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29B1 -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 Google Patents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29B1
KR101990929B1 KR1020140029041A KR20140029041A KR101990929B1 KR 101990929 B1 KR101990929 B1 KR 101990929B1 KR 1020140029041 A KR1020140029041 A KR 1020140029041A KR 20140029041 A KR20140029041 A KR 20140029041A KR 101990929 B1 KR101990929 B1 KR 10199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haracter
character string
score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5523A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5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2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정 목표 문자열을 입력하고,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들 간의 연관성을 계산하여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치환입력하는 오타 수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연관성 판단 단계에 있다. 본 발명의 연관성 판단 단계에서는 복수의 오타 수정 동작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되고,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는데 필요한 오타 수정 동작마다 이에 부여된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합산되는 방식으로 점수의 총합이 계산되되, 수정을 위하여 선택 가능한 오타 수정 동작의 경우의 수가 복수인 경우 그 중 점수의 총합이 최소로 되는 경우의 점수가 연관성 판단에 활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 점수의 총합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연관성 판단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ection method for correcting a mistake in which a user inputs a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calculate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and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s, and substitutes a character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relevant as the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will be.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step. In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rrecting operations are defined, a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rrecting operations, and a corr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total score of the scores is calculated by summing up the score of the corrective action points given thereto, and when the number of correctable typo corrective actions is plural, the score of the case in which the total score is the minimum is calculated .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is made by comparing the sum of the scores calculated in this manner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Description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 판단을 통한 오타 수정 방법{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나 PC 등에서 입력된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을 판단을 통한 오타 수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typographical errors by determin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strings input from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PC.

PC나 모바일 기기 상에서 문자(영문, 한글, 숫자, 특수 문자 등 입력 가능한 모든 형태를 포괄하는 의미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타가 발생할 경우, 통상적인 오타 수정 방법은 백스페이스(Backspace) 등의 삭제 기능키를 이용해 오타가 난 문자 이후에 입력된 문자들을 모두 지운 다음 올바른 문자를 다시 입력하거나, 마우스(PC의 경우) 또는 손가락 터치로(모바일 기기의 경우) 커서를 오타가 난 문자로 옮긴 다음 오타가 난 문자를 지우고 올바른 문자를 다시 입력해 오타를 수정하는 것이었다.When a typo occurs in the process of inputting letters (meaning all forms that can be entered in English, Korean, numbers, special characters, etc.) on a PC or a mobile device, a common typing correction method is to delete a backspace, Use the function keys to erase all characters typed after the typed character, then re-enter the correct character, or move the cursor to the typed character with the mouse (on a PC) or finger touch (on a mobile device) Was to correct the typos by erasing the characters and typing in the correct characters again.

그런데, 백스페이스 등의 삭제 기능키를 이용해 오타를 수정하는 방식은 오타가 난 문자뿐만 아니라 오타가 난 문자와 현재의 커서 위치 사이에 정상적으로 입력된 문자들까지도 모두 지워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우스를 이용해 커서를 오타가 난 문자로 옮겨 오타를 수정하는 방식은 키보드에서 손을 떼어 마우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옮기는 동작과 오타를 수정한 이후에 커서를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기는 동작이 필요하게 되어, 조작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비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손가락 터치를 사용해 커서를 옮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모바일 기기와 같은 소형 터치스크린을 갖는 장치의 경우에는 작은 화면 내에서 손가락 터치로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커서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더욱 어렵고 번거롭게 된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yped characters but also characters typed normally between the typed character and the current cursor position are erased even in the method of correcting typo using the erase function key such as backspace. In addition, moving the cursor to an erroneous character using a mouse and correcting the errata can be achieved by releasing the hand from the keyboard and moving the cursor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n moving the cursor back to the current position after correcting the typ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and the time is consumed. This is also true when you use the finger touch to move the cursor. In the case of a device having a small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device, it is more difficult and troublesome to move the cursor to the correct position because the cursor must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with a finger touch in a small scree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소위 자동 수정 기능으로 불리는 오타 수정 방법이다. 이 기능은 이미 상용화되어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A라는 단어를 입력했을 때 A라는 단어가 오타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B라는 단어로 고쳐주는 것이다. 자동으로 수정 입력되는 B라는 단어는 라이브러리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것이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것이 아니다.What has emerged to solve these problems is a correction method called a so-called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This function is already commercialized and is installed in various mobile devices. When the user inputs the word 'A', when the word 'A' is judged to be a typo, the word 'B' is automatically corrected. Automatically Corrected The word "B" entered is already entered in the library and is not entered directly by the user.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 수정 기능은 사용자가 수정 의도를 가지고 입력한 단어가 아니라 시스템이 사용자가 입력하였을 것으로 추정하는 단어를 수정 입력 단어로 설정하기 때문에, 추정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혀 의도치 않은 엉뚱한 단어가 입력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단어들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 일부 기인한다. 현재 PC나 모바일 기기 상에서는 사용자들이 신조어나 줄임말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고 있기 때문에 라이브러리의 업데이트가 자주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라이브러리의 한계로 인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용자들은 장치에 자동 단어 수정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기능을 off 상태로 설정해 작동하지 않도록 한 채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sets not the words inputted by the user with the correction intention but the words which the system presumes that the system has inputted by the user as the correction input words. Therefore, when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correct word is inputted. This is due in part to the limited number of words registered in the library. Currently, on a PC or mobile device, users are frequently using new words or abbreviations, so if the library is not updated frequently, problem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se libraries become more serious. For this reason, many users are typing letters while the device is equipped with automatic word correction, but this feature is off and not working.

