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159B1 -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159B1
KR101988159B1 KR1020180015743A KR20180015743A KR101988159B1 KR 101988159 B1 KR101988159 B1 KR 101988159B1 KR 1020180015743 A KR1020180015743 A KR 1020180015743A KR 20180015743 A KR20180015743 A KR 20180015743A KR 101988159 B1 KR101988159 B1 KR 10198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ying
unit
ai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태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1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rying food waste, which separates moisture from food waste including moisture and discharges the food waste. The apparatus for drying food waste comprises: an insertion part of a rotary type through which food waste is inserted; a crushing part which is arranged on a low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crushes the food was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into a uniform size, and discharges the crushed food waste; a dehydrating part which is arranged on a lower part of the crushing part, discharges moistur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ood waste, and moves the food waste to one side to discharge the same; a drying part which crushes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ng part, and discharges the food waste after drying the same by air of high temperature; a pulverizing means which crushes and pulverizes the food waste by a ring-shaped chain mounted on a rotary shaft arranged inside the drying part; a condensing part which generates condensed water by condensing the air discharged after drying the food waste in the drying part, discharges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and discharges remaining air; and an air supply part which supplies air of high temperature used in drying of the food waste to the inside of the drying part. The air supply part includes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ing part to the drying part, and a turbo fan arranged on the circulation pipe, providing power to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nd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by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air.

Description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음식 폐기물에 대하여 터보팬과 공기와의 마찰열에 의해 승온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각종 음식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for supplying hot air heated by friction heat between a turbo fan and air to dry food wastes. .

식품의 생산, 유통, 가공,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농, 수, 축산물 쓰레기와 먹고 남은 음식 찌꺼기로 이루어지는 음식폐기물은 인구의 증가, 생활여건의 향상, 식생활의 고급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환경오염문제의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Food waste, consisting of agricultural, water and livestock waste and leftovers from food production, distribution, processing and cooking,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living conditions, and quality of food. It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pollution problems.

2015년 기준 국내 음식폐기물 발생량은 약 560만톤/년으로 처리비용이 약 1조원이고, 식량자원의 경제적 가치 산정시 약 20조원이 낭비되고 있으며, CO2 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900만 톤 이상이다.Based on 2015 domestic food waste is about 5.6 million tons / year processing cost about 1 trillion won, about 20 trillion won when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food resources and to wast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approximately nine million tons or more, such as CO 2 to be.

현재 음식폐기물의 재활용 방법으로는 사료화와 퇴비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음식폐기물의 처리는 혐기성 소화방법을 통하여 주로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잔존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At present, food waste is recycled into feed and compost, and non-recyclable food waste is mainly treated with anaerobic digestion to produce methane gas and to treat residual sludge.

그러나 혐기성 소화설비의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메탄가스의 함량이 낮아 활용도와 경제적 가치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화처리 후 발생하는 90% 이상의 잔존 음식폐기물 역시 재처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not only is the efficiency of anaerobic digestion facilitie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and economic value is low because the generated methane gas content is low. In addition, more than 90% of the remaining food waste that occurs after the digestion process also has to be reprocessed.

초기 발생 음식폐기물은 각종 단백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부식이 용이하므로 수거한 음식폐기물을 사료, 퇴비 및 건조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Since the food waste generated in the early days contains a large amount of various proteins, it is easy to corrode. Therefore, it is considered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to use the collected food waste as feed, compost, and dry it as fuel.

음식 폐기물을 사료, 퇴비 및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식 폐기물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Using food waste as feed, compost and fuel requires the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food waste.

공개특허 2016-41279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참조하면, 가열히터에 의해 가열된 본체 하우징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Korean Patent No. 2016-41279 'Food Waste Drying Apparatus, it can be seen that the food waste is dri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heated by the heating heater.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를 위해서는 가열히터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를 사용해야 하므로, 다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ry the food waste, a component must be used using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such as a heating heater, and thus, a large amount of energy is required.

또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작업 중, 음식물 쓰레기가 균일하게 열에 접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뒤섞어 주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during the food waste drying operation, the food waste should be uniformly in contact with heat,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grind and mix the food waste.

등록실용신안 20-0421159호를 참조하면, 분해조 내부에 교반봉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1159, it can be seen that the stirring rod is rotated inside the digestion tank and configured to stir the food waste.

또한, 공개특허 2015-56994호를 참조하면, 커터와 로드 형태의 교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56994, it can be seen that the food waste is configured to be crushed and stirred by using a stirring blade in the form of a cutter and a rod.

상기한 기술은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과정에서 교반 블레이드와 거름통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어 블레이드의 동작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반 블레이드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의 뼈와 같은 고형물에 부딪히며 손상을 입어 교반 및 분쇄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blade is stopped due to food waste being caught between the stirring blade and the strainer in the process of crushing and stirring the food was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irring blade hits the solids such as the bones of the animal contained in the food waste and is damaged to reduce the stirring and grinding effe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를 공급하는 터보팬의 동작 중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이를 건조 대상인 음식 폐기물로 공급하여 음식 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by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air during operation of the turbofan for supplying air to supply it to the food waste to be dri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that allows drying of food waste.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건조 몸체 내측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심축에 반지름 방향으로 장착된 복수의 고리형 체인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분쇄와 파쇄되도록 함으로써 승온되어 공급되는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조속도가 향상되는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lurality of annular chain mount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central axis that rotates at high speed inside the cylindrical drying body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smoothly contacted with the air supplied by the elevated temperature by crushing and crush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in which the drying speed is impr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폐기물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로서, 음식 폐기물이 투입되는 로타리형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음식 폐기물을 균일한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여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음식 폐기물을 일측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음식 폐기물을 분쇄하고, 고온의 공기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배출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축상에 장착된 고리형 체인에 의해 상기 음식 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하는 분쇄 수단;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음식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생성하여 배출하고, 나머지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부 및 상기 건조부의 내부로 상기 음식 폐기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응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관을 통해 순환되는 상기 공기에 동력을 제공하고, 표면과 상기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상기 공기를 승온시키는 터보팬을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food waste containing water, a rotary type input unit into which food waste is input; A crushing unit disposed under the input unit and crushing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to a uniform size; A dehydration unit disposed under the crushing unit to apply pressure to the food waste so that water is discharged, and move the food waste to one side to discharge the food waste; A drying unit for pulverizing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unit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to be dried by hot air; Grinding means for crushing and pulverizing the food waste by an annular chain mounted on a rotating shaft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Condensing the air discharged after drying the food waste in the drying unit to generate and discharge condensed water, and the hot air used for drying the food waste into the condensation unit and the drying unit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ir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It includes, The air supply unit, the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unit to the drying unit,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ipe, provides power to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the surface And it provides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turbo fan for raising the air by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the friction with the air.

