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292B1 - Auto sketch terminal - Google Patents

Auto sketch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292B1
KR101986292B1 KR1020170179734A KR20170179734A KR101986292B1 KR 101986292 B1 KR101986292 B1 KR 101986292B1 KR 1020170179734 A KR1020170179734 A KR 1020170179734A KR 20170179734 A KR20170179734 A KR 20170179734A KR 101986292 B1 KR101986292 B1 KR 10198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corresponding image
frequency characteristic
audio frequenc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혁준
Original Assignee
이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준 filed Critical 이혁준
Priority to KR102017017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 sketch terminal which comprises: a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which is an image matched to each text is allocated and stored; a terminal input unit receiving text input; a terminal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and a terminal control unit extracting a text-corresponding image matched to a text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from the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to display the text-corresponding image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Description

오토 스케치 단말기{Auto sketch terminal}An auto sketch terminal

본 발명은 스케치 단말기로서, 웹툰, 일러스트 등을 그릴 때 이미지를 스케치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sketching an image when drawing a webtoon, an illustration, and the like as a sketch terminal.

인터넷 관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인터넷은 새로운 생활 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개인용 컴퓨터, IPTV,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지능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As Internet technology develops, the Internet creates a new life culture. Intelligent multimedia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IPTV, laptop computers, smart phones and tablets have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이러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만화 시장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대본소와 서점용 단행본에서 디지털 형식인 웹툰으로 변형되었다.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는 만화를 통칭한다. 현재 만화책을 스캔(scan)해 그대로 게재하는 온라인상의 만화뿐만 아니라, 영상과 음성더빙, 플래시 기법 등을 이용한 영상 애니메이션의 만화가 서비스되고 있다.Due to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there has also been a great change in the cartoon market, transformed from monograms for bookstores and bookstores to digital forms. Webtoon is a compound word of web and cartoon, and collectively refers to cartoons served through the Internet. Cartoons of video animation using video, audio dubbing, flash technique, etc. are being provided as well as online cartoons which currently scan comic books as they are.

웹툰 초기에는 감성적인 내용이나 일상을 다룬 짧은 에피소드 형식이었으나 점차 서사구조를 이루고 스크롤을 이용한 특유의 연출방식이 활용되며 발전하고 있다. 만화 대여점과 스캔 만화의 위협으로 인해 국내의 오프라인 출판 만화 시장은 계속 축소되고 있으나, 웹툰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고 서비스되며 국내 만화 시장의 중심이 되고 있다.In the early days of Webtoon, it was a short episode that deals with emotional contents and everyday life, but it gradually develops its narrative structure and utilizes a unique way of directing using scrolling. Due to the threat of comic book stores and scanned cartoons, the domestic offline comics market continues to shrink, but Webtoons evolves and serves as a new form of service and becomes the center of the domestic cartoon market.

현재 웹툰 서비스는 2차원적인 만화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술로 구현된다.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웹툰 독자가 선택한 웹툰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며, 다운로드된 웹툰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읽는 방식으로 서비스된다.Currently, the webtoon service is implemented by a technique of displaying a two-dimensional cartoon image on the screen. The multimedia terminal downloads the webtoon image file selected by the reader of the webtoo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and is managed by manually reading the downloaded webtoon image.

한편,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은, 제3자에게 무엇인가 의미를 전달하거나, 내용 암시에 사용되기 위해 제작된 그림이며 디자인작업으로 분류된다. 디자인에서는 일러스트라고도 약칭한다. 즉, 상대가 이해하기 쉽고 생각되는 위험을 찾아내서 그 작업에 정진하도록 제시하는 그림을 말한다. 삽화는 인시덴트(incident)나 앗차사고의 회상과 더불어 주요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묘사하는 친근한 관계를 갖고 있지만, 삽화에는 삽화의 독자적인 본질과 수단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n illustration is a picture produced to be used for conveying meaning to a third party or to be implied in a content, and classified as a design work. Design is abbreviated as illustration. In other words, the picture suggests that the opponent finds the danger that is easy to understand and thinks and devotes to the work. The illustration occupies a major part with incidents or recollections of the Aghasago, and has a particularly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depictions, but the illustration has its own essence and means of illustration.