이러한 종래의 자동 수정 기능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완전히 새로운 오타 수정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자가 고안한 새로운 오타 수정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신규 문자열을 입력하고 수정 명령을 내리면, 입력된 신규 문자열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정 목표 문자열로 인식하고, 신규 문자열과 이미 입력된 문자열들을 서로 비교해 이미 입력되어 있던 문자열들 중에 신규 문자열과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을 수정 후보 문자열로 판단해 신규 문자열로 치환한다. 사용자가 직접 수정 명령을 내리는 방식 외에 시스템이 자동으로 사용자의 수정 의도를 파악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새로운 오타 수정 방법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294558호로 등록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or invented a completely new correction method. In the new typos correction method devised by the present inventor, when a user inputs a new string and issues a correction command, the input new string is recognized as a desired correction target string by the user, and a new string and already inputted string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 string having a high correlation with a new string is determined as a modified candidate string and replaced with a new string.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ystem to automatically grasp the intent of the user to modify, in addition to the way the user makes a direct modification command. This new correction method of typos is registered as Korean Patent No. 10-1294558.

이와 같은 새로운 오타 수정 방법에서는 잘못 입력된 문자열을 사용자가 수정 의도를 가지고 새로 입력한 신규 문자열로 치환하기 때문에, 종래의 자동 수정 기능에 비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오타 수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오타 수정 방법은 사용자가 수정 의도를 가지고 새로 입력한 수정 목표 문자열과 이미 입력되어 있던 문자열들 사이의 연관성을 판단해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을 치환하도록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 판단의 정확도에 따라 오타 수정 기능의 정확성이 결정된다. In such a new typos correction method, the user can replace the erroneously input character string with the new character string newly input by the user with the intention of cor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ypos correction function that matches the user's intention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Since the correcting method of the typos works to replace a string having high relevancy by judg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ewly inputted modified target string and the already inputted strings with the intention of correction by the user, The accuracy of the typos correction function is determined accordingly.

한국 등록특허 제10-1294558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관성 판단 방법으로는 기존의 자동 수정 기능에서 사용자가 실제 입력한 단어와 라이브러리 상의 단어의 연관성을 판단하던 종래의 방식, 예컨대 자판에서 서로 이웃하는 문자들 또는 입력 순서가 뒤바뀐 문자들을 기반으로 연관성을 판단하는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타 동작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에 있어서 연관성 판단의 정량적인 수치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사용자마다 다른 오타 입력 습관이 연관성 판단에 있어서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나아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294558호의 오타 수정 방식에 따르면 이미 입력된 오타를 포함한 단어 전체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 오타가 난 문자열만을 올바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완전히 새로운 기능이 구현되는데, 기존의 연관성 판단 방법은 이러한 부분 문자열 간 연관성 판단의 특수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등록특허 제10-1294558호의 오타 수정 방식의 보다 정확한 구현을 위해서는 새로운 연관성 판단 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Korean Patent No. 10-1294558, a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elevance, there is a conventional method of judging the association between words actually input by the user and words on the library in the existing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elevance based on neighboring characters or characters whose input order has been reversed is available. However, in this conventional method,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levance judgment has not been properly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typographical errors that may occur by a user. In addition, different typing habits of different users are not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considered in relation determin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method of Korean Patent No. 10-1294558, a completely new function of replacing only a string with a correct character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word including the already inputted wrong character is implemented. Since no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specific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substrings, a new relevance judgment method is required for a more accurate implementation of the correction method of Korean Patent No. 10-1294558.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들 중에서 사용자의 수정 의도에 부합하는 수정 대상 문자열을 정확히 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 판단 방법을 통한 오타 수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rrecting a typographical error through a method of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strings that allows a user to precisely select a character string to be modified that matches a user's intention of correction among strings already inpu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타 동작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에 있어서 연관성 판단의 정량적인 수치화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quantitative quantification of relevance judgments in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typographical operations that may occur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마다 다른 오타 입력 습관을 연관성 판단에 있어서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고려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consider different typing habits for each user in relation determina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입력된 오타를 포함한 단어 전체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 오타가 난 문자열만을 올바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기능의 구현에 있어서, 부분 문자열 간 연관성 판단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확한 연관성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program for correcting an inconsistency in an implementation of a function for replacing only an erroneous character string with a correct character string without re- .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정 의도에 맞게 오타를 수정할 수 있는 오타 수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타 수정 방법은 수정 목표 문자열을 입력하고,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을 판단해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 중 수정 목표 문자열과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치환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타 수정 방법에 있어서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 판단 방법을 개선한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rection method of typos that can correct typos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o modify. The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rrection target string is inputted and a relation between a correction target string and a previously inputted string is determined to replace a string having a high correlation with a correction target str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such a typo correction method, a method of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a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and a character string input before that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 판단 방법에서는 우선 수정 목표 문자열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복수의 오타 수정 동작이 정의된다. 정의된 복수의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서 소정의 점수가 부여된다. 수정 목표 문자열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는데 있어서 정의된 각각의 수정 동작이 발생할 때마다 이에 부여된 점수가 합산되는 방식으로 총 점수가 계산된다. 수정을 위하여 선택 가능한 오타 수정 동작의 경우의 수가 복수인 경우 점수의 합이 최소로 되는 경우가 당해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는데 있어서의 최적 경우이고, 이 때의 점수가, 즉 최소 점수가 연관성 판단에 있어서 고려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합산된 점수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되고, 합산 점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당해 문자열이 수정 목표 문자열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합산 점수와 임계값과의 비교에 있어서, 비교 대상 문자열의 길이가 고려될 수 있다. 문자열의 길이가 긴 경우 오타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임계값을 동일하게 유지하면 합산 점수가 임계값을 넘기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빈번히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문자열의 길이가 긴 경우 임계값을 높이고, 문자열의 길이가 짧은 경우 임계값을 낮추는 방식으로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비교 대상 문자열의 길이에 따라 임계값을 조정하는 방식 이외에도,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된 점수의 합산 점수에 비교 대상 문자열의 길이를 고려하는 방식, 예컨대 (합산 점수 / 비교 대상 문자열의 문자수)의 계산을 통하여 얻어진 숫자를 소정 임계값과 대비를 수행하는 방식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modified target string and the previously input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rrecting typos necessary for correcting the input string before the corrected target string to the corrected target string are defined. A predetermined score is given to each of a plurality of defined typo correcting operations. Modified target string When modifying a previously entered string into a modified target string, the total score is calcul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core assigned to each modification operation defined is adde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correctable typo correcting operations is plural, the case in which the sum of the scores is minimized is the optimum case for correcting the character string to the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in judgment. The score summed in this way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total sco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is judged that the character string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um score and the threshold value, the length of the string to be compared can be considered. If the length of the string is long, it is likely to includ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ypos. Nevertheless, if the thresholds are kept the same, the cumulative scor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will occur relatively frequent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length of the string is long, and to lower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string length is short. In this manner,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djusting th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object string, a method of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object character string in the sum of the scores given to the respective correcting operations of the typewriter, The number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pixels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본 발명에 따른 연관성 판단 방법에서 사용하는 오타 수정 동작은 문자열 내의 문자를 이웃하는 자판의 문자로 교체하는 동작, 문자열 내의 문자를 이웃하지 않는 자판의 문자로 교체하는 동작, 문자열에 연속적으로 포함된 2개의 문자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동작, 문자열에 문자를 삽입하는 동작, 문자열에서 문자를 삭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동작에는 소정의 점수가 부여된다.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The correcting operation to be used in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replacing a character in a character string with a character of a neighboring keyboard, an operation of replacing a character in a character string with a character of a non-adjacent keyboard, An operation of ex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two characters, an operation of inserting a character into the character string, and an operation of deleting the character in the character string.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score is given to each operation. The score given to each typo correction operation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타 수정 방법에서는 이미 입력된 오타를 포함한 단어 전체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 오타가 난 문자열만을 올바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수정 목표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와 마지막 문자에 가중치를 둔다. 가중치를 두는 방식은 위에 기술한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를 합산한 이후에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가 수정 목표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와 같거나 이웃하는 관계에 있지 않으면 소정의 추가 점수를 부여하고,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가 수정 목표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와 같거나 이웃하는 관계에 있지 않으면 소정의 추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In addition, in th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erroneous character string with the correct character string without re-inputting the entire word including the inputted erroneous character. To this end, Place a weight on the character. If the first character of the string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is not equal to or closest to the first character of the modified target string after summing the scores given to each of the correcting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a predetermined additional score is given when the last character of the character string to be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is not equal to or adjacent to the last character of the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는 당해 오타 수정 동작의 발생 빈도에 따라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하여 문자열에 연속적으로 포함된 2개의 문자의 위치가 바뀐 채로 입력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된 점수가 점진적으로 낮게 조절됨으로써 같은 오타 패턴을 갖는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가능성을 점진적으로 높이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e given to each correcting oper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correcting error.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wo characters continuously included in a character string by the user is frequently changed, the score given to the character string correcting operation is gradually lowered, thereby correcting the character string having the same typographic pattern It graduall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judging that it is highly related to the target character string. Thereby, user customization is achieved.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는 사용자 조사에 의해 가장 범용성 높은 값으로 부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고 수정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e given to each typo correction operation is generally given by the user's most versatile value, but it can be set by the user or modifi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타 동작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에 있어서 연관성 판단의 정량적인 수치화를 제공되므로, 연관성 판단의 정확성이 대폭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relevance judgment is provided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typing operations that may be caused by the user, so that the accuracy of the relevance judgment is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가 당해 오타 수정 동작의 발생 빈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오타 입력 습관에 적응한 지능형 연관성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이 또한, 연관성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core given to each typo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typo correction operation, and thus, an intelligent relevance determination method adapted to the user's typo input habits is provided. This also contributes greatly to the accuracy of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관성 판단 방법에 있어서 비교되는 두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와 마지막 문자에 가중치를 두게 되므로, 이미 입력된 오타를 포함한 단어 전체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 오타가 난 문자열만을 올바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방식이 보다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eights are assigned to the first character and the last character of the two strings compared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relevance, the entire word including the already inputted wrong word is not input again, The method can be implement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고 수정이 가능하므로, 연관성 판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를 미리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ore given to each typo correction operation can be directly set and corr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user's intention in association determination in advance.