상기 파쇄부는, 파쇄 공간을 제공하는 파쇄부 본체와, 상기 파쇄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에는 파쇄날이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며 상기 음식 폐기물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may include a crushing unit body that provides a crushing space, and a pair of crushing gears disposed inside the crushing unit body, and having a crush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o engage with each other and crushing the food waste.

상기 탈수부는, 일정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식 폐기물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수부 본체와, 상기 탈수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수부 본체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 폐기물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여 탈수되도록 하고, 상기 음식 폐기물을 상기 탈수부 본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air)와, 상기 탈수부 본체 내측 하부에 일정 높이로 배치되되,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보다 낮게 배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탈수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watering par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provides a dewatering part main body for providing a space for dehydration of the food waste, and the food waste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dewatering part main body and flows into the dewatering part main body. A screw convair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by moving pressure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dehydrating unit, is lower than the screw conveyor. It may include a dewatering net including a mesh net disposed.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음식 폐기물이 배출되는 후단이 상기 음식 폐기물이 유입되는 선단보다 3 내지 5도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음식 폐기물은 상기 공기 공급부에 의해 승온된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몸체와, 상기 건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건조 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와, 상기 건조 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의 건조 중 발생되는 수증기와 악취 가스를 상기 건조 몸체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와, 상기 건조 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건조 몸체의 내부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상기 음식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provides a space therein and is disposed inclined such that a rear end of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3 to 5 degrees lower than a tip from which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and is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unit and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 dried food waste is dried by contact with air heated by the air supply unit, and a drain hole disposed under the drying body to discharge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ody. And an exhaust po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ying body to exhaust steam and odor gas generated during drying of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ody, and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ying body to dry the interior of the drying body. It may include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made food waste.

상기 건조 몸체는, 원통 형상의 외측 본체와, 상기 상기 외측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은 상기 외측 본체의 내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body may include a cylindrical outer body, an inner body disposed inside the outer body,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of a mesh net.

상기 외측 본체와 상기 내측 본체의 이격 공간은 상기 탈수부 본체와 상기 탈수망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The spaced space between the outer body and the inner body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dewatering unit body and the dewatering net.

상기 분쇄 수단은, 상기 내측 본체의 내부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리형 체인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nding means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disposed on the inner central axis of the inner body and the annular chain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는 300 ~ 600 RPM일 수 있다.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shaft may be 300 ~ 600 RPM.

상기 분쇄 체인은, 금속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사슬 형태일 수 있다. The grinding chain may be in the form of a chain in which metal rings are continuously connected.

상기 분쇄 체인의 단부는 상기 내측 몸체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An end of the grinding chai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상기 응축부는, 칠러(Chi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dens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iller.

상기 순환관은, 일단은 상기 응축부의 공기 배출측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 본체의 일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ipe,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condensation unit,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body.

상기 터보팬은,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rbofan may include an impelle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surface thereof.

상기 터보팬은, 상기 돌기는 높이 1 내지 3mm의 삼각뿔 형태일 수 있다.The turbofan may have a triangular pyramid having a height of 1 to 3 mm.

상기 터보팬은, 표면 조도가 Ra100a(400S, 400Z) 내지 Ra200a(800S, 800Z) 인 표면을 갖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rbofan may include an impeller having a surface having a surface roughness of Ra100a (400S, 400Z) to Ra200a (800S, 800Z).

상기 터보팬의 회전수는 10,000 내지 70,000 rpm 일 수 있다.The rotation speed of the turbofan may be 10,000 to 70,000 rp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는 터보팬의 동작 중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이를 건조 대상인 음식 폐기물로 공급하여 음식 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by using the friction heat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air during operation of the turbofan for supplying air to supply it to the food waste to be dried to dry food waste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건조 몸체 내측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심축에 반지름 방향으로 장착된 복수의 고리형 체인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분쇄와 파쇄되도록 함으로써 승온되어 공급되는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조속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lurality of annular chain mount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central axis that rotates at high speed inside the cylindrical drying body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smoothly contacted with the air supplied by the elevated temperature by crushing and crushing This improves the drying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쇄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rush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100)는 로타리형 투입부(110), 파쇄부(120), 탈수부(130), 건조부(140), 분쇄 수단(150), 응축부(160) 및 공기 공급부(170)를 포함한다. 1,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type input unit 110, crushing unit 120, dehydration unit 130, drying unit 140, grinding means 150, a condenser 160, and an air supply 170.

