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425B1 -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425B1
KR101991425B1 KR1020180163560A KR20180163560A KR101991425B1 KR 101991425 B1 KR101991425 B1 KR 101991425B1 KR 1020180163560 A KR1020180163560 A KR 1020180163560A KR 20180163560 A KR20180163560 A KR 20180163560A KR 101991425 B1 KR101991425 B1 KR 10199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aker
support
axis direc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형호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4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425B1/en
Priority to PCT/KR2019/095049 priority patent/WO202013076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ound field inspection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having a structure proper for a small soundproof booth and a small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ame system.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comprises: a vertical unit installed to have a set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vertical to the ground; a horizontal unit having a set length in an x-axis direction and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vertical unit;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s formed to have a set length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to the horizontal unit from both end sides of the horizontal unit; a speaker unit comprising two speakers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s; and a head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unit to make the length adjustable in the y-axis direction.

Description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nd a small sound booth including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음장검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방음부스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field inspection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a compact soundproof booth and a compact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ystem.

현재 전세계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청력장애를 겪고 있으며, 그 중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청력손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감소된 청력 능력은 나이, 건강, 직업, 부상 및 질병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요인 때문일 수 있다. 청력 손실은 삶의 질을 크게 감소시키고, 관계를 손상시키며, 고용에 대한 접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음향기기의 사용, 노인 인구 비중의 증가 및 소음환경의 증대로 인하여 난청인구가 더욱 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청기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소음 환경에 접할 수 있는 고성능의 디지털 보청기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Millions of people worldwide now suffer from hearing impairment, many of whom are unaware of their hearing loss. Reduced hearing abilities can be due to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age, health, occupation, injury and illness. Hearing loss can greatly reduce the quality of life, impair the relationship, and reduce access to employment. Recently, the use of sound equipment,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and the increase in the noise environment, the number of hearing impaired people is increasing, and the demand for hearing aid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digital hearing aids Is accelerating.

일반적으로, 청력검사는 소리나 목소리가 잘 들리는지의 여부 등 청각의 예민한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를 말한다. 청력 검사를 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의사, 청각사)가 변경할 수 있는 크기와 주파수의 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기인 청력계(Audiometer)를 사용하여 청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검사자의 청력 정도의 진단을 내린다. 보통 청력검사에서는 250Hz에서 8kHz 범위의 주파수에 중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이 범위가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소리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청력 검사할 때 사용되는 청력검사기는 각 주파수별로 큰 소리를 발생시킨후 점차 그 크기를 감소시켜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최소 데시벨이 청력도에 기록되고 이렇게 기록된 청력도를 바탕으로 검사자의 청력의 상태를 진단한다.In general, a hearing test is a test that measures the degree of hearing sensitivity, such as whether a sound or voice is audible. Audiometer, which is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pure tone of the size and frequency that can be changed by the operator (doctor, audiologist) in order to perform hearing test, is used to measure the hearing and diagnose the audiologist's degree of hearing . The hearing test usually focuses on frequencies in the range of 250 Hz to 8 kHz, because this range includes sounds necessar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the audiometer used for hearing tests generates a louder sound at each frequency, then gradually decreases its size so that a minimum decibel that a person can hear the sound is recorded in the hearing degree and based on the recorded hearing level, Of the hearing.

상술한 바와 같이, 청력 검사에서 25dB 이상의 손실이 있을 때 일반적으로 난청이라 하는데 여러 나라의 통계에 의하면 소아의 2~4% , 전국민의 약 21 %가 난청 증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난청 인구는 더 늘어나 70세 이상이 되면 81% 정도에서 난청을 가지게 된다. 난청환자가 이비인후과 방문환자들 중에 약 25%에 달하므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다양한 정도의 청력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As mentioned above, when hearing loss is more than 25dB, hearing loss is generally reported as hearing los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various countries, 2 ~ 4% of the children and 21% of the whole people are reported to have hearing impairment. The mor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get older, the more likely they are to have hearing loss at 81%. It is true that fewer people with hearing loss have various degrees of hearing problems, since hearing loss accounts for about 25% of all otolaryngiopathy patients.

난청 환자에 있어서 일반적인 보청기나 이식형 보청기, 인공와우 이식 등과 같은 청력보조 장치를 착용하여 청력개선 효과를 기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한 청력 보조 장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스피커를 이용한 음장검사가 필요하다. In hearing loss patients, hearing aids such as general hearing aids, implantable hearing aids, and cochlear implants are expected to improve hearing.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earing aids worn when wearing these devices, Sound field testing is required.

하지만,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기존 음장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청력검사는 방음 부스 안에 각각 피검자의 좌우 45도 각도에서 1 m 앞에 스피커를 위치시키고 방음 부스 밖에서 청력검사 기기를 이용하여 소리(순음 또는 어음)를 제시하여 피검자가 이를 감지하는지 보는 검사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는 음장 검사시스템은 고정된 큰 스피커를 피검자의 1m 전방에 위치 시켜야 하기 때문에 주로 2 x 2 m 크기의 큰 방음 부스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현재 대다수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은 방음 부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hearing test using a conventional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in a hospital places the speakers in front of the subject in a soundproofing booth at an angle of 45 degrees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subject, and presents a sound (pure tone or note) using a hearing test device outside the soundproofing booth It is a test to see if the subject senses it. As shown in FIGS. 1A to 1C, since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currently used requires a large loudspeaker to be positioned 1 m ahead of the subject, a large sound booth having a size of 2 x 2 m should be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small soundproofing booth which is currently used by many otolaryngologists.