도1은 사용자의 수정 명령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 내에 있는 오타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는 일부 문자가 이웃한 자판의 문자로 잘못 입력된 문자열을 올바른 문자열로 수정하는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3은 일부 문자가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잘못 입력된 문자열을 올바른 문자열로 수정하는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4는 연속된 2개의 문자의 순서가 뒤바뀌어 입력된 문자열을 올바른 문자열로 수정하는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5는 불필요한 문자가 추가되어 있는 문자열을 올바른 문자열로 수정하는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6은 필요한 문자가 누락되어 있는 문자열을 올바른 문자열로 수정하는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7은 오타가 발생한 문자열의 일부 문자열만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입력해 오타를 수정하는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
도8은 사용자가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Fig. 1 shows an embodiment for correcting a typo in a character string input by a user's modification command.
Fig. 2 shows a typing correction operation for correcting a character string in which some characters are mistakenly input as characters of a neighboring keyboard to a correct character string.
Fig. 3 shows a typing correction operation for correcting a character string erroneously inputted as a character of a non-neighboring keyboard to a correct character string.
4 shows a typos correction operation in which the order of two consecutive characters is reversed and the inputted character string is corrected to a correct character string.
FIG. 5 shows a typos correction operation for correcting a character string to which an unnecessary character is added to a correct character string.
6 shows a typos correction operation for correcting a character string in which a necessary character is missing to a correct character string.
FIG. 7 shows a typos correction operation for correcting a typo by inputting only a part of the character string of a character string in which a typo occurred, as a correction target string.
Fig. 8 shows an example of a setting screen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a typing correction operation score.

