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62B1 - Smart-tumbler - Google Patents

Smart-tumb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62B1
KR101998062B1 KR1020180004182A KR20180004182A KR101998062B1 KR 101998062 B1 KR101998062 B1 KR 101998062B1 KR 1020180004182 A KR1020180004182 A KR 1020180004182A KR 20180004182 A KR20180004182 A KR 20180004182A KR 101998062 B1 KR101998062 B1 KR 10199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tion information
beverage
sensor
tumbl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웅진
Original Assignee
안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웅진 filed Critical 안웅진
Priority to KR10201800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umbler realized to provide nutritional content and calories of a drink receiv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umbler comprises: a tumbler body for storing a drink therein; a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disposed in the tumbler body and configured to measure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drink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in real time; and a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mbler body and configured to display the nutr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Description

스마트 텀블러{Smart-tumbler}A smart tumbler {Smart-tumbler}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된 음료의 영양정보 및 열량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umbler that realizes nutrition information and calorie of a received beverage in real time.

텀블러는, 통상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서,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조금씩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용량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컵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따뜻한 커피나 녹차, 각종 다이어트 음료 등을 담아두고 보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시간에 걸쳐 수시로 나누어 마시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등,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The tumbler generally refers to a large cup having no heel and handle and a flat bottom, and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latively large capacity so that a large amount of beverage can be divided into small portions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the tumbler is superior in heat retention and portability compared to general cups and disposable cups. Recently, it has been widely used for drinking coffee, green tea, various diet drinks, etc. and keeping it at a low temperature for a long time Etc., its demand is increasing.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6293호(2011.12.21. 공개)는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몸체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음료의 온도에 따라 발광부를 제어하여 음료의 온도에 따른 빛을 방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음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켜 사용자가 빛의 색상을 통해 음료를 마시지 않고도 손쉽게 음료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136293 (published on Dec. 21, 2011) discloses a beverage temperature indicating type tumbler, which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contained in a body,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sensed and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emit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without drinking the beverage through the color of light.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64호(2015.04.03. 등록)는 텀블러에 냉매가 들어 있는 복수의 블록과 열선을 포함하는 이중컵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텀블러를 냉장기 또는 냉동기에 넣어 두었다 사용할 경우 복수의 블록 안에 있는 냉매로 인하여 음료의 보냉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을 갖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냉매가 들어 있는 복수의 블록과 열선을 포함하는 이중컵과, 텀블러 하부부분과 착탈되어 컴퓨터, 전자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기에 연결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중컵 복수의 블록과 열선으로 인해 텀블러 내부의 음료를 보냉 또는 보온할 수 있고, 이중컵 복수의 블록 내부에 프레온, 암모니아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냉매가 들어 있어 텀블러를 냉장기 또는 냉동기에 넣어두었다가 사용할 경우 음료의 보냉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 사이에 형성된 열선이 작동할 경우 발생되는 열로 인해 음료의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6864 (Registered on Mar. 3, 2015) is composed of a double cup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and a hot wire containing a refrigerant in the tumbler, so the tumbler is placed in a refrigerator or a freezer. A tumbler device having a cold function capable of maintaining a cooling effect of a beverage due to a refrigerant in a plurality of blocks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there is provided a tumbler apparatus having a cooling function, comprising: a double cup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and a heating wire, the coolant being contain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dual cups can be cooled or warmed by the plurality of blocks and the hot wire, and the beverage inside the tumbler can be cooled or heated, and the double cups can be filled with a mixture of freon, ammonia or combinations thereof The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tumbler is kept in a refrigerator or a freezer. When the tumbler is used, the cooling effect of the beverage can be maintained, and the heat generated when the hot wire formed between the blocks is operated can maintain the effect of the heat of the beverage .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텀블러는, 종래의 용기에 포장된 음료의 경우 영양성분과 열량을 제공하는 것과 다르게, 담겨진 음료의 영양성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방법이 없어, 다이어트 또는 건강상의 이유로 영양성분을 체크하며 음료를 식음하는 식음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tumbler as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umbler in that the beverage packaged in a conventional container is provided with nutrients and calories and there is no wa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nutritional content of the beverage contained therein.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not suitable for people who check and drink beverages.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6293호(2011.12.21. 공개)Published Korean Patent No. 2011-0136293 (Dec. 21, 201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64호(2015.04.03.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6864 (Registered on April 03, 20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음자에게 수용된 음료의 영양성분 및 열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a nutrient and calorie information of a beverage accommodated in a tast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텀블러 몸체; 상기 텀블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텀블러 몸체에 수용된 음료의 영양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영양정보 센서부; 및 상기 텀블러 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양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텀블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omprising: a tumbler body for storing a drink therein; A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disposed inside the tumbler body for measuring nutrition information of a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in real time; And a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mbler body for displaying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 상기 텀블러 몸체에 수용된 음료수의 영양성분 종류 및 그 함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detects a nutrient type and a content of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 음료수에서 검출된 탄수화물, 단백질 또는 지방의 함유량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음료수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calculates calorie of beverage in real time using the content of carbohydrate, protein, or fat detected in the bever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텀블러 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하여, 상기 용기부의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umbler body comprises: a container portion for containing a beverage therein by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lid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part by selectively engaging with the container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벽에 장착되는 제1 센서스틱과, 상기 뚜껑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2 센서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stick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container unit, and a second sensor stick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스틱은,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음료에 도달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길이 신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stick is extendable downwardly to reach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표시부는, 상기 용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센서스틱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스틱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뚜껑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센서스틱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센서스틱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por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mounted on the container portion and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stick, for displaying nutritional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sensor stick; And a second display mounted on the lid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stick, for displaying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or sti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스틱 고정부재와 제1디스플레이는 '??'자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stick fixing member and the first display are integrally formed in a '??' shape and are fit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unit.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는, 상기 뚜껑부에 연장되어, 상기 뚜껑부를 상기 용기부에 결합할 시에, 상기 제1 센서스틱을 상기 용기부의 내벽에 밀착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한 센서스틱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extending the lid portion to secure the first sensor stick to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portion when the lid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And a stick fix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는, 수용된 음료의 영양성분 및 열량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음료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체크 가능하고 섭취 칼로리를 계산하면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어, 다이어트 또는 건강을 위해 음료를 마시는 식음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The smart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nutrient component and a calorie amount of a received beverage in real time so that the nutrition component contained in the beverage can be checked and the beverage can be ingested while calculating the calorie consumption, Ideal for use in drinking and drinking.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는, 뚜껑과 용기에서 각각 음료의 영양정보를 디스 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도 음료의 영양정보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smart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confirm the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beverage at any position by displaying the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beverage in the lid and th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스마트 텀블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스마트 텀블러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서 나타낸 제1 센서스틱과 제1 디스플레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smart tumbler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smart tumbler shown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first sensor stick and the first display shown in FIG. 1;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smart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스마트 텀블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스마트 텀블러의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smart tumbl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mart tumbler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텀블러는, 텀블러 몸체(100), 영양정보 센서부(200) 및 영양정보 표시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mart tumbler includes a tumbler body 100, a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and a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상기 텀블러 몸체(100)는,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한다.The tumbler body 100 stores beverages there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텀블러 몸체(100)는, 용기부(110) 및 뚜껑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umbler body 100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tainer portion 110 and a lid portion 120.

