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681B1 -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681B1
KR101986681B1 KR1020170146306A KR20170146306A KR101986681B1 KR 101986681 B1 KR101986681 B1 KR 101986681B1 KR 1020170146306 A KR1020170146306 A KR 1020170146306A KR 20170146306 A KR20170146306 A KR 20170146306A KR 101986681 B1 KR101986681 B1 KR 10198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image processing
uni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0676A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7014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681B1/en
Publication of KR2019005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6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영상처리 설정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부의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하고,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amera unit photographs the image on the basis of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user's sta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user's state and editing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provide an image of a user's interest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a user.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달로 다양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TV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는 기술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드론의 발달은 영상 촬영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t is possible to capture various pictures and images, and the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smart phones, and TVs is progressing very rapidly. Particularly, the development of the drones further develops the user's interest in the image shooting.

일반적으로 영상 촬영은 사용자가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촬영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셀카봉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원격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Generally, a user shoots a desired image by pressing a photographing button provided 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r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a desired image is photographed using a tool such as a cellar, 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controlled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제어가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순발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촬영하고 싶은 영상이 있어도 그 순간 촬영 버튼 등을 누르거나 터치하지 않으면 해당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오랜 시간 동안 녹화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녹화된 영상 중에서 관심 있는 영상만을 별도로 편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녹화된 영상의 용량이 커서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user needs to directly control the user in order to shoot the desired image, the user often needs a quick power to shoot the desired image.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hooting button at that moment or touches the desired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hoot an image. In addition, when recording is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troublesome to edit only the image of interest among the recorded images separate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space becomes short due to a large capacity of the recorded imag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 image desired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that can capture an image of a user's interest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edit a photographed image and provide it to a user.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영상처리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ensing apparatu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mera unit photographs the image based on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user's sta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user and editing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Device.

여기서,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서로 대응되도록 하여 영상을 편집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associates the photographed image with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imag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cessing section.

또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additional image according to whether the condition of the user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또한, 영상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시작 시점, 종료 시점, 촬영 시간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art point, an end point, and a photographing time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 camera unit.

또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초로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t least one sensor; And an image processor for capturing an image based on information for capturing an image provided by a user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displaying the image to the user,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소정의 시간 단위로 대응되도록 상기 촬영 영상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편집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edits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displayed image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for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camera unit captures an image, There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lbu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유발한 장면을 빠짐없이 촬영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aptures an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a user, it is possible to capture a scene in which a user has caused an interest without fail.

또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연계하여 편집된 영상 앨범을 제공하며, 별도의 영상 편집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게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ited image album is provided by linking the photographed image with the displayed image, and the image can be conveniently photographed because no separate image editing is required.

또한, 사용자가 흥미를 유발한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is captured, edited, and stored for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user is interested, storage space of the image data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처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장치(100), 영상 처리 장치(110) 및 서버(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mage process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ing apparatus 100,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a server 120.

모니터링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110)에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전송하여 영상 처리 장치(110)에서 영상 촬영이 설정 정보에 따라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영상 처리 설정 정보는 영상 처리 장치(110)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시작 시점, 촬영 시간, 촬영 종료 시점 등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정보 및 영상 앨범을 스틸 이미지로 구성할지 동영상으로 구성할지, 흑백으로 구성할지 컬러로 구성할지 등의 영상 앨범에 관한 정보등 영상 처리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해당된다.The monitoring apparatus 100 transmits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so that image capturing is performe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photographing a video such as a starting point, a photographing time, and a shooting end point of photographing the image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image processing such as information about image albums such as whether to configure them or color them.

또한,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110)에 전송하여 영상 처리 장치(110)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심박수, 체온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도,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과 같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이 해당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monitors the status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so tha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can grasp the status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ncludes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uch as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모니터링 장치(100)는 휴대용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100)는 스마트워치, 헷드셋 등과 같이 휴대가 편리하면서 탈부착이 용이하여 신체에 접촉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The monitor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as a portable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ontact the body. For example, the monitoring device 100 can be configured as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smart watch, a headset, etc., which are portable and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can be used in contact with the body.

