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312B1 -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312B1
KR101996312B1 KR1020170173036A KR20170173036A KR101996312B1 KR 101996312 B1 KR101996312 B1 KR 101996312B1 KR 1020170173036 A KR1020170173036 A KR 1020170173036A KR 20170173036 A KR20170173036 A KR 20170173036A KR 101996312 B1 KR101996312 B1 KR 10199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ensor
unit
wall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2022A (en
Inventor
최충영
김종도
박성종
박용환
안중은
이성주
함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12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6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of moving liquids
    • G01K2013/02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온도 측정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관의 중심으로 연장된 외벽을 구비하여 상기 외벽의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외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센서 수용부를 지날 때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하여 상기 센서 수용부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와류 저감부를 포함한다.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is provided.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fluid inserted into a pipe through which a fluid moves,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sensor for sensing temperature and an outer wall exten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portion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wherein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to suppress a vortex generated when the fluid passes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to attenuate vibration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And a vortex reduction section.

Description

온도 측정 장치{Temperature sensing apparatus}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써모웰(thermowell)이 이용될 수 있다. 써모웰은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써모웰에 수용된 온도 센서가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A thermowell can be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ping. The thermowell is placed inside the pipe, and the temperature sensor housed in the thermowell can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pe.

일본공개특허 특표2013-504062 (2013.02.04)Japan Patent Specification 2013-504062 (2013.02.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도 측정 장치의 일 면(aspect)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관의 중심으로 연장된 외벽을 구비하여 상기 외벽의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외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센서 수용부를 지날 때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하여 상기 센서 수용부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와류 저감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pect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temperature, and an outer wall exten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vortex reduc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wall for suppressing a vortex generate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to attenuate vibration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와류 저감부는 상기 외벽의 일측 표면으로 진입한 유체를 타측 표면으로 진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관통부를 포함한다.The vortex reducing part includes at least one fluid penetrating part for advancing the fluid that has entered one surface of the outer wall to the other surface.

상기 유체 관통부는 홀 또는 슬릿의 형상을 갖는다.The fluid penetrating portion has a shape of a hole or a slit.

상기 유체 관통부는 상기 내부 수용 공간과 통하지 않고 상기 외벽을 관통한다.The fluid penetrating portion penetrates the outer wall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상기 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와류 저감부는, 상기 배관의 내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로 공급되는 유체를 가압하는 분사 가압부를 포함한다.In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the vortex reducing section includes a jetting section for jetting the fluid into the piping, and a jetting-pressurizing section for pressurizing the fluid supplied to the jetting sec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가 배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를 통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pipe.
3 to 5 are side views of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that fluid is injected through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showing a fluid being injected in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온도 측정 장치(10)는 센서부(100), 송신부(200) 및 센서 수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 includes a sensor unit 100, a transmitter 200, and a sensor receiver 300.

본 발명에서 온도 측정 장치(10)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 is inserted into a pipe through which a fluid mov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can be measured.

센서부(100)는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100)는 센서 수용부(30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센서부(100)는 센서 수용부(300)의 외부에서 내부 수용 공간으로 전달되는 열에 대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temperature. The sensor unit 1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300 to sense temperature.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00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300 to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송신부(200)는 센서부(1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부(2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온도가 포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200)에 의하여 송신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는 센서부(1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mission unit 200 transmits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unit 100 to the outside. The transmitter 200 can transmi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by radio or wire.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200, the user can check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unit 100.

센서 수용부(300)는 내부 수용 공간에 센서부(100)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 수용부(300)에 의하여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센서부(100)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센서 수용부(300)는 일측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수용부(300)는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한 긴 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serves to accommodate the sensor part 100 in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y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300, the sensor unit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00 may have a long shap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00 may have the form of a long tube having an internal receiving space.