도1은 사용자의 수정 명령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오타를 새로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서 사용자는 Happy Easter everyone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 입력한 것은 Hsppy Easter wveryone이다. 사용자는 먼저 wveryone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Hsppy Easter wveryone 이후에 한 칸을 띄우고 everyone을 입력한다. 그 이후 수정 명령을 내린다. 수정 명령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장치 내에 수정 명령 버튼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고, 모바일 장치를 살짝 흔들거나 키보드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터치 동작을 수정 명령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으로든 everyone의 입력 후에 수정 명령이 내려지면, 시스템은 everyone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인식하게 된다. 그 이후,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과 그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들 사이의 연관성이 계산된다. 이미 입력된 문자열들 중 wveryone이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과 연관성이 높으므로 wveryone은 everyone으로 치환 입력되어, Hsppy Easter wveryone everyone은 Hsppy Easter everyone으로 수정된다. 구체적인 연관성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Hsppy의 오타를 추가로 발견하고 everyone에 한 칸을 띄우고 happy라는 올바른 문자열을 입력한 후 재차 수정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happy가 수정 목표 문자열로 인식되고, 이미 입력된 문자열들과의 연관성이 계산된다. 계산결과, Hsppy가 happy와 연관성이 높이므로, Hsppy는 happy로 치환 입력되고, 그 과정에서 happy가 문장의 첫 단어임이 인식이 되면서 h가 대문자로 바뀌어 Hsppy Easter everyone은 Happy Easter everyone으로 입력된다. 이로써 수정 과정이 완료된다. 수정 목표 문자열을 그 이전에 입력된 어느 정도 범위의 문자열들과 대비하여 연관성을 계산할 것인지, 예컨대 이전 입력된 10 문자열과 대비할 것인지, 100 문자열과 대비할 것인지, 아니면 문서 전체의 문자열들과 대비할 것인지는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FIG. 1 shows an embodiment of correcting a typo contained in strings input by a user's modification command to a newly input modified target string. In Figure 1, the user intended to input Happy Easter everyone, but the actual input was Hsppy Easter wveryone. The user first finds the error of the wveryone, and after the Hsppy Easter wveryone hits one space and inputs everyone to correct it. Then issue a correction command. The modification comm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 correction command button may be separately formed in the device or a touch operation of moving the mobile device up or down or moving the keyboard area up, down, left, or right may be recognized as a correction command. In any way, if a modification command is issued after everybody's input, the system will recognize everyone as the modified target string. Thereaft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dified target string, everyone, and the strings previously entered is calculated. Since wveryone is highly related to everyone who is the modified target string among the already inputted strings, wveryone is substituted for everyone, and Hsppy Easter wveryone everyone is modified to Hsppy Easter everyon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pecific relevance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state, the user finds an additional Hsppy typo, pops a space for everyone, enters the correct string "happy", and issues the command again. Then, happy is recognized as the modified target string, and the association with already entered strings is calculated. Since Hsppy is related to happy, Hsppy is replaced with happy, and in the process, it is recognized that happy is the first word of the sentence, so h is changed to upper case and Hsppy Easter everyone is input as Happy Easter everyone. This completes the modification process. Whether the modified target string is to be compared to a certain range of previously entered strings to determine whether the association is to be calculated, for example, with 10 previously entered strings, with 100 strings, or with the entire document, It can be set free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도2 내지 도6은 다양한 오타 발생 유형과 이에 따른 오타 수정 동작을 도시한다.FIGS. 2-6 illustrate various types of typographical errors and corresponding typographic corrections.

도2는 문자열 내의 문자의 일부가 이웃한 자판의 문자로 잘못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2에서 사용자는 everyone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 입력된 것은 wvwryone이다. 사용자가 wvwryone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해 everyone을 입력한 다음 수정 명령을 내리게 되면, everyone은 수정 목표 문자열로 인식되고 이미 입력된 문자열들과 연관성이 계산된다. 이 때 everyone과 wveryone은 첫번째와 세번째 문자가 e인지 w인지에서만 차이가 있는데, e와 w는 자판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입력키이므로 e로 입력되었어야 할 것이 w로 잘못 입력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wvwryone은 everyone과 연관성이 높은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로 선정되고,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로 수정되게 된다.2 shows a case where a part of characters in a character string is erroneously input as characters of a neighboring character. In Fig. 2, the user intends to input everyone, but the input actually is wvwryone. When a user finds an error in wvwryone and enters "everyone" to correct it, and then issues a modify command, everyone is recognized as the modified target string,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already inputted strings is calculated. In this case, everyone and wveryone differ only in the first and third characters whether e or w. Since e and w are input key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keyboar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nput should be entered as e, Therefore, wvwryone is selected as the candidate for the modified target string that is highly related to everyone, and is modified to the corrected target string, everyone.

도3은 문자열 내의 문자의 일부가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잘못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3에서 사용자는 everyone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 입력된 것은 everione이다.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문자열(everione)과 실제 의도한 올바른 문자열(everyone)을 비교해 보면, 두 문자열은 다섯번째 문자가 i인지 y인지에서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2와 같이 양 문자열에 상이하게 입력된 문자가 서로 이웃한 자판인 경우에만 연관성 높은 문자열로 판단하게 되면, 도3의 경우는 다섯번째 문자인 i와 y가 서로 이웃하지 않기 때문에 everione은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과 연관성 높은 문자열로 선정되지 못하고 오타는 수정되지 않게 된다.FIG. 3 shows a case where a part of characters in a character string is erroneously input as a character of a non-adjacent character. In FIG. 3, the user intends to input everyone, but the actual input is everione. If you compare a user-entered string (everione) with the actual intended string (everyone), you can see that the two strings differ only in the fifth letter, i or y. However, in the case of FIG. 3, when the fifth characters i and y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everione is used as the character string in the case of FIG. The modified target string, everyone, can not be selected as a string with high relevance, and the typos are not corrected.

