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798B1 -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798B1
KR101995798B1 KR1020120072431A KR20120072431A KR101995798B1 KR 101995798 B1 KR101995798 B1 KR 101995798B1 KR 1020120072431 A KR1020120072431 A KR 1020120072431A KR 20120072431 A KR20120072431 A KR 20120072431A KR 101995798 B1 KR101995798 B1 KR 10199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h
down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random access
acces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513A (ko
Inventor
유현규
김태영
박정호
정수룡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7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9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4153522/07A priority patent/RU2603969C2/ru
Priority to US13/935,450 priority patent/US10091820B2/en
Priority to EP13813473.9A priority patent/EP2870703B1/en
Priority to PCT/KR2013/005909 priority patent/WO2014007546A1/en
Priority to CN201380035112.4A priority patent/CN104412519B/zh
Priority to CN201910086642.0A priority patent/CN110086517B/zh
Priority to JP2015520059A priority patent/JP6001171B2/ja
Priority to AU2013285774A priority patent/AU2013285774B2/en
Publication of KR2014000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13A/ko
Priority to US16/120,012 priority patent/US1077213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98B1/ko
Priority to US17/013,496 priority patent/US1143233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빔 선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랜덤 억세스 채널 장치 및 그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선택하고,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한다.

Description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G}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덤 억세스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traffic)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가 시작되는 4G(4th Generation)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 증가를 위해 주로 주파수 효율성(spectral efficiency)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상기 주파수 효율성 개선 기술 만으로는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만족시키기가 쉽지 않다.
상기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현재 이동 통신 셀룰러(cellule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으로 10GHz이하이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의 확보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예컨대, 넓은 주파수 대역 확보를 위하여 소위 밀리미터웨이브(mm wave) 시스템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 경로 손실은 증가한다. 이로 인하여, 전파 도달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지며, 이에 따라 서비스 영역(coverage)이 감소한다. 전파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기술 중 하나로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빔포밍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송신/수신 빔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가장 적합한 빔들을 리포트(report)하는 빔 선택(beam selection) 기술을 필요로 한다.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서는 네트웍 진입 후 뿐만 아니라 네트웍 진입 과정 시에도 빔포밍 기술 및 이에 따른 빔 선택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네트웍 진입 과정에서 사용되는 동기 채널, 방송 채널, 랜덤 억세스 채널 등의 구조는 효율적인 빔포밍 기술 및 빔 선택 과정을 지원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빔 선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랜덤 억세스 채널 장치 및 그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웍 진입 과정시에 최적의 빔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을 수신하여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생성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웍 진입 과정시에 별도의 채널이 아닌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최적의 하향링크 최적 빔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빔포밍 기술에서 요구되는 빔 선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 및 부가적인 실시예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도면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도면 부호가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이하의 도면과 함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BS)과 가입자 단말(SS)이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OFDMA 송신 경로의 하이레벨 다이아그램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BS)과 가입자 단말(SS)이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OFDMA 수신 경로의 하이레벨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BS)과 가입자 단말(SS) 사이의 네트웍 진입 과정에 대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적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입자 단말의 기능적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상술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의 방법, 절차, 컴포넌트, 회로 및 네트워크 등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랜덤 억세스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의 제공과 관련한 것이다. 상기 빔포밍은 송신단에서 수행되는 송신 빔포밍 및 수신단에서 수행되는 수신 빔포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빔포밍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의 도달 영역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켜 지향성(directivity)를 증대시킨다. 이때 다수의 안테나들이 집합된 형태는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 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각 안테나는 어레이 엘레먼트(array element)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선형 어레이(linear array), 평면 어레이(planar arr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빔포밍을 사용하면 신호의 지향성 증대를 통해 전송 거리가 증가된다. 나아가, 지향되는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신호가 거의 전송되지 아니하므로, 다른 수신단에 대한 신호 간섭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 수신단은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빔포밍은 전파의 수신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해당 방향으로 들어오는 수신 신호 감도를 증가시키고,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 신호에서 배제함으로써,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이득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입자 단말은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을 수신하여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100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100은 기지국(base station, BS) 101, 기지국(BS) 102, 기지국(BS) 103, 및 다른 유사한 기지국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기지국 101은 기지국 102 및 기지국 103과 통신중에 있다. 기지국 101은 또한 인터넷(internet) 103 또는 유사한 IP-기반의 네트워크(IP-based network)(도시하지 않음)와 통신중에 있다.
기지국 102는 기지국 102의 커버리지 영역 120 내에 있는 다수의 제1 가입자 단말들에게 (기지국 101을 통한) 인터넷 130으로의 무선 광대역 억세스를 제공한다. 다수의 제1 가입자 단말들은 소규모 사업자(small business, SB)에 위치될 수도 있는 가입자 단말(subscriber station) 111을 포함하고, 회사(enterprise, E)에 위치될 수도 있는 가입자 단말 112를 포함하고,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핫스팟(hotspot, HS)에 위치될 수도 있는 가입자 단말 113을 포함하고, 제1 거주지(residence, R)에 위치될 수도 있는 가입자 단말 114를 포함하고, 제2 거주지(residence, R)에 위치될 수도 있는 가입자 단말 115를 포함하고, 셀룰라 전화기(cell phone), 무선 랩탑(laptop), 무선 PDA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이동 장치(mobile device)(M)일 수도 있는 가입자 단말 116을 포함한다.
기지국 103은 기지국 103의 커버리지 영역 125 내에 있는 다수의 제2 가입자 단말들에게 (기지국 101을 통한) 인터넷 130으로의 무선 광대역 억세스를 제공한다. 다수의 제2 가입자 단말들은 가입자 단말 115 및 가입자 단말 116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지국들 101-103은 OFDM 또는 OFDMA 기법들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고, 가입자 단말들 111-116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1은 더 많은 수의 기지국들과 또는 더 적은 수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게다가, 비록 도 1에서는 단지 6개의 가입자 단말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네트워크 100은 추가적인 가입자 단말들로 무선 광대역 억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가입자 단말 115 및 가입자 단말 116은 커버리지 영역 120 및 커버리지 영역 125의 경계 부분들에 위치한다.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입자 단말 115 및 가입자 단말 116은 서로 기지국 102 및 기지국 103과 통신하고, 핸드오프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언급되어질 수도 있다.
