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382B1 -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 Google Patents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382B1
KR101996382B1 KR1020180018606A KR20180018606A KR101996382B1 KR 101996382 B1 KR101996382 B1 KR 101996382B1 KR 1020180018606 A KR1020180018606 A KR 1020180018606A KR 20180018606 A KR20180018606 A KR 20180018606A KR 101996382 B1 KR101996382 B1 KR 10199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etting
gener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큐넥스
(주)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큐넥스, (주)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19Large Object storage;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versity informa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a platform using big data, to remarkably reduce expenses for manag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constructing an infrastru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versity information analysis system comprises: a collected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automatically generating a data collection format, managing authentication and integrated information about existing data, and generating an output API outputted to a manager; a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setting a classification code for the collected data in accordance with a core index; a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and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generating pivot data and a chart type statistical index, which are used for a visualized report, in accordance with a user′s request.

Description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변환, 수집 및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제에 대한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지표를 등록하거나 삭제, 수정, 검색 및 각종 인증 프로세스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Core) API를 통한 다양한 대학정보 및 성과데이터를 신규시스템 구축을 통한 데이터의 연동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스템 구축 없이도 수집 관리 가능하게 하고, 종래의 구축된 시스템들과의 유기적인 연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규 시스템 구축에 따른 대학의 성과분석 이력단절 문제를 극복하고 대학 특성화 사업의 핵심성과지표 데이터의 수집 분석을 위한 업무프로세스의 표준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platform-based data analysis, Integration of various college information and performance data through the core API that registers and deletes, modifies, searches, and sets various authentication processes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task. In addition, it enables collections management without building a separate system, and it enables organic interlocking with existing established systems, thereby overcoming the problems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by constructing a new system, Establish standardization of business processes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t relates to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s data analysis using Big Data to help.

대학교 등 많은 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에 대한 대학별, 학과 또는 학부별로 입학시에 입력받았던 학생정보를 통해 학생정보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교의 수업이나 일정을 위한 학사정보시스템을 구축하며, 산학협력을 위해 학교에서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 실습, 과제 등의 진행을 위해 별도의 산학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학교 내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분산되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Many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establish a stud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student information that was input at the time of admission by university, department or department, and establish a bachelor's information system for the class or schedule of the school based on this inform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practice, and assignment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school, a separate information system is established for the school.

학교내의 행정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레거시(legacy) 시스템들이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으나, 종래의 레거시 시스템은 구축 당시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게 됨으로써, 동일한 데이터이지만 구축된 시스템마다 각기 다른 데이터 타입이나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 다른 형태의 비정규화된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가지게 되어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있다.Various legacy system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on within the school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However, the conventional legacy system generates and stores data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so that the same data but different data types There are other types of un-normalized data formats such as an operating system for operating the system, a database for storing data, and the like.

그리고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에 분포된 데이터와의 연동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작업이나 이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각 데이터마다 매칭되는 데이터 코드가 별도로 없어 코드 불일치에 따른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develop a migration program for interworking with data distributed in existing legacy systems or a separate program for this, and there is no data code to be matched for each data, resulting in missing data due to code mismatch.

또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정책에 따른 반복적인 공수 발생하고,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데이터가 누락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시스템의 업그레이드에 따라 서로 다른 기종의 시스템간에 데이터 연계를 위한 공통키가 없는 경우연계 시스템 전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변경이 요구되고, 인적요소에 의한 관리방식에 따른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occurs frequently, and the data is often repeated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licy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pgrade of the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human factor.

따라서 표준화된 형태의 데이터 양식을 통해 데이터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비정규화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로 가공하고, 이를 사용자들이 출판 및 배포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collect unstructured data so that data can be unified through a standardized form of data, process the data into standardized data, and utilize it for publishing and distribution.

종래의 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14259호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은 위치기반 콜 시스템을 통해 교육수요자와 교육공급자 사이의 중개 역할을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교육수요자로부터 전송받았던 교육 신청 정보의 히스토리를 빅데이터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교육 추천 정보를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ventional Open Patent No. 10-2018-0014259 provides an education medi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 training medi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 providing method, which provide a platform serv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an education demander and an education provider through a location based call system, The history of educ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sumer is analyz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big data method, and educa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교육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방식의 데이터에 대하여 별도의 표준화 또는 정규화하는 과정이 없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레거시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코일상의 문제로 인한 유지보수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no process of standardizing or normalizing the data of the big data method in order to provide the education mediating service,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ta included in the various existing legacy systems can not be utilized. There is a limit to the maintenance due to such a problem.