이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웹툰이나 일러스트가 대중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스케치하는 작가들은,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등의 지능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제작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ebtoons and illustrations described above are popularized. The artists who sketch the webtoons and illustrations use the intelligent multimedia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and tablets to produce webtoons and illustrations.

그런데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제작하고자 하는 자는, 훌륭한 스토리와 아이디어가 있다 하더라도 스케치 실력이 형편없을 경우 웹툰이나 일러스트 제작에 소극적으로 된다. 특히,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그리는게 꿈인 청소년이 점차 늘고 있지만 자신의 그림 실력을 보고는 어쩔 수 없이 꿈을 포기하는 청소년이 적지않다.However, those who want to create a webtoon or an illustration, even if they have a great story and ideas, will be passive in creating a webtoon or illustrations if their sketch skills are poor. Especially, teenagers who are dreaming to draw a webtoon or illustrations are increasing, but there are not many adolescents who give up their dreams when they see their painting skills.

한국공개특허 10-2013-012653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2653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웹툰이나 일러스트 등을 그릴 때 사용자가 이미지를 손쉽게 스케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by which a user can easily sketch an image when drawing a web toon or an illustra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텍스트별로 그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텍스트 대응 이미지가 할당되어 저장된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텍스트 입력을 받는 단말기 입력부; 이미지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를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which is an image matched to each text, is assigned and stored; A terminal input unit receiving text input; A termina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text input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from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text corresponding image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상기 스케치 단말기는, 오디오를 입력받는 단말기 마이크; 및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를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The sketch terminal comprises: a terminal microphone for receiving audio; And a STT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ice of a user input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into text, wherein the terminal controller extracts a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converted text from the user voice from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오디오 주파수 특성별로 그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할당되어 저장된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의 주파수 특성인 오디오 주파수 특성을 산출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상기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in which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which is an image matched to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s assigned and stored;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alculator for calculating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that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udio input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controls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ed to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to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display it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개별 스케치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xt corresponding image stored in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stored in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re individual sketch images drawn by the user.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음성 이외에 추가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주변 소음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음성만 감지되는 경우,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만을 표시하며, 음성 이외에 주변 소음도 함께 감지되는 경우,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주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unit detects whether ambient noise, which is an audio of a different frequency band, is input in addition to the audio of the audio frequency band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If only the voice is detected, A correspon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converted from the voice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ed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mbient noise can be displayed together when ambient noise other than voice is detected together.

상기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주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함께 표시함에 있어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거나 또는 겹치지 않게 각각 표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displaying the text-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text converted from the speech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mbient noise together,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overlapped or displayed And the like.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경우,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중에서, 오디오 데시벨이 더 큰 이미지를 더 진하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are overlapped, the image having the larger audio decibel is displayed in a darker color in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경우,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중에서, 오디오 데시벨이 더 큰 이미지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When a text-corresponding image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superimposed,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having a larger audio decibel larger among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상기 오토 스케치 단말기는,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표시될 화면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 화면 위치에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Wherein the automatic sketch terminal includes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providing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for selecting a screen position to display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or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from the user,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or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position selected through the screen position selecting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웹툰이나 일러스트 등을 그릴 때 텍스트나 음성 입력을 통해 자동으로 이미지가 스케치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is automatically sketched through a text or voice input when drawing a webtoon or an illustration,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케치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케치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에 따른 자동으로 스케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자동으로 스케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자동으로 스케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지 않게 각각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주변 오디오보다 더 큰 경우 사용자 음성의 매칭 이미지가 더 진하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 오디오가 사용자 음성보다 더 큰 경우 주변 오디오의 매칭 이미지가 더 진하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주변 오디오보다 더 큰 경우 사용자 음성의 매칭 이미지가 더 크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 오디오가 사용자 음성보다 더 큰 경우 주변 오디오의 매칭 이미지가 더 진하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 ske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uto-ske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text-aware image databas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sketch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text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ketch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s automatically sket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displayed in a non-overlapping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matching image of a user's voice is drawn more darkly when the user's voice is greater than ambient au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the matching image of ambient audio is drawn more darkly if the ambient audio is greater than the user's vo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matching image of a user's voice is drawn larger if the user's voice is greater than ambient au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the matching image of ambient audio is depicted more darkly if the ambient audio is greater than the user's vo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screen of a screen location selec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케치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케치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에 따른 자동으로 스케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자동으로 스케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자동으로 스케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ske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ske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sketching according to a user's text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utomatic ske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s automatically sket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는 텍스트, 음성 등의 문자 및 소리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케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텍스트 입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해줌으로써 웹툰 제작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auto sketch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ketches using text and sound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voice. Thus, by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ext inpu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a webtoon.