가입자 단말들 111-116은 인터넷 130을 통해 음성, 데이터, 비디오, 비디오 회의, 및/또는 다른 광대역 서비스들을 억세스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입자 단말들 111-116은 WiFi WLAN의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int, AP)와 관련되어질 수도 있다. 가입자 단말 116은 무선으로 인에이블되는 랩탑 컴퓨터, 휴대용 데이터 단말(personal data assistant), 노트북,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또는 무선으로 인에이블되는 다른 장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동 단말들중에서 어떠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 단말들 114 및 115는 무선으로 인에이블되는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게이트웨이 또는 다른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BS)과 가입자 단말(SS)이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OFDMA 송신 경로의 하이레벨 다이아그램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BS)과 가입자 단말(SS)이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OFDMA 수신 경로의 하이레벨 다이아그램이다. 여기서는 OFDMA 송신 경로가 기지국(BS) 102 및 가입자 단말(SS) 116에서 구현되고, OFDMA 수신 경로가 기지국(BS) 102 및 가입자 단말(SS) 116에서 구현된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OFDMA 송신 경로가 기지국(BS) 102에서 구현되고, OFDMA 수신 경로가 가입자 단말(SS) 116에서 구현된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OFDMA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가 도 1에 도시된 다른 기지국들 101 및 103과, 다른 가입자 단말들 111-115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 102의 송신 경로는 채널 부호화 및 변조 블럭 205, 직/병렬(serial-to-parallel, S-to-P) 변환기 210, 사이즈 N의 역 고속푸리에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블럭 215, 병/직렬(parallel-to-serial, P-to-S) 변환기 220, 순환 전치부호(cyclic prefix) 추가기 225, 상향 변환기(up-converter, UC) 230 및 안테나부(antenna unit) 235를 포함한다. 가입자 단말 116의 수신 경로는 안테나부 250, 하향 변환기(down-converter, DC) 255, 순환 전치부호 제거기 260, 직/병렬(serial-to-parallel, S-to-P) 변환기 265, 사이즈 N의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블럭 270, 병/직렬(parallel-to-serial, P-to-S) 변환기 275, 채널 복호화 및 복조 블럭 280을 포함한다.
도면들 2a 및 2b에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몇몇은 소프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구성가능한 하드웨어(configurable hardware) 또는 소프트웨어와 구성가능한 하드웨어의 혼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이 개시 문서에서 기술되는 FFT 블럭들 및 IFFT 블럭들은 구현에 따라서 구성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여기서 사이즈 N의 값은 구현에 따라 변형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2에서, 채널 부호화 및 변조 블럭 205는 정보 비트들의 셋을 수신하고, 부호화(예를 들어, LDPC 부호화)를 적용하고, 정보 비트들을 (예를 들어, QPSK, QAM) 변조하여 주파수 도메인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를 생성한다. 직/병렬 변환기 210은 직렬의 변조된 심볼들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즉 역다중화)하여 N 병렬 심볼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N은 기지국 102 및 가입자 단말 116에서 사용된 IFFT/FFT 사이즈이다. 사이즈 N의 IFFT 블럭 215는 N 병렬 심볼 스트림들에 대해 IFFT 동작을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상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한다. 병/직렬 변환기 220은 사이즈 N의 IFFT 블럭 215로부터의 시간 도메인상의 병렬 출력 심볼들을 변환(즉 다중화)하여 직렬의 시간 도메인상 신호를 생성한다. 순환 전치부호 추가기 225는 상기 시간 도메인상의 신호에 순환적 전치부호를 삽입한다. 상향 변환기 230은 순환 전치부호 추가 블럭 225의 출력을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RF 주파수로 변조(즉 상향 변환)한다. 상기 신호는 RF 주파수로의 변환 이전에 기저대역에서 또한 필터되어질 수도 있다. 안테나부 235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집합된 형태인 안테나 어레이 구조를 가지며, 송신 빔포밍을 지원한다.
상기 안테나부 235를 통해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한 후 가입자 단말 116에 도달하고, 기지국 102에서의 동작들의 역 동작들이 수행된다. 안테나부 250은 다수의 안테나들이 집합된 형태인 안테나 어레이 구조를 가지며, 수신 빔포밍을 지원한다. 하향 변환기 255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한다. 순환 전치부호 제거기 260은 순환 전치부호를 제거하여 시간 도메인상의 직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직/병렬 변환기 265는 상기 시간 도메인상의 기저대역 신호를 시간 도메인상의 병렬 신호들로 변환한다. 사이즈 N의 FFT 블럭 270은 FFT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주파수 도메인상의 N 병렬 신호들을 생성한다. 병/직렬 변환기 275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상의 병렬 신호들을 변조된 데이터 심볼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채널 복호화 및 복조 블럭 280은 상기 변조된 심볼들을 복조한 다음에 복호화하여 최초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한다.