로타리형 투입부(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Rotary-type input unit 110 is made of a funne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로타리형 투입부(110)로는 건조 대상물인 음식 폐기물이 투입된다. Rotary waste input unit 110 is a food waste is a drying object.

파쇄부(120)는 로타리형 투입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음식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파쇄한 후, 후술하는 탈수부(130)로 배출한다.The crushing unit 120 is disposed below the rotary type feeding unit 110 to crush the food waste into a predetermined size i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dehydrating unit 130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쇄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rush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파쇄부(120)는 파쇄부 본체(122)와 파쇄 기어(1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rushing unit 120 includes a crushing unit body 122 and a crushing gear 124.

파쇄부 본체(122)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음식 폐기물의 파쇄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rushing unit body 122 provides a space in which food waste is crushed into a hexahed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파쇄 기어(124)는 파쇄부 본체(122) 내측에 한 쌍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파쇄 기어(124)의 표면으로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소정 높이를 갖는 나선형태의 파쇄날(126)이 돌출된다. The crushing gear 124 is disposed in parallel in a pair inside the crushing unit body 122. On the surface of the crushing gear 124, a spiral crushing blade 12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파쇄 기어(124)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으로는 제1 모터(M1)가 연결된다. 그리고, 파쇄 기어(124)의 구동축 일단으로는 서로 맞물리는 회전 기어(125)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모터(M1)의 구동력은 회전 기어(125)에 의해 한 쌍의 파쇄 기어(124)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파쇄 기어(12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The first motor M1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any one of the crushing gears 124. Then, one end of the drive shaft of the crushing gear 124 is disposed with the rotary gears 125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M1 is transmitted to the pair of crushing gears 124 by the rotary gear 125, whereby the pair of crushing gears 124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파쇄 기어(124)는 소정의 파쇄날(126)이 돌출된 형태이지만, 음식 폐기물을 균일한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면 헬리컬 기어, 평기어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redding gear 124 is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shredding blade 126 protrudes, bu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lical gear, a spur gear, or the like, if the food waste can be shredded to a uniform size.

탈수부(130)는 파쇄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파쇄부(120)에서 배출되는 음식 폐기물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음식 폐기물이 포함하는 수분이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탈수부(130)는 음식 폐기물에서 탈수가 진행되는 동시에 음식 폐기물이 후술하는 건조부(140)로 이동하도록 한다. The dewatering unit 130 is disposed below the crushing unit 120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crushing unit 120 to separat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n addition, the dehydration unit 130 allows the food waste to move to the drying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the dehydration in the food waste proceeds.

탈수부(130)는 탈수부 본체(132),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134), 탈수망(13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watering unit 130 may include a dewatering unit body 132, a screw conveyor 134, and a dewatering net 136.

탈수부 본체(132)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34)에 의한 음식 폐기물의 수분 분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dewatering unit body 13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water separation of food waste is performed by the screw conveyor 134 described later.

탈수부 본체(132)의 일단부 상측으로는 파쇄부(120)가 배치되어, 파쇄부(120)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음식 폐기물이 탈수부 본체(13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crushing unit 120 is disposed above one end of the dehydrating unit body 132 so that the food waste crushed and discharged from the crushing unit 1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ng unit body 132.

스크류 컨베이어(134)는 탈수부 본체(132) 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The screw conveyor 134 is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dehydration unit body 132.

스크류 컨베이어(134) 중심의 회전축 일단으로는 제2 모터(M2)가 연결되어 있어, 스크류 컨베이어(134)는 제2 모터(M2)에 의해 회전하며 탈수부 본체(132) 내로 투입된 음식 폐기물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음식 폐기물에서 수분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cond motor M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n the center of the screw conveyor 134, so that the screw conveyor 134 rotates by the second motor M2 and with respect to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ng unit body 132.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allow for water separation from the food waste.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134)는 음식 폐기물의 수분 분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탈수부 본체(132)의 타측으로 음식 폐기물을 이동시켜 후술하는 건조부(140)로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crew conveyor 134 separates the food waste from the water, and moves the food waste to the other side of the dehydration unit body 132 to be discharged to the dry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스크류 컨베이어(134)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crew conveyor 134 is a well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탈수망(136)은 탈수부 본체(132)의 내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배치된다. 여기서, 탈수망(136)은 스크류 컨베이어(134) 보다 낮게 배치된다. The dewatering net 136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dewatering part main body 132. Here, the dewatering net 136 is disposed lower than the screw conveyor 134.

탈수망(136)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홀이 복수로 형성된 메쉬(mesh)망을 포함한다. The dewatering net 136 includes a mesh net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탈수망(136)으로는 스크류 컨베이어(134)에 의해 음식 폐기물에서 분리된 수분이 배출된다. 탈수망(136)을 통과한 수분은 후술하는 배수구(144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dewatering network 136 discharges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food waste by the screw conveyor 134. Water passing through the dehydration net 13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144B to be described later.

건조부(140)는 탈수부(130)에서 탈수된 후, 배출되는 음식 폐기물에 대하여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drying unit 140 is dehydrated in the dewatering unit 130, so that the drying is supplied by supplying hot air to the food waste discharged.

건조부(140)는 건조 몸체(142), 배출구(144A), 배수구(144B) 및 배기구(144C)를 포함한다.The drying unit 140 includes a drying body 142, an outlet 144A, a drain 144B, and an exhaust 144C.

건조 몸체(142)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고 내부에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drying body 14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providing a space therein.

건조 몸체(142)는 탈수부(130)에서 배출되는 음식 폐기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면, 후술하는 공기 공급부(170)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음식 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건조 몸체(142)는 후술하는 분쇄 수단(150)에 의해 내측으로 유입된 음식 폐기물의 파쇄 및 분쇄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When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on unit 130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body 142, the drying body 142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ood waste is dried by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drying body 142 provides a space in which crushing and pulverization of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crushing means 150 to be described later.