본 발명은 도3과 같이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가 잘못 입력된 경우도 연관성 판단에서 완전히 배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오타 수정 동작을 정의하고 이들 오타 수정 동작마다 각각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부여한 다음, 이미 입력된 문자열을 새로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는데 필요한 오타 수정 동작 점수의 총합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해 이미 입력된 문자열이 새로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과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의 총합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 두 문자열이 서로 높은 연관성을 갖는 문자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도2 및 도3과 같이 문자열 내에 있는 문자를 수정하는 동작 모두에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 도2와 같이 이웃한 자판의 경우에는 도3과 같은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경우보다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발생 가능성을 연관성 판단에 반영하기 위해 도3과 같이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하는 경우에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도2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점수보다 높게 실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의 오타 수정 동작에 5점의 점수를 부여하고, 도3의 오타 수정 동작에는 10점을 부여하도록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비교하는 기준값(오타 수정 동작 점수 임계값)을 15점으로 설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various typo correction operations are defined so as not to b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relevance judgment even when the characters of the non-adjacent keyboard are erroneously inputted as shown in FIG. 3, The total sum of correcting operation correcting points necessary for correcting the inputted character string into the newly inputted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is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to judge whether the already inputted character string is highly related to the newly inputted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 More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m of the correcting operation scor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strings correspond to a string having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each of the operations for correcting characters in a character string is given a correct typing operation sco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neighboring keyboard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ypos occur more frequently than in the case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to the relevance judgment, in the case of correcting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score given to the correcting operation of FIG. In this embodiment, five points are given to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in Fig. 2, and 10 points are given to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in Fig. Further, in this embodiment, a reference value (threshold error correcting operation score) for comparing the error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set to 15 points.

*이러한 연관성 판단 방법에 따르면, 도2에서 wvwryone을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으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첫번째와 세번째 문자인 w를 이웃한 자판의 문자인 e로 수정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첫번째 문자인 w를 e로 수정하는 동작에 5점, 세번째 문자인 w를 e로 수정하는 동작에 5점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합인 10점이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된다. 여기서 1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 임계값인 15점보다 작은 값이므로, 두 문자열은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로 판단되고 wvwryone은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의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로 선정된다. According to such a determination method of association, in order to modify wvwryone as the modified target string everyone in FIG. 2,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first and third characters w,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neighboring keyboard, e. 5 points are set for the operation to correct the first character w to e and 5 points to the operation to correct the third character w to e. Here, since the score of the punctuation correction operation point of 10 points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15, the two strings are determined to be a highly related character string, and wvwryone is selected as a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candidate of the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everyone.

또한, 도3에서 everione을 everyone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네번째 문자인 i를 y로 수정하는 단일의 오타 수정 동작이 필요하다. 이때, i와 y는 서로 이웃하지 않는 자판의 문자이므로 이러한 오타 수정 동작에는 1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된다. 1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 임계값인 15점보다 작은 값이므로 두 문자열은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로 판단되어 everione은 수정 목표 문자열인 everyone의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로 선정된다.Also, in Fig. 3, in order to modify everyone, everyone needs a single correcting operation of correcting the fourth character i to y. At this time, since i and y are characters of keyboards that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a score of 10 typo correction motions is given to this typos correction operation. Since the score of the correcting action of 10 points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15, the score of the correcting action point, the two strings are judged to be highly related, and everione is selected as the target string to be corrected of the correction target string.

도4는 문자열 내에 입력된 연속된 2개의 문자의 순서가 서로 뒤바뀌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4에서 사용자는 believe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 입력된 것은 beleive이다. 이 경우, 오타를 수정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동작은 네번째 문자인 e와 다섯번째 문자인 i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2 및 도3과 관련해 설명한 오타 수정 동작에 따라 beleive를 believe로 수정하려면 네번째 문자인 e를 i로 변경하고 다섯번째 문자인 i를 e로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지 않는 자판의 문자를 2번 변경하게 되어 총 2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되고, 2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임계값인 15점보다 큰 값이므로 beleive는 수정 목표 문자열인 believe와 연관성이 없는 문자열로 판단되어 오타는 수정되지 않게 된다. 실제로 이와 같이 연속된 문자의 순서가 뒤바뀌어 입력되는 경우는 문자를 빠른 속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도2 및 도3과 관련해 설명한 연관성 판단 방법에 의해서만 문자열의 연관성을 판단하면, 도4와 같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오타가 수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FIG. 4 shows a case where two consecutive characters input in a character string are rearranged in reverse order. In FIG. 4, the user intends to input believe, but the input actually is beleive. In this case, the simplest action to correct the typos is to exchange the fourth character e and the fifth character i. However, in order to correct the beleive to believe according to the correcting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ourth character e to i and the fifth character i to e, A total of 20 corrective action points are given, and 20 corrective action points ar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15, so beleive is determined to be a string that is not related to the corrected target string believe, Is not corrected. Actually, when the sequence of the consecutive characters is reversed, the characters are frequent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speed. Nevertheless, if the relevance of a character string is determined only by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 problem that frequent typos can not be corrected as shown in FIG. 4 occurs.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문자열 내에 입력된 연속된 2개의 문자의 순서를 서로 교환하는 동작을 별도의 오타 수정 동작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동작에 8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부여하고 있다. 도4에 도시된 예에서, beleive는 네번째 문자인 e와 다섯번째 문자인 i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동작에 의해 수정 목표 문자열인 believe로 수정될 수 있으므로 8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갖게 되고, 8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임계값인 15보다 작은 값이므로 beleive는 수정 목표 문자열인 believe와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로 판단되어 believe로 수정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exchanging the sequence of two consecutive characters entered in a character string is defined as a separate correcting operation, and the correcting operation score of 8 points is assigned to this operation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since beleive can be modified by the operation of ex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ourth character e and the position of the fifth character i with the corrected target string, beleive, Since the score of the correcting action of 8 points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15, beleive is regarded as a string having high relevance to the corrected target string, believe, and it is corrected to believe.