기지국들 101-103 각각은 가입자 단말들 111-116으로의 다운링크에서의 송신과 유사한 송신 경로를 구현할 수도 있고, 가입자 단말들 111-116으로부터의 상향 링크(up link)에서의 수신과 유사한 수신 경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가입자 단말들 111-116의 각각은 기지국들 101-103으로의 상향 링크에서의 송신을 위한 구조에 대응하는 송신 경로를 구현할 수도 있고, 기지국들 101-103으로부터의 하향 링크(down link)에서의 수신을 위한 구조에 대응하는 수신 경로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BS)과 가입자 단말(SS) 사이의 네트웍 진입 과정에 대한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네트웍 진입 절차는 빔포밍을 사용하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102와 가입자 단말 116이 네트웍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예로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네트웍 진입 절차의 동작이 기지국 102와 가입자 단말 116의 사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단계 310에서, 기지국 102는 빔 측정 가능한 기준 채널로서의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SCH)과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BCH)을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동기 채널과 방송 채널은 빔포밍되어 전송되므로, 즉 특정 빔폭을 갖는 빔을 이용해 전송되므로, 셀 내의 모든 영역에 방송되기 위해서 하향링크 송신 빔을 변화시켜가며 여러 번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즉 하향링크 송신 빔은 빔 스위핑된다(beam sweeping). 여기서 NTx는 하향링크 송신 빔 개수이며(NTx > 1), NRx는 하향링크 수신 빔포밍 지원을 위한 반복 전송 횟수이다(NRx ≥ 1). 상기 방송 채널은 랜덤 억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320에서, 단말은 동기 채널과 방송 채널을 검출 및 복호화한다. 이러한 검출 및 복호화 동작시 단말은 가장 채널 상태가 좋은 송신/수신 빔 조합(Tx and Rx best beam pair)을 측정하여 선택하며, 상기 최적의 송신/수신 빔 조합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330에서, 단말은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시스템 진입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도 송수신 빔포밍이 사용된다. 랜덤 억세스 채널은 특정 빔폭을 갖는 빔을 이용해 전송되며, 전 방향으로 송신 빔을 변화시켜가며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정보에는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송신 동작시 가입자 단말 116은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결정하여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송신한다. 상기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은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송신 동작시 가입자 단말 116은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에서 어느 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결정하고,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기회에서 상기 결정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면,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송신 동작시 가입자 단말 116은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결정하고,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기회에서 상기 결정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송신한다. 상기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은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단계 340에서, 기지국은 랜덤 억세스 채널을 수신하고, 이 채널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빔 지시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기지국은 수신 신호들을 측정하여 최적의 상향링크 송신/수신 빔을 선택한다. 단계 350에서, 기지국은 랜덤 억세스 채널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검출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빔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하향링크 송신빔을 통해 가입자 단말로 송신한다. 이때 랜덤 억세스 채널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선택된 최적의 상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랜덤 억세스 채널을 수신시 기지국 102는, 랜덤 억세스 시퀀스 채널 정보중에서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비트들은 랜덤 억세스 시퀀스로 검출하고, 상기 랜덤 억세스 시퀀스 채널 정보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시퀀스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이 지시하는 하향링크 송신 빔을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으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랜덤 억세스 채널을 수신시 기지국 102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를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검출하고,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가 수신된 기회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송신 빔을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으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면, 랜덤 억세스 채널 수신시 기지국 102는, 랜덤 억세스 시퀀스 채널 정보중에서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비트들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검출하고, 상기 랜덤 억세스 시퀀스 채널 정보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중 일부 비트와,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가 수신된 기회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송신 빔을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으로 검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적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102의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구성이 기지국 102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 도시된 기지국 102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측면의 관점에서만 도시한 것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형태로 도시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기지국 102는 안테나 410, 송수신기 420, 동기 채널(SCH) 생성기 430, 방송 채널(BCH) 생성기 440, 랜덤 억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 정보 생성기 450, 랜덤 억세스 채널(RACH) 검출기 460, 신호 측정부 470 및 제어부 480을 포함한다.
안테나 410은 빔포밍을 지원하며, 가입자 단말 116으로부터의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가입자 단말 116으로 송신될 신호를 송신한다. 송수신기 420은 송신을 위한 정보를 송신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여 안테나 410으로 출력한다. 송수신기 420은 상기 송신을 위한 정보를 부호화 및 다중화 등의 처리를 통해 기저대역 또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상기 송신을 위한 정보는 동기 채널(SCH) 생성기 430에 의해 생성된 동기 채널 정보, 방송 채널(BCH) 생성기 440에 의해 생성된 방송 채널 정보, 또는 랜덤 억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 정보 생성기 450에 의해 생성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 정보는 랜덤 억세스 채널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응답 정보는 최적의 상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420은 안테나 41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송수신기 420은 안테나 4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또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로 변환 처리하고, 또한 상기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및 복호화 등에 의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상기 송수신기 420에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시퀀스 및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 지시 정보를 검출한다. 신호 측정부 470은 상기 송수신기 420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신호 측정부 470은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즉, 신호 측정부 470은 최적의 상향링크 송신/수신 빔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 48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 480에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시 단말에 제공되는 랜덤 억세스 채널 구성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정보는 단말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수신 및 검출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480은 동기 채널(SCH) 생성기 430, 방송 채널(BCH) 생성기 440, 및 랜덤 억세스 채널 응답 정보 생성기 450의 동작과,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 및 신호 측정부 470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수신 동작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일의 제어부 480에 의해서 그 동작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입자 단말의 기능적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 116의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구성이 가입자 단말 116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 116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측면의 관점에서만 도시한 것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형태로 도시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가입자 단말 119은 안테나 510, 송수신기 520, 신호 측정부 530, 방송 채널(BCH) 복호기 540, 랜덤 억세스 채널(RACH) 정보 생성기 550 및 제어부 560을 포함한다.