종래의 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10704호 서비스 패턴화를 이용한 이종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 방법은 서비스 패턴화를 이용하여 소스 시스템과 타겟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연동하는 데이터 처리장치가: 소스 시스템과 타겟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서비스를 패턴화하여, 복수의 상위 패턴과, 각 상위 패턴에 귀속하는 복수의 하위 패턴으로 정의하는 단계(여기서, 상위 패턴은 데이터 추출 패턴, 데이터 변환 패턴, 및 데이터 적재 패턴으로 구성된다); 하위 패턴에 대한 기능을 메서드 개념으로 정의하는 단계; 데이터 추출 패턴 및 이에 귀속하는 하위 패턴을 실행하여 소스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 변환 패턴 및 이에 귀속하는 하위 패턴을 실행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타겟 시스템에 연동되도록 변환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적재 패턴 및 이에 귀속하는 하위패턴을 실행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타겟 시스템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A conventional data interworking method using heterogeneous systems using service patterning includes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interworking data between a source system and a target system using service patterning, A step of defining a plurality of upper patterns and a plurality of lower patterns belonging to each upper pattern, wherein the upper pattern is a data extraction pattern, a data conversion pattern, and a data loading pattern Lt; / RTI > Defining a function for a subpattern as a method concept; Extracting data from a source system by executing a data extraction pattern and a subpattern attributed thereto; Executing a data conversion pattern and a subpattern assigned thereto,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data to be interlocked with a target system; And loading the converted data into the target system by executing the data loading pattern and the sub pattern assigned thereto.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소스 시스템과 타겟 시스템간의 데이터를 연동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이종의 시스템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한 플랫폼 기반의 오픈 API를 사용하지 않아 범용성이 적어 시스템의 확장에 있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타 시스템과의 연동에도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oes not use a platform-based open API for interworking data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that interlocks data between a source system and a target system, There is also a limitation in interworking with other systems.