또한 피검자의 앉은키에 따라 귀의 높이가 달라지는데 1 m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커로는 피검자의 귀 높이에서 적절하게 소리를 전달 할 수 없어 검사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소리가 먼 곳에서부터 오기 때문에 어음 검사시 어음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ears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ears according to the patient's sitting height. In the case of a speaker fixed at 1 m in front of the subject, the sound can not be properly transmitted from the ear height of the subjec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mprehension level of the speech was relatively low.

따라서, 기존 음장검사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장검사 시스템이 개발될 필요성이 존재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tructure of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s.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9861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8615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소형방음부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장검사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a small soundproof boot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다수의 이비인후과 병원에 보급되어있는 소형 방음부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음장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a small soundproofing booth that is widely used in otolaryngology hospita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까운 거리에서 작은 스피커를 사용하여 어음 또는 순음을 제공하여 주변 소음에 영향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측정하려는 귀와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청력검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or a pure tone using a small speaker at a short distance so as to be less influenced by ambient noise and to accurately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ear and the speaker to be measured, And a compact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기 착용 환자가 큰 대학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고도 이비인후과 개원의들에 의해 음장검사를 시행 받고 보청기가 잘 작동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시 조정을 통하여 보청기가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검사할 수 있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ring aid which enables a patient to wear a hearing aid without having to visit a large university hospital or the like, And a small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although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object of the invention which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가로유닛의 중심부 전면측에 상기 y축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unit, which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 portions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transverse unit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A speaker unit comprising two speaker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And a head unit installed on the center front face side of the transverse unit so as to be adjustable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고 일정 길이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및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rtical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aper surface;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 portions which are parallel to the ground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unit, and are adjustable in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peaker unit composed of two loudspeakers attached to the end portion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respectivel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상기 곡면부재 후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로유닛의 중심부 전면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가로유닛에 상기 곡면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로유닛과 곡면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지지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d unit includes: a curved surface member on which the subject's head is located; A length adjusting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entir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unit to support the curved surface member and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unit and the curved surface member; And a calibrator support memb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curved surface membe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로유닛은 상기 세로유닛에 그 후면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양단부에서 각각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전면에 고정되는 지지암부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좌우조절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verse unit includes a central member having its rear surface movably fixed to the vertical unit, a supporting arm portion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member to a predetermined length, , A curved surface member fix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and having a head of the examinee, and a curved surface membe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urved surface member in the y- And a calibrator support member that is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로유닛은 상기 세로유닛에 그 후면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양단부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가로유닛의 상기 일정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조절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verse unit is formed by a central member whose back surface is movably fixed to the vertical unit, and a length adjustable structur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member to adjust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horizontal unit A curved surface member fix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and having a head of the examinee and a calibrator support memb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curved surface membe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는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끝난 후 제거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is removed after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small soundproof booth, after correction for 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is complet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을 구성하는 2개의 지지암부는 상기 가로유닛에 대해 하나 이상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supporting arm portion constituting the speaker supporting unit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horizontal uni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유닛을 구성하는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의 정면 중심부가,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와 상기 곡면부재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에 설치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is arranged such th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speaker is disposed on the end of the supporting arm portion such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are parallel to each other Respectivel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전면부와 상기 곡면부재에 위치하는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거리확인부를 더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stance checking unit for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face of the speaker and the ears of the examinee located at the curved face member constan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리확인부는 상기 2개의 스피커 하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거리 측정용 지시부재 또는 상기 2개의 지지암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귀 위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stance checking unit is one of a distance measuring indicating member installed at least one below the two speakers or an ear position indicating unit formed at least one of the two supporting arm units.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ct soundproofing booth equipped with any one of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s described abov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형방음부스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m이내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mall sound-proofing booth has a width and a length of 1 占 0.2m or less.

또한 본 발명은 가로유닛의 중심부에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유닛을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가로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단계; 스피커유닛에 포함된 스피커와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가 되도록 조절하는 거리조절단계; 및 상기 가로유닛의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에 설치된 켈리브레이터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작업을 수행하는 소리보정단계;를 포함하는 음장검사시스템 설정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djusting a height of a horizontal unit, the method comprising: adjusting height of the horizontal unit by moving the horizontal unit along a vertical unit so that a head of the subject is positioned at a center of the horizontal unit; A distance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of the speaker unit and the ears of the examinee so as to be a certain distance; And a sound correcting step of correcting a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through a calibrator provided on a calibrator supporting member of the transverse uni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 및 켈리브레이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removing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and the calibrato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단계는 상기 스피커유닛이 설치된 스피커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지지암부에 표시된 귀 위치 표시부에 따라 헤드유닛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로유닛과 헤드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stance adjustment step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unit and the head uni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d unit according to the ear position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support arm unit constituting the speaker support unit in which the speaker unit is installed .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단계는 상기 가로유닛과 그 단부에 상기 스피커유닛이 설치된 스피커지지유닛 중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거리 측정부재에 의해 피검사사자의 귀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stance adjustment step may include adjusting the length of at least one of the lateral unit and the speaker support unit provided with the speaker unit at the end thereof, and adjusting the length of at least one of the lateral unit and the speaker support unit, And determining a distance to the ear of the user.

상술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은 대다수의 이비인후과 병원에 보급되어있는 소형 방음부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The above-described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a small soundproofing booth that is widely used in otolaryngology hospitals.