안테나 510은 빔포밍을 지원하며, 기지국 102으로부터의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 102로 송신될 신호를 송신한다. 송수신기 520은 안테나 51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송수신기 520은 안테나 5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또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로 변환 처리하고, 또한 상기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및 복호화 등에 의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측정부 530은 상기 송수신기 520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신호 측정부 530은 동기 채널과 같이 빔 측정 가능한 기준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즉, 신호 측정부 530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수신 빔을 측정할 수 있다. 방송 채널(BCH) 복호기 540은 상기 송수신기 520에 수신된 방송 채널 신호를 복호화한다. 예를 들어, 방송 채널 복호기 540에 의해 방송 채널 정보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채널 구성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송수신기 520은 송신을 위한 정보를 송신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여 안테나 510으로 출력한다. 송수신기 520은 상기 송신을 위한 정보를 부호화 및 다중화 등의 처리를 통해 기저대역 또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상기 송신을 위한 정보는 랜덤 억세스 채널(RACH response) 정보 생성기 550에 의해 생성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에는 랜덤 억세스 시퀀스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 56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 480에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랜덤 억세스 채널 구성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정보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송신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560은 신호 측정부 530, 방송 채널(BCH) 복호기 540 및 랜덤 억세스 채널(RACH) 정보 생성기 550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송신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송신 동작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일의 제어부 560에 의해서 그 동작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랜덤 억세스 채널 62는 가입자 단말 116으로부터 기지국 102로의 상향링크(uplink, UL) 60에서 송신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 116과 기지국 102 사이의 송수신 빔포밍을 지원하기 위한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가입자 단말 116은 기지국 102로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하는데, 이때 N은 상향링크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M은 수신 빔포밍 지원을 위한 반복 전송 횟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의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시 가입자 단말 116은 이전 과정에서 동기 채널 등을 통해 선택한 하향링크 최적 빔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즉, 가입자 단말 116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억세스할 시 하향링크 최적 빔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랜덤 억세스 채널 전송 동작을 위해, 기지국 102는 방송 채널을 통해 랜덤 억세스 채널에 대한 구조에 관련한 구성 정보, 즉 채널 할당 주기,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의 위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에 대한 정보, N과 M에 대한 값 등에 대한 정보를 가입자 단말 116으로 제공하며, 단말은 상기 제공된 랜덤 억세스 채널 구성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송신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송신한다.
< 실시예 1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 1에 따르면, 단말 116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 송신 시 하향링크 최적 빔 정보를 함께 전송하기 위하여 코드를 분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가 총 A개이고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의 인덱스 70이 R비트(bits)(R=log2(A))로 표시된다고 가정할 때, P비트(bits) 72는 사용자 구분 시퀀스 인덱스로 정의되고, Q비트(bits) 74는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로 정의된다. 여기서 R = P+Q 이다. 기지국 102는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의 총 개수 A, 그리고 P와 Q에 대한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116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 116은 상기 정보들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102를 랜덤 억세스한다. 여기서 P와 Q에 대한 정보는 인덱스 비트 정보, 시퀀스 그룹핑 구성(configuration)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말 116은 0~2P-1 중 하나의 값을 임의로 선택하고, 동기 채널 등을 이용해 선택한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0~2Q-1)와 사전에 정해진 규칙대로 조합하여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선택한다. 단말 116이 이렇게 선택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단말이 전송하면, 기지국 102는 해당 시퀀스 검출에 성공할 시 해당 시퀀스로 전송한 단말의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랜덤 억세스 채널에서 해당 시퀀스를 검출한 기지국 102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최적 송수신 빔 조합을 선택하게 되며 단말 116으로부터 전송받은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를 이용하여 랜덤 억세스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응답 메시지는 랜덤 억세스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한 동기 보정 정보, 상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 116의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기지국 102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기 520은 상기 생성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안테나 510을 통해 기지국 102로 송신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제어부 560의 제어하에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사용자 구분 시퀀스 인덱스 72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과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의 조합 결과(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 인덱스 70)에 따라 결정되는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예; 시퀀스 2)를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생성한다. 즉, 일 실시예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제어부 560의 제어하에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특정 그룹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그룹내에서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에 의해 지시(매핑)되는 시퀀스를 찾아 상기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결정한다.
다른 예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560의 제어하에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에 매핑되는 특정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그룹내에서 랜덤하게 시퀀스를 선택하여 이를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예; 시퀀스 2)를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기지국 102의 송수신기 420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상기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제어부 480의 제어하에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중에서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비트들(사용자 구분 시퀀스 인덱스 72에 대응하는 비트들)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검출하고,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에 대응하는 비트들)이 지시하는 하향링크 송신 빔을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으로 검출한다.
< 실시예 2 >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르면,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에 대한 정보량이 많을 시, 즉 하향링크 빔 인덱스를 나타내기 위해 많은 비트 수가 필요할 시, 매우 긴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필요로 한다. 이는 기지국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을 검출할 시 복잡도를 증가시키며 주어진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랜덤 억세스 채널을 설계하는 것에 제약을 주게 된다. 또한 하향링크 송신 빔의 빔폭에 대한 다양한 설정이 기지국에서 가능한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합에 대해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모두 설계하거나 최소 빔폭에 맞추어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설계해야 하는 등 시스템 디자인 측면에 많은 부담이 생기게 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이 가지는 제약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랜덤 억세스 채널 위치 혹은 기회(opportunity)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를 싣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가 2비트로 표현될 시 도 8a에서와 같이 단말의 가능한 랜덤 억세스 기회를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와 연관하여 제한한다. 즉, 단말의 동기 채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선택한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가 “b00” 82라 하면, 단말 116은 해당 “b00”에 대응하는 랜덤 억세스 기회에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 82를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 102는 “b00”에 대응하는 랜덤 억세스 기회에 전송한 사용자의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를 “b00”으로 해석함으로써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기지국 102는 랜덤 억세스 채널 기회와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와의 매핑 정보, 그리고 각 랜덤 억세스 채널 기회에서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 등을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116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 116은 기지국 102로부터 전송된 랜덤 억세스 채널과 관련된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102를 랜덤 억세스한다.