상기 용기부(110)는, 컵(Cup)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한다. The container unit 110 is formed in a cup shape and forms a container space therein to store beverages therein.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용기부(1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하여, 상기 용기부의 수용공간을 개폐한다.The lid part 120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art 110 to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수용공간을 부분적으로 개폐하여, 시음자에게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음료 인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d portion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beverage outlet (not shown) is formed to partially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space to provide a beverage to the tasting machi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용기부(110)와 닿는 면에, 상기 뚜껑부(120)와 상기 용기부(110) 틈새를 밀폐시켜 주기 위하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d part 120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sealing the gap between the lid part 120 and the container part 110 on a surface contacting the container part 110. [ .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200)는, 상기 텀블러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텀블러 몸체(100)에 수용된 음료의 영양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is disposed inside the tumbler body 100 and measures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100 in real time.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200)는, 상기 텀블러 몸체(100)에 수용된 음료수의 영양성분 종류 및 그 함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is configured to detect in real time the types of nutrients and the conten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100.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200), 음료수에서 검출된 탄수화물, 단백질 또는 지방의 함유량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음료수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orie of beverage is calculated in real time using the content of carbohydrate, protein or fat detected in the bever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200)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 적외선 흡광법, RF 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음식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식에 포함된 물질은 영양소 성분에 따라 분자 구조가 다르므로, 물질에 광을 조사하였을 때 흡수하는 파장 대역이 다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detects food information usin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RF analysis, and the like. Here, since the molecular structure of a substance contained in a food differs depending on a nutrient component, a wavelength band absorbed when a substance is irradiated with light may be differ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200)는, 음료에 광을 조사하고, 음료에 있는 영양소에 의해 산란 또는 반사되는 광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영양성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rradiates the beverage and analyzes the spectrum of the light scattered or reflected by the nutrient in the beverage to detect the nutritional compon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200)는, 제1 센서스틱(210) 및 제2 센서스틱(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includes a first sensor stick 210 and a second sensor stick 220.

도 4은 도 1에서 나타낸 제1 센서스틱(210)과 제1 디스플레이(31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sensor stick 210 and the first display 310 shown in FIG.

상기 제1 센서스틱(210)은,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110)에 수용된 음료의 전체의 영양정보를 측정한다.The first sensor stick 210 i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unit 110 and measures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whol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unit 11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스틱(210)은, 상기 용기부(110)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stick 21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unit 11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스틱(210)은, 상단이 후술(後述)할 제1 디스플레이(310)와 '??'자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110)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stick 2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display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As shown in Fig.

상기 제2 센서스틱(220)은, 상기 뚜껑부(12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부(110)에 수용된 음료의 상측 부분의 영양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1 센서스틱(210)과 제2 센서스틱(220)에서 검출된 음료의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음료의 내용물이 가라 앉거나 음료의 용질이 잘 섞여있지 않은 경우이다.The second sensor stick 220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120 and measures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nutrients of the beverage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stick 210 and the second sensor stick 220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 content of the beverage is submerged or the solute of the beverage is not well mixe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스틱(220)은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음료에 도달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길이 신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stick 220 is extendable downwardly to reach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영양정보 센서부(200)는, 수용된 음료의 영양성분 및 열량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음료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체크 가능하고 섭취 칼로리를 계산하면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어서, 다이어트 또는 건강을 위해 음료를 마시는 사용자에게 건강을 위한 영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receive the beverage while checking the nutrition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beverage and calculating the calorie intake by providing the nutrients and the calories of the beverage in real time, Or provide nutritional information for health to users drinking beverages for health.

상기 영양정보 표시부(300)는, 상기 텀블러 몸체(10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200)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한다.The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mbler body 100 and displays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0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양정보 표시부(300)는, 제1 디스플레이(310) 및 제2 디스플레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includes a first display 310 and a second display 320.

상기 제1 디스플레이(310)는, 상기 용기부(1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센서스틱(210)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스틱(210)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한다.The first display 310 is mounted on the container unit 110 and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stick 210 to display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sensor stick 210.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310)는, 상기 제1 센서스틱(210)과 '??'자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110)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first display 3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ensor stick 210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ensor stick 210, As shown in Fi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310)는 제1 센서스틱(210)에서 감지된 열량, 영양성분 종류 및 그 함유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splay 310 displays the amount of heat, the type of nutrients, and the content thereof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stick 21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310)는, 수용된 음료가 고당도의 음료이거나 저당도의 음료일 경우, 표시화면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하여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splay 310 displays a different color of the display screen when the received beverage is a beverage having a high sugar level or a beverage having a low sugar level.

상기 제2 디스플레이(320)는, 상기 뚜껑부(1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센서스틱(220)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센서스틱(220)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한다.The second display 320 is mounted on the lid 12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stick 220 to display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or stick 22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320)는 제2 센서스틱(220)에서 감지된 열량, 영양성분 종류 및 그 함유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display 320 displays the amount of heat, the type of nutrients, and the content thereof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stick 22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320)는, 수용된 음료가 고당도의 음료이거나 저당도의 음료일 경우, 표시화면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하여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display 320 displays a different color of the display screen when the received beverage is a drink having a high sugar level or a beverage having a low sugar level.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영양정보 표시부(300)는, 뚜껑부(110)와 용기부(120)에서 각각 음료의 영양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도 음료의 영양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beverage at any position by displaying the nutrition information of the beverage in the lid 110 and the container unit 120 hav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는,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스틱(210)을 상기 용기부(110) 내에서 고정시켜 주기 위한 센서스틱 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stick fixing member 400 for fixing the first sensor stick 210 disposed in the container unit 110 in the container unit 110 .

상기 센서스틱 고정부재(400)는 상기 뚜껑부(1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뚜껑부(120)를 상기 용기부(110)에 결합할 시에, 상기 제1 센서스틱(210)을 상기 용기부(110)의 내벽에 밀착하여 고정시켜 준다.The sensor stick fixing member 400 may extend from the lid 120 to connect the first sensor stick 210 to the container unit 110 when the lid unit 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unit 110. [ 110).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몸체
110: 용기부
120: 뚜껑부
200: 영양정보 센서부
210: 제1 센서스틱
220: 제2 센서스틱
300: 영양정보 표시부
310: 제1 디스플레이
320: 제2 디스플레이
400: 고정부재
100: Body
110:
120: lid part
200: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210: first sensor stick
220: Second sensor stick
300: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310: first display
320: Second display
400: Fixing member

Claims (5)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텀블러 몸체;
상기 텀블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텀블러 몸체에 수용된 음료의 영양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영양정보 센서부; 및
상기 텀블러 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양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텀블러 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하여, 상기 용기부의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벽에 장착되는 제1 센서스틱과,
상기 뚜껑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2 센서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서스틱은,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음료에 도달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길이 신장 가능하며,
상기 영양정보 표시부는,
상기 용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센서스틱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스틱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뚜껑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센서스틱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센서스틱에서 감지된 영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에 연장되어, 상기 뚜껑부를 상기 용기부에 결합할 시에, 상기 제1 센서스틱을 상기 용기부의 내벽에 밀착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한 센서스틱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텀블러.
A tumbler body for storing beverages therein;
A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disposed inside the tumbler body for measuring nutrition information of a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in real time; And
And a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mbler body for displaying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The tumbler body,
A container portion for containing a beverage therein by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nd a lid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portion by selectively engaging with the container portion,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stick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a second sensor stick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Wherein the second sensor stick comprises:
A length extending downward to reach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portion,
The nutr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A first display mounted to the container and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stick, for displaying nutritional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sensor stick; And
And a second display mounted on the lid portion and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stick, for displaying nutr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or stick,
Further comprising a sensor stick fix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lid part and fixing the first sensor stick to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part when the lid par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
상기 텀블러 몸체에 수용된 음료수의 영양성분 종류 및 그 함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텀블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includes:
Wherein a type of a nutrient component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body and a content thereof are detected in real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정보 센서부는,
음료수에서 검출된 탄수화물, 단백질 또는 지방의 함유량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음료수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텀블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utrition information sensor unit includes:
Wherein the calorie of the beverage is calculated in real time using the content of carbohydrate, protein or fat detected in the bever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04182A 2018-01-12 2018-01-12 Smart-tumbler KR101998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82A KR101998062B1 (en) 2018-01-12 2018-01-12 Smart-tumb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82A KR101998062B1 (en) 2018-01-12 2018-01-12 Smart-tumb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062B1 true KR101998062B1 (en) 2019-07-09

Family

ID=6726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182A KR101998062B1 (en) 2018-01-12 2018-01-12 Smart-tumb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0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439A (en) 2020-11-19 2022-05-26 김인권 The portable tumbler with thermostatic and alarm func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293A (en)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Tumbler which indicates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JP2014535055A (en) * 2011-11-03 2014-12-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alories in beverages
KR200476864Y1 (en) 2013-12-05 2015-04-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A tumbler device with heating and cooling function
KR20160083078A (en) * 2013-11-07 2016-07-11 써모스 엘.엘.씨. System for managing fluid container contents
KR101683383B1 (en) * 2015-06-19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ctive smart tumb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293A (en)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Tumbler which indicates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JP2014535055A (en) * 2011-11-03 2014-12-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alories in beverages
KR20160083078A (en) * 2013-11-07 2016-07-11 써모스 엘.엘.씨. System for managing fluid container contents
KR200476864Y1 (en) 2013-12-05 2015-04-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A tumbler device with heating and cooling function
KR101683383B1 (en) * 2015-06-19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ctive smart tumb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439A (en) 2020-11-19 2022-05-26 김인권 The portable tumbler with thermostatic and alarm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248A (en) Indicator for liquid container
CN106724604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cup and its health management system arranged
CN104640484B (en) Vacuum low-temperature cooking device
CN105338865B (en) Formula tableware and kitchenware is heated or cooled
KR101926764B1 (en) Local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200600269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monitoring wine temperature
US20160143471A1 (en) Slow cooker with thermometer for indicating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US10912409B2 (en) Electrically connected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BRPI1106816A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user-customizable entries
AU2020205291A1 (en) Cooling duct for beverage machine
US20080283538A1 (en) Insulated retainer having thermometer for beverage container
KR101998062B1 (en) Smart-tumbler
US20070171957A1 (en) Liquid temperature detectors
JP2004138331A (en) Container with wireless ic tag and food cooker
KR101512942B1 (en)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US20040216616A1 (en) Brewing apparatus
CN103190831B (en) Flow-adjustable brew structure
ES2870551T3 (en) Electric motor operated kitchen robot
US20030000451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rmal indicator
CN101071014A (en) Health management type electric refrigerator
US8099965B2 (en) Cold probe for cooling liquids
WO2010006721A2 (en) A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fluid
CN202589151U (en) Temperature display cup used in field operation
US20030010215A1 (en) Thermal coffee/tea carafe
CN215413914U (en) Measuring cup for nutrition therapy and nutrition therap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