대한민국 공개등록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14259호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교육 중개 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Korean Public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2018-0014259 entitled " Educational Medi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Educational Medi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Providing Method " 대한민국 공개등록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10704호 서비스 패턴화를 이용한 이종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 방법"Korean Public Registration Bulletin No. 10-2018-0010704 " Method of interworking data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using service patterning "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학이나 교육기관과 같은 기관에서 종래의 구축된 레거시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다양한 데이터에 대하여 이를 분석하고 통계화하여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는 리포트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정규화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준화되고, 정규화되어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에 부합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는 핵심 API를 자동 생성하여 변환하여 등록하는데 있어 각종 인증 프로세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정규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피봇테이블이나 차트가 적용된 통계지표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나아가 대학의 특성화 사업의 핵심성과지표 데이터의 수집 분석에 있어 항목별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 업무프로세스의 표준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arious existing data stored in a legacy system established in a conventional institution, such as a university or an educational institution, To perform the report tool operation, core APIs that can convert the data to conform to the classification code are automatically generated, converted, and registered to the standardized, normalized, and scalable data collected from the denormalized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generating a key performance indicator of a university specialization project by setting up various authentication processors and generating statistical indices to which an administrator or a user requires pivot tables or charts using the normalized data generated through the set process, Evaluation of items b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o provide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new big data that can build standardization of business processes that can be provide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대학의 각 기관별 분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정책에 따라 데이터 수집형식을 자동생성하고, 기존의 데이터에 대한 인증 및 통합정보를 관리하며,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출력API를 생성하는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과 상기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의 형식을 설정하고, 핵심지표를 설정하며, 데이터의 코드를 관리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핵심지표에 따라 분류코드를 설정하는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과 상기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을 통해 정규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집필드를 통해 API가 자동 생성되어 주제영역별로 저장하여 등록하는 데이터등록모듈(130); 및 상기 데이터등록모듈(130)을 통해 등록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마트를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셋을 설정받아 주제영역별 데이터마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각화보고서에 사용될 피봇데이터 및 차트형태의 통계지표를 생성하는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collection forma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a collection policy for unregistered data stored separately for each institution of a university, A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for manag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output API for outputting to an administrator, and a controller for setting a format of data with respect to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A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for managing the data codes and setting the classification codes according to the core indexes of the collected data, and a collection field for generating the normalized data through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A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registering APIs according to subject areas and registering them; And a data set for generating a data mart from the data registered through 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to generate a data mart for each subject area, and generates pivot data and chart type statistics And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for generating an index.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is provi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은 관리자로부터 종래의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정책에 대하여 설정을 받는 수집정책설정부(111);와 상기 수집정책설정부(111)에 따라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코드를 부여하는 분류코드부여부(112);와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인증 및 통합정보를 관리하는 인증통합관리부(113); 및 기존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데이터 및 데이터 형식을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of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1 that receives settings for the collection policy from the manager, A classification code assignment unit 112 for assigning a classification code for unqualified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1 and an authentication integration management unit 113 for managing authentication and integration information on the non- ); And a data output unit (114) for outputting data and a data format to the manager on the existing data.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은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의 형식을 설정받는 데이터형식설정부(121);와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에 필요한 핵심지표를 설정받는 핵심지표설정부(122); 및 상기 핵심지표설정부(122)에 따른 핵심지표에 따라 관리자로부터 분류코드를 설정하는 분류코드설정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of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format setting unit 121 for setting the format of the standardized data on the unqualified data collected from the manager, A core index setting unit 122 for setting a core index necessary for classification of unqualified data collected from an administrator; And a classification code setting unit (123) for setting a classification code from an administrator according to a core index according to the core index setting unit (122).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등록모듈(130)은 상기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에 따라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형식설정부(121)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규화하는 데이터정규화부(131);와 상기 데이터정규화부(131)에 의해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핵심지표설정부(123)에 따라 핵심지표를 부가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류하는 핵심지표부가부(132);와 상기 핵심지표부가부(132)에 따라 분류된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가 부가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분류부(133); 및 상기 데이터분류부(133)에서 분류된 분류코드 및 핵심지표가 부가된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별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데이터등록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of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data denormalize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And a key index unit for generating and classifying data by adding a key index according to the key index setting unit 123 with respect to the data normalized by the data normalization unit 131, A data classification unit 133 for generating data having a classification code added to the normalized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ey index addition unit 132; And a data registration unit (134) for storing the data for each classification code in the database with respect to the normalized data to which the classification code and the key index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133) are added. do.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관리자로부터 데이터마트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셋을 설정받는 데이터셋설정부(141);와 상기 데이터셋설정부(141)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마트를 생성하는 데이터마트생성부(142);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통계지표의 종류에 대하여 입력받는 사용자요구입력부(143);와 상기 데이터마트생성부(142)에서 생성된 데이터마트로부터 상기 사용자요구입력부(143)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144);와 상기 데이터추출부(144)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요구입력부(143)에서 입력받은 통계지표에 따라 통계지표를 생성하는 통계지표생성부(145); 및 상기 통계지표생성부(145)에서 생성된 통계지표를 기반으로 성과분석시각화 보고서를 구성하는 보고서구성부(14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of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set setting unit 141 for setting a data set necessary for generating a data mart from an administrator, A data mart generating unit 142 for generating a data mar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et setting unit 141, a user request inputting unit 143 for inputting the types of data and statistical indices matching the user's request from the user, A data extraction unit 144 for extracting necessary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putted from the user request input unit 143 from the data mart generated by the data mart generation unit 142, A statistical indicator generator 145 for generating an statistical indicator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dicator received from the user request input unit 143 using the data extracted from the statistical indicator; And a report construction unit (146) for constructing a performance analysis visualization report based on the statistical indices generated by the statistical indicator generation unit (145).