랜덤 억세스 기회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축상에서의 전송 기회일 수도 있다. 상향링크 랜덤 억세스 전송 기회 81에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00” 82가 대응될 수 있고, 상향링크 랜덤 억세스 전송 기회 83에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01” 84가 대응될 수 있고, 상향링크 랜덤 억세스 전송 기회 85에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11” 86이 대응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랜덤 억세스 기회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축상에서의 전송 기회일 수도 있다. 상향링크 랜덤 억세스 전송 기회 91에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00” 92와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01” 93이 대응될 수 있고, 상향링크 랜덤 억세스 기회 94에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10” 95와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 “b11” 96이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랜덤 억세스 기회를 시간 축과 주파수 축의 혼합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랜덤 억세스 채널 기회의 주기는 매핑되는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랜덤 억세스 채널에서 해당 시퀀스를 검출한 기지국 102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최적 송수신 빔 조합을 선택하게 되며 단말 116으로부터 전송받은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를 이용하여 랜덤 억세스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응답 메시지는 랜덤 억세스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한 동기 보정 정보, 상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 116의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기지국 102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기 520은 상기 생성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안테나 510을 통해 기지국 102로 송신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제어부 560의 제어하에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에서 어느 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결정하고,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기회에서 상기 결정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기지국 102의 송수신기 420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상기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제어부 480의 제어하에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를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검출하고,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가 수신된 기회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송신 빔을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으로 검출한다.
< 실시예 3 >
단말 116이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 송신 시 하향링크 최적 빔 정보를 함께 전송하기 위한 방안으로 위의 실시예 1의 방안과 실시예 2의 방안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가 Q 비트 74라고 가정할 때 Q 비트 74의 X 비트 76은 실시예 1에 의해 코드 분할 방법으로 전송하고 Y 비트 78은 실시예 2에 의해 랜덤 억세스 채널 기회 인덱스에 매핑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Q = X+Y 이다. 기지국 102는 각 랜덤 억세스 기회에서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의 총 개수 A, P (사용자 구분을 위한 시퀀스 인덱스 비트)와 X, Y에 대한 정보, 그리고 랜덤 억세스 채널 기회와 하향링크 최적 송신빔 인덱스와의 매핑 정보 등을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116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 116은 상기 정보들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102를 랜덤 억세스한다. 단말 116은 0~2P-1 중 하나의 값을 임의로 선택하고, 동기 채널 등을 이용해 선택한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0~2X-1)와 사전에 정해진 규칙대로 조합하여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선택한다. 또한 단말 116은 Y 비트 78과 매핑되는 인덱스의 랜덤 억세스 채널 기회에서 선택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 102는 해당 시퀀스 검출에 성공할 시 해당 시퀀스로 전송한 단말의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랜덤 억세스 채널에서 해당 시퀀스를 검출한 기지국 102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최적 송수신 빔 조합을 선택하게 되며 단말 116으로부터 전송받은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를 이용하여 랜덤 억세스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응답 메시지는 랜덤 억세스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한 동기 보정 정보, 상향링크 최적 송신 빔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 116의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기지국 102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기 520은 상기 생성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안테나 510을 통해 기지국 102로 송신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제어부 560의 제어하에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의 송신 동작시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사용자 구분 시퀀스 인덱스 72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그룹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과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의 X비트)의 조합 결과(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 인덱스 70)에 따라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예; 시퀀스 2)를 결정하고,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기회(Y비트에 의해 정해짐)에서 상기 결정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서 송신한다. 즉, 일 실시예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제어부 560의 제어하에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특정 그룹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그룹내에서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에 의해 지시(매핑)되는 시퀀스를 찾아 상기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 생성기 550은 560의 제어하에 다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들중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에 매핑되는 특정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그룹내에서 랜덤하게 시퀀스를 선택하여 하나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예; 시퀀스 2)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기지국 102의 송수신기 420은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상기 수신된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로부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와, 상기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검출한다.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검출기 460은, 제어부 480의 제어하에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중에서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비트들(사용자 구분 시퀀스 인덱스 72에 대응하는 비트들)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로 검출하고,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시퀀스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 인덱스 74에 대응하는 비트들)중 일부 비트(X비트)와, 다수의 전송 기회들 중에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정보가 수신된 기회(Y비트에 의해 정해짐)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송신 빔을 최적의 하향링크 송신 빔으로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웍 진입 과정시에 별도의 채널이 아닌 랜덤 억세스 채널을 통해 최적의 하향링크 최적 빔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빔포밍 기술에서 요구되는 빔 선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향링크 최적 송신 빔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채널이 동기 채널인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동기 채널 대신에 빔 측정 가능한 기준(reference) 신호 또는 채널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 및 가입자 단말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은 단일의 제어부 560에 의해 그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단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이나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지국 또는 릴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10,510 : 안테나
420,520 : 송수신기
430 : 동기채널(SCH) 생성기
440 : 방송채널(BCH) 생성기
450 : 랜덤억세스채널 응답(RACH response) 생성기
460 : 랜덤억세스채널(RACH) 검출기
470,530 : 신호측정부
480,560 : 제어부
540 : 방송채널(BCH) 복호기
550 : 랜덤억세스채널(RACH) 생성기