센서 수용부(300)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 결합될 수 있다. 배관과의 결합을 위하여 플랜지(FR)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can be coupled to the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 flange (FR)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pip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가 배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pipe.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측정 장치(10)는 배관(20)에 결합될 수 있다. 배관(20)은 유체의 흐름을 위한 주 배관(21)과, 온도 측정 장치(10)와의 결합을 위한 보조 배관(2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 may be coupled to the pipe 20. The piping 20 may include a main piping 21 for the flow of the fluid and an auxiliary piping 22 for coupling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수용부(300)는 일측 방향으로 긴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배관(22)으로 유입된 센서 수용부(300)의 말단은 주 배관(21)의 유체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센서 수용부(300)의 말단이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에 노출되고, 센서 수용부(300)에 수용된 센서부(100)는 간접적으로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 또는 주 배관(2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00 may have a shape of a long tube in one direction. The distal end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piping 22 may be disposed on the fluid path of the main piping 21. The sensor unit 100 accommodated in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300 is indirectly hea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or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pipe 21 can be measured.

센서 수용부(300)는 주 배관(21)의 경로 즉,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300)의 장축과 유체 방향이 대략 수직일 수 있는 것이다.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may be dispos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ath of the main pipe 21,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The long axis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and the fluid direction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센서 수용부(300)에 부딪힌 유체는 센서 수용부(300)의 표면을 타고 흐르다가 센서 수용부(300)에서 이탈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와류에 의하여 센서 수용부(30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동이 심해지는 경우 센서부(100)에 의한 올바른 온도 측정이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The fluid impinging on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may flow along the surfac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and may be detached from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to form a vortex. Vibration may occur in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due to the eddy current, and when the vibration becomes severe, the sensor part 100 may not be able to perform a proper temperature measur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300)는 와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수용부(300)는 와류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와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수용부(300)에 의하여 분사되는 유체는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일 수 있고, 별도의 유체일 수도 있다. 별도의 유체인 경우 이는 액체일 수 있고 기체일 수도 있다.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eddy current. Specifically,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can suppress the eddy current by injecting the fluid into the region where the eddy current is formed. Here, the fluid injected by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may be a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or may be a separate fluid. In the case of a separate fluid, it may be a liquid or a gas.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센서 수용부(300)의 형태 및 기능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를 통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S. 3 to 5 are side views of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fluid injecting through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서 수용부(300)는 배관(20)의 중심으로 연장된 외벽(3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310)은 대체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벽(310)에 의하여 센서부(100)가 수용되는 내부 수용 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3 through 5,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00 may include an outer wall 310 exten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20. The outer wall 310 may have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n inner space 320 in which the sensor unit 100 is received by the outer wall 310 can be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수용부(300)는 와류를 억제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센서 수용부(300)는 와류 저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 저감부(400)는 센서 수용부(300)의 외벽(320)에 구비되어 유체가 센서 수용부(300)를 지날 때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하여 센서 수용부(300)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300 can suppress the eddy current. To this end,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300 may include the eddy current abatement unit 400. The vortex reducing part 400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320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so as to suppress vortices generate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have.

와류 저감부(400)는 센서 수용부(300)의 외벽(310)의 일측 표면으로 진입한 유체를 타측 표면으로 진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rtex reducing part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fluid penetrating part for advancing the fluid that has entered one surface of the outer wall 310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300 to the other surface.

유체 관통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홀 또는 슬릿 형상의 유체 관통부는 센서 수용부(300)의 외벽(310)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10)의 두께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fluid penetrating portion may have a shape of a hole, as shown in Fig. 3, and may have a shape of a slit as shown in Fig. Hole or slit-shaped fluid penet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wall 310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outer walls 310 may be provided alo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310.

유체 관통부는 내부 수용 공간(320)과 통하지 않고 외벽(310)을 관통할 수 있다. 유체 관통부가 내부 수용 공간(320)과 통하는 경우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가 내부 수용 공간(320)에 침투될 수 있다. 유체 관통부가 내부 수용 공간(320)과 통하지 않음에 따라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가 내부 수용 공간(320)에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The fluid penetrating portion can penetrate the outer wall 310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320.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can be infiltrated into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320 when the fluid penetrating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320.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may not penetrate into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320 as the fluid penetrating portion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320.