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하여 핵심성과 관리지표에 대한 항목별로 기준값, 목표값, 달성값 및 달성율을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과관리평가부(147);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of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reference value, the target value, the achievement value, and the achievement rate for each item of the core performance management index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unit (147) that allows the user or an administrator to display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플랫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에 분포된 비정규화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수집하여 분석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정의한 핵심 API를 통해서 각종 데이터와 성과분석을 위한 핵심지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성과분석 및 리포팅툴과의 연계를 통해 핵심지표별 다양한 보고서를 사용자가 손쉽게 작성하거나 분석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플랫폼을 통한 다양한 대학 사업 모델의 시스템 적용을 통해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의 유기적인 연동을 가능케 하고, 기존 시스템에서 정의되지 않은 필수 데이터를 플랫폼 서비스 내에서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단계에서 직접 생성 수집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신규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어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는 산학협력 기반 시스템 구축에 있어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의 유기적 연계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스템 이중 구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다양한 산학협력 서비스 모델과의 연계 및 통합을 통해 산학협력 운영 및 기반 시스템 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뿐만 아니라 원스톱 산학협력 서비스 제공을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unqualified data distributed in a legacy system into platform-based legacy systems into normalized data, Through the core API, it is possible to collect key index result data for analyzing various data and performance, linking with performance analysis and reporting too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users can easily create various reports according to key indicators Analysis, and application of various college business models through the platform to enable organic interworking with existing legacy systems, and to integrate essential data not defined in existing systems into legacy systems in platform services. By directly creating and collecting at the interlocking stage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system upgrading and new system construction requir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of unnecessary duplication of system by making it easy to organically link with existing legacy system and interworking with database syste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one-stop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ervice as well as drastically reduce the cost of establishing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operation and infrastructure system through linkage and integration with various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ervice mode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핵심 API 관리플랫폼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수집설정모듈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등록모듈에 대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re API management platform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registration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마그네틱 전자척, 전자척 제어장치, 관제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magnetic electronic chuck, the electronic chuck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the database, and the like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Particularly,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elements and structures of elemen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a technical struc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riefly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은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 데이터등록모듈(130) 및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은 종래의 대학에서 각 부서나 학과등 기관별로 분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준화된 형식으로 변환한 후 이를 정재하여 저장 및 등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데이터 변환 및 수집, 분석을 수행한다.1 and 2, the data analysis system 100 includes a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a data collection configuration module 120, a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and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 The data analysis system 100 is a platform-based system capable of extracting and storing data separated and stored by each department or department in a conventional university, converting the data into a standardized format, and automatically storing and registering the converted data Data conversion and collection, and analysis.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직접 정의한 핵심 API를 통해서 각종 데이터와 성과분석을 위한 핵심지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 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성과분석 및 리포팅툴과의 연계를 통해 핵심지표별 다양한 보고서를 사용자가 손쉽게 작성하거나 분석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analysis system 100 is capable of collecting key index result data for various data and performance analysis through a core API defined by the user, thereby linking with performance analysis and reporting tool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t enables users to easily create various reports for each key indicator or perform analysis task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핵심 API 관리플랫폼의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re API management platform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은 핵심 API관리 플랫폼을 핵심으로 하며, 핵심 API 관리 플랫폼은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수집양식을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에서 생성하는 것만으로 Open API가 자동 생성되며 연계하고자 하는 시스템과의 연계방식 및 DB 연동 규칙을 등록해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시스템과 연계하더라도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re API management platform is the core of the data analysis system 100. The core API management platform automatically generates the data and the collection form to be collected by the user in the system, By registering and using the linking method and the DB linking rule, a standardized interface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any system.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은 비정규 데이터는 핵심 API 플랫폼을 통해 동일한 코드로 매핑 수집됨으로써 정규화 되며, 핵심 API 플랫폼 내에서는 연계중인 DB 시스템의 데이터 형식이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한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data analysis system 100 normalizes the irregular data by mapping it to the same code through the core API platform and converts it into standardized data defined by the user even if the data format of the associated DB system is changed within the core API platform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data by being stor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은 수집정책설정부(111), 분류코드부여부(112), 인증통합관리부(113) 및 데이터출력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은 대학의 각 기관별 분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정책에 따라 데이터 수집형식을 자동생성한다.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은 기존의 데이터에 대한 인증 및 통합정보를 관리하며,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출력API를 생성한다.4, the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includes a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1, a classification code assignment unit 112, an authentication integration management unit 113, and a data output unit 114 . The collected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automatically generates a data colle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olicy for the unregulated data stored separately for each institution of the university. The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manages authentication and integration information for existing data and generates an output API to output to the administrator.