또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에 의하면, 가까운 거리에서 작은 스피커를 사용하여 어음 또는 순음을 제공하여 주변 소음에 영향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측정하려는 귀와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청력검사 정보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ct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und or a pure sound by using a small speaker at a short distance to be less affected by ambient noise, The distance can be accurately maintained and more accurate hearing tes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에 의하면, 보청기 착용 환자가 큰 대학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고도 이비인후과 개원의들에 의해 음장검사를 시행 받고 보청기가 잘 작동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시 조정을 통하여 보청기가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검사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ct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ystem, a patient wearing a hearing aid can perform a sound field inspection by an otolaryngologist without visiting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f necessary, adjustments can be made to ensure that the hearing aid is as effective as possible.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These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scope,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which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oncrete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Of course.

도 1a 내지 도 1c는 기존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며, 도 2c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2d는 스피커지지유닛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정면도이며, 도 3c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3d는 스피커지지유닛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며, 도 4c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4d는 스피커지지유닛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1A to 1C are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FIG. 2A is a plan view show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front view, FIG. 2C is a plan view in use state, and FIG. 2D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peaker support unit.
3A is a plan view show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front view, FIG. 3C is a plan view of a used state, and FIG. 3D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peaker support unit.
FIG. 4A is a plan view show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front view, FIG. 4C is a plan view in use state, and FIG. 4D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peaker support unit.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Do not.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construed to include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In particular, where the use of the terms " about ", "substantially" or " about " is us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s are used in the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numerical value .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a temporal posterior relationship is described by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Is not used and is not contiguous.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소형 방음부스에 들어갈 수 있도록 작은 스피커를 사용하고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피검자의 키에 맞출 수 있도록 높이와 좌우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에 있다. 즉, 기존에는 방음 부스 안에 각각 피검자의 좌우 45도 각도에서 1 m 앞에 스피커를 고정시키고 방음 부스 밖에서 청력검사 기기를 이용하여 소리(순음 또는 어음)를 제시하여 피검자가 이를 감지하는지 보는 검사이기 때문에, 적어도 2 x 2 m 크기의 큰 방음부스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피검자의 귀 높이에서 적절하게 소리를 전달 할 수 없어 검사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소리가 먼 곳에서부터 오기 때문에 어음 검사시 어음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a structure capable of height, right and left and forward / backward movement so as to be able to match various keys of a subject because a small speaker is used for entering a small soundproof booth, It is in a small soundproofing booth. In other words, since a speaker is fixed in front of a subject in a soundproof booth at a position of 1 meter from a left and right 45 degrees angle of the subject, and a sound is audited by a hearing test device outside the soundproofing booth to see whether the subject senses it, In addition to requiring a large sound booth of at least 2 x 2 m, it is not possible to properly transmit the sound at the ear height of the subject, resulting in errors in the examination. Since the sound comes from a distant place,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omes out low.

따라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의 제1구현예는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가로유닛의 중심부 전면측에 상기 y축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unit installed to have a certain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 portions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transverse unit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A speaker unit comprising two speaker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And a head unit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nsverse unit so as to be adjustable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의 제2구현예는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및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 vertical unit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ground;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ing unit consisting of two support arm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unit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 speaker unit composed of two loudspeaker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또한,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는 그 내부에 상술된 구조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되는데,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 m 이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ll soundproofing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side thereof, and may have a length and a length of less than 1 ± 0.2 m.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며, 도 2c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2d는 스피커지지유닛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정면도이며, 도 3c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3d는 스피커지지유닛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며, 도 4c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4d는 스피커지지유닛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2A is a plan view show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front view, FIG. 2C is a use state plan view, FIG. 2D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peaker support unit, FIG. 3B is a front view, FIG. 3C is a plan view of a used state, and FIG. 3D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peaker support unit. FIG. 4A is a plan view show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front view, FIG. 4C is a plan view in use state, and FIG. 4D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peaker support unit.

도 2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의 제1구현예 및 제1구현예의 변형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100)은 세로유닛(110), 가로유닛(120), 스피커지지유닛(130), 스피커유닛(140) 및 헤드유닛(150)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거리확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A and 3A,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unit 110, a horizontal unit 120, a speaker support unit 130, a speaker unit 140, and a head unit 150, .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checking unit 160 if necessary.

세로유닛(110)은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일정폭을 갖는 1m 이하의 판상길이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장방형길이부재 전면에 고정되는 구성요소 즉 가로유닛(1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기술적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The vertical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is a plate-like length member having a constant width of 1 m or less and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rectangular member All known technical configurations can be employed as long as they can guide the component, i.e., the horizontal unit 120, to move up and down.

일 구현예로서, 세로유닛(110)은 1개 또는 2개의 판상길이부재 및 상기 판상길이부재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세로유닛(110)이 1개의 판상길이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벽면의 중심부측으로 세로유닛(110)에 포함된 판상길이부재가 가로유닛(120)의 중심부 후면과 고정되어 세로유닛(110)에 포함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세로유닛(110)이 2개의 판상길이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벽면의 양단부에 각각 판상길이부재를 설치하여 가로유닛(120)의 양단부측 후면과 고정되어 세로유닛(110)에 포함된 2개의 가이드부재를 따라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세로유닛(11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유닛(110)을 구성하는 판상길이부재의 폭은 세로유닛(110)이 벽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그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120)과 가로유닛(120)에 연결되는 스피커지지유닛(130) 및 스피커유닛(14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판상길이부재가 1개로 구성되면 그 폭이 넓고 2개 구성되면 그 폭이 좁을 수 있을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unit 110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plate-shaped long members and guide members that are partially or wholly installed in the plate-shaped long members. When the vertical unit 110 includes one plate-shaped long member, a plate-like length member included in the vertical unit 110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of the wall surface installed as shown in FIG. 2A, When the vertical unit 110 includes two plate-like length members, the vertical unit 1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member included in the vertical unit 110. In the case where the vertical unit 110 includes two plate- The vertical unit 11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plate-like length member and to be fixed to both rear end sides of the lateral unit 120 and to be movably coupled along two guide members included in the vertical unit 110 . Here, the width of the plate-shaped long member constituting the vertical unit 110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horizontal unit 120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110 while the vertical unit 1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weight of the unit 130 and the speaker unit 140 can be supported.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plate-shaped member is one, the width of the member may be wide when the two members are formed.