또한, 와류 저감부(400)가 형성된 외벽(310)의 해당 부분은 외벽(310)의 외측 표면에 비하여 센서부(100)가 수용된 내부 수용 공간(320)과의 거리가 가까울 수 있다. 이에, 와류 저감부(4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열은 보다 원활하게 센서부(100)에 전달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outer wall 310 formed with the vortex reduction portion 400 may be closer to the inner storage space 320 where the sensor portion 100 is housed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310. Accordingly, the hea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vortex reduction unit 400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100 more smoothly.

도 6을 참조하면, 주 배관(21)을 흐르다가 센서 수용부(300)로 접근한 유체(30)는 센서 수용부(3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30) 중 일부는 와류 저감부(400)의 일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하여, 와류 저감부(400)로 진입한 유체는 와류 저감부(400)의 타측으로 진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luid 30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and approaching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may flow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Part of the fluid 30 flowing along the outer surface enters one side of the vortex reduction section 400. Thus, the fluid that has entered the vortex reduction unit 400 can advance to the other side of the vortex reduction unit 400.

와류 저감부(400)에 진입하지 않고 센서 수용부(3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흘러 센서 수용부(300)의 반대측에 도달한 유체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와류 저감부(400)에서 진출한 유체가 와류를 형성한 유체와 충돌하고, 이로 인하여 와류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The fluid that flow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and does not enter the vortex reducing portion 400 and reaches the opposite sid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300 can form a vortex. At this time, the fluid advancing from the vortex reducing section 400 collides with the fluid forming the vortex, and the formation of the vortex can be suppress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온도 측정 장치(11)는 센서부(500), 송신부(600), 센서 수용부(700) 및 와류 저감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7, th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1 includes a sensor unit 500, a transmitting unit 600, a sensor receiving unit 700, and a vortex reducing unit 800.

센서부(500)는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부(600)는 센서부(5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500) 및 송신부(600)의 기능은 전술한 센서부(100) 및 송신부(200)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nsor unit 500 senses the temperature. The transmitting unit 600 transmits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unit 500 to the outside. The functions of the sensor unit 500 and the transmission unit 60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sensor unit 100 and the transmission unit 200,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센서 수용부(700)는 내부 수용 공간(720)에 센서부(500)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센서 수용부(700)는 와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수용부(700)는 유체를 분사하여 와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수용부(700)에는 유체를 분사하는 와류 저감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700 serves to receive the sensor unit 500 in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720. Further,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can suppress eddy current. Specifically,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can suppress the eddy current by injecting the fluid. To this end,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700 may be provided with a vortex reducing part 800 for injecting a fluid.

와류 저감부는 가압된 유체를 분사하여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한 와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The vortex reducing section can suppress the vortex caused by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by injecting the pressurized fluid.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통하여 분사 압력이 가해진 유체를 분사하는 와류 저감부(8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ortex reducing unit 800 for injecting the fluid to which the injection pressur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FIG.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8 to 10 are views showing a fluid being injected in a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센서 수용부(700)에는 와류 저감부(800)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vortex reducing part 80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700.

와류 저감부(800)는 분사 가압부(810), 유체 이송관(820) 및 분사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이송관(820) 및 분사부(830)는 센서 수용부(700)의 외벽(7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vortex reduction unit 800 may include an injection pressure unit 810, a fluid transfer pipe 820, and a jetting unit 830. The fluid transfer pipe 820 and the jetting unit 830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wall 710 of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700.