예를 들어, 음성으로 입력하였을 때의 음성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분석하여 분석된 감정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스케치화하거나, 또는 음성과 함께 입력되는 주변 소리(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 소리 등)를 인지하여 주변 상황을 스케치에 반영하는 것과 텍스트를 입력(예로, 삐죽머리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삐죽머리가 스케치됨)그리고 사용자의 그림체를 자동으로 저장해 같은 그림을 반복하지 않아도 특정단어와 음성만으로 간단히 스케치를 그릴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an emotion felt in a voice when inputting by voice, to sketch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emotion, or to perceive a surrounding sound (for example, a car horn sound) Reflect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the sketch and input the text (eg, if you enter the word "spiky head", the spiky head will automatically be sketched), and automatically save the user's drawing so that you can simply sketch .

이러한 본 발명의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연산유닛 및 입출력 유닛을 구비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구글, 윈도우(window)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auto sketch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tablet, a smart phon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has a general operation unit and an input / output unit in terms of hardware, and is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 Java, Visual Basic, Visual C, And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branch functions. Also,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web program that is variously provided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such as Google and a window. Typical examples include Internet Information Server (IIS) and CERN, NCSA, and APPACH used in a UNIX environment Can be used.

또한 스마트폰(smart phone)과 태블릿은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mart phones and tablets are intelligent terminals that add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so that users can install desired applications. Therefore, not only the wireless Interne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but various browsing programs can be used to access the Internet. In addition, unlike existing mobile phones,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reate desired applications, You can implement an interface.

이밖에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 수단과 연산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drawings illustrate examples of a smart phone and a tabl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smart phone but also to a desktop PC, a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ssistant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kind, but may include all terminals including input / output means and calculation means.

본 발명의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0),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 단말기 입력부(110), 단말기 표시부(120), 단말기 마이크(130), STT 변환부(140), 오디오 주파수 특성 산출부(150), 및 단말기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 제공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auto-sketch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70,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80, a terminal input unit 110, a terminal display unit 120, An STT transformer 140,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alculating unit 150, and a terminal controller 190. The STT transformer 140, In addition,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providing unit 160 may be further included.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0)는, 텍스트별로 그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텍스트 대응 이미지가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 텍스트에는 나무 이미지가 텍스트 대응 이미지로서 할당되어 저장되며, 또한 '비행기' 텍스트에는 비행기 이미지가 텍스트 대응 이미지로서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70 is a databas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which is an image matched to each text, is allocated and stor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tree image is assigned and stored as a text-corresponding image in the 'tree' text, and an airplane image is allocated and stored as a text-corresponding image in the 'airplane' text.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별로 그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오디오 주파수 특성이라 함은, 오디오 주파수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입력되는 오디오의 주파수의 평균값, 주파수 최대값, 주파수 최소값 등의 어느 하나의 특성값이 해당될 수 있다.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80 is a database in which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s, which are images matched to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allocated and stored. Here,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may be a value indicating a characteristic of an audio frequency, and may be any one of a characteristic value such as an average value of the frequency of the input audio, a maximum frequency value, and a minimum frequency value.

이러한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개별 스케치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만의 이미지를 미리 그려놓아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로서 미리 저장해놓고 있다가 필요시에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text-corresponding image stored in the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70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stored in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80 may be individual sketch images drawn by the user. The user can preliminarily store an image of himself or herself in advance as a text corresponding image or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nd can call and use it when necessary.

또한 이러한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0)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70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80 may be stored in a hard disk drive, an SSD drive, a flash memory, a compact flash A module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card,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n SM card (Smart Media Card), an MMC card (Multi-Media Card), or a Memory Stick And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apparatus.