건조 몸체(142)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건조 몸체(142)는 건조 대상인 음식 폐기물이 유입되는 일단측이 음식 폐기물이 건조되어 배출되는 타단측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 몸체(142)의 경사진 배치에 의해, 음식 폐기물은 후술하는 분쇄 수단(150)에 의해 분쇄되며 중력에 의해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건조 몸체(142) 하부의 경사 정도는 3~5도로 설정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drying body 142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hat is, the drying body 142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ood waste to be dried is higher than the other end of the food waste is dried and discharged. By the inclined arrangement of the drying body 142,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grinding means 150 described later and can move from the inflow side to the discharge side by gravity.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rying body 142 may be set to 3 to 5 degrees, it may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건조 몸체(142)는 외측 몸체(142A)와 내측 몸체(142B)를 포함한다.The drying body 142 includes an outer body 142A and an inner body 142B.

외측 몸체(142A)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고 내부에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The outer body 142A may be cylindrical i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providing a space therein.

내측 몸체(142B)는 외측 몸체(142A)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내측 몸체(142B)는 외측 몸체(142A)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일 수 있다. The inner body 142B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outer body 142A. The inner body 142B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body 142A.

여기서, 내측 몸체(142B)의 외주면은 외측 몸체(142A)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은 탈수부(130)가 포함하는 탈수부 본체(132)와 탈수망(136)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결된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142B is spac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142A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dewatering unit body 132 and the dewatering net 136 included in the dewatering unit 130.

내측 몸체(142B)는 소정의 홀이 복수로 형성되는 메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body 142B may include a mesh net in whic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holes are formed.

배출구(144A)는 건조 몸체(142)의 타단 즉, 건조 몸체(142)에서 음식 폐기물이 유입되는 부위의 반대편 하부로 배치되어, 수분이 분리된 음식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구(144A)의 일단은 내측 몸체(142B)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외측 몸체(142A)의 외측 하부로 연장된다.The outlet 144A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drying body 142, that is, the lower side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food waste flows from the drying body 142, and discharges the food waste from which water is separated. One end of the outlet 144A is disposed to one side of the inner body 142B,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er bottom of the outer body 142A.

배수구(144B)의 일단은 내측 몸체(142B)와 외측 몸체(142A)의 이격 공간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외측 몸체(142A)의 외측 하부로 연장된다. 배수구(144B)는 건조 몸체(142) 내부에서 음식 폐기물의 내측 몸체(142B)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한다. One end of the drain port 144B is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inner body 142B and the outer body 142A,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outer body 142A. The drain 144B drain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body 142B of the food waste from the inside of the drying body 142 to the outside.

여기서, 배수구(144B)로는 탈수망(136)을 통해 배수된 수분과 내측 몸체(142B)를 통해 배수된 수분이 함께 배수될 수 있다. Here,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ehydration net 136 and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inner body 142B may be drained to the drain 144B.

배기구(144C)는 건조 몸체(142)의 타단 즉, 건조 몸체(142)에서 음식 폐기물이 유입되는 부위의 반대편으로 배치되어, 음식 폐기물 건조 중 발생된 포화 공기와 악취 가스를 배출한다. The exhaust port 144C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drying body 142, that is,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food waste flows from the drying body 142, thereby discharging saturated air and odor gas generated during food waste drying.

분쇄 수단(150)은 내측 몸체(142B)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분쇄 수단(150)은 내측 몸체(142B) 내로 유입된 음식 폐기물에 고리형 체인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인가하여 음식 폐기물을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한다.The grinding means 150 is disposed inward of the inner body 142B. The grinding means 150 applies an impact force to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ner body 142B using an annular chain to crush the food waste into smaller sizes.

분쇄 수단(150)은 회전축(152), 고리형 체인(154) 및 제3 모터(M3)를 포함한다. The grinding means 150 includes a rotating shaft 152, an annular chain 154 and a third motor M3.

회전축(152)은 내측 몸체(142B)의 중심축상에 배치된다. 회전축(152)의 일단으로는 회전축(152)을 구동하는 제3 모터(M3)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회전축(152)의 일단은 스크류 컨베이어(134)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연결되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The rotating shaft 152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body 142B.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15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motor M3 for driving the rotating shaft 152. According to the figure,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152 appears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crew conveyor 134, but is not actually connected and operat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3 모터(M3)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152)은 300~600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motor M3, the rotating shaft 152 may rotate at 300 to 600 RPM.

고리형 체인(154)은 회전축(152)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축(152)의 회전에 따라 음식 폐기물에 충격력을 인가한다. 고리형 체인(154)은 소정의 크기와 하중을 갖는 금속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고리형 체인(154)이 포함하는 금속링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annular chain 154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tation shaft 152 to apply an impact force to the food was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52. The annular chain 154 may have a shape in which metal ring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load are continuously connected. Here, the size and shape of the metal ring included in the annular chain 154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고리형 체인(154)의 길이는 내측 몸체(142B)의 반지름에 대응하되, 고리형 체인(154)의 단부가 내측 몸체(142B)의 내주면과 소정 거리(예를 들어 3mm) 이격되는 정도로 설정된다.The length of the annular chain 154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the inner body 142B, but is set such that the end of the annular chain 154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142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3 mm). .

고리형 체인(154)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annular chain 154 will be described.