영상 처리 장치(110)는 기 설정된 영상 처리 설정 정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는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스마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디지털 카메라, HMD(Head Moundted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을 촬영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가 해당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captures an image according to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or directly input from the us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may be a smart device capable of photographing or displaying images such as a smart TV, a smart phone, a smart pad, a digital camera,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may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r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er 120.

일 예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를 보통 상태, 흥분 상태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흥분 상태인 경우 영상 촬영을 하도록 하는데, 사용자의 상태는 사용자의 심박수 등 생체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심박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흥분 상태로 판단하여 영상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를 촬영하고 사용자의 상태가 보통 상태로 되면 영상 촬영를 종료한다. 이때, 영상 촬영이 소정 시간동안 진행되도록 촬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user's state into a normal state and an excited state, and allows the user to take an image when the user is in an excited state. The state of the user can us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user's heart rate. Accordingly, if the user's heart rate is monitored and the heart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user's state is determined to be in the excited state,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photographs the user and ends the image photographing when the user's state is normal. 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time can be set so that the photographing is prog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때 사용자의 심박수 이외에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평소 움직임 보다 소정 이상 더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가 흥분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user,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ther than the user's heart rate may be used.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more than a normal motion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user can be determined to be in an excited state.

서버(120)는 영상 처리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모니터링 장치(100) 등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120 may store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may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image to provide the store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100)는 센서부(220), 통신부(24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며, 입력부(200), 출력부(210), 탈착부(230), 디스플레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nsor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60. The monitoring unit 100 includes an input unit 200, an output unit 210, a detachable unit 230, And a display unit 250, as shown in FIG.

입력부(20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데, 사용자의 터치, 푸쉬동작, 음성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200 has a function of converting a physic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specific electric signal, and can receive a user input such as touch, push operation, voice, etc. of the user. The input unit 200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types of buttons, a touch sensor for receiving a touch input, a proximity sensor for receiving an approaching motion, and the like. Also, the input unit 200 can receiv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출력부(210)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소리, 진동, 빛 등과 같이 사용자가 듣거나, 느끼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output unit 210 i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a user and allows the user to hear, feel, or visually confirm such as sound, vibration, light, and the like.

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일 예로, 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생체신호 감지 센서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모션반응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도,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PS 센서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20 is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user and includes various sensors.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20 may include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bio-signal such as a heartbeat or a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a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 A movement dire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a position sensor such as a GPS senso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user may be included.

탈착부(230)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장치(100)를 신체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니터링 장치(100)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tachable unit 230 allows the user to attach and detach the monitoring device 100 to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arry the monitoring device 100.

통신부(240)는 영상 처리 장치(110) 등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인터넷부(미도시), 방송 송수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유선 통신부(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데, 무선 인터넷부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등 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는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방송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e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eestrial) 등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교통 데이터, 생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0 i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such a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specifically includes a wireless Internet unit (not shown), a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not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And a wire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wireless Internet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o acquire or transmit data. The wireless Internet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nit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ireless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Downlink Packet Acess). The broadcas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ransmits and receives broadcast signals through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The broadcasting system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the broadcas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includ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DMBS), MediaFLO (Media Fowell Link Only) 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eestrial (ISDBT), and the like. The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may include traffic data, living data, and the like.

이동 통신부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이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며, 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일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can access and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t; / RTI >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is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be wired to another device, and may be a USB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 USB port.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등 다양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50 displays various data, such as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250 may include a touch screen.

제어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110)에 전송하도록 하거나, 센서부(220)에서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110)에 전송하도록 하는 등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60 may transmit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or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monitored by the sensor unit 220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controls the inventive monitoring device 100 as a who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처리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10)는 카메라부(310), 통신부(330), 디스플레이부(320), 영상처리부(34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하며, 입력부(300) 및 저장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includes a camera unit 310, a communication unit 330, a display unit 320, an image processing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60.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includes an input unit 300, (350). ≪ / RTI >

입력부(30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데, 사용자의 터치, 푸쉬동작, 음성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300 has a function of converting a physic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specific electric signal, and can receive a user input such as touch, push operation, voice, etc. of the user. The input unit 200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types of buttons, a touch sensor for receiving a touch input, a proximity sensor for receiving an approaching motion, and the like. Also, the input unit 200 can receiv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카메라부(3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환경 등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310 may capture an image of a user viewing the displayed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60 or an environment around the user.