단말기 입력부(110)는, 텍스트 입력을 받는 모듈이다.The terminal input unit 110 is a module that receives text input.

단말기 표시부(12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110)와 단말기 표시부(12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The terminal display unit 120 is a module for displaying an image. The terminal input unit 110 and the terminal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type of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is a display window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a terminal to provide a touch screen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and display, and inclu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Display.

단말기 마이크(130)는, 오디오를 입력받는 모듈로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거쳐 음성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terminal microphone 130 receives audio signals.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modem (MODEM) and a codec (CODEC).

STT 변환부(140)는, 단말기 마이크(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모듈이다. 음성인식 기술인 STT(Speech to Text) 기술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기술이다. 따라서 단말기 마이크(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The STT conversion unit 140 is a modul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130 into text. Speech to Text (STT) technology, which is a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converting speech to text as is known. Accordingly,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130 can be converted into text.

오디오 주파수 특성 산출부(150)는, 단말기 마이크(13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의 주파수 특성인 오디오 주파수 특성을 산출한다. 음성이 아닌 오디오가 입력되는 경우, 즉,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SST변환한 결과 의미있는 텍스트 문자가 아닌 경우, 입력되는 오디오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차 소리의 주변 오디오가 들리는 경우, 기차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파도 소리의 주변 오디오가 들리는 경우, 파도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특성은 오디오의 주파수 평균값, 주파수 최고 주파수, 주파수 패턴 등의 다양한 특징값이 해당될 수 있다.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alculator 150 calculates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which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udio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130. When audio other than voice is input, that is, when the audio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is converted into SST, it is calculated tha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to be inputted is not a meaningful text character. For example, when the surrounding audio of the train sound is hear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train sound can be calculated, and when the surrounding audio of the wave sound is hear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wave sound can be calculated. He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may correspond to various characteristic values such as an average frequency value of audio, a maximum frequency frequency, and a frequency pattern.

단말기 제어부(190)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텍스트 입력이나 음성 입력에 따라서 이미지에 대한 오토 스케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is implemented as an MCU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module of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so that an auto sketch can be performed on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 text input or voic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첫 번째로,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에 따라서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오토 스케치가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First, an example of auto sketching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text according to a user's text input will be described.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에 따른 이미지가 자동으로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제어부(190)는, 단말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를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추출하여 단말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In order to automatically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text input on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onverts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ed to the text input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110 into a text- (170) and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120).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나무'라고 입력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대응되는 '나무' 이미지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표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비행기'라고 입력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대응되는 '비행기' 이미지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표시된다. 따라서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그리려는 사용자는 이미지를 일일이 이미지를 스케치할 필요없이 텍스트 입력만으로 해당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when a user inputs' tree 'to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a' tre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Similarly, when the user inputs 'airplane' to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an 'airplan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irplane' is displayed on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Therefore, a user who wants to draw a webtoon or an illustration can display the image only by inputting text without having to sketch an image for each image.

두 번째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서 음성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오토 스케치가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Secondly,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an auto sketch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oice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이미지가 자동으로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제어부(190)는, 사용자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를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In order to automatically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on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transmits a text-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text converted from the user's voice to the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70 And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120.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를 향해 '나무'라고 말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대응되는 '나무' 이미지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표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를 향해 '비행기'라고 말하게 되면, 이에 대응되는 '비행기' 이미지가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에 표시된다. 따라서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그리려는 사용자는 이미지를 일일이 이미지를 스케치할 필요없이 원하는 이미지의 명칭을 발성함으로써 해당 이미지를 손쉽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when the user speaks 'wood' toward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the 'tre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uto- And displayed on the sketch terminal 100. Similarly, when the user speaks 'airplane' toward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an 'airplan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irplane' is displayed on the auto sketch terminal 100. Therefore, a user who wants to draw a webtoon or an illustration can easily display the image by calling the name of the desired image without having to sketch the image one by one.