고리형 체인(154)은 회전축(152)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일직선으로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음식 폐기물에 대하여 충격을 가하여 음식 폐기물이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되도록 한다. 또한, 고리형 체인(154)에 의해 충격이 음식 폐기물에 인가되면, 음식 폐기물이 분쇄되는 동시에 음식 폐기물에서 수분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수분은 내측 몸체(142B)를 통해 배출된다. The annular chain 154 is unfolded in a straight line by centrifug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52, and impacts the food waste in the unfolded state so that the food waste is crushed to a smaller size. In addi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ood waste by the annular chain 154, the food waste may be crushed and moisture may be separated from the food waste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separat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body (142B).

또한, 고리형 체인(154)은 분쇄된 음식 폐기물을 휘저으며 내측 몸체(142B) 내부의 공기와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하여 음식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nnular chain 154 stirs the crushed food waste and makes uniform contact with the air inside the inner body 142B so that the food waste is dried.

응축부(160)는 배기구(144C) 상에 배치되어, 배기구(144C)를 통해 배기되는 포화 공기와 악취 가스를 응축시킨다. 포화 공기의 응축에 의해 소정의 응축수가 생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응축부(160)에서의 응축수 생성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denser 160 is disposed on the exhaust port 144C to condense the saturated air and the malodorous ga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144C. 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and discharged by the condensation of saturated air. Since condensate generation in the condenser 160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응축부(160)는 응축수 생성을 용이하게 하고, 건조 몸체(142) 내에서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칠러(Chill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densation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chiller (not shown)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and to improve the drying effect in the drying body 142.

칠러(Chiller)는 암모니아, 푸론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냉각수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저온까지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기로서, 칠러는 배기구(144C)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소정 온도로 냉각한다. A chiller is a cooler that cools a fluid to a low temperature using a solvent such as ammonia or furon to a low temperature which cannot be achieved by cooling water alone. The chiller cools the air exhausted from the exhaust port 144C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응축부(160)에서의 응축수 생성 후, 남은 소정 온도(15~20℃)의 공기는 후술하는 공기 공급부(170)를 통해 건조부(140)로 공급된다. 이때, 건조부(140)로 공급되는 공기는 후술하는 터보팬의 동작 중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After the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in the condensation unit 160, the air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15 to 20 ° C.) is supplied to the drying unit 140 through an air supply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air supplied to the drying unit 140 may be heated up by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urbo fan to be described later.

공기 공급부(170)는 응축부(160)에서 응축수를 생성시킨 후, 응축부(16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소정의 열을 인가한 후, 내측 몸체(142B) 내부로 다시 공급하여, 건조 몸체(142) 내부에서 음식 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air supply unit 170 generates condensed water in the condensation unit 160, applies predetermined heat to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unit 160, and then supplies it back into the inner body 142B, thereby drying the body ( 142) Allow food waste to dry inside.

공기 공급부(170)는 순환관(172), 터보팬(174)을 포함한다. The air supply unit 170 includes a circulation pipe 172 and a turbo fan 174.

순환관(172)은 일단은 응축부(16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조 몸체(142) 일측으로 연결되어, 응축부(160)에서 발생된 공기를 건조 몸체(142)로 공급한다. One end of the circulation pipe 172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unit 16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ying body 142 to supply air generated from the condensation unit 160 to the drying body 142.

터보팬(174)은 순환관(172) 상에 배치되어, 회전 동작을 하며 순환관(17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공기의 공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터보팬(174)은 10,000 내지 70,000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turbo fan 174 is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ipe 172, and rotates and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so that the air is more easily supplied. The turbofan 174 may rotate at 10,000 to 70,000 rpm.

또한, 터보팬(174)은 순환관(17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소정의 열을 인가하여, 유입 시의 온도보다 40~60℃ 정도로 승온시킨 후, 건조 몸체(142) 내에서의 식품 폐기물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urbo fan 174 applies a predetermined heat to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to raise the temperature about 40 ~ 60 ℃ tha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inflow, food waste in the drying body 142 To facilitate the drying of the.

터보팬(174)에서의 열 인가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Heat application in the turbofan 174 may be performed as follows.

터보팬(174)은 내부에 소정 형태의 임펠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turbo fan 174 may have an impeller (not shown) of a predetermined shape disposed therein.

임펠러는 몸체 주위를 따라 복수의 날개를 갖추고, 몸체가 회전하면서 날개에 의해 유체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기계장치이다. 여기서, 임펠러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표면은 소정의 조도(거칠기를) 갖도록 가공되어 있어, 임펠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임펠러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표면에 접하며 소정의 마찰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마찰열을 인가받아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An impeller is a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van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supply fluid in one direction by the vanes as the body rotates. Here, the surfac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mpeller is processed to have a predetermined roughness (roughness), so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mpeller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mpeller and a predetermined friction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friction heat The temperature may rise by applying.

여기서, 구성 요소들의 표면 거칠기는 Ra100a(400S, 400Z) 내지 Ra200a(800S, 800Z)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mponents is preferably Ra100a (400S, 400Z) to Ra200a (800S, 800Z).

그리고, 구성 요소들의 표면이 소정의 조도를 가질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가공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And, if the surface of the components can have a predetermined roughness, various processing method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또한, 임펠러는 표면에 소정 높이를 갖는 삼각뿔 형태의 돌기가 복수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의 높이는 1 내지 3mm 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peller may protrude a plurality of projections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yrami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urface. Her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may be 1 to 3mm, but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여기서, 돌기는 깔쭈기 가공과 같이 요철을 형성하는 공정의 수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process of forming an unevenness, such as a stepping process.

본 실시예에서는 터보팬(174)에서 임펠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공급되는 공기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할 수 있고, 구성 요소들의 표면을 소정을 거칠기로 가공하거나 표면에 돌기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면, 임펠러 이외의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impeller is used in the turbo fan 174, but a predetermine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lied air, and the surface of the components may be processed into a roughness or a protrusion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If possible, other configurations than impellers may be used.