가이드부재는 세로유닛(110)을 구성하는 판상길이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개로 형성되어 판상길이부재의 전면에 부착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The guid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like elongated member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unit 110, but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shaped elongated member.

가로유닛(120)은 x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세로유닛(1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세로유닛(1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후면에 세로유닛(110)을 구성하는 판상길이부재의 개수에 따라 세로유닛(110)과의 결합부가 1 개 또는 2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세로유닛(110)이 1개의 판상길이부재로 형성되면, 가로유닛(120)의 중심부 후면에 결합부가 1개 형성되어 세로유닛(110)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세로유닛(110)이 2개의 판상길이부재로 형성되면, 가로유닛(120)의 좌우양단부 후면측으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세로유닛(110)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로유닛(120)은 일정폭과 1m 미만의 길이를 갖는 판상길이부재일 수 있는데, 그 후면에 형성되는 세로유닛(110)과의 결합부는 가로유닛(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transverse unit 120 is a componen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11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110 with a certain length in the x axis direction and includes a vertical unit 110 One or two coupling portions with the vertical unit 110 may be form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plate-like length members. That is, when the vertical unit 110 is formed of one plate-shaped long member as described above, on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nter part of the horizontal unit 120 so as to be movably fixed to the vertical unit 110, When the unit 110 is formed of two plate-shaped long members, the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transverse unit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unit 110 can be movably fixed to the vertical unit 110. Here, the transverse unit 120 may be a plate-shaped lo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of less than 1 m, and the coupling unit with the vertical unit 110 formed on the rear surfac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ransverse unit 120 But may be formed separately.

스피커지지유닛(130)은 가로유닛(120)의 양단부측에서 가로유닛(120)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데, 지지암부(131, 132)는 1m미만의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가로유닛(120)과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를 채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 2d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지지유닛(130)을 구성하는 2개의 지지암부(131, 132)는 가로유닛(120)과 고정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이 가로유닛(120)에 대해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암부(131, 132)의 타단부는 스피커유닛(140)을 구성하는 스피커(141, 142)가 장착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스피커지지유닛(130)을 구성하는 지지암부(131, 132)의 길이는 1m미만으로서 대략 30cm 내지 60c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지지암부(131,132)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피커(141)의 정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에 자리한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약 30cm를 이루는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The speaker supporting unit 130 is composed of two supporting arm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unit 12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the y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120. The supporting arm portions 131 And 132 may adopt all known components as long as they can support a speaker unit 140 having a length of less than 1 m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transverse unit 120 and installed at the other end. As shown in FIGS. 2d and 3d,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constituting the speaker support unit 130 are fixed to the transverse unit 120 and at least one transverse unit 120 Or in a structure capable of pivoting up and down.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ing arms 131 and 13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peakers 141 and 142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140 are easily mounted.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constituting the speaker support unit 130 have a length of less than 1 m and a length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30 cm to 60 cm and the speaker 141 141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And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of the head unit 150 and the ears of the examinee located in the head unit 150 is about 30 cm.

스피커유닛(140)은 2개의 지지암부(131, 132)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141, 142)를 포함하는데, 스피커(141,142)는 소형 스피커로서 스피커(141,142)의 정면 중심부가, 각각 지지암부(131, 132)의 단부와 헤드유닛(150)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지지암부(131,132)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피커(141)의 정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과 지지암부(131)가 이루는 각도가 거의 45°를 이룰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스피커유닛(140)은 스피커지지유닛(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peaker unit 140 includes two speakers 141 and 142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The speakers 141 and 142 are small speakers and the front center portions of the speakers 141 and 142, 132 at the ends of the support arms 131, 132 and the center of the head unit 150 parallel to the ground. As a resul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speaker 141 and the central arm portion of the head unit 150 and the supporting arm portion 131, which is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can be about 45 degrees. If desired, the speaker unit 140 may have an angle adjustable configuration while mounted on the speaker support unit 130.

헤드유닛(150)은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가로유닛(120)의 중심부 전면측에 y축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곡면부재(151), 길이조절지지부재(152) 및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 unit 15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unit 120 and is adjustable in the y-axis direction. The curved surface 151, the length adjusting support member 152, And a calibrator support member 153.

곡면부재(151)는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했을 때 귀 부분이 가려지지 않는 정도의 곡면부재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평단면이 초승달형상의 곡면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curved surface member 151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curved surface having a degree that the ear portion is not covered when the head of the examinee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head of the examinee is located. However, as shown in one embodiment, A curved surface of a crescent moon.

길이조절지지부재(152)는 곡면부재(151) 후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가로유닛(120)의 중심부 전면에 고정되어 가로유닛(120)에 곡면부재(151)를 지지하는 동시에 가로유닛(120)과 곡면부재(1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length adjusting support member 152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support member 152 is fixed to the entir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unit 120 to support the curved surface member 120 in the horizontal unit 120, A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120 and the curved surface member 151, all known components can be used as long as the length can be adjus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fixed.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는 곡면부재(151)의 양단부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켈리브레이터(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음장검사시스템(100)이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끝난 후 켈리브레이터(200)와 함께 제거된다. 이 후 주기적으로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경우 다시 설치하여 소리를 보정하고 제거할 수 있다.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153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151 to support the calibrator 200. The acoustic wave inspection system 100 includes a small sound- And then removed together with the calibrator 200 after the correction for 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is completed. After this period, if you need to calibrate 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periodically, you can reinstall it to correct and remove the sound.