또한 단말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주변의 오디오도 이미지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 제어부(190)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추출하여 단말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Also,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an display not only the user's voice but also surrounding audio as an image. To this e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extracts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from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80 and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120.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의 기차 소리가 들리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190)는 기차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기차' 이미지를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추출하여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대응되는 '기차'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6 (a),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alcul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train sound and outputs a 'train' image corresponding thereto to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for example, 180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train' image as shown in FIG. 6 (b).

마찬가지로, 주변의 파도 소리가 들리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190)는 파도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파도' 이미지를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추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바다'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In the same manner, when the surrounding sound wave is heard,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alculat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wave sound, extracts the 'wave' imag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180, .

한편, 단말기 제어부(190)는, 단말기 마이크(130)를 통해 음성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음성 이외에 추가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주변 소음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의 형태에 따라서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과 함께 상술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detects whether ambient noise, which is audio in a different frequency band, is input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130 in addition to the audio of the audio frequency band, And performs an operation. 7 to 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지 않게 각각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주변 오디오보다 더 큰 경우 사용자 음성의 매칭 이미지가 더 진하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 오디오가 사용자 음성보다 더 큰 경우 주변 오디오의 매칭 이미지가 더 진하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주변 오디오보다 더 큰 경우 사용자 음성의 매칭 이미지가 더 크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변 오디오가 사용자 음성보다 더 큰 경우 주변 오디오의 매칭 이미지가 더 진하게 그려지는 예시 화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의 예시 그림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displayed in a non-overlapping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matching image of a user's voice is drawn more darkly when a user's voice is larger than ambient au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screen in which the matching image of the surrounding audio is drawn more darkly when the surrounding audio is larger than the user's vo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matching image is drawn in a larger size,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단말기 마이크(130)를 통해 음성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음성 이외에 추가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주변 소음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입력되는 오디오의 형태가 음성만 감지되는 경우에는,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만을 화면에 표시한다.In addition to the voice as the audio of the voice frequency band, it is further detected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130 whether ambient noise, which is audio of another frequency band, is inputted. If only the voice is detected as the form of the input audio, Only the text-corresponding image that is matched with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반면에, 음성 이외에 주변 소음도 함께 감지되는 경우에는,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주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나무'라고 음성 입력하는 상황에서 주변에서 기차 소리가 들리는 경우, '나무' 이미지와 '기차'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mbient noise other than voice is also detected, a text-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text converted from the voice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mbient noise are displayed together. For example, if a user is typing 'tree' and you hear a train sound around you, display the 'tree' image and the 'train' image together on one screen.

나아가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주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함께 표시함에 있어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거나 또는 겹치지 않게 각각 표시한다.Further, in displaying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text converted from the voic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mbient noise toge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superimposed or not overlapped Display.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지 않게 각각 표시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나무'라고 음성 입력하는 상황에서 주변에서 기차 소리가 들리는 경우, '나무' 이미지와 '기차'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상에 각각 별도로 표시한다.A method of displaying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without overlapping is a method in which,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when a user sounds a voice as " , 'Wood' images and 'train' images on a single screen.

반면에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나무'라고 음성 입력하는 상황에서 주변에서 기차 소리가 들리는 경우, '나무' 이미지와 '기차'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상에 겹쳐서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superimposing a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an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on each other is a method in which,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 'Wood' images and 'train' images on a single screen.

따라서 웹툰이나 일러스트를 그리는 사용자는, 특수한 소리가 나는 환경에서 자신이 의도하는 이미지를 음성으로 추가로 하나의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두 가지 이미지를 겹치지 않게 표시하거나 겹치게 표시하는 옵션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refore, a user who draws a webtoon or an illustration can display an image of his / her intended voice in a special sound environment and display it on a single screen. Note that the option to display or overlay these two images in a non-overlapping manner can be determined by user selection.

한편,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경우,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중에서, 오디오 데시벨(dB)이 더 큰 이미지를 더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음성을 크게 하느냐 작게 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윤곽선을 가지는 스케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xt-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superimposed, it is possible to darkly display the image having the larger audio decibel (dB) among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ccordingly, a sketch having various types of contour lines can be made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voice is made larger or smaller.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과 '기차'의 주변 오디오가 동시에 입력될 때,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의 오디오 데시벨이 '기차'의 주변 오디오의 데시벨보다 더 큰 경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인 '나무'의 이미지를 '기차' 이미지보다 더 진하게 표시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 when a user voice called 'tree' and a surrounding audio of 'train'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audio decibel of the user voice, When the decibel is larger than the decibel of the audio, as shown in Fig. 9 (b), the image of the user tree "tree" is displayed darker than the "train" image.