도5 및 도6은 입력된 문자열에 불필요한 문자가 삽입되거나 필요한 문자가 누락되어 오타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god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는 g와 d 사이에 불필요한 o이 하나 더 삽입되어 good로 입력된 경우이며, 도6은 good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의도치 않게 o가 하나 누락되어 god로 입력된 경우이다. 실제로 이러한 오류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하는 과정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잘못 기재된 문자열은 불필요하게 삽입된 o를 삭제하거나(도5의 경우) 의도치 않게 누락된 o를 추가하는(도6의 경우) 수정 동작을 통해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오타 수정 동작('잘못된 문자의 교체'나 '이웃한 문자들의 사이의 위치 교환')은 기본적으로 새로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과 동일한 길이의 문자열을 대상으로 연관성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5와 같이 불필요한 문자가 문자열에 삽입되거나 도6과 같이 필요한 문자가 문자열에서 누락되어 오타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들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과 연관성 있는 문자열로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FIGS. 5 and 6 illustrate a case where an unnecessary character is inserted in an input character string, or a necessary character is omitted and an error occurs. FIG. 5 shows a case in which an unnecessary o is inserted between g and d in order to input a good god, but in FIG. 6, it is intended to input good, but intentionally o is omitted. . In fact, these errors can easily occur in the process of quickly typing characters. In this case, the erroneously written character may be modified by deleting the unnecessarily inserted o (in the case of FIG. 5) or by a corrective action (in the case of FIG. 6) adding the o omission unintentionally. However, the error correction operation ('replacement of erroneous characters' or 'exchange of positions between neighboring characters') shown in FIGS. 2 to 4 is basically based on a relation string , Unnecessary characters are inserted into the character string as shown in FIG. 5, or if a character is missed in the character string as shown in FIG. 6, the character string can not be determined as a character string related to the correction target character str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열에서 문자를 삭제하거나 문자열에 문자를 추가하는 동작을 별도의 오타 수정 동작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동작에 1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부여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deleting a character from a character string or adding a character to a character string is defined as a separate correcting operation, and 10 points of correcting operation are assigned to this operation.

도5에 도시된 예에서, god는 첫번째 문자인 g와 마지막 문자인 d 사이에 o를 하나 추가하는 동작에 의해 good로 수정될 수 있고, 도6에서 good는 첫번재 문자인 g와 마지막 문자인 d 사이에 입력된 2개의 o 중에서 하나를 삭제하는 동작에 의해 god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5 및 도6에 도시된 수정 동작에는 각각 1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된다. 여기서 10점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15점의 임계값보다 작은 값이므로, 이들 문자열은 수정 목표 문자열과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로 판단되어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군으로 선정되게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god can be modified to good by adding one o between the first character g and the last character d, and in FIG. 6, good is the first character g and the last character d can be modified to god by removing one of the two o's entered between d. Therefore, the correction operation shown in Figs. 5 and 6 is given a score of ten typo correction motions. In this case, since the punctuation correction operation score of 10 points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15 points, these strings are determined as a string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rrection target string, and are selected as candidates for the correction target string.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 다양한 오타 유형을 커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오타 수정 동작을 정의한 다음, (ii) 이들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마다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부여하고, (iii) 이미 입력된 문자열을 새로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기 위해 필요한 오타 수정 동작 점수 합계의 최소값을 산출해, (iv) 이러한 오타 수정 동작 점수의 합계를 미리 정해둔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수정 목표 문자열과 높은 연관성을 갖는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를 선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정 의도를 보다 정확히 반영해 오타를 수정할 수 있는 오타 수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 a plurality of typographic correction operations are defined so as to cover various typographic types, (ii) a typos correction operation score is assigned to each of these typographic correction operations, and (iii) (Iv) calculating a minimum value of the total number of correcting action correcting points necessary for correcting a previously inputted character string into a newly inputted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and (iv) comparing the sum of these correcting corrective action points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rrection method of typos that corrects typos by reflecting a user's intention of correcting more accurately.

도7은 사용자가 입력된 문자열에 오류가 있음을 발견한 다음, 전체 문자열 내에 포함되는 일부 문자열만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입력해 오타를 수정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7에서 사용자는 remember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 입력된 것은 renember이다. 이때, 빠르고 경제적으로 오타를 수정하려면, 올바른 전체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새로 입력하기보다는, 오타가 발생한 문자를 포함하는 부분 문자열만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입력해서 오타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7에서 보다 경제적으로 오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전체 문자열인 remember를 수정 목표 문자열로 새로 입력하기보다 잘못 입력된 문자인 n(세번째 문자)을 포함하는 부분 문자열만 수정 목표 문자열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예컨대, rem, eme, mem, ...). 이와 같이 문자열 내의 일부 문자열만 수정 목표 문자열로 입력해 오타를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잘못 입력된 문자로부터 수정 목표 문자열을 입력하거나 잘못 입력된 문자까지의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예컨대, 도7의 실시예에서 mem이나 rem을 입력). 따라서 오타 수정 동작이 문자열의 시작 또는 끝 문자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오타 수정 동작에 가중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열의 시작 또는 끝 문자에 오타 수정 동작이 수행될 때, 변경 전후의 문자가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이웃하지 않는 자판의 문자'인 경우에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에 5점의 가산점을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이미 입력된 문자열을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기 위해 이미 입력된 문자열의 시작 또는 끝 문자를 수정하는 경우에, (i) 수정 전후의 문자가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이웃하지 않는 자판의 문자'인 경우에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에 추가 가산점이 부여되게 되어 이러한 문자열은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군에서 쉽게 제외되게 되고, (ii)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이웃한 자판의 문자'인 경우는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로서 유지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FIG. 7 shows a case where a user finds an error in an inputted character string, and then corrects the error by inputting only a part of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entire character string as a corrected target character string. In FIG. 7, the user intends to input the remember, but the input actually is the rename. In order to correct the typos quickly and economically, it is desirable to correct the typos by inputting only the substring including the character with the typed character as the target string, instead of inputting the correct whole string as the modified target string. That is, in order to more economically correct the typos in FIG. 7, it is preferable to input only the partial string including the n (the third character), which is the wrongly inputted character, as the corrected target string, (For example, rem, eme, mem, ...). In this way, when only a part of the string in a character string is input as a correction target string and the correction of the error is desired, the user often inputs the correction target string from the mistyped character or the string up to the mistyped character (E.g., enter mem or rem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refore, when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eginning or ending character of a character string, it is necessary to assign a weight to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tart or end character of a character string, if the character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s a character of a non-adjacent keyboard that is less likely to be typed, And a summing point is added. According to this method, in the case of modifying the start or end character of an already input string to modify an already inputted string to a modified target string, (i) the character before and after the modification is less likely to be typed, If the character is a character of the keyboard, an additional point is added to the correcting operation score of the keyboard, so that such a character string is easily excluded from the candidate character string to be corrected. (Ii) If the character is a character of a neighboring keyboar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ing held as a correction target string candidate.