디스플레이부(320)는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는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방송 관련 영상, 사용자가 촬영하여 저장한 사진 또는 동영상,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다운로드 받은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20 displays various images.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can display a broadcast-related image such as a movie, a drama, or a documentary, a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captured by the user, or a variety of images downloaded from the outside via the Internet . The display unit 250 may include a touch screen.

통신부(330)는 모니터링 장치(100) 등과 같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 살펴본 모니터링 장치(100)의 통신부(330)와 동일·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30 i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such as the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may includ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communication unit 330 of the monitor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영상처리부(340)는 카메라부(3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디스플레이부(320)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부(350)에 저장하거나 서버(12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영상처리부(340)는 카메라부(310)에서 촬영된 영상 및 디스플레이부(320)에서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대응되도록 하거나 오버랩시켜 영상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부(34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을 시간 단위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영상이 촬영된 시간부터 촬영이 종료된 시간까지 시간 순서대로 촬영된 영상과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340)는 영상을 스틸 이미지 형태로 구성하거나, 동영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process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310 or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and stores the processed image in the storage unit 350 or the server 120.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processes a video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10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to generate a video album by overlapping or overlapping the displayed video image with the captured user image can do. 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may associate the displayed image with the photographed image on a time unit basis.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ed by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time the image was photographed until the photographed time, .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may form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저장부(350)는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50 stores various data and applications. The storage unit 350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 ROM (Read Only Memory),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A removable disk, a removable disk, a memory card,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as well as a detachable form of storage such as a USB memory.

제어부(360)는 영상 처리 설정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처리부(340)에서 영상 앨범을 생성하도록 하는 등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11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360)는 사용자의 상태가 흥분 상태로 판단되면 카메라부(310)에서 사용자의 촬영을 시작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태가 보통 상태가 되면 촬영을 종료하도록 하며, 촬영된 영상은 영상처리부(340)로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360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generating image albums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using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status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s state is determined to be in the excited state, the control unit 360 causes the camera unit 310 to start photographing the user, and ends the photographing when the user's state is normal. (340).

또한, 카메라부(310)가 촬영을 시작한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부(320)에서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영상처리부(340)에 전송하여 영상처리부(340)에서 영상 앨범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영상 앨범에는 영상을 촬영한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사용자의 상태 정보, 날씨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during a period from the time when the camera unit 310 starts shooting to the end point,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40 generates the image album. At this time, the image album may include information to know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shooting the image. For example, the image album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user status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260)는 입력된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110)에 전송한다(400). 이후, 사용자의 심박수, 움직임 등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410),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110) 전송하는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연속적으로 전송하거나 소정 시간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420).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inputs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260 transmits the inputted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400). Thereafter, the user's status such as the user's heart rate and motion is monitored 410,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s continuously transmitted or transmitted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420 (420) .

한편,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상태가 보통 상태인지 흥분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사용자의 심박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흥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보통 상태에서 흥분 상태로 되거나 흥분 상태에서 보통 상태로 되는 등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430의 예),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상태 변화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110)에 전송한다(440). 이때, 제어부(26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26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the normal state or excited state. For example, if the user's heart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26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excited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user's state change (e.g., YES in 430), the user changes state from the normal state to the excited state or from the excitement state to the normal state, the control unit 260 transmits the user's state change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44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60 may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state has chang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처리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입력받으면 제어부(360)는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500). 이후,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510). 사용자의 상태가 보통 상태에서 흥분 상태로 변화되거나, 흥분 상태에서 보통 상태로 변화되는 등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520의 예), 영상 처리 설정 정보에 따라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앨범 등을 생성하고(530), 영상 앨범 등 영상 처리 정보를 저장한다(540). 이때, 영상 처리 정보는 서버(120)에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receiving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or receiving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the controller 360 confirms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500). Thereafter, upon receiving the use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the status change of the user is determined (5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state changes from the normal state to the excited state, or from the excitement state to the normal state (520 in the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530), and stores image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lbum (540). 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20.