Claims (3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을 통해,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의 세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각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기회와, 각각의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간 매핑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선택된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RACH 기회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결정된 RACH 기회를 통해 RACH 시퀀스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RACH 기회에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RACH 시퀀스들의 그룹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RACH 시퀀스들의 그룹 중에서 상기 RACH 시퀀스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시간 영역에서 시간 다중화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CH의 시간-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을 통해,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의 세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각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기회와, 각각의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간 매핑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선택된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RACH 기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결정된 RACH 기회를 통해 RACH 시퀀스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RACH 기회에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RACH 시퀀스들의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RACH 시퀀스들의 그룹 중에서 상기 RACH 시퀀스를 결정하는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시간 영역에서 시간 다중화된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CH의 시간-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장치.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각각의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을 통해,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의 세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선택된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기회를 통해 RACH 시퀀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RACH 기회는, 각 RACH 기회와, 각각의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간 매핑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RACH 기회에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RACH 시퀀스들의 그룹은, 상기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RACH 시퀀스는, 상기 RACH 시퀀스들의 그룹 중에서 결정되는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시간 영역에서 시간 다중화된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RACH의 시간-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 각각의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을 통해,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의 세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 중에서 선택된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기회를 통해 RACH 시퀀스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RACH 기회는, 각 RACH 기회와, 각각의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간 매핑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RACH 기회에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RACH 시퀀스들의 그룹은, 상기 각 RACH 기회에 대한 하향링크 송신 빔들의 수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각 하향링크 송신 빔에 대한 RACH 시퀀스들의 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RACH 시퀀스는, 상기 RACH 시퀀스들의 그룹 중에서 결정되는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장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송신 빔들은 RACH 기회들에 대응하고,
    상기 RACH 기회들은 시간 영역에서 시간 다중화된 장치.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 RACH의 시간-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120072431A 2012-07-03 2012-07-03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KR10199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31A KR101995798B1 (ko) 2012-07-03 2012-07-03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US13/935,450 US10091820B2 (en) 2012-07-03 2013-07-0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EP13813473.9A EP2870703B1 (en) 2012-07-03 2013-07-0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PCT/KR2013/005909 WO2014007546A1 (en) 2012-07-03 2013-07-0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RU2014153522/07A RU2603969C2 (ru) 2012-07-03 2013-07-03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формирования луча
CN201380035112.4A CN104412519B (zh) 2012-07-03 2013-07-03 在使用波束成形的无线通信系统中进行随机接入的装置和方法
CN201910086642.0A CN110086517B (zh) 2012-07-03 2013-07-03 在使用波束成形的通信系统中进行随机接入的装置和方法
JP2015520059A JP6001171B2 (ja) 2012-07-03 2013-07-03 ビームフォーミングを使用する通信システムのランダムアクセス装置及び方法
AU2013285774A AU2013285774B2 (en) 2012-07-03 2013-07-0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16/120,012 US10772131B2 (en) 2012-07-03 2018-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17/013,496 US11432336B2 (en) 2012-07-03 2020-09-04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31A KR101995798B1 (ko) 2012-07-03 2012-07-03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13A KR20140004513A (ko) 2014-01-13
KR101995798B1 true KR101995798B1 (ko) 2019-07-03

Family

ID=4987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31A KR101995798B1 (ko) 2012-07-03 2012-07-03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091820B2 (ko)
EP (1) EP2870703B1 (ko)
JP (1) JP6001171B2 (ko)
KR (1) KR101995798B1 (ko)
CN (2) CN104412519B (ko)
AU (1) AU2013285774B2 (ko)
RU (1) RU2603969C2 (ko)
WO (1) WO20140075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41A1 (ko) * 2020-03-05 2021-09-10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WO2022071755A1 (ko) * 2020-09-29 2022-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633A (ko) 2013-03-06 201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랜덤 액세스 슬롯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120870A1 (en) * 2013-10-25 2015-04-30 Joseph Schuman Media distribution network, associated program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4734763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和接收上行波束索引的方法、系统及装置
US9980293B2 (en) * 2014-02-06 2018-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procedure
PT3462798T (pt) 2014-03-25 2021-11-25 Ericsson Telefon Ab L M Sistema e método para acesso aleatório físico baseado em feixe
KR102171561B1 (ko) * 2014-04-07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JPWO2015166840A1 (ja) * 2014-04-30 2017-04-2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通信アクセス方法、及び通信方法
CN105490719B (zh) * 2014-09-17 2020-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同步方法、装置和系统
EP3205142B1 (en) * 2014-10-08 2022-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synchronization measurements
KR102341215B1 (ko) 2014-11-26 2021-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기법
US9907093B2 (en) 2014-12-29 2018-0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s system
US20160192400A1 (en) * 2014-12-30 2016-06-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ndom access channe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140068A (ja) * 2015-01-26 2016-08-04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検出の改善方法及び装置
US9603165B2 (en) * 2015-01-30 2017-03-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ndom-access response with analog beamforming
EP3247156B1 (en) 2015-02-12 2019-09-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US11889413B2 (en) * 2015-04-07 2024-01-30 New York University Switched analog-digital architecture for wireless antenna array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102374623B1 (ko) * 2015-04-24 2022-03-15 스카이라크 더블유엘 홀딩스, 엘엘씨 복수의 안테나 mu-mimo 시스템을 위한 제어 채널 설계
US10721772B2 (en) * 2015-08-06 2020-07-21 Intel IP Corporation Performing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at a user equipment (UE)
CN107079459A (zh) * 2015-08-11 2017-08-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从波束故障中恢复
WO2017044155A1 (en) * 2015-09-10 2017-03-16 Intel IP Corporatio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beam based cell-less operation in 5g rat
WO2017078413A1 (ko)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11126B1 (ko) * 2015-11-12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프로세스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6804043B (zh) * 2015-11-26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接入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WO2017105494A1 (en) * 2015-12-18 2017-06-22 Intel IP Corporation POINT SWITCHING IN CELL-LESS mmWAVE SMALL CELL
CN107041012B (zh) 2016-02-03 2022-11-2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差分波束的随机接入方法、基站设备及用户设备
CN107046704B (zh) * 2016-02-06 2021-09-14 芯无线(北京)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
US20170230869A1 (en) * 2016-02-10 2017-08-10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uplink and downlink based mobility
WO2017146550A1 (en) 2016-02-26 2017-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beam-formed system
EP3425949B1 (en) * 2016-02-29 2023-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eam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44492B2 (en) 2016-04-04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ed beam sweeping for synchronization and random access procedures