반면에,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과 '기차'의 주변 오디오가 동시에 입력될 때, '기차'의 주변 오디오의 데시벨이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의 오디오 데시벨보다 더 큰 경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차' 이미지가 사용자 음성인 '나무'의 이미지보다 더 진하게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a), when the user voice called 'tree' and the surrounding audio of 'train'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decibel of the surrounding audio of 'train' If it is larger than the audio decibel, the 'train' image is darker than the 'tree' image, which is the user voice, as shown in FIG. 10 (b).

또한 다른 방식으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경우,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중에서, 오디오 데시벨이 더 큰 이미지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음성을 크게 하느냐 작게 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크기를 가지는 스케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 case where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displayed in a superimposed manner in another manner, an image having a larger audio decibel can be displayed in a larger size among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Accordingly, a sketch having various shape sizes can be made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s voice is made larger or smaller.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과 '기차'의 주변 오디오가 동시에 입력될 때,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의 오디오 데시벨이 '기차'의 주변 오디오의 데시벨보다 더 큰 경우,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인 '나무'의 이미지를 '기차' 이미지보다 더 크게 표시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when a user voice called 'tree' and a surrounding audio of 'train'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audio decibel of the user voice, When the decibel is larger than the decibel of the audio, as shown in Fig. 11 (b), the image of the user tree "tree" is displayed larger than the "train" image.

반면에,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과 '기차'의 주변 오디오가 동시에 입력될 때, '기차'의 주변 오디오의 데시벨이 '나무'라고 말하는 사용자 음성의 오디오 데시벨보다 더 큰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차' 이미지가 사용자 음성인 '나무'의 이미지보다 더 크게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a), when the user voice called 'tree' and the surrounding audio of 'train'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decibel of the surrounding audio of 'train' If it is larger than the audio decibel, the 'train' image is displayed larger than the 'tree' image of the user voice as shown in FIG. 12 (b).

한편, 이밖에 오토 스케치 단말기(100)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표시될 화면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하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 제공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sketch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providing unit 160 for providing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10 for selecting a screen position to display a text corresponding image or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190)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선택된 화면 위치에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an display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or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at the selected screen position through the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10.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10)에서 '중앙'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스케치되는 이미지는 화면 중앙에 표시되며, 또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10)에서 '좌측상단'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스케치되는 이미지는 화면의 좌측 상단에 표시된다. 참고로 표시되는 이미지는 터치 앤 드래깅 등을 통하여 위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a), when the user selects "center" in the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10, the sketched image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Similarly, when the user selects the 'upper left' in the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10, the sketched image is displayed at the upper left of the screen. The displayed image can be changed by touching and dragging.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 variety of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오토 스케치 단말기
110:단말기 입력부 120:단말기 표시부
130:단말기 마이크 140:SST 변환부
150:오디오 주파수 특성 산출부
160:화면위치 선택 인터페이스 제공부
170: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80: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데이터베이스
190:단말기 제어부
100: Auto sketch terminal
110: terminal input unit 120: terminal display unit
130: terminal microphone 140: SST conversion section
150: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alculating section
160: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170: Text-aware image database
180: Database for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s
190:

Claims (9)