한편, 영상 처리 장치(11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정보를 수신하면 별도로 영상 처리 장치(110)에서 판단하지 않고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state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user's state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10 does not judge it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mage is photographed based on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적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to whic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 사용자는 모니터링 장치(100)를 휴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심박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이상인 경우 사용자는 흥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흥분 상태에 있는 경우 영상 촬영이 시작되고 사용자가 보통 상태로 되면 영상 촬영이 종료되는 것으로 한다.Hereinafter, the user carries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change of the user's state by using the user's heart rate,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n excited state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90 or more. It is also assumed that the image capturing is started when the user is in the excited state and the image capturing is terminated when the user is in the normal stat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사용자가 스마트 TV(110)를 통해 영화를 시청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스마트 TV(110)에 전송한다.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이상이 되는 경우 스마트 TV(110)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시작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미만이 되면 촬영을 종료한다. 이후, 영상이 촬영되는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시간 단위로 서로 대응되도록 처리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하는데, 영상 앨범은 동영상과 스틸 이미지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When the user watches a movie through the smart TV 110, the monitoring device 100 monitors the user's heart rate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TV 110.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equal to or higher than 90, the smart TV 110 starts to shoot the user and ends the shooting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less than 90. Then, a video album is generated by processing the displayed image and the photographed user's image so that they correspond to each other on a time basis during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video is photographed. The video album is composed of a mixture of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생성된 영상 앨범은 저장되거나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영상 앨범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디스플레이되는 영화 정보, 심박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영화에서 반응을 보인 장면을 파악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공포 영화의 경우 어떤 장면에서 사용자가 공포심을 느꼈는지 알 수 있고, 코미디 영화의 경우 어떤 장면에서 사용자의 웃음이 유발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The created image album is saved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At this time, the image album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ime information, movi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heart rate information, and the like. This allows you to see the scene in which the user reacted in the movie, and you can check the status of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orror movie, it is possible to know in which scene the user feared the fear, and in the case of a comedy movie, it is possible to grasp which scene the user laughs has been caus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사용자가 낚시를 하고 있으며 스마트폰(110)을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사용자가 급하게 움직이게 되거나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이상인 경우, 스마트폰(110)은 사용자를 촬영하기 시작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미만이 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이 보통이 되면 촬영을 종료한다. 이후, 사용자의 모습을 시간 단위로 처리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영상 앨범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심박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user is fishing and capturing a user through the smartphone 110, the monitoring device 100 monitors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monitored heart rate to the smartphone 110. When the user requests the bait and the user moves rapidly or the user's heart rate is 90 or more, the smartphone 110 starts to shoot the user and ends the shooting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less than 90 or the user's motion becomes normal. After that, the user's image can be processed on a time-by-time basis to generate a video album, and the image album can includ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heart rate information, and the like.