이와 같이 헤드유닛(150)이 구성되면, 세로유닛(110), 가로유닛(120) 및 스피키지지유닛(130)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음장검사시스템(100)이 구현되더라도, 성인과 어린이의 키 차이에 따른 피검사자의 머리위치와 헤드유닛(150)의 위치차이는 세로유닛(110)을 따라 가로유닛(120)을 이동시켜 맞출 수 있고, 성인과 어린이의 머리 크기에 따른 스피커전면부와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는 헤드유닛(150)의 길이조절지지부재(152)의 길이를 전후로 조절하여 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Even if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100 is implemented with the length of the vertical unit 110, the horizontal unit 120, and the speaker support unit 130 fixed, if the head unit 15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d position of the examinee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unit 15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transverse unit 120 along the vertical unit 110.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ars of the examinee can be easily and precis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support member 152 of the head unit 150 back and forth.

거리확인부(160)는 스피커(141, 142)의 전면부와 헤드유닛(150)에 위치하는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2개의 스피커(141, 142) 하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거리 측정용 지시부재 또는 2개의 지지암부(131, 132)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귀 위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암부(131,132)에 고정 설치된 스피커(141)의 전면부 즉 정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에 자리한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약 30cm인 경우 거리 측정용 지시부재는 30cm의 길이를 갖는 유연한 소재의 길이부재일 수 있을 것이다. The distance checking unit 160 is a component for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ront face of the speakers 141 and 142 and the subject's ears located in the head unit 150. The distance checking unit 160 includes two speakers 141 and 142 Or one or more ear position indicating portions formed on the two supporting arm portions 131 and 132. [ He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part of the speaker 141 fixed to the supporting arm parts 131 and 132, that is, the front center part, and the ears of the examinee located in the head unit 150 is about 30 cm, the distance measuring indicating member has a length of 30 cm It may be a length member of a flexible material.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의 제2구현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4A to 4D, a second embodiment of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100)은 세로유닛(110), 가로유닛(120), 스피커지지유닛(130), 및 스피커유닛(140)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거리확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A,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unit 110, a horizontal unit 120, a speaker support unit 130, and a speaker unit 140.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checking unit 160 if necessary.

세로유닛(110)은 상술된 제1구현예에 포함된 세로유닛(110)의 구성 중 1개의 판상길이부재를 포함한 경우와 동일하고, 스피커유닛(140) 및 거리확인부(160)의 구성은 상술된 제1구현예와 동일하므로, 가로유닛(120)과 스피커지지유닛(13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vertical unit 110 is the same as the vertical unit 110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the speaker unit 140 and the distance checking unit 160 The horizontal unit 120 and the speaker supporting unit 130 will be mainly described.

가로유닛(120)은 x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세로유닛(1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구현예의 가로유닛(120)과 헤드유닛(15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중심부재(121), 좌우조절부재(122), 곡면부재(123) 및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verse unit 120 is a component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 axis direction and move along the vertical unit 110. The transverse unit 120 and the head unit 150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members 122, the curved members 123, and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124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central member 121,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member 122, the curved member 123,

중심부재(121)는 세로유닛(110)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그 후면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세로유닛(110)에 포함된 1개의 판상길이부재의 전면에 고정되어 세로유닛(110)에 포함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center member 121 is a plate-like member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unit 110 and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one plate-shaped long member included in the vertical unit 110, And a guide member (not shown).

좌우조절부재(122)는 중심부재(121)의 좌우양단부에서 각각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전면에 고정되는 지지암부(131,132)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중심부재(121)와 지지암부(131, 1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심부재(121)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중심부재(121)와 지지암부(131, 1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하면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121)의 좌우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판상부재로서 그 전면에 부착되는 지지암부(131, 132)가 판상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좌우조절부재(122)가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우조절부재(122)가 중심부재(121)의 좌우양단부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중심부재(121)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가로유닛(120)의 일정길이를 조절하여 중심부재(121)와 지지암부(131, 1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members 122 ar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supporting arm portions 131 and 132 extende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member 121 at predetermined lengths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center member 121 are movabl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member 121 and the supporting arm portions 131 and 132 can be adjusted in a state where the center member 121 is left as it is, All technical configurations are available. As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4A,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member 121,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member 122 can be realized as a structure for forming a part. Although not shown,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members 122 are each extended from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center member 121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adjust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ateral unit 120 while leaving the center member 121 as it is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member 121 and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곡면부재(123)는 중심부재(121)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했을 때 귀 부분이 가려지지 않는 정도의 곡면부재이기만 하면 소재 및 형상이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평단면이 초승달형상의 곡면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곡면부재(123)는 상술된 제1구현예의 곡면부재(151)와는 달리 가로유닛(120)의 중심부재(12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고정된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The curved surface member 123 is a curved surface member fix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121 and having such a degree that the ear portion is not covered at least when the head of the examinee is located, Although not limited, the horizontal cross-section may be a crescent-shaped curved surface as shown in one embodiment. The curved surface member 123 may be different from the curved surface member 151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curved surface member 123 is directly contacted and fixed to the center member 121 of the transverse unit 120. [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24)는 상술된 제1구현예의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153)와 그 기술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124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153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스피커지지유닛(130)은 가로유닛(120)의 양단부측에서 가로유닛(120)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131, 132)로 구성되는데, 일단부가 가로유닛(120)과 고정되고 타단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140)을 지지하면서 가로유닛(120)과 스피커유닛(140)사이의 거리 즉 지지암부(131,1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를 채택할 수 있다. 2개의 지지암부(131, 132)는 일 구현예로서 최대로 조절된 길이가 1m미만으로서 대략 30cm 내지 60cm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지지암부(131, 132)의 길이는 가로유닛(120)의 길이를 고려하여 지지암부(131,132)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피커(141)의 정면중심부와 헤드유닛(150)에 자리한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약 30cm를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2개의 지지암부(131, 132)는 가로유닛(120)과 고정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이 가로유닛(120)에 대해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암부(131, 132)의 타단부는 스피커유닛(140)을 구성하는 스피커(141, 142)가 장착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peaker support unit 130 includes two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1 which are parallel to the ground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120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unit 120, The speaker unit 140 is fixed at one end to the horizontal unit 120 while supporting the speaker unit 140 at the other end of the speaker unit 140.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unit 120 and the speaker unit 140, All known components can be adopted as long as the length can be adjusted. The two support arms 131, 132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about 30 cm to 60 cm, with the maximum adjusted length being less than 1 m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speaker 141 fix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and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est subject The distance between the ears can be adjusted to be about 30 cm. If necessary,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rm portions 131 and 132 is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unit 120.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ing arms 131 and 13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peakers 141 and 142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140 are easily mounted.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장검사시스템의 제2구현예의 경우도 세로유닛(110)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판상길이부재를 포함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including two plate-shaped length members as shown in FIG. 3A.