순환관(17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터보팬(174)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때, 공기는 터보팬(174)의 구성 요소들과의 표면과 마찰되고, 이때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may be appli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turbofan 174. At this time, the air is rubbed with the surface of the components of the turbofan 174, the temperature of the air rises by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at this tim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A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음식 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For the treatment of food waste,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as follows.

사용자는 로타리형 투입부(110)로 건조 대상인 음식 폐기물을 투입한다. The user inputs the food waste to be dried into the rotary input unit 110.

투입된 음식 폐기물은 로타리형 투입부(110)를 통해 파쇄부(120)로 유입된다. The injected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unit 120 through the rotary type feeding unit 110.

파쇄 기어(124)는 음식 폐기물을 파쇄한다. 또한, 파쇄 기어(124)는 음식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파쇄하여, 이후의 탈수와 건조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hred gear 124 shreds food waste. In addition, the crushing gear 124 may crush the food waste uniformly to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subsequent dehydration and drying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파쇄부(120)에서 파쇄된 음식 폐기물은 탈수부(130)로 유입된다. Food waste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120 is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on unit (130).

탈수부(130)로 유입된 음식 폐기물은 스크류 컨베이어(134)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되며 탈수된다. 여기서, 탈수된 수분은 탈수망(136)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 후, 배수구(144B)를 통해 배수된다. 스크류 컨베이어(134)는 압착에 의해 음식 폐기물의 탈수를 수행하는 동시에 탈수된 음식 폐기물이 탈수부(13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ewatering unit 130 is compressed by a screw conveyor 134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dewatered. Here, the dehydrated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ehydration network 136,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drain 144B. The screw conveyor 134 performs dehydration of the food waste by com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dehydrated food was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hydration unit 130.

탈수부(130)에서 배출된 음식 폐기물은 건조부(140)로 유입된다.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unit 130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unit 140.

내측 몸체(142B) 내로 유입된 음식 폐기물은 분쇄 수단(150)인 고리형 체인(154)이 회전하며 인가하는 타격력에 의해 분쇄된다.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ner body 142B is crushed by the impact force applied by the annular chain 154, which is the grinding means 150, rotates.

그리고, 분쇄된 음식 폐기물은 내측 몸체(142B)의 내주면과 부딪히며 수분이 분리될 수 있다. Then, the crushed food waste hi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142B and water may be separated.

특히, 음식 폐기물에 동물의 뼈, 조개 껍데기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리형 체인(154)에 의해 더 작은 크기로 분쇄되어 건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food waste contains animal bones, shells, etc., it may be crushed to a smaller size by the ring-shaped chain 154 to be dried more easily.

한편, 순환관(172)을 통해서는 고온의 건공기가 건조 몸체(142) 내로 공급되어, 음식 폐기물의 건조에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a high temperature dry air is supplied into the drying body 142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and used for drying food waste.

그리고, 건조 몸체(142)에서 건조된 음식 폐기물은 배출구(14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포화 공기와 악취 가스는 배기구(144C)를 통해 배출된다.And, the food waste dried in the drying body 14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44A, the saturated air and odor gas generated in the drying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44C).

여기서, 배기구(144C)를 통해 배출되는 포화 공기의 온도에 따른 수분 함유량은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Here, the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atur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44C is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Table 1].

공기 온도 (℃)Air temperature (℃) 포화공기의 수증기량 (g/Nm3)Water vapor content of saturated air (g / Nm 3 ) 1515 12.912.9 2020 17.317.3 2525 23.023.0 3030 30.430.4 3535 39.639.6 4040 5252 5050 8383 6060 132132 7070 198198 8080 293293 9090 423423 100100 597597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구(144C)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음식 폐기물에서의 수분 분리량은 커짐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44C, the larger the amount of water separation from the food waste.

배기구(144C)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응축부(160)에서 응축된다. 여기서, 응축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응축 과정에서 남은 공기는 순환관(172)을 통해 다시 건조 몸체(142) 내로 공급된다.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44C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160. Her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ondensation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ir remaining in the condensation process is supplied back into the drying body 142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이때, 순환관(17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터보팬(174)을 통과하며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순환관(172)을 통해 건조 몸체(142)로 공급되어 건조에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may pass through the turbo fan 174 and the temperature may increase. The air whose temperature is raised may be supplied to the drying body 142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72 and used for drying.

다음의 [표 2]과 [표 3]는 터보팬(174)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터보팬(17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일정 단위의 음식 폐기물 건조에 사용되는 공기의 양, 임펠러 회전속도 및 임펠러의 표면 조도를 나타낸다.[Table 2] and [Table 3] a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turbo fan 174,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rbo fan 174, the amount of air used to dry food waste in a unit, the impeller Rotational speed and surface roughness of the impeller are shown.