텍스트별로 그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텍스트 대응 이미지가 할당되어 저장된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텍스트 입력을 받는 단말기 입력부;
이미지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를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제어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단말기 마이크;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 변환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별로 그에 매칭되는 이미지인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할당되어 저장된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의 주파수 특성인 오디오 주파수 특성을 산출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를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상기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 주파수 특성은, 물체와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오디오 주파수의 평균값, 주파수 최대값 및 주파수 최소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값을 포함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A text-corresponding image database in which a text-corresponding image that is an image matching the text is allocated and stored;
A terminal input unit receiving text input;
A termina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text input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from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text corresponding image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A terminal microphone for receiving audio;
An STT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ice of a user input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into text;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in which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which is an image matched to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s assigned and stored; And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that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udio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The terminal control unit,
A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text converted from the user voice is extracted from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s extracted from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Wherein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ncludes at least one characteristic value of an average value, a maximum frequency value, and a minimum frequency value of an audio frequency for a sound generated from an object and a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개별 스케치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stored in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stored in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database are individual sketch images drawn by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음성 이외에 추가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인 주변 소음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음성만 감지되는 경우,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만을 표시하며,
음성 이외에 주변 소음도 함께 감지되는 경우,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주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control unit,
The terminal microphone detects whether ambient noise, which is audio of a different frequency band, is input in addition to audio of a voice frequency band through the terminal microphone,
Only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text converted from the voice is displayed,
And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matched with the text converted from the voice together with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matched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mbient noise when ambient noise other than voice is detected togeth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성에서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주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매칭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함께 표시함에 있어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거나 또는 겹치지 않게 각각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text-corresponding image matched with the text converted from the speech and an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match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mbient noise,
Wherein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displayed in an overlapping or non-overlapping manner,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경우,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중에서, 오디오 데시벨이 더 큰 이미지를 더 진하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text-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superimposed,
Corresponding to the text-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the image having a larger audio decibel is displayed more intensely.
청구항 6에 있어서,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하는 경우,
텍스트 대응 이미지와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 중에서, 오디오 데시벨이 더 큰 이미지를 더 크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text-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are superimposed,
Where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and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is displayed with a larger audio decib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토 스케치 단말기는,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가 표시될 화면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 화면 위치에 상기 텍스트 대응 이미지 또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 대응 이미지를 표시하는 오토 스케치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
And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for providing a screen position selection interface for selecting a screen position at which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or the audio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image is to be displayed,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displays the text corresponding image or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image at a screen position selected through the screen position selecting interface.
KR1020170179734A 2017-12-26 2017-12-26 Auto sketch terminal KR101986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34A KR101986292B1 (en) 2017-12-26 2017-12-26 Auto sketch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34A KR101986292B1 (en) 2017-12-26 2017-12-26 Auto sketch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292B1 true KR101986292B1 (en) 2019-06-05

Family

ID=6684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34A KR101986292B1 (en) 2017-12-26 2017-12-26 Auto sketch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2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28A (en) * 2020-11-06 2022-05-13 윤경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mages related to drea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532A (en) 2012-05-11 2013-11-20 안강석 A method providing source information of a subject according to photographing the subject, and a server and a hand-held terminal therefor
JP2014186372A (en) * 2013-03-21 2014-10-02 Toshiba Corp Picture drawing support device,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532A (en) 2012-05-11 2013-11-20 안강석 A method providing source information of a subject according to photographing the subject, and a server and a hand-held terminal therefor
JP2014186372A (en) * 2013-03-21 2014-10-02 Toshiba Corp Picture drawing support device, method, and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28A (en) * 2020-11-06 2022-05-13 윤경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mages related to dreams
KR102559006B1 (en) 2020-11-06 2023-07-25 윤경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mages related to drea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4371B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object
US9335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erpt creation by designating a text segment using speech
EP3693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KR2014011062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19302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telephony using the same
KR2012006826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US20130257780A1 (en) Voice-Enabled Touchscreen User Interface
KR20100028312A (en) Editing method for file of portable device and edi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9819301B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829686B (en) Transl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5139848B (en) Data transfer device and device
WO2020173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special image effects and hardware device
CN111566604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38812A (en) Speec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86292B1 (en) Auto sketch terminal
CN10687379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CN110992958B (en) Content recording method, content record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7145988B2 (en) Transl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input applic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11769504B2 (en) Virtual meeting content enhancement triggered by audio tracking
US8959024B2 (en) Visualizing, navigating and interacting with audio content
KR20160043557A (en) Smart device for providing extensioned service
KR101597819B1 (en) Apparatus for chatting using drawing board
KR20140112814A (en) Methoof providing handwriting recognition based on option filiter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N108777103A (en) A kind of mobile terminal with braille assistant display device
Wang et al.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blind reader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