유체 이송관(820)은 분사 가압부(810)에 연결되어 분사 가압부(810)에서 배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분사 가압부(810)에 의하여 분사 압력이 가해진 유체를 가압 유체라 한다. 분사 가압부(810)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체를 가압하여 가압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가압부(810)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가압 유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배관(20)을 흐르는 유체 중 일부를 이용하여 가압 유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 가압부(810)는 가압 대상인 유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부(81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 유체는 유체 이송관(8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fluid transfer pipe 820 may b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ressure unit 810 to provide a path for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ressure unit 810. Hereinafter, the fluid to which the jet pressure is applied by the jet pressure unit 810 is referred to as a pressurized fluid. The jet pressure unit 810 can pressurize a gas or liquid fluid to generate a pressurized fluid. For example, the spray pressure unit 810 may generate pressurized fluid using outside air, and may generate a pressurized fluid using a part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20. [ For this purpose, the injection pressure unit 810 may include an inlet 811 for introducing the fluid to be pressurized. The pressurized fluid can move along the fluid transfer pipe 820.

분사부(830)는 유체 이송관(82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체 이송관(820)에 연결된 분사부(830)의 직경에 비하여 외부에 노출된 분사부(830)의 직경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830)로 유입된 가압 유체는 보다 큰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The jetting section 830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fluid transfer pipe 820 and serves to jet the fluid. The diameter of the jetting section 830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jetting section 830 connected to the fluid conveying pipe 820. Accordingly, the pressurized fluid introduced into the jetting section 830 can be injected with a larger pressure.

도 9를 참조하면, 주 배관(21)을 흐르다가 센서 수용부(700)에 접근한 유체(30)는 센서 수용부(7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센서 수용부(700)의 반대측에 도달한 유체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luid 30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and approaching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may flow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The fluid that flows along the outer surface and reaches the opposite sid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can form a vortex.

이 때, 유체 이송관(820)으로 유입된 가압 유체는 분사부(830)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도 9는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 유체가 분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분사된 가압 유체는 주 배관(21)을 흐르는 유체에 충돌하고, 이로 인하여 와류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ized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transfer pipe 820 can be in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jection part 830. Fig. 9 shows that the pressurized fluid is inj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Fig. The injected pressurized fluid collides with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and thereby the formation of the eddy current can be suppressed.

도 10을 참조하면, 분사부(830)는 센서 수용부(700)의 중심축에서 방사형으로 가압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부(830)는 센서 수용부(700)의 중심축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유체 이송관(820)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jetting unit 830 may inject the pressurized fluid radiall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700. For this purpose, the jetting section 830 may be connected to the fluid delivery tube 820 so as to be directed outwardl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nsor housing section 700.

분사부(830)가 센서 수용부(700)의 중심축에서 방사형으로 가압 유체를 분사함에 따라 주 배관(21)을 흐르다가 센서 수용부(700)에 접근한 유체(30) 중 센서 수용부(7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순차적으로 가압 유체에 부딪히면서 와류 형성을 위한 힘을 잃고, 이로 인하여 와류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The spraying portion 830 discharges the pressurized fluid radiall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and flows into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of the fluid 30 flowing through the main pipe 21 and approaching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700 700 sequentially hit the pressurized fluid and lose the force for forming the vortex, and the generation of the vortex can be suppress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11: 온도 측정 장치 20: 배관
21: 주 배관 22: 보조 배관
100, 500: 센서부 200, 600: 송신부
300, 700: 센서 수용부 310, 710: 외벽
320, 720: 내부 수용 공간 400, 800: 와류 저감부
810: 분사 가압부 820: 유체 이송관
830: 분사부
10, 11: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20: Piping
21: main piping 22: auxiliary piping
100, 500: sensor unit 200, 600:
300, 700: sensor receiving portion 310, 710: outer wall
320, 720: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400, 800: vortex reduction part
810: injection pressure unit 820: fluid transfer tube
830:

Claims (5)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관의 중심으로 연장된 외벽을 구비하여 상기 외벽의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외벽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센서 수용부를 지날 때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하여 상기 센서 수용부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와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류 저감부는 상기 외벽의 일측 표면으로 진입한 유체를 타측 표면으로 진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관통부는 유체가 상기 내부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외벽만을 관통하여 흐르도록 상기 외벽이 관통되어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장치.
1.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inserting a fluid into a pipe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fluid,
A sensor unit for sensing temperature; And
And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outer wall extending to a center of the pipe and accommodating the sensor portion in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wall,
The sensor-
And a vortex reducing unit provided on the outer wall for suppressing vortex generate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to attenuate vibration of the sensor accommodating unit,
Wherein the vortex reducing part includes at least one fluid penetrating part for advancing the fluid that has entered the one surface of the outer wall to the other surface,
Wherein the fluid passing portion includes a passage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so that the fluid does not flow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but flows only through the outer wal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관통부는 홀 또는 슬릿의 형상을 갖는 온도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passing portion has a shape of a hole or a sl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저감부는,
상기 배관의 내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로 공급되는 유체를 가압하는 분사 가압부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rtex-
A spraying part for spraying a fluid into the inside of the pipe; And
And a spraying pressurizing unit that pressurizes the fluid supplied to the spraying unit.
KR1020170173036A 2017-12-15 2017-12-15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KR101996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036A KR101996312B1 (en) 2017-12-15 2017-12-15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036A KR101996312B1 (en) 2017-12-15 2017-12-15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022A KR20190072022A (en) 2019-06-25
KR101996312B1 true KR101996312B1 (en) 2019-07-04

Family

ID=6706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036A KR101996312B1 (en) 2017-12-15 2017-12-15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1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85B1 (en) * 2012-07-23 2013-04-23 메탈젠텍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casting slab
KR101385611B1 (en) * 2012-10-12 2014-04-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Oil temperature sensor
KR101749370B1 (en) * 2010-03-30 2017-06-20 에프코스 아게 Measuring probe having a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480B2 (en) 2009-09-03 2018-12-18 Rosemount Inc. Thermowell vibration frequency diagnost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370B1 (en) * 2010-03-30 2017-06-20 에프코스 아게 Measuring probe having a housing
KR101257285B1 (en) * 2012-07-23 2013-04-23 메탈젠텍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casting slab
KR101385611B1 (en) * 2012-10-12 2014-04-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Oil temperatu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022A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094B2 (en) Ultrasonic flow meter
CN104185726B (en) Supply unit with the filling level sensor for liquid additive
CA2496085A1 (en) Injection nozzle for purification
US9062640B2 (en) Fuel rail and fuel inj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443837B2 (en) Desuperheater system
KR101996312B1 (en)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US20210278325A1 (en) Exhaust gas dilution device
US8402840B2 (en) Ultrasonic fluid flow meter housing with acoustically matched base
US9470343B2 (en) Pipe for a conveying line for conveying bulk material as well as device for leakage monitoring of a conveying line
FR2864228B1 (en) DEVICE FOR PROTECTING A SOLIDARITY PROBE OF AN ETERNAL WALL OF AN AIRCRAFT
US7962307B2 (en) Integrated apparatus for measuring static pressure
CN104040163B (en) Fuel inlet valve and for accommodating the cylinder head of fuel inlet valve
CN108317896A (en) Multi-channel type light-gas gun flow equilibrium control high speed enters water emission system
WO2017163474A1 (en) Fuel distribution pipe
CN104024626B (en) Cylinder head
US11940075B2 (en) Pipe having a flange
WO2019127972A1 (en) Ultrasonic detector and detection device
EP3067119B1 (en) Long-distance fluid ejection apparatus
KR101267605B1 (en) Device for sensing pressure of coke oven gas
KR20100046987A (en) Beam sensor apparatus
JPH04313093A (en) Ultrasonic-wave type distance sensor
KR102627438B1 (en) Non-separable soundness measuring and working fluid cleaning device of combustion dynamic pressure sensor
WO2015181762A1 (en) Burner device for furnaces as well as furnace provided with such device
CN105806421A (en) Test pipeline
JP2004024989A (en) Powder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