이하에서는 하나의 예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오타 수정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사용자가 remember의 입력을 의도하였으나, 실제로는 renember로 잘못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먼저 renember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renember 이후에 한 칸을 띄우고 mem을 입력한다. 그 이후 수정 명령을 내린다. 수정 명령이 내려지면, 시스템은 mem를 수정 목표 문자열로 인식하고, 수정 목표 문자열이 mem과 그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 사이의 연관성이 계산된다.Hereinafter, a typo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FIG. 7 shows a case where the user intends to input a remember, but is actually mistakenly input as a renember. The user first finds the error in renember, and in order to correct it, pops a space after renember and enters mem. Then issue a correction command. When a modify command is issued, the system recognizes mem as the modified target string,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dified target string mem and the string entered before is computed.

우선 새로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인 mem과 동일한 길이의 문자열[ren, ene, nem, emb, mbe, ber]에 대해 연관성 계산이 시작된다. 각각의 문자열에 대한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아래와 같다. 아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정 목표 문자열과 동일한 길이의 문자열 가운데 오타 수정 동작 점수 임계값(15점) 이하의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갖는 것은 nem밖에 없다. 따라서 nem만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로 선정된다. First, associate computation is started for the string [ren, ene, nem, emb, mbe, ber] of the same length as the newly entered modified target string mem. The corrective action points for each string are as follow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among the strings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only nem having the correcting action score of the error correcting action score threshold value (15 points) or less is available. Therefore, only nem is selected as the target string to be modified.

비교 대상 문자열String to compare 수정 목표 문자열Modified target string 오타 수정 동작 점수Correcting action score renren memmem (1) 첫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2) 세번째 문자를 이웃한 자판의 문자로 수정: 5점
(3) 시작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오타 수정 동작 점수: 20점
(1) Modify the first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10 points
(2) Correct the third character to the letter of the neighboring keyboard: 5 points
(3) Modify the start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Correcting typo: 20 points
eneene memmem (1) 첫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2) 두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3) 세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4) 시작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5) 끝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오타 수정 동작 점수: 40점
(1) Modify the first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10 points
(2) Correct the second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3) Modify the third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4) Modify the start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5) Modify the end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Fixed typos: 40 points
nemhumidity memmem (1) 첫번째 문자를 이웃한 자판의 문자로 수정: 5점
오타 수정 동작 점수: 5점
(1) Modify the first character to the letter of the neighboring keyboard: 5 points
Fixed typos: 5 points
embemb memmem (1) 첫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2) 두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3) 세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4) 시작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5) 끝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오타 수정 동작 점수: 40점
(1) Modify the first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10 points
(2) Correct the second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3) Modify the third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4) Modify the start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5) Modify the end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Fixed typos: 40 points
mbembe memmem (1) 두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2) 세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3) 끝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오타 수정 동작 점수: 25점
(1) Modify the second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2) Correct the third character to the let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3) Modify the end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Fixed typos: 25 points
berber memmem (1) 첫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2) 세번째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10점
(3) 시작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4) 끝 문자를 이웃하지 않은 자판의 문자로 수정: 가산점 5점
오타 수정 동작 점수: 30점
(1) Modify the first character to be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10 points
(2) Correct the third character to the letter of the non-adjacent keyboard: 10 points
(3) Modify the start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4) Modify the end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the non-neighboring keyboard: Add 5 points
Score: 30 points

다음으로 수정 목표 문자열과 다른 길이의 문자열(예컨대, re, rene, ...)을 기준으로 전술한 '불필요한 문자의 삭제'나 '필요한 문자의 추가' 방법으로 오타를 수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판단한다. 본 예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에 의한 수정 동작 중에서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15 이하인 수정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본 예시에서는, nem만이 mem과 연관성이 높은 문자열로 판단되게 되고, nem은 mem으로 치환되어 renember는 remember로 수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정 목표 문자열과 같은 길이의 문자열만 연관성 비교하지 않고, 길이가 한자 이상 차이가 나는 문자열들 간 비교도 실행하므로 연관성 판단의 정확성이 보다 개선된다.Next, based on the modified target string and a character string having a different length (for example, re, rene, ...),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o correct the typos by the above-described 'deletion of unnecessary characters' do. 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re is no correction operation in which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score is 15 or less among the correction operations by this method. After all, in this example, only nem is determined to be a string that is highly related to mem, nem is replaced by mem, and renember is modified to rememb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strings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are not compared for relevance, the comparison between the strings whose length is different by more than one character is also performed.

한편, 동일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유형의 오타를 반복해서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타 수정 기능에 보다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치 내에서 발생한 오타 수정 동작을 기억해 두고, 오타 수정 동작의 발생 빈도에 따라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자동으로 조정해서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징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자주 발생하는 오타 수정 동작에는 낮은 동작 점수가 부여되고 사용자에 의해 자주 발생하지 않는 오타 수정 동작에는 높은 동작 점수가 부여되어, 사용자에 의해 자주 발생하는 오타의 유형에 맞는 문자열이 수정 대상 문자열 후보군으로 쉽게 선정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오타 수정 기능에 충분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ame user often generates a similar type of typos repeatedly.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feel more satisfaction with the typos correction function,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occurring in the device is memorized, and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scor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to be customized to the user .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 low motion score is given to a typo correction operation frequently generated by a user, a high motion score is given to a typo correction motion that is not frequently generated by a user, The string can be easily selected as the candidate string to be modified, and the user can feel the satisfaction with the typos correction function.