터보팬으로 유입되는
공기 온도(℃)
Flowing into the turbofan
Air temperature (℃)
터보팬 출구 공기 온도(℃)Turbofan Outlet Air Temperature (℃) 음식폐기물에 포함된 물 1(kg/분)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 (Nm3/분)The amount of air needed to evaporate 1 kg of water in food waste (kg / min) (Nm 3 / min) 임펠러 회전속도(rpm)Impeller Rotational Speed (rpm) 임펠러 구성 요소의 표면
조도
Surface of impeller components
Roughness
1515 6060 8.408.40 15,00015,000 Ra100aRa100a 1515 7070 5.405.40 28,00028,000 Ra100aRa100a 1515 8080 3.573.57 40,00040,000 Ra150aRa150a 1515 9090 2.442.44 60,00060,000 Ra200aRa200a

터보팬으로 유입되는
공기 온도(℃)
Flowing into the turbofan
Air temperature (℃)
터보팬 출구 공기 온도(℃)Turbofan Outlet Air Temperature (℃) 음식폐기물에 포함된 물 1(kg/분)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 (Nm3/분)The amount of air needed to evaporate 1 kg of water in food waste (kg / min) (Nm 3 / min) 임펠러 회전속도(rpm)Impeller Rotational Speed (rpm) 임펠러 구성 요소의 표면
조도
Surface of impeller components
Roughness
2020 6060 8.728.72 12,00012,000 Ra100aRa100a 2020 7070 5.535.53 25,00025,000 Ra100aRa100a 2020 8080 3.633.63 38,00038,000 Ra150aRa150a 2020 9090 2.472.47 52,00052,000 Ra200aRa200a

[표 2]과 [표 3]를 참조하면, 온도가 15℃ 인 공기가 터보팬(174)에서 90도의 온도로 상승된 경우, 음식폐기물에 포함된 물 1(kg/분)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2.44(Nm3/분)이지만, 온도가 20℃ 인 공기가 터보팬(174)에서 90도의 온도로 상승된 경우, 음식폐기물에 포함된 물 1(kg/분)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2.47(Nm3/분) 임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and [Table 3], when the air having a temperature of 15 ° C. is raised to a temperature of 90 degrees in the turbofan 174, it is necessary to evaporate water 1 (kg / min) contained in the food waste. The amount of air is 2.44 (Nm 3 / min), but if the air temperature of 20 ° C is raised to 90 degrees in the turbofan 174, the amount of air required to evaporate 1 (kg / min) of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It can be seen that it is 2.47 (Nm 3 / min).

상기한 [표 2]와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조 몸체(142)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동일한 경우라 하여도, 승온 정도가 크다면 단위 증발량(물 1kg/분)을 얻기 위한 공기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2] and [Table 3],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into the drying body 142 is the same, if the temperature rising degree is large, the unit evaporation amount (water 1kg / min)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air to be obtained is small.

따라서, 응축부(160)에서의 응축은 가능한 낮은 온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축부(16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condensation in the condensation unit 160 is to be made as low as possibl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unit 160 is lowered.

사용자는 로타리형 투입부(110)를 통해 음식 폐기물을 계속 투입하고, 응축부(16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승온된 후 건조 몸체(142) 내로 공급되어, 음식 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may continue to feed the food waste through the rotary input unit 11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unit 160 is heated to be supplied into the drying body 142,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dried.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는 터보팬의 동작 중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이를 건조 대상인 음식 폐기물로 공급하여 음식 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원통형의 건조 몸체 내측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심축에 반지름 방향으로 장착된 복수의 고리형 체인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분쇄와 파쇄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조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by using the friction heat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air during operation of the turbofan for supplying air to supply it to the food waste to be dried to dry food waste The food waste may be crushed and crushed by a plurality of annular chains mounted radially on a central axis rotating at a high speed inside the cylindrical drying body, so that contact with the supplied air may be smoothly performed. Due to this, the drying speed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 110: 로타리형 투입부
120: 파쇄부 130: 탈수부
140: 건조부 150: 분쇄 수단
160: 응축부 170: 공기 공급부
100: food waste drying apparatus 110: rotary input unit
120: crushing unit 130: dewatering unit
140: drying unit 150: grinding means
160: condenser 170: air supply