US10057787B2 (en) 2016-04-06 2018-08-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US20190132850A1 (en) * 2016-04-15 2019-05-02 Alcatel Lucent Method for base station, method for user device,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US11178646B2 (en) 2016-04-19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erence signal based narrowband channel measurement and CQI reporting
US10559880B1 (en) * 2016-04-25 2020-02-11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Multi-layered hybrid beamforming
KR102313906B1 (ko) * 2016-05-13 2021-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상향링크 drs를 위한 자원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서브프레임/슬롯의 타입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하향링크 심볼의 개수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900075A (zh) * 2016-05-13 2017-06-2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随机接入方法、装置、相关设备和系统
CN107371245A (zh) * 2016-05-13 2017-11-21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波束随机接入方法及系统
CN106900074B (zh) * 2016-05-13 2019-06-1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随机接入方法、装置、相关设备和系统
US10568140B2 (en) * 2016-05-16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Beam and symbol selection to transmit RACH
US10917158B2 (en) * 2016-05-26 2021-02-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541741B2 (en) * 2016-05-26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181891B2 (en) 2016-05-26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651899B2 (en) 2016-05-26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425138B2 (en) * 2016-05-26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498406B2 (en) 2016-05-26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CN107453794B (zh) 2016-05-31 202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反馈方法、装置及系统
US10396881B2 (en) * 2016-06-10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RACH design for beamformed communications
KR20170141609A (ko) * 2016-06-15 201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페이징 방법 및 장치
US10356641B2 (en) 2016-06-15 2019-07-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reporting using multiple symbol sequences
EP3493608A4 (en) * 2016-07-26 2020-03-1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276847A1 (en) * 2016-07-28 2018-01-3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71145B2 (en) * 2016-08-12 2021-07-20 Qualcomm Incorporated Rach conveyance of DL synchronization beam information for various DL-UL correspondence states
CN107734602B (zh) * 2016-08-12 2023-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处理方法、装置和设备
EP3500036B1 (en) * 2016-08-12 2021-12-29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27924A1 (en) * 2016-08-12 2018-02-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chanism to support rrm measurement in new radio access system with beamforming
CN109644348B (zh) * 2016-08-30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装置及系统
WO2018045092A1 (en) * 2016-08-31 2018-03-08 Intel IP Corporation On-demand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transmission
US10405353B2 (en) * 2016-09-23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systems
AU2017336775B2 (en) * 2016-09-28 2020-09-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New radio random access in beamforming systems
EP3407655A4 (en) 2016-09-29 2019-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RST ACCESS PROCESS AND DEVICE
WO2018058574A1 (zh) * 2016-09-30 2018-04-05 富士通株式会社 随机接入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DE112016007196B4 (de) * 2016-10-06 2020-09-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rahlübertragungs-/empfangsverfahren, basisstation, endgerät und drahtloses kommunikationssystem
CN107969034B (zh) * 2016-10-20 2020-02-1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e、基站中的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WO2018082017A1 (en) 2016-11-04 2018-05-11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ocedure in nr system with beamforming
US11228358B2 (en) 2016-12-13 2022-01-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354792B1 (ko) * 2016-12-20 2022-01-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WO2018119754A1 (en) * 2016-12-28 2018-07-05 Motorola Mobility Llc Transmission beam indicating
CN108260134B (zh) * 2016-12-28 2023-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波束调整的方法及装置
IL267721B2 (en) * 2016-12-30 2023-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 network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CN108271256B (zh) * 2016-12-30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映射方法和装置
US10680689B2 (en) 2017-01-05 2020-06-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Beam management techniques for beam calibration
EP3566331A4 (en) * 2017-01-06 2020-04-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S, WIRELESS DEVICE, AND METHODS IMPLEMENTED THEREIN
US10993174B2 (en) * 2017-01-06 2021-04-27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nd preamble transmission method
CN108282905B (zh) * 2017-01-06 202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其网元
US10841954B2 (en) * 2017-01-13 2020-11-17 Acer Incorporated Device of handl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CN108401283B (zh) * 2017-02-04 2022-11-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节点之间的信息交互方法及装置
WO2018141115A1 (zh) * 2017-02-06 2018-08-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6880205B2 (ja) * 2017-02-06 2021-06-0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通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US10194442B2 (en) 2017-02-10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s for beam recovery
CN108631889A (zh) * 2017-03-22 2018-10-09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链路失败检测方法和用户设备
US10257835B2 (en) 2017-03-24 2019-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enhanced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786269A (zh) 2017-03-27 2022-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物理资源的指示方法及装置
EP3621211A4 (en) * 2017-05-01 2020-10-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DURE
CN108811072A (zh) * 2017-05-04 2018-11-13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基站和相关方法
US9949298B1 (en) 2017-05-04 2018-04-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signaling and transmission protocols for enhanced beam management for initial access
US20180359716A1 (en) * 2017-06-13 2018-12-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detect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JP2020524440A (ja) * 2017-06-15 2020-08-13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アップリンク送信電力制御
CN109151923B (zh) * 2017-06-16 2023-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09104226A (zh) 2017-06-20 2018-12-28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KR102530275B1 (ko) 2017-06-26 2023-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앰블 생성 방법, 프리앰블 설정 방법 및 장치, 랜덤 액세스 방법, 디바이스, 사용자 장치 및 기지국
US10211898B2 (en) * 2017-06-26 2019-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able beam failure event design
CN113630900B (zh) * 2017-06-26 2023-10-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的方法及用户设备、基站设备
RU2737868C1 (ru) 2017-06-27 2020-12-04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в новом радио, основанной на управляемом сетью луче
US10805959B2 (en) * 2017-07-18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Beam indication during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
CN109391948B (zh) 2017-08-09 2022-04-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指示的处理方法、移动终端及网络侧设备
US10411784B2 (en) * 2017-08-09 2019-09-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779350B2 (en) 2017-08-10 2020-09-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KR102277868B1 (ko) 2017-08-18 2021-07-19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빔 장애 복구를 위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90069285A1 (en) * 2017-08-24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beam indication in a next generation mmwave system