또한,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부여되는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 및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은 사용자가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설정 및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설정 화면에서 손가락 터치 등을 이용해 각각의 오타 수정 동작에 대한 오타 수정 동작 점수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연관성 판단 방법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오타 수정 기능에 보다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score assigned to each typo correction operation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directly set and corrected by the user. FIG. 8 shows an example of a 'setting' screen configured so that a user can set and correct a typing correction operation score. The user can adjust the typos correction operation score for each typo correction operation using the finger touch or the like on the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t a relevance judgment method most suitable for himself / herself, so that he / she can feel a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typos correction function.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다. The foregoing examples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or limit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오타 수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하나 이상의 입력된 문자열들 간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치환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오타 수정 동작이 정의되고,
상기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되고,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부여된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합산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점수의 총합이 계산되되, 상기 총합이 최소로 되거나 상기 총합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이 상기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으로서 결정되고,
상기 총합이 계산됨에 있어서,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가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와 같거나 이웃하는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가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와 같거나 이웃하는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소정의 추가 점수가 부여되는, 오타 수정 방법.
In a method for correcting typos, which is performed by a computer,
Wherein the comput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a modified target string input by a user and one or more previously entered strings; And
Wherein the computer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relevant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ssociation
Lt; / RTI >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ssociation,
At least one typo correction operation is defined,
A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assigned to each of the correcting operations,
The total score of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is calcul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core of the typo correction action assigned to each of the typo correction actions required to correct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to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is summed, Is determined as a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correlated, and a character string to be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whose sum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as a character string judged to be highly correlated,
Wherein when the first character of the string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is not in the same or neighboring relationship as the first character of the modified target string and the last character of the string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Is not equal to or closest to the last character of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score is given in at least one of the cases.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오타 수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하나 이상의 입력된 문자열들 간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치환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오타 수정 동작이 정의되고,
상기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되고,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부여된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합산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점수의 총합이 계산되되, 상기 총합이 최소로 되거나 상기 총합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이 상기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으로서 결정되고,
상기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오타 수정 동작의 발생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오타 수정 방법.
In a method for correcting typos, which is performed by a computer,
Wherein the comput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a modified target string input by a user and one or more previously entered strings; And
Wherein the computer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relevant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ssociation
Lt; / RTI >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ssociation,
At least one typo correction operation is defined,
A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assigned to each of the correcting operations,
The total score of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is calcul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core of the typo correction action assigned to each of the typo correction actions required to correct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to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is summed, Is determined as a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correlated, and a character string to be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whose sum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as a character string judged to be highly correlated,
Wherein the error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error correcting operation.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오타 수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정 목표 문자열과 그 이전에 하나 이상의 입력된 문자열들 간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에 따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치환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오타 수정 동작이 정의되고,
상기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부여되고,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로 수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오타 수정 동작 각각에 대해 부여된 오타 수정 동작 점수가 합산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전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점수의 총합이 계산되되, 상기 총합이 최소로 되거나 상기 총합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이 상기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으로서 결정되고,
상기 오타 수정 동작 점수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타 수정 방법.
In a method for correcting typos, which is performed by a computer,
Wherein the comput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a modified target string input by a user and one or more previously entered strings; And
Wherein the computer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relevant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ssociation
Lt; / RTI >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ssociation,
At least one typo correction operation is defined,
A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assigned to each of the correcting operations,
The total score of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is calcul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core of the typo correction action assigned to each of the typo correction actions required to correct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string to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is summed, Is determined as a string determined to be highly correlated, and a character string to be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character string whose sum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as a character string judged to be highly correlated,
Wherein the error correcting operation score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set or correct the error correcting operation scor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총합이 최소로 되더라도 상기 총합이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총합이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기 수정 목표 문자열과 비교되는 문자열은 상기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문자열으로서 결정되지 않는, 오타 수정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tring to be compared with the modified target string whose sum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not determined as a string judged to be highly correlated if the sum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even if the sum is minimized , Correcting typos.
KR1020140029041A 2014-03-12 2014-03-12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KR101990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41A KR101990929B1 (en) 2014-03-12 2014-03-12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41A KR101990929B1 (en) 2014-03-12 2014-03-12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964A Division KR101381101B1 (en) 2013-11-13 2013-11-13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23A KR20150055523A (en) 2015-05-21
KR101990929B1 true KR101990929B1 (en) 2019-06-20

Family

ID=5339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41A KR101990929B1 (en) 2014-03-12 2014-03-12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347A (en) * 2022-05-25 2023-12-04 (주)그리드원 String amendment method for target string of ocr and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406B1 (en) 2008-11-27 2012-04-20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imilar Word with Input String
JP2012128188A (en) 2010-12-15 2012-07-05 Nippon Hoso Kyokai <Nhk> Text correction device and program
KR101292404B1 (en) 2005-04-25 2013-08-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pelling suggestions
KR101294558B1 (en) * 2013-04-15 2013-08-07 김민철 Type error corr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25B1 (en) * 2011-03-08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method for preventing incorrect input in potable terminal and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404B1 (en) 2005-04-25 2013-08-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pelling suggestions
KR101126406B1 (en) 2008-11-27 2012-04-20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imilar Word with Input String
JP2012128188A (en) 2010-12-15 2012-07-05 Nippon Hoso Kyokai <Nhk> Text correction device and program
KR101294558B1 (en) * 2013-04-15 2013-08-07 김민철 Type error corr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23A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101B1 (en)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US10310628B2 (en) Type error revising method
US7880730B2 (en)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9557916B2 (en)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10838513B2 (en) Responding to selection of a displayed character string
JP4527731B2 (en) Virtual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KR101520455B1 (en) Spell-check for a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20160124926A1 (en)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US20150067571A1 (en) Word prediction on an onscreen keyboard
WO2014110595A1 (en) Reducing error rates for touch based keyboards
US9547639B2 (en) Typing error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Banovic et al. The limits of expert text entry speed on mobile keyboards with autocorrect
KR101990929B1 (en) Error revising method through correlation decision between character strings
KR101901744B1 (en) Type error correction method
KR101946545B1 (en) Type error correction method
KR20170070426A (en) Method for adjusting space of character key of keyboard in order to protect prevent typing error
KR20150069991A (en) Method for error correction under japanese language input environment
KR102001652B1 (en) Type correction method for word or letters without deletion input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650421B1 (en) Method for correcting typing e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