수집정책설정부(111)는 관리자로부터 종래의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정책에 대하여 설정을 받는다.The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1 receives settings for the collection policy from the manager for the conventional non-normalized data.

분류코드부여부(112)는 상기 수집정책설정부(111)에 따라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코드를 부여한다.The classification code assigning unit 112 assigns a classification code for denormalized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1. [

인증통합관리부(113)는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인증 및 통합정보를 관리한다.The authentication integration management unit 113 manages the authentication and integrati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non-normalized data.

데이터출력부(114)기존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데이터 및 데이터 형식을 출력한다.The data output unit 114 outputs the data and the data format to the manager about the existing dat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수집설정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은 데이터형식설정부(121), 핵심지표설정부(122) 및 분류코드설정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은 상기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의 형식을 설정한다.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은 핵심지표를 설정하며, 데이터의 코드를 관리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핵심지표에 따라 분류코드를 설정한다.5,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includes a data format setting unit 121, a key index setting unit 122, and a classification code setting unit 123.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sets the data format for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sets the key index, manages the code of the data, and sets the class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core index of the collected data.

데이터형식설정부(121)는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의 형식을 설정받는다.The data format specification unit 121 sets the format of the standardized data on the non-normalized data collected from the manager.

핵심지표설정부(122)는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에 필요한 핵심지표를 설정받는다.The core index setting unit 122 sets a core index necessary for classification of the non-normalized data collected from the manager.

분류코드설정부(123)는 상기 핵심지표설정부(122)에 따른 핵심지표에 따라 관리자로부터 분류코드를 설정받는다.The classification code setting unit 123 receives the classification code from the manager according to the core index according to the core index setting unit 122.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등록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registration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등록모듈(130)은 데이터정규화부(131), 핵심지표부가부(132), 데이터분류부(133) 및 데이터등록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등록모듈(130)은 상기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을 통해 정규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집필드를 통해 API가 자동 생성되어 주제영역별로 저장하여 등록한다.6, 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includes a data normalization unit 131, a core index addition unit 132, a data classification unit 133, and a data registration unit 134. As shown in FIG. 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automatically generates an API through a collection field for generating normalized data through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and stores and registers the API for each subject area.

데이터정규화부(131)는 상기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에 따라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형식설정부(121)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규화한다.The data normalization unit 131 receives data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setting unit 121 and normalizes the data denormalize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핵심지표부가부(132)는 상기 데이터정규화부(131)에 의해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핵심지표설정부(123)에 따라 핵심지표를 부가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류한다. The key index adding unit 132 adds the key index to the data normalized by the data normalization unit 131 according to the key index setting unit 123, and generates and classifies the data.

데이터분류부(133)는 상기 데이터분류부(132)에 따라 분류된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가 부가된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data classification unit 133 generates data to which the classification code is added for the normalized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132. [

데이터등록부(134)는 상기 데이터분류부(133)에서 분류된 분류코드 및 핵심지표가 부가된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별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한다.The data registration unit 134 stores data for each classification code in the database and registers the normalized data to which the classification index and the key index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133 are add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데이터셋설정부(141), 데이터마트생성부(142), 사용자요구입력부(143), 데이터추출부(144), 통계지표생성부(145) 및 보고서구성부(14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상기 데이터등록모듈(130)을 통해 등록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마트를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셋을 설정받는다.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아 주제영역별 데이터마트를 생성한다. 7,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includes a data set setting unit 141, a data mat creating unit 142, a user request inputting unit 143, a data extracting unit 144, (145) and a report construction unit (146).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sets a data set necessary for generating a data mart from the data registered through 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generates a data mart for each subject area.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예시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각화보고서에 사용될 피봇데이터 및 차트형태의 통계지표를 생성한다. 프로그램별 실적 통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에 따라 발생하는 실적을 프로그램별로 구분된 데이터마트를 통해서 생성하고, 학과(부)별 사업성과는 학과 또는 학부에서 시행되는 과제들의 사업성과에 대하여 데이터마트를 생성하여 주요사업성과를 표시한다.As shown in FIG. 8,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generates pivot data and a statistical index in the form of a chart to be used in a visualization repor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the case of performance statistics for each program, the results generated by the program are generated through data marts classified by program, and business performance by department (department) is created by creating a data mart on the performance of the tasks performed by the department or department Indicate key business performance.

그리고 교수별 사업성과는 교수별로 데이터마트를 생성하여 교수별로 진행되었거나 진행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를 조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professors' professors can generate data marts for each professor,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fessed or ongoing projects can be inquired.

데이터셋설정부(141)는 관리자로부터 데이터마트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셋을 설정받는다.The data set setting unit 141 sets a data set necessary for generating a data mart from the manager.

데이터마트생성부(142)는 상기 데이터셋설정부(141)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마트를 생성한다.The data mart generating unit 142 generates a data mar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data set setting unit 141. [

사용자요구입력부(143)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통계지표의 종류에 대하여 입력받는다.The user request input section 143 receives the types of data and statistical indices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quest from the user.

데이터추출부(144)는 상기 데이터마트생성부(142)에서 생성된 데이터마트로부터 상기 사용자요구입력부(143)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The data extracting unit 144 extracts necessary data from the data mart generated by the data mart generating unit 142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nputted from the user request inputting unit 143. [

통계지표생성부(145)는 상기 데이터추출부(144)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요구입력부(143)에서 입력받은 통계지표에 따라 통계지표를 생성한다.The statistical index generating unit 145 generates an statistical index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dices received from the user request input unit 143 using the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ng unit 144.