이때, 낚시의 찌 자체에 진동센서를 구비하고 진동센서에서 모니터링 장치(100)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반응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어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 vibration sensor is provided on the fishing fountain, a vibration sensor transmits a signal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monitoring device 100 notifies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act, To create a video album.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사용자가 운행 중이며, 블랙박스(110)를 통해 차량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블랙박스(110)에 전송한다.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이상이 되는 경우 블랙박스(11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시작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미만이 되면 촬영을 종료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한다. 블랙바스(110)가 실시간 녹화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태가 흥분 상태에 있을 때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한다.When the user is in operation and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re photographed through the black box 110, the monitoring device 100 monitors the user's heart rate and transmits it to the black box 110.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equal to or higher than 90, the black box 110 starts to shoo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hen the user's heart rate becomes less than 90, the shooting ends and a video album is generated. When the black bar 110 is performing real-time recording, a video album is created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when the user's state is in the excited stat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사용자가 구글 글래스(110)를 착용하고 거리를 걷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구글 글래스(110)에 전송한다.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이상이 되는 경우 구글 글래스(11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시작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가 90 미만이 되면 촬영을 종료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한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100)는 구글 글래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글 글래스(110)에서 모든 동작이 진행된다.When the user wears the Google glass 110 and walks away, the monitoring device 100 monitors the user's heart rate and transmits it to the Google glass 110.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90 or more, the Google glass 110 starts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hen the user's heart rate is less than 90, the shooting ends and a video album is created. At this time, the monitoring apparatus 1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Google glass 110, and thus all operations are performed on the Google glass 110.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모니터링 장치 110: 영상 처리 장치
120: 서버
100: monitoring device 110: image processing device
120: Server

Claims (12)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영상처리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서로 대응되도록 영상을 편집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서로 다르고, 상기 영상 앨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장치.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mera unit photographs an image based on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 user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provided from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 video album by editing the video so that the vide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video shot by the camera unit correspond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during the time of shooting the video in the camera unit, Control,
Where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captured on the camera un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image album includes both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captured on the camera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is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hoot the camera additional imag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s cond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시작 시점, 종료 시점, 촬영 시간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art point, an end point, and a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 camera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영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서로 대응되도록 영상을 편집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서로 다르고, 상기 영상 앨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
In an image processing system,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t least on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using a camera unit based on information for capturing an image provided by a user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and displaying the image to the user using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generates a video album by editing the video so that the vide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video shot by the camera uni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during the time of shooting the video in the camera unit,
Where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captured on the camera un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image album includes both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captured on the camera unit.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서로 대응되도록 영상을 편집하여 영상 앨범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촬영된 영상은 서로 다르고, 상기 영상 앨범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방법.
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Receiving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a device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 is captured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generating a video album by editing the video so that the displayed video and the photographed video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during the video shooting time,
Wherein the displayed image and the photographed image are different, and the image album includes both the displayed image and the photographed im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hotographed image is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 capturing is to be perform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 state of the user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설정 정보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시작 시점, 종료 시점, 촬영 시간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art point, an end point, and a photographing time for photographing the im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12. A storage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to 11 is recorded.
KR1020170146306A 2017-11-03 2017-11-03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101986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06A KR101986681B1 (en) 2017-11-03 2017-11-03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06A KR101986681B1 (en) 2017-11-03 2017-11-03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76A KR20190050676A (en) 2019-05-13
KR101986681B1 true KR101986681B1 (en) 2019-06-07

Family

ID=6658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306A KR101986681B1 (en) 2017-11-03 2017-11-03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68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219A (en) * 2006-09-08 2008-03-21 Sony Corp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219A (en) * 2006-09-08 2008-03-21 Sony Corp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76A (en)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648B2 (en) Context and content based automated image and media sharing
US9648218B2 (en) Remote control of a camera module
JP6538079B2 (en) Imaging parameter setting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60381276A1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capturing video frame
US20080138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Multiple Images at Different Image Foci
US11032524B2 (en) Camera control and image streaming
US20080225128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image-capt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8322656B (en) Shooting method, shooting device and shooting system
CN104202624B (en) The method of transmission picture and device
CN103916602B (en) Method, first movement terminal and the system of long-range shooting control
US8478308B2 (en) Positioning system for ad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etadata of an image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JP2015005889A (en) Imaging device, imaging condi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JP5838852B2 (en) Imaging system,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6616824B2 (en) Video editing, video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469319A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image collection and image display
US10785544B2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with priority network selection for data upload
JP201302147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98668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JP6529852B2 (en)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program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KR101550736B1 (en) Cloud service systme using home c c t v
JP2013187826A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US20140285670A1 (en) Photographing device,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30018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of, group image managing system communicating th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JP2014165639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657141B1 (en) Device and its method for extending video recording ti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