다음으로,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것으로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m x 1m, 1.2m x 1m, 또는 1.2m x 0.9m를 포함하여 0.8m에서 1.2m이내(1±0.2m이내)로서 1m내외이므로,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어 개인병원도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를 활용하여 음장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소형방음부스는 조립식으로 구현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Next, the compact soundproofing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hav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has a length and breadth of 1m x 1m, 1.2mx 1m, or 1.2mx 0.9m, (1. + -. 0.2 m), so that a small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Thus, a private hospital can easily perform a sound field inspection using a small soundproof booth equipped with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the compact sound-proofing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can be easily moved.

따라서, 본 발명의 음장검사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에 의하면, 보청기 착용 환자가 큰 대학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고도 이비인후과 개원의들에 의해 음장검사를 시행 받고 보청기가 잘 작동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시 조정을 통하여 보청기가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검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ound field inspection 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ct soundproof booth including the system, a patient wearing a hearing aid can perform a sound field inspection by an otolaryngologist without visiting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f necessary, adjustments can be made to ensure that the hearing aid is as effective as possible.

상술된 구성을 갖는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에서 청력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장검사시스템이 청력검사를 수행하기 적합하도록 설정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음장검사시스템 설정방법은 가로유닛의 중심부에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유닛을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가로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단계; 스피커유닛에 포함된 스피커와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가 되도록 조절하는 거리조절단계; 및 상기 가로유닛의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에 설치된 켈리브레이터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작업을 수행하는 소리보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a hearing test in a small soundproof booth equipped with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must be set to be suitable for performing a hearing test. Therefore, in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se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unit by moving the horizontal unit along the vertical unit so that the head of the horizontal unit is positioned; A distance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of the speaker unit and the ears of the examinee so as to be a certain distance; And a sound correcting step of correcting a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through a calibrator provided on a calibrator supporting part of the transverse unit.

이와 같이 켈리브레이터를 통한 소리보정이 완료되면 켈리브레이터 지지부 및 켈리브레이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sound correction through the calibrator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step of removing the calibrator support and the calibrator may be further performed.

또한, 거리조절단계는 일 구현예로서 음장검사시스템이 제1구현예의 구조를 갖고 거리확인부가 귀 위치 표시부로 구현되면, 스피커유닛이 설치된 스피커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지지암부에 표시된 귀 위치 표시부에 따라 헤드유닛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로유닛과 헤드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고, 다른 구현예로서 음장검사시스템이 제2구현예의 구조를 갖고 거리확인부가 거리측정용 지시부재인 경우에는 가로유닛과 그 단부에 스피커유닛이 설치된 스피커지지유닛 중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스피커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거리 측정부재에 의해 피검사사자의 귀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checking unit is implemented as the ear position display unit, the distance adjust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ear position indicating unit displayed on the supporting arm unit constituting the speaker supporting unit provided with the speaker unit,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d uni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verse unit and the head unit. In another embodiment,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may have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Adjusting the length of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unit and the speaker support unit provided with the speaker unit at the end thereof and determining the distance to the ear of the subject by the distance measuring member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eaker unit; . ≪ / RTI >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0 : 음장검사시스템
110 : 세로유닛 120 : 가로유닛
121 : 중심부재 122 : 좌우조절부재
123 : 곡면부재 124 :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
130 : 스피커지지유닛 131 : 제1지지암부
132 : 제2지지암부
140 : 스피커유닛 141 : 스피커
150 ; 헤드유닛 151 : 곡면부재
152 : 길이조절지지부재 153 :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
160 : 거리확인부 200 :켈리브레이터
100: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110: vertical unit 120: horizontal unit
121: center member 122:
123: curved surface member 124: calibrator supporting member
130: speaker support unit 131: first support arm portion
132: second supporting arm portion
140: speaker unit 141: speaker
150; Head unit 151: curved surface member
152: length adjusting supporting member 153: calibrator supporting member
160: distance checking unit 200: calibrator