CN111052814B (zh) * 2017-09-06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客户端设备、网络接入节点及其方法
US10374683B2 (en) * 2017-09-07 2019-08-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904773B2 (en) * 2017-09-12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techniques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10523300B2 (en) 2017-09-19 2019-12-31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inement techniques in millimeter wave systems
JP7161832B2 (ja) * 2017-09-28 2022-10-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ハンドオーバ実行におけるマルチビーム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EP4027701A1 (en) * 2017-09-28 2022-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beam random access procedure in handover execution
US10827364B2 (en) 2018-02-14 2020-11-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fast beam searching
KR102518403B1 (ko) * 2018-07-09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740452A (zh) * 2018-07-20 2020-01-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现干扰的方法、装置、接收设备、发射设备及存储介质
CN109121203B (zh) * 2018-08-13 2023-04-07 上海感悟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自组网的随机接入方法、受控节点和控制节点
CN110913497B (zh) * 2018-09-14 2022-05-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上报方法、信息获取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368943B2 (en) * 2019-04-05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for random access channel
US11596003B2 (en) * 2020-11-23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Overlapping RACH occasions and mixed mode RACH retransmission configurations
US11864225B2 (en) * 2021-04-22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uplink spatial filter configu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214A (ja) * 2007-12-26 2009-07-16 Fujitsu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並びに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JP2011040822A (ja) * 2009-08-06 2011-02-24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8653A1 (de) * 2000-02-24 2001-09-06 Siemens Ag Verbesserungen a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7065383B1 (en) * 2002-04-16 2006-06-20 Omri Hovers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smart antenna apparatus with a base station transceiver
US7203520B2 (en) * 2003-09-30 2007-04-10 Nortel Networks Limited Beam wobbling for increased downlink coverage and capacity
RU2278471C2 (ru) 2004-05-31 2006-06-2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ной передачи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US8270365B2 (en) * 2005-05-04 2012-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ter-frequency measurement using RACH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000305B2 (en) * 2006-01-17 2011-08-16 Motorola Mobility, Inc. Preamble sequencing for random access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008418B1 (en) * 2006-04-19 2018-10-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method of mobile station for random access channel diversity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TWI484784B (zh) 2006-05-09 2015-05-11 Interdigital Tech Corp Ofdm-mimo系統隨機存取頻道
US8295243B2 (en) * 2006-08-21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an 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4917099B2 (ja) * 2006-09-01 2012-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911929B1 (ko) 2006-11-20 2009-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랜덤액세스 방법 및 랜덤액세스 응답 방법
WO2008115451A1 (en) * 2007-03-16 2008-09-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andom access resource mapping for long term evolution
EP3493427A1 (en) * 2007-07-16 2019-06-05 BlackBerry Limited Providing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243075A1 (en) * 2009-06-16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07721A1 (en) 2009-07-10 2011-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irectional association
US8923218B2 (en) * 2009-11-02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67392B1 (en) * 2010-03-12 2015-11-1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registration and data transmission using fast / zero contention resolution
GB201005312D0 (en) * 2010-03-30 2010-05-12 Vodafone Ip Licensing Ltd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717298B1 (ko) 2010-05-10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5693996B2 (ja) * 2011-02-23 2015-04-01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周波数帯域共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214A (ja) * 2007-12-26 2009-07-16 Fujitsu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並びに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JP2011040822A (ja) * 2009-08-06 2011-02-24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41A1 (ko) * 2020-03-05 2021-09-10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WO2022071755A1 (ko) * 2020-09-29 2022-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0178A1 (en) 2014-01-09
EP2870703A1 (en) 2015-05-13
CN104412519B (zh) 2019-03-01
US20200404714A1 (en) 2020-12-24
JP2015526015A (ja) 2015-09-07
JP6001171B2 (ja) 2016-10-05
US11432336B2 (en) 2022-08-30
WO2014007546A1 (en) 2014-01-09
CN104412519A (zh) 2015-03-11
CN110086517B (zh) 2022-12-23
AU2013285774B2 (en) 2016-07-07
EP2870703A4 (en) 2016-03-16
EP2870703B1 (en) 2018-12-26
US20180376513A1 (en) 2018-12-27
US10091820B2 (en) 2018-10-02
KR20140004513A (ko) 2014-01-13
RU2014153522A (ru) 2016-07-20
AU2013285774A1 (en) 2015-01-15
RU2603969C2 (ru) 2016-12-10
US10772131B2 (en) 2020-09-08
CN110086517A (zh)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798B1 (ko)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KR102482804B1 (ko) Nr 비면허 스펙트럼에 대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 및 ss 버스트 세트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524246B2 (en) Two-stag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s for beam operation
US105671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signals and PBCH block enhancement
KR1018474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빔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235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668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방법 및 장치
ES2698501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presentación de informes de interferencia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N-MIMO
CN110784922B (zh) 处置无线通信中的侧链路资源的波束感测的方法和设备
TW201743583A (zh) 向基地站通知關於使用者設備對波束改變指令的接收
US201603230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beam sweeping patter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817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00220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OFDMA systems
CN109391445B (zh) 一种pdsch接收信息的指示方法、数据接收方法及装置
JP7157515B2 (ja) ユーザ装置、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1118242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受信側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10134979A (ko) 5g 신무선 상향링크 위치결정 참조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131113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146177B1 (ko) 무선-네트워크 노드, 무선 장치 및 이들에서 수행된 방법
US8730827B2 (en) Estimating quality of a signal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35134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uplink SINR measuring method, uplink scheduling method, and reception-quality measuring method
KR20100118092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US11956738B2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serving cell activation based on two different reference signals
CN115398853A (zh) 用于新无线电中的参考信号时域相干性的参考信号相位时间漂移模型报告
US20220345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nit specific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