2019-06-28 2020-12-15 박정식 퍼즐 조립 기반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38096A (ko) 2020-06-25 2020-12-09 이은령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30914B1 (ko) 2020-12-08 2022-08-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0810B1 (ko) * 2021-08-22 2023-11-10 주식회사 비추다 유물 형상의 역사 교육용 교구
KR102599316B1 (ko) * 2022-01-25 2023-11-06 홍수진 퍼즐식 자개 공예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35B1 (ko) * 2015-02-25 2017-01-03 이은미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KR20170113945A (ko) * 2016-03-30 2017-10-13 오연재 블록 퍼즐 연계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626B1 (ko) * 2021-06-23 2022-12-29 박지혜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364B1 (ko) * 2021-06-24 2022-11-07 박지혜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79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852B1 (ko)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6276882B1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8956227B2 (en) Storage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04674B2 (ja) ゲーム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1738270B2 (en) Simulation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1097056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trigger presentation of in-vehicle content
CN109069929B (zh) 用于玩具识别的系统和方法
JP622432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JP201407183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ードゲーム具
Cordeiro et al. ARZombie: A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 with multimodal interaction
CN108536293A (zh) 人机交互系统、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交互装置
WO20141601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recognition of plush toys
CN113382790A (zh) 用于增强现实的玩具系统
CN103002961B (zh) 游戏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02876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 학습 장치 및 방법
CN109200586A (zh) 基于增强现实的游戏实现方法和装置
US20220266159A1 (en) Interactive music play system
WO2019130652A1 (ja) ゲーム機、ゲーム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ang et al. Emerging human-toy interaction techniques with augmented and mixed reality
CN111640199B (zh) 一种ar特效数据生成的方法及装置
JP6778445B1 (ja) カード学習システム及びカード学習方法
JP2021192230A (ja) 拡張現実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64789B1 (ja) 鉄道模型観賞用装置、方法、プログラム、専用表示モニタ、合成用情景画像データ
KR20180036156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N114332432A (zh) 一种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