Claims (16)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가로유닛의 중심부 전면측에 상기 y축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헤드유닛은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상기 곡면부재 후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로유닛의 중심부 전면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가로유닛에 상기 곡면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로유닛과 곡면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지지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유닛을 구성하는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의 정면 중심부가,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와 상기 곡면부재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가 청력 보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청력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검사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A vertical unit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 portions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transverse unit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A speaker unit comprising two speaker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And
And a head unit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unit so as to be adjustable in the y-axis direction,
Wherein the head unit comprises: a curved surface member on which the subject's head is located; A length adjusting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entir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unit to support the curved surface member and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unit and the curved surface member; And a calibrator support memb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curved surface member,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arm so th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speaker is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in parallel with the ground,
Wherein a test environment for accurately testing the hearing ability of the testee is kept constant in a state in which the examinee wears the hearing aid.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고 일정 길이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및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가로유닛은 상기 세로유닛에 그 후면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양단부에서 각각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전면에 고정되는 지지암부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좌우조절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유닛을 구성하는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의 정면 중심부가,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와 상기 곡면부재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가 청력 보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청력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검사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A vertical unit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 portions which are parallel to the ground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unit, and are adjustable in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d a speaker unit composed of two speaker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The transverse unit may include a center member having its rear surface movably fixed to the vertical unit, a support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member to a predetermined length, A left and right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member and the supporting arm, a curved surface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and on which the head of the examinee is placed, and a curled member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y- And a lighter support member,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arm so th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speaker is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in parallel with the ground,
Wherein a test environment for accurately testing the hearing ability of the testee is kept constant in a state in which the examinee wears the hearing aid.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면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세로유닛;
x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세로유닛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유닛;
상기 가로유닛의 양단부측에서 상기 가로유닛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고 일정 길이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2개의 지지암부로 구성되는 스피커지지유닛; 및
상기 2개의 지지암부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가로유닛은 상기 세로유닛에 그 후면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좌우양단부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가로유닛의 상기 일정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조절부재, 상기 중심부재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곡면부재, 및 상기 곡면부재에서 y축 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유닛을 구성하는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의 정면 중심부가,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와 상기 곡면부재의 중심부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암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가 청력 보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청력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검사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A vertical unit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transverse unit fixed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uni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speaker support unit comprising two support arm portions which are parallel to the ground in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unit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unit, and are adjustable in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d a speaker unit composed of two speaker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two support arm portions,
The transverse unit includes a central member having a rear surface movably fixed to the vertical unit, a left and right adjusting member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memb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unit, A curved surface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and on which the subject's head is placed, and a calibrator supporting memb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curved surface member,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arm so th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speaker is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member in parallel with the ground,
Wherein a test environment for accurately testing the hearing ability of the testee is kept constant in a state in which the examinee wears the hearing aid.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는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소형방음부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이 끝난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Wherein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is removed after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small soundproof booth after the correction of the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is completed.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유닛을 구성하는 2개의 지지암부는 상기 가로유닛에 대해 하나 이상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Wherein at least one support arm portion of the speaker support unit is rotatably installed to the transverse unit.
삭제delete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전면부와 상기 곡면부재에 위치하는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거리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checking unit for keeping a distance between a front portion of the speaker and an ears of a test subject positioned on the curved surface member consta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확인부는 상기 2개의 스피커 하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거리 측정용 지시부재 또는 상기 2개의 지지암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귀 위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용 음장검사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tance checking unit is one of a distance measuring indicating member installed at least one below the two speakers or an ear position indicating unit formed at least one of the two supporting arm units.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소형방음부스.
A compact soundproofing booth equipped with the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방음부스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1±0.2 m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음부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mall soundproofing booth has a width and a length of less than 1 ± 0.2 m.
가로유닛의 중심부에 피검사자의 머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가로유닛을 세로유닛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가로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단계;
스피커유닛에 포함된 스피커와 피검사자의 귀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가 되도록 조절하는 거리조절단계;
상기 가로유닛의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에 설치된 켈리브레이터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소리에 대한 보정작업을 수행하는 소리보정단계; 및
상기 켈리브레이터 지지부재 및 켈리브레이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피검사자가 청력 보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청력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검사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검사시스템 설정방법.
Adjusting a height of the horizontal unit by moving the horizontal unit along the vertical unit so that the head of the examinee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unit;
A distance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of the speaker unit and the ears of the examinee so as to be a certain distance;
A sound correcting step of correcting a sound emitted from the speaker through a calibrator provided on a calibrator supporting member of the transverse unit; And
Removing the calibrator support member and the calibrator,
Wherein a test environment for accurately testing the hearing ability of the testee is kept constant while the testee wears the hearing aid.
삭제dele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단계는 상기 스피커유닛이 설치된 스피커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지지암부에 표시된 귀 위치 표시부에 따라 헤드유닛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로유닛과 헤드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검사시스템 설정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may include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unit and the head uni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d unit according to the ear position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support arm unit constituting the speaker support unit in which the speaker unit is installed A method for setting a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단계는 상기 가로유닛과 그 단부에 상기 스피커유닛이 설치된 스피커지지유닛 중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거리 측정부재에 의해 피검사사자의 귀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검사시스템 설정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includes adjusting a length of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unit and the speaker support unit provided with the speaker unit at the end thereof and the distance to the ear of the subject by the distance measuring member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peaker unit Determining a sound field of the sound field;
KR1020180163560A 2018-12-17 2018-12-17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KR101991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60A KR101991425B1 (en) 2018-12-17 2018-12-17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PCT/KR2019/095049 WO2020130761A1 (en) 2018-12-17 2019-12-16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nd small soundproof booth including s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60A KR101991425B1 (en) 2018-12-17 2018-12-17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425B1 true KR101991425B1 (en) 2019-06-20