Claims (16)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폐기물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로서,
음식 폐기물이 투입되는 로타리 형태의 로타리형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상기 음식 폐기물을 균일한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여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음식 폐기물을 일측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음식 폐기물이 유입되면 고온의 공기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출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축상에 장착된 고리형 체인에 의해 상기 음식 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하는 분쇄 수단;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음식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포화 공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생성하여 배출하고, 나머지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부 및
상기 건조부의 내부로 상기 음식 폐기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응축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관을 통해 순환되는 상기 공기에 동력을 제공하고, 표면과 상기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상기 공기를 승온시키는 터보팬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는,
일정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식 폐기물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수부 본체와,
상기 탈수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수부 본체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 폐기물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여 탈수되도록 하고, 상기 음식 폐기물을 상기 탈수부 본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air)와,
상기 탈수부 본체 내측 하부에 일정 높이로 배치되되,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보다 낮게 배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탈수망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음식 폐기물이 배출되는 후단이 상기 음식 폐기물이 유입되는 선단보다 3 내지 5도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음식 폐기물은 상기 공기 공급부에 의해 승온된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몸체와,
상기 건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건조 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와,
상기 건조 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음식 폐기물의 건조 중 발생되는 수증기와 악취 가스를 상기 건조 몸체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와,
상기 건조 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건조 몸체의 내부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상기 음식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Food waste drying apparatus that separates and discharges water from food waste containing water,
Rotary type feeding section for feeding food waste;
A crushing unit disposed under the input unit and crushing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to a uniform size;
A dehydration unit disposed under the crushing unit to apply pressure to the food waste so that water is discharged, and move the food waste to one side to discharge the food waste;
A drying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unit so as to be dried by hot air;
Grinding means for crushing and pulverizing the food waste by an annular chain mounted on a rotating shaft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A condensation unit for condensing saturated air discharged after drying the food waste in the drying unit to generate and discharge condensat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air;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high temperature air used to dry the food waste into the drying unit; Including,
The air supply unit,
A circulation tube circulating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unit to the drying unit;
A turbofan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ipe to provide power to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nd to heat up the air by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air,
The dewatering part,
A dewatering unit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providing a space for dehydration of the food waste;
A screw convey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dehydration unit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food waste flowing into the main body of the dehydration unit to dehydrate the food waste, and moving the food waste from one side of the dehydration unit body to the other side and discharging the screw conveyor. convair),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dewatering unit body, including a dewatering net including a mesh net disposed lower than the screw conveyor,
The drying unit,
The food waste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rrang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3 to 5 degrees lower than the front end to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portion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 drying body is dried by the contact with the air heated by the air supply,
A drain hole disposed below the drying body to discharge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ody;
An exhaust po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ying body to exhaust steam and odor gas generated during drying of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ody;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is disposed to one end of the drying body,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is dried in the dry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파쇄 공간을 제공하는 파쇄부 본체와,
상기 파쇄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에는 파쇄날이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며 상기 음식 폐기물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 기어를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hredding part,
A shredding unit body providing a shredding space,
And a pair of crushing gears disposed in the crushing unit body, and having a crush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hereof to engage with each other and crushing the food was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몸체는,
원통 형상의 외측 본체와,
상기 외측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은 상기 외측 본체의 내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ying body,
Cylindrical outer body,
It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bod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ner body made of a mesh ne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본체와 상기 내측 본체의 이격 공간은 상기 탈수부 본체와 상기 탈수망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pace between the outer body and the inner body is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between the dewatering unit body and the dewatering n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수단은,
상기 내측 본체의 내부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리형 체인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grinding means,
A rotation shaft disposed on an inner central axis of the inner body and the annular chain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motor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to rotate the rotary shaf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는 300 ~ 600 RPM인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shaft is 300 ~ 600 RPM food waste drying apparatu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체인은,
금속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사슬 형태인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nnular chain is,
Food waste drying device in the form of a chain consisting of a metal ring connected continuous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체인의 단부는 상기 내측 본체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End of the annular chain food waste drying apparatus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칠러(Chiller)를 더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ensation unit,
Food waste dr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hiller (Chill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은,
일단은 상기 응축부의 공기 배출측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 본체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irculation pip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condensation, the other end food waste dry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은,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임펠러를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urbo fan,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peller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the surf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은,
상기 돌기는 높이 1 내지 3mm의 삼각뿔 형태인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turbo fan,
The protrusion is a food waste drying device of the form of a triangular pyramid of 1 to 3mm in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은,
표면 조도가 Ra100a(400S, 400Z) 내지 Ra200a(800S, 800Z) 인 표면을 갖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urbo fan,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peller having a surface roughness Ra100a (400S, 400Z) to Ra200a (800S, 800Z).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의 회전수는 10000 내지 70000 rpm 인 음식폐기물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5,
The rotation speed of the turbo fan is 10000 to 70000 rpm food waste drying apparatus.
KR1020180015743A 2018-02-08 2018-02-08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KR101988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43A KR101988159B1 (en) 2018-02-08 2018-02-08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43A KR101988159B1 (en) 2018-02-08 2018-02-08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159B1 true KR101988159B1 (en) 2019-09-30

Family

ID=6809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743A KR101988159B1 (en) 2018-02-08 2018-02-08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1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933B1 (en) * 2020-05-11 2021-01-05 정원모 Waste treatment device for demolition of buildin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74B1 (en) * 2009-01-22 2010-04-13 (주)아이엔탑 Apparatus for continuation heating type dryness of kitchen refuse
KR20100112355A (en) * 2009-04-09 2010-10-19 바이오매스아시아 주식회사 A movable vehicles type apparatus for making fuel using food waste
KR20120053452A (en) * 2010-11-17 2012-05-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urbo fan
KR101423236B1 (en) * 2013-05-31 2014-07-24 빛나매크로주식회사 Drying apparatus for crushing and dehydrate of water contained in food was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74B1 (en) * 2009-01-22 2010-04-13 (주)아이엔탑 Apparatus for continuation heating type dryness of kitchen refuse
KR20100112355A (en) * 2009-04-09 2010-10-19 바이오매스아시아 주식회사 A movable vehicles type apparatus for making fuel using food waste
KR20120053452A (en) * 2010-11-17 2012-05-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urbo fan
KR101423236B1 (en) * 2013-05-31 2014-07-24 빛나매크로주식회사 Drying apparatus for crushing and dehydrate of water contained in food was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933B1 (en) * 2020-05-11 2021-01-05 정원모 Waste treatment device for demolition of build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932B1 (en) Control system for efficient drying and bad smell of organic waste
KR100954350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olid fuel using sludge
KR20100007089A (en)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WO2005080014A1 (en) Food refuge treatment apparatus
KR101239581B1 (en) Food waste disposer
KR101258853B1 (en) Steam-Based Rotary Screw Sludge Drying Shaping Machine
TW202124063A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KR100803621B1 (en) Waste treatment system
KR101988159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rying
KR101365155B1 (en) The food-garbage treating device
KR102085833B1 (en) Device for negotiation of the waste domeestic animal
KR101252451B1 (en) Food garbage resource paddle desiccator
KR101582844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olid fuel using wastewater sludge and sewage and agricultural waste
KR101491133B1 (en) Apparatus for drying food garbage
KR100397823B1 (en) Food and drink treatment apparatus
CN207738615U (en) A kind of sludge drying charing integrated apparatus
KR100523998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making feed using fishes
KR19990038997A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JP2006051483A (en) Drying treatment apparatus by complex heating for organic waste
KR101205174B1 (en) Organic waste disposal system
KR20140047379A (en) Apparatus for drying food garbage
KR20200106585A (en) Apparatus for food waste treating
KR20040001107A (en) System for treating waste materials
CN208055223U (en) A kind of cow dung dehydration processing unit (plant)
KR0153510B1 (en)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for waste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