보고서구성부(146)는 상기 통계지표생성부(145)에서 생성된 통계지표를 기반으로 성과분석시각화 보고서를 구성한다.The report construction unit 146 constructs a performance analysis visualization report based on the statistical indices generated by the statistical indicator generation unit 145.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통계정보관리모듈에 대한 예시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 example of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a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성과관리평가부(147)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further includes a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unit 147.

성과관리평가부(147)는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하여 핵심성과 관리지표에 대한 항목별로 기준값, 목표값, 달성값 및 달성율을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성과관리평가부(147)는 대학교에서 수행한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하여 지정된 핵심성과 관리지표에 있는 각 항목에 대한 기준값, 목포값을 제시하고, 항목의 달성값을 목표값으로 나눈 달성율을 나타내어 사업의 성과에 대하여 평가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unit 147 can display the reference value, the target value, the achievement value, and the achievement rate to the user or the manager for each item of the key performance management index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business. The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unit 147 presents the reference value and Mokpo value for each item in the designated core performance management index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business performed by the university and displays the achievement rate obtained by dividing the achievement value of the item by the target value, And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or manager.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kind of hardware.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field of < / RTI >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 예들과 같이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latform-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the big dat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 데이터 분석 시스템 110 :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
111 : 수집정책설정부 112 : 분류코드부여부
113 : 인증통합관리부 114 : 데이터출력부
120 : 데이터수집설정모듈 121 : 데이터형식설정부
122 : 핵심지표설정부 123 : 분류코드설정부
130 : 데이터등록모듈 131 : 데이터정규화부
132 : 핵심지표부가부 133 : 데이터분류부
134 : 데이터등록부 140 : 통계정보관리모듈
141 : 데이터셋설정부 142 : 데이터마트생성부
143 : 사용자요구입력부 144 : 데이터추출부
145 : 통계지표생성부 146 : 보고서구성부
147 : 성과관리평가부
100: Data analysis system 110: Collected data normalization module
111: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2: classification code provision
113: authentication integrated management unit 114: data output unit
120: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1: Data formatting section
122: key index setting unit 123: classification code setting unit
130: Data registration module 131: Data normalization module
132: core indicator addition unit 133: data classification unit
134: data registration unit 140: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1: Data set setting unit 142: Data mart generating unit
143: user request input unit 144: data extraction unit
145: statistical index generator 146: report generator
147: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Unit

Claims (6)

관리자로부터 종래의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정책에 대하여 설정을 받는 수집정책설정부(111);와, 상기 수집정책설정부(111)에 따라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코드를 부여하는 분류코드부여부(112);와,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인증 및 통합정보를 관리하는 인증통합관리부(113); 및 기존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데이터 및 데이터 형식을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대학의 각 기관별 분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정책에 따라 데이터 수집형식을 자동생성하고, 기존의 데이터에 대한 인증 및 통합정보를 관리하며,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출력API를 생성하는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의 형식을 설정받는 데이터형식설정부(121);와,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에 필요한 프로그램별 실적 통계, 학과(부)별 사업성과 및 교수별 사업성과를 대상으로 각 항목에 대한 기준값, 목포값을 제시하고, 항목의 달성값을 목표값으로 나눈 달성율을 나타내어 사업의 성과에 대하여 평가하는 핵심지표를 설정받는 핵심지표설정부(122); 및 상기 핵심지표설정부(122)에 따른 핵심지표에 따라 관리자로부터 분류코드를 설정하는 분류코드설정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집데이터정규화모듈(11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의 형식을 설정하고, 핵심지표를 설정하며, 데이터의 코드를 관리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핵심지표에 따라 분류코드를 설정하는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
상기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을 통해 정규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집필드를 통해 API가 자동 생성되어 프로그램별 실적 통계, 학과(부)별 사업성과 및 교수별 사업성과에 대한 주제영역별로 저장하여 등록하는 데이터등록모듈(130); 및
상기 데이터등록모듈(130)을 통해 등록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마트를 생성에 필요한 프로그램별 실적 통계, 학과(부)별 사업성과 및 교수별 사업성과에 대한 데이터셋을 설정받아 주제영역별 데이터마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각화보고서에 사용될 피봇데이터 및 차트형태의 통계지표를 생성하는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
A collection policy setting unit (111) for receiving a setting of a collection policy from a manager based on a conventional non - normalized data; a classification code setting unit (111) An authentication integration management unit (113) for managing authentication and integration information on the non - normalized data; And a data output unit (114) for outputting data and a data format to an administrator with respect to existing data, wherein the data output unit (114) is configured to collect data according to a collection policy A collection data normalization module 11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format, managing authentication and integration information on existing data, and generating an output API for output to an administrator;
A data type setting unit 121 for setting a format of standardized data for unqualified data collected from an administrator, and a program management unit 121 for performing program-specific performance statistics required for classifying unqualified data collected from the manager, A core index setting unit that sets a core index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business by presenting a reference value and a Mokpo value for each item and displaying an achievement rate obtained by dividing the achievement value of the item by the target value, (122); And a classification code setting unit (123) for setting a classification code from an administrator according to a core index according to the core index setting unit (122), wherein the classification index setting unit (123) A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for setting a format of data for data, setting a core index, managing a code of data, and setting a class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core index of collected data;
The API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the collection field for generating the normalized data through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and is stored for each subject area on the performance statistics by program, business performance by department (depar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by professor, A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for receiving the data; And
A data set for each program, which is necessary for generating a data mart from the data registered through 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a data set for business performance per department (department) and a business performance for each professor, and generates a data mart for each subject area And a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for generating pivot data and a statistical index in the form of a chart to be used in a visualization repor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등록모듈(130)은,
상기 데이터수집설정모듈(120)에 따라 비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형식설정부(121)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규화하는 데이터정규화부(131);
상기 데이터정규화부(131)에 의해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핵심지표설정부(123)에 따라 핵심지표를 부가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류하는 핵심지표부가부(132);
상기 핵심지표부가부(132)에 따라 분류된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가 부가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분류부(133); 및
상기 데이터분류부(133)에서 분류된 분류코드 및 핵심지표가 부가된 정규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코드별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데이터등록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registration module (130)
A data normalization unit 131 for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setting unit 121 and normalizing the data denormalize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setting module 120;
A key index appending unit 132 for appending a key index according to the core index setting unit 123 to the data normalized by the data normalization unit 131 to generate and classify data;
A data classification unit 133 for generating data to which a classification code is added for the normalized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ey index addition unit 132; And
And a data registration unit (134) for storing the data in the database by the classification code for the normalized data to which the classification code and the core index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ying unit (133) are added and registering the same. A platform - 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관리자로부터 데이터마트의 생성에 필요한 프로그램별 실적 통계, 학과(부)별 사업성과 및 교수별 사업성과에 대한 데이터셋을 설정받는 데이터셋설정부(141);
상기 데이터셋설정부(141)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마트를 생성하는 데이터마트생성부(142);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통계지표의 종류에 대하여 입력받는 사용자요구입력부(143);
상기 데이터마트생성부(142)에서 생성된 데이터마트로부터 상기 사용자요구입력부(143)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144); 및
상기 데이터추출부(144)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요구입력부(143)에서 입력받은 통계지표에 따라 통계지표를 생성하는 통계지표생성부(145);
상기 통계지표생성부(145)에서 생성된 통계지표를 기반으로 성과분석시각화 보고서를 구성하는 보고서구성부(14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A data set setting unit 141 for setting a data set for program-specific performance statistics required for generation of a data mart from an administrator, business performance for each department (depar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for each professor;
A data mart generating unit 142 for generating a data mar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data set setting unit 141;
A user request inputting section 143 for receiving, from a user,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data and the type of statistical index that meet the user's request;
A data extracting unit 144 for extracting necessary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input from the user request input unit 143 from the data mart generated by the data mart generating unit 142; And
An statistical indicator generator 145 for generating statistical indicator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dicators received from the user request input unit 143 using the data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ing unit 144;
And a report construction unit (146) for constructing a performance analysis visualization report based on the statistical indices generated by the statistical indicator generation unit (145). system.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관리모듈(140)은,
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하여 핵심성과 관리지표에 대한 항목별로 기준값, 목표값, 달성값 및 달성율을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과관리평가부(147);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기반 대학 정보 데이터 분석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unit 147 for displaying a reference value, a target value, a achieved value, and a achievement rate for each item of the key performance management indicator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business, to the user or the manager A platform - 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KR1020180018606A 2018-02-14 2018-02-14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KR101996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06A KR101996382B1 (en) 2018-02-14 2018-02-14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06A KR101996382B1 (en) 2018-02-14 2018-02-14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382B1 true KR101996382B1 (en) 2019-07-03

Family

ID=6725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06A KR101996382B1 (en) 2018-02-14 2018-02-14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8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0969A (en) * 2020-03-06 2020-06-09 华南农业大学 Data mining course teaching practice system and teaching practice method based on system
KR102186494B1 (en) 2020-03-05 2020-12-03 연성대학교 산학협력단 Adaptive big data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university performance management and personalized student support
KR102260591B1 (en) * 2020-10-12 2021-06-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ata-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KR102275986B1 (en) * 2020-10-12 2021-07-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solution-based data analysis and prediction and operation method
WO2022234900A1 (en) * 2021-05-05 2022-11-10 (주)미래융합정보기술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including competency achievement system for curriculum cqi based on core competenc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126A (en) * 2007-04-11 2007-05-10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Asadal : system for providing feature-oriented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environment
KR20150133902A (en) * 2014-05-20 2015-12-01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of service based on software product line
KR20170094935A (en) * 2016-02-12 2017-08-22 중소기업은행 System for providing enterprise information and method
KR20180010704A (en)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between different systems by patterning services
KR20180014259A (en) 2016-07-05 2018-02-08 (주)모두파트너스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brokerage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brokerage ser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126A (en) * 2007-04-11 2007-05-10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Asadal : system for providing feature-oriented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environment
KR20150133902A (en) * 2014-05-20 2015-12-01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of service based on software product line
KR20170094935A (en) * 2016-02-12 2017-08-22 중소기업은행 System for providing enterprise information and method
KR20180014259A (en) 2016-07-05 2018-02-08 (주)모두파트너스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brokerage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brokerage service
KR20180010704A (en)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between different systems by patterning ser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kola Ilo et al, "Combining Software Interrelationship Data across Heterogeneous Software Repositori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Maintenance and Evolution, pp. 571-575(2015.11.)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494B1 (en) 2020-03-05 2020-12-03 연성대학교 산학협력단 Adaptive big data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university performance management and personalized student support
CN111260969A (en) * 2020-03-06 2020-06-09 华南农业大学 Data mining course teaching practice system and teaching practice method based on system
CN111260969B (en) * 2020-03-06 2021-12-14 华南农业大学 Data mining course teaching practice system and teaching practice method based on system
KR102260591B1 (en) * 2020-10-12 2021-06-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ata-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KR102275986B1 (en) * 2020-10-12 2021-07-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solution-based data analysis and prediction and operation method
WO2022234900A1 (en) * 2021-05-05 2022-11-10 (주)미래융합정보기술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including competency achievement system for curriculum cqi based on core competenc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382B1 (en) System for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Platform Using The BigData
Karuri et al. DHIS2: the tool to improve health data demand and use in Kenya
US7219307B2 (en) Methods for graphically representing interactions among entities
US20020065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visual analyses of organizational interactions
Premchaiswadi et al. Process modeling and bottleneck mining in online peer-review systems
CN109784721B (en) Employment data analysis and data mining analysis platform system
CN106326482A (en) System of visualized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file conversion and method thereof
Alfiero et al. Intellectual capital-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udy in healthcare sector
CN111949779A (en) Intelligent rail transit response method and system based on knowledge graph
CN112052246B (en) Medic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data processing method
KR101552216B1 (en) Integrated system for research productivity and operation managment based on big date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Deniz et al. An academic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student and program assessment
Tariq School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StyleJ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Low income and Underdeveloped Country
Goel et al. Data governance for managing data quality in process mining
CN108897877A (en) Big data analysis tool and method based on EXCEL
CN113837903A (en) Patent application flow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Samsudin et al. Expert system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lead responding agency in Malaysia during response and early recovery phases
Rossi et al. Leveraging multi-level modeling for multi-domain quality assessment
Feijoó et al. GAP: Enhanc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Genomic Datasets and Provenance Through Nanopublications
Guetibi et al. Three dimensions’ comparison of two hospital centres: Usefulness, ease of use and functional analyses of the information system
Najafpour et al. A multi-phase approach for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for human resources for health observatory (HRHO) toward integrating data and evidence: a case study of Iran
Noppen et al. ETAK: tailoring architectural evolution by (re-) using architectural knowledge
Oyoo Tracing Superior Non-Financial Performance to Knowledge Creation: An Empirical Study of Family Firms
Purnamafajari et al. Design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Employee Performance Appraisal Using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Method
Dong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Data Mining Technology in the Integrated Teaching of Psychology and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