Family

ID=6710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560A KR101991425B1 (en) 2018-12-17 2018-12-17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1425B1 (en)
WO (1) WO2020130761A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61A1 (en) * 2018-12-17 2020-06-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nd small soundproof booth including same system
KR102147814B1 (en) 2019-12-31 2020-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and small audiometric booth equipped with the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KR20210062427A (en) * 2019-11-21 2021-05-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Standard audiometric booth with a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the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FR3111536A1 (en) * 2020-06-22 2021-12-24 Morgan POTIER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SPACE SOUND LOCATION CAPACITY
KR20220001078A (en) * 2020-06-29 2022-0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test system and Sound field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102352425B1 (en) * 2020-08-21 2022-01-18 박재범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KR102357554B1 (en) * 2020-08-12 2022-02-07 박재범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WO2022039539A1 (en) * 2020-08-21 2022-02-24 박재범 Chai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KR20220030078A (en) * 2020-09-02 2022-03-10 박재범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794A (en) * 1994-05-31 1995-12-22 Bose Corp Reproducing apparatus for adjacent sound field of signal coded by bainoraru method
JP2006026140A (en) * 2004-07-16 2006-02-02 Yuuki Trading:Kk Post-attached headrest supporting mechanism for wheelchair
JP2013236354A (en) * 2012-05-11 2013-11-21 Funai Electric Co Ltd Acoustic system and speaker device
KR20140098615A (en) 2013-01-31 2014-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reof
WO2017172916A1 (en) * 2016-03-31 2017-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ise simulating booth for safely testing and demonstrating hearing protection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425B1 (en) *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794A (en) * 1994-05-31 1995-12-22 Bose Corp Reproducing apparatus for adjacent sound field of signal coded by bainoraru method
JP2006026140A (en) * 2004-07-16 2006-02-02 Yuuki Trading:Kk Post-attached headrest supporting mechanism for wheelchair
JP2013236354A (en) * 2012-05-11 2013-11-21 Funai Electric Co Ltd Acoustic system and speaker device
KR20140098615A (en) 2013-01-31 2014-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reof
WO2017172916A1 (en) * 2016-03-31 2017-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ise simulating booth for safely testing and demonstrating hearing protection equipmen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61A1 (en) * 2018-12-17 2020-06-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inspection system and small soundproof booth including same system
KR20210062427A (en) * 2019-11-21 2021-05-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Standard audiometric booth with a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the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KR102280302B1 (en) * 2019-11-21 2021-07-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Standard audiometric booth with a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the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KR102147814B1 (en) 2019-12-31 2020-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and small audiometric booth equipped with the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FR3111536A1 (en) * 2020-06-22 2021-12-24 Morgan POTIER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SPACE SOUND LOCATION CAPACITY
KR102407173B1 (en) * 2020-06-29 2022-06-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test system and Sound field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01078A (en) * 2020-06-29 2022-0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test system and Sound field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102357554B1 (en) * 2020-08-12 2022-02-07 박재범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WO2022035148A1 (en) * 2020-08-12 2022-02-17 박재범 Chair hav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US11812873B2 (en) 2020-08-12 2023-11-14 Tround Inc.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KR102352425B1 (en) * 2020-08-21 2022-01-18 박재범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WO2022039539A1 (en) * 2020-08-21 2022-02-24 박재범 Chai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US11839311B2 (en) 2020-08-21 2023-12-12 Tround Inc.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KR102406224B1 (en) * 2020-09-02 2022-06-08 박재범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KR20220030078A (en) * 2020-09-02 2022-03-10 박재범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761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425B1 (en)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Feigin et al. Probe-Tube Microphone Measures of Ear-Canal Sound
US7016504B1 (en) Personal hearing evaluator
US20110019846A1 (en) Hearing aids configured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CA27643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of hearing aids
Kodera et al.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hearing aid fitting (2010)
Hawkins et al. Examination of two issues concerning functional gain measurements
Shimokura et al. Simulating cartilage conduction sound to estimate the sound pressure level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Bagatto et al. Evaluation of a probe-tube insertion technique for measuring the real-ear-to-coupler difference (RECD) in young infants
McCreery et al. Use of forward pressure level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acoustic standing waves during probe-microphone hearing-aid verification
Rasmussen et al. Long-term test-retest reliability of category loudness scaling in normal-hearing subjects using pure-tone stimuli
Green et al. The effect of a conventional versus a nonoccluding (CROS-type) earmold upon the frequency response of a hearing aid
Thoms et al. Audiometric test with a smartphone
LARSON et al. SOUND LEVELS IN A 2-cc CAVITY, A ZWlSLOCKl COUPLER, AND OCCLUDED EAR CANALS
Hodgetts et al. A comparison of three approaches to verifying aided Baha output
Chaiklin et al. Audiometric management of collapsible ear canals
KR102147814B1 (en)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and small audiometric booth equipped with the sound field audiometry system using one speaker
Ćirić et al. Coupling of earphones to human ears and to standard coupler
Laukli et al.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acoustic reflex thresholds
Stuart et al. Probe tube microphone measures of loudness discomfort levels in children
KR102280302B1 (en)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Standard audiometric booth with a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the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listener's height correction system
Urichuk et al. Validation of an integrated pressure level measured earmold wideband real-ear-to-coupler difference measurement
Bolandi et al. Does the Receiver Type Used in Receiver-in-Canal Hearing Aids Have an Effect on Real-Ear-to-Coupler Difference and Coupler Response for Flat Insertion Gain Values?
Upfold The evaluation of CROS aids with the unilateral listener
Lukic et al. Finding the Optimal Head Position for Bone Conduction Sound Measurements